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525B1 -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525B1
KR101537525B1 KR1020140022347A KR20140022347A KR101537525B1 KR 101537525 B1 KR101537525 B1 KR 101537525B1 KR 1020140022347 A KR1020140022347 A KR 1020140022347A KR 20140022347 A KR20140022347 A KR 20140022347A KR 101537525 B1 KR101537525 B1 KR 101537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re extinguishing
fire
lin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
권순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하이텍
Priority to KR1020140022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5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3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djustable, e.g. from spray to jet or vice versa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방용수를 실내의 급수라인에 저압으로 공급하여 상시적으로 대기시키고, 화재발생시 고압으로 급수라인에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공급하여 미분무상태로 분사함으로써 화재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진압할 수 있는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저압펌프에 의해 급수라인 및 바이패스라인을 순환하면서 비상대기함과 아울러 화재발생시 고압펌프에 의해 미분무상태로 분사되므로 화재가 신속하고 원활하게 진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MIST SPRAY TYPE FIRE EXTINGUISHING SYSTEM WITH AUTOMATIC CONTROL AND TOUCH SCREEN}
본 발명은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방용수를 실내의 급수라인에 저압으로 공급하여 상시적으로 대기시키고, 화재발생시 고압으로 급수라인에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공급하여 미분무상태로 분사함으로써 화재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진압할 수 있는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소방용수나 소화액 내부의 화재진압을 위한 소화시스템으로 스프링클러 방식이 대표적이다.
스프링클러 방식은 건소방용수나 소화액의 천정에 설치되어 화재의 발생시 급수라인에서 공급되는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이러한 스프링클러 방식은 통상 분당 80리터의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살수됨에 따라 소방용수나 소화액의 소모량이 과도하게 많은 문제점이 있으며, 다량의 소방용수나 소화액분사로 인한 침수나 전기사고 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소방용수나 소화액입자를 최소화시켜서 안개형태로 분사하는 미분무 소화설비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미분무 소화설비는 소량의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고압으로 방사시켜 미세 소방용수나 소화액입자로 화재를 진압하는 것으로, 화염속에 공급된 미세소방용수나 소화액입자가 증발되어 산소농도를 감소시키는 질식작용과, 화염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냉각작용이 뛰어나 화재의 진화력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선행된 선행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36384호에 제안된 목조문화재용 미분무 소화설비가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소화수 실린더; 상기 소화수 실린더로부터 공급된 소화수를 분사시키는 다수의 노즐과, 상기 소화수 실린더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실린더와, 연기 감지부, 열 감지부, 분사배관 및 가압배관에 각각 설치되는 제1, 2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연기 감지부 및 열 감지부의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제1, 2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방을 제어하는 컨트롤부로 구성된다.
그런데, 선행기술은 각 구성품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구성이 결여되어 있어서 오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소화수를 공급하기 위한 소화수 실린더와 가스실린더가 화재발생시에만 동일한 압력으로 소화수를 노즐에 공급하므로 소화수의 분사가 즉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노즐이 단순히 소화수를 회전시켜 와류상태로 분사하는 구성일 뿐, 소방용수나 소화액입자를 미세하게 분산시킬 수 없는 구성이어서 분사되는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원활하게 안개상태로 확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3638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미분무상태로 분사하는 소화라인에 저압의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비상대기시키면서 화재발생시 고압으로 미분무시킴으로써 화재를 더욱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으며, 펌프들이나 밸브들의 작동을 모니터링하면서 수동 또는 자동제어시킬 수 있는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한, 펌프들의 오작동을 용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소방용수나 소화액의 저장용량을 설정된 수위로 유지시킴으로써 연속적인 공급이 가능한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그리고, 소화라인을 건식방식이나 습식방식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습식방식으로 구성할 경우 스프링클러헤드에 의해 수축 및 이완되는 부재를 통해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단속할 수 있는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미분무노즐로 토출되는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와류상태로 분사함은 소방용수나 소화액론 토출되는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장애물에 충돌시켜 분산시킴으로써 원활하게 미스트상태로 분사할 수 있는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은, 화재발생시 실내에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화시키는 소화시스템으로서,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자동으로 공급되면서 설정된 용량으로 저장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통수가능하게 연결되고, 실내로 연장되면서 상기 저장탱크의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실내로 급수되는 급수라인; 상기 급수라인에 연결되어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미스트상태로 미분무하면서 화재를 진화시키는 소화라인; 상기 저장탱크의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상기 급수라인에 저압상태로 공급하면서 상기 소화라인이나 상기 급수라인에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비상대기시키는 저압펌프; 상기 저압펌프에 의해 공급된 상기 급수라인의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상기 저장탱크로 바이패스시키면서 순환시키는 바이패스라인; 상기 저압공급펌프와 분기된 상태로 상기 급수라인에 연결되고, 화재발생시 상기 저장탱크의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상기 급수라인에 고압으로 공급하면서 상기 소화라인을 통해 미분무시키는 고압펌프; 및 상기 저압펌프 및 상기 고압펌프의 작동을 터치스크린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제어하며, 상기 급수라인과 상기 소화라인 및 상기 바이패스라인의 개폐를 터치스크린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급수라인과 상기 소화라인 및 상기 바이패스라인에 제각기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개폐밸브들과 상기 저압펌프 및 상기 고압펌프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면서 상기 개폐밸브들과 상기 펌프들을 원격제어하거나 상기 개폐밸브들과 상기 펌프들의 수동제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급수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라인을 관류하는 소방용수나 소화액의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압력센서의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저압펌프 및 상기 고압펌프의 오작동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저장탱크는, 외부에서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공급되어 저장되어 상기 저압펌프와 상기 고압펌프로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공급하고, 상기 바이패스라인에 연결되는 탱크본체; 상기 탱크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탱크본체의 