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350B1 - Battery tray - Google Patents

Battery tr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350B1
KR101508350B1 KR20130069942A KR20130069942A KR101508350B1 KR 101508350 B1 KR101508350 B1 KR 101508350B1 KR 20130069942 A KR20130069942 A KR 20130069942A KR 20130069942 A KR20130069942 A KR 20130069942A KR 101508350 B1 KR101508350 B1 KR 101508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extension piece
extension
tray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99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47204A (en
Inventor
이승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130069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350B1/en
Publication of KR20140147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2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3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배터리가 안착되는 지지되도록 하는 판상의 트레이부와; 상기 트레이부의 일측에 상기 트레이부와 일체로 고정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부에 안착된 상기 배터리의 마이너스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마이너스 케이블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트레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ttery pack comprising: a plate-shaped tray unit for supporting a battery; A minus cabl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minus terminal of the battery, which is integrally fixed to one side of the tray and fixed to the tray, And a battery tray.

Description

배터리 트레이{BATTERY TRAY}Battery tray {BATTERY TRAY}

본 발명은 배터리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배터리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tray,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tray capable of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for battery installation.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트레이에 배터리가 안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battery is seat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ventional battery tray.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배터리 트레이는 배터리(1)가 안착되어 일정 높이에 지지되는 판상의 트레이(10)와, 트레이(10)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배터리(1)의 마이너스(-) 단자와 접지를 위하여 차량의 일측과 연결하는 마이너스 케이블(20)로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battery tray includes a plate-shaped tray 10 on which a battery 1 is mounted and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 negative (- And a negative cable 2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vehicle for grounding.

트레이(10)는 배터리(1)가 안착되는 판상의 부재로서 차량 본넷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부재이며, 그 저부면 일측에는 차량의 주행에 따른 진동이 발생시에 그 상면에 안착된 배터리(1)가 유동하지 않도록 하는 복수의 고정 돌기(1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The tray 10 is a plate-shaped member on which the battery 1 is seated,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vehicle bonnet. On th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10, when the vibration due to the running of the vehicle occurs,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11 are formed to protrude so as not to flow.

마이너스 케이블(20)은 양단부의 피복이 제거된 상태에서 양단부를 각각 배터리(1)의 일측과 차량의 일측에 연결할 수 있도록 양단에 단자(21)가 구비된 구성을 갖는다. The negative cable 2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erminals 21 are provided at both ends so that both ends of the negative cable 20 can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attery 1 and one side of the vehicle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are covered.

이러한 마이너스 케이블(20)은 차량의 진동에 의하여 쉽게 단선되지 않도록 일반적인 전선보다는 굵은 굵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배터리(1)와 연결되는 반대측 단부가 접지를 위하여 차량의 일측에 접촉되어야 하는 위치에 따라 알맞은 형태로 절곡되어 있다. The negative cable 20 is formed to be thicker than a general wire so as not to be easily broken due to vibration of the vehicle. The negative end of the negative cable 20, which is connected to the battery 1, As shown in Fig.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배터리 트레이에 있어서는, 배터리(1)의 설치를 위해서 배터리(1)를 배터리 트레이(10)에 안착시킨 후에 별도의 마이너스 케이블(20)의 양단부를 각각 배터리(1)의 일측과 차량의 일측에 연결해야 하므로 배터리(1) 설치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주행으로 인한 진동에 의하여 마이너스 케이블(20)이 단선되거나 혹은 접속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such a conventional battery tray, after the battery 1 is mounted on the battery tray 10 for the installation of the battery 1, both ends of a separate negative cable 20 a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attery 1 There is a problem in that not only a long time is required to install the battery 1 but also the minus cable 20 may be disconnected due to vibration caused by running of the vehicle or connection failure may occu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내부에 배터리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 트레이와 마이너스 케이블을 일체로 제작하여 제작에 소요되는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배터리 트레이를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time required to install a battery in a vehicle and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by manufacturing a battery tray and a minus cable integrally And a battery tray that can be used for the battery.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는, 배터리가 안착되는 지지되도록 하는 판상의 트레이부와; 상기 트레이부의 일측에 상기 트레이부와 일체로 고정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부에 안착된 상기 배터리의 마이너스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마이너스 케이블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ttery tray comprising: a plate-shaped tray unit for supporting a battery; A minus cabl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minus terminal of the battery, which is integrally fixed to one side of the tray and fixed to the tray, .

