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047B1 - 오픈플로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오픈플로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047B1
KR101525047B1 KR1020130140736A KR20130140736A KR101525047B1 KR 101525047 B1 KR101525047 B1 KR 101525047B1 KR 1020130140736 A KR1020130140736 A KR 1020130140736A KR 20130140736 A KR20130140736 A KR 20130140736A KR 101525047 B1 KR101525047 B1 KR 101525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mobile terminal
switch
information
communication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7398A (ko
Inventor
고석주
김지인
최낙중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40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047B1/ko
Publication of KR20150057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38Flow based rou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픈플로우(openflow)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오픈플로우 통신 시스템은, 복수 개의 도메인 각각에 제공되고, 서로 다른 도메인에서 이동 단말들의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컨트롤 플로우(control flow)를 제공하며, 복수 개의 이동 단말의 호스트 식별자(Host IDentification)에 대응하는 도메인 정보를 나타내는 캐시 테이블(cache table)을 구비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복수 개의 도메인 각각에 제공되고, 이동 단말들 간에 데이터 통신 경로인 데이터 플로우(data flow)를 제공하며, 제1 이동 단말의 제2 이동 단말과의 통신 요청 시, 대응하는 컨트롤러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복수 개의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은 제1 컨트롤러는 상기 캐시 테이블에서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호스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도메인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도메인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컨트롤러로 컨트롤 메시지(control message)를 전송하며, 상기 제2 컨트롤러는 상기 컨트롤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2 이동 단말에 대응하는 제2 스위치로부터 통신 경로 설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제1 컨트롤러로 전송한다.

Description

오픈플로우 통신 시스템 및 방법{OPENFLOW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오픈플로우(openflow)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U-헬스 케어를 위한 고신뢰 네트워크 및 의료정보 융합기술 연구 과제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번호 : 201300270000).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서비스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 중 스마트폰 등 휴대용 기기의 보급 확대로 인해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는 무선 랜 서비스의 경우, 이동 단말로의 데이터 서비스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4G, LTE 망 등의 모바일 환경에서 U-헬스 케어 시스템의 개발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실시간으로 사람을 관리할 수 있는 U-헬스 케어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으로 혈압, 산소포화도 혹은 응급 상황 등을 담당 의사가 직접적으로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는 실시간 통신 지원 가능한 U-헬스 케어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오픈플로우(openflow) 환경의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지원 시스템이 연구되고 있다. 오픈플로우 시스템은 데이터 플로우와 컨트롤 플로우를 분리해 놓은 기술로, 미래 인터넷의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미래형 이동통신 시스템이다. 오픈플로우는 오픈플로우 스위치(openflow switch)와 오픈플로우 컨트롤러(openflow controlle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이다. 컨트롤러와 스위치는 등록된 단말기 간에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오픈플로우 컨트롤러는 단말기의 등록과 관리를 담당하는 컨트롤 플로우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오픈플로우 스위치는 데이터 플로우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오픈플로우 통신 시스템은 하나의 도메인에서 컨트롤러와 스위치가 동작하게 되는데, 도메인 간의 통신, 다시 말해 서로 다른 도메인(예를 들어, 서로 다른 사업자망, 혹은 3G 망 / 4G 망 / LTE 망 등)의 컨트롤러 간에 통신이 지원되지 않으므로, 다른 도메인으로부터 이동 단말의 정보를 미리 제공받지 않는 경우, 서로 다른 도메인 간에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메인 간, 즉 서로 다른 도메인의 컨트롤러 간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오픈플로우(openflow)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오픈플로우(openflow) 통신 시스템은 복수 개의 도메인(domain) 각각에 제공되고, 서로 다른 도메인에서 이동 단말들의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컨트롤 플로우(control flow)를 제공하며, 복수 개의 이동 단말의 호스트 식별자(Host IDentification)에 대응하는 도메인 정보를 나타내는 캐시 테이블(cache table)을 구비하는 컨트롤러(controller); 및 상기 복수 개의 도메인 각각에 제공되고, 이동 단말들 간에 데이터 통신 경로인 데이터 플로우(data flow)를 제공하며, 제1 이동 단말의 제2 이동 단말과의 통신 요청 시, 대응하는 컨트롤러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복수 개의 스위치(switch)를 포함하며,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은 제1 컨트롤러는 상기 캐시 테이블에서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호스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도메인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도메인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컨트롤러로 컨트롤 메시지(control message)를 전송하며, 상기 제2 컨트롤러는 상기 컨트롤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2 