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259B1 -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 - Google Patents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259B1
KR101556259B1 KR1020130124560A KR20130124560A KR101556259B1 KR 101556259 B1 KR101556259 B1 KR 101556259B1 KR 1020130124560 A KR1020130124560 A KR 1020130124560A KR 20130124560 A KR20130124560 A KR 20130124560A KR 101556259 B1 KR101556259 B1 KR 101556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nkle
membrane
corrugation
liquefied gas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4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5189A (ko
Inventor
전상언
김대중
박동희
이남식
이재훈
임승범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4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259B1/ko
Publication of KR20150045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주름부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은 서로 다른 방향의 복수의 주름부가 교차부를 형성하고, 교차부는 주름부와 연결되는 연결단부와 연결단부를 곡면으로 연결하는 연결곡부를 포함하고, 연결단부와 주름부가 연결되는 제1연결부에는 주름부의 길이방향으로 골 또는 릿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MEMBRANE OF CARGO FOR LIQUEFIED GAS}
본 발명은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름부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에 관한 것이다.
액화가스는 메탄(methane)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가스를 -162°C로 냉각해 그 부피를 6백분의 1로 줄인 무색 투명한 초저온 액체를 말한다.
이러한 액화가스가 에너지 자원으로 사용됨에 따라 이 가스를 에너지로 이용하기 위해서 생산기지로부터 수요지의 인수지까지 대량으로 수송할 수 있는 효율적인 운송 방안이 검토되어 왔으며,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대량의 액화가스를 해상으로 수송할 수 있는 액화가스 수송선박이 개발되었다.
그런데, 액화가스 수송선박에는 초저온상태로 액화시킨 액화가스를 보관 및 저장할 수 있는 화물창(Cargo)이 구비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화물창에 요구되는 조건이 매우 까다로워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즉, 액화가스는 대기압 보다 높은 증기압을 가지며, 대략 -162°C 정도의 비등 온도를 갖기 때문에, 이러한 액화가스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저장하기 위해서는 이를 저장하는 화물창은 초저온에 견딜 수 있는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강, 스테인리스강, 35% 니켈강 등으로 제작되어야 하며, 기타 열응력 및 열수축에 강하고, 열침입을 막을 수 있는 독특한 단열패널 구조로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액화가스 수송선박의 화물창은 그 구조에 따라 독립형(self-supporting) 방식과 멤브레인(membrane)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액화가스가 단열패널 내부에 누설되는 경우 온도 증가에 따른 급격한 체적 팽창으로 인하여 화물창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화물창 내부의 액화가스를 밀폐하기 위해 2단의 멤브레인 방벽(1차 방벽 및 2차 방벽)을 구비한다.
액화가스 화물창은 복수의 방벽시트가 결합되어 멤브레인 방벽을 형성하는데 이들 방벽들은 극저온의 액화가스에 의하여 열수축이 발생하고, 열수축 발생 시 용접 부위가 열응력을 받아 파손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방벽들은 낮은 면강성(In-plane Stiffness)을 갖기 위해 주름부(corrugation)를 갖는다. 주름부는 열수축 발생 시 일정량 변형됨으로써 용접 부위에서의 열응력을 줄여준다.
그러나 종래의 멤브레인은 열응력에 의한 피로가 누적되면서 피로파괴가 보고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0547986호에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용 리브형 멤브레인 제작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0547986호(2006.01.24.)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열응력에 대한 피로수명을 개선하는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용접 부위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다른 방향의 복수의 주름부가 교차부를 형성하는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에 있어서, 상기 교차부는, 상기 주름부와 연결되는 연결단부와 상기 연결단부를 곡면으로 연결하는 연결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단부와 상기 주름부가 연결되는 제1연결부에는 상기 주름부의 길이방향으로 골 또는 릿지를 구비하는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주름부는 마루의 높이가 상이하거나 폭방향 길이가 상이한 대주름부와 소주름부, 그리고 상기 대주름부와 상기 소주름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주름부의 길이방향 골은 두 개 이상이 연속적으로 마련되어 릿지를 형성하거나, 상기 주름부의 길이방향 릿지는 두 개 이상이 연속적으로 마련되어 골을 형성하는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은 복수의 시트를 용접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되는 시트는 상기 대주름부를 서로 용접하는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대주름부보다 상기 소주름부가 상기 교차부에 더 가까운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대주름부는 폭방향으로, 가장자리부, 마루부, 상기 가장자리부와 상기 마루부를 연결하는 제3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루부는 양의 곡률반경을, 상기 가장자리부는 음의 곡률반경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마루부와 상기 가장자리부에 공통접선을 이루는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마루부의 곡률반경과 상기 가장자리부의 곡률반경은 서로 동일한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은 교차부에 연결곡부를 포함하고, 연결단부 근방에 주름부의 폭방향 코러게이션을 구비함으로써 열응력에 취약한 교차부의 피로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용접부위 주름부의 형상을 개선하여 용접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용접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교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연속적인 골을 나타내는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연속적인 릿지를 나타내는 B-B 단면도이다.
