KR101558126B1 - 장신구 고정용 기구 - Google Patents

장신구 고정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126B1
KR101558126B1 KR1020150008175A KR20150008175A KR101558126B1 KR 101558126 B1 KR101558126 B1 KR 101558126B1 KR 1020150008175 A KR1020150008175 A KR 1020150008175A KR 20150008175 A KR20150008175 A KR 20150008175A KR 101558126 B1 KR101558126 B1 KR 101558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king
fixing
coupled
pi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이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철 filed Critical 이승철
Priority to KR1020150008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126B1/ko
Priority to PCT/KR2015/006500 priority patent/WO201519946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00Brooches or clips in their decorative or ornamental aspec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00Hat, scarf, or safety pins or the like
    • A44B9/12Safety-p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장신구 고정용 기구의 또 다른 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옷, 가방, 신체부위에 장신구를 부착하는 기구에 있어서, 제1부재와 일단이 제1부재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2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1부재와 제2부재의 타단이 서로 맞물려 있는 제2핀부재와, 제1부재와 제2부재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되고 자체 탄성력으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루프 구조를 갖는 제2루프버튼부로 구성되되, 제2루프버튼부는 양측면 방향으로 가압되는 힘에 의해 변형되어 제1부재와 제2부재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힘이 전달되고, 이 힘에 의해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외곽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신구 고정용 기구{A apparatus for fixing accessories}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타일 또는 환경에 따라 다양한 장신구를 활용하기 위한 장신구 고정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신구 고정용 기구는 리본, 명찰, 브로치 등과 같은 장신구를 옷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옷매무새를 가다듬거나 스카프, 숄 등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여미기 위해 사용되는 옷핀 종류 또는 머리카락을 고정시키는 머리핀, 귀걸이, 피어싱, 반지, 열쇠고리 등 다양한 장신구 고정용 기구가 있다. 또한 산업이 고도로 발전되면서 발명된 각종 전자 칩이나 이동통신 단말기, 이어셋,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형 전자기기를 의복이나 가방과 같은 피부착물에 고정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기구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고정용 기구는 의복이나 가방 등의 피부착물에 착용하거나 분리하기가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기 위한 방안으로, 휴대형 전자기기에 고정된 걸이용 연결끈을 목에 걸어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목에 걸린 휴대형 전자기기가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흔들거림으로써 외부물질에 부딪혀 기기가 손상되거나, 신체의 일부를 타격하여 타박상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특허 제10-1388700호를 제안한바 있으나 본 출원인이 제안한 발명 역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빠지는 문제가 있고, 다양한 장신구를 활용하는데 있어 쉽게 교체가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870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789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쉽게 분리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에 의해서 의복이나 가방 등의 피부착물에 쉽게 착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스타일 또는 환경에 따라 다양한 장신구가 교체 활용될 수 있는 장신구 고정용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옷, 가방, 신체부위에 장신구를 부착하는 기구에 있어서, 제1부재와 일단이 제1부재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2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1부재와 제2부재의 타단이 서로 맞물려 있는 제2핀부재와, 제1부재와 제2부재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되고 자체 탄성력으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루프 구조를 갖는 제2루프버튼부로 구성되되, 제2루프버튼부는 양측면 방향으로 가압되는 힘에 의해 변형되어 제1부재와 제2부재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힘이 전달되고, 이 힘에 의해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외곽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고정용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핀고정부가 제1루프버튼부에 의해서 수평이동 후 회전운동을 통해 고정홈에 깊이 삽입되어 있는 제1핀부재의 타단이 분리되도록 함에 따라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쉽게 피부착물에서 이탈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제1핀부재가 2중 동작을 통해 분리되도록 함에 따라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도킹부재를 통해 다양한 장신구가 고정용 기구에 설치될 수 있어 사용자의 스타일 또는 환경에 맞게 다양한 장신구가 손쉽게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루프버튼부에 의해서 장신구가 종래에 비해 매우 용이하게 의복이나 가방 등과 같은 직물재질의 피부착물 및 신체부위에 착용될 수 있고, 분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원발명인 고정용 기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하면을 보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4는 본원발명인 고정용 기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의 하면을 보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6은 도4에서 핀고정부가 회전하는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7은 본원발명의 바디부에 제1결합홈과 제1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8은 바디부의 제1결합홈에 제1,2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9는 바디부의 제1결합공에 제1,2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10은 본원발명인 고정용 기구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1은 도10의 측면도이다.
