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715B1 -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715B1
KR101551715B1 KR1020130167299A KR20130167299A KR101551715B1 KR 101551715 B1 KR101551715 B1 KR 101551715B1 KR 1020130167299 A KR1020130167299 A KR 1020130167299A KR 20130167299 A KR20130167299 A KR 20130167299A KR 101551715 B1 KR101551715 B1 KR 101551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angerous
risk
inform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0127A (ko
Inventor
이현태
이근우
황보상철
배기오
김용준
Original Assignee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디디알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디디알소프트 filed Critical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67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715B1/ko
Publication of KR20150080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1/00Predictive 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extrapolation or other computation using updated historic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취약 지역과 시설물을 자동으로 사전에 점검함으로써 화재 발생 위험성을 낮추어 화재를 사전에 예방하고, 화재 발생시 조기 진압과 사람들을 안전하게 대피시키기 위한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화재 빈도와 화재 위험 지수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 위험 정도를 예측하고 이를 건축물 공간안에 존재하는 화재 위험 지역과 시설물을 사전에 점검하는 하인리히 법칙에 근거한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사전에 점검하도록 함으로써 화재 발생 위험성을 줄여 화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VENTING FIRE OF BULDING}
본 발명은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취약 지역과 시설물을 자동으로 사전에 점검함으로써 화재 발생 위험성을 낮추어 화재를 사전에 예방하고, 화재 발생시 조기 진압과 사람들을 안전하게 대피시키기 위한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는 건물축 및 물적 자산을 태울 뿐만 아니라, 많은 인명 피해를 가져온다. 특히, 빌딩과 같이 대형 건축물인 경우에는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더더욱 물적 및 인적 피해를 가져올 수 있었다. 따라서, 건축물 안에서 발생한 화재를 자동적으로 감지하고자, 최근에는 화재 감지 시스템을 도입하는 경우가 증가되었다.
상기 화재 감지 시스템은 건축물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화재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을 감지하고 이를 운영자의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화재 경보를 발령함으로써, 운영자는 화재 경보를 확인후 해당하는 건축물로 화재 진압 인원을 투입하여 화재 진압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빌딩과 같이 내부 구조가 복잡하고 거대한 건축물인 경우에는 모든 공간안에 화재 감지 센서를 일일이 설치할 수 없었기 때문에 화재를 감지하기란 쉽지 않았다. 대부분 화재가 발생한 이후 사람들의 목격에 의하여 화재 발생을 감지하였다.
이러한 폐단을 극복하고자, 최근에는 화재 예방 시스템을 도입하는 사례가 늘고 있었다. 대표적인 종래의 화재 예방 시스템으로서, 2012년 04월 27일자로 등록된 한국등록특허 제1142849호에서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되었다.
상기 등록 특허는 센싱 정보들의 변화 추이를 수치화하여 목조 건축물의 화재 발생 확률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화재 발생 확률을 이용하여 평가된 상기 목조 건축물의 사회적 위험성에 따라 상기 화재 위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화재 발생 위험 정도를 사전에 탐지하였다.
