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295B1 - 전동식 전지가위 - Google Patents

전동식 전지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295B1
KR101535295B1 KR1020150008238A KR20150008238A KR101535295B1 KR 101535295 B1 KR101535295 B1 KR 101535295B1 KR 1020150008238 A KR1020150008238 A KR 1020150008238A KR 20150008238 A KR20150008238 A KR 20150008238A KR 101535295 B1 KR101535295 B1 KR 101535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ipe
cutting
power transmission
driv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운선
Original Assignee
한운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운선 filed Critical 한운선
Priority to KR1020150008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2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295B1/ko
Priority to CN201520903110.9U priority patent/CN205266388U/zh
Priority to PCT/KR2015/013885 priority patent/WO201611450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01G3/033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having motor-driven blades
    • A01G3/037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having motor-driven blades the driving means being an electric mo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전지가위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장착공간이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로부터 연장된 지지파이프에 일 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파이프부와; 상기 파이프부의 단부에 고정된 고정날과, 상기 고정날과 함께 나뭇가지를 자를 수 있도록 상기 고정날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절단날을 포함하는 절단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변환부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작부와; 상기 구동부에 일 측이 결합되고 상기 절단날에 타 측이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절단부가 절단 동작 또는 풀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상기 절단날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식 전지가위{Pruning shears}
본 발명은 전동식 전지가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곳에 있는 굵은 가지를 자르는데 필요한 절단력을 확보하여 간단하면서 용이하게 과실수나 기타 나무의 전정을 수행할 수 있는 전동식 전지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농가나 조경관련분야 또는 산림분야에서 과실수나 관상수 또는 기타 나무의 성장을 도우면서 튼튼하고 많은 과실을 수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나무의 가지치기를 위하여 다양한 절단도구들이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절단도구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전지가위이며, 이러한 전지가위는 선단 측에 요입된 원호 형상의 받침날을 가지는 받침날 바디와, 받침날과 함께 가지를 절단할 수 있도록 돌출된 원호 형상의 절단날을 가지는 절단날 바디를 구비하며, 받침날 바디에 대하여 절단날 바디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절단날 바디의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받침날 바디와 절단날 바디의 후방으로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절단에 필요한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손잡이를 고정하고, 손잡이 사이에는 절단 후 받침날과 절단날이 서로 물려있지 않은 상태 즉, 개방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복원 스프링을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전지가위는, 작업자의 악력(握力)에 의하여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의 손에 피로도가 누적되어 전지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 들어서는 전동기를 이용한 다양한 종류의 전동 전지가위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 중 대표적인 예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16812호에는 자동 전지가위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자동 전지가위는 받침대의 후방에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모터와, 상기 받침대의 전방 상부에 고정브라켓을 매개로 연결되는 고정날과, 상기 고정날 측에 핀 구조로 회전 가능하게 조합되는 가동날과,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원판과, 일 단은 회전원판의 가장자리 일 측에 연결되고 타 단은 가동날의 후방에 연결되는 작동로드와, 상기 받침대의 후방에 연결되어 모터의 동력을 회전원판에 전달하는 기어 전동장치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자동 전지가위는 부피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전지가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클 뿐 아니라 중량도 무거워 장시간 작업을 필요로 하는 전지작업에 맞지 않고 오히려 취급이 용이하지 못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더욱 가중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가지의 절단작업을 오로지 전동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가지의 크기가 클 경우에는 절단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작업자가 손으로 힘을 보태려고 하여도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공간이나 손잡이가 전혀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손으로 수행하는 전지작업에 비하여 효율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식 전지가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전지가위는 내부에 장착공간이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로부터 연장된 지지파이프에 일 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파이프부와; 상기 파이프부의 단부에 고정된 고정날과, 상기 고정날과 함께 나뭇가지를 자를 수 있도록 상기 고정날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절단날을 포함하는 절단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변환부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작부와; 상기 구동부에 일 측이 결합되고 상기 절단날에 타 측이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절단부가 절단 동작 또는 풀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상기 절단날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이프부는 일 측이 상기 지지파이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의 타 측에 일 측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파이프의 내부로 진입되거나 상기 제1파이프의 외부로 진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의 단부에 설치되며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파이프에 