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047B1 - 전기철도차량기지의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철도차량기지의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047B1
KR101549047B1 KR1020150101731A KR20150101731A KR101549047B1 KR 101549047 B1 KR101549047 B1 KR 101549047B1 KR 1020150101731 A KR1020150101731 A KR 1020150101731A KR 20150101731 A KR20150101731 A KR 20150101731A KR 101549047 B1 KR101549047 B1 KR 101549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fixed
electric railway
catenary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원
Original Assignee
김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원 filed Critical 김연원
Priority to KR1020150101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0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8Manufacturing or repairing trolle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60M1/22Separate lines from which power lines are suspended, e.g. catenary lines, supporting-lines under t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철도차량기지의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기철도차량의 검수 및 정비시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확보하고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차선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되, 전차선을 상하 방향으로 수직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전기철도차량기지의 공간상 제약을 받지 않고, 구조가 간단하며, 이동 전차선의 휨이나 뒤틀림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고 일측 단부가 전도선과 연결되며 포스트에 의해 전기철도차량기지 내에 가설(架設)된 고정 전차선(110)과; 상기 전기철도차량기지 내에서 상기 고정 전차선과 일직선 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고정 전차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량에 전류를 공급하는 이동 전차선(120)과; 상기 전기철도차량기지의 천장 부분에 설치된 차량기지 구조물(130)과; 상단부가 상기 차량기지 구조물에 고정되고 하단부에는 애자를 매개로 연결된 고정 브라켓이 상기 이동 전차선을 고정하며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마련된 수직신축수단(140)과; 상기 수직신축수단에 연결되어 수직신축수단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임으로써 상기 이동 전차선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리프터(150); 를 포함하는 전기철도차량기지의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기철도차량기지의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Scissiors moveable catenary system for electric railway depot}
본 발명은 전기철도차량기지의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기철도차량의 검수 및 정비시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차량기지 내의 이동식 전차선을 상하로 수직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기철도차량기지의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속철도의 개통과 더불어 21세기 신교통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전기철도는 최근 전기철도의 고속화, 대용량화, 운전 시간 간격의 단축으로 인한 대량 운전화가 됨에 따라 전차선로의 성능, 신뢰도, 보안도 향상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차선로라 함은 전기열차의 집전장치와 접촉하여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차선 등의 가선설비와 이에 부속하는 설비를 총칭하여 전차선로라 정의 할 수 있다.
전기열차의 주행 시 필요한 전력은 가설된 전차선 및 차량의 팬터그라프의 집전장치를 통하여 공급받게 되는데, 전기열차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차선의 가선 방식에는 전기를 급전하는 방식에 따라 분류되고 있으며, 가선하고자 하는 선로의 조건 등에 따라 전차선을 여러가지 방식으로 조가하고 있다.
전차선의 가선 방식으로는 가공식(Over Head System), 강체식(Rigid System), 그리고 제3궤조식(Third Rail System)으로 분류되며, 전차선의 조가방식에는 직접 조가 방식과 커티너리 조가 방식이 있다.
한편, 종래에 여러 형태의 가선방식들은 열차의 주행 이외에 차량의 검수 및 유지보수와 관련된 일련의 작업, 특히 차량 상부에서의 유지보수 및 점검에 관련된 작업에 있어서는 충분한 작업공간이 확보되지 못하고, 더욱이 전기열차가 운행하는 25KV의 특고압을 사용하는 AC구간 및 1.5KV의 고압을 사용하는 DC 구간 등에서는 감전, 추락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국내 공개특허 제 2006-0003941호(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점검 및 유지보수가 이루어지는 전기열차 차량 기재 내의 검수고 내부에 전차선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모터브라켓과 힌지브라켓을 이용하여 전차선을 지지토록 함으로써 차량의 점검 및 유지보수 시 전차선의 일부구간이 검수고의 벽측으로 회동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전차선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이 모터브라켓과 힌지브라켓을 이용한 전차선의 회동 방식은, 전차선을 이동시킬 때 일정 길이를 가진 제1지지브라켓이 구동모터를 축으로 회동함에 따른 회동 반경에 의해 불필요한 이동공간이 발생하므로 검수고의 공간 활용성이 저해되고, 복수 개의 구동모터가 하나의 전차선을 회동시키기 위해 동시에 진행할 때 각 구동모터의 회전 속도가 차이가 있으면 전차선이 뒤틀리거나 휘어져 변형이 발생하는 등 구조적으로 불안정하며 내구성이 저하되며, 회동에 따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고가이고, 그만큼 보수가 빈번하여 유지, 관리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국내 등록특허 제 10-0940767호(특허문헌 2)와 같이, 일단이 검수고 내에 고정되고 일정 길이를 가진 복수 개의 포스트가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 