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958B1 - 팽창 펄라이트가 함유된 단열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팽창 펄라이트가 함유된 단열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958B1
KR101543958B1 KR1020140040479A KR20140040479A KR101543958B1 KR 101543958 B1 KR101543958 B1 KR 101543958B1 KR 1020140040479 A KR1020140040479 A KR 1020140040479A KR 20140040479 A KR20140040479 A KR 20140040479A KR 101543958 B1 KR101543958 B1 KR 101543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wenty
expanded perlite
pearlite
binder
expanded pearl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만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만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만산업
Priority to KR1020140040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9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8Coating the powders or the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4Arrangements using dry fillers, e.g. using slag wool which is added to the object to be insulated by pouring, spreading, spraying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팽창 펄라이트가 함유된 단열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팽창 펄라이트를 분쇄하여 준비하는 제20단계(S20); 팽창 펄라이트에 유무기 복합바인더를 분무하여 코팅하는 제21단계(S21); 코팅된 팽창 펄라이트를 열풍으로 건조하는 제22단계(S22); 건조된 팽창 펄라이트를 고온에서 성형하는 제23단계(S23); 완성품의 형태와 크기로 가공하는 제24단계(S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종래의 바인더와 펄라이트의 혼합 및 성형 과정이 배제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펄라이트 입자 및 내부기공이 파괴 및 이로 인한 비중 및 열전도율이 상승하는 등의 현상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팽창 펄라이트가 함유된 단열재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insulating material with expanded perlite}
본 발명은 펄라이트가 포함된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인더와의 혼합 및 성형 과정에서 펄라이트의 입자 및 내부 기공이 파괴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된 팽창 펄라이트가 함유된 단열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펄라이트(perlite)는 진주암, 흑요석, 경석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광물을 미세하게 분쇄한 후 높은 열(900 ~ 1200℃)로 가열하면, 함유된 휘발성분이 가스화하여 연화된 입자의 내부에서 팽창하여 내부기공이 형성되며, 펄라이트는 본래 부피의 약 10~20배 정도로 팽창하게 된다. 이러한 팽창은 펄라이트 원료(the crude perlite rock)에 포함된 펄라이트의 휘발성분 때문이다.
또, 펄라이트는 유문암질 암석의 일종으로, 진주광택을 가진 연회색에서 암회색, 갈색, 녹색, 검은색을 띔으로 진주암이라고도 한다. 이 펄라이트는 암석의 조직에 따라 다르지만 870~1,100℃ 정도에서 결합수가 증발하면서 생기는 증발압력이 각각의 과립입자를 원형의 유리질입자로 약 10배에서 20배 정도 팽창하여 상업적으로 사용된다. 이렇게 팽창된 펄라이트는 저밀도에 다공질이고, 흡수능력이 좋으며, 경량성, 단열성, 보온성, 흡음성, 무독성 및 불연성 등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 내열재료, 방음재료, 경량골재 및 단열재료 등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팽창 펄라이트를 함유한 단열재의 경우, 일 예로 도 1에서와 같은 공정으로 제조하였다. 이를 간략히 살펴보면, 먼저 팽창 펄라이트와 바인더를 준비(S10)하고, 이들 팽창 펄라이트와 바인더를 혼합(S11)한 다음, 일정 형태로 성형(S12)하며, 이를 열처리(S13)한 다음, 사용 장소에 따라 절단 등의 가공(S14)으로 단열재를 완성하였다.