그러나, 등록 특허는 센싱 정보들의 변화 추이와 사회적 위험성에 근거하여 화재 위험 여부를 판단하고 있는데, 사회적 위험성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개시되 지 않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구현이 어려워 화재를 사전에 예방하기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142849호, 등록일자 : 2012년 04월 27일, 발명의 명칭 :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2.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327096호, 등록일자 : 2003년 09월 06일, 실용신안 명칭 : 건물 화재 예방을 위한 원격 통합 자동 감시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 빈도와 화재 위험 지수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 위험 정도를 예측하고 이를 건축물 공간안에 존재하는 화재 위험 지역과 시설물을 사전에 점검하는 하인리히 법칙에 근거한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3차원 BIM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활용하여 화재 발생 지점과 대피 경로를 알려줄 수 있는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건축물에 설치된 위험 시설과 지역을 사전에 점검하고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기 위한 화재 예방 시스템으로서, 건축물 내부에 존재하는 물리적인 공간 구조와 형상 구조를 포함한 3차원 건축물 데이터를 추출하는 3차원 데이터 추출부; 상기 3차원 건축물 데이터로부터 시설물에 대한 3차원 속성 데이터를 추출하는 속성 데이터 추출부; 상기 3차원 속성 데이터로부터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추출하는 위험 시설물 등록부; 화재 통계자료를 제공받아 상기 화재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화재 요인별 화재 빈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화재 빈도와 화재 위험 지수를 곱하여 화재 위험 요소 정보를 생성하는 위험 요소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화재 위험 요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점검하는 위험 요소 점검부;를 포함하는 화재 예방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위험 요소 점검부는 상기 위험 시설물 정보와 연동된 위험 시설물로부터 수신된 전기적인 이상 신호가 상기 화재 위험 요소 정보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위험 시설물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화재 예방 시스템은 상기 위험 시설물 정보를 점검한 후 위험 요소가 발생할 경우 상기 위험 시설물 정보중 해당하는 위험 시설물에 대해 위험 고지를 알리는 위험 고지 알림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위험 고지 알림부는 상기 위험 지역 정보를 점검한 후 위험 요소가 발생할 경우 위험 지역중 해당하는 위험 지역에 대해 위험 고지를 알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화재 예방 시스템은 상기 추출된 3차원 건축물 데이터, 속성 데이터 및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통합한 BIM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BIM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BIM 데이터를 활용하여 화재 발생 지점과 상기 건축물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휴대 단말기로 대피 경로를 제공하는 화재 감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건축물에 설치된 위험 시설과 지역을 사전에 점검하기 위한 예방 방법으로서, (a) 3차원 데이터 추출부에 의해 건축물 내부에 존재하는 물리적인 공간 구조와 형상 구조를 포함한 3차원 건축물 데이터를 3차원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하는 단계; (b) 위험 시설물 등록부가 상기 3차원 건축물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3차원 속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위험 시설물 등록부에서 추출하는 단계; (c) 위험 요소 생성부가 화재 통계자료를 제공받아 상기 화재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화재 요인별 화재 빈도를 위험 요소 생성부에서 산출하고, 산출된 화재 빈도와 화재 위험 지수를 곱하여 화재 위험 요소 정보를 위험 요소 생성부에서 생성하는 단계; 및 (d) 위험 요소 점검부가 상기 생성된 화재 위험 요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위험 요소 점검부에서 점검하는 단계; 포함하는 화재 예방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d) 단계는 상기 위험 시설물 정보와 연동된 위험 시설물로부터 수신된 전기적인 이상 신호가 상기 화재 위험 요소 정보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위험 시설물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화재 예방 방법은 (e) 상기 위험 시설물 정보를 점검한 후 위험 요소가 발생할 경우 상기 위험 시설물 정보중 해당하는 위험 시설물에 대해 위험 고지를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e) 단계는 상기 위험 시설물 정보를 점검한 후 위험 요소가 발생할 경우 상기 위험 시설물 정보중 해당하는 위험 시설물에 대해 위험 고지 알림부가 위험 고지를 알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화재 예방 방법은 (f) BIM DB가 상기 추출된 3차원 건축물 데이터, 속성 데이터 및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통합한 BIM 데이터를 생성하여 BIM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하는 단계; 및
