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052B1 - Bubble Generator - Google Patents

Bubble Gen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052B1
KR101534052B1 KR1020130022066A KR20130022066A KR101534052B1 KR 101534052 B1 KR101534052 B1 KR 101534052B1 KR 1020130022066 A KR1020130022066 A KR 1020130022066A KR 20130022066 A KR20130022066 A KR 20130022066A KR 101534052 B1 KR101534052 B1 KR 101534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wall
supply
space
de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0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07891A (en
Inventor
이숭엽
최기승
유정수
이경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디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디아이
Priority to KR1020130022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052B1/en
Publication of KR20140107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8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0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포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포발생기는 일면으로부터 타면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113)가 형성되고, 함몰부(113)의 내측면에 나사선(115)이 형성되며, 함몰부(113)와 연통되어 타면까지 관통되되 함몰부(113)보다 직경이 작은 제1 홀(117)이 형성된 제1 결합체(110), 및 일면이 함몰부(113)에 삽입되도록 외측면에 나사선(125)이 형성되어 함몰부(113)의 내측면과 나사결합되고, 일면으로부터 타면까지 관통되되 제1 홀(117)과 연통되는 제2 홀(127)이 형성된 제2 결합체(12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bble generator, wherein a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epression 113 which is recessed from the one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surface, a screw thread 115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epression 113, A first coupling member 110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upling member 113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upling member 113 and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coupling member 113 and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coupling member 113; And a second coupling member 120 having a second hole 127 formed therein and threadedly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depression 113 and having a second hole 127 penetrating from one surface to the other surface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hole 117, do.

Description

기포발생기{Bubble Generator}Bubble Generator

본 발명은 기포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bble generator.

기포란 액체 내에 존재하는 기체를 의미하며, 액체의 표면 장력에 의해서 구상(球狀)을 이룬다. 일반적으로, 기포는 액체와 비교할 때 비중이 낮으므로, 상승하여 액체의 표면으로 부상한다. 하지만, 기포가 일정한 크기 이하로 존재하는 경우, 기포는 액체의 표면으로 바로 부상하지 않고, 오히려 액체 중에 오랜 시간 동안 잔류하거나, 액체 중에서 압력에 의해서 줄어들다가 최종적으로 파열되면서, 액체에 용해될 수 있다.
A bubble is a gas present in a liquid, which is spherical due to the surface tension of the liquid. Generally, the bubbles have a low specific gravity as compared with the liquid, so they rise to the surface of the liquid. However, when the bubble is present below a certain size, the bubble does not float directly on the surface of the liquid, but rather remains in the liquid for a long time, or is reduced in pressure in the liquid and finally ruptured, .

이와 같이, 기포가 액체에 오랜 시간 잔류하거나 액체에 용해될 수 있으면,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생물 배양기 등에 미세한 기포를 공급하면, 미생물의 배양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미세한 기포를 생성할 수 있는 기포발생기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Thus, if the bubbles remain in the liquid for a long time or can be dissolved in the liquid, they can be utilized in various fields. For example, when fine bubbles are supplied to a microorganism culture machine or the lik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fficiency of culturing microorganisms can be increased. Therefore, there is a great need for a bubble generator capable of generating minute bubbles.

한편,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기포발생기는 액체와 기체가 혼합된 유체를 이용하여 기포를 발생시킨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기포발생기는 기체를 컴프레셔(Compressor)를 이용하여 강제로 공급하는데, 컴프레셔는 가격이 높을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에너지가 소모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On the other hand, as disclosed in the patent documents of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the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generates bubbles by using a fluid in which a liquid and a gas are mixed. However, the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orcibly supplies the gas by using a compressor.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not only the price of the compressor is high but also energy is continuously consumed.

