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6998B1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절전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절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6998B1
KR101526998B1 KR1020080101546A KR20080101546A KR101526998B1 KR 101526998 B1 KR101526998 B1 KR 101526998B1 KR 1020080101546 A KR1020080101546 A KR 1020080101546A KR 20080101546 A KR20080101546 A KR 20080101546A KR 101526998 B1 KR101526998 B1 KR 101526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or module
mobile communication
power supply
touch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2406A (ko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1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998B1/ko
Priority to US12/509,399 priority patent/US8666446B2/en
Priority to EP09166885A priority patent/EP2178274B1/en
Priority to CN200910169003.7A priority patent/CN101729658B/zh
Publication of KR20100042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39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based on proj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ojector or beamer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02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1Testing thereof
    • H04N9/3194Testing thereof including sensor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프로젝터 모듈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정보를 외부 투사면에 출력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절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에 의한 이벤트 또는 사용자에 의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프로젝터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여 절전을 이룰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절전 방법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절전 방법{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 power sa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프로젝터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절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단말기의 성격상 구비된 표시화면의 크기가 제약을 받게 된다. 따라서, 보 다 큰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벤트에 따라 동작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프로젝터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절전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스템에 의한 이벤트 또는 사용자에 의한 이벤트에 따라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젝터의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절전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절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프로젝터 모듈과, 이벤트에 따라 프로젝터 모듈의 동작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와, 현재 발생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메모리의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젝터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상태변화 요인은 호 수신, SMS/MMS, 알람/일정관리, 배터리 상태, 무선신호 수신 상태 등 시스템에 의한 이벤트 발생인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상태변화 요인은 키패드, 터치스크린, 조그휠, 트랙볼,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장치에 대한 조작 등 사용자에 의한 이벤트 발생인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상태변화 요인은 단말기 본체의 움직임/기울기 감지 신호인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제어부는 프로젝터 모듈이 구동될 때, 본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 화면을 오프시키도록 제어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절전 방법은 프로젝터 모듈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투사하는 과정; 단말기의 현재 상태변화를 감지하는 과정; 메모리로부터 상기 상태변화 조건에 설정된 제어정보를 읽어들이는 과정; 상기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절전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프로젝터 모듈을 구동할 필요가 없는 시간동안 프로젝터 모듈의 전원을 차단하므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2.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프로젝터 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 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 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위,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7)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써,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전체 또는 부분을 외부 스크린상에 확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7)은 이미지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입력받음에 따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미도시) 및 디스플레이 수단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는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은 레이저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렌즈를 통해 출력된 이미지는 외부 스크린상에 확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7)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또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걸러져서 휠을 통과하여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반사하여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단편구조를 사용해 프로젝터 모듈(157)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7)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7)은 필요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 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통신 단말기(100) 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 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 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 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의 서로 연관된 작동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도 3a는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통해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 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표시된다.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15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151c)가 출력된다. 소프트키(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된다. 제1조작 유닛(131)이 조작되면 출력창(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된다.
도 3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을 통하여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낸다. 도 3a가 단말기 바디를 세로로 배치시킨 경우(portrait)라면, 도 3b는 단말기 바디를 가로로 배치시킨 경우(landscape)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 바디의 배치 방향에 따라 출력 화면이 변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b는 휴대 단말기에서 텍스트 입력 모드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표시된다. 입력창(151b')에는 문자, 기호, 숫자들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소프트키(151c')들이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소프트키(151c')들은 쿼티(QWERTY)키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도 2b 참조)를 통하여 소프트키(151c')들이 터치 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터치 패드(135)를 통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을 통한 터치 입력에 비하여 터치시 소프트키(151c')가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 는 이점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가 투명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위치한 손가락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입력 방식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135)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근접 센서(141)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펜 등과 같은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 상기 근접센 서(141)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근접 터치되는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예컨대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배치된 터치스크린의 단면이 예시되고 있다.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접촉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3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 깊이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상기 근접 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56,157)가 오버랩된 형태에서의 터치 동작에 대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에 개시된 단말기는 본체에 대해 폴더부가 폴딩(folding) 가능하게 연결된 폴더 형태의 단말기이다. 폴더부에 장착된 제1 디스플레이부(156)는 TOLED와 같은 광투과형 또는 투명 형이나, 본체에 장착된 제2 디스플레이부(157)는 LCD와 같이 빛이 투과하지 않는 형태여도 무방하다.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6 및 157)는 각각 터치 입력 가능한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또는 TOLED(156)에 대한 터치{접촉 터치(contact touch) 또는 근접 터치(proximity-touch)}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터치의 종류 및 터치 시간에 따라 TOLED(156)에 표시된 이미지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선택(select)되거나 실행(run)되게 할 수 있다.