신축수단과, 상기 신축수단의 타단에 애자를 매개로 연결되고 하단에 이동측 전도선을 고정한 이동 전차선과, 상기 이동 전차선과 일직선 상으로 설치되고 하단에 고정측 전도선을 고정한 고정 전차선과, 상기 이동 전차선과 고정 전차선의 단부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평 평행이동식 전차선 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경우, 일측 단부가 검수고 내에 고정된 신축수단이 수평으로 신축되는 구조로서 이동 전차선의 중량과 신축수단의 자체 중량에 의해 이동 전차선 측의 처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안정적이지 못하고, 또한 좌우 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데, 차량 선로의 궤도 간 거리가 짧은 지하철 차량기지 등에 적용할 때 공간상의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하나의 이동 전차선에 대해 다수의 신축수단이 연결되는데 각각의 신축수단의 신축 거리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동 전차선이 휘거나 뒤틀릴 우려가 있어서 내구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복잡한 구조물이 적용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6-0003941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940767호
상기의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철도차량의 검수 및 정비시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확보하고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차선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되, 전차선을 상하 방향으로 수직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전기철도차량기지의 공간상 제약을 받지 않고, 구조가 간단하며, 다수의 수직신축수단 각각의 신축거리가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적의 대응하여 이동 전차선의 휨이나 뒤틀림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철도차량기지의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전기철도차량기지의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은, 일정 길이를 가지고 일측 단부가 전도선과 연결되며 포스트에 의해 전기철도차량기지 내에 가설(架設)된 고정 전차선과; 상기 전기철도차량기지 내에서 상기 고정 전차선과 일직선 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고정 전차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량에 전류를 공급하는 이동 전차선과; 상기 전기철도차량기지의 천장 부분에 설치된 차량기지 구조물과; 상단부가 상기 차량기지 구조물에 고정되고 하단부에는 애자를 매개로 연결된 고정 브라켓이 상기 이동 전차선을 고정하며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마련된 수직신축수단과; 상기 수직신축수단에 연결되어 수직신축수단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임으로써 상기 이동 전차선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리프터; 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 전차선이 고정 전차선과 연결시 이동 전차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하고, 이동 전차선이 상측으로 이동시 이동 전차선으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철도차량기지의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이동 전차선이 상하 방향으로 수직 이동하므로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서 설치 공간상 제약을 받지 않으며, 이에 따라 예컨대 지하철 차량기지와 같이 전차선의 궤도간 거리가 짧은 차량기지에 설치할 수 있다.
둘째, 이동 전차선이 상하 접이식 신축수단과 모터 및 잭 리프터에 의해 구동하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구조적 결함 발생이 적으며 유지 관리비용이 저렴하다.
셋째, 수직신축수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한 완충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이동 전차선에 다수의 신축수단이 연결될 때 각각의 수직신축수단의 이동 거리차가 발생하더라도 이동전차선의 휨이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어서 안정성이 확보되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의 요부 측면도로서 이동 전차선이 고정 전차선과 연결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의 요부 측면도로서 이동 전차선이 고정 전차선과 분리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도 4의 'B'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의 'C'방향 관측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도면에서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의 요부 측면도로서 이동 전차선이 고정 전차선과 연결된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의 요부 측면도로서 이동 전차선이 고정 전차선과 분리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5는 도 4의 'B'부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5의 'C'방향 관측도이다.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전기철도차량기지(100)는 전기철도차량(101)이 전차선로(102)를 타고 진입하여 집전부(103)와 이동 전차선(120)의 접촉을 해지(분리)한 상태, 즉 전원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전기철도차량(101)의 검수 및 점검을 하기 위해 마련된 곳이다.
특히 전기철도차량(101)의 지붕 부분을 검수 및 점검하기 위해서 전기철도차량기지(100) 내에는 작업대(104), 추락방지대(105) 및 부품 이송을 위한 호이스트(106) 등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은, 상기 이동 전차선(120)이 상하 방향으로 수직 이동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위와 같은 특징적 구성을 위해서 본 발명은, 고정 전차선(110), 이동 전차선(120), 차량기지 구조물(130), 수직신축수단(140), 리프터(15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전차선(120)은 일정 길이를 가진 바 형태이고, 일측 단부가 전도선(111)과 연결됨으로써 그것과 접촉된 전기철도차량(101)의 집전부(103)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포스트(112)에 의해 전기철도차량기지(100) 내부의 일부분에 가설(架設)된다.