KRKR 10-094696310-0946963 B1B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를 이용하여 기체를 흡입함으로써,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는 기포발생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bble generator capable of generating bubbles by sucking gas using a venturi effe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기는 일면으로부터 타면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의 내측면에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와 연통되어 타면까지 관통되되 상기 함몰부보다 직경이 작은 제1 홀이 형성된 제1 결합체, 및 일면이 상기 함몰부에 삽입되도록 외측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함몰부의 내측면과 나사결합되고, 일면으로부터 타면까지 관통되되 상기 제1 홀과 연통되는 제2 홀이 형성된 제2 결합체를 포함하는 기포발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함몰부의 함몰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함몰된 흡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홈은 상기 함몰부와 상기 제2 결합체 사이의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2 결합체의 타면방향에서 일면방향으로 가면서 직경이 좁아지고, 상기 제2 홀로 액체가 공급되어 상기 제1 홀로 배출될 때, 상기 흡입홈을 통해서 기체가 흡입되어 상기 액체와 함께 상기 제1 홀로 배출된다.A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pression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bubble generator, a thread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depression,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depression and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depression, And a second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hole, the first hole having a first hole formed therein and a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so that one surface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depressed portion, Wherein the suction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depression so as to extend along the depression direction of the depression, and the suction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epression, And the second hole communicates with a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ssemblies, and the second hole is narrowed in one surface direction from the other surface direction of the second assembly, When the liquid is supplied to the first discharge hole, the gas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grooves of the first hole is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liqui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기에 있어서, 외벽 및 상기 외벽의 내부에 구비된 내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벽과 상기 내벽 사이에 형성된 제1 공간 및 상기 내벽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 공간을 포함하는 공급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벽에는 제1 관통홀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내벽에는 제2 관통홀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기포발생수단은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흡입홈은 상기 제1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제1 공간에 공급된 상기 기체가 흡입되고,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2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제2 공간에 공급된 상기 액체가 공급된다.In the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bble generator may include a first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and a second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Wherein the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through the outer wall, the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through the inner wall, and the bubble generating unit includes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suction groove is communicated with the first space to suck the gas supplied to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hole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space to supply the second space, The liquid is suppli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체의 일면은 상기 외벽의 외측과 접촉하고, 상기 제2 결합체에는 상기 제2 결합체의 타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는 상기 내벽의 내측과 접촉한다.Further, in the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urface of the first combination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ide of the outer wall, and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combination member is formed in the second combination member , The protrusion is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inner wal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기에 있어서, 상기 외벽의 외측과 상기 제1 결합체의 일면 사이에 구비된 제1 실링수단, 및 상기 내벽의 내측과 상기 돌출부 사이에 구비된 제2 실링수단을 더 포함한다.Further, in the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sealing means provided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outer wall and one side of the first coupling body, and a second sealing means provided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inner wall and the projection,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공급부재에 제1 공급홀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공급부재에 제2 공급홀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공급홀을 통해서 상기 기체가 공급되고, 상기 제2 공급홀을 통해서 상기 액체가 공급된다.Further, in the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supply hole may be formed in the supply member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space, and a second supply hole may be formed in the supply member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space. And the gas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supply hole, and the liquid is supplied through the second supply ho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기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급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공급부재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재, 상기 돌출부재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1 플랜지, 상기 관형으로 형성된 관형부재, 및 상기 관형부재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플랜지와 결합되는 제2 플랜지를 더 포함한다.Further, in the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protruding member protruding from the supply member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supply hole, a first flange formed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protruding member, And a second flange formed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tubular member and coupled with the first flan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기에 있어서, 상기 기포발생수단은 다수개 구비되고, 다수개의 상기 기포발생수단은 다수개 형성된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관통홀에 삽입된다.Further, in the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ubble generating means ar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bubble generating means are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s and the second through holes formed with a plurality of bubble generating mea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기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재는 직육면체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이다.Further, in the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ly member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기에 있어서, 상기 기포발생수단은 상기 외벽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삽입된다.Further, in the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bble generating means is insert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outer wal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체의 외측면에는 상호 평행한 두개의 평평한 평탄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체의 타면으로부터 함몰된 두개의 일자홈이 형성된다.Further, in the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flat flat surfaces parallel to each other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assembly, and two flat grooves recessed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assembly are formed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기에 있어서, 상기 기포발생수단이 상기 공급부재에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인 축을 기준으로 상기 공급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더 포함한다.
Further, in the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bble generator further includes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feeding member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bble generating means is inserted into the feeding member.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Prior to that,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에 의해서 기체를 흡입하여, 기포를 발생시킴으로써, 컴프레셔 등 기체를 강제로 공급하는 수단을 생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eans for forcibly supplying the gas such as the compressor can be omitted by sucking the gas by the venturi effect and generating bubble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 격벽으로 형성된 공급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기포발생수단에 한번에 액체와 기체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sion of the supply member formed of the double partition wall is advantageous in that liquid and gas can be supplied to a plurality of bubble generating means at one tim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포발생수단을 공급부재에 비스듬히 삽입하거나, 공급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와류(渦流)가 발생하면서 기포가 배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기포를 고르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erting the bubble generating means into the feeding member obliquely or rotating the feeding member, bubbles can be discharged while vortexes are generated, and the bubbles can be evenly deliver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수단의 분해사시도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수단의 결합사시도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기포발생기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기포발생기의 횡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기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및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기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cross-sectional view of bubble generat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bubble generator shown in Fig. 3,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bble generator shown in Fig. 3,
6 to 8 are views showing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to 11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ive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lso, 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and the element is not limited thereto.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hich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수단의 분해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수단의 결합사시도와 단면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수단(100)은 일면으로부터 타면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113)가 형성되고, 함몰부(113)의 내측면에 나사선(115)이 형성되며, 함몰부(113)와 연통되어 타면까지 관통되되 함몰부(113)보다 직경이 작은 제1 홀(117)이 형성된 제1 결합체(110), 및 일면이 함몰부(113)에 삽입되도록 외측면에 나사선(125)이 형성되어 함몰부(113)의 내측면과 나사결합되고, 일면으로부터 타면까지 관통되되 제1 홀(117)과 연통되는 제2 홀(127)이 형성된 제2 결합체(12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bubble generating mean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epression 113, which is depressed in the other direction from one surface, And a first hole 110 communicating with the depression 113 and penetrating to the other surface of the depression 113 and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depression 113, And a second hole 127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hole 117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hole 117. The screw hole 125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hole 117, 2 bond 120. [0033] FIG.

