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856B1 -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 Google Patents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856B1
KR101551856B1 KR1020130149815A KR20130149815A KR101551856B1 KR 101551856 B1 KR101551856 B1 KR 101551856B1 KR 1020130149815 A KR1020130149815 A KR 1020130149815A KR 20130149815 A KR20130149815 A KR 20130149815A KR 101551856 B1 KR101551856 B1 KR 101551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air
filtration
aerob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4914A (ko
Inventor
정석균
Original Assignee
정석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균 filed Critical 정석균
Priority to KR1020130149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856B1/ko
Publication of KR20150064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Zo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은 수산물을 양식하는 수조(3)와; 수조(3)로부터 배출된 이물질이 저장되어 비중차이에 의하여 상류층 및 하류층으로 분리되는 집수조(5)와; 그리고 집수조(5)로부터 배출된 사육수를 대기중에 노출된 상태의 끈상 여재(38)에 접촉시켜서 1차적으로 호기처리한 후, 2차적으로 혐기처리하여 상기 수조(3)로 복귀시키는 여과부(7)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Recirculating rearing system}
본 발명은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끈상 여과재에 의한 호기성 처리와, 혐기성 처리를 순차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사육수를 효율적으로 정화처리할 수 있는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류 등의 수산물은 수조에서 양식하는 바, 이러한 수조는 바닥에 구비된 배출구를 통하여 사육수가 배출되고, 이 배수된 사육수는 정화처리 후 다시 수조로 공급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양식 시스템은 수조 내에서 어류를 양식하는 것이므로 어류의 신진대사로 인한 배설물, 물속에 잔류하는 사료 찌꺼기, 암모니아, 이들의 분해과정에서 2차적으로 발생하는 질소 등의 유해가스 등으로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수산물의 양식 시스템에 있어서, 수조 내부에 저장된 사육수의 여과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리고, 양식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물속에 잔류하는 사료 찌거기와, 물고기의 배설물을 여과하는 필터부와, 수조에 산소를 공급하는 폭기부와, 사육수중에 함유된 암모니아를 처리하는 암모니아 처리부 혹은 오존 공급부 등이 배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양식 시스템을 통하여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등의 수질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순환 여과양식 시스템은 여과재가 수중에 잠긴상태에서 폭기되거나 교반하는 방식이므로 여과재가 막히거나 산소공급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여과재가 부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여과재가 수중에 항상 잠긴 상태이므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여과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출원 제10-1997-709942호(명칭: 물고기 양식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조에서 배출된 사육수를 정화처리하기 위하여 호기성 및 혐기성 여과조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은 수산물을 양식하는 수조(3)와;
수조(3)로부터 배출된 이물질이 저장되어 비중차이에 의하여 상류층 및 하류층으로 분리되는 집수조(5)와; 그리고
집수조(5)로부터 배출된 사육수를 대기중에 노출된 상태의 끈상 여재(38)에 접촉시켜서 1차적으로 호기처리한 후, 2차적으로 혐기처리하여 상기 수조(3)로 복귀시키는 여과부(7)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호기성 여과조와 혐기성 여과조를 상하부에 일체로 배치함으로써, 수조로부터 배출된 사육수를 1차적으로 호기성 처리를 한 후, 연속하여 2차적으로 혐기성 처리를 함으로써 사육수를 효율적으로 정화처리할 수 있다.
둘째, 호기성 여과조의 내부에 다수개의 끈상 여재를 상하방향으로 배치하고, 이 끈상여재에 사육수를 분사하여 호기성 미생물이 번식하는 끈상여재의 표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흘러내림으로써 호기성 처리가 진행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여과체와의 마찰에 의하여 유속이 느려지고, 유속이 느려짐으로써 산소와 접촉할 수 있는 시간이 증가하게 되므로 용존 산소량이 증가하게 된다.
