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206B1 -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 - Google Patents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206B1
KR101554206B1 KR1020130145870A KR20130145870A KR101554206B1 KR 101554206 B1 KR101554206 B1 KR 101554206B1 KR 1020130145870 A KR1020130145870 A KR 1020130145870A KR 20130145870 A KR20130145870 A KR 20130145870A KR 101554206 B1 KR101554206 B1 KR 101554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concrete wall
plate concrete
stee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5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1767A (ko
Inventor
이종보
김성환
서용표
남덕우
박영섭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5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206B1/ko
Publication of KR20150061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두께가 서로 다른 강판콘크리트 벽체 간의 접합 구조에 있어서 벽체 수평면 및 수직면 접합 방식을 적용하여 원자력발전소 구조물에 강판콘크리트 구조를 적용할 수 있는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가 개시된다. 그리고,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는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 및 상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에 대해 연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와 다른 두께로 형성된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와, 상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와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의 사이를 연결하는 다양한 접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합부는 일 측면의 표면강판이 경사진 변단면 형태, 다이아프램 강판, 타이 보강기구, 정착 보강기구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원자력발전소 구조물에 강판콘크리트 구조를 전면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구조물 모듈화 시공에 따라 건설공기 단축 및 건설비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STRUCTURE FOR CONNECTING STEEL PLATE CONCRETE WALLS OF DIFFERENT THICKNESS}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자력발전소의 구조물 시공 시 두께가 서로 다른 강판콘크리트 간의 접합에 적용 가능한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발전소 구조물은 철근콘크리트 벽체, Deck plate 합성 슬래브, 철골 합성기둥(Steel Reinforced Concrete)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강판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은 거푸집 설치 및 철근 배근 고정 등을 제거하고, 강판콘크리트(Steel plate Concrete) 구조를 모듈화 시공하는 신공법으로 건설공기 단축을 실현할 수 있다.
통상, 5층 이상의 구조물은 하층부 벽체와 상층부 벽체 간의 벽체 두께 차이가 존재하며, 이 경우 기존 철근콘크리트 구조 설계에서는 변단면 구간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보강철근을 사용하는 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동일층의 철근콘크리트 벽체 간 두께 차이가 발생하는 접합부 구역도 동일하게 보강철근을 정착하는 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상기 강판콘크리트 구조를 적용함에 있어서, 상하층 또는 동일층 벽체 간의 두께 차이는 강판콘크리트 구조 확대 적용의 장애요인이 될 수 있다.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철근과 같이 구조적 재료 역할을 하는 강판콘크리트 구조의 표면강판은 구조물의 형상에 종속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벽체 간 두께 차이가 발생하는 접합부는 강판콘크리트 구조에 적합한 변단면 형상 또는 접합 보강강판으로 변경하고, 적절한 하중전달 기구를 보강하여야 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2-266424호(2002.09.18)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두께가 서로 다른 강판콘크리트 벽체 간의 접합 구조에 있어서 벽체 수평면 및 수직면 접합 방식을 적용하여 원자력발전소 구조물에 강판콘크리트 구조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는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 및 상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와 다른 두께로 형성된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와, 상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와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의 사이를 연결하는 접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합부는 일 측면의 표면강판이 경사진 변단면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강판콘크리트 벽체의 변단면 표면강판 간 타이 보강기구(타이 철근, 타이 형강, 중공형 타이아프램 등)가 수평 방향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는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 및 상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보다 좁은 두께로 형성된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와, 상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와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 간의 하중전달 기구인 보강용 철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의 단부에 다이아프램 강판이 설치되고, 상기 보강용 철근은 다이아프램 강판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 측으로 돌출 연장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의 표면강판과 미겹침이음 구조가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는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 