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336B1 - 해양부유구조물 - Google Patents

해양부유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336B1
KR101540336B1 KR1020130118400A KR20130118400A KR101540336B1 KR 101540336 B1 KR101540336 B1 KR 101540336B1 KR 1020130118400 A KR1020130118400 A KR 1020130118400A KR 20130118400 A KR20130118400 A KR 20130118400A KR 101540336 B1 KR101540336 B1 KR 101540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sheave
mooring line
hul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8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9960A (ko
Inventor
원혁빈
김홍수
최정웅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8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336B1/ko
Publication of KR20150039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해양부유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 해양부유구조물은, 선체; 상기 선체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선체의 외부로부터 제공된 무어링 라인(mooring line)을 수용하는 무어링 베이(mooring bay); 상기 무어링 베이의 내측 표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무어링 라인을 선체의 상부로 안내하는 제1 시브(sheave); 상기 선체의 갑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무어링 라인의 일단을 고정하는 무어링 장비(mooring equipment); 및 상기 선체의 갑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시브에 의해 안내된 상기 무어링 라인을 상기 무어링 장비로 안내하는 제2 시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양부유구조물{FLOATING OFFSHORE STRUCTURE}
본 발명은 해양부유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천연가스나 원유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하여 운반되거나 액화된 천연가스 내지는 원유 상태로 수송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
천연가스나 원유의 시추가 해상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일시적으로 저장을 하거나 그 처리를 위한 해양부유구조물인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의 사용이 빈번해지고 있다.
FPSO는 시추선에서 포집된 가스나 원유를 받아서 운송선이나 파이프라인을 통하여 운송하기 전에 처리하고, 저장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한편, 가스나 원유의 처리는 하지 않고 일시적으로 저장만 하는 경우에는 FSU(Floating Storage Unit)라고 부른다.
FPSO의 디자인 형태는 그 설치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데, 잔잔한 해역에서는 Converted oil tanker라 불리우는 비교적 간단한 형태의 모양이 제작될 수 있고, 파랑이 심한 해역에서는 Purposedbuilt라 불리우는 비교적 복잡한 형태의 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1-074739호에는 피설치재와 롤러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의 완충이 가능한 여압 조정형 롤러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해양부유구조물과 선박을 계류하기 위한 무어링 베이(mooring bay) 공간을 절약하기 위한 해양부유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유구조물은, 선체; 선체의 측벽에 형성되고, 선체의 외부로부터 제공된 무어링 라인(mooring line)을 수용하는 무어링 베이(mooring bay); 무어링 베이의 내측 표면 상에 형성되고, 무어링 라인을 선체의 상부로 안내하는 제1 시브(sheave); 선체의 갑판 상에 형성되고, 무어링 라인의 일단을 고정하는 무어링 장비(mooring equipment); 및 선체의 갑판 상에 형성되고, 제1 시브에 의해 안내된 무어링 라인을 무어링 장비로 안내하는 제2 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브는 상기 무어링 라인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1 시브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브 또는 상기 제2 시브는 유압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무어링 라인의 타단은 상기 무어링 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선박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유구조물은, 선체; 선체의 측벽에 형성되고, 선체의 외부로부터 제공된 무어링 라인(mooring line)을 수용하는 무어링 베이(mooring bay); 및 선체의 갑판 상에 형성되고, 무어링 라인의 일단을 고정하는 무어링 장비(mooring equipment)를 포함하되, 무어링 라인은 무어링 베이 및 선체를 관통하여 무어링 장비에 도달할 수 있다.