상기 이동 전차선(120)은, 상기 전기철도차량기지(100) 내에서 상기 고정 전차선(120)과 일직선 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고정 전차선(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량에 전류를 공급한다.
상기 고정 전차선(110)에는 고정측 커넥터(113)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 전차선(120)에는 상기 고정측 커넥터(11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이동측 커넥터(121)가 구비되며, 이때 도 2와 같이 이동 전차선(120)이 하강 위치시 고정측 커넥터(113)와 이동식 커넥터(121)가 상호 접속되어 전류가 흐르고, 반대로 도 4와 같이 이동식 전차선(120)이 상승 위치시 이동식 커넥터(121)가 고정측 커넥터(113)에서 분리 및 상승함으로써 상기 전기철도차량기지(100) 내에 위치한 전기철도차량(101)으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한다.
상기 차량기지 구조물(130)은 상기 전기철도차량기지(100)의 천장 부분에 설치된 구조물로서, 보 또는 천장일 수 있으며, 상기 수직신축수단(140)을 매달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라면 그 종류나 구조에 제한이 없다.
상기 수직신축수단(140)은,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마련된 것으로, 상단부가 상기 차량기지 구조물(130)에 고정되고, 하단부에는 애자(147)를 매개로 연결된 고정 브라켓(148)이 상기 이동 전차선(120)을 고정하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신축수단(140)은, 지지바(142), 단일 또는 다수 개의 X형 링크바(143), Y형 링크바(144), 애자(147) 및 고정브라켓(148)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바(142)는, 일정 길이를 가진 바 형태이고, 상기 차량기지 구조물(130)에 고정되며, 수평 방향으로 길게 구멍이 형성된 장홀인 가이드홀(1141) 한 쌍이 각각 지지바(142)의 양측 부분에 천공되어 있다.
상기 X형 링크바(143)는, 2개의 막대가 각각 'X'자로 교차 형성된 것으로, 상기 X형 링크바(143)의 교차지점에는 각각의 막대가 서로의 교차지점에서 제1힌지(145)로 연결되어 마치 가위와 같이 서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X형 링크바(143)는 한개가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도시한 예와 같이 3개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각 X형 링크바(143)의 하단에는 제2힌지(146)가 형성됨으로써 X형 링크바(143)의 상단과 하단을 잇는 제2힌지(146) 부분에서 서로 회동할 수 있다. 물론 상기 X형 링크바(143)는 2개가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4개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X형 링크바(143)의 설치 수량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이때 최상측에 위치한 X형 링크바(143)의 각 상단 부분은 상기 가이드홀(141)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상기 X형 링크바(143)의 각 상단은 상기 가이드홀 (141)내에서 수평 왕복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Y형 링크바(144)는, 각 상단부가 각각 최하부에 위치한 상기 X형 링크바(143)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이때 X형 링크바(143)의 하단부와 Y형 링크바(144)의 상단부 연결 지점에도 제2힌지(146)가 형성됨으로써 상호 회동할 수 있다.
상기 Y형 링크바(144)의 하단부에는 상기 애자(147)가 연결되며, 상기 애자(147)의 하단부에는 이동 전차선(120)을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148)이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X형 링크바(143)의 각 교차지점에는 제1힌지(145)가 형성되어 2개의 막대가 상호 회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X형 링크바(143)의 하단부에는 제2힌지(146)가 형성되어 각각의 X형 링크바(143) 및 Y형 링크바(144)의 연결 지점이 상호 회동 가능하다.
상기 리프터(150)는, 상기 수직신축수단(140)에 연결되어 상기 수직신축수단(140)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임으로써 상기 이동 전차선(12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동 장치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리프터(150)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고, 구동모터(151)의 구동축(153)과 구동기어(154)를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151)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리프터(15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51) 및 리프터(150)의 연결 구조는 도시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어, 벨트, 체인 등의 다양한 기구적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151)의 회전에 의해 리프터(150)가 승하강할 수 있는 구조이면 그 세부적인 구조에 제한은 없다.