수위를 감지하면서 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수위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하면서 상기 탱크본체로 공급되는 외부의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단속하는 탱크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소화라인은, 상기 급수라인에 개폐가능한 상태로 연결되고, 화재발생시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개방되면서 상기 급수라인의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공급됨에 따라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미분무상태로 분사하는 건식노즐부를 갖는 건식소화라인; 상기 건식소화라인과 분리된 상태로 상기 급수라인에 연결되어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상시 공급되고, 화재발생의 열기에 의해 개방되면서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미분무상태로 분사하는 습식노즐부를 갖는 습식소화라인; 및 상기 습식소화라인 및 상기 건식소화라인과 분리된 상태로 상기 급수라인에 연결되어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상시 공급되고, 수동조작에 의해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분사하는 분사건을 갖는 소화전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건식노즐부는, 상기 건식소화라인에 소통가능하게 결합되고,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공급되는 공급구와 공급된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에 제각기 결합되어 상기 공급구로 공급된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미스트 상태로 미분무하는 미분무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습식노즐부는, 상기 습식소화라인에 소통가능하게 결합되고,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공급되는 공급구와 공급된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에 제각기 결합되어 상기 공급구로 공급된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미스트 상태로 미분무하는 미분무노즐; 상기 하우징의 공급구나 상기 습식소화라인의 단부를 개폐가능하게 차폐하는 밸브부재; 및 상기 밸브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공급구나 상기 습식소화라인의 단부를 차폐하고, 화재발생에 따른 열기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밸브부재의 개방을 허용하는 스프링클러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상기 공급구로 유입된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관류시키고, 수축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클러헤드에 의해 가압되면서 수축하는 수축관; 및 상기 수축관의 단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축관의 수축에 의한 가압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공급구나 상기 습식소화라인의 단부를 차폐하고, 상기 수축관의 이완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공급구나 상기 습식소화라인의 단부를 개방하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피스톤은, 상기 수축관의 수축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공급구나 상기 습식소화라인의 단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밀착되는 삿갓형태의 밀착시트; 및 상기 밀착시트의 둘레를 따라 벽체를 형성하면서 다수의 통수공들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공급구나 상기 습식소화라인의 단부를 수용하고, 상기 수축관의 이완에 의해 상기 밀착시트가 상기 공급구나 상기 습식소화라인의 단부에서 이격됨에 따라 상기 통수공을 통해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통수시키는 통수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미분무노즐은,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공급되고, 타단부에 구멍형태의 오리피스가 형성되어 상기 오리피스로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토출하는 노즐하우징; 상기 노즐하우징에 내장되어 소방용수나 소화액의 유로를 형성하면서 소방용수나 소화액에 와류를 발생시켜 상기 오리피스로 토출시키는 노즐팁; 및 상기 노즐하우징의 오리피스로 토출되는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미스트상태로 분산시키는 분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분산수단은, 상기 노즐팁과 동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오리피스를 통해 상기 노즐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오리피스로 토출되는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충돌하는 돌출턱이 구비되어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양측으로 분산시키는 돌출니플; 및 상기 노즐하우징의 타단부에 함몰상태로 마련되어 상기 돌출니플을 돌출시킨상태로 수용하며, 상기 돌출턱에 의해 분산되는 소방용수나 소화액의 분산공간을 제공하면서 분산된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추가로 충돌하여 분산하는 함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노즐팁은, 상기 돌출니플이 하단에 동일체로 구비된 상태로 상기 노즐하우징에 삽입되면서 상기 노즐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나선형을 이루는 복수의 나선홈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노즐하우징의 내주면과 함께 아우터유로를 이루며, 상기 아우터유로를 통해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와류시키면서 상기 오리피스로 안내하는 아우터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팁은, 상기 아우터팁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니플로 연장되면서 상기 돌출니플의 중앙에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토출되는 중앙오리피스를 형성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나선형을 이루는 복수의 나선홈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과 함께 인너유로를 이루며, 상기 인너유로를 통해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와류시키면서 상기 중앙오리피스로 안내하는 인너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분무노즐은, 상기 노즐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에서 공급되는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분할시키는 세퍼레이터; 및 상기 세퍼레이터를 상기 노즐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노즐하우징의 일단부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어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소통시키는 소통링; 및 상기 소통링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고정되어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분할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노즐하우징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세퍼레이터를 구성하는 상기 소통링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은,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저압펌프에 의해 급수라인 및 바이패스라인을 순환하면서 비상대기함과 아울러 화재발생시 고압펌프에 의해 미분무상태로 분사되므로 화재가 신속하고 원활하게 진화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를 구성하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펌프들과 개폐밸브들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작동을 자동제어하거나 수동제어를 설정하므로 전체시스템의 중앙제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압력센서를 통해 급수라인의 압력을 모니터링하므로 저압펌프나 고압펌프의 오작동을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저장탱크를 구성하는 탱크밸브가 수위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탱크본체에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공급하므로 탱크본체에 저장용량이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소화라인이 건식타입이나 습식타입 또는 소화전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습식타입의 경우에는 하우징의 공급구나 습식소화라인을 차폐하는 밸브부재가 스프링클러헤드에 의해 개방됨에 따라 기구적인 메커니즘을 통해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밸브부재를 구성하는 수축관이 스프링클러헤드에 의해 수축되거나 이완되면서 피스톤을 이동시키므로 피스톤이 안정적이고 견고한 상태로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단속할 수 있다.
