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639B1 - 탄소기반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탄소기반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639B1
KR101538639B1 KR1020130149979A KR20130149979A KR101538639B1 KR 101538639 B1 KR101538639 B1 KR 101538639B1 KR 1020130149979 A KR1020130149979 A KR 1020130149979A KR 20130149979 A KR20130149979 A KR 20130149979A KR 101538639 B1 KR101538639 B1 KR 101538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carbon dioxide
hours
steam
minu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4978A (ko
Inventor
박수진
이슬이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49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639B1/ko
Publication of KR20150064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기반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셀룰로오즈와 같은 탄소전구체를 기반으로 우수한 이산화탄소 포집능과 재생성을 갖는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셀룰로오즈 섬유와 같은 탄소전구체를 이용한 탄소기반 이산화탄소 흡착제는 탄소화 공정 전단계로 100 내지 300 ℃에서 산화안정화 표면처리하는 공정을 통해 열안정성을 확보하여 고수득률을 가질 뿐만 아니라, 스팀분사를 통한 활성화 공정을 통해 고비표면적을 갖고 초미세기공을 다량 함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착제는 우수한 이산화탄소 포집능력과 재생성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탄소기반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ARBON-BASED CARBON DIOXIDE ADSORBENTS}
본 발명은 탄소기반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셀룰로오즈와 같은 탄소전구체를 기반으로 우수한 이산화탄소 포집능과 재생성을 갖는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활성탄소섬유은 주성분이 탄소이고 고비표면적 및 다공성 구조를 특징으로 하며, 뛰어난 흡착특성(빠른 흡/탈착 속도 및 고 흡착능력)을 지님에 따라 다양한 용도에 적용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입자상 (granular), 분말상 (powder), 섬유상 (fibers)의 비면직물 (non-woven) 구조뿐만 아니라, 면직(woven) 구조, 면편직(knitted fabrics) 구조 등의 다양한 형태 가공이 가능하여 수처리 필터, 공기정화 필터, 에너지 저장소재, 전자소재, 멤브레인, 약물 지지체 등에 다양하게 사용된다.
활성탄은 넓은 비표면적을 가지고 있어 악취를 비롯한 기체분자에 대한 흡착용량이 크며 발달된 미세공이 세공표면에 노출되어 있어 흡착속도가 빠른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체상 오염물질의 제거능력이 높은 편이다. 잘 알려진 이산화탄소 흡수제인 제올라이트와는 달리 상대적으로 수분에 대한 영향이 적고 저렴한 가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온실가스이며 실내공기 오염물질 가운데 하나인 이산화탄소에 대한 포집능력이 매우 낮기 때문에 다양한 표면개질을 통하여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활성탄소섬유의 제조단계에서 활성화 과정은 제조된 탄소의 표면에 미세기공을 부여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스팀, 이산화탄소, 공기 등을 이용한 물리적 활성화법과 알칼리, 알칼리토금속 염을 포함한 화학적 활성제를 이용한 화학적 활성화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화학적 활성화법은 다량의 화학적 첨착제를 이용한 고온 열처리법으로 탄소질의 표면에 미세기공을 다량 발현하는데 유용하나, 약품처리에서 수반하는 첨착 및 세척단계 등의 공정상의 복잡성, 2차 오염 등의 단점이 있다. 반면, 물리적 활성화법은 주로 주입되는 가스의 화학적 성질, 반응온도, 및 주입속도 등에 따라 활성탄소소재의 수득률 및 기공특성 등의 물성이 결정된다.