상기 해양부유구조물은, 상기 선체에 설치되고, 상기 선체의 외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무어링 라인의 경로를 변경하여 상기 무어링 라인을 상기 무어링 장비에 연결시키는 경로변경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로변경 장치는, 상기 무어링 라인의 경로를 상기 선체의 내부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1 변경부와, 상기 제1 변경부를 통과한 무어링 라인의 경로를 상기 무어링 장비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2 변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변경부는 상기 무어링 베이의 내측 표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무어링 라인을 선체의 상부로 안내하는 제1 시브(sheave)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변경부는 상기 선체의 갑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시브에 의해 안내된 상기 무어링 라인을 상기 무어링 장비로 안내하는 제2 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브는 상기 무어링 라인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1 시브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브 또는 상기 제2 시브는 유압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유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B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C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유구조물에 사용되는 경로변경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유구조물에 사용되는 시브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유구조물에 사용되는 시브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표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유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B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C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유구조물(100)은 무어링 베이(400), 제1 시브(410), 무어링 장비(420) 및 제2 시브(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해양부유구조물(100)은, 해수면 위에 떠 있는 상태로 계류될 수 있는 구조물로서, 부유식 LNG 설비(Floating LNG, FLN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유구조물(100)은, 예를 들어, SEMI(Semi-submersible), TLP(Tensioned Leg Platform), SPAR,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FSRU 또는 시추용 리그(Rig) 등일 수 있다.
선박(200)은 LNG 선(LNG Cargo, LNGC) 일 수 있다. LNG 선은 액화 천연가스를 운반 하는 배로서, 천연으로 생산되는 비석유계 천연가스를 액화한 것을 운반할 수 있다. 해양부유구조물(100)에 저장된 LNG를 선박(200)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선박(200)은 해양부유구조물(1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어링 베이(400)는 선체(300)의 측벽에 형성되고, 선체(300)의 외부로부터 제공된 무어링 라인(440)을 수용할 수 있다. 무어링 베이(400)는 내측 표면(400a, 400b, 400c)를 가질 수 있다. 무어링 라인(440)은 선박(200)과 해양부유구조물(10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무어링 라인(440)의 일단은 후술할 무어링 장비(420)에 고정되고 무어링 라인(440)의 타단은 선박(200)에 설치된 무어링 후크(mooring hook)(450)에 고정되어, 선박(200)과 해양부유구조물(10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시브(410)는 무어링 라인(440)을 선체(300)의 상부로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유구조물(100)에 사용되는 제1 시브(410)는 무어링 베이(400)의 내측 표면(400a, 400b, 400c) 중 상부 표면(400a) 상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유구조물(100)이 사용하는 제1 시브(410)는 무어링 베이(400)의 내측 표면(400a, 400b, 400c) 중 상부 표면(400c)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어링 장비(420)는 선체(300)의 갑판(310) 상에 형성될 수 있고, 무어링 라인(440)의 일단을 고정할 수 있다. 무어링 장비(420)는 무어링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시브(430)는 제1 시브(410)에 의해 안내된 무어링 라인(440)을 무어링 장비(420)로 안내할 수 있다. 제1 시브(410)에 의해 안내된 무어링 라인(440)은 선체(300)를 관통하여 제2 시브(430)에 도달한 후, 무어링 장비(42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브(410)에 의해 안내된 무어링 라인(440)은 선체(300)를 수직으로 관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유구조물(100)에 사용되는 제2 시브(430)는 선체(300)의 갑판(3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양부유구조물(100)과 선박(200)의 계류에 필요한 무어링 장비(420)를 선체(300)의 갑판(310) 상에 배치함으로써, 무어링 장비(420)를 작동시키거나 유지보수를 하기 위한 공간이 선체(300)의 갑판(310) 상에 확보되어, 해양부유구조물(100)과 선박(200)을 계류하기 위한 무어링 베이(400)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유구조물에 사용되는 경로변경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해양부유구조물(100)은 