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253B1 - 각동 어닝 - Google Patents

각동 어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253B1
KR101541253B1 KR1020140156266A KR20140156266A KR101541253B1 KR 101541253 B1 KR101541253 B1 KR 101541253B1 KR 1020140156266 A KR1020140156266 A KR 1020140156266A KR 20140156266 A KR20140156266 A KR 20140156266A KR 101541253 B1 KR101541253 B1 KR 101541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hinge
main frame
wire
out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구중
Original Assignee
권구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구중 filed Critical 권구중
Priority to KR1020140156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2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각동 어닝은 벽체에 구비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권취브라켓과, 양측이 상기 권취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는 권취롤과, 일단이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메인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접철암과, 상기 접철암 중간에 구비된 힌지부의 회전핀 상부에 구비되어 메인프레임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바와, 상기 중간바와 나란하며 접철암을 이루는 외측암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는 프론트바와, 상기 권취롤에 감기며 중간바의 상부를 지나 프론트바에 결합되는 차양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동 어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각동 어닝{awning for adjusting awning angle}
본 발명은 각동 어닝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어닝의 지지프레임에 구비되는 힌지부재의 강성이 향상됨으로써 내구성이 증가한 각동 어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닝이라 함은 건물의 출입구나 상점의 쇼윈도 및 옥외에 설치되어 여름철 강한 햇빛과 비물을 막아주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어닝은 건물을 드나드는 사람들과 쇼윈도에 진열되어 있는 각종 상품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건물이나 상점 등의 외부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동시에 건물이나 상점의 시각적인 이미지를 부각시켜 외적인 인테리어 효과를 높이고, 또한 손님들이 옥외에서 강한 햇빛과 빗물을 피해 식사를 즐기거나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선 출원된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1-0114944호(2010.04.14)에는 태양열을 이용한 조명기구가 설치된 접이식 어닝이 개시된 바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어닝은 고정대(1)와, 암(3)과, 힌지부(2)와, 프론트바(4)와, 전동권취롤러(5)와, 수평차양막(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대(1)는 사각형 바의 형태로 가로로 길게 이루어져 있고, 암브라켓(13)에 의해 암(3)과 연결되고, 권취롤러 브라켓(14)에 의해 권취롤러(5)와 연결되며, 일측에는 배터리(10)와 인버터(11) 및 컨트롤러(12)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대(1)는 벽브라켓(15)에 의해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암(3)과 권취롤러(5)를 지지하며 벽면에 연결된다.
상기 암(3)의 일측은 고정대(1)와 암브라켓(13)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프론트바(4)에 연결되며, 중앙의 힌지부(2)에는 스프링이 매설되어 있어서 항상 펼쳐지고자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 프론트바(4)에는 수평차양막(6)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수평차양막(6)은 다시 권취롤러(5)에 연결되어 있어서 수평차양막(6)을 권취롤러(5)로 감게 되면 프론트바(3)가 고정대(1)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고정대(1)와 프론트바(3)의 사이에 있는 암(3)에 힘을 가하게 되고 이러한 힘에 의해 암(3)이 굽혀진다.
