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462B1 - 비점오염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비점오염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462B1
KR101546462B1 KR1020150014247A KR20150014247A KR101546462B1 KR 101546462 B1 KR101546462 B1 KR 101546462B1 KR 1020150014247 A KR1020150014247 A KR 1020150014247A KR 20150014247 A KR20150014247 A KR 20150014247A KR 101546462 B1 KR101546462 B1 KR 101546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rocessing
chamber
treatment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주
안태환
Original Assignee
중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경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4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4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2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provided in an open container
    • B01D24/22Downward filtration, the filter material being supported by pervious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오염수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오염수를 처리하는 처리조와, 처리된 오염수를 배출하는 배출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처리조는 제1 격벽 및 제2 격벽으로 분리되는 침전실과, 여과실과, 정류실로 이루어지고, 제1 격벽은 상부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제2 격벽은 하부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침전실은 하부에 개방부를 갖으며, 상기 개방부에 의해 제1 침전실과 제2 침전실로 나뉘어지며,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오염수는 제1 침전실에서 제2 침전실로 이동된 후 제1 격벽의 제1 관통홀을 지나 여과실로 유입되며, 상기 여과실은 프레임과 필터로 이루어지는 필터부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는 제1 격벽의 제1 관통홀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며, 또한 필터부는 제2 격벽의 제2 관통홀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정류실에는 배출관과 연통되는 수질정화 처리기가 설치되고, 상기 여과실에서 제2 격벽의 제2 관통홀을 지나 유입된 오염수는 수질정화 처리기에 의해 정화되어 배출관으로 배출된다.

Description

비점오염 저감장치{NON-POINT POLLUTION DECREASE APPARATUS}
본 발명은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출 지점을 정확히 특정할 수 없는 오염수를 정화하여 오염도를 저감시켜 배출하는 지점오염 저감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점오염은 배출지점을 정확히 특정할 수 없는 오염수에 의한 수질오염을 말하는 것이다.
비점 오염은 특히 농지, 토양, 하천의 오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천으로 유입 또는 방류되기 이전에 오염수의 정화처리가 필수적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1013113호의 비점오염 저감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비점 오염수의 오염도를 저감하기 위한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오염수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오염수를 처리하는 처리조와, 처리된 오염수를 배출하는 배출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처리조는 제1 격벽 및 제2 격벽으로 분리되는 침전실과, 여과실과, 정류실로 이루어지고, 제1 격벽은 상부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제2 격벽은 하부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침전실은 하부에 개방부를 갖으며, 상기 개방부에 의해 제1 침전실과 제2 침전실로 나뉘어지며,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오염수는 제1 침전실에서 제2 침전실로 이동된 후 제1 격벽의 제1 관통홀을 지나 여과실로 유입되며, 상기 여과실은 프레임과 필터로 이루어지는 필터부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는 제1 격벽의 제1 관통홀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며, 또한 필터부는 제2 격벽의 제2 관통홀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정류실에는 배출관과 연통되는 수질정화 처리기가 설치되고, 상기 여과실에서 제2 격벽의 제2 관통홀을 지나 유입된 오염수는 수질정화 처리기에 의해 정화되어 배출관으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필터는 꼬임줄과 상기 꼬임줄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는 프레임에 복수 개가 설치되되, 탄성체의 단부가 서로 겹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제1 격벽에서는 높게 그리고 제2 격벽에서는 낮게 형성되도록 경사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질정화 처리기는 제1 처리관과 제2 처리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처리관은 제1 처리관의 내부에 끼워지며, 제1 처리관과 제2 처리관 사이에는 여재가 채워지고, 상기 제1 처리관과 제2 처리관에는 각각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처리관의 홀은 제2 처리관의 