하지만, 팽창 펄라이트와 바인더를 혼합하여 성형하는 공정에서 팽창 펄라이트의 입자가 파괴되면서 내부 기공이 폐색(閉塞)되었고, 이로 인해 비중과 열전도율이 높아졌다. 또한, 바인더의 특성상 수분과 접촉되면 단열재의 내수성이 낮아지면서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1020139 10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본 발명은, 팽창 펄라이트에 유무기 복합바인더를 코팅하여 열풍 건조시킨 후 열간 가공으로 성형함으로써, 팽창 펄라이트와 바인더의 혼합 공정이 배제되고, 이 혼합공정에서 발생하는 팽창 펄라이트의 입자 파괴 및 기공 폐색 등의 현상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한 팽창 펄라이트가 함유된 단열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팽창 펄라이트가 함유된 단열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팽창 펄라이트를 분쇄하여 준비하는 제20단계(S20); 팽창 펄라이트에 유무기 복합바인더를 분무하여 코팅하는 제21단계(S21); 코팅된 팽창 펄라이트를 열풍으로 건조하는 제22단계(S22); 건조된 팽창 펄라이트를 고온에서 성형하는 제23단계(S23); 완성품의 형태와 크기로 가공하는 제24단계(S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유무기 복합바인더는 48~52중량%의 규산소다 3호, 46~50중량%의 아크릴계화합물와, 1~2중량%의 폴리아미드이미드화합물을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23단계(S23)에서는 스팀을 이용한 열간 가공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팽창 펄라이트에 유무기 복합바인더를 코팅한 후 열풍으로 건조하고, 열간 가공으로 성형함으로써, 종래의 바인더와 팽창 펄라이트를 혼합한 후 성형하는 과정이 배제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팽창 펄라이트 입자 및 내부기공이 파괴되고, 이로 인한 비중 및 열전도율이 상승하는 등의 현상이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단열재를 제작하는 공정 중에 복합바인더를 열풍으로 건조하고, 스팀 또는 열간으로 성형하여 바인더를 수분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분에 노출시 발생하였던 단열재의 내수성 하락 및 강도 저하 현상이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종래의 팽창 펄라이트와 바인더를 혼합하여 단열재를 제조하는 공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팽창 펄라이트에 유무기 혼합바인더를 코팅하여 단열재를 제조하는 공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방법>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팽창 펄라이트에 유무기 혼합바인더를 코팅하여 단열재를 제조하는 공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팽창 펄라이트가 함유된 단열재의 제조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팽창 펄라이트를 준비한다(S20). 펄라이트를 대략 900~1200℃ 정도의 고열로 가열하여 충분히 팽창시킨다. 팽창된 펄라이트는 대략 수 ㎛ 내지 수백 ㎛의 입자를 갖도록 분쇄된다.
다음으로, 팽창 펄라이트에 유무기 복합바인더를 스프레이로 코팅한다(S21). 여기서 유무기 복합바인더는 액상으로, 규산소다와 아크릴계화합물과 폴리아미드이미디화합물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유무기 복합바인더는 액상인 규산소다 3호를 48~52중량%, 아크릴계화합물을 46~50중량%와, 폴리아미드이미드화합물 1~2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일 예로, 50중량%의 규산소다 3호, 48~49중량%의 아크릴계화합물과, 1~2중량%의 폴리아미디이미디화합물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이때, 규산소다 3호가 52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규산소다의 과다 함유로 내수성이 저하되고, 48중량% 미만인 경우 난연성이 저하된다. 또한, 아크릴계화합물이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아크릴계화합물의 과다 함유로 연소시 유독가스가 많이 배출되고, 46중량% 미만인 경우 내열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폴리아미디이미디화합물이 2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각 혼합물들의 혼합이 불균일하여 각 구성요소들 간에 층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1중량% 미만인 경우 내수성이 저하된다.
이렇게 제조된 유무기 복합바인더를 스프레이로 분무하여 분쇄된 팽창 펄라이트의 표면에 고루 코팅하고, 이때 코팅층의 두께는 대략 1mm~10mm 정도로 한다.
다음으로, 열풍으로 건조한다(S22). 팽창 펄라이트의 입자에 유무기 복합바인더가 코팅된 상태에서 고온의 열풍으로 건조시킨다. 건조시에는 팽청 펄라이트를 교반시켜 고루 건조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코팅된 팽창 펄라이트를 고온에서 성형한다(S23). 유무기 복합바인더가 코팅된 팽창 펄라이트를 스팀(steam)으로 가열하는 열간 가공을 통해 일정 크기와 형태로 성형하여 미가공된 형태의 단열재를 만든다.
끝으로, 완성품의 크기와 형태로 가공한다(S24). 열간 가공으로 성형된 미가공된 단열재를 사용 장소 및 위치에 적합하게 절단 등의 가공을 통해 완성된 단열재를 생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

  1. 팽창 펄라이트를 분쇄하여 준비하는 제20단계(S20);
    상기 팽창 펄라이트에 유무기 복합바인더를 분무하여 코팅하는 제21단계(S21);
    코팅된 팽창 펄라이트를 열풍으로 건조하는 제22단계(S22);
    건조된 팽창 펄라이트를 고온에서 성형하는 제23단계(S23);
    완성품의 형태와 크기로 가공하는 제24단계(S24);를 포함하는 단열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복합바인더는 48~52중량%의 규산소다 3호, 46~50중량%의 아크릴계화합물와, 1~2중량%의 폴리아미드이미드화합물을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펄라이트가 함유된 단열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3단계(S23)에서는 스팀을 이용한 열간 가공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펄라이트가 함유된 단열재의 제조방법.