이하, 오버랩(overlap)된 형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TOLED(156)에 대한 터치 시 다른 디스플레이부 또는 LCD(157)에 표시된 정보가 제어되는 방식에 대하여, 터치, 롱터치, 롱터치 & 드래그(drag) 등으로 구분된 입력 방식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오버랩된 상태(이동통신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TOLED(156)는 LCD(157)의 하 측에 중첩되게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앞서 TOLED(156)에 표시된 이미지의 제어를 위한 터치와 다른 방식의 터치, 예를 들어 롱터치(예를 들어, 2초 내지 3초 이상 지속된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감지된 터치 입력에 따라 LCD(157))에 표시된 이미지 리스트의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선택되게 한다. 상기 선택된 이미지의 실행에 따른 결과는 상기 TOLED(156)에 표시된다.
상기 롱터치는 LCD(157)에 표시된 개체들 중 원하는 개체를 (그에 대한 실행 동작 없이) 선택적으로 TOLED(156)로 옮길 때도 이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LCD(157)의 특정 개체에 대응하는 TOLED(156)의 일 영역을 롱터치할 경우, 제어부(180)는 해당 개체가 TOLED(156)로 옮겨져서 표시되게 한다. 한편, TOLED(156)에 표시되어 있는 개체 역시, TOLED(156)에 대한 소정 터치입력, 예를 들어 플리킹(flicking), 스월링(swirling) 등에 따라 LCD(157)로 옮겨서 표시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LCD(157)에 표시된 2번 메뉴가 TOLED(156)로 옮겨져서 표시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롱터치와 함께 다른 입력, 예를 들어 드래그가 추가로 감지된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롱터치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와 관련된 기능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이미지에 대한 미리보기 화면이 TOLED(156)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본 도면에는 2번 메뉴(이미지 파일)에 대한 미리보기(남자 사진)가 행하여진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상기 미리보기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롱터치를 유지하면서 추가로 TOLED(156)에 다른 이미지를 향한 드래그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80)는 LCD(157)의 선택커서(혹은 선택바)를 움직이고, 상기 선택커서가 선택한 이미지를 미리보기 화면(여자 사진)에 표시한다. 이후, 상기 터치(롱터치 및 드래그)가 종료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롱터치에 의해 선택된 처음의 이미지를 표시한다.
상기 터치 동작 (롱터치 및 드래그)은 TOLED(156)에 대한 롱 근접터치(적어도 2초 내지 3초 이상 지속되는 근접터치)와 함께 슬라이드(상기 드래그에 대응되 는 근접터치의 동작)가 감지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상 언급된 것 이외의 터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일반적인 터치 제어 방법과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오버랩(overlap)된 형태에서의 터치 동작에 대한 제어 방법은 싱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형태의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폴더 형태와 다른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근접 신호가 검출되는 근접 터치 인식 영역과 촉각 효과가 발생하는 햅틱 영역에 대한 설명에 참조 되는 도면이다.