여기서, 상기 마이너스 케이블은 상기 트레이부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접지부와, 상기 접지부에서 상기 트레이부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트레이부의 판면 방향을 따라 일정길이를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의 마이너스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inus cable may include a ground unit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tray unit, an extension unit extending upward from the ground unit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ray unit, And a connection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battery.

그리고, 상기 접속부의 단부에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절개되어 상기 배터리의 마이너스 단자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링형부와, 절개된 상기 링형부의 양단에 구비된 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The ring-shaped portion is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so as to surround an outer surface of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battery. The ring-shaped port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ring- And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can be included.

또한, 상기 연장부의 외면에는 상기 연장부를 외부로부터 절연시키는 절연체가 피복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may be covered with an insulator that insulates the extended portion from the outside.

아울러, 상기 마이너스 케이블은 단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편조선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inus cable may be formed in a braided wire structure to prevent a short circuit.

그리고, 상기 연장부의 일측에는 상기 연장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가변수단이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a height varying means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extending portion to adjust the height of the extending portion.

또한, 상기 연장부는 단부에 상기 접지부가 구비된 제1연장편과, 단부에 단자부가 구비된 제2연장편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가변수단은 상기 제2연장편의 양측면에 상기 제1연장편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연장편의 외면에 삽입되는 권취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ension portion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portion having the ground portion at an end portion thereof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having a terminal portion at an end portion thereof. The height varying mean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nd a winding hook inserted in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extending piece.

아울러, 상기 제1연장편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2연장편이 상기 제1연장편에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권취고리의 일측과 접촉되는 복수의 이탈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elongated member, a plurality of escape preventing protrusions may be form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take-up reel to prevent the second elongate memb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elongated member.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돌기의 양단부는 상기 제2연장편의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ㄷ'자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both ends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may be curved in a " C " shape so as to wrap around the second extending piece.

또한, 상기 연장부는 단부에 상기 접지부가 구비된 제1연장편과, 단부에 단자부가 구비된 제2연장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장편의 내부에 제2연장편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The extension part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piece having the ground part at an end thereof and a second extension piece having a terminal part at an end thereof. The second extension piece may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first extension piece have.

아울러, 상기 제1연장편의 상면에는 이탈방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장편의 단부에는 상기 이탈방지판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제1연장편으로부터 상기 제2연장편이 이탈됨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이 그 폭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release prevention plat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iece, and a release prevention member selectively contacting the release prevention plate at the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iece to prevent the second extension piec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extension piece, And may be protruded along the width direction.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에 배터리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 트레이와 마이너스 케이블을 일체로 제작하여 제작에 소요되는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tery pack that can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installing a battery in a vehicle and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 by integrally manufacturing a battery tray and a minus cable It is effective.

또한, 차량의 배터리를 교체시에 배터리에서부터 탈거한 마이너스 케이블에 대한 분실의 위험이 없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트레이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battery tray can be efficiently managed by preventing the risk of loss of the negative cable detached from the battery when the battery of the vehicle is replaced.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트레이에 배터리가 안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의 구조를 도시한 사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에 배터리를 설치하는 과정은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equentially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battery is seat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ventional battery tray,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battery tra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battery tra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battery tra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battery tra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D are perspective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talling a battery in a battery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배터리 트레이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details of the battery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t forth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n order to provide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dily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ference to the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의 구조를 도시한 사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에 배터리를 설치하는 과정은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battery tra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battery tra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battery tra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a) to 6 (d) Is a perspective view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talling a battery in a battery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는, 배터리(1)가 안착되는 지지되도록 하는 판상의 트레이부(100)와, 트레이부(100)의 일측에 트레이부(100)와 일체로 고정 결합되어 트레이부(100)에 안착된 배터리(1)의 마이너스 단자(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마이너스 케이블(2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a battery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te-shaped tray unit 100 for supporting a battery 1 to be supported thereon, a tray unit 100, And a negative cable 20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gative terminal 2 of the battery 1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tray unit 100 and fixed to the tray unit 100.

