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373B1 - Connector - Google Patents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373B1
KR101514373B1 KR1020140115945A KR20140115945A KR101514373B1 KR 101514373 B1 KR101514373 B1 KR 101514373B1 KR 1020140115945 A KR1020140115945 A KR 1020140115945A KR 20140115945 A KR20140115945 A KR 20140115945A KR 101514373 B1 KR101514373 B1 KR 101514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movable
hous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9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28203A (en
Inventor
다이스케 후나야마
시게루 미츠즈카
도미사부로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84389A external-priority patent/JP5422776B1/en
Application filed by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28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2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3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6Pin or blade 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on one side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가 서로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동 자유로운 구성에서도 단자의 허용 전류치를 크게 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제 1 커넥터(10)의 각 제 1 단자(13)의 가동부(13c)가 커넥터의 전후 방향(Y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가동부(13c)의 폭 방향의 치수를 두께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형성하고, 제 2 커넥터(20)의 각 제 2 단자(23)의 가동부(23f)가 커넥터의 폭 방향(X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가동부(23f)의 두께 방향의 치수를 폭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형성했으므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충분히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한 것에 비해, 각 가동부(13c, 23f)의 단면적을 각각 크게 할 수 있어 각 단자(13, 23)의 허용 전류치를 크게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or capable of increasing a permissible current value of a terminal even i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nnectors are movable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in a width direction,
The dimens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ovable portion 13c is set larger than the dimens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so that the movable portion 13c of each first terminal 13 of the first connector 10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Y direction) The dimens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ovable portion 23f is set larger than the dimension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movable portion 23f of each second terminal 23 of the second connector 20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X direction) The cross sectional area of each of the movable portions 13c and 23f can be made larger and the permissible current value of each of the terminals 13 and 23 can be made larger Can be greatly increased.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Connector {CONNECTO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한 쌍의 프린트 기판끼리를 접속하기 위해 이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used for connecting a pair of printed boards, for example.

종래, 이런 종류의 커넥터로는 서로 한쪽 면을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쌍의 기판 중 한쪽 기판에 부착되는 한쪽 커넥터와, 다른쪽 기판에 부착되는 다른쪽 커넥터를 구비하고, 각 커넥터를 끼워 맞춤으로써 기판끼리를 접속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Conventionally, a connector of this type has a connector which is attached to one of the pair of substrates which are arranged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the other connector which is attached to the other substrate, (For example, refer to Patent Document 1).

상기 커넥터 중 한쪽 커넥터는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과,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커넥터의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설치된 가동 하우징과, 일단측을 가동 하우징에 홀딩하고, 타단측을 고정 하우징에 홀딩한 복수의 단자를 가지며, 각 단자의 일단측과 타단측의 사이에 설치된 가동부의 탄성 변형에 의해 가동 하우징이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함으로써,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각 기판끼리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One of the connectors includes a fixed housing fixed to the board, a movable housing movably install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with respect to the fixed housing, and a movable housing having one end held in the movable housing and the other end held in the fixed housing The movable housing is moved with respect to the fixed housing by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movable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one end side and the other end side of each terminal so as to absorb the positional deviation between the substrates due to vibration or impact .

일본국 특개 2007-18785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18785

그런데,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각 기판끼리의 위치 어긋남은 커넥터의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발생하지만, 각 커넥터 중 한쪽의 커넥터 단자만이 가동 하우징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의 가동부는 커넥터의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충분히 탄성 변형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한쪽의 커넥터 단자는 가동부의 단면이 거의 정방형으로 단면적도 작게 형성되므로, 단자의 허용 전류치를 크게 할 수 없어 대전류용 커넥터로는 불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nector, however,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respective boards occur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However, since only one of the connectors is elastically deformable so as to allow the movable housing to move, It is necessary for the movable part of the connector to be sufficiently elastically deformed in both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Therefore, one connector terminal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sadvantageous as a connector for a large current, since the cross section of the movable section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square cross section and a small cross-sectional area.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커넥터가 서로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동 자유로운 구성에서도 단자의 허용 전류치를 크게 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or capable of increasing a permissible current value of the terminal even i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nnectors are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 width direction.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쪽 기판에 부착되는 제 1 커넥터와, 다른쪽 기판에 부착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고,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끼워 맞춤으로써 기판끼리를 접속하는 커넥터에 대해,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or comprising a first connector attached to one substrate and a second connector attached to the other substrate, the connect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to each other About,

상기 제 1 커넥터가, 한쪽 기판에 고정되는 제 1 고정 하우징과, 제 1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가동 하우징과, 일단측이 제 1 가동 하우징에 홀딩되고, 타단측이 제 1 고정 하우징에 홀딩되는 제 1 단자를 가지며, The first connector includes a first fixed housing fixed to one board, a first movable housing movably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first fixed housing, and a second movable housing having one end held in the first movable housing, And a first terminal held in the fixed housing,

제 1 단자가,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부를 갖고 있고,The first terminal has a movable portion which is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onnector,

해당 가동부가, 커넥터의 폭 방향에 대응하는 폭 치수가 커넥터의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에 대응하는 두께 치수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The movable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width dimens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dimens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rear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상기 제 2 커넥터가, 다른쪽 기판에 고정되는 제 2 고정 하우징과, 제 2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가동 하우징과, 일단측이 제 2 가동 하우징에 홀딩되고, 타단측이 제 2 고정 하우징에 홀딩되는 제 2 단자를 가지며, 제 2 단자가,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부를 갖고 있고,A second movable housing which is movab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fixed housing; and a second movable housing which has one end held by the second movable housing and the other end housed by the second movable housing, (2) a second terminal held in the fixed housing, and the second terminal has a movable portion which is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해당 가동부가, 커넥터의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에 대응하는 두께 치수가 커넥터의 폭 방향에 대응하는 폭 치수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vable portion is formed such that the thickness dimens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rear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is larger than the width dimens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이에 따라, 제 1 커넥터의 제 1 단자는 가동부의 폭 방향의 치수가 두께 방향의 치수보다 커져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기 쉽고, 제 2 커넥터의 제 2 단자는 가동부의 두께 방향의 치수가 폭 방향의 치수보다 커져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기 쉬우므로, 각 기판끼리의 위치 어긋남이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생겼을 때는 제 1 단자의 가동부가 탄성 변형하고, 각 기판끼리의 위치 어긋남이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생겼을 때는 제 2 단자의 가동부가 탄성 변형한다.Therefore, the first terminal of the first connector is easily deformed elastically in the front-rear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because the dimens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ovable portion is larger than the dimens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movable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respective boards occur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onnector, The movable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is elastically deformed.

즉, 제 1 커넥터의 제 1 단자의 가동부가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 하도록 폭 방향의 치수가 두께 방향의 치수가 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 2 커넥터의 제 2 단자의 가동부가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두께 방향의 치수가 폭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커넥터의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충분히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한 것에 비해, 제 1 및 제 2 단자의 가동부의 단면적을 각각 크게 할 수 있어 단자의 허용 전류치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That is, the dimension in the width direction is made larg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dimension so that the movable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of the first connector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onnector, and the movable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of the second connector Since the dimens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mension in the width direction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ed, the connector is formed so as to be sufficiently elastically deformable in bo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The allowable current value of the terminal can be increased.

