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602B1 -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표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표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602B1
KR101524602B1 KR1020080136495A KR20080136495A KR101524602B1 KR 101524602 B1 KR101524602 B1 KR 101524602B1 KR 1020080136495 A KR1020080136495 A KR 1020080136495A KR 20080136495 A KR20080136495 A KR 20080136495A KR 101524602 B1 KR101524602 B1 KR 101524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unit
sub
display unit
mai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6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8279A (ko
Inventor
서정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6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602B1/ko
Priority to US12/647,662 priority patent/US8494578B2/en
Publication of KR20100078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8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발명은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표시 방법에 있어서, 메인 제어부가 이벤트를 감지하면, 스위치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메인 제어부와 표시부가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메인 제어부가 상기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 서브 제어부로부터 컨트롤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표시부와 상기 서브 제어부를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듀얼 스탠바이, 디스플레이, 스위치, 대기 모드

Description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표시 방법 및 장치 {Method for display of dual standby por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듀얼 스탠바이(Dual standby) 휴대단말기의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에서 두 개의 제어부가 스위치(switch)하면서 화면을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어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적어도 두 개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들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듀얼 모드(dual mode) 휴대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듀얼 모드 휴대단말기는 무선통신 네트워크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개별적으로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듀얼 모드 휴대단말기에서는 적어도 두 개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들을 이용하기 위한 모드 전환이 용이하지 않다.
이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들에 동시 접속할 수 있는 듀얼 스탠바이(dual standby) 휴대단말기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는 적어도 두 개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들에 동시 접속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모듈들을 구비한다. 그리고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는 통신 모듈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통화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는 무선통신 네트워크들을 이용하기 위한 모드 전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는 두 개의 제어부 중 하나의 제어부 즉, 메인(main) 제어부가 화면을 제어하고, 나머지 하나의 제어부 즉, 서브(Sub) 제어부가 심(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관리 및 통화에 관한 제어를 한다. 이 때,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는 두 개의 제어부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메인 제어부로 한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서브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듀얼 포트 램(Dual Port Random Access Memory, DPRAM)을 이용하여 메인 제어부에 데이터를 전송한 후 메인 제어부에서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서브 제어부에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듀얼 포트 램이 필요하게 되어 비용이 상승하고, 이러한 경우 메인/서브 제어부 모두 대기 모드로 진입하지 못하기 때문에 전류 소모가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치(switch)기능을 통해 두 개의 제어부가 모두 화면을 제어할 수 있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의 제어부 중 하나의 제어부가 화면을 제어하는 동안 나머지 제어부는 대기 모드를 유지할 수 있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표시 방법에 있어서, 메인 제어부가 이벤트를 감지하면, 스위치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메인 제어부와 표시부가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메인 제어부가 상기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 서브 제어부로부터 컨트롤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표시부와 상기 서브 제어부를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표시부의 연결을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연결을 전환하는 스위치부; 컨트롤 정보를 메인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표시부와 연결되면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서브 제어부; 상기 서브 제어부로부터 상기 컨트롤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표시부의 연결을 상기 서브 제어부로 전환하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스위치부에 전송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브 제어부는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이벤트의 발생에 따른 컨트롤 정보만 메인 제어부에 전송하면 되므로 소량의 듀얼 포트 램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에서 두 개의 제어부 중 하나의 제어부가 화면을 제어하는 동안 나머지 제어부는 대기 모드를 유지함으로서 전류 소모를 감소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휴대단말기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및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을 비롯한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다수개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들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두 개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들에 동시 접속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고 그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휴대단말기가 두 개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동시 접속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가 세 개 이상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들에 동시 접속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이벤트'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등과 같이 휴대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컨트롤 정보'는 서브 제어부가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부와 연결을 메인 제어부에 요청하는 정보이다. 