KR1020140040479A 2014-04-04 2014-04-04 팽창 펄라이트가 함유된 단열재의 제조방법 KR101543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479A KR101543958B1 (ko) 2014-04-04 2014-04-04 팽창 펄라이트가 함유된 단열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479A KR101543958B1 (ko) 2014-04-04 2014-04-04 팽창 펄라이트가 함유된 단열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3958B1 true KR101543958B1 (ko) 2015-08-24

Family

ID=54060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479A KR101543958B1 (ko) 2014-04-04 2014-04-04 팽창 펄라이트가 함유된 단열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395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691B1 (ko) 2018-02-21 2019-08-23 이지민 경량 불연내화단열재 제조장치
KR20200039089A (ko) 2018-10-04 2020-04-16 주식회사 우신에코 건축용 내장마감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요철무늬가 형성된 건축용 내장마감재
KR102131064B1 (ko) * 2020-04-14 2020-07-07 주식회사 호만산업 건축용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 내장재
KR102208729B1 (ko) 2020-05-06 2021-01-28 한국도시재생기술(주) 발포 펄라이트 판넬
KR102424989B1 (ko) 2021-09-30 2022-07-25 주식회사 서강 팽창 펄라이트를 이용한 불연 건축용 패널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754B1 (ko) 2007-03-26 2008-08-25 주식회사 우진이엔제이 건축용 고강도 내화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754B1 (ko) 2007-03-26 2008-08-25 주식회사 우진이엔제이 건축용 고강도 내화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691B1 (ko) 2018-02-21 2019-08-23 이지민 경량 불연내화단열재 제조장치
KR20200039089A (ko) 2018-10-04 2020-04-16 주식회사 우신에코 건축용 내장마감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요철무늬가 형성된 건축용 내장마감재
KR102131064B1 (ko) * 2020-04-14 2020-07-07 주식회사 호만산업 건축용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 내장재
KR102208729B1 (ko) 2020-05-06 2021-01-28 한국도시재생기술(주) 발포 펄라이트 판넬
KR102424989B1 (ko) 2021-09-30 2022-07-25 주식회사 서강 팽창 펄라이트를 이용한 불연 건축용 패널의 제조 방법
KR20230046943A (ko)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서강 팽창 펄라이트를 이용한 불연 건축용 패널의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3958B1 (ko) 팽창 펄라이트가 함유된 단열재의 제조방법
CN102936327B (zh) 玻化微珠聚氨酯泡沫复合材料的制备方法
KR101842000B1 (ko) 재활용 준불연 단열재
CN105802292B (zh) 一种树干涂白剂及其制备方法
KR101493434B1 (ko) 발포 폴리스티렌용 난연성 코팅제 조성물
KR101618654B1 (ko) 친환경 및 무독성 발포방염제가 코팅된 방염망
CN104445934A (zh) 一种耐高温的尖劈形吸波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600457B1 (ko)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다공질 세라믹 성형체의 제조방법
CN104193210A (zh) 制备疏水膨胀珍珠岩的方法及其产品
CN107216112A (zh) 一种保温节能材料及其制备方法
CN102173132A (zh) 防火保温板及其制作工艺
CN112383978A (zh) 一种红外加热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795750B1 (ko) 난연제 조성물, 난연성 스티로폼 및 그 제조방법
KR100976295B1 (ko) 친환경 황토를 이용한 석재 제조방법
KR101798344B1 (ko) 생옻칠과 송근유 및 장뇌유를 이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KR20200051086A (ko) 그래핀 옥사이드를 이용한 eps 준불연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62047B1 (ko) 건축 내외장재 및 액자 제조에 사용되는 친환경 조성물
KR102131064B1 (ko) 건축용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 내장재
CN103539399B (zh) 墙体保温防火涂料及其施工方法
CN103145401B (zh) 一种蓄热陶瓷板及其制作工艺
CN103613873A (zh) 一种改性聚苯乙烯泡沫
KR101648855B1 (ko) 글라스파우더를 포함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
CN105019563A (zh) 一种生产保温板的工艺
CN111495708A (zh) 一种利用可膨胀微球在物体表面形成保温层的方法
CN105000861A (zh) 一种珍珠岩保温板的制作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