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890B1 - 변위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변위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890B1
KR101531890B1 KR1020130103952A KR20130103952A KR101531890B1 KR 101531890 B1 KR101531890 B1 KR 101531890B1 KR 1020130103952 A KR1020130103952 A KR 1020130103952A KR 20130103952 A KR20130103952 A KR 20130103952A KR 101531890 B1 KR101531890 B1 KR 101531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cement
meter assembly
sensor
displacement met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5853A (ko
Inventor
권영억
Original Assignee
권영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억 filed Critical 권영억
Priority to KR1020130103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890B1/ko
Publication of KR20150025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26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bolts
    • E21D21/0073Anchoring-bolts having an inflatable sleeve, e.g. hollow sleeve expanded by a fl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03Kinematic accelerometers, i.e. measuring acceleration in relation to an external reference frame, e.g. Ferratis acceler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P15/0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 G01P2015/0805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being provided with a particular type of spring-mass-system for defining the displacement of a seismic mass due to an external acceleration
    • G01P2015/080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being provided with a particular type of spring-mass-system for defining the displacement of a seismic mass due to an external acceleration for defining in-plane movement of the mass, i.e. movement of the mass in the plane of the substrate
    • G01P2015/0811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being provided with a particular type of spring-mass-system for defining the displacement of a seismic mass due to an external acceleration for defining in-plane movement of the mass, i.e. movement of the mass in the plane of the substrate for one single degree of freedom of movement of the 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이 측정물의 일 위치에 고정되는 변위센서, 상기 변위센서에 연결되면서 측정물의 다른 일 위치에 고정되는 변형량전달계, 상기 변형량전달계의 외측을 커버링하여 외부의 간섭없이 와이어가 가변토록 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위치의 변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면서 측정이 용이하게 되는 변위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변위계 어셈블리{assembly for displacement meter}
본 발명은 일단이 측정물의 일 위치에 고정되는 변위센서, 상기 변위센서에 연결되면서 측정물의 다른 일 위치에 고정되는 변형량전달계, 상기 변형량전달계의 외측을 커버링하여 외부의 간섭없이 변형량전달계가 가변토록 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위치의 변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면서 측정이 용이하게 되는 변위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 공사나, 사면 절취 공사, 흙막이 공사, 댐 공사 등과 같은 각종 토목, 건축 공사를 진행하거나, 터널 구조물이나 교량 구조물 등과 같은 각종 토목, 건축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운용해야 하는 경우에, 해당 공사 구간 또는 토목, 건축 구조물 지반 내의 지중 변위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주변 지반의 거동을 파악함과 더불어, 공사의 안정성 및 구조물의 안정적 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변위를 계측하는 센서가 장착된 지중 변위 측정 장치가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특허 제951811호에 지중변위 측정장치의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변위 계측 센서(28)가 내장된 고정관(16)이 상기 보호관의 일단과 그 고정홀을 통해 고정핀(32)이 삽입되어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고정관(16)의 하부에는 슬라이딩 안내관(18)이 다른 하부측 보호관과 그 고정홀을 통해 고정핀(32)이 삽입되어 고정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안내관(18)은 상기 하부측 보호관과 연결된 하부측에 슬라이딩 이동의 한계점을 제공하는 걸림부(20)가 형성되어 있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안내 슬릿(22)이 길게 통기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관(16)의 설치 위치 외부에는 지반과 직접 접촉하여 해당 지반의 변동에 연동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일정 길이의 슬라이딩 앵커 슬리브(Sliding Anchor Sleeve)(24)가 관 형상을 가지고 겹쳐서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앵커 슬리브(24)와 대향하는 상기 고정관(16)의 하부 끝단에는 상기 슬라이딩 앵커 슬리브(24)와 고정핀(32)을 통해 맞물려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 이동부(26)가 상기 슬라이딩 안내관(18)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지중변위 측정장치는, 변위 계측 센서(28)의 설치상의 한계로 터널에서의 침하등에 따른 변위 측정이 힘들게 되는 것이다.
