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204B1 - Disaster And Battlefield IoT Devic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of Disaster And Battlefield IoT Device - Google Patents

Disaster And Battlefield IoT Devic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of Disaster And Battlefield Io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204B1
KR101539204B1 KR1020150040039A KR20150040039A KR101539204B1 KR 101539204 B1 KR101539204 B1 KR 101539204B1 KR 1020150040039 A KR1020150040039 A KR 1020150040039A KR 20150040039 A KR20150040039 A KR 20150040039A KR 101539204 B1 KR101539204 B1 KR 101539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cloud
battlefield
network
compon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0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병완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40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20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2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disaster and battlefield IOT device and a method and a system for communicating between disaster and battlefield components using IOT. The disaster and battlefield IOT device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outer function which forms a network for two-way IOT communication between a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and disaster and battlefield components in an environment without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nd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two-way IOT communication between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and the disaster and battlefield components; a storage unit for building and storing data through information sharing between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and the disaster and battlefield components; and an execution unit for carrying out oper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command and control of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Description

재난 및 전장 환경 사물인터넷 장치 및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 사물인터넷 통신 방법 및 시스템{Disaster And Battlefield IoT Devic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of Disaster And Battlefield IoT Device}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net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aster, battlefield environment, Internet device, disaster and battlefield environment,

본 발명은 도로 및 통신망이 붕괴되고, 전기가 두절된 극한 환경에서 재난현장의 피해자와 구호요원, 구호본부, 구호장비, 전장 환경의 전투원과 지휘관, 지휘본부, 정찰장비 및 타격무기와 같은 공간 구성 요소간에 위급상황과 인지, 정보공유와 지시 상황대응 타격 방어 최적화를 위해 재난, 전장 관련시설 및 장비, 관련사항, 지휘조직간 Ad-hoc기반 스스로 인터넷 무선통신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소통(Communication) 하는 재난 전장 환경의 사물인터넷 구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asters such as victims and relief workers at disaster sites, relief headquarters, relief equipment, combatants and commanders in battlefield, command center, reconnaissance equipment, To establish emergency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ad-hoc based disaster, battlefield related facilities and equipment, related matters, and command organizations for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Internet objects in a disaster environment.

전세계적으로 모든 생활, 산업 제품에 있어서, 사물인터넷 제품이 활발히 소개되고 있다. 따라서, 재난 환경의 모든 정찰, 정보체계, 무기체계, 병사, 지휘관들을 사물(things)로 보고, 인터넷으로 네트워킹하여, 목적과 서비스를 극대화 하기 위한 사물인터넷기반 방재, 국방 전장 환경에 대한 방안을 필요로 한다.Internet products of things are being actively introduced in all living and industrial products all over the worl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lan for the internet-based disaster prevention and defense field environment to maximize the purpose and service by seeing all reconnaissance, information system, weapons system, soldiers and commanders in the disaster environment as things and networking them with the internet .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 무선통신 네트워크가 전혀 없는 산악지대, 또는 통신망이 붕괴된 재난 및 전장 환경에서, 인간가치 문명의 극대화를 위해 현장 공간속의 상황인지 센서, 시설, 장비, 사람, 지휘본부간의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Communication)을 위한 컴퓨터 네트워크와 같은(Internet Protocol: IPv4~6), 애드혹(Ad-hoc) 기반 네트워크를 스스로 구성 할 수 있는 라우터(Router) 기능과 위치기반의 GPS를 내장하고, 기존 및 상용 장비와 연동 가능하여야 하며 다른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서버 지휘본부와의 양방향 인터넷 기반 소통으로, 빅데이터가 구축되어 상부지휘전술정보체계 연동 속에 (NDMS, C4I) 지능적 현장 지휘, 작전수행, Sensor-to-shooter 알고리즘 인터페이스가 수행되며, Web 2.0 & App GIS 기반의 DABID를 통해 재난 및 전장 환경의 시설 사물 및 무기, 타격체제와 사물 인터넷 음성인식 기반으로 소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te-of-the-art sensor, facility, equip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maximizing human value civilization in a mountainous area where there is no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ternet Protocol: IPv4 ~ 6), ad-hoc based network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headquarters and a location-based GPS (NDMS, C4I) intelligent on-site command and oper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top command and tactical information system (Big Data) by establishing two-way internet-based communication with other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 Sensor-to-shooter algorithm interface is implemented, and through DABID based on Web 2.0 & App GIS, facilities of disaster and battlefield environment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weapons, hitting speech recognition system and the Internet of Things base.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재난 및 전장 환경 사물인터넷 장치는 유,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없는 환경에서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 및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의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라우터 기능을 탑재하는 IoT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 및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의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 및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의 정보 공유를 통해 데이터를 구축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에 따른 지휘 및 통제에 따라 작전을 수행하는 수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ternet device for disaster and warfare environment object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and a network for two-way object 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and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through an IoT device equipped with a router function constituting the cloud 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and the cloud 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A storage unit for constructing and storing data through information sharing between disaster and battlefield components, and an execution unit for performing operations according to command and control according to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재난 및 전장 환경 사물인터넷 장치는 상기 라우터 기능을 통해 IP 또는 애드혹 기반 네트워크를 스스로 구성하고, 위치기반의 GPS를 내장할 수 있다. Disaster and Warfare Environment The Internet device can configure the IP or ad hoc based network by itself and embed the location based GPS through the router function.

상기 통신부는 Web 2.0 및 App GIS 기반의 DABID 를 통해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 및 무기, 타격체제와 사물인터넷 음성기반으로 통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can communicate based on DABID based on Web 2.0 and App GIS based on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weapons, striking system and object Internet voice.

상기 수행부는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의 지휘전술정보체계와 연동하여 지능적 현장 지휘, 작전 수행 센서-투-슈터 알고리즘 인터페이스를 수행할 수 있다. The execution unit may perform an intelligent field command and an operational sensor-to-shooter algorithm interface in cooperation with the command tactical information system of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사물인터넷 장치는 상기 전장 환경의 구성 요소들간의 상호 연동이 가능하고, 헬멧, 또는 시계 형태로 착용 가능하다. The disaster and warfare environment objects Internet devices can interoperate among the components of the electric environment, and can be worn in the form of a helmet or a clock.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사물인터넷 장치는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의 노트북, PDA, 컴퓨터 메인 센서에 GIS 기반 IoT 정보를 저장, 분석, 대응, 제어 관리하고 상하 수평, 수직 정보 공유 및 소통 실시간 신속 최적화를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가상서버를 가상 지휘 본부 HQ로 설정하여 전장상황의 사물 간 네트워킹을 통해 서로 다른 HW, SW를 상호 운용할 수 있다. The disaster and battlefield environment internet device stores, analyzes, responds, controls and manages GIS-based IoT information to the laptop, PDA, and computer main sensor of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For optimization, virtual server based on cloud computing is set as virtual command center HQ, so that different HW and SW can interoperate by networking between the battlefield situations.

또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 사물인터넷 통신 시스템은 유,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없는 환경에서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의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생성부, 상기 구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과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을 지휘 및 통제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 상기 구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메인 서버 지휘본부와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구축하고, 상기 메인 서버 지휘본부로부터 지휘 및 통제 받는 복수의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object Internet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network for two-way 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in an environment where there is no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main server command center for performing bidirectional object Internet communication with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via the network and commanding and controlling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through the configured network,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constructed and managed by the main server command center through bi-directional object internet communication with the main server command center through the main server command center.

상기 네트워크 생성부는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의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위해 센서, 시설, 장비, 사람을 포함하는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과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 간 IP 또는 애드혹 기반 네트워크를 스스로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The network generator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n IP or ad-hoc basis between the disaster and battlefield components, including sensors, facilities, equipment and people, and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for two-way 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network by itself.

상기 복수의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은 IP 또는 애드혹 기반 네트워크를 스스로 구성하기 위한 라우터 기능 및 위치기반의 GPS를 내장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may include a router function and a location-based GPS for self-configuring an IP or ad-hoc based network.

