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344B1 - 진동 트랜스듀서 및 이식형 보청기 - Google Patents

진동 트랜스듀서 및 이식형 보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344B1
KR101548344B1 KR1020140029755A KR20140029755A KR101548344B1 KR 101548344 B1 KR101548344 B1 KR 101548344B1 KR 1020140029755 A KR1020140029755 A KR 1020140029755A KR 20140029755 A KR20140029755 A KR 20140029755A KR 101548344 B1 KR101548344 B1 KR 101548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window
distal end
signal
corrug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호
성기웅
이정현
임형규
신동호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29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344B1/ko
Priority to US14/644,658 priority patent/US1005769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344B1/ko
Priority to US16/038,518 priority patent/US1063111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4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 H04R25/606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acting directly on the eardrum, the ossicles or the skull, e.g. mastoid, tooth, maxillary or mandibular bone, or mechanically stimulating the cochlea, e.g. at the oval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67Implantable hearing aids or parts thereof not covered by H04R25/6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트랜스듀서 및 이식형 보청기에 관한 것으로, 이식형 보청기는 피이식체에 이식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처리하여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 음향 신호를 피이식체의 정원창 측으로 전달하도록 제공되는 음향 전달관; 및 음향 신호에 따른 진동을 정원창에 전달하도록 음향 전달관의 말단 측에 제공되는 주름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동 트랜스듀서 및 이식형 보청기{VIBRANT TRANSDUCER AND IMPLANTABLE HEARING DEVICE}
본 발명은 진동 트랜스듀서 및 이식형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화 및 성능이 우수한 음향 기기의 광범위한 보급에 따라 전 세계의 난청 인구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난청 인구는 기존 보청기의 도움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경도(mild) 및 중등(moderate) 난청 그룹과 기존 보청기의 도움으로 쉽게 해소할 수 없는 중고도(moderately severe) 및 고도(severe) 난청 그룹, 마지막으로 인공와우(cochlear implant)에만 의지하여 해결할 수 있는 심도(profound) 난청 및 선천성 청각 장애 그룹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여기서 감각신경성 난청(sensorineural hearing loss)을 동반하는 중고도에서 고도 난청 그룹을 위한 난청 해소법이 타 그룹에 비해 상대적으로 빈약하여 많은 난청자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따라서 감각신경성 난청을 동반하는 중고도 및 고도난청 그룹을 대상으로 다양한 이식형 보청기 모델들이 세계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이 중 인공중이(middle ear implant)는 이소골을 강제로 진동시켜 소리를 듣게 하는 보청기로서 현재 가장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며, 일부의 장치들은 상용화에 성공하였다. 현재 보청기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한 모델은 MED-EL 사(오스트리아)에서 개발한 Vibrant Soundbridge이며, 이는 이소골(ossicle)에 설치되는 FMT(floating mass transducer)를 트랜스듀서로 사용한다. 이 장치 이외에도 다양한 이식형 보청기가 연구되고 있으나, 아직 세계적으로 큰 시장을 점유하기에는 그 성능 면에서 진보를 이루어야 할 점들이 많이 남아 있다. 그 중에서도 진동 트랜스듀서는 인공중이의 출력부로서 이식형 보청기의 특성을 결정짓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큰 진동 변위를 가지면서 저전력으로 동작하는 진동 트랜스듀서의 필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한편, 근래에 들어 FMT가 침골(incus)에 설치되는 경우, 침골의 장기 안전성 및 외부 자기장에 대해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임상적으로도 이 문제는 아직 해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정원창(round window)으로 직접 진동 자극을 주는 형태의 연구가 학계에서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다. 정원창에서 구동할 경우 이소골에 부담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만성 중이염(chronic otitis) 등으로 인해 이소골이 소실된 경우나 난원창(oval window)에 진동을 인가하기 어려운 경우에 대해서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제시된 정원창 구동 진동 트랜스듀서는 기존의 FMT를 정원창에 설치하는 방식과 Otologics 사에서 개발 중인 Carina 장치의 MET 트랜스듀서를 이용하여 정원창을 진동시키는 방식이 있다. 이외에도 조진호 등이 제안한 '튜브 진동 트랜스듀서에 의한 정원창 구동 방식의 인공중이(등록번호: 10-0859979)'와 '간편 설치가 가능한 정원창 구동 진동 트랜스듀서 및 이를 이용한 이식형 보청기(등록번호: 10-0931209)' 그리고 '구동력이 우수한 3코일 타입의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등록번호: 10-1223693)'가 있다.
