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681B1 - 고효율 진동탈수방식이 적용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스크린장치 - Google Patents

고효율 진동탈수방식이 적용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스크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681B1
KR101545681B1 KR1020150035861A KR20150035861A KR101545681B1 KR 101545681 B1 KR101545681 B1 KR 101545681B1 KR 1020150035861 A KR1020150035861 A KR 1020150035861A KR 20150035861 A KR20150035861 A KR 20150035861A KR 101545681 B1 KR101545681 B1 KR 101545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ewatering
shaft
dehydration
fil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5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 석 강
Original Assignee
동 석 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 석 강 filed Critical 동 석 강
Priority to KR1020150035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5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 B01D33/5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involving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뇨나 축산폐수 등으로부터 각종 협잡물을 여액과 분리하는 협잡물 종합처리기에 설치되어 씨앗 성분이나 짐승털과 같은 미세한 협잡물을 제거토록 한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액의 탈수구멍과 협잡물의 이송스크류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탈수스크린을 장치하우징의 내부에 배치시키고, 상기 탈수스크린의 전,후방측 스크린축은 장치하우징의 벽체 부분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도록 하며, 상기 전방측 스크린축에는 탈수스크린의 진동을 유도하는 기계식 또는 전기식 진동발생기를 설치하고, 해당 스크린축이 관통되는 장치하우징 부분에는 스크린축의 요동에 필요한 여유간격을 형성시키며, 상기 후방측 스크린축에는 스크린모터와 연계되는 탈수스크린의 구동수단과 탈수스크린의 축방향 회전 및 요동을 지지할 수 있는 앵귤러볼베어링을 각각 설치함으로서, 탈수스크린의 회전에 따른 여액과 협잡물의 분리작업시 탈수스크린의 충격식 진동을 추가로 유도하여 탈수스크린의 탈수구멍이 협잡물에 의하여 막히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탈수구멍을 통한 여액의 물빠짐 기능은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스크린장치에 요구되는 여액과 협잡물의 분리성능을 크게 향상시키고, 탈수스크린의 표면세척에 필요한 세척수의 사용량은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고효율 진동탈수방식이 적용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효율 진동탈수방식이 적용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스크린장치{Screen apparatus for an overall wastes processing equipment with high efficient vibratory dehydration}
본 발명은 분뇨나 축산폐수 등으로부터 각종 협잡물을 여액과 분리하는 협잡물 종합처리기에 설치되어 씨앗 성분이나 짐승털과 같은 미세한 협잡물을 제거토록 한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탈수스크린의 회전에 따른 여액과 협잡물의 분리작업시 탈수스크린의 충격식 진동을 추가로 유도하여 탈수스크린의 탈수구멍이 협잡물에 의하여 막히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탈수구멍을 통한 여액의 물빠짐 기능은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고효율 진동탈수방식이 적용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도시인구의 증가 및 축산농가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많은 량의 오,폐수나 생활하수 또는 분뇨나 축산폐수 등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오,폐수나 생활하수 또는 분뇨나 축산폐수 등으로 인하여 지하수나 하천 및 연안해역의 오염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오,폐수나 생활하수 또는 분뇨나 축산폐수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로 인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의 조성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분뇨나 축산폐수의 경우는 각 지역마다 별도의 정화시설을 마련하여 정부적인 차원에서 관리 및 처리하고 있으나, 축산폐수의 경우 그 부유물(SS)의 농도가 20,000 ~ 25,000ppm 수준이 되므로 정화시설의 가동시 과부하가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분뇨 및 축산폐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수거된 분뇨 및 축산폐수로부터 각종 협잡물을 제거하여 부유물 농도가 낮은 액상의 여액으로 조성시킨 다음, 이를 최종 정화시설로 보내어 처리토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분뇨나 축산폐수를 여액과 협잡물로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처리기 본체의 내부로 분뇨나 축산폐수를 투입시키고, 로터리스크린과 스크류탈수기에 의한 1차 협잡물 처리과정에서 발생한 여액을 여액저장조에 저장시키며, 여액저장조에 저장된 여액을 스크린장치 및 원심분리기와 연결된 싸이클론으로 펌핑시킴으로서, 여액에 함유된 씨앗과 짐승털 및 세사(細沙) 성분과 같은 미세협잡물까지 제거시킨 후, 이와 같이 처리된 여액이 여액배출조를 통하여 최종 정화시설로 공급되도록 한 협잡물 종합처리기가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출원 및 특허등록(등록번호: 제 10-0880270호)되어 알려져 있다.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협잡물 종합처리기에 있어, 싸이클론으로부터 투입된 씨앗 성분이나 짐승털과 같은 미세한 협잡물을 여액과 분리시키도록 한 스크린장치는, 협잡물과 여액의 배출통로가 하부에 각각 제공되는 장치하우징과, 상기 장치하우징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탈수스크린과, 상기 탈수스크린의 전,후방측에 연결되어 장치하우징의 벽체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스크린축과, 장치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어 탈수스크린의 스크린축과 연결되는 스크린모터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상기 탈수스크린의 몸통 전면에는 여액의 물빠짐 통로를 제공하는 탈수구멍이 형성되고, 탈수스크린의 내주면에는 협잡물의 이송스크류가 설치되며, 탈수스크린의 전방면에는 이송스크류에 의하여 밀려 나오는 협잡물의 배출캡이 설치되고, 싸이클론과 연결된 협잡물의 투입관은 탈수스크린의 후방측 스크린축을 관통하여 탈수스크린의 내부까지 연장 설치되며, 각각의 스크린축에는 탈수스크린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유닛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선출원에 적용된 스크린장치는, 스크린모터를 이용하여 장치하우징의 내부에서 탈수스크린을 회전시키는 한편, 싸이클론으로부터 투입관을 거쳐 여액이 포함된 협잡물 성분이 탈수스크린의 내부로 투입되도록 함으로서, 씨앗 성분이나 짐승털과 같은 협잡물은 탈수스크린의 이송스크류와 배출캡을 거쳐 스크류탈수기측으로 낙하되도록 하고, 여액 성분은 탈수스크린의 몸통에 형성된 탈수구멍을 거쳐 여액배출덕트와 연결된 여액배출조로 분리 배출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선출원에 적용된 스크린장치는 탈수스크린의 회전에 따른 여액과 협잡물의 분리작업시 탈수스크린의 탈수구멍이 미세한 크기의 협잡물에 의하여 막히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였고, 이는 탈수스크린을 통한 여액의 물빠짐 기능을 저하시켜 협잡물의 배출캡측으로 다량의 여액이 배출되거나 싸이클론으로 여액이 오버플로우되는 등, 여액과 협잡물의 효율적인 분리작업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을 유발시키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탈수스크린의 상부측에 해당하는 장치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세척수의 분사기구를 설치함으로서, 탈수스크린의 탈수구멍에 박혀 있는 협잡물을 세척수로 탈락시키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협잡물의 탈락작업에 비교적 많은 량의 고압세척수가 사용됨은 물론이고, 협잡물의 탈락에 사용된 세척수는 여액과 함께 여액배출조로 유입됨에 따라 결국에는 여액의 처리부하를 증대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협잡물 종합처리기의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운용을 달성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88027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928559호
