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730B1 - 공중 케이블 놀이기구 - Google Patents

공중 케이블 놀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730B1
KR101545730B1 KR1020150034307A KR20150034307A KR101545730B1 KR 101545730 B1 KR101545730 B1 KR 101545730B1 KR 1020150034307 A KR1020150034307 A KR 1020150034307A KR 20150034307 A KR20150034307 A KR 20150034307A KR 101545730 B1 KR101545730 B1 KR 101545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upport
supporter
transfer devic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탁
Original Assignee
(주)피아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아이디 filed Critical (주)피아이디
Priority to KR1020150034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7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0Slideways with movably suspended cars, or with cars moving on rop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자가 공중에 설치된 케이블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블을 따라 이용자와 함께 도착점으로 이동한 이송장치를 쉽게 출발점으로 되돌려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놀이기구는, 수직한 시점지지대, 상기 시점지지대와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수직한 종점지지대, 상기 종점지지대의 상단에 힌지결합하는 회전막대, 일단부가 상기 종점지지대의 상단부에 접합되고 타단부가 회전막대에 접합되는 토션스프링, 상기 시점지지대의 상단과 회전막대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1케이블, 상기 제1케이블보다 낮은 위치에서 시점지지대와 종점지지대를 연결하되 시점지지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케이블, 상기 제2케이블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장치, 및 상기 제1케이블을 따라 이동하되 이송장치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중 케이블 놀이기구{Recreation facility with cable}
본 발명은 이용자가 공중에 설치된 케이블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을 따라 이용자와 함께 도착점으로 이동한 이송장치를 쉽게 출발점으로 되돌려보내는 것이 가능한 공중 케이블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가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레포츠 시설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레포츠 시설의 하나로 공중에 설치된 케이블을 타고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놀이기구가 있다.
등록번호 20-0201005의 '활강 놀이대'는 상기와 같은 케이블을 이용한 놀이기구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다수의 지주(20)에 의해 지탱되는 폐곡면을 이루는 궤도(10)가 설치되고, 이 궤도(10)는 사람의 체중이 실린 상태에서 활강할 때 가속력을 얻을 수 있는 하향경사로(11)와, 이 하향경사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축적된 가속력에 의해 박차고 오를 수 있는 정도의 기울기를 가진 상향경사로(12), 및 이 상향경사로(12)와 다른 하향경사로를 잇는 곡선부(13)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향경사로(12)를 완전히 통과한 경우 다시 연속적으로 하향경사로를 통해 활강을 할 수 있다.
그러나 하향경사로를 활강할 때 축적되는 힘은 이용자의 몸무게나 최초 출발 속도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어 하향경사로의 통과 후 상향경사로를 완전히 통과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용자 등이 직접 궤도(10)에 설치된 활차(30)를 움직여 하향경사로 전까지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되어 레포츠 시설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즐거움이 감소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201005 Y1 KR 20-0371301 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장스프링 및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케이블을 따라 이용자와 함께 도착점으로 하였던 이송장치를 자동으로 출발점으로 되돌려보내는 것이 가능한 공중 케이블 놀이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수직한 시점지지대, 상기 시점지지대와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수직한 종점지지대, 상기 종점지지대의 상단에 힌지결합하는 회전막대, 일단부가 상기 종점지지대의 상단부에 접합되고 타단부가 회전막대에 접합되는 토션스프링, 상기 시점지지대의 상단과 회전막대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1케이블, 상기 제1케이블보다 낮은 위치에서 시점지지대와 종점지지대를 연결하되 시점지지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케이블, 상기 제2케이블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장치, 및 상기 제1케이블을 따라 이동하되 이송장치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케이블의 지름은 제2케이블의 지름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케이블 놀이기구가 제공된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회전막대가 일정 각도 