트레이부(100)는 배터리(1)가 그 상면에 안착되어 차량의 본넷 내부에 일정 높이로 지지되도록 하는 부재로서, 그 판면에는 안착된 배터리(1)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복수의 홈과 돌기가 형성되며, 테두리에는 배터리(1)가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The tray unit 100 is a member for mounting the battery 1 on its top surface and supporting the battery 1 at a certain height inside the bonnet of the vehicle. The tray unit 100 has a plurality of grooves for preventing the flow of the battery 1, Protrusions are formed, and a rim is protruded to prevent the battery 1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rim.

트레이부(100)는 마이너스 케이블(200)의 접지부(210)가 트레이부(10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전기적인 접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기가 흐를 수 있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ray unit 100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rough which electricity can flow so that the ground unit 210 of the minus cable 200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tray unit 100 .

마이너스 케이블(200)은 단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선(素線)을 한 가닥 또는 여러 가닥 모으거나 또는 꼬아서 대편(袋編)으로 형성한 구조인 편조선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형상은 두께를 작게 하여 본넷 내부에서 차지하는 체적을 줄일 수 있도록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minus cable 200 has a braided structure in which one strand or strand is gathered or twisted to form a strand in order to prevent disconnection, It is effective to reduce the volume occupied by the inside of the bonnet so as to have a flat shape.

이는, 마이너스 케이블(200)이 차량의 운행으로 인한 반복적인 진동에 의하여 쉽게 단선됨을 방지함으로써 배터리의 전원을 전원을 필요로 하는 차량의 각 부품으로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함이다. This is to prevent the negative cable 200 from being easily disconnected due to repetitive vibrations due to the running of the vehicle, thereby continuously supplying the power of the battery to each part of the vehicle that requires power.

이러한, 마이너스 케이블(200)은 트레이부(10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접지부(210)와, 접지부(210)에서 트레이부(1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20)와, 연장부(220)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트레이부(100)의 판면 방향을 따라 일정길이를 갖도록 구비되어 배터리(1)의 마이너스 단자(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inus cable 200 includes a ground unit 210 fixed to one side of the tray unit 100 and an extension unit 210 extending upward from the ground unit 210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ray unit 100 And a connection portion 230 which is bent at an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220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direction of the surface of the tray portion 10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gative terminal 2 of the battery 1, .

접지부(210)는 트레이부(10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마이너스 케이블(200)이 트레이부(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기적인 접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grounding unit 210 is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tray unit 100 so that the minus cable 200 can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tray unit 100 and electrically grounded.

연장부(220)는 접지부(210)의 단부에서 트레이부(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일정 높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는 부재로서 외부의 이물질이나 흡착됨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력에 의하여 단선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외면에는 절연체(221)가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xtended portion 220 is a member extended from the end of the grounding portion 210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upwar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ray portion 100. The extended portion 220 prevents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attracted to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that an insulator 221 is coat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접속부(230)는 연장부(220)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트레이부(100)의 상면에 안착된 배터리(1)의 마이너스 단자(2)를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마이너스 단자(2)에 체결되는 부재이다. The connection part 230 is bent at the end of the extension part 220 and is fastened to the negative terminal 2 which is formed by extending a certain length toward the negative terminal 2 of the battery 1 which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part 100 Member.

이러한 접속부(230)의 단부에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절개되어 배터리(1)의 마이너스 단자(2)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링형부(231)와, 절개된 링형부(231)의 양단에 구비된 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수단(232)이 포함될 수 있다. A ring-shaped portion 231 is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230 and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negative terminal 2 of the battery 1, And a fastening means 232 for fastening the fastening hole to the fastening hole.

링형부(231)는 배터리(1)의 마이너스 단자(2)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은 절개되어 벌어질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배터리(1)의 마이너스 단자(2)가 그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The ring-shaped portion 231 is formed in a ring shape so as to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gative terminal 2 of the battery 1. The negative terminal 2 of the battery 1 is provided with a ring- As shown in Fig.

