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748B1 -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 - Google Patents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748B1
KR101557748B1 KR1020140009432A KR20140009432A KR101557748B1 KR 101557748 B1 KR101557748 B1 KR 101557748B1 KR 1020140009432 A KR1020140009432 A KR 1020140009432A KR 20140009432 A KR20140009432 A KR 20140009432A KR 101557748 B1 KR101557748 B1 KR 101557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centric
blades
rotation axis
mai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9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9165A (ko
Inventor
김천주
Original Assignee
디에치이앤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치이앤이 (주) filed Critical 디에치이앤이 (주)
Priority to KR1020140009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748B1/ko
Publication of KR20150089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최대 효율로 전력을 안정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가 개시된다. 이러한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는 복수의 블레이드들, 메인 회전모듈, 발전 모듈 및 회전 피치각 변경모듈을 포함한다. 블레이드들은 메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각각이 메인 회전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메인 회전모듈은 외부의 풍력에 의해 블레이드들이 상기 원주를 따라 이동하여 메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발전 모듈은 메인 회전모듈의 회전 동력에 의해 전력을 생성한다. 회전 피치각 변경모듈은 메인축 몸체부, 편심축 몸체부 및 회전 피치각 변경부를 포함한다. 메인축 몸체부는 메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다. 편심축 몸체부는 메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메인축 몸체부과 연결되고, 메인 회전축과 평행하되 메인 회전축에서 편심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편심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다. 회전 피치각 변경부는 편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편심축 몸체부와 연결되고, 블레이드들이 상기 원주를 따라 이동할 때, 편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블레이드 회전 피치각을 변경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VERTICAL AXIS WIND TURBINE}
본 발명은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레이드의 회전 피치각을 변경할 수 있는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풍력발전 장치는 풍차(windmill)라고 불리며, 이는 회전축을 통한 기계적인 힘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풍력발전 장치는 프로펠러 방식의 로터를 사용하는 수평축 풍력발전 장치(horizontal axis wind turbine)와 블레이드가 회전축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vertical axis wind turbine)로 구별된다.
한편,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는 바람의 양력을 이용하는 다리우스(Darrius) 방식과, 바람의 항력을 이용하는 사보니우스(Savonius) 방식으로 구별될 수 있다. 이때, 다리우스 방식의 경우에는 발전기의 출력이 약하고, 초기에 스스로 기동하지 못하여 보조적인 1회전 동력 장치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반면, 사보니우스 방식의 경우에는 바람의 항력을 이용하므로 회전속도가 바람의 속도보다는 높을 수 없어 회전축의 회전수에 제한을 받고, 이로 인해 회전수가 낮은 풍력 동력기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의 약점인 낮은 효율 등을 극복하기 위해서 최근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블레이드의 설계, 구조, 조립방식 등을 개선하거나, 지지 구조물 및 블레이드를 부착하는 방식을 개선하기도 하며, 블레이드의 피치각 제어 시스템을 개선하여 블레이드의 각속도를 일정하게 하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특히, 블레이드 피치각 제어을 통해 블레이드의 각속도를 일정하게 하는 방식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 미국 등록특허(US 4,299,537)와 한국 등록특허(KR 0490683) 등을 들 수 있다.
우선, 미국 등록특허(US 4,299,537)에는, 풍속에 따라 스프링의 휘어지는 정도가 변경되어 블레이드의 회전 피치각이 조절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어서, 국내 등록특허(KR 0490683)에는, 풍속의 변화에 대응하여 회전체를 가이드 레일을 따라 병진 운동을 하여 블레이드의 회전 피치각을 변화시킴으로써 일정한 회전력을 얻을 수 있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미국 등록특허(US 4,299,537)에서의 구조는 스프링의 휘어짐을 통해 블레이드의 회전 피치각이 조절됨에 따라, 스프링의 불안정성, 내구성 등의 문제로 장기간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국내 등록특허(KR 0490683)에서의 구조는 풍속에 따라 회전체를 가이드 레일을 따라 병진 운동시킴에 따라, 병진 운동에 항시 구동력을 제공해야할 뿐만 아니라 과도한 풍속 변화로 인해 가이드 레일의 고장, 손상 및 파괴 등이 발생될 수 있어 장기간 구동시 안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최대 효율을 가지며 안정적으로 구동이 가능한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는 복수의 블레이드들, 메인 회전모듈, 발전 모듈 및 회전 피치각 변경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들은 메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각각이 상기 메인 회전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상기 메인 회전모듈은 상기 블레이드들과 각각 연결되고, 외부의 풍력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들이 상기 원주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메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발전 모듈은 상기 메인 회전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메인 회전모듈의 회전 동력에 의해 전력을 생성한다. 상기 회전 피치각 변경모듈은 상기 블레이드들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들이 상기 원주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블레이드들 각각을 상기 메인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종단면에서의 장축 방향 및 상기 원주 상에 형성되는 접선 방향 사이의 각(이하, 블레이드 회전 피치각)을 변경시킨다.
