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951B1 - 공동주택의 고층 창 구조물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고층 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951B1
KR101542951B1 KR1020150078742A KR20150078742A KR101542951B1 KR 101542951 B1 KR101542951 B1 KR 101542951B1 KR 1020150078742 A KR1020150078742 A KR 1020150078742A KR 20150078742 A KR20150078742 A KR 20150078742A KR 101542951 B1 KR101542951 B1 KR 101542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ear
spring
fix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50078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9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61Balustrades with additional safety means for children, e.g. nets or fillings between balus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고층 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난간대의 높낮이가 창문의 개폐에 따라 조정되되, 창문을 연 상태에서는 높아진 난간대를 강제로 이동시킬 수 없도록 되고, 아울러 창문의 위치와 랙, 피니언 간의 어긋남에도 상관없이 항시 난간대의 높낮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어린 아이들이 창문을 열기 어렵게 하면서 닫히기는 쉽도록 하여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킨 공동주택의 고층 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고층 창 구조물{Window constructions for high-rise apartment houses}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고층 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난간대의 높낮이가 창문의 개폐에 따라 조정되되, 창문을 연 상태에서는 높아진 난간대를 강제로 이동시킬 수 없도록 되고, 아울러 창문의 위치와 랙, 피니언 간의 어긋남에도 상관없이 항시 난간대의 높낮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어린 아이들이 창문을 열기 어렵게 하면서 닫히기는 쉽도록 하여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킨 공동주택의 고층 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닫이가 가능한 발코니 창의 경우엔, 낙하방지를 위한 난간대가 설치된다.
그런데 난간대는 안전상의 이유로 반드시 설치되어야 할 구조물이지만, 창을 통한 외부의 시야가 가려지므로 미관을 해칠 수밖에 없고, 창살이미지에 대한 선입견은 사람들의 거부감을 높여서 난간대에 대한 부담을 일으킬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89814호(2005.05.17. 등록)은 낙하방지를 위해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건축용 난간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의 난간은 사용자가 창문을 열지 않을 경우엔 난간의 높이를 최저로 위치시켜서 실내에서 창문을 통해 보이는 풍경이 가림없이 보일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창문을 열 경우에는 난간의 높이를 최고로 위치시켜서 낙하에 의한 위험성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의 난간은 단순히 높낮이에 대한 변화만 있을 뿐, 창문을 연 후 난간의 높이를 강제로 낮출 수 있어서, 난간의 절대적인 안전성을 담보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높이가 최고로 된 상태의 난간을 고정하는 부분이 걸림식 가로지지대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면서, 보호가 요망되는 유아 또는 어린이가 걸림식 가로지지대를 전방으로 밀어내면 난간의 높이는 그대로 낮아지므로, 상기 유아 또는 어린이에 대한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외에도, 상기 선행기술의 난간은 그 높낮이가 창문의 열고 닫힘에 의해 정확히 맞물려 연동하므로, 장시간에 걸친 사용으로 창문에 설치된 랙과 창틀에 설치된 피니언 간의 맞물림이 잘못 어긋날 경우엔, 창문의 열고 닫힘 시 난간의 최저 높이로의 강제 이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결국에는 탄발체에 의해 항시 최고점을 유지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3798호(2009.10.20. 등록)는 '공동주택의 고층용 창 구조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히 어린아이들이 창문을 쉽게 개방함으로써 발생하는 불측의 사고를 더 보완할 필요성이 생겼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창문의 위치와 랙, 피니언 간의 어긋남에도 상관없이 항시 난간대의 높낮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본 기능을 갖추면서 어린 아이들이 창문을 열기 어렵게 하면서 닫히기는 쉽도록 하여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킨 공동주택의 고층 창 구조물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히 형성된 레일(110)과 안내홈(120); 둘레면에 형성된 제1기어(132)와, 베벨기어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기어(133)가 동축으로 일체 형성되되, 제1기어(132)의 피니언 이빨(132a)은 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면서 토션스프링에 의해 탄발지지되는 피니언(130); 피니언(130)의 회전시 탄력을 축적하는 태엽스프링을 내장하면서 피니언(130)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태엽스프링 내장형 중심축대(140); 일단이 제2기어(133)와 맞물려서 창틀(100)에 회전가능하게 수평배치되는 기어형 연동축대(150); 