도12는 도10에 제2도킹부재가 제1고리부재에 다양한 각도로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3은 본원발명인 고정용 기구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4는 본원발명인 고정용 기구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5는 도14에서 제2도킹부재가 바디부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6은 본원발명인 고정용 기구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7은 도16의 고정용 기구가 오픈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8은 도16에 제3도킹부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9는 본원발명인 고정용 기구의 제7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0은 도19의 고정용 기구가 오픈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1은 도19에 제2고리부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2는 본원발명인 고정용 기구의 제8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3은 도22에 제4도킹부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4는 본원발명인 고정용 기구의 제9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고정용 기구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원발명인 고정용 기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하면을 보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4는 본원발명인 고정용 기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5는 도4의 하면을 보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6은 도4에서 핀고정부가 회전하는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7은 본원발명의 바디부에 제1결합홈과 제1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8은 바디부의 제1결합홈에 제1,2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9는 바디부의 제1결합공에 제1,2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10은 본원발명인 고정용 기구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11은 도10의 측면도이다. 도12는 도10에 제2도킹부재가 제1고리부재에 다양한 각도로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3은 본원발명인 고정용 기구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4는 본원발명인 고정용 기구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15는 도14에서 제2도킹부재가 바디부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원발명은 장신구(20) 고정용 기구(10)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옷, 가방, 신체부위에 장신구를 부착하는 기구에 있어서, 몸체(110)와 몸체(110)의 양단 양측에 돌출되어 있는 걸림턱(120)과 일단이 몸체(110)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몸체(110)의 하면 방향으로 일정크기의 곡률반경으로 굴곡진 보조몸체(130)와 몸체(110)의 타단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는 제1고정홈(140)으로 이루어진 바디부(100)와, 상면에 체결홈(210)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형상으로 하부가 보조몸체(130) 일단에 끼움 결합되는 방법으로 보조몸체(130) 상면에 설치되는 핀고정부(200)와,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되고 자체 탄성력으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루프 구조를 갖는 것으로 제2고정홈(310)이 있는 일측이 몸체(110)의 일단에 끼움 결합되고, 타측이 핀고정부(200) 일측에 결합되는 제1루프버튼부(300)와, 몸체(110)의 타단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는 제1고정홈(140)과 핀고정부(200)의 체결홈(210)에 설치되는 방법으로 바디부(100)와 핀고정부(200)를 결합시키는 제1탄성체(400) 및, 일단이 핀고정부(200)의 체결홈(2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1루프버튼부(300)의 제2고정홈(310)에 삽입되는 제1핀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제1루프버튼부(300)는 바디부(100)의 측면 방향으로 가압되는 힘에 의해 변형되어 핀고정부(200)에 외곽방향으로 힘이 전달되고, 이 힘에 의해 핀고정부(200)가 보조몸체(130)의 일단에서 수평이동된 후 보조몸체(130)의 타단에서 회전하여 제1핀부재(500)의 타단이 제2고정홈(3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바디부(100), 핀고정부(200), 제1루프버튼부(300), 제1탄성체(400) 및 제1핀부재(500)로 구성되는 것으로 핀고정부(200)가 제1루프버튼부(300)에 의해서 수평이동 후 회전하여 제1핀부재(500)가 분리됨에 따라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쉽게 피부착물에서 이탈되지 않고, 제1루프버튼부(300)에 의해서 장신구(20)가 종래에 비해 매우 용이하게 의복이나 가방 등과 같은 직물재질의 피부착물에 착용될 수 있고, 분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장신구(20) 고정용 기구(10)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신구 고정용 기구는 리본, 명찰, 브로치 등과 같은 장신구를 옷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옷매무새를 가다듬거나 스카프, 숄 등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여미기 위해 사용되는 옷핀 종류 또는 머리카락을 고정시키는 머리핀, 귀걸이, 피어싱, 반지, 열쇠고리 등 다양한 장신구 고정용 기구가 있다. 