관련 선행문헌으로 한국 등록특허 10-1267986(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흡착제를 이용한 다단 흡착필터), 한국 등록특허 10-0562020(이산화탄소 고정화 흡착제와 그의 제조방법) 등이 있지만, 셀룰로오즈와 같은 탄소전구체를 이용하여 최적의 스팀활성화법을 적용해 이산화탄소 포집능과 재생성이 향상시킨 탄소기반의 이산화탄소 흡착제에 관해서는 개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비표면적을 갖고 초미세기공을 다량 함유하며 이산화탄소 포집능과 재생성이 우수한 탄소기반의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탄소전구체를 과산화수소, 붕산, 초산, 인산,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질산암모늄, 초산암모늄, 수산화암모늄, 탄산암모늄 및 인산암모늄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학적 첨착제를 이용하여 화학적 첨착시키는 단계; (2) 상기 (1)단계에서 화학적 첨착시킨 탄소전구체를 100 내지 300 ℃에서 10 내지 120 분간 열처리하여 산화안정화시키는 단계; (3) 상기 (2)단계에서 산화안정화시킨 탄소전구체를 600 내지 1200 ℃에서 10 내지 120 분간 열처리하여 탄소화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3)단계에서 탄소화시킨 탄소전구체를 600 내지 1200 ℃에서 10 내지 120 분간 스팀을 분사하여 스팀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소기반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1)단계에서 탄소전구체는 셀룰로오즈 섬유, 셀룰로오즈 입자, 사이잘 섬유, 사이잘 입자,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입자, 폴리스타이렌계 섬유, 폴리스타이렌계 입자, 레이온계 섬유, 레이온계 입자, 리그닌계 섬유, 리그닌계 입자 및 페놀계 수지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단계에서 탄소전구체를 화학적 첨착하기 전에 증류수 및 에탄올이 혼합된 용액을 이용하여 탄소전구체를 세척한 후 건조시키는 전처리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탄소기반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셀룰로오즈 섬유와 같은 탄소전구체를 이용한 탄소기반 이산화탄소 흡착제는 탄소화 공정 전단계로 100 내지 300 ℃에서 산화안정화 표면처리하는 공정을 통해 열안정성을 확보하여 고수득률을 가질 뿐만 아니라, 스팀분사를 통한 활성화 공정을 통해 고비표면적을 갖고 초미세기공을 다량 함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착제는 우수한 이산화탄소 포집능력과 재생성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실제 화력발전소 배가스의 운용온도인 40 내지 80 ℃에서 고효율 이산화탄소 포집능력을 지니며 우수한 재생성을 지님에 따라, 유동층 또는 고정층 이산화탄소 포집공정의 흡착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도정수처리 나노필터 담체, 에너지 저장용 전극소재 및 각종 촉매 지지체 등 여러 분야에 응용 가능하여 고부가가치가 창출되는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이산화탄소 포집능력 및 재생성을 나타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1) 탄소전구체를 과산화수소, 붕산, 초산, 인산,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질산암모늄, 초산암모늄, 수산화암모늄, 탄산암모늄 및 인산암모늄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학적 첨착제를 이용하여 화학적 첨착시키는 단계; (2) 상기 (1)단계에서 화학적 첨착시킨 탄소전구체를 100 내지 300 ℃에서 10 내지 120 분간 열처리하여 산화안정화시키는 단계; (3) 상기 (2)단계에서 산화안정화시킨 탄소전구체를 600 내지 1200 ℃에서 10 내지 120 분간 열처리하여 탄소화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3)단계에서 탄소화시킨 탄소전구체를 600 내지 1200 ℃에서 10 내지 120 분간 스팀을 분사하여 스팀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소기반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1)단계에서 탄소전구체는 셀룰로오즈 섬유, 셀룰로오즈 입자, 사이잘 섬유, 사이잘 입자,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입자, 폴리스타이렌계 섬유, 폴리스타이렌계 입자, 레이온계 섬유, 레이온계 입자, 리그닌계 섬유, 리그닌계 입자 및 페놀계 수지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단계에서 탄소전구체를 화학적 첨착하기 전에 증류수 및 에탄올이 혼합된 용액을 이용하여 탄소전구체를 세척한 후 건조시키는 전처리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온에서 증류수 및 에탄올 혼합용액으로 1 내지 12 시간 동안 교반하는 것을 3 회 이상 반복하여 세척함으로써, 탄소전구체 구조에 존재하는 미반응 저분자 유기물질 등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세척 공정 후 이루어지는 건조 공정은 80 ℃ 이상의 온도에서 6 내지 24 시간, 바람직하게는 12 시간 동안 완전히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단계에서 첨착 공정은 상온에서 0.01 내지 20 vol.%,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 vol.%의 농도를 갖는 화학적 첨착제를 이용하여 1 내지 24 시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0 분간 첨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산화안정화 공정 전에 세척 및 화학적 첨착을 통해 기공을 다량 발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2)단계에서 산화안정화 공정은 탄소전구체의 물리적 및 기계적 물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과정으로서 활성탄소소재의 수율 증대를 위해 필수적인 공정이다. 이는 머플퍼니스를 이용하여 공기 분위기 하에서 승온속도 0.1 내지 10 ℃/min,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min으로 승온시켜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30 내지 60 분간 열처리하는 것이 최적의 효과를 나타낸다.