대하여 상기 제2파이프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파이프에 간섭되거나 상기 제1파이프에 대하여 상기 제2파이프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2파이프에 간섭을 해제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를 일 측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상기 파이프부를 따라 상기 절단부를 향하여 전진하고 상기 구동모터를 타 측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상기 파이프부를 따라 상기 구동부를 향하여 후퇴하도록 된 것으로서, 상기 동력변환부에 일 단이 고정되고 타 단은 상기 제1파이프 내부를 따라 연장된 제1동력전달로드와, 상기 제1동력전달로드의 타 단에 고정되는 중계부와, 상기 절단날에 일 측이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제1파이프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위치고정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중계부와 함께 전진 또는 후퇴할 수 있도록 일 측이 상기 중계부에 간섭되거나 상기 중계부와 개별적으로 전진 또는 후퇴할 수 있도록 상기 중계부로부터 간섭이 해제되는 제2동력전달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부는 상기 제2동력전달로드가 통과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통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부와 대응하는 상기 파이프부의 내측에 배치된 중계몸체와, 상기 중계몸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위치고정부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시 상기 제2동력전달로드에 간섭되고 상기 위치고정부에 의해 상방으로 회전시 상기 제2동력전달로드에 간섭이 해제되는 간섭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섭레버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간섭로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2동력전달로드의 상부에는 상기 간섭레버가 하방으로 회전시 상기 간섭로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인입된 인입홈이 상기 제2동력전달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변환부에 고정된 상기 제1동력전달로드의 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 사이에는 상기 제1파이프를 상기 지지파이프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제1파이프가 상기 지지파이프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지지부와, 상기 회전지지부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파이프의 회전을 설정된 각도 이내로 제한하기 위한 회전제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부의 절단 동작시,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나뭇가지를 상기 절단날의 벌림 동작시까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절단부에 설치된 파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변환부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전진하거나 후퇴하는 진퇴로드와, 상기 진퇴로드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진퇴로드의 전진 제한 위치인 제1위치에 설치되는 제1리밋스위치와, 상기 진퇴로드의 후퇴 제한 위치인 제2위치에 설치되는 제2리밋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리밋스위치 또는 상기 제2리밋스위치에 상기 진퇴로드가 도달할 시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절단부의 절단 동작시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반력에 의해 상기 구동부가 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마이크로스위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스위치로부터 상기 구동부가 이탈될 시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전지가위는 동력원으로 모터를 적용함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고,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1리밋스위치 및 제2리밋스위치 그리고 마이크로스위치를 통해 모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전지가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전지가위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전지가위의 부분 발췌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전지가위의 동력전달부를 나타낸 부분 발췌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전지가위의 동력전달부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전지가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전지가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전지가위(1)는 케이스(100)와; 파이프부(200)와; 절단부(300)와; 구동부(400)와; 조작부(500)와; 동력전달부와; 배터리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구동부(40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간이 형성되도록 좌측케이스(110)와 우측케이스(1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일 측으로 연장되며 내측에 중공부가 마련된 지지파이프(1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파이프(130)에는 후술하는 파이프부(20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파이프부(200)는 상기 케이스(100)로부터 연장된 지지파이프(130)에 일 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것으로서, 제1파이프(210)와, 제2파이프(220)와, 위치고정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파이프(210)는 일 측 단부가 상기 지지파이프(1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파이프(210)와 상기 지지파이프(130) 사이에는 상기 제1파이프(210)를 상기 지지파이프(13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제1파이프(210)가 상기 지지파이프(1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된 회전지지부(211)와, 상기 회전지지부(211)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파이프(210)의 회전을 설정된 각도 이내로 제한하기 위한 회전제한부(22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전지지부(211)는 상기 제1파이프(210)의 단부 측 원주면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 고정되고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제1돌기와, 상기 제1돌기와 대응하는 상기 지지파이프(13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돌기를 안내하는 제1안내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제한부(221)는 상기 회전지지부(211)로부터 상기 파이프부(200)의 끝 단 측 케이스(100)와 먼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제2돌기와, 상기 제2돌기와 대응하는 상기 지지파이프(13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돌기를 안내하는 제2안내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안내홈은 제2돌기가 지지파이프(1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안내홈은 제2돌기를 좌우방향으로 90°만큼 즉, 일 측 끝으로부터 타 측 끝으로 회전시 180°로 회전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2파이프(220)는 단부에 후술하는 