선체(300)에 설치되고, 선체(300)의 외부로부터 제공된 무어링 라인(440)의 경로를 변경하여 무어링 라인(400)을 무어링 장비(410)에 연결시키는 경로변경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로변경 장치는, 무어링 라인(440)의 경로를 선체(300)의 내부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1 변경부(415)와, 제1 변경부(415)를 통과한 무어링 라인(440)의 경로를 무어링 장비(410)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2 변경부(43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유구조물(100)에 사용되는 제1 변경부(415)는 무어링 베이(400)의 내측 표면 상에 형성되고, 무어링 라인(440)을 선체의 상부로 안내하는 제1 시브(410)를 포함하고, 제2 변경부(435)는 선체(300)의 갑판(310) 상에 형성되고, 제1 시브(410)에 의해 안내된 무어링 라인(440)을 무어링 장비(412)로 안내하는 제2 시브(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유구조물에 사용되는 시브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시브(500)는 무어링 라인(440)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52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 무어링 라인(440)은 계류 로프(510)일 수 있다. 선박(200)에 고정된 계류 로프(510)는 제1 시브(410) 및 제2 시브(430)를 거쳐 선체(300)의 갑판(310) 상에 배치된 무어링 장비(420)에 고정되며, 계류 로프(510)는 제1 시브(410) 및 제2 시브(430)에 구비된 각각의 안내홈에 결속되어 안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제1 시브(410) 또는 제2 시브(430)는 유압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선체(300)의 운동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충격에 대한 완충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도 5에 도시된 시브의 동작예를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유구조물에 사용되는 시브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6을 참조하면, 도 5에서 a-a' 선에 위치하던 시브(500)는 시브(500)의 중심 축(530)(즉, a-a' 선, b-b' 선 및 c-c'선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540)으로 회전하여 b-b' 선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은, 선체(300)가 선박(200)에 대해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운동하게 되는 경우에, 선박(200)에 고정된 계류 로프(510)가 시브(50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도 6에서 b-b' 선에 위치하던 시브(500)는 시브(500)의 중심 축(530)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550)으로 회전하여 c-c' 선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유구조물에서는, 특히, 제1 시브(410)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선체(300)의 움직임에 따라 선박(200)과 연결된 무어링 라인(440), 즉, 계류 로프(510)가 제1 시브(41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에는 해양부유구조물(100)과 선박(200)을 계류하기 위한 무어링 베이(400) 내부에 계류 후크를 비롯한 계류 장비를 배치하고, 이러한 계류 장비를 작동시키거나 유지보수를 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했다. 그러나, 무어링 베이(400)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LNG를 안전하게 저장하기 위한 해양부유구조물(100)의 선체의 폭이 더 커질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해양부유구조물(100)과 선박(200)의 계류에 필요한 장비를 선체(300)의 갑판(310) 상에 배치함으로써, 해양부유구조물과 선박을 계류하기 위한 무어링 베이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체(300)의 폭도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해양부유구조물 200: 선박
300: 선체 310: 갑판
400: 무어링 베이 400a, 400b, 400c: 내측 표면
410: 제1 시브 415: 제1 변경부
420: 무어링 장비 430: 제2 시브
435: 제2 변경부 440: 무어링 라인
450: 무어링 후크 500: 시브
510: 계류 로프 520; 안내홈
530: 중심 축

Claims (10)

  1. 몸체;
    상기 몸체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외부로부터 제공된 무어링 라인(mooring line)을 수용하는 무어링 베이(mooring bay);
    상기 무어링 베이의 내측 상부 표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무어링 라인을 상기 몸체의 상부로 안내하는 제1 시브(sheave);
    상기 몸체의 갑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무어링 라인의 일단을 고정하는 무어링 장비(mooring equipment); 및
    상기 몸체의 갑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시브에 의해 안내된 상기 무어링 라인을 상기 무어링 장비로 안내하는 제2 시브를 포함하는 해양부유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브는 상기 무어링 라인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1 시브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 가능한 해양부유구조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어링 라인의 타단은 상기 무어링 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선박에 고정되는 해양부유구조물.