또한 산업이 고도로 발전되면서 발명된 각종 전자 칩이나 이동통신 단말기, 이어셋,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형 전자기기를 의복이나 가방과 같은 피부착물에 고정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기구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고정용 기구는 의복이나 가방 등의 피부착물에 착용하거나 분리하기가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기 위한 방안으로, 휴대형 전자기기에 고정된 걸이용 연결 끈을 목에 걸어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목에 걸린 휴대형 전자기기가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흔들거림으로써 외부물질에 부딪혀 기기가 손상되거나, 신체의 일부를 타격하여 타박상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특허 제10-1388700호를 제안한바 있으나 본 출원인이 제안한 발명 역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빠지는 문제가 있고, 다양한 장신구를 활용하는 데 있어 쉽게 교체가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쉽게 분리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에 의해서 의복이나 가방 등의 피부착물에 쉽게 착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스타일 또는 환경에 따라 다양한 장신구(20)가 교체 활용될 수 있는 장신구(20) 고정용 기구(10)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핀고정부(200)가 제1루프버튼부(300)에 의해서 수평이동 후 회전운동을 통해 고정홈(310)에 깊이 삽입되어 있는 제1핀부재(500)의 타단이 분리되도록 함에 따라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쉽게 피부착물에서 이탈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제1핀부재(500)가 2중 동작을 통해 분리됨에 따라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제2도킹부재(600, 650)를 통해 다양한 장신구(20)가 고정용 기구(10)에 설치될 수 있어 사용자의 스타일 또는 환경에 맞게 다양한 장신구(20)가 손쉽게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제2루프버튼부(300, 350)에 의해서 장신구(20)가 종래에 비해 매우 용이하게 의복이나 가방 등과 같은 직물재질의 피부착물 및 신체부위(머리카락-머리핀, 귀-귀걸이, 손가락-반지, 피부-피어싱 등)에 착용될 수 있고, 분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바디부(100)는 고정용 기구(10)의 기본 골격에 해당하는 것으로 몸체(110), 걸림턱(120), 보조몸체(130), 제1고정홈(140)으로 구성되어 있다. 몸체(110)는 판 형상으로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일례로 직사각형 모양의 판 형상일 수 있다. 걸림턱(120)은 몸체(110)의 양단 양측에 돌출되어 있는 부재이다. 걸림턱(120)은 몸체(110)의 양측에 돌출되어 있어 뒤에서 설명하는 제1루프버튼부(300)의 일측과 핀고정부(200)의 하부가 지지되는 구성이다. 이때 몸체(110)의 양측에는 제1,2결합돌기(601, 632)가 결합이 될 수 있도록 반 원기둥 모양의 라운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바디부(100)와 제1루프버튼부(300)가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될 경우 걸림턱(120)이 별도로 형성되지 않아도 연결부위가 걸림턱(120) 역할을 할 수 있다. 보조몸체(130)는 일단이 몸체(110)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몸체(110)의 하면 방향으로 일정크기의 곡률반경으로 굴곡되어 있는 부재이다. 보조몸체(130)는 핀고정부(200)가 제1루프버튼부(300)에 의해서 움직일 때 핀고정부(200)가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구조이다. 즉, 보조몸체(130)의 일단 부위는 평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핀고정부(200)가 보조몸체(13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움직일 때는 직선운동이 되고, 타단 부위는 굴곡되어 있어 핀고정부(200)가 타단에서는 타단의 곡률을 따라 회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제1고정홈(140)은 몸체(110)의 타단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세하게는 단면이 'ㄱ'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블럭(141)의 하면이 상기 몸체(110)의 타단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110)의 상면과 상기 지지블럭(141) 사이에 형성되는 홈 또는 상기 몸체(110)의 타단 하면에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홈이다. 지지블럭(141)은 상면이 하면보다 큰 블럭 형태(일례로 단면이 'ㄱ'모양)로 되어 있어 하면이 몸체(110)의 상면에 결합시 자연스럽게 상부 부분과 몸체(110)의 상면 사이에 제1고정홈(140)이 형성되게 한다. 지지블럭(141)은 상부 부분과 몸체(110)의 상면 사이의 제1고정홈(140)이 몸체(110)의 일단 방향을 바라보도록 결합되어 있다. 바디부(100)는 몸체(110), 걸림턱(120), 보조몸체(130), 제1고정홈(140)의 결합으로 구성된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사출에 의해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몸체(110)는 뒤에서 설명하는 제1도킹부재(600), 제2도킹부재(630) 또는 장신구(20)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측면 일측에 생성된 제1결합홈(111) 또는 상,하면 일측을 관통하는 것으로 관통공 주위에 선 모양으로 다수개가 절개되어 있는 제1결합공(11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결합홈(111)은 제1도킹부재(600)의 제1결합돌기(601), 제2도킹부재(630)의 제2결합돌기(632) 또는 장신구(20)의 고정부재(21)가 삽입되어 착용되는 상황에 따라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홈이다. 제1결합홈(111)은 측면 일측으로 한정하고 있으나 상황에 따라서 바디부(100)의 다양한 곳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결합공(112)은 제1도킹부재(600)의 제1결합돌기(601), 제2도킹부재(630)의 제2결합돌기(632) 또는 장신구(20)의 고정부재(21)보다 구멍이 작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구성이 삽입될 때 주변의 선모양의 절개부위가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곳으로 상기 구성이 삽입된 후 마찰력에 의해서 고정이 되도록 하는 구멍이다. 이때 상기 제1결합공(112)은 입구 주변에 고무 탄성체를 형성하여 상기 구성이 삽입될 때 늘어났다가 다시 줄어들도록 함으로서 마찰력에 의해서 고정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공(112)과 몸체(1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반원형 형상의 모서리가 상기 제1도킹부재(600)의 제1결합돌기(601), 제2도킹부재(630)의 제2결합돌기(632) 또는 장신구(20)의 고정부재(21)가 동시에 2중으로 결합이 되도록 하여 더욱 강하게 고정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측면 또는 제1결합공(112)에 자석을 조립하여 금속재질의 악세사리를 더욱 쉽게 부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바디부(1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핀고정부(200)는 상면에 체결홈(210)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형상으로 하부가 보조몸체(130) 일단에 끼움 결합되는 방법으로 보조몸체(130) 상면에 설치되는 부재이다. 