또한, 터널등의 변위 측정을 위하여 암반면에 숏크리트로서 이루어진 1차의 보강층이 타설된 시공면에 타켓을 설치한 후 터널의 외부에서 광파기등을 사용하여 터널의 침하정도를 측정토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역시 발파등에 의한 타켓의 파손등에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켓의 설치 없이도 터널의 변위측정이 가능토록 하고, 숏크리트층의 천공이 필요없는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설치하여 터널에서의 변위측정이 가능토록 하며, 터널에 노출이 최소화되는 상태로 고정되어 발파시 외부 노출에 따른 손상없이 터널의 변위측정이 가능토록 하는 변위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변위계어셈블리가 변위센서와 상기 변위센서의 일단에 연결되어 변위센서에 변형량을 전달하는 변형량전달계로서 이루어지고, 상기 변형량전달계는 변형시 외부와의 간섭을 방지토록 외측에 커버부재가 더 씌워지며, 상기 변위센서와 변형량전달계의 단부가 측정물에 각각 고정되는 변위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변형량전달계는, 일정길이를 갖는 와이어, 로드, 스프링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변위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변형량전달계중 와이어와 로드는 감쇄부재를 통하여 변위센서에 연결되는 변위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커버부재는, 금속관, 프라스틱관, 플렉시블관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변위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변위센서 및 변형량전달계로서 이루어진 변위계어셈블리가 일정길이를 갖는 고정유니트를 통하여 지지되어 측정물에 하나이상 설치되며, 상기 고정유니트는, 변위계어셈블리가 노출토록 연결되는 고정바, 센서유니트가 내장되는 고정파이프 및 플렉시블블럭 중에서 선택되어 사용되는 변위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변위센서 및 감쇄부재와 변형량전달계로서 이루어진 변위계어셈블리가 일정길이를 갖는 고정유니트를 통하여 지지되어 측정물에 하나이상 설치되며, 상기 고정유니트는, 변위계어셈블리가 노출토록 연결되는 고정바, 센서유니트가 내장되는 고정파이프 및 플렉시블블럭 중에서 선택되는 변위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정유니트는 일측에 하나 이상의 경사계가 더 구비되고, 변위센서는 움직임이 방지토록 하나 이상이 고정수단을 통하여 측정물고정되고, 변위센서에 연결되는 변형량전달계는 일단만이 고정수단을 통하여 측정물에 연결되는 변위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변위센서 및 변형량전달계로서 이루어진 변위계어셈블리가 측정물에 하나 이상이 평형하게 배치되는 변위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변위센서와 감쇄부재 및 변형량전달계로서 이루어진 변위계어셈블리가 측정물에 하나 이상이 평형하게 배치되는 변위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변위센서 및 변형량전달계와 이루어진 변위계어셈블리 또는 변위센서와 감쇄부재 및 변형량전달계로서 변위계어셈블리가 고정유니트에 각각 설치될 때 복수의 변위계어셈블리가 서로 평형하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바와 고정파이프는 위치결정편으로 지지되고, 상기 플렉시블블럭의 내측에는 일성형시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상태로 성형되는 변위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변위센서는, 진동현, 상기 진동현이 내장되는 관, 상기 관의 일단이 고정되면서 진동현의 일단이 지지되는 제1고정블럭, 상기 진동현의 타단이 고정되면서 관의 타단에서 가변토록 설치되는 제2고정블럭, 상기 진동현의 변형을 측정토록 관의 외측에 연결되는 자장형성블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현이 제1,2고정블럭에 매듭되는 진동현을 콘에 의해 지지토록 설치되고, 상기 관의 외측에 나사산을 형성한 후 스프링이 탄성지지되는 너트를 설치하여 제2고정블럭의 위치를 가변토록 설치되는 변위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변위센서는, 압력센서, 광섬유, 전기저항센서, 진동현센서, 자기센서, 접촉식자기센서중에서 선택되어 사용되는 변위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블럭으로 이루어진 고정유니트의 내측에는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중 어느 한 방향 이상에 복수의 변위계어셈블리가 평행하게 각각 배치되고, 상기 플렉시블블럭의 내측에는 변위센서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면서 제어신호와 측정신호를 전달하도록 하는 제어케이블이 더 내장되는 변위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변위계어셈블리는, 제어케이블의 양단에 소켓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소켓에는 연결단자가 구비되어 복수의 변위계어셈블리가 소켓 및 연결단자를 통하여 상호 연결되는 변위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블럭으로 이루어진 고정유니트의 내측에는 삼각형상을 유지하는 복수의 변위계어셈블리가 평행하게 각각 배치되고, 상기 플렉시블블럭의 내측에는 변위센서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면서 제어신호와 측정신호를 전달하도록 하는 제어케이블이 더 내장되는 변위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타켓의 설치 없이도 터널의 변위측정이 가능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설치하여 터널에서의 변위측정이 가능하며, 