도 6은 대주름부와 소주름부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C-C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대주름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대주름부의 곡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소주름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액화가스 수송선박의 화물창은 액화가스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둘러싸며 액화가스와 직접 맞닿는 주방벽, 주방벽을 둘러싸며 액화가스를 외부로부터 단열하는 단열패널 구조체, 및 단열패널 구조체를 둘러싸는 외벽을 포함한다. 또한, 단열패널 구조체는 상부 단열패널 구조체와 하부 단열패널 구조체의 2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부 단열패널 구조체와 하부 단열패널 구조체 사이에는 보조 방벽이 설치될 수 있다.
주방벽 또는 보조방벽은 신축성 있는 금속 재질로, 멤브레인(Membrane)으로 통용된다. 멤브레인은 단열패널 구조체를 액화가스로부터 기밀하게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시트가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어 단열패널 구조체를 액화가스로부터 차단시킨다. 멤브레인은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SUS(Stainless Steel)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은 주방벽과 보조방벽을 포함한다. 주방벽이 액화가스와 직접적으로 접촉한다는 점에서 상부 단열패널에 의해 단열되어 있는 보조방벽 보다는 열응력 누적에 의한 피로파괴 위험이 더 크지만, 주방벽과 보조방벽 모두 열변형에 의한 열응력이 누적된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멤브레인은 다수의 시트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결합방법으로 용접이 사용될 수 있다. 멤브레인은 기밀성을 유지하면서도 열변형에 의한 수축 또는 신장이 용이하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방향 주름부(1)와 제2방향 주름부(2), 그리고 두 방향의 주름부가 교차하는 교차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참조도면에는 수직하여 배치되는 두 방향의 주름부(1, 2)가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세 방향 이상의 주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세 방향의 주름부는 서로 60도의 각도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멤브레인은 액화가스의 온도 변화에 따라 열변형을 일으키고 주름부는 이러한 열변형을 수용하여 열응력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방향으로 발생하는 열변형은 제2방향 주름부(2)의 신축성에 의해 열응력이 해소될 수 있으며, 제2방향으로 발생하는 열변형은 제1방향 주름부(1)의 신축성에 의해 열응력이 해소될 수 있다. 그러나 교차부(10)에서는 주름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열변형의 여지가 적다. 따라서 열응력에 의한 피로파괴 현상이 나타나기 쉽다.
도 2는 도 1의 교차부(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교차부(10)는 주름부와 연결되는 연결단부(11) 및 연결단부(11)를 연결하는 연결곡부(12)를 포함한다. 교차부(10)와 주름부(1, 2)는 물리적인 경계에 의해서 나누어지는 것은 아니다. 편의상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늘어선 직선 형상의 주름을 주름부(1, 2)로, 상기 주름부(1, 2)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서로 다른 방향의 주름부가 수렴하는 부분을 교차부(10)로 구분한다.연결곡부(12)는 제1방향의 연결단부(11-1)와 제2방향의 연결단부(11-2)를 곡면으로 연결한다. 제1방향 주름부(1)는 제2방향으로 발생하는 열변형이 크지만, 제1방향으로도 열변형이 일어난다. 마찬가지로 제2방향 주름부(2) 역시 제2방향으로 열변형이 일어난다. 따라서 교차부(10)의 연결곡부(12)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열변형이 일어나고 이에 따라 열응력이 가장 많이 집중되게 된다.
또한, 단면형상이 급격히 변하는 곳에서는 응력집중(Stress Concentration)이 일어나서 피로파괴 되기 쉽다. 만일, 제1방향 주름부(1)와 제2방향 주름부(2)가 연결곡부(12)에 의해 연결되지 않고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연결되는 부분은 90도로 꺾인 급격한 불연속면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곡부(12)는 제1방향 주름부(1)의 단부와 제2방향 주름부(2)의 단부를 완만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은 교차부(10)와 주름부(1, 2)가 연결되는 제1연결부(13)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13)는 골(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부(13)는 물리적인 개념이 아니라 교차부(10)와 주름부(1, 2)가 연결되는 연결단부(11) 부근을 의미하는 개념이다. 앞에서 살핀 바와 같이 교차부(10)는 주름부(1, 2)에 비하여 열응력이 집중되기 쉽다. 따라서 이 열응력을 해소하여 피로수명을 연장시킬 필요가 있다.