절개 형성된 링형부(231)의 단부에는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공에는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232)이 체결됨으로써 링형부(231)가 배터리(1)의 마이너스 단자(2)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ring-shaped portion 231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by a fastening means 232 such as a bolt and a nut so that the ring- So that it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fastened to the terminal 2.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battery tra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의 마이너스 케이블(200)에는 마이너스 케이블(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높이가변수단(240)이 더 포함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negative cable 200 of the battery tr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parate height varying means 240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negative cable 200.

이러한, 높이가변수단(240)은 연장부(220)의 일측에 구비되는데, 이를 위하여 연장부(220)는 단부에 접지부(210)가 구비된 제1연장편(222)과, 단부에 접속부(230)가 구비된 제2연장편(223)로 구성될 수 있도록 두 개의 편(片)으로 분할되어 있다. The height variable means 24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xtension 220. To this end, the extension 220 includes a first extension 222 having a ground 210 at its end, And a second extension piece 223 provided with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ortions 230.

그리고, 높이가변수단(240)은 제2연장편(223)의 양측면에 제1연장편(222)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제1연장편(222)의 외면에 삽입되는 권취고리(24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The height varying means 240 includes a winding hook 24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extending piece 223 so as to surround the first extending piece 222 and inserted in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extending piece 222, .

권취고리(241)는 연장부(220)가 가변되는 높이를 최대화 할 수 있도록 제2연장편(223)의 최하 측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연장편(223)과 권취고리(241)로 둘러싸인 공간은 제1연장편(222)이 삽입시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접속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연장편(222)의 둘레와 꽉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extension piece 223 and the winding hook 241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ide of the second extension piece 223 so as to maximize the height at which the extension part 220 can be vari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pace surrounded by the first elongated piece 222 is formed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elongated piece 222 so a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gap at the time of insertion and to prevent a connection failure.

그리고, 제1연장편(222)의 양측면에는 제2연장편(223)이 제1연장편(222)에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권취고리(241)의 일측과 접촉되는 복수의 이탈방지돌기(24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escape prevention protrusions 24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extension piece 222 to prevent the second extension piece 223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extension piece 222, As shown in Fig.

이러한 이탈방지돌기(242)는 연장부(220)가 가변되는 높이를 최대화 할 수 있도록 제1연장편(222)의 최상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release protrusion 242 is formed on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iece 222 so as to maximize the variable height of the extension part 220.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탈방지돌기(242)의 양단부는 제2연장편(223)의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ㄷ'자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됨으로써 제2연장편(223)의 상부가 제1연장편(222)의 판면으로부터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4, both ends of the release preventing protrusion 242 are formed to be bent in a 'C' shape so as to cover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extending piece 223, It is more effective that the upper portion is not extended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first extending piece 222.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의 연장부(220)는 단부에 접지부(210)가 구비된 제1연장편(222)과, 단부에 접속부(230)가 구비된 제2연장편(223)을 포함하고, 제1연장편(222)의 내부에 제2연장편(223)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4, the extension 220 of the battery tra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xtension piece 222 having a ground portion 210 at an end thereof, And a second extension piece 223 provided with a second extension piece 230. The second extension piece 223 may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first extension piece 222. [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제1연장편(222)의 상면에는 이탈방지판(222a)이 형성되고, 제2연장편(223)의 단부에는 이탈방지판(222a)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제1연장편(222)으로부터 제2연장편(223)이 이탈됨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223a)이 그 폭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5, a separation preventing plate 222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xtending piece 222 and a separation preventing plate 222a is selective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nd of the second extending piece 223 The detachment preventing piece 223a for preventing the second extending piece 223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extending piece 222 may be protruded along the width direction.