터널에 노출없이 매립되는 구성으로 노출에 따른 손상없이 터널의 변위측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지중변위 측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 내지 도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변위계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변위계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변위계 어셈블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7 내지 도9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위계 어셈블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0 및 도11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위센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2 내지 도1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변위계 어셈블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15 및 도16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위계 어셈블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위계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위계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변위계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변위계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변위계 어셈블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7 내지 도9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위계 어셈블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10 및 도11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위센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12 내지 도1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변위계 어셈블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15 및 도16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위계 어셈블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위계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위계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변위계 어셈블리(100)는, 측정물(V)에 직접고정 설치되거나 고정유니트(M)에 설치된 후 상기 고정유니트(M)를 측정물(V)에 고정설치하는 구성으로 변형량의 측정이 가능토록 된다.
이때, 상기 변위센서와 변형량전달계는 순차로 연결되고, 상기 변위센서와 변형량전달계의 연결부를 제외한 단부가 측정물(V) 이나 고정유니트(M)에 고정수단(170)을 통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변위계 어셈블리(100)는, 측정물 또는 일 위치에 고정되는 변위센서(150), 상기 변위센서(150)에 감쇄스프링을 통하여 연결되면서 측정물의 다른 일 위치에 고정되는 변위량전달계(153), 상기 변위량전달계(153)의 외측을 커버링하여 외부의 간섭없이 와이어가 가변토록 하는 커버부재(155)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변위센서(150)와 변위량전달계는 직접연결되어도 되나 감쇄스프링을 통하여 연결되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 변위량전달계(153)는, 일정길이를 갖는 와이어, 금속재의 로드, 스프링중에서 선택되어 사용된다.
이때, 상기 변위량전달계(153)로 스프링을 사용하면 별도의 감쇄스프링을 적용하지 않아도 원하는 대용량의 변위값에도 적용이 가능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변위량전달계(153)는, 원하는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어 변위센서에 연결시 변위센서에 전달되는 하중의 적용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변위량전달계(153)를 길이를 길게하거나 짧게 하여 변위센서(150)에 연결하면 상기 변위계 어셈블리의 전체길이가 증가 또는 감소되어 각각의 변위센서를 준비할 필요없이 하나의 변위계 어셈블리로서 다양한 측정위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변위센서(150)는, 진동현, 상기 진동현이 내장되는 관(151b), 상기 관의 일단이 고정되면서 진동현의 일단이 지지되는 제1고정블럭(151c), 상기 진동현의 타단이 고정되면서 관의 타단에서 가변토록 설치되는 제2고정블럭(151d), 상기 진동현의 파장을 측정토록 관의 외측에 연결되는 자장형성블럭(151a)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변위센서(150)는, 진동현이 제1,2고정블럭(151c)(151d)에 매듭되는 진동현(151h)을 콘(151g)에 의해 지지토록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관(151b)의 외측에 나사산을 형성한 후 스프링(151e)이 개재되는 너트(151f)를 설치하여 제2고정블럭(151d)의 위치를 가변토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변위계 어셈블리(100)는, 복수개가 측정물(V) 또는 고정유니트(M)에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155)는 금속관, 프라스틱관, 플렉시블관중에서 선택된다.