상기 제1 결합체(11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일면으로부터 타면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113)가 형성된다. 여기서, 함몰부(113)의 내측면에는 나사선(115)이 형성된다. 이때, 함몰부(113)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선(115)은 제2 결합체(120)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선(125)과 나사결합된다. 또한, 제1 결합체(110)에는 함몰부(113)의 말단으로부터 제1 결합체(110)의 타면까지 관통된 제1 홀(117)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홀(117)은 함몰부(113)와 연통되고 함몰부(113)보다 직경이 작다. 즉, 제1 결합체(110)는 일면방향에서 타면방향으로 가면서, 함몰부(113)가 형성된 후, 함몰부(113)보다 직경이 작은 제1 홀(117)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함몰부(113)의 내측면에는 흡입홈(119)이 형성된다. 여기서, 흡입홈(119)은 함몰부(113)의 내측면에 함몰부(113)가 함몰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함몰부(113)의 방사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한편, 제1 홀(117)은 액체와 기체를 배출하는 역할을 하고, 흡입홈(119)은 기체를 흡입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The first coupling body 1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and a concave portion 113 recessed from the one surface in the other surface direction is formed. Here, a screw thread 115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epression 113. At this time, the screw thread 115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epression 113 is screwed to the screw thread 125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assembly 120. A first hole 117 penetrating from the distal end of the depression 113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110 is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member 110. Here, the first hole 117 communicates with the depressed portion 113 and is smaller in diameter than the depressed portion 113. That is, the first coupling body 110 is formed with the first hole 117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depression 113 after the depression 113 is formed, while moving in the other direction from the one surface direction. The suction groove 119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epression 113. The suction groove 119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epressed portion 113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depressed portion 113 is recessed and is recess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depressed portion 113. The first hole 117 serves to discharge the liquid and the gas, and the suction groove 119 serves to suck the ga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상기 제2 결합체(12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결합체(120)는 일면이 함몰부(113)에 삽입되도록, 외측면에 나사선(125)이 형성되어 함몰부(113)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선(115)과 나사결합된다. 또한, 제2 결합체(120)에는 제2 홀(127)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2 홀(127)은 제2 결합체(120)의 일면으로부터 타면까지 관통되고, 제2 결합체(120)가 제1 결합체(110)의 함몰부(113)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될 때, 제1 결합체(110)의 제1 홀(117)과 연통된다. 이때, 제2 홀(127)은 제2 결합체(120)의 타면방향에서 일면방향으로 가면서 직경이 좁아진다. 즉, 제2 홀(127)은 제1 홀(117)에 가까워지면서 직경이 좁아지는 것이다. 여기서, "직경이 좁아진다"의 의미는 점진적으로 직경이 좁아지거나, 하나 이상의 단차(127a)에 의해서 급격하게 직경이 좁아지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The second coupling member 120 may have a generally cylindrical shape. The second coupling member 120 has a screw thread 125 formed on its outer surface so that one side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120 is inserted into the depression 113 and is screwed with a thread 115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depression 113. A second hole 127 is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member 120. The second hole 127 penetrates from one surface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120. When the second coupling member 120 is inserted and screwed into the depression 113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110,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hole 117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110.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second hole 127 becomes narrower in one surface direction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120. That is, the diameter of the second hole 127 becomes narrower as it approaches the first hole 117. Here, the term "diameter becomes narrower" is a concept including a case where the diameter gradually becomes narrower or the diameter becomes narrower by one or more steps 127a.