기어형 연동축대(150)의 타단과 맞물려서 회전하는 너트형 기어(161)와, 너트형 기어(161)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지지관(162)과, 지지관(162)을 창틀(100)에 고정하는 고정대(163)와, 고정대(163)와 상하로 일렬 배치되는 고정식 가이드(164)를 갖춘 체결구(160)와, 하기 안정대(340)의 형성위치에 대응되게 창틀(10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되 하기 수평대(330)의 승강길이에 맞게 형성되는 돌출턱(170)을 구비한 창틀(100), 창틀(100)의 레일(110)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프레임(210)과, 프레임(210)의 선단이 돌출되도록 프레임(210)과 계단형태로 고정되는 유리(220)로 구성되되, 프레임(210)의 저면에는 안내홈(210)으로 삽입돼 이동가능하도록 돌출된 안내돌기(211)와, 안내돌기(211)의 전면에 형성되어서 피니언(130)의 제1기어(132)와 맞물리는 랙(212)을 구비한 창문(200), 및 창틀(100)의 하부 전면에 앵커(311)를 매개로 수평하게 고정 배치되고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 개의 인출관(312)을 갖춘 수평지지대(310); 체결구(160)의 너트형 기어(161) 및 고정식 가이드(164)를 관통해 입설되고, 둘레면에 나사산(321)이 형성되어서 너트형 기어(161)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리는 지지대(320); 수평지지대(310)와 나란하도록 말단이 지지대(320)에 고정되고, 인출관(312)으로 각각 인입출되는 다수 개의 이동대(331)를 갖춘 수평대(330); 수평대(330)에 나란히 고정배치되는 고정축대(341)와, 고정축대(341)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코일스프링(342)에 의해 탄발 지지되는 회전관(343)과, 돌출턱(170)에 걸리도록 회전관(343)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344)와, 일단이 회전관(343)에 고정되고 타단이 절곡되어 프레임(210)과 유리(220)의 경계인 돌출된 선단에 걸리는 걸림고리(345)를 갖춘 안정대(340)를 구비한 난간대(300)를 포함하고, 상기 창문(200)과 쌍을 이루는 슬라이드형 창문(200')의 상단부 일측면에 창문(200')의 폭방향으로 길게 슬롯(400)이 더 형성되되 상기 슬롯(400)은 일측면이 일부만 개방되도록 외벽(W1)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400)의 선단부 내벽(W2)과 외벽(W1)에는 각각 제1텐션롤(410)과 제2텐션롤(4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2텐션롤(410,420)에는 와이어(430)가 경유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430)의 일단은 래치편(440)의 선단에 견고히 결속되고; 상기 래치편(440)의 후단은 래치하우징(444)에 삽입되되 래치스프링(446)에 의해 상기 래치하우징(444)의 후단에 결속되며; 상기 래치편(440)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직각삼각형상의 톱니(442)가 형성되고; 상기 래치하우징(444)의 선단부 일측 내면에는 상기 톱니(442)와 맞물리는 반대형상을 갖는 멈춤편(450)이 접지되며; 상기 멈춤편(450)이 후단면에는 당김노브(452)가 조립되는데, 상기 당김노브(452)에는 결합돌기(454)가 돌출되고, 상기 결합돌기(454)는 상기 멈춤편(450)의 후단면 중심에 나사체결되고; 상기 결합돌기(454)에는 인장스프링(456)이 끼워지되, 인장스프링(456)의 일단은 상기 멈춤편(450)에 걸림되고 타단은 상기 래치하우징(444)의 내부면에 걸려서 상기 멈춤편(450)을 톱니(442)와 접촉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430)의 타단은 창문(200')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후 외벽(W1)의 내측면에 고정된 와이어스프링(460)에 결속되고; 상기 창문(200')과 마주보는 창문(200)의 대향면 상에는 상기 슬롯(400)으로 삽입될 수 있는 활주편(470)이 돌출되며; 상기 활주편(470)에는 'ㄱ' 형상의 고정브래킷(480)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브래킷(480)과 활주편(470) 사이에는 상기 제1,2텐션롤(410,420)을 가로질러 횡가된 와이어(430)와 접촉하면서 이를 밀고 갈 수 있는 와이어가압롤(490)이 세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고층 창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문을 연 상태에서도 난간대의 높이를 강제로 낮출 수 없어서 난간대의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고, 창문의 개폐에 따라 난간대의 높낮이가 어긋남 없이 정확히 이루어져서, 반영구적인 안정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린아이들이 창문을 열 때는 열기 어렵고, 닫을 때는 쉽게 닫히도록 하여 최대한 닫힘상태로 유지될 수 있어 안전사고의 예방효과가 매우 높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 구조물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 구조물의 일부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 및 절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의 이동에 따른 구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랙과 피니언의 연동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대의 구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대의 구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창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부분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 구조물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 구조물은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창틀(100)과, 창틀(100)에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200)과, 창틀(100)의 외측에 설치되는 난간대(300)를 포함한다.