그러나 FMT 방식으로 정원창에 진동 트랜스듀서를 설치할 경우 진동 효율이 좋지 못하여 전체 진동 변위의 절반으로 감소할 뿐만 아니라, 외부 자기장에 영향을 받는 구조이므로 MRI 등과 같은 강자장 환경에서 정원창의 손상을 유발하거나 정원창으로부터 트랜스듀서가 탈출할 위험성도 있다. 그리고 가청 대역에서 평탄한 주파수 특성을 보이는 Otologics의 MET 트랜스듀서는 크기 때문에 정원창의 시야 확보가 용이하지 않으며, 별도의 정원창 접촉용 팁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이 트랜스듀서 역시 외부 강자기장에 영향을 받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공보 10-0859979호의 정원창 구동용 튜브 진동 트랜스듀서는 튜브 내에 생성된 공기 혹은 유체 압력을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튜브 말단이 개구 형태인 경우 내이로부터 삼출된 체액에 의해 개구부가 막힐 가능성이 높으므로 사용이 지속될 경우 트랜스듀서의 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특허에는 튜브 말단을 진동막으로 처리하고, 이 진동막의 떨림을 이용하여 정원창을 진동시키는 형식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 진동막은 돔 형태로 진동하기 때문에, 진동막의 일부 면적만 정원창에 접촉되므로 진동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달팽이관 내부로 전달하기에 한계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진동막으로 마감된 튜브형 진동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수술용 드릴을 사용하여 정원창 니쉬(niche) 부위를 확장하고, 그 후 진동체를 근막 조직(fascia tissue)을 매개로 하여 정원창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이용한다. 이것 이외에도 상기 진동막을 가진 튜브형 진동체의 진동 전달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과도하게 진동막의 직경을 늘일 경우, 진동에너지의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무리한 정원창 니쉬의 확장은 자칫 달팽이관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수술에 적잖은 부담이 된다. 또한, 상기 진동막을 이용한 진동 트랜스듀서는 주파수 특성 조절을 위해 진동막의 두께와 직경에만 의존해야 하므로 주파수 특성의 정밀 제어가 어려운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달팽이관 내부에 인가되는 진동의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진동 트랜스듀서 및 이식형 보청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중이강을 통하여 진동 트랜스듀서를 달팽이관의 정원창에 이식 수술할 시 정원창의 방향이 이식 대상자에 따라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이소골 및 인대(ligament) 등에 가려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없고, 진동체 자체의 크기 및 길이에 제약을 받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진동 트랜스듀서 및 이식형 보청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소형의 크기로도 우수한 진동 변위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진동 트랜스듀서 및 이식형 보청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에 대하여 우수한 진동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진동 트랜스듀서 및 이식형 보청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주파수 특성을 정밀 제어할 수 있는 진동 트랜스듀서 및 이식형 보청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식형 보청기는, 피이식체에 이식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처리하여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음향 신호를 상기 피이식체의 정원창 측으로 전달하도록 제공되는 음향 전달관; 및 상기 음향 신호에 따른 상기 음향 전달관의 말단 측에 제공되는 주름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주름 부재는 상기 음향 전달관의 중심축 방향으로 종파의 진동을 형성하여 상기 정원창에 인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이식형 보청기는, 상기 정원창에 진동이 가해지는 면적이 증가되도록, 상기 주름 부재의 말단 측에 곡면 형상으로 제공되는 진동 전달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주름 부재는 생체적합성 금속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주름 부재는, 다수의 마루와, 인접하는 마루 간에 형성된 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주름 부재는, 서로 다른 피치(pitch)의 마루와 골을 갖는 다수의 주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주름 부재는, 서로 다른 크기의 마루 또는 골을 갖는 다수의 주름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피이식체에 이식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처리하여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부; 및 상기 진동을 상기 정원창에 전달하도록 상기 진동 발생부의 말단 측에 제공되는 주름 부재를 포함하는 이식형 보청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진동 발생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 신호에 의하여 자기장을 발생하는 코일부; 및 상기 케이스 내에 제공되고, 상기 자기장에 의하여 진동하는 자석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진동 발생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서 상기 자석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진동 발생부는, 상기 자석 부재의 진동이 상기 주름 부재로 전달되도록, 상기 자석 부재와 상기 주름 부재 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진동 발생부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에 제공되고, 상기 전기 신호에 의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압전 진동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진동 발생부는, 상기 압전 진동 부재의 진동이 상기 주름 부재로 전달되도록, 상기 압전 진동 부재와 상기 주름 부재 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이식형 보청기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상기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인출선이 통과되는 인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인출공을 마감하며, 내측면에 상기 인출선이 인입되는 인출홈이 형성된 덮개가 제공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피이식체에 이식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음향 신호를 일단에서 타단 측으로 전달하는 통로를 구비하는 음향 전달관; 및 상기 음향 전달관의 말단 측에 제공되는 주름 부재를 포함하는 진동 트랜스듀서로서, 상기 주름 부재는, 상기 음향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 트랜스듀서의 말단에 접촉되는 청각 생체 조직에 종파의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 트랜스듀서가 제공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피이식체에 이식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부; 및 상기 진동 발생부의 말단 측에 제공되는 주름 부재를 포함하는 진동 트랜스듀서로서, 상기 주름 부재는, 상기 음향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 트랜스듀서의 말단에 접촉되는 청각 생체 조직에 종파의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 트랜스듀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진동 트랜스듀서는, 상기 정원창에 진동이 가해지는 면적이 증가되도록, 상기 주름 부재의 말단 측에 곡면 형상으로 제공되는 진동 전달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주름 부재는, 서로 다른 피치(pitch) 또는 서로 다른 크기의 마루와 골을 갖는 다수의 주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기밀성 및 소형 크기를 갖는 진동 트랜스듀서에 의하여 청각 생체 조직에 인가되는 진동의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이소골 및 인대(ligament) 등에 가리워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없고 진동체 자체의 크기 및 길이에 제약을 받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에 대하여 우수한 진동 효율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진동 트랜스듀서의 주파수 특성을 정밀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식형 보청기가 인체에 이식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식형 보청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식형 보청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A'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진동 트랜스듀서의 단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트랜스듀서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식형 보청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진동 트랜스듀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트랜스듀서의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진동 트랜스듀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식형 보청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B'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a는 도 8에 도시된 'B'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b는 도 8에 도시된 이식형 보청기를 구성하는 진동 트랜스듀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트랜스듀서의 단면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트랜스듀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트랜스듀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진동 트랜스듀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트랜스듀서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진동 트랜스듀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공지된 구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트랜스듀서는 이의 말단 측에 형성된 풀무형 주름 부재에 의하여 우수한 진동 변위 특성을 얻을 수 있으며, 주름 부재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정원창과 같은 청각 생체 조직에 높은 전달 효율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식형 보청기가 인체에 이식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식형 보청기(10)는 신호 처리부(300)와, 진동 트랜스듀서(100)를 포함한다. 신호 처리부(300)는 피이식체, 즉 인체에 이식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마이크로폰(200)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처리하여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300)는 예시적으로 인체의 측두골 피하에 설치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300)는 인체의 피부 외측에 제공되는 체외기(400)로부터 신호 처리부(30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이나 제어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
도 1의 실시 예에서, 마이크로폰(200)은 인체의 귀 부위에 제공되어 있으나, 마이크로폰(200)의 설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마이크로폰(200)은 예를 들어, 인체의 고막이나 중이강 내벽 등에 이식되거나, 신호 처리부(300) 혹은 체외기(400) 측에 제공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200)은 외부의 소리를 감지하여, 외부의 소리에 대응하는 주파수와 진폭을 갖는 전기 신호를 신호 처리부(300)로 전달한다.