도 3은 연속적인 골(35)을 나타내는 A-A 단면도이다. 멤브레인의 제1방향에 작용하는 열변형을 제2방향 주름부(2)가 흡수하는 것과 유사하게, 교차부(10)의 제2방향에 작용하는 열변형은 제2방향 주름부(2)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코러게이션(Corrugation, 35)이 흡수할 수 있다. 이 때 코러게이션(35)이 교차부(10)에 가까울수록 교차부(10)의 열응력을 해소하는 데 효과적이다. 이 때 연결단부(11-2)에서 교차부(10)의 중심으로 향하는 곳은 연결곡부(12)로 인해 외면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코러게이션을 형성하기 어렵다. 따라서 코러게이션(35)은 연결단부(11-2)에서 가까운 주름부(2)에 형성되는 것이 제작에 용이하다.
코러게이션(35)은 주름부(1, 2)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주름부(1, 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코러게이션(35)은 주름부(1, 2)의 원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러게이션은 골(35) 또는 릿지(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인 도 1과 도 3에는 코러게이션의 일 예로 골(Velley, 35)이 도시되어 있으며, 제2 실시예인 도 4와 도 5에는 코러게이션의 일 예로 릿지(Ridge, 36)가 도시되어 있다.
주름부(2)에 골(35)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면 골(35-1, 35-2) 사이에 릿지(35-3)가 형성될 수 있다. 주름부(2)에 형성되는 골(35) 또는 연속적인 골(35-1, 35-2)과 그 사이의 릿지(35-3)가 열변형에 의해 신축성을 가질 수 있게 됨으로써 제2방향으로 작용하는 열응력이 해소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연속적인 릿지(36)를 나타내는 B-B 단면도이다.
주름부(2)에 릿지(36)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면 릿지(36-1, 36-2) 사이에 골(36-3)이 형성될 수 있다. 주름부(2)에 형성되는 릿지(36) 또는 연속적인 릿지(36-1, 36-2)와 그 사이의 골(36-3)이 열변형에 의해 신축성을 가질 수 있게 됨으로써 제2방향으로 작용하는 열응력이 해소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른 코러게이션(35, 36)은 주름부(2)의 높이와 비교하여 더 낮은 골(35)이 형성되는지, 더 높은 릿지(36)가 형성되는지가 상이하다. 그러나 주름부(2)의 길이방향으로 열변형이 가능한 코러게이션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차이는 없다. 또한, 골(35) 또는 릿지(36)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골과 릿지가 교번적으로 나타난다는 점에서도 유시하다. 다만, 슬로싱(Sloshing) 충격에 대한 강성 또는 제작 용이성 등에서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도 6은 대주름부(20)와 소주름부(30)의 제2연결부(40)를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6의 C-C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제1방향 주름부(1)를 기준으로 하여 주름부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설정하였다. 이하 주름부의 설명은 제1방향 주름부(1)와 제2방향 주름부(2)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주름부(1)는 대주름부(20)와 소주름부(30)가 제2연결부(4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대주름부(20)와 소주름부(30)는 마루(주름부의 가장 높은 부분, 21, 31)의 높이(a1, a2)가 서로 상이할 수도 있고, 폭방향 길이(b1, b2)가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도 6과 도 7에는 대주름부(20)의 마루(21)의 높이(a1)와 폭방향 길이(b1)가 소주름부(30)의 마루(31)의 높이(a2)와 폭방향 길이(b2) 보다 모두 긴 형상을 도시하였다. 하지만 이와 달리 마루(21, 31)의 높이는 동일하지만 폭방향 길이만 상이한 경우, 폭방향 길이는 동일하지만 마루(21, 31)의 높이가 상이한 경우도 포함한다.
