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904B1 -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904B1
KR101507904B1 KR20140020352A KR20140020352A KR101507904B1 KR 101507904 B1 KR101507904 B1 KR 101507904B1 KR 20140020352 A KR20140020352 A KR 20140020352A KR 20140020352 A KR20140020352 A KR 20140020352A KR 101507904 B1 KR101507904 B1 KR 101507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blank
roller
conveying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0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
Original Assignee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20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42Feeding sheets or blanks using roll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44Feeding sheets or blanks involving aligning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의 무접촉 구간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여 박스 폴딩시 무접촉 구간에 경사구간을 형성함으로써, 활용성을 높이고, 폴딩시 컨베이어 벨트의 높이 차이에 의해 블랭크의 탭 부분이 자동으로 벌어져 오작동을 감소하고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는, 플레이트 형상의 블랭크를 이송 및 가공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를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이송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는 상기 이송롤러와 접촉하지 않는 무접촉 구간이 구비되는 이송수단;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무접촉 구간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경사구간을 형성함으로써, 가공하고자하는 상기 블랭크의 탭을 돌출시키기 위한 가압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Appartus of folding and moving of blank}
본 발명은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박스를 제작하기 위하여 비중이 낮은 재질, 예를 들어 종이, 합성수지 판재 및 골판지 등으로 이루어진 블랭크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면서 접기 위한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박스는 시트 상태에서 접어야 하는 탭 부분을 절개 또는 가압하여 준비하고, 상기 탭 부분을 접지선을 따라 접어 연결함으로써 완성된다. 이러한 작업은 반복적으로 실행되는 것이기 때문에 기계장치로 자동으로 제작하게 된다.
종래의 블랭크 폴딩 장치는 일련의 작업 스테이션, 특히 블랭크 다발로부터 블랭크를 하나씩 박스 제조부에 공급하는 피더 및 정렬모듈, 약90°~180°각도로 접어 블랭크의 접지선을 예비파괴하는 브레이커, 접지선을 따라 블랭크의 탭을 180°접는 폴딩 모듈, 접힌 블랭크를 압축하는 프레스장치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폴딩모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를 따라 블랭크(20)가 좌측으로 이동되게 하고, 상기 블랭크(20)의 이동면 상부에 배치되는 2개의 자동폴딩기구(12) 및 2개의 상측가이드(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폴딩모듈은 상기 블랭크(20)가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방탭(21)이 상기 자동폴딩기구(12)의 후크(13) 하단부에 걸리며, 계속해서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전방탭(21) 상기 상측 가이드(11) 아래로 밀려 들어가면서 폴딩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블랭크 폴딩 모듈은 폴딩되는 탭 부분이 상기 후크(13) 부분에 잘 걸리지 않거나, 걸리더라도 접지선 부분이 아닌 다른 부분이 절곡되는 등 불량 발생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7-700058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8653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컨베이어 벨트의 무접촉 구간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여 박스 폴딩시 무접촉 구간에 경사구간을 형성함으로써, 활용성을 높이고, 폴딩시 컨베이어 벨트의 높이 차이에 의해 블랭크의 탭 부분이 자동으로 벌어져 오작동을 감소하고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는, 플레이트 형상의 블랭크를 이송 및 가공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를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이송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는 상기 이송롤러와 접촉하지 않는 무접촉 구간이 구비되는 이송수단;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무접촉 구간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경사구간을 형성함으로써, 가공하고자하는 상기 블랭크의 탭을 돌출시키기 위한 가압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기준으로 상기 가압수단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무접촉 구간을 지지하는 지지수단;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가압수단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무접촉 구간을 가압할 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수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무접촉 구간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장착되는 메인롤러; 상기 메인롤러의 블랭크의 후진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부재에 장착되는 보조롤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롤러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무접촉 구간에 배치되며, 직경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하 간격보다 크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수단;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이동부재의 상하 이동량을 조절하는 변위조절수단; 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블랭크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이송장치; 상기 블랭크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이송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일단이 상기 하부이송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에 장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며, 상기 하부이송장치의 컨베이어 벨트와 연결되는 제1유동롤러; 압축코일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1유동롤러를 하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조절기구; 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블랭크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이송장치; 상기 블랭크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이송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상기 상부이송장치의 상부에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2탄성조절기구 