및 상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보다 좁은 두께로 형성된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와, 상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와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 간의 하중전달 기구인 정착 보강용 철근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의 단부에 다이아프램 강판이 설치되며, 상기 정착 보강용 철근은 상기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의 표면강판으로부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 측으로 동일 선상에 정착길이만큼 연장되고, 상기 다이아프램 강판에 연결하는 기계적 정착이음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는 원자력발전소 구조물에 강판콘크리트 구조를 전면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구조물 모듈화 시공에 따라 건설공기 단축 및 건설비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 또는 도 2 실시 예의 타이형강 및 타이철근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1 또는 도 2 실시 예의 스터드 및 스티프너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도 1 또는 도 2 실시 예의 중공형 플레이트 및 타이 바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1 또는 도 2 실시 예의 CJP 용접 부위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C" 부위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는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 및 상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와 다른 두께로 형성된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와, 상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와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의 사이를 연결하는 접합부(72)를 포함한다. 상기 접합부(72)는 일 측면의 표면강판이 경사진 변단면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접합부(72)의 일측면 표면강판 두께는 인접 표면강판 중 두꺼운 강판두께와 동일하게 적용하고 CJP(Complete Joint Penetration)용접하며, 변단면 표면강판의 스터드(81)와 리브는 표면강판과 수직한다. 또한, 연직 방향 양측 절곡부의 시공용 리브에는 스티프너(82)를 보강 설치하며, 강판컨크리트 벽체의 변단면 표면강판 간 타이 보강기구(타이 철근, 타이 형강, 중공형 다이아프램 등)(75)가 수평 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는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의 하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보다 두꺼운 두께로 이루어진다. 원자력발전소에서 상하층 강판콘크리트 벽체 간 두께 차이가 발생하는 접합부의 경우, 강판콘크리트 벽체의 일 측면의 표면강판이 일정 비율로 구배지도록 변단면으로 설계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는 비보강 강판콘크리트(USC: Unstiffened Steel-plate Concrete) 벽체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표면강판의 내측면에 별도의 구조용 보강 리브를 설계하지 않고 시공용 리브가 부착된 구조이다. 상기 강판콘크리트 벽체 간 두께 차이가 발생하는 변단면 수평 접합에는 표면강판의 소요인장강도를 산정한 후, 경사 방향과 수평 타이 방향으로 분력하여 타이 방향의 분력을 타이 보강기구(75)의 소요인장 강도로 산정하여 설계한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 기준 설계에서 철근이 1:6 비율로 구배가 발생한 경우 별도의 보강없이 연속성을 확보한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강판콘크리트 벽체 일 측면의 표면강판이 1:3 비율로 구배지도록 형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 또는 도 2 실시 예의 타이형강 및 타이철근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1 또는 도 2 실시 예의 스터드 및 스티프너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도 1 또는 도 2 실시 예의 중공형 플레이트 및 타이 바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1 또는 도 2 실시 예의 CJP 용접 부위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는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 및 상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와 다른 두께로 형성된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와, 상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와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의 사이를 연결하는 접합부(72)를 포함한다. 상기 접합부(72)는 일 측면의 표면강판이 경사진 변단면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접합부(72)의 일측면 표면강판 두께는 인접 표면강판 중 두꺼운 강판두께와 동일하게 적용하고 CJP용접하며, 변단면 표면강판의 스터드(81)와 리브는 표면강판과 수직한다. 또한, 연직 방향 양측 절곡부의 구조재 리브에는 스티프너(82)를 보강 설치하며, 강판콘크리트 벽체의 변단면 표면강판 간 타이 보강기구(타이 철근, 타이 형강, 중공형 다이아프램 등)(75)가 수평 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는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의 하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보다 두꺼운 두께로 이루어진다. 원자력발전소에서 상하층 강판콘크리트 벽체 간 두께 차이가 발생하는 접합부의 경우, 강판콘크리트 벽체의 일 측면의 표면강판이 일정 비율로 구배지도록 변단면으로 설계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 접합부(72) 및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의 표면강판 내측면에 상기 표면강판과 나란한 방향으로 보강 리브(77)가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는 보강 강판콘크리트(SSC: Stiffened Steel-plate Concrete) 벽체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표면강판의 내측면에 H형강 형태의 구조재 보강 리브(77)를 설계한 구조이다. 상기 강판콘크리트 벽체 간 두께 차이가 발생하는 변단면 수평 접합에는 연직 리브 형태의 보강 리브(77)와 표면강판 모두에 대한 소요인장 강도를 산정한 후, 경사 방향과 수평 타이 방향으로 분력하여 타이 방향의 분력을 타이 보강기구(75)의 소요인장 강도로 산정하여 설계한다.
