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136B1 -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impact strength - Google Patents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impact streng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136B1
KR101533136B1 KR1020110134131A KR20110134131A KR101533136B1 KR 101533136 B1 KR101533136 B1 KR 101533136B1 KR 1020110134131 A KR1020110134131 A KR 1020110134131A KR 20110134131 A KR20110134131 A KR 20110134131A KR 101533136 B1 KR101533136 B1 KR 101533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resin composition
thermoplastic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41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67516A (en
Inventor
유한종
양현석
김성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10134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136B1/en
Publication of KR20130067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75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136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20Recycled plastic
    • C08L2207/24Recycled plastic recycling of old tyres and caoutchouc and addition of caoutchouc p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40 중량%; (b)방향족 비닐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의 공중합체 10 내지 50 중량%; (c)재생 열가소성 수지 15 내지 50 중량%; 및 (d)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1 내지 20 중량%; 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e) 올레핀 블록을 갖는 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 조성물로서, 재생 열가소성 수지가 포함되어 친환경적이며 뛰어난 충격강도를 나타낸다. (A) 10 to 40% by weight of an ABS graft copolymer obtained by grafting an aromatic vinyl compound and a vinyl cyan compound onto a conjugated diene rubber-like polymer; (b) 10 to 50% by weight of a copolymer of an aromatic vinyl compound and a vinyl cyan compound; (c) 15 to 50% by weight of a recycled thermoplastic resin; And (d) 1 to 20% by weight of a modified polyester resin; (E) 0.1 to 10 parts by weight of an alkyl acrylate copolymer having an olefin block,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 base resin containing a recycled thermoplastic resin. The thermoplastic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And exhibits excellent impact strength.

Description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ABS 수지 조성물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impact strength}[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impact strength,

본 발명은 열가소성 ABS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생 열가소성 수지가 포함되어 친환경적이며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ABS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regenerated thermoplastic resin and being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having excellent impact strength.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으로 구성된 ABS 수지는 기능성 및 범용성을 겸비하고 있는 대표적인 수지로서 충격강도, 인장강도, 탄성률, 난연성 등 우수한 성질을 구비하고 있어 자동차 부품, 각종 전기/전자 부품 등의 용도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ABS resin, which is composed of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is a representative resin having both functionality and versatility. It has excellent properties such as impact strength, tensile strength, elastic modulus and flame retardancy and is used for automobile parts and various electric / electronic parts It is widely used.

최근에 미국을 중심으로 이산화탄소 발생 억제를 위해 재생 수지의 사용과 관련된 규정이 적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수지를 성형 및 제품화하여 소비자에게 판매된 제품의 하우징을 분쇄 및 재생하여 수지 생산업체가 제품을 제조할 때 첨가하도록 하는 최소량을 정하여 재생 수지의 첨가량별로 등급을 부여하는 형태이다. 이와 같은 규정을 적용하는 경우에 수지 제조업체 및 수지를 사용하여 제품을 만드는 기업 모두에게 친환경적인 기업 이미지를 각인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Recently, regulations related to the use of recycled resins have begun to be applied to suppress carbon dioxide generation in the United States. The resin is molded and manufactured so as to grind and regenerate the housing of the product sold to the consumer so that the resin manufacturer adds a grade to each addition amount of regenerated resin by determining the minimum amount to be added when the product is manufactured. When such regulations are applied, it is advantageous to imprint an eco-friendly corporate image to the resin maker and the companies making the product using the resin.

ABS 수지에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재생 수지로는 재생 ABS, 재생 SAN, 재생 PET, 재생 PBT 및 재생 PC 등을 들 수 있다. 재생을 하기 위해서는 소비자가 폐기한 제품에서 해당되는 수지를 분리 및 분쇄의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나름 체계적인 프로세스가 구축되어야 한다. 또한 물성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타 수지 및 이물 등의 혼입을 최소화해야 한다. 최근까지 여러 기업에서 기존 수지 대비 물성 저하가 많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재생 수지를 사용하고자 하는 노력을 많이 하고 있다.
Reclaimed resins that can be used in the ABS resin include reclaimed ABS, recycled SAN, recycled PET, recycled PBT, and recycled PC. In order to regenerate the resin, the resin must be separated and pulverized in the product that is discarded by the consumer, so a systematic process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maintain uniform physical properties, the incorporation of other resins and foreign matters should be minimized. Until recently, many companies have tried to use recycled resin without causing many physical properties degradation compared with existing resin.

미국특허 제6,881,368호에서는 재생 ABS 수지에 PC, PBT 및 PVC 수지 중 한가지를 첨가하고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는 ABS 수지로 만들어진 제품을 분쇄하여 재생 ABS를 만들고 여기에 기계적 물성이나 전기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소재인 PC, PBT, 및 PVC 수지 중 한가지를 섞어 제조하는 내용이다. 단, 재생되는 ABS의 경우 난연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제품과 포함되어 있는 제품의 구분이 어렵고 일정한 품질의 소스를 구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U.S. Patent No. 6,881,368 provides a method of adding and manufacturing one of PC, PBT, and PVC resins to recycled ABS resins. This is a mixture of PC, PBT, and PVC resin, which is a material for improving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recycled ABS by pulverizing a product made of ABS resin. However, in the case of ABS being regenerated,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a product not including a flame retardant from an included product, and it is difficult to obtain a source of a certain quality.

일본 특개평 2003-231119호에서는 ABS 수지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재생하지 않은 ABS와 재생한 ABS의 함량을 내충격성이 80% 유지되도록 조절하는 내용이다. ABS 수지에 타 수지를 첨가해도 된다고 되어 있으나 ABS 수지의 매트릭스인 AS 수지만 언급되어 있고 내충격성의 유지를 위해 미사용 ABS의 충격강도가 재생 ABS 대비 높은 것으로 한정하는 단점이 있다.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3-231119 discloses that the content of unreproduced ABS and regenerated ABS is adjusted so that the impact resistance is maintained at 80% in the production of ABS resin. Although it is said that other resins may be added to the ABS resin, only the AS resin, which is a matrix of the ABS resin, is mentioned, and the impact strength of the unused ABS is limite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regenerated ABS in order to maintain the impact resistance.

따라서 재생 수지를 사용하면서도 품질이 균일하고 난연제 등과 같은 이물이 들어가지 않으며 기존 제품 대비 우수한 충격강도를 갖는 열가소성 ABS 수지 조성물 및 제조방법이 필요하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and a manufacturing method which are uniform in quality while using a recycled resin, do not contain foreign materials such as a flame retardant, and have an excellent impact strength as compared with conventional products.

이에 본 발명에서는 우수한 충격강도를 가지며, 품질이 우수한 열가소성 ABS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impact strength and excellent quality.