본 발명은 한쪽 기판에 부착되어 있고, 다른쪽 기판에 부착되는 다른 커넥터와 끼워 맞춤으로써 기판끼리를 접속하는 커넥터에 대해,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과,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 하우징과, 일단측이 가동 하우징에 홀딩되고, 타단측이 고정 하우징에 홀딩되는 단자를 가지며,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or, which is attached to one board and which is connected to another connector to be connected to another board to connect the boards to each other, comprises: a fixed housing fixed to the board; and a movable housing And a terminal having one end held in the movable housing and the other end held in the fixed housing,

단자가, 상기 다른 커넥터의 단자에 대하여 커넥터 끼워 맞춤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접촉부와,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부를 갖고 있고,The terminal has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of the other connector at intervals in the connector fitting direction and a movable portion which is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해당 가동부가, 커넥터의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에 대응하는 두께 치수가 커넥터의 폭 방향에 대응하는 폭 치수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And the movable portion is formed such that the thickness dimens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rear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is larger than the width dimens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본 발명의 단자는, 가동부가, 커넥터의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에 대응하는 두께 치수가 커넥터의 폭 방향에 대응하는 폭 치수보다 크기 때문에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기 쉽고, 가동부의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단자의 허용 전류치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able portion is easily deformed elasticall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because the thickness dimens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is larger than the width dimens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The permissible current value of the terminal can be increased.

또, 단자는 상기 다른 커넥터의 단자에 대하여 커넥터 끼워 맞춤 방향에서 간격을 두고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접촉부를 가진다. 이에 따르면, 다른 커넥터와 끼워 맞출 때에, 제 1 접촉부가 다른 커넥터의 단자와 슬라이딩 접촉한 후, 그 슬라이딩 궤적을 추종하여 제 2 접촉부를 접촉시킴으로써, 다른 커넥터의 단자에 이물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라도 제 1 접촉부에 의해 이물을 제거한 후에 제 2 접촉부를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접속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The terminal has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terminals of the other connector at intervals in the connector fitting directio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foreign objects are attached to the terminals of other connectors by bringing the first contact portions into sliding contact with the terminals of the other connector and then following the sliding locus to bring the second contact portions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ince the second contact portion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portion after the foreign object is removed, the connection reliability of the connector can be improved.

또한 단자는 제 1 및 제 2 접촉부에서 상대 단자와 접촉하여, 하나의 접촉부에서 접촉하는 경우보다 상대 단자를 누르는 접촉력이 강하기 때문에, 커넥터가 사용 환경하에서 진동을 받아도 제 1 및 제 2 접촉부가 상대 단자와 미(微)슬라이딩하여 도금을 깎아 접촉 저항을 증가시켜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 점에서도 커넥터의 접속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 since the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mating terminal at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and has a strong contact force for pressing the mating terminal than at one contact portion, even if the connector is vibrated under the use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increase of the contact resistance by cutting off the plating by slipping the plating,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nection reliability of the connector even in this respect.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가 서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이나 폭 방향으로 이동 자유로운 구성에서도 단자의 허용 전류치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대전류용 커넥터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missible current value of the terminal can be increased even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nnectors ar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and thus the connector can be used in the connector for the large curr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제 1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제 1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A-A선 화살표 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1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제 1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7은 제 2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2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제 2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B-B선 화살표 방향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 2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제 2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13은 제 1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2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커넥터의 접속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커넥터의 접속 공정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the first connector;
3 is a side view of the first connector;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5 is a plan view of the first connector;
6 is a bottom view of the first connector;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connector.
8 is a front view of the second connector.
9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connector.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BB arrow direction.
11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connector.
12 is a bottom view of the second connector.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terminal.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terminal.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process of a connector.
16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ng process of a connector.

도 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면 한쌍의 프린트 기판끼리를 접속하기 위해 이용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도면 중 X방향은 커넥터의 폭 방향, Y방향은 커넥터의 전후 방향, Z방향은 커넥터의 상하 방향을 나타낸다.Figs. 1 to 16 illustrat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e a connector used for connecting a pair of printed boards, for example. In the figure, the X direction indicates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the Y direction indicates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onnector, and the Z direction indicates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는 서로 한쪽 면을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쌍의 기판(1, 2) 중 한쪽 기판(1)에 부착되는 제 1 커넥터(10)와, 다른쪽 기판(2)에 부착되는 제 2 커넥터(20)를 구비하고 있다.The connector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onnector 10 attached to one of the pair of substrates 1 and 2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1 and a second connector 10 attached to the other substrate 2, And a connector (20).

또한 제 2 커넥터(20)는 도 15 및 도 16에서는 도 7 내지 도 12에 대하여 상하 반대 방향으로 되어 있지만,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은 도 7 내지 도 12의 상하 방향으로서 나타낸다.15 and 16,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shown as the up and down directions in Figs. 7 to 12. Fig.

[제 1 커넥터(10)의 구성][Configuration of First Connector 10]

제 1 커넥터(10)는 한쪽 기판(1)에 고정되는 제 1 고정 하우징(11)과, 제 1 고정 하우징(11)에 대하여 이동 자유로운 제 1 가동 하우징(12)과, 제 1 고정 하우징(11) 및 제 1 가동 하우징(12)에 홀딩된 복수의 제 1 단자(13)와, 제 1 고정 하우징(11)을 한쪽 기판(1)에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제 1 고정 부재(14)로 구성되고, 각 제 1 단자(13)는 서로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동시에, 전후 2열로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connector 10 includes a first fixed housing 11 fixed to one substrate 1, a first movable housing 12 mov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fixed housing 11, a first fixed housing 11 A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13 held on the first movable housing 12 and a pair of first fixing members 14 for fixing the first fixed housing 11 to one of the substrates 1 And the first terminals 13 are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s, and are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two rows.

제 1 고정 하우징(11)은 합성 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폭 치수 및 안길이(depth) 치수에 대하여 높이 치수가 작은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고정 하우징(11)은 전면부(11a), 배면부(11b) 및 좌우 측면부(11c)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 및 하면은 각각 위쪽 및 아래쪽으로 개구하고 있다.The first fixing housing 11 is formed of a molded product of synthetic resin and is formed into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height dimension with respect to a width dimension and a depth dimension. The first fixed housing 11 is composed of a front portion 11a, a rear portion 11b and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11c,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open upward and downward, respectively.

전면부(11a) 및 배면부(11b)의 내면측에는 각 제 1 단자(13)를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홈(11d)이 설치되고, 각 측면부(11c)에는 대략 사각형상의 노치부(11e)가 전후 2개소씩 설치되어 있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치부(11e)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돌기부(12c)가 배치되어 있고, 이 돌기부(12c)와 노치부(11e)의 내측 가장자리와의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 간극이 형성된다. 이 간극은 돌기부(12c)의 제 1 가동 하우징(12)의 전후 방향으로의 가동대로 되기 때문에, 돌기부(12c)는 노치부(11e)의 내부에서 이동 자유롭다. 또, 돌기부(12c)의 전후 방향의 과도한 이동은 노치부(11e)의 내측 가장자리에 의해 규제된다.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11d for fixing the respective first terminals 13 ar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front face portion 11a and the back face portion 11b and a substantially quadrangular notch portion 11e is formed on each side face portion 11c, Two places are installed. 3, a protruding portion 12c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inside the notched portion 11e. A gap is formed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12c and the inner edge of the notched portion 11e in the front-rear direction . Since the clearance i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first movable housing 12 of the protruding portion 12c, the protruding portion 12c is free to move inside the notched portion 11e. Further, the excessive movement of the protruding portion 12c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restricted by the inner edge of the notched portion 11e.

제 1 가동 하우징(12)은 합성 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폭 치수 및 안길이 치수에 대하여 높이 치수가 작은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가동 하우징(12)은 상면을 개구한 중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저면의 전후 방향 중앙부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12a)가 설치되어 있다.The first movable housing 12 is formed of a molded product of synthetic resin, and has a width and a depth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small height relative to the dimension. The first movable housing 12 is formed in a hollow shape having an opened top surface, and a protruding portion 12a protruding upward from a central por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movable housing 12 is provided.