본 발명은 선출원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에 적용된 스크린장치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여액의 탈수구멍과 협잡물의 이송스크류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탈수스크린을 장치하우징의 내부에 배치시키고, 상기 탈수스크린의 전,후방측 스크린축은 장치하우징의 벽체 부분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도록 하되, 상기 전방측 스크린축에는 탈수스크린의 진동을 유도하는 기계식 또는 전기식 진동발생기를 설치하고, 해당 스크린축이 관통되는 장치하우징 부분에는 스크린축의 요동(진동)에 필요한 여유간격을 형성시키며, 상기 후방측 스크린축에는 스크린모터와 연계되는 탈수스크린의 구동수단과 함께 탈수스크린의 축방향 회전 및 요동을 지지할 수 있는 앵귤러볼베어링을 설치함으로서, 탈수스크린의 회전에 따른 여액과 협잡물의 분리작업시 탈수스크린의 충격식 진동을 추가로 유도하여 탈수스크린의 탈수구멍이 협잡물에 의하여 막히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탈수구멍을 통한 여액의 물빠짐 기능은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스크린장치에 요구되는 여액과 협잡물의 분리성능을 크게 향상시키고, 탈수스크린의 표면세척에 필요한 세척수의 사용량은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고효율 진동탈수방식이 적용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스크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씨앗 성분이나 짐승털을 포함하는 각종 협잡물을 여액과 분리시키기 위한 원통 형상의 탈수스크린이 장치하우징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탈수스크린의 몸통 전면에 걸쳐 탈수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탈수스크린의 내주면에는 협잡물의 이송스크류가 설치되고, 상기 탈수스크린의 전방면 개구부에는 협잡물의 배출구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협잡물배출캡이 설치되며, 상기 협잡물배출캡의 전방면과 탈수스크린의 후방면에는 장치하우징을 관통하는 스크린축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후방측 스크린축에는 스크린모터와 연계되는 탈수스크린의 구동수단이 설치되며, 여액이 포함된 협잡물의 투입관은 후방측 스크린축을 관통하여 탈수스크린의 내부까지 연장 설치되고, 상기 장치하우징의 하측부에는 협잡물과 여액의 배출통로가 각각 제공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스크린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방측 스크린축에는 탈수스크린의 축방향 회전과 요동을 동시에 지지하는 앵귤러볼베어링의 내륜이 장착되고, 상기 앵귤러볼베어링의 외륜은 베어링장착캡에 의하여 장치하우징상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전방측 스크린축에는 탈수스크린용 진동발생기가 설치되고, 상기 전방측 스크린축이 장치하우징을 관통하는 부분에는 해당 스크린축의 진동폭에 맞춘 여유간격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발생기는 전방측 스크린축에 조립 설치되는 메인기어와, 상기 메인기어의 하부에서 메인기어와 부정교합식으로 맞물려 회전하는 한 쌍의 종동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종동기어는 장치하우징의 외측면에 고정식으로 장착된 기어축상에 베어링을 개재시킨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메인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각각의 종동기어가 지지브라켓에 의하여 회전 지지되도록 하되, 상기 지지브라켓은 장치하우징의 전방면 하측부에 배치되는 완충기구상에 설치되며, 상기 완충기구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단식으로 배치된 받침대의 사이에 완충스프링이 개재된 것이고, 상기 지지브라켓은 최상단측 받침대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메인기어와 종동기어간의 부정교합 방식은, 메인기어를 이루는 각각의 기어치 간격을 교대로 번갈아가며 서로 다른 치수로 형성시키거나, 메인기어를 이루는 각각의 기어치 두께 또는 높이를 교대로 번갈아가며 서로 다른 치수로 형성시키는 방식중에서 택일한 방식이 적용되고, 상기 각 종동기어의 기어치는 메인기어의 기어치 치수변동폭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치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탈수스크린의 회전에 따른 여액과 협잡물의 분리작업시 탈수스크린의 충격식 진동을 추가로 유도하여 탈수스크린의 탈수구멍이 협잡물에 의하여 막히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탈수구멍을 통한 여액의 물빠짐 기능은 충분히 확보토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이로 인하여 선출원에서와 같은 세척수의 분사기구를 별도로 적용하지 않더라도 스크린장치에 요구되는 여액과 협잡물의 분리성능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함은 물론이고, 탈수스크린의 진동에 따른 충격과 소음을 상기 완충기구로 완화시켜 보다 더 안전하고 정숙한 장치의 운전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탈수스크린의 상부측에 세척수의 분사기구를 추가로 적용할 경우에는, 탈수스크린의 충격식 진동과 세척수의 분사압력을 동시에 이용하여 협잡물의 탈락 및 여액의 물빠짐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선출원에 적용된 스크린장치와 비교하여 협잡물의 탈락작업에 필요한 고압세척수의 사용량과 이에 따른 여액의 처리부하는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이로 인하여 한층 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협잡물 종합처리기의 운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크린장치가 적용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래칫식 진동발생기가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
도 7은 기어식 진동발생기가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장치의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
도 9는 전기진동기가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장치의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요부 확대도.
도 11 및 도 12는 도 5 및 도 7의 진동발생기에 완충기구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정면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장치(10)가 선출원된 협잡물 종합처리기(1)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협잡물 종합처리기(1)는 종래의 기술내용에서도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로터리스크린(2)과 스크류탈수기(3)와 싸이클론(6)과 원심분리기(7)와 세사배출기(8) 및 여액저장조(4)와 여액배출조(4')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장치(10)와 함께 장치하우징(9)의 내,외측에 집적화되어 설치된 것이다.