및 제3탄성조절기구; 상기 제2탄성조절기구 및 상기 제3탄성조절기구 사이에 장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되고, 상기 상부이송장치의 컨베이어 벨트와 연결되는 제2유동롤러; 상기 제2유동롤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2유동롤러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고정롤러; 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블랭크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이송장치; 상기 블랭크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이송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이송장치는, 상기 블랭크의 전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일단이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에 상기 이송롤러가 장착되는 롤러행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상부이송장치(300)는 상기 롤러행거(320)가 블랭크의 전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탄성체(미도시)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됨으로써, 블랭크의 이송시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가 블랭크에 밀착되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블랭크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메인롤러(520)의 지름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의 상하 간격보다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압수단(500)의 상승시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의 상단이 절곡되고, 하강시 상기 무접촉 구간(S)이 절곡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가 느슨해지지 않고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컨베이어 벨트를 가압하는 상기 가압수단(500)에 의해 필요에 따라 상기 무접촉 구간(S)에 수평 또는 경사구간을 형성함으로써, 블랭크(B)를 이송하는 기능과 블랭크(B)의 탭(T)을 폴딩할 수 있는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 활용성을 높이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500)의 하강시 상기 무접촉 구간(S)에 경사구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무접촉 구간(S)을 통과하는 블랭크(B)의 탭(T) 부분이 자동으로 벌어져 상기 걸림기구(600)에 정확히 걸려 폴딩되며, 이로 인해 오작동을 및 불량률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가압수단(500)에 상기 이동부재(510)의 상하 이동량을 조절하는 상기 변위조절수단(540)이 구비됨으로써, 블랭크의 재질이나 작업 상태에 따라 상기 무접촉 구간의 경사구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시 정확도를 높이는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의 가압수단의 하강 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를 사용하여 블랭크의 탭 부분이 무접촉 구간을 통과하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를 사용하여 블랭크의 탭 부분이 걸림기구와 접하여 폴딩되는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의 가압수단의 하강 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를 사용하여 블랭크의 탭 부분이 무접촉 구간을 통과하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를 사용하여 블랭크의 탭 부분이 걸림기구와 접하여 폴딩되는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는 이송수단, 지지수단(400), 가압수단(500), 걸림기구(600) 및 장력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블랭크는 낮은 비중의 플레이트 요소로서, 박스 제작용으로 사용되며, 예를 들어 종이, 골판지, 합성수지재 판지나 필름 등등 다양한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이송수단은 구체적으로 하부프레임(110), 상부프레임(120), 행거(130), 하부이송장치(200) 및 상부이송장치(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프레임(110)에는 상기 하부이송장치(200) 및 상기 지지수단(400)이 장착된다.
상기 상부프레임(120)은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며, 상기 상부이송장치(300) 및 상기 가압수단(500)이 장착된다.
상기 행거(130)는 블랭크의 이송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프레임(120)의 상부에 이격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행거(130)에는 상기 걸림기구(600)가 장착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하부프레임(110), 상기 상부프레임(120) 및 상기 행거(130)는 서로 연결될 수도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이송장치(200)는 블랭크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로써, 구체적으로 다수의 이송롤러(210) 및 컨베이어 벨트(220)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롤러(210)는 블랭크의 전진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상기 하부프레임(11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이송롤러(210)와 접촉되지 않는 무접촉 구간(S)에는 상기 지지수단(400)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이송롤러(210)가 멀리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이송롤러(210)는 회전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를 블랭크의 전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는 무한 컨베이어 벨트로써, 상기 이송롤러(210)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롤러(210)를 감싸는 궤적을 따라 회전되어 블랭크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이송롤러(210)와 접촉되지 않는 무접촉 구간(S)을 갖으며, 상기 무접촉 구간의 하부에는 후술할 상기 지지수단(400)이 배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무접촉 구간(S)은 후술할 상기 가압수단(500)에 의해 가압되지 않을 때에는 블랭크의 이동 방향으로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압수단(500)에 의해 가압될 때에는 하방향으로 절곡되는 경사구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하부이송장치(200)는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롤러(250)에 의해 회전력을 받아 회전된다.
상기 상부이송장치(300)는 상기 하부이송장치(200)의 상부에 배치되며, 구체적으로 롤러행거(320), 이송롤러(330) 및 컨베이어 벨트(3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행거(320)는 후술할 상기 이송롤러(330)에 대응되게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블랭크의 전진 방향, 즉 좌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단이 상기 상부프레임(1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단에는 상기 이송롤러(330)가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롤러행거(320)는 탄성체(미도시)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블랭크의 전진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이송롤러(330)를 약간 상부로 이동시킨다.