이동 단말에 대응하는 제2 스위치로부터 통신 경로 설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제1 컨트롤러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컨트롤러와 상기 제2 컨트롤러는 상호 간의 통신에 의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과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통신 경로 정보를 공유하고, 대응하는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로 상기 통신 경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제1 컨트롤러와 상기 제2 컨트롤러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스위치 간에 데이터가 전송되는 데이터 통신 경로가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컨트롤 메시지는 상기 제1 이동 단말의 호스트 식별자,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호스트 식별자, 상기 제1 컨트롤러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스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 경로 설정에 필요한 정보는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호스트 식별자, 상기 제2 컨트롤러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2 스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오픈플로우 통신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되는 오픈플로우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이동 단말이 상기 제1 스위치로 상기 제2 이동 단말과의 통신 요청 시,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제1 컨트롤러로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트롤러가 상기 캐시 테이블에서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호스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도메인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2 컨트롤러로 컨트롤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컨트롤러가 상기 컨트롤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2 스위치로부터 통신 경로 설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제1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컨트롤러가 상기 제1 스위치로 상기 통신 경로 설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픈플로우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오픈플로우 통신 방법은, 상기 제1 이동 단말에서 송신한 데이터가 상기 제1 컨트롤러와 상기 제2 컨트롤러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스위치 간의 데이터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제2 스위치를 경유하여 상기 제2 이동 단말로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컨트롤 메시지는 상기 제1 이동 단말의 호스트 식별자,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호스트 식별자, 상기 제1 컨트롤러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스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 경로 설정에 필요한 정보는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호스트 식별자, 상기 제2 컨트롤러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2 스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오픈플로우 통신 시스템에서 도메인 간, 즉 서로 다른 도메인의 컨트롤러 간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으며, 도메인 간의 통신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픈플로우 통신 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픈플로우 통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제공되는 캐시 테이블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픈플로우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공지된 구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플로우(openflow) 통신 시스템은 도메인 내에서 컨트롤 플로우(control flow)를 제공하는 컨트롤러가 이동 단말의 호스트 식별자(HID; Host IDentification)에 대응하는 도메인 정보의 관계를 나타내는 캐시 테이블(cache table)을 구비한다. 서로 다른 도메인에 속하는 이동 단말 간의 통신 요청 시, 송신 단말 측의 컨트롤러(controller)는 캐시 테이블에서 수신 단말의 호스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도메인 정보를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수신 단말 측의 컨트롤러로 컨트롤 메시지(control message)를 전송한다.
수신 단말 측의 컨트롤러는 컨트롤 메시지에 따라 수신 단말에 대응하는 스위치(switch)로부터 통신 경로 설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송신 단말 측의 컨트롤러로 전송한다. 송신 단말 측의 컨트롤러는 송신 단말 측의 스위치로 수신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필요한 통신 경로 설정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서로 다른 도메인의 컨트롤러 상호 간의 통신에 의해 서로 다른 도메인에 속하는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의 통신 경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에서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 간의 데이터 플로우(data flow)를 처리하는 스위치들로 통신 경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서로 다른 도메인의 스위치 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픈플로우 통신 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픈플로우 통신 시스템(100)은 서로 다른 도메인(D1, D2) 각각에 제공되는 컨트롤러(110, 120)와, 서로 다른 도메인(D1, D2) 각각에 제공되는 복수 개의 스위치(130, 140, 150)를 포함한다. 오픈플로우(openflow) 통신 시스템은 컨트롤 플로우(control flow)와, 데이터 플로우(data flow)가 분리 운용되는 통신 시스템을 의미한다. 제1 도메인(D1)은 이에 등록된 제1 이동 단말(10)들을 관리하며, 제2 도메인(D2)은 이에 등록된 제2 이동 단말(20)들을 관리한다. 예시적으로, 서로 다른 도메인(D1, D2)은 서로 다른 사업자 망이거나, 혹은 3G 망 / 4G 망 / LTE(Long Term Evolution) 망 등과 같은 통신 망을 의미할 수 있다. 이동 단말(10, 20)은 예시적으로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의 단말을 예로 들 수 있다.