그리고, 상기 변위센서는, 고정유니트(M)의 내장되거나 고정유니트(M)의 외측에 노출토록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변위계 어셈블는, 측정물에 복수개가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될 때 각 와이어(153)가 금속이나 프라스틱재의 커버부재(155)내측에 삽입될 때 커버부재가 고정유니트(M)를 이루는 몰드의 내측에 매립되거나 고정유니트(M)를 이루는 고정파이프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고정유니트(M)는, 변위계어셈블리(100)가 외부에 노출토록 설치되는 고정바, 변위계어셈블리(100)가 내장되는 고정파이프 또는 플렉시블블럭 중에서 선택되어 사용되고, 상기 플렉시블블럭은 우레탄이나 에폭시등을 막대 형상으로 성형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는 복수의 위치결정편(175)에 의해 평행을 이루어 고정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변위센서(150)의 단부와 와이어(153)의 단부는 고정수단(170)을 이 각각 연결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170)의 측정물 또는 고정유니트에 변위계어셈블리의 양단을 고정하는 피스, 고정캡중 선택되는 하나 이다.
그리고, 상기 변위센서(150)은, 광섬유, 압력센서, 전기저항센서, 진동현센서, 접촉식자기센서, 자기센서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센서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몰드로 이루어진 고정유니트는, 상,하방향에 교대로 노치부(193)가 일체로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변위센서(150)는, 몰드의 상,하측 또는 상,하,좌,우측에 위치토록 복수개가 설치되면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변위센서(150)에는 변위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변위센서에서의 측정값을 외부에 전달하거나 변위센서에 전원과 제어신호등을 공급토록 전원선과 신호선등으로 이루어진 제어케이블(157)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어케이블(157)에 연결되는 소켓(187)은 몰드의 양단에 각각에 각각 노출토록 설치되고, 상기 소켓(187)에 연결되는 연결단자(189)를 통하여 복수의 변위센서(150)에서 측정되는 신호가 연속하여 전달토록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몰드로 이루어진 고정유니트는, 외측에 금속 또는 플라스틱등의 하드케이스(195) 내측에 일체로 성형된다.
또한, 상기 고정유니트(M)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계(190)가 설치되고, 상기 경사계(190)는 다축을 감지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플렉시블블럭으로 이루어진 고정유니트(M)의 내측에는 삼각형상을 유지하는 복수의 변위계어셈블리(100)가 평행하게 각각 배치되는 구성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18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변위계 어셈블리는(100)는, 변위센서(150)및 이에 연결된 변형량측정계(153)가 측정물(V)에 그대로 고정되어 측정물의 변위시 그 변형량을 측정하거나 상기 변위계 어셈블리(100)가 몰드, 고정바, 고정파이프등으로 이루어진 고정유니트(M)등을 통하여 일체화되는 구성으로 상기 고정유니트(M)를 측정물(V)에 고정할 때 측정물의 변위발생시 그 변형량을 측정토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유니트(M)를 통하여 변위계 어셈블리(100)가 장착되면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즉, 변위센서(150)는 고정파이프나 몰드의 성형으로 이루어진 고정유니트의 내측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외부 노출시 충돌 등에 의해 변위센서(15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몰드로 이루어진 고정유니트는 에폭시나 우레탄등으로 성형되는 구성으로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되어 변위센서(150)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면서 수분등이 첨부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변위센서(150)는, 진동현, 상기 진동현이 내장되는 관(151b), 상기 관의 일단이 고정되면서 진동현의 일단이 지지되는 제1고정블럭(151c), 상기 진동현의 타단이 고정되면서 관의 타단에서 가변토록 설치되는 제2고정블럭(151d), 상기 진동현의 파장을 측정토록 관의 외측에 연결되는 자장형성블럭(151a)으로 이루어져 와이어의 인장력에 따라 진동현의 인장력이 변하면서 자장형성블럭의 자장변화에 의해 변위값을 측정토록 한다.
이때, 상기 변위계 어셈블리(100)는, 센서(151)와 상기 센서(151) 일단에 연결되는 변형량전달계(153) 및 상기 변형량전달계(153)가 내경측에서 이동토록 하면서 센서(151)에 연결되는 커버부재(155)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져 센서(151)의 단부와 변형량전달계(153)의 단부가 측정을 위한 구조물등에 연결될 때 센서를 고정점으로 하여 변형량전달계(153)가 가변되면서 변위를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변위센서(150)는, 진동현이 제1,2고정블럭에 매듭되는 진동현을 콘에 의해 지지하는 구성으로 콘의 압축시 매듭을 통하여 지지되는 진동현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토록 한다.