도 6a는 아이콘이나 메뉴 항목 등과 같은 오브젝트를 설명의 편의상 원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영역은, 도 6a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의 제1 영역(A)과 그를 감싸는 제2 영역(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은 서로 다른 세기나 패턴을 갖는 촉각 효과가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영역(B)을 터치한 경우 제1 진동을 출력하고, 제1 영역(A)을 터치한 경우 제1 진동보다 큰 제2 진동을 출력하도록 2단계로 구성할 수 있다.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에 근접 터치 인식 영역과 햅틱 영역을 동시에 설정해야 하는 경우라면, 촉각 효과가 발생하는 햅틱 영역과 근접신호가 검출되는 근접 터치 인식 영역이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햅틱 영역을 근접 터치 인식 영역보다 좁게 설정하거나 혹은 햅틱 영역을 근접 터치 인식 영역보다 넓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a의 (a)에서,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을 포함하는 영역을 근접 터치 인식 영역으로 하고, 제1 영역(A)을 햅틱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a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3개의 영역(A, B, C)으로 구분하거나, 혹은 도 6a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N(N>4) 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구분된 각 영역은 서로 다른 세기나 패턴을 갖는 촉각 효과가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3개 혹은 그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경우에도, 햅틱 영역과 근접 터치 인식 영역은 사용환경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 근접 깊이에 따라 근접 터치 인식 영역의 크기가 달라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6b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근접 깊이에 따라 대응하는 근접 터치 인식 영역이 'C', 'B', 'A'로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하거나, 혹은 이와 반대로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근접 깊이에 따라 대응하는 근접 터치 인식 영역이 점차 커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햅틱 영역은, 도 6b의 (b)에 도시한 'H'영역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근접 깊이와 무관하게 일정한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햅틱 영역이나 근접 터치 인식 영역의 설정을 위해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분할하는 경우,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동심원 형태의 분할 외에,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의 분할, 방사형 분할, 및 이들을 조합한 방식의 분할 등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는 시스템 이벤트 발생에 따라 프로젝트 모듈의 동작을 차단하는 실시 예시도들이다.
도 7a는 프로젝터 모듈을 이용하여 투사면에 소정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은 나타낸 것이다. 본 예시는 프로젝터 모듈을 이용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청취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호(call)가 수신되면, 도 7b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호 수신 정보를 표시하되, 프로젝터 모듈의 동작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한다. 통화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손에 쥐어야 하기 때문에, 프로젝터 모듈을 통해 구동되는 영상 표시를 일시 정지할 필요가 있다. 한편, 단말기에 이어폰이 연결된 상태라면 프로젝터 모듈은 정삭 동작하면서 통화가 가능할 수도 있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절전 모드 제어와는 다른 개념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예시도에서는 호 수신되면 자동으로 프로젝터 모듈의 동작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예로 하고 있으나, 불필요한 전화이거나 프로젝터 모듈을 통한 영상투사가 더 중요한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설정에 따라 프로젝터 모듈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지 않고, 수신된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통화 연결을 선택하게 되면 프로젝터 모듈의 전원을 차단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본 예시에서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소정 영역이나 또는 투사되는 멀티미디어 방송은 그대로 표시하면서 그 위에 호 수신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시스템 이벤트로서 발생 가능한 문자 메시지 수신의 경우에도 위와 동일한 방법이 사용된다. 즉, 프로젝터 모듈을 구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문자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에 문자 메시지 수신 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도 7c에서와 같이 투사면에 디스플레이 정보를 출력하던 프로젝터 모듈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 다. 