상기 장치하우징(9)의 전방측에는 분뇨나 축산폐수 등의 투입구(1a)가 제공되고, 상기 투입구(1a)의 후방측에 해당하는 장치하우징(9)의 내부공간에는 유량조정조(2a)와 로터리스크린(2)과 스크류탈수기(3)가 순차적으로 삽입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탈수기(3)의 상부측에는 로터리스크린(2)을 거쳐 여액과 1차로 분리된 협잡물의 투입을 위한 협잡물투입구(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여액저장조(4)는 로터리스크린(2)과 스크류탈수기(3)의 하부측에 각각 제공된 여액배출구(2b)(3b)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로터리스크린(2)과 스크류탈수기(3)는 장치하우징(9)에 설치된 스크린모터와 스크류모터의 동력으로 작동되며, 여액저장조(4)의 벽체 외측에는 여액이송펌프(5)가 설치되고, 상기 여액이송펌프(5)로부터 연장되는 여액이송관(5a)이 싸이클론(6)과 연결 설치된다.
상기 싸이클론(6)은 장치하우징(9)의 후방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여액이송관(5a)을 통하여 펌핑되는 여액 중의 협잡물을 비중차에 의하여 분리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씨앗 성분이나 짐승털과 같이 비중이 가벼운 협잡물은 싸이클론(6)의 상단측 투입관(6a)을 통하여 본 발명의 스크린장치(10)를 이루는 탈수스크린(11)의 내부로 투입되고, 세사(細沙) 성분과 같이 비중이 무거운 협잡물은 싸이클론(6)의 하단측 투입관(6b)을 통하여 원심분리기(7)로 투입된다.
상기 스크린장치(10)는 탈수스크린(11)을 이용하여 씨앗 성분이나 짐승털과 같은 미세한 협잡물을 여액과 분리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원심분리기(7)는 세사 성분과 같은 미세한 협잡물을 여액과 분리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탈수스크린(11)의 전방측에는 스크류탈수기(3)의 협잡물투입구(3a)측으로 협잡물을 낙하시키는 협잡물배출캡(14)이 설치되고, 탈수스크린(11)의 하부측에는 여액배출관(10a)이 제공되며, 상기 원심분리기(7)의 전,후방 하측부에는 여액배출관(7a)과 세사배출관(7b)이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세사배출관(7b)의 하단측에 스크류식 세사배출기(8)가 연결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크린장치(10)와 원심분리기(7)의 여액배출관(7a)(10a)이 여액배출조(4')와 연결됨으로서, 스크린장치(10)와 원심분리기(7)에서 미세협잡물과 분리된 여액 성분이 여액배출조(4')의 내부에 저장된 다음, 여액배출조(4')의 여액배출관(4a)을 통하여 최종 정화시설로 공급되는 것이며, 스크린장치(10)로부터 배출된 협잡물 성분은 스크류탈수기(3)에서 재차 탈수 처리되고, 탈수스크린(11)의 외부케이싱을 제공하는 장치하우징(9) 부분에는 악취의 배기관(10b)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스크린장치(10)가 적용되는 처리설비의 일례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협잡물 종합처리기(1)를 거론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장치(10)는 선출원된 협잡물 종합처리기(1) 뿐만 아니라, 분뇨나 축산폐수 또는 하수나 폐수 등의 처리에 사용되는 다른 여러 가지 형태의 협잡물 처리설비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스크린장치(10)는 분뇨나 축산폐수 또는 하수 등의 처리 이외에도 각종 오폐수에 함유된 협잡물의 분리 또는 액체로부터 고형분을 분리하는 다른 여러 가지 용도의 탈수 처리에도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며, 이러한 용도(적용분야)의 선택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장치(10)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씨앗 성분이나 짐승털이 포함된 미세한 협잡물을 여액과 분리시키기 위한 원통 형상의 탈수스크린(11)이 장치하우징(9)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탈수스크린(11)의 몸통 전면(全面)에 걸쳐 여액의 물빠짐 통로를 제공하는 탈수구멍(13)이 형성되며, 상기 탈수스크린(11)의 내주면에는 협잡물의 이송스크류(12)가 설치되고, 상기 탈수스크린(11)의 전방면 개구부(14b)에는 협잡물의 배출구(14a)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협잡물배출캡(1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협잡물배출캡(14)의 전방면과 탈수스크린(11)의 후방면에는 장치하우징(9)을 관통하는 스크린축(15)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후방측 스크린축(15)에는 탈수스크린(11)의 구동수단으로서 종동스프라켓(17)이 설치되며, 싸이클론(6)으로부터 연장되는 협잡물의 투입관(6a)은 장치하우징(9) 외측의 투입관지지대(18)를 거쳐 후방측 스크린축(15)을 관통한 다음 탈수스크린(11)의 내부까지 연장 설치되고, 장치하우징(9)의 하측부에는 협잡물의 배출통로(14c)와 여액배출덕트(9a)가 각각 제공되며, 상기 여액배출덕트(9a)의 하단측에 앞서 설명된 여액배출관(10a)이 연결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장치(10)의 요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는, 상기 전방측 스크린축(15)에 탈수스크린(11)용 진동발생기(30)가 설치되고, 상기 장치하우징(9)의 전방면 하부측에는 진동발생기(30)의 설치를 위한 장착공간(30a)이 제공되며, 전방측 스크린축(15)이 장치하우징(9)을 관통하는 부분에는 해당 스크린축(15)의 진동폭에 맞춘 여유간격(9b)이 제공되고, 상기 후방측 스크린축(15)에는 탈수스크린(11)의 축방향 회전과 요동(진동)을 동시에 지지하는 앵귤러볼베어링(Angular ball bearing)(20)이 설치된 것이다.