더하여, 상기 관의 외측에 나사산을 형성한 후 스프링(151e)이 개재되는 너트(151f)를 회전시킬 때 제2고정블럭의 위치가 가변되면서 진동현의 인장력을 자유롭게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센서(151) 및 변형량전달계(153)는 고정수단(170)이 몰드의 외부에 노출토록 설치될 때 고정수단(170)인 고정캡을 통하여 측정을 위한 구조물 이나 발파등에 의해 형성되는 암반면 등으로 이루어진 측정물(M)의 외면을 따라 자유롭게 굽혀지는 상태로 용접이나 피스, 앵커등을 통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151)는, 광섬유, 압력센서, 전기저항센서, 진동현센서, 접촉식자기센서, 자기센서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센서가 사용되는 구성으로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한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드로 이루어진 고정유니트는, 상,하방향에 교대로 노치부(193)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변형하여 암반면등을 따라 그 형상을 자유롭게 변형시켜 용이하게 장착토록 한다.
더하여, 상기 변위센서(150)는, 몰드로 이루어진 고정유니트의 상,하측 또는 상,하,좌,우측에 위치토록 복수개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변위의 방향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변위센서(150)에는 전원선과 신호선이 연결되는 구성이면서 몰드로 이루어진 고정유니트(M)의 성형시 그 내측에 매립되는 구성으로 컴팩트한 구조의 구현이 가능토록 되어 터널등에 시공시 숏크리트층의 내측에 설치가 가능토록 된다.
또한, 상기 제어케이블(157)에 연결되는 소켓(187)에 연결단자(189)가 연결될 때 각 변위센서(150)에서 측정되는 신호가 제어케이블을 통하여 연속하여 전달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몰드는, 외측에 금속 또는 플라스틱등의 하드케이스(195) 내측에 일체로 성형되는 구성으로 변위센서의 설치시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변위계 어셈블리(100)는, 몰드를 통하여 복수개가 측정물에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어도 되나, 커버부재가 금속재로 이루어질 때 상기 튜브가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위치결정편에 의해 고정되어 평행하게 배치된다.
더하여, 상기 변위계 어셈블리(100)는, 커버부재가 복수의 장착홀을 구비하는 고정파이프에 의해 위치결정되어 고정되어 고정파이의 가변시 동시에 가변되어 와이어가 이동됨으로써 변위의 측정이 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유니트 또는 변위센서는 일측에 하나 이상의 경사계가 더 구비되어 고정유니트 또는 변위센서의 각도가 변화될 때 그 변화의 방향을 알 수 있도록 되어 복수의 변위계 어셈블리를 설치하지 않아도 변위의 방향 및 크기 측정이 가능토록 된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블럭으로 이루어진 고정유니트의 내측에는 삼각형상을 유지하는 복수의 변위센서가 평행하게 각각 배치되어 최소의 변위센서로서 변위의 방향 및 크기 측정이 가능토록 되는 것이다.