한편, 상기 리프터(150)의 하단부는 최상부에 위치하는 X형 링크바(143)의 제1힌지(145) 축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도 3과 같이 구동모터(151)를 작동시켜서 리프터(150)를 상승시키면, 최상위 X형 링크바(163)의 제1힌지(145) 축이 상승하고, 동시에 최상위 X형 링크바(163)의 상단 부분은 가이드홀(141)을 타고 좌우로 벌어지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수직신축수단(140)의 상하 길이가 축소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직신축수단(140)의 하부에 고정된 이동 전차선(120)이 상승하여 고정 전차선(110)과 분리된다. 물론, 구동모터(151)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다시 수직신축수단(140)의 상하 길이가 길어지면서 도 2와 같이 이동 전차선(120)이 하강하여 고정 전차선(110)과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상기 이동 전차선(120)이 고정 전차선(110)과 연결되면 이동 전차선(120)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하여 전기철도차량(101)을 구동시킬 수 있고, 반대로 이동 전차선(120)이 상측으로 이동시 이동 전차선(120)으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므로 전기철도차량(101)의 검수 및 점검이 가능하다.
여기서, 도 2 및 도 4와 같이 상기 이동 전차선(120)은 실질적으로 수직신축수단(140)에 의해 가설된 구조이고, 이동 전차선(120)을 안정적으로 가설하기 위해서는 이동 전차선(120)에 대해 다수 개의 수직신축수단(140)이 설치된다.
이 경우 각각의 수직신축수단(140)의 이동 거리가 다를 경우, 즉 예를 들면 좌/우측에 위치한 수직신축수단(140)의 신축량과 가운데에 위치한 수직신축수단(140)의 신축량이 서로 다르면, 이동 전차선(120)에 휘거나 뒤틀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 3 및 도 5와 같이 상기 리프터(150)와 상기 리프터(150)에 연결된 제1힌지(145) 축 사이에는 예를 들면 상하 방향으로 탄성 신축되는 상하길이 가변수단(152)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리프터(150)와 상기 제1힌지(145) 축 사이의 전체 상하 길이가 상기 상하길이 가변수단(152)의 자체 신축성에 의해 일정량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이 이동 전차선(120)을 다수 개의 수직신축수단(140)을 이용하여 올리거나 내릴 때 각 수직신축수단(140)의 신축량이 다소 차이가 있더라도 상하길이 가변수단(152)에 의해 각 수직신축수단(140)에서 발생하는 신축량 차이를 보상하므로 전체 수직신축수단(140)의 신축량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동 전차선(120)의 급격한 휨이나 충격이 방지되어 이동 전차선(120)의 내구적 수명을 저해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나 수치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전기철도차량기지
110... 고정 전차선 111... 전도선
112... 포스트 113... 고정측 커넥터
120... 이동 전차선 121... 이동측 커넥터
130... 차량기지 구조물
140... 수직신축수단 141... 가이드홀 142... 지지바
143... X형 링크바 144... Y형 링크바 145... 제1힌지
146... 제2힌지 147... 애자 148... 고정브라켓
150... 리프터 151... 구동모터
152... 상하길이 가변수단 153... 구동축 154... 구동기어

Claims (5)

  1. 일정 길이를 가지고 일측 단부가 전도선과 연결되며 포스트에 의해 전기철도차량기지 내에 가설된 고정 전차선과;
    상기 전기철도차량기지 내에서 상기 고정 전차선과 일직선 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고정 전차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량에 전류를 공급하는 이동 전차선과;
    상기 전기철도차량기지의 천장 부분에 설치된 차량기지 구조물과;
    상단부가 상기 차량기지 구조물에 고정되고 하단부에는 애자를 매개로 연결된 고정 브라켓이 상기 이동 전차선을 고정하며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마련된 수직신축수단과;
    상기 수직신축수단에 연결되어 수직신축수단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임으로써 상기 이동 전차선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리프터;
    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 전차선이 고정 전차선과 연결시 이동 전차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하고, 이동 전차선이 상측으로 이동시 이동 전차선으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차량기지의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전차선에는 고정측 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 전차선에는 상기 고정측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이동측 커넥터가 구비되어 이동 전차선이 하강 위치시 상호 접속되고 상승 위치시 분리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차량기지의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수직신축수단은, 상기 차량기지 구조물에 고정되고 양측에 수평 방향의 장홀이 천공된 한 쌍의 가이드홀이 구비된 지지바와, 상단부가 각각 상기 가이드홀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홀 내에서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된 단일 또는 다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연설된 X형 링크바와, 상단부가 각각 상기 X형 링크바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하단부에 상기 애자가 연결된 Y형 링크바와, 상기 X형 링크바의 교차지점에 형성되어 각 링크바가 회동 가능하게 하는 제1힌지와, 상기 X형 링크바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각 링크바가 회동 가능하게 하는 