내에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제한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케이블 놀이기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회전막대와 함께 회동하는 회전축에는 회전막대가 급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실린더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케이블 놀이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공중 케이블 놀이기구는 이용자와 함께 케이블을 따라 종점으로 이동한 이송장치를 자동으로 시점으로 되돌려보낼 수 있기 때문에 놀이기구 이용의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고, 이용자들의 대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송장치를 자동으로 돌려보내는 데 필요한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의 필요성이 적고, 이용자가 이송장치에서 내린 후 이송장치가 급작스럽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의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도 1은 종래기술로서 등록번호 20-0201005의 '활강 놀이대'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놀이기구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놀이기구의 작동과정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4는 상기 놀이기구를 구성하는 회전막대의 급회전을 방지하는 실린더에 관한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용자가 공중에 설치된 케이블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블을 따라 이용자와 함께 도착점으로 이동한 이송장치를 자동으로 출발점으로 되돌려보내는 것이 가능하여, 이용자가 직접 이송장치를 끌고 출발점으로 되돌아가야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이용자들의 대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놀이기구(1)의 전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놀이기구(1)는,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수직한 시점지지대(10)와 종점지지대(20), 상기 종점지지대(20)의 상단에 힌지결합하는 회전막대(30), 일단부가 종점지지대(20)의 상단부에 접합되고 타단부가 회전막대(30)에 접합되는 토션스프링(40), 상기 시점지지대(10)와 회전막대(30)를 연결하는 제1케이블(50), 제1케이블(50)보다 낮은 위치에서 시점지지대(10)와 종점지지대(20)를 연결하되 시점지지대(10)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케이블(60), 상기 제2케이블(60)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장치(70), 및 제1케이블(50)을 따라 이동하되 이송장치(70)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인장스프링(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시점지지대(10)와 종점지지대(20)는 수직하게 형성되는 구조물로서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그 상단부에 제1·2케이블(50, 60)의 각 단부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제1·2케이블(50, 60)이 공중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시·종점지지대(10, 20)는 보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지주(C)를 간격을 두고 위치시키고 이 지주(C)들의 상부를 상부수평대(H1)와 하부수평대(H2)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케이블(50)은 시·종점지지대(10, 20)의 각 상부수평대(H1)에, 제2케이블(60)은 시·종점지지대(10, 20)의 각 하부수평대(H2)에 연결된다.
한 쌍의 지주(C)는 간격을 두고 위치하기 때문에 케이블을 따라 이동한 이용자가 지주(C) 사이의 공간에 안착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적다.
시·종점지지대(10, 20)의 구성부재들은 강관 등의 견고한 막대상의 부재를 조립하여 형성하고 지주(C)를 지지브라켓(B1) 등으로 지지하여, 놀이기구의 이용시 제1·2케이블(50, 60)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막대(30)는 종점지지대(20)의 상단, 즉 상부수평대(H1)에 힌지결합되어 제1케이블(50)과 종점지지대(20)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데, 종점지지대(20)와의 사이에 토션스프링(40)이 위치하기 때문에 평소에는 종점지지대(20)의 지주(C)와 둔각을 이루다가 제1케이블(50)을 통해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지주(C)와 상대적으로 더 작은 각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다시 하중이 제거되면 토션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지주(C)와 둔각을 이루는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상기 회전막대(30)가 지주(C)와 둔각을 이루는 경우 제1케이블(50)은 종점지지대(20) 방향으로 상향 경사를 형성하고, 회전막대(30)가 지주(C)와 더 작은 각을 이루는 경우 제1케이블(50)의 종종지지대측 단부가 내려가 시점지지대(10) 방향으로 상향 경사를 형성하거나 거의 수평을 이루게 된다.
참고로, 도 2에서 토션스프링(40)은 상부수평대(H1)와 회전막대(30) 내에서 대칭되게 쌍으로 위치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제2케이블(60)은 이용자가 시점지지대(10)에서 종점지지대(20)로 이동할 때 하중의 대부분을 지지하게 되는 부분으로서, 제1·2케이블(50, 60)에 아무런 하중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제1·2케이블(50, 60)의 간격은 종점지지대(20) 쪽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게 된다.
