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951B1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951B1
KR101507951B1 KR20130066347A KR20130066347A KR101507951B1 KR 101507951 B1 KR101507951 B1 KR 101507951B1 KR 20130066347 A KR20130066347 A KR 20130066347A KR 20130066347 A KR20130066347 A KR 20130066347A KR 101507951 B1 KR101507951 B1 KR 101507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tank
microorganisms
dirt
unit
waste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6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4775A (ko
Inventor
최석주
이용훈
Original Assignee
최석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석주 filed Critical 최석주
Priority to KR20130066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951B1/ko
Publication of KR20140144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 B01F27/70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comprising two or more shafts, e.g. in consecutive mixing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00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4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22Controlling the drying process in dependence on liquid content of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개수대의 배수구에 설치되는 디스포저로부터 분해되어 전달되는 음식물 찌꺼기와 오수를 포함하는 오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오물을 처리하고 남은 오수가 배출되는 오수 배출구를 가지는 장치 본체와, 장치 본체 내에 설치되어 유입구로 유입된 오물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해하도록 구분되는 오물 처리조와, 장치 본체에서 오물 처리조와 오물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오물에 포함된 미세입자를 걸러내는 걸름부와, 오물 처리조 내에 유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미생물이 기생하는 미생물 집과 오물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유닛과,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물을 오물 처리조와 걸름부 중 어느 한쪽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밸브유닛 및 디스포저의 구동신호를 근거로 하여 밸브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게시된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Food waste disposal device}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찌꺼기를 분해하여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처리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현재 시중에 유통되는 가정용 음식물 처리장치로는 단순 건조방식, 분쇄방식, 분쇄 및 건조방식, 미생물 액상분해방식, 분쇄 및 미생물 분해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미생물을 이용한 분해 및 소멸방식은 가장 친환경적이며, 편리한 제품으로 알려져 있다. 즉,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찌꺼기를 분해하여 물과 가스로 배출함으로써 음식물 찌꺼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미생물을 이용한 분해 소멸방식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음식물을 그대로 투입하기 때문에 미생물로 분해, 소멸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분해시간이 오래 걸리는 섬유질 음식이나 가시류 및 뼈 종류는 분리하여 배출하거나 작게 부순 후 투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분해시간이 오래 걸려서 음식물이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포화상태가 될 수 있고, 이 경우 악취가 발생하여 실내 공기를 오염시킬 수 있다. 그리고 포화상태로 누적된 음식물을 음식물 처리장치에서 분리하여 배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분해조의 하단에 배출구멍이 있어서, 이 배출구멍으로 분해시 발생되는 물뿐만 아니라, 분해되지 않는 미세한 음식물 찌꺼기도 함께 배출되어 하수관로를 막거나 수질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디스포저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먼저 분쇄한 뒤 이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 소멸하는 방식의 음식물 처리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음식물을 분쇄하고 미생물로 처리하는 방식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개수대 하부에 설치된 디스포저로 1단계로 분쇄하여 분해조에 투입하기 때문에, 분해하지 않고 미생물만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분해방식보다는 분해력이 우수하나, 분해하기 전에 타공망을 통해 미세한 음식물찌꺼기가 물과 함께 배출되어 수질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해조가 하나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한차례만 음식물 찌꺼기를 분해 및 소멸시키게 되어 완전분해되지 않은 액상의 음식물 찌꺼기가 배출되어 수질을 오염시키고, 하수관로가 막히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미생물에 치명적인 화학물질의 세제와, 온수 등이 분해조로 그대로 유입되어 미생물을 살균하여 분해력을 급격히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0218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복수 단계에 걸쳐서 단계적으로 미생물로 분해하여 처리함으로써, 음식물의 축적을 방지하고, 완전 