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894B1 - 지식 유닛에 기초하여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지식 유닛에 기초하여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894B1
KR101515894B1 KR1020130018316A KR20130018316A KR101515894B1 KR 101515894 B1 KR101515894 B1 KR 101515894B1 KR 1020130018316 A KR1020130018316 A KR 1020130018316A KR 20130018316 A KR20130018316 A KR 20130018316A KR 101515894 B1 KR101515894 B1 KR 101515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wledge
unit
user
knowledge unit
curricul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8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5691A (ko
Inventor
김용재
김서준
신종호
조승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리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리코리아
Publication of KR20130095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Abstract

본 발명은 지식 유닛에 기초하여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지식 유닛에 기초하여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지식 유닛에 관한 사용자의 성취도에 기초하여 커리큘럼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커리큘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식 유닛에 기초하여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포함함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지식 유닛에 기초하여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EDUCATIONAL SERVICES BASED ON KNOWLEDGE UNITS}
본 발명은 지식 유닛에 기초하여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다양한 교육 서비스가 온라인이나 오프라인 상에서 제공되어 왔다. 이러한 교육 서비스는, 많은 경우, 디지털 기기의 사용자에게 교육용 컨텐츠를 전산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술과 결부된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교육 서비스는 정형화되어 있고 관습적인 교육용 컨텐츠, 예를 들면, 문제, 정답(correct answer), 전체적인 풀이 설명 등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에만 초점을 맞추어 왔고,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 전산적인 기술이나 아이디어는 보조적인 도구에 불과하였다.
본 발명자(들)는, 종래 기술의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을 다년간 개발하여 왔고, 그 구성상의 특징과 효과상의 특징을 한국특허출원 제2009-36153호를 통하여 개시한 바 있다(상기 한국특허출원의 명세서는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편입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자(들)는 이제, 본 명세서를 통하여, 종래 기술의 위와 같은 문제점을 보다 더 혁신적으로 개선하는, 지식 유닛에 기초하여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하여 제안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식 유닛에 기초하여 새로운 형태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성취가 부족한 부분의 지식 유닛을 찾아서 사용자가 이러한 지식 유닛에 관하여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지식 유닛을 지식 체인이나 매트릭스의 형태로 구조화하여 이들을 이롭게 이용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지식 유닛에 기초하여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지식 유닛에 관한 사용자의 성취도에 기초하여 커리큘럼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커리큘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식 유닛에 기초하여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포함함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식 유닛에 기초하여 새로운 형태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성취가 부족한 부분의 지식 유닛을 찾아서 사용자가 이러한 지식 유닛에 관하여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지식 유닛을 지식 체인이나 매트릭스의 형태로 구조화하여 이들을 이롭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지식 유닛과 지식 체인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 사용자를 위하여 커리큘럼을 최적화(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c는 커리큘럼 최적화를 위하여 파악한, 특정 사용자의 예시적인 지식 유닛별 성취도 매트릭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l은 수학 과목이나 과학 과목의 예시적인 지식 체인과 그에 대응되는 지식 유닛, 문제, 문제 풀이 단계마다의 설명 등을 텍스트로 정리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성취도 매트릭스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본 명세서에서, 컨텐츠(contents) 또는 컨텐트란, 통신망을 통하여 접근 가능한, 문자, 부호, 음성, 음향, 이미지, 동영상 등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정보 또는 개별 정보 요소를 총칭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컨텐츠는, 예를 들면,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링크(예를 들면, 웹 링크) 등의 데이터 또는 이러한 데이터 중 적어도 두 가지의 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과 같은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통신망(100)은 공지의 인터넷 또는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 그러나, 통신망(100)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통신망(10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문제, 정답, 문제 풀이 단계마다의 문항(즉, 소문항), 문제 풀이 단계마다의 정답(즉, 소문항의 정답), 문제 풀이 단계마다의 설명, 문제 풀이 단계마다의 힌트, 문제 풀이에 이용될 수 있는 지식 유닛(후술됨)에 관한 컨텐츠 등의 교육용 컨텐츠를 제공하고, 필요한 경우, 이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장치(300) 상에서의 피드백(예를 들면, 사용자의 문제에 대한 답, 사용자의 문제 풀이 단계마다의 답 등)을 수령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웹 상에서의 교육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운영되는 웹 사이트의 운영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으로부터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다운로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구성과 기능에 관하여는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서 채택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사용자가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으로부터 컨텐츠를 제공 받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웹 브라우져(미도시됨) 프로그램이나 전술한 바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사용자를 위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지식 유닛과 지식 체인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하여 살펴보기 전에, 본 발명의 특유한 개념인 지식 유닛과 지식 체인에 관하여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알아보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지식 유닛과 지식 체인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별 문제는 그 문제를 풀기 위하여 요구되는 지식의 모듈인 지식 유닛을 근간으로 하여 구성된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넓이가 1250제곱센티미터이고 둘레의 길이가 125센티미터인 피자의 반지름의 길이를 구하시오."라는 문제의 경우, 지식 유닛은, 도 2a의 첫 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자는 원형이다"와 같은 해석적인(interpretative) 지식 유닛일 수도 있고, "원형의 넓이 = 1/2 x 원형의 반지름 x 원형의 둘레의 길이"와 같은 공식적인(formulaic) 지식 유닛일 수도 있으며, "등식의 양변 중 어느 하나의 변에 분모인 수가 있는 경우, 상기의 수를 양변에 곱한다"나 "등식에서 미지수와 어떤 상수가 곱하여져 있는 경우, 등식의 양변을 상기 상수로 나눈다"와 같은 계산적인(computational) 지식 유닛일 수도 있다.