경우에 따라, 문자메시지 수신 사실을 투사면의 일부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 소정 버튼을 누르게 되면 비로소 프로젝터 모듈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 다른 경우로서 프로젝터 모듈을 통해 표시되는 타인과 문자메시지를 공유해도 괜찮을 경우라면 프로젝터 모듈의 전원을 차단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다양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설정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로부터 각 상황에 따른 프로젝터 모듈 제어에 대한 설정 값을 읽어 들여 해당 이벤트에 따라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자가 중요한 경우라면, 메모리에 언제든지 수신 정보 확인으로 표시될 것이며, 프로젝터에 해당 문자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만일 사생활 보호 대상자로 설정된 경우라면, 단말기 본체의 디스플레이부와 프로젝터 모듈에 각각 메시지 수신 정보만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문자 메시지 확인 기능키를 조작하면 프로젝터 모듈의 전원을 차단하는 방법도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시스템 이벤트로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모닝콜/알람 이벤트가 구현될 때, 프로젝터 모듈을 통한 영상 표시 동작이 불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도 7d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알람 기능이나 모닝콜 동작의 수행과 함께 해당 정보를 표시하고, 프로젝터 모듈의 동작은 차단한다. 모닝콜 이벤트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한 형태로 제어될 수 있다. 즉, 프로젝터 모듈 자동 전원차단이나 사용자의 조작이나 메모리에 설정된 상태에 따라 프로젝터 모듈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게 된다. 이외에도 배터리 잔량이 소정 크기보다 작은 경우에는 통화를 위해 배터리 잔량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때에도 프로젝터 모듈의 동작 을 차단한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 동작의 차단에 앞서 차단의 원인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사용자 이벤트 발생에 따라 프로젝트 모듈의 동작을 차단하는 실시 예시도들이다. 도 8a에서와 같이 단말기의 소정 부위에 형성된 기능 조작 버튼을 누르게 되면, 현재 프로젝터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표시영상을 일시 정지하거나, 프로젝터 모듈의 동작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도 8b는 프로젝터 모듈을 이용하여 투사면에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던 중에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직접/근접 터치하게 되면, 제어부는 프로젝터 모듈을 통한 출력 동작을 일시 정지시킨다.
도 8c는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있을 경우, 프로젝터 모듈의 출력 동작을 중지하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예시도에서는 슬라이드 타입의 단말기로서 네비게이션 키가 상부에 형성된 것을 예로 하고 있다. 폴더 타입의 단말기의 경우라면 폴더를 열고 프로젝터 모듈을 구동한 상태에서 네비게이션 키를 조작하게 되면 프로젝터 모듈의 동작을 중지하게 된다.
도 8d는 프로젝터 모듈을 통한 디스플레이 동작 중 단말기 본체를 움직인 경우의 예시도이다. 단말기에는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모션 센서(motion sensor)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모션 센서라함은 기울기 센서, 가속센서, 자이로 센서 등 2차원 상의 움직임과 3차원 상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센서의 통칭으로 사용한다. 프로젝터를 통한 디스플레이 동작 중, 사용자의 의도에 의하거나 또는 부주의로 인해 단말기 본체를 소정 범위 이상 이동하거나 기 울이면 프로젝터 모듈의 동작을 차단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프로젝터 모듈 사용 중 시간 경과에 따른 절전 제어의 실시 예시도들이다.
프로젝터 모듈을 사용하여 사진 앨범에 포함된 사진을 표시하는 중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소정 시간이 경과되도록 다른 사진의 선택이 없는 경우, 도 9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 모듈을 통한 디스플레이를 차단한다.
도 9b는 프로젝터 모듈을 통한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질 때, 단말기 본체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출력이 불 필요한 경우를 대비하여 프로젝터 모듈의 동작은 유지하되,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동작을 차단하는 경우의 예시도이다.
도 9c는 프로젝터 모듈과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출력을 모두 차단하는 경우로서,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도록 어떠한 입력신호도 없을 때 절전 수행의 예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프로젝터 모듈의 동작 전원을 제어하는 다른 실시 예시도들이다. 도 10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 모듈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소정 디스플레이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이다. 이 상태에서 도 10b에서와 같이 터치 스크린 상에서 직접/근접 터치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손가락을 프로젝터 투사면 방향으로 드래깅하게 되면, 도 10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 모듈을 통해 디스플레이부와 동일한 영상이 표시된다. 경우에 따라, 예를 들어, 프로젝터 모듈은 오프 상태이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진 앨범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진 앨범 중 어느 하나의 사진을 직접/근접 터치 하여 프로젝터 투사면 방향으로 드래깅하면 선택된 사진만 표시되는 형태의 변형도 가능하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단말기 본체의 움직임의 실시 예시도이다. 도 8d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프로젝터 모듈을 통한 디스플레이 동작 중 단말기 본체의 이동이 모션 센서(motion sensor)에 의해 감지되면, 프로젝터 모듈의 동작 전원을 차단한다.
