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271B1 -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in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in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271B1
KR101528271B1 KR1020080006589A KR20080006589A KR101528271B1 KR 101528271 B1 KR101528271 B1 KR 101528271B1 KR 1020080006589 A KR1020080006589 A KR 1020080006589A KR 20080006589 A KR20080006589 A KR 20080006589A KR 101528271 B1 KR101528271 B1 KR 101528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ntent
message
display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5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80689A (en
Inventor
신성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6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271B1/en
Publication of KR20090080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6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2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망을 통해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컨텐츠가 표시된 영역에 블록이 설정되면, 상기 블록이 설정된 영역을 구분되게 표시하는 과정; 메시지 전송이 선택되면, 문자 입력창을 표시하고 상기 문자 입력창에 상기 블록이 설정된 영역에 포함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 및 메시지 입력 완료가 선택되면, 상기 블록이 설정된 영역에 포함되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입력된 전화번호에 따른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갖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에게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transmitting a message in a wireless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When the block is set in the area where the content is displayed, displaying the set area separately; Displaying a character input window and displaying the content included in the area where the block is set in the character input window when message transmission is selected; And transmitting the message including the content included in the set area of the block to the counterpart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input phone number when message input completion is selected. Accordingly, the user can transmit contents downloaded through the Internet to other users as messages.

휴대 단말기, 인터넷망, 컨텐츠, 블록, 메시지 Mobile terminal, internet network, contents, block, message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IN MOBILE TERMINAL}[0001]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IN MOBILE TERMINAL [0002]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 서비스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인터넷을 통해 검색된 컨텐츠를 메시지로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transmitting a message in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s retrieved through the Internet to a message in a mobile terminal providing both an Internet ser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용이하고, 시간 또는 장소와 상관없이 다양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이점으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기능들이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기능들로는 음성 통화 기능, 화상 통화 기능, 메시지 송수신 기능, 인터넷 기능, 카메라 기능 등이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has an advantage of being portable and capable of exchanging various information regardless of time or place. As a result, the number of users using mobile terminals is increasing. Accordingly, various functions that can be performed in a mobile terminal have been diversified. These functions include a voice call function, a video call function, 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an internet function, and a camera function.

이러한 기능 중에서도 메시지 송수신 기능은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와 같이 상대방과 직접 연결되지 않고도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인터넷 기능은 컴퓨터나 노트북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휴대 단말기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어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기능이다. Among these functions, the message sending / receiving function allows information to be exchanged without being directly connected with the other party such as a voice call or a video call, and the Internet function can search various information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without using a computer or a notebook, It is a function that users are using.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검색된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려면, 사용자가 직접 검색된 내용을 문자로 작성하여 전송해야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검색된 정보를 첨부파일로 처리하여 상대방에게 보내는 경우, 상대방에게 알리고자 하는 정보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정보까지 같이 전송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첨부된 파일에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확인하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transmit the information searched through the Internet to the other party in the mobile terminal, and to transmit the searched contents in a letter form. In addition, when the user processes the searched information as an attached file and sends the information to the other party, there is a problem that not only the information to be notified to the other party but also unnecessary information is transmitt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 서비스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인터넷을 통해 검색된 컨텐츠를 메시지로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s retrieved through the Internet to a message in a mobile terminal providing Internet ser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방법은 인터넷망을 통해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컨텐츠가 표시된 영역에 블록이 설정되면, 상기 블록이 설정된 영역을 구분되게 표시하는 과정; 메시지 전송이 선택되면, 문자 입력창을 표시하고 상기 문자 입력창에 상기 블록이 설정된 영역에 포함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 및 메시지 입력 완료가 선택되면, 상기 블록이 설정된 영역에 포함되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입력된 전화번호에 따른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transmitting a message, the method including: displaying content downloaded through an Internet network; When the block is set in the area where the content is displayed, displaying the set area separately; Displaying a character input window and displaying the content included in the area where the block is set in the character input window when message transmission is selected; And transmitting the message including the content included in the set block to the counterpart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input phone number when the message input completion is selected.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검색된 컨텐츠를 직접 입력하거나, 첨부파일로 추가하지 않고도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인터넷 기능을 통해 컨텐츠를 검색한 다음, 원하는 컨텐츠만을 선택하여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transmit contents retrieved through the Internet to a counterpart using 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out directly inputting the contents or adding the contents as an attachment file. Also, the user can search contents through the Internet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n select and store only desired contents.