상기 전장 환경의 구성 요소들간의 상호 연동이 가능하고 헬멧, 또는 시계 형태로 착용 가능하다. The components of the electric field environment can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can be worn in the form of a helmet or a clock.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는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을 지휘 및 통제 하기 위해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의 지휘전술정보체계와 연동하여 지능적 현장 지휘, 작전 수행 센서-투-슈터 알고리즘 인터페이스를 수행할 수 있다.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is coupled with the command-and-control tactical information system of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to command and control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Interface.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은 Web 2.0 및 App GIS 기반의 DABID 를 통해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 및 무기, 타격체제와 사물인터넷 음성기반으로 통신할 수 있다.These disaster and battlefield components can communicate via disaster and battlefield components and weapons, strikes and object Internet voice based on Web 2.0 and App GIS based DABIDs.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는 IP기반의 개인병사용, 상급지휘관용 IoT 국방 디바이스의 음성, 문자, 영상 정보를 셔틀러/라이팩스 보안기술에 따라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을 지휘 및 통제할 수 있다.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is responsible for commanding and controlling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according to the IP-based personal bottle usage, voice, text and image information of the IoT defense device for senior commanders according to Shuttle / can do.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는 노트북, PDA, 컴퓨터 메인 센서에 GIS 기반 IoT 정보를 저장, 분석, 대응, 제어 관리하고 상하 수평, 수직 정보 공유 및 소통 실시간 신속 최적화를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가상서버를 가상 지휘 본부 HQ로 설정하여 전장상황의 사물 간 네트워킹을 통해 서로 다른 HW, SW를 상호 운용할 수 있다.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stores, analyzes, responds, controls and manages GIS-based IoT information in notebooks, PDAs, and computer main sensors, and manages virtual servers based on cloud computing Is set as the virtual command center HQ, so that different HWs and SWs can be interoperated through the networking of objects in the battlefield situation.

또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 사물인터넷 통신 방법은 유,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없는 환경에서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의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구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와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의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구축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로부터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이 지휘 및 통제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establishing a network for two-way 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in an environment where there is no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uilding data through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and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via the two-way internet communication through the configured network, and based on the constructed data, The disaster and battlefield environmental components may be commanded and controlled from the command center.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의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는 센서, 시설, 장비, 사람을 포함하는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과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 간 IP 또는 애드혹 기반 네트워크를 스스로 구성할 수 있다. The network for bi-directional object 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includes an IP or ad-hoc based network between the disaster and battlefield components, including sensors, facilities, equipment, people, and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It can be configured by itself.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은 IP 또는 애드혹 기반 네트워크를 스스로 구성하기 위한 라우터 기능 및 위치기반의 GPS를 내장할 수 있다. The disaster and battlefield components may include a router function and a location based GPS for self-configuring an IP or ad hoc based network.

상기 구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와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의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전장 환경의 구성 요소들간의 연동이 가능하며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와 양방향 인터넷 기반 통신이 가능하다. The step of constructing data through a two-way 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and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via the configured network can be interlocked with the components of the battlefield environment, Two-way internet-based communication with the main server command center is possible.

상기 구축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로부터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이 지휘 및 통제 받는 단계는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의 지휘전술정보체계와 연동하여 지능적 현장 지휘, 작전 수행 센서-투-슈터 알고리즘 인터페이스를 수행할 수 있다. Wherein the step of receiving and controlling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from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based on the constructed data comprises the steps of intelligent on- Operational performance Sensor-to-shooter algorithm interface can be performed.

상기 구축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로부터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이 지휘 및 통제 받는 단계는 Web 2.0 및 App GIS 기반의 DABID 를 통해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 및 무기, 타격체제와 사물인터넷 음성기반으로 통신할 수 있다.Based on the constructed data, the step of receiving and controlling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from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headquarters can be performed through DABID based on Web 2.0 and App GIS through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based on the striking system and the Internet voice basi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IP기반의 개인병사용, 상급지휘관용 IoT 국방 디바이스의 음성, 문자, 영상 정보를 셔틀러/라이팩스 완벽보안 기술 속에 지휘본부의 노트북, PDA, 컴퓨터 메인센서에 GIS기반 IoT정보를 저장, 분석, 대응 (국방 사물 간 통신(Communication) 제어, 관리하고 상하 수평, 수직 정보, 공유, 소통 실시간 신속 최적화를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가상서버를 가상 지휘 본부 HQ로 설정하여 전장상황의 사물 간 네트워킹을 통해 서로 다른 HW, SW의 상호 운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P-based personal bottles, voice, text, and image information of IoT defense devices for senior commanders are transferred to GIS Based virtual server is set as a virtual command center HQ for storage, analysis, and correspondence (communication control and management of base IoT information) and quick optimization of vertical, horizontal, vertical information, The interworking of the situation can maximize the interoperability of different HW and S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및 전장 환경의 구성 요소들간 사물인터넷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및 전장 환경의 구성 요소간 사물인터넷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술 정보 통신 체계(TICN)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술 정보 통신 체계(TICN)를 구성하는 5개의 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및 전장 환경 사물인터넷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및 전장 환경의 구성 요소들 중 IoT-Band 카메라 모듈 기반 Web 2.0 전장 가시화 구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n object Internet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elements of a disaster and warfare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terne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components of a disaster and battlefield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tact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TIC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five systems constituting a tact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TIC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aster and battlefield environment Intern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of a Web 2.0 field visualization based on an IoT-Band camera module among components of a disaster and warfare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및 전장 환경의 구성 요소들간 사물인터넷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n object Internet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elements of a disaster and warfare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서, 재난 및 전장 환경의 구성 요소들은 복수의 재난 및 전장 환경 장치들을 나타낸다. Here, components of the disaster and battlefield environment represent a plurality of disaster and battlefield devices.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재난 및 전장 환경에서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ngs)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재난 및 전장 환경의 구성 요소들은 사물인터넷 통신 방법에 따라, D-플랫폼, P-플랫폼 및 M-플랫폼을 이용하여 IoT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Internet of Thongs (IoT) software platform in a disaster and warfare environment will be described. For example, components of a disaster and battlefield environment can operate in an IoT environment using the D-platform, the P-platform, and the M-platform, depending on how things are communicated over the Internet.

사물 인터넷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예컨대 D-플랫폼, P-플랫폼 및 M-플랫폼을 포함한다.Object Internet software platforms include, for example, D-Platform, P-Platform and M-Platform.

여기서, D-플랫폼은 IoT 장치 측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나타내고, P-플랫폼 및 M-플랫폼은 서버 컴퓨터 측에 각각 또는 함께 설치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나타낸다.Here, the D-platform represents a software platform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IoT device, and the P-platform and the M-platform represent a software platform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erver computer, respectively.

D-플랫폼은 Device 플랫폼의 약자로, IoT 장치에 직접 설치되거나 IoT 장치에 장착되는 IoT 어댑터(adapter)에 설치되어, P-플랫폼 및 M-플랫폼과 연동하고, IoT 애플리케이션 및 IoT 웹사이트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한다.The D-Platform is an abbreviation of the Device platform. It is installed in the IoT adapter installed directly in the IoT device or installed in the IoT device. It works with the P-platform and M-platform, Interlock with the device.

여기서, IoT 장치는 IoT가 적용된 재난 및 전장 환경에서의 사물들(예를 들어, 재난환경의 모든 시설, 장비, 시민, 전장환경의 모든 정찰, 정보체계, 무기체계, 병사, 지휘관 등)을 나타낸다.Here, IoT devices represent objects in disaster and battlefield environments where IoT is applied (for example, all reconnaissance, information systems, weapons systems, soldiers, commanders, etc. in all facilities, equipment, .