즉, 본 발명에서는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비닐 화합물과 비닐 시안화화합물의 공중합체, 및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재생 열가소성 수지를 첨가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ABS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at i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tha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has excellent impact strength by adding a regenerated thermoplastic resin to an ABS graft copolymer, a copolymer of a vinyl compound and a vinyl cyanide compound, and a modified polyester resin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열가소성 ABS 수지 조성물은 (a)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40 중량%; (b)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의 공중합체 10 내지 50 중량%; (c) 재생 열가소성 수지 15 내지 50 중량%; 및 (d)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e) 올레핀 블록을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10 to 40% by weight of an ABS graft copolymer obtained by grafting an aromatic vinyl compound and a vinyl cyan compound onto a conjugated diene rubber polymer; (b) 10 to 50% by weight of a copolymer of an aromatic vinyl compound and a vinyl cyan compound; (c) 15 to 50% by weight of a recycled thermoplastic resin; And (d) 1 to 20% by weight of a modified polyester resin; and (e) 0.1 to 10 parts by weight of an alkyl acrylate copolymer having an olefin block in 100 parts by weight of a base resin.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ABS 수지 조성물은 상기 (a) 내지 (e) 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 이하에서 각각을 나누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above components (a) to (e), and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a)(a) 공액디엔계Conjugated diene series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이  When an aromatic vinyl compound and a vinyl cyan compound are added to the rubbery polymer 그라프트된Grafted 그라프트Graft 공중합체 (이하  Copolym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 ABSABS DPDP ): ):

본 발명에서 ABS계 그라프트 수지는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을 그라프트 중합하여 제조한다. 상기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는 먼저 평균입경이 비교적 작은 소구경 고무질 중합체를 제조하고, 이를 산을 이용하여 융착시킴에 의해 평균입경이 비교적 큰 대구경 고무질 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S-based graft resin is prepared by graft-polymerizing an aromatic vinyl compound and a vinyl cyan compound onto a conjugated diene rubber-like polymer. The conjugated diene-based rubbery polymer is first prepared by preparing a small-diameter rubbery polymer having a relatively small average particle size and fusing it with an acid to prepare a large-diameter rubbery polymer having a relatively large average particle size.

상기 ABS계 그라프트 수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입경 및 겔 함량은 수지의 충격강도 및 가공성 등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즉, 일반적으로 고무질 중합체의 입경이 작을수록 충격강도 및 가공성이 떨어지고 입경이 클수록 충격강도가 커지며, 겔 함량이 작을수록 고무질 중합체의 내부에 단량체가 많이 팽윤되어 중합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겉보기 입경이 커지게 되어 충격강도가 향상된다. 그러나 고무질 중합체의 함량이 많고 입경이 클수록 그라프트율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라프트율은 공액디엔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물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데 그라프트율이 떨어지면 그라프트되지 않은 고무질 중합체가 많이 존재하므로 열 안정성이 좋지 않게 된다.
The particle size and the gel content of the conjugated diene-based rubbery polymer used for the production of the ABS-based graft resin greatly influence the impact strength and workability of the resin. That is, generally, the smaller the particle size of the rubbery polymer is, the lower the impact strength and the processability are, and the larger the particle size, the larger the impact strength. The smaller the gel content, the larger the swelling of the monomer in the rubbery polymer, And the impact strength is improv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ent of the rubbery polymer is large and the graft rate is lowered as the particle size is larger. The graft ratio greatly affect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njugated diene-based graft copolymer. If the graft ratio is lowered, there are many untrafted rubber-like polymers, resulting in poor thermal stability.

따라서, 적절한 입경 및 겔 함량을 갖는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이 중요하며, 상기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을 그라프트시킬 때 적절한 그라프트율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oduce a conjugated diene-based rubbery polymer having an appropriate particle size and gel content, and it is important to ensure proper graft rate when grafting an aromatic vinyl compound and a vinyl cyanide compound to the conjugated diene-based rubbery polym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ABS계 그라프트 수지의 제조방법을 (i)소구경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제조, (ii)대구경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제조, 및 (iii) 그라프트 중합에 의한 ABS계 그라프트 수지의 제조, 의 3단계로 나누어 각각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producing an ABS-based graft resin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 Production of a small diameter conjugated diene rubber polymer, (ii) Production of a large diameter conjugated diene rubber polymer, and (iii) And the production of an ABS-based graft resin.

(i)소구경 (i) Small diameter 공액디엔계Conjugated diene series 고무질 중합체의 제조 Preparation of Rubbery Polymers

본 발명에 따른 ABS계 그라프트 수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대구경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소구경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는, 공액디엔계 단량체, 유화제, 중합개시제, 전해질, 분자량 조절제 및 물을 혼합하여 유화 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The small diameter conjugated diene rubber polymer for producing the large diameter conjugated diene rubber polymer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ABS-based graft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jugated diene rubber polymer having a conjugated diene monomer, an emulsifier, a polymerization initiator, an electrolyte, Follow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상기 공액디엔계 단량체는 부타디엔, 이소프렌 및 클로로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부타디엔이다. The conjugated diene-based monomer is preferab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adiene, isoprene, and chloroisoprene, and more preferably, butadiene.

상기 유화제는 알킬아릴 술포네이트, 알칼리금속 알킬술페이트, 술폰화 알킬에스테르, 지방산 비누 및 로진산 알칼리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바람직하며, 그 사용량은 상기 공액디엔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4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emulsifier is preferab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kylaryl sulfonates, alkali metal alkyl sulfates, sulfonated alkyl esters, fatty acid soaps and rosin acid alkali salts. The amount of the emulsifier used is preferably 100 parts by weight Is preferably 1 to 4 parts by weight.

상기 중합개시제는 수용성 퍼술페이트나 퍼옥시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고, 산화-환원계도 사용 가능하다. 가장 바람직한 수용성 퍼술페이트는 나트륨 및 칼륨 퍼술페이트이고, 지용성 중합개시제는 큐멘히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벤젠히드로퍼옥사이드, 아조비스 이소부틸니트릴, 3급부틸 히드로퍼옥사이드, 파라-메탄히드로퍼옥사이드 및 벤조일 퍼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바람직하며, 그 사용량은 상기 공액디엔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6 중량부가 바람직하다.The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a water-soluble persulfate or a peroxy compound, and a redox system may be used. The most preferred water soluble persulfates are sodium and potassium persulfates and the oil soluble polymerization initiator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mene hydroperoxide, diisopropylbenzene hydroperoxide, azobisisobutylnitrile, tertiary butyl hydroperoxide, para-methane hydroperoxide and Benzoyl peroxide, and the like. The amount of the monomer to be used is preferably 0.1 to 0.6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njugated diene monomer.

상기 전해질은 KCl, NaCl, KHCO3, NaHCO3, K2CO3, Na2CO3, KHSO3, NaHSO3, K4P2O7, K3PO4, Na3PO4, Na2HPO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바람직하며, 그 사용량은 상기 공액디엔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The electrolyte is KCl, NaCl, KHCO 3, NaHCO 3, K 2 CO 3, Na 2 CO 3, KHSO 3, NaHSO 3, K 4 P 2 O 7, K 3 PO 4, Na 3 PO 4, Na 2 HPO 4 , And the amount thereof is preferably 0.1 to 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njugated diene monomer.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t-도데실메르캅탄 또는 n-옥틸메르캅탄이 바람직하며, 그 사용량은 상기 공액디엔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The molecular weight regulator is preferably t-dodecylmercaptan or n-octylmercaptan, and the amount thereof is preferably 0.1 to 0.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njugated diene monomer.