신호 처리부(300)는 마이크로폰(200)으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증폭하는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음향 신호 혹은 전기 신호를 진동 트랜스듀서(100)로 출력한다. 진동 트랜스듀서(100)는 신호 처리부(300)로부터 입력받은 음향 신호나 전기 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고, 말단에 접촉된 청각 생체 조직에 진동을 인가하며, 이를 통해 달팽이관 내부에 진동을 전달한다. 도 1의 실시 예에서, 이식형 보청기(10)를 이식받은 사용자가 외부의 소리를 인식할 수 있도록, 진동 트랜스듀서(100)는 정원창(round window)에 외부의 소리에 대응하는 진동을 인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진동 트랜스듀서(100)는 정원창 외의 다른 청각 생체 조직, 예를 들어 이소골(auditory ossicle), 난원창(oval window) 등에 진동을 인가할 수도 있다.
진동 트랜스듀서(100)는 이의 말단이 정원창 입구에 삽입되도록 이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진동 트랜스듀서(100)는 음향 전달관(110), 주름 부재(120), 및 진동 전달 부재(130)를 포함한다. 진동 트랜스듀서(1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조와 기능 및 동작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원창 구동 방식의 이식형 보청기(100)는 인체의 고막 및 이소골을 거치지 않고 정원창에 음향 진동을 직접 전달하기 때문에, 고효율의 음향 전달이 가능하고 난청 보상이 용이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식형 보청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식형 보청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신호 처리부(300)를 구성하는 하우징(310)의 커버(311)를 개방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신호 처리부(300)는 하우징(310), 신호 처리 회로(320), 배터리(330), 음향 발생부(340), 및 무선 통신부(350)를 포함한다. 신호 처리 회로(320), 배터리(330), 및 음향 발생부(340)는 하우징(310)에 내장된다.
신호 처리 회로(320)는 도선(210)을 통해 마이크로폰(200)으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는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배터리(330)는 신호 처리부(30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330)는 무선 통신부(350)를 통해 체외기(4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음향 발생부(340)는 신호 처리 회로(320)에 의해 처리된 신호로부터 음향 신호를 발생하여 진동 트랜스듀서(100)의 음향 전달관(110)으로 출력한다.
무선 통신부(350)는 케이싱(351) 내에 제공되는 코일 부재(352)와 자석 부재(353), 및 전선 부재(354)를 포함한다. 코일 부재(352)는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하여 체외기(400)의 코일로부터 전력이나 제어 신호를 공급받도록 제공된다. 자석 부재(353)는 체외기(400)의 자석 간의 자기력에 의하여 체외기(400)와 신호 처리부(300)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하도록 제공된다. 전선 부재(354)는 코일 부재(352)를 통해 공급받은 전력을 배터리(330)에 공급하고, 제어 신호를 신호 처리 회로(320)에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A'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진동 트랜스듀서의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진동 트랜스듀서(100)는 음향 전달관(110), 주름 부재(120), 및 진동 전달 부재(130)를 포함한다. 음향 전달관(110)은 음향 신호를 정원창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음향 통로를 제공한다. 음향 전달관(110)은 유연성을 갖는 생체 적합성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음향 전달관(110)은 예를 들어 실리콘, 폴리머 재질이나 금속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주름 부재(120)는 정원창을 향하는 음향 전달관(110)의 말단 측에 제공되며, 음향 전달관(110)을 통해 전달되는 음향 신호로부터 음향 전달관(110)의 중심 축 방향으로 종파의 진동을 형성하여, 음향 신호에 따른 진동을 정원창에 인가한다. 진동 트랜스듀서(100)는 주름 부재(120)의 마루와 골에 의한 탄성에 의해 진동한다. 주름 부재(120)는 생체 적합성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주름 부재(120)는 예를 들어 실리콘, 폴리머 재질이나 금속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주름 부재(120)는 음향 전달관(110)을 향하는 말단 측에 결합 돌기(120a)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 돌기(120a)는 음향 전달관(11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큰 외경을 갖도록 이루어져 억지끼움 방식으로 음향 전달관(110)의 말단에 결합되거나, 외주면에 나사부를 구비하여 나사결합 방식으로 음향 전달관(110)의 말단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주름 부재(120)는 음향 전달관(110)과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주름 부재(120)는 다수의 마루(121)와, 인접하는 마루(121) 간에 형성되는 골(122)을 포함한다. 주름 부재(120)를 이루는 인접하는 마루(121) 간의 거리, 즉 피치(pitch)(P)와, 마루(121)와 골(122)의 크기는 가청 주파수 대역(20~20,000Hz)의 음향 신호에 따른 진동을 효율적으로 정원창에 인가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주름 부재의 형태를 설계하는 것에 의하여 진동 트랜스듀서의 주파수 특성을 정밀 제어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의 실시 예에서, 마루(121)는 음향 전달관(110)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고, 골(122)은 음향 전달관(110)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즉, 주름 부재(120)는 마루(121)가 음향 전달관(110)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형태로 제공된다. 