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073B1 - 구명복 겸용 분리형 부력방호복 - Google Patents

구명복 겸용 분리형 부력방호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073B1
KR101512073B1 KR20140127555A KR20140127555A KR101512073B1 KR 101512073 B1 KR101512073 B1 KR 101512073B1 KR 20140127555 A KR20140127555 A KR 20140127555A KR 20140127555 A KR20140127555 A KR 20140127555A KR 101512073 B1 KR101512073 B1 KR 101512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art
protecting
accommodating
buoyanc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7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욱
박남규
Original Assignee
(주)대산플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산플랜트 filed Critical (주)대산플랜트
Priority to KR20140127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5/00Armour; Armour plates
    • F41H5/02Plat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71/00Protective equipment
    • B32B2571/02Protective equipment defensive, e.g. armour plates, anti-ballistic clothing

Abstract

본 발명은 구명복 겸용 분리형 부력방호복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구명복과 겸용으로 사용 가능한 분리형 부력방호복을 제작함으로써 수중에서 전투력을 보존하면서도 익사의 위험을 방지하고, 부력기능과 방호기능을 상호 분리시켜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기능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며, 제1 몸체부와 일체로 연결된 하부보호부를 이중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물과 냉기를 차단하고, 제1 몸체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안면, 측두부, 및 후두부를 보호할 수 있는 안면보호부를 구비함으로써 안면부를 보호하여 저체온 현상을 방지하며, 제1 측면부의 내측에 식수팩 거치를 위한 제1 수용부를 구비하여 비상 시 탈수를 방지하고, 세섬도 섬유와 박막형 수지를 혼성화한 방탄재를 이용하여 제2 몸체부와 제2 측면부에 적용함으로써 경량화되어 착용자의 활동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구명복 겸용 분리형 부력방호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명복 겸용 분리형 부력방호복{The combined protective clothing and life vest}
본 발명은 구명복 겸용 분리형 부력방호복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구명복과 겸용으로 사용 가능한 분리형 부력방호복을 제작함으로써 수중에서 전투력을 보존하면서도 익사의 위험을 방지하고, 부력기능과 방호기능을 상호 분리시켜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기능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며, 제1 몸체부와 일체로 연결된 하부보호부를 이중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물과 냉기를 차단하고, 제1 몸체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안면, 측두부, 및 후두부를 보호할 수 있는 안면보호부를 구비함으로써 안면부를 보호하여 저체온 현상을 방지하며, 제1 측면부의 내측에 식수팩 거치를 위한 제1 수용부를 구비하여 비상 시 탈수를 방지하고, 세섬도 섬유와 박막형 수지를 혼성화한 방탄재를 이용하여 제2 몸체부와 제2 측면부에 적용함으로써 경량화되어 착용자의 활동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구명복 겸용 분리형 부력방호복에 관한 것이다.
방탄복은 날아오는 탄환 및 포탄의 파편으로 인한 착용자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진 보호복으로서, 나일론, 아라미드계 섬유(케블러, 트와론), 폴리에틸렌계 섬유(다이니마, 스펙트라)를 직물 또는 펠트처리를 통해 제작된다. 또한, 방호성능을 높이기 위해 세라믹 패널이나 방탄섬유를 압착한 패널이 추가로 장착될 수도 있다.
종래의 방탄복은 단순 방호 기능만을 제공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착용자가 물에 빠졌을 경우에 수중에 투하된 방탄복은 기존 중량에 비해 증가되어 활동성을 떨어뜨리고 부력 기능이 없어 익사의 위험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방탄복 내부에 부력재와 방탄재를 함께 봉재하여 부력성능을 추가 내장한 부력기능이 구비된 방탄복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52003호(2011.1.19 등록), 부력 방탄복은 앞판, 뒷판, 목깃으로 이루어지는 부력재가 부력재용 커버 내에 삽입되고, 앞판, 뒷판, 목깃으로 이루어지는 방탄재가 방탄재용 커버 내에 삽입되며, 부력재 및 방탄재가 벌크로 테잎에 의해 내피의 내측과 결합되고, 내피가 외피와 일체로 봉합됨으로써 부력성능을 증대시키고, 앞판, 뒷판, 목깃의 부력재와 방탄재를 분할하여 장착함으로써 착용자가 신체활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PE(Polyethylene) 가교 타입 발포제를 부력재로 사용하여 보관성 및 내구성을 상대적으로 높여 부력성능의 증대시킬 수 있고, 방탄재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UD 프리프레그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직물을 적층하여 형성함으로써 파편탄 및 실탄에 대한 