결국, 보강 리브(77)와 표면강판 모두의 소요인장 강도를 타이 보강기구(75)이 부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산정된 타이 방향의 분력 중에서 FypAp / (FysAs + FypAp) 비율 만큼을 타이 철근의 소요인장 강도로 산정하여 설계할 수 있다. 여기서, Fyp는 타이 철근 방향의 힘이고, Ap는 타이 철근의 단면적이며, Fys는 경사 방향의 힘이고, As 는 표면강판의 단면적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는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 및 상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보다 좁은 두께로 형성된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와, 상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와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 간의 하중전달 기구인 보강용 철근(7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의 단부에 다이아프램 강판(76)이 설치되고, 표면강판 양측면에 콘크리트 단절에 의한 전단하중을 연결하기 위한 스터드(81)가 설치된다. 정착 보강용 철근(79)은 정착 길이를 확보하며, 다이아프램 강판(76) 내부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 측으로 돌출 연장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의 내부를 관통하여 정착된다. 상기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의 표면강판 및 리브와 보강용 철근(79)이 일정거리 이격된 미겹침이음 구조로서 연성미겹침이음길이를 확보한다. 상기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의 표면강판의 단부는 상기 다이아프램 강판(76)에 용접 이음된다.
Figure 112013108698640-pat00001
(정착길이 산정식)
Figure 112013108698640-pat00002
(연성미겹침 이음길이 산정식)
즉, 동일 층에 위치하는 강판콘크리트 벽체 간 연직면에 접합 구조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의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의 끝단에 다이아프램 강판(76)을 설치하고,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의 표면강판을 CJP용접 이음한다. 아울러, 전단 스터드(81)와 미겹침 이음 철근을 관통하여 정착 설계한다. 이 경우, 상기 보강용 강(79)은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의 내부를 관통하여 정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C" 부위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는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 및 상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보다 좁은 두께로 형성된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와, 상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와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 간의 하중전달 기구인 정착 보강용 철근(7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정착 보강용 철근(79)은 상기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의 표면강판으로부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 측으로 동일 선상에 정착길이만큼 연장된다. 아울러, 상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의 단부에 다이아프램 강판(76)은 인접 벽체간 콘크리트 단절을 보강하기 위한 스터드(81)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는 기계적 이음부(78)를 더 구비한다. 다이아프램 강판에 설치된 너트장치와 같은 기계적 이음부(78)는 나사산 형태의 정착 보강용 철근(79)을 상기 다이아프램 강판(76)에 연결한다.
즉, 동일 층에 위치하는 강판콘크리트 벽체 간 연직면에 접합 구조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의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의 끝단에 다이아프램 강판(76)을 설치하고,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의 표면강판을 CJP용접 이음한다. 아울러,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의 양측면 표면강판의 연장선에서 정착 철근, 즉 보강용 철근(79)을 다이아프램 강판(76)과 기계적 이음 구조로 설계하게 된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는 두께가 서로 다른 강판콘크리트 벽체 간의 접합 방식에 있어서, 벽체 수평면 및 수직면 접합 구조를 제시하고 있으며, 원자력발전소 구조물에 강판콘크리트 구조를 전면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구조물 모듈화 시공에 따라 건설공기 단축 및 건설비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71 :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 72 : 접합부
73 :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 75 : 타이 보강기구
76 : 다이아프램 강판 77 : 보강 리브
78 : 기계적 이음부 79 : 보강용 철근
81 : 스터드 82 : 스티프너

Claims (12)

  1.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 및 상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위치하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와 다른 두께로 형성된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와, 상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와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의 사이를 연결하는 접합부(72)를 포함하며; 상기 접합부(72)는 일 측면의 표면강판이 경사진 변단면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 및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의 사이 접합부(72) 표면강판 내측면에 상기 표면강판과 수직방향으로 스터드(81)가 구비되고, 상기 표면강판 내측면에 나란한 방향으로 구조재인 보강 리브(77)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강판 콘크리트 벽체(71) 및 제2 강판 콘크리트 벽체(73) 사이의 접합부(72) 표면강판 내측면 절곡부의 구조재인 보강 리브(77)는 스티프너(82)로 보강되고,