창틀(100)에 설치된 창문(200)은 미닫이 방식으로 직선이동하고, 직선이동에 따라 발생한 동력은 기어형 연동축대(150)를 매개로 난간대(300)에 전달되어서, 난간대(300)의 높낮이가 조정된다.
이를 위한 난간대(300)는 창틀(100)의 하단에 고정되는 수평지지대(310)와, 수평지지대(310)의 양단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입설 배치되는 지지대(320)와, 수평지지대(310)와 지지대(320)를 연결하면서 상하로 이동하는 수평대(330)를 포함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수평지지대(310)는 하나 이상의 앵커(311)를 매개로 창틀(100)에 단단히 고정되고, 상방으로 다수 개의 인출관(312)에 돌출 형성된다.
지지대(320)는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둘레면에는 나사산(321)이 형성된다. 한편, 이러한 지지대(32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창틀(100)은 체결구(160)를 구비한다.
체결구(160)는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형 연동축대(150)와 맞물리는 너트형 기어(161)와, 너트형 기어(161)가 창틀(1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관(162)과, 지지관(162)을 창틀(100)에 단단히 고정하는 고정대(163)와, 고정대(163)와 더불어 상하로 이동하는 지지대(320)의 이동가능한 고정을 보조하는 고정식 가이드(164)를 포함한다.
참고로, 도 1(a)에 원형으로 확대 도시한 부분은 체결구(160)의 단면모습을 표시한 것으로, 실제로는 지지대(320)의 둘레를 감싸는 형상을 이룰 것이다.
결국, 지지대(320)는, 기어형 연동축대(150)의 회전력이 베벨기어 형태의 너트형 기어(161)로 전달되고, 이렇게 전달된 회전력은 너트형 기어(161)를 회전시키며, 너트형 기어(161)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지지대(320) 둘레면에 형성된 나사산(321)을 매개로 지지대(320)에 전달된다. 물론, 지지대(320)는 나사산(321)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고정식 가이드(164)의 안내를 받아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이렇게 이동하는 지지대(320)에 연결된 수평대(330)는 지지대(320)의 상하 이동을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이때, 수평대(330)는 인출관(312)으로 인입출되는 이동대(331)가 하방으로 인출 형성되어서, 수평대(330)가 상하로 이동하여도 항시 전방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여기서, 기어형 연동축대(150)의 회전력은 창문(200)의 수평이동시 발생하는 동력에 의한 것으로,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문(200)이 열리면 지지대(320)가 전술한 구조에 따라 연동하면서 난간대(300)의 높이를 높이고, 창문(200)이 닫히면 기어형 연동축대(150)의 상기 회전력이 역방향으로 가해지면서 난간대(300)의 높이를 낮추게 된다.
결국, 창문(200)이 열리면서 높아진 난간대(300)는 사용자가 강제로 그 높이를 낮추려 해도 절대 낮아지지 않고, 난간대로서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 구조물의 일부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 및 절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의 이동에 따른 구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기어형 연동축대(150)의 회전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창문(200, 200')의 개폐를 동력원으로 한다.
이를 위해 프레임(210)과 유리(220)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구조를 기반으로 한 본 발명에 따른 창문(200, 200')은 하방으로 돌출된 안내돌기(211)와, 안내돌기(211)의 전면에 형성된 랙(212)을 포함한다.
이에 상응해서, 창틀(100)은 창문(200, 200')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안내하는 레일(110)과, 창문(200,200')의 안내돌기(211)가 삽입되는 안내홈(120)을 구비한다.