절단부(30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파이프(210)의 타 측에 일 측 단부가 소정길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파이프(210)의 내부로 진입되거나 상기 제1파이프(210)의 외부로 진출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파이프(220)는 제1파이프(21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위치고정부(230)에 의해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파이프(220)의 단부측과 인접하는 상측 외주면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고정홈들이 제2파이프(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위치고정부(230)를 통해 그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230)는 상기 제1파이프(210)의 단부에 설치되며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파이프(210)에 대하여 상기 제2파이프(220)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파이프(220)에 간섭되거나 상기 제1파이프(210)에 대하여 상기 제2파이프(220)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2파이프(220)에 간섭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230)는 제1파이프(210)와 제2파이프(220)가 경계하는 위치에 고정되는 커플러(231)와, 상기 커플러(2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파이프(220)에 형성된 고정홈으로 진입하는 고정핀(233)을 포함하는 조정부(232)를 포함한다. 상기 조정부(232)는 평상시에는 고정핀(233)이 제2파이프(220)의 고정홈으로 진입하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작업자가 타 측을 누르면 고정핀(233)이 상승하면서 제2파이프(220)의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되어 제1파이프(210)에 대하여 제2파이프(220)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절단부(300)는 상기 제2파이프(220)의 단부에 설치되어 절단대상 나뭇가지를 절단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파이프(220)부(200)의 단부에 고정된 고정날(310)과, 상기 고정날(310)과 함께 나뭇가지를 자를 수 있도록 상기 고정날(3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절단날(32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날(310)은 하방으로 오목하게 날이 형성되어 있고, 절단날(320)은 하방으로 볼록하게 날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날(310)과 절단날(320) 사이로 나뭇가지를 대고 고정날(310)에 대하여 절단날(320)을 하방으로 회전시키면 나뭇가지를 절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절단부(30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지가위(1)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날(310)은 별도의 브라켓을 통해 제2파이프(220)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절단날(320)은 힌지에 의해 고정날(3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일 측에는 후술하는 동력전달부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절단부(300) 측에는 상기 절단부(300)의 절단 동작시, 상기 절단부(300)에 의해 절단된 나뭇가지를 상기 절단날(320)의 벌림 동작시까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절단부(300)에 설치된 파지부(33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파지부(330)는 고정날(310) 측에 고정되는 하측부(331)와, 절단날(320) 측에 고정되는 상측부(332)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부(332)는 상기 절단날(320) 측에 탄성적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절단부(300)의 절단 동작 시 절단부(300)의 절단날(320) 보다 먼저 하측부(331)와 함께 나뭇가지를 파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파지부(330)는 필요에 따라 생략가능하다.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10)와, 상기 구동모터(410)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410)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변환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변환부(420)는 상기 구동모터(410)에 결합되는 기어부재들을 포함하는 기어박스(441)와, 기어박스(441)에 결합되어 기어부재들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진하거나 후퇴 가능하게 된 진퇴로드(442)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부(400)에 일 측이 결합되고 상기 절단날(320)에 타 측이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400)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절단부(300)가 절단 동작 또는 풀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400)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상기 절단날(320)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조작부(500)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410)를 일 측 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상기 파이프부(200)를 따라 상기 절단부(300)를 향하여 전진하고 상기 구동모터(410)를 타 측 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상기 파이프부(200)를 따라 상기 구동부(400)를 향하여 후퇴하도록 된 것으로서, 제1동력전달로드(310)와, 중계부(630)와, 제2동력전달로드(6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동력전달로드(310)는 상기 동력변환부(420)의 상기 진퇴로드(442) 단부 측에 나사결합되어 있고, 타 단은 상기 제1파이프(210) 내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상기 중계부(630)는 상기 제1동력전달로드(310)의 타 단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중계몸체(631)와, 간섭레버(632)와, 탄성스프링(63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중계몸체(631)는 상기 제2동력전달로드(620)가 통과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통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부(230)와 대응하는 상기 파이프부(200)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중계몸체(631)의 양측에는 제1파이프(210)와 제2파이프(220)에 형성된 간섭리브가 삽입될 수 있도록 리브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계몸체(631)는 상기 갑섭리브가 상기 리브홈으로 삽입되게 파이프부(200)에 결합되어 파이프부(200) 내부에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간섭레버(632)는 상기 중계몸체(631)의 상부에 구비된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후단은 중계몸체(631)에 일 단이 고정된 복원스프링의 타 단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간섭레버(632)는 상기 위치고정부(230)의 고정핀(233)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일 측 상면이 가압되어 하방으로 회전되며, 하방으로 회전시 상기 제2동력전달로드(620)에 간섭된다. 한편, 상기 간섭레버(632)는 상기 위치고정부(230)의 고정핀(233)이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고정핀(233)에 의한 가압 상태가 해제되면서 일 측이 상방으로 회전되며, 상방으로 회전시 상기 제2동력전달로드(620)에 대한 간섭이 해제된다.