한편, 제2 결합체(120)가 제1 결합체(110)의 함몰부(113)에 나사결합될 때, 제2 결합체(120)의 일면은 제1 결합체(110)의 함몰부(113)의 말단과 완전히 밀착되지 않는다. 즉, 제2 결합체(120)와 함몰부(113) 사이에는 공간(114)이 존재한다(도 2의 확대도 참조). 이때, 함몰부(113)에 형성된 흡입홈(119)은 상기 공간(114)과 연통된다. 따라서, 제1 결합체(110)와 제2 결합체(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2 결합체(120)의 제2 홀(127)로 액체가 공급되면, 흡입홈(119)으로 기체가 흡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결합체(120)의 제2 홀(127)로 공급된 액체(도 2의 확대도 의 실선)는 제2 홀(127)의 직경이 제1 홀(117)에 가까워지면서 좁아지므로, 속도가 빨라지고 압력이 낮아진다. 이와 같이, 액체(실선)의 압력이 낮아지면, 기체(점선)가 흡입홈(119)을 통해서 흡입되어(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 함몰부(113)를 거쳐 제1 홀(117)을 통해서 배출된다. 즉, 제2 홀(127)로 액체(실선)가 공급되어 제1 홀(117)로 배출될 때, 흡입홈(119)을 통해서 기체(점선)가 흡입되어 액체(실선)와 함께 제1 홀(117)로 배출되는 것이다. 결국, 기포발생수단(100)은 제1 홀(117)로 액체와 기체가 혼합된 유체를 배출시키면서, 매우 작은 크기의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포발생수단(100)이 배출하는 기포의 크기는 마이크로미터(μm) 단위일 수 있다. 따라서, 기포는 배출된 후, 배출된 용액의 표면으로 바로 부상하지 않고, 용액 중에 오랜 시간 잔류하거나, 용해될 수 있다.
When the second coupling member 120 is screwed into the depression 113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110, one side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12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depression 113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110, . That is, a space 114 exists between the second coupling member 120 and the depression 113 (see an enlarged view of FIG. 2). At this time, the suction groove 119 formed in the depression 113 communicates with the space 114. Accordingly, when the liquid is supplied to the second hole 127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120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upling member 110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120 are coupled, the gas is sucked into the suction groove 119 . Specifically, the liquid (the solid line in the enlarged view of FIG. 2) supplied to the second hole 127 of the second coupling body 120 becomes narrower as the diameter of the second hole 127 becomes closer to the first hole 117 , The speed is faster and the pressure is lowered. When the pressure of the liquid (solid line) is lowered, the gas (dashed line)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groove 119 (Venturi Effect), and the first hole 117 Lt; / RTI > That is, when a liquid (solid line) is supplied to the second hole 127 and is discharged to the first hole 117, the gas (dashed line)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groove 119 to be supplied to the first hole (117). As a result, the bubble generating means 100 can generate a very small size of bubbles while discharging the liquid mixed with the gas into the first hole 117. Here, the size of the bubbles discharged from the bubble generating means 100 may be in units of micrometers (μm). Therefore, the bubbles may not remain on the surface of the discharged solution immediately after they are discharged, but may remain in the solution for a long time or may be dissolv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기포발생기의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기포발생기의 횡단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bubble generator shown in FIG. 3, and FIG. 5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bubble generator shown in FIG.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홀(127)에 액체를 공급하고, 흡입홈(119)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공급부재(13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부재(130)는 외벽(133)과 외벽(133)의 내부에 구비된 내벽(135)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외벽(133)과 내벽(135) 사이에는 제1 공간(137)이 형성되고, 내벽(135)의 내부에는 제2 공간(139)이 형성된다. 즉, 공급부재(130)는 이중벽 구조로 형성되어, 2개의 공간(제1,2 공간(137, 139))으로 구획되는 것이다. 또한, 외벽(133)에는 제1 관통홀(133a)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내벽(135)에는 제2 관통홀(135a)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관통홀(133a)과 제2 관통홀(135a)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제1,2 관통홀(133a, 135a)에 기포발생수단(100)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흡입홈(119)은 제1 공간(137)과 연통되고, 제2 홀(127)은 제2 공간(139)과 연통된다. 따라서, 흡입홈(119)은 제1 공간(137)에 공급된 기체를 흡입할 수 있고, 제2 홀(127)은 제2 공간(139)에 공급된 액체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제1 공간(137)에 기체를 공급하기 위해서, 제1 공간(137)과 연통되도록 공급부재(130, 외벽(133))에 제1 공급홀(134)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공급홀(134)에는 튜브 등이 연결되어 기체가 제1 공간(137)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공급홀(134)을 통해서 제1 공간(137)에 기체가 공급되면, 최종적으로 제1 공간(137)과 연통되는 제1 결합체(110)의 흡입홈(119)에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공급홀(134)은 도면상 공급부재(130)의 측면에 형성되었지만,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공급홀(134)은 공급부재(130)의 상면이나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공간(139)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해서, 제2 공간(139)과 연통되도록 공급부재(130, 외벽(133))에 제2 공급홀(136)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급홀(136)을 통해서 제2 공간(139)에 액체가 공급되면, 최종적으로 제2 공간(139)과 연통되는 제2 결합체(120)의 제2 홀(127)에 액체가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The supply member 130 may be provided to supply the liquid to the second hole 127 and supply the air to the suction groove 119 as shown in Figs. Here, the supply member 130 is composed of an outer wall 133 and an inner wall 135 provided inside the outer wall 133. Specifically, a first space 137 is formed between the outer wall 133 and the inner wall 135, and a second space 139 is formed within the inner wall 135. That is, the supply member 130 is formed in a double wall structure and is divided into two spaces (first and second spaces 137 and 139). A first through hole 133a is formed through the outer wall 133 and a second through hole 135a is formed through the inner wall 135. [ Here, the first through-hole 133a and the second through-hole 135a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bubble generating means 10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through-holes 133a and 135a . At this time, the suction groove 119 is communicated with the first space 137, and the second hole 127 is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space 139. Therefore, the suction groove 119 can suck the gas supplied to the first space 137, and the second hole 127 can supply the liquid supplied to the second space 139. [ A first supply hole 134 may be formed through the supply member 130 (outer wall 133)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space 137 in order to supply gas to the first space 137. A tube or the like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ly hole 134 so that the gas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space 137. When gas is supplied to the first space 137 through the first supply hole 134 as described above, air is sucked into the suction groove 119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110, which finally communicates with the first space 137 Can be inhaled. Although the first supply hole 134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upply member 130 in the figu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rst supply hole 134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ly member 130. A second supply hole 136 may be formed in the supply member 130 (outer wall 133)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space 139 in order to supply the liquid to the second space 139. When liquid is supplied to the second space 139 through the second supply hole 136, the liquid is finally supplied to the second hole 127 of the second combination body 120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space 139 You can.