이 때 프론트바(4)에는 암(2)의 힌지부(2)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펼쳐지려고 하는 힘과 권취롤러(5)의 당기는 힘이 균등하게 작용하여 힘의 균형 상태에 도달하게 되고 이러한 힘의 균형 상태에 의해 프론트바(4)와 권취롤러(5) 사이에 있는 수평차양막(6)이 완전히 펼쳐지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어닝은 힌지부재에 반복적인 외력이 작용함으로써 힌지부재에 크랙이 발생하여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어닝 전체가 같은 경사각을 가지는 구조이며, 따라서 하향 경사 조정하는 경우 어닝 하부 공간에서 답답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1-0114944호(2010.04.14)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어닝의 지지프레임에 구비되는 힌지부재의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내구성을 증가시키며 어닝 하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각동 어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각동 어닝은 벽체에 구비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권취브라켓과, 양측이 상기 권취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는 권취롤과, 일단이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메인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접철암과, 상기 접철암 중간에 구비된 힌지부의 회전핀 상부에 구비되어 메인프레임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바와, 상기 중간바와 나란하며 접철암을 이루는 외측암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는 프론트바와, 상기 권취롤에 감기며 중간바의 상부를 지나 프론트바에 결합되는 차양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동 어닝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접철암은 일단이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내측암과, 일단이 프론트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외측암과, 상기 내측암과 외측암 사이에 구비되어 외측암과 내측암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힌지부와, 일단은 내측암에 고정되고 힌지부에 형성된 와이어홈을 따라 연장되어 타단은 외측암에 고정된 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는 스프링을 매개로 내측암 또는 외측암에 고정되며;
상기 힌지부는 내측암의 타단에 삽입되며 제1 핀공이 형성된 제1 부재와, 제2 핀공이 형성되어 제1 핀공과 제2 핀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회전핀에 의하여 상기 제1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외측암의 타단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제2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1 부재는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며 단면이 'ㄷ'자를 이루도록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내향돌출부와 상하에서 상기 내향돌출부의 외측 단부에 연결된 바닥부로 이루어져 내측암에 삽입된 제1 본체와, 상기 내향돌출부에서 각각 턱부를 형성하며 제2 부재를 향하여 연장되고 하향 경사 절곡되며 하향 경사진 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제1 핀공이 형성된 서로 이격된 2개의 제1 힌지부와, 내측에서 상기 제1 힌지부의 사이의 일부를 덮도록 양측이 상하에서 상기 제1 힌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바닥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판상의 보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2 부재는 내측을 향하여 오목한 홈이 형성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벽체와 상기 벽체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단부벽부를 가지는 제2 본체와, 단부벽부의 반대 쪽에서 제2 본체로부터 턱부를 형성하면서 연장되고 하향 경사 절곡되며 하향 경사진 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제2 핀공이 형성된 제2 힌지부와, 상기 제2 힌지부의 둘레를 따라 하향 나선 연장되어 돌출된 와이어 안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 안내부에는 오목하며 와이어 안내부를 따라 나선으로 연장된 와이어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안내홈은 제2 힌지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단부벽부에는 내측 상부에 오목한 제2 와이어홈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힌지부가 제1 힌지부 사이로 삽입되고 회전핀은 제1 핀공과 제2 핀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향 돌출되며, 회전핀의 상부에는 오목한 핀홈에 형성되고, 중간바는 하부에 회전핀의 핀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구비되어 회전핀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일단이 내측암에 고정된 상기 와이어는 제1 본체와 보강부 사이를 지나 와이어 안내부의 와이어 안내홈에 안착되고 제2 본체의 오목부를 지나 제2 와이어홈에 삽입되어 외측암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외측암에 고정되며;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의 경사각이 작아짐에 따라 와이어 안내홈과의 접촉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외측암은 힌지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내측암에 연결되며, 내측암에 대하여 하향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각동 어닝은 차양막이 절곡되는 구조로 설치되므로 각동 어닝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이 확보되는 한편 전단부는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제1 본체의 제1 회전부를 연결하는 보강부에 의하여 강성이 향상됨으로써 내구성이 증가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어닝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각동 어닝의 개략적인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각동 어닝의 개략적인 일부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각동 어닝에 구비되는 힌지부의 외측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각동 어닝에 구비되는 힌지부의 외측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각동 어닝에 구비되는 힌지부의 내측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각동 어닝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각동 어닝의 개략적인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각동 어닝의 개략적인 일부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각동 어닝에 구비되는 힌지부의 외측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각동 어닝에 구비되는 힌지부의 외측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각동 어닝에 구비되는 힌지부의 내측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2에서 각동 어닝(100)의 메인프레임(120)에서 프론트바(130)로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중간바(140)에서 프론트바(130)로의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메인프레임(120)의 연장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며, 이격된 접철암(200) 사이를 "내측"으로 하고, 접철암(200) 사이에서 중간바(140)의 단부로의 방향을 "외측"으로 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각동 어닝(100)은 권취부(110)와, 메인프레임(120)과, 중간바(140)와, 프론트바(130)와, 차양막(101)과, 접철암(200)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각동 어닝(100)이 펼쳐진 상태를 예로 설명한다.