즉, 메인 제어부는 서브 제어부로부터 컨트롤 정보가 전송되면, 스위치부에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 때, 상기 제어 신호는 표시부의 연결을 전환하기 위한 신호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 정보는 듀얼 포트 램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인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휴대단말기(10), 제1기지국(20) 및 제2기지국(30)으로 구성된다. 이 때, 제1기지국(20)은 제1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며, 제2기지국(30)은 제2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한다. 여기서, 제1기지국(20)은 제1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이벤트에 대한 신호를 휴대단말기(10)에 전송할 수 있고, 제2기지국(30)은 제2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이벤트에 대한 신호를 휴대단말기(10)에 전송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10)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로서, 적어도 두 개의 무선통 신 네트워크들에 동시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CDMA, GSM 및 WCDMA 등을 비롯한 다수개의 통신 방식 중에서 선택되는 두 개의 통신 방식에 따른 서로 다른 무선통신 네트워크 혹은 상기 다수개의 통신 방식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두 개의 네트워크들에 동시 접속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10)는 대기 모드에서 제1기지국(20) 및 제2기지국(30)으로부터 이벤트 발생에 대한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휴대단말기(10)는 제1기지국(20) 혹은 제2기지국(30)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을 통해 제1무선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무선통신 네트워크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10)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등과 같은 이벤트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10)는 상기 무선통신 네트워크들을 통해 이벤트가 수신되면, 화면을 제어하여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휴대단말기(10)는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하여 메인 제어부와 표시부를 연결하거나, 서브 제어부와 표시부를 연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10)는 메인 제어부(200), 제1무선통신부(210), 서브 제어부(220), 제2무선통신부(230), 스위치부(240), 표시부(250), 제1 SIM(260), 제1저장부(270), 제2 SIM(280), 제2저장부(290) 및 듀얼 포트 램(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무선통신부(210)는 제1무선통신 네트워크의 무선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송신 주파수로 신호를 송신하고, 제1무선통신 네트워크의 무선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수신 주파수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한다. 이러한 제1무선통신부(2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송신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메인 제어부(200)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 때, 데이터 처리부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00)는 대기 모드에서 제1무선통신부(210)를 통해 제1무선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제1기지국(20)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한다. 이 때, 메인 제어부(200)는 이벤트가 수신되면,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부(250)에 표시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00)는 서브 제어부(220)로부터 표시부와 연결을 요청하는 컨트롤 정보가 전송되면, 스위치부(240)에 화면 제어 전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메인 제어부(200)는 듀얼 포트 램(300)을 통해 컨트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무선통신부(230)는 제2기지국(30)과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2무선통신부(230)는 제2기지국(30)을 통해 제2무선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이 때 제2무선통신부(230)의 기본 구성은 제1무선통신부(210)의 대응하는 구성과 각각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서브 제어부(220)는 메인 제어부(200)와 대응하는 기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서브 제어부(220)는 대기 모드에서 제2무선통신부(230)를 통해 제2무선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제2기지국(30)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한다. 이 때, 서브 제어부(220)는 이벤트가 수신되면,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부와 연결을 요청하는 컨트롤 정보를 메인 제어부(200)에 전송한다. 이 후, 서브 제어부(220)는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부(250)에 표시할 수 있다.
스위치부(240)는 메인 제어부(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메인 제어부(200)와 표시부(250)의 연결을 종료하고, 서브 제어부(220)와 표시부(250)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스위치부(240)는 서브 제어부(220)가 표시부(250)를 제어 중에 메인 제어부(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서브 제어부(220)와 표시부(250)의 연결을 종료하고, 메인 제어부(200)와 표시부(250)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스위치부(240)는 메인 제어부(200)와 서브 제어부(220)가 모두 대기 모드일 경우에 메인 제어부(200)와 표시부(250)가 연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표시부(250)는 휴대단말기(10)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동작상태, 동작결과 및 다수의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250)는 휴대단말기(10)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2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250)는 메인 제어부(200) 혹은 서브 제어부(2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250)는 메인 제어부(200) 혹은 서브 제어부(220)부터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전송 받아 표시한다.