추가적으로, 공급부재(130)를 펌프 등에 연결되기 위해서, 돌출부재(150), 제1 플랜지(153), 관형부재(155), 및 제2 플랜지(157)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재(150)는 제2 공급홀(136)에 연통되도록 공급부재(130)로부터 돌출되고, 제1 플랜지(153)는 돌출부재(150)의 말단으로부터 외측방향(돌출부재(150)의 돌출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관형부재(155)는 펌프 등에 연결되도록 관형으로 형성되고, 제2 플랜지(157)는 관형부재(155)의 말단으로부터 외측방향(관형부재(155)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플랜지(153)와 제2 플랜지(157)를 볼트와 너트 등으로 결합시키면, 펌프 등에서 공급된 액체는 관형부재(155)→돌출부재(150)→제2 공급홀(136)을 통해서 제2 공간(139)에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otruding member 150, a first flange 153, a tubular member 155, and a second flange 157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feed member 130 to a pump or the like. The protruding member 150 protrudes from the supply member 13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supply hole 136. The first flange 153 protrudes from the distal end of the protruding member 150 in the outward direc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ojecting direction of the light-emitting layer. The second flange 157 extends from the distal end of the tubular member 155 in the outward directio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ular member 155) so that the tubular member 155 is connected to a pump, . Therefore, when the first flange 153 and the second flange 157 are coupled with bolts, nuts, or the like, the liquid supplied from the pump or the like passes through the tubular member 155, the projecting member 150, To the second space 139 through the second space 139.

한편, 기포발생수단(100)과 공급부재(130)의 결합관계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 결합체(110)의 일면은 외벽(133)의 외측과 접촉한다. 또한, 제2 결합체(120)에는 제2 결합체(120)의 타면(제2 공간(139)으로 돌출된 면)으로부터 외측방향(방사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29)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29)는 내벽(135)의 내측과 접촉한다. 이때, 기포발생수단(100)과 공급부재(130) 사이의 밀봉을 위해서, 외벽(133)의 외측과 제1 결합체(110)의 일면 사이에는 제1 실링수단(140)이 구비될 수 있고, 내벽(135)의 내측과 돌출부(129) 사이에는 제2 실링수단(145)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흡입홈(119)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1 실링수단(140)은 흡입홈(119)의 외측에 배치된다. 또한, 제1 결합체(110)와 제2 결합체(120)를 효과적으로 나사결합시키기 위해서, 제1 결합체(110)에 평탄면(160)이 형성될 수 있고(도 5 참조), 제2 결합체(120)에 일자홈(165)이 형성될 수 있다(도 4 참조). 여기서, 평탄면(160)은 제1 결합체(110)의 외측면에 형성된 상호 평행한 두개의 평평한 면이고, 일자홈(165)은 제2 결합체(120)의 타면(제2 공간(139)으로 돌출된 면)으로부터 함몰된 두개의 홈이다. 따라서, 제2 결합체(120)의 일자홈(165)에 드라이버(Driver)나 동전 등을 삽입하여 고정한 후, 제1 결합체(110)의 평탄면(160)을 플라이어(Pliers), 스패너(Spanner) 또는 렌치(Wrench) 등으로 잡아 회전시키면, 제1 결합체(110)와 제2 결합체(120)를 나사결합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bble generating means 100 and the supply member 1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First, one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110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ide of the outer wall 133. The second coupling member 120 may be formed with a protrusion 129 protruding outwardly (radially)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120 (the surface protruding into the second space 139). The protrusion 129 is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inner wall 135. A first sealing means 14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outer wall 133 and one side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110 for sealing between the bubble generating means 100 and the supply member 130, A second sealing means 145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side of the inner wall 135 and the protrusion 129. However, in order to prevent the suction groove 119 from being closed, the first sealing means 140 is disposed outside the suction groove 119. In order to effectively screw together the first and second assemblies 110 and 120, a flat surface 160 may be formed on the first assembly 110 (see FIG. 5), and a second assembly 120 (See Fig. 4). The flat surfaces 160 are two flat surfaces parallel to each oth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body 110 and the flat grooves 165 ar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body 120 The protruding surface). A driver or a coin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groove groove 165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120 and then the flat surface 160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110 is pliers, Or a wrench or the like and rotated so that the first coupling member 110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120 can be screwed together.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포발생수단(100)은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공급부재(130)에는 제1 관통홀(133a)과 제2 관통홀(135a)이 다수개 형성되어, 각각의 제1 관통홀(133a)과 제2 관통홀(135a)에 기포발생수단(100)이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하나의 공급부재(130)를 통해서 기체와 액체를 공급하여, 다수개의 기포발생수단(100)에서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기포 발생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면상, 기포발생수단(100)은 4개가 구비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액체를 공급하는 펌프의 용량, 필요한 기포의 양 등을 고려하여 기포발생수단(100)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Also, 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bubble generating means 100 may be provided. That is, a plurality of first through-holes 133a and second through-holes 135a are formed in the supply member 130 so that the first through-holes 133a and the second through- (100) can be inserted. In this case, bubbles can be generated in the plurality of bubble generating units 100 by supplying the gas and the liquid through one supply member 130, so that the bubble generation efficiency can be maximized. Although four bubble generating means 100 are provided in the figure, the number of the bubble generating means 100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number of the bubble generating means 100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apacity of the pump for supplying the liquid, the amount of bubbles required, and the like.