진동 전달 부재(130)는 정원창을 향하는 주름 부재(120)의 말단 측에 제공된다. 진동 전달 부재(130)는 정원창과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고 정원창에 진동이 가해지는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곡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진동 전달 부재(130)는 생체 적합성 소재, 예를 들어 실리콘, 폴리머 재질이나 금속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의 실시 예에서, 진동 전달 부재(130)는 주름 부재(1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예를 들어 돔 형상의 부재를 주름 부재(120)의 단부 측에 부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트랜스듀서의 단면도이다. 도 4c에 도시된 실시 예는 마루(121)는 음향 전달관(110)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골(122)은 음향 전달관(110)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구조, 즉 골(122)이 음향 전달관(110)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형태로 제공되어 있으며, 음향 전달관(110)과 주름 부재(120)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는 점에서 도 4a 내지 도 4b의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도 4c의 실시 예에 의하면, 진동 트랜스듀서(100)를 이루는 주름 부재(120)의 크기를 음향 전달관(110)과 동일한 지름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정원창에 직접적인 접촉이 가능할 만큼 진동 트랜스듀서(100)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진동 트랜스듀서(100)의 이식 수술 시의 시야를 확보하는데 매우 유리한 이점이 제공된다. 즉, 중이강을 통하여 진동 트랜스듀서를 달팽이관의 정원창에 이식 수술할 시 정원창의 방향이 이식 대상자에 따라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이소골 및 인대(ligament) 등에 가려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진동체 자체의 크기 및 길이에 제약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된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식형 보청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진동 트랜스듀서의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실시 예는 정원창에 접촉되는 주름 부재(120)의 말단 측에 돔 형상의 진동 전달 부재(130)가 구비되는 대신, 평면 부재(123)가 구비되어 있는 점에서 도 4a 내지 도 4b의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도 5a 내지 도 5b의 실시 예는 주름 부재(120) 말단 측의 평면 부재(123)가 정원창에 직접 접촉되어 진동을 전달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트랜스듀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주름 부재(120)는 서로 다른 피치(pitch)의 마루(crest)와 골(trough)을 갖는 복수의 주름부(124,125)를 구비하는 점에서 도 4a 내지 도 4b의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도 6의 실시 예에서, 주름 부재(120)는 2개의 주름부(124,125), 즉 제1 피치(P1)의 마루(1241)와 골(1242)을 갖는 제1 주름부(124)와, 제2 피치(P2)의 마루(1251)와 골(1252)을 갖는 제2 주름부(125)를 구비하고 있으나, 주름 부재(120)는 서로 다른 피치의 마루와 골을 갖는 3개 이상의 주름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제1 주름부(124)는 마루(1241)와 골(1242)이 제2 주름부(125)보다 큰 제1 피치(P1)로 제공되기 때문에, 제2 주름부(125)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의 음향 신호를 보다 효율적으로 진동으로 변환하여 정원창에 인가할 수 있다. 제2 주름부(125)는 마루(1251)와 골(1252)이 제1 주름부(124)보다 작은 제2 피치(P2)로 제공되기 때문에, 제1 주름부(125)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의 음향 신호를 보다 효율적으로 진동으로 변환하여 정원창에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진동 트랜스듀서(100)는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의 음향 신호는 제1 주름부(124)의 떨림에 의하여 정원창에 진동을 인가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의 음향 신호는 제2 주름부(125)의 떨림에 의하여 정원창에 진동을 인가하므로, 서로 다른 피치를 갖는 다수의 주름부를 이용하여,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에 대하여 높은 효율의 진동을 정원창에 인가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진동 트랜스듀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된 실시 예는 각각 서로 다른 크기의 골(trough)을 갖는 복수의 주름부(126,127), 서로 다른 크기의 마루(crest)를 갖는 복수의 주름부(128,129)를 구비하는 점에서 도 4a 내지 도 4b의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도 7a 내지 도 7b의 실시 예에서, 주름 부재(120)는 2개의 주름부를 구비하고 있으나, 주름 부재(120)는 서로 다른 피치의 마루와 골을 갖는 3개 이상의 주름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7a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주름부(127)는 제1 주름부(126)의 마루(1261)와 같은 크기(C1)의 마루(1271)와, 제1 주름부(126)의 골(1262)의 크기(T1)보다 작은 크기(T2)의 골(1272)을 갖는다. 도 7b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주름부(129)는 제1 주름부(128)의 골(1282)과 같은 크기(CR1)의 골(1292)과, 제1 주름부(128)의 마루(1281)의 크기(CR1)보다 큰 크기(CR2)의 마루(1291)를 갖는다. 이에 따라, 제1 주름부(126)와 제2 주름부(127)는 마루와 골 간의 크기 비가 서로 다르게 제공되기 때문에, 최대의 진동 변환 효율을 나타내는 주파수 대역 역시 서로 다른 값을 갖는다. 