(g) 화재 감시부가 상기 BIM 데이터를 활용하여 화재 발생 지점과 상기 건축물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휴대 단말기로 대피 경로를 화재 감시부에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빈도와 화재 위험 지수를 곱한 화재 위험 요소 정보에 기초하여 건축물의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사전에 점검하도록 함으로써 화재 발생 위험성을 줄여 화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험 시설물 및 지역을 점검한 후 위험 요소가 발생할 경우 해당 위험 시설물 과 지역에 대하여 위험 고지를 전달하여 주기적으로 모니터링(감시)하도록 함으로써, 더욱더 화재 발생 위험성을 줄여 화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록 화재가 건축물 내부에서 발생되더라도 BIM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 지점과 대피 경로를 알 수 있고, 이를 운영자와 건축물에 거주하는 거주자에게 휴대 단말기를 통해 알려줌으로써 물적 및 인적 피해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 시스템(10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 시스템(100)의 위험 요소 점검부(150)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과 대피 경로와 관련한 화재 예방 시스템(100)의 추가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 방법(S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 방법(S100) 중 화재 발생과 대피 경로 제공과 관련한 화재 예방 방법(S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제1 실시예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 시스템(10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 시스템(100)의 위험 요소 점검부(150)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 시스템(100)은 건축물에 설치된 위험 시설과 취약 지역을 사전에 점검하여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3차원 데이터 추출부(110), 속성 데이터 추출부(120), 위험 시설물 등록부(130), 위험 요소 생성부(140), 위험 요소 점검부(150), 위험 고지 알림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데이터 추출부(110)는 건축물에 대한 3차원 공간 정보, 예컨대, 각 사무실, 복도, 계단 및 화장실과 같이 물리적인 공간구조와 상기 물리적인 공간 구조안에 존재하는 형상, 예컨대 가스기, 난방기, 전기시설, 주방시설 및 대피시설뿐만 아니라 형체가 없는 임의의 공간과 같은 형상 구조를 포함한 3차원 건축물 데이터를 미리 마련된 3차원 캐드 도면으로부터 추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3차원 건축물 데이터는 해당하는 건축물 안에 존재하는 물리적인 구조 및 그속에 존재하는 유무형의 형상 구조를 포함하는 보다 넓은 개념으로서 사용되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속성 데이터 추출부(120)는 3차원 데이터 추출부(110)의 3차원 건축물 데이터로부터 시설물에 대한 3차원 속성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때, 상기 3차원 속성 데이터는 물리적인 공간구조를 갖는 협의의 3차원 건축물 데이터로서, 예컨대 사무실마다 설치된 유형의 시설물 및/또는 무형의 특정 공간 정보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시설물 등록부(130)는 3차원 속성 데이터로부터 유형의 가스기, 난방기, 전기시설, 주방시설 및 대피시설과 같은 위험 시설물 정보를 추출하고, 또 무형의 특정 공간 예컨대 위험 시설물이 설치된 특정 공간과 같은 위험 지역 정보를 추출하여 등록한다.
한편, 이상에서 추출된 3차원 건축물 데이터, 속성 데이터, 위험 시설물 정보 및 위험 지역 정보는 이후의 도 2에서 설명될 BIM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요소 생성부(140)는 해마다 소방 방재청이 화재 통계자료를 공개하고 있으므로 상기 화재 통계자료를 제공받아 화재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화재 요인별 화재 빈도를 먼저 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산출되면, 화재 요인별 화재 빈도가 높은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요소 생성부(140)는 이미 산출된 화재 빈도와 화재 위험 지수를 곱하여 화재 위험 요소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요소 점검부(150)는 위험 요소 생성부(140)에 의해 생성된 화재 위험 요소 정보에 기초하여 앞서 설명한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차례로 점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위험 시설물의 점검은 위험 시설물 정보와 연동된 위험 시설물로부터 수신된 전기적인 이상 신호가 어느 화재 위험 요소 정보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점검을 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요소 점검부(150)는 위와 같은 위험 시설물에 구비된 감지 센서 및/또는 감지 장치(101)로부터 화재 상황을 감지한 전기적인 이상 신호를 제공받는 제1 화재 상황 감지부(151) 및 상기 제1 화재 상황 감지부(151)의 이상 신호에 대응하여 위험 시설물을 점검하는 제1 위험 시설물 점검부(152)를 포함한다.
반면, 상기 위험 지역의 점검은 위험 지역에 설치된 영상 카메라 또는/및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된 영상 정보 및/또는 전기적인 이상 신호를 통해 화재 위험 요소 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검을 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요소 점검부(150)는 위험 지역에 설치된 영상 카메라(102) 및/또는 감지 센서(101)로부터 영상 정보 및/또는 전기적인 이상 신호를 제공받는 제2 화재 상황 감지부(153) 및 상기 제2 화재 상황 감지부(153)의 영상 정보 및/또는 전기적인 이상 신호에 대응하여 위험 지역을 감지하는 제2 위험 지역 점검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두가지 형태의 점검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검 신호를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의 영상 카메라 및/또는 감지 센서로 보내어 정상인지(예 : 설정된 점검신호와 값이 다른 경우)를 확인을 통해 이루어지거나 기설정된 이상 신호값과 비교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위험 고지 알림부(160)는 위험 시설물 정보(실제는 위험 시설물을 지칭함)를 점검한 후 위험 요소가 발생할 경우 위험 시설물 정보중 해당하는 위험 시설물에 대해 위험 고지를 알린다. 이때, 위험 요소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에는 안전 고지를 위험 고지 알림부(160)에서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전 고지를 받게 되면, 추가적인 대응에 성실히 이행한 경우이므로 화재 위험 요소 정보의 하재 위험 지수를 낮추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재차 위험고지를 알려 화재 위험 지수를 높여 위험 고지 알림부(160)에서 설정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위험 고지 알림부(160)는 위험 지역 정보를 점검한 후 위험 요소가 발생할 경우 위험 지역중 해당하는 위험 지역에 대해 위험 고지를 알린다. 이때, 위험 요소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전 고지를 알림은 물론이다.