상기 앵귤러볼베어링(20)은 도 2의 확대된 부분에서와 같이, 선단측에 경사면(21a)이 형성된 외륜(21)과, 베어링볼(23)과의 접촉면에 유동간격(22a)이 제공된 내륜(22)과의 사이에 베어링볼(23)이 삽입 설치된 것으로서, 레이디얼(Radial) 하중과 엑시얼(Axial) 하중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는 공지의 부품이며, 상기 앵귤러볼베어링(20)의 내륜(22)이 후방측 스크린축(15)에 장착되고, 앵귤러볼베어링(20)의 외륜(21)은 베어링장착캡(19)에 의하여 장치하우징(9)상에 고정 설치되며, 도면상 단열식(單列式) 앵귤러볼베어링(20)이 적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복렬식 앵귤러볼베어링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후방측 스크린축(15)의 종동스프라켓(17)을 통하여 모터의 동력이 인가됨에 따라 탈수스크린(11)이 회전하는 동시에, 전방측 스크린축(15)에 설치된 진동발생기(30)에 의하여 후방측 스크린축(15)을 중심으로 탈수스크린(11)이 요동하게 될 경우, 이러한 요동현상을 앵귤러볼베어링(20)이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앵귤러볼베어링(20) 이외에도 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테이퍼롤러베어링(Taper roller bearing)을 설치하거나, 앵귤러볼베어링(20)과 테이퍼롤러베어링을 병용(竝用)하는 방식도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장치(10)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스크린장치(10)의 탈수스크린(11)을 원통 형상의 외부측 제 1스크린(11a)과 원통 형상의 내부측 제 2스크린(11b)으로 하여 이를 동심원 형태로 배치시킨 다단(2단) 스크린장치(10)에 해당하며, 상기 제 1스크린(11a)의 몸통 전면에는 장공 형태의 탈수슬릿(13a)이 탈수구멍(13)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스크린(11b)의 몸통 전면에는 원형의 탈수공(13b)이 탈수구멍(13)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스크린(11a)과 제 2스크린(11b)의 몸통 내주면에는 협잡물의 이송스크류(12)가 각각 설치되고, 제 2스크린(11b)의 협잡물배출캡(14)은 제 1스크린(11a)의 협잡물배출캡(14) 내부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며, 제 2스크린(11b)의 전방측 스크린축(15a)은 베어링(15b)을 개재시킨 상태로 제 1스크린(11a)의 전방측 스크린축(15)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제 1스크린(11a)의 전방측 스크린축(15)이 장치하우징(9)의 벽체 부분을 관통하여 진동발생기(30)와 연결 설치된다.
한편, 상기 앵귤러볼베어링(20)은 제 1스크린(11a)의 후방측 스크린축(15)에 설치되고, 제 2스크린(11b)의 후방측 스크린축(15a)은 베어링(15b)을 개재시킨 상태로 제 1스크린(11a)의 후방측 스크린축(15)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 설치되며, 상기 투입관(6a)은 제 2스크린(11b)의 후방측 스크린축(15a)을 관통하여 제 2스크린(11b)의 내부까지 연장 설치되고, 상기 종동스프라켓(17)(17a)은 제 1스크린(11a)과 제 2스크린(11b)의 후방측 스크린축(15)(15a)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각각의 종동스프라켓(17)(17a)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스크린모터(25)의 구동축에 설치된 2개의 구동스프라켓(26)(26a)과 전동체인(27)으로 각각 연결됨으로서, 스크린모터(25)의 가동에 따라 제 1스크린(11a)과 제 2스크린(11b)이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는 동시에, 제 1스크린(11a)의 전방측 스크린축(15)상에 설치된 진동발생기(30)에 의하여 제 1스크린(11a)과 제 2스크린(11b)이 앵귤러볼베어링(20)의 장착부위를 중심으로 함께 요동(진동)하게 되는 것이다.
필요시 제 1스크린(11a)과 제 2스크린(11b)의 스크린축(15)(15a)을 하나의 단일축으로 형성시킴으로서, 제 1스크린(11a)과 제 2스크린(11b)이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체인과 스프라켓을 이용한 전동수단 이외에도 벨트나 풀리 등의 다른 전동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린모터(25)는 투입관지지대(18)와 함께 장치하우징(9) 외측의 구동부지지대(28)상에 장착되고, 장치하우징(9)의 상측부에는 스크린장치(10)의 가동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체크도어(29)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주된 요부가 되는 상기 진동발생기(30)는 탈수스크린(11)의 전방측 스크린축(15)을 진동시켜 탈수스크린(11)이 앵귤러볼베어링(20)의 장착부위를 중심으로 회전 및 요동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라면 기계식이나 전기식과 같은 종류에 상관없이 어떠한 방식의 진동발생기(30)가 적용되더라도 무방하지만,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탈수스크린(11)의 회전 충격식 진동을 유도하여 협잡물의 탈락성능과 여액의 탈수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에서는 기계식 진동발생기(30)로서의 래칫식(Ratchet type) 진동발생기(30)를 그 대표적인 일례로 하였는 바, 상기 래칫식 진동발생기(30)는 도 2 내지 도 6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스크린(11)의 전방측 스크린축(15)에 조립식으로 고정 설치되는 래칫휠(31)과, 상기 래칫휠(31)의 하부에서 래칫휠(31)과 밀착된 상태로 맞물려 회전하는 한 쌍의 지지롤러(32)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상기 래칫휠(31)의 주연부에는 톱니 형상의 래칫부(31b)가 일방향으로 연이어져 돌출 형성되고, 래칫휠(31)의 전방면과 후방면에는 보강판(31a)이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지지롤러(32) 전,후방측에는 래칫휠(31)의 이탈방지판(33)이 설치되고, 각각의 지지롤러(32)는 베어링(32b)을 개재시킨 상태로 롤러축(32a)상에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롤러축(32a)은 진동발생기(30)의 장착공간(30a)을 제공하는 장치하우징(9)의 외측면에 고정식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스크린모터(25)의 가동에 따라 탈수스크린(11)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탈수스크린(11)의 전방측 스크린축(15)에 고정 설치된 래칫휠(31) 또한 각각의 지지롤러(32)와 접촉된 상태로 탈수스크린(11)과 함께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서, 래칫휠(31)의 주연부를 따라 연이어진 톱니 형상의 래칫부(31b)에 의하여 래칫휠(31)이 스크린축(15)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요동하게 되며, 이러한 요동이 