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790B1 - 유아 세정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유아 세정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790B1
KR101510790B1 KR20120137884A KR20120137884A KR101510790B1 KR 101510790 B1 KR101510790 B1 KR 101510790B1 KR 20120137884 A KR20120137884 A KR 20120137884A KR 20120137884 A KR20120137884 A KR 20120137884A KR 101510790 B1 KR101510790 B1 KR 101510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upper body
infant
storage space
ch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37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9967A (ko
Inventor
배종훈
Original Assignee
배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종훈 filed Critical 배종훈
Priority to KR20120137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790B1/ko
Publication of KR20140069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6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 A47K3/07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attachable to other basins, or the like
    • A47K3/074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attachable to other basin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use for children or babies on dressing-tables for bab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01Accessories for baths, not provided for in other subgroups of group A47K3/00 ; Insertions, e.g. for babies; Tubs suspended or inserted in baths; Security or alarm devices; Protecting linings or coverings;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baths; Bath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47K3/024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for children or bab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의 세정시에 사용되는 유아 세정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머리감김 등을 포함한 목욕, 대소변 처리 등과 같은 유아의 세정시 유아를 안정적으로 엎드리게 하여 움직임을 둔화시킴으로써 안정적인 세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기저귀 교체시에도 사용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지면에 안착되는 바닥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측이 개방된 형태로 내측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일측에 구비된 힌지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몸체의 타측에 구비된 개폐구에 의해 개폐단속 가능하게 연결되어 하부몸체의 상부측에 덮개 형태로 안착되며, 상부측에 유아가 엎드린 상태로 가슴부분이 밀착 지지되도록 중간측이 볼록하고 전후방측이 각각 하향 만곡진 형태의 가슴받침부가 형성되는 상부몸체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면에 안착되는 바닥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내측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측에 연장 형성되며 상부측에 유아가 엎드린 상태로 가슴부분이 밀착 지지되도록 중간측이 볼록하고 전후방측이 각각 하향 만곡진 형태의 가슴받침부가 형성되는 상부몸체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일체형의 하부몸체 및 상부몸체의 일측벽체에 힌지구에 의해 작동되는 개폐문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유아 세정보조기구{Subsidiary apparatus for cleaning child for moving type}
본 발명은 유아의 세정시에 사용되는 유아 세정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머리감김 등을 포함한 목욕, 대소변 처리 등과 같은 유아의 세정시 유아를 안정적으로 엎드리게 하여 움직임을 둔화시킴으로써 안정적인 세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기저귀 교체시에도 사용 가능한 유아 세정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幼兒)를 목욕시키거나 머리 감김, 특히 대소변을 본 후 엉덩이부위 등을 씻길때 어른이 유아를 안고 세정을 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유아를 안고 씻기게 되면 대부분의 아이가 가만히 있지 않고 움직이게 되며, 특히 씻는 것을 싫어하고 물을 싫어하는 유아의 경우 움직임이 심하여 제대로 씻기기 힘들 뿐만 아니라 세정거품 등이 심하게 튀거나 어른의 옷에 묻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유아용 목욕 보조기구가 다양하게 제시되었는데 대부분은 국내등록실용신안 제0441036호에서와 같은 의자형 목욕보조기구이다. 위의 내용을 상세히 살펴보면 유아가 어른과 마주보게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의자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유아를 안정적으로 앉히기도 힘들고 유아의 움직임을 제어할 방법이 없으며, 특히 대소변 처리시 유아의 엉덩이 부위를 세정시키기 곤란한 구조이다.