상기 제2케이블(60)이 시점지지대(10)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놀이기구의 이용시 이용자가 이용자의 몸무게 등에 의해 자연스럽게 종점지지대(20)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케이블(60)에는 제2케이블(60)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장치(70)가 연결 되는데, 상기 이송장치(70)에 안장(발판), 손잡이 등의 안정장치를 둠으로써 놀이기구의 이용자가 안전하게 놀이기구에 탑승하여 케이블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케이블(50)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서 이송장치(70)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인장스프링(80)은, 이송장치(70)의 이동시 함께 이동하면서 토션스프링(40)과 상호작용을 하여 제1케이블(50)과 제2케이블(60) 사이에 인장력을 발생시킨다. 인장스프링(80)과 토션스프링(40)의 작용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놀이기구(1)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인장스프링(80)과 이송장치(70)는 각각 맞물려 돌아가는 한 쌍의 롤러(R)를 구비하여 롤러(R) 사이에 케이블(50, 60)이 위치하도록 케이블과 연결함으로써 인장스프링(80) 및 이송장치(70)가 케이블과의 마찰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상기 놀이기구의 작동과정이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a)는 이용자가 놀이기구에 탑승하기 전의 상태, (b)는 탑승자가 놀이기구의 이송장치(70)에 탑승하여 하강중인 상태, (c)는 탑승자가 종점지지대(20)에 도착한 상태, (d)는 탑승자가 이송장치(70)에서 내린 후 이송장치(70)가 시점지지대(10)로 돌아가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a)에서처럼 이용자가 놀이기구에 탑승하지 않아 제1·2케이블(50, 60)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인장스프링(80)이 시점지지대(10)측에서 거의 인장되지 않은 상태로 위치하고 회전막대(30)가 토션스프링(40)에 의해 종점지지대(20)의 지주(C)와 둔각을 이룬다. 이송장치(70)에는 그 자중에 의해 종점지지대(20)를 향해 하향된 제2케이블(60)을 따라 이동하려는 힘이 발생하나 인장스프링(80)의 인장력에 의해 상쇄되어 제자리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용자가 이송장치(70)에 탑승하면 이용자의 몸무게(m)에 의해 제2케이블(60)에 보다 큰 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이송장치(70)가 제2케이블(60)을 따라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시점지지대(10)에서 종점지지대(20) 방향으로 갈수록 제1·2케이블(50, 60)의 간격은 커지므로 이송장치(70)가 종점지지대(20)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인장스프링(80)이 제1·2케이블(50, 60)의 간격에 맞게 늘어나며 더 큰 인장력(e1)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인장력은 회전막대(30)의 단부를 하부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는 힘으로 작용하지만 회전막대(30)가 하부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회전막대(30)에 접합된 토션스프링(40)에서 보다 큰 탄성력(e2)이 작용하게 되므로 인장스프링(80)의 인장력(e1)과 토션스프링(40)의 탄성력(e2)이 균형을 이루게 된다.
도 3의 (c)에서와 같이 이송장치(70)가 종점지지대(20)에 도착한 경우, 이송장치(70)에는 인장스프링(80)의 인장력(e1)에 의해 제1·2케이블(50, 6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드는 방향, 즉 시점지지대(10)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작용하지만, 이용자의 몸무게(m)에 의해 이송장치(70)가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도 3의 (d)에서와 같이 이용자가 이송장치(70)에서 내리게 되면 이송장치(70)를 고정하던 힘이 제거되어 이송장치(70)가 인장스프링(80)의 인장력(e1)에 의해 자동으로 시점지지대(1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토션스프링(40)은 회전막대(30)를 상부방향으로 회전하게하여 종점지지대(20)측에서 제1·2케이블(50, 60) 사이의 간격을 크게 함으로써 인장스프링(80)의 작용을 보조한다.