도 2a의 두 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지식 유닛은 적어도 하나가, 문제의 구체적인 유형과 유사한 개념의 것일 수 있는 하나의 지식 체인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지식 체인은 실제로는 그것을 이루는 지식 유닛의 식별 정보를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정보의 덩어리(chunk)일 수 있다.
그리고, 도 2a의 세 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지식 유닛은 하나의 지식 체인만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지만, 대개는 다수의 다양한 지식 체인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지식 유닛들은 함께 하나의 지식 체인을 이룰 수 있는 것들끼리 서로 연관되어, (경우에 따라 입체적인) 매트릭스의 형태로 구조화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지식 유닛의 예를 좀 더 들어 보기로 한다.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미 수식화되어 있는 문제의 경우, 해당 지식 유닛은 "등식의 양변에서 같은 수를 빼기"(1->2), "일원 이차 삼항식의 인수분해"(2->3), "곱의 값이 0이면 곱셈의 인수 중 적어도 하나는 0임"(3->4)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는, 지식 유닛에 대한 이해를 더 돕기 위하여, 이차 방정식의 인수분해에 관한 지식 유닛의 실제의 프로그래밍 코드의 예도 도 2c를 통하여 도시하는 바이다.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과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커리큘럼 생성부(210), 지식 제공부(220), 사용자 지식 분석부(230), 데이터베이스(240), 통신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리큘럼 생성부(210), 지식 제공부(220), 사용자 지식 분석부(230), 데이터베이스(240), 통신부(250) 및 제어부(26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 단말 장치(300)와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리큘럼 생성부(21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부터 사용자의 기본적인 프로파일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사용자의 학년, 학습 과목, 학습 단원 등에 관한 정보)를 수령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은 지식 분석에 의하여 파악될 수 있는 사용자의 지식 유닛별 성취도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커리큘럼 생성부(210)는 사용자를 위한 커리큘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커리큘럼은 적어도 하나의 지식 유닛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는 문제(이러한 문제에는 해당 지식 유닛의 식별 정보가 메타데이터의 형태로 부여되어 있을 수 있음)의 집합이나, 특정 지식 체인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는 문제(예를 들면, 특정 유형의 문제)(이러한 문제에는 해당 지식 체인의 식별 정보가 메타데이터의 형태로 부여되어 있을 수 있음)의 집합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리큘럼 생성부(210)는 사용자의 성취도가 높지 않은 지식 유닛에 기초하여 구성되어 있는 문제를,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학년, 학습 과목 또는 학습 단원에 관한 정보와 지식 유닛의 학년 정보, 학습 과목 정보 또는 학습 단원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선택하거나(이를 위하여, 지식 유닛에는 학년 정보, 학습 과목 정보 또는 학습 단원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태깅 등의 방식으로 미리 연관되어 있을 수 있음), 문제 자체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선택하거나(이 경우, 문제 자체의 난이도는, 종래 기술에 따라, 해당 문제에 관하여 다른 사용자들이 획득한 점수의 평균 값 등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것일 수 있음), 문제를 구성하는 지식 유닛의 개수를 고려하여 선택함으로써, 커리큘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커리큘럼 생성부(210)는 사용자를 위하여 생성된 커리큘럼을 이력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식 제공부(220)는 사용자에게 특정 커리큘럼에 따른 문제를 제공하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에게 문제 풀이 단계마다의 문항, 정답, 설명, 힌트 등을 제공하거나 문제 자체의 정답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지식 제공부(220)는 사용자가 문제에 대하여 제공하는 피드백으로서의 문제 풀이 단계마다의 답에 관하여 그것과 연관된 지식 유닛에 관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더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지식 제공부(220)는 사용자에게 문제 A를 제공하면서 사용자가 문제 A의 문제 풀이 단계마다 제공되는 문항(즉, 소문항)을 풀어 보도록 할 수 있다.