즉, 창틀(100)은 창문(200, 200')을 이동가능하게 고정하면서, 안정되게 지지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창틀(100)은 창문(200, 200')에 돌출 형성된 안내돌기(211)가 간섭없이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용하는 안내홈(120)이 형성된다. 이때, 창문(200, 200')은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므로, 각 창문(200, 200')에 형성된 안내돌기(211)는 서로 대칭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안내돌기(211)의 전면에 배치된 랙(212) 또한 창문(200, 200')을 서로 마주보도록 해서, 서로 마주하는 랙(212) 사이에 배치되는 피니언(130)이 두 개의 랙(212)과 맞물려 연동할 수 있도록 된다.
계속해서, 피니언(130)은 창문(200, 200')의 하방으로 돌출된 안내돌기(211)가 맞물려 연동하도록, 창틀(100)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를 위해 창틀(100)은 피니언(130)의 정상적인 구동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피니언(130)을 회전가능하게 고정지지하는 태엽스프링 내장형 중심축대(140)를 구비한다. 물론, 피니언(130)은 태엽스프링 내장형 중심축대(140)가 삽입되는 중심홈(131)을 형성하고, 이 중심홈(131)으로 삽입되는 태엽스프링 내장형 중심축대(14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피니언(130)은 랙(212)과의 맞물림을 위한 제1기어(132)와, 기어형 연동축대(150)와의 맞물림을 위한 제2기어(133)를 포함한다. 제1기어(13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랙&피니언 구조를 이루기 위한 기어이고, 제2기어(133)는 베벨기어 구조를 이루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제2기어(133)의 경우에는 기어 이빨이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이에 상응하는 기어 이빨을 갖는 기어형 연동축대(150)와 연동하게 될 것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문(200)이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안내돌기(211)를 매개로 창문(200)에 고정된 랙(212) 또한 창문(200)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이동한다.
이렇게 이동하는 랙(212)은 피니언(130)의 제1기어(131)와 맞물리고, 이를 통해 피니언(130)은 회전력을 갖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력은 베벨기어 형태로 맞물린 제2기어(131)를 매개로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기어형 연동축대(150)로 전달된다. 물론, 회전력을 전달받은 기어형 연동축대(150)는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력을 체결구(160)의 너트형 기어(161)로 전달한다.
너트형 기어(161)는 상기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고,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지지대(320)의 둘레면에 형성된 나사산(321)과 맞물려서 지지대(320)의 직선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전달한다.
결국, 지지대(320)의 이동에 의해 그 높낮이가 조정되는 수평대(330)의 높이는 창문(200)의 이동 정도에 상응하게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창문을 많이 열어 위험한 상황에서는 수평대(330)의 높이를 최대로 할 수 있고, 창문을 상대적으로 조금 열어서 사용자의 낙하위험성이 낮은 상황에서는 수평대(330)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어서, 사용자는 안전성 담보와 더불어 조망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높이가 결정된 수평대(330)는 인력으로는 그 조정이 불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효과 또한 기대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랙과 피니언의 연동모습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태엽스프링 내장형 중심축대(140)는 태엽스프링을 내장하므로, 피니언(130)의 일방향 회전에 대해 탄력을 축적할 수 있도록 된다. 즉, 피니언(130)이 창문(200, 200')이 열릴 때 랙(212)과 맞물려 회전하면 태엽스프링은 탄력을 축적하다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문(200)이 닫히면서 랙 이빨(212a)이 더 이상 피니언 이빨(132a)을 지지하지 않게 되면 태엽스프링의 탄력이 피니언(130)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물론, 태엽스프링이 안정된 최초 상태가 될 때까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피니언(130)은 기어형 연동축대(15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러한 회전력은 너트형 기어(16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지지대(320)가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결국, 지지대(320)의 하방이동으로 수평대(330)의 높이는 낮아지고, 닫힌 창문(200)을 통한 조망 범위를 넓힐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태엽스프링이 