100...변위계어셈블리 150...센싱유니트
151...센서모듈 155...튜브

Claims (17)

  1. 변위계어셈블리가 변위센서와 상기 변위센서의 일단에 연결되어 변위센서에 변형량을 전달하는 변형량전달계로서 이루어지고,
    상기 변형량전달계는 변형시 외부와의 간섭을 방지토록 외측에 커버부재가 더 씌워지며,
    상기 변위센서와 변형량전달계의 노출되는 단부가 측정물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변위센서는, 진동현, 상기 진동현이 내장되는 관, 상기 관의 일단이 고정되면서 진동현의 일단이 지지되는 제1고정블럭, 상기 진동현의 타단이 고정되면서 관의 타단에서 가변토록 설치되는 제2고정블럭, 상기 진동현의 변형을 측정토록 관의 외측에 연결되는 자장형성블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변위센서는, 진동현이 제1,2고정블럭에 매듭되는 진동현을 콘에 의해 지지토록 설치되고, 상기 관의 외측에 나사산을 형성한 후 스프링이 탄성지지되는 너트를 설치하여 제2고정블럭의 위치를 가변토록 설치되는 변위계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량전달계는, 일정길이를 갖는 와이어, 로드, 스프링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어셈블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량전달계중 와이어와 로드는 감쇄부재를 통하여 변위센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금속관, 프라스틱관, 플렉시블관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센서 및 변형량전달계로서 이루어진 변위계어셈블리가 일정길이를 갖는 고정유니트를 통하여 지지되어 측정물에 하나이상 설치되며,
    상기 고정유니트는, 변위계어셈블리가 노출토록 연결되는 고정바, 변위계어셈블리가 내장되는 고정파이프 및 플렉시블블럭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어셈블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센서 및 감쇄부재와 변형량전달계로서 이루어진 변위계어셈블리가 일정길이를 갖는 고정유니트를 통하여 지지되어 측정물에 하나이상 설치되며,
    상기 고정유니트는, 변위계어셈블리가 노출토록 연결되는 고정바, 변위계어셈블리가 내장되는 고정파이프 및 플렉시블블럭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니트는 일측에 하나 이상의 경사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센서는 움직임이 방지토록 하나 이상이 고정수단을 통하여 측정물고정되고, 상기 변위센서에 연결되는 변형량전달계는 일단만이 고정수단을 통하여 측정물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센서 및 변형량전달계로서 이루어진 변위계어셈블리가 측정물에 하나 이상이 평형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어셈블리.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센서와 감쇄부재 및 변형량전달계로서 이루어진 변위계어셈블리가 측정물에 하나 이상이 평형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어셈블리.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센서 및 변형량전달계와 이루어진 변위계어셈블리 또는 변위센서와 감쇄부재 및 변형량전달계로서 이루어진 변위계어셈블리가 고정유니트에 각각 설치될 때 복수의 변위계어셈블리가 서로 평형하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바와 고정파이프는 위치결정편으로 지지되고, 상기 플렉시블블럭의 내측에는 일성형시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상태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어셈블리.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센서는, 압력센서, 광섬유, 전기저항센서, 진동현센서, 자기센서, 접촉식자기센서중에서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어셈블리.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블럭으로 이루어진 고정유니트의 내측에는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중 어느 한 방향 이상에 복수의 변위계어셈블리가 평행하게 각각 배치되고,
    상기 플렉시블블럭의 내측에는 변위센서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면서 제어신호와 측정신호를 전달하도록 하는 제어케이블이 더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계어셈블리는, 제어케이블의 양단에 소켓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소켓에는 연결단자가 구비되어 복수의 변위계어셈블리가 소켓 및 연결단자를 통하여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어셈블리.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블럭으로 이루어진 고정유니트의 내측에는 삼각형상을 유지하는 복수의 변위계어셈블리가 평행하게 각각 배치되고,
    상기 플렉시블블럭의 내측에는 변위센서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면서 제어신호와 측정신호를 전달하도록 하는 제어케이블이 더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계 어셈블리.