먼저, 지식 제공부(220)는 사용자에게 2와 3의 최소 공배수를 묻는 제1 소문항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소문항을 풀어서 그 답을 6이라고 입력하면, 지식 제공부(220)는 이것이 제1 소문항의 정답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식 제공부(220)는 사용자가 "최소 공배수를 구한다"라는 지식 유닛에 관하여 오류를 범하지 않았음을 좌측의 지식 유닛 표시 인터페이스(B)를 통하여 표시하여 줄 수 있다.
다음으로, 지식 제공부(220)는 사용자에게 문제 A의 등식을 보다 풀기 쉬운 등식으로 변환하도록 하는 제2 소문항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소문항을 풀어서 그 답을 3x+4=2라고 입력하면, 지식 제공부(220)는 이것이 제2 소문항의 오답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식 제공부(220)는 사용자가 "등식의 양변에 같은 수를 곱한다"라는 지식 유닛에 관하여 오류를 범하였음을 지식 유닛 표시 인터페이스(B)를 통하여 표시하여 줄 수 있다.
다음으로, 지식 제공부(220)는 사용자에게 제2 소문항의 정답인 등식의 좌변에 미지수가 포함된 항만 남기도록 하는 제3 소문항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3 소문항을 풀어서 그 답을 3x=8이라고 입력하면, 지식 제공부(220)는 이것이 제3 소문항의 정답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식 제공부(220)는 사용자가 "등식의 양변에서 같은 수를 뺀다"라는 지식 유닛에 관하여 오류를 범하지 않았음을 지식 유닛 표시 인터페이스(B)를 통하여 표시하여 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식 제공부(220)는 사용자에게 제3 소문항의 정답인 등식을 최종적으로 계산하도록 하는 제4 소문항(미도시됨)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4 소문항을 풀어서 그 답을 8/3이라고 입력하면, 지식 제공부(220)는 이것이 제4 소문항의 그리고 문제 A의 정답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식 제공부(220)는 사용자가 "등식의 양변에 같은 수를 곱한다"라는 지식 유닛에 관하여 이번에는 오류를 범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표시(미도시됨)를 지식 유닛 표시 인터페이스(B)를 통하여 제공하여 줄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300)가 스마트폰 등이라면, 사용자는 자신의 답을 입력하여야 하는 경우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바일 키(key) 인터페이스(C)를 사용할 수 있다(물론, 이러한 모바일 키 인터페이스(C)는 임의의 공지의 수식 인식(입력) 인터페이스로 대체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지식 분석부(230)는 사용자가 문제나 소문항에 대한 답을 입력하는 경우마다 사용자의 답의 정오에 관한 분석을 수행하여, 해당 문제나 해당 소문항의 각 지식 유닛에 대한 사용자의 성취도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문제에 대하여만 답을 입력하는 경우를 예로서 들어 본다. 사용자가 제1 문제에 대하여 정답을 입력한 경우, 사용자 지식 분석부(230)는 제1 문제를 구성하는 지식 유닛 K1, K2 및 K4의 각각과 상기 사용자에 관하여 한 번 시도에 한 번 성공이라는 의미의 점수(예를 들면, 1/1)를 부여할 수 있다. 그 다음에, 같은 사용자가 지식 유닛 K1, K2, K3, K4 및 K5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제2 문제에 대하여 오답을 입력한 경우, 상기 오답이 사용자의 지식 유닛 K4에 대한 이해 부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지식 분석부(230)는 지식 유닛 K1 및 K2의 각각과 상기 사용자에 관하여 두 번 시도에 두 번 성공이라는 의미의 점수(예를 들면, 2/2)를 부여하고, 지식 유닛 K3와 상기 사용자에 관하여 한 번 시도에 한 번 성공이라는 의미의 점수(예를 들면, 1/1)를 부여하며, 지식 유닛 K4와 상기 사용자에 관하여 두 번 시도에 한 번 성공이라는 의미의 점수(예를 들면, 1/2)를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식 유닛 K5에 관하여는 점수가 부여될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소문항에 대하여 답을 입력하는 경우에 그 소문항에 해당하는 지식 유닛과 상기 사용자에 관하여 소정의 점수가 부여될 수 있음은 예시의 필요 없이 자명하다.