따라서, 도 7a 내지 도 7b의 실시 예에 의하면, 서로 다른 마루와 골 간의 크기 비를 갖는 다수의 주름부를 이용하여,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에 대하여 높은 효율의 진동을 정원창에 인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식형 보청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B'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는 신호 처리부(300)에서 마이크로폰(200)으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처리하여 음향 신호 대신 전기 신호를 출력하고, 진동 트랜스듀서(100)는 신호 처리부(300)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전선 부재(111), 전선 부재(111)를 통해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 신호에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부(140)를 더 포함하며, 주름 부재(120)는 진동 발생부(140)의 말단 측에 제공되어 있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3의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도 8의 실시 예에서, 진동 트랜스듀서(100)는 전선 부재(111)를 감싸는 튜브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a는 도 8에 도시된 'B'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0b는 도 8에 도시된 이식형 보청기를 구성하는 진동 트랜스듀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b를 참조하면, 진동 발생부(140)는 원통형으로 제공되는 케이스(141), 케이스(141)에 설치되는 전극(142a,142b), 코일부(142), 자석 부재(143), 탄성 부재(144), 및 연결 부재(145)를 포함한다. 전극(142a,142b)은 케이스(141)의 전선 부재(111)를 향하는 단부 측에 제공되며, 전선 부재(111)를 통해 전달된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코일부(142)로 입력한다. 코일부(142)는 케이스(141)의 내면에 원통형 실린더 형태로 제공되고, 전극(142a,142b)을 통해 입력된 전기 신호에 따라 자기장을 발생한다. 또한, 도 10a 내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코일부(142)는 케이스(141)의 외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자석 부재(143)는 원통형 케이스(141)의 중심 축 상에 배열되고, 코일부(142)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에 의하여 중심 축 방향으로 진동한다. 탄성 부재(144)는 케이스(141)의 내면 일 측에 자석 부재(143)를 탄성 지지한다. 연결 부재(145)는 자석 부재(143)의 진동을 주름 부재(120)로 전달하도록, 자석 부재(143)와 주름 부재(120) 간을 연결한다. 자석 부재(143)는 외부 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하여, 서로 같은 극성이 마주하도록 2개의 영구 자석을 강제 결합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코일부(142)는 2개의 자석에 강한 진동을 형성하기 위해, 도선의 권취 방향이 3단으로 구분되어 변화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자석 부재(143)를 이루는 2개의 자석에 의해 형성되는 자장과, 코일부(142)에 의해 유도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발생되는 힘에 의하여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 부재(143)가 진동한다. 자석 부재(143)는 2개의 자석이 서로 반대되는 자기 모멘트를 갖도록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식형 보청기(10)를 이식받은 환자가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촬영 시 자석 부재(143)에 가해지는 MRI 자장에 의해 환자에게 고통이 가해지는 것을 줄이는 동시에, MRI 영상의 인공 음영을 줄여 MRI 영상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주름 부재(120)에 의하여 자석 부재(143)의 진동은 안정적인 동시에 효율적으로 정원창에 전달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코일부(142)를 케이스(141)의 중심 축 상에 배치하고, 중공 원통형의 자석 부재(143)를 코일부(142) 외측에 배치하여, 자석 부재(143)와 코일부(142) 중의 어느 하나를 진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자석 부재(143)를 정원창 입구 측에 고정시키는 동시에 자석 부재(143) 대신 코일부(142)가 진동되도록 하고, 코일부(142)와 주름 부재(120) 간을 연결 부재로 연결하여 코일부(142)의 진동을 주름 부재(120)로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트랜스듀서의 단면도이다. 도 11a에 도시된 진동 트랜스듀서(100)는 코일부(142)가 케이스(141) 내면이 아닌 외면에 설치되는 점에서, 도 10a의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즉, 코일을 케이스(141) 외면에 감아 코일부(142)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케이스(141)는 비자성체로 제공되며, 자석 부재(143)는 코일부(142)에 흐르는 교류 전류에 의하여 진동한다. 도 11a의 실시 예에 의하면, 케이스(141)에 코일부(142)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트랜스듀서의 단면도이다. 