이때, 모션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단말기 본체의 이동 형태는 도 11a 내지 도 11c에 표시된 바와 같다. 즉, 도 11a에서와 같이, 평면 상에서 좌, 우 방향의 수평 이동하는 경우와 도 11b에서와 같이 소정 위치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형태로 기울어지는 경우와 도 11c에서와 같이 대각선 방향으로의 움직임 등을 인식하여 프로젝터 모듈의 전원을 차단한다. 한편, 경우에 따라 프로젝터 투사면에 대하여 평면상에서 전, 후로 움직이는 것을 감지하게 되면, 프로젝터 모듈의 전원을 차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프로젝터 모듈과 프로젝터 투사면의 거리가 변경되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프로젝터 투사면에 표시되는 영상이 확대되거나 축소되는 형태의 조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단말기의 전, 후 동작에 대한 프로젝터 모듈 절전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로젝터 전원 제어의 실시 예시도이다. 도 12a에서와 같이 동영상, 방송, MP3, 음성, 애니메이션, 네비게이션 객체 등의 동적 객체를 프로젝터 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중에 도 12b에서와 같이, 재생 일시 정지(pause) 키를 누르면, 도 12c에서와 같이 프로젝트 모듈을 통한 출력을 일시 정지한다. 사용자가 다시 재생 버튼을 누르면(resume) 프로젝터 모듈을 통한 동적 객체 출력이 다시 구현된다.
도 13a 내지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를 구현하기 위한 사용자 설정의 실시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기본 메뉴에는 멀티미디어 메뉴가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메뉴를 선택하면 도 13a에서와 같이 다수의 서브 메뉴가 표시된다. 본 발명에서의 프로젝터 모듈에 대한 제어를 위해 멀티미디어 메뉴의 서브 메뉴인 프로젝터가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가 프로젝터을 선택하면 도 13b에서와 같이 프로젝터 사용에 대한 다양한 설정이 포함된 메뉴가 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프로젝터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도 4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들이 오버랩된 형태에서의 터치 동작에 대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근접신호가 검출되는 근접 터치 인식 영역과 촉각 효과를 발생하는 햅틱 영역에 대한 설명을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시스템 이벤트 발생에 따라 프로젝트 모듈의 동작을 차단하는 실시 예시도들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사용자 이벤트 발생에 따라 프로젝트 모듈의 동작을 차단하는 실시 예시도들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프로젝터 모듈 사용 중 시간 경과에 따른 절전 제어의 실시 예시도들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프로젝터 모듈의 동작 전원을 제어하는 다른 실시 예시도들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단말기 본체의 움직임의 실시 예시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로젝터 전원 제어의 실시 예시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를 구현하기 위한 사용자 설정의 실시 예시도이다.