산화안정화 온도가 100 ℃보다 낮을 경우 산화안정화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300 ℃보다 높을 경우 탄소전구체의 구조붕괴 등의 손실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산화안정화 승온속도가 0.1 ℃/min 이하일 경우 총 산화안정화 처리시간이 비효율적으로 증가하고, 10 ℃/min 이상일 경우 탄소전구체 구조의 붕괴 및 최종산물의 수율 저하에 영향을 미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3)단계 및 (4)단계에서 탄소화 및 스팀활성화 공정은 튜브형 스팀퍼니스를 이용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탄소화 공정에서 승온속도는 1 내지 5 ℃/min, 스팀활성화 공정에서 스팀분사속도는 0.001 내지 1 sccm/min,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5 sccm/min인 것이 최적의 효과를 나타낸다. 스팀분사속도 0.01 sccm/min 이하에서는 충분한 스팀이 공급되지 않아 미세기공의 발현이 다소 어렵고, 0.5 sccm/min 이상에서는 다량의 스팀 공급으로 인하여 반응로 내부의 과도한 압력증가 및 미세한 온도감소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탄소화(탄화) 공정은 탄화수소 및 유기 휘발분 등을 완전히 제거하고 탄소질 원료 내에서 탈수 및 탈산 등의 분해를 통해 산소결합이 끊어지면서 산소가 물,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등의 기체 형태도 방출되고 고정탄소만 남게 되는 과정이다. 또한, 스팀을 이용한 스팀활성화법은 알칼리염이나 알칼리토금속 등의 화학적 첨착제를 이용한 화학적 고온 활성화법에 비하여 다량의 알칼리계 첨착제나 세척용 산 용액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어, 매우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탄소기반 이산화탄소 흡착제를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측정예 1. 스팀활성화법으로 제조된 탄소기반 흡착제의 기공특성 분석
스팀활성화법으로 제조된 탄소기반 흡착제의 기공특성은 액체 질소(77 K) 분위기 하에서 시료 약 0.1 g을 채취하여 질소 기체를 흡착질로 하여 흡착량을 측정하였다. 시료의 전처리는 200 ℃에서 시료 내 잔류 압력이 10-3 torr 이하로 될 때까지 약 12 시간 동안 탈기시키고, 질소 등온흡착시험 후에는 P/P0(P: 부분압력, P0: 포화 증기압)이 약 0.05에서 0.25까지의 범위의 흡착량에 대해서 BET 파라미터 변환 후, 직선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BET 비표면적을 구하였다. 또한. 전체 기공부피는 P/P0가 0.99인 점에서 흡착된 양을 기초로 구하였다.