돌출부(12a)는 제 1 가동 하우징(12)의 폭 방향으로 긴 편평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전면 및 배면에는 각 제 1 단자(13)를 홀딩하는 복수의 홀딩홈(12b)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를 끼워 맞추면, 돌출부(12a)는 그 선단이 제 2 가동 하우징(22)의 삽입부(22c)의 저부 및 제 1 고정편부(23e)에 굴곡하여 이어지는 제 2 탄성편부(23d)의 일단측과 접근하여 위치한다.The protruding portion 12a is formed in a long flat shap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movable housing 12 and a plurality of holding grooves 12b for holding the first terminals 13 ar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hereof. When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are fitted to each other, the tip of the protrusion 12a is bent at the bottom of the insertion portion 22c of the second movable housing 22 and the first fixed piece 23e, And is located closer to the one end side of the succeeding second elastic piece portion 23d.

제 1 가동 하우징(12)은 제 1 고정 하우징(11)의 내형(內形)보다 작은 외형으로 형성되고, 제 1 고정 하우징(11) 내에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돌기부(12c)가 노치부(11e)의 내부를 이동할 수 있는 범위에 있어서, 제 1 가동 하우징(12)도 또 전후 방향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가동 하우징(12)의 상단은 제 2 고정 하우징(21)의 상단과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The first movable housing 12 is formed in an outer shape smaller than the inner shape of the first fixed housing 11 and is arranged movably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first fixed housing 11. [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movable housing 12 can also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in a range in which the protruding portion 12c can move within the notch portion 11e. In this case, the upper end of the first movable housing 12 is positioned at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end of the second fixed housing 21.

또, 제 1 가동 하우징(12)의 양 측면에는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기부(12c)가 전후 2개소씩 설치되고, 각 돌기부(12c)는 각각 제 1 고정 하우징(11)의 각 노치 부(11e) 내에 전후 방향,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가동 하우징(12)의 저면과 기판(1)의 사이에는 도 4, 1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극이 설치되어 있고, 간극은 제 1 가동 하우징(12)의 아래쪽 방향(기판 방향)으로의 가동대(可動代)로 되어 있다.Two protruding portions 12c protruding laterally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first movable housing 12 and each protruding portion 12c is provided at each of the notches 11e of the first fixed housing 11,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A gap i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movable housing 12 and the substrate 1 as shown in Figs. 4 and 16, and a clearance i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of the first movable housing 12 and the substrate 1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movable base is movable.

각 제 1 단자(13)는 도전성의 금속판을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또, 상기 금속판의 일부를 폭 방향(X방향)의 치수가 판 두께보다 커지도록 형성하고, 이것을 굽힘 가공함으로써 가동부(13c)가 설치된다. 이렇게 하여 제 1 단자(13)의 가동부(13c)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X방향)의 치수가 두께 방향(Y방향 또는 Z방향)의 치수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Each of the first terminals 13 is formed by bending a conductive metal plate. Further, the movable portion 13c is provided by forming a part of the metal plate so that the dimension in the width direction (X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plate thickness, and bending it. 13, the movable portion 13c of the first terminal 13 is formed such that the dimension in the width direction (X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dimens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Y direction or Z direction).

제 1 단자(13)는 제 2 커넥터(20)의 단자에 접촉하는 접촉부(13a)와, 제 1 가동 하우징(12)에 고정되는 제 1 고정편부(13b)와,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부(13c)와, 제 1 고정 하우징(11)에 고정되는 제 2 고정편부(13d)와, 한쪽 기판(1)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13e)로 이루어진다.The first terminal 13 includes a contact portion 13a contacting the terminal of the second connector 20, a first fixing piece 13b fixed to the first movable housing 12, A second fixed piece 13d fixed to the first fixed housing 11 and a board connecting portion 13e connected to one of the substrates 1. The movable portion 13c,

접촉부(13a)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 1 가동 하우징(12)의 홀딩홈(12b)에 홀딩되어 있다.The contact portion 13a is formed to extend linear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held in the holding groove 12b of the first movable housing 12. [

제 1 고정편부(13b)는 접촉부(13a)의 하단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 1 가동 하우징(12)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The first fixing piece portion 13b is formed to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13a, and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movable housing 12.

가동부(13c)는 제 1 고정편부(13b)로부터 제 1 가동 하우징(12)의 외면을 따라 위쪽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제 1 가동 하우징(12)의 상단 부근에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역 U자 형상으로 굴곡하도록 형성되고, 그 상단을 기점으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Y방향)으로 탄성 변형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movable portion 13c extends upward from the first fixed piece portion 13b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movable housing 12 and extends downward from the vicinity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movable housing 12 in an inverted U- And is formed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connector from the upper end thereof as a starting point.

제 2 고정편부(13d)는 가동부(13c) 한쪽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 1 고정 하우징(11)의 고정홈(11d)에 고정되어 있다.The second fixing piece portion 13d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movable portion 13c and is fixed to the fixing groove 11d of the first fixing housing 11.

기판 접속부(13e)는 제 2 고정편부(13d)의 하단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 1 고정 하우징(11)의 전면부(11a) 또는 배면부(11b)의 아래쪽으로부터 제 1 고정 하우징(11)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하고 있다.The board connecting portion 13e is formed to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ixing piece portion 13d and extend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11a or the back portion 11b of the first fixing housing 11 to the first fixing housing 11 extending outwardly.

즉, 제 1 단자(13)의 일단측(제 1 고정편부(13b)측)과 타단측(제 2 고정편부(13d)측)은 서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그 사이에 가동부(13c)가 배치되어 있다.That is, the one end side (the first fixing piece portion 13b side) and the other end side (the second fixing piece portion 13d side) of the first terminal 13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And a movable portion 13c is disposed.

각 제 1 고정 부재(14)는 금속판을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제 1 고정 하우징(11)의 폭 방향 양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고정 부재(14)는 제 1 고정 하우징(11)의 측면부(11c)의 상면에서부터 전면측 및 배면측에 걸치도록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전후 양단측이 측면부(11c)의 전면 및 배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고정 부재(14)의 양단에는 기판(1)에 납땜되는 고정편부(14a)가 각각 설치되고, 각 고정편부(14a)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고정 부재(14)의 상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elongated protrusion)부(14b)가 설치되어 있다.Each of the first fixing members 14 is formed by bending a metal plate and is dispos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fixing housing 11. [ The first fixing member 14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U shape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portion 11c of the first fixing housing 11 to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And the back surface. Fixing pieces 14a to be soldered to the substrate 1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fixing member 14, and each of the fixing pieces 14a is formed so as to extend and project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ixing member 14, an elongated protrusion 14b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provided.

[제 2 커넥터(20)의 구성][Configuration of Second Connector 20]

제 2 커넥터(20)는 한쪽 기판(1)에 고정되는 제 2 고정 하우징(21)과, 제 2 고정 하우징(21)에 대하여 이동 자유로운 제 2 가동 하우징(22)과, 제 2 고정 하우징(21) 및 제 2 가동 하우징(22)에 홀딩된 복수의 제 2 단자(23)와, 제 2 고정 하우징(21)을 다른쪽 기판(2)에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제 2 고정 부재(24)로 구성되고, 각 제 2 단자(23)는 서로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동시에, 전후 2열로 배치되어 있다.The second connector 20 includes a second fixed housing 21 fixed to one substrate 1, a second movable housing 22 movable relative to the second fixed housing 21, a second fixed housing 21 A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23 held by the second movable housing 22 and a pair of second fixing members 24 for fixing the second fixing housing 21 to the other substrate 2 And the second terminals 23 are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s, and are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two rows.