상기 회전 피치각 변경모듈은 메인축 몸체부, 편심축 몸체부 및 회전 피치각 변경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축 몸체부는 상기 메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다. 상기 편심축 몸체부는 상기 메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축 몸체부과 연결되고, 상기 메인 회전축과 평행하되 상기 메인 회전축에서 편심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편심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다. 상기 회전 피치각 변경부는 상기 편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편심축 몸체부와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들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블레이드들이 상기 원주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편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블레이드 회전 피치각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 피치각 변경부는 상기 메인축 몸체부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편심축 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편심 방향을 상기 메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편심축 몸체부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편심방향 제어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는 상기 편심방향 제어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편심 방향을 상기 메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편심방향 제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피치각 변경부는 상기 제어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편심 방향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 모듈로 제공하는 편심방향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편심방향 감지부에서 제공된 상기 편심 방향의 회전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편심방향 제어 구동부를 피드백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는 상기 제어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바람의 풍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 모듈로 제공하는 풍향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풍향 감지센서에서 제공된 상기 바람의 풍향을 이용하여 상기 편심 방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편심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편심방향 제어 구동부를 피드백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들은 상기 편심 방향이 상기 바람의 풍향과 일치할 때, 최대의 평균토크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는 상기 제어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바람의 풍속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 모듈로 제공하는 풍속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풍속 감지센서에서 제공된 상기 바람의 풍속이 기준 풍속 이상이라고 판단될 때, 상기 편심 방향이 상기 바람의 풍향에 대해 상기 블레이드들의 회전 방향으로 기준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편심방향 제어 구동부를 피드백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들은 상기 기준각이 90도일 때, 최소의 평균토크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편심방향 감지부는 방향마크 원판 및 적어도 하나의 방향마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마크 원판은 상기 메인축 몸체부 및 상기 편심축 몸체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심원 상에 복수의 방향 마크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향마크 센서는 상기 제어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축 몸체부 및 상기 편심축 몸체부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편심축 몸체부가 상기 메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방향 마크들을 센싱하여 상기 제어 모듈로 제공한다.
상기 메인 회전모듈은 메인 회전축부, 상부 연결부 및 하부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회전축부는 상기 메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연결부는 상기 메인 회전축부의 상단과 연결된 상부 연결몸체, 및 상기 상부 연결몸체와 상기 블레이드들 각각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상부 연결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연결부는 상기 메인 회전축부의 하단과 연결된 하부 연결몸체, 및 상기 하부 연결몸체와 상기 블레이드들 각각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하부 연결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전 모듈은 상기 하부 연결몸체 및 상기 회전 피치각 변경모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피치각 변경부는 편심 회전몸체 및 복수의 피치각 변경 연결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심 회전몸체는 상기 편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편심축 몸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피치각 변경 연결체들은 상기 하부 연결체들과 각각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편심 회전몸체와 상기 블레이드들 각각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블레이드들이 상기 원주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편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블레이드 회전 피치각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연결체들 및 상기 하부 연결체들은 상기 블레이드들 각각의 종단면에서의 무게 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피치각 변경 연결체들은 상기 블레이드들 각각의 종단면에서의 무게 중심에서 벗어나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에 따르면, 블레이드들이 메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회전 피치각 변경부가 상기 메인 회전축에서 편심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편심 회전축을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블레이드들 각각의 블레이드 회전 피치각을 변경시킴에 따라, 최대 효율로 전력을 생성하면서 장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바람의 풍속이 기준 풍속 이상이라고 판단될 때, 즉 상기 바람의 풍속이 과도하게 불어 발전장치가 파괴 또는 손상될 여지가 있을 때, 편심 방향이 상기 바람의 풍향에 대해 기준각, 예를 들어 90도로 유지되도록 하여 평균토크를 최소화함으로써 과풍속에도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를 메인 회전축 방향으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 중 메인 회전 모듈, 발전 모듈 및 회전 피치각 변경모듈 사이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회전 피치각 변경모듈을 메인 회전축과 평행하도록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를 메인 회전축에 수직하게 절단하여, 바람의 풍향과 편심 방향이 표시되도록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일부를 확대하여, 메인 회전축 및 편심 회전축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와 같은 편심 방향에서 회전 할 때, 회전 피치각의 변화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5와 같은 편심 방향에서 회전 할 때, 블레이드 각각에서의 토크 변화를 도시한 시뮬레이션 그래프이다.