또한, 습식노즐부나 건식노즐부의 미분무노즐을 구성하는 노즐하우징으로 유입된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노즐팁에 의해 와류상태로 오리피스로 토출되는 동시에, 오리피스로 토출되는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돌출니플의 돌출턱에 충돌한 후 함몰부에 추가 충돌하여 분산됨에 따라 원활하게 미스트형태로 확산되어 화재의 진화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노즐팁이 아우터팁으로만 구성될 경우에는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아우터유로를 통해 돌출니플의 양측으로 분산상태로 분사할 수 있다.
또, 아우터팁의 수용부에 인너팁이 결합되어 인너유로를 형성하면서 중앙오리피스를 통해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분사하므로, 분사경로가 이원화되어 분사범위가 확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분무 소화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식 노즐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노즐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밸브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미분무노즐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는 도 5에 도시된 미분무노즐의 아우터유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노즐팁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8은 미분무노즐의 인너유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에 의한 분무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0은 터치패널의 표시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10), 급수라인(20), 소화라인(30), 저압펌프(40), 바이패스라인(50), 고압펌프(60) 및 컨트롤러(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저장탱크(10)는 소방용수나 소화액(이하 '소방용수'라고 함)이 설정된 용량으로 저장되는 부재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11), 수위센서(12) 및 탱크밸브(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탱크본체(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급수관(11a)으로부터 공급되는 소방용수를 저장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탱크본체(11)는 통상의 탱크부재와 같이 드레인(11b)과 오버플로우관(11c)이 구비될 수 있다.
수위센서(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11)에 내장되며, 탱크본체(11)에 저장된 소방용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후술되는 컨트롤러(70)에 인가한다.
탱크밸브(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센서(12)의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한 컨트롤러(70)의 제어에 따라 급수관(11a)을 개폐하면서 탱크본체(11)로 공급되는 소방용수를 단속한다.
즉, 탱크본체(11)는 수위센서(12) 및 탱크밸브(13)의 작동에 따라 설정된 용량의 소방용수가 상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급수라인(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저압펌프(40)나 고압펌프(60)를 통해 저장탱크(10)에 연결되어 소방용수를 공급받으며, 실내로 연장되어 후술되는 소화라인(30)에 소방용수를 급수한다.
소화라인(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라인(20)에 연결된 상태로 실내공간에 배치되어 화재발생시 소방용수를 미스트상태로 미분무시켜 화재를 진화시키는 구성요소로써, 건식소화라인(30a)과 습식소화라인(30b) 및 소화전라인(30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건식소화라인(30a)은 급수라인(20)의 소방용수가 화재발생시에만 공급되어 미분무상태로 분사되는 구성요소로, 실내의 천정에 설치되는 건식노즐부(31)들을 통해 소방용수를 미분무상태로 분사한다.
습식소화라인(30b)는 급수라인(20)의 소방용수가 상시적으로 공급되어 화재의 열기에 의해 기구적으로 개방되면서 비분무상태로 분사하는 구성요소로, 실내의 천정을 따라 설치되는 습식노즐부(33)들을 통해 소방용수를 미분무상태로 분사한다.
여기서, 상기 건식노즐부(31) 및 습식노즐부(33)의 세부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소화전라인(30c)은 미도시된 분사건을 수동조작을 통해 소방용수를 미분무상태로 분사하는 것으로, 급수라인(20)의 소방용수가 상시적으로 공급되며, 사용자에 의해 분사건이 작동함에 따라 소방용수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화시킨다.
저압펌프(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10)와 급수라인(20)을 연결하면서 저장탱크(10)의 소방용수를 저압으로 공급하여 급수라인(20)에 소방용수를 비상대기시키는 부재이다.
즉, 저압펌프(40)는 급수라인(20)에 소방용수를 상시적으로 대기시킴으로써 화재발생시 전술한 건식소화라인(30a)에 신속하게 소방용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전술한 습식소화라인(30b) 및 소화전라인(30c)이 작동할 경우에도 소방용수를 신속하게 재공급할 수 있다.
바이패스라인(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라인(20)과 저장탱크(10)를 연결시킴으로써 급수라인(20)에 저압공급된 소방용수를 저장탱크(10)로 바이패스시키면서 순환시킨다.
고압펌프(60)는 화재발생시에 저장탱크(10)의 소방용수를 급수라인(20)에 고압으로 공급하여 소화라인(30)을 통해 미분무시킴으로써 화재를 진화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고압펌프(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압펌프(40)와 분기된 상태로 저장탱크(10)와 급수라인(20)을 연결하며, 화재발생시 컨트롤러(70)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면서 저장탱크(10)의 소방용수를 고압으로 급수라인(20)에 공급한다.