그리고, 제2연장편(223)의 단부에 절곡되어 구비되는 접속부(230)도 배터리(1)의 마이너스 단자(2)와 체결시에 용이하게 체결이 가능하도록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연장편(222) 및 제2연장편(223)과 동일한 3가지 구조에 의하여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necting portion 230 bent at the end of the second extending piece 223 is also connected to the first extending piece 224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230 can be easily fastened to the negative terminal 2 of the battery 1 when fastened. 222 and the second extension piece 223, respectively.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설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battery using the battery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에 배터리를 설치하는 과정은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들을 참조하여 배터리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6A to 6D are perspective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talling a battery in a battery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6A to 6D, a process of installing a battery will be described.

우선,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부(100)의 일측에 마이너스 케이블(200)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1)가 트레이부(100)의 측면에서 마이너스 케이블(200)을 향하여 이동되도록 하여 트레이부(10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한다. 6 (a), in a state where the minus cable 200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tray unit 100, the battery 1 is inserted into the tray unit 100 as shown in Fig. 6 (b) 100 toward the minus cable 200 so as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unit 100.

그 후,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230)의 링형부(231)가 배터리(1)의 마이너스 단자(2)의 외면에 삽입되도록 한 후에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링형부(231)의 관통공에 구비된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232)을 체결시킴으로써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너스 케이블(200)과 배터리(1)의 접속이 완료된다. 6 (c), after the ring-shaped portion 231 of the connection portion 230 is inserted into the outer surface of the negative terminal 2 of the battery 1, the ring- The connection of the minus cable 200 and the battery 1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6 (d) by fastening the fastening means 232 such as a bolt and a nut provid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battery case 231.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의 경우에는 연장부(220)에 별도의 높이가변수단(24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배터리(1)가 트레이부(100)에 안착된 상태에서 높이가변수단(240)을 이용하여 마이너스 케이블(200)의 높이를 조절한 후에 체결수단(232)을 체결함으로써 배터리(1)와 마이너스 케이블(200)의 접속이 완료된다. In the case of the battery tr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eight varying unit 240 is provided separately in the extension 220, the height varying unit 240 is installed in the tray 100, The connection of the battery 1 and the minus cable 200 is completed by tightening the fastening means 232 afte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minus cable 200 by using the screws 240.

연장부(220)에 별도의 높이가변수단(240)이 구비된 경우에는 트레이부(100)에 안착된 배터리(1)의 높이가 변경되더라도 연장부(220)가 휘어지지 않고 직립된 상태에서 접속부(230)가 배터리(1)의 마이너스 단자(2)에 체결될 수 있으므로 주변장치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When the height of the battery 1 mounted on the tray unit 100 is changed, the extension unit 220 may not be bent, (230) can be fastened to the negative terminal (2) of the battery (1), so that interference with the peripheral device can be avoided and space utilization can be increased.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 : 배터리 2 : 마이너스 단자
100 : 트레이 200 : 마이너스 케이블
210 : 접지부 220 : 연장부
221 : 절연체 222 : 제1연장편
223 : 제2연장편 230 : 접속부
231 : 링형부 232 : 체결수단
240 : 높이가변수단 241 : 권취고리
242 : 이탈방지돌기
1: Battery 2: Negative terminal
100: Tray 200: Negative cable
210: ground part 220: extension part
221: insulator 222: first extension
223: second extension piece 230: connection part
231: ring-shaped portion 232: fastening means
240: height varying means 241:
242:

Claims (11)