제2힌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차량기지의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고,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구동기어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되며, 하단부가 최상부에 위치하는 제1힌지 축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차량기지의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와 상기 리프터에 연결된 제1힌지 축 사이에 상하길이 가변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리프터와 상기 제1힌지 사이의 상하 길이가 가변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차량기지의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KR1020150101731A 2015-07-17 2015-07-17 전기철도차량기지의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KR101549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731A KR101549047B1 (ko) 2015-07-17 2015-07-17 전기철도차량기지의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731A KR101549047B1 (ko) 2015-07-17 2015-07-17 전기철도차량기지의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047B1 true KR101549047B1 (ko) 2015-09-01

Family

ID=54246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731A KR101549047B1 (ko) 2015-07-17 2015-07-17 전기철도차량기지의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0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7324A1 (de) * 2017-11-16 2019-05-23 Furrer + Frey Ag Scherengelenk
CN112026591A (zh) * 2020-07-31 2020-12-04 智慧支点(北京)科技有限公司 接触线组件连接装置及移动接触网***
KR102347355B1 (ko) * 2021-06-18 2022-01-05 한국철도공사 전차선 자동접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767B1 (ko) 2009-11-02 2010-02-05 주식회사 강이엠테크 수평 평행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KR101030868B1 (ko) 2010-12-31 2011-04-22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이동식 전차선
KR101413670B1 (ko) 2014-04-14 2014-07-04 주식회사 강이엠테크 직류 전기철도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767B1 (ko) 2009-11-02 2010-02-05 주식회사 강이엠테크 수평 평행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KR101030868B1 (ko) 2010-12-31 2011-04-22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이동식 전차선
KR101413670B1 (ko) 2014-04-14 2014-07-04 주식회사 강이엠테크 직류 전기철도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7324A1 (de) * 2017-11-16 2019-05-23 Furrer + Frey Ag Scherengelenk
CN112026591A (zh) * 2020-07-31 2020-12-04 智慧支点(北京)科技有限公司 接触线组件连接装置及移动接触网***
CN112026591B (zh) * 2020-07-31 2024-04-09 智慧支点(北京)科技有限公司 接触线组件连接装置及移动接触网***
KR102347355B1 (ko) * 2021-06-18 2022-01-05 한국철도공사 전차선 자동접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14474A1 (en) Contact apparatus and charging contact unit and metho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vehicle to a charging station
CN110267840B (zh) 用于多极式架空线***的受电弓
US9845024B2 (en) Gantry type movable catenary system at a railway crossing
RU2668453C2 (ru) Заря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 заряжаем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2239105A (zh) 用于运载工具,尤其是用于集装箱堆垛起重机“rtg”的集电器***
CN104169121B (zh) 用于在架空式充电站对车辆的电储能器充电的电流传输设备
KR101549047B1 (ko) 전기철도차량기지의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KR100940767B1 (ko) 수평 평행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CN102458902A (zh) 车辆顶盖的集电器设备
JP2024045270A (ja) 車両を充電ステーションに電気的に接続するための高速充電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0116954A (zh) 双层电梯***
CN101580023B (zh) 单杆转动型公交电车受电杆
CN219191981U (zh) 一种接触悬挂张力调节装置及移动接触悬挂装置
CN217778431U (zh) 电气化铁路低净空移动接触网
CN216709078U (zh) 电气化铁路大型货场柔性重力补偿式移动接触网
CN114633666A (zh) 伸出式支持装置、移动接触网及操作方法
CN211995253U (zh) 一种用于临时连接井下巷道电机车滑触线的装置
CN112026591B (zh) 接触线组件连接装置及移动接触网***
CN212243037U (zh) 接触线连接装置及移动接触网***
CN209767005U (zh) 绝缘子更换辅助装置
KR101222487B1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모듈 설치 장치
CN111890992A (zh) 移动接触线支撑装置及移动接触网***
CN213768317U (zh) 一种低净空装煤站轨道电气化装置
CN216709076U (zh) 移动接触网中间支柱调节装置及移动接触网
CN214607170U (zh) 电气化铁路移动接触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