또한, 상기 물은 이온교환수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사용량은 상기 공액디엔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90 내지 13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The water is preferably ion-exchanged water, and the amount of the water is preferably 90 to 1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njugated diene monomer.

상기 공액디엔계 단량체 및 상기 중합 첨가제들을 반응기에 일괄 투입하여 7 내지 12시간 동안 50 내지 65 ℃에서 1차 중합시키고, 분자량 조절제 0.05 내지 1.2 중량부를 추가로 첨가하여 5 내지 15 시간동안 55 내지 70 ℃에서 중합시킴에 의하여 소구경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The conjugated diene monomer and the polymerization additives are firstly charged into a reactor and subjected to primary polymerization at 50 to 65 ° C for 7 to 12 hours and further added with 0.05 to 1.2 parts by weight of a molecular weight modifier, To prepare a conjugated diene rubber polymer having a small diameter.

상기와 같이 제조된 소구경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는 평균 입경 600 내지 1500 Å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입경이 600 Å 미만이면 충격강도, 인장강도 등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열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며, 1500 Å를 초과하면 착색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The small diameter conjugated diene-based rubbery polymer prepared as described above preferably ha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600 to 1,500 angstroms. I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less than 600 ANGSTROM, the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impact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may be deteriorated and thermal stability may be deteriorated. I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exceeds 1500 ANGSTROM, coloring property may be deteriorated.

(( iiii ) 대구경 ) Large diameter 공액디엔계Conjugated diene series 고무질 중합체의 제조 Preparation of Rubbery Polymers

대구경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는 상기 소구경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를 산으로 융착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The large-diameter conjugated diene-based rubbery polymer can be prepared by fusing the small-diameter conjugated diene-based rubbery polymer with an acid, and a specific production method is as follows.

우선, 상기 소구경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100 중량부에 아세트산 수용액 2.5 내지 4.5 중량부를 1시간 동안 서서히 투여하여 소구경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입자들의 융착이 일어나도록 한다. 대략 1시간 후 교반을 중단하고 소정 시간 체류시키면 고무질 중합체가 비대화되어 평균 입경이 2500 내지 5000 Å인 대구경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First, 2.5 parts by weight to 4.5 parts by weight of an acetic acid aqueous solution is gradually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mall diameter conjugated diene-based rubbery polymer for 1 hour so that fusion of the conjugated diene-based rubbery polymer particles with small diameter is caused. After about one hour, stirring is stopped and the mixture is allowed to stand for a predetermined time, whereby the rubbery polymer is enlarged to produce a large diameter conjugated diene rubbery polym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500 to 5000 Å.

상기 대구경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입경은 열가소성 수지에 충격강도를 부여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하며, 평균 입경이 2500 Å 미만이면 충격강도, 인장강도 등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5000 Å를 초과하면 광택도가 저하되고 유동성이 저하되며 그라프트율이 낮아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large diameter conjugated diene rubber polymer is very important for imparting an impact strength to the thermoplastic resin. I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less than 2500 Å,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impact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may be deteriorated. The flowability is lowered, and the graft rate is lowered.

(( iiiiii ) ) 그라프트Graft 중합에 의한  By polymerization ABSABS system 그라프트Graft 수지의 제조 Manufacture of resin

본 발명에 따른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방향족 비닐 화합물 30 내지 60 중량부; 및 비닐시안 화합물 1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비닐시안 화합물은 매트릭스 수지와의 상용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10 중량부 미만에서는 상용성 저하의 문제가 있으며,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색상이 황변되는 문제가 있어 또한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13 내지 29 중량부 범위 내로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ABS graft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30 to 60 parts by weight of an aromatic vinyl compound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njugated diene rubber polymer; And 10 to 30 parts by weight of a vinyl cyan compound. At this time, the vinyl cyan compound plays a role of increasing compatibility with the matrix resin. When the amount is less than 10 parts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of lowering of compatibility. When the amount is more than 30 parts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lor is yellowe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3 to 29 parts by weight .

또한,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상기 대구경 고무질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 미만이면 색상이 황변되는 문제가 있고, 60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용성 저하 등의 문제가 있으며, 특히 38 내지 57 중량부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If the amount of the aromatic vinyl compound is less than 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large-diameter rubbery polym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lor is yellowed. When the amount of the aromatic vinyl compound is more than 60 parts by weigh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mine.

상기 반응 혼합물에 유화제, 분자량 조절제, 중합 개시제 및 물을 첨가하여 유화 중합시킴에 의해 ABS계 그라프트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The ABS-based graft resin can be prepared by adding an emulsifier, a molecular weight modifier, a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water to the reaction mixture, follow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파라-메틸 스티렌, o-에틸스티렌, 파라-에틸스티렌 및 비닐톨루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이다. The aromatic vinyl compound is preferably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yrene,? -Methylstyrene, para-methylstyrene, o-ethylstyrene, para-ethylstyrene and vinyltoluene, more preferably styrene.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에타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이다.
The vinyl cyan compound is preferab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and ethacrylonitrile, more preferably acrylonitrile.

상기 유화제, 분자량 조절제, 및 물은 상술한 것과 동일한 종류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사용량으로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대구경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화제는 0.2 내지 1 중량부 범위내로, 분자량 조절제는 0.2 내지 0.6 중량부 범위 내로, 물은 80 내지 150 중량부 범위 내로 각각 사용할 수 있다.
The emulsifier, the molecular weight modifier, and the water may be the same as those mentioned above. The amount of the emulsifier may be in the range of 0.2 to 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large diameter conjugated diene rubber polymer, The molecular weight regulator may be used in the range of 0.2 to 0.6 parts by weight, and the water may be used in the range of 80 to 150 parts by weight.

또한, 상기 중합개시제는 큐멘히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벤젠히드로퍼옥사이드 또는 과황산염을 포함하는 과산화물, 나트륨포름알데히드 술폭실레이트, 나트륨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 황산제1철, 덱스트로스, 피롤린산나트륨 또는 아황산나트륨을 포함하는 환원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산화-환원 촉매계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사용량은 상기 대구경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eroxides including cumene hydroperoxide, diisopropylbenzene hydroperoxide or persulfate, sodium formaldehyde sulfoxylate, sodium ethylenediamine tetraacetate, ferrous sulfate, dextrose, sodium pyrophosphate Or a mixture of a reducing agent containing sodium sulfite, and the amount of the catalyst to be used is preferably 0.1 to 0.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large diameter conjugated diene rubber polymer.

상기 반응 혼합물 및 중합 첨가제들을 반응기에 첨가할 경우, 그라프트율 향상과 응고율 생성 최소화를 위해서 다단계로 분할 투여하거나 또는 연속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reaction mixture and the polymerization additives are added to the reactor,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ction mixture and the polymerization additives are divided into multiple stages or continuously administered in order to improve the graft rate and minimize the generation of the clotting rate.

상기 ABS계 그라프트 수지를 제조하기 위한 유화 중합의 온도 조건은 45 내지 80 ℃가 바람직하며, 중합 시간은 3 내지 5 시간이 바람직하다. The temperature condition for the emulsion polymerization for producing the ABS-based graft resin is preferably 45 to 80 ° C, and the polymerization time is preferably 3 to 5 hours.