분해되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미생물의 분해력을 향상시키도록 에어를 공급하고, 히터를 이용하여 온도를 조절하여 미생물이 활동하기 가장 적합한 환경을 만들어 분해시간을 단축하여 분해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미생물을 오물 처리조로 지속적으로 공급해줌으로써 오랜 시간 사용하지 않더라도 미생물을 매일 꾸준히 일정량 공급하여 줌으로써 분해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개수대의 배수구에 설치되는 디스포저로부터 분해되어 전달되는 음식물 찌꺼기와 오수를 포함하는 오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오물을 처리하고 남은 오수가 배출되는 오수 배출구를 가지는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오물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해하도록 구분되는 오물 처리조와; 상기 장치 본체에서 상기 오물 처리조와 상기 오물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오물에 포함된 미세입자를 걸러내는 걸름부와; 상기 오물 처리조 내에 유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미생물이 기생하는 미생물 집과 오물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유닛과;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물을 상기 오물 처리조와 상기 걸름부 중 어느 한쪽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밸브유닛; 및 상기 디스포저의 구동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밸브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오물 처리조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오물을 수용하여 1차로 분해처리하는 1차 처리조와; 상기 1차 처리조와 제1차단막에 의해 구분되도록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차단막의 상부에 형성되는 이동통로를 통해 상기 1차 처리조에서 오버플로어되는 오물을 2차로 분해처리하는 2차 처리조;를 포함하며, 상기 2차 처리조와 상기 걸름부를 격리하는 제2차단막에는 상기 2차 처리조에서 오버플로어되는 오수가 상기 걸름부로 이동하도록 오수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반유닛은, 상기 1차 처리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교반기와; 상기 2차 처리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교반기와;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 구동모터와; 상기 교반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1 및 제2교반기 각각의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는 유입관에서 상기 오물처리조로 연결되는 제1분기관과, 상기 걸름부로 연결되는 제2분기관으로 분리된 오물 이송경로와; 상기 제1 및 제2분기관 사이에 설치되며, 회전위치에 따라서 어느 하나는 개방하고, 나머지 하나는 폐쇄하는 밸브몸체와; 상기 제어부의 구동신호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 구동되어 상기 밸브몸체를 회전구동하는 밸브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걸름부는, 상기 장치 본체에서 상기 오물 처리조와 구분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오수 배출구 및 상기 유입구 사이에 형성되는 걸름챔버와; 상기 걸름챔버 내에 설치되는 걸름망;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오물처리조로 미생물을 공급하기 위한 미생물 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미생물 공급유닛은, 상기 오물처리조 상부에 설치되며, 미생물이 수용되는 미생물 저장탱크와; 상기 미생물 저장탱크의 미생물을 펌핑하여 상기 오물 처리조로 공급하는 미생물 공급펌프; 및 상기 미생물 저장탱크 내의 미생물의 양을 감지하는 레벨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오물 처리조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 및 상기 오물 처리조 내부에 설치되는 수온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온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온도를 근거로 상기 히터를 구동제어하여 상기 오물 처리조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오물 처리조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공급유닛은,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는 에어펌프와; 상기 오물 처리조 내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공기 분사부재; 및 상기 에어펌프와 상기 공기 분사부재를 연결하는 에어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따르면, 디스포저에서 분해된 음식물 찌꺼기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1차 및 2차에 걸쳐 분해하여 완전하게 처리하여 물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하수구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밸브유닛을 적절히 제어하여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는 오물 처리조로 투입하여 분해 처리하고, 급탕이나 세제가 포함된 세척수는 걸름부로 투입하여 오물을 걸러낸 뒤 하수구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오물 처리조의 미생물의 분해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물 처리조로 공기를 공급하여 줌으로써 미생물의 활동이 왕성하도록 하고, 더 나아가서는 히터를 이용하여 미생물의 활동에 최적의 환경조건을 조성하여 주어 오물의 분해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디스포저에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는, 개수대(10)의 배수구(11)에 연결되는 디스포저(20)로부터 분해되어 전달되는 음식물찌꺼기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하여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음식물 처리기(100)는, 장치 본체(110)와, 오물 처리조(120)와, 걸름부(130)와, 교반유닛(140), 밸브유닛(150), 미생물 공급유닛(160), 공기 공급유닛(170) 및 제어부(180)를 구비한다.