방호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하지만, 방호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방호소재 적층이 필요하며, 중량 증가로 인해 경량화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방탄복과 구명복의 기능이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으면서 경량화된 기능성 부력 방탄복 제작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수중에서 전투력을 보존하면서도 익사의 위험을 방지하고, 부력기능과 방호기능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며, 물의 유입 및 냉기를 차단하여 저체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경량화되어 착용자의 활동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구명복 겸용 분리형 부력방호복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구명복 겸용 분리형 부력방호복은 몸체를 보호하고 보온처리된 제1 몸체부; 식수팩 거치를 위한 제1 수용부, 제1 수용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흉부 압착을 위한 탄성부재, 및 탄성부재의 일측에 보온 기능을 구비한 보강 외피를 포함하며, 제1 몸체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복부 전면을 감싸는 제1 측면부; 제1 몸체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안면을 감싸는 안면보호부; 및 제1 몸체부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일측에 걸림부재가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져 복부 전면과 하부 일부를 고정하며, 방수소재를 이용하여 물의 유입 및 냉기를 차단하는 하부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부의 상면과 접촉하고, 몸통 보호를 위해 정면부 및 배면부 중앙에 방탄판 삽입을 위한 방탄수용부를 포함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몸체부의 양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내측에 탄창과 수통의 거치를 위한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제2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명복과 겸용으로 사용 가능한 분리형 부력방호복을 제작함으로써 수중에서 전투력을 보존하면서도 익사의 위험을 방지하고, 부력기능과 방호기능을 상호 분리시켜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기능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몸체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하부를 보호하기 위한 하부보호부를 이중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물의 유입 및 냉기를 차단하여 저체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몸체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안면, 측두부, 및 후두부를 보호할 수 있는 안면보호부를 구비함으로써 안면부를 보호하여 저체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측면부의 내측에 식수팩 거치를 위한 제1 수용부를 구비하여 비상 시 탈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세섬도 섬유와 박막형 수지를 혼성화한 방탄재를 이용하여 제2 몸체부와 제2 측면부에 적용함으로써 경량화되어 착용자의 활동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 겸용 분리형 부력방호복의 개념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 겸용 분리형 부력방호복의 분리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 겸용 분리형 부력방호복의 내부 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 겸용 분리형 부력방호복의 개념도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 겸용 분리형 부력방호복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 겸용 분리형 부력방호복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 겸용 분리형 부력방호복(100)은 제1 몸체부(200), 제1 측면부(210), 안면보호부(220), 하부보호부(230), 제2 몸체부(300), 목보호부(310), 및 제2 측면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몸체부(200)는 등과 흉부를 포함하는 몸체를 보호하는 중심부로서, 내부에는 보온재와 부력재를 구비하여 보온기능과 부력기능을 동시에 제공한다. 여기서, 보온재와 부력재의 내부 배치 구조는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부력재는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소재를 사용하여, 착용감 및 보온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몸체부(200)에서 제1 측면부(210)로 연결되는 연결부(212)는 지면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212)의 일측은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212)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연결부(212)는 탄성력이 구비된 소재를 사용하여 허리절개의 활동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측면부(210)는 제1 몸체부(200)의 양측에 구비되어 복부 전면을 감싸며, 식수팩 거치를 위한 제1 수용부(214), 제1 수용부(214)의 일측에 흉부 압박을 위한 탄성부재(216), 및 제1 수용부(214)와 탄성부재(216)의 일측에 보온 기능을 구비한 보강 