갖는 탄력에 의해 지지대(320)가 최저상태를 유지하고, 창문(200)의 이동시 지지대(320)가 다시 상방 이동하므로, 랙(212)과 피니언(130)의 각 이빨(212a, 134) 간의 정확한 맞물림이 요구되지 않아, 항시 안정된 상태로 반영구적인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피니언 이빨(132a)은 토션스프링(미도시함)에 의해 일방향으로 탄발하면서 회동하도록 고정되되, 열리는 창문(200)의 랙 이빨(212a)과 맞물릴 때는 피니언 이빨(132a)이 자체 회동범위를 벗어나 회동하지 않고(도 5(a) 참고), 닫히는 창문(200)의 랙 이빨(212a)과 맞물릴 때는 피니언 이빨(132a)이 회동하면서 랙 이빨(212a)과 맞물리지 않으므로(도 5(b) 참고), 피니언(130)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주변 간섭없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본 실시예의 피니언 이빨(132a)은 가이드라인(미인출함)이 형성되고, 피니언(130) 본체에 형성된 스토퍼(미인출함)가 가이드라인과 맞물리면서, 피니언 이빨(132a)의 이동범위를 가이드라인의 범위로 제한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어린아이들이 창문(200,200')을 쉽게 열지 못하도록 하면서 닫힐 때에는 원활하게 닫힐 수 있도록 조력하는 개폐보조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보조유닛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200,200')의 상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창문(200,200')은 슬라이딩 창으로서 통상 고층의 경우에는 풍압에 충분히 견뎌야 하므로 고정창과 슬라이딩 창을 병행 설치하고 있으며, 슬라이딩 창만을 단독 설치할 경우에는 시스템 창을 구성하는데, 주로 틸트형 창과 슬라이딩 창을 병행설치하며 슬라이딩 창을 단창으로 하지 않고 이중창으로 구성하고, 크기를 작게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개폐보조유닛은 이중창 중 외창이 아닌 내창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풍압에 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는다.
도 8에 따르면, 개폐보조유닛은 일측 창문(200')의 상단부 일측면에 창문(200')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롯(4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슬롯(400)은 일측면이 일부만 개방되도록 외벽(W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롯(400)의 선단부 내벽(W2)과 외벽(W1)에는 각각 제1텐션롤(410)과 제2텐션롤(4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2텐션롤(410,420)에는 와이어(430)가 경유하도록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와이어(430)의 일단은 래치편(440)의 선단에 견고히 결속되고, 상기 래치편(440)의 후단은 래치하우징(444)에 삽입된다.
특히, 상기 래치편(440)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톱니(442)가 형성되는데, 상기 톱니(442)는 직각삼각형 형태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상기 래치하우징(444) 속으로 장입된 상기 래치편(440)의 후단은 래치스프링(446)에 의해 상기 래치하우징(444)의 후단에 결속된다.
나아가, 상기 래치하우징(444)의 선단부 일측 내면, 더 정확하게는 상기 톱니(442)를 바라보는 면에는 멈춤편(450)의 후단이 접지되고, 상기 멈춤편(450)의 선단은 상기 톱니(442)와 맞물리도록 배치되는데, 상기 톱니(442)와 반대 형상을 가져 래치편(440)이 제1텐션롤(410) 쪽으로 이동할 때, 즉 래치하우징(444)으로부터 빠져나갈 때는 쉽게 빠져나가지만 역방향으로 들어올 때는 톱니(442)의 직각부분과 멈춤편(450)의 직각 부분이 서로 맞물리면서 이동하지 못하도록 스토핑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멈춤편(450)이 후단면에는 당김노브(452)가 조립되는데, 상기 당김노브(452)에는 결합돌기(454)가 돌출되고, 상기 결합돌기(454)는 상기 멈춤편(450)의 후단면 중심에 나사체결된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454)에는 인장스프링(456)이 끼워진다.
즉, 상기 멈춤편(450)을 상기 래치하우징(444)의 내부에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당김노브(452)의 결합돌기(454)를 래치하우징(444)에 관통시킨 다음, 관통된 결합돌기(454)에 인장스프링(456)을 끼우고, 그 상태에서 결합돌기(454)를 멈춤편(450)에 나사체결하는 형태로 조립한다.
그러면, 상기 멈춤편(450)은 상기 인장스프링(456)에 의해 항상 래치편(440)의 톱니(442)와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밀려 이동된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래치편(440)이 래치하우징(444)에서 빠져나갈 때는 쉽게 빠져나가지만 역방향으로는 이동하지 못하므로 창문(200')을 열었을 때 연 상태로 위치 고정할 수 있다.
그 상태에서 다시 창문(200')을 닫고 싶을 때에는 당김노브(452)를 당겨 주면 인장스프링(456)이 압축되면서 멈춤편(450)이 들어 올려져 톱니(442)와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므로 창문(200')을 닫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창문(200')는 와이어(430)가 미는 힘에 의해 닫히기 쉬운 상태로 유지된다.