상기 유화 중합이 종료된 후, 수득된 ABS계 그라프트 수지 라텍스의 중합 전환율은 9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ABS계 그라프트 수지 라텍스에 산화방지제 및 자외선 안정제를 첨가하여 80 ℃ 이상의 온도에서 황산 수용액으로 응집시킨 후 탈수 및 건조시켜 ABS계 그라프트 수지 분말을 얻을 수 있다.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of the obtained ABS-based graft resin latex after completion of the emulsion polymerization is preferably 95% or more, and an antioxidant and an ultraviolet stabilizer are added to the ABS-based graft resin latex, and a sulfuric acid aqueous solution , Followed by dehydration and drying to obtain an ABS-based graft resin powder.

상기 제조된 ABS계 그라프트 수지 라텍스의 중합 안정성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고형 응고분(%)을 측정하여 판단할 수 있다. The polymerization stability of the prepared ABS-based graft resin latex can b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solidification percentage (%) by the following 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고형 응고분(%) = (반응조 내의 생성 응고물 무게(g))/고무질 중합체 및 단량체의 총 무게) x 100Solid solid content (%) = (weight (g) of formed solidified product in the reaction tank) / gross weight of rubbery polymer and monomer x 100

상기 고형 응고분이 0.7% 이상일 때에는 라텍스 안정성이 극히 떨어지며, 다량의 응고물로 인해 본 발명에 적합한 ABS계 그라프트 수지를 얻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고형 응고분은 0.7%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solidified solid content is 0.7% or more, the latex stability is extremely low, and it is difficult to obtain an ABS-based grafted resin suitable for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a large amount of solidified material. Therefore, the solidified solid content is preferably less than 0.7%.

또한, 상기 ABS계 그라프트 수지의 그라프트율은 다음과 같이 측정한다. 즉, ABS계 그라프트 수지 라텍스를 응고, 세척 및 건조하여 분말 형태를 수득하고, 상기 분말 2g을 아세톤 300 ml에 넣어 24시간동안 교반한다. 이 용액을 초원심 분리기를 이용하여 분리한 후, 분리된 아세톤 용액을 메탄올에 떨어뜨려 그라프트 되지 않은 부분을 얻고, 이를 건조시켜 무게를 측정한다. 이 무게들로부터 하기 수학식 2에 의하여 그라프트율을 계산한다. The graft ratio of the ABS-based graft resin is measured as follows. That is, the ABS-based graft resin latex was solidified, washed and dried to obtain a powder form, and 2 g of the powder was added to 300 ml of acetone and stirred for 24 hours. After separating the solution using an ultracentrifuge, the separated acetone solution is dropped into methanol to obtain a non-grafted portion, which is then dried and weighed. From these weights, the graft rate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수학식 2]&Quot; (2) "

그라프트율(%) = (그라프트된 단랴체의 무게/고무질이 총 무게) x 100
Graft rate (%) = (weight of grafted monolith / total weight of rubber) x 100

본 발명에서 상기 ABS계 그라프트 수지의 그라프트율은 26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라프트율이 26% 미만이면 열안정성이 저하되며, 60%를 초과하면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ft ratio of the ABS-based graft resin is preferably 26 to 60%. If the graft ratio is less than 26%, the thermal stability is deteriorated. If the graft ratio is more than 60%, the mechanical properties are deteriorated.

상기 ABS DP의 사용량은 전체 ABS 베이스 수지 중 10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며, 40 중량%를 초과하면 내스크래치성 및 가공성이 취약해지는 문제가 있고 10 중량% 미만을 첨가하면 충격강도가 저하되어 제품의 사출 및 조립 과정 중 부러지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하기 실시예에서 규명된 바와 같이, 25 내지 33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반응의 효율성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The ABS DP is used in an amount of 10 to 4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BS base resin. If it exceeds 40% by weight, scratch resistance and workability become poor. When less than 10% by weight is added,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is broken during the injection and assembly process. In particular, as described in the following examples, 25 to 33% by weight is more preferable in view of the efficiency of the reaction.

(b)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의 공중합체 ((b) a copolymer of an aromatic vinyl compound and a vinyl cyan compound ( SANSAN 계 수지): System resin):

SAN 계 수지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조건을 이용하여 제조된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수지의 색상이나 가공성 등을 고려할 때 방향족 비닐 화합물 20 내지 9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0 내지 80 중량%를 연속 괴상중합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 SAN계 수지가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n consideration of the color and workability of the resin, 20 to 90% by weight of an aromatic vinyl compound and 10 to 80% by weight of a vinyl cyanide compound may be used as the SAN-based resin,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a SAN series resin produced by a continuous bulk polymerization method.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파라-메틸 스티렌, o-에틸 스티렌, 파라-에틸스티렌 및 비닐톨루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이다. The aromatic vinyl compound is preferably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yrene,? -Methylstyrene, para-methylstyrene, o-ethylstyrene, para-ethylstyrene and vinyltoluene, more preferably styrene.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에타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이다. The vinyl cyan compound is preferab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and ethacrylonitrile, more preferably acrylonitrile.

상기 SAN계 수지의 사용량은 전체 ABS 베이스 수지 중 10 내지 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AN계 수지의 사용량이 50 중량%를 초과하면 내후성 및 충격강도가 취약해지는 문제가 있고 10 중량% 미만을 첨가하면 내스크래치성 및 가공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하기 실시예에서 규명된 바와 같이, 32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반응의 효율성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The use amount of the SAN-based resin is preferably 10 to 50% by weight of the entire ABS base resin. When the amount of the SAN-based resin is more than 50% by weight, the weather resistance and the impact strength become poor. When less than 10% by weight is added, scratch resistance and workability are poor. In particular, as described in the following examples, 32 to 40% by weight is more preferable in view of the efficiency of the reaction.

(c)재생 열가소성 수지(c) Regenerated thermoplastic resin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열가소성 수지는 재생 폴리에틸렌 수지, 재생 폴리프로필렌 수지, 재생 폴리에스터 수지, 재생 폴리스티렌 수지, 재생 폴리아미드 수지, 재생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재생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재생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이다. The regenerated thermoplastic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recycled polypropylene resin, a regenerated polypropylene resin, a regenerated polyester resin, a regenerated polystyrene resin, a regenerated polyamide resin, a regenerated polycarbonate resin, a regenerated acrylonitrile-butadiene- Resins, and mixtures thereof.

이중에서도 재생 폴리에스터 수지의 일종인 재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재생 PET)가 바람직하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합체로 만들어진 BOTTLE 또는 SHEET의 분쇄품 또는 이들의 재압출을 통하여 얻어진 펠렛 제품으로서, 상기 재생 PET 수지는 재생 PET 가공업체에서 생산되는 제품을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이 재생 PET는 주로 BOTTLE 및 SHEET 용으로 사용된 후 수거된 것으로 만들어졌다. 이들 재생 PET는 이종 재료나 금속 등의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으며, PET 수지의 가수분해를 촉진시키는 알칼리 성분이 잔류되지 않도록 충분히 세척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mong these, recycl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cycled PET), which is a kind of recycled polyester resin, is preferable, and a pellet product obtained by pulverizing product of BOTTLE or SHEET made of (poly) 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 or re-extruding thereof, The PET resin used in the recycled PET processing company was used without further purification. This recycled PET was made mainly for use in bottles and shafts and then collected. Care must be taken not to include foreign materials such as dissimilar materials and metals,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se regenerated PETs are sufficiently washed and used so that the alkali component that promotes the hydrolysis of the PET resin is not left.