'컨텐츠'는 휴대 단말기에서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되어 표시되는 모든 데이터를 의미한다. 여기서 컨텐츠는 문자, 문자열, 이미지, 캐릭터, 동영상, 사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Content' refers to all data downloaded and displayed on the Internet in the portable terminal. Here, the contents may include characters, strings, images, characters, moving pictures, photographs, and the like.

'메시지 전송'은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 등을 통해 구성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메시지 전송은 단문 메시지 전송,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이메일 전송,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을 포함할 수 있다. 'Message transmission' means transmitting a message composed of characters or the like in the portable terminal. Here, the message transmission may include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a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an e-mail transmission, and an instant message transmiss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통신부(110), 무선 인터넷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입력부(150), 표시부(160)로 구성된다. 1,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wireless Internet unit 120, a control unit 130, a storage unit 140, an input unit 150, and a display unit 160.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와 기지국 간의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110)는 송수신 기능을 분리하는 듀플렉서와 송신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하는 송신부와 수신 신호의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수신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10)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performs a communication function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duplexer for separat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a transmission unit for up-converting the frequency of the transmission signal, and a reception unit for down-converting the frequency of the reception signal. Here, the communication unit 110 can transmit and receive a mess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0. [

무선 인터넷부(120)는 휴대 단말기와 인터넷망 간의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부(120)를 통해 연결이 가능한 인터넷망은 와이브로(Wibro), 와이파이(Wi-Fi), 무선랜(WLAN) 등이 될 수 있다. The wireless Internet unit 120 performs a communication function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Internet network. Here, the Internet network that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unit 120 may be a Wibro, a Wi-Fi, a WLAN, or the like.

제어부(130)는 휴대 단말기를 구성하는 구성들의 전반적인 동작 및 상태를 제어한다. 특히 인터넷 기능 수행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무선 인터넷부(120)를 통해 인터넷망과 연결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되는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명령이 감지되면, 감지된 컨텐츠 검색 명령에 해당하는 컨텐츠 검색 요청 신호를 인터넷망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인터넷망을 통해 컨텐츠가 전송되면, 제어부(130)는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전송된 컨텐츠를 표시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입력부(150)를 통해 컨텐츠가 표시된 영역에서 특정 영역을 블록으로 설정하면, 제어부(130)는 이를 감지하고,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블록이 설정된 영역을 하이라이트로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블록이 설정된 영역에 포함된 컨텐츠를 확인한 후, 입력부(150)를 통해 메시지 전송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창에 확인된 컨텐츠를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창에 표시된 정보를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 전송이 완료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인터넷 기능을 재수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and state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ortable terminal. In particular, when the execution of the Internet function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30 connects with the Internet network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unit 120 and performs the Internet function. When a command for searching for the content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50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130 transmits a content search reques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content search command to the Internet. When the content is transmitted through the Internet,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display unit 160 to display the transmitted content. Next, when the user sets a specific area as a block in the area where the content is displayed through the input unit 150, the control unit 130 detects the block,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160 to highlight the area where the block is set. When the message transmission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150 after checking the contents included in the block set area,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display unit 160 to display the contents checked in the character input window Display. Also, 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110 to transmit the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character input window to the counterpart mobile terminal. When the message transmission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130 can re-execute the Internet function by the user's selection.