한편, 공급부재(13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도 3 참조)이거나 원기둥 형상(도 6 참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부재(130)가 직육면체 형상인 경우(도 3 참조), 4개의 측면에 각각 한개씩 기포발생수단(10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공급부재(130)가 원기둥 형상인 경우(도 6 참조), 외주면을 따라 소정간격마다 기포발생수단(100)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공급부재(130)의 형상은 반드시 직육면체 형성이나 원기둥 형상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pply member 130 may have a gener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see FIG. 3) or a cylindrical shape (see FIG. 6). For example, when the supply member 13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see FIG. 3), one bubble generating means 100 may be provided on each of four sides. 6), the bubble generating means 100 may b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ly member 130 (see FIG. 6). However, the shape of the supply member 13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but may be formed in any shape known in the art.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포발생수단(100)은 공급부재(130)의 외벽(133)에 대하여 비스듬히 삽입될 수 있다. 즉, 기포발생수단(100)은 공급부재(130)의 외벽(133)에 대하여 수직으로 삽입되는 것이 아니고, 공급부재(130)의 외벽(133)에 대하여 둔각이나 예각을 이루도록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결합체(110)의 제1 홀(117)이 연장되는 방향이 외벽(133)과 둔각(β)이나 예각(α)을 이루므로, 제1 홀(117)에서 기포는 와류(渦流)를 이루며 배출되고, 그에 따라 용액에 기포를 고르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7, the bubble generating means 100 may be insert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outer wall 133 of the supply member 13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bubble generating means 100 may be inserted into the outer wall 133 of the supply member 130 at an obtuse angle or an acute angle, rather than being inserted vertically into the outer wall 133 of the supply member 130. In this case, sin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hole 117 of the first coupling body 110 extends forms an obtuse angle? Or an acute angle? With the outer wall 133, the bubble in the first hole 117 is vortexed Vortex flow), and thus the air bubbles can be uniformly transferred to the solution.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부재(130)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17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수단(170)은 기포발생수단(100)이 공급부재(130)에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인 축을 기준으로 공급부재(130)를 회전시킨다. 예를 들어, 기포발생수단(100)이 직육면체 형상의 공급부재(130)의 측면에 삽입될 때, 회전수단(170)은 공급부재(130)의 상하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공급부재(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 홀(117)에서 기포가 배출되는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축을 기준으로 공급부재(130)가 회전되므로, 제1 홀(117)에서 기포는 와류를 이루며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기포는 용액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다. 한편, 회전수단(170)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모터와 베어링 등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8, a rotating means 170 for rotating the supplying member 130 may be provided. Here, the rotating means 170 rotates the supplying member 130 with respect to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bble generating means 100 is inserted into the supplying member 130. For example, when the bubble generating means 100 is inserted into the side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feed member 130, the rotating means 170 rotates the feed member 130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enter axis of the feed member 130, . In this case, since the supply member 13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axis perpendicular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bubbles in the first hole 117, the bubbles can be discharged in the first hole 117 as a vortex. Therefore, the bubbles can be evenly transferred to the solution. On the other hand, the rotating means 17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implemented using techniques known in the art such as a motor and a bearing.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발생기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종단면도로, 이를 참조하여 기포발생기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참고로, 도 9 내지 도 11에서 액체를 실선으로, 기체를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9 to 11 are longitudinal 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bubble generat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ongitudinal sectional view. 9 to 11, the liquid is shown by the solid line and the gas is shown by the dotted line.

우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를 이용하여 관형부재(155)에 액체를 공급하면, 돌출부재(150)를 거쳐 제2 공급홀(136)을 통해서 공급부재(130)의 제2 공간(139)에 액체가 전달된다. 또한, 제1 공급홀(134)을 통해서 공급부재(130)의 제1 공간(137)에 기체가 전달된다. 즉, 공급부재(130)의 제2 공간(139)에는 액체가 일정한 유량으로 공급되고, 공급부재(130)의 제1 공간(137)에는 기체가 전달된 상태이다.
9, when the liquid is supplied to the tubular member 155 using the pump, the liquid is supplied to the second space (not shown) of the supply member 130 through the second supply hole 136 via the projecting member 150. At this time, The liquid is transferred to the liquid supply pipe 139. Further, the gas is transferred to the first space 137 of the supply member 130 through the first supply hole 134. That is, the liquid is supplied to the second space 139 of the supply member 130 at a constant flow rate, and the gas is delivered to the first space 137 of the supply member 130.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부재(130)의 제2 공간(139)에 공급되는 일정한 유량의 액체가 제2 결합체(120)의 제2 홀(127)로 공급된다. 이때, 제2 결합체(120)의 제2 홀(127)은 제1 결합체(110)의 제1 홀(117)에 가까워지면서 직경이 좁아지므로, 일정한 유량의 액체는 속도가 빨라지고 압력이 낮아진다. 이와 같이, 액체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공급부재(130)의 제1 공간(137)에 존재하는 기체가 제1 결합체(110)의 흡입홈(119)을 통해서 흡입된다. 결국, 컴프레셔 등 기체를 강제로 공급하는 수단이 없이도,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를 이용하여, 기체를 자연스럽게 흡입할 수 있다.
10, a predetermined flow amount of the liquid supplied to the second space 139 of the supply member 130 is supplied to the second hole 127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120. Then,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since the diameter of the second hole 127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120 becomes closer to the diameter of the first hole 117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110, the liquid at a constant flow rate becomes faster and the pressure becomes lower. Thus, as the pressure of the liquid decreases, the gas existing in the first space 137 of the supply member 130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groove 119 of the first assembly 110. As a result, the gas can be sucked in naturally using the venturi effect without a means for forcibly supplying the gas such as a compressor.