사용자 지식 분석부(230)는, 사용자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유형의 다수의 문제를 풀이함에 따라, 사용자의 해당 지식 유닛에 관한 성취도를 점점 더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커리큘럼 생성부(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효과적인 커리큘럼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 지식 분석부(230)는 사용자가 문제나 소문항에 대하여 입력한 답의 정오에만 기초하지 아니하고, 사용자가 문제나 소문항을 푸는 데에 사용한 시간(예를 들면, 문제가 사용자에게 최초로 표시된 시점부터 정답이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시점 사이의 시간) 및/또는 사용자가 문제나 소문항을 푸는 데에 이용한 힌트의 개수에 따라 사용자의 해당 지식 유닛에 관한 성취도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지식 분석부(230)는 사용자가 문제나 소문항을 푸는 데에 사용한 시간이 길수록, 사용자가 문제나 소문항을 푸는 데에 이용한 힌트가 많을수록, 사용자의 해당 지식 유닛에 관한 성취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결정할 수 있다.
또 한편, 사용자 지식 분석부(230)는 사용자의 특정 지식 유닛에 관한 성취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쇠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그것을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어떤 지식 유닛에 관한 5개의 문제를 풀어서 모두 맞춘 경우에 그의 상기 지식 유닛에 관한 성취도가 일단은 5/5로 될 수 있지만, 이러한 성취도 값은, 사용자 지식 분석부(230)에 의하여, 1년 후의 시점에서는 5/5 x (1 - 0.1 x 1)로 감쇠되어 조정될 수 있다. 사용자 지식 분석부(230)에 의하여 사용되는 이러한 공식은, 예를 들면, 성취도 x (1 - 감쇠 계수 x 상기 성취도의 결정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단위: 년)으로 일반화될 수도 있다. 한편, 위와 같은 공식에서 사용되는 감쇠 계수는 공지의 기억력 감쇠 곡선에 따라 결정되는 것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240)에는, 상당히 많은 수의 지식 유닛(바람직하게는, 상당히 많은 수의 구조화된 지식 유닛), 커리큘럼 생성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상당히 많은 수의 문제, 위와 같은 문제에 관한 소문항, 각 문제나 각 소문항의 정답, 풀이 단계마다의 설명 및 힌트, 각 사용자의 지식 유닛별 성취도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비록 도 3에서 데이터베이스(240)가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40)는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과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베이스(240)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에 기반을 둔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데이터베이스일 수도 있으며, 단순한 로그의 집합이라도 이를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베이스(240)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50)는 커리큘럼 생성부(210), 지식 제공부(220), 사용자 지식 분석부(230) 및 데이터베이스(240)로부터의/로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60)는 커리큘럼 생성부(210), 지식 제공부(220), 사용자 지식 분석부(230), 데이터베이스(240) 및 통신부(25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60)는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외부로부터의/로의 데이터 흐름 또는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커리큘럼 생성부(210), 지식 제공부(220), 사용자 지식 분석부(230), 데이터베이스(240) 및 통신부(25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커리큘럼의 최적화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 사용자를 위하여 커리큘럼을 최적화(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c는 커리큘럼 최적화를 위하여 파악한, 특정 사용자의 예시적인 지식 유닛별 성취도 매트릭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리큘럼 최적화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c에서, 푸른 도형은 사용자의 성취도가 높은 지식 유닛을 의미하고, 노란 도형은 사용자의 성취도가 중간 수준인 지식 유닛을 의미하며, 붉은 도형은 사용자의 성취도가 낮은 지식 유닛을 의미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커리큘럼 최적화의 대상이 되는 학습 과목의 예를 수학으로 정하기로 한다.
커리큘럼의 최적화는 결국, 사용자가 자신의 성취도가 낮거나 중간 수준인 지식 유닛에 관하여 집중적이면서도 단계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학년이나 학습 단원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적절한 학습 대상 문제의 집합을 생성하는 것을 말한다.