상기 장치 본체(110)는 개수대(10)의 배수구(11)에 설치되는 디스포저(20)로부터 분해되어 전달되는 음식물 찌꺼기와 오수를 포함하는 오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1)와, 상기 오물을 처리하고 남은 오수가 배출되는 오수 배출구(112)를 가진다.
장치 본체(110)의 내부에는 오물처리조(120)와 걸름부(130)가 제2차단막(117)에 의해 구분되어 마련된다.
오물처리조(120)는 제1차단막()에 의해 서로 격리되는 1차 처리조(121)와 2차 처리조(123)를 구비한다.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오물은 1차 처리조(121)에서 1차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고, 1차 처리조(121)에서 분해되어 오버플로어되는 오수는 1차 차단막(116)의 상부에 형성되는 오수 이동통로(116a)를 통해 이동된다. 그리고 2차 처리조(123)로 이동된 오수에 포함된 오물을 2차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다. 2차 처리조(123)에서 2차로 분해된 오수는 제2차단막(117)의 상부에 형성되는 오수 이동통로(117a)로 넘쳐서 걸름부(130)로 이동되어 배출구(112)로 배출된다. 1차 및 2차 처리조(121,123)의 내부에는 미생물이 부착되어 기생하는 미생물집(200)이 설치된다. 이러한 미생물집(200)은 구형의 구조를 가지며, 분해 미생물(호기성균과 혐기성 균)의 콜로니를 형성시키도록 다공질의 톨루마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톨루마린은 주지의 광물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걸름부(130)는 장치 본체(110)에서 상기 오물 처리조(120)와 구분되도록 형성되며 오수 배출구(112)에 연결되는 걸름챔버(131)와, 상기 걸름챔버(131) 내에 설치되는 걸름망(133)을 구비한다. 2차 처리조(123)에서 오버플로어되는 오수는 최종적으로 걸름부(130)로 이동하여 걸름망(133)에서 대부분 분해되고 남는 미세한 오물 등이 걸러지고, 배출구(112)를 통해서는 오수만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교반유닛(140)은 오물 처리조(120) 내의 미생물 집(200)과 오물을 교반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교반유닛(140)은 상기 1차 처리조(12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교반기(141)와, 2차 처리조(123)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교반기(142)와, 장치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 구동모터(143)와, 상기 교반 구동모터(143)의 동력을 상기 제1 및 제2교반기(141)(142) 각각의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144)를 구비한다. 장치 본체(110) 내부에는 오물 처리조(120)와 격리되어 교반유닛(140)을 수용하는 별도의 설치공간(110a)이 형성되어 제어부(18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 제어된다. 제1 및 제2교반기(141)(142) 각각은 회전축(141a,142a)에 복수의 교반날개(141b,142b)가 설치된다. 동력전달부(144)는 회전축(141a,142a)에 설치되는 종동풀리(144a)와, 교반모터(143)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구동풀리(144b) 및, 구동풀리(144b)와 종동풀리(144a)를 연결하여 주행하면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벨트(144c)를 구비하다. 또한, 동력전달벨트(144c)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장력을 제공하는 가이드플리(144d)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교반유닛(140)에 의하면, 제1 및 제2교반기(141,142)가 동시에 회전되면서 1차 및 2차 처리조(121,123) 내부의 오물과 미생물 집(200)을 교반하여 미생물에 의한 오물의 분해작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밸브유닛(150)은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오물을 상기 1차 처리조(121)와 상기 걸름부(130) 중 어느 한쪽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밸브유닛(150)은 오물 이송경로(151)와, 밸브몸체(153) 및 밸브모터(155)를 구비한다.
상기 오물 이송경로(151)는 유입구(111)에 연결되는 유입관(151a)에서 상기 1차 처리조(121)로 연결되는 제1분기관(151b)과, 유입관(151a)에서 분기되어 상기 걸름부(130)로 연결되는 제2분기관(151c)으로 연결된다. 밸브몸체(153)는 제1 및 제2분기관(151b,151c) 사이에 설치되며, 회전위치에 따라서 어느 하나는 개방하고, 나머지 하나는 폐쇄한다. 이러한 밸브몸체(153)는 상기 제어부(180)의 구동신호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 구동되는 밸브모터(155)에 의해 동작된다.