제 2 고정 하우징(21)은 합성 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폭 치수 및 안길이 치수에 대하여 높이 치수가 작은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고정 하우징(21)은 전면부(21a), 배면부(21b) 및 좌우 측면부(21c)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 및 하면은 각각 위쪽 및 아래쪽으로 개구하고 있다. 전면부(21a) 및 배면부(21b)의 하단측에는 각 제 2 단자(23)를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구멍(21d)이 설치되고, 각 측면부(21c)에는 대략 사각형상의 노치부(21e)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치부(21e)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돌기부(22d)가 배치되어 있고, 이 돌기부(22d)와 노치부(21e)의 내측 가장자리와의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 간극이 형성된다. 이 간극은 돌기부(22d)의 제 2 가동 하우징(22)의 전후 방향으로의 가동대로 되기 때문에, 돌기부(22d)는 노치부(21e)의 내부에서 이동 자유롭다. 또, 돌기부(22d)의 전후 방향의 과도한 이동은 노치부(21e)의 내측 가장자리에 의해 규제된다. The second fixed housing 21 is formed of a molded product of synthetic resin, and has a width and a depth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small height dimension with respect to the dimension. The second fixing housing 21 is composed of a front portion 21a, a rear portion 21b and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21c,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open upward and downward, respectively. A plurality of fixing holes 21d for fixing the respective second terminals 23 are provided on the lower end sides of the front face portion 21a and the back face portion 21b and a substantially rectangular notch portion 21e is provided on each side face portion 21c . 9, a protruding portion 22d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inside the notched portion 21e,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22d and the inner edge of the notch portion 21e in the front-rear direction . Since the gap remain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second movable housing 22 of the protruding portion 22d, the protruding portion 22d is free to move inside the notched portion 21e. The excessive movement of the protruding portion 22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restricted by the inner edge of the notched portion 21e.

제 2 가동 하우징(22)은 합성 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폭 치수 및 안길이 치수에 대하여 높이 치수가 큰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movable housing 22 is formed of a molded product of synthetic resin, and has a width and a depth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large height dimension.

제 2 가동 하우징(22)의 상면에는 제 1 가동 하우징(12)의 돌출부(12a)가 삽입되는 삽입구(22a)가 설치되고, 삽입구(22a)는 제 1 가동 하우징(12)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가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An insertion opening 22a for inserting the protrusion 12a of the first movable housing 12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ovable housing 22 and the insertion opening 22a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movable housing 12 As shown in FIG.

제 2 가동 하우징(22) 내에는 각 제 2 단자(23)가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구멍(22b)이 서로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각 단자구멍(22b)은 전후 2열로 배치되어 있다. 각 단자구멍(22b)은 상부측이 제 2 가동 하우징(22) 내의 전후 방향 중앙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고, 전열(前列)과 후열(後列)의 각 단자구멍(22b)의 상부측 사이에는 제 1 가동 하우징(12)의 돌출부(12a)가 삽입구(22a)를 통하여 삽입되는 삽입부(22c)가 형성되어 있다. 각 단자구멍(22b)의 하부측에는 제 2 단자(23)가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각 단자구멍(22b)의 하단은 아래쪽으로 개구하고 있다.In the second movable housing 22, a plurality of terminal holes 22b in which the respective second terminals 23 are disposed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and each of the terminal holes 22b is arranged in two rows . Each of the terminal holes 22b has an upper side opened toward the front-rear direction center in the second movable housing 22 and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side of each terminal hole 22b in the front row and the rear row, An insertion portion 22c through which the projection 12a of the movable housing 12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opening 22a is formed. A second terminal 23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each terminal hole 22b, and the lower end of each terminal hole 22b opens downward.

제 2 가동 하우징(22)은 제 2 고정 하우징(21)의 내형보다 작은 외형으로 형성되고, 제 2 고정 하우징(21) 내에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돌기부(22d)가 노치부(21e)의 내부를 이동할 수 있는 범위에 있어서, 제 2 가동 하우징(22)도 또 전후 방향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가동 하우징(22)은 대략 위쪽 절반분이 제 2 고정 하우징(21)의 상단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 제 2 가동 하우징(22)의 양측면에는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기부(22d)가 설치되고, 각 돌기부(22d)는 제 2 고정 하우징(21)의 각 노치부(21e) 내로 전후 방향,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The second movable housing 22 is formed to have a smaller outer shape than the inner shape of the second fixed housing 21 and is arranged movably in the second fixed housing 21 in the width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movable housing 22 can also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in a range in which the protruding portion 22d can move within the notch portion 21e. In this case, the second movable housing 22 is protruded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fixed housing 21 by approximately the upper half. Each of the protruding portions 22d protrudes laterally from both sides of the second movable housing 22. The protruding portions 22d are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notches 21e of the second fixed housing 21 in the front- And movable vertically.

각 제 2 단자(23)는 도전성의 금속판을 펀칭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또 가동부(23f)의 두께 방향(Y방향 또는 Z방향)의 치수는 폭 치수(X방향)의 치수보다 커지도록, 상기 금속판을 펀칭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제 2 단자(23)의 가동부(23f)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방향(Y방향 또는 Z방향)의 치수가 판 두께 폭 치수(X방향)의 치수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Each of the second terminals 23 is formed by punching a conductive metal plate. The dimens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Y direction or Z direction) of the movable portion 23f is formed by punching the metal plate so as to be larger than the dimension in the width dimension (X direction). Thus, the movable portion 23f of the second terminal 23 is formed so that the dimens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Y direction or Z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dimension in the plate thickness width dimension (X direction) as shown in Fig.

제 2 단자(23)는 제 1 커넥터(10)의 제 1 단자(13)에 접촉하는 제 1 접촉부(23a) 및 제 2 접촉부(23b)와, 제 1 단자(13)와의 접촉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제 1 탄성편부(23c) 및 제 2 탄성편부(23d)와, 제 2 가동 하우징(22)에 고정되는 제 1 고정편부(23e)와,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부(23f)와, 제 2 고정 하우징(21)에 고정되는 제 2 고정편부(23g)와, 다른쪽 기판(2)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23h)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terminal 23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direction of contact between the first contact portion 23a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23b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13 of the first connector 10, A first fixing piece portion 23e fixed to the second movable housing 22 and a movable portion 23f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are provided on the first elastic piece portion 23c and the second elastic piece portion 23d, A second fixing piece portion 23g fixed to the second fixing housing 21 and a board connecting portion 23h connected to the other substrate 2. [

제 1 접촉부(23a) 및 제 2 접촉부(23b)는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 단자구멍(22b)의 상부측으로부터 삽입부(22c) 내로 돌출하고 있다. 이 경우, 각 접촉부(23a, 23b)는 제 1 접촉부(23a)가 제 2 접촉부(23b)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서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contact portion 23a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23b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and protrude from the upper side of the terminal hole 22b into the inserting portion 22c. In this case, the respective contact portions 23a and 23b are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first contact portions 23a are positioned above the second contact portions 23b.

이와 같은 제 2 단자(23)는 제 1 및 제 2 접촉부(23a, 23b)에서 제 1 단자(13)와 접촉하며, 1개의 접촉부에서 접촉하는 경우보다 제 1 단자(13)를 누르는 접촉력이 강하기 때문에, 끼워 맞춤 상태의 커넥터가 사용 환경하에서 진동을 받아도, 제 1 및 제 2 접촉부(23a, 23b)가 제 1 단자(13)와 미(微)슬라이딩하여 도금을 깎아 접촉 저항을 증가시켜 버리는 좋지 않은 상황을 억제할 수 있어, 커넥터의 접속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23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13 at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23a and 23b so that the contact force pressing the first terminal 13 is stronger than when the contact is made at one contact portion Therefore, even if the connector in the fitted state is vibrated under the use environment,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23a and 23b slide finely to the first terminal 13 to reduce the plating,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nection reliability of the connector.