측정예 2. 스팀활성화법으로 제조된 탄소기반 흡착제의 이산화탄소 포집거동 분석
스팀활성화법으로 제조된 탄소기반 흡착제의 이산화탄소 포집능력 및 재생성 분석은 열중량분석법을 사용하였으며, 시료 약 20 mg을 백금챔버에 옮긴 후, 시료의 전처리는 밸런스기체를 질소로 하여 200 ℃에서 약 12 시간 동안 탈기시키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이산화탄소 포집거동을 분석하였다. 전체기체의 부피대비 이산화탄소 기체를 15 %로 고정(이산화탄소/질소, 약 15 : 85 v/v)하여 총 유량속도 60 cc/min, 온도조건 40 ℃에서 시료질량 대비 증가한 이산화탄소 기체의 질량변화를 통해 이산화탄소 포집량을 분석하였고, 탈착은 동일한 온도에서 질소기체의 배기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각 이산화탄소 흡/탈착 분석 사이클은 10 회 반복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탄소기반 이산화탄소 흡착제는 질소 및 이산화탄소의 혼합배가스 조성 85 : 15 (v/v) 및 흡/탈착 온도조건 40 ℃에서 우수한 이산화탄소 포집능력 및 재생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
셀룰 로오즈 섬유 1 g을 상온에서 증류수 및 에탄올 용액에 2 시간정도 교반하여 완전히 세척하여 80℃에서 12시간 이상 완전히 건조한 후, 1%의 과산화수소 수용액에 30분 동안 첨착시키고, 80℃에서 24 시간 완전 건조하여 준비하였다. 화학적 첨착처리된 셀룰로오즈 섬유를 머플퍼니스에 넣고 공기 분위기하에서 2 ℃/min의 승온속도로 180℃까지 승온시켜 30분간 유지시켜 산화안정화된 셀룰로오즈 섬유를 얻었다. 준비된 산화안정화된 셀룰로오즈 섬유는 튜브형 퍼니스에 넣고 질소(N2) 분위기 하에서 2℃/분의 승온 속도로 800℃까지 승온 후, 1시간 유지시켜 탄소화과정을 거친다. 그 다음, 1시간 동안 0.3 sccm/min의 분사속도로 스팀을 주입하면서 스팀활성화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상기와 같이 스팀활성화법을 통해 제조된 셀룰로오즈 기반 탄소기반 흡착제는 증류수에서 1~2회 세척하여 120℃의 진공오븐에서 12시간 이상 완전 건조시켰다.
실시예 2.
셀룰로오즈 섬유 1 g을 상온에서 증류수 및 에탄올 용액에 2 시간정도 교반하여 완전히 세척하여 80℃에서 12시간 이상 완전히 건조한 후, 1.5%의 과산화수소 수용액에 30분 동안 첨착시키고, 80℃에서 24 시간 완전 건조하여 준비하였다. 화학적 첨착처리된 셀룰로오즈 섬유를 머플퍼니스에 넣고 공기 분위기하에서 0.5 ℃/min의 승온속도로 150℃까지 승온시켜 60분간 유지시켜 산화안정화된 셀룰로오즈 섬유를 얻었다. 준비된 산화안정화된 셀룰로오즈 섬유는 튜브형 퍼니스에 넣고 질소(N2) 분위기 하에서 1℃/분의 승온 속도로 850℃까지 승온 후, 1시간 유지시켜 탄소화과정을 거친다. 그 다음, 1시간 30분간 0.2 sccm/min의 분사속도로 스팀을 주입하면서 스팀활성화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상기와 같이 스팀활성화법을 통해 제조된 셀룰로오즈 기반 탄소기반 흡착제는 증류수에서 1~2회 세척하여 120℃의 진공오븐에서 12시간 이상 완전 건조시켰다.
실시예 3.