핀고정부(200)는 제1루프버튼부(300)에 의해서 보조몸체(130)의 상면 위에서 수평이동 후 보조몸체(130)의 타단에서 회전을 하는 부재이다. 핀고정부(200)는 하면이 보조몸체(130)의 상면을 이동할 수 있도록 평면형태이고, 하면 양측에 돌출부위가 있어 보조몸체(130) 일단에 끼움 결합되고, 상면은 체결홈(210)이 몸체(110)의 길이방향을 향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하면 양측 돌출부위의 말단에는 원기둥 모양의 턱을 형성하여 보조몸체(130)의 타단에 핀고정부(200)의 하부가 걸려 상부만 보조몸체(130) 타단의 곡률을 따라 회전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체결홈(210)은 뒤에서 설명하는 제1핀부재(500) 및 제1탄성체(400)가 고정되는 홈이다. 체결홈(210)은 핀고정부(200)의 상면 또는 일측면에 돌기를 형성하여 홈을 생성할 수 있다. 핀고정부(200)는 제1루프버튼부(300)에 의해서 보조몸체(130)의 타단에서 회전이 용이하도록 제1루프버튼부(300)와 결합되는 부위에 회전홈(220)이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핀고정부(2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제1루프버튼부(30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되고 자체 탄성력으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루프 구조를 갖는 것으로 제2고정홈(310)이 있는 일측이 몸체(110)의 일단에 끼움 결합되고, 타측이 핀고정부(200) 일측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제1루프버튼부(300)는 제2고정홈(310)이 있는 일측이 몸체(110)의 일단에 끼움 결합될 때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밀리지 않도록 걸림턱(120)에 지지 되도록 결합된다. 제2고정홈(310)은 핀고정부(200)의 운동에 따라 제1핀부재(500)의 타단이 고정 또는 분리되는 홈이다. 제1루프버튼부(300)는 바디부(100)의 측면 방향으로 가압되는 힘에 의해 변형되어 핀고정부(200)에 외곽방향으로 힘이 전달되고, 이 힘에 의해 핀고정부(200)가 보조몸체(130)의 일단에서 수평이동된 후 보조몸체(130)의 타단에서 회전하여 제1핀부재(500)의 타단이 제2고정홈(31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부재이다. 물론 제1루프버튼부(300)는 가압되는 힘이 상쇄되는 경우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고 핀고정부(200)는 제1탄성체(400)에 의해서 보조몸체(130)의 타단에서 회전을 한 후 보조몸체(130)의 일단 방향으로 수평이동을 하다가 몸체(110)의 걸림턱(120)에 걸려 보조몸체(130)의 일단 상면에 고정된다. 제1루프버튼부(300)의 타측은 핀고정부(20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원형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제1루프버튼부(300)는 몸체(110)에 끼움 결합 된다고 했으나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핀고정부(200)도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1루프버튼부(300)와 핀고정부(200)가 일체형으로 제작될 때 연결부위는 아주 얇게 제작되어 핀고정부(200)가 회전시 연결부위가 휘어지도록 하여 핀고정부(20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제1루프버튼부(300)의 양측면은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미끄럼방지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루프버튼부(30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되고 자체 탄성력으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루프 구조를 갖는 것이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탄성 재질의 고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탄성력이 양호하고 제조가 용이한 폴리 프로필렌(PP)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탄성체(400)는 몸체(110)의 타단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는 제1고정홈(140)과 핀고정부(200)의 체결홈(210)에 설치되는 방법으로 바디부(100)과 핀고정부(200)를 결합시키는 부재이다. 제1탄성체(400)는 제1루프버튼부(300)에 가압되는 힘이 상쇄되는 경우 제1탄성체(400)의 탄성력에 의해서 핀고정부(200)가 보조몸체(130)의 상면을 따라 보조몸체(130)의 일단으로 움직이게 하여 제1루프버튼부(300)를 복원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즉, 제1탄성체(400)는 핀고정부(200)가 보조몸체(130)의 타단에서 회전을 한 후 보조몸체(130)의 일단 방향으로 수평이동을 하다가 몸체(110)의 걸림턱(120)에 걸려 보조몸체(130)의 일단 상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부재이다. 이때 상기 제1탄성체(400)는 핀고정부(200)의 상면을 누르도록 설치됨으로써 핀고정부(200)가 회전 후 제1핀부재(500)의 끝이 바디부(100)의 상면에 닿을 수 있도록 최대한 누르도록 함으로써 제1핀부재(500)가 고정홈(31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탄성체(400)는 몸체(110)의 타단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는 제1고정홈(140)과 핀고정부(200)의 체결홈(210)에 설치되어 핀고정부(200)를 움직일 수 있으면 다양한 탄성부재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라텍스 고무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제1핀부재(500)는 일단이 핀고정부(200)의 체결홈(2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1루프버튼부(300)의 제2고정홈(310)에 삽입되는 부재이다. 제1핀부재(500)는 피부착물에 고정용 기구(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재로 일단이 핀고정부(200)에 고정되고 타단이 핀고정부(200)의 이동에 따라 제1루프버튼부(300)의 제2고정홈(310)에 삽입되고 분리되는 부재이다. 제1핀부재(500)는 핀고정부(200)의 체결홈(210)에 하나가 설치될 수 있으나 그 개수를 하나 이상으로 구성하여 피부착물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켜 피부착물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제1핀부재(500)는 고정용 기구(10)가 머리카락에 고정될 수 있도록 머리핀 용 부재 또는 귀에 고정될 수 있도록 귀걸이 용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제1핀부재(500)는 피부착물에 고정용 기구(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재이면 다양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통상의 핀이 사용될 수 있다.