컨트롤러(110, 120)는 각 도메인(D1, D2)에서 이동 단말(10, 20)들의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컨트롤 플로우(control flow)를 제공한다. 컨트롤러(110, 120)는 복수 개의 이동 단말(10, 20)의 호스트 식별자(HID; Host IDentification)에 대응하는 도메인 정보를 나타내는 캐시 테이블(cache table)을 구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픈플로우 통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제공되는 캐시 테이블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캐시 테이블을 서로 다른 호스트 식별자(HID)에 일대일 대응하는 도메인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예시적으로, 호스트 식별자(HID)가 '11'인 이동 단말은 도메인 A에 등록되어 있으며, 호스트 식별자가 '22'인 이동 단말은 도메인 B에 등록되어 있으며, 호스트 식별자가 '33'인 이동 단말은 도메인 C에 등록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3개의 호스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도메인 정보를 나타내는 캐시 테이블이 도시되어 있으나, 캐시 테이블은 2개 혹은 4개 이상의 호스트 식별자와 도메인 정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낼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스위치(130, 140, 150)는 이동 단말(10, 20)들 간에 데이터 통신 경로인 데이터 플로우(data flow)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제1 이동 단말(10)이 제2 이동 단말(2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제2 도메인(D2)으로부터 제1 도메인(D1)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도 물론 가능할 것이다. 스위치(130, 140, 150)는 제1 이동 단말(10)의 제2 이동 단말(20)과의 통신 요청 시, 대응하는 컨트롤러(110, 120)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은 제1 컨트롤러(110)는 캐시 테이블에서 제2 이동 단말(20)의 호스트 식별자(HID; Host IDentification)에 대응하는 도메인 정보를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2 컨트롤러(120)로 컨트롤 메시지(control message)를 전송한다. 예시적으로, 컨트롤 메시지는 제1 이동 단말(10)의 호스트 식별자, 제2 이동 단말(20)의 호스트 식별자, 제1 컨트롤러(110)의 주소 정보 및 제1 스위치(130)의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측의 이동 단말(20)이 가입한 제2 도메인(D2)의 제2 컨트롤러(120)는 제1 컨트롤러(110)로부터 전송받은 컨트롤 메시지에 따라 제2 이동 단말(20)에 대응하는 제2 스위치(140)로부터 통신 경로 설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아 제1 컨트롤러(110)로 전송한다. 즉, 제2 컨트롤러(120)는 제2 스위치(140)로 컨트롤 메시지를 전송하고, 컨트롤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2 스위치(140)로부터 전송되는 통신 경로 설정 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제1 컨트롤러(110)로 제공한다. 제1 컨트롤러(110)는 제2 컨트롤러(120)로부터 제공받은 통신 경로 설정 정보를 제1 스위치(130)로 전송한다. 예시적으로, 통신 경로 설정 정보는 제1 이동 단말(10)의 호스트 식별자, 제1 스위치(130)의 주소 정보, 제1 컨트롤러(110)의 주소 정보, 제2 이동 단말(20)의 호스트 식별자, 제2 스위치(140)의 주소 정보 및 제2 컨트롤러(120)의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제1 컨트롤러(110)와 제2 컨트롤러(120) 상호 간의 통신에 의하여, 서로 다른 도메인(D1, D2) 간에 제1 이동 단말(10)과 제2 이동 단말(20) 간의 통신 경로 정보를 공유하며, 제1 스위치(130)와 제2 스위치(140)로 통신 경로 정보를 제공하여, 제1 컨트롤러(110)와 제2 컨트롤러(120)를 경유하지 않고, 제1 스위치(130)와 제2 스위치(140) 간에 데이터가 전송되는 데이터 통신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스위치(130)와 제2 스위치(140) 간에 하나 이상의 다른 스위치(150)를 경유하는 데이터 플로우가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스위치(130)로부터 직접 제2 스위치(140)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데이터 플로우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픈플로우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픈플로우 통신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오픈플로우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이동 단말(10, 20)은 오픈플로우 처리를 통해 도메인(D1, D2) 통신 망에 가입하는 절차를 수행한다(단계 S11, S12, S21, S22). 이에 따라, 동일한 도메인 통신 망에 가입한 이동 단말 간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도메인(D1)에 등록된 송신 단말(10)은 제2 도메인(D2)에 등록된 수신 단말(2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먼저 데이터를 제1 도메인(D1)에 제공되는 제1 스위치(130)로 전송한다(단계 S31). 송신 단말(10)로부터 통신 요청을 받은 제1 스위치(130)는 제1 도메인(D1)에 제공되는 제1 컨트롤러(110)로 컨트롤 메시지(혹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32). 요청 메시지에는 송신 단말(10)의 호스트 식별자, 수신 단말(20)의 호스트 식별자 정보 및 제1 스위치(130)의 주소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컨트롤러(110)는 요청 메시지에서 수신 단말(20)의 호스트 식별자 정보를 확인하고, 캐시 테이블에서 수신 단말(20)의 호스트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도메인 정보를 확인한 후, 도메인 정보에 대응하는 컨트롤러, 즉 제2 도메인(D2)에 제공되는 제2 컨트롤러(120)로 컨트롤 메시지(control message)를 전송한다(단계 S33). 