주름부가 열변형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서는 주름부의 곡률(Curvature)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같은 너비의 주름부를 비교할 때 곡률이 완만한 주름부 보다는 곡률이 큰 주름부가 열변형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열응력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주름부의 곡률이 큰 경우에는 시트와 시트를 연결하는 용접부에서 용접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멤브레인의 시트와 시트 사이의 용접은 로봇을 이용한 레이저용접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때 곡률이 큰 주름부는 용접품질이 떨어질 수 있으며 용접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용접품질을 향상시키고 용접 편의성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곡률을 작게 하는 한편 주름부의 단면 형상에 직선부를 최대한 많이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름부(1, 2)는 열응력이 상대적으로 많이 작용하는 교차부(10) 주위에는 곡률이 큰 소주름부(30)를, 교차부(10)로부터 멀리 떨어져 상대적으로 열응력이 작게 작용하며 용접부(4)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곡률이 작은 대주름부(20)를 마련한다. 소주름부(30)와 대주름부(20)의 연결은 제2연결부(40)에 의해 불연속면을 최소화한다.
도 8은 대주름부(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대주름부(20)의 곡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대주름부(20)는 폭방향으로 가장자리부(24), 마루부(22), 및 제3연결부(23)를 포함한다. 가장자리부(24)는 평면부(3)와 주름부(20)가 연결되는 부분을 지칭하고, 마루부(22)는 마루(21)를 포함하는 등성이를 지칭하고, 제3연결부(23)는 가장자리부(24)와 마루부(22)를 연결하는 중간면을 지칭한다. 이와 같은 구분은 물리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고 그 위치와 형상에 따라 구분된다.
가장자리부(24)는 음의 곡률반경(R1)을 가진다. 음의 곡률반경이란 곡률반경 중심(C1)이 멤브레인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곡률반경(R1)이 커질수록 평면부(3)와 가장자리부(24)의 곡률이 작아져 용접이 용이하다.
마루부(22)는 양의 곡률반경(R2)을 가진다. 양의 곡률반경이란 곡률반경 중심(C2)이 멤브레인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곡률반경(R2)이 커질수록 주름부 등성이의 곡률이 작아져 용접이 용이하다. 도 9에는 가장자리부(24)의 곡률반경(R1)과 마루부(22)의 곡률반경(R2)이 동일한 것을 도시하였다. 두 곡률반경(R1, R2)이 동일한 경우 제작의 편의성이 증대되지만 동일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
제3연결부(23)는 가장자리부(24)의 곡률중심(C1)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S1)과 마루부(22)의 곡률중심(C2)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S2)의 공통접선으로 이루어진다. 공통접선으로 하는 이유는 불연속점이 없도록 하여 응력이 불연속점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피로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공통접선으로 함으로써 가장자리부(24)에서 제3연결부(23)로 또는 마루부(22)에서 제3연결부(23)로 용접할 때 용접이 용이하여 제작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도 8과 도 9에서 대주름부(20)를 기준으로 하여 주름부의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구성은 소주름부(3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대주름부(20)는 용접의 편의성과 용접품질 향상을 우선으로 한다는 점, 소주름부(30)는 교차부(10)에 집중되는 열응력을 해소하는 것을 우선으로 한다는 점에서 그 형상이 상이하다.
도 10은 소주름부(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8과 도 10을 비교하여 대주름부(20)와 소주름부(30)의 차이점을 살펴보도록 한다.
소주름부(30)는 대주름부(20)와 비교할 때 제3연결부(33)가 차지하는 영역(b2)이 상대적으로 작다. 즉, 대주름부(20)는 가장자리부(24)가 차지하는 영역(a3)과 마루부(22)가 차지하는 영역(a1)과 비교할 때 제3연결부(33)가 차지하는 영역(b2)이 작지 않다. 절대적인 비의 크기가 중요한 것은 아니지만, 대주름부(20)와 비교할 때, 소주름부(30)의 제3연결부(33)가 차지하는 영역(b2)은 마루부(32)가 차지하는 영역(b1)과 가장자리부(34)가 차지하는 영역(b3)에 비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한 효과는 곡률의 크기가 달라진다는 점이다. 곡률의 크기가 큰 상태에서 제3연결부가 차지하는 영역이 커 진다면 주름부의 전체 폭 너비와 높이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대주름부(20)와 비교할 때 소주름부(30)의 마루부(32)와 가장자리부(34)의 곡률이 더 크다. 따라서 소주름부(30)는 대주름부(20) 보다 급격하게 솟아오른 코러게이션을 형성한다. 이러한 결과로 소주름부(30)는 주름부의 폭방향으로 작용하는 열변형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앞에서 살핀 바와 같이 소주름부(30)는 교차부(10)와 인접하여 위치하므로 열변형을 일으키기 쉬워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소주름부(30)의 형상으로 인하여 용접이 어려워지므로 용접부(4)에서는 대주름부(20)를 마련한다는 것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제1방향 주름부, 2: 제2방향 주름부,
3: 평면부, 4: 용접부,
10: 교차부, 11: 연결단부,
12: 연결곡부, 13: 제1연결부,
20: 대주름부, 21: 마루,
22: 마루부, 23: 제3연결부,
24: 가장자리부, 30: 소주름부,
31: 마루, 32: 마루부,
33: 제3연결부, 34: 가장자리부,
35: 골, 36: 릿지,
40: 제2연결부,

Claims (7)

  1.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주름부와, 상기 서로 다른 방향의 주름부가 교차하는 교차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시트를 연결하여 마련되는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상기 교차부에서 연장되는 소주름부와 상기 소주름부의 길이 방향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소주름부 보다 마루의 높이 또는 폭 방향 너비가 큰 대주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주름부는 상기 시트의 모서리까지 연장되고,