홀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여재의 크기는 제1 및 제2 처리관의 홀의 크기 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처리관의 내부에 유입된 오염수가 배출관으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수질정화 처리기는 제1 처리관, 제2 처리관 및 제3 처리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및 제3 처리관은 제1 처리관의 내부에 끼워지며, 제1 처리관의 내측과 제2 및 제3 처리관의 외측이 이루는 공간 내부에는 여재가 채워지며, 제1, 제2 및 제2 처리관에는 각각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처리관의 홀은 제2 및 제3 처리관의 홀 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2 및 제3 처리관의 홀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여재의 크기는 제1, 제2 및 제3 처리관의 홀의 크기 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및/또는 제3 처리관의 내부에 유입된 오염수가 배출관으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제2 또는 제3 처리관은 그 내부에 블로워를 개재하여 폭기관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침전실, 여과실 및 정류실의 상부에는 도어가 각각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점 오염수는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후, 처리조의 침전실, 여과실 및 정류실로 순차적으로 이동되어 최종적으로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하여 오염수의 오염도를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격벽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 처리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여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처리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간략화되거나, 과장되거나 그리고 생략하여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격벽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처리조(100) 내부에 격벽에 의해 구분되는 침전실(S), 여과실(F) 및 정류실(P)로 구성된다. 침전실에는 유입관(20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정류실에는 유출관(300)이 형성되어 있다.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비점 오염수는 침전실, 여과실 및 정류실로 순차적으로 처리되어 정화된 후 유출관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낙옆 등 큰 사이즈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스크린 망이 유입관의 전단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비점오염 저감장치의 처리조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을 실시예로 하고 있으나, 사각 형상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침전실, 여과실 및 정류실은 각각으로 분리하고 연결관을 부가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처리조의 내부에는 제1 격벽(110)과 제2 격벽(120)으로 나뉘어져 있다. 침전실에서 처리된 오염수는 제1 격벽의 상부에 형성된 제1 관통홀(111)을 지나 여과실로 유입되고, 여과실에서 처리된 오염수는 제2 격벽의 하부에 형성된 제2 관통홀(121)을 지나 정류실로 유입된다.
침전실에는 저류 격벽(SW)에 의해 제1 침전실(S-1)과 제2 침전실(S-2)로 나눠진다. 저류 격벽(SW)은 하부에 개방부(SW-S)를 갖는다. 상기 제1 침전실의 상부에는 유입관(200)이 형성되어 있다. 오염수는 유입관으로부터 제1 침전실로 유입되고, 저류 격벽의 하부에 형성된 개방부를 지나 제1 침전실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침전실의 하부에는 오염수에 포함된 돌, 흙과 같은 무거운 이물질이 모여 쌓이게 된다.
한편, 침전실의 상부에는 침전실 도어(SD)가 형성되어 있다.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침전실의 하부에 모여진 이물질들은 침전실 도어를 개방한 후 침전실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여과실(F)에는 필터부가 구비된다. 필터부는 제1 격벽(110)과 제2 격벽(12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필터부는 제1 격벽의 제1 관통홀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며, 또한 필터부는 제2 격벽의 제2 관통홀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제1 격벽의 제1 관통홀을 지나 여과실로 유입된 오염수는 필터부를 지나 제2 격벽의 제2 관통홀을 지나 정류실로 배출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관통홀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여과실의 상부에도 여과실 도어(FD)가 구비되어 있다. 여과실의 도어는 여과실 내부에 설치된 필터부의 교체 등을 위해 필요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평면도로서 필터부를 상측에서 바라다 본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130)는 프레임(131)과 필터(132)로 이루어진다. 프레임에는 복수 개의 필터가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을 사각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프레임은 사각 형상이며 중앙에 필터가 고정되는 사각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여과실(F-1)로 유입된 오염수는 프레임으로는 통과하지 못하고,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후 제2 여과실(F-2)로 이동된다.