도 9는 도 5와 다르게, 편심 방향이 바람의 풍향과 회전 방향으로 90도를 이룬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와 같은 편심 방향에서 회전 할 때, 블레이드 각각에서의 토크 변화를 도시한 시뮬레이션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를 메인 회전축 방향으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는 복수의 블레이드들(100), 메인 회전모듈(200), 발전 모듈(300), 회전 피치각 변경모듈(400), 제어 모듈(500), 풍향 감지센서(600) 및 풍속 감지센서(7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들(100)은 메인 회전축(A1)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예를 들어, 3개의 블레이드들(100)이 메인 회전축(A1)을 중심으로 120도마다 하나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들(100) 각각은 상기 메인 회전축(A1)과 평행하게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상기 블레이드들(100) 각각을 상기 메인 회전축(A1)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종단면은 장축 방향으로 대칭이 되는 익형, 즉 날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축 방향은 상기 종단면의 앞단 및 뒷단을 연결하며, 상기 종단면의 무게 중심을 지나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메인 회전모듈(200)은 상기 블레이드들(100)과 각각 연결되고, 외부의 풍력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들(100)이 상기 원주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메인 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회전모듈(200)은 메인 회전축부(210), 상부 연결부(220) 및 하부 연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회전축부(210)는 상기 메인 회전축(A1)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메인 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연결부(220)는 상기 메인 회전축부(210)의 상단과 연결된 상부 연결몸체(222), 및 상기 상부 연결몸체(222)와 상기 블레이드들(100) 각각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상부 연결체들(2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연결부(230)는 상기 메인 회전축부(210)의 하단과 연결된 하부 연결몸체(232), 및 상기 하부 연결몸체(232)와 상기 블레이드들(100) 각각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하부 연결체들(23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연결체들(224) 및 상기 하부 연결체들(232)은 상기 블레이드들(100) 각각의 종단면에서의 무게 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회전모듈(200)은 상부 결합부(240) 및 하부 결합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결합부(240)는 상기 메인 회전축부(A1)의 상단을 상기 상부 연결몸체(222)에 결합시켜 고정시킨다. 상기 하부 결합부(250)는 상기 메인 회전축부(210)의 하단을 상기 하부 연결몸체(232)에 결합시켜 고정시킨다.