미생물 공급유닛(160) 상기 장치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어, 오물처리조(120)로 미생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미생물 공급유닛(160)은 상기 오물처리조(120) 상부에 설치되며 미생물이 수용되는 미생물 저장탱크(161)와, 상기 미생물 저장탱크(161)의 미생물을 오물처리조(120)로 공급하는 미생물 공급관(162)과, 미생물 공급판(162)에 설치되어 미생물 공급관(162) 내이 미생물을 펌핑하여 상기 오물 처리조(120)로 공급하는 미생물 공급펌프(163) 및 미생물 저장탱크(161) 내의 미생물의 양을 감지하는 레벨센서(164)를 구비한다. 미생물 공급관(162)에는 유량미터기(165)가 설치되어 미생물의 공급량을 감지할 수 있다. 미생물 공급펌프(163)는 제어부(180)에 의해 제어되어 구동되어, 오물처리조(120) 내에 미생물 수가 감소되지 않도록 일정량의 미생물을 매일 보충하도록 한다.
공기 공급유닛(170)은 상기 오물 처리조(120)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여 미생물의 번식이 번식하여 분해활동이 왕성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공기 공급유닛(170)은 장치 본체(110)에 설치되는 에어펌프(171)와, 상기 오물 처리조(120) 내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공기 분사부재(172) 및 에어펌프(171)와 상기 공기 분사부재(172)를 연결하는 에어 공급관(173)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1차 및 2차 처리조(121,123) 각각의 내부에는 히터(181,182)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181,182)는 1차 및 2차 처리조(121,123) 내부의 온도를 미생물이 번식하고 활동하기에 적정한 온도가 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포저(20)의 구동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밸브유닛(150)을 제어하여, 디스포저(20)가 동작하지 않을 때에는 세척수가 걸름부(130)로 배출되도록 하고, 디스포저(20)가 동작할 때에는 세척수 및 오물(디스포저에서 분해된 음식물찌꺼기 포함)이 1차 처리조(121)로 유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1차 및 2처 처리조(121,123)로 급탕과 세제가 유입되어 음식물을 분해 및 소멸시키는 미생물을 살균 및 제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걸름부(130)로 직접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음식물을 분쇄하기 위해 디스포저(20)를 구동할 때는 밸브몸체(153)의 방향을 전환하여 분해된 오물 즉, 음식물찌꺼기가 1차 처리조(121)로 투입되도록 하여 미생물에 의해 분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교반유닛(140)과, 공기 공급유닛(170), 미생물 공급유닛(160)을 각각 구동제어 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80)는 장치 본체(110)에 설치되는 제어패널(190)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패널(190)에는 전원버튼, 다수의 설정버튼과, 작동램프 및 디스플레이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1차 처리조(121) 및 2차 처리조(123) 각각의 내부에는 제1 및 제2수온 감지센서(183,184)가 각각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하는 수온이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는 제어부(180)로 전달된다. 제어부(180)는 제1 및 제2수온 감지센서(183,184)에서 측정된 온도를 근거로, 1차 처리조(121) 및 2차 처리조(123)의 온도가 미생물이 활동하기에 최적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히터(181,182)를 선택적으로 구동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는 출력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210)는 제어패널(190)에 구비되는 LCD 패널 및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출력부(210)를 통해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의 동작상태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하자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미생물 공급유닛(160)의 레벨센서(164)에서 미생물 저장량을 감지한 정보를 근거로 하여, 미생물의 보충이 필요할 경우에는 상기 출력부(210)를 통해 경보신호 등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미생물을 필요한 시기에 보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는, 음식물을 미생물로 분해, 소멸시키는 처리조가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즉, 1차 처리조(121)에서 1차적으로 음식물찌꺼기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고, 미세 분해되지 않고 1차 처리조(121)에서 넘쳐서 2차 처리조(123)로 유입된 오물이 2차 처리조(123)에서 2차로 분해되어 처리된다. 이때, 1차 처리조(121)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 물과 미세한 음식물 찌꺼기만이 1차 처리조(121)를 넘쳐서 2차 처리조(123)로 유입된다. 2차 처리조(123)에서도 마찬가지로 음식물 찌꺼기가 분해되고, 분해된 물이 넘쳐서 걸름부(130)로 유입된다. 이때, 2차 처리조(123)에서 넘쳐서 걸름부(130)로 유입되는 물은 음식물 찌꺼기가 98% 이상 분해된 물만이 유입된다.