제1 SIM(260) 및 제2 SIM(280)은 듀얼 스탠바이 모드를 지원하는 스마트(Smart) 카드이다. 이 때, 제1 SIM(260) 및 제2 SIM(280)은 ICC(IC card)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제어부(200)가 CDMA 또는 GSM을 지원하며, 서브 제어부(220)가 GSM을 지원한다고 가정한 경우, 사용자가 GSM-GSM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10)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1 및 제2 SIM(260, 280)을 GSM용 SIM으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SIM(260, 280)은 서비스 식별자를 내장하고, 해당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해당 사업자 망으로의 연결을 위한 인증, 암호화, 암호화를 위한 터널링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제1 SIM(260) 및 제2 SIM(280)은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카드 접속부(미도시)에 각각 삽입되어, 메인 제어부(200) 및 서브 제어부(220)에 의해 제어된다. 즉, 제1 SIM(260) 및 제2 SIM(280)은 카드 접속부를 통해 각각 메인 제어부(200) 및 서브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입/출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카드 접속부는 제1 SIM(260) 및 제2 SIM(280)이 삽입되는 슬롯(slot)을 구비하여 제1 SIM(260) 및 제2 SIM(280)의 장착과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휴대단말기(10)가 적 어도 두 개의 통신 방식에 접속할 수 있는 하나의 심을 구비한 경우, 카드 접속부는 하나의 슬롯을 구비한다.
제1저장부(270) 및 제2저장부(29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제1저장부(270) 및 제2저장부(290)는 각각 제1무선통신 네트워크와 제2무선통신 네트워크 접속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제1저장부(270) 및 제2저장부(290)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저장부(270) 및 제2저장부(290)는 메인 제어부(200)와 서브 제어부(220)에 의해 각각 제어될 수 있다.
듀얼 포트 램(300)은 휴대단말기(1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의 읽기 및 쓰기가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브 제어부(220)는 듀얼 포트 램(300)에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해 표시부(250)와 연결을 요청하는 컨트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200)는 듀얼 포트 램(300)을 통해 컨트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제어부(200)와 서브 제어부(220)는 S301단계에서 각각 대기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메인 제어부(200)는 제1무선통신부(210)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고, 서브 제어부(220)는 제2무선통신부(230)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00)는 S303단계에서 대기 모드 중에 이벤트 발생에 따른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감지되는 이벤트는 제1무선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이벤트가 될 수 있다. 한편, 서브 제어부(220)가 이벤트를 감지한 경우, 감지되는 이벤트는 제2무선통신부(230)를 통해 수신되는 이벤트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등과 같이 휴대단말기(10)의 표시부(250)에 표시될 수 있는 서비스가 될 수 있다.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면, 메인 제어부(200)는 S305단계에서 이벤트를 분석할 수 있다. 이 때, 메인 제어부(200)는 S307단계에서 상기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부(250)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제어부(200)는 메인 제어부(200)와 서브 제어부(220)가 모두 대기 모드일 경우, 스위치부(240)를 통해 표시부(250)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메인 제어부(200)는 S309단계에서 감지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부(25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서브 제어부(220)에 위해 이벤트가 감지되면, 서브 제어부(220)는 상기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부(250)에 표시하기 위하여 메인 제어부(200)에 컨트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 정보는 서브 제어부가 표시부(250)와 연결을 요청하는 정보이다. 이 후, 서브 제어부(220)는 메인 제어부(200)로부터 표시부(250)와 연결이 되었음을 통지 받을 수 있다. 그러면, 서브 제어부(220)는 감지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부(25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메인 제어 부에 의해 표시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메인 제어부(200)와 서브 제어부(220)는 대기 모드 상태이다(S401, S403). 이 때, 메인 제어부(200)는 이벤트 발생에 따른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등과 같이 휴대단말기(10)의 표시부(250)에 표시될 수 있는 서비스가 포함될 수 있다.
제1무선통신부(210)를 통해 이벤트가 수신되면, 메인 제어부(200)는 S405단계에서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부(250)에 전송한다. 이 때, 메인 제어부(200)는 표시부(250)를 제어하여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250)는 메인 제어부(200)와 서브 제어부(220)가 모두 대기 모드일 경우에 메인 제어부(200)와 연결되어 있다.