IoT 어댑터는 IoT 장치에 장착되어 사물이 IoT 통신을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 IoT 어댑터는 근거리 무선통신, 와이파이(Wi-fi), 이더넷(Ethernet), 3G, LTE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있고, IoT 어댑터에 설치된 D-플랫폼은 IoT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The IoT adapter is mounted on an IoT device, allowing things to use IoT communication. The IoT adapter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ng via at least on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fi, Ethernet, 3G and LTE, and the D-platform installed in the IoT adapter can perform IoT communication To provide a variety of functions.

P-플랫폼은 Planet 플랫폼의 약자로, IoT 장치 관리, 이용자 관리, IoT 장치 모니터링, IoT 장치 검색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P-플랫폼은 IoT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IoT 장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IoT 장치를 등록한다. 이때, IoT 장치에 대한 정보는 예컨대 장치 ID, 장치명, 모델명, 제조사, 위치정보, 장치상태정보 등을 포함하고, IoT 장치에 대한 연결시 필요한 주소(예를 들어, IP 주소, MSISDN 등)가 포함된다.The P-platform is an abbreviation for Planet platform, and performs functions such as IoT device management, user management, IoT device monitoring, and IoT device search. Specifically, the P-platform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IoT device from the IoT service provider and registers the IoT device. The information on the IoT device includes, for example, a device ID, a device name, a model name, a maker, a location information, a device status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includes an address (for example, IP address, MSISDN, etc.) do.

그리고, P-플랫폼은 IoT 서비스를 위한 IoT 애플리케이션을 등록 및 다운로드 하기 위해 접근하는 이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이용자 인증을 위해 P-플랫폼은 이용자의 ID/PW, 전화번호 등의 개인 정보를 보유할 수도 있다.The P-platform then performs authentication for the user accessing to register and download the IoT application for the IoT service. To authenticate the user, the P-platform may hav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ID / PW, telephone number, etc.

또한, P-플랫폼은 IoT 관련 매쉬업(Mash-up) 서비스를 개발하여 등록하는 개발자나 매쉬업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비스 이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서비스/개발자 인증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P-platform performs service / developer authentication for authenticating a developer who develops and registers a mash-up service related to IoT, or a service user who uses a mashup service.

뿐만 아니라, P-플랫폼은 IoT 장치로 사용되는 스마트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IoT 서비스 이용자의 IoT 서비스 접속을 인증한다.In addition, the P-platform authenticates the IoT service user's access to the IoT service using an application of a smart device (e.g., smart phone, tablet, etc.) used as an IoT device.

M-플랫폼은 Mash-up 플랫폼의 약자로, D-플랫폼과 통신하여 IoT 애플리케이션이나 IoT 웹페이지를 통한 서비스 이용자의 제어 명령을 IoT 장치에 전달한다.The M-platform is an abbreviation of Mash-up platform. It communicates with the D-platform and transfers the control command of the service user through the IoT application or the IoT web page to the IoT device.

또한, M-플랫폼은 매쉬업 서비스 개발자에 의해 개발된 IoT 매쉬업 서비스를 등록받는다. 즉, 매쉬업 서비스 개발자는 IoT 매쉬업 서비스를 개발하여 M-플랫폼에 등록하게 된다. 이때, 매쉬업 서비스 개발자는 오픈 API 서버로부터 제공된 IoT 오픈 API를 이용하여 IoT 매쉬업 서비스를 개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platform is registered with the IoT mashup service developed by the mashup service developer. That is, the mashup service developer develops the IoT mashup service and registers it on the M-platform. At this time, the mashup service developer can develop the IoT mashup service using the IoT open API provided from the open API server.

IoT 장치들은 M-플랫폼에 자신들이 생성한 데이터들을 주기적으로 전송하며, 이에 M-플랫폼은 IoT 장치에서 생성된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로그로 저장함으로서 다양한 IoT 매쉬업 서비스를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는데 이용한다.The IoT devices periodically transmit data generated by the M-platform to the M-platform, and the M-platform collects data generated from the IoT device and stores the data in a log, thereby using the various IoT mashup services to provide service users.

또한, M-플랫폼은 IoT 매쉬업 서비스 이용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며, IoT 장치들에 대한 간략한 정보(예를 들어, ID, IP 주소 등)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M-platform performs billing based on the use of the IoT mashup service, and may store brief information (e.g., ID, IP address, etc.) about IoT devices.

오픈 API 서버는 IoT 서비스에 관련된 오픈 API를 관리 및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IoT 장치의 개발사는 IoT 장치를 제조할 때 해당 IoT 장치에 대한 오픈 API를 함께 개발하여, 관련 오픈 API를 오픈 API 서버에 등록하여 저장하게 된다. 그러면, 오픈 API 서버는 이와 같이 다양한 개발사들에 의해 개발된 IoT 장치 각각에 대한 다양한 오픈 API를 등록 및 저장하여 관리하게 된다.The open API server manages and provides the open API related to the IoT service. Specifically, the developer of the IoT device develops an open API for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when manufacturing the IoT device, registers the related open API in the open API server, and stores the open API. Then, the open API server registers and stores various open APIs for each IoT device developed by various developers.

그리고, 오픈 API 서버는 저장된 오픈 API를 IoT 서비스 관련 웹사이트, 매쉬업 서비스 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를 개발하고자하는 개발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개발자들은 IoT 서비스 관련 웹사이트, 매쉬업 서비스 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오픈 API 서버로부터 관련 오픈 API를 제공받아, 제공된 오픈 API를 이용한 IoT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게 된다.The open API server provides the stored open API to developers who want to develop IoT service related websites, mashup service sites and applications. Therefore, when developers develop web sites related to IoT service, mashup service sites and applications, they will be able to develop IoT services using the open APIs provided by receiving open APIs from the open API server.

예를 들어, IoT 장치 제조사가 IoT 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예를 들어, 고장 여부)를 제공하는 오픈 API를 오픈 API 서버에 등록한 경우, 개발자는 해당 상태 정보 제공 오픈 API를 오픈 API 서버에서 검색 및 이용하여 IoT 장치의 상태를 조회하는 기능을 IoT 서비스 관련 웹사이트, 매쉬업 서비스 사이트 및 IoT 애플리케이션에 구현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f an IoT device manufacturer registers an open API with an open API server that provides status information (for example, failure) for the IoT device, the developer can retrieve the open status API from the open API server A function of inquiring the status of the IoT device can be implemented in the IoT service related web site, the mashup service site, and the IoT application.

한편, IoT 서비스 이용자는 모바일 기기의 일종인 스마트 기기에 다운로드된 IoT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직접 IoT 장치에 접근하여 IoT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IoT 장치는 스마트 기기와 M-플랫폼의 중계를 통해 연결되거나 P2P(Peer to Peer) 통신을 통해 직접 연결되어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IoT 장치의 D-플랫폼은 스마트 기기의 IoT 애플리케이션과 M-플랫폼의 중계를 통해 간접 통신하거나 P2P 통신을 이용하여 직접 통신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IoT service user can directly access the IoT device and use the IoT service by using the IoT application downloaded to the smart device, which is a kind of mobile device. At this time, the IoT device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intermediation of the smart device and the M-platform or directly through the peer-to-peer (P2P) communication to provide the IoT service. In this case, the D-platform of the IoT device communicates indirectly with the IoT application of the smart device through the relay of the M-platform or directly by using the P2P communication.

이와 같은 구성의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D-플랫폼, P-플랫폼, M-플랫폼, 및 S-플랫폼이 서로 연동되어 다양한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IoT software platform with such a configuration can provide various IoT services by interworking with D-platform, P-platform, M-platform, and S-platform.

본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통신 시스템의(100)은 프로세서(110), 버스(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0), 메모리(14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운영체제(141) 및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요소들간 사물 인터넷 통신 루틴(14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네트워크 생성부(111), 메인 서버 지휘본부(112), 복수의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요소들(11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물인터넷 통신 시스템의(100)은 도 1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사물인터넷 통신 시스템의(100)은 디스플레이나 트랜시버(transceiver)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object Internet commun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processor 110, a bus 120, a network interface 130, a memory 140, and a database 150. Memory 140 may include operating system 141 and object to object communication routines 142 between disaster and battlefield components. The processor 110 may include a network generator 111, a main server command center 112, and a plurality of disaster and battlefield components 113. In other embodiments, the object-oriented Internet communication system 100 may include more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of FIG. However, there is no need to clearly illustrate most prior art components. For example, the object Internet communication system 100 may include other components such as a display or a transceiver.