도 5a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사용자는 문제 해석, 공식화, 계산 및 답 확인의 네 개의 문제 풀이 단계 중 하나의 단계에 속하는 유닛 A1(즉, 지식 유닛 A1) 내지 유닛 E1에 기초하여 구성되는 제1 문제를 풀어볼 수 있다(참고로, 위와 같은 문제 풀이 단계의 상세한 내용에 관하여는 본 발명자의 한국특허출원 제2009-36153호를 참조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유닛 D1에 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하여 제1 문제의 정답을 맞추는 데에 실패하는 경우, 사용자가 유닛 A1 내지 유닛 C1에 관하여는 잘 이해하고 있지만 유닛 D1에 관하여는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식 유닛별 성취도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 지식 분석부(230)에 의하여 데이터베이스(240)에 실시간으로 반영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유닛 D1을 제외한 나머지 유닛(즉, 유닛 A1 내지 유닛 C1과 유닛 E1)에 기초하여 구성되는 제2 문제를 풀어볼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문제의 정답은 맞추는 경우, 사용자가 유닛 A1 내지 유닛 C1과 유닛 E1에 관하여 잘 이해하고 있다는 지식 유닛별 성취도에 관한 정보가 반영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제1 문제의 정답을 맞춘 후에 더 많은 수의 지식 유닛에 기초하여 구성되는 제3 문제를 풀어볼 수 있고, 그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유닛 D1에 관하여는 중간 정도의 성취도를 유닛 B2에 관하여는 낮은 성취도를 갖는다는 정보가 반영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여러 차례 거치면, 사용자가 낮거나 중간 수준인 성취도를 갖는 지식 유닛이나 그것과 연관되어 있는 학습 단원에 관하여, 커리큘럼 생성부(210)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최적화된 커리큘럼을 생성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현재 중2이고 중3 과정에 관한 선행 학습을 진행하려고 하는 사용자의 지식 유닛별 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그가 여러 가지 문제를 풀어보도록 함으로써, 그에 관하여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식 유닛별 성취도 매트릭스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지식 유닛별 성취도 매트릭스를 살펴보면, 상기 사용자가 중3 과정의 선행 학습을 하기 위하여서는 그 기초라고 볼 수 있는 (즉, 해당 지식 유닛과 연관되어 있는) 지식 유닛 K6, K8 등에 대한 성취도가 낮은 점을 해결하여야 하고, 마찬가지인 지식 유닛 K7 등에 대한 성취도가 중간 수준인 점도 해결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식 유닛별 성취도 매트릭스는, 특정 사용자에 관하여, 커리큘럼 생성부(210)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여러 지식 유닛의 성취도가 공히 낮거나 중간 수준인 경우를 찾아내거나, 이미 학습이 완료된 학년이나 단원의 지식 유닛 중 성취도가 낮거나 중간 수준인 것이 선행 학습에 필요한 지식 유닛과 연관되어 있는 경우를 찾아내는 데에 크게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커리큘럼 생성부(210)는 이러한 지식 유닛별 성취도 매트릭스를 참조하여 최적화된 커리큘럼을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성취도 매트릭스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지식 유닛별 성취도는 입체적인 성취도 매트릭스에서 표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성취도 매트릭스는 사용자가 높은 성취도를 보이는 지식 유닛을 푸른 색의 큰 원으로, 그렇지 않은 지식 유닛을 다른 색의 작은 원으로 표현할 수 있고, 각각의 지식 유닛 사이의 연관 관계도, 그것이 함께 속하는 지식 체인의 수 등에 따라 결정하여, 선의 연결로써 표현할 수 있다.
지식 체인의 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240)에는 상당히 많은 수의 지식 체인(문제 템플릿이라고 칭할 수도 있음)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지식 체인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지식 유닛, 문제(예제), 문제 풀이 단계마다의 설명 등과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l은 수학 과목이나 과학 과목의 예시적인 지식 체인과 그에 대응되는 지식 유닛, 문제, 문제 풀이 단계마다의 설명 등을 텍스트로 정리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l 외에도 데이터베이스(240)를 구축하는 당업자의 노력에 따라 무수한 지식 체인과 그에 대응되는 지식 유닛이 저장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210: 커리큘럼 생성부
220: 지식 제공부
230: 사용자 지식 분석부
240: 데이터베이스
250: 통신부
260: 제어부

Claims (19)

  1. 지식 유닛에 기초하여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 상기 시스템은 커리큘럼 생성부와 지식 제공부를 포함함 - ,
    상기 커리큘럼 생성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식 유닛에 관한 사용자의 성취도에 기초하여 커리큘럼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식 유닛은 해석적인 지식 유닛, 공식적인 지식 유닛 및 계산적인 지식 유닛 중 적어도 한 가지를 포함하고, 상기 커리큘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식 유닛에 기초하여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포함함 - , 및
    상기 지식 제공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식 유닛과 다른 지식 유닛에 의하여 이루어진 지식 체인에 의하여 구성된 것이며,
    상기 지식 체인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식 유닛과 상기 다른 지식 유닛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식 유닛과 상기 다른 지식 유닛의 상기 식별 정보가 메타데이터의 형태로 부여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식 유닛은 또 다른 지식 유닛과 함께 구조화되어 지식 유닛 간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매트릭스를 형성하고,
    상기 연관성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식 유닛과 상기 또 다른 지식 유닛이 함께 다른 지식 체인을 이루는 경우에 포착되는 것인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식 유닛에 관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성취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식 유닛에 기초하여 구성된 다른 문제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가 미리 제공한 피드백에 기초하여 결정된 것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은 상기 다른 문제에 대한 답인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은 상기 다른 문제에 대한 문제 풀이 단계마다의 답 중 하나인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식 유닛에 관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성취도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피드백 제공 시에, 상기 사용자가 사용한 