본원발명은 반원 형상의 고리 모양으로 일단이 보조몸체(130)의 타단, 상기 보조몸체(130)의 일단 하면 또는 상기 몸체(110)의 타단 하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제1고리부재(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고리부재(150)는 제2도킹부재(6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바디부(100)에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는데 일례로 반원 형상의 고리 모양의 일단이 보조몸체(130)의 타단에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보조몸체(130)와 함께 물음표 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제2도킹부재(630)가 손쉽게 끼워지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고리부재(150)는 고리 모양의 일단이 보조몸체(130)의 일단 하면 또는 상기 몸체(110)의 타단 하면에 결합되어 보조몸체(130)와 함께 클립 형태를 이루도록 하고, 제2도킹부재(630)가 보조몸체(130)의 타단과 제1고리부재(150)의 타단이 맞닿는 곳에 끼움 결합되어 제1고리부재(150)에 위치하게끔 설치된다. 즉, 제1고리부재(150)가 보조몸체(130)에 클립형태로 결합되는 경우 제2도킹부재(630)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쉽게 이탈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또한, 제1고리부재(150)의 타단이 보조몸체(130)의 타단과 서로 교차되도록 함으로써 제2도킹부재(630)가 더욱 강하게 결합되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고리부재(150)는 얇게 형성하여 휘어지도록 함으로써 제2도킹부재(630)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고리부재(150)는 상면 또는 하면의 곡률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돌출되어 있는 다수의 고정돌기(15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151)는 제2도킹부재(630)가 제1고리부재(150)에 다양한 각도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세하게는 제2도킹부재(630)와 바디부(100)가 이루는 각도가 0도 내지 150도 사이에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형태로 제2도킹부재(630)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고정돌기(151)는 제2도킹부재(630)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쉽게 고정용 기구(10)와 분리되지 않도록 도와준다. 즉, 제2도킹부재(630)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고정용 기구(10)에서 이탈될 때 고정돌기(151)가 이를 방해하는 작용인 마찰작용과 걸림작용을 하여 제2도킹부재(630)가 고정용 기구(1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도와준다. 또한, 고정돌기(151)는 장신구(20)를 용도에 맞게 여러 개를 한번에 결합하여 각각 고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고리부재(150)는 바디부(100)에서 사용되는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본원발명은 바디부(100)의 몸체(1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면 일측에 제1결합돌기(601)가 돌출되어 있는 제1도킹부재(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제1결합돌기(601)가 바디부(100)의 몸체(110)에 결합되는 방법으로 제1도킹부재(600)가 바디부(1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결합돌기(601)는 제1도킹부재(600)의 상면에 1개(일측) 또는 2개(양측에 1개씩)가 둘출되어 있어 상기 바디부(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끼움 결합될 수 있고, 또는 제1도킹부재(600)의 상면 중심 부위에 돌출되어 있어 상기 바디부(100) 몸체(110)의 제1결합홈(111) 또는 제1결합공(11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도킹부재(600)는 피부착물에 부착된 고정용 기구(10)를 분리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악세사리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재이다. 즉, 피부착물에 부착된 고정용 기구(10)에 제1도킹부재(600)만 분리 또는 결합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악세사리를 활용할 수 있다. 제1도킹부재(600)는 판 형상, 링 형상 등 장신구(20)를 고정용 기구(10)에 결합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1도킹부재(6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나 제작의 편의성을 위하여 바디부(100)와 동일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제1고리부재(150)에 결합되는 것으로 타단 일측에 고리구멍(631)이 뚫려 있는 제2도킹부재(6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제1고리부재(150)가 고리구멍(631)을 관통하는 방법으로 제2도킹부재(630)가 바디부(10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도킹부재(630)는 판 형상으로 상면 일측에 제2결합돌기(632)가 돌출되어 있어, 제2도킹부재(630)는 제1고리부재(150)가 고리구멍(631)에 관통된 후 제2결합돌기(632)가 바디부(100)의 몸체(110)에 결합되어 바디부(1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2결합돌기(632)는 제2도킹부재(630)의 상면에 1개(일측) 또는 2개(양측에 1개씩)가 둘출되어 있어 상기 바디부(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끼움 결합될 수 있고, 또는 제2도킹부재(630)의 상면 중심 부위에 돌출되어 있어 상기 바디부(100)의 몸체(110)의 제1결합홈(111) 또는 제1결합공(112)에 결합될 수 있다. 제2도킹부재(630)는 피부착물에 부착된 고정용 기구(10)를 분리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악세사리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재이다. 즉, 피부착물에 부착된 고정용 기구(10)에 제2도킹부재(630)만 분리 또는 결합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악세사리를 활용할 수 있다. 제2도킹부재(630)는 판 형상, 링 형상 등 장신구(20)를 고정용 기구(10)에 결합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2도킹부재(63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나 제작의 편의성을 위하여 바디부(100)와 동일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제1도킹부재(600)와 제2도킹부재(630)는 장신구(20)를 바디부(100)에 결합시키기 위한 부재로 장신구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제1도킹부재(600)의 제1결합돌기(601), 제2도킹부재(630)의 제2결합돌기(632) 또는 장신구(20)의 고정부재(21)는 몸체(110)의 상,하면 일측을 관통하는 제1결합공(112)과 몸체의 양측면에 형성된 반원형 형상의 모서리와 동시에 2중으로 결합이 되도록 하여 더욱 강하게 고정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도킹부재(600)의 제1결합돌기(601), 제2도킹부재(630)의 제2결합돌기(632) 또는 장신구(20)의 고정부재(21)가 제1결합공(112)과 하나로만 결합이 될 경우 도킹부재 또는 장신구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고정이 되지 않고 회전이 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2중 결합으로 정위치에 고정이 잘 되도록 할 수 있다.
도16은 본원발명인 고정용 기구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17은 도16의 고정용 기구가 오픈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8은 도16에 제3도킹부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9는 본원발명인 고정용 기구의 제7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0은 도19의 고정용 기구가 오픈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1은 도19에 제2고리부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2는 본원발명인 고정용 기구의 제8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3은 도22에 제4도킹부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원발명의 장신구(20) 고정용 기구(10)에 관한 또 다른 예로 상세하게는 옷, 가방, 신체부위에 장신구를 부착하는 기구에 있어서, 제1부재(710)와 일단이 상기 제1부재(710)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2부재(720)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부재(710)와 상기 제2부재(720)의 타단이 서로 맞물려 있는 제2핀부재(700)와, 제1부재(710)와 제2부재(720)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되고 자체 탄성력으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루프 구조를 갖는 제2루프버튼부(350)로 구성되되, 제2루프버튼부(350)는 양측면 방향으로 가압되는 힘에 의해 변형되어 제1부재(710)와 제2부재(720)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힘이 전달되고, 이 힘에 의해 제1부재(710)와 제2부재(720)가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외곽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제2핀부재(700) 및 제2루프버튼부(350)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2핀부재(700)가 제2루프버튼부(300)에 의해서 분리되고 결합됨에 따라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쉽게 피부착물에서 이탈되지 않고, 장신구(20)가 종래에 비해 매우 용이하게 의복이나 가방 등과 같은 직물재질의 피부착물 또는 신체부위에 착용될 수 있고, 분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장신구(20) 고정용 기구(10)에 관한 것이다.