그리고 걸름부(130)의 걸름망(133)은 미세한 오물이나 오물 처리조(120)를 거치지 않고 개수대에 이물질을 완전히 걸러내어 이물질이 하수구로 배출되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찌꺼기를 배출시에는 오물 처리조(120)로 투입되도록 하여 미생물을 이용하여 3단계에 걸쳐 분해하여 처리하여 물만 하수구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급탕이나 세제가 포함된 세척수는 오물 처리조(120)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미생물이 살균되어 분해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음식물 처리장치(100)가 정상적인 기능을 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10..장치 본체
120..오물 처리조 130..걸름부
140..교반유닛 150..밸브유닛
160..미생물 공급유닛 170..공기 공급유닛
180..제어부 181,182..히터
183,184..제1, 제2수온 감지센서 200..미생물 집
210..출력부

Claims (10)

  1. 개수대의 배수구에 설치되는 디스포저로부터 분해되어 전달되는 음식물 찌꺼기와 오수를 포함하는 오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오물을 처리하고 남은 오수가 배출되는 오수 배출구를 가지는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오물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해하도록 구분되는 오물 처리조와;
    상기 장치 본체에서 상기 오물 처리조와 상기 오물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오물에 포함된 미세입자를 걸러내는 걸름부와;
    상기 오물 처리조 내에 유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미생물이 기생하는 미생물 집과 오물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유닛과;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물을 상기 오물 처리조와 상기 걸름부 중 어느 한쪽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밸브유닛;
    상기 디스포저의 구동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밸브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오물처리조로 미생물을 공급하기 위한 미생물 공급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 처리조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오물을 수용하여 1차로 분해처리하는 1차 처리조와;
    상기 1차 처리조와 제1차단막에 의해 구분되도록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차단막의 상부에 형성되는 이동통로를 통해 상기 1차 처리조에서 오버플로어되는 오물을 2차로 분해처리하는 2차 처리조;를 포함하며,
    상기 2차 처리조와 상기 걸름부를 격리하는 제2차단막에는 상기 2차 처리조에서 오버플로어되는 오수가 상기 걸름부로 이동하도록 오수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유닛은,
    상기 1차 처리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교반기와;
    상기 2차 처리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교반기와;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 구동모터와;
    상기 교반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1 및 제2교반기 각각의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는 유입관에서 상기 오물처리조로 연결되는 제1분기관과, 상기 걸름부로 연결되는 제2분기관으로 분리된 오물 이송경로와;
    상기 제1 및 제2분기관 사이에 설치되며, 회전위치에 따라서 어느 하나는 개방하고, 나머지 하나는 폐쇄하는 밸브몸체와;
    상기 제어부의 구동신호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 구동되어 상기 밸브몸체를 회전구동하는 밸브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부는,
    상기 장치 본체에서 상기 오물 처리조와 구분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오수 배출구 및 상기 유입구 사이에 형성되는 걸름챔버와;
    상기 걸름챔버 내에 설치되는 걸름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공급유닛은,
    상기 오물처리조 상부에 설치되며, 미생물이 수용되는 미생물 저장탱크와;
    상기 미생물 저장탱크의 미생물을 펌핑하여 상기 오물 처리조로 공급하는 미생물 공급펌프; 및
    상기 미생물 저장탱크 내의 미생물의 양을 감지하는 레벨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8. 개수대의 배수구에 설치되는 디스포저로부터 분해되어 전달되는 음식물 찌꺼기와 오수를 포함하는 오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오물을 처리하고 남은 오수가 배출되는 오수 배출구를 가지는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오물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해하도록 구분되는 오물 처리조와;
    상기 장치 본체에서 상기 오물 처리조와 상기 오물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오물에 포함된 미세입자를 걸러내는 걸름부와;
    상기 오물 처리조 내에 유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미생물이 기생하는 미생물 집과 오물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유닛과;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물을 상기 오물 처리조와 상기 걸름부 중 어느 한쪽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밸브유닛;
    상기 디스포저의 구동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밸브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오물 처리조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 및
    상기 오물 처리조 내부에 설치되는 수온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온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온도를 근거로 상기 히터를 구동제어하여 상기 오물 처리조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9. 개수대의 배수구에 설치되는 디스포저로부터 분해되어 전달되는 음식물 찌꺼기와 오수를 포함하는 오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오물을 처리하고 남은 오수가 배출되는 오수 배출구를 가지는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오물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해하도록 구분되는 오물 처리조와;