셀룰로오즈 섬유 1 g을 상온에서 증류수 및 에탄올 용액에 2 시간정도 교반하여 완전히 세척하여 80℃에서 12시간 이상 완전히 건조한 후, 3%의 과산화수소와 인산 혼합수용액(과산화수소:인산=50:50, v/v)에 20분 동안 첨착시키고, 80℃에서 24 시간 완전 건조하여 준비하였다. 화학적 첨착처리된 셀룰로오즈 섬유를 머플퍼니스에 넣고 공기 분위기하에서 1.5 ℃/min의 승온속도로 200℃까지 승온시켜 20분간 유지시켜 산화안정화된 셀룰로오즈 섬유를 얻었다. 준비된 산화안정화된 셀룰로오즈 섬유는 튜브형 퍼니스에 넣고 질소(N2) 분위기 하에서 2℃/분의 승온 속도로 1000℃까지 승온 후, 1시간 유지시켜 탄소화과정을 거친다. 그 다음, 30분간 0.4 sccm/min의 분사속도로 스팀을 주입하면서 스팀활성화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상기와 같이 스팀활성화법을 통해 제조된 셀룰로오즈 기반 탄소기반 흡착제는 증류수에서 1~2회 세척하여 120℃의 진공오븐에서 12시간 이상 완전 건조시켰다.
실시예 4.
셀룰로오즈 섬유 1 g을 상온에서 증류수 및 에탄올 용액에 2 시간정도 교반하여 완전히 세척하여 80℃에서 12시간 이상 완전히 건조한 후, 2.5%의 인산 수용액에 20분 동안 첨착시키고, 80℃에서 24 시간 완전 건조하여 준비하였다. 화학적 첨착처리된 셀룰로오즈 섬유를 머플퍼니스에 넣고 공기 분위기하에서 1 ℃/min의 승온속도로 190℃까지 승온시켜 20분간 유지시켜 산화안정화된 셀룰로오즈 섬유를 얻었다. 준비된 산화안정화된 셀룰로오즈 섬유는 튜브형 퍼니스에 넣고 질소(N2) 분위기 하에서 2℃/분의 승온 속도로 950℃까지 승온 후, 1시간 유지시켜 탄소화과정을 거친다. 그 다음, 1시간 동안 0.25 sccm/min의 분사속도로 스팀을 주입하면서 스팀활성화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상기와 같이 스팀활성화법을 통해 제조된 셀룰로오즈 기반 탄소기반 흡착제는 증류수에서 1~2회 세척하여 120℃의 진공오븐에서 12시간 이상 완전 건조시켰다.
실시예 5.
셀룰로오즈 섬유 1 g을 상온에서 증류수 및 에탄올 용액에 2 시간정도 교반하여 완전히 세척하여 80℃에서 12시간 이상 완전히 건조한 후, 5%의 붕산 수용액에 60분 동안 첨착시키고, 80℃에서 24 시간 완전 건조하여 준비하였다. 화학적 첨착처리된 셀룰로오즈 섬유를 머플퍼니스에 넣고 공기 분위기하에서 4 ℃/min의 승온속도로 200℃까지 승온시켜 15분간 유지시켜 산화안정화된 셀룰로오즈 섬유를 얻었다. 준비된 산화안정화된 셀룰로오즈 섬유는 튜브형 퍼니스에 넣고 질소(N2) 분위기 하에서 2℃/분의 승온 속도로 700℃까지 승온 후, 1시간 유지시켜 탄소화과정을 거친다. 그 다음, 1시간 30분 동안 0.1 sccm/min의 분사속도로 스팀을 주입하면서 스팀활성화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상기와 같이 스팀활성화법을 통해 제조된 셀룰로오즈 기반 탄소기반 흡착제는 증류수에서 1~2회 세척하여 120℃의 진공오븐에서 12시간 이상 완전 건조시켰다.
실시예 6.