메모리(14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에는 운영체제(141)와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요소들간 사물 인터넷 통신 루틴(142)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 미도시)을 이용하여 메모리(14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메모리(140)에 로딩될 수도 있다. The memory 140 may b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may include a permanent mass storage device such as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disk drive. The memory 140 may also store operating system 141 and program code for object to object communication routines 142 between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These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from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eparate from the memory 140 using a drive mechanism (not shown). Such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not shown) such as a floppy drive, a disk, a tape, a DVD / CD-ROM drive, or a memory card. In other embodiments, the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into the memory 140 via the network interface 130 rather than from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버스(120)는 사물인터넷 통신 시스템의(100)의 구성요소들간의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버스(120)는 고속 시리얼 버스(high-speed serial bus), 병렬 버스(parallel bus), SAN(Storage Area Network) 및/또는 다른 적절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bus 120 may enable communication and data transfer between components of the object Internet communication system 100. The bus 120 may be configured using a high-speed serial bus, a parallel bus, a Storage Area Network (SAN), and / or other suitable communication technology.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0)는 사물인터넷 통신 시스템의(100)을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0)는 사물인터넷 통신 시스템의(100)은 무선 또는 유선 커넥션을 통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시킬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130 may be a computer hardware component for connecting the object Internet communication system 100 to a computer network. The network interface 130 may connect the object Internet communication system 100 to a computer network via a wireless or wired connection.

데이터베이스(150)는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요소들간 사물 인터넷 통신을 위해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사물인터넷 통신 시스템의(100)의 내부에 데이터베이스(150)를 구축하여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 구현 방식이나 환경 등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혹은 전체 또는 일부의 데이터베이스가 별개의 다른 시스템 상에 구축된 외부 데이터베이스로서 존재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The database 150 may be responsible for storing and maintaining all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bject's 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disaster and battlefield components. 1, a database 150 is built in the object Internet communication system 100. However, the database 150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system implementation method or environment, Is present as an external database built on a separate, separate system.

프로세서(11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사물인터넷 통신 시스템의(100)의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14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0)에 의해, 그리고 버스(120)를 통해 프로세서(110)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네트워크 생성부(111), 메인 서버 지휘본부(112), 복수의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요소들(113)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14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The processor 110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instructions of a computer program by performing input / output operations of a basic arithmetic, logic, and object Internet communication system 100. The instructions may be provided by the memory 140 or the network interface 130 and to the processor 110 via the bus 120. The processor 110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program code for the network generator 111, the main server command center 112, and a plurality of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113. Such program codes may be stored in a recording device such as the memory 140. [

네트워크 생성부(111), 메인 서버 지휘본부(112), 복수의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요소들(113)는 도 2의 단계들(210~230)을 수행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Network generator 111, main server command center 112 and a plurality of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113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steps 210 - 230 of FIG.

사물인터넷 통신 시스템의(100)은 네트워크 생성부(111), 메인 서버 지휘본부(112), 복수의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요소들(1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object Internet communication system 100 may include a network generator 111, a main server command center 112, and a plurality of disaster and battlefield components 113.

네트워크 생성부(111)는 유,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없는 환경에서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의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The network generating unit 111 may configure a network for two-way 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in an environment where there is no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상기 네트워크 생성부(111)는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의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위해 센서, 시설, 장비, 사람을 포함하는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과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 간 IP 또는 애드혹 기반 네트워크를 스스로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etwork generator 111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including sensors, facilities, equipment, and people, for the two-way 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n IP or ad hoc based network between headquarters themselves.

메인 서버 지휘본부(112)는 상기 구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과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을 지휘 및 통제하는 가상의 클라우드 기반 메인 서버이다. The main server command center 112 is a virtual cloud based main server that performs bi-directional Internet communication with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through the configured network and directs and controls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112)는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을 지휘 및 통제 하기 위해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의 지휘전술정보체계와 연동하여 지능적 현장 지휘, 작전 수행 센서-투-슈터 알고리즘 인터페이스를 수행할 수 있다.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112, in conjunction with the command-based tactical information system of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to command and control the disaster and battlefield components, Shooter algorithm interface can be performed.

그리고,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112)는 IP기반의 개인병사용, 상급지휘관용 IoT 국방 디바이스의 음성, 문자, 영상 정보를 셔틀러/라이팩스 보안기술에 따라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을 지휘 및 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headquarters 112 uses the IP-based personal bottlenecks, voice, text, and image information of the IoT defense device for senior commanders in accordance with the Shuttle / Can be commanded and controlled.

또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는 노트북, PDA, 컴퓨터 메인 센서에 GIS 기반 IoT 정보를 저장, 분석, 대응, 제어 관리하고 상하 수평, 수직 정보 공유 및 소통 실시간 신속 최적화를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가상서버를 가상 지휘 본부 HQ로 설정하여 전장상황의 사물 간 네트워킹을 통해 서로 다른 HW, SW를 상호 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stores, analyzes, responds, controls and manages GIS-based IoT information in notebooks, PDAs, and computer main sensors. By setting the virtual server as the virtual command center HQ, different HW and SW can be interoperated through the networking of the objects in the battlefield.

복수의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요소들(113)은 상기 구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메인 서버 지휘본부와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구축하고, 상기 메인 서버 지휘본부로부터 지휘 및 통제 받을 수 있다. 복수의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요소들(113)은 현장 공간 속의 상황인지 센서, 시설, 장비, 사람, 지휘본부와 같은 공간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와 유사한 다른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disaster and battlefield components 113 may establish and control data from the main server command center via bi-directional object internet communication with the main server command center through the configured network. A plurality of disaster and battlefield environmental components 113 may include spatial components such as situational awareness sensors, facilities, equipment, people, and command centers in the field space, and other similar disaster and battlefield components .

그리고, 복수의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요소들(113)은 IP 또는 애드혹 기반 네트워크를 스스로 구성하기 위한 라우터 기능 및 위치기반의 GPS를 내장한다. 이러한 복수의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요소들(113)은 전장 환경의 구성 요소들간의 상호 연동이 가능하고, 헬멧, 또는 시계 형태로 착용 가능하다.And, the plurality of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113 include a router function for locally configuring an IP or ad-hoc based network and a GPS based on location. These plurality of disaster and battlefield components 113 are interoperable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battlefield environment and are wearable in the form of a helmet or watch.

복수의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요소들(113)은 예를 들어, Web 2.0 및 App GIS 기반의 DABID 를 통해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 및 무기, 타격체제와 사물인터넷 음성기반으로 통신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disaster and battlefield components 113 may communicate via disaster and battlefield components and weapons, strikes and object internet voice based, for example, through Web 2.0 and App GIS based DABID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및 전장 환경의 구성 요소간 사물인터넷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terne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components of a disaster and battlefield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재난 및 전장 환경의 구성 요소간 사물인터넷 통신 방법은 유,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없는 환경에서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의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210), 상기 구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와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의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구축하는 단계(220), 상기 구축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로부터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이 지휘 및 통제 받는 단계(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재난 및 전장 환경의 구성 요소들은 복수의 재난 및 전장 환경 장치들을 나타낸다.Components of Disaster and Battlefield Environment The Internet communication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configuring (210) a network for interactive two-way 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disaster and battlefield components in an environment where there is no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stablishing (220) the data through a two-way 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and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receiving the disaster from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based on the constructed data And a step 230 in which battlefield components are commanded and controlled. Here, components of the disaster and battlefield environment represent a plurality of disaster and battlefield devices.