컨트롤러(70)는 전술한 저압펌프(40)와 고압펌프(60) 및 각 라인(20)(30)(5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컨트롤러(70)는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급수라인(20)이나 소화라인(30) 또는 바이패스라인(60)을 개폐하여 소방용수를 단속하는 개폐밸브(71)와, 터치스크린(7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72)은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픽의 형태로 개폐밸브(71)들과 펌프(40)(60)들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며, 개폐밸브(71)들과 펌프(40)(60)들을 원격제어나 자동제어 또는 수동제어를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스크린(72)은 각 구성품들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터치패널이나 마이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무선통신망을 통해 구성품들과 연결되어 구성품들을 무선 모니터링과 무선제어하는 테블릿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컨트롤러(70)는 미도시된 화재감지센서를 통해 화재발생을 감지하면서 개폐밸브(71)들과 펌프(40)(60)들의 작동을 자동설정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에 따라 터치스크린(72)을 통해 원격으로 개폐밸브(71)들과 펌프(40)(60)들을 작동시키거나 수동작동을 설정한다.
즉, 컨트롤러(70)는 평상시 저압펌프(40)와 개폐밸브(71)들을 작동시켜서 급수라인(20)이나 소화라인(30)에 소방용수를 상시적으로 대기시키고, 화재발생시 고압펌프(40)를 작동시켜서 화재발생구역에 소방용수를 고압으로 공급하여 미분무시킨다.
한편, 컨트롤러(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센서(7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압력센서(7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라인(20)에 설치되어 소방용수의 공급압력을 감지하여 터치스크린(72)에 제공한다.
이러한 압력센서(7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급수라인(20)의 고압압력과 저압압력을 제각기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70)는 터치스크린(72)에 모니터링되는 저압펌프(40) 및 고압펌프(60)의 상태와, 압력센서(73)를 통해 감지되는 급수라인(20)의 급수압력을 비교함으로써 저압펌프(40) 및 고압펌프(60)의 오작동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급수라인(20)이나 소화라인(30) 또는 바이패스라인(60)에는 설계시 필요에 따라 미도시된 레귤레이터나 플로우센서 또는 플로우스위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전술한 건식소화라인(30a)을 구성하는 건식노즐부(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및 미분무노즐(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용수가 공급되는 건식소화라인(30a)에 결합되며, 소방용수가 공급되어 배출되는 공급구(110) 및 배출구(120)가 형성된다.
여기서, 배출구(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소방용수의 분사반경을 확장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배출구(120)는 설치지역의 면적이나 형태에 따라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미분무노즐(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배출구들(120)에 제각기 결합되어 소방용수를 분사하면서, 분사되는 소방용수를 미스트상태로 미분무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미분무노즐(200)의 세부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전술한 습식노즐부(3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미분무노즐(200), 밸브부재(300) 및 스프링클러헤드(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건식노즐부(33)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후술되는 밸브부재(300)와 스프링클러헤드(400)가 설치된 점이 다른 점이다.
즉, 습식노즐부(33)의 하우징(100)은 공급구(110)가 형성되어 습식소화라인(30b)에서 공급되는 소방용수가 공급되며, 배출구(120)에 결합되는 미분무노즐(200)을 통해 소방용수를 미스트상태로 미분무한다.
여기서, 습식노즐부(33)와 건식노즐부(31)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미분무노즐(200)에 관해 설명하면, 예컨대 미분무노즐(2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하우징(210), 노즐팁(220) 및 분산수단(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노즐하우징(210)은 소방용수가 배출되는 하우징(100)의 배출구(120)에 제각기 결합되어 화재발생시 소방용수를 토출하는 것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상단부를 통해 배출구(120) 나사결합되며, 하단부에 구멍형태의 오리피스(211)가 관통형성되어 화재발생시 오리피스(211)를 통해 소방용수를 토출한다.
이러한 노즐하우징(210)은 양측에 렌치와 같은 공구가 삽입되는 파지홈(215)이 형성되어 공구에 의해 회전하면서 하우징(100)의 배출구(120)에 나사결합된다.
노즐팁(22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하우징(210)에 내장되어 소방용수의 유로를 형성하면서 소방용수에 와류를 발생시켜서 오리피스(211)로 안내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노즐팁(220)은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팁(22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우터팁(221)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팽이형태로 형성되어 노즐하우징(210)에 삽입되면서 노즐하우징(210)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이러한 아우터팁(22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의 나선홈(221a)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하우징(210)의 내주면과 함께 아우터유로(220a)를 형성함에 따라 소방용수를 아우터유로(220a)를 통해 오리피스(211)로 안내하여 토출시킨다.
이때, 소방용수는 나선형의 아우터유로(220a)를 따라 안내되면서 회전하여 와류를 일으키면서 토출된다.
분산수단(230)은 아우터유로(220a)를 따라 오리피스(211)로 토출되는 소방용수를 미스트상태로 분산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써,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니플(231) 및 함몰부(2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돌출니플(23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노즐팁(220)을 구성하는 아우터팁(221)에 동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오리피스(211)를 통해 노즐하우징(210)의 외부로 돌출되며, 양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턱(231a)이 형성된다.