컨트롤 메시지는 송신 단말(10)의 호스트 식별자, 수신 단말(20)의 호스트 식별자, 제1 컨트롤러(110)의 주소 정보 및 제1 스위치(130)의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컨트롤러(120)는 제1 컨트롤러(110)로부터 전송받은 컨트롤 메시지에서 수신 단말(20)의 호스트 식별자를 인식하고, 수신 단말(2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스위치(140)로 컨트롤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34). 제2 스위치(140)는 제2 컨트롤러(120)로부터 전송받은 컨트롤 메시지를 확인하고, 컨트롤 메시지로부터 송신 단말(10)과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데 필요한 정보, 예를 들어, 송신 단말(10)의 호스트 식별자, 제1 스위치(130)의 주소 정보 등을 파악하며, 통신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제1 도메인(D1)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 예를 들어, 수신 단말(20)의 호스트 식별자, 제2 스위치(20)의 주소 정보, 그 밖의 통신 경로 설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2 컨트롤러(120)로 전송한다(단계 S35).
제2 컨트롤러(120)는 제2 스위치(140)로부터 제공받은 통신 경로 설정 정보를 제1 컨트롤러(110)로 전송하며(단계 S36), 제1 컨트롤러(110)는 제2 컨트롤러(120)로부터 전송받은 통신 경로 설정 정보를 제1 스위치(130)로 전송한다(단계 S37). 제1 스위치(130)는 통신 경로 설정 정보를 확인하여 제2 스위치(140) 상호 간에 데이터 통신 경로를 설정하며, 이에 따라 송신 단말(10)로부터 제1 스위치(130)로 전송된 데이터는 제1 및 제2 컨트롤러(110, 120)를 경유하지 않은 채로, 제1 스위치(130)에서 직접 제2 스위치(140)로 전송되거나 혹은 다른 중간 경유 스위치(150)를 경유하여 제2 스위치(140)로 전송된 후(단계 S38), 다시 제2 스위치(140)로부터 수신 단말(20)로 전송된다(단계 S39).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서로 다른 도메인의 이동 단말들(10, 20) 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에 대하여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제1 이동 단말(송신 단말) 20: 제2 이동 단말(수신 단말)
100: 오픈플로우 통신 시스템 110: 제1 컨트롤러
120: 제2 컨트롤러 130: 제1 스위치
140: 제2 스위치

Claims (8)

  1. 오픈플로우(openflow)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 개의 도메인 각각에 제공되고, 서로 다른 도메인에서 이동 단말들의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컨트롤 플로우(control flow)를 제공하며, 복수 개의 이동 단말의 호스트 식별자(Host IDentification)에 일대일 대응하는 도메인 정보를 나타내는 캐시 테이블(cache table)을 구비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복수 개의 도메인 각각에 제공되고, 이동 단말들 간에 데이터 통신 경로인 데이터 플로우(data flow)를 제공하며, 제1 이동 단말의 제2 이동 단말과의 통신 요청 시, 대응하는 컨트롤러로 제2 이동 단말의 호스트 식별자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복수 개의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호스트 식별자는 상기 제2 이동 단말이 속한 도메인 정보만을 포함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은 제1 컨트롤러는 상기 캐시 테이블에서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호스트 식별자만을 이용하여, 호스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도메인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도메인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컨트롤러로 컨트롤 메시지(control message)를 전송하며,
    상기 제2 컨트롤러는 상기 컨트롤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2 이동 단말에 대응하는 제2 스위치로부터 통신 경로 설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제1 컨트롤러로 전송하고,
    상기 컨트롤 메시지는 상기 제1 이동 단말의 호스트 식별자,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호스트 식별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경로 설정에 필요한 정보는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호스트 식별자를 포함하는 오픈플로우 통신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트롤러와 상기 제2 컨트롤러는 상호 간의 통신에 의해 상기 제1 이동 단말과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통신 경로 정보를 공유하고, 대응하는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로 상기 통신 경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제1 컨트롤러와 상기 제2 컨트롤러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스위치 간에 데이터가 전송되는 데이터 통신 경로가 설정되는 오픈플로우 통신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기재된 오픈플로우 통신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되는 오픈플로우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이동 단말이 상기 제1 스위치로 상기 제2 이동 단말과의 통신 요청 시,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제1 컨트롤러로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트롤러가 상기 캐시 테이블에서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호스트 식별자에 일대일 대응하는 도메인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2 컨트롤러로 컨트롤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컨트롤러가 상기 