도 11b에 도시된 진동 트랜스듀서(100)는 연결 부재(도 10a의 도면부호 145) 없이, 자석 부재(143)의 말단이 직접 주름 부재(120)의 말단 측에 맞대어져 자석 부재(143)의 진동이 직접 연결 부재(130)로 전달되는 점에서, 도 11a의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자석 부재(143)는 3극성 자석 뿐만 아니라,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극성 자석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코일부(142) 역시 3단으로 권취 방향이 변화되는 구조 뿐 아니라, 일정한 권취 방향으로 감겨진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동 트랜스듀서는 탄성 부재(144)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자석 부재(143)는 탄성 부재(144)에 의하여 완충되지 않은 상태로, 연결 부재를 통하여 주름 부재(120)의 말단 측에 연결되거나, 직접 주름 부재(120)의 말단에 연결되어 진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길이 방향을 따라 자석 부재(143)의 진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미도시)가 케이스(141) 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트랜스듀서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진동 트랜스듀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 예는 진동 발생부(140)가 코일부와 자석 부재 대신, 압전 진동 부재(146)로 이루어져 있는 점에서 도 8 내지 도 10b의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진동 발생부(140)는 원통형으로 제공되는 케이스(141), 케이스(141)에 설치되는 전극(146a,146b), 압전 진동 부재(146), 연결 부재(147), 및 완충 부재(148)를 포함한다. 전극(146a,146b)은 전선 부재(111)를 통해 전달된 전기 신호를 압전 진동 부재(146)로 입력한다. 압전 진동 부재(146)는 원통형 케이스(141)의 중심 축 상에 배치되고, 전기 신호에 의하여 중심 축 상으로 진동을 발생한다. 압전 진동 부재(146)는 단결정이나 적층형 어느 것이든 사용이 가능하다. 완충 부재(148)는 원형 등의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압전 진동 부재(146)의 진동을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연결 부재(147)는 압전 진동 부재(146)의 진동을 주름 부재(120)로 전달하도록, 압전 진동 부재(146)와 주름 부재(120) 간을 연결한다. 이때, 주름 부재(120)의 주름 구조에 의하여 자석 부재(143)의 진동은 안정적인 동시에 효율적으로 정원창에 전달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트랜스듀서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진동 트랜스듀서의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5에 도시된 실시 예는 원통형 케이스(141)의 말단 측을 관통하여 전기 신호를 제공받는 피드스루(feed-through) 구조 대신, 케이스(141)의 측면을 통해 인출되는 인출선(111a)을 통해 전기 신호를 제공받는 구조를 갖는 점에서 도 8 내지 도 10b의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인출선(111a)은 케이스(141) 측면 하단에 형성된 인출공을 통해 인출되며, 케이스(141)의 하단에 덮개(141a)가 체결된다. 인출선(111a)은 폴리이미드와 같은 유연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덮개(141a)의 내측면에는 인출선(111a)이 인입되도록 인출홈(141b)이 형성된다. 도 14 내지 도 15의 실시 예에 의하면, 인출선(111a) 부분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진동막의 지름을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주름 부재에 의하여, 충분한 진동 변위 및 진동 특성을 획득할 수 있으며, 진동 트랜스듀서를 인체에 이식 수술 시 용이하게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트랜스듀서(100)는 풀무형 주름 부재(120)의 형태(마루와 골의 비, 마루 간의 피치 등)를 조절하여 원하는 진동 변위를 확보하는 동시에 주파수 특성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밀성 및 내구성 확보에 용이한 구조로서, 이식형 보청기의 진동 트랜스듀서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특성을 갖는다.
이상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에 대하여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이식형 보청기
100: 진동 트랜스듀서
110: 음향 전달관
111: 전선 부재
120: 주름 부재
121: 마루
122: 골
123: 평면 부재
124~129: 주름부
130: 진동 전달 부재
140: 진동 발생부
141: 케이스
142: 코일부
143: 자석 부재
144: 탄성 부재
145,147: 연결 부재
146: 압전 진동 부재
148: 완충 부재
200: 마이크로폰
300: 신호처리부
310: 하우징
320: 신호 처리 회로
330: 배터리
340: 음향 발생부
350: 무선 통신부
400: 체외기

Claims (24)

  1. 피이식체에 이식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처리하여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음향 신호를 상기 피이식체의 정원창 측으로 전달하도록 제공되는 음향 전달관; 및
    상기 음향 신호에 따른 진동을 상기 정원창에 전달하도록 상기 음향 전달관의 말단 측에 제공되는 주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주름 부재는, 상기 음향 신호를 상기 진동으로 변환하며, 상기 정원창에 직접 접촉되어 상기 진동을 상기 정원창으로 직접 인가하도록, 상기 음향 전달관의 말단 측에 구비되는 이식형 보청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부재는, 상기 음향 전달관의 중심축 방향으로 종파의 진동을 형성하여 상기 정원창에 인가하는 이식형 보청기.
  3. 피이식체에 이식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처리하여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음향 신호를 상기 피이식체의 정원창 측으로 전달하도록 제공되는 음향 전달관;
    상기 음향 신호에 따른 진동을 상기 정원창에 전달하도록 상기 음향 전달관의 말단 측에 제공되는 주름 부재; 및
    상기 정원창에 진동이 가해지는 면적이 증가되도록, 상기 주름 부재의 말단 측에 곡면 형상으로 제공되는 진동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이식형 보청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부재는 생체적합성 금속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제공되는 이식형 보청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부재는, 다수의 마루와, 인접하는 마루 간에 형성된 골을 포함하는 이식형 보청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부재는, 서로 다른 피치(pitch)의 마루와 골을 갖는 다수의 주름부를 포함하는 이식형 보청기.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부재는, 서로 다른 크기의 마루 또는 골을 갖는 다수의 주름부를 포함하는 이식형 보청기.