상기 메인프레임(120)은 벽체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20)은 막대 모양으로 구비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20)은 중공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20) 양단부에는 후술 할 접철암(200)의 회전부재(121)가 설치될 턱부가 전방을 향하여 내측으로 구비된다. 상기 턱부가 형성되지 않으면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양단부에 회전부재(121)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권취부(110)는 권취브라켓(113)과, 권취롤(111)로 이루어진다.
상기 권취브라켓(113)은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양단부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권취브라켓(113)은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권취브라켓(113)은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권취브라켓(113)은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수직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구비된다. 상기 권취브라켓(113)은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단부에 연결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권취롤(111)은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상부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권취롤(111)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권취롤(111)은 상기 권취브라켓(113) 사이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권취롤(111)은 상기 권취브라켓(113)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비된다. 상기 권취롤(111)은 후술 할 차양막(101)을 감고 푸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간바(140)는 중공체로 상기 메인프레임(120)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중간바(140)는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연장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중간바(140)는 후술 할 접철암(200) 중간에 구비된 힌지부(210)의 회전핀(240)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중간바(140) 하부에는 상기 회전핀(240) 상부에 삽입 구비될 삽입돌기가 이동될 홈이 형성된다. 상기 홈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홈의 양 단부에는 삽입돌기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돌기가 폭 방향으로 이동되며 후술 할 접철암(200)이 움직인다. 상기 중간바(140) 양 단부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삽입돌기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회전핀(240)의 핀홈에 삽입 구비된다.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회전핀(240)의 핀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바(130)는 상기 중간바(140)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바(130)는 상기 중간바(140)와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바(130)는 후술할 접철암(200)을 이루는 외측암(230)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프론트바(130)의 일측면 양 단부에는 후술 할 외측암 지지핀(131)이 삽입될 프론트바 연결부재(133)가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바 연결부재(133)는 상기 프론트바(130)의 일측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바 연결부재(133) 단부에는 외측암 지지핀(131)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구비된다.
상기 외측암 지지핀(131)은 상기 프론트바 연결부재(133)의 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외측암 지지핀(131)은 상기 프론트바 연결부재(133)에 수직으로 구비된다. 상기 외측암 지지핀(131)은 후술 할 외측암(230)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론트바 연결부재(133) 대신 상기 외측암 지지핀(131)이 상기 프론트바(130)에 연결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바 연결부재(133)와 외측암 지지핀(131)은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바(130)의 상면에는 후술할 차양막(101)이 부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바(130)의 내측에 차양막(101)이 삽입 될 홀이 형성되어 차양막(101)이 관통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차양막(101)은 상기 권취롤(111)과, 중간바(140)와, 프론트바(130)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차양막(10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차양막(101)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양단이 권취롤(111)과 중간바(140)와 프론트바(130)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차양막(101)의 일단은 상기 권취롤(111)에 감기어 구비된다. 상기 차양막(101)의 타단은 상기 프론트바(130)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접철암(20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접철암(200)의 일단은 상기 메인프레임(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프론트바(1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접철암(200)은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접철암(200)은 내측암(220)과, 외측암(230)과, 힌지부(210)와, 회전핀(240)과, 와이어(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암(220)은 중공체 또는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내측암(22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내측암(220)의 일단은 메인프레임(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내측암(220)의 타단은 후술 할 힌지부(210)의 제1 본체(2111)가 삽입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내측암(220) 일단에는 상기 메인프레임(120)에 연결되는 내측암 연결부재(221)가 구비된다. 상기 내측암 연결부재(221)의 단부에는 후술 할 회전부재(121)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내측암 연결부재(221)는 회전부재(121)와 연결핀으로 연결되어 회전 가능 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회전부재(121)는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양단에 형성된 턱부에 구비된다. 상기 회전부재(121)는 상기 회전부재(121)의 단부에 형성된 설치공(121a)을 관통하여 고정 구비된다.