저장부(140)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비롯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에 따라 생성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40)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인터넷망을 통해 검색된 컨텐츠 중에서 블록으로 설정된 영역에 포함되는 컨텐츠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application programs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or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140 may temporarily store contents included in an area set as a block among the contents retrieved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입력부(15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휴대 단말기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150)는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거나, 일반적인 키입력부(150)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스크린을 통해 형성된 입력부(150)인 경우 사용자는 인터넷망을 통해 검색된 컨텐츠를 표시하고 있는 영역 중에서 드래그를 통해 원하는 컨텐츠가 포함된 영역을 블록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50)가 일반적인 키가 배열된 키입력부(150)인 경우, 블록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가 구비되며, 사용자는 기능키를 입력한 다음 방향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컨텐츠가 포함된 영역을 블록으로 설정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150 receives numeric and character information, and transmits signals to the control unit 130 in connection with setting various functions and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input unit 150 may be formed of a touch screen or a general key input unit 150. Here, in the case of the input unit 150 formed through the touch screen, the user can set an area including the desired content as a block through dragging from the area displaying the content retrieved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If the input unit 150 is a key input unit 150 having a general key arrangement, a function key for setting a block is provided. The user inputs a function key, and then, using an arrow key, .

표시부(160)는 휴대 단말기의 상태 및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특히 표시부(160)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인터넷망을 통해 검색된 컨텐츠를 표시하고, 컨텐츠를 표시하고 있는 영역 중에서 입력부(150)를 통해 블록으로 설정되는 영역을 하이라이트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60)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메시지 전송이 선택되었을 때, 문자 입력창을 표시하고, 표시된 문자 입력창에는 블록으로 설정된 영역에 포함되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60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ate and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particular, the display unit 160 may display the contents retrieved through the Interne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and may highlight the area to be set as a block through the input unit 150 among the areas displaying the contents. When the message transmission is selec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0, the display unit 160 may display the character input window and display the content included in the block set area in the displayed character input window.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제어부(130)는 무선 인터넷부(120)를 통해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컨텐츠를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부(150)를 통해 컨텐츠가 표시된 영역에서 원하는 컨텐츠가 포함된 영역을 블록으로 설정하면, 제어부(130)는 표 시부(160)를 제어하여 블록으로 설정된 영역을 하이라이트로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부(150)를 통해 메시지 전송을 선택하면, 제어부(130)는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창에 블록으로 설정된 영역에 포함된 컨텐츠를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선택된 컨텐츠를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In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controller 130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unit 120 to search for content,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160 to display the searched content. When the user sets an area including the desired content in the area where the content is displayed through the input unit 150 as a block,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display unit 160 to highlight the area set as the block. When the user selects the transmission of the message through the input unit 150,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display unit 160 to display the contents included in the block set area in the character input window.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11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transmits the selected content to the other mobile terminal.

다음으로 휴대 단말기에서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된 컨텐츠 중에서 블록으로 설정된 영역에 포함되는 컨텐츠를 메시지로 전송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3c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Next, a method of transmitting contents included in a block-set area among messages downloaded from the Internet through a mobi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3C.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를 전송하는 화면을 예시한 화면 예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a message in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to 3C are views illustrating a screen for transmitting a mes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입력부(150)에 구비된 기능키 또는 메뉴 등을 통해 인터넷 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130)는 21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인터넷 모드로 전환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입력부(150)를 통해 인터넷 기능을 선택하면, 제어부(130)는 무선 인터넷부(120)를 통해 인터넷망과 연결하고, 연결된 인터넷망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사이트 주소나 미리 설정된 사이트 주소를 이용하여 사이트와 연결된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215단계에서 컨텐츠 다운로드가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가 입력부(150)를 통해 검색어를 입력한 후 확인 또는 선택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30)는 이를 컨텐츠 다운로드가 선택되었음으로 판단한다. 그러면 제어부(130)는 무선 인터넷부(120)를 통해 연결된 인터넷 망에 입력된 검색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인터넷망으로부터 검색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한 제어부(130)는 220단계에서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표시한다. 2, if the user selects the Internet mode through a function key or a menu provided in the input unit 150, the controller 130 detects the selection in step 210 and switches the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Internet mode . In other words, when the user selects the Internet function through the input unit 150, the control unit 130 connects with the Internet network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unit 120, and transmits the site address or the preset site The address is used to connect to the site. In step 215,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content download is selected. When the user inputs a search word through the input unit 150 and then inputs a confirmation or selection key,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content download is selected. Then, the control unit 130 transmits a signal requesting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arch term input to the Internet network connected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unit 120. [ The control unit 130, which has downloaded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from the Internet, displays the downloaded content by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160 in step 220.