제1케이블(50)의 지름은 제2케이블(60)의 지름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케이블(60)은 이송장치(70) 및 이송장치(70)에 탑승하는 이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제1케이블(50)은 제2케이블(60)과의 간격조정을 통해 이송장치(70)를 시점지지대(10) 방향으로 되돌리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인장스프링(80)의 인장력 및 인장스프링(80) 자체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규격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렇게 제1케이블(50)의 지름을 더 작게 형성하는 경우, 제1케이블(50) 자체의 하중이 작으므로 회전막대(30)를 통해 제1케이블(50)의 단부를 들어올리는 토션스프링(40)의 규격 또한 작게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케이블(50)의 지름은 5mm, 제2케이블(60)의 지름은 15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놀이기구(1)는, 회전막대(30)가 일정 각도 내에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회전제한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케이블(60)에는 이송장치(70)에 탑승하는 이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매우 큰 하중이 가해질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제2케이블(60)에 큰 처짐이 발생하여 이와 연결되어 있는 인장스프링(80)을 통해 제1케이블(50)에도 처짐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회전막대(30)가 크게 회전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회전막대(30)는 토션스프링(40)에 접합되어 있으므로 회전막대(30)가 토션스프링(40)의 탄성변형 범위 밖으로 회전하는 경우 토션스프링(40)이 탄성력을 상실할 수 있다.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회전막대(30)가 토션스프링(40)의 탄성변형 범위 내에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토션스프링(40)이 탄성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한다.
회전제한수단은 보다 구체적으로 종점지지대(20)의 상·하부수평대(H1, H2)를 연결하되 회전막대(30)의 하부에서 회전막대(30)와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돌출브라켓(B2)일 수 있다.
상기 놀이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막대(30)와 함께 회동하는 회전축(31)에 회전막대(30)가 급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실린더(9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는 이와 관련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놀이기구의 이용자가 종점지지대(20)에 도착하여 이송장치(70)에서 내리는 경우, 이송장치(70) 및 이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인장스프링(80) 및 토션스프링(40)의 하중상태가 급작스럽게 변화하여 이송장치(70)가 상부로 빠르게 이동하면서 이용자의 안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실린더(90)는 공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여 회전막대(30)가 천천히 회동하도록 함으로써 이송장치(70)가 갑작스럽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축(31)에는 평기어(G1)가 부착되고 실린더(90)에는 렉기어(G2)가 연결되어 있어 상기 두 기어가 맞물림으로써 실린더(90)에 의한 회전막대(30)의 회전 속도조절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 또한 청구범위의 기재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놀이기구 10 : 시점지지대
20 : 종점지지대 30 : 회전막대
31 : 회전막대 40 : 토션스프링
50 : 제1케이블 60 : 제2케이블
70 : 이송장치 80 : 인장스프링
90 : 실린더
B1 : 지지브라켓 B2 : 돌출브라켓
C : 지주 H1 : 상부수평대
H2 : 하수부평대 R : 롤러

Claims (4)

  1. 수직한 시점지지대(10), 상기 시점지지대(10)와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수직한 종점지지대(20), 상기 종점지지대(20)의 상단에 힌지결합하는 회전막대(30), 일단부가 상기 종점지지대(20)의 상단부에 접합되고 타단부가 회전막대(30)에 접합되는 토션스프링(40), 상기 시점지지대(10)의 상단과 회전막대(30)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1케이블(50), 상기 제1케이블(50)보다 낮은 위치에서 시점지지대(10)와 종점지지대(20)를 연결하되 시점지지대(10)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케이블(60), 상기 제2케이블(60)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장치(70), 및 상기 제1케이블(50)을 따라 이동하되 이송장치(70)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인장스프링(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케이블(50)의 지름은 제2케이블(60)의 지름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케이블 놀이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막대(30)가 일정 각도 내에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제한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케이블 놀이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막대(30)와 함께 회동하는 회전축(31)에는 회전막대(30)가 급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실린더(90)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케이블 놀이기구.