상기 필터는 꼬임줄(132-1)과 상기 꼬임줄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는 탄성체(132-2)를 포함한다. 꼬임줄은 적어도 2가닥 이상으로 형성되며, 견고한 스테인레스 강재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꼬임줄에 결합된 탄성체는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외력으로부터 쉽게 복원된다.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에 이웃하는 필터부의 탄성체 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설치되는데, 복수 개가 설치된 필터부는 오염수에 포함된 작은 나뭇잎, 뜨다니는 나무 등과 같은 쉽게 가라않지 않는 부유물질이 걸러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는 수평으로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제1 격벽의 제1 관통홀로 배출되는 오염수를 필터링할 수 있도록 제1 격벽에서는 높게 그리고 제2 격벽에서는 낮게 형성되도록 경사지도록 설치할 수 있다.
참고로, 제1 격벽에서는 낮게 그리고 제2 격벽에서는 높게 형성하게 되면, 제1 격벽의 제1 관통홀에서 유입되는 오염수가 수직에 가깝게 마주하게 되므로, 세차게 유입되는 오염수에 의해 부유물질이 필터를 쉽게 통과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원하는 필터링 효과를 얻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다시 되돌아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장치의 처리조(100)에는 정류실(P)이 형성되어 있다. 여과실로부터 필터링된 오염수는 제2 격벽(120)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관통홀(121)을 지나 정화실로 유입된다. 상기 정화실(P)에는 수질정화 처리기(140)가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 처리기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여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 처리기(140)는 제1 처리관(141)과 제2 처리관(14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처리관은 제1 처리관의 내부에 끼워지며, 제1 처리관과 제2 처리관 사이(V)에는 여재(145)가 개재된다.
제1 처리관과 제2 처리관은 모두 시험관과 같은 형상을 갖으며, 제2 처리관은 제1 처리관 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다. 제1 처리관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홀(141-H)이 일정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2 처리관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홀(142-H)이 일정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 처리관의 홀은 제2 처리관의 홀보다 큰 크기로 형성된다. 제2 처리관의 홀의 형성 영역은 제1 처리관의 홀의 형성 영역과 비교하여 적어도 동일한 높이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처리관의 홀은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고형물, 이물질 등을 분리한다. 이에 반해, 제2 처리관의 홀은 오염수 내에 포함되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고형물, 이물질 등을 분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 처리기는 제1 처리관과 제2 처리관 사이에는 여재(145)가 채워진다. 상기 여재(145)는 섬유재(145-1)와 복수 개의 구멍(145-2-H))을 갖는 몸체(145-2)로 이루어진다. 몸체의 내부에는 섬유재가 개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몸체는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실시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원통 형상으로 한정하지 아니하고 내부에 섬유재가 개재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몸체의 내부에는 섬유재 대신에 오염물질을 포집할 수 있는 숯과 같은 물질이 개재될 수 있다.
여재의 크기는 제1 처리관의 홀 및 제2 처리관의 홀의 크기 보다 크다. 따라서 여재(135)는 제2 처리관의 내부로 또는 제1 처리관의 외부로 이동하지 않는다. 제1 처리관에 형성된 홀에 의해 1차로 걸러진 오염수는 여재에 의해 정화처리되고, 이어서 제2 처리관에 형성된 홀에 의해 2차로 정화처리된다. 따라서 여재는 제1 처리관에서 홀이 형성된 높이보다 적어도 높게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처리관을 제1 처리관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하여 제1 처리관과 제2 처리관 사이에 스페이스(SS)가 구비된다. 만약 2개의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제2 처리관을 제1 처리관에 고정하려 한다면 2개의 스페이스는 상하로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페이스로 제1 처리관과 제2 처리관을 고정한 이후에 스페이스를 투입한다면, 스페이스에는 여재의 투입을 위한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질정화 처리기에 따르면, 제2 처리관의 내부(A)에는 정화처리된 오염수가 모여지게 되고, 최종적으로 제2 처리관의 내부의 오염수는 배출관을 통해 배출된다. 도면에서는 배출관과 수질정화 처리기의 연결 부분이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수질정화 처리기의 제1 처리관과 제2 처리관 사이의 상부는 막혀있고, 제2 처리관과 배출관(300)이 연통되어 있다. 