셋째, 다수개의 끈상여재는 수중에 잠긴 상태가 아니라, 호기성 여과조의 내부 대기중에 노출된 상태이므로, 여과재가 수중에 잠김으로써 발생되는 부패현상이나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수조의 바닥에 거름망이 구비된 보조 배수관을 배치하고, 에어 공급관을 통하여 에어를 거름망에 분사함으로써, 거름망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섯째, 집수조 내부에 저장된 사육수를 원심력에 의하여 층분리를 하여 비중이 큰 이물질은 하류층을 형성하고, 비중이 작은 이물질은 상류층을 형성하여 서로 분리시켜서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분리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양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순환 양식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순환 양식 시스템의 수조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수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 선 단면을 보여주는 평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여과부의 끈상 여과재가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1)은 어류를 양식하는 수조(3)와; 수조(3)로부터 배출된 이물질이 쌓이는 집수조(5)와; 집수조(5)의 사육수 중에 함유된 이물질을 호기 및 혐기 방식에 의하여 여과처리하는 여과부(7)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에 있어서, 수조(3)는 내부에 일정한 용적의 공간이 형성되고, 사육수가 저장됨으로써 물고기 등의 수산물이 양식될 수 있다.
그리고, 수조(3)의 내부에는 공기 공급부(50)가 배치됨으로써 사육수를 교반시키고, 이 과정에서 산소공급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공급부(50)는 수조(3)의 바닥에 배치되며 수조(3) 외부에 배치된 에어 펌프(도시안됨)로부터 공급된 공기에 의하여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에어스톤(51)과; 수조(3)의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배치되어 상승하는 미세기포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플레이트(52)를 포함한다.
에어펌프가 구동하면 고압의 공기가 배관을 통하여 수조(3)의 내측 바닥부로 공급된다. 이때, 바닥에는 다수개의 에어스톤(51)이 적층된 상태이다. 따라서, 외부에서 공급된 압축공기는 상승함으로써 다수개의 에어스톤(51)을 통과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압축공기는 다수개의 에어스톤(51)과 접촉함으로써 약 400마이크로미터의 미세기포가 발생된다. 이때, 에어스톤은 통상적으로 수족관에 널리 사용되며, 산소가 발생되는 물질을 의미한다.
이러한 미세기포는 상승하게 되며, 상승하는 과정에서 플레이트(52)의 저면에 접촉하여 측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미세기포가 수조(3)의 하부에서 상승하고, 또한 측방향으로 흐르는 흐름을 형성함으로써 산소의 용존시간이 증가하게 되고, 또한 수류에 의하여 사육수가 교반됨으로 산소의 공급이 원활해질 수 있다.
그리고, 수조(3)는 일측에는 배수관(L1)이 연결됨으로써 사육수중에 함유된 배설물 등의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으며, 타측에는 제 1배출관(L4)이 연결됨으로써 여과부(7)를 통과한 사육수가 수조(3)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배수관(L1)은 수조(3)의 바닥에 연결되는 바, 사육수가 배출될 때, 양식중인 수산물도 같이 배출될 수 있음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거름망(13)이 장착된다.
이러한 거름망(13)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배수관(L1)의 일측 상부에는 보조 배수관(11)이 배치되고, 이 보조 배수관(11)의 상단은 수조(3)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도달한다.
따라서, 수조(3) 내부의 사육수가 이 보조 배수관(1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배수관(11)의 하부에는 배수홀(15)이 형성됨으로써 사육수가 이 배수홀(15)을 통하여 보조 배수관(11)의 내측으로 유입된 후 배수관(L1)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배수홀(15)에는 거름망(13)이 장착됨으로써 사육수가 배수홀(15)을 통하여 배출될 때, 수산물이 이 거름망(13)에 걸림으로써 사육수와 같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사육수가 거름망(13)을 통하여 배출될 때, 이물질이 거름망(13)에 부착됨으로써 거름망(13)의 메쉬를 차단하여 막힐 수 있다. 이와 같이, 거름망(13)이 막히는 경우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게 되며, 결국 사육수의 수위가 점차 증가하여 수조(3)의 외부로 넘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막힘 혹은 넘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조 배수관(11)에 에어 분사부(17)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 분사부(17)는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관(18)과; 에어관(18)에 연결되며 보조 배수관(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에어를 거름망(13)에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에어 분사관(19)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관(18)은 외부의 압축기(도시안됨)에 연결되어 에어의 통로가 되며, 수조(3)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배치됨으로써 에어를 수조(3)의 바닥부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에어 분사관(19)은 보조 배수관(11)의 하부 내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표면에는 다수개의 분사홀(h)이 형성된다.