  8. 피이식체에 이식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처리하여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부; 및
    상기 진동을 정원창에 전달하도록 상기 진동 발생부의 말단 측에 제공되는 주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주름 부재는, 상기 정원창에 직접 접촉되어 상기 진동을 상기 정원창으로 직접 인가하도록, 상기 진동 발생부의 말단 측에 구비되는 이식형 보청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 신호에 의하여 자기장을 발생하는 코일부; 및
    상기 케이스 내에 제공되고, 상기 자기장에 의하여 진동하는 자석 부재를 포함하는 이식형 보청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서 상기 자석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식형 보청기.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부는, 상기 자석 부재의 진동이 상기 주름 부재로 전달되도록, 상기 자석 부재와 상기 주름 부재 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식형 보청기.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부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에 제공되고, 상기 전기 신호에 의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압전 진동 부재를 포함하는 이식형 보청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부는, 상기 압전 진동 부재의 진동이 상기 주름 부재로 전달되도록, 상기 압전 진동 부재와 상기 주름 부재 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식형 보청기.
  14. 피이식체에 이식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처리하여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부;
    상기 진동을 정원창에 전달하도록 상기 진동 발생부의 말단 측에 제공되는 주름 부재; 및
    상기 정원창에 진동이 가해지는 면적이 증가되도록, 상기 주름 부재의 말단 측에 곡면 형상으로 제공되는 진동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이식형 보청기.
  15.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부재는, 서로 다른 피치(pitch)의 마루와 골을 갖는 다수의 주름부를 포함하는 이식형 보청기.
  16.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부재는, 서로 다른 크기의 마루 또는 골을 갖는 다수의 주름부를 포함하는 이식형 보청기.
  17.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상기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인출선이 통과되는 인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인출공을 마감하며, 내측면에 상기 인출선이 인입되는 인출홈이 형성된 덮개가 제공되는 이식형 보청기.
  18. 피이식체에 이식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음향 신호를 일단에서 타단 측으로 전달하는 통로를 구비하는 음향 전달관; 및
    상기 음향 전달관의 말단 측에 제공되는 주름 부재를 포함하는 진동 트랜스듀서로서,
    상기 주름 부재는, 상기 음향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 트랜스듀서의 말단에 접촉되는 청각 생체 조직에 종파의 진동을 인가하고,
    상기 주름 부재는, 상기 음향 신호를 상기 종파의 진동으로 변환하며, 상기 청각 생체 조직에 직접 접촉되어 상기 종파의 진동을 상기 청각 생체 조직으로 직접 인가하도록, 상기 음향 전달관의 말단 측에 구비되는 진동 트랜스듀서.
  19. 피이식체에 이식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부; 및
    상기 진동 발생부의 말단 측에 제공되는 주름 부재를 포함하는 진동 트랜스듀서로서,
    상기 주름 부재는, 상기 진동 발생부에서 진동 발생 시 상기 진동 트랜스듀서의 말단에 접촉되는 청각 생체 조직에 종파의 진동을 인가하고,
    상기 주름 부재는, 상기 청각 생체 조직에 직접 접촉되어 상기 종파의 진동을 상기 청각 생체 조직으로 직접 인가하도록, 상기 진동 발생부의 말단 측에 구비되는 진동 트랜스듀서.
  20. 피이식체에 이식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음향 신호를 일단에서 타단 측으로 전달하는 통로를 구비하는 음향 전달관; 및
    상기 음향 전달관의 말단 측에 제공되는 주름 부재를 포함하는 진동 트랜스듀서로서,
    상기 주름 부재는, 상기 음향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 트랜스듀서의 말단에 접촉되는 청각 생체 조직에 종파의 진동을 인가하고,
    상기 청각 생체 조직에 진동이 가해지는 면적이 증가되도록, 상기 주름 부재의 말단 측에 곡면 형상으로 제공되는 진동 전달 부재를 더 포함하는 진동 트랜스듀서.
  21. 피이식체에 이식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부; 및
    상기 진동 발생부의 말단 측에 제공되는 주름 부재를 포함하는 진동 트랜스듀서로서,
    상기 주름 부재는, 상기 진동 발생부에서 진동 발생 시 상기 진동 트랜스듀서의 말단에 접촉되는 청각 생체 조직에 종파의 진동을 인가하고,
    상기 청각 생체 조직에 진동이 가해지는 면적이 증가되도록, 상기 주름 부재의 말단 측에 곡면 형상으로 제공되는 진동 전달 부재를 더 포함하는 진동 트랜스듀서.
  22. 제18 항 또는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부재는 실리콘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제공되는 진동 트랜스듀서.
  23. 제18 항 또는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부재는, 다수의 마루와, 인접하는 마루 간에 형성된 골을 포함하는 진동 트랜스듀서.
  24. 제18 항 또는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부재는, 서로 다른 피치(pitch) 또는 서로 다른 크기의 마루와 골을 갖는 다수의 주름부를 포함하는 진동 트랜스듀서.