KR1020150034307A 2015-03-12 2015-03-12 공중 케이블 놀이기구 KR101545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307A KR101545730B1 (ko) 2015-03-12 2015-03-12 공중 케이블 놀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307A KR101545730B1 (ko) 2015-03-12 2015-03-12 공중 케이블 놀이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730B1 true KR101545730B1 (ko) 2015-08-20

Family

ID=54061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307A KR101545730B1 (ko) 2015-03-12 2015-03-12 공중 케이블 놀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7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899B1 (ko) * 2017-12-21 2018-07-05 (주)인플레이 조합 놀이대
KR20200094414A (ko) 2019-01-30 2020-08-07 허동석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페달형 공중 놀이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3806A (ja) * 1996-06-05 1997-12-16 Nippon Kinzoku Co Ltd 搬送装置
JP2000262753A (ja) * 1999-03-12 2000-09-26 Sanei:Kk 滑走具自動戻り機構付ロープウェイ
KR101122520B1 (ko) * 2011-11-25 2012-03-19 짚트랙코리아 주식회사 짚 트렉 시스템
KR101300582B1 (ko) * 2011-08-04 2013-08-27 고두정 트롤리 락커 이동 장치
KR20130094931A (ko) * 2012-02-17 2013-08-27 주식회사 모텍스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3806A (ja) * 1996-06-05 1997-12-16 Nippon Kinzoku Co Ltd 搬送装置
JP2000262753A (ja) * 1999-03-12 2000-09-26 Sanei:Kk 滑走具自動戻り機構付ロープウェイ
KR101300582B1 (ko) * 2011-08-04 2013-08-27 고두정 트롤리 락커 이동 장치
KR101122520B1 (ko) * 2011-11-25 2012-03-19 짚트랙코리아 주식회사 짚 트렉 시스템
KR20130094931A (ko) * 2012-02-17 2013-08-27 주식회사 모텍스 자동운전식 수평이동 짚 라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899B1 (ko) * 2017-12-21 2018-07-05 (주)인플레이 조합 놀이대
KR20200094414A (ko) 2019-01-30 2020-08-07 허동석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페달형 공중 놀이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9587B2 (ja) ローイングエクササイズ装置及びこの装置を使用する方法
US9545581B2 (en) Motion platform
US10376798B2 (en) High angle tethered slide with freefall drop and variable radius swing
KR200453067Y1 (ko) 와이어를 이용한 활강 레포츠 안전 제동 장치
CN107073308A (zh) 锻炼设备及其使用方法
US20080058168A1 (en) Miniaturized track exercising device
KR101545730B1 (ko) 공중 케이블 놀이기구
US9289693B1 (en) Motion platform for a simulation device
US6875118B1 (en) Pneumatically actuated swing ride
CN102755715A (zh) 具有摆动的使用者支撑件的臀部健身器
GB2516024A (en) Activity frame
KR101177798B1 (ko) 운동기구
US9415780B2 (en) Zip line attraction and methods
KR102191731B1 (ko)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페달형 공중 놀이기구
US20180085675A1 (en) Amusement ride for hang gliding simulation
KR200453068Y1 (ko) 레일을 이용한 활주 레포츠 장치
US6988951B1 (en) Floating machine
US10245494B1 (en) Trick board training apparatus
KR102222373B1 (ko) 승마 연습용 안전장치
WO2016085507A1 (en) Motion platform for a simulation device
JP3130094U (ja) 門型シーソー
US20160148528A1 (en) Simulation device with a roll mechanism
KR101757587B1 (ko) 복합운동기구
KR102230853B1 (ko) 익사이팅 라이딩기구용 레일
RU2603579C1 (ru) Самовращающиеся крылатые качели галач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