스크린축(15)을 거쳐 탈수스크린(11)으로 전달됨으로서 궁극적으로는 탈수스크린(11)의 진동이 유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탈수스크린(11)의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후방측 스크린축(15)에 설치된 앵귤러볼베어링(20)이 탈수스크린(11)의 회전과 요동을 안전하게 지지함으로서, 탈수스크린(11)의 후방측 스크린축(15)에 마모나 손상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각 지지롤러(32)의 전,후방측에 설치된 이탈방지판(33)이 래칫휠(31)의 요동폭을 커버하게 됨으로서, 래칫휠(31)과 지지롤러(32)가 서로 어긋나거나 래칫휠(31)이 지지롤러(32)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서로 안정적으로 맞물려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지지롤러(32)의 롤러축(32a) 일측단이 장치하우징(9)의 롤러장착대(32c)상에 고정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진동발생기(30)의 장착공간(30a)을 제공하도록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의 장치하우징(9) 외측면에 걸쳐 롤러축(32a)의 양측단을 연결시켜 놓을 수도 있고, 지지롤러(32)와 롤러축(32a)의 사이에 베어링(32b)을 개재시키는 대신, 롤러축(32a)이 장치하우징(9)과 연결되는 롤러장착대(32c)상에 베어링을 설치한 상태에서 지지롤러(32)를 롤러축(32a)에 고정시켜 놓을 수도 있으며, 이는 이후에 설명되어질 기어축(35a)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사항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또 다른 기계식 진동발생기(30)로서의 기어식 진동발생기(30)를 나타내었는 바, 상기 기어식 진동발생기(30)는 전방측 스크린축(15)에 고정식으로 조립 설치되는 메인기어(34)와, 상기 메인기어(34)의 하부에서 메인기어(34)와 부정교합식(不正咬合式)으로 맞물려 회전하는 한 쌍의 종동기어(35)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기어(34)의 전,후방면에도 보강판(34a)이 적용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종동기어(35) 역시 마찬가지로 장치하우징(9)의 외측면에 고정식으로 장착된 기어축(35a)상에 베어링(35b)을 개재시킨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메인기어(34)와 각각의 종동기어(35)가 부정교합식으로 맞물리도록 하면, 탈수스크린(11)과 함께 메인기어(34)가 회전할 경우 정상적인 기어치합과는 달리 부정교합에 의한 메인기어(34)의 불균일 회전, 다시 말해서 메인기어(34)의 요동이 발생한다는 것이며, 이러한 메인기어(34)의 요동이 스크린축(15)을 거쳐 탈수스크린(11)으로 전달됨으로서, 래칫식 진동발생기(30)와 마찬가지로 탈수스크린(11)의 진동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메인기어(34)와 종동기어(35)간의 부정교합 방식의 대표적인 예로서 도 8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기어(34)를 이루는 각각의 기어치(34b) 간격(d,D)을 대간격(D)과 소간격(d)의 2종류로 달리하여 이를 교대로 번갈아가며 형성시켰으며, 각각의 종동기어(35)를 이루는 기어치 사이의 간격은 메인기어(34)의 기어치(34b)가 제공하는 간격(d,D) 변동폭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치수, 다시 말해서 (d+D)/2로 형성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메인기어(34)와 종동기어(35)간의 부정교합을 조성하게 되면, 메인기어(34)와 맞물려 회전하는 각 종동기어(35)의 기어치가 메인기어(34)의 기어치(34b) 사이로 삽입되는 깊이가 대간격(D)과 소간격(d)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변동되며, 이로 인하여 각 종동기어(35)의 기어치가 메인기어(34)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올리거나 하부 방향으로 내리는 작동을 반복하게 됨으로서, 메인기어(34)가 스크린축(15)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요동하게 되며, 이러한 요동이 스크린축(15)을 거쳐 탈수스크린(11)으로 전달됨으로서 탈수스크린(11)의 진동이 유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메인기어(34)의 기어치(34b) 간격을 다르게 하는 부정교합 방식 이외에도, 메인기어(34)의 기어치(34b) 두께 또는 높이를 교대로 번갈아가며 서로 다른 치수로 형성시키는 부정교합 방식 역시 적용이 가능하고, 이 경우에도 각각의 종동기어(35)를 이루는 기어치의 치수는 메인기어(34)의 기어치(34b)가 제공하는 두께 또는 높이 변동폭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치수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인기어(34)의 가공성을 고려할 경우 기어치(34b) 사이의 간격(d,D)을 조정하는 방식이 가장 유리하므로, 이를 대표적인 예로 하여 도면에 도시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또 다른 진동발생기(30)로서의 전기식 진동발생기(30)를 나타내었는 바, 상기 전기식 진동발생기(30)는 전방측 스크린축(15)에 고정식으로 조립 설치되는 구동원판(36)과, 상기 구동원판(36)의 하부에서 구동원판(36)과 밀착된 상태로 맞물려 회전하는 한 쌍의 지지롤러(32)와, 상기 지지롤러(32)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각각의 지지롤러(32)를 진동판(37a)으로 진동시키는 전기진동기(37)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전기진동기(37)가 장치하우징(9)의 장착공간(30a) 내부로 삽입 및 고정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전기진동기(37)의 진동판(37a)을 탈수스크린(11)의 실질적인 진동수단으로 적용시킴에 따라, 앞선 래칫휠(31)이나 메인기어(34)와는 달리 일반적인 형태의 구동원판(36)이 스크린축(15)에 설치되었으며, 탈수스크린(11)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원판(36)이 하부측 지지롤러(32)와 연동 회전되도록 한 상태에서, 전기진동기(37)를 작동시켜 진동판(37a)을 진동시키게 되면, 진동판(37a)에서 발생한 진동이 지지롤러(32)와 구동원판(36) 및 스크린축(15)을 거쳐 탈수스크린(11)으로 전달됨으로서 탈수스크린(11)의 진동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동원판(36)의 전,후방면에도 보강판(36a)이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지지롤러(32) 전,후방측에도 구동원판(36)의 이탈방지판(33)이 설치되며, 상기 진동판(37a)의 상부면에는 각 지지롤러(32)의 롤러축(32a)이 장착되는 롤러브라켓(37b)이 설치되고, 각각의 지지롤러(32)와 롤러축(32a) 사이에는 베어링(32b)이 개재되어 있으며, 앞선 설명에서와 같이 각각의 롤러축(32a)이 장착되는 롤러브라켓(37b)에 베어링을 설치하고, 각각의 지지롤러(32)는 롤러축(32a)상에 고정시키는 방식도 가능하다.