KR1020140029755A 2014-03-13 2014-03-13 진동 트랜스듀서 및 이식형 보청기 KR101548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755A KR101548344B1 (ko) 2014-03-13 2014-03-13 진동 트랜스듀서 및 이식형 보청기
US14/644,658 US10057696B2 (en) 2014-03-13 2015-03-11 Vibration transducer and implantable hearing aid device
US16/038,518 US10631111B2 (en) 2014-03-13 2018-07-18 Vibration transducer and implantable hearing aid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755A KR101548344B1 (ko) 2014-03-13 2014-03-13 진동 트랜스듀서 및 이식형 보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344B1 true KR101548344B1 (ko) 2015-09-01

Family

ID=54070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755A KR101548344B1 (ko) 2014-03-13 2014-03-13 진동 트랜스듀서 및 이식형 보청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0057696B2 (ko)
KR (1) KR1015483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1549A3 (en) * 2015-09-25 2017-08-03 Cochlear Limited Bone conduction devices utilizing multiple actuators
WO2018073712A1 (en) * 2016-10-21 2018-04-26 Cochlear Limited Implantable transducer system
US11064303B2 (en) 2016-09-20 2021-07-13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Bellows vibration body and hearing aid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7170A1 (en) * 2015-03-13 2016-09-22 Woojer Ltd A system for providing vibrations remotely from a vibrating transducer
DE102015208845B3 (de) * 2015-05-13 2016-08-11 Sivantos Pte. Ltd. Hörgerät
WO2018156867A1 (en) * 2017-02-27 2018-08-30 Med-El Elektromedizinische Geraete Gmbh Middle ear implant coupler for mechanical cochlea stimulation via the round window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979B1 (ko) 2007-07-20 2008-09-2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튜브 진동 트랜스듀서에 의한 정원창 구동 방식의 인공중이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2858A (en) 1991-06-17 1994-02-01 American Cyanamid Company Hermetically sealed implantable transducer
KR19990082641A (ko) * 1996-02-15 1999-11-25 알만드 피. 뉴커만스 개량된 생체교합적인 트랜스듀서
US5797834A (en) * 1996-05-31 1998-08-25 Resound Corporation Hearing improvement device
US20050101830A1 (en) * 2003-11-07 2005-05-12 Easter James R. Implantable hearing aid transducer interface
US7753838B2 (en) 2005-10-06 2010-07-13 Otologics, Llc Implantable transducer with transverse force application
US7722525B2 (en) * 2007-05-24 2010-05-25 Otologics, Llc Lateral coupling of an implantable hearing aid actuator to an auditory component
KR100931209B1 (ko) * 2007-11-20 2009-12-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간편 설치가 가능한 정원창 구동 진동 트랜스듀서 및 이를이용한 이식형 보청기
WO2009111334A2 (en) * 2008-02-29 2009-09-11 Otologics, Llc Improved bi-modal cochlea stimulation
WO2011053674A1 (en) * 2009-10-30 2011-05-05 Vibrant Med-El Hearing Technology Gmbh Implantable signal delivery systems
KR20130136996A (ko) * 2010-10-08 2013-12-13 솔리다고 에스.에이.알.엘 청각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이식가능한 액츄에이터
KR101223693B1 (ko) 2011-06-16 2013-01-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구동력이 우수한 3코일 타입의 정원창 구동 진동체
US20140224283A1 (en) * 2013-02-08 2014-08-14 Clearaid, Inc. Protecting and purging hearing aid devi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979B1 (ko) 2007-07-20 2008-09-2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튜브 진동 트랜스듀서에 의한 정원창 구동 방식의 인공중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1549A3 (en) * 2015-09-25 2017-08-03 Cochlear Limited Bone conduction devices utilizing multiple actuators
US11445311B2 (en) 2015-09-25 2022-09-13 Cochlear Limited Bone conduction devices utilizing multiple actuators
US11064303B2 (en) 2016-09-20 2021-07-13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Bellows vibration body and hearing aid comprising same
WO2018073712A1 (en) * 2016-10-21 2018-04-26 Cochlear Limited Implantable transducer system
US10798502B2 (en) 2016-10-21 2020-10-06 Cochlear Limited Implantable transduc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57696B2 (en) 2018-08-21
US20150264494A1 (en) 2015-09-17
US20180324533A1 (en) 2018-11-08
US10631111B2 (en) 202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344B1 (ko) 진동 트랜스듀서 및 이식형 보청기
US7983435B2 (en) Implantable hearing aid
US8831260B2 (en) Bone conduction hearing device having acoustic feedback reduction system
JP4870669B2 (ja) 電磁ヒアリングデバイスのための改善された送信機および変換機
FI93507C (fi) Laite käytettäväksi huonokuuloisessa kohteessa
AU2006333402B2 (en) Hearing aid system
US6387039B1 (en) Implantable hearing aid
EP2577999B1 (en) Implantable inner ear drive system
US8211174B2 (en) Transtympanic vibration device for implantable hearing ai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the same
US9497555B2 (en) Implantable middle ear transducer having improved frequency response
US20040032962A1 (en) Bone conducting hearing aid
JP4916599B1 (ja) キヌタ骨置換の部分的な耳小骨置換のプロテーゼ
US20120165597A1 (en) Implantable piezoelectric polymer film microphone
US20090259090A1 (en) Bone conduction hearing device having acoustic feedback reduction system
EP1437032B1 (en) Hearing aid, headset or similar device for delivering a sound signal at the vicinity of the tympanic membrane.
CN110430848B (zh) 通过圆窗进行机械耳蜗刺激的中耳植入物耦合器
KR101804237B1 (ko) 벨로우즈 진동체 및 이를 포함하는 보청기
AU2019282656B2 (en) Passive hearing implant
KR101223698B1 (ko) 진동 전달 효율이 우수한 정원창 구동 트랜스듀서용 연결부재
KR20140018932A (ko) 임플란트 가능한 변환기에서의 진동 작동을 위한 라인 전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