셀룰로오즈 섬유 1 g을 상온에서 증류수 및 에탄올 용액에 2 시간정도 교반하여 완전히 세척하여 80℃에서 12시간 이상 완전히 건조한 후, 2%의 황산암모늄 수용액에 40분 동안 첨착시키고, 80℃에서 24 시간 완전 건조하여 준비하였다. 화학적 첨착처리된 셀룰로오즈 섬유를 머플퍼니스에 넣고 공기 분위기하에서 1.5 ℃/min의 승온속도로 200℃까지 승온시켜 30분간 유지시켜 산화안정화된 셀룰로오즈 섬유를 얻었다. 준비된 산화안정화된 셀룰로오즈 섬유는 튜브형 퍼니스에 넣고 질소(N2) 분위기 하에서 3℃/분의 승온 속도로 700℃까지 승온 후, 1시간 유지시켜 탄소화과정을 거친다. 그 다음, 1시간동안 0.25 sccm/min의 분사속도로 스팀을 주입하면서 스팀활성화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상기와 같이 스팀활성화법을 통해 제조된 셀룰로오즈 기반 탄소기반 흡착제는 증류수에서 1~2회 세척하여 120℃의 진공오븐에서 12시간 이상 완전 건조시켰다.
비교예 1.
셀룰로오즈 섬유 1 g을 상온에서 증류수 및 에탄올 용액에 2 시간정도 교반하여 완전히 세척하여 80℃에서 12시간 이상 완전히 건조한 후, 머플퍼니스에 넣고 공기 분위기하에서 2 ℃/min의 승온속도로 200℃까지 승온시켜 30분간 유지시켜 산화안정화된 셀룰로오즈 섬유를 얻었다. 준비된 산화안정화된 셀룰로오즈 섬유는 튜브형 퍼니스에 넣고 질소(N2) 분위기 하에서 2℃/분의 승온 속도로 800℃까지 승온 후, 1시간 유지시켜 탄소화과정을 거친 후,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셀룰로오즈 기반 탄소기반 흡착제는 증류수에서 1~2회 세척하여 120℃의 진공오븐에서 12시간 이상 완전 건조시켰다.
Figure 112013111090617-pat00001
Figure 112013111090617-pat00002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1) 증류수 및 에탄올이 혼합된 용액에 셀룰로오즈 섬유를 1 내지 12시간 동안 교반하는 것을 3회 이상 반복하여 세척한 후 12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전처리 단계;
    (2) 상기 (1)단계에서 건조된 셀룰로오즈 섬유를 과산화수소, 붕산, 황산암모늄 중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0.05 내지 10 vol.%의 농도를 갖는 화학적 첨착제를 이용하여 화학적 첨착시키는 단계;
    (3) 상기 (2)단계에서 화학적 첨착시킨 셀룰로오즈 섬유를 150 ℃에서 60 분간 열처리하여 산화안정화시키는 단계;
    (4) 상기 (3)단계에서 산화안정화시킨 셀룰로오즈 섬유를 850 ℃에서 60 분간 열처리하여 탄소화시키는 단계; 및
    (5) 상기 (4)단계에서 탄소화시킨 셀룰로오즈 섬유를 850 ℃에서 90 분간 스팀을 분사하여 스팀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소기반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30149979A 2013-12-04 2013-12-04 탄소기반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KR101538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979A KR101538639B1 (ko) 2013-12-04 2013-12-04 탄소기반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979A KR101538639B1 (ko) 2013-12-04 2013-12-04 탄소기반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978A KR20150064978A (ko) 2015-06-12
KR101538639B1 true KR101538639B1 (ko) 2015-07-22

Family

ID=53503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979A KR101538639B1 (ko) 2013-12-04 2013-12-04 탄소기반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6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426B1 (ko) * 2016-06-27 2023-08-29 오씨아이 주식회사 삼불화질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KR101884898B1 (ko) 2016-12-08 2018-08-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바이오매스 기반의 이산화탄소 흡착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7761B1 (ko) * 2018-04-17 2019-09-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산화탄소 흡착능을 가진, 고분자 복합재료용 바이오매스 충진제
KR102226172B1 (ko) 2018-10-19 2021-03-11 주식회사 에이유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및 그 제조방법
CN113120902B (zh) * 2019-12-31 2022-11-1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活性炭的制备方法
KR102519895B1 (ko) 2021-01-13 2023-04-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산화탄소 포집을 위한 액체 흡착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2570663B1 (ko) * 2021-11-24 2023-08-25 한국세라믹기술원 산화 안정화 및 스팀 활성화를 이용한 다공성 활성탄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606A (ko) * 2004-02-16 2005-08-19 최용석 화학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65537B1 (ko) * 2005-09-21 2007-01-10 서준석 활성탄소섬유의 제조방법.