따라서, 에어관(18)을 통하여 공급된 에어는 다수개의 분사홀(h)을 통하여 분사됨으로써 거름망(13)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집수조(5)는 수조(3)로부터 배출된 사육수가 1차적으로 저장된 후, 여과부(7) 혹은 살균부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집수조(5)는 중간부에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21)이 배치되고, 이 회전축(21)에는 다수개의 블레이드(23)가 구비된다. 따라서, 회전축(21)의 회전에 의하여 다수개의 블레이드(23)가 회전함으로써 집수조(5) 내부에 저장된 사육수도 회전을 한다.
이 과정에서 사육수 중에 함유된 이물질이 비중차이에 의하여 상하층으로 분리될 수 있다. 즉, 비중이 작은 이물질은 상류층에 체류하고, 비중이 큰 이물질은 하류층에 체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집수조(5)에 연결된 제 1펌프(M1)가 구동하는 경우, 하류층의 이물질은 제 1배관(L2)을 통하여 여과부(7)로 공급된다. 또한, 상류층의 이물질은 제 2펌프(M2)가 구동하는 경우, 제 2배관(L3)을 통하여 살균부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 2,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부(7)는 상부에 배치되는 호기성 여과부(30)와, 하부에 배치되는 혐기성 여과부(32)를 포함함으로써 사육수중에 함유된 이물질을 호기처리와 혐기처리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호기성 여과부(30)는 케이스(34)의 내부에 다수개의 끈상 여재(38)를 상하방향으로 배치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다수개의 끈상 여재(38)는 케이스(34)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는 거치대(40)와; 상단은 거치대(40)에 연결되고, 하부는 아래 방향으로 늘어뜨려진 와이어(W)와; 와이어(W)에 구비된 다수개의 여과체(42)를 포함한다.
상기한 다수개의 여과체(42)는 와이어(W)에 수평방향으로 부착된 상태에서 아래 방향으로 일정 간격씩 떨어져 배치되어 상당히 조밀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여과체(42)는 바람직하게는 호기성 미생물이 증식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다수개의 여과체(42)에 사육수가 접촉하는 경우 호기성 처리가 가능하다.
이러한 끈상 여재(38)는 케이스(34)의 내부에 원형궤적을 따라 배치되거나,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임의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여과부(7)의 규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끈상 여재(38)가 케이스(34)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케이스(34) 상단에 배치된 분사관(36)을 통하여 사육수가 분사됨으로써 사육수는 다수개의 끈상여재(38)에 접촉한 상태로 흘러내린다.
그리고, 이와 같이 사육수가 끈상여재(38)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과정을 통하여 사육수 중에 함유된 이물질들이 호기성 여과체(42)와 접촉함으로써 호기성 처리가 진행될 수 있다.
이때, 다수개의 끈상여재(38)는 수중에 잠긴 상태가 아니라, 케이스(34)의 내부 대기중에 노출된 상태이므로, 종래와 같이 여과재가 수중에 잠김으로써 발생되는 부패현상이나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육수가 다수개의 여과체(42) 사이사이를 흘러내리므로, 이 과정에서 여과체(42)와의 마찰에 의하여 유속이 느려지고, 유속이 느려짐으로써 산소와 접촉할 수 있는 시간이 증가하게 되므로 용존 산소량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여과체(42)에 번식하고 있는 호기성 미생물이 산소에 노출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되므로 번식이 활성화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사육수중에 함유된 암모니아성 질소 등이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호기성 여과조(30)의 바닥으로 흘러내린 사육수의 일부는 호기성 배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수조(3)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사육수의 나머지는 아래로 흘러내려 혐기성 여과조(32)로 공급될 수 있다. 즉, 호기성 여과조(30)의 바닥은 다수의 홀이 형성된 타공판(40)이므로, 상부에 배치된 호기성 여과조(30)에서 흘러내린 사육수는 이 타공판(40)을 통하여 하부의 혐기성 여과조(32)로 용이하게 흘러내릴 수 있다.
이와 같이 호기성 여과조(30)에서 1차적으로 처리된 사육수는 하부의 혐기성 여과조(32)로 유입되어 2차적으로 혐기처리될 수 있다. 즉, 혐기성 여과조(32)는 내부에 혐기성 환경, 즉 무산소 환경이 구현됨으로써 사육수중의 이물질을 혐기처리할 수 있다.