상기 전기진동기(37)는 바이브레이터(Vibrator)라는 이름으로 각종 산업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기술에 해당하며, 통상 요크와 마그네트와 어퍼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요크체가 보이스코일과 함께 전기진동기(37)의 케이스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진동판(37a)은 요크체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바, 상기 보이스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요크체에 자기장이 형성되면, 요크체의 마그네트 방향과 직각으로 권선되어 있는 보이스코일에서는 방사상의 자기력을 형성하므로,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하여 전류 및 자기력의 90도 방향으로 요크체가 진동판(37a)과 함께 진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바이브레이터 이외에도 교류전류를 가하면 진동을 발생시키는 압전소자를 이용하거나, 코일과 마그네트간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한 전자기력이 회전자를 편심(偏心) 구동시키도록 한 진동모터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전기진동기(37)가 적용될 수 있으며, 압전소자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진동판(37a)은 압전소자상에 장착될 것이고, 진동모터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진동판(37a)은 회전자의 출력축에 배치될 것이다.
도 11 및 도 12에 각각 도시된 것은 도 5의 래칫식 진동발생기(30) 및 도 7의 기어식 진동발생기(30)에 완충기구(39)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완충기구(39)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단식(도면상 3단)으로 배치된 받침대(40)의 사이에 완충스프링(43)이 탄력적으로 개재된 것이고, 상기 완충기구(39)의 최상단측 받침대(40)의 상부면에 래칫식 진동발생기(30)의 지지롤러(32)와 기어식 진동발생기(30)의 종동기어(35) 회전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38)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지지롤러(32)와 종동기어(35)는 그 롤러축(32a)과 기어축(35a)이 베어링(미도시)을 개재시킨 상태로 지지브라켓(38)과 연결 설치되는 것이고, 완충기구(39)를 이루는 각각의 받침대(40) 사이에는 완충스프링(43)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완충스프링(43)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스프링 포켓(Spring pocket) 기능을 수행하는 상부케이스(41)와 하부케이스(42)가 적용되어 있으며, 각각의 케이스(41)(42)는 해당 받침대(40)상에 조립식으로 고정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상 상기 하부케이스(42)의 상단면이 상부케이스(41)의 하단 내측으로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상부케이스(41)와 하부케이스(42)의 내부공간에 걸쳐 코일 형태의 완충스프링(43)이 개재되어 있는 바,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진동발생기(30)의 가동에 따른 연속적인 충격하중이 발생하더라도 코일스프링(43)의 압축 및 복원, 즉 코일스프링(43)의 탄성력을 기초로 한 충격 완화 및 소음 저감 등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완충기구(39) 역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하나의 대표적인 일례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외에도 다른 여러 가지 형태의 완충기구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받침대(40)의 적층식 단수(段數)와 받침대(40)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스프링(43)의 적용갯수 및 배치(설치)방식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방식 이외의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도 1 내지 도 4에 걸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탈수스크린(11)의 상부측에 해당하는 장치하우징(9)의 내부공간에 세척수분사관(16)을 추가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세척수분사관(16)의 하측면에는 탈수스크린(11)의 길이 방향에 걸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분사노즐(16a)이 설치되어 있고, 세척수분사관(16)의 선단측에는 세척수의 주입호스(16b)가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본 출원인이 2013년 특허출원 제 36366호로 선출원하여 특허등록(제 10-1261437호)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에 적용된 바와 같은 왕복이동식 고압세척기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스크린장치(10)를 제 1스크린(11a)과 제 2스크린(11b)으로 이루어지는 다단(2단) 스크린장치(10)로 하되, 각각의 스크린(11a)(11b)이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되도록 한 경우에는, 제 2스크린(11b)의 내부에 제 1스크린(11a)의 표면과 접촉하여 축방향으로 회전하는 자전식(自轉式) 롤러브러쉬(24)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롤러브러쉬(24)는 제 2스크린(11b)의 전,후방 벽체 사이에 가로지게 연결 설치되는 회전지지축(24a)과, 상기 회전지지축(24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조밀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제 1스크린(11a)의 표면과 밀착되는 세척솔(24b)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지지축(24a)의 양측단에는 베어링(24c)이 설치되고, 필요시 회전지지축(24a)상에 세척수의 분사구멍을 추가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이 또한 선출원에서 이미 언급되어진 기술적 사항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스크린장치(10)에 따르면, 탈수스크린(11)의 회전에 따른 여액과 협잡물의 분리작업시 전방측 스크린축(15)에 설치된 진동발생기(30)를 이용하여 탈수스크린(11)의 충격식 진동을 추가로 유도할 수 있음에 따라, 탈수스크린(11)의 탈수구멍(13)이 협잡물에 의하여 막히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탈수구멍(13)을 통한 여액의 물빠짐 기능은 충분히 확보토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선출원에서와 같은 세척수의 분사기구를 별도로 적용하지 않더라도 스크린장치(10)에 요구되는 여액과 협잡물의 분리성능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탈수스크린(11)의 상부측에 세척수의 분사기구를 추가로 적용할 경우에는, 탈수스크린(11)의 충격식 진동과 세척수의 분사압력을 동시에 이용하여 협잡물의 탈락 및 여액의 물빠짐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선출원에 적용된 스크린장치와 비교하여 협잡물의 탈락작업에 필요한 고압세척수의 사용량과 이에 따른 여액의 처리부하는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한층 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협잡물 종합처리기(1)의 운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1 : 협잡물 종합처리기 1a : 투입구 2 : 로터리스크린
2a : 유량조정조 2b,3b : 여액배출구 3 : 스크류탈수기