시간이나 이용한 힌트의 개수에 더 기초하여 결정된 것인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식 유닛에 관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성취도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쇠할 수 있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리큘럼은 다수의 문제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문제의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식 유닛에 기초하여 구성된 것인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리큘럼 생성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식 유닛의 학년 정보, 학습 과목 정보 또는 학습 단원 정보를 더 기초로 하여 수행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리큘럼 생성은 문제의 난이도를 더 기초로 하여 수행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리큘럼 생성은 문제를 구성하는 지식 유닛의 개수를 더 기초로 하여 수행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식 유닛을 나타내는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지식 유닛에 기초하여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지식 유닛에 관한 사용자의 성취도에 기초하여 커리큘럼을 생성하는 커리큘럼 생성부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식 유닛은 해석적인 지식 유닛, 공식적인 지식 유닛 및 계산적인 지식 유닛 중 적어도 한 가지를 포함하고, 상기 커리큘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식 유닛에 기초하여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포함함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지식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식 유닛과 다른 지식 유닛에 의하여 이루어진 지식 체인에 의하여 구성된 것이며,
    상기 지식 체인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식 유닛과 상기 다른 지식 유닛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제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식 유닛과 상기 다른 지식 유닛의 상기 식별 정보가 메타데이터의 형태로 부여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식 유닛은 또 다른 지식 유닛과 함께 구조화되어 지식 유닛 간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매트릭스를 형성하고,
    상기 연관성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식 유닛과 상기 또 다른 지식 유닛이 함께 다른 지식 체인을 이루는 경우에 포착되는 것인
    시스템.
  16. 삭제
  17. 삭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식 유닛에 관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성취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식 유닛에 기초하여 구성된 다른 문제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가 미리 제공한 피드백에 기초하여 결정된 것인 시스템.
  19. 제1항 및 제5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018316A 2012-02-20 2013-02-20 지식 유닛에 기초하여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5158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16748 2012-02-20
KR1020120016748 2012-02-2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885A Division KR101665024B1 (ko) 2012-02-20 2014-02-26 지식 유닛에 기초하여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691A KR20130095691A (ko) 2013-08-28
KR101515894B1 true KR101515894B1 (ko) 2015-05-19

Family

ID=4900597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8316A KR101515894B1 (ko) 2012-02-20 2013-02-20 지식 유닛에 기초하여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022885A KR101665024B1 (ko) 2012-02-20 2014-02-26 지식 유닛에 기초하여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885A KR101665024B1 (ko) 2012-02-20 2014-02-26 지식 유닛에 기초하여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20140065590A1 (ko)
EP (1) EP2819089A4 (ko)
JP (3) JP2015510200A (ko)
KR (2) KR101515894B1 (ko)
CN (2) CN109934744B (ko)
CA (1) CA2872860C (ko)
WO (1) WO20131258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9902A1 (ko) 2017-01-26 2018-08-02 주식회사 노리코리아 사칙연산 학습을 지원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14242A1 (en) 2006-10-19 2008-04-23 Sanofi-Aventis Novel anti-CD38 antibodie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SG10201706468RA (en) 2013-02-08 2017-09-28 Novartis Ag Specific sites for modifying antibodies to make immunoconjugates
BR112016020065A2 (pt) 2014-03-12 2018-02-20 Novartis Ag sítios específicos para modificar anticorpos para fazer imunoconjugados
JP6068615B1 (ja) * 2015-09-08 2017-01-25 株式会社Compass 学習支援システム、電子機器、サーバ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794992B2 (ja) * 2015-10-13 2020-12-0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720072B2 (en) * 2016-02-19 2020-07-21 Expii, Inc. Adaptive learning system using automatically-rated problems and pupils
CN106126611A (zh) * 2016-06-21 2016-11-16 成都东方闻道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教学效果的图形展示方法
KR101923564B1 (ko) * 2017-03-13 2019-02-22 비트루브 주식회사 학습을 지원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US20200179511A1 (en) 2017-04-28 2020-06-11 Novartis Ag Bcma-targeting agent, and combination therapy with a gamma secretase inhibitor
WO2019016772A2 (en) 2017-07-21 2019-01-24 Novartis A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ANCER
MX2021001485A (es) 2018-08-10 2021-04-28 Plasma Games Inc Sistema y método para enseñar un plan de estudios como un juego educativo.