상기 외측암(230)은 중공체 또는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외측암(230)은 상기 내측암(220)에 대하여 하향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외측암(23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외측암(230)의 일단은 상기 프론트바(1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외측암(230)의 타단은 후술 할 힌지부(210)의 제2 본체(2131)가 삽입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외측암(230)은 후술 할 힌지부(21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내측암(220)에 연결된다.
상기 외측암(230) 일단에는 상기 프론트바(130)에 연결되는 외측암 연결부재(231)가 구비된다. 상기 외측암 연결부재(231)의 단부에는 핀홀이 형성된다. 상기 핀홀에는 상기 외측암 지지핀(131)이 삽입되어 상기 프론트바(130)와 연결된다. 상기 외측암 지지핀(131)은 상기 외측암 연결부재(231)와 프론트바 연결부재(133)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구비된다.
상기 힌지부(210)는 상기 내측암(220)과 외측암(2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외측암(230)과 내측암(22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힌지부(210)는 제1 부재(211)와, 제2 부재(2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부재(211)는 상기 내측암(22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 부재(211)는 제1 본체(2111)와, 제1 힌지부(2113)와, 보강부(21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본체(2111)는 상기 내측암(220)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 본체(2111)는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 본체(2111)는 단면이 'ㄷ'자를 이루도록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내향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내향 돌출부의 외측 단부에는 바닥부로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내향돌출부 단부의 반대측에는 상기 내향돌출부와 바닥부에서 각각 턱부를 형성한다. 상기 턱부에서 연장되어 후술 할 제2 부재(213)를 향하여 제1 힌지부(2113)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힌지부(2113)는 상기 제1 본체(2111)의 내향돌출부로부터 후술 할 제2 부재(213)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제1 힌지부(2113)는 서로 이격되어 2개로 구비된다. 상기 제1 힌지부(2113)는 상기 제1 본체(2111)로부터 하향 경사 절곡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 힌지부(2113)는 하향 경사진 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1 힌지부(2113)는 상부에 형성된 제1 힌지부(2113)의 길이가 하부에 형성된 제1 힌지부(2113)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 힌지부(2113)는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제1 핀공(2113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핀공(2113a)은 상하 방향으로 같은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2115)는 상기 제1 힌지부(2113)의 하향 경사진 부분의 내측에 연결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2115)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2115)는 양측이 상하에서 상기 제1 힌지부(2113)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2115)는 상기 제1 힌지부(2113) 사이의 일부를 덮도록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2115)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 부재(213)는 상기 외측암(23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 부재(213)는 제2 본체(2131)와, 제2 힌지부(2133)와, 와이어 안내부(213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본체(2131)는 상기 외측암(230)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 본체(2131)는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2 본체(2131)는 단면이 'ㄷ'자를 이루도록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벽체(2137)가 구비된다. 상기 벽체(2137)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2 본체(2131)의 양측에 구비된다. 상기 벽체(2137)의 일측 단부에는 단부벽부(2139)가 구비된다. 상기 단부벽부(2139)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외측암(230)의 연장 방향으로 제2 와이어홈(2139a)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와이어홈(2139a)은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와이어홈(2139a)에 후술 할 와이어가 위치한다.
상기 단부벽부(2139)의 반대쪽에는 상기 제2 본체(2131)로부터 턱부가 형성된다. 상기 턱부에서 연장되어 후술 할 제1 부재(211)를 향하여 제2 힌지부(2133)가 구비된다.