아울러, 상기 와이어(430)의 타단은 창문(200')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후 외벽(W1)의 내측면에 고정된 와이어스프링(460)에 결속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창문(200')과 마주보는 창문(200)의 대향면 상에는 상기 슬롯(400)으로 삽입될 수 있는 활주편(470)이 돌출되고, 상기 활주편(470)에는 대략 'ㄱ' 형상의 고정브래킷(480)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브래킷(480)과 활주편(470) 사이에는 상기 제1,2텐션롤(410,420)을 가로질러 횡가된 와이어(430)와 접촉하면서 이를 밀고 갈 수 있는 와이어가압롤(490)이 세워 설치된다.
그리하여, 어린아이들이 창문(200,200')을 열려고 하면 최초 힘을 가할 때 창문(200,200')이 빗겨가면서 활주편(470)이 슬롯(400) 속으로 들어가고, 그 순간 와이어가압롤(490)이 와이어(430)와 접촉되면서 와이어(430)를 밀게 되는데, 와이어(430)의 양단은 각각 래치스프링(446)과 와이어스프링(460)에 의해 결속되어 있으므로 이들 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해야만 열 수 있다.
하지만, 어린아이들은 힘이 없기 때문에 초기에 창문(200,200')을 열기가 쉽지 않아 안전사고 예방기능이 현저히 증대된다.
반면, 성인의 경우에는 충분히 열 수 있으므로 창문(200,200')이 열리게 되는데, 창문(200,200')은 열리는 순간마다 래치편(440)의 톱니(442)가 멈춤편(450)이 상호 걸림작용하므로 어느 정도 연 상태에서 그대로 두더라도 창문(200,200')이 닫히지 않고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와이어가압롤(490)은 활주된 거리만큼 와이어(430)를 맞문 상태로 이동해 있으므로 그만큼 래치스프링(446)과 와이어스프링(460)이 늘어나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창문(200,200')을 닫기 위해 사용자가 당김노브(452)를 당기게 되면 각 스프링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창문(200,200')이 각각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닫히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완전히 닫힐 수 있도록 밀고, 이어 록커로 쇄정하면 창문(200,200')을 닫은 상태로 완전히 잠글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대의 구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대의 구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 구조물은 유사시 창문(200)의 열림을 제한할 수 있는 안정대(340)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난간대(300)는 창문(200)의 개폐를 통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이나, 창문(200)을 여는 과정에서 오작동에 의해 난간대(300)가 상승하지 못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창문(200)을 열더라도 수평대(330)가 충분히 상승하지 못하면서, 사용자의 낙하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창 구조물은 안정대(340)를 더 포함한다.
안정대(340)는 수평대(330)에 수평 고정되는 고정축대(341)와, 고정축대(341)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코일스프링(342)에 의해 일방향으로 탄발지지되는 회전관(343)과, 창문(200)을 향해 회전관(343)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344)와, 일단이 회전관(343)에 고정되고 타단이 창문(200)과 맞물리도록 구배된 걸림고리(345)를 포함한다. 한편, 걸림돌기(344)와 맞물리는 돌출턱(170)이 안정대(340)의 이동경로인 창틀(100)의 일 지점에 돌출 형성된다.
결국,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문(200)이 닫힌 상태에서는 수평대(330)가 낮게 위치하고, 아울러 안정대(340)의 걸림돌기(344)는 창틀(100)을 향해 돌출되게 배치되되, 창문(200)이 열리면서 수평대(330)가 상향이동하면, 걸림돌기(344)는 돌출턱(170)과 접하면서 힘을 받아 이동하고, 이러한 이동은 고정축대(341)를 중심으로 회전관(343)을 회전시킨다. 물론, 코일스프링(342)은 회전관(343)의 회전시 탄력을 축적하므로, 창문(200)이 닫히면서 수평대(330)가 하방 이동해 걸림돌기(344)가 돌출턱(170)으로부터 벗어나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관(343)을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회전관(343)에 고정된 걸림고리(345)는 유리(220)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큰 프레임(210)의 선단과 맞물릴 수 있다.
즉,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문(200)이 닫힌 상태에서는 걸림고리(345)의 말단이 창문(200)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문(200)이 열리면서 수평대(330)가 상방 이동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관(343)이 회전하면서 걸림고리(345)의 말단이 프레임(210)의 선단과 맞닿지 않도록 한다.