즉, 제2 처리관의 내부의 오염수가 배출관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처리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처리기는 앞서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수질정화 처리기에 형성된 제1 처리관, 제2 처리관 및 여재는 동일하지만, 제1 처리관 내부에 제2 처리관과 더불어 제3 처리관(133)이 더욱 형성된다. 제2 처리관과 제3 처리관은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는 제1 처리관의 단면 형상과 제2 처리관의 단면 형상과 다르게 도시되어 있으나, 제1 처리관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처리관의 내측과 제2 및 제3 처리관의 외측이 이루는 공간 내부에는 여재가 채워진다. 제2 처리관의 홀 또는 제3 처리관의 홀에는 고형물, 이물질 등으로 인해 막힐 수 있다. 제2 처리관의 홀이 막힌다면 제3 처리관은 예비관의 기능을 수행하며, 제3 처리관의 홀이 막힌다면 제2 처리관은 예비관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2 또는 제3 처리관은 폭기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또는 제3 처리관 중 어느 하나의 처리관은 오염수를 정화하는 처리관의 기능을 수행하고, 나머지 하나의 처리관은 압축 공기를 주입하는 폭기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압축 공기를 주입하는 블로워(미도시)가 나머지 하나의 처리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처리관과 제2 및 제3 처리관 사이에는 스페이스가 구비된다.
한편, 제2 처리관 및/또는 제3 처리관의 내부에는 정화처리된 오염수가 모여지게 되고, 최종적으로 제2 처리관 및/또는 제3 처리관의 내부의 오염수는 배출관을 통해 배출된다. 도면에서는 배출관과 수질정화 처리기의 연결 부분이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수질정화 처리기의 오염수를 처리하는 제2 및/또는 제3 처리관이 배출관(300)과 연통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화실의 상부에는 블로워의 설치 또는 수질정화 처리기의 수리 등을 위한 정화실 도어(PD)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 처리기는 처리되는 오염수의 량에 따라 복수 개 설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 처리조
110 : 제1 격벽
111 : 제1 관통홀
120 : 제2 격벽
121 : 제2 관통홀
130 : 필터부
131 : 프레임
132 : 필터
132-1 : 꼬임줄
132-2 : 탄성체
140 : 수질정화 처리기
141, 142, 143 : 제1 내지 제3 처리관
141-H, 141-H, 141-H : 제1 내지 제3 처리관의 홀
145 : 여재
145-1 : 섬유재
145-2 : 여재의 몸체
145-2-H : 몸체의 몸체에 형성된 구멍
200 : 유입관
300 : 유출관
S : 침전실
S-1 : 제1 침전실
S-2 : 제2 침전실
SW : 저류 격벽
SW-S : 개방부
F : 여과실
F-1 : 제1 여과실
F-2 : 제2 여과실
P : 정류실
SD : 침전실 도어
FD : 여과실 도어
PS : 정류실 도어
SS : 스페이스

Claims (7)

  1.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오염수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오염수를 처리하는 처리조와, 처리된 오염수를 배출하는 배출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처리조는 제1 격벽 및 제2 격벽으로 분리되는 침전실과 여과실과 정류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격벽은 상부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격벽은 하부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침전실은 하부에 개방부를 갖으며, 상기 개방부에 의해 제1 침전실과 제2 침전실로 나뉘어지며,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오염수는 제1 침전실에서 제2 침전실로 이동된 후, 제1 격벽의 상부에 형성된 제1 관통홀을 지나 여과실로 유입되며,
    상기 여과실은 프레임과 필터로 이루어지는 필터부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는 제1 격벽의 제1 관통홀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며, 또는 필터부는 제2 격벽의 제2 관통홀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정류실에는 배출관과 연통되는 수질정화 처리기가 설치되고, 상기 여과실로부터 제2 격벽의 하부에 형성된 제2 관통홀을 지나 유입된 오염수는 수질정화 처리기에 의해 정화되어 배출관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질정화 처리기는 제1 처리관과 제2 처리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처리관은 제1 처리관의 내부에 끼워지며, 제1 처리관과 제2 처리관 사이에는 여재가 채워지고, 상기 제1 처리관과 제2 처리관에는 각각 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1 처리관의 홀은 제2 처리관의 홀 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여재는 제1 및 제2 처리관의 홀의 크기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여재는 섬유재와 복수 개의 구멍을 갖는 원통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섬유재는 몸체의 내부에 개재되며,
    상기 필터는 꼬임줄과 상기 꼬임줄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는 프레임에 복수 개가 설치되되, 탄성체의 단부가 서로 겹치도록 설치되고,
    상기 오염수는 제1 처리관의 홀을 통해 유입되고, 상기 제1 처리관과 제2 처리관 사이에 채워진 여재에서 정화된 후, 상기 제2 처리관의 내부로 유입된 다음,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것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장치.