제2핀부재(700)는 고정용 기구(10)가 피부착물에 쉽게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동작하는 구성으로 제1부재(710)와 제2부재(720)가 집게 작용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부재(710)는 제2핀부재(700)의 한쪽 부재를 담당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일례로 반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2부재(720)는 제2핀부재(700)의 또 다른 한쪽 부재를 담당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일례로 반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1부재(710)는 일단 일측에 제3결합공(711)이 뚫려 있을 수 있다. 제2부재(720)는 일단이 제1부재(710)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고 일단 일측에 제4결합공(721)이 뚫려 있을 수 있다. 제3결합공(711)과 제4결합공(721)은 제2탄성체(8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 구멍이다. 또한, 제1부재(710)와 제2부재(720)의 상,하면 일측을 관통하는 것으로 관통공 주위에 선 모양으로 다수개가 절개되어 있거나, 또는 좁은 입구가 탄성으로 늘어나도록 생성되어 있는 제5결합공(71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5결합공(712)이 형성된 측면에는 반원형 형상의 모서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핀부재(700)는 반원 형상의 2가지 부재가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제1부재(710)와 제2부재(720)의 타단이 서로 맞물려 있어 전체적으로 원형 링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제1부재(710)와 제2부재(720)의 타단에 실리콘재질의 부드러운 완충재를 형성하여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특히 타단 내측에 실리콘재질의 완충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부재(710)와 제2부재(720)의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게 제작될 수 있는데 이때는 연결부위를 아주 얇게 제작하여 휘어지도록 함으로써 제1부재(710)와 제2부재(720)가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부재(720)는 효과적으로 고정용 기구(10)가 피부착물에 결합 또는 분리 될 수 있도록 일단이 제1부재(710)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2몸체(722)와 일단이 제2몸체(722)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1부재(710)의 타단과 맞물리는 핀(7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핀(723)은 제2부재(720)에 하나가 설치될 수 있으나 그 개수를 하나 이상으로 구성하여 피부착물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켜 피부착물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핀(723)은 고정용 기구가 귀에 걸리는 귀걸이 형태일 경우 귀걸이 용 핀이 사용될 수 있다.
제2핀부재(7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제2루프버튼부(350)는 제1부재(710)와 제2부재(720)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되고 자체 탄성력으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루프 구조를 갖는 부재이다. 제2루프버튼부(350)는 양측면 방향으로 가압되는 힘에 의해 변형되어 제1부재(710)와 제2부재(720)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힘이 전달되고, 이 힘에 의해 제1부재(710)와 제2부재(720)가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외곽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서로 분리된다. 물론 제2루프버튼부(350)는 가압되는 힘이 상쇄되는 경우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고 제1부재(710)와 제2부재(720)는 제2탄성체(800)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1부재(710)와 제2부재(720)가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부재(710)와 제2부재(720)의 타단이 서로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 제2루프버튼부(350)와 제1부재(710), 제2부재(720)를 일체로 연결되게 제작될 수 있는데 이때는 연결부위를 아주 얇게 제작하여 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2루프버튼부(35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되고 자체 탄성력으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루프 구조를 갖는 것이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탄성 재질의 고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탄성력이 양호하고 제조가 용이한 폴리 프로필렌(PP)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발명은 제2탄성체(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탄성체(800)는 일단이 제3결합공(711)에 삽입되고 타단이 제4결합공(721)에 삽입되는 방법으로 제2핀부재(700)에 설치될 수 있고, 양단이 상기 제1부재(710)와 상기 제2부재(720)의 내측에 각각 결합되거나 양단이 상기 제2루프버튼부(350)의 내면에 각각 결합되는 방법으로 제2핀부재(700)에 설치될 수 있는 부재이다. 제2탄성체(800)는 제2루프버튼부(350)에 가압되는 힘이 상쇄되는 경우 제2탄성체(800)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2핀부재(700)가 움직이게 하여 제2루프버튼부(350)를 복원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즉, 제2탄성체(800)는 제2루프버튼부(350)의 힘이 상쇄되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경우 제1부재(710)와 제2부재(720)가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1부재(710)와 제2부재(720)의 타단이 서로 맞물리도록 하는 부재이다. 제2탄성체(800)는 제1부재(710)와 제2부재(720)에 설치되어 제2핀부재(700)를 움직일 수 있으면 다양한 탄성부재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판 스프링, 토션 스프링, 인장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제1부재(710) 또는 상기 제2부재(720)에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상면 일측에 제3결합돌기(651)가 돌출되어 있는 제3도킹부재(6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제3도킹부재(650)는 상면에 돌출되어 있는 1개 또는 2개의 제3결합돌기(651)가 제1부재(710) 또는 제2부재(72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3도킹부재(650)는 판 형상, 링 형상 등 장신구(20)를 고정용 기구(10)에 결합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3도킹부재(650)는 다양한 장신구(20)가 고정용 기구(10)에 다양한 방법으로 교체되어 활용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재이다. 제3도킹부재(650)는 피부착물에 부착된 고정용 기구(10)를 분리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악세사리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부재이다. 즉, 피부착물에 부착된 고정용 기구(10)에 제3도킹부재(650)만 분리 또는 결합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악세사리를 활용할 수 있다.