외피(2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안면보호부(220)는 제1 몸체부(200)에 연결되어, 수중에서 안면부를 보호하여 저체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후두부 보호를 위한 후두보호부(222)와, 후두보호부(222)와 연결되어 측두부 보호를 위한 측두보호부(2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안면보호부(220)에는 부력재를 내장하여 부력성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후두보호부(222)와 측두보호부(224)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후두보호부(222)와 측두보호부(224)의 외피는 폴리아마이드 섬유인 케블라(Kevlar)로 제작될 수 있으며, 내피는 합성고무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부위별 제직되는 섬유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하부보호부(230)는 제1 몸체부(200)의 하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냉기 차단 및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합성고무를 적층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합성고무를 적층하여 형성된 구조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과 냉기를 차단하여 착용자의 저체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합성고무는 부틸고무(부틸러버,butyl rubber)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합성고무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하부보호부(230)의 일측에는 걸림부재(232)가 연결부재(234)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져 복부 전면과 하부 일부를 고정한다.
제1 몸체부(200)와 제2 몸체부(300)는 제1 몸체부(200)의 양측 어깨와 제1 몸체부(200)의 허리라인을 따라 형성된 접착부재(236)를 통해 연결되며, 상호 착탈가능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허리라인을 따라 형성된 허리벨트프레임(238)에 접착부재(236)를 부착하여 상호 착탈가능하도록 한다. 일례로, 접착부재(236)는 반사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몸체부(300)는 제1 몸체부(200)의 상면에 배치되고, 탄환 및 포탄의 파편으로부터 몸통 보호를 위해 정면부, 배면부, 및 제2 측면부에 방탄판 삽입을 위한 방탄수용부(3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 몸체부(300)의 양측 어깨에는 제2 몸체부(300)의 앞판과 뒷판 길이 조절을 위한 어깨띠(304)가 구비된다. 어깨띠(304)는 제2 몸체부(300)의 앞판과 뒤판을 연결하고 앞판과 뒤판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어깨띠(304)의 일측에는 어깨띠(304)를 둘러싸는 어깨띠덮개(306)가 더 구비되어, 어깨띠(304)의 이탈을 방지한다.
목 보호부(310)는 목 전면을 보호하기 위해 제2 몸체부(300)의 네크라인을 따라 기 지정된 기울기로 연장 형성된다. 목 보호부(310)의 일면에는 봉재선이 형성되어 봉재선을 기준으로 구부림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하고, 일반적으로는 봉재선을 따라 제2 몸체부(300)의 앞판 방향으로 접어 착용하고, 비상 시에는 구부림을 펴서 목 라인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측면부(320)는 제2 몸체부(30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되, 일체로 형성되어, 복부 전면을 감싼다. 이때, 복부와 밀착되지 않고 내부 공간을 두고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장착되는 제1 측면부(210)와의 부딪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몸체부(300)의 측면은 일부가 개방되고 일부는 제2 측면부(320)에 의해 폐쇄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면부(320)의 내측에는 탄창과 수통의 거치를 위한 제2 수용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기존의 방탄복은 방탄섬유를 압축하고 그물 형태로 엇갈려 제직함으로써 인장강도를 향상시켜 총탄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방호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방호소재를 적층하여 형성해야 했으며, 특히, aramid 소재의 경우, 20~30겹의 적층이 필요하므로, 방탄복의 무게가 중량화되어 활동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명복 겸용 분리형 부력방호복 은 세섬도(200denier 이하, 모노필라멘트 1denier 이하)섬유와 박막형 수지를 혼성화한 하이브리드(hybrid) 방탄재를 사용하여 경량화하고 착용자의 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이브리드 방탄재는 세섬도 아라미드 섬유, UHMWPE(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섬유를 혼성제직 구조, 평면형 구조, 일방형 UD(Uni-directional), 이방성 부직포를 포함하는 직물형태로 혼성화하여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높고 방탄성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구명복 겸용 분리형 부력방호복 200 - 제1 몸체부
210 - 제1 측면부 212 - 연결부
214 - 제1 수용부 216 - 탄성부재
220 - 안면보호부 222- 후두보호부
224 - 측두보호부 230 - 하부보호부
232 - 걸림부재 234 - 연결부재
236 - 접착부재 238 - 허리벨트프레임
300 - 제2 몸체부 302 - 방탄수용부
304 - 어깨띠 306 - 어깨띠덮개
310 - 목 보호부 320 - 제2 측면부