상기 제2 힌지부(2133)는 상기 제2 본체(2131)의 벽체(2137)로부터 상기 제1 부재(211)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제2 힌지부(2133)는 상기 제2 본체(2131)로부터 하향 경사 절곡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 힌지부(2133)는 하향 경사진 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2 힌지부(2133)는 상기 제2 본체(2131)의 상부에 구비된 벽체(2137)로부터 연장된 제2 힌지부(2133)의 길이가 하부에 구비된 벽체(2137)로 부터 연장된 제2 힌지부(2133)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2 힌지부(2133)는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제2 핀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힌지부(2133)가 상기 제1 힌지부(2113)에 삽입 되었을 때, 상기 제2 핀공은 상기 제1 핀공(2113a)이 형성된 같은 위치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 핀공(2113a)과 제2 핀공을 관통하여 후술 할 회전핀(240)이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 안내부(2135)는 상기 제2 힌지부(2133)의 둘레를 따라 돌출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 안내부(2135)는 하향 나선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 안내부(2135)는 상기 제2 본체(2131) 상부에 위치한 벽체(2137)의 하부로부터 연장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 안내부(2135)에는 오목하여 상기 와이어 안내부(2135)를 따라 나선으로 연장된 와이어 안내홈(2135a)이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 안내홈(2135a)은 상기 제2 힌지부(2133)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회전핀(240)은 단면이 원형인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제2 힌지부(2133)가 제1 힌지부(2113) 사이로 삽입됐을 때, 상기 회전핀(240)은 상기 제1 힌지부(2113)에 형성된 제1 핀공(2113a)과, 상기 제2 힌지부(2133)에 형성된 제2 핀공을 관통하여 구비된다. 상기 회전핀(240)은 상기 제1 핀공(2113a)과 제2 핀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회전핀(240)은 상기 제1 핀홀(2113a)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회전핀(240)의 상부에는 오목한 핀홈이 형성된다. 상기 핀홈에는 상기 중간바(140)의 삽입돌기가 삽입된다.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핀홈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내측암(220)과 힌지부(210)와 외측암(230)을 걸쳐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의 일단은 내측암(220)에 고정되고 상기 힌지부(210)에 형성된 제2 와이어홈(2139a)을 따라 연장되고 타단은 외측암(230)에 고정된다.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내측암(220) 또는 외측암(230)에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은 일측 단부 또는 양단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일단이 내측암(220)에 고정된 상기 와이어는 제1 본체(2111)와 보강부(2115) 사이를 지나 상기 와이어 안내부(2135)의 와이어 안내홈(2135a)에 안착된다. 와이어 안내홈(2135a)을 지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2 본체(2131)의 오목부를 지나 제2 와이어홈(2139a)에 삽입되어 상기 외측암(230)으로 연장된다. 상기 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외측암(230)에 고정된다.
본 발명인 각동 어닝(100)이 펼쳐지면 상기 와이어는 와이어 안내홈(2135a)과의 접촉 길이가 짧고, 각동 어닝(100)이 접히면 상기 와이어는 와이어 안내홈(2135a)과의 접촉 길이가 길어진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각동 어닝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각동 어닝
101 : 차양막 110 : 권취브라켓
111 : 권취롤 120 : 메인프레임
121 : 회전부재 130 : 프론트바
131 : 외측암 지지핀 140 : 중간바
200 : 접철암 210 : 힌지부
211 : 제1 부재 2111 : 제1 본체
2113 : 제1 힌지부 2115 : 보강부
213 : 제2 부재 2131 : 제2 본체
2133 : 제2 힌지부 2135 : 와이어 안내부
2137 : 벽부 2139 : 단부벽부
220 : 내측암 221 : 내측암 연결부재
230 : 외측암 231 : 외측암 연결부재
240 : 회전핀

Claims (6)