결국, 창문(200)은 아무런 간섭없이 정상적으로 열릴 수 있게 된다.
반면, 동작의 오류 등으로 인해 사용자가 창문(200)을 열어도 수평대(33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않게 되면,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고리(345)는 회전하지 않고 그 말단이 현 상태를 유지하고, 이를 통해 프레임(210)의 선단이 걸림고리(345)와 맞물려서, 창문(200)은 더 이상이 열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즉, 수평대(330)가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할 경우에는 창문(200)의 열림을 차단해서 사용자의 안전을 담보하는 것이다.
100 : 창틀 200, 200' : 창문
300 : 난간대 400 : 슬롯
410 : 제1텐션롤 420 : 제2텐션롤
430 : 와이어 440 : 래치편
450 : 멈춤편 460 : 와이어스프링
470 : 활주편 480 : 고정브래킷
490 : 와이어가압롤

Claims (1)

  1.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히 형성된 레일(110)과 안내홈(120); 둘레면에 형성된 제1기어(132)와, 베벨기어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기어(133)가 동축으로 일체 형성되되, 제1기어(132)의 피니언 이빨(132a)은 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면서 토션스프링에 의해 탄발지지되는 피니언(130); 피니언(130)의 회전시 탄력을 축적하는 태엽스프링을 내장하면서 피니언(130)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태엽스프링 내장형 중심축대(140); 일단이 제2기어(133)와 맞물려서 창틀(100)에 회전가능하게 수평배치되는 기어형 연동축대(150); 기어형 연동축대(150)의 타단과 맞물려서 회전하는 너트형 기어(161)와, 너트형 기어(161)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지지관(162)과, 지지관(162)을 창틀(100)에 고정하는 고정대(163)와, 고정대(163)와 상하로 일렬 배치되는 고정식 가이드(164)를 갖춘 체결구(160)와, 하기 안정대(340)의 형성위치에 대응되게 창틀(10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되 하기 수평대(330)의 승강길이에 맞게 형성되는 돌출턱(170)을 구비한 창틀(100), 창틀(100)의 레일(110)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프레임(210)과, 프레임(210)의 선단이 돌출되도록 프레임(210)과 계단형태로 고정되는 유리(220)로 구성되되, 프레임(210)의 저면에는 안내홈(210)으로 삽입돼 이동가능하도록 돌출된 안내돌기(211)와, 안내돌기(211)의 전면에 형성되어서 피니언(130)의 제1기어(132)와 맞물리는 랙(212)을 구비한 창문(200), 및 창틀(100)의 하부 전면에 앵커(311)를 매개로 수평하게 고정 배치되고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 개의 인출관(312)을 갖춘 수평지지대(310); 체결구(160)의 너트형 기어(161) 및 고정식 가이드(164)를 관통해 입설되고, 둘레면에 나사산(321)이 형성되어서 너트형 기어(161)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리는 지지대(320); 수평지지대(310)와 나란하도록 말단이 지지대(320)에 고정되고, 인출관(312)으로 각각 인입출되는 다수 개의 이동대(331)를 갖춘 수평대(330); 수평대(330)에 나란히 고정배치되는 고정축대(341)와, 고정축대(341)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코일스프링(342)에 의해 탄발 지지되는 회전관(343)과, 돌출턱(170)에 걸리도록 회전관(343)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344)와, 일단이 회전관(343)에 고정되고 타단이 절곡되어 프레임(210)과 유리(220)의 경계인 돌출된 선단에 걸리는 걸림고리(345)를 갖춘 안정대(340)를 구비한 난간대(300)를 포함하고,
    상기 창문(200)과 쌍을 이루는 슬라이드형 창문(200')의 상단부 일측면에 창문(200')의 폭방향으로 길게 슬롯(400)이 더 형성되되 상기 슬롯(400)은 일측면이 일부만 개방되도록 외벽(W1)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400)의 선단부 내벽(W2)과 외벽(W1)에는 각각 제1텐션롤(410)과 제2텐션롤(4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2텐션롤(410,420)에는 와이어(430)가 경유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430)의 일단은 래치편(440)의 선단에 견고히 결속되고; 상기 래치편(440)의 후단은 래치하우징(444)에 삽입되되 래치스프링(446)에 의해 상기 래치하우징(444)의 후단에 결속되며; 상기 래치편(440)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직각삼각형상의 톱니(442)가 형성되고; 상기 래치하우징(444)의 선단부 일측 내면에는 상기 톱니(442)와 맞물리는 반대형상을 갖는 멈춤편(450)이 접지되며; 상기 멈춤편(450)이 후단면에는 당김노브(452)가 조립되는데, 상기 당김노브(452)에는 결합돌기(454)가 돌출되고, 상기 결합돌기(454)는 상기 멈춤편(450)의 후단면 중심에 나사체결되고; 상기 결합돌기(454)에는 인장스프링(456)이 끼워지되, 인장스프링(456)의 일단은 상기 