Claims (13)

  1.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센서;
    외부면에 이미지를 투사하기 위한 프로젝터 모듈;
    상기 프로젝터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상기 프로젝터 모듈이 동작하는 동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 1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 1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프로젝터 모듈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 2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 2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프로젝터 모듈로의 전원 공급이 계속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스템에 의한 이벤트 발생시 상기 프로젝터 모듈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 의한 이벤트는 호 수신, SMS/MMS, 알람/일정관리, 배터리 상태, 무선신호 수신상태 중 어느 하나의 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한 이벤트 발생시 상기 프로젝터 모듈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이벤트는 키패드, 터치스크린, 조그휠, 트랙볼,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장치에 대한 조작 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움직임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프로젝터 모듈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터치스크린으로의 전원 공급은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된 이후,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소정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로의 전원 공급이 재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프로젝터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면에 이미지를 투사하는 단계; 및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 1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 1 움직임 또는 제 2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 2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움직임 및 상기 제 2 움직임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프로젝터 모듈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거나 지속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움직이는 상기 제 1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프로젝터 모듈로의 전원 공급은 중단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움직이는 상기 제 2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프로젝터 모듈로의 전원 공급은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시스템에 의한 이벤트 발생시 상기 프로젝터 모듈로의 전원 공급은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 의한 이벤트는 호 수신, SMS/MMS, 알람/일정관리, 배터리 상태, 무선신호 수신상태 중 어느 하나의 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이벤트 발생시 상기 프로젝터 모듈로의 전원 공급은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이벤트는 키패드, 터치스크린, 조그휠, 트랙볼,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장치에 대한 조작 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터치스크린으로의 전원 공급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080101546A 2008-10-16 2008-10-16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절전 방법 KR101526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546A KR101526998B1 (ko) 2008-10-16 2008-10-16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절전 방법
US12/509,399 US8666446B2 (en) 2008-10-16 2009-07-2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power-saving motion sensor and method for the same
EP09166885A EP2178274B1 (en) 2008-10-16 2009-07-30 Power saving mobile terminal using projector module and method for same
CN200910169003.7A CN101729658B (zh) 2008-10-16 2009-09-04 使用投影仪模块的节电移动终端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546A KR101526998B1 (ko) 2008-10-16 2008-10-16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절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406A KR20100042406A (ko) 2010-04-26
KR101526998B1 true KR101526998B1 (ko) 2015-06-08

Family

ID=41508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546A KR101526998B1 (ko) 2008-10-16 2008-10-16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절전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66446B2 (ko)
EP (1) EP2178274B1 (ko)
KR (1) KR101526998B1 (ko)
CN (1) CN10172965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5556A1 (ko) * 2015-10-15 2017-04-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 투사 장치, 그의 투사 영역 확장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6992B1 (en) 2001-10-18 2008-12-16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7127271B1 (en) 2001-10-18 2006-10-24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7107081B1 (en) 2001-10-18 2006-09-12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229512B1 (en) 2003-02-08 2012-07-24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241128B1 (en) 2003-04-03 2012-08-14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090402B1 (en) 2003-09-26 2012-01-03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7917167B1 (en) 2003-11-22 2011-03-29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041348B1 (en) 2004-03-23 2011-10-18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208954B1 (en) 2005-04-08 2012-06-26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7890089B1 (en) 2007-05-03 2011-02-15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676273B1 (en) 2007-08-24 2014-03-18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639214B1 (en) 2007-10-26 2014-01-28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543157B1 (en) 2008-05-09 2013-09-24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which notifies its pin-point location or geographic area in accordance with user selection
US8340726B1 (en) 2008-06-30 2012-12-25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452307B1 (en) 2008-07-02 2013-05-28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285256B2 (en) * 2008-07-28 2012-10-09 Embarq Holdings Company,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jecting information from a wireless device
US8024007B2 (en) 2008-07-28 2011-09-20 Embarq Holdings Company, Llc System and method for a projection enabled VoIP phone
KR101542380B1 (ko) 2008-10-24 2015-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50180A (ko) * 2008-11-05 2010-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표시부 제어 방법
US9197736B2 (en) 2009-12-31 2015-11-24 Digimarc Corporation Intuitive computing methods and systems