또한 유아의 키에 대해 상응할 수 있는 구조가 없어 유아가 성장함에 따라 계속 사용할 수 없으므로 필요시에는 더 큰 보조기구를 사는 등 키에 맞게 구매를 해야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머리감김 등을 포함한 목욕, 대소변 처리 등과 같은 유아의 세정시 유아를 안정적으로 엎드리게 하여 움직임을 둔화시킴으로써 안정적인 세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아 세정보조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에 안착되는 바닥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측이 개방된 형태로 내측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일측에 구비된 힌지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몸체의 타측에 구비된 개폐구에 의해 개폐단속 가능하게 연결되어 하부몸체의 상부측에 덮개 형태로 안착되며, 상부측에 유아가 엎드린 상태로 가슴부분이 밀착 지지되도록 중간측이 볼록하고 전후방측이 각각 하향 만곡진 형태의 가슴받침부가 형성되는 상부몸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세정보조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면에 안착되는 바닥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내측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측에 연장 형성되며 상부측에 유아가 엎드린 상태로 가슴부분이 밀착 지지되도록 중간측이 볼록하고 전후방측이 각각 하향 만곡진 형태의 가슴받침부가 형성되는 상부몸체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일체형의 하부몸체 및 상부몸체의 일측벽체에 힌지구에 의해 작동되는 개폐문이 구비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세정보조기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아 세정보조기구는 유아의 머리 감김, 전신 또는 부분 목욕, 대소변 처리시에 유아가 지면 방향으로 보도록 안전하게 엎드림과 동시에 유아의 움직임을 둔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세정이 가능하고, 유아를 세정시키는 어른이 힘들이지 않고 세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유아의 기저귀 교체시에도 유아의 움직임을 둔화시킴으로써 어른이 손쉽게 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 구성요소를 인체 무해한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함으로써 안전성과 제작성이 우수하며, 보관이 용이하고 무게가 가벼워 휴대 및 이동이 유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유아 세정보조기구의 전방측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후방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슴받침판의 분해 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개방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대가 다른 위치에 설치된 사용 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바닥부재의 다양한 실시예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실시예의 유아 세정보조기구의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 상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유아 세정보조기구는 지면에 안착되는 하부몸체(10)와, 하부몸체(10)에 힌지 연결되어 유아의 가슴부분을 지지하는 상부몸체(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몸체(10)는 지면에 안착되는 전후방 각각 한쌍의 바닥부재(11)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측이 개방된 형태로 내측에 수납공간(13)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바닥부재(11)는 도 7의 (a)에서와 같이 고정형으로 제작되는 경우 지면의 안착성을 높이기 위해 바닥부에 밀착패드(19)를 구성하도록 하며, 도 6의 (b)에서와 같이 바닥부재(11)를 바퀴로 형성하여 회전 구동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하부몸체(10)는 수납공간(13) 바닥부에 배수공(15)이 형성되고, 배수공(15)을 중심으로 하부몸체(10)의 외측벽으로 상향 경사지게 경사면(16)이 형성되어 수납공간(13)으로 스며드는 물이 배수공(1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수납공간(13)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유아용 목욕도구 등을 보관할 수 있다.
상기 하부몸체(10)의 상부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몸체(20)는, 상기 하부몸체(10)의 일측에 구비된 힌지구(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몸체(10)의 타측에 구비된 개폐구(23)에 의해 개폐단속 가능하게 연결되어 하부몸체(10)의 상부측에 덮개 형태로 안착되며, 상부측에 유아가 엎드린 상태로 가슴부분이 밀착 지지되도록 중간측이 볼록하고 전후방측이 각각 하향 만곡진 형태의 가슴받침부(25)가 형성된다.
상기 가슴받침부(25)는 상부몸체(20)에 상응하는 중간측이 볼록하고 전후방측이 각각 하향 만곡진 형태의 가슴받침판(70)을 분리 형성하여 착탈 가능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가슴받침판(70)은 방수성 쿠션 등으로 제작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부몸체(20)의 전방측에 유아의 목을 받침하도록 상부몸체(20) 상에 움푹패인 형태로 목받침부(42)를 형성하고, 상부몸체(20)의 후방측에 유아의 엉덩이를 받침하도록 상부몸체(20) 상에 움푹패인 형태로 엉덩이받침부(44)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목받침부(42) 및 엉덩이받침부(44)를 움푹패인 형태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유아의 목부위 및 엉덩이부위가 상부몸체(2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부몸체(20)의 가슴받침부(25) 좌우 양측에 유아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출 형태의 상체이탈가이드(30)를 구비한다.
상체이탈가이드(30)는 도 1에서와 같이 손잡이 기능이 가능하도록 봉 형태로 형성하여 상부몸체(20) 보다 상부측으로 구비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20)의 중간측 양측벽체에 각각 상부고정걸이구(52)를 고정 구비하고, 하부몸체(10)의 전방측 양측벽에 각각 전방고정걸이구(54)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고정걸이구(52) 및 전방고정걸이구(54)에 선택적으로 양측 연결되는 봉 형태로 끼워지는 손잡이대(50)를 구비한다.