단계(210)에서, 유,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없는 환경에서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의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In step 210, a network may be configured for two-way all-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disaster and battlefield components in an environment where there is no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의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는 센서, 시설, 장비, 사람을 포함하는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과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 간 IP 또는 애드혹 기반 네트워크를 스스로 구성한다. 또한, 제안하는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은 IP 또는 애드혹 기반 네트워크를 스스로 구성하기 위한 라우터 기능 및 위치기반의 GPS를 내장한다. The network for bi-directional object 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includes an IP or ad-hoc based network between the disaster and battlefield components, including sensors, facilities, equipment, people, and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It constitutes itself. In addition, the proposed disaster and battlefield components include router functionality and location-based GPS to configure IP or ad-hoc based networks by themselves.

단계(220)에서, 상기 구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와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의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장 환경의 구성 요소들간의 연동이 가능하며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와 양방향 인터넷 기반 통신이 가능하다.In step 220, data may be constructed via the two-way Internet connection between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and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via the configured network.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interwork between the elements of the electric field environment and enable two-way internet-based communication with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단계(230)에서, 상기 구축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로부터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이 지휘 및 통제 받을 수 있다. In step 230,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may be commanded and controlled from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based on the constructed data.

이때,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의 지휘전술정보체계와 연동하여 지능적 현장 지휘, 작전 수행 센서-투-슈터 알고리즘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은 예를 들어, Web 2.0 및 App GIS 기반의 DABID 를 통해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 및 무기, 타격체제와 사물인터넷 음성기반으로 통신한다.
At this time, intelligent field command and operational sensor-to-shooter algorithm interface are performed in cooperation with the command tactical information system of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headquarters.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communicate via disaster and battlefield components and weapons, strikes and object Internet voice based, for example, through Web 2.0 and App GIS based DABI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술 정보 통신 체계(TICN)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tact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TIC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 정보 통신 체계(TICN: Tact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은 다원화된 군 통신망을 일원화하고 다양한 전장정보를 적시 적소에 실시간으로 전달해 정확한 지휘통제 및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미래형 군 전술 종합정보 통신체계이다. Tact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ICN) is a futuristic military tact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that unifies multiple military communication networks and enables precise command control and decision making by transmitting various battlefield information in real time in the right place.

최근 전쟁양상은 정보공유, 지휘속도 향상, 신속한 작전전개, 고도의 공격치명성, 생존능력 향상 등을 달성하기 위해 센서, 지휘통제, 타격수단의 네트워킹을 통한 정보우위의 달성으로 전투력 증대를 추구하는 네트워크 중심전(NCW) 형태를 띠고 있다. 따라서 모든 전장요소를 연결하여 전장상황을 공유함으로써 효과중심의 동시, 통합작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전투력 상승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네트워크 중심 작전 환경(Network Centric Operation Environment, NCOE)을 조성하기 위하여, 현재 육군은 미래 네트워크인 전술정보통신체계(Tact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이하 TICN)를 개발하고 있다. In recent times, the battle aspect has been to pursue increased combat power by achieving information superiority through networking of sensors, command control, and striking devices to achieve information sharing, speed of command, rapid operation deployment, high attack aggressiveness, Network centered (NCW). Therefore, in order to create a Network Centric Operation Environment (NCOE) that can create a synergy effect to ensure simultaneous and integrated operation by effect-sharing by linking all field elements and sharing the battlefield situation, The Army is developing the Tact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ICN), a future network.

TICN은 전술제대가 "먼저 보고-먼저 결심하고-먼저 타격"할 수 있도록 감시정찰체계, 지휘통제체계, 정밀타격체계 사이에 원활한 정보유통을 제공하는 ALL IP 기반의 대용량 무선 전술통신체계를 의미하며, 개발이 완료되면 현재 운용중인 육군전술통신체계(SPIDER)를 대체하게 된다. TICN means a large-capacity wireless tactical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ALL IP that provides seamless information distribution between th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system, the command control system, and the precision striking system so that the tactical army can "see it first" When the development is completed, it will replace the SPIDER currently in operation.

TICN은 대용량 무선전송체계(310), 망관리/교환체계(320), 위성(360)을 통한 전술이동통신체계(330), 소용량 무선전송체계(340), 전투무선체계(350) 등 5개의 체계와 각 체계의 운용을 보장하는 지원 부수장비, 종합군수지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고속도로에 비유할 수 있는 대용량 무선전송체계는 연대로부터 야전군 사이의 음성,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무선전송로를 구성하며, 현 전술통신체계의 대용량 전송체계에 비해 전송용량이 약 11배로 향상될 예정이다. 반면 지방도로에 비유할 수 있는 소용량 무선전송체계는 대대급 제대의 무선 전송로를 구성하며, 현 전술통신체계의 소용량 전송체계에 비해 전송용량이 약 4배로 향상될 예정이다.
The TICN includes five large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310, a network management / exchange system 320, a tactic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30 via a satellite 360, a small capacity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340, and a combat wireless system 350 The system consists of supporting auxiliary equipment to guarantee the operation of each system and comprehensive logistics support. First, the high-capacity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which can be compared to the highway, constitutes a wireless transmission line for supporting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from the regiment to the field, and the transmission capacity is improved to about 11 times as compared with the high capacity transmission system of the present tactical communication system Is expected. On the other hand, the small-capacity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which can be compared to the local road, constitutes a large-scale wireless transmission line, and the transmission capacity will be improved to about four times as compared with the small-capacity transmission system of the present tactical communication system.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술 정보 통신 체계(TICN)를 구성하는 5개의 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five systems constituting a tact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TIC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이동통신체계는 이동기지국과 상용 스마트폰 수준의 군용 핸드폰(Tactical Multi Function Terminal, TMFT)으로 구성되는데, 군용 핸드폰은 사용자 요구에 따라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작전에 사용할 수 있다. 군용 핸드폰은 운용범위를 지휘관 및 참모에서 전투근무지원부대 반장까지 확대하여 지휘통제능력을 강화 할 예정이다. 전투무선체계는 음성,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전술 다대역 다기능 무전기(Tactical Multiband Multirole Radio, TMMR)' 로서, 현재 운용하는 무전기에 비해 전송용량이 최대 200배 이상 향상될 예정이다. 현재 무전기(P-999K)는 난청지역 극복을 위해 별도의 중계장비를 이용하여 중계를 해야 했으나, TMMR은 무전기 자체에 중계기능을 갖고 있어 음성과 데이터를 자동으로 중계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소프트웨어 변경만으로 AM 무전기에서 FM 무전기로 기능을 변경하여 운용할 수 있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발하고 있다. 이 밖에도 망관리/교환체계는 통신망을 계획, 관리하는 망관리 체계와 데이터들이 최적의 경로를 통해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교환체계를 의미하며, 이와 같은 5개의 체계가 정상적으로 운용, 유지되기 위해 전원을 제공하는 발전기, 전지 등과 향후 안정적인 운용을 위한 통합정비체계도 개발되고 있다.
Tactic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nsists of mobile base station and commercial smart phone level (Tactical Multi Function Terminal, TMFT). Military mobile phones can be used for various operations by installing various software according to user's demand. Military mobile phones will be expanded from the commander and staff to the combat service support commander to strengthen their command and control capabilities. The battle radio system is a 'Tactical Multiband Multiride Radio (TMMR)' that supports voice and data communications, and will deliver up to 200 times more transmission capacity than current radios. Currently, the transceiver (P-999K) has to be relayed using a separate transponder to overcome the hearing loss, but TMMR has a relay function in the transceiver itself so that it can relay voice and data automatically. In addition, by changing the internal softwar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function from the AM radio to the FM radio, to operate it, and to improve the performance. In addition, the network management / exchange system refers to the network management system that plans and manages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exchange system that enables the data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optimal path. These five systems provide power for normal operation and maintenance And the integrated maintenance system for stable operation in the future is also being develop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및 전장 환경 사물인터넷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aster and battlefield environment Intern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재난 및 전장 환경 사물인터넷 장치(500)는 라우터(510), 통신부(520), 저장부(530), 수행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aster and battlefield environment Internet device 500 may include a router 510, a communication unit 520, a storage unit 530, and an execution unit 540.