KR101976996B1 (ko) * 2018-10-02 2019-05-09 이종윤 지식 공간을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053449A1 (en) 2018-10-31 2023-02-23 Novartis Ag Dc-sign antibody drug conjugates
CA3234463A1 (en) 2018-12-21 2019-12-18 Novartis Ag Antibodies to pmel17 and conjugates thereof
JP2020148878A (ja) * 2019-03-13 2020-09-1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00388175A1 (en) * 2019-06-07 2020-12-10 Enduvo, Inc. Creating a multi-disciplined learning tool
US11514806B2 (en) 2019-06-07 2022-11-29 Enduvo, Inc. Learning session comprehension
US20230181756A1 (en) 2020-04-30 2023-06-15 Novartis Ag Ccr7 antibody drug conjugates for treating cancer
US11462117B2 (en) * 2020-05-19 2022-10-04 Enduvo, Inc. Creating lesson asset information
JP7355240B2 (ja) * 2020-05-27 2023-10-03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キル可視化装置、スキル可視化方法およびスキル可視化プログラム
MX2023006010A (es) 2020-11-24 2023-06-08 Novartis Ag Anticuerpos anti-cd48, conjugados de anticuerpo-farmaco, y usos de los mismos.
CN112257966B (zh) * 2020-12-18 2021-04-09 北京世纪好未来教育科技有限公司 模型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A3216880A1 (en) 2021-04-16 2022-10-20 Novartis Ag Antibody drug conjugates and methods for making thereof
KR102609399B1 (ko) * 2022-03-23 2023-12-04 (주)데이타이음 하이퍼 메타데이터 기반의 온라인 교과서 학습정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858A (ko) * 2001-11-03 2001-12-07 이종희 멀티에이전트를 이용한 학습자중심의 학습코스 스케줄링시스템 및 방법
KR100872595B1 (ko) * 2008-01-30 2008-12-08 주식회사 해피에듀 온라인 전자참고서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00012943A (ko) * 2008-07-30 2010-02-09 (주)엠피디에이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문제 운영 시스템
KR20120000311A (ko) * 2010-06-25 2012-01-02 정재민 스터디 플랜 서비스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29574A1 (en) * 1999-12-30 2003-07-10 Cerego Llc,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maximizing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learning, retaining and retrieving knowledge and skills
US20040009461A1 (en) * 2000-04-24 2004-01-15 Snyder Jonathan Scott System for scheduling classes and managing eductional resources
JP2002082598A (ja) * 2000-09-07 2002-03-22 Keynet:Kk 学習支援システム及び学習支援方法
US8165518B2 (en) * 2000-10-04 2012-04-24 Knowledge Factor, Inc. Method and system for knowledge assessment using confidence-based measurement
CN100409101C (zh) 2001-05-11 2008-08-06 希普雷公司 厚膜型光致抗蚀剂及其使用方法
US20030039948A1 (en) * 2001-08-09 2003-02-27 Donahue Steven J. Voice enabled tutorial system and method
WO2004090834A2 (en) * 2003-04-02 2004-10-21 Planetii Usa Inc. Adaptive engine logic used in training academic proficiency
KR20050030387A (ko) * 2003-09-25 2005-03-30 이명원 인터넷을 이용한 초.중.고교 수학 교과과정 학습자 중심교육 실현 방법
CN1632782A (zh) * 2003-12-22 2005-06-29 英业达股份有限公司 在线学习成绩评定方法及***
JP2005284122A (ja) * 2004-03-30 2005-10-13 E-Zen Technology Co Ltd 個人の学習の障壁を知らしめ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援用教育システム
US7364432B2 (en) * 2004-03-31 2008-04-29 Drb Lit Ltd. Methods of selecting Lock-In Training courses and sessions
US20060099563A1 (en) * 2004-11-05 2006-05-11 Zhenyu Lawrence Liu Computerized teaching, practice, and diagnosis system
US20100035225A1 (en) * 2006-07-11 2010-02-11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Adaptive spaced teaching method and system
KR20070078767A (ko) * 2007-07-20 2007-08-01 강민수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US20090035733A1 (en) * 2007-08-01 2009-02-05 Shmuel Meitar Device, system, and method of adaptive teaching and learning
JP5403727B2 (ja) * 2007-10-24 2014-01-2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教材選択システムの方法とプログラム
US20090162826A1 (en) * 2007-11-26 2009-06-25 Ayati Mohammad B Mass Customization Method for High School and Higher Education
CN101281687B (zh) * 2008-02-04 2011-04-27 博采林电子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学习机及其使用的动态图文解析方法
US8666298B2 (en) * 2008-05-15 2014-03-04 Coentre Ventures Llc Differentiated, integrated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KR101046711B1 (ko) * 2009-04-03 2011-07-06 주식회사 창의와 탐구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학습시스템 및 방법
KR101245824B1 (ko) * 2009-04-24 2013-03-25 주식회사 노리코리아 학습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1630451A (zh) * 2009-08-26 2010-01-20 广州市陪你学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计算机辅助教学专家***
CN102696052A (zh) * 2009-09-17 2012-09-26 认知建立时机公司 教育内容产生的装置、***和方法