제 1 탄성편부(23c)는 제 1 고정편부(23e)의 상단에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 상단에는 제 1 접촉부(23a)가 설치되어 있다.The first elastic piece portion 23c is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fixing piece portion 23e, and a first contact portion 23a is provided at an upper end thereof.

제 2 탄성편부(23d)는 제 1 고정편부(23e)의 상단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 상단에는 제 2 접촉부(23b)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각 탄성편부(23c, 23d)는 제 2 탄성편부(23d)가 제 1 탄성편부(23c)보다 커넥터의 전후 방향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서로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The second elastic piece portion 23d is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fixing piece portion 23e,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23b is provided at an upper end thereof. In this case, the respective elastic piece portions 23c and 23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elastic piece portion 23d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nnector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an the first elastic piece portion 23c.

또, 제 2 탄성편부(23d)는, 제 1 고정편부(23e)와 연결되는 일단측에, 제 1 가동 하우징(12)의 돌출부(12a)의 선단측으로부터 측면의 형상을 따라 우회하여 신장하는 굴곡부를 갖는다. 이 굴곡부는 제 2 단자(23)를 전후 2열로 구분하는 제 2 가동 하우징(22)의 중앙 격벽의 측면과 접하는 위치에서, 그 기단이 제 1 고정편부(23e)와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중앙 격벽으로부터 멀어지는 전(前)방향 또는 후(後)방향의 각 방향으로 만곡하고, 다시 전후 방향 중앙측으로 만곡하는 굴곡 형상으로 되어 있다.The second elastic piece portion 23d is provided at one end side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piece portion 23e by being detoured along the shape of the side from the tip side of the protruding portion 12a of the first movable housing 12 And has a bent portion. The bent portion is connected at its base end to the first fixing piece portion 23e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entral partition wall of the second movable housing 22 dividing the second terminal 23 into two front and rear rows, In a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of the vehicle, and again curved toward the cent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여기에서 예를 들면 제 2 탄성편부(23d)를 직선 형상으로 한 경우, 제 1 가동 하우징(12)의 돌출부(12a)와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 1 고정편부(23e)와 연결되는 기단을 중앙 격벽으로부터 멀어지는 전방향 또는 후방향으로 어긋나게 해야 하며, 그에 수반하여 제 2 가동 하우징(22)의 전후 방향의 폭을 크게 할 필요가 있고, 그 결과 제 2 커넥터(20)뿐만 아니라 제 1 커넥터(10)까지도 전후 방향에서 커넥터 치수가 대형화되어 버린다. 그러나 굴곡부를 갖는 제 2 탄성편부(23d)이면 전술한 간섭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굴곡부에 의해 제 2 탄성편부(23d)의 스프링 길이를 길게 취할 수 있으므로, 삽발(揷拔)이 견고해져서 스프링 탄성이 나빠져 커넥터의 접속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도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second elastic piece portion 23d from interfering with the protruding portion 12a of the first movable housing 12, for example, when the second elastic piece portion 23d has a linear shape, It is necessary to make the width of the second movable housing 22 larg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a result of the displacement of the second connector 20 in the forward direction or the backward direction away from the partition wall. The size of the connector becomes larg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However, in the case of the second elastic piece portion 23d having a bent portion, the above-described interference can be avoided, so that the connector can be downsized. In addition, since the spring length of the second elastic piece portion 23d can be made longer by the bent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achment of the connection reliability of the connector due to the detachment of the spring elasticity.

제 1 고정편부(23e)는 각 탄성편부(23c, 23d)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단자구멍(22b)의 하부측에 고정되어 있다.The first fixing piece portion 23e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lower ends of the elastic piece portions 23c and 23d and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terminal hole 22b.

가동부(23f)는 제 1 고정편부(23e)의 하단측으로부터 제 2 가동 하우징(22)의 외면을 따라 위쪽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제 2 가동 하우징(22)의 상하 방향 대략 중앙 부근에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역 U자 형상으로 굴곡하도록 형성되며, 그 상단을 기점으로 커넥터의 폭 방향(X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movable portion 23f extends upward from the lower end side of the first fixed piece portion 23e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movable housing 22 and extends downward from the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movable housing 22 in the up- And is formed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X direction) of the connector starting from the upper end thereof.

제 2 고정편부(23g)는 가동부(23f) 한쪽의 하단측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 2 고정 하우징(21)의 고정구멍(21d) 내에 고정되어 있다.The second fixing piece portion 23g is formed so as to extend upward from the lower end side of one side of the movable portion 23f and is fixed in the fixing hole 21d of the second fixing housing 21.

기판 접속부(23h)는 제 2 고정편부(23g)의 하단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 2 고정 하우징(21)의 전면부(21a) 또는 배면부(21b)의 아래쪽으로부터 제 2 고정 하우징(21)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하고 있다.The board connecting portion 23h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ixing piece 23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extend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21a or the rear portion 21b of the second fixing housing 21 to the second fixing housing 21).

즉, 제 2 단자(23)의 일단측(제 1 고정편부(23e)측)과 타단측(제 2 고정편부(23g)측)은 서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그 사이에 가동부(23f)가 배치되어 있다.That is, one end side (the first fixing piece portion 23e side) and the other end side (the second fixing piece portion 23g side) of the second terminal 23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And a movable portion 23f is disposed.

각 제 2 고정 부재(24)는 금속판을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제 2 고정 하우징(21)의 폭 방향 양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2 고정 부재(24)는 제 2 고정 하우징(21)의 측면부(21c)의 상면에서부터 전면측 및 배면측에 걸치도록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전후 양단측이 측면부(21c)의 전면 및 배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고정 부재(24)의 양단에는 기판(2)에 납땜되는 고정편부(24a)가 각각 설치되고, 각 고정편부(24a)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고정 부재(24)의 상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부(24b)가 설치되어 있다.Each of the second fixing members 24 is formed by bending a metal plate and is dispos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fixing housing 21. [ The second fixing member 24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U shape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surface portion 21c of the second fixing housing 21 to the front surface side and the back surface side, And the back surface. Fixing pieces 24a to be soldered to the substrate 2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fixing member 24, and the fixing pieces 24a are formed so as to protru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member 24, a protruding portion 24b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provided.

[기판에의 실장 방법][Method of mounting on a substrate]

이상과 같이 구성된 커넥터에 있어서는 제 1 커넥터(10)의 각 제 1 고정 부재(14)의 고정편부(14a)와 각 제 1 단자(13)의 기판 접속부(13e)를 한쪽 기판(1)에 납땜함으로써, 제 1 커넥터(10)의 제 1 고정 하우징(11)이 기판(1)에 고정된다. 또, 제 2 커넥터(20)의 각 제 2 고정 부재(24)의 고정편부(24a)와 각 제 2 단자(23)의 기판 접속부(23h)를 다른쪽 기판(2)에 납땜함으로써, 제 2 커넥터(20)의 제 2 고정 하우징(21)이 기판(2)에 고정된다.In the connect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piece portion 14a of each first fixing member 14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board connecting portion 13e of each first terminal 13 are soldered to one substrate 1 The first fixing housing 11 of the first connector 10 is fixed to the substrate 1. [ The fixing piece 24a of each second fixing member 24 of the second connector 20 and the board connecting portion 23h of each second terminal 23 are soldered to the other substrate 2, The second fixing housing 21 of the connector 20 is fixed to the substrate 2. [

[커넥터끼리의 접속과 작용][Connection and operation between connectors]

다음으로,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를 접속하는 경우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커넥터(20) 및 기판(2)을 상하 반대방향으로 하여 제 1 커넥터(10)의 제 1 가동 하우징(12)과 제 2 커넥터(20)의 제 2 가동 하우징(22)을 서로 끼워 맞춘다.Next, when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are connected, as shown in Figs. 15 and 16, the second connector 20 and the board 2 are vertically opposed to each other, The first movable housing 12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movable housing 22 of the second connector 20 are fitted to each other.