이러한 안전 고지를 받으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재 위험 지수를 낮추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재차 위험고지를 알려 화재 위험 지수를 높여 위험 고지 알림부(160)에서 설정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70)는 3차원 데이터 추출부(110), 속성 데이터 추출부(120), 위험 시설물 등록부(130), 위험 요소 생성부(140), 위험 요소 점검부(150) 및 위험 고지 알림부(160)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각 구성에서는 해당하는 고유기능 기능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화재 발생과 대피 경로 구성의 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과 대피 경로와 관련한 화재 예방 시스템(100)의 추가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 시스템(100)은 화재 발생시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고 대피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BIM 데이터베이스(180) 및 화재 감시부(190)를 더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BIM 데이터베이스(180)는 앞서 설명한 3차원 데이터 추출부(110), 속성 데이터 추출부(120), 위험 시설물 등록부(130)에 의해 추출된 3차원 건축물 데이터, 속성 데이터 및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통합하여 BIM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3차원 건축물 데이터, 속성 데이터 및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통계 데이터, 예컨대 물리정보, 형상정보, 속성정보 및 유지관리정보 등과 같은 화재방호에 필요한 통계 데이터를 BIM 데이터베이스(180)에서 더 생성하여 저장함은 물론이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부(190)는 BIM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된 BIM 데이터를 활용하여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 지점과 해당 건축물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휴대 단말기(200)로 대피 경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화재 감시부(190)는 건축물의 물리적인 공간 구조 및/또는 형상 구조 공간안에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300), 예컨대 온도 감지 센서, 가스 누출 센서, 휘도 감지 센서 및 안개 감지 센서를 포함한 화재 감지 센서(300)로부터 화재 발생에 대한 이상 신호를 제공받을 경우, 상기 화재 감지 센서(300)로부터 이웃하고 있는 BIM 데이터 및/또는 속성 데이터에 기반하여 화재 발생 지점과 대피 경로를 추출한 후 이를 해당 건축물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휴대 단말기(200)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화재 감시부(190)를 운영하는 운영자 및 화재가 발생한 건축물 내부에 거주하는 거주자는 화재 발생 지점과 대피 경로를 즉시 알 수 있어 화재 진압과 대피를 신속히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 방법(S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 방법(S100)은 건축물에 설치된 위험 시설과 지역을 사전에 점검하고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기 위하여 S110 단계 내지 S160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S110 단계에서는 건축물에 대한 3차원 공간 정보, 예컨대, 각 사무실, 복도, 계단 및 화장실과 같이 물리적인 공간구조와 상기 물리적인 공간 구조안에 존재하는 형상, 예컨대 가스기, 난방기, 전기시설, 주방시설 및 대피시설뿐만 아니라 형체가 없는 임의의 공간과 같은 형상 구조를 포함한 3차원 건축물 데이터를 미리 마련된 3차원 캐드 도면으로부터 추출하게 된다. 이러한 추출 과정은 3차원 데이터 추출부(110)에서 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 3차원 건축물 데이터는 해당하는 건축물 안에 존재하는 물리적인 구조 및 그속에 존재하는 유무형의 형상 구조를 포함하는 보다 넓은 개념으로서 사용되었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20 단계에서는 3차원 데이터 추출부(110)의 3차원 건축물 데이터로부터 시설물에 대한 3차원 속성 데이터를 속성 데이터 추출부(120)에서 추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3차원 속성 데이터는 물리적인 공간구조를 갖는 협의의 3차원 건축물 데이터로서, 예컨대 사무실마다 설치된 유형의 시설물 및/또는 무형의 특정 공간 정보를 의미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S120 단계에서는 앞서 추출된 3차원 속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형의 가스기, 난방기, 전기시설, 주방시설 및 대피시설과 같은 위험 시설물 정보를 위험 시설물 등록부(130)에서 추출하고, 또 무형의 특정 공간 예컨대 위험 시설물이 설치된 특정 공간과 같은 위험 지역 정보를 위험 시설물 등록부(130)에서 추출한 후 등록하게 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30 단계에서는 해마다 소방 방재청이 화재 통계자료를 공개하고 있으므로 상기 화재 통계자료를 제공받아 화재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화재 요인별 화재 빈도를 위험 요소 생성부(140)에서 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산출되면, 화재 요인별 화재 빈도가 