3a : 협잡물투입구 4 : 여액저장조 4' : 여액배출조
4a,7a,10a : 여액배출관 5 : 여액이송펌프 5a : 여액이송관
6 : 싸이클론 6a,6b : 투입관 7 : 원심분리기
7b : 세사배출관 8 : 세사배출기 9 : 장치하우징
9a : 여액배출덕트 9b : 여유간격 10 : 스크린장치
10b : 배기관 11 : 탈수스크린 11a : 제 1스크린
11b : 제 2스크린 12 : 이송스크류 13 : 탈수구멍
13a : 탈수슬릿 13b : 탈수공 14 : 협잡물배출캡
14a : 배출구 14b : 개구부 14c : 배출통로
15,15a : 스크린축 15b,24c,32b,35b : 베어링
16 : 세척수분사관 16a : 분사노즐 16b : 주입호스
17,17a : 종동스프라켓 18 : 투입관지지대 19 : 베어링장착캡
20 : 앵귤러볼베어링 21 : 외륜 21a : 경사면
22 : 내륜 22a : 유동간격 23 : 베어링볼
24 : 롤러브러쉬 24a : 회전지지축 24b : 세척솔
25 : 스크린모터 26,26a : 구동스프라켓 27 : 전동체인
28 : 구동부지지대 29 : 체크도어 30 : 진동발생기
30a : 장착공간 31 : 래칫휠 31a,34a,36a : 보강판
31b : 래칫부 32 : 지지롤러 32a : 롤러축
32c : 롤러장착대 33 : 이탈방지판 34 : 메인기어
34b : 기어치 35 : 종동기어 35a : 기어축
36 : 구동원판 37 : 전기진동기 37a : 진동판
37b : 롤러브라켓 38 : 지지브라켓 39 : 완충기구
40 : 받침대 41 : 상부케이스 42 : 하부케이스
43 : 완충스프링 d,D : 간격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씨앗 성분이나 짐승털을 포함하는 각종 협잡물을 여액과 분리시키기 위한 원통 형상의 탈수스크린(11)이 장치하우징(9)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탈수스크린(11)의 몸통 전면에 걸쳐 탈수구멍(13)이 형성되며, 상기 탈수스크린(11)의 내주면에는 협잡물의 이송스크류(12)가 설치되고, 상기 탈수스크린(11)의 전방면 개구부(14b)에는 협잡물의 배출구(14a)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협잡물배출캡(14)이 설치되며, 상기 협잡물배출캡(14)의 전방면과 탈수스크린(11)의 후방면에는 장치하우징(9)을 관통하는 스크린축(15)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후방측 스크린축(15)에는 스크린모터(24)와 연계되는 탈수스크린(11)의 구동수단이 설치되며, 여액이 포함된 협잡물의 투입관(6a)은 후방측 스크린축(15)을 관통하여 탈수스크린(11)의 내부까지 연장 설치되고, 상기 장치하우징(9)의 하측부에는 협잡물과 여액의 배출통로가 각각 제공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스크린장치(10)에 있어서,
    상기 후방측 스크린축(15)에는 탈수스크린(11)의 축방향 회전과 요동을 동시에 지지하는 앵귤러볼베어링(20)의 내륜(22)이 장착되고, 상기 앵귤러볼베어링(20)의 외륜(21)은 베어링장착캡(19)에 의하여 장치하우징(9)상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전방측 스크린축(15)에는 탈수스크린(11)용 진동발생기(30)가 설치되고, 상기 전방측 스크린축(15)이 장치하우징(9)을 관통하는 부분에는 해당 스크린축(15)의 진동폭에 맞춘 여유간격(9b)이 제공되며,
    상기 진동발생기(30)는 전방측 스크린축(15)에 조립 설치되는 메인기어(34)와, 상기 메인기어(34)의 하부에서 메인기어(34)와 부정교합식으로 맞물려 회전하는 한 쌍의 종동기어(35)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종동기어(35)는 장치하우징(9)의 외측면에 고정식으로 장착된 기어축(35a)상에 베어링(35b)을 개재시킨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진동탈수방식이 적용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스크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어(34)와 종동기어(35)간의 부정교합 방식은, 메인기어(34)를 이루는 각각의 기어치(34b) 간격(d,D)을 교대로 번갈아가며 서로 다른 치수로 형성시키거나, 메인기어(34)를 이루는 각각의 기어치(34b) 두께 또는 높이를 교대로 번갈아가며 서로 다른 치수로 형성시키는 방식중에서 택일한 방식이 적용되며,
    상기 각 종동기어(35)의 기어치는 메인기어(34)의 기어치(34b) 치수변동폭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치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진동탈수방식이 적용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스크린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종동기어(35)는 지지브라켓(38)에 의하여 회전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브라켓(38)은 장치하우징(9)의 전방면 하측부에 배치되는 완충기구(39)상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완충기구(39)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단식으로 배치된 받침대(40)의 사이에 완충스프링(43)이 개재된 것이고, 상기 지지브라켓(38)은 최상단측 받침대(40)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진동탈수방식이 적용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스크린장치.
  7. 삭제
  8.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스크린(11)은 탈수슬릿(13a)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외부측 제 1스크린(11a)과 탈수공(13b)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내부측 제 2스크린(11b)이 동심원상으로 배치된 2단 스크린이 되고, 상기 제 1스크린(11a)과 제 2스크린(11b)의 내주면에는 협잡물의 이송스크류(12)가 설치되며,
    상기 제 2스크린(11b)의 협잡물배출캡(14)은 제 1스크린(11a)의 협잡물배출캡(14) 내부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스크린(11b)의 전방측 스크린축(15a)은 베어링(15b)을 개재시킨 상태로 제 1스크린(11a)의 전방측 스크린축(15)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제 1스크린(11a)의 전방측 스크린축(15)이 장치하우징(9)을 관통하여 진동발생기(30)와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앵귤러볼베어링(20)은 제 1스크린(11a)의 후방측 스크린축(15)에 설치되고, 상기 제 2스크린(11b)의 후방측 스크린축(15a)은 베어링(15b)을 개재시킨 상태로 제 1스크린(11a)의 후방측 스크린축(15)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 설치되며,
    상기 투입관(6a)은 제 2스크린(11b)의 후방측 스크린축(15a)을 관통하여 제 2스크린(11b)의 내부까지 연장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모터(24)와 연계되는 탈수스크린(11)의 구동수단은 제 1스크린(11a)과 제 2스크린(11b)의 후방측 스크린축(15) (15a)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진동탈수방식이 적용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스크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스크린(11b)의 내부에는 제 1스크린(11a)과 제 2스크린(11b)의 회전시 제 1스크린(11a)의 표면과 접촉하여 축방향으로 회전하는 자전식 롤러브러쉬(24)가 설치되며,
    상기 롤러브러쉬(24)는 제 2스크린(11b)의 전,후방 벽체 사이에 가로지게 연결 설치되는 회전지지축(24a)과, 상기 회전지지축(24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조밀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제 1스크린(11a)의 표면과 밀착되는 세척솔(24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진동탈수방식이 적용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스크린장치.