메인 제어부(200)는 S407단계에서 표시부(250) 제어 중에 서브 제어부(220)로부터 컨트롤 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 정보는 서브 제어부(220)가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하여 메인 제어부에 표시부(250) 연결을 요청하는 정보로서, 듀얼 포트 램(300)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 후, 메인 제어부(200)는 S409단계에서 스위치부(24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 때, 제어 신호는 메인 제어부(200)와 연결되어 있는 표시부(250)를 서브 제어부(220)와 연결하기 위한 화면 제어 전환 신호가 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제어 전환 신호가 전송되면, 스위치부(240)는 메인 제어부(200)와 표시부(250)의 연결을 종료하고, 서브 제어부(220)와 표시부(250)를 연결한다.
서브 제어부(220)와 표시부(250)가 연결되면, 메인 제어부(200)는 S411단계에서 서브 제어부(220)에 연결 확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연결 확인 신호는 메인 제어부(200)가 스위치부(240)를 제어하여 변화되는 서브 제어부(220)와 표시부(250)의 연결 상태를 서브 제어부(220)에 통지하는 신호이다. 이 후, 서브 제어부(220)는 S413단계에서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부(250)에 전송한다. 여기서, 서브 제어부(220)는 표시부(250)를 제어하여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한다. 그런 다음, 메인 제어부(200)는 S415단계에서 서브 제어부(220)에 의해 감지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표시되는 동안 대기 모드를 유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서브 제어부에 의해 표시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메인 제어부(200)와 서브 제어부(220)는 대기 모드 상태이다(S501, S503). 이 때, 서브 제어부(200)는 이벤트 발생에 따른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등과 같이 휴대단말기(10)의 표시부(250)에 표시될 수 있는 서비스가 포함될 수 있다.
제2무선통신부(230)를 통해 이벤트가 수신되면, 서브 제어부(220)는 S505단계에서 컨트롤 정보를 메인 제어부(2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 정보는 서브 제어부(220)가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화면을 표시하기 위하여 메인 제어부에 표시부(250) 연결을 요청하는 정보로서, 듀얼 포트 램(300)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00)는 컨트롤 정보가 수신되면, S507단계에서 스위치부(24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 때, 제어 신호는 메인 제어부(200)와 연결되어 있는 표시부(250)를 서브 제어부(220)와 연결하기 위한 화면 제어 전환 신호가 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제어 전환 신호가 전송되면, 스위치부(240)는 메인 제어부(200)와 표시부(250)의 연결을 종료하고, 서브 제어부(220)와 표시부(250)를 연결한다. 본 발명에서 표시부(250)는 메인 제어부(200)와 서브 제어부(220)가 모두 대기 모드일 경우에 메인 제어부(200)와 연결되어 있다.
서브 제어부(220)와 표시부(250)가 연결되면, 메인 제어부(200)는 S509단계에서 서브 제어부(220)에 연결 확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연결 확인 신호는 메인 제어부(200)가 스위치부(240)를 제어하여 변화되는 서브 제어부(220)와 표시부(250)의 연결 상태를 서브 제어부(220)에 통지하는 신호이다. 이 후, 서브 제어부(220)는 S511단계에서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부(250)에 전송한다. 여기서, 서브 제어부(220)는 표시부(250)를 제어하여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한다.
그런 다음, 메인 제어부(200)는 서브 제어부(220)에 의해 표시부(250)가 제어되고 있는 중에 제1무선통신부(210)를 통해 이벤트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메인 제어부(200)는 S513단계에서 스위치부(24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 때, 제어 신호에는 서브 제어부(220)와 연결되어 있는 표시부(250)를 메인 제어부(200)와 연결하기 위한 화면 제어 전환 신호가 포함된다. 여기서, 화면 제어 전환 신호가 전송되면, 스위치부(240)는 서브 제어부(220)와 표시부(250)의 연결을 종료하고, 메인 제어부(200)와 표시부(250)를 연결한다.