높은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S130 단계에서는 이미 산출된 화재 빈도와 화재 위험 지수를 곱하여 화재 위험 요소 정보를 위험 요소 생성부(140)에서 생성하게 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40 단계에서는 S130 단계에 의해 생성된 화재 위험 요소 정보에 기초하여 앞서 설명한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차례로 위험 요소 점검부(150)에서 점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위험 시설물의 점검은 위험 시설물 정보와 연동된 위험 시설물로부터 오는 전기적인 이상 신호가 특정 화재 위험 요소 정보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의미하고, 상기 위험 지역의 점검은 위험 지역에 설치된 영상 카메라 또는/및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영상 정보 및/또는 전기적인 이상 신호가 특정 화재 위험 요소 정보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때, 전기적인 이상 신호 및/또는 영상 정보는 위험 시설물 및/또는 위험 지역에 구비된 감지 센서 및/또는 영상 카메라를 통해 제공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50 단계에서는 S140 단계에서 위험 시설물 정보를 점검한 후 위험 요소가 발생할 경우 점검 대상인 위험 시설물 정보중 해당하는 위험 시설물에 대해 위험 고지를 위험 고지 알림부(160)에서 알린다. 그러나, 위험 요소가 없는 경우에는 안전 고지를 위험 고지 알림부(160)에서 알리게 된다(S16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S150 단계에서는 S140 단계에서 위험 지역 정보를 점검한 후 위험 요소가 발생할 경우 점검 대상인 위험 지역중 해당하는 위험 지역에 대해 위험 고지를 위험 고지 알림부(160)에서 알린다. 그러나, 위험 요소가 없은 경우에는 안전 고지를 위험 고지 알림부(160)에서 알리게 된다(S160).
안전 고지(S160)가 이루어지면, 추가적인 대응에 성실히 이행한 경우이므로 화재 위험 요소 정보의 화재 위험 지수를 낮추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재차 위험고지를 알려 화재 위험 지수를 높이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화재 빈도와 화재 위험 지수를 곱한 화재 위험 요소 정보에 기초하여 건축물의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사전에 점검하도록 함으로써 화재 발생 위험성을 줄여 화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화재 발생과 대피 경로 방법의 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 방법(S100) 중 화재 발생과 대피 경로 제공과 관련한 화재 예방 방법(S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 방법(S100)은 건축물에 설치된 위험 시설과 위험 지역에서 발생된 화재를 발령하고, 대피 경고를 제공하기 위하여 S170 단계 및 S180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S170 단계에서는 앞서 설명한 S110 단계 및 S120 단계에 의해 추출된 3차원 건축물 데이터, 속성 데이터 및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통합하여 BIM 데이터를 BIM 데이터베이스(180)에서 생성하고 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S170 단계에서는 3차원 건축물 데이터, 속성 데이터 및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통계 데이터, 예컨대 물리정보, 형상정보, 속성정보 및 유지관리정보 등과 같은 화재방호에 필요한 통계 데이터를 BIM 데이터베이스(180)에서 더 생성하여 저장함은 물론이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80 단계에서는 BIM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된 BIM 데이터를 활용하여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 지점과 해당 건축물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휴대 단말기(200)로 대피 경로를 화재 감시부(190)에서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S180 단계에서는 건축물의 물리적인 공간 구조 및/또는 형상 구조 공간안에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300), 예컨대 온도 감지 센서, 가스 누출 센서, 휘도 감지 센서 및 안개 감지 센서를 포함한 화재 감지 센서(300)로부터 화재 발생에 대한 이상 신호를 화재 감시부(190)에서 제공받을 경우, 상기 화재 감지 센서(300)로부터 이웃하고 있는 BIM 데이터 및/또는 속성 데이터에 기반하여 화재 발생 지점과 대피 경로를 화재 감시부(190)에서 추출한 후 이를 해당 건축물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휴대 단말기(200)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화재 감시부(190)를 운영하는 운영자 및 화재가 발생한 건축물 내부에 거주하는 거주자는 화재 발생 지점과 대피 경로를 즉시 알 수 있어 화재 진압과 대피를 신속히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화재예방 시스템의 화재감시부(190)는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예방 시스템 앱을 다운 받은 건축물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휴대단말기의 라이트 기능이 작동되도록하여 대피시 조명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 화재 예방 시스템 101 : 감지 센서
102 : 영상 카메라 110 : 3차원 데이터 추출부
120 : 속성 데이터 추출부 130 : 위험 시설물 등록부
140 ; 위험 요소 생성부 150 : 위험 요소 점검부