컨트롤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2 스위치로부터 통신 경로 설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제1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트롤러가 상기 제1 스위치로 상기 통신 경로 설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메시지는 상기 제1 이동 단말의 호스트 식별자,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호스트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경로 설정에 필요한 정보는 상기 제2 이동 단말의 호스트 식별자를 포함하는 오픈플로우 통신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단말에서 송신한 데이터가 상기 제1 컨트롤러와 상기 제2 컨트롤러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스위치 간의 데이터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제2 스위치를 경유하여 상기 제2 이동 단말로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픈플로우 통신 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130140736A 2013-11-19 2013-11-19 오픈플로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525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736A KR101525047B1 (ko) 2013-11-19 2013-11-19 오픈플로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736A KR101525047B1 (ko) 2013-11-19 2013-11-19 오픈플로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398A KR20150057398A (ko) 2015-05-28
KR101525047B1 true KR101525047B1 (ko) 2015-06-09

Family

ID=53392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736A KR101525047B1 (ko) 2013-11-19 2013-11-19 오픈플로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0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8134A2 (en) * 2011-07-08 2013-01-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ontroller driven oam for openflow
KR20130008072A (ko) * 2010-11-22 2013-01-21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통신 시스템, 통신 디바이스, 컨트롤러, 및 패킷 플로우의 포워딩 경로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8072A (ko) * 2010-11-22 2013-01-21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통신 시스템, 통신 디바이스, 컨트롤러, 및 패킷 플로우의 포워딩 경로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WO2013008134A2 (en) * 2011-07-08 2013-01-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ontroller driven oam for openflow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iamak Azodolmolky et al. "Integrated OpenFlow-GMPLS Control Plane: An Overlay Model for Software Defined Packet over Optical Networks", ECOC 2011 (2011.09.18) *
Siamak Azodolmolky et al. "Integrated OpenFlow-GMPLS Control Plane: An Overlay Model for Software Defined Packet over Optical Networks", ECOC 2011 (2011.09.1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398A (ko)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25396B (zh) 实现专网与公网对讲机通信的方法、***及集群云基站
CN105451214B (zh) 卡应用访问方法和装置
CN112422758B (zh) 一种lte蜂窝移动网络通信方法
CN110650168B (zh) 一种通信方法及其装置
US2018005485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N109246688A (zh) 设备接入方法、设备及***
WO2016161832A1 (zh) 一种通过托管sim卡实现移动通信的***及相应的方法
CA2972455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local services and applications to multi-agency responders
CN103812900A (zh) 一种数据同步方法、装置及***
CN104348627B (zh) 密钥下发方法、对ue进行授权检查的方法及相关设备
CN105636041A (zh) 一种智能设备的连网方法及装置
CN104254129B (zh) 临近业务发现的资源配置方法及装置
JP2023552243A (ja) 利用者識別子を送信する方法と装置
KR20100059344A (ko) 이동단말과 인터넷전화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CN101682523A (zh) 在通信***中的对等组呼叫支持
KR101525047B1 (ko) 오픈플로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CN104272779A (zh) 更新签约信息
CN105208679A (zh) 实现无线网络互通的设备及方法
EP3731565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redirecting network, access network device, and mobile management device
WO2013105809A1 (ko) 통신 시스템 및 그 통신 시스템에서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CN116527733A (zh) 用户终端的差异化控制方法及装置、设备及存储
CN105791456B (zh) 实现电路域和分组域之间移动终端寻址的装置、***和方法
WO2016119633A1 (zh) 虚拟移动租户网络的接入方法及装置
CN112996137A (zh) 一种在多操作***终端上建立数据连接的方法
KR20180052461A (ko) 네트워크 변경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