혐기성 여과조(32)에서 사육수에 함유된 슬러지 혹은 기타 부산물에 대하여 혐기 처리를 진행함으로써 탈질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혐기성 여과조(32)의 하부에는 제 2배출관(L5)이 배치되어 수조(3)에 연결된다. 따라서, 혐기성 여과조(32)에서 처리된 사육수는 제 2배출관(L5)을 통하여 수조(3)로 다시 순환할 수 있다.
한편, 집수조(5)에서 제 2배관(L3)을 통하여 배출된 사육수는 살균기(44)로 공급된다. 이 살균기(44)는 사육수중에 함유된 세균 등을 살균하게 된다. 이때, 살균기(44)는 자외선 살균기(44) 등의 다양한 방식의 살균기(44)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살균기(44)를 통과한 사육수는 산소 용해장치(46)로 공급된다. 이 산소 용해장치(46)에서는 제 2배관(L3)을 통하여 흐르는 사육수중에 일정량의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산소 포화도를 높일 수 있다.
산소용해장치(46)를 통과한 사육수는 가온조(48)로 공급된다. 이 가온조(48)에서는 열에 의하여 사육수를 가열함으로써 이물질을 처리할 수 있다. 이때, 발열 방식은 열선에 의한 방식, 반도체에 의한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가능하다.
이와 같이, 살균기(44)와, 산소용해장치(46)와, 가온조(48)를 통과한 사육수는 다시 수조(3)로 복귀함으로써 수산물 양식에 재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식순환 시스템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3) 내부에 저장된 사육수를 순환 여과처리하는 경우, 먼저 배수관(L1)의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수조(3)의 내부에 저장된 사육수를 집수조(5)로 배출한다.
이때, 수조(3)에서 배출되는 사육수는 수조(3)의 하부에 배치된 보조 배수관(11)의 거름망(13)을 통과하게 되는 바, 이 과정에서 거름망(13)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막힐 수 있다.
따라서, 에어관(18)을 통하여 압축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에어 분사관(19)을 통하여 거름망(13)에 분사함으로써 거름망(13)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사육수는 집수조(5)로 공급되며, 집수조(5)에서 비중차이에 의하여 상류층과 하류층으로 분리된다.
그리고, 집수조(5)에 연결된 제 1펌프(M1)가 구동하는 경우, 하류층의 이물질은 제 1배관(L2)을 통하여 여과부(7)로 공급된다. 또한, 상류층의 이물질은 제 2펌프(M2)가 구동하는 경우, 제 2배관(L3)을 통하여 살균부로 공급될 수 있다.
제 1배관(L2)을 통하여 여과부(7)로 공급된 사육수는 호기성 여과조(30)의 상부에 배치된 분사관(36)을 통하여 하부로 분사될 수 있다.
이때, 호기성 여과조(30)의 케이스(34) 내부에는 다수개의 끈상 여재(38)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이다.
따라서, 분사관(36)으로부터 분사된 사육수는 다수개의 끈상 여재(38)와 접촉하면서 하부로 흘러내리게 된다.
이때, 다수개의 여과체(42)는 와이어(W)에 수평방향으로 부착된 상태에서 아래 방향으로 일정 간격씩 떨어져 배치되어 상당히 조밀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여과체(42)는 바람직하게는 호기성 미생물이 증식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다수개의 여과체(42)에 사육수가 접촉하는 경우 호기성 처리가 가능하다.
이때, 다수개의 끈상여재(38)는 수중에 잠긴 상태가 아니라, 케이스(34)의 내부 대기중에 노출된 상태이므로, 종래와 같이 여과재가 수중에 잠김으로써 발생되는 부패현상이나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육수가 다수개의 여과체(42) 사이사이를 흘러내리므로, 이 과정에서 여과체(42)와의 마찰에 의하여 유속이 느려지고, 유속이 느려짐으로써 산소와 접촉할 수 있는 시간이 증가하게 되므로 용존 산소량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여과체(42)에 번식하고 있는 호기성 미생물이 산소에 노출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되므로 번식이 활성화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사육수중에 함유된 암모니아성 질소 등이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호기성 여과조(30)의 바닥으로 흘러내린 사육수의 일부는 호기성 배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수조(3)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사육수의 나머지는 아래로 흘러내려 협기성 여과조로 공급된다.
이때, 혐기성 여과조(32)는 혐기성 환경, 즉 무산소 환경이 구현됨으로써 사육수중의 이물질을 혐기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혐기성 여과조(32)에서 사육수에 함유된 슬러지 혹은 기타 부산물에 대하여 혐기 처리를 진행함으로써 탈질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혐기성 여과조(32)에서 혐기 처리된 사육수는 제 2배출관(L5)을 통하여 수조(3)로 다시 순환할 수 있다.