상기 재생 열가소성 수지들은 펠렛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The regenerated thermoplastic resins are preferably used in the form of pellets, but the form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상기 재생 열가소성 수지의 사용량은 전체 ABS 베이스 수지 중 15 내지 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사용량이 1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충격강도 및 신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동성이 낮아지며 가공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하기 실시예에서 규명된 바와 같이, 27 내지 3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반응의 효율성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The regenerated thermoplastic resin is preferably used in an amount of 15 to 50 wt% of the total ABS base resin. When the amount is less than 15%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mpact strength and elongation are reduced. When the amount is more than 50% by weight, the fluidity is lowered and the workability is lowered. In particular, as described in the following examples, it is more preferable to include 27 to 35% by weight in view of the efficiency of the reaction.

(d)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d) Modified polyester resin

본 발명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일종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합 시 50% 이상 첨가하여 제조하는 공중합 수지로 투명하며 비결정성인 것이 특징이다. The modified polyester res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polymer resin prepared by adding at least 50% of 1,4-cyclohexane dimethanol during polymerization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which is a type of polyester resin, and is characterized by being transparent and amorphous.

상기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사용량은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사용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그 사용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원하는 수준의 충격강도 및 가공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하기 실시예에서 규명된 바와 같이, 3 내지 8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반응의 효율성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The use amount of the modified polyester resin is preferably 1 to 20 parts by weight. When the amount of the modified polyester resin is more than 20 parts by weight, the rigidity is lowered. When the amount is less than 1 part by weight, Is lowered. In particular, as described in the following examples, it is preferable to include 3 to 8% by weight in view of the efficiency of the reaction.

(e)올레핀 블록을 갖는 (e) having an olefin block 알킬Alkyl 아크릴레이트Acrylate 공중합체: Copolymer:

본 발명에 따른 올레핀 블록을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올레핀 블록 60 내지 80 중량%와 알킬 아크릴레이트 블록 20 내지 40 중량%으로된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 블록은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로된 블록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타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한 것이다. 또한 상기 올레핀 블록은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및 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로된 블록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을 사용한 것이다. The alkyl acrylate copolymer having an olefi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polymer having 60 to 80% by weight of an olefin block and 20 to 40% by weight of an alkyl acrylate block. The alkyl acrylate block is preferably a block of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 acrylate, butyl acrylate, and methacrylate, more preferably methacrylate. The olefin block is preferably a block made of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propylene, butadiene, and isoprene, more preferably ethylene or propylene.

상기 올레핀 블록을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사용량은 전체 ABS 베이스 수지 중 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의 사용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면 강성 및 가공성이 취약해지는 문제가 있고 0.1 중량% 미만을 첨가하면 충격강도 향상이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하기 실시예에서 규명된 바와 같이, 1.5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반응의 효율성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The amount of the alkyl acrylate copolymer having the olefin block is preferably 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BS base resin. When the amount of the copolymer is more than 10% by weight, rigidity and workability become poor. When the amount is less than 0.1% by weight, the improvement of the impact strength is insufficient. In particular, as described in the following examples, 1.5 to 4.0% by weight is more preferable in view of the efficiency of the reaction.

또한, 하기 실시예에서 규명된 바와 같이, (c) 재생 열가소성 수지를 과량으로 사용하면서 (d)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e) 올레핀 블록을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모두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3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대비 충격강도와 유동성이 모두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Comparative Example 3 (c), in which both the modified polyester resin (d) and the alkyl acrylate copolymer (e) having an olefin block were not used while using an excess amount of the recycled thermoplastic resin (c) , It was confirmed that both the impact strength and the fluidity were lowered compared with Exampl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c) 재생 열가소성 수지를 전혀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4의 경우에는 (d)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e) 올레핀 블록을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첨가하더라도 충격강도가 향상되지 않은 것을 확인활 수 있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4 in which no regenerated thermoplastic resin (c) was added at all,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act strength was not improved even when the modified polyester resin (d) and the alkyl acrylate copolymer (e) I could play.

상기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열가소성 ABS 수지는 용도에 따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활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이형제 또는 자외선 안정제를 추가로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1종 이상 선택된 첨가제의 합량은 열가소성 ABS 수지 100 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부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The thermoplastic ABS resi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osed of the above components may be prepared by further adding a lubricant, an antioxidant, an antistatic agent, a mold release agent, or a UV stabilizer which are conventionally used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The amount of one or more selected additives may be used within a range of 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ABS resin.

상기 활제는 에틸렌 비스 스테아르아미드, 산화 폴리에틸렌 왁스,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상기 열가소성 ABS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중량부이다. The lubricant may be ethylene bis stearamide, oxidized polyethylene wax, magnesium stearate,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amount of the lubricant used is preferably 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ABS base resin, 0.5 to 2 parts by weight.

또한, 상기 산화방지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인 IR1076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상기 열가소성 ABS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antioxidant may be a phenolic antioxidant such as IR1076. The amount of the antioxidant used is preferably 0.5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ABS base resin.

또한,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자외선 흡수제인 TINUVIN 326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상기 열가소성 ABS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3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 중량부이다. The ultraviolet stabilizer may be an ultraviolet absorber such as TINUVIN 326. The amount of the UV stabilizer is preferably 0.05 to 3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0.2 to 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ABS base resin.

상기와 같은 열가소성 ABS 수지 조성물은 재생 열가소성 수지가 포함되어 친환경적이며 뛰어난 충격강도를 나타내는 우수한 열가소성 ABS 수지 조성물이다.
The above-mentioned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is a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which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exhibits excellent impact strength by including a regenerated thermoplastic resin.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ABS 수지 조성물은 재생 열가소성 수지가 포함되어 친환경적이며 뛰어난 충격강도를 나타낸다.
The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recycled thermoplastic resin and is eco-friendly and exhibits excellent impact strength.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Example 1 One

소구경 고무질 중합체의 제조: Preparation of small caliber rubbery polymer:

질소 치환된 중합 반응기(오토클레이브)에 1,3-부타디엔 100 중량부, 로진산 칼륨염 1.2 중량부, 올레인산 칼륨염 1.5 중량부, 탄산나트륨(Na2CO3) 0.1 중량부 및 탄산수소칼륨(KHCO3) 0.5 중량부, t-도데실 메르캅탄 0.3 중량부 및 이온교환수 100 중량부를 일괄 투여하고 반응 온도를 55 ℃로 올린 다음 칼륨 퍼술페이트 0.3 중량부를 일괄 투여하여 반응을 개시하였다. 10시간동안 반응시킨 후 t-도데실 메르캅탄 0.05 중량부를 추가 투여하여 65 ℃에서 8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반응을 종료하여 소구경 고무질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100 parts by weight of 1,3-butadiene, 1.2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rosinate, 1.5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oleate, 0.1 part by weight of sodium carbonate (Na 2 CO 3 ) and 0.1 part by weight of potassium hydrogencarbonate (KHCO 3 ), 0.3 part by weight of t-dodecyl mercaptan and 100 parts by weight of ion-exchanged water, and the reaction temperature was raised to 55 ° C. Then, 0.3 part by weight of potassium persulfate was added to the mixture to initiate the reaction. After 10 hours of reaction, 0.05 part of t-dodecylmercaptan was further added thereto, followed by reaction at 65 ° C for 8 hours, and the reaction was terminated to prepare a small-sized rubbery polymer.