그때, 제 1 가동 하우징(12) 내에 제 2 가동 하우징(22)이 삽입되는 동시에, 제 1 가동 하우징(12)의 돌출부(12a)가 제 2 가동 하우징(22)의 삽입구(22a)로부터 제 2 가동 하우징(22) 내의 삽입부(22c)에 삽입된다.At the same time that the second movable housing 22 is inserted into the first movable housing 12 and the protrusion 12a of the first movable housing 12 is moved from the insertion opening 22a of the second movable housing 22 to the second movable housing 22,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22c in the movable housing 22. [

이에 따라, 제 1 단자(13)의 각 접촉부(13a)가 제 2 단자(23)의 각 제 1 접촉부(23a) 및 각 제 2 접촉부(23b) 사이에 압입되는 동시에, 제 1 단자(13)의 각 접촉부(13a)와 제 2 단자(23)의 각 제 1 및 제 2 접촉부(23a, 23b)가 서로 접촉하고, 각 제 1 단자(13)와 각 제 2 단자(23)가 접속된다.The respective contact portions 13a of the first terminals 13 are press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ontact portions 23a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s 23b of the second terminal 23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23a and 23b of the contact portions 13a and 23a of the second terminal 23 contact each other and the first terminals 13 and the second terminals 2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그때, 제 1 단자(13)의 접촉부(13a)에는 제 2 단자(23)의 제 1 접촉부(23a)가 접촉한 후, 제 2 단자(23)의 제 2 접촉부(23b)가 접촉하기 때문에, 제 1 단자(13)의 접촉부(13a)에 먼지나 때 등의 이물이 부착하고 있었던 경우라도, 제 1 접촉부(23a)에 의해 이물이 제거된 후에 제 2 접촉부(23b)가 접촉한다.Since the first contact portion 23a of the second terminal 23 contacts the contact portion 13a of the first terminal 13 and then the second contact portion 23b of the second terminal 23 contacts the contact portion 13a of the first terminal 13, Even when foreign matter such as dust or the like adheres to the contact portion 13a of the first terminal 13, the second contact portion 23b contacts after the foreign object is removed by the first contact portion 23a.

상기 접속 상태에 있어서, 각 기판(1, 2)끼리가 커넥터의 전후 방향(Y방향) 또는 상하 방향(Z방향)으로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면, 제 1 커넥터(10)의 제 1 가동 하우징(12)이 제 1 고정 하우징(11)에 대하여 커넥터의 전후 방향(Y방향) 또는 상하 방향(Z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커넥터의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에 대한 각 기판(1, 2)끼리의 위치 어긋남이 흡수된다.If the substrates 1 and 2 mutually displace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Y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Z direction) of the connector in the above-mentioned connection state, the first movable housing 12 (Y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Z direction) of the connector with respect to the first fixed housing 11 so that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boards 1 and 2 with respect to the front-rear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Is absorbed.

또, 각 기판(1, 2)끼리가 커넥터의 폭 방향(X방향)으로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를 일으키면, 제 2 커넥터(20)의 제 2 가동 하우징(22)이 제 2 고정 하우징(21)에 대하여 커넥터의 폭 방향(X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커넥터의 폭 방향에 대한 각 기판(1, 2)끼리의 위치 어긋남이 흡수된다.The second movable housing 22 of the second connector 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fixed housing 21 with respect to the second fixed housing 21 when the boards 1 and 2 mutually displace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substrates 1 and 2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is absorbed.

즉, 제 1 커넥터(10)의 각 제 1 단자(13)는 가동부(13c)의 폭 방향(X방향)의 치수가 두께 방향(Y방향 또는 Z방향)의 치수보다 커져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전후 방향(Y방향) 또는 상하 방향(Z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기 쉽다.That is, since each of the first terminals 13 of the first connector 10 has the dimension in the width direction (X direction) of the movable portion 13c larger than the dimens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Y direction or Z direction) Direction (Y direction) or up and down direction (Z direction).

또, 제 2 커넥터(20)의 각 제 2 단자(23)는 가동부(23f)의 두께 방향(Y방향 또는 Z방향)의 치수가 폭 방향(X방향)의 치수보다 커져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폭 방향(X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기 쉽다.Each second terminal 23 of the second connector 20 has a dimens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Y direction or Z direction) of the movable portion 23f larger than the dimension in the width direction (X direction) Direction (X direction).

따라서, 각 기판(1, 2)끼리의 위치 어긋남이 커넥터의 전후 방향(Y방향)으로 생겼을 때는 각 제 2 단자(23)의 가동부(23f)보다 각 제 1 단자(13)의 가동부(13c)가 크게 탄성 변형하고, 각 기판(1, 2)끼리의 위치 어긋남이 커넥터의 폭 방향(X방향)으로 생겼을 때는 각 제 1 단자(13)의 가동부(13c)보다 각 제 2 단자(23)의 가동부(23f)가 크게 탄성 변형한다.Therefore, when the positional deviation between the substrates 1 and 2 occurs in the front-rear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connector, the movable portion 13c of each first terminal 13 is positioned more movable than the movable portion 23f of each second terminal 23, When the positional deviation between the substrates 1 and 2 is made in the width direction (X direction) of the connector, the movable terminals 13 and 13 of the second terminals 23 The movable portion 23f is greatly elastically deformed.

또, 각 제 1 단자(13)의 가동부(13c)는 제 1 단자(13)의 일단측(제 1 고정편부(13b)측)과 타단측(제 2 고정편부(13d)측)의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제 1 단자(13)의 일단측과 타단측은 서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단자(13)의 가동부(13c)를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해도 제 1 단자(13)의 상하 치수가 커지는 일은 없다.The movable portion 13c of each first terminal 13 is located between the one end side (the first fixed piece portion 13b side) and the other end side (the second fixed piece portion 13d side) of the first terminal 13 Even if the movable portion 13c of the first terminal 13 is elongated in the up-and-down direction, the first terminal 13 and the second terminal 1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terminal 13 is not increased.

마찬가지로 각 제 2 단자(23)의 가동부(23f)는 제 2 단자(23)의 일단측(제 1 고정편부(23e)측)과 타단측(제 2 고정편부(23g)측)의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제 2 단자(23)의 일단측과 타단측은 서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단자(23)의 가동부(23f)를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해도 제 2 단자(23)의 상하 치수가 커지는 일은 없다.Similarly, the movable portion 23f of each second terminal 23 is disposed between the one end side (the first fixed piece portion 23e side) and the other end side (the second fixed piece portion 23g side) of the second terminal 23 Even if the movable portion 23f of the second terminal 23 is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cause the one end side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second terminal 2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the upper and lower dimensions of the flange 23 are increased.