상기 발전 모듈(300)은 상기 메인 회전모듈(200)과 연결되고, 상기 메인 회전모듈(200)의 회전 동력에 의해 전력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전 모듈(300)은 상기 하부 연결몸체(232)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연결몸체(232)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전 모듈(300)은 상기 하부 연결몸체(232)의 회전 동력에 의해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 피치각 변경모듈(400)은 상기 블레이드들(100)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들(100)이 상기 원주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블레이드들 각각의 장축 방향 및 상기 원주 상에 형성되는 접선 방향 사이의 각(이하, 블레이드 회전 피치각)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피치각 변경모듈(400)은 상기 발전 모듈(300)의 하부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피치각 변경모듈(400)은 상기 메인 회전축(A1)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된 베이스 지지부(10)의 상단과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500)은 상기 발전 모듈(300) 및 상기 회전 피치각 변경모듈(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 모듈(500)는 상기 발전 모듈(300)에서 발생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되거나, 자체 내장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자체 내장 배터리는 상기 발전 모듈(300)에서 제공된 전력에 의해 충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모듈(500)은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모듈(500)은 상기 메인 회전축부(210)에 내장 또는 부착되거나, 상기 베이스 지지부(10)에 내장 또는 부착될 수 있으며, 아니면 상기 베이스 지지부(10)의 옆 땅 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풍향 감지센서(600)은 상기 제어 모듈(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바람의 풍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 모듈(50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풍속 감지센서(700)은 상기 제어 모듈(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바람의 풍속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 모듈(50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풍향 감지센서(600) 및 상기 풍속 감지센서(600)은 바람의 풍향 및 풍속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풍향 감지센서(600) 및 상기 풍속 감지센서(600)는 지지 연결부(20)에 의해 상기 베이스 지지부(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상기 회전 피치각 변경모듈(400)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도 1의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 중 메인 회전 모듈, 발전 모듈 및 회전 피치각 변경모듈 사이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회전 피치각 변경모듈을 메인 회전축과 평행하도록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를 메인 회전축에 수직하게 절단하여, 바람의 풍향과 편심 방향이 표시되도록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일부를 확대하여, 메인 회전축 및 편심 회전축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 피치각 변경모듈(400)은 메인축 몸체부(410), 편심축 몸체부(420), 회전 피치각 변경부(430), 편심방향 제어 구동부(440) 및 편심방향 감지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축 몸체부(410)는 상기 메인 회전축(A1)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편심축 몸체부(420)는 상기 메인 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축 몸체부(410)과 연결되고, 상기 메인 회전축(A1)과 평행하되 상기 메인 회전축(A1)에서 편심 방향(E)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편심 회전축(A2)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회전 피치각 변경부(430)는 상기 편심 회전축(A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편심축 몸체부(42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회전 피치각 변경부(430)는 상기 블레이드들(100)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들(100)이 상기 원주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편심 회전축(A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블레이드 회전 피치각을 변경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피치각 변경부(430)는 편심 회전몸체(432) 및 복수의 피치각 변경 연결체들(4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심 회전몸체(432)는 상기 편심 회전축(A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편심축 몸체부(4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피치각 변경 연결체들(434)은 상기 하부 연결체들(234)과 각각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편심 회전몸체(432)와 상기 블레이드들(100) 각각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블레이드들(100)이 상기 원주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편심 회전축(A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블레이드 회전 피치각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피치각 변경 연결체들(434)은 상기 블레이드들(100) 각각의 종단면에서의 무게 중심에서 벗어나 위치, 예를 들어 상기 종단면에서의 무게 중심 및 뒷단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게 중심은 상기 종단면의 앞단에서 상기 종단면에서의 장축 방향으로의 총 길이의 1/4만큼 이격된 곳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피치각 변경 연결체들(434)의 연결 위치는 상기 종단면의 뒷단에서 상기 종단면에서의 장축 방향으로의 총 길이의 1/4만큼 이격된 곳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편심방향 제어 구동부(440)는 상기 메인축 몸체부(410)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편심축 