라우터(510)는 유,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없는 환경에서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 및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의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라우터(510)는 IP 또는 애드혹 기반 네트워크를 스스로 구성하고, 위치기반의 GPS를 내장할 수 있다. The router 510 can configure a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and a network for two-way 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in an environment where there is no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 router 510 can construct an IP or ad hoc based network by itself, and can embed a location-based GPS.

통신부(520)는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 및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의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520)는 Web 2.0 및 App GIS 기반의 DABID 를 통해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 및 무기, 타격체제와 사물인터넷 음성기반으로 통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520 may perform bidirectional object-to-obj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and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The communication unit 520 can communicate with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and weapons, striking systems and object Internet voice based on Web 2.0 and App GIS based DABID.

저장부(530)는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 및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의 정보 공유를 통해 데이터를 구축하여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530 may construct and store data through the cloud 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and information sharing between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수행부(540)는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에 따른 지휘 및 통제에 따라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의 지휘전술정보체계와 연동하여 지능적 현장 지휘, 작전 수행 센서-투-슈터 알고리즘 인터페이스를 수행할 수 있다. The execution unit 540 may perform operations according to command and control according to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In addition, intelligent on-site command and operational sensor-to-shooter algorithm interfaces can be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the command tactical information system of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앞서 설명한 재난 및 전장 환경 사물인터넷 장치는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의 노트북, PDA, 컴퓨터 메인 센서에 GIS 기반 IoT 정보를 저장, 분석, 대응, 제어 관리하고 상하 수평, 수직 정보 공유 및 소통 실시간 신속 최적화를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가상서버를 가상 지휘 본부 HQ로 설정하여 전장상황의 사물 간 네트워킹을 통해 서로 다른 HW, SW를 상호 운용할 수 있다. The aforementioned disaster and battlefield environment Internet devices store, analyze, respond to, control and manage GIS-based IoT information in laptop, PDA, and computer main sensor of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For optimization, virtual server based on cloud computing is set as virtual command center HQ, so that different HW and SW can interoperate by networking between the battlefield situations.

또한, 이러한 재난 및 전장 환경 사물인터넷 장치는 상기 전장 환경의 구성 요소들간의 상호 연동이 가능하고, 헬멧, 또는 시계 형태로 착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In addition, such disaster and warfare environment objects Internet devices can interoperate with each other in the field environment, and can be worn in the form of a helmet or a clock.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및 전장 환경의 구성 요소들 중 IoT-Band 카메라 모듈 기반 Web 2.0 전장 가시화 구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mplementation of a Web 2.0 field visualization based on an IoT-Band camera module among components of a disaster and warfare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설명한 재난 및 전장 환경 사물인터넷 장치는,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IoT-Band 카메라 모듈 기반으로 헬멧에 부착된다. The Internet device of the disaster and warfare environment described in FIG. 5 is attached to the helmet based on, for example, an IoT-Band camera module as shown in FIG.

TICN의 개발이 완료되면 전술상황을 고려하여 5개의 체계들을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전장의 전 전투원에게 작전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하나의 대규모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게 된다. 이 네트워크를 통해 감시-지휘통제-정밀타격체계 사이에 대\용량 데이터들이 상호 유통되고, 기동, 화력, 방호 등의 모든 전장기능들이 유기적으로 통합되어 전투력 발휘의 승수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TICN은 미래 육군 전투력을 향상시켜줄 중요한 무기체계로 볼 수 있다. TICN의 전력화가 완료되면 현재의 SPIDER에 비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When the development of TICN is completed, the five systems are interconnected organ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tactical situation, thus constituting one large-scale wireless network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to all combatants in the battlefield. Through this network, it is possible to mutually distribute the capacity data between the monitoring-command control-precision hitting system, and to integrate all the battlefield functions such as maneuvering, firepower, and protection organically to achieve multiplier effect TICN can be seen as an important weapon system to improve future army combat power. When the power of TICN is completed,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compared with the current SPIDER.

첫째, 실시간 정보유통을 위한 대용량 전송로를 확보함으로써 대대급 이하 제대까지 "감시-결심-타격체계" 간 정보유통을 보장할 수 있고, UAV·K-9 자주포·한국형 헬기·K-2 전차 등 다양한 무기체계의 자동화 시스템과 해·공군 지휘통제체계와 연동되어 합동작전 수행여건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First, by securing a large-capacity transmission line for real-time information distribution, it is possible to guarantee the information distribution between the "monitoring-decision-hitting system" up to the battalion level and the UAV, K-9 self-propelled helicopter, Combined with various weapon system automation systems and air / air force command and control systems, joint operational conditions can be greatly improved.

둘째, 최신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영상정보, 타격명령, 위치보고 등을 기동 중에도 실시간으로 전파할 수 있어 즉각적인 전투수행이 보장되고, 소대급까지 전장단말기를 활용한 지휘통제를 보장할 수 있어 기동 간 전투지휘 능력이 더욱 향상된다. Second, by applying the lates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propagate video information, hitting command, and position report in real time even during start-up, ensuring immediate combat performance and ensuring command and control using the terminal device The ability to command combat is further enhanced.

셋째, 부대가 새로운 지휘소로 이동하면 정보통신부대는 TICN을 설치하고 사용자는 간편하게 단말기를 접속 단자에 연결만 하면 전장기능별로 통신망 구성이 완료되어 신속한 지휘소구축이 가능하므로 작전반응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육군은 장기적으로 현재 개발중인 TICN을 위성통신·공중통신중계 UAV와 통합하는 4세대 TICN로 발전시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즉, 위성통신·공중통신중계 UAV가 TICN되면 하늘의 공중통신중계 UAV가 기동부대들의 기동 중 지휘통제를 지원하고, 우주의 위성통신이 작전거리가 늘어 난 대대급 이산의 지휘소들은 TICN에 연결시킴으로써 전장의 전투원들에게 언제, 어디서나 지휘통제와 상황인식 정보들을 유통시킬 수 있게 된다. Third, if the unit moves to a new command post,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sets up the TICN, and if the user simply connects the terminal to the connection terminal,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configured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battleground, have. The Army plans to develop the long-term TICN, which is under development, into a fourth-generation TICN that integrates with satellite communications and public telecommunications relay UAV. In other words, if the satellite communication / public communication relay UAV is TICN, the heavenly public communication relay UAV supports the command control during the maneuvering of the mobile units, and the satellite command of the space satellite increases the operation distance and connects the command posts to TICN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command and control information and situation awareness information to battlefield combatants anytime, anywhere.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IoT-Band 카메라 모듈(610, 620)기반의 Web 2.0 전장 가시화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Web 2.0 field visualization based on the IoT-Band camera modules 610 and 620 as shown in FIG.

미래전의 양상인 네트워크중심작전환경(NCIE: Network Centric Operation Environment)에서는 센서·지휘통제체계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황인식을 공유하고 이를 통해 정밀타격을 수행함으로써 전쟁 수행능력을 극대화하는데, 이때 무기체계 상호간의 지휘통제를 위한 통신수단으로써 전술데이터링크(TDL: Tactical Data Link)가 사용된다. 과거에는 음성 위주의 무선망으로 전장정보를 교환하고 수동으로 정보가 처리됨으로써 정보의 오류 가능성이 높아지고 적시적인 지휘통제가 제한되었으나, 현재는 데이터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전술데이터링크를 구축하여 많은 용량의 상황정보를 실시간에 정학하게 전파하고, 이를 공통 상황도에 가시화함으로써 신속한 지휘통제와 현장중심의 즉각 대응이 가능하도록 발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상무기체계간 상호운용성과 작전수행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거의 실시간 상호전술정보 교환을 통해 전장가시화와 전장정보 우위를 달성하여 네트워크 중심전(NCW) 능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In the Network Centric Operation Environment (NCIE), the sensor and command control systems share the situation awareness through the network and perform precise strikes through the network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the war. In this case, A tactical data link (TDL) is used as a communication means for command control. In the past, by exchanging battlefield information with a voice-oriented wireless network and manually processing the information, the probability of information error increased and timely control of the command and control was limited. Currently, however, a tactical data link based on data communication technology is established, And to visualize the situation information in a common situation, it is evolving to enable prompt command control and immediate response in the fiel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ramatically improve the interoperability and operational capability of the terrestrial intellectual system, and to achieve the network centered (NCW) capability by achieving field visualization and field information superiority through almost real-time mutual tactical information exchange.