제어 신호가 전송되면, 메인 제어부(200)는 S515단계에서 서브 제어부(220)에 연결 종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종료 신호는 메인 제어부(200)가 스위치부(240)를 제어하여 변화되는 서브 제어부(220)와 표시부(250)의 연결 종료 상태를 서브 제어부(220)에 통지하는 신호이다.
메인 제어부(200)는 S517단계에서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부(250)에 전송한다. 이 때, 메인 제어부(200)는 표시부(250)를 제어하여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한다. 그런 다음, 서브 제어부(220)는 S519단계에서 메인 제어부(200)에 의해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표시되는 동안 대기 모드를 유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메인 제어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메인 제어부(200)는 S601단계에서 대기 모드 상태이고, 대기 모드 상태에서 표시부(250)는 메인 제어부(200)와 연결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메인 제어부(200)는 S603단계에서 제1무선통신부(210)를 통해 이벤트 발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벤트가 수신되면, 메인 제어부(200)는 S605단계에서 수신되는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부(25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메인 제어부(200)는 스위치부(240)를 통해 표시부(250)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메인 제어부(200)는 대기 모드를 유지한다.
메인 제어부(200)는 S607단계에서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중에 서브 제어부(220)로부터 수신되는 컨트롤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 정보는 서브 제어부(220)가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하여 메인 제어부에 표시부(250) 연결을 요청하는 정보로서, 듀얼 포트 램(300)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컨트롤 정보가 수신되면, 메인 제어부(200)는 S608단계에서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 표시를 종료한다. 한편, 컨트롤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메인 제어부(200)는 수신되는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계속 표시한다.
메인 제어부(200)는 S609단계에서 표시부(250)의 연결 경로 전환할 수 있다. 이 때, 메인 제어부(200)는 스위치부(240)에 연결 경로 전환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스위치부(240)는 메인 제어부(200)와 표시부(250)의 연결을 종료하고, 서브 제어부(220)와 표시부(250)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제어부(200)는 서브 제어부(220)에 표시부(250)와 연결되었음을 통지하는 확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00)는 S611단계에서 표시부(250)와 연결 경로가 전환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제어부(200)는 서브 제어부(220)와 표시부(250)가 연결된 경우 S613단계에서 대기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연결 경로가 전환되지 않으면, 메인 제어부(200)는 스위치부(240)에 연결 경로 전환을 요청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서브 제어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브 제어부(220)는 S701단계에서 대기 모드 상태이고, 대기 모드 상태에서 표시부(250)는 메인 제어부(200)와 연결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서브 제어부(220)는 S703단계에서 제2무선통신부(220)를 통해 이벤트 발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벤트가 수신되면, 서브 제어부(220)는 S705단계에서 컨트롤 정보를 메인 제어부(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컨트롤 정보는 서브 제어부(220)가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하여 메인 제어부(200)에 표시부(250) 연결을 요청하는 정보로서, 듀얼 포트 램(300)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서브 제어부(220)는 S707단계에서 표시부(250)와 연결 경로를 확인한다. 이 때, 표시부(250)와 연결 경로가 설정되어 있으면, 서브 제어부(220)는 S709단계에서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부(25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제어부(220)는 메인 제어부(200)로부터 연결 확인 신호가 감지되는지 판단하여 표시부(250)와 연결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250)와 연결이 되어 있지 않으면, 서브 제어부(220)는 메인 제어부(200)에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컨트롤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서브 제어부(220)는 S711단계에서 표시부(250)와 연결 경로가 전환되었는지 확인다. 이 때, 연결이 전환되면, 서브 제어부(220)는 S713단계에서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 표시를 종료한다. 한편, 연결이 전환되지 않으면, 서브 제어부(220)는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화면에 계속 표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서브 제어부(220)는 표시부(250)와 연결이 종료되면, S715단계에서 대기 모드를 유 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표시부(250)는 서브 제어부(220)에 의해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표시가 종료되면, 대기 모드로 진입하고 자동으로 메인 제어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인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메인 제어부에 의해 표시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서브 제어부에 의해 표시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메인 제어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서브 제어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Claims (17)

  1.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표시 방법에 있어서,
    메인 제어부가 제1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이벤트를 수신하면, 스위치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메인 제어부와 표시부가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메인 제어부가 상기 제1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
    서브 제어부가 제2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이벤트를 수신하면, 상기 서브 제어부가 상기 표시부와 연결을 요청하는 컨트롤 정보를 상기 메인 제어부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 제어부로부터 상기 컨트롤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메인 제어부가 상기 표시부와 상기 서브 제어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부와 상기 서브 제어부가 연결되면, 상기 서브 제어부가 상기 제2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표시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하는 과정은
    상기 스위치부에 상기 표시부와 연결을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표시부와 상기 서브 제어부의 연결 확인 신호를 상기 서브 제어부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표시 방법.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확인 신호는
    상기 메인 제어부가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변화되는 상기 서브 제어부와 상기 표시부의 연결 상태를 상기 서브 제어부에 통지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표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와 연결이 상기 서브 제어부로 전환되면, 대기 모드로 진입하 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표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메인 제어부로부터 연결 종료 신호가 전송되면, 대기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표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종료 신호는
    상기 메인 제어부가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변화되는 상기 서브 제어부와 상기 표시부의 연결 종료 상태를 상기 서브 제어부에 통지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표시 방법.