몸체부(420)와 연결되어 상기 편심 방향(E)을 상기 메인 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편심축 몸체부(42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편심방향 제어 구동부(440)는 상기 편심축 몸체부(42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동 모터 및 동력 제공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모듈(500)은 상기 편심방향 제어 구동부(4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편심 방향(E)을 상기 메인 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편심방향 제어 구동부(44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편심방향 감지부(450)는 상기 제어 모듈(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편심 방향(E)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 모듈(5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모듈(500)은 상기 편심방향 감지부(450)에서 제공된 상기 편심 방향(E)의 회전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편심방향 제어 구동부(440)를 피드백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편심방향 감지부(450)는 방향마크 원판(452) 및 적어도 하나의 방향마크 센서(4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마크 원판(452)은 상기 메인축 몸체부(410) 및 상기 편심축 몸체부(4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 회전축(A1)을 중심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심원 상에 복수의 방향 마크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향마크 센서(454)는 상기 제어 모듈(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축 몸체부(410) 및 상기 편심축 몸체부(420)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편심축 몸체부(420)가 상기 메인 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방향 마크들을 센싱하여 상기 제어 모듈(5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상기 방향마크 원판(452)은 상기 메인축 몸체부(410)에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방향마크 센서(454)는 상기 편심축 몸체부(420)에 결합되며 회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상기 방향 마크들은 원판에 형성된 구멍들일 수 있고, 상기 방향마크 센서(454)는 출사되어 상기 구멍들을 통과한 광을 센싱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 마크들은 세 개의 동심원 상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대응하여 상기 방향마크 센서(454)도 3개가 배치되어 회전 각도, 회전 방향 및 기준점 등을 센싱하여 상기 제어 모듈(5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전 피치각 변경모듈(400)은 상기 메인축 몸체부(410)를 상기 베이스 지지부(10)의 상단에 결합시킬 수 있는 메인축 결합부(4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축 결합부(460)는 상기 메인축 몸체부(41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베이스 지지부(10)의 상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모듈(500)은 상기 편심방향 감지부(450)에서 제공된 상기 편심 방향(E)의 회전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편심방향 제어 구동부(440)를 피드백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500)은 상기 풍향 감지센서(600)에서 제공된 상기 바람의 풍향을 이용하여 상기 편심 방향(E)을 결정하고, 결정된 편심 방향(E)에 위치하도록 상기 편심방향 제어 구동부(440)를 피드백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500)은 상기 풍속 감지센서(600)에서 제공된 상기 바람의 풍속이 기준 풍속 이상이라고 판단될 때, 상기 편심 방향(E)이 상기 바람의 풍향에 대해 상기 블레이드들(100)의 회전 방향으로 기준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편심방향 제어 구동부(440)를 피드백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와 같은 편심 방향에서 회전 할 때, 회전 피치각의 변화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블레이드 회전 피치각은 상기 블레이드들(100)이 회전함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동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편심 방향(E)이 상기 바람의 풍향(W)과 일치한다고 할 때, 상기 블레이드 회전 피치각은 상기 바람의 풍향(W)과 마주하는 위치인 0도의 위치에서 양의 최대 회전 피치각(θM1)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바람의 풍향(W)과 대향하는 위치인 180도의 위치에서 음의 최대 회전 피치각(θM2)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회전축(A1) 및 상기 편심 회전축(A2) 사이의 간격이 약 43mm이고, 상기 상부 연결체들(224) 및 상기 하부 연결체들(232)의 길이가 약 1.5m일 때, 양의 최대 회전 피치각(θM1)은 약 17.397도이고, 음의 최대 회전 피치각은 약 -10.911도 일 수 있다.
도 8은 도 5와 같은 편심 방향에서 회전 할 때, 블레이드 각각에서의 토크 변화를 도시한 시뮬레이션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블레이드들(100)은 상기 편심 방향(E)이 상기 바람의 풍향(W)과 일치할 때, 최대의 평균토크, 예를 들어 약 10 Nm가 발생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발전 모듈(300)에서 최대 효율로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편심 방향(E)이 상기 바람의 풍향(W)과 일치한다고 할 때, 최대 효율의 전력이 발생되므로, 상기 제어 모듈(400)은 상기 풍향 감지센서(600)에서 감지된 상기 바람의 풍향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상기 편심 방향(E)이 상기 바람의 풍향(W)과 일치하도록 상기 편심방향 제어 구동부(4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도 5와 다르게, 편심 방향이 바람의 풍향과 회전 방향으로 90도를 이룬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와 같은 편심 방향에서 회전 할 때, 블레이드 각각에서의 토크 변화를 도시한 시뮬레이션 그래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블레이드들(100)은 상기 편심 방향(E)이 상기 바람의 풍향(W)와 회전 방향으로 상기 기준각, 예를 들어 90도의 각을 이룰 때, 최소의 평균토크, 예를 들어 약 0 Nm가 발생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블레이드들(100)의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편심 