KR20110062255A (ko) * 2009-12-03 2011-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맞춤형 학습 시스템 및 방법
CN102169644A (zh) * 2010-02-26 2011-08-31 卢君毅 具有解答提示功能的考试***
KR20100080753A (ko) * 2010-06-03 2010-07-12 김용재 사용자 맞춤형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8699941B1 (en) * 2010-10-08 2014-04-15 Amplify Education, Inc. Interactive learning map
US20120214147A1 (en) * 2011-02-16 2012-08-23 Knowledge Factor, In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Knowledge Assessment And Learning
US20120244507A1 (en) * 2011-03-21 2012-09-27 Arthur Tu Learning Behavior Optimization Protocol (LearnBop)
US10460615B2 (en) * 2011-11-23 2019-10-29 Rodney A. Weems Systems and methods using mathematical reasoning block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858A (ko) * 2001-11-03 2001-12-07 이종희 멀티에이전트를 이용한 학습자중심의 학습코스 스케줄링시스템 및 방법
KR100872595B1 (ko) * 2008-01-30 2008-12-08 주식회사 해피에듀 온라인 전자참고서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00012943A (ko) * 2008-07-30 2010-02-09 (주)엠피디에이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문제 운영 시스템
KR20120000311A (ko) * 2010-06-25 2012-01-02 정재민 스터디 플랜 서비스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9902A1 (ko) 2017-01-26 2018-08-02 주식회사 노리코리아 사칙연산 학습을 지원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34744B (zh) 2023-09-05
US11605305B2 (en) 2023-03-14
KR101665024B1 (ko) 2016-10-12
JP2020035488A (ja) 2020-03-05
JP2015510200A (ja) 2015-04-02
US20150111191A1 (en) 2015-04-23
KR20140046427A (ko) 2014-04-18
JP6849878B2 (ja) 2021-03-31
CA2872860C (en) 2022-08-30
US20210125514A1 (en) 2021-04-29
US10937330B2 (en) 2021-03-02
CN104126190A (zh) 2014-10-29
JP2018026176A (ja) 2018-02-15
US20140065590A1 (en) 2014-03-06
EP2819089A1 (en) 2014-12-31
WO2013125861A1 (ko) 2013-08-29
KR20130095691A (ko) 2013-08-28
CN109934744A (zh) 2019-06-25
CA2872860A1 (en) 2013-08-29
EP2819089A4 (en)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5894B1 (ko) 지식 유닛에 기초하여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Lingjun et al. Random forest as a predictive analytics alternative to regression in institutional research
Panjaburee et al. A multi-expert approach for developing testing and diagnostic systems based on the concept-effect model
US10438156B2 (en) Systems and methods to provide training guidance
US766599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ducting jury research and training for estimating punitive damages
CN106875305A (zh) 一种高校教学质量评价方法
Domingo et al. Evaluating the benefits of model-driven development: empirical evaluation paper
CN113205281A (zh) 一种基于场景模拟的人员能力评价方法及相关设备
KR102475524B1 (ko) 기계학습모델을 이용하여 면접영상에 대한 자동화된 평가를 위한 심층질문을 도출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US2015005657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amified productivity enhancing systems
Karagiannis et al. Implementation of an adaptive mechanism in Moodle based on a hybrid Dynamic User Model
Martínez et al. Experiences using PSP and XP to support teaching in undergraduate programming courses
Sole A primer for mathematical modeling
Shokri Investigating the view of quality management success factors amongst future early career operations leaders
Setiawan et al. Mobile visual programming apps for internet of things applications based on raspberry Pi 3 platform
Santos et al. Improving development practices through experimentation: An industrial tdd case
Lu et al. Developing a weather prediction project-based machine learning course in facilitating AI learning among high school students
Pichugin et al. The model of informative ordering in the analysis of socio-psychological processes
Sarkar et al. Adaptive E-learning using deterministic finite automata
Lee et al. A comparison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s for predicting student performance in an online mathematics game
KR101245824B1 (ko) 학습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Hutchins Co-Designing Teaching Augmentation Tools to Support the Integr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in K-12 Science
KR102544662B1 (ko) 학습 코디네이팅 장치 및 방법
Rozman et al. Validation of agent-based approach for simulating the conversion to organic farming
Shokri et al. Investigating the view of quality management success factors amongst future early career operations manag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331

Effective date: 201504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