다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체(120)의 제2 홀(127)로 공급된 액체와 제1 결합체(110)의 흡입홈(119)으로 흡입된 기체는 제1 결합체(110)의 함몰부(113)와 제2 결합체(120) 사이의 공간(114)에서 혼합된다. 이와 같이, 액체와 기체가 혼합되면, 매우 작은 크기의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포는 제1 결합체(110)의 제1 홀(117)을 통해서 배출된다.
11, the liquid supplied to the second hole 127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120 and the gas sucked into the suction groove 119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110 pass through the first coupling member 110 In the space 114 between the depress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120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120. As such, when the liquid and the gas are mixed, very small bubbles can be generated. These bubbles ar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hole 117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11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포발생기는 매우 작은 크기의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기포발생기는 미생물 배양기, 폐수처리시설, 정화조, 수족관 등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기포발생기를 미생물 배양기에 활용할 경우,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켜, 산소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미생물의 배양효율을 급격하게 높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bubbles of very small size, it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For example, the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in a microorganism incubator, a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a purification tank, an aquarium, and the like. Particularly, when the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microorganism incubator, fine bubbles can be generated and oxygen can be efficiently delivered, so that the efficiency of culturing microorganisms can be dramatically increased.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기포발생수단 110: 제1 결합체
113: 함몰부 114: 공간
115: 나사선 117: 제1 홀
119: 흡입홈 120: 제2 결합체
125: 나사선 127: 제2 홀
127a: 단차 129: 돌출부
130: 공급부재 133: 외벽
133a: 제1 관통홀 134: 제1 공급홀
135: 내벽 135a: 제2 관통홀
136: 제2 공급홀 137: 제1 공간
139: 제2 공간 140: 제1 실링수단
145: 제2 실링수단 150: 돌출부재
153: 제1 플랜지 155: 관형부재
157: 제2 플랜지 160: 평탄면
165: 일자홈 170: 회전수단
100: bubble generating means 110:
113: depression 114: space
115: thread 117: first hole
119: Suction groove 120: Second coupling body
125: thread 127: second hole
127a: Step 129:
130: supply member 133: outer wall
133a: first through hole 134: first supply hole
135: inner wall 135a: second through hole
136: second supply hole 137: first space
139: second space 140: first sealing means
145: second sealing means 150: projecting member
153: first flange 155: tubular member
157: second flange 160: flat face
165: Dowel groove 170: Rotation means

Claims (11)