  5. 몸체;
    상기 몸체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외부로부터 제공된 무어링 라인(mooring line)을 수용하는 무어링 베이(mooring bay); 및
    상기 몸체의 갑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무어링 라인의 일단을 고정하는 무어링 장비(mooring equipment)를 포함하되,
    상기 무어링 라인은 상기 무어링 베이의 내측 상부 표면에 형성된 제1 시브를 통하여 상기 몸체를 관통하면서 상기 무어링 장비에 도달하는 해양부유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외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무어링 라인의 경로를 변경하여 상기 무어링 라인을 상기 무어링 장비에 연결시키는 경로변경 장치를 더 포함하는 해양부유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변경 장치는,
    상기 무어링 라인의 경로를 상기 몸체의 내부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1 변경부와,
    상기 제1 변경부를 통과한 무어링 라인의 경로를 상기 무어링 장비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2 변경부를 포함하는 해양부유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경부는 상기 무어링 베이의 내측 표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무어링 라인을 상기 몸체의 상부로 안내하는 상기 제1 시브(sheave)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변경부는 상기 몸체의 갑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시브에 의해 안내된 상기 무어링 라인을 상기 무어링 장비로 안내하는 제2 시브를 포함하는 해양부유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브는 상기 무어링 라인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1 시브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 가능한 해양부유구조물.
  10. 삭제
KR1020130118400A 2013-10-04 2013-10-04 해양부유구조물 KR101540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400A KR101540336B1 (ko) 2013-10-04 2013-10-04 해양부유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400A KR101540336B1 (ko) 2013-10-04 2013-10-04 해양부유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960A KR20150039960A (ko) 2015-04-14
KR101540336B1 true KR101540336B1 (ko) 2015-07-30

Family

ID=53031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8400A KR101540336B1 (ko) 2013-10-04 2013-10-04 해양부유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3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6688A (ja) * 1995-09-11 1997-05-27 Mitsubishi Heavy Ind Ltd 可変長ムアリングウインチ装置およびムアリングライン延長方法
US20050072347A1 (en) * 2003-10-03 2005-04-07 Niebur Alvin J. Fairlead with integrated chain stopper
WO2008067406A2 (en) * 2006-11-28 2008-06-05 Transocean Sedco Forex Ventures Limited Through-hull mooring system
KR20100041299A (ko) * 2008-10-14 2010-04-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드릴링 플랫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6688A (ja) * 1995-09-11 1997-05-27 Mitsubishi Heavy Ind Ltd 可変長ムアリングウインチ装置およびムアリングライン延長方法
US20050072347A1 (en) * 2003-10-03 2005-04-07 Niebur Alvin J. Fairlead with integrated chain stopper
WO2008067406A2 (en) * 2006-11-28 2008-06-05 Transocean Sedco Forex Ventures Limited Through-hull mooring system
KR20100041299A (ko) * 2008-10-14 2010-04-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드릴링 플랫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960A (ko) 201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92131A1 (en) Damping apparatus for moonpool
KR101731876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과 수송선의 병렬 계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류 방법
KR102400054B1 (ko)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
KR101300707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상부구조의 지지구조
KR101616437B1 (ko) 해양 설비와 셔틀 간의 접안 장치
KR101540336B1 (ko) 해양부유구조물
KR101938918B1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측방 계류 시스템을 위한 선체구조
KR20100133700A (ko) 개선된 상부갑판 구조를 갖는 선박형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160001236U (ko) 걸이 형 모노레일 직렬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
KR101699323B1 (ko) 해양 구조물의 파이프 랙 구조물 변형 방지장치
KR101625510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101616362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US20110192336A1 (en) Floating unit
KR20170050382A (ko) 해양 유체 오프로딩 장치
KR20120058262A (ko) 병렬 계류장치
KR20120003757U (ko) 터릿 문풀로부터 탈출 경로를 가지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EP3181440B1 (en) Retractable chain connector
KR20150061912A (ko) 수직 운용이 가능한 해양 lng 오프로딩 아암 시스템
KR20240055483A (ko) 스프레드 무어링 시스템이 적용된 부유식 해양구조물
KR20210034199A (ko) 일점계류 셔틀탱커
KR20150022427A (ko) 해양부유구조물
KR20180000309U (ko) Fpso 또는 flng의 선체구조
KR200484765Y1 (ko)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20170000688U (ko)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
KR20120008844A (ko) 에프피에스오(fpso)용 선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