    상기 제1 강판 콘크리트 벽체(71) 및 제2 강판 콘크리트 벽체(73) 사이의 접합부(72) 표면강판 내측면 절곡부의 타이 보강기구(75)는 보강 리브(77)와 접합되며, 타이 보강기구(75)는 보강 리브(77)의 단면형상과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72)의 일 측면의 표면강판 두께는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와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의 표면강판 두께 중 큰 값을 따르며, 1:3의 기울기의 경사진 변단면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72)의 연직 방향 양측 절곡부에 타이 보강기구(75)가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 및 상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보다 좁은 두께로 형성된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와, 상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와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 간의 접합부 하중전달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하중전달 기구는 다이아프램 강판(76) 및 정착 보강기구인 보강용 철근(79)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강판 콘크리트 벽체(71)와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 간의 수평방향으로의 위치는 벽체의 중심선이 상호 일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강판 콘크리트 벽체(71)와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 간의 하중전달 기구로서 양측 벽체 단부에 다이아프램 강판(76)이 설치되고, 강판표면의 양측에 콘크리트 단절에 의한 전단하중을 연결하기 위한 스터드(8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강판 콘크리트 벽체(71)와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 간의 하중전달 기구로서 제2 강판 콘크리트 벽체(73)의 표면강판과 미겹침이음 철근이 설치되고, 상기 미겹침이음 철근을 돌출 연장하여 다이아프램 강판(76)을 관통하고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에 정착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
  11.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 및 상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며 제1 강판콘크리트 벽체(71)보다 좁은 두께로 형성된 제2 강판 콘크리트 벽체(73)와, 상기 제1 강판 콘크리트 벽체(71)와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 간을 연결하는 보강용 철근(79)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강판 콘크리트 벽체(71)와 제2 강판콘크리트 벽체(73) 간의 하중전달 기구로서 제2 강판 콘크리트 벽체(73)의 표면강판 위치와 동일 선상으로 연장하여 정착용인 보강용 철근(79)을 다이아프램 강판(76)에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
  12. 제11 항에 있어서,
    정착용인 상기 보강용 철근(79)은 단부에 나사산을 설치하고 다이아프램 강판(76)에 기계적으로 이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
KR1020130145870A 2013-11-28 2013-11-28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 KR101554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870A KR101554206B1 (ko) 2013-11-28 2013-11-28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870A KR101554206B1 (ko) 2013-11-28 2013-11-28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767A KR20150061767A (ko) 2015-06-05
KR101554206B1 true KR101554206B1 (ko) 2015-09-18

Family

ID=53499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5870A KR101554206B1 (ko) 2013-11-28 2013-11-28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2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5172A (zh) * 2019-08-14 2020-02-18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模块式轻质隔墙造型墙***
KR102592727B1 (ko) * 2021-04-15 2023-10-2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의 장경간 강판콘크리트 외부 벽체의 충돌저항성능 보강구조물 및 보강방법
KR20240049917A (ko) 2022-10-11 2024-04-1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소형모듈원전용 강판콘크리트 구조물 제작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2159A (ja) 2005-07-28 2007-02-08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鋼板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連結構造
KR101011070B1 (ko) 2010-09-14 2011-01-2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강판콘크리트 구조와 이질 구조간의 접합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2159A (ja) 2005-07-28 2007-02-08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鋼板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連結構造
KR101011070B1 (ko) 2010-09-14 2011-01-2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강판콘크리트 구조와 이질 구조간의 접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767A (ko) 2015-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9360B2 (ja) 耐震用接合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20140090816A (ko) 조립식 보 거푸집.
KR101499343B1 (ko) 보강형 조립 강재 보,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101880490B1 (ko) 딥데크 슬래브용 합성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구조
KR101554206B1 (ko) 서로 다른 두께의 강판콘크리트 벽체간 접합 구조
KR101513055B1 (ko) 강-콘크리트 합성부재용 선조립 골조
KR101880492B1 (ko) 단부 h형강이 구성된 합성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구조
JP5231836B2 (ja) 接続構造
JP6393516B2 (ja) 異種鉄骨梁接合構造
JP7162475B2 (ja) 主構造とブレースの接合構造
JP3830767B2 (ja) 橋梁用連続桁
JP6535704B2 (ja) 柱梁架構
JP2008088634A (ja) 鋼コンクリート合成床版
KR20190002101A (ko) 중공 구조체 및, 기둥과 보의 접합 구조
KR101347555B1 (ko) 복부 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합성아이빔 교량에서의 연속지점부의 시공방법
JP4502270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の接合構造
KR20170113017A (ko) 부모멘트부 스틸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1921024B1 (ko) 전단연결재
KR101579269B1 (ko) 탈부착형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보강구조체
KR101154121B1 (ko) 강재 조립보 및 그를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JP4644146B2 (ja) Pc箱桁橋
KR101149034B1 (ko) 보의 휨응력을 향상시킨 조립식 건축물의 연결부재
JP6261976B2 (ja) 変断面梁
JP6638900B2 (ja) 柱同士の接合構造の設計方法及び柱同士の接合構造
JP6174984B2 (ja) 鉄骨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