160 : 위험 고지 알림부 170 : 제어부
180 : BIM 데이터베이스 190 : 화재 감시부
200 : 휴대 단말기

Claims (10)

  1. 건축물에 설치된 위험 시설과 지역을 사전에 점검하고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기 위한 화재 예방 시스템으로서,
    건축물 내부에 존재하는 물리적인 공간 구조와 형상 구조를 포함한 3차원 건축물 데이터를 추출하는 3차원 데이터 추출부;
    상기 3차원 건축물 데이터로부터 시설물에 대한 3차원 속성 데이터를 추출하는 속성 데이터 추출부;
    상기 3차원 속성 데이터로부터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추출하는 위험 시설물 등록부;
    화재 통계자료를 제공받아 상기 화재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화재 요인별 화재 빈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화재 빈도와 화재 위험 지수를 곱하여 화재 위험 요소 정보를 생성하는 위험 요소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화재 위험 요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점검하는 위험 요소 점검부;를 포함하는 화재 예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요소 점검부는 상기 위험 시설물 정보와 연동된 위험 시설물로부터 수신된 전기적인 이상 신호가 상기 화재 위험 요소 정보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위험 시설물을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예방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시설물 정보를 점검한 후 위험 요소가 발생할 경우 상기 위험 시설물 정보중 해당하는 위험 시설물에 대해 위험 고지를 알리는 위험 고지 알림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예방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고지 알림부는 상기 위험 지역 정보를 점검한 후 위험 요소가 발생할 경우 위험 지역중 해당하는 위험 지역에 대해 위험 고지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예방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3차원 건축물 데이터, 속성 데이터 및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통합한 BIM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BIM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BIM 데이터를 활용하여 화재 발생 지점과 상기 건축물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휴대 단말기로 대피 경로를 제공하는 화재 감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예방 시스템.
  6. 건축물에 설치된 위험 시설과 지역을 사전에 점검하고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기 위한 화재 예방시스템을 이용한 화재 예방 방법으로서,
    (a) 3차원 데이터 추출부(110)에 의해 건축물 내부에 존재하는 물리적인 공간 구조와 형상 구조를 포함한 3차원 건축물 데이터를 3차원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하는 단계;
    (b) 위험 시설물 등록부(130)가 상기 3차원 건축물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3차원 속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위험 시설물 등록부에서 추출하는 단계;
    (c) 위험 요소 생성부(140)가 화재 통계자료를 제공받아 상기 화재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화재 요인별 화재 빈도를 위험 요소 생성부에서 산출하고, 산출된 화재 빈도와 화재 위험 지수를 곱하여 화재 위험 요소 정보를 위험 요소 생성부에서 생성하는 단계; 및
    (d) 위험 요소 점검부(150)가 상기 생성된 화재 위험 요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위험 요소 점검부에서 점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재 예방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위험 시설물 정보와 연동된 위험 시설물로부터 수신된 전기적인 이상 신호가 상기 화재 위험 요소 정보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위험 시설물을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예방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e) 상기 위험 시설물 정보를 점검한 후 위험 요소가 발생할 경우 상기 위험 시설물 정보중 해당하는 위험 시설물에 대해 위험 고지 알림부(160)가 위험 고지를 위험 고지 알림부에서 알리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예방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위험 지역 정보를 점검한 후 위험 요소가 발생할 경우 위험 지역중 해당하는 위험 지역에 대해 위험 고지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예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f) BIM DB(180)가 상기 추출된 3차원 건축물 데이터, 속성 데이터 및 위험 시설물과 위험 지역 정보를 통합한 BIM 데이터를 생성하여 BIM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하는 단계; 및
    (g) 화재 감시부(190)가 상기 BIM 데이터를 활용하여 화재 발생 지점과 상기 건축물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휴대 단말기로 대피 경로를 화재 감시부에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예방 방법.