상기 간섭레버(632)의 일 측 내부에는 상기 제2동력전달로드(620)를 간섭하기 위해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간섭로드(63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동력전달로드(620)는 상기 절단날(320)에 일 측이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제1파이프(210)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위치고정부(23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중계부(630)와 함께 전진 또는 후퇴할 수 있도록 일 측이 상기 중계부(630)에 간섭되거나 상기 중계부(630)와 개별적으로 전진 또는 후퇴할 수 있도록 상기 중계부(630)로부터 간섭이 해제된다.
상기 제2동력전달로드(620)의 상부에는 상기 간섭레버(632)가 하방으로 회전시 상기 간섭로드(63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인입된 인입홈(621)들이 상기 제2동력전달로드(6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500)는 작업자가 상기 구동모터(410)의 회전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4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절단부(300)가 절단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동모터(410)를 일 측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절단스위치와, 풀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동모터(410)를 타 측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풀림스위치 및 상기 구동모터(410)의 작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정지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부(700)는 상기 구동부(400) 및 조작부(5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100)의 일 측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충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전지가위(1)는 상기 동력전달부가 상기 파이프부(200)를 따라 후방 측으로 이동 즉, 상기 구동부(400)를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절단부(300)에서는 절단 동작이 수행되고, 전방 측으로 이동 즉, 절단부(300)를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절단부(300)에서는 풀림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 것을 적용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전지가위(1)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동력변환부(420)에 구비된 상기 진퇴로드(442)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진퇴로드(442)의 최대 전진 제한 위치인 제1위치에 설치되는 제1리밋스위치와, 상기 진퇴로드(442)의 최대 후퇴 제한 위치인 제2위치에 설치되는 제2리밋스위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리밋스위치 또는 상기 제2리밋스위치에 상기 진퇴로드(442)가 도달할 시 상기 구동모터(410)를 정지시킴으로써 구동모터(410)에 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의 제1리밋스위치의 위치는 상기 절단부(300)의 절단력을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전지가위(1)는 상기 구동부(400)에 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상기 절단부(300)의 절단 동작시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반력에 의해 상기 구동부(400)가 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유동(케이스의 전방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마이크로스위치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스위치는 케이스(100)의 내부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400)는 마이크로스위치에 접촉된 상태 즉, 마이크로스위치를 누르는 상태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스위치로부터 상기 구동부(400)가 이탈 즉, 마이크로스위치와의 접촉 상태가 해제될 시 상기 구동모터(410)를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절단부(300)의 절단 동작시 나뭇가지가 절단되지 않고 정체되거나, 절단하지 못하는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때, 구동모터(410)에 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구동모터(410)를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는 상기 절단부(300)의 절단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절단력조정부(80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절단력조정부(800)는 상기 구동부(400)와 케이스(100) 후면 사이의 상기 케이스(100) 내부 일 측에 일체로 형성된 장착부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판과, 고정판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단부가 상기 구동부에 나사결합된 조정볼트와, 상기 조정볼트와 고정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판에 대하여 상기 구동부(400)를 케이스(100)의 후방 측을 향하여 지속적으로 바이어스시키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조정볼트는 상기 구동부(400)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조정볼트는 상기 탄성스프링에 의해 케이스(100)의 후방 측을 향하여 지속적으로 바이어스되는 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구동부(400) 또한 케이스(100)의 후방 측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조정볼트를 고정판에 대하여 조이는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탄성스프링은 조정볼트를 바이어스시키는 힘이 이전 상태보다 커지게 되므로 절단부(300)의 절단동작시 구동부(400)가 케이스 내부에서 전방 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어려워지게 된다. 즉,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설정된 위치에 고정된 마이크로스위치로부터 구동부(400)가 이탈되는 것이 어려워지게 되어 절단부(300)의 절단력이 증가한다.