  2.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오염수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오염수를 처리하는 처리조와, 처리된 오염수를 배출하는 배출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처리조는 제1 격벽 및 제2 격벽으로 분리되는 침전실과 여과실과 정류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격벽은 상부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격벽은 하부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침전실은 하부에 개방부를 갖으며, 상기 개방부에 의해 제1 침전실과 제2 침전실로 나뉘어지며,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오염수는 제1 침전실에서 제2 침전실로 이동된 후, 제1 격벽의 상부에 형성된 제1 관통홀을 지나 여과실로 유입되며,
    상기 여과실은 프레임과 필터로 이루어지는 필터부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는 제1 격벽의 제1 관통홀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며, 또는 필터부는 제2 격벽의 제2 관통홀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정류실에는 배출관과 연통되는 수질정화 처리기가 설치되고, 상기 여과실로부터 제2 격벽의 하부에 형성된 제2 관통홀을 지나 유입된 오염수는 수질정화 처리기에 의해 정화되어 배출관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질정화 처리기는 제1 처리관, 제2 처리관 및 제3 처리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및 제3 처리관은 제1 처리관의 내부에 끼워지며, 제1 처리관의 내측과 제2 및 제3 처리관의 외측이 이루는 공간 내부에는 여재가 채워지며, 제1, 제2 및 제3 처리관에는 각각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처리관의 홀은 제2 및 제3 처리관의 홀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2 및 제3 처리관의 홀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여재는 제1, 제2 및 제3 처리관의 홀의 크기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여재는 섬유재와 복수 개의 구멍을 갖는 원통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섬유재는 몸체의 내부에 개재되며,
    상기 필터는 꼬임줄과 상기 꼬임줄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는 프레임에 복수 개가 설치되되, 탄성체의 단부가 서로 겹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 또는 제3 처리관 중 어느 하나의 처리관은 오염수를 정화처리하는 처리관의 기능을 수행하며, 나머지 하나의 처리관에는 블로워를 설치하여 압출공기를 주입하는 폭기관의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오염수는 제1 처리관의 홀을 통해 유입되고, 상기 제1 처리관과 제2 및 제3 처리관 사이에 채워진 여재에서 정화된 후, 상기 제2 또는 제3 처리관의 내부로 유입된 다음,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관과 상기 제1 처리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처리관 사이에는 스페이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제1 격벽에서는 높게 그리고 제2 격벽에서는 낮게 형성하여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50014247A 2015-01-29 2015-01-29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546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247A KR101546462B1 (ko) 2015-01-29 2015-01-29 비점오염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247A KR101546462B1 (ko) 2015-01-29 2015-01-29 비점오염 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462B1 true KR101546462B1 (ko) 2015-08-24

Family

ID=54061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247A KR101546462B1 (ko) 2015-01-29 2015-01-29 비점오염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4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5571B1 (ko) 2015-11-30 2017-06-21 신진유지건설 주식회사 강우유출수를 비롯한 오염수 처리를 위한 상향류 및 무잔류 처리장치