KR20090095699A (ko) * 2008-03-06 2009-09-1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혼합 전기방사를 통한 휘발성유기화합물 흡착용 섬유상흡착제의 제조방법
KR101329104B1 (ko) * 2013-04-18 2013-11-14 삼공물산 주식회사 과망간산칼륨을 이용한 레이온계 활성 탄소섬유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606A (ko) * 2004-02-16 2005-08-19 최용석 화학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65537B1 (ko) * 2005-09-21 2007-01-10 서준석 활성탄소섬유의 제조방법.
KR20090095699A (ko) * 2008-03-06 2009-09-1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혼합 전기방사를 통한 휘발성유기화합물 흡착용 섬유상흡착제의 제조방법
KR101329104B1 (ko) * 2013-04-18 2013-11-14 삼공물산 주식회사 과망간산칼륨을 이용한 레이온계 활성 탄소섬유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978A (ko) 2015-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8639B1 (ko) 탄소기반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
JP6979182B2 (ja) 規則性マクロポーラス金属有機構造体単結晶及びその調製方法
CN102505187B (zh) 一种层次孔炭纤维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4456600B2 (ja) 樟脳を用いた多孔性炭素ナノ繊維の製造方法及びこ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炭素ナノ繊維
CN104588000A (zh) 一种炭基蜂窝结构低温脱硝催化剂及其制备方法
JP6156828B2 (ja) 触媒を用いた炭素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炭素材料
Ridassepri et al. Activated carbon from bagasse and its application for water vapor adsorption
CN104692381A (zh) 超高比表面积活性炭纤维的制备方法
CN104499097A (zh) 一种利用过氧化氢强化水蒸气活化制备活性炭纤维的方法
CN103691399A (zh) 用于分离二氧化碳/甲烷的高性能炭分子筛的制备方法
KR101631180B1 (ko) 화학적 활성화를 이용한 왕겨 기반 수소저장용 활성탄소의 제조방법
Illingworth et al. Non-woven fabric activated carbon produced from fibrous waste biomass for sulphur dioxide control
Wang et al. Preparation of porous carbon nanofibers with controllable pore structures for low-concentration NO removal at room temperature
KR101631181B1 (ko) 이산화탄소 흡착용 활성 카본에어로겔의 제조방법
KR101140990B1 (ko)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활성탄의 제조방법
CN109659152A (zh) 一种用于超级电容器的三维微管炭气凝胶/氧化钌复合电极材料及制备方法
CN113060726B (zh) 一种粘胶基含氮活性碳纤维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14047087A (ja) 担持活性炭の製造方法、担持活性炭、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タ
CN105214738A (zh) 一种高效碳纳米纤维基催化剂及其湿式浸渍制备方法
CN105366674A (zh) 富含中孔高比表面积活性炭的制备方法
CN103526176A (zh) 一种在纳米多孔铜上直接生长螺旋碳纳米纤维的方法
CN112645328B (zh) 一种含氮多孔碳材料的制备方法及应用
KR20150004309A (ko) 탄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에 흑연유사구조(석탄화도: 94이상)의 한국산무연탄계분말활성탄(SBET=1,760m2/g이상의 고비표면적)을 퀴놀린가용성 등방성피치바인더에 의해 첨착, 재 탄화를 통해, 새로운 열안정성 흡착필터"a novel thermostable adsorption filter"의 제조방법
CN112645324B (zh) 具有核壳结构的多孔碳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Zhang et al. Preparation of activated carbons from sawdust by chemical activ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