제어부(130)는 225단계에서 컨텐츠를 표시한 영역에 블록이 설정되는지 판단한다. 즉 사용자가 입력부(150)를 통해 컨텐츠가 표시된 영역에서 특정 영역을 블록으로 설정하면, 제어부(130)는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블록이 설정된 영역을 도 3a와 같이 하이라이트로 표시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입력부(150)인 경우, 제어부(130)는 입력부(150)를 통해 드래그가 감지되면, 드래그가 감지된 영역을 블록으로 설정한다. 만약에 키를 이용한 입력부(150)인 경우, 입력부(150)를 통해 블록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가 입력된 다음 방향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이를 감지하고 방향키의 입력이 시작된 위치와 끝나는 위치에 해당하는 영역을 블록으로 설정한다. 만약에 225단계에서 블록이 설정되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215단계로 돌아가 컨텐츠 검색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in step 225 whether a block is set in the area in which the content is displayed. That is, when the user sets a specific area as a block in the area where the content is displayed through the input unit 150,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display unit 160 to highlight the area where the block is set, as shown in FIG.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input unit 150 using the touch screen, the control unit 130 sets the detected area as a block when the drag is detected through the input unit 150. [ If the input unit 150 receives a function key for setting a block through the input unit 150 and then inputs a direction key, the control unit 130 detects the input of the direction key and ends the input of the direction key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s set as a block. If the block is not set in step 225, the controller 130 returns to step 215 and determines whether content search is selected.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230단계에서 블록이 설정된 영역에 포함된 컨텐츠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235단계에서 입력부(150)를 통해 메시지 전송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만약에 사용자가 입력부(150)를 통해 메뉴 또는 메시지 전송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30)는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도 3b와 같이 팝업창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메시지 전송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입력부(150)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구현된 경우에 블록이 설정된 영역이 일정 시간 동안 선택이 되면, 제어부는 메시지 전송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바를 팝업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메시지 전송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240단계에서 도 3c와 같이 문자 입력창에 확인된 컨텐츠를 표시한다. 여기서 컨텐츠는 문자, 문자열, 이미지, 숫자, 숫자열, 캐릭터, 동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입력부(150)를 통해 문자가 입력되는지 판단하여, 문자가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입력되는 문자를 컨텐츠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저장부(140)를 제어하여 확인된 컨텐츠를 클립보드와 같이 임시 저장할 수 있다.In step 230, the controller 130 checks the content included in the block set area. In step 235,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message transmission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150. If the user inputs a function key for selecting a menu or message transmission through the input unit 150,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display unit 160 to display a pop-up window as shown in FIG. 3B, To be selected. Also, when the input unit 150 is implemented through the touch screen, if the area where the block is set is sel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 unit may display a menu bar for selecting a message transmission as a pop-up. If message transmission is selected, 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confirmed content in the character input window as shown in FIG. 3C. Here, the content may include characters, strings, images, numbers, numerical strings, characters, moving pictures, and the like. Although it is not shown in the drawing, it is determined whether a character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50. When a character is input,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display unit 160 to display the input character along with the content.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the storage unit 140 to temporarily store the content as a clipboard.

제어부(130)는 245단계에서 메시지 입력 완료가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130)는 입력부(150)를 통해 확인키 등 메시지 입력 완료를 선택하는 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메시지 입력 완료가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240단계로 돌아간다. 그러나 메시지 입력 완료가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250단계에서 컨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메시지 입력 완료가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메시지를 전송할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표시한다. 표시된 입력창에 전화번호가 입력된 다음 입력부(150)를 통해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입력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상대방의 휴대 단말기로 컨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In step 245,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message input completion is selected.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a key for selecting completion of message input such as a confirmation key is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150. [ If the completion of message input is not selected, the control unit 130 returns to step 240. However, if the completion of message input is selected, the controller 130 transmits a message including the content in step 250. FIG. More specifically, if message input completion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the telephone number of the other party's mobile terminal to which the message will be transmitted. When a telephone number is input into the displayed input window and then a transmission command is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150,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o include the contents in the other portab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telephone number Message.