  10.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스크린(11)의 상부측에 해당하는 장치하우징(9)의 내부 공간에는 세척수의 분사기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진동탈수방식이 적용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스크린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스크린(11a)의 상부측에 해당하는 장치하우징(9)의 내부 공간에는 세척수의 분사기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진동탈수방식이 적용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스크린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스크린(11a)의 상부측에 해당하는 장치하우징(9)의 내부 공간에는 세척수의 분사기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진동탈수방식이 적용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스크린장치.
KR1020150035861A 2015-03-16 2015-03-16 고효율 진동탈수방식이 적용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스크린장치 KR101545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861A KR101545681B1 (ko) 2015-03-16 2015-03-16 고효율 진동탈수방식이 적용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스크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861A KR101545681B1 (ko) 2015-03-16 2015-03-16 고효율 진동탈수방식이 적용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스크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681B1 true KR101545681B1 (ko) 2015-08-20

Family

ID=54061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5861A KR101545681B1 (ko) 2015-03-16 2015-03-16 고효율 진동탈수방식이 적용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스크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68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99292A (zh) * 2017-12-29 2018-04-13 无锡市内河装卸机械有限公司 一种高频振动脱水筛
KR101935428B1 (ko) * 2018-04-27 2019-04-05 이진용 실린더 가압식 협잡물 탈수장치
KR20190093369A (ko) * 2018-02-01 2019-08-09 (주)엔에스케이 엔지니어링 도금공정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
KR20200037607A (ko) * 2018-10-01 2020-04-09 배대강 자동세척식여과장치가 장착된 양어장
CN111013451A (zh) * 2020-01-17 2020-04-17 浙江厚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多轴扰动式中药煎药桶的多轴扰动式中药煎药方法
KR20210115407A (ko) 2020-03-13 2021-09-27 (주)엔에스케이 엔지니어링 제철공정의 순환수 이물질 제거장치
JP2021186831A (ja) * 2020-05-29 2021-12-13 株式会社石垣 スクリュープレス
CN117206258A (zh) * 2023-10-30 2023-12-12 畅德江苏环保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过滤陶粒生产清洗筛分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546B1 (ko) * 2005-01-14 2006-05-15 (주)에이알케이 슬러지 탈수장치
KR100928559B1 (ko) * 2009-04-07 2009-11-24 동 석 강 분뇨와 축산폐수 및 하수 처리용 다단 스크린장치
KR101070478B1 (ko) * 2010-10-25 2011-10-06 대명엔텍(주) 진동 스크린부가 구비된 슬러지 저장조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546B1 (ko) * 2005-01-14 2006-05-15 (주)에이알케이 슬러지 탈수장치
KR100928559B1 (ko) * 2009-04-07 2009-11-24 동 석 강 분뇨와 축산폐수 및 하수 처리용 다단 스크린장치
KR101070478B1 (ko) * 2010-10-25 2011-10-06 대명엔텍(주) 진동 스크린부가 구비된 슬러지 저장조 개폐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99292B (zh) * 2017-12-29 2023-12-05 无锡市内河装卸机械有限公司 一种高频振动脱水筛
CN107899292A (zh) * 2017-12-29 2018-04-13 无锡市内河装卸机械有限公司 一种高频振动脱水筛
KR102082164B1 (ko) * 2018-02-01 2020-04-28 (주)엔에스케이 엔지니어링 도금공정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
KR20190093369A (ko) * 2018-02-01 2019-08-09 (주)엔에스케이 엔지니어링 도금공정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
KR101935428B1 (ko) * 2018-04-27 2019-04-05 이진용 실린더 가압식 협잡물 탈수장치
KR102221494B1 (ko) * 2018-10-01 2021-02-26 배대강 자동세척식여과장치가 장착된 양어장
KR20200037607A (ko) * 2018-10-01 2020-04-09 배대강 자동세척식여과장치가 장착된 양어장
CN111013451A (zh) * 2020-01-17 2020-04-17 浙江厚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多轴扰动式中药煎药桶的多轴扰动式中药煎药方法
KR20210115407A (ko) 2020-03-13 2021-09-27 (주)엔에스케이 엔지니어링 제철공정의 순환수 이물질 제거장치
JP2021186831A (ja) * 2020-05-29 2021-12-13 株式会社石垣 スクリュープレス
JP7216886B2 (ja) 2020-05-29 2023-02-02 株式会社石垣 スクリュープレス
CN117206258A (zh) * 2023-10-30 2023-12-12 畅德江苏环保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过滤陶粒生产清洗筛分设备
CN117206258B (zh) * 2023-10-30 2024-01-30 畅德江苏环保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过滤陶粒生产清洗筛分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681B1 (ko) 고효율 진동탈수방식이 적용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스크린장치
CN208990375U (zh) 一种市政污水管网的污水净化处理装置
KR101925858B1 (ko) 폐수처리장치
CN106687187B (zh) 用于处理泥浆的竖直分离器
KR101769008B1 (ko) 협잡물 강제이송 및 절단장치가 장착된 협잡물 종합처리기
KR100989838B1 (ko) 다단형 가변와류 발생 로터를 이용한 여과장치
KR102431533B1 (ko) 이단식 무동력 드럼형 양식장 여과장치
KR101183555B1 (ko) 드럼형 슬러지 농축기
KR101946421B1 (ko) 슬러지 여과용 드럼 스크린
KR100741992B1 (ko) 분뇨와 오폐수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용 디스크 스크린
KR101545546B1 (ko) 슬러지농축기
KR20160004499A (ko) 수질 정화용 드럼스크린장치
JP6239433B2 (ja) 汚泥濃縮機および汚泥濃縮システム
CN213141588U (zh) 一种房建用废水处理装置
KR102172445B1 (ko) 폐수처리장치
CN117088564A (zh) 农业蔬菜废水处理***及处理方法
US20090166283A1 (en) Filter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Polluted Liquids
KR100783024B1 (ko) 원통형의 메쉬스크린과 헬리컬바를 이용한 고액분리장치
KR102193706B1 (ko) 폐수처리방법
KR200446111Y1 (ko) 미세씨앗 및 가축털 제거용 스크린장치
CN111318080B (zh) 一种工业废弃污水处理工艺
CN113230735A (zh) 一种废水循环再利用装置
KR20080013692A (ko) 진공을 이용한 고액분리기
CN113277656A (zh) 一种超声波工业废水处理***及方法
KR200405168Y1 (ko) 드럼스크린 슬러지 호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