상기 손잡이대(50)의 사용 실시예로서, 도 9의 (a)에서와 같이 세정시에는 유아(2)가 엎드린 상태에서 전방고정걸이구(54)에 장착된 손잡이대(50)를 잡고 있으면 되고, 도 10에서와 같이 유아(2)의 서 있는 상태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상부고정걸이구(52)에 손잡이대(50)를 옮겨 장착하여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20)의 양측벽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벽체에 샤워기를 걸어둘 수 있는 샤워기홀더(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부몸체(20)의 전방측 양측부에 도 1에서와 같이 유아(2)가 세정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용돌출봉(8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용돌출봉(80)은 상기 전방고정걸이구(54)에 장착되는 손잡이대(50)의 대용으로서 병행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세정기구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에서와 같이 지면에 안착되는 바닥부재(11)에 의해 지지되며 내측에 수납공간(13)이 형성되는 하부몸체(10)와, 상기 하부몸체(10)의 상부측에 연장 형성되며 상부측에 유아가 엎드린 상태로 가슴부분이 밀착 지지되도록 중간측이 볼록하고 전후방측이 각각 하향 만곡진 형태의 가슴받침부(25)가 형성되는 상부몸체(20)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일체형의 하부몸체(10) 및 상부몸체(20)의 일측벽체에 힌지구(92)에 의해 작동되는 개폐문(90)을 구비하여 구성되게 할 수 있다. 이때 개폐문(90)에는 개폐손잡이(94)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일체형의 구성이더라도 그 나머지 구성은 상술된 분리형의 경우와 동일하다.
10 : 하부몸체 11 : 바닥부재
13 : 수납공간 15 : 배수공
16 : 경사면 20 : 상부몸체
21 : 힌지구 23 : 개폐구
25 : 가슴받침부 30 : 상체이탈가이드
42 : 목받침부 44 : 엉덩이받침부
50 : 손잡이대 52 : 상부고정걸이구
54 : 전방고정걸이구 60 : 샤워기홀더
70 : 가슴받침판 80 : 손잡이용돌출봉
90 : 개폐문 92 : 힌지구
94 : 개폐손잡이

Claims (10)

  1. 지면에 안착되는 바닥부재(11)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측이 개방된 형태로 내측에 수납공간(13)이 형성되는 하부몸체(10);
    상기 하부몸체(10)의 일측에 구비된 힌지구(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몸체(10)의 타측에 구비된 개폐구(23)에 의해 개폐단속 가능하게 연결되어 하부몸체(10)의 상부측에 덮개 형태로 안착되며, 상부측에 유아가 엎드린 상태로 가슴부분이 밀착 지지되도록 중간측이 볼록하고 전후방측이 각각 하향 만곡진 형태의 가슴받침부(25)가 형성되는 상부몸체(20)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몸체(10)의 수납공간(13) 바닥부에 배수공(15)이 형성되고, 배수공(15)을 중심으로 하부몸체(10)의 외측벽으로 상향 경사지게 경사면(16)이 형성되어 수납공간(13)으로 스며드는 물이 배수공(1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바닥부재(11)는 회전 구동가능한 바퀴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몸체(20)의 가슴받침부(25) 좌우 양측에 유아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출 형태의 상체이탈가이드(30)를 구비하되, 봉 형태로 형성하여 손잡이 기능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세정보조기구.