한편, 집수조(5)에서 제 2배관(L3)을 통하여 배출된 사육수는 살균기(44)로 공급되어 사육수중의 균체들이 살균될 수 있다.
그리고, 산소 용해장치(46)를 통과하면서 일정량의 산소가 공급되어 산소 포화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산소용해장치(46)를 통과한 사육수는 가온조(48)로 공급됨으로써 열에 의하여 이물질을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살균기(44)와, 산소용해장치(46)와, 가온조(48)를 통과한 사육수는 다시 수조(3)로 복귀함으로써 수산물 양식에 재사용될 수 있다.
1: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3: 수조
5: 집수조
7: 여과부
11: 보조 배수관
13: 거름망
17: 에어 분사부

Claims (6)

  1. 수산물을 양식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공기에 의하여 미세기포가 형성되는 수조(3)와;
    수조(3)로부터 배출된 이물질이 저장되어 비중차이에 의하여 상류층 및 하류층으로 분리되는 집수조(5)와; 그리고
    집수조(5)로부터 배출된 사육수를 대기중에 노출된 상태의 끈상 여재(38)에 접촉시켜서 1차적으로 호기처리한 후, 2차적으로 혐기처리하여 수조(3)로 복귀시키는 여과부(7)를 포함하며,
    집수조(5)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21)과; 이 회전축(21)에 배치되어 사육수가 회전축(21)을 중심으로 원형궤적의 수류를 형성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23)와; 집수조(5)에 연결된 제 1배관(L2)상에 배치되어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하여 층분리가 발생할 때 비중이 커서 하류층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배출하는 제 1펌프(M1)와; 집수조(5)에 연결된 제 2배관(L3)상에 배치되어 비중이 작아서 상류층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배출하는 제 2펌프(M2)를 포함하며,
    집수조(5)의 하류층의 이물질은 제 1펌프(M1)가 구동하는 경우, 제 1배관(L2)을 통하여 여과부(7)로 공급되고,
    집수조(5)의 상류층의 이물질은 제 2펌프(M2)가 구동하는 경우, 제 2배관(L3)을 통하여 살균기(44) 로 공급된 후 산소용해장치(46)와 가온조(48)를 통과한 후 다시 수조(3)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여과부(7)는 제 1배관(L2)에 연결되어 집수조(5)로부터 배출된 사육수가 공급되어 1차적으로 호기성 처리가 이루어지는 호기성 여과부(30)와; 호기성 여과부(30)의 하부에 일체로 배치되어 호기성 여과부(30)로부터 공급된 사육수를 2차적으로 혐기성 처리를 하는 혐기성 여과부(32)와; 호기성 여과부(30)와 혐기성 여과부(32)의 사이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사육수가 이동할 수 있는 타공판(40)을 포함하며,
    호기성 여과조(30)에는 1차적으로 호기처리된 사육수를 수조(3)로 순환시키는 제 1배관(L2)이 연결되고, 혐기성 여과조(32)에는 2차적으로 혐기처리된 사육수를 수조(3)로 순환시키는 제 2배관(L3)이 연결됨으로써,
    호기성 여과조(30) 및 혐기성 여과조(32)에서 처리된 사육수를 분리하여 수조(3)로 재순환시킬 수 있는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호기성 여과부(30)는 집수조(5)로부터 배출된 사육수가 분사되는 케이스(34)와; 케이스(34)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사육수가 분사되어 접촉함으로써 호기성 처리가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끈상 여재(38)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끈상 여재(38)는 케이스(34)의 내부 상단에 배치되는 거치대(40)와; 상단은 거치대(40)에 연결되고 하부는 아래 방향으로 늘어뜨려진 와이어(W)와; 와이어(W)에 구비된 적어도 다수의 여과체(42)를 포함하는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수조(3)의 내부에는 공기 공급부(50)가 배치되며,
    공기 공급부(50)는 수조(3)의 바닥에 배치되며 수조(3) 외부에 배치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펌프로부터 공급된 공기에 의하여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에어스톤(51)과; 수조(3)의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배치되어 상승하는 미세기포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플레이트(52)를 포함하는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수조(3)는 내부 바닥에 배수홀(15)이 형성되어 사육수가 배출되는 보조 배수관(11)과; 배수홀(15)에 장착되는 거름망(13)과; 거름망(13)에 에어를 분사하여 이물질이 거름망(13)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 분사부(17)를 포함하며,
    에어 분사부(17)는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관(18)과; 에어관(18)에 연결되며 보조 배수관(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에어를 거름망(13)에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에어 분사관(19)을 포함하는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KR1020130149815A 2013-12-04 2013-12-04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KR101551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815A KR101551856B1 (ko) 2013-12-04 2013-12-04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815A KR101551856B1 (ko) 2013-12-04 2013-12-04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914A KR20150064914A (ko) 2015-06-12