    상기 장치 본체에서 상기 오물 처리조와 상기 오물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오물에 포함된 미세입자를 걸러내는 걸름부와;
    상기 오물 처리조 내에 유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미생물이 기생하는 미생물 집과 오물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유닛과;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물을 상기 오물 처리조와 상기 걸름부 중 어느 한쪽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밸브유닛;
    상기 디스포저의 구동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밸브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오물 처리조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유닛은,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는 에어펌프와;
    상기 오물 처리조 내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공기 분사부재; 및
    상기 에어펌프와 상기 공기 분사부재를 연결하는 에어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30066347A 2013-06-11 2013-06-11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507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6347A KR101507951B1 (ko) 2013-06-11 2013-06-11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6347A KR101507951B1 (ko) 2013-06-11 2013-06-11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775A KR20140144775A (ko) 2014-12-22
KR101507951B1 true KR101507951B1 (ko) 2015-04-08

Family

ID=52674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6347A KR101507951B1 (ko) 2013-06-11 2013-06-11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9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25531A (zh) * 2016-03-07 2016-06-01 芜湖广盈实业有限公司 一种自清洁垃圾处理机
IL262451B (en) 2018-10-17 2019-12-31 Squall E M T Ltd Garbage grinder system with sprinkl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6217A (ja) * 1997-04-23 1998-11-10 Hitachi Ltd 有機廃棄物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1300489A (ja) * 2000-04-27 2001-10-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生ごみ処理装置
KR100959901B1 (ko) * 2007-12-10 2010-05-26 신세기 시스템 (주)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6217A (ja) * 1997-04-23 1998-11-10 Hitachi Ltd 有機廃棄物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1300489A (ja) * 2000-04-27 2001-10-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生ごみ処理装置
KR100959901B1 (ko) * 2007-12-10 2010-05-26 신세기 시스템 (주)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775A (ko) 2014-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963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57996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384812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0588556B1 (ko) 싱크대 장착용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CA2773329A1 (en) Improved bio-reactor system and method for composting food waste
KR101276188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50795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4771058B2 (ja) 生ゴミ処理装置
KR10236212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902358B1 (ko) 냄새제거 관로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52816B1 (ko) 음이온 생성 연수모듈이 장착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902357B1 (ko) 탈취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01877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분해 여과장치
KR102448839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의 액상 발효 처리장치
KR20080089898A (ko) 오수 재활용 시스템
KR101546766B1 (ko) 초음파발진자를 통해 하우징의 밑면에 쌓이는 고형물을 분해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169856Y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 폐기물 분해, 소멸기
JP2004025155A (ja) 流し台等装着の生ごみ分解消滅機。
KR20100102466A (ko)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분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효 분해방법
KR101835466B1 (ko) 싱크대 일체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2003225689A (ja) 微生物担体チップを用いた汚水浄化処理システム
KR20170023349A (ko) 친환경적이고 스마트한 음식물 쓰레기 소멸 장치
KR100404668B1 (ko) 배수처리 시스템
CN212334781U (zh) 一种污水管网净化装置
KR20000012208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