  1. 벽체에 구비되는 메인프레임(120)과,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상부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권취브라켓(113)과, 양측이 상기 권취브라켓(1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는 권취롤(111)과, 일단이 메인프레임(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메인프레임(12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접철암(200)과, 상기 접철암(200) 중간에 구비된 힌지부(210)의 회전핀(240) 상부에 구비되어 메인프레임(12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바(140)와, 상기 중간바(140)와 나란하며 접철암(200)을 이루는 외측암(23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는 프론트바(130)와, 상기 권취롤(111)에 감기며 중간바(140)의 상부를 지나 프론트바(130)에 결합되는 차양막(10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부(210)는 메인프레임(120)과 회전핀(240) 사이에 구비된 상기 접철암(200)의 내측암(220)의 타단에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서로 이격된 2개의 제1 힌지부(2113)에 제1 핀공(2113a)이 형성된 제1 부재(211)와, 제2 핀공이 형성되어 제1 핀공(2113a)과 제2 핀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회전핀(240)에 의하여 상기 제1 부재(2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외측암(230)의 타단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제2 부재(21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부재(213)는 내측을 향하여 오목한 홈이 형성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벽체(2137)와 상기 벽체(2137)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단부벽부(2139)를 가지는 제2 본체(2131)와, 단부벽부(2139)의 반대 쪽에서 제2 본체(2131)로부터 턱부를 형성하면서 연장되고 하향 경사 절곡되며 하향 경사진 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제2 핀공이 형성된 제2 힌지부(2133)와, 상기 제2 힌지부(2133)의 둘레를 따라 하향 나선 연장되어 돌출된 와이어 안내부(2135)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 안내부(2135)에는 오목하며 와이어 안내부(2135)를 따라 나선으로 연장된 와이어 안내홈(2135a)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안내홈(2135a)은 제2 힌지부(2133)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단부벽부(2139)에는 내측 상부에 오목한 제2 와이어홈(2139a)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힌지부(2133)가 제1 힌지부(2113) 사이로 삽입되고 회전핀(240)은 제1 핀공(2113a)과 제2 핀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향 돌출되며, 회전핀(240)의 상부에는 오목한 핀홈에 형성되고, 중간바(140)는 하부에 회전핀(240)의 핀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구비되어 회전핀(24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동 어닝(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암(200)은 일단이 메인프레임(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내측암(220)과, 일단이 프론트바(1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외측암(230)과, 상기 내측암(220)과 외측암(230) 사이에 구비되어 외측암(230)과 내측암(22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힌지부(210)와, 일단은 내측암(220)에 고정되고 힌지부(210)에 형성된 제2 와이어홈(2139a)을 따라 연장되어 타단은 외측암(230)에 고정된 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는 스프링을 매개로 내측암(220) 또는 외측암(23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동 어닝(100).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211)는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며 단면이 'ㄷ'자를 이루도록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내향돌출부와 상하에서 상기 내향돌출부의 외측 단부에 연결된 바닥부로 이루어져 상기 내측암(220)에 삽입된 제1 본체(2111)와, 상기 내향돌출부에서 각각 턱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부재(213)를 향하여 연장되고 하향 경사 절곡되며 하향 경사진 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제1 핀공(2113a)이 형성된 제1 힌지부(2113)와, 내측에서 상기 제1 힌지부(2113)의 사이의 일부를 덮도록 양측이 상하에서 상기 제1 힌지부(2113)에 연결되며 상기 바닥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판상의 보강부(211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동 어닝(100).
  4. 삭제
  5. 제3 항에 있어서, 일단이 내측암(220)에 고정된 상기 와이어는 제1 본체(2111)와 보강부(2115) 사이를 지나 와이어 안내부(2135)의 와이어 안내홈(2135a)에 안착되고 제2 본체(2131)의 오목부를 지나 제2 와이어홈(2139a)에 삽입되어 외측암(230)으로 연장되어 타단이 외측암(230)에 고정되며; 제1 부재(211)와 제2 부재(213) 사이의 경사각이 작아짐에 따라 와이어 안내홈(2135a)과의 접촉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동 어닝(100).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암(230)은 힌지부(21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내측암(220)에 연결되며, 내측암(220)에 대하여 하향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동 어닝(100).