CN107166170A (zh) * 2017-05-18 2017-09-15 四川森洁燃气设备有限公司 基于提高燃气洁净度的输送***
KR102110507B1 (ko) * 2020-02-24 2020-06-08 (주) 한국엔피기술 빗물 저류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693B1 (ko) * 2008-12-30 2009-07-03 (주)낙동수환경방재기술원 초기 우수 처리 장치
KR100951098B1 (ko) * 2009-10-06 2010-04-07 (주)신우이앤씨 카트리지필터를 이용한 비점 오염원 여과처리장치
KR101249741B1 (ko) * 2012-02-29 2013-04-05 이종길 미생물 처리조를 포함한 통합 장치형 우수 처리 장치 및 우수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693B1 (ko) * 2008-12-30 2009-07-03 (주)낙동수환경방재기술원 초기 우수 처리 장치
KR100951098B1 (ko) * 2009-10-06 2010-04-07 (주)신우이앤씨 카트리지필터를 이용한 비점 오염원 여과처리장치
KR101249741B1 (ko) * 2012-02-29 2013-04-05 이종길 미생물 처리조를 포함한 통합 장치형 우수 처리 장치 및 우수 처리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5571B1 (ko) 2015-11-30 2017-06-21 신진유지건설 주식회사 강우유출수를 비롯한 오염수 처리를 위한 상향류 및 무잔류 처리장치
CN107166170A (zh) * 2017-05-18 2017-09-15 四川森洁燃气设备有限公司 基于提高燃气洁净度的输送***
KR102110507B1 (ko) * 2020-02-24 2020-06-08 (주) 한국엔피기술 빗물 저류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9047B2 (en) Non-point polluta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KR101546462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EP2745906A1 (de) Verfahren zur Mechanischen Feststoffabscheidung aus Abwasser
AU2004251154B2 (en) Stationary cloth media filtration
KR101453163B1 (ko) 초기우수 내 오염물 및 합류식 하수관 내 오염물 처리장치
CH699648B1 (de) Filter für die Filtration von mit Grob-, Fein- und Feinststoffen verschmutztem Abwasser und eine Abwasserreinigungsanlage.
KR100891940B1 (ko)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20120101987A (ko) 압착섬유 여과장치
JP6544525B2 (ja) 逆流洗浄装置移動型ろ過装置、逆流洗浄装置、逆流洗浄方法
KR101311903B1 (ko) 비점오염원 여과형 처리장치
KR101350537B1 (ko) 멀티 화이버층을 이용한 여과장치 및 그 역세방법
KR101774336B1 (ko) 유연성 섬유여재를 사용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KR101688564B1 (ko) 다중 필터형 2단 빗물 여과기
DE202006018117U1 (de) Regenwasser-Schachtfiltersystem
KR101886425B1 (ko) Mbr 종합 전처리기
KR20210137407A (ko) 유충 여과시설을 갖춘 정수처리장치
KR20100047032A (ko) 월류수 처리장치
KR101226656B1 (ko) 여과 시와 여재 세척 시에 여재 밀도의 조절이 가능한 여과 장치
RU176480U1 (ru) Устройство локальной очистки ливневых стоков от примесей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и взвешенных частиц
RU172601U1 (ru) Устройство локальной очистки ливневых стоков от примесей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и взвешенных частиц
KR101799225B1 (ko) 비점오염 저감시설
KR20170024624A (ko) 유지 제거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오수 정화 장치
KR101345261B1 (ko) 무역세 여과장치
KR101655772B1 (ko) 카트리지 필터 연계형 여과 시스템 및 복합 여과 설비
CN110575687B (zh) 负压水处理装置及其过滤方法和反冲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