여기서 문자 입력 완료가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240단계로 돌아가는 것으로 설명했으나, 메뉴 등을 통해 컨텐츠 추가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추가가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220단계로 돌아가 컨텐츠를 재표시한 다음 225단계 내지 230단계를 수행하고, 235단계에서 문자 입력창에 새로 선택된 컨텐츠를 추가로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컨텐츠를 더 추가하여 메시지로 입력할 수 있다. If the completion of the character input is not selected here, the control unit 130 returns to step 240, but the content addition can be selected through the menu or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content addition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30 returns to the step 220, re-displays the content, performs steps 225 to 230, and displays the newly selected content in the character input window in step 235. As a result, the user can further input desired contents and input them as a message.

메시지 전송이 완료되면, 제어부(130)는 255단계에서 인터넷 기능 종료가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메시지 전송이 완료되면, 제어부(130)는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인터넷 기능 종료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을 팝업으로 표시한다. 인터넷 기능 종료가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220단계로 돌아가 컨텐츠를 재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인터넷 기능을 재수행한다. 그러나 인터넷 기능 종료가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255단계에서 무선 인터넷부(120)를 제어하여 인터넷망과 연결을 해제한 후, 인터넷 기능을 종료하고, 260단계에서 대기 화면을 표시한다. When the message transmission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tion of the Internet function is selected in step 255. [ In other words, when the message transmission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display unit 160 to display a popup window for selecting a termination of the Internet function. If the end of the Internet function is not selected, the control unit 130 returns to step 220 to re-display the content, and re-executes the Internet function by the user's selection. However, if the end of the Internet function is selected,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wireless Internet unit 120 in step 255 to release the connection to the Internet network, then terminates the Internet function, and displays the standby screen in step 260.