[본 실시 형태의 작용·효과][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커넥터(10)의 각 제 1 단자(13)의 가동부(13c)가 커넥터의 전후 방향(Y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가동부(13c)의 폭 방향의 치수를 두께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형성하고, 제 2 커넥터(20)의 각 제 2 단자(23)의 가동부(23f)가 커넥터의 폭 방향(X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가동부(23f)의 두께 방향의 치수를 폭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형성했다. 따라서 종래의 단자와 같이, 가동부를, 단면이 단자의 판 두께와 같은 길이를 한 변의 길이로 하는 정방형으로서, 커넥터의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충분히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한 것에 비해, 각 가동부(13c, 23f)의 단면적을 각각 크게 할 수 있어 각 단자(13, 23)의 허용 전류치를 크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vable portion 13c of each first terminal 13 of the first connector 10 is dimension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ovable portion 13c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Y direction) And the movable portion 23f of each second terminal 23 of the second connector 20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X direction) of the connector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ovable portion 23f The dimension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mension in the width direction. Therefore, like the conventional terminal, the movable part is formed into a square having a length equal to the plate thickness of the terminal in cross section, and is formed to be sufficiently elastically deformable in bo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The cross sectional area of each of the movable portions 13c and 23f can be increased, and the allowable current value of each of the terminals 13 and 23 can be increased.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커넥터(10, 20)가 서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동 자유로운 구성에서도 각 단자(13, 23)의 허용 전류치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대전류용 커넥터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용도에 따라 대전류용이 아닌 커넥터로서 이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As a result, the permissible current value of each of the terminals 13 and 23 can be increased even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0 and 20 move freely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It becomes possible.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use it as a connector which is not for high current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이 경우, 제 1 단자(13)의 일단측(제 1 고정편부(13b)측)과 타단측(제 2 고정편부(13d)측)을 서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동시에, 그 사이에 제 1 단자(13)의 가동부(13c)를 배치하도록 했으므로, 제 1 단자(13)의 상하 치수를 크게 하는 일 없이 가동부(13c)를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ne end side (the first fixing piece portion 13b side) and the other end side (the second fixing piece portion 13d side) of the first terminal 13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The movable portion 13c of the first terminal 13 can be formed to b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out increasing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first terminal 13. [

또, 제 2 단자(23)의 일단측(제 1 고정편부(23e)측)과 타단측(제 2 고정편부(23g)측)을 서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동시에, 그 사이에 제 2 단자(23)의 가동부(23f)를 배치하도록 했으므로, 제 2 단자(23)의 상하 치수를 크게 하는 일 없이 가동부(23f)를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다.One end side (the first fixing piece portion 23e side) and the other end side (the second fixing piece portion 23g side) of the second terminal 23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back and for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The movable portion 23f of the second terminal 23 can be formed to b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out increasing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second terminal 23. [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커넥터(10, 20)를 상하 방향으로 대형화시키는 일 없이 제 1 및 제 2 가동 하우징(12, 22)의 이동량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각 기판(1, 2)의 간격이 좁아 각 기판(1, 2)끼리의 위치 어긋남이 큰 경우에도 유리하다.This makes it possible to increase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movable housings 12 and 22 without increasing the siz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0 and 20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also advantageou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ubstrates 1 and 2 is large because the distance is narrow.

이 경우, 제 1 단자(13)의 가동부(13c)를 상하 방향으로 굴곡하도록 형성했으므로, 굴곡부를 기점으로, 폭 방향보다 치수가 작은 두께 방향으로 굽힘 변형을 일으키게 할 수 있어 제 1 단자(13)를 용이하게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movable portion 13c of the first terminal 13 is formed so as to bend in the up-and-down direction, the bending deformation can be cau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which the dimension is smaller than the width direction, Can be easily elastically deformed.

또, 제 2 단자(23)의 가동부(23f)를 상하 방향으로 굴곡하도록 형성했으므로, 굴곡부를 기점으로, 두께 방향보다 치수가 작은 폭 방향으로 굽힘 변형을 일으키게 할 수 있어 제 2 단자(23)를 용이하게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Since the movable portion 23f of the second terminal 23 is formed so as to b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cause the bending deformation in the width direction with the dimension smaller than the thickness direction, starting from the bent portion, It can be easily elastically deformed.

또한, 제 1 단자(13)에 제 2 단자(23)에 접촉하는 접촉부(13a)를 설치하는 동시에, 제 2 단자(23)에는 제 1 단자(13)의 접촉부(13a)에 접촉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제 1 및 제 2 접촉부(23a, 23b)를 설치하고, 제 2 단자(23)의 제 1 및 제 2 접촉부(23a, 23b)를 서로 커넥터 끼워 맞춤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했으므로, 제 1 단자(13)의 접촉부(13a)에 먼지나 때 등의 이물이 부착하고 있었던 경우라도 제 1 접촉부(23a)에 의해 이물을 제거한 후에 제 2 접촉부(23b)를 접촉시킬 수 있어 제 1 단자(13)와 제 2 단자(23)를 확실하게 도통시킬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13 is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13a which contacts the second terminal 23 and the second terminal 23 is provided with an elastic deforma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23a and 23b are provided and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23a and 23b of the second terminal 23 are disposed at intervals in the connector fitting direction, Even if foreign matter such as dust or the like adheres to the contact portion 13a of the first terminal 13, the second contact portion 23b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13 after the foreign object is removed by the first contact portion 23a, And the second terminal 23 can be reliably conducted.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커넥터(10)의 접속 대상으로서, 탄성편부와 접촉부를 복수 개 갖는 복수 컨택트의 제 2 커넥터(20)를 예시했지만, 탄성편부와 접촉부가 1개뿐인 싱글 컨택트의 커넥터를 접속 대상으로 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second connector 20 having a plurality of contacts having a plurality of elastic piece portions and a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is exemplified as an object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0. However, a connector having a single contact having only one elastic contact portion and one contact portion may be connected It can be targeted.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커넥터(10)의 접속 대상으로서 가동부(23)를 갖는 제 2 커넥터(20)로 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가동부(23)가 없고 고정 하우징(21)과 가동 하우징(22)으로 나누어져 있지 않은 플로팅 기능을 갖지 않는 커넥터를 접속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또, 제 2 커넥터(20)의 접속 대상으로서 가동부(13)를 갖는 제 1 커넥터(10)로 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가동부(13)가 없고 고정 하우징(11)과 가동 하우징(12)으로 나누어져 있지 않은 플로팅 기능을 갖지 않는 커넥터를 접속 대상으로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movable portion 23 is provided and the fixed housing 21 and the movable housing 22 are provided with the second connector 20 having the movable portion 23 as an object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0. [ A connector that does not have a floating function that is not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nnectors can be connected. The first connector 10 having the movable portion 13 as an object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20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the movable portion 13 is not provided and is divided into the fixed housing 11 and the movable housing 12 A connector which does not have a floating function can be connected.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각 기판(1, 2)의 대향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서 각 커넥터(10, 20)의 구성을 설명했지만, 각 기판이 상하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그 기판의 대향 방향이 본 발명의 상하 방향에 대응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tructures of the connectors 10 and 20 are described with the opposing directions of the substrates 1 and 2 as the up and down directions.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respective substrates are arranged so as to face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ther than the up-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 2: 기판 10: 제 1 커넥터
11: 제 1 고정 하우징 12: 제 1 가동 하우징
13: 제 1 단자 13c: 가동부
20: 제 2 커넥터 21: 제 2 고정 하우징
22: 제 2 가동 하우징 23: 제 2 단자
23f: 가동부
1, 2: substrate 10: first connector
11: first fixed housing 12: first movable housing
13: first terminal 13c:
20: second connector 21: second fixed housing
22: second movable housing 23: second terminal
23f:

Claims (7)