KR1020140156266A 2014-11-11 2014-11-11 각동 어닝 KR101541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266A KR101541253B1 (ko) 2014-11-11 2014-11-11 각동 어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266A KR101541253B1 (ko) 2014-11-11 2014-11-11 각동 어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1253B1 true KR101541253B1 (ko) 2015-08-03

Family

ID=53873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266A KR101541253B1 (ko) 2014-11-11 2014-11-11 각동 어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25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012B1 (ko) * 2016-09-30 2017-09-07 프라나 주식회사 외부와의 차단성이 확보되는 접이식 어닝 어셈블리
KR101794458B1 (ko) * 2016-10-12 2017-11-08 황영순 어닝 관절장치
KR101804788B1 (ko) * 2016-12-28 2017-12-05 구통완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
KR101825413B1 (ko) * 2016-12-31 2018-03-22 구통완 하향 굴절형 암관절을 구비한 다단 절곡형 어닝 암
KR20180076998A (ko) * 2017-09-04 2018-07-06 구통완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
KR20200077800A (ko) 2018-12-21 2020-07-01 권구중 광고 기능을 가지는 각동 어닝
KR102658920B1 (ko) * 2023-08-28 2024-04-17 김반디 자동 어닝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313Y1 (ko) * 2011-05-01 2013-08-07 구통완 더블 암 구조의 어닝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313Y1 (ko) * 2011-05-01 2013-08-07 구통완 더블 암 구조의 어닝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012B1 (ko) * 2016-09-30 2017-09-07 프라나 주식회사 외부와의 차단성이 확보되는 접이식 어닝 어셈블리
KR101794458B1 (ko) * 2016-10-12 2017-11-08 황영순 어닝 관절장치
KR101804788B1 (ko) * 2016-12-28 2017-12-05 구통완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
KR101825413B1 (ko) * 2016-12-31 2018-03-22 구통완 하향 굴절형 암관절을 구비한 다단 절곡형 어닝 암
KR20180076998A (ko) * 2017-09-04 2018-07-06 구통완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
KR102173233B1 (ko) * 2017-09-04 2020-11-03 구통완 다단 절곡 아치형 접이식 어닝
KR20200077800A (ko) 2018-12-21 2020-07-01 권구중 광고 기능을 가지는 각동 어닝
KR102683879B1 (ko) * 2018-12-21 2024-07-10 권구중 광고 기능을 가지는 각동 어닝
KR102658920B1 (ko) * 2023-08-28 2024-04-17 김반디 자동 어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1253B1 (ko) 각동 어닝
KR101345274B1 (ko) 스카이 어닝
ES2742732T3 (es) Disposición de cobertura para aberturas arquitectónicas
WO2015111590A1 (ja) 窓の日射遮蔽装置
KR200468313Y1 (ko) 더블 암 구조의 어닝 시스템
KR101184852B1 (ko) 더블암 구조의 접이식 차양막 어닝 장치
KR200461639Y1 (ko) 다기능 방충문
JP2007327322A (ja) 日除け装置
KR101302689B1 (ko) 차양에 설치되는 보조차양
KR20180020837A (ko) 스쿠터용 접이식 차양막
KR200476979Y1 (ko) 차양막 처짐방지 구조를 갖는 차양장치
US1750285A (en) Awning
KR20180000048U (ko) 건물용 차양기구
KR102370816B1 (ko)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
KR20190108322A (ko) 어닝 시스템용 고정브래킷
CN106274398B (zh) 一种汽车遮阳帘
KR20100001485U (ko) 어닝장치의 물받이 새시
KR101448221B1 (ko) 장착과 사용이 용이한 어닝
US774641A (en) Shade-fixture for windows curved transversely.
KR102683879B1 (ko) 광고 기능을 가지는 각동 어닝
KR200458190Y1 (ko) 엘이디 파이프 결합형 어닝장치
KR20130006147U (ko) 상점용 천막의 워터커버장치
KR200451110Y1 (ko) 차양 장치의 커버
JP7110909B2 (ja) 日よけ
KR200340806Y1 (ko) 셔터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