KR101551856B1 true KR101551856B1 (ko) 2015-09-08

Family

ID=53503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815A KR101551856B1 (ko) 2013-12-04 2013-12-04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8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718B1 (ko) 2016-03-23 2016-11-11 박희원 2차 폐쇄회로 순환여과식 사육수 공급 시스템
KR101996238B1 (ko) 2019-04-11 2019-07-08 대한민국 모듈형 해수 순환여과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KR20190100989A (ko) 2018-02-21 2019-08-30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기탁번호 kctc13483bp의 혼합균주 및 이를 이용한 순환여과양식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116B1 (ko) 2015-05-08 2017-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2239381B1 (ko) * 2019-08-16 2021-04-12 대한민국 카트리지필터를 이용한 바이오플락 사육수 자동 여과시스템
CN115572017A (zh) * 2022-11-02 2023-01-06 四川省生态环境科学研究院 水产养殖尾水内循环方法与***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2542A (ja) * 1999-04-30 2000-11-14 Central Res Inst Of Electric Power Ind 魚介類の循環濾過養殖装置
JP2013049013A (ja) * 2011-08-31 2013-03-14 Nishihara Environment Co Ltd 排水処理装置および排水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2542A (ja) * 1999-04-30 2000-11-14 Central Res Inst Of Electric Power Ind 魚介類の循環濾過養殖装置
JP2013049013A (ja) * 2011-08-31 2013-03-14 Nishihara Environment Co Ltd 排水処理装置および排水処理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718B1 (ko) 2016-03-23 2016-11-11 박희원 2차 폐쇄회로 순환여과식 사육수 공급 시스템
KR20190100989A (ko) 2018-02-21 2019-08-30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기탁번호 kctc13483bp의 혼합균주 및 이를 이용한 순환여과양식시스템
KR101996238B1 (ko) 2019-04-11 2019-07-08 대한민국 모듈형 해수 순환여과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914A (ko) 2015-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1856B1 (ko)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KR102074613B1 (ko)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
JP3769680B2 (ja) 魚介類の循環濾過養殖装置
US7258798B2 (en) Potable water treatment plant and method of maintaining same
KR101444206B1 (ko) 팩키지형 생물여과기를 구비하는 양식장 사육수의 복합 수처리 시스템
KR101782735B1 (ko) 에너지 절감용 순환 여과식 어류 양식시스템
KR101730409B1 (ko) 양만장용 수처리 시스템
JP3045478B2 (ja) 養魚用汚水ろ過装置および浄化装置
CN104926027A (zh) 一种淡水苗种培育用水的循环利用方法
DE102014004767B4 (de) 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im kreislaufgeführten Wasser
US20040129619A1 (en) Aquaculture system
JP2001170617A (ja) 泡沫分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水浄化システム
JP3191503U (ja) 曝気装置
KR102070594B1 (ko)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
KR102647881B1 (ko) 크리너 유닛과 이를 이용한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
KR100404688B1 (ko) 어류 양식 수조용 정화 장치
WO1996036219A1 (fr) Installation de pisciculture
JP3148135U (ja) 水生動物養殖装置
KR102198471B1 (ko) 순환식 돈사용 액비의 제조시스템
KR101300655B1 (ko) 염수 또는 세척수 살균 정화장치
KR200431050Y1 (ko) 수족관용 폐수 정화장치
JP2008092846A (ja) 循環型養魚システム
KR102685047B1 (ko) 버켓형 드레인장치를 포함하는 수산종자 육성용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
Ranjan et al.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engineering: Design, components and construction
JP2003010897A (ja) 糞尿処理装置及び糞尿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