배터리가 안착되는 지지되도록 하는 판상의 트레이부와;
상기 트레이부의 일측에 상기 트레이부와 일체로 고정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부에 안착된 상기 배터리의 마이너스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마이너스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너스 케이블은 상기 트레이부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접지부와, 상기 접지부에서 상기 트레이부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트레이부의 판면 방향을 따라 일정길이를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의 마이너스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단부에 상기 접지부가 구비된 제1연장편과, 단부에 단자부가 구비된 제2연장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장편의 양측면에 상기 제1연장편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연장편의 외면에 삽입되는 권취고리로 이루어지는 높이가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연장편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2연장편이 상기 제1연장편에서 이탈됨을 빙지하도록 하는 권취고리의 일측과 접촉되며 양단부가 상기 제2연장편의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ㄷ'자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트레이.
A plate-shaped tray portion for supporting the battery to be seated;
A minus cabl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minus terminal of the battery, which is integrally fixed to one side of the tray unit and is fixed to the tray unit; ≪ / RTI &
The extension cable is bent at an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extends along the direction of the surface of the tray portion. The extension portion extends upward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ray portion from the ground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battery,
Wherein the extension portion includes a first extension piece having the grounding portion at an end thereof and a second extension piece having a terminal portion at an end thereof, the first extension piece being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extension piece so as to surround the first extension piece, And a height varying means composed of a winding loop inserted into an outer surface of the one extension piece,
The first extension piece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extension piece with a first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iece being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winding ring for freezing the second extension piece from the first extension piece, And the release-preventing protrusion is form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의 단부에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절개되어 상기 배터리의 마이너스 단자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링형부와, 절개된 상기 링형부의 양단에 구비된 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배터리 트레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haped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so as to surround an outer surface of a minus terminal of the battery and having one side cut out and being engaged with the fastening hole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ut- And a fastening mean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외면에는 상기 연장부를 외부로부터 절연시키는 절연체가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트레이.
The method of claim 3,
And an outer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is coated with an insulator which insulates the extended portion from the outside.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너스 케이블은 단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편조선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트레이.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4,
Wherein the negative cable is formed in a braided structure so as to prevent a short circu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130069942A 2013-06-18 2013-06-18 Battery tray KR1015083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9942A KR101508350B1 (en) 2013-06-18 2013-06-18 Battery t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9942A KR101508350B1 (en) 2013-06-18 2013-06-18 Battery tr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204A KR20140147204A (en) 2014-12-30
KR101508350B1 true KR101508350B1 (en) 2015-04-08

Family

ID=52676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9942A KR101508350B1 (en) 2013-06-18 2013-06-18 Battery tr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35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5301A (en) * 1996-10-23 1998-05-15 Yazaki Corp Connecting terminal
JPH11233078A (en) * 1997-06-24 1999-08-27 Accumulatorenwerke Hoppecke Carl Zoellner & Sohn Gmbh & Co Kg Manufacture of battery cover having conductive region
JPH11345631A (en) * 1998-06-02 1999-12-14 Fuji Film Celltec Kk Battery package
JP2008262751A (en) * 2007-04-10 2008-10-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attery pack, unit cell, and cell pa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5301A (en) * 1996-10-23 1998-05-15 Yazaki Corp Connecting terminal
JPH11233078A (en) * 1997-06-24 1999-08-27 Accumulatorenwerke Hoppecke Carl Zoellner & Sohn Gmbh & Co Kg Manufacture of battery cover having conductive region
JPH11345631A (en) * 1998-06-02 1999-12-14 Fuji Film Celltec Kk Battery package
JP2008262751A (en) * 2007-04-10 2008-10-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attery pack, unit cell, and cell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204A (en) 2014-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0930B2 (en) Tension adjustment device
CN104200935A (en) Protective umbrella skirt and insulator component with same
CN103855660A (en) Electrical junction box
CN109979735A (en) Reactor
TW201742976A (en) Fixing device and transmission pole
US8754330B2 (en) Electronic cable
KR101508350B1 (en) Battery tray
US11817687B2 (en) Cable tray clip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WO2011106935A1 (en) Screw support for securing a plurality of screws
KR102001563B1 (en) Cable falling prevention apparatus
JP6644226B2 (en) Shield shell and shield connector
KR101126731B1 (en) Arm-tie rack band
JP7250506B2 (en) Charging cable unit and rapid charging device
US9564269B2 (en) Fast-mounting capacitor
KR101110791B1 (en) Band cable assembly
US6885269B2 (en) Fastening device for toroidal choking coil
KR101264335B1 (en) Polymer insulator with corona ring
KR200448236Y1 (en) Wire harness fixing band cable
CN220691158U (en) Optical cable protection device
US20240063581A1 (en) Grounding device for a vehicle and vehicle
KR101664293B1 (en) Multi-box having guiding part for wire
CN107624015B (en) Mounting structure of electrical components and mainboard reaches electric rice cooker including it
CN216751020U (en) Cable mounting and fastening device
JP3190156U (en) Communication wire support
US20120043839A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relay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