    인접하는 상기 시트들은 상기 대주름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연결되는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부는, 직선으로 연장되는 상기 주름부와 연결되는 연결단부와 인접하는 상기 연결단부를 연결하되 곡면으로 연결하는 연결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단부와 상기 주름부가 연결되는 연결부에는 상기 주름부의 길이방향으로 골 또는 릿지를 구비하는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의 골은 상기 주름부의 길이방향으로 두 개 이상이 연속적으로 마련되어 릿지를 형성하거나,
    상기 주름부의 릿지는 상기 주름부의 길이방향으로 두 개 이상이 연속적으로 마련되어 골을 형성하는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복수의 시트를 용접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되는 시트는 상기 대주름부를 서로 용접하는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주름부의 폭방향 단면은, 상기 대주름부의 양 측에 각각 평면부와 연결되고 음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가장자리부와, 양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마루부와, 상기 가장자리부와 상기 마루부를 연결하는 공통 접선을 포함하는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부의 곡률반경과 상기 가장자리부의 곡률반경은 서로 동일하게 마련되는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
KR1020130124560A 2013-10-18 2013-10-18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 KR101556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560A KR101556259B1 (ko) 2013-10-18 2013-10-18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560A KR101556259B1 (ko) 2013-10-18 2013-10-18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189A KR20150045189A (ko) 2015-04-28
KR101556259B1 true KR101556259B1 (ko) 2015-09-30

Family

ID=53037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560A KR101556259B1 (ko) 2013-10-18 2013-10-18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2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934B1 (ko) * 2020-07-17 2021-07-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WO2022010184A1 (ko) * 2020-07-08 2022-01-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757B1 (ko) * 2018-09-03 2023-03-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KR102249073B1 (ko) * 2020-04-10 2021-06-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986B1 (ko) 2005-09-12 2006-02-01 (주)삼우멤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용 리브형 멤브레인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986B1 (ko) 2005-09-12 2006-02-01 (주)삼우멤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용 리브형 멤브레인 제작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184A1 (ko) * 2020-07-08 2022-01-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281934B1 (ko) * 2020-07-17 2021-07-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23469B1 (ko) * 2020-07-17 2021-11-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23472B1 (ko) * 2020-07-17 2021-11-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189A (ko) 201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5979B (zh) 包含一基座之密封絕緣槽
KR101031242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 보강구조
KR101556259B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
KR101086766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구조
KR101444342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 구조체
KR100970146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금속 멤브레인
KR101375262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의 보강 부재용 고정 구조체
KR101337627B1 (ko)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구조체
KR101826684B1 (ko) 멤브레인형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KR101225168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구조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205369B1 (ko) 유체 저장 탱크용 금속 멤브레인 패널
KR101625877B1 (ko) 액화가스 화물창 및 그 제작방법
KR101444313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 구조체
KR20140005029A (ko) 선박의 액화가스 저장용 탱크
KR101617026B1 (ko) 액화가스 화물창
KR102176548B1 (ko) 극저온 유체 저장용 탱크의 멤브레인
KR101988534B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방벽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KR101337626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구조체
KR102095422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용 금속 멤브레인
US11560981B2 (en) Membrane finishing sheet and membrane insulation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KR100707675B1 (ko) Lng 저장탱크의 멤브레인 금속패널
KR101359981B1 (ko) 액화천연가스의 저장용기
KR101387750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부재 고정 장치
KR102516757B1 (ko)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KR100750489B1 (ko) 용접부가 평면인 저온 액체 저장용 단열탱크의 멤브레인금속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