한쪽 기판에 부착되는 제 1 커넥터와, 다른쪽 기판에 부착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고,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끼워 맞춤으로써 기판끼리를 접속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한쪽 기판에 고정되는 제 1 고정 하우징과, 제 1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가동 하우징과, 일단측이 제 1 가동 하우징에 홀딩되고, 타단측이 제 1 고정 하우징에 홀딩되는 제 1 단자를 가지며,
제 1 단자는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부를 갖고 있고,
상기 가동부는 커넥터의 폭 방향에 대응하는 폭 치수가 커넥터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에 대응하는 두께 치수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커넥터는 다른쪽 기판에 고정되는 제 2 고정 하우징과, 제 2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가동 하우징과, 일단측이 제 2 가동 하우징에 홀딩되고, 타단측이 제 2 고정 하우징에 홀딩되는 제 2 단자를 가지며,
제 2 단자는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부를 갖고 있고,
상기 가동부는 커넥터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에 대응하는 두께 치수가 커넥터의 폭 방향에 대응하는 폭 치수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A connector comprising a first connector attached to one of the substrates and a second connector attached to the other of the substrates,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being fitted to each other to connect the substrates to each other,
The first connector includes a first fixed housing fixed to one board, a first movable housing movably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first fixed housing, a second movable housing having one end held in the first movable housing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first fixed housing, And a first terminal held in the housing,
The first terminal has a movable portion which is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Wherein the movable portion is formed such that a width dimension corresponding to a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is larger than a thickness dimension corresponding to a front-rear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A second movable housing which is movab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fixed housing, and a second movable housing which has one end held by the second movable housing and the other end held by the second movable housing, And a second terminal held in the fixed housing,
The second terminal has a movable portion which is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Wherein the movable portion is formed such that the thickness dimens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is larger than the width dimens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를 커넥터의 상하 방향으로 굴곡하도록 형성하는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movable portion is formed to bend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에 제 2 단자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제 2 단자에는 제 1 단자의 접촉부에 접촉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제 1 및 제 2 접촉부를 설치하고,
제 2 단자의 제 1 및 제 2 접촉부를 서로 커넥터 끼워 맞춤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커넥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rst terminal is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which contacts the second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resiliently deformable contact portions which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of the second terminal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onnector fitting direction.
한쪽 기판에 부착되어 있고, 다른쪽 기판에 부착되는 다른 커넥터와 끼워 맞춤으로써 기판끼리를 접속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과,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 하우징과, 일단측이 가동 하우징에 홀딩되고, 타단측이 고정 하우징에 홀딩되는 단자를 가지며,
단자는 상기 다른 커넥터의 단자에 대하여 커넥터 끼워 맞춤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접촉부와,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부를 갖고 있고,
상기 가동부는 커넥터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에 대응하는 두께 치수가 커넥터의 폭 방향에 대응하는 폭 치수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A connector for connecting a board to each other by being fitted to another board attached to one board and another board attached to the other board,
A movable housing which is movably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fixed housing, a terminal having one end held in the movable housing and the other end held in the fixed housing,
The terminal has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terminals of the other connector at intervals in the connector fitting direction and movable portions which are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Wherein the movable portion is formed such that the thickness dimens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is larger than the width dimens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를 상기 다른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 방향 및 끼워 맞춤 방향에 대한 반대 방향으로 굴곡하도록 형성하는 커넥터.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movable portion is formed so as to be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tting direction and the fitt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ther connector.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가동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편부와,
일단측이 고정편부에 연결되고 타단측이 제 1 접촉부에 연결되는 제 1 탄성편부와,
일단측이 고정편부에 연결되고 타단측이 제 2 접촉부에 연결되는 제 2 탄성편부를 갖는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The terminal includes a fixed piece fixed to the movable housing,
A first elastic piece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xed piec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And a second elastic piece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xed piec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por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커넥터의 하우징이 단자를 홀딩하고 상기 가동 하우징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이고,
제 2 탄성편부의 상기 일단측은 상기 돌출부의 선단측으로부터 측면의 형상을 따라 우회하여 신장하는 굴곡부를 갖는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housing of the other connector having a protrusion for holding a terminal and being inserted into the movable housing,
And the one end side of the second elastic piece portion has a bending portion that extends from the leading end side of the protruding portion to the outside along the shape of the side surface.
KR1020140115945A 2013-09-05 2014-09-02 Connector KR10151437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84389A JP5422776B1 (en) 2012-09-05 2013-09-05 connector
JPJP-P-2013-184389 2013-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203A KR20150028203A (en) 2015-03-13
KR101514373B1 true KR101514373B1 (en) 2015-04-22

Family

ID=51429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945A KR101514373B1 (en) 2013-09-05 2014-09-02 Connecto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846409A3 (en)
KR (1) KR101514373B1 (en)
CN (1) CN104425936B (en)
TW (2) TWI525920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9166B1 (en) * 2014-12-12 2016-01-2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Board to board connection structure
JP6438382B2 (en) * 2015-12-15 2018-12-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JP6446392B2 (en) * 2016-05-23 2018-12-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and mating connection member
CN106299781B (en) * 2016-08-10 2018-12-28 深圳市深台帏翔电子有限公司 Connector
JP6860996B2 (en) * 2016-08-29 2021-04-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Regulators for electrical connectors for circuit boards
JP6776085B2 (en) * 2016-10-05 2020-10-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connector
JP6806529B2 (en) * 2016-11-02 2021-01-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Floating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JP6727103B2 (en) * 2016-11-11 2020-07-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8631077A (en) * 2017-03-22 2018-10-09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Board to board connector module
JP6959802B2 (en) 2017-09-04 2021-11-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connector
TWI641186B (en) * 2017-10-03 2018-11-11 格稜股份有限公司 Signal transmission assembly, floating connector, and soldering member of floating connector
JP2019102373A (en) * 2017-12-07 2019-06-2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Floating connector
KR101986532B1 (en) * 2018-02-14 2019-06-10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KR102611241B1 (en) * 2018-07-17 2023-12-0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TWI753658B (en) * 2020-11-16 2022-01-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Floating connector with power electrode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1381A (en) * 1970-04-02 1971-12-28 Ind Electronic Hardware Corp Multiple electrical connector
US4106841A (en) * 1977-03-11 1978-08-15 Bunker Ramo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TWM265820U (en) * 2004-09-15 2005-05-21 Hannstar Electronics Corp Board to board connector
TWM262870U (en) * 2004-09-16 2005-04-21 Advanced Connectek Inc Board to board connector
JP2007018785A (en) * 2005-07-06 2007-01-25 D D K Ltd Connector
TWM295833U (en) * 2005-12-20 2006-08-11 P Two Ind Inc Terminal structure of board-to-board connector
JP2007220542A (en) * 2006-02-17 2007-08-30 Iriso Denshi Kogyo Kk Connector
TWM295830U (en) * 2006-03-01 2006-08-11 Cheng Uei Prec Ind Co Ltd Board to board connector
JP2011249076A (en) * 2010-05-25 2011-12-08 Fujitsu Component Ltd Floating connector
EP2733793B1 (en) * 2012-11-15 2016-06-15 Iriso Electronics Co., Ltd.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93796B (en) 2015-07-21
CN104425936A (en) 2015-03-18
TWI525920B (en) 2016-03-11
CN104425936B (en) 2018-09-11
EP2846409A3 (en) 2015-04-29
TW201507287A (en) 2015-02-16
EP2846409A2 (en) 2015-03-11
KR20150028203A (en) 2015-03-13
TW201511420A (en) 201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4373B1 (en) Connector
JP5422776B1 (en) connector
KR101514372B1 (en) Connector
JP5606588B1 (en) connector
KR101784193B1 (en) Connector
JP5946804B2 (en) connector
KR101364231B1 (en) Connector
JP2007220542A (en) Connector
JP2017079214A (en) connector
CN104347995B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2156090A (en) Floating type connector
KR20120031246A (en) Connector
US20080268675A1 (en)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or
JP4034801B2 (en) Electrical connector
JP6069541B2 (en) connector
JP2015065147A (en) Electronic component socket
JP2014235911A (en) Connector
JP5261608B1 (en) connector
JP7266464B2 (en) floating connectors, connectors, floating connector assemblies
JP5833486B2 (en) Board connector
JP2017228548A (en) connector
JP2013008500A (en)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