반면에 230단계에서 메시지 전송이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270단계에서 저장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저장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275단계에서 저장부(140)를 제어하여, 선택된 컨텐츠를 저장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message transmission is not selected in step 230,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in step 270 whether the storage is selected. If the storage is selected,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storage unit 140 in step 275 to store the selected contents.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In the foregoing,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a message in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를 전송하는 화면을 예시한 화면 예시도.FIGS. 3A through 3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creen for transmitting a mes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Claims (9)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transmitting a message in a wireless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상기 터치스크린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Displaying content on the touch screen; 상기 컨텐츠가 표시된 영역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드래그가 감지되면, 상기 드래그가 감지된 영역에 블록을 설정하는 과정;Setting a block in the dragged area when a drag is detected through the touch screen in an area where the content is displayed; 상기 블록이 설정된 영역을 구분되게 표시하는 과정;A step of separately displaying the set area of the block; 상기 블록이 설정된 영역을 구분되게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메시지 전송 메뉴를 포함하는 팝업창의 표시를 요청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팝업창을 표시하는 과정;Displaying a pop-up window when an input for requesting display of a pop-up window including a message transmission menu is sensed through the touch screen in a state where the block is set separately; 상기 팝업창에서 상기 메시지 전송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블록이 설정된 영역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창을 표시하는 과정; Displaying a character input window including contents of a block in which the block is selected when the message transmission menu is selected in the pop-up window; 새로운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새로운 문자를 상기 문자 입력창에 추가하는 과정; 및Adding a new character to the character input window; And 메시지 입력 완료 요청에 의해 상기 블록이 설정된 영역의 컨텐츠 및 상기 새로운 문자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입력된 전화번호에 따른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of the area where the block is set and the message including the new character to the counterpart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input phone number by a message input completion reques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이 설정된 영역은,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하이라이트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And displaying the message in a highlighted manner. 제2 항에 있어서, 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팝업창에서 메시지 전송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블록이 설정된 영역의 컨텐츠를 임시로 저장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emporarily storing contents of the set area of the block when the message transmission menu is selected in the pop-up window. 제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팝업창에서 메시지 전송 메뉴가 선택되지 않으면, 컨텐츠 저장이 선택되는지 판단하는 과정; 및If the message transmission menu is not selected in the pop-up window, determining whether content storage is selected; And 상기 컨텐츠 저장이 선택되면, 상기 블록이 설정된 영역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the contents of the set area of the block when the contents storage is selected. 제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인터넷 기능 종료가 선택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고,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end of the Internet function is selected, 상기 인터넷 기능 종료가 선택되면, 상기 인터넷 기능을 종료하고 대기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및Closing the Internet function and displaying a standby screen when the Internet function termination is selected; And 상기 인터넷 기능 종료가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컨텐츠를 재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If the end of the Internet function is not selected, re-displaying the content on the touch screen.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5. The method of claim 4, 문자, 문자열, 이미지, 숫자, 숫자열, 캐릭터,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A character string, an image, a number, a number string, a character, and a moving pictur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은The method of claim 1, 단문 메시지 전송,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이메일 전송,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Wherein the at least one message is at least one of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a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an e-mail transmission, and an instant message transmission.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이 설정된 영역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창을 표시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character input window including the contents of the block- 컨텐츠 추가가 선택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컨텐츠를 재표시하는 과정;Re-displaying the content on the touch screen when the content addition is selected; 상기 컨텐츠가 표시된 영역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지되는 드래그를 통해 블록이 새로 설정되면, 상기 새로 블록이 설정된 영역의 컨텐츠를 구분되게 표시하는 과정; 및Displaying the content of the newly set block separately if a block is newly set through a drag detected by the touch screen in an area where the content is displayed; And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메시지 전송 메뉴를 포함하는 팝업창의 표시를 요청하는 입력에 따라 표시되는 상기 팝업창에서 메시지 전송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문자 입력창에 상기 새로 블록이 설정된 영역의 컨텐츠를 추가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When a message transmission menu is selected in the pop-up window displayed according to an input requesting a display of a pop-up window including the message transmission menu sensed by the touch screen, the contents of the area where the new block is set are added to the character input window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KR1020080006589A 2008-01-22 2008-01-22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in mobile terminal KR1015282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589A KR101528271B1 (en) 2008-01-22 2008-01-22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in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589A KR101528271B1 (en) 2008-01-22 2008-01-22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in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689A KR20090080689A (en) 2009-07-27
KR101528271B1 true KR101528271B1 (en) 2015-06-11

Family

ID=41291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589A KR101528271B1 (en) 2008-01-22 2008-01-22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in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27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297B1 (en) * 2012-06-11 2019-08-2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for data common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common service
KR101965777B1 (en) * 2012-12-14 2019-04-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ents using number of contents in transmission reg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945A (en) * 2003-07-31 2003-08-27 임정태 Method For Forwarding A Message On Internet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On Which A Program Therefor Is Recorded
KR100784263B1 (en) * 2006-08-16 2007-12-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ge sending using clip-boar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945A (en) * 2003-07-31 2003-08-27 임정태 Method For Forwarding A Message On Internet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On Which A Program Therefor Is Recorded
KR100784263B1 (en) * 2006-08-16 2007-12-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ge sending using clip-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689A (en) 2009-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73782B (en) Control method applied to screen projection scene and related equipment
JP4382654B2 (en) Mess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avatar in portable terminal
JP586985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an access point on a portable terminal
US89497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integrated message using portable device
KR1015700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function in portable terminal
US90714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786186A2 (en) Running an application dependent on the user input
CN106201491B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remote assistance process of mobile terminal
EP1587288A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integrated messaging service and method thereof
KR20090057609A (en)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method for inputting message thereof
EP1981252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according to call therein
KR2011003909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ouch screen
US2007029877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messenger service
US201201098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sns information
KR101528271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in mobile terminal
CN112235412A (en) Mess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N108811177B (en)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EP3185515B1 (en)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information
KR100937322B1 (en) System for controlling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comput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03298719A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JP4693251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control program
KR10169570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ouch screen
KR102307526B1 (en) Use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KR20160114822A (en) Server for managing user information
US20100077044A1 (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030

Effective date: 201504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