미군은 전술데이터링크의 중요성을 일찍부터 인식하고 지난 1960년대 말부터 지속적으로 다양한 전술데이터링크를 개발·운용하고 있으며, 최근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전 등을 통해 그 유용성과 효율성이 입증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합동참모본부가 합동작전을 위한 합동전술데이터링크(JTDLS)를 현재 개발 중에 있고, 해·공군은 무기 체계 별로 개별적인 전술데이터링크를 운용하고 있다. 이에 육군도 미군의 VMF(Variable Message Format)를 벤치 마킹하여 우리 실정에 적합한 지상전술데이터링크(Korea Variable Message Format, KVMF)를 개발 중에 있다. The US Arm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actical data links early on, and since the late 1960s, it has been developing and operating various tactical data links and has proven its usefulness and effectiveness in Afghanistan and Iraq. In Korea, Joint Chiefs of Staff are currently developing a Joint Tactical Data Link (JTDLS) for joint operations, and the ROK Air Force operates individual tactical data links for each weapon system. The Army is also developing a Korea Variable Message Format (KVMF) suitable for our purposes by benchmarking the US Army's Variable Message Format (VMF).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apparatu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 /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apparatu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within a computer system, such as,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array (FPA)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described as being used singly,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have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 /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may compris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a parallel processor.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and may be configured to configure the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to process it collectively or collectively Device can be commanded. The software and / or data may be in the form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a, or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The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5)

재난 및 전장 환경 사물인터넷 장치에 있어서,
유,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없는 환경에서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 및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의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라우터 기능이 탑재되고,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 및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의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 및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의 정보 공유를 통해 데이터를 구축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에 따른 지휘 및 통제에 따라 작전을 수행하는 수행부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라우터 기능을 통해 IP 또는 애드혹 기반 네트워크를 스스로 구성하고,
위치기반의 GPS를 내장하고, 상기 IP 기반의 개인병사용, 상급지휘관용 IoT 국방 디바이스의 음성, 문자, 영상 정보를 셔틀러/라이팩스 보안 기술을 이용하여 지휘본부의 노트북, PDA 또는 컴퓨터의 메인 센서에 GIS 기반 IoT 정보를 저장, 분석, 대응, 제어 및 관리하고,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가상서버를 가상 지휘 본부 HQ(Headquarter)로 설정하여 전장상황의 사물 간 네트워킹을 통해 서로 다른 HW(Hardware),SW(Software)가 상호 운용되도록 하고,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사물인터넷 장치는,
TICN(Tact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에 따른 복수의 전술 정보 통신 체계가 운용, 유지되기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발전기, 전지 및 통합정비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및 전장 환경 사물인터넷 장치.
Disaster and Battlefield Environment In Internet devices,
In the environment where there is no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is equipped with a router function constituting the network for the two-way object 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headquarters and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two-way 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and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A storage unit for constructing and storing data by sharing information between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and the disaster and battleground environment components; And
An execution unit that performs operations according to command and control according to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Lt; / RTI >
Wherein,
An IP or ad hoc based network is configured by itself through the router function,
It is equipped with a location-based GPS, and uses the IP-based personal bottles, voice, text, and image information of the IoT defense device for senior commanders with shuttle / It stores, analyzes, responds, controls and manages GIS-based IoT information to sensors,
Virtual server based on cloud computing is set as HQ (Headquarter) so that different HW (Hardware) and SW (Software) interoperate with each other through networking between the battlefield situations,
The disaster and battlefield environment Internet device includes:
A generator, a battery, and an integrated maintenance device that provide power for operating and maintaining a plurality of tact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s according to a TICN (Tact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nternet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Web 2.0 및 App GIS(Applicati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의 DABID(Disaster And Battlefield IoT Device)를 통해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 및 무기, 타격체제와 사물인터넷 음성기반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및 전장 환경 사물인터넷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Disaster and Battlefield IOT Device (DABID) based on Web 2.0 and App GIS (Applicati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isaster and battlefield environment Environmental Things Internet De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부는,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의 지휘전술정보체계와 연동하여 지능적 현장 지휘, 작전 수행 센서-투-슈터 알고리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및 전장 환경 사물인터넷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rforming unit comprises:
Wherein the intelligent field command and the operational sensor-to-shooter algorithm interface are interlocked with the command tactical information system of the main server headquarters based on the clou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사물인터넷 장치는,
상기 전장 환경의 구성 요소들간의 상호 연동이 가능하고, 헬멧, 또는 시계 형태로 착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및 전장 환경 사물인터넷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aster and battlefield environment Internet device includes:
Wherein the apparatus is capable of interlocking with elements of the electric field environment and is wearable in the form of a helmet or a clock.
삭제delete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 사물인터넷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유,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없는 환경에서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의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생성부;
상기 구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과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을 지휘 및 통제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
상기 구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메인 서버 지휘본부와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구축하고, 상기 메인 서버 지휘본부로부터 지휘 및 통제 받는 복수의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
을 포함하고,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의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는 센서, 시설, 장비, 사람을 포함하는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과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 간 IP 또는 애드혹 기반 네트워크를 스스로 구성하고,
상기 메인 서버 지휘본부는,
상기 IP 기반의 개인병사용, 상급지휘관용 IoT 국방 디바이스의 음성, 문자, 영상 정보를 셔틀러/라이팩스 보안 기술을 이용하여 지휘본부의 노트북, PDA 또는 컴퓨터의 메인 센서에 GIS 기반 IoT 정보를 저장, 분석, 대응, 제어 및 관리하고,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가상서버를 가상 지휘 본부 HQ(Headquarter)로 설정하여 전장상황의 사물 간 네트워킹을 통해 서로 다른 HW(Hardware),SW(Software)가 상호 운용되도록 하고,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 사물인터넷 통신 시스템은,
TICN(Tact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에 따른 복수의 전술 정보 통신 체계가 운용, 유지되기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발전기, 전지 및 통합정비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 사물인터넷 통신 시스템.
What is claimed is: 1. An object-to-object Internet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network generating unit for configuring a network for bidirectional object 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in an environment where there is no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cloud 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for performing two-way internet communication with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through the configured network and directing and controlling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Establishing data via two-way internet communication with the main server command center through the configured network and generating a plurality of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commanded and controlled from the main server command center,
/ RTI >
The network for bi-directional object 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includes an IP or ad-hoc based network between the disaster and battlefield components, including sensors, facilities, equipment, people, and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Self-
The main server command headquarters,
Based on the above IP-based personal bottles, voice, text, and image information of IoT defense devices for senior commanders are stored in GIS-based IoT information on the main sensor of the headquarters laptops, PDAs or computers using Shuttle / , Analyze, respond, control and manage,
Virtual server based on cloud computing is set as HQ (Headquarter) so that different HW (Hardware) and SW (Software) interoperate with each other through networking between the battlefield situations,
The object Internet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comprises:
A generator, a battery, and an integrated maintenance device that provide power for operating and maintaining a plurality of tact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s according to a TICN (Tact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Further comprising: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isaster is caused by a disaster or an unauthorized pers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 사물인터넷 통신 방법에 있어서,
유,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없는 환경에서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의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구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와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의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구축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로부터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이 지휘 및 통제 받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의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는 센서, 시설, 장비, 사람을 포함하는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과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 간 IP 또는 애드혹 기반 네트워크를 스스로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와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의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IP 기반의 개인병사용, 상급지휘관용 IoT 국방 디바이스의 음성, 문자, 영상 정보를 셔틀러/라이팩스 보안 기술을 이용하여 지휘본부의 노트북, PDA 또는 컴퓨터의 메인 센서에 GIS 기반 IoT 정보를 저장, 분석, 대응, 제어 및 관리하고,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가상서버를 가상 지휘 본부 HQ(Headquarter)로 설정하여 전장상황의 사물 간 네트워킹을 통해 서로 다른 HW(Hardware),SW(Software)가 상호 운용되도록 하고,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 사물인터넷 통신 방법은,
TICN(Tact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에 따른 복수의 전술 정보 통신 체계가 운용, 유지되기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발전기, 전지 및 통합정비장치를 이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 사물인터넷 통신 방법.
Disclosure of the Invention An object-to-Interne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Configuring a network for two-way 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in an environment where there is no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stablishing data through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and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via the configured network through bi-directional object internet communication; And
Based on the constructed data,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are commanded and controlled from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headquarters
Lt; / RTI >
The network for bi-directional object 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includes an IP or ad-hoc based network between the disaster and battlefield components, including sensors, facilities, equipment, people, and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Self-
The step of constructing data through a two-way 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and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through the configured network comprises:
Based on the above IP-based personal bottles, voice, text, and image information of IoT defense devices for senior commanders are stored in GIS-based IoT information on the main sensor of the headquarters laptops, PDAs or computers using Shuttle / (HW) and software (SW) through inter-object networking by setting up virtual server based on cloud computing as HQ (Headquarter) for analysis, response, control and management and,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Using generators, batteries, and integrated maintenance equipment that provide power to operate and maintain multiple tact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s in accordance with the Tact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IC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 RTI ID = 0.0 > of: < / RTI >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은 IP 또는 애드혹 기반 네트워크를 스스로 구성하기 위한 라우터 기능 및 위치기반의 GPS를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 사물인터넷 통신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said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include a router function for locally configuring an IP or ad hoc based network and a location based GP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와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의 양방향 사물인터넷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전장 환경의 구성 요소들간의 연동이 가능하며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와 양방향 인터넷 기반 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 사물인터넷 통신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p of constructing data through a two-way 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and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through the configured network comprises:
Wherein the interface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battlefield environment is enabled and two-way Internet-based communication with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center is enabl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축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로부터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이 지휘 및 통제 받는 단계는,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의 지휘전술정보체계와 연동하여 지능적 현장 지휘, 작전 수행 센서-투-슈터 알고리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 사물인터넷 통신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Based on the constructed data,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are commanded and controlled from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headquarters,
Wherein the intelligent field command and the operational sensor-to-shooter algorithm interface are interfaced with the command tactical information system of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headquarter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축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메인 서버 지휘본부로부터 상기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이 지휘 및 통제 받는 단계는,
Web 2.0 및 App GIS(Applicati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의 DABID(Disaster And Battlefield IoT Device)를 통해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 및 무기, 타격체제와 사물인터넷 음성기반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및 전장 환경 구성 요소들간 사물인터넷 통신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Based on the constructed data, the disaster and battle environment components are commanded and controlled from the cloud-based main server command headquarters,
Disaster and Battlefield IOT Device (DABID) based on Web 2.0 and App GIS (Applicati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isaster and battlefield environment How to communicate between Internet components.
KR1020150040039A 2015-03-23 2015-03-23 Disaster And Battlefield IoT Devic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of Disaster And Battlefield IoT Device KR1015392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039A KR101539204B1 (en) 2015-03-23 2015-03-23 Disaster And Battlefield IoT Devic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of Disaster And Battlefield Io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039A KR101539204B1 (en) 2015-03-23 2015-03-23 Disaster And Battlefield IoT Devic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of Disaster And Battlefield Io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9204B1 true KR101539204B1 (en) 2015-07-27