반면, 상기 조정볼트를 고정판에 대하여 푸는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탄성스프링은 조정볼트를 바이어스시키는 힘이 이전 상태보다 작아지게 되므로 절단부(300)의 절단동작 시 구동부(400)가 케이스(100) 내부에서 전방 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쉽게 된다. 즉,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설정된 위치에 고정된 마이크로스위치로부터 구동부(400)가 이탈되는 것이 쉬워지게 되면서 절단부(300)의 절단력이 감소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전지가위는 상기의 절단력조정부를 통해 절단부의 절단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전지가위는 동력원으로 모터를 적용함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고,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1리밋스위치 및 제2리밋스위치 그리고 마이크로스위치를 통해 모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전지가위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전동식 전지가위
100: 케이스 110 : 좌측 케이스
120 : 우측 케이스 130 : 지지파이프
200 : 파이프부 210 : 제1파이프
220 : 제2파이프 230 : 위치고정부
300 : 절단부 310 : 고정날
320 : 절단날 330 : 파지부
400 : 구동부 410 : 구동모터
420 : 동력변환부 500 : 조작부
700 : 배터리부 800 : 절단력조정부

Claims (7)

  1. 내부에 장착공간이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로부터 연장된 지지파이프에 일 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파이프부와;
    상기 파이프부의 단부에 고정된 고정날과, 상기 고정날과 함께 나뭇가지를 자를 수 있도록 상기 고정날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절단날을 포함하는 절단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변환부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작부와;
    상기 구동부에 일 측이 결합되고 상기 절단날에 타 측이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절단부가 절단 동작 또는 풀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상기 절단날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부는 일 측이 상기 지지파이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의 타 측에 일 측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파이프의 내부로 진입되거나 상기 제1파이프의 외부로 진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의 단부에 설치되며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파이프에 대하여 상기 제2파이프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파이프에 간섭되거나 상기 제1파이프에 대하여 상기 제2파이프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2파이프에 간섭을 해제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를 일 측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상기 파이프부를 따라 상기 절단부를 향하여 전진하고 상기 구동모터를 타 측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상기 파이프부를 따라 상기 구동부를 향하여 후퇴하도록 된 것으로서, 상기 동력변환부에 일 단이 고정되고 타 단은 상기 제1파이프 내부를 따라 연장된 제1동력전달로드와, 상기 제1동력전달로드의 타 단에 고정되는 중계부와, 상기 절단날에 일 측이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제1파이프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위치고정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중계부와 함께 전진 또는 후퇴할 수 있도록 일 측이 상기 중계부에 간섭되거나 상기 중계부와 개별적으로 전진 또는 후퇴할 수 있도록 상기 중계부로부터 간섭이 해제되는 제2동력전달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부는 상기 제2동력전달로드가 통과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통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부와 대응하는 상기 파이프부의 내측에 배치된 중계몸체와, 상기 중계몸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위치고정부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시 상기 제2동력전달로드에 간섭되고 상기 위치고정부에 의해 상방으로 회전시 상기 제2동력전달로드에 간섭이 해제되는 간섭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지가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레버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간섭로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2동력전달로드의 상부에는 상기 간섭레버가 하방으로 회전시 상기 간섭로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인입된 인입홈이 상기 제2동력전달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지가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변환부에 고정된 상기 제1동력전달로드의 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 사이에는 상기 제1파이프를 상기 지지파이프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제1파이프가 상기 지지파이프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지지부와, 상기 회전지지부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파이프의 회전을 설정된 각도 이내로 제한하기 위한 회전제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지가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의 절단 동작시,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나뭇가지를 상기 절단날의 벌림 동작시까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절단부에 설치된 파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지가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변환부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전진하거나 후퇴하는 진퇴로드와, 상기 진퇴로드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진퇴로드의 전진 제한 위치인 제1위치에 설치되는 제1리밋스위치와, 상기 진퇴로드의 후퇴 제한 위치인 제2위치에 설치되는 제2리밋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리밋스위치 또는 상기 제2리밋스위치에 상기 진퇴로드가 도달할 시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지가위.