멈춤편(450)에 걸림되고 타단은 상기 래치하우징(444)의 내부면에 걸려서 상기 멈춤편(450)을 톱니(442)와 접촉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430)의 타단은 창문(200')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후 외벽(W1)의 내측면에 고정된 와이어스프링(460)에 결속되고; 상기 창문(200')과 마주보는 창문(200)의 대향면 상에는 상기 슬롯(400)으로 삽입될 수 있는 활주편(470)이 돌출되며; 상기 활주편(470)에는 'ㄱ' 형상의 고정브래킷(480)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브래킷(480)과 활주편(470) 사이에는 상기 제1,2텐션롤(410,420)을 가로질러 횡가된 와이어(430)와 접촉하면서 이를 밀고 갈 수 있는 와이어가압롤(490)이 세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고층 창 구조물.
KR1020150078742A 2015-06-03 2015-06-03 공동주택의 고층 창 구조물 KR101542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742A KR101542951B1 (ko) 2015-06-03 2015-06-03 공동주택의 고층 창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742A KR101542951B1 (ko) 2015-06-03 2015-06-03 공동주택의 고층 창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2951B1 true KR101542951B1 (ko) 2015-08-11

Family

ID=54060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742A KR101542951B1 (ko) 2015-06-03 2015-06-03 공동주택의 고층 창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9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325B1 (ko) * 2016-10-21 2017-04-11 이영운 건축물용 개폐식 난간
CN108760010A (zh) * 2018-04-10 2018-11-06 西安蒜泥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三维人体扫描设备的扶手转台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789B1 (ko) 2006-07-25 2006-10-31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창호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789B1 (ko) 2006-07-25 2006-10-31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창호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325B1 (ko) * 2016-10-21 2017-04-11 이영운 건축물용 개폐식 난간
CN108760010A (zh) * 2018-04-10 2018-11-06 西安蒜泥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三维人体扫描设备的扶手转台机构
CN108760010B (zh) * 2018-04-10 2020-03-24 西安维塑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三维人体扫描设备的扶手转台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362048B2 (en) An extension ladder
AU2012203213B2 (en) Roll blind having noiseless bidirectional clutch
KR101542951B1 (ko) 공동주택의 고층 창 구조물
KR100923798B1 (ko) 공동주택의 고층용 창 구조물
KR101858666B1 (ko) 공동주택의 고층 창 구조물
KR101080808B1 (ko) 베란다의 난간대를 이용한 긴급 피난장치
US8402700B2 (en) Wall assembly comprising panels configured to reside in an overhead structure
US20040003900A1 (en) Venetian blind having lift cords kept from sight
KR100489814B1 (ko) 낙하방지를 위해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건축용 난간
JP6325918B2 (ja) 防火シャッタ用安全装置
KR100937208B1 (ko) 건축용 낙하방지기구
ES2666876T3 (es) Persiana enrollable equipada con un dispositivo de operación de la proyección de un tablero de persiana enrollable
CN103781984A (zh) 窗户用防坠装置
CN116122712A (zh) 一种一体窗防火卷帘自滑落装置
CN208550692U (zh) 床围栏
KR100666651B1 (ko) 공동주택의 안전사고 방지형 현관문
CN208967424U (zh) 一种用于家用电梯控制***的控制柜
CN217066013U (zh) 一种挂式窗帘盒
CN201176819Y (zh) 汽雾倾斜式防火卷帘
KR20110139804A (ko) 블라인드용 권취장치
KR102457789B1 (ko) 고층 건물 화재 피난 장치
JP7373345B2 (ja) 移動式間仕切り
CN214402495U (zh) 一种围栏
JP2018150136A (ja) エレベータ
EP2090739A1 (en) Manual collecting device for roller bli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