KR1020130167299A 2013-12-30 2013-12-30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101551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299A KR101551715B1 (ko) 2013-12-30 2013-12-30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299A KR101551715B1 (ko) 2013-12-30 2013-12-30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127A KR20150080127A (ko) 2015-07-09
KR101551715B1 true KR101551715B1 (ko) 2015-09-10

Family

ID=53791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299A KR101551715B1 (ko) 2013-12-30 2013-12-30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7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509B1 (ko) * 2019-01-11 2019-10-10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화재 위험도 평가 결과를 이용하는 노후 건축물의 안전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788B1 (ko) 2015-08-04 2016-06-07 주식회사 이베리타임 Icam을 활용한 실시간 화재-공기질 안전 모니터링 및 비상조치, 그 제공방법
KR101700322B1 (ko) * 2016-04-15 2017-02-13 (주)한국이에프티엔지니어링 건축물 화재 자동 감지 및 진압장치
CN110637330B (zh) 2017-03-20 2021-12-10 霍顿集团有限公司 消防安全装置方法和***
KR101972957B1 (ko) * 2018-11-21 2019-08-28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기존 건축물 소방시설의 화재위험도평가 및 점검 시스템
KR102234346B1 (ko) * 2018-12-13 2021-03-31 (주) 파이디언 소방 안전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2322427B1 (ko) * 2019-10-30 2021-11-0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빅데이터 기반의 건축물 화재 예방 대응 시스템
KR102360573B1 (ko) * 2019-11-05 2022-02-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Bim 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를 위한 위험도 평가방법
CN111667657A (zh) * 2020-05-21 2020-09-15 广州鑫泓设备设计有限公司 一种通讯设备机电管理装置及***方法
CN112614295A (zh) * 2020-12-14 2021-04-06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基于智能感知终端的火灾监测预警***
KR102604587B1 (ko) * 2021-10-18 2023-11-23 주식회사 로제타텍 화재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가툴 산출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653B1 (ko) 2012-04-05 2013-09-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빔(bim)기반 상황 인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653B1 (ko) 2012-04-05 2013-09-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빔(bim)기반 상황 인지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509B1 (ko) * 2019-01-11 2019-10-10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화재 위험도 평가 결과를 이용하는 노후 건축물의 안전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127A (ko) 201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1715B1 (ko)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102126281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CN206058455U (zh) 一种具备三种等级烟雾识别的火灾图像识别***
CN102870144B (zh) 采用网络服务器和电子邮件通知的抽吸环境传感器
KR100985804B1 (ko) 통합 재난관리 시스템
KR102501053B1 (ko) 복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CN111476970A (zh) 一种火灾监测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2184678A (zh) 图像识别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处理器
CN110689698A (zh) 一种小区火灾预警和逃生***及其提示方法
CN110910604B (zh) 用于火灾报警的监控方法、***以及装置
US20140293049A1 (en) Fire Detection and Surveillance System
CN104850047A (zh) 电力设备安全监控***
KR102416892B1 (ko) 재난대응절차 기반 센서-서버 간 지능형 재난대응시스템
KR101817940B1 (ko) 듀얼 영상 카메라를 이용한 이상징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551716B1 (ko) 아날로그 주소형 감지기를 이용한 건축물 소방안전 시스템
CN111178828A (zh) 一种建筑消防安全预警的方法和***
KR20140124462A (ko) 화재 대피자 상황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4360194B (zh) 一种多点监控可视化相阵式火灾报警***
KR102103786B1 (ko) 지능형 화재 대피 유도시스템
CN109785547B (zh) 安全警示方法、装置、控制***和存储介质
KR102619081B1 (ko) 영상 기반 위험 상황 감지 시스템
KR20150061289A (ko) Usn 기반의 화재 경로 예측 시스템
CN111178693A (zh) 一种基于二维码的消防设备管理***
KR20150089313A (ko) 화재 및 폭발 위험 시설물의 관리를 위한 소방 방재 지도 제작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37474B1 (ko) 터널 자동제어시스템에 적용되는 3d 영상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