즉, 돌출니플(23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유로(220a)를 통해 오리피스(211)로 토출되는 소방용수에 돌출턱(231a)이 충돌하면서 소방용수를 양측으로 분산시킨다.
따라서, 소방용수는 돌출니플(231)에 형성된 돌출턱(231a)과의 충돌에 의해 미세입자상태로 분산되면서 미스트상태로 확산될 수 있다.
함몰부(23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하우징(210)의 하단에 함몰상태로 형성되어 돌출니플(231)을 돌출상태로 수용한다.
이러한 함몰부(23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턱(231a)에 충돌하여 분산되는 소방용수의 분산공간을 제공하며, 분산된 소방용수에 추가로 충돌하면서 소방용수를 추가로 분산시킨다.
즉, 소방용수는 돌출니플(231)의 돌출턱(231a)에 충돌하면서 분산된 후, 함몰부(232)에 추가로 충돌하면서 노즐하우징(210)의 양측으로 분산된다.
따라서, 소방용수는 더욱 원활하게 미세입자로 분산되면서 미스트상태로 확산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노즐팁(2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22) 및 인너팁(22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용부(22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팁(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어 아우터팁(221)의 내측에 후술되는 인너팁(223)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돌출니플(231)로 연장되면서 돌출니플(231)의 중앙에 소방용수가 토출되는 중앙오리피스(222a)를 형성한다.
즉, 본 발명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유로(220a)로 이동하는 소방용수를 돌출니플(231)의 외곽을 통해 오리피스(211)로 분사하고, 수용부(222)로 이동하는 소방용수를 중앙오리피스(222a)로 분사한다.
따라서, 소방용수는 다원화된 경로로 분사됨에 따라 분사범위가 확장될 수 있다.
인너팁(22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22)에 삽입되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22)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나선홈(223a)이 형성됨에 따라 수용부(222)의 내주면과 함께 인너유로(220b)를 형성한다.
즉, 인너팁(223)은 수용부(222)의 내측에서 나선형의 인너유로(220b)를 형성함으로써 소방용수를 회전시켜 와류를 발생시키면서 중앙오리피스(222a)로 안내하여 분사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미분무노즐(2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240) 및 고정부재(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세퍼레이터(240)는 노즐하우징(210)으로 유입되는 소방용수를 양측으로 분할시키는 구성요소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통링(241) 및 분할핀(2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소통링(241)은 상단에 플랜지(241a)가 마련된 링형태로 형성되어 노즐하우징(211)의 상부에 삽입된다.
분할핀(24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형태를 이루면서 소통링(241)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고정되며, 노즐하우징(210)의 상부로 유입되는 소방용수를 양측으로 분할시켜 와류를 발생시킨다.
고정부재(250)는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하우징(210)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고정링(2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하우징(210)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면서 소통링(241)의 플랜지(241a)를 가압하여 고정한다.
한편, 습식노즐부(33)에 설치되는 밸브부재(300)는 전술한 하우징(100)의 공급구(110)나 습식소화라인(30b)의 단부를 개폐가능하게 차폐하여 화재발생시 소방용수를 배출구(120)로 공급하는 부재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스프링클러헤드(400)에 의해 가압되면서 공급구(110)를 차폐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클러헤드(400)의 가압이 해제됨에 따라 공급구(110)를 개방한다.
밸브부재(300)는 예컨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관(310) 및 피스톤(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축관(31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보는 절구통형태를 이루면서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소방용수를 관류시키며, 후술되는 스프링클러헤드(400)에 의해 가압되어 수축되면서 후술되는 피스톤(320)을 가압하여 이동시킨다.
이러한 수축관(310)은 원활한 수축을 위하여 고무재의 관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스톤(320)은 수축관(310)의 단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관(310)의 수축에 따른 가압에 의해 이동하면서 공급구(110)나 습식소화라인(30b)의 단부를 차폐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관(310)의 이완에 의해 이동하면서 공급구(1100나 습식소화라인(30b)의 단부를 개방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피스톤(320)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시트(321) 및 통수스크린(3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밀착시트(3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삿갓형태로 형성되며, 수축관(310)의 수축에 의해 공급구(110)나 습식소화라인(30b)의 단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밀착되면서 소방용수의 공급을 차단한다.
통수스크린(3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시트(321)의 둘레를 따라 외벽을 형성하면서 습식소화라인(30b)의 단부를 수용하며, 다수의 통수공(322a)들이 관통형성된다.
이러한 통수스크린(32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관(310)의 이완에 의해 밀착시트(321)가 습식소화라인(30b)의 단부에서 이격됨에 따라 통수공(322a)을 통해 소방용수를 통수시켜 공급한다.
스프링클러헤드(400)는 평상시 밸브부재(300)를 구성하는 수축관(310)을 가압하여 소방용수의 공급을 차단하고, 화재발생시 열기에 의해 작동하면서 밸브부재(300)의 개방을 허용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스프링클러헤드(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축관(310)을 가압하는 플런저(410)와, 하우징(100)에 결합되면서 플런저(410)를 수용하는 벌브케이스(420)와, 벌브케이스(420)에 내장된 상태로 플런저(410)를 지지하면서 화재에 의한 열기에 의해 파손되면서 플런저(410)의 이동을 허용하는 글라스벌브(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글라스벌브(430)는 열기에 의해 팽창하는 감열체가 투명한 유리관의 내부에 충전된 것으로, 평상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410)를 지지하여 수축관(310)을 가압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발생시 열기에 의해 팽창되어 파손됨으로써 수축관(310)을 이완시켜 피스톤(320)의 이동을 허용함으로써 소방용수를 미분무노즐(200)로 공급한다.