Claims (3)

  1. 몸체를 보호하고 보온처리된 제1 몸체부;
    식수팩 거치를 위한 제1 수용부, 제1 수용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흉부 압착을 위한 탄성부재, 및 탄성부재의 일측에 보온 기능을 구비한 보강 외피를 포함하며, 제1 몸체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복부 전면을 감싸는 제1 측면부;
    후두부 보호를 위한 후두보호부와 후두보호부와 연결되어 측두부 보호를 위한 측두보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1 몸체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안면을 감싸는 안면보호부;
    제1 몸체부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일측에 걸림부재가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져 복부 전면과 하부 일부를 고정하며, 방수소재를 이용하여 물의 유입 및 냉기를 차단하는 하부보호부;
    제1 몸체부의 상면과 접촉하고, 몸통 보호를 위해 정면부 및 배면부 중앙에 방탄판 삽입을 위한 방탄수용부를 포함하는 제2 몸체부;
    제2 몸체부의 양측에 연결되되, 일체로 형성되어 복부 전면을 감싸고 내부 공간을 두고 형성되어 제1 측면부와의 부딪침을 최소화하며, 내측에 탄창과 수통의 거치를 위한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제2 측면부;
    제2 몸체부의 양측 어깨에 구비되어 제2 몸체부의 앞판과 뒷판 길이 조절을 위한 어깨띠;
    어깨띠의 일측에 구비되어 어깨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어깨띠덮개; 및
    목 전면을 보호하기 위해 제2 몸체부의 네크라인을 따라 기 지정된 기울기로 연장형성되고, 일면에는 봉재선이 형성되어 봉재선을 기준으로 구부림과 펼침이 가능한 목보호부
    를 포함하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는 제1 몸체부의 양측 어깨와 제1 몸체부의 허리라인을 따라 형성된 접착부재를 통해 연결되며, 상호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복 겸용 분리형 부력방호복.
  2. 삭제
  3. 삭제
KR20140127555A 2014-09-24 2014-09-24 구명복 겸용 분리형 부력방호복 KR101512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7555A KR101512073B1 (ko) 2014-09-24 2014-09-24 구명복 겸용 분리형 부력방호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7555A KR101512073B1 (ko) 2014-09-24 2014-09-24 구명복 겸용 분리형 부력방호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073B1 true KR101512073B1 (ko) 2015-04-14

Family

ID=53034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27555A KR101512073B1 (ko) 2014-09-24 2014-09-24 구명복 겸용 분리형 부력방호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0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6787A1 (ko) * 2016-07-19 2018-01-25 (주)디앤아이커뮤니케이션 인체공학적 팽창형 구명조끼
CN111536833A (zh) * 2020-04-16 2020-08-14 江苏安华警用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军警用救生型防弹衣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3105A (ja) * 2005-01-17 2006-07-27 Shimano Inc 救命胴衣
KR101003179B1 (ko) * 2010-08-31 2010-12-22 주식회사 파이로 폴리우레탄 에어셀 시트를 이용한 부력 방탄복
KR20140055214A (ko) * 2012-10-31 2014-05-09 주식회사인스타 구명대 방탄조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3105A (ja) * 2005-01-17 2006-07-27 Shimano Inc 救命胴衣
KR101003179B1 (ko) * 2010-08-31 2010-12-22 주식회사 파이로 폴리우레탄 에어셀 시트를 이용한 부력 방탄복
KR20140055214A (ko) * 2012-10-31 2014-05-09 주식회사인스타 구명대 방탄조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6787A1 (ko) * 2016-07-19 2018-01-25 (주)디앤아이커뮤니케이션 인체공학적 팽창형 구명조끼
CN111536833A (zh) * 2020-04-16 2020-08-14 江苏安华警用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军警用救生型防弹衣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9464A (en) Protective garment
US3557384A (en) Variable infantry armor system
US8505113B2 (en) Ballistic helmet with nape protector
US20150026858A1 (en) Adjustable facial protection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AU2010224243B2 (en) Personal ballistic protection
KR100974174B1 (ko) 방탄복
US20120174275A1 (en) Female armor system
US20130152290A1 (en) Removable healthcare and protective multi-functional leisurewear
ES2757249T3 (es) Elemento de protección balística para chaleco antibalas
US20100152636A1 (en) Ballistic lumbar support belt
US20190331463A1 (en) Protective clothing system with cooling subsystem
KR101896437B1 (ko) 방호복
KR101512073B1 (ko) 구명복 겸용 분리형 부력방호복
EP3564616B1 (en) Female protective vest
US9752854B1 (en) Holding for body mounted armor
US20110099675A1 (en) Ballistic resistant neck protector
KR101430559B1 (ko) 방탄복
KR101725771B1 (ko) 방검복
ES2887251T3 (es) Protección antibalística ligera flexible
US8397312B1 (en) Supplemental body armor component
CN214372037U (zh) 扫雷防护装具
KR200452003Y1 (ko) 부력 방탄복
EP2199727A1 (en) Protective garment with a ballistic resistant torso portion and stab and cut resistant sleeves
RU130061U1 (ru) Бронежилет "7б-вв"
CN212843184U (zh) 一种具有散热结构的军用防弹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