방향(E)이 상기 바람의 풍향(W)와 회전 방향으로 90도의 각을 이룰 때, 상기 블레이드들(100)의 회전이 정지되므로, 상기 제어 모듈(400)은 상기 풍속 감지센서(700)에서 감지된 상기 바람의 풍속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기준 풍속 이상이라고 판단될 때, 상기 편심 방향(E)이 상기 바람의 풍향(W)에 대해 90도의 각을 이루도록 상기 편심방향 제어 구동부(4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레이드들(100)이 상기 메인 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회전 피치각 변경부(430)가 상기 메인 회전축(A1)에서 이격된 상기 편심 회전축(A2)을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블레이드들(100) 각각의 블레이드 회전 피치각을 변경시킴에 따라, 최대 효율로 전력을 생성하면서 장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바람의 풍속이 기준 풍속 이상이라고 판단될 때, 즉 상기 바람의 풍속이 과도하게 불어 발전장치, 예를 들어 발전기 또는 인버터 등이 파괴 또는 손상될 여지가 있을 때, 상기 편심 방향(E)이 상기 바람의 풍향(W)에 대해 기준각, 예를 들어 90도로 유지되도록 하여 평균토크를 최소화함으로써 별도의 브레이크 장치없이 안정적으로 블레이드들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폭풍과 같은 과풍속에도 고장없이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베이스 지지부 20 : 지지 연결부
100 : 블레이드 200 : 메인 회전 모듈
210 : 메인 회전축부 220 : 상부 연결부
222 : 상부 연결몸체 224 : 상부 연결체
230 : 하부 연결부 232 : 하부 연결몸체
234 : 하부 연결체 240 : 상부 결합부
250 : 하부 결합부 300 : 발전 모듈
400 : 회전 피치각 변경모듈 410 : 메인축 몸체부
420 : 편심축 몸체부 430 : 회전 피치각 변경부
432 : 편심 회전몸체 434 : 피치각 변경 연결체
440 : 편심방향 제어 구동부 450 : 편심방향 감지부
452 : 방향마크 원판 454 : 방향마크 센서
500 : 제어 모듈 600 : 풍향 감지센서
700 : 풍속 감지센서 A1 : 메인 회전축
A2 : 편심 회전축 W : 바람의 풍향
E : 편심 방향

Claims (12)

  1. 메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각각이 상기 메인 회전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형상을 갖는 복수의 블레이드들;
    상기 블레이드들과 각각 연결되고, 외부의 풍력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들이 상기 원주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메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메인 회전모듈;
    상기 메인 회전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메인 회전모듈의 회전 동력에 의해 전력을 생성하는 발전 모듈;
    상기 블레이드들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들이 상기 원주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블레이드들 각각을 상기 메인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종단면에서의 장축 방향 및 상기 원주 상에 형성되는 접선 방향 사이의 각(이하, 블레이드 회전 피치각)을 변경시키는 회전 피치각 변경모듈; 및
    상기 회전 피치각 변경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 피치각 변경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피치각 변경모듈은
    상기 메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메인축 몸체부;
    상기 메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축 몸체부과 연결되고, 상기 메인 회전축과 평행하되 상기 메인 회전축에서 편심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편심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편심축 몸체부;
    상기 편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편심축 몸체부와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들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블레이드들이 상기 원주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편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블레이드 회전 피치각을 변경시킬 수 있는 회전 피치각 변경부;
    상기 제어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축 몸체부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편심축 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편심 방향을 상기 메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편심축 몸체부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편심방향 제어 구동부; 및
    상기 제어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편심 방향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 모듈로 제공하는 편심방향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편심 방향을 상기 메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편심방향 제어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편심방향 감지부에서 제공된 상기 편심 방향의 회전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편심방향 제어 구동부를 피드백 제어하며,
    상기 편심방향 감지부는
    상기 메인축 몸체부 및 상기 편심축 몸체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심원 상에 복수의 방향 마크들이 형성되어 있는 방향마크 원판; 및
    상기 제어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축 몸체부 및 상기 편심축 몸체부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편심축 몸체부가 상기 메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방향 마크들을 센싱하여 상기 제어 모듈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마크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바람의 풍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 모듈로 제공하는 풍향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풍향 감지센서에서 제공된 상기 바람의 풍향을 이용하여 상기 편심 방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편심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편심방향 제어 구동부를 피드백 제어하는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들은