Family

ID=53875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039A KR101539204B1 (en) 2015-03-23 2015-03-23 Disaster And Battlefield IoT Devic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of Disaster And Battlefield Io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9204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4870A1 (en) * 2015-12-18 2017-06-22 최성열 Wireless detector-based mobile-linked disaster alert system, and disaster management server included in disaster alert system
KR20190036122A (en) * 2017-09-27 2019-04-04 주식회사비케이아이티 The operating method and the managing system of wired/wireless-network with self established and which uses the method and the system for managing cow
KR102332491B1 (en) * 2020-11-18 2021-12-01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11510170B2 (en) 2017-10-26 2022-11-22 Benchmark Electronics, Inc. Collaborating sensor array and method theref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5362A (en) * 2004-12-10 2006-06-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Monitoring system for facilities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KR20120104091A (en) * 2011-03-11 2012-09-20 국방과학연구소 Interior multi-fuction integrated system for a future soldi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5362A (en) * 2004-12-10 2006-06-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Monitoring system for facilities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KR20120104091A (en) * 2011-03-11 2012-09-20 국방과학연구소 Interior multi-fuction integrated system for a future soldi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4870A1 (en) * 2015-12-18 2017-06-22 최성열 Wireless detector-based mobile-linked disaster alert system, and disaster management server included in disaster alert system
KR20190036122A (en) * 2017-09-27 2019-04-04 주식회사비케이아이티 The operating method and the managing system of wired/wireless-network with self established and which uses the method and the system for managing cow
KR102066654B1 (en) * 2017-09-27 2020-02-11 주식회사비케이아이티 The operating method and the managing system of wired/wireless-network with self established and which uses the method and the system for managing cow
US11510170B2 (en) 2017-10-26 2022-11-22 Benchmark Electronics, Inc. Collaborating sensor array and method therefor
KR102332491B1 (en) * 2020-11-18 2021-12-01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moniwa et al. Fog/edge computing-based IoT (FECIoT): Architecture, applications, and research issues
Johnsen et al. Application of IoT in military operations in a smart city
Liu et al. Toward edge intelligence: Multiaccess edge computing for 5G and Internet of Things
Guo et al. Enabling massive IoT toward 6G: A comprehensive survey
Puliafito et al. Fog computing for the internet of things: A survey
Gupta et al. Fusion of blockchai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for secure drone networking underlying 5G communications
Martinez et al. Design, resource management, and evaluation of fog computing systems: A survey
Laroui et al. Edge and fog computing for IoT: A survey on current research activities & future directions
US114739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oriented cloud based management of internet of drones
Yu et al. A survey on the edge computing for the Internet of Things
Yi et al. Fog computing: Platform and applications
Mahi et al. A review on VANET research: Perspective of recent emerging technologies
Fernando et al. Opportunistic fog for IoT: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KR101539204B1 (en) Disaster And Battlefield IoT Devic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of Disaster And Battlefield IoT Device
Hermosilla et al. Security orchestration and enforcement in NFV/SDN-aware UAV deployments
Zahariadis et al. Preventive maintenance of critical infrastructures using 5G networks & drones
Pradhan et al. Toward an architecture and data model to enable interoperability between federated mission networks and IoT-enabled smart city environments
Shaheen et al. A lightweight location-aware fog framework (LAFF) for QoS in Internet of Things paradigm
Ksentini et al. IoT/Cloud‐enabled smart services: a review on QoS requirements in fog environment and a proposed approach based on priority classification technique
Sangeetha et al. Deep learning era for future 6G wireless communications—theory, applications, and challenges
d’Oro et al. Modeling and evaluating a complex edge computing based systems: An emergency management support system case study
Srivastava et al. Internet of Low-Altitude UAVs (IoLoUA): a methodical modeling on integration of Internet of “Things” with “UAV” possibilities and tests
US1140241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nergy audits
Xia et al. A survey on UAV-enabled edge computing: Resource management perspective
Singhal et al. Cloud Computing vs Fog Computing: A Comparative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