상기 제조된 소구경 고무질 중합체의 겔 함량은 90%, 팽윤지수는 18이었고, 입경은 약 1000 Å이었다.
The prepared small-diameter rubbery polymer had a gel content of 90%, a swelling index of 18, and a particle diameter of about 1000 Å.

대구경 Large diameter 공액디엔계Conjugated diene series 고무질 중합체의 제조 Preparation of Rubbery Polymers

상기 제조된 소구경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100 중량부를 반응조에 투입하고 교반 속도를 10 rpm, 온도를 30 ℃로 조절한 후 7%의 아세트산 수용액 3.0 중량부를 서서히 투입한 후, 교반을 중단시키고 30분 동안 방치하여 소구경 고무질 중합체를 융착시킴으로써 대구경 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pared small diameter conjugated diene rubber polymer was added to the reaction vessel, the stirring speed was adjusted to 10 rpm and the temperature was adjusted to 30 DEG C, 3.0 parts by weight of 7% aqueous acetic acid was gradually added, stirring was stopped, To prepare a large diameter butadiene rubbery polymer by fusing a small diameter rubbery polymer.

상기 융착공정으로 제조된 대구경 고무질 중합체를 소구경 고무질 중합체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때 얻어진 고무질 중합체의 입경은 3100 Å이고 겔 함량은 90%였다.
The large diameter rubbery polymer produced by the fusion process was analyz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mall diameter rubbery polymer. The rubber polymer thus obtained had a particle diameter of 3100 Å and a gel content of 90%.

(a)(a) ABSABS system 그라프트Graft 수지의 제조 Manufacture of resin

질소 치환된 중합반응기에 상기 제조된 대구경 고무질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온교환수 65 중량부, 로진산칼륨 0.35 중량부, 나트륨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0.1 중량부, 황산제1철 0.005 중량부, 포름알데히드 나트륨술폭실레이트 0.23 중량부를 반응조에 일괄 투여하고 온도를 70 ℃로 승온하였따. To the nitrogen-substituted polymerization reactor were added 65 parts by weight of ion-exchanged water, 0.35 part by weight of potassium rosinate, 0.1 part by weight of sodium ethylenediamine tetraacetate, 0.005 part by weight of ferrous sulfate, And 0.23 parts by weight of sodium sulfoxylate were collectively administered to the reaction tank, and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70 占 폚.

또한 이온교환수 40 중량부, 로진산칼륨 0.5 중량부, 스티렌 32.0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13.7 중량부, t-도데실메르캅탄 0.3 중량부, 디이소프로필렌히드로퍼옥사이드 0.3 중량부의 혼합액을 2시간동안 연속 투입한 후, 여기에 다시 이온교환수 10 중량부, 로진산칼륨 0.1 중량부, 스티렌 16.0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5.0 중량부, t-도데실메르캅탄 0.1 중량부 및 디이소프로필렌히드로퍼옥사이드 0.1 중량부의 혼합액을 1시간동안 연속 투입한 후 80 ℃로 승온시키고, 다시 1시간동안 숙성시켜 반응을 종료시켰다. A mixture of 40 parts by weight of ion-exchanged water, 0.5 part by weight of potassium rosinate, 32.0 parts by weight of styrene, 13.7 parts by weight of acrylonitrile, 0.3 parts by weight of t-dodecyl mercaptan and 0.3 parts by weight of diisopropylene hydroperoxide was stirred for 2 hours , 10 parts by weight of ion-exchanged water, 0.1 part by weight of potassium rosinate, 16.0 parts by weight of styrene, 5.0 parts by weight of acrylonitrile, 0.1 part by weight of t-dodecyl mercaptan, and 0.1 part by weight of diisopropylene hydropower And 0.1 part by weight of oxides were continuously added for 1 hour, and then the mixture was heated to 80 DEG C and aged for another 1 hour to terminate the reaction.

이때 중합 전환율은 97.5%, 고형 응고분은 0.2%, 그라프트율은 37%였다.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was 97.5%, the solid solid content was 0.2%, and the grafting rate was 37%.

상기 제조된 ABS 그라프트 수지 라텍스를 황산 수용액으로 응고시키고 세척한 다음 건조하여 분말을 얻었다.
The prepared ABS grafted resin latex was coagulated with an aqueous sulfuric acid solution, washed and then dried to obtain a powder.

(b)(b) SANSAN 계 수지System resin

SAN계 공중합체 수지는 촉매로서 DCP(dicumyl peroxide)를 사용한 연속 괴상중합을 통해 만들어지며 LG 화학에서 제조된 SAN(제품명 81HF)를 정제 없이 그대로 사용하였다.
The SAN copolymer resin was prepared by continuous bulk polymerization using DCP (dicumyl peroxide) as a catalyst and SAN (product name 81HF) manufactured by LG Chemical was used without purification.

(c)재생 열가소성 수지(c) Regenerated thermoplastic resin

재생 열가소성 수지는 PET로 만들어진 BOTTLE 및 SHEET를 분쇄 및 재압출하여 만들어지며 재생업체에서 제조된 제품을 정제 없이 그대로 사용하였다.
The regenerated thermoplastic resin is produced by pulverizing and re-extruding PET and SHEET made of PET, and the product manufactured by the recycling company is used without purification.

(d)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d) Modified polyester resin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SK Chemical사에서 제조된 PCTG(제품명 JN100)를 정제 없이 그대로 사용하였다.
As the modified polyester resin, PCTG (product name JN100) manufactured by SK Chemical Co., Ltd. was used without purification.

(e)올레핀 블록을 갖는 (e) having an olefin block 알킬Alkyl 아크릴레이트Acrylate 공중합체 Copolymer

올레핀 블록을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는 Dupont사에서 제조된 EMA(제품명: Elvaloy AC 1330)를 정제 없이 그대로 사용하였다.
As the alkyl acrylate copolymer having an olefin block, EMA (product name: Elvaloy AC 1330) produced by Dupont was used without purification.