즉, 스프링클러헤드(400)는 통상적인 습식 소화설비에 널리 사용되는 감열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습식노즐부(33)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 밸브부재(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클러헤드(400)에 의해 수축관(310)이 가압되어 수축됨에 따라 피스톤(320)의 밀착시트(321)를 통해 습식소화라인(30b)을 차폐하면서 소방용수나 소화액의 공급을 차단한다.
그리고, 밸브부재(300)는 화재발생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식소화라인(30b) 및 공급구(110)를 개방하여 소방용수를 미분무노즐(200)로 공급한다.
이때, 스프링클러헤드(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의 열기에 의해 글라스벌브(430)가 파손되어 플런저(410)의 이동이 허용됨에 따라 수축관(320)의 가압을 해제시키며, 피스톤(320)은 수축관(320)의 이완에 의해 이동하면서 습식소화라인(30b)의 단부에서 이격된다.
이에 따라, 습식소화라인(30b)의 소방용수는 피스톤(320)을 구성하는 통수스크린(322)의 통수공(322a)을 통해 유입되어 미분무노즐(200)로 공급된다.
그리고, 공급된 소방용수는 노즐하우징(210)의 상부로 유입된다. 이때, 소방용수는 소통링(241)에 고정된 분할핀(242)에 의해 양측으로 분할되어 와류를 일으키면서 노즐하우징(210)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소방용수는 아우터팁(221)의 외주면에 형성된 아우터유로(220a)를 따라 회전하면서 오리피스(211)로 토출되는 동시에, 인너팁(223)의 외주면에 형성된 인너유로(220b)를 따라 회전하면서 중앙오리피스(222a)로 토출된다.
이때, 오리피스(211)로 토출된 소방용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니플(231)의 돌출턱(231a)에 충돌하면서 미세입자상태로 분산되며, 다시 함몰부(232)에 추가로 충돌하면서 분산되어 미스트상태로 확산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에 의하면,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저압펌프(40)에 의해 급수라인(30) 및 바이패스라인(50)을 순환하면서 비상대기함과 아울러 화재발생시 고압펌프(60)에 의해 미분무상태로 분사되므로 화재가 신속하고 원활하게 진화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70)를 구성하는 터치스크린(72)을 통해 펌프들(40)(60)과 개폐밸브들(71)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작동을 자동제어하거나 수동제어를 설정하므로 전체시스템의 중앙제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압력센서(73)를 통해 급수라인(20)의 압력을 모니터링하므로 저압펌프(40)나 고압펌프(60)의 오작동을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저장탱크(10)를 구성하는 탱크밸브(13)가 수위센서(12)의 감지신호에 따라 탱크본체(11)에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공급하므로 탱크본체(11)에 저장용량이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소화라인(30)이 건식타입(30a)이나 습식타입(30b) 또는 소화전(30c)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습식타입(30b)의 경우에는 하우징(100)의 공급구(110)나 습식소화라인(30b)을 차폐하는 밸브부재(300)가 스프링클러헤드(400)에 의해 개방됨에 따라 기구적인 메커니즘을 통해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밸브부재(300)를 구성하는 수축관(310)이 스프링클러헤드(400)에 의해 수축되거나 이완되면서 피스톤(320)을 이동시키므로 피스톤(320)이 안정적이고 견고한 상태로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단속할 수 있다.
그리고, 습식노즐부(33)나 건식노즐부(31)의 미분무노즐(200)을 구성하는 노즐하우징(210)으로 유입된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노즐팁(220)에 의해 와류상태로 오리피스(211)로 토출되는 동시에, 오리피스(211)로 토출되는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돌출니플(231)의 돌출턱(231a)에 충돌한 후 함몰부(232)에 추가 충돌하여 분산됨에 따라 원활하게 미스트형태로 확산되어 화재의 진화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노즐팁(220)이 아우터팁(221)으로만 구성될 경우에는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아우터유로(220a)를 통해 돌출니플(231)의 양측으로 분산상태로 분사할 수 있다.