제3도킹부재(65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제3도킹부재(650)는 장신구(20)를 제2핀부재(700)에 결합시키기 위한 부재로 장신구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원발명은 반원 형상의 고리 모양으로 일단이 제1부재(710) 또는 제2부재(720) 일측에 결합되는 제2고리부재(7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고리부재(730)는 상기 위의 제1고리부재(150)와 같이 다양한 장신구가 고리 모양에 설치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재이다. 제2고리부재(730)는 제2핀부재(700)에서 사용되는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제1부재(710) 또는 제2부재(7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면 일측에 제4결합돌기(671)가 돌출되어 있는 제4도킹부재(6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제4결합돌기(671)가 제4도킹부재(670)의 상면 중앙에 1개가 돌출된 경우 제4결합돌기(671)가 제5결합공(712)에 삽입되는 방법으로 제4도킹부재(670)가 제1부재(710) 또는 제2부재(720)에 설치되고, 제4결합돌기(671)가 제4도킹부재(670)의 상면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2개가 돌출된 경우 제4결합돌기(671)가 제1부재(710) 또는 제2부재(720)의 측면에 형성된 반원형 형상의 모서리에 결합되는 방법으로 제4도킹부재(670)가 제1부재(710) 또는 제2부재(720)에 설치되고, 제4결합돌기(671)가 제4도킹부재(670)의 상면 중앙에 1개와 상면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2개가 돌출된 경우 제4결합돌기(671)가 제1부재(710) 또는 제2부재(720)의 제5결합공(712)과 반원형 형상의 모서리에 2중으로 결합되는 방법으로 제4도킹부재(670)가 제1부재(710) 또는 제2부재(720)에 설치될 수 있다. 제4결합돌기(671)가 제5결합공(712)과 하나로만 결합이 될 경우 제4도킹부재(670)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고정이 되지 않고 회전이 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2중 결합으로 정위치에 고정이 잘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상기 몸체(110), 상기 제1부재(710) 또는 상기 제2부재(720) 중 어느 하나의 구성 일측에 자석이 형성되어 있어 금속재질의 악세사리를 더욱 쉽게 부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24는 본원발명인 고정용 기구의 제9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원발명인 장신구 고정용 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옷, 가방, 신체부위에 장신구를 부착하는 기구에 있어서, 옷핀, 머리핀, 넥타이핀, 귀걸이, 집게, 클립 을 형성하는 것으로 양측에는 반원형 형상의 모서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하면 일측을 관통하는 제1결합공(112')으로 이루어진 몸체(110')와, 상면 일측에 제1결합돌기(601')가 돌출되어 있는 제1도킹부재(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제1결합돌기(601')가 제1도킹부재(600')의 상면 중앙에 1개가 돌출된 경우 제1결합돌기(601')가 제1결합공(112')에 삽입되는 방법으로 제1도킹부재(600')가 상기 몸체(110')에 설치되고, 제1결합돌기(601')가 제1도킹부재(600')의 상면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2개가 돌출된 경우 제1결합돌기(601')가 몸체(110')의 측면에 형성된 반원형 형상의 모서리에 결합되는 방법으로 제1도킹부재(600')가 몸체(110')에 설치되고, 제1결합돌기(601')가 제1도킹부재(600')의 상면 중앙에 1개와 상면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2개가 돌출된 경우 제1결합돌기(601')가 몸체(110')의 제1결합공(112')과 반원형 형상의 모서리에 2중으로 결합되는 방법으로 제1도킹부재(600')가 몸체(1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몸체(110')에 제1결합공(112')을 형성하고 제1도킹부재(600')에 제1결합돌기(601')를 형성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제1도킹부재(600')에 결합공을 형성하고 몸체(110')에 결합돌기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고정용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10 : 고정용 기구
20 : 장신구 21 : 고정부재
100 : 바디부
110, 110' : 몸체
111 : 제1결합홈 112, 112' : 제1결합공
120 : 걸림턱 130 : 보조몸체
140 : 제1고정홈 141 : 지지블럭
150 : 제1고리부재 151 : 고정돌기
200 : 핀고정부
210 : 체결홈 220 : 회전홈
300 : 제1루프버튼부 310 : 제2고정홈
350 : 제2루프버튼부
400 : 제1탄성체
500 : 제1핀부재
600, 600' : 제1도킹부재 601, 601' : 제1결합돌기
630 : 제2도킹부재
631 : 고리구멍 632 : 제2결합돌기
650 : 제3도킹부재 651 : 제3결합돌기
670 : 제4도킹부재 671 : 제4결합돌기
700 : 제2핀부재
710 : 제1부재
711 : 제3결합공 712 : 제5결합공
720 : 제2부재 721 : 제4결합공
722 : 제2몸체 723 : 핀
730 : 제2고리부재
800 : 제2탄성체

Claims (11)

  1. 옷, 가방, 신체부위에 장신구를 부착하는 기구에 있어서,
    제1부재(710)와 일단이 상기 제1부재(710)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2부재(720)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부재(710)와 상기 제2부재(720)의 타단이 서로 맞물려 있는 제2핀부재(700); 및,
    상기 제1부재(710)와 상기 제2부재(720)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되고 자체 탄성력으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루프 구조를 갖는 제2루프버튼부(350)로 구성되되,
    상기 제2루프버튼부(350)는 양측면 방향으로 가압되는 힘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제1부재(710)와 상기 제2부재(720)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힘이 전달되고, 이 힘에 의해 상기 제1부재(710)와 상기 제2부재(720)가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외곽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고정용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720)는