열가소성 ABS 수지 조성물의 제조: Preparation of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

상기 제조한 (a)ABS DP 30 중량%, (b)SAN계 수지 40 중량%, (c) 재생 PET 수지 27 중량%, (d)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3 중량%의 열가소성 ABS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e) 올레핀 블록을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1.5 중량부, 활제 EBA를 3.0 중량부, 산화방지제 IR1076을 0.4 중량부 첨가하여 250 ℃에서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100 parts by weight of a thermoplastic ABS base resin (a) ABS DP 30% by weight, (b) 40% by weight of a SAN resin, (c) 27% by weight of a recycled PET resin, and 3% by weight of a modified polyester resin (E) 1.5 parts by weight of an alkyl acrylate copolymer having an olefin block, 3.0 parts by weight of a lubricant EBA, and 0.4 parts by weight of an antioxidant IR1076 were added at 250 DEG C to prepare pellets using a twin-screw extruder.

실시예Example 2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것과 같은 상기 제조한 (b) SAN계 수지 35 중량%, (d)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3 중량%, 및 (e) 올레핀 블록을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2.5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펠렛을 제조하였다.
(B) 35 wt% of the SAN resin, (d) 3 wt% of the modified polyester resin, and (e) 2.5 parts of the alkyl acrylate copolymer having an olefin block, which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pelle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실시예Example 3 3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것과 같은 상기 제조한 (a) ABS DP 25 중량%, (b) SAN계 수지 35 중량%, (c) 재생 PET 수지 35 중량%, (d)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5 중량%, (e) 올레핀 블록을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2.5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펠렛을 제조하였다.
(B) 35 wt% of SAN resin, (c) 35 wt% of recycled PET resin, (d) 5 wt% of modified polyester resin %, and (e) 2.5 parts by weight of an alkyl acrylate copolymer having an olefin block was added to the pellets.

실시예Example 4 4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것과 같은 상기 제조한 (a) ABS DP 33 중량%, (b) SAN계 수지 32 중량%, (d)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8 중량%, (e) 올레핀 블록을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4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펠렛을 제조하였다.
(A) ABS DP 33% by weight, (b) SAN resin 32% by weight, (d) 8% by weight denatured polyester resin, (e) Alkyl Acrylate copolymer was added in an amount of 4 parts by weight.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One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것과 같은 상기 제조한 (b) SAN계 수지 43 중량%를 첨가하고, (d)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e) 올레핀 블록을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제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펠렛을 제조하였다.
Except that 43 wt% of the SAN resin (b) prepared as described in Example 1 above was added and the alkyl acrylate copolymer having (d) the modified polyester resin and (e) the olefin block was removed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2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것과 같은 상기 제조한 (b) SAN계 수지 55 중량%를 첨가하고, (c) 재생 PET 수지 15중량%를 첨가하고 (d)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e) 올레핀 블록을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제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펠렛을 제조하였다.
(C) 55 parts by weight of the recycled PET resin (d) was added to the modified polyester resin and (e) the olefin block (b) The pellets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lkyl acrylate copolymer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0,000 was remov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3 3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것과 같은 상기 제조한 (b) SAN계 수지 10 중량%, (c) 재생 PET 수지 58중량%, (d)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2중량%를 첨가하고 (e) 올레핀 블록을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제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펠렛을 제조하였다.
10 wt% of the SAN resin (b), 58 wt% of the recycled PET resin (d), and 2 wt% of the modified polyester resin (b) The pellets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lkyl acrylate copolymer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0,000 was remov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4 4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것과 같은 상기 제조한 (a) ABS DP 25 중량%, (b) SAN계 수지 70 중량%, (d)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5중량%, 및 (e) 올레핀 블록을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1.5 중량부를 첨가하고, (c) 재생 PET 수지를 제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펠렛을 제조하였다.
(A) 25% by weight of ABS DP prepared as in Example 1, (b) 70% by weight of SAN resin, (d) 5% by weight of modified polyester resin, and (e) And 1.5 parts by weight of an alkyl acrylate copolymer were added, and (c) the recycled PET resin was removed.

(( 성능 시험Performance test ))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펠렛을 사출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충격강도, 유동성 및 광택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표 1에 나타내었다.
The pellets prepared in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injected, and the impact strength, flowability and gloss were measured in the following manner.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충격강도(아이조드 충격강도, 1/8') :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 Impact strength (Izod impact strength, 1/8 '): Measured according to ASTM D256.

*유동성(MI): 250 ℃, 10 kg 하중 및 g/10 min의 속도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 Flowability (MI): Measured at 250 ° C, 10 kg load and g / 10 min speed conditions.

구분division 실시예Example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One 22 33 44 1One 22 33 44 ABS DP(wt%)ABS DP (wt%) 3030 3030 2525 3333 3030 3030 3030 2525 SAN계 수지(wt%)SAN-based resin (wt%) 4040 3535 3535 3232 4343 6060 1010 7070 재생 PET 수지(wt%)Recycled PET resin (wt%) 2727 2727 3535 2727 2727 1010 5858 00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wt%)Modified polyester resin (wt%) 33 88 55 88 00 00 22 55 올레핀 블록을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중량부)An alkyl acrylate copolymer having an olefin block (parts by weight) 1.51.5 2.52.5 2.52.5 44 00 00 00 1.51.5 충격강도(1/8") Impact Strength (1/8 ") 4242 5151 3232 6262 2626 1717 1818 2121 유동성(MI)Flowability (MI) 4545 4242 3939 3737 4848 5757 1818 4242

상기 표 1을 통하여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은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올레핀 블록을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넣지 않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충격강도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from Table 1, Examp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erior in impact strength to Comparative Example 1 in which an alkyl acrylate copolymer having a modified polyester resin and an olefin block is not ad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경우 비교예 2와 비교할 때 재생 PET 수지 함량이 청구범위 미만으로 적은 경우 유동성은 증가하나 충격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In the case of Exampl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 2, when the recycled PET resin content is less than the claimed range, the fluidity is increased but the impact strength is lower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및 3과 비교예 3을 비교할 때, 재생 PET 수지의 함량이 50 중량%를 초과하면 충격강도와 유동성 모두 저하됨을 알 수 있다. Comparing Examples 2 and 3 and Comparative Exampl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nderstood that both the impact strength and the fluidity are lowered when the content of the recycled PET resin exceeds 50% by weigh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및 4의 경우 비교예 4와 비교할 때 재생 PET 수지를 전혀 첨가하지 않은 경우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올레핀 블록을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첨가하여도 충격강도의 향상이 잘 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Further, in the case of Examples 3 and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ition of an alkyl acrylate copolymer having a modified polyester resin and an olefin block improves the impact strength when no recycled PET resin is added as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 4 Is not good.