그리고, 아우터팁(221)의 수용부(222)에 인너팁(223)이 결합되어 인너유로(220b)를 형성하면서 중앙오리피스(222a)를 통해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분사하므로, 분사경로가 이원화되어 분사범위가 확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 저장탱크 11 : 탱크본체
12 : 수위센서 13 : 탱크밸브
20 : 급수라인 30 : 소화라인
30a : 건식소화라인 30b : 습식소화라인
30c : 소화전라인 31 : 건식노즐부
33 : 습식노즐부 40 : 저압펌프
50 : 바이패스라인 60 : 고압펌프
70 : 컨트롤러 71 : 개폐밸브
72 : 터치스크린 73 : 압력센서
100 : 하우징 110 : 공급구
120 : 배출구 200 : 미분무노즐
210 : 노즐하우징 211 : 오리피스
215 : 파지홈 220 : 노즐팁
220a : 아우터유로 220b : 인너유로
221 : 아우터팁 221a : 나선홈
222 : 수용부 222a : 중앙오리피스
223 : 인너팁 223a : 나선홈
230 : 분산수단 231 : 돌출니플
231a : 돌출턱 232 : 함몰부
240 : 세퍼레이터 241 : 소통링
242 : 분할핀 250 : 고정부재
300 : 밸브부재 310 : 수축관
320 : 피스톤 321 : 밀착시트
322 : 통수스크린 322a : 통수공
400 : 스프링클러헤드
410 : 플런저 420 : 벌브케이스
430 : 글라스벌브

Claims (15)

  1. 화재발생시 실내에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화시키는 소화시스템으로서,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자동으로 공급되면서 설정된 용량으로 저장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통수가능하게 연결되고, 실내로 연장되면서 상기 저장탱크의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실내로 급수되는 급수라인;
    상기 급수라인에 연결되어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미스트상태로 미분무하면서 화재를 진화시키는 소화라인;
    상기 저장탱크의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상기 급수라인에 저압상태로 공급하면서 상기 소화라인이나 상기 급수라인에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비상대기시키는 저압펌프;
    상기 저압펌프에 의해 공급된 상기 급수라인의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상기 저장탱크로 바이패스시키면서 순환시키는 바이패스라인;
    상기 저압펌프와 분기된 상태로 상기 급수라인에 연결되고, 화재발생시 상기 저장탱크의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상기 급수라인에 고압으로 공급하면서 상기 소화라인을 통해 미분무시키는 고압펌프; 및
    상기 저압펌프 및 상기 고압펌프의 작동을 터치스크린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제어하며, 상기 급수라인과 상기 소화라인 및 상기 바이패스라인의 개폐를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라인은,
    상기 급수라인에 개폐가능한 상태로 연결되고, 화재발생시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개방되면서 상기 급수라인의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공급됨에 따라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미분무상태로 분사하는 건식노즐부를 갖는 건식소화라인;
    상기 건식소화라인과 분리된 상태로 상기 급수라인에 연결되어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상시 공급되고, 화재발생의 열기에 의해 개방되면서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미분무상태로 분사하는 습식노즐부를 갖는 습식소화라인; 및
    상기 습식소화라인 및 상기 건식소화라인과 분리된 상태로 상기 급수라인에 연결되어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상시 공급되고, 수동조작에 의해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분사하는 분사건을 갖는 소화전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습식노즐부는,
    상기 습식소화라인에 소통가능하게 결합되고,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공급되는 공급구와 공급된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에 제각기 결합되어 상기 공급구로 공급된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미스트 상태로 미분무하는 미분무노즐;
    상기 하우징의 공급구나 상기 습식소화라인의 단부를 개폐가능하게 차폐하는 밸브부재; 및
    상기 밸브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공급구나 상기 습식소화라인의 단부를 차폐하고, 화재발생에 따른 열기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밸브부재의 개방을 허용하는 스프링클러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상기 공급구로 유입된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관류시키고, 수축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클러헤드에 의해 가압되면서 수축하는 수축관; 및
    상기 수축관의 단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축관의 수축에 의한 가압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공급구나 상기 습식소화라인의 단부를 차폐하고, 상기 수축관의 이완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공급구나 상기 습식소화라인의 단부를 개방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급수라인과 상기 소화라인 및 상기 바이패스라인에 제각기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개폐밸브들과 상기 저압펌프 및 상기 고압펌프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면서 상기 개폐밸브들과 상기 펌프들을 원격제어하거나 상기 개폐밸브들과 상기 펌프들의 수동제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급수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라인을 관류하는 소방용수나 소화액의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압력센서의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저압펌프 및 상기 고압펌프의 오작동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는,
    외부에서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공급되어 저장되어 상기 저압펌프와 상기 고압펌프로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공급하고, 상기 바이패스라인에 연결되는 탱크본체;
    상기 탱크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탱크본체의 수위를 감지하면서 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수위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하면서 상기 탱크본체로 공급되는 외부의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단속하는 탱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식노즐부는,
    상기 건식소화라인에 소통가능하게 결합되고,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공급되는 공급구와 공급된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에 제각기 결합되어 상기 공급구로 공급된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미스트 상태로 미분무하는 미분무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수축관의 수축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공급구나 상기 습식소화라인의 단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밀착되는 삿갓형태의 밀착시트; 및