US9134799B2 (en) * 2010-07-16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Interacting with a projected user interface using orientation sensors
KR101699922B1 (ko) * 2010-08-12 2017-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사용자 추적 센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US20130207882A1 (en) * 2011-08-08 2013-08-15 James Allen Hymel Methods and apparatus to obtain and present information
KR20130133629A (ko) 2012-05-29 2013-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음성명령을 실행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97452B1 (ko) * 2013-03-28 2020-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72584B1 (ko) 2013-04-19 2020-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5164610B (zh) * 2013-04-30 2018-05-25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深度传感器
KR101999958B1 (ko) * 2013-05-22 2019-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TW201445238A (zh) * 2013-05-24 2014-12-01 Hon Hai Prec Ind Co Ltd 圖像顯示系統
JP2015041052A (ja) * 2013-08-23 2015-03-02 ソニー株式会社 リストバンド型情報処理装置および記憶媒体
US9311639B2 (en) 2014-02-11 2016-04-12 Digimarc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 and arrangements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TWI582517B (zh) 2014-03-24 2017-05-11 群光電子股份有限公司 縮時攝影的方法及其電腦程式產品暨其具影像擷取功能的電子裝置
CN104076904B (zh) * 2014-06-25 2017-08-29 可牛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控制移动终端硬件状态的方法及装置
US20160006997A1 (en) * 2014-07-03 2016-01-07 Tita L. Bouie Video Projector Assembly
CN104598031A (zh) * 2015-01-19 2015-05-06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5573484B (zh) * 2015-05-07 2018-09-07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投影方法及终端
KR102180479B1 (ko) 2015-07-22 2020-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US10516863B1 (en) * 2018-09-27 2019-12-24 Bradley Baker Miniature portable projector device
US11856120B2 (en) * 2019-01-11 2023-12-2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110213413B (zh) * 2019-05-31 2021-05-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的控制方法及电子装置
JP2021161724A (ja) * 2020-03-31 2021-10-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8752A (ja) * 2004-09-09 2006-03-23 Nikon Corp プロジェクタ装置を備える電子機器
JP2007074652A (ja) * 2005-09-09 2007-03-22 Nikon Corp プロジェクタ付き携帯電話機、プロジェクタ付きカメラ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606B1 (ko) * 2000-09-29 2005-05-27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폴더식 통신단말장치 및 폴더식 통신단말장치에 있어서의표시제어방법
US7688306B2 (en) 2000-10-02 2010-03-30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perating a portable device based on an accelerometer
US7159194B2 (en) 2001-11-30 2007-01-02 Palm, Inc. Orientation dependent functionality of an electronic device
ATE543326T1 (de) 2003-09-18 2012-02-15 Vodafone Plc Informations-kommunikations-endgerät
KR100690726B1 (ko) * 2004-09-14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태스킹이 구현된 휴대 단말기와 그 제어 방법
KR100640808B1 (ko) * 2005-08-12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촬상 이미지의 듀얼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EP1924090A4 (en) 2005-09-09 2009-11-04 Nikon Corp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A PROJECTOR
US7844301B2 (en) * 2005-10-14 2010-11-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isplaying multimedia contents an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capable of implementing the same
US20070229650A1 (en) 2006-03-30 2007-10-04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US8594742B2 (en) 2006-06-21 2013-11-26 Symbol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mobile device
US8245155B2 (en) * 2007-11-29 2012-08-14 Sony Corporation Computer implemented display, graphical user interface, design and method including scrolling features
JP2009141489A (ja) * 2007-12-04 2009-06-25 Toshiba Corp 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8752A (ja) * 2004-09-09 2006-03-23 Nikon Corp プロジェクタ装置を備える電子機器
JP2007074652A (ja) * 2005-09-09 2007-03-22 Nikon Corp プロジェクタ付き携帯電話機、プロジェクタ付きカメ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5556A1 (ko) * 2015-10-15 2017-04-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 투사 장치, 그의 투사 영역 확장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78274A1 (en) 2010-04-21
KR20100042406A (ko) 2010-04-26
CN101729658B (zh) 2014-04-09
US20100099457A1 (en) 2010-04-22
US8666446B2 (en) 2014-03-04
EP2178274B1 (en) 2013-02-13
CN101729658A (zh) 201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9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절전 방법
KR10153759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터치 인식 방법
KR10152068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면 스크롤 방법
KR10186392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5113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그룹 동작 제어 방법
KR10186835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52699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451667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08770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3501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지도 검색 방법
KR10189981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0532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80704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64267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078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재생 방법
KR10152068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표시정보 제어방법
KR10170694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퀵 액세스 동작 제어 방법
KR10163191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2221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입력 제어 방법
KR10184422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10164963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40432B1 (ko)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52699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709503B1 (ko) 이동 단말기 및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KR10184866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