  7. 내부에 장착공간이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로부터 연장된 지지파이프에 일 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파이프부와;
    상기 파이프부의 단부에 고정된 고정날과, 상기 고정날과 함께 나뭇가지를 자를 수 있도록 상기 고정날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절단날을 포함하는 절단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변환부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작부와;
    상기 구동부에 일 측이 결합되고 상기 절단날에 타 측이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절단부가 절단 동작 또는 풀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상기 절단날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절단부의 절단 동작시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반력에 의해 상기 구동부가 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마이크로스위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스위치로부터 상기 구동부가 이탈될 시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지가위.
KR1020150008238A 2015-01-16 2015-01-16 전동식 전지가위 KR101535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238A KR101535295B1 (ko) 2015-01-16 2015-01-16 전동식 전지가위
CN201520903110.9U CN205266388U (zh) 2015-01-16 2015-11-13 电动式修枝剪刀
PCT/KR2015/013885 WO2016114505A1 (ko) 2015-01-16 2015-12-17 전동식 전지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238A KR101535295B1 (ko) 2015-01-16 2015-01-16 전동식 전지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5295B1 true KR101535295B1 (ko) 2015-07-08

Family

ID=53791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238A KR101535295B1 (ko) 2015-01-16 2015-01-16 전동식 전지가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35295B1 (ko)
CN (1) CN205266388U (ko)
WO (1) WO201611450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400B1 (ko) * 2016-02-26 2017-08-08 이봉길 가지치기용 가지절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84470A (zh) * 2018-01-11 2018-06-22 厦门大学 一种高空修枝剪
FI127801B (fi) * 2018-01-24 2019-02-28 Tmk Energiakoura Oy Kannettava katkaisulaite
CN108184474A (zh) * 2018-03-29 2018-06-22 贵州大鸟创新科技有限公司 植保无人机
CN113330936A (zh) * 2021-05-26 2021-09-03 唐继红 一种便携式生态果园果树养护剪枝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6447A (ja) * 1996-08-29 1998-03-10 Kinsei Engei Kogyo Kk 電動高枝剪定鋏
KR100972741B1 (ko) * 2010-04-16 2010-07-27 안현자 굴삭기용 회전식 전지가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378B1 (ko) * 2008-02-21 2011-01-21 박동수 전동식 전지가위
KR200469796Y1 (ko) * 2012-06-15 2013-11-05 전미진 전동 전지가위
KR101480826B1 (ko) * 2014-09-29 2015-01-09 김재중 전동 전지가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6447A (ja) * 1996-08-29 1998-03-10 Kinsei Engei Kogyo Kk 電動高枝剪定鋏
KR100972741B1 (ko) * 2010-04-16 2010-07-27 안현자 굴삭기용 회전식 전지가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400B1 (ko) * 2016-02-26 2017-08-08 이봉길 가지치기용 가지절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14505A1 (ko) 2016-07-21
CN205266388U (zh)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295B1 (ko) 전동식 전지가위
CA2432503C (en) Power tool
US10910801B2 (en) Stripping tool
CN205650896U (zh) 具有改进的存放模式的切割锯
CN102811845B (zh) 用于锯的防护装置及其使用方法
CN112655511A (zh) 一种手持链锯
US8978255B2 (en) Garden shears
WO2014067290A1 (en) Tube cutter with quick release
CN201639205U (zh) 电缆快速切割剥线钳
CN108430212B (zh) 修剪工具,特别是分枝修剪器、高枝剪或修枝剪
CN102756171A (zh) 斜断锯
CN112219581A (zh) 一种可控高度的行道树辅助修剪装置
CN104647310B (zh) 用于电驱动式园林工具的开关装置
CN216314148U (zh) 园林绿化养护高枝转向修剪装置
US9421625B2 (en) Reciprocating saw with adjustable shoe
CN201069928Y (zh) 剪刀式修枝剪
US20120055032A1 (en) Hedge trimmer
CN202513490U (zh) 棘轮式电缆剪
CN110744134A (zh) 手持式带锯
US10727637B2 (en) Cutting fixture exhibiting ram actuated and multiplying lever force for removing such as an H-tap crimp from a utility power line
KR101174640B1 (ko) 자동전지가위
CN102658398B (zh) 电动工具
JP5033416B2 (ja) 手動式切断装置
CN110744504A (zh) 手持式电动工具
CN221082102U (zh) 一种嫁接繁殖用工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