일면으로부터 타면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의 내측면에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와 연통되어 타면까지 관통되되 상기 함몰부보다 직경이 작은 제1 홀이 형성된 제1 결합체; 및
일면이 상기 함몰부에 삽입되도록 외측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함몰부의 내측면과 나사결합되고, 일면으로부터 타면까지 관통되되 상기 제1 홀과 연통되는 제2 홀이 형성된 제2 결합체;
를 포함하는 기포발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함몰부의 함몰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함몰된 흡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홈은 상기 함몰부와 상기 제2 결합체 사이의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2 결합체의 타면방향에서 일면방향으로 가면서 직경이 좁아지고,
상기 제2 홀로 액체가 공급되어 상기 제1 홀로 배출될 때, 상기 흡입홈을 통해서 기체가 흡입되어 상기 액체와 함께 상기 제1 홀로 배출되며,
외벽 및 상기 외벽의 내부에 구비된 내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벽과 상기 내벽 사이에 형성된 제1 공간 및 상기 내벽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 공간을 포함하는 공급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벽에는 제1 관통홀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내벽에는 제2 관통홀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기포발생수단은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흡입홈은 상기 제1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제1 공간에 공급된 상기 기체가 흡입되고,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2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제2 공간에 공급된 상기 액체가 공급되는 기포발생기.
And a firs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depressed portion and penetrating to the other surface, the first hol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epressed portion, the first depressed portion being formed in the depressed portion; And
And a second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hole and having a second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hole, the second hole being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body so that one side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depression;
Wherein the bubble generating means comprises:
A suction groove is formed i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depression so as to extend along the depression direction of the depression, the suction groove communicates with the space between the depression and the second combination body,
The second hole is narrowed in the one surface direction from the other surface direction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When the second hole is supplied with liquid and is discharged into the first hole, the gas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groove and discharged to the first hole together with the liquid,
A supply member including an outer wall and an inner wall provided inside the outer wall, the supply member including a first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and a second space formed inside the inner wall;
Further comprising:
A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through the outer wall, a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through the inner wall,
Wherein the bubble generating means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The suction groove is communicated with the first space, the gas supplied to the first space is sucked,
And the second hole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space to supply the liquid supplied to the second spac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체의 일면은 상기 외벽의 외측과 접촉하고,
상기 제2 결합체에는 상기 제2 결합체의 타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는 상기 내벽의 내측과 접촉하는 기포발생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is in contact with an outer side of the outer wall,
Wherein the second coupling member is formed with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And the protrud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inner wall.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벽의 외측과 상기 제1 결합체의 일면 사이에 구비된 제1 실링수단; 및
상기 내벽의 내측과 상기 돌출부 사이에 구비된 제2 실링수단;
을 더 포함하는 기포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3,
First sealing means provided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outer wall and one side of the first coupling body; And
Second sealing means provided between the inside of the inner wall and the protrusion;
Further comprising a bubble generat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공급부재에 제1 공급홀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공급부재에 제2 공급홀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공급홀을 통해서 상기 기체가 공급되고,
상기 제2 공급홀을 통해서 상기 액체가 공급되는 기포발생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supply hole is formed in the supply member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space,
A second supply hole is formed in the supply member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space,
The gas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supply hole,
And the liquid is supplied through the second supply hol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급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공급부재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재;
상기 돌출부재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1 플랜지;
관형으로 형성된 관형부재; 및
상기 관형부재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플랜지와 결합되는 제2 플랜지;
를 더 포함하는 기포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5,
A protruding member protruding from the supply member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supply hole;
A first flange formed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projecting member;
A tubular member formed into a tubular shape; And
A second flange formed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tubular member and coupled with the first flange;
Further comprising a bubble generat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포발생수단은 다수개 구비되고,
다수개의 상기 기포발생수단은 다수개 형성된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관통홀에 삽입되는 기포발생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bubble generating means are provided,
Wherein the plurality of bubble generating means are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s and the second through holes formed in a plurality of bubbl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재는 직육면체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인 기포발생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ly member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포발생수단은 상기 외벽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삽입되는 기포발생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bble generating means is obliquely inserted into the outer wal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체의 외측면에는 상호 평행한 두개의 평평한 평탄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체의 타면으로부터 함몰된 두개의 일자홈이 형성되는 기포발생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wo flat flat surfaces parallel to each other ar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body,
Wherein two concave depressed grooves are formed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assemb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포발생수단이 상기 공급부재에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인 축을 기준으로 상기 공급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을 더 포함하는 기포발생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feeding member with respect to an axis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bubble generating means is inserted into the feeding member;
Further comprising a bubble generator.
KR1020130022066A 2013-02-28 2013-02-28 Bubble Generator KR1015340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066A KR101534052B1 (en) 2013-02-28 2013-02-28 Bubble Gen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066A KR101534052B1 (en) 2013-02-28 2013-02-28 Bubble Gen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891A KR20140107891A (en) 2014-09-05
KR101534052B1 true KR101534052B1 (en) 2015-07-08

Family

ID=51755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066A KR101534052B1 (en) 2013-02-28 2013-02-28 Bubble Gen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05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0402A (en) * 2008-06-18 2010-01-07 Sato Kogyo Co Ltd Microbubble generator
KR20110004010A (en) * 2009-07-07 2011-01-13 주식회사 쿠보텍 Apparatus of generating microbubble
KR20110031778A (en) * 2009-09-21 2011-03-29 최장수 Apparatus generating minute particles and micro/nano bubbles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1178782B1 (en) * 2010-07-15 2012-09-07 한국기계연구원 Device for generating micro bubb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0402A (en) * 2008-06-18 2010-01-07 Sato Kogyo Co Ltd Microbubble generator
KR20110004010A (en) * 2009-07-07 2011-01-13 주식회사 쿠보텍 Apparatus of generating microbubble
KR20110031778A (en) * 2009-09-21 2011-03-29 최장수 Apparatus generating minute particles and micro/nano bubbles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1178782B1 (en) * 2010-07-15 2012-09-07 한국기계연구원 Device for generating micro bub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891A (en) 2014-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2478B1 (en) Micro bubble generator
CN102133509B (en) Gas and liquid mixed circulation generating device
US8905385B2 (en) Device for improved delivery of gas to fluid
MY135935A (en) Fluid delivery tube structural body
JP2007021343A (en) Microbubble generator
JP2009028579A (en) Bubble generating apparatus
CN106139970A (en) Agitating device
JP2013215634A (en) Fine air bubble generator
WO2007122731A1 (en) Microbubble generator
KR101534052B1 (en) Bubble Generator
JP4545564B2 (en) Microbubble generator
KR101920919B1 (en) Micro bubble generating device for farm
KR20120067394A (en) A device for dissolving gas and a apparatus for dissolving oxygen which used it
JP2009195882A (en) Method for producing hydrogen reduction water
JP3940760B2 (en) Fine bubble liquid generator and bubble refiner used therefor
JP6809671B2 (en) Fine bubble generator
JP2010115586A (en) Microbubble generator
CN206121543U (en)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JP4537988B2 (en) Gas dissolved water production mixer and gas dissolved water production apparatus
JP2012091153A (en) Fine-air-bubble generator
JP4943482B2 (en) Underwater aerator
JPH1190275A (en) Negative pressure fine-foam generator
CN211586070U (en) Novel high-pressure high-efficiency water ejector
JP6593610B2 (en) Air-mixing nozzle
JP2007144421A (en) Air bubble atom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