    일단이 상기 제1부재(710)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2몸체(722)와 일단이 상기 제2몸체(722)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부재(710)의 타단과 맞물리는 핀(72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고정용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면 일측에 제3결합돌기(651)가 돌출되어 있는 제3도킹부재(6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3도킹부재(650)의 상기 제3결합돌기(651)가 상기 제1부재(710) 또는 상기 제2부재(720)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고정용 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반원 형상의 고리 모양으로 일단이 상기 제1부재(710) 또는 상기 제2부재(72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고리부재(7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고정용 기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710)는 일단 일측에 뚫려 있는 제3결합공(711);
    상기 제2부재(720)는 일단 일측에 뚫려 있는 제4결합공(721); 및,
    일단이 상기 제3결합공(711)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제4결합공(721)에 삽입되어 상기 제2핀부재(700)에 설치되는 제2탄성체(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고정용 기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양단이 상기 제1부재(710)와 상기 제2부재(720)의 내측에 각각 결합되거나, 양단이 상기 제2루프버튼부(350)의 내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2탄성체(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고정용 기구.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710) 또는 상기 제2부재(720)의 상,하면 일측을 관통하는 것으로 관통공 주위에 선 모양으로 다수개가 절개되어 있거나, 또는 좁은 입구가 탄성으로 늘어나도록 생성되어 있는 제5결합공(71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고정용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면 일측에 제4결합돌기(671)가 돌출되어 있는 제4도킹부재(6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4결합돌기(671)가 상기 제4도킹부재(670)의 상면 중앙에 1개가 돌출된 경우 상기 제4결합돌기(671)가 상기 제5결합공(712)에 삽입되는 방법으로 상기 제4도킹부재(670)가 상기 제1부재(710) 또는 상기 제2부재(720)에 설치되고,
    상기 제4결합돌기(671)가 상기 제4도킹부재(670)의 상면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2개가 돌출된 경우 상기 제4결합돌기(671)가 상기 제1부재(710) 또는 상기 제2부재(720)의 측면에 형성된 반원형 형상의 모서리에 결합되는 방법으로 상기 제4도킹부재(670)가 상기 제1부재(710) 또는 상기 제2부재(720)에 설치되고,
    상기 제4결합돌기(671)가 상기 제4도킹부재(670)의 상면 중앙에 1개와 상면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2개가 돌출된 경우 상기 제4결합돌기(671)가 상기 제1부재(710) 또는 상기 제2부재(720)의 상기 제5결합공(712)과 반원형 형상의 모서리에 2중으로 결합되는 방법으로 상기 제4도킹부재(670)가 상기 제1부재(710) 또는 상기 제2부재(72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고정용 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710)와 상기 제2부재(720)의 타단에 실리콘재질의 부드러운 완충재가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고정용 기구.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710) 또는 상기 제2부재(720)의 일측에 자석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고정용 기구.
KR1020150008175A 2014-06-26 2015-01-16 장신구 고정용 기구 KR101558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175A KR101558126B1 (ko) 2015-01-16 2015-01-16 장신구 고정용 기구
PCT/KR2015/006500 WO2015199465A1 (ko) 2014-06-26 2015-06-25 장신구 고정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175A KR101558126B1 (ko) 2015-01-16 2015-01-16 장신구 고정용 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754A Division KR101507279B1 (ko) 2014-06-26 2014-06-26 장신구 고정용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8126B1 true KR101558126B1 (ko) 2015-10-06

Family

ID=54345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175A KR101558126B1 (ko) 2014-06-26 2015-01-16 장신구 고정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81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9358B2 (ja) 1999-03-12 2001-05-2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母材の加熱加工方法
US20080040899A1 (en) 2004-07-19 2008-02-21 Amee Philips Sdn Bhd Clip For Jeweller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9358B2 (ja) 1999-03-12 2001-05-2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母材の加熱加工方法
US20080040899A1 (en) 2004-07-19 2008-02-21 Amee Philips Sdn Bhd Clip For Jewelle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3307B2 (en) Clip
US20070044512A1 (en) Interchangeable jewellery insert and item for receiving the insert
TWI655918B (zh) 錶扣、使用該錶扣的錶帶及扣件
WO2015093492A1 (ja) 留め具
CN110973781B (zh) 饰品用紧固部件、饰品用紧固件以及饰品
CN112118762A (zh) 平面手镯夹扣
US9861167B2 (en) Ornament holder
TWI517941B (zh) 飾品扣件之解扣具
KR101507279B1 (ko) 장신구 고정용 기구
US1922594A (en) Ring for attaching articles to clothing
KR101558126B1 (ko) 장신구 고정용 기구
KR101616686B1 (ko) 장신구 고정용 기구
JP5268892B2 (ja) 留め具
JP3211560U (ja) 留め具
KR101680244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US20220312907A1 (en) Jewelry and fashion apparatus
KR101557827B1 (ko) 탈착식 단추조립체
JPH09224724A (ja) 指 輪
WO2007022632A1 (en) Interchangeable jewellery insert and item for receiving the insert
US8201417B1 (en) Jewelry mount with safety catch
JP2020180403A (ja) 衣服用ベルト
WO2007119979A1 (en) Binding tool
KR101607818B1 (ko) 고리 및 그 제조방법
JP3206841U (ja) ピンズ回動防止具
JP3050501U (ja) 紐、バンド用止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