  10.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표시부의 연결을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연결을 전환하는 스위치부;
    제1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이벤트를 수신하는 메인 제어부; 및
    제2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이벤트를 수신하는 서브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제2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이벤트가 수신되면 상기 표시부와 연결을 요청하는 컨트롤 정보를 상기 메인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표시부와 연결되면 상기 제2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제1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이벤트가 수신되면 상기 스위치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표시부와 상기 메인 제어부가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서브 제어부로부터 상기 컨트롤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표시부의 연결을 상기 서브 제어부로 전환하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스위치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표시부와 상기 서브 제어부의 연결 확인 신호를 상기 서브 제어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확인 신호는
    상기 메인 제어부가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변화되는 상기 서브 제어부와 상기 표시부의 연결을 상기 서브 제어부에 통지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와 연결이 상기 서브 제어부로 전환되면, 대기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메인 제어부로부터 연결 종료 신호가 전송되면, 대기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종료 신호는
    상기 메인 제어부가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변화되는 상기 서브 제어부와 상기 표시부의 연결 종료 상태를 상기 서브 제어부에 통지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
KR1020080136495A 2008-12-30 2008-12-30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524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495A KR101524602B1 (ko) 2008-12-30 2008-12-30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표시 방법 및 장치
US12/647,662 US8494578B2 (en) 2008-12-30 2009-12-28 Method for display of dual standby por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495A KR101524602B1 (ko) 2008-12-30 2008-12-30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표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279A KR20100078279A (ko) 2010-07-08
KR101524602B1 true KR101524602B1 (ko) 2015-06-01

Family

ID=42285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6495A KR101524602B1 (ko) 2008-12-30 2008-12-30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표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94578B2 (ko)
KR (1) KR1015246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834B1 (ko) * 2010-06-22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통신 데이터 송신 및 통신 리스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CN101895845B (zh) * 2010-07-15 2014-09-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码分多址单模双待终端调度短消息的方法及装置
KR20120055872A (ko) * 2010-11-24 2012-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EP2472960A1 (en) * 2010-12-30 2012-07-04 ST-Ericsson SA Resources control in a multi sim terminal
KR102175103B1 (ko) 2014-02-21 2020-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구동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245A (ko) * 2001-03-16 2003-12-06 쥐씨브이1 인코포레이티드 신규한 개인용 전자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9697B2 (en) * 2000-07-14 2008-03-25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terminal, subscriber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mobile network system, location area information registration method and call control method
KR100437087B1 (ko) * 2001-10-29 2004-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동작 제어방법
TW549000B (en) * 2001-12-27 2003-08-21 Quanta Comp Inc System and method for a mobile station to avoid paging loss in multiple mobile networks
FR2841071B1 (fr) * 2002-06-13 2004-12-10 Cit Alcatel Procede de mise a disposition dynamique d'un terminal raccorde a un reseau de communications public, de services offerts par un reseau de communications prive
KR100464368B1 (ko) * 2003-01-06 2005-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의 디바이스가 독립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복합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독립 동작 방법
US20050160069A1 (en) * 2003-12-30 2005-07-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a file for a sub-memory in a wireless terminal