    상기 밀착시트의 둘레를 따라 벽체를 형성하면서 다수의 통수공들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공급구나 상기 습식소화라인의 단부를 수용하고, 상기 수축관의 이완에 의해 상기 밀착시트가 상기 공급구나 상기 습식소화라인의 단부에서 이격됨에 따라 상기 통수공을 통해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통수시키는 통수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미분무노즐은,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공급되고, 타단부에 구멍형태의 오리피스가 형성되어 상기 오리피스로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토출하는 노즐하우징;
    상기 노즐하우징에 내장되어 소방용수나 소화액의 유로를 형성하면서 소방용수나 소화액에 와류를 발생시켜 상기 오리피스로 토출시키는 노즐팁; 및
    상기 노즐하우징의 오리피스로 토출되는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미스트상태로 분산시키는 분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분산수단은,
    상기 노즐팁과 동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오리피스를 통해 상기 노즐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오리피스로 토출되는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충돌하는 돌출턱이 구비되어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양측으로 분산시키는 돌출니플; 및
    상기 노즐하우징의 타단부에 함몰상태로 마련되어 상기 돌출니플을 돌출시킨상태로 수용하며, 상기 돌출턱에 의해 분산되는 소방용수나 소화액의 분산공간을 제공하면서 분산된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추가로 충돌하여 분산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노즐팁은,
    상기 돌출니플이 하단에 동일체로 구비된 상태로 상기 노즐하우징에 삽입되면서 상기 노즐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나선형을 이루는 복수의 나선홈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노즐하우징의 내주면과 함께 아우터유로를 이루며, 상기 아우터유로를 통해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와류시키면서 상기 오리피스로 안내하는 아우터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노즐팁은,
    상기 아우터팁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니플로 연장되면서 상기 돌출니플의 중앙에 소방용수나 소화액이 토출되는 중앙오리피스를 형성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나선형을 이루는 복수의 나선홈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과 함께 인너유로를 이루며, 상기 인너유로를 통해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와류시키면서 상기 중앙오리피스로 안내하는 인너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미분무노즐은,
    상기 노즐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배출구에서 공급되는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분할시키는 세퍼레이터; 및
    상기 세퍼레이터를 상기 노즐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노즐하우징의 일단부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어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소통시키는 소통링; 및
    상기 소통링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고정되어 소방용수나 소화액을 분할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노즐하우징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세퍼레이터를 구성하는 상기 소통링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
KR1020140022347A 2014-02-26 2014-02-26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 KR101537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347A KR101537525B1 (ko) 2014-02-26 2014-02-26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347A KR101537525B1 (ko) 2014-02-26 2014-02-26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7525B1 true KR101537525B1 (ko) 2015-07-22

Family

ID=53874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347A KR101537525B1 (ko) 2014-02-26 2014-02-26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5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4312A (zh) * 2019-03-21 2019-10-11 林玉琴 一种暗装式室内消防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9961B2 (ja) * 1991-05-20 2002-02-25 マリオフ・コーポレーシヨン・オー・ワイ 消火設備
KR200388089Y1 (ko) * 2005-03-31 2005-06-29 주식회사 거송시스템 미세 물분무형 자동 소화장치
KR200408964Y1 (ko) * 2005-11-28 2006-02-15 주식회사 거송시스템 미세 물 분무용 소화수 공급장치
KR20060019384A (ko) * 2004-08-27 2006-03-03 유홍선 화재방재용 다중 혼합식 고압노즐
KR101330803B1 (ko) * 2013-06-17 2013-11-18 최춘영 노즐팁 및 이를 이용한 소방용 분무노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9961B2 (ja) * 1991-05-20 2002-02-25 マリオフ・コーポレーシヨン・オー・ワイ 消火設備
KR20060019384A (ko) * 2004-08-27 2006-03-03 유홍선 화재방재용 다중 혼합식 고압노즐
KR200388089Y1 (ko) * 2005-03-31 2005-06-29 주식회사 거송시스템 미세 물분무형 자동 소화장치
KR200408964Y1 (ko) * 2005-11-28 2006-02-15 주식회사 거송시스템 미세 물 분무용 소화수 공급장치
KR101330803B1 (ko) * 2013-06-17 2013-11-18 최춘영 노즐팁 및 이를 이용한 소방용 분무노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4312A (zh) * 2019-03-21 2019-10-11 林玉琴 一种暗装式室内消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6122B1 (ko) 미분무노즐을 갖는 소화설비
KR101776218B1 (ko) 철도차량용 화재 수신기 및 소화시스템
KR101737005B1 (ko) 연기확산 방지 소방용 분사 노즐
KR101161952B1 (ko) 주방 화재진압용 자동 및 수동식 소화장치
KR102009371B1 (ko) 자동 소화 시스템의 소화기 격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소화 장치
KR101662590B1 (ko)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CN104906722A (zh) 双驱混合细水雾灭火***
KR101974074B1 (ko) 터널 화재 진압 시스템
US10933265B2 (en) Ambient mist sprinkler head
KR101537525B1 (ko)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
KR100679675B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102209985B1 (ko) 드라이 팬턴트 조립체
KR101278177B1 (ko) 화재 진압 능력을 높인 화재 진압 시스템
KR101015188B1 (ko) 휴대용 소화기의 압력공급용 밸브
CN102302833A (zh) 一种网格分布式文物古建筑灭火***
KR101396123B1 (ko) 소방용 미분무 소화노즐
KR101234590B1 (ko) 선박의 식용유 튀김조리기 친환경 화재 진압장치
KR101993606B1 (ko) 소화가스 및 스프링클러 겸용 분사헤드 및 이를 이용한 소화시스템
KR101053637B1 (ko)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KR20170135236A (ko) 철도차량용 미분무 소화시스템
KR101267421B1 (ko) 드렌처 및 미분무 겸용 헤드 및 이를 구비한 소방 시스템
KR100322762B1 (ko) 물안개분사 소화용 노즐
KR200388089Y1 (ko) 미세 물분무형 자동 소화장치
KR101022496B1 (ko) 소방수 배관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
KR102078081B1 (ko) 소화가스 및 스프링클러 겸용 분사헤드 및 이를 이용한 소화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