Claims (14)

(a)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40 중량%; (b)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의 공중합체 10 내지 50 중량%; (c) 재생 열가소성 수지 15 내지 50 중량%; 및 (d)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e) 올레핀 블록을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 조성물.
(a) 10 to 40% by weight of an ABS graft copolymer obtained by grafting an aromatic vinyl compound and a vinyl cyan compound onto a conjugated diene-based rubbery polymer; (b) 10 to 50% by weight of a copolymer of an aromatic vinyl compound and a vinyl cyan compound; (c) 15 to 50% by weight of a recycled thermoplastic resin; And (d) 1 to 20% by weight of a modified polyester resin; (e) 0.1 to 10 parts by weight of an alkyl acrylate copolymer having an olefin block;
Thermoplastic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resin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는 평균 입경 2500 내지 5000 Å인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ABS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jugated diene-based rubbery polymer (a) is a polym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500 to 5000 Å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는 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 이소프렌 고무질 중합체, 클로로이소프렌 고무질 중합체 및 이들의 임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ABS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jugated diene-based rubbery polymer (a)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butadiene rubber polymer, an isoprene rubber polymer, a chloroisoprene rubber polymer, and any mixture thereof.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및 (b)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파라-메틸 스티렌, o-에틸스티렌, 파라-에틸스티렌, 및 비닐톨루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ABS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romatic vinyl compound of (a) and (b)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yrene,? -Methylstyrene, para-methylstyrene, o-ethylstyrene, para-ethylstyrene and vinyltoluene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및 (b)의 비닐시안 화합물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에타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ABS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inyl cyan compound of (a) and (b)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and ethacrylonitrile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방향족 비닐 화합물 30 내지 60 중량부; 및 비닐시안 화합물 1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ABS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raft copolymer (a) is obtained by copolymerizing 30 to 60 parts by weight of an aromatic vinyl compound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njugated diene-based rubbery polymer; And 10 to 30 parts by weight of a vinyl cyanide compound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비닐시안 화합물의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 20 내지 90 중량%와 비닐시안 화합물 10 내지 80중량%로 연속 괴상 중합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ABS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polymer of the aromatic vinyl compound and the vinyl cyan compound (b) is prepared by continuous bulk polymerization in an amount of 20 to 90% by weight of an aromatic vinyl compound and 10 to 80% by weight of a vinyl cyan compound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의 재생 열가소성 수지는 재생 폴리에틸렌 수지, 재생 폴리프로필렌 수지, 재생 폴리에스터 수지, 재생 폴리스티렌계 수지, 재생 폴리아미드 수지, 재생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재생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재생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ABS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generated thermoplastic resin of (c)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cycled polyethylene resin, recycled polypropylene resin, recycled polyester resin, recycled polystyrene resin, recycled polyamide resin, recycled polycarbonate resin, recycled acrylonitrile-butadiene- Vinyl chloride resin, and mixtures thereof. ≪ RTI ID = 0.0 >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의 재생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합체로 만들어진 보틀 또는 시트의 분쇄품 또는 이들의 재압출을 통하여 얻어진 펠렛 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ABS 수지 조성물.
9. The method of claim 8,
The regenerated thermoplastic resin (c) is a pulverized product of a bottle or a sheet made of a (poly) 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 or a pellet product obtained by re-extruding them.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의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합 시 50% 이상 포함되어 공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ABS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dified polyester resin of (d) is characterized in that 1.4-cyclohexanedimethanol is copolymerized in an amount of 50% or more in the polymerization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의 올레핀 블록을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올레핀 블록 60 내지 80 중량%와 알킬 아크릴레이트 블록 20 내지 40 중량%로된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ABS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lkyl acrylate copolymer having olefin block (e) is a copolymer comprising 60 to 80% by weight of an olefin block and 20 to 40% by weight of an alkyl acrylate block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 블록은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및 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ABS 수지 조성물.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olefin block is at least one block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propylene, butadiene, and isoprene.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 블록은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로된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ABS 수지 조성물.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alkyl acrylate block is a block of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 acrylate, butyl acrylate and methacrylate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활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이형제 및 자외선안정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ABS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said composition comprises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lubricant, an antioxidant, an antistatic agent, a release agent and a UV stabilizer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KR1020110134131A 2011-12-14 2011-12-14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impact strength KR1015331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131A KR101533136B1 (en) 2011-12-14 2011-12-14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impact streng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131A KR101533136B1 (en) 2011-12-14 2011-12-14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impact streng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516A KR20130067516A (en) 2013-06-25
KR101533136B1 true KR101533136B1 (en) 2015-07-01

Family

ID=48863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4131A KR101533136B1 (en) 2011-12-14 2011-12-14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impact streng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13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493B1 (en) 2013-06-28 2019-11-19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Parts for vehicle, electrical/electronic instrument, home appliance, office machine, or household item
KR102042692B1 (en) * 2013-06-28 2019-11-08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High heat resistance polymer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CN104194245B (en) * 2014-09-01 2016-09-28 中启胶建集团有限公司 A kind of ageing-resistant building drip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073762B1 (en) 2016-12-09 2020-02-05 주식회사 엘지화학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11261277B2 (en) 2017-09-25 2022-03-01 Lg Chem, Ltd. Method of preparing graft copolymer, graft copolymer, and thermoplastic resin molded article
WO2019139386A1 (en) * 2018-01-10 2019-07-18 주식회사 엘지화학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02295658B1 (en) * 2018-01-10 2021-08-31 주식회사 엘지화학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20190101133A (en) * 2018-02-22 2019-08-30 롯데첨단소재(주)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KR20220045767A (en) * 2020-10-06 2022-04-13 주식회사 엘지화학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molded article therefrom
KR102596130B1 (en) * 2020-12-11 2023-10-3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840A (en) * 2002-05-28 2005-02-07 란세스 도이치란트 게엠베하 Method for producing abs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properties
KR20060131373A (en) * 2005-06-16 2006-12-20 제일모직주식회사 High heat abs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crack and chemical resistance
KR20100078694A (en) * 2008-12-30 2010-07-08 제일모직주식회사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chemical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high gloss and melt flow index
KR20100122303A (en) * 2009-05-12 2010-1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recycled resi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840A (en) * 2002-05-28 2005-02-07 란세스 도이치란트 게엠베하 Method for producing abs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properties
KR20060131373A (en) * 2005-06-16 2006-12-20 제일모직주식회사 High heat abs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crack and chemical resistance
KR20100078694A (en) * 2008-12-30 2010-07-08 제일모직주식회사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chemical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high gloss and melt flow index
KR20100122303A (en) * 2009-05-12 2010-1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recycled res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516A (en) 201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136B1 (en)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impact strength
KR101905939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2044364B1 (en) Thermoplastic resin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01686705B1 (en) (Meth)Acrylate-based resin composition having properties of good impact resistance and transparency
KR20100078850A (en) Polylactic acid resin composition
KR101211282B1 (en)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recycled resin
JP6439317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KR101895112B1 (en) Rubber-modified vinyl-based graft copolymer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1484370B1 (en) Rubber reinforced graft copolymer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reducing TVOCs
KR101594648B1 (en) Thermoplastic ABS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mold shrinkage for blow molding
JP4102512B2 (en) Automotive lamp housing
JP6239885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KR101489558B1 (en) Rubber reinforced thermoplastic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and thermoplastic high transparent resin
KR100843604B1 (en) Multilayer extruded sheet
KR100508151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Hot Plate Weldability, Colorability And Wettability
JP4817277B2 (en) Composite resin composition
KR20150072243A (en) Composition of thermoplastic resin and thermoplastic resin produced from the same
KR101089146B1 (en) Thermoplasitc ABS resin composition
JP5660948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JP5154765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KR101757039B1 (en) Impact strength modifier for polyester resin and thermoplasti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100467780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KR101512545B1 (en) Styrene-acrylonitrile based there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inner case of refrigerator
JP5828711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KR101310438B1 (en) Rubber polymer latex and method of preparing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