EP1603353B8 (en) * 2004-06-03 2009-08-05 Optio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simultaneous connections of a mobile telecommunications device to different networks
KR100693039B1 (ko) * 2004-10-01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912497B2 (en) * 2005-03-25 2011-03-22 Isidore Eustace P Sing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multiple, concurrent subscriber number capability
DE602005014198D1 (de) * 2005-03-29 2009-06-10 Sony Ericsson Mobile Comm Ab Verfahren zur gemeinsamen Benutzung von Information zwischen tragbaren Kommunikationsendgeräten und Kommunikationsendgerät dafür
US7725609B2 (en) * 2005-08-05 2010-05-25 Qimonda Ag System memory device having a dual port
US20070105531A1 (en) * 2005-11-04 2007-05-10 Ascenna Mobile, Inc. Dynamic Processing of Virtual Identities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KR101275752B1 (ko) * 2005-12-06 2013-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부팅 방법
US20070140255A1 (en) * 2005-12-21 2007-06-21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across different wireless technologies using a multimode mobile device
US20080020773A1 (en) * 2006-07-21 2008-01-24 Motorola,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the call routing for multiple services each respectively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one of multiple sets of stored subscriber identity information
US20080020765A1 (en) * 2006-07-21 2008-01-24 Motorola,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between multiple sets of stored subscriber identity information
US20080102874A1 (en) * 2006-10-28 2008-05-01 Motorola, Inc. Control of transmit power of a second transmitter based on antenna loading parameters measured on a first transmitter
US7899489B2 (en) * 2006-10-30 2011-03-01 Kyocera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WI386012B (zh) * 2007-06-20 2013-02-11 Inventec Appliances Corp Gsm與cdma雙模手機控制雙gsm用戶識別模組之方法
TWI352909B (en) * 2007-09-05 2011-11-21 Htc Corp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network sharing a
KR20090025067A (ko) * 2007-09-05 2009-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디지털기기
KR101505683B1 (ko) * 2008-09-17 2015-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와 그 식별모듈 전환방법
KR101635640B1 (ko) * 2008-12-11 2016-07-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245A (ko) * 2001-03-16 2003-12-06 쥐씨브이1 인코포레이티드 신규한 개인용 전자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279A (ko) 2010-07-08
US8494578B2 (en) 2013-07-23
US20100167781A1 (en)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0297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multi-mode portable terminal
CN110677900B (zh) 寻呼处理方法及相关装置
EP1689199A1 (en) SIM card sharing method in a mobile station
KR101524602B1 (ko)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표시 방법 및 장치
US827103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30220121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for notifying incommunicable state, and device and method used for the system
US8862078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standby mode in a communication terminal
EP2765483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shutdown of terminal
CN101584178A (zh) 具有带近场通信接口和第二接口两个接口的eeprom的设备
JPH10174161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装置
KR20100098797A (ko)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장치 및 방법
CN111031150A (zh) 终端及终端的通信方法
US8270970B1 (en) Network listening method of a mobile phone
KR10158125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연결 기기의 음량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3731809A (zh) 数据发送方法、接收方法及设备
KR101605887B1 (ko) 무선 주파수 인식 기술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1050377B (zh) 一种移动终端共享网络连接的方法及移动终端
CN104901716A (zh) 一种可在脱网条件下进行端对端通信的移动终端及方法
KR101262693B1 (ko) 듀얼와이파이칩을 이용하여 최적의 와이파이경로를 찾아 스위칭하는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1589402A (zh) 读写装置和使用该读写装置的认证***
US2007028741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iscount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11223392B2 (en) Radio module configurations for antennas
JP4780036B2 (ja) 無線中継装置
CN103647874A (zh) 一种短信双卡双待识别***及方法
CN202795335U (zh) 电调天线设备、控制器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