  2. 지면에 안착되는 바닥부재(11)에 의해 지지되며 내측에 수납공간(13)이 형성되는 하부몸체(10)와, 상기 하부몸체(10)의 상부측에 연장 형성되며 상부측에 유아가 엎드린 상태로 가슴부분이 밀착 지지되도록 중간측이 볼록하고 전후방측이 각각 하향 만곡진 형태의 가슴받침부(25)가 형성되는 상부몸체(20)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일체형의 하부몸체(10) 및 상부몸체(20)의 일측벽체에 힌지구(92)에 의해 작동되는 개폐문(90)이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바닥부재(11)는 회전 구동가능한 바퀴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몸체(20)의 가슴받침부(25) 좌우 양측에 유아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출 형태의 상체이탈가이드(30)를 구비하되, 봉 형태로 형성하여 손잡이 기능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세정보조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10)의 수납공간(13) 바닥부에 배수공(15)이 형성되고, 배수공(15)을 중심으로 하부몸체(10)의 외측벽으로 상향 경사지게 경사면(16)이 형성되어 수납공간(13)으로 스며드는 물이 배수공(1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세정보조기구.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20)의 전방측에 유아의 목을 받침하도록 상부몸체(20) 상에 움푹패인 형태로 목받침부(42)를 형성하고, 상부몸체(20)의 후방측에 유아의 엉덩이를 받침하도록 상부몸체(20) 상에 움푹패인 형태로 엉덩이받침부(44)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세정보조기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20)의 중간측 양측벽체에 각각 상부고정걸이구(52)를 고정 구비하고, 하부몸체(10)의 전방측 양측벽에 각각 전방고정걸이구(54)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고정걸이구(52) 및 전방고정걸이구(54)에 선택적으로 양측 연결되는 봉 형태로 끼워지는 손잡이대(5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세정보조기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받침부(25)는 상부몸체(20)에 상응하는 중간측이 볼록하고 전후방측이 각각 하향 만곡진 형태의 가슴받침판(70)을 분리 형성하여 착탈 가능한 구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세정보조기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20)의 양측벽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벽체에 샤워기를 걸어둘 수 있는 샤워기홀더(6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세정보조기구.
  9. 삭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20)의 전방측 양측부에 유아(2)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용돌출봉(80)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세정보조기구.
KR20120137884A 2012-11-30 2012-11-30 유아 세정보조기구 KR101510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7884A KR101510790B1 (ko) 2012-11-30 2012-11-30 유아 세정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7884A KR101510790B1 (ko) 2012-11-30 2012-11-30 유아 세정보조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011A Division KR20150008026A (ko) 2014-12-04 2014-12-04 유아 세정보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967A KR20140069967A (ko) 2014-06-10
KR101510790B1 true KR101510790B1 (ko) 2015-04-13

Family

ID=51124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37884A KR101510790B1 (ko) 2012-11-30 2012-11-30 유아 세정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7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451B1 (ko) * 2014-11-20 2015-07-02 배종훈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
CN107874665B (zh) * 2017-11-09 2020-10-02 广州健之杰洁具有限公司 一种浴缸盖的移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768Y1 (ko) 2002-12-26 2003-03-26 주식회사 금보상사 어린이용 승용완구
KR200360347Y1 (ko) 2003-08-20 2004-08-30 이원재 기포식 유아욕조
JP2008533397A (ja) 2005-03-15 2008-08-21 シャフト−フォーム−エンジニアリング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ジョイント結合装置を製造する方法並びにジョイント結合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768Y1 (ko) 2002-12-26 2003-03-26 주식회사 금보상사 어린이용 승용완구
KR200360347Y1 (ko) 2003-08-20 2004-08-30 이원재 기포식 유아욕조
JP2008533397A (ja) 2005-03-15 2008-08-21 シャフト−フォーム−エンジニアリング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ジョイント結合装置を製造する方法並びにジョイント結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967A (ko)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1430A (en) Baby bath tub
JP4709851B2 (ja) トイレ訓練及びトイレ装置
US20110107511A1 (en) Standing baby shower seat
US7533425B2 (en) Juvenile bathtub
KR101456283B1 (ko) 영유아용 비데
KR101050514B1 (ko) 육아보조기구
US3959833A (en) Combination mattress, mattress insert, and commode
KR101098725B1 (ko) 유아 세정보조기구
US7032259B1 (en) Collapsible infant tub
US7562402B1 (en) Bathtub hair wash recliner for toddler
KR101510790B1 (ko) 유아 세정보조기구
KR101533451B1 (ko)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
KR101530657B1 (ko) 유아용 기저귀 비데
KR20090051835A (ko) 유아용 욕조
KR101492170B1 (ko) 유아용 목욕 보조대
KR101633960B1 (ko) 유아 세정보조기구
KR200348639Y1 (ko) 환자용 이동식 배변기
KR101584860B1 (ko) 유아용 욕조
KR101978863B1 (ko) 유아용 비데
KR20150008026A (ko) 유아 세정보조기구
KR101636971B1 (ko) 영유아용 바운서 겸용 욕조
KR200441036Y1 (ko) 영아용 목욕 보조 기구
KR102090546B1 (ko) 유아용 샤워기
CN208798937U (zh) 一种婴儿臀部清洗床
KR20110008684U (ko) 위생용기를 구비하는 이동식좌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