KR1020130103952A 2013-08-30 2013-08-30 변위계 어셈블리 KR101531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952A KR101531890B1 (ko) 2013-08-30 2013-08-30 변위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952A KR101531890B1 (ko) 2013-08-30 2013-08-30 변위계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853A KR20150025853A (ko) 2015-03-11
KR101531890B1 true KR101531890B1 (ko) 2015-07-06

Family

ID=53021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952A KR101531890B1 (ko) 2013-08-30 2013-08-30 변위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8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951B1 (ko) * 2019-11-25 2021-01-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광섬유센서 내장형 frp 센서복합체를 구비한 변형측정기, 이를 이용한 사면 감시 시스템 및 사면 감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50982B (zh) * 2016-01-22 2019-10-18 山东科技大学 一种在线监测煤体横向变形的方法
CN106595428A (zh) * 2016-12-29 2017-04-26 江西飞尚科技有限公司 一种振弦位移传感器
CN108731621B (zh) * 2018-05-02 2020-05-05 华侨大学 在台风波浪作用下海蚀洞洞高发育实时测量装置和方法
CN108519072B (zh) * 2018-05-11 2019-10-18 中国科学院武汉岩土力学研究所 岩石变形测量装置及岩石测量设备
KR102002814B1 (ko) * 2018-06-29 2019-10-17 (주)이디에스 변위 익스텐소미터
CN108871171B (zh) * 2018-08-18 2024-02-23 武懋 一种露天煤矿开采边坡位移监测及治理加固结构
WO2021010514A1 (ko) * 2019-07-16 2021-01-21 (주)이디에스 변위 익스텐소미터
CN111912332B (zh) * 2020-08-12 2021-12-10 河南飞舟管通工程有限公司 一种夹片式可拆卸地下管线监测装置
CN112880635A (zh) * 2021-01-15 2021-06-01 中山大学 一种地基层水平向流变监测装置及监测方法
KR102598223B1 (ko) * 2023-06-20 2023-11-02 김균식 스프링과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스프링 조인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291A (ko) * 2000-07-07 2002-01-17 이창남 구조물의 상대변위 경보계
JP4314197B2 (ja) * 2002-11-27 2009-08-12 欣増 岸田 光ファイバー計測モジュール
KR101057309B1 (ko) * 2010-12-30 2011-08-16 이금석 광섬유격자센서를 이용한 변위 측정장치
KR101204878B1 (ko) * 2009-10-07 2012-11-30 주식회사 흥인이엔씨 변위량 및 변위방향 감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291A (ko) * 2000-07-07 2002-01-17 이창남 구조물의 상대변위 경보계
JP4314197B2 (ja) * 2002-11-27 2009-08-12 欣増 岸田 光ファイバー計測モジュール
KR101204878B1 (ko) * 2009-10-07 2012-11-30 주식회사 흥인이엔씨 변위량 및 변위방향 감지시스템
KR101057309B1 (ko) * 2010-12-30 2011-08-16 이금석 광섬유격자센서를 이용한 변위 측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951B1 (ko) * 2019-11-25 2021-01-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광섬유센서 내장형 frp 센서복합체를 구비한 변형측정기, 이를 이용한 사면 감시 시스템 및 사면 감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853A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1890B1 (ko) 변위계 어셈블리
US9091589B2 (en) Fiber optic cable with increased directional sensitivity
US7751657B2 (en) Inclinometer system
JP4836180B2 (ja) 変位計測装置
EP3117188B1 (en) Methods and apparatus relating to sensor assemblies and fibre optic assemblies
KR101552191B1 (ko) 변위계를 이용한 터널 거동 측정시스템
CN108020167A (zh) 一种基于光纤光栅的固定式测斜仪器
JP2007205740A (ja) Fbg光ファイバセンサを用いた傾斜計
KR101482054B1 (ko) 경사계를 이용한 터널 거동 측정시스템
KR102043702B1 (ko) 터널 변위 계측장치
US9063315B2 (en) Optical cable, downhole system having optical cable, and method thereof
KR101204878B1 (ko) 변위량 및 변위방향 감지시스템
JP2007205741A (ja) Fbg光ファイバセンサを用いた変位測定装置
KR100553221B1 (ko) 진동현식 변위계측기
KR100909650B1 (ko)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경사계 및 이를 이용한 대상물 경사측정방법
KR101466720B1 (ko) 몰드형 변위계
KR101147213B1 (ko) 지중 변위량 측정센서
KR100870485B1 (ko)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신축성 구조부재
KR101489482B1 (ko) 전기시설물의 경사도 산출장치
JP2001066118A (ja) 光ファイバセンサ、光ファイバ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そのセンサを用いた変位計測装置ならびに光ファイバセンサユニット接続構造
KR101608009B1 (ko) 자이로를 이용한 경사계
JP2003177011A (ja) 歪量測定装置
KR101150819B1 (ko) 변위감지 센서
KR200344598Y1 (ko) 진동현식 변위계측기
KR101435936B1 (ko) 듀얼센서 및 이를 이용한 계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