    상기 편심 방향이 상기 바람의 풍향과 일치할 때, 최대의 평균토크가 발생되는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바람의 풍속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 모듈로 제공하는 풍속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풍속 감지센서에서 제공된 상기 바람의 풍속이 기준 풍속 이상이라고 판단될 때, 상기 편심 방향이 상기 바람의 풍향에 대해 상기 블레이드들의 회전 방향으로 기준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편심방향 제어 구동부를 피드백 제어하는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들은
    상기 기준각이 90도일 때, 최소의 평균토크가 발생되는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회전모듈은
    상기 메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메인 회전축부;
    상기 메인 회전축부의 상단과 연결된 상부 연결몸체, 및 상기 상부 연결몸체와 상기 블레이드들 각각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상부 연결체들을 포함하는 상부 연결부; 및
    상기 메인 회전축부의 하단과 연결된 하부 연결몸체, 및 상기 하부 연결몸체와 상기 블레이드들 각각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하부 연결체들을 포함하는 하부 연결부를 포함하는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 모듈은
    상기 하부 연결몸체 및 상기 회전 피치각 변경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피치각 변경부는
    상기 편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편심축 몸체부와 연결되는 편심 회전몸체; 및
    상기 하부 연결체들과 각각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편심 회전몸체와 상기 블레이드들 각각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블레이드들이 상기 원주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편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블레이드 회전 피치각을 변경시킬 수 있는 복수의 피치각 변경 연결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연결체들 및 상기 하부 연결체들은 상기 블레이드들 각각의 종단면에서의 무게 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피치각 변경 연결체들은 상기 블레이드들 각각의 종단면에서의 무게 중심에서 벗어나 위치에 연결되는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
KR1020140009432A 2014-01-27 2014-01-27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 KR101557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432A KR101557748B1 (ko) 2014-01-27 2014-01-27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432A KR101557748B1 (ko) 2014-01-27 2014-01-27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165A KR20150089165A (ko) 2015-08-05
KR101557748B1 true KR101557748B1 (ko) 2015-10-06

Family

ID=53885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432A KR101557748B1 (ko) 2014-01-27 2014-01-27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7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030B1 (ko) 2018-06-18 2019-05-10 박성준 손상 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60685A (zh) * 2016-05-30 2017-04-12 中国石油大学(华东) 一种针对于垂直轴风力发电机的翼型动态气动特性试验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5994A (ja) 2008-03-11 2009-09-24 Betsukawa Seisakusho:Kk 風力発電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5994A (ja) 2008-03-11 2009-09-24 Betsukawa Seisakusho:Kk 風力発電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030B1 (ko) 2018-06-18 2019-05-10 박성준 손상 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165A (ko)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56024T3 (es) Sistema y procedimiento para control adaptativo de desequilibrio de rotor
CN104884792B (zh) 垂直轴涡轮机
ES2940285T3 (es) Sistemas y procedimientos para ensamblar un conjunto de pitch para su uso en una turbina eólica
CY1111258T1 (el) Ανεμογεννητρια
KR101557748B1 (ko)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
KR102245359B1 (ko)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점검용 드론
JP4658768B2 (ja) 回転翼及びこの回転翼を使用した発電装置
ES2928626T3 (es) Sistema y procedimiento para reducir cargas de turbina eólica orientando la góndola a una posición predeterminada en base al desequilibrio del rotor
CN104131952A (zh) 一种垂直轴风力发电机
US9631604B2 (en) System for producing electrical energy
JP2007332917A (ja) ハイブリッド発電装置
CN104088754A (zh) 一种垂直轴风力发电机
CN104134868B (zh) 一种二维旋转伺服机构
KR101515377B1 (ko)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
KR101554307B1 (ko) 가변식 수직축 풍력발전기
EP3434896B1 (en) Wind turbine including sensor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KR101627665B1 (ko) 풍력 발전기용 블레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KR101473664B1 (ko) 비회전 구조체를 이용한 풍력 발전기의 풍향풍속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나셀 제어시스템
KR20110076541A (ko) 풍력 발전이 가능한 환풍 장치
KR101587725B1 (ko) 수직 축 풍력 발전기
JP4269040B2 (ja) 風力発電装置
KR101650544B1 (ko) 수직축 풍력 발전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회전체
CN218788239U (zh) 风力发电模拟装置
KR101935443B1 (ko) 풍력발전기
KR101588676B1 (ko) 허브 풀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