상기 이송롤러(330)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롤러(210)와 마찬가지로 블랭크의 전진 방향을 따라 일렬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상기 롤러행거(320)의 하단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이송롤러(33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에 후술할 상기 가압수단(500)이 배치되는 무접촉 구간(S)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가압수단(500)의 너비에 대응되도록 멀리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이송롤러(33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를 블랭크의 전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와 마찬가지로 무한 컨베이어 벨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롤러(330)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롤러(330)의 감싸는 궤적을 따라 회전되어 블랭크를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는 상기 이송롤러(230)와 접촉하지 않고 후술할 상기 가압수단(500)이 배치되는 상기 무접촉 구간(S)을 갖는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이송장치(300)는 상기 롤러행거(320)가 블랭크의 전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탄성체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됨으로써, 블랭크의 이송시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가 블랭크(B)에 밀착되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블랭크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지지수단(400)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대략 5개의 지지롤러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롤러(210)와 수평을 이루도록 일렬로 배치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지지수단(400)의 개수는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400)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의 무접촉 구간(S)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프레임(110)에 볼트로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수단(400)은 후술할 상기 가압수단(500)이 상승 되었을 때,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의 무접촉 구간(S)을 수평하게 지지하여, 블랭크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고, 상기 가압수단(500)이 하강 될 때에는 상기 하부프레임(110)에서 분리된다.
상기 가압수단(500)은 상기 지지수단(400)의 상부, 즉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의 무접촉 구간(S)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프레임(12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와 접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수단(500)은 이동부재(510), 메인롤러(520), 보조롤러(530) 및 변위조절수단(5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부재(510)는 상기 상부프레임(120)에 장착되며,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장치에 의해 승강되며, 경우에 따라 모터 등 다양한 구동수단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이동부재(510)에는 상기 메인롤러(520)가 장착된다.
상기 메인롤러(520)는 상기 이동부재(5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의 내주면과 접하고, 상기 이송롤러(330)보다 직경이 크며, 그 지름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의 상하 간격보다 더 크다.
따라서, 상기 지지수단(400)가 상기 하부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320)의 무접촉 구간(S)이 수평하게 될 때, 상기 메인롤러(520)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의 상단은 상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지지수단(400)가 상기 하부프레임(110)에서 분리되고 상기 가압수단(500)이 하강되었을 때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의 상단은 수평을 이루고, 상기 무접촉 구간(S)은 상기 메인롤러(520)에 의해 하방향으로 절곡된다.
물론, 상기 메인롤러(520)의 지름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의 상하 간격보다 작은 수도 있으나, 상기 메인롤러(520)의 지름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의 상하 간격보다 클 경우, 상기 메인롤러(520)의 상하 이동 거리를 줄일 수 있고, 별도의 변위 기구 없이도 상기 메인롤러(520)의 하강시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의 하단 절곡 깊이가 상기 메인롤러(520)가 하강하기 전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의 상단 절곡 깊이와 동일하게 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메인롤러(520)의 지름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의 상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롤러(520)의 지름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의 상하 간격보다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압수단(500)의 상승시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의 상단이 절곡되고, 하강시 상기 무접촉 구간(S)에 경사구간이 형성될 때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가 느슨해지지 않고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보조롤러(530)는 상기 메인롤러(520)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재(5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보조롤러(530)는 상기 메인롤러(520)의 회전중심점 보다 하부에 배치되며, 지름이 상기 메인롤러(520)보다 작아 하단이 상기 메인롤러(520)의 하단보다 높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보조롤러(530)는 상기 가압수단(500)의 하강시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를 눌러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변위조절수단(540)은 상기 이동부재(510)의 상하 이동량을 조절하는 장치로써, 일반적으로 실린더 장치의 변위조절장치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압수단(500)에 상기 이동부재(510)의 상하 이동량을 조절하는 상기 변위조절수단(540)이 구비됨으로써, 블랭크의 재질이나 작업 상태에 따라 상기 무접촉 구간(S)의 가압시 경사구간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시 정확도를 높이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행거(130)에는 블랭크(B)의 이동시 블랭크(B)의 탭(T)을 회전시켜 접는 상기 걸림기구(600)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기구(600)는 상하 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이다.
이러한 상기 걸림기구(6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진하는 블랭크(B)의 탭(T)과 접하여 탭(T)이 자동으로 시계방향으로 폴딩되게 한다.
한편,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제1장력조절장치(700) 및 제2장력조절장치(800)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장력조절장치(700)는, 상기 가압수단(500)의 하강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의 무접촉 구간(S)에 경사구간이 형성될 때 탄성력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장력조절장치(700)는 연결부재(710), 제1유동롤러(720) 및 제1탄성조절기구(7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710)는 긴 막대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하부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1유동롤러(720)가 장착된다.
상기 제1유동롤러(72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를 하방향으로 절곡시키며, 상기 연결부재(710)의 타단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부재(710)의 회전에 따라 상하 유동된다.
상기 제1탄성조절기구(730)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신축시켜 상기 제1유동롤러(72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치로써, 하단이 상기 하부프레임(110)에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제1유동롤러(720)에 장착되어 상기 제1유동롤러(720)를 하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장력조절장치(700)는 상기 제1탄성조절기구(7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유동롤러(720)가 하방향으로 탄성 지지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제2장력조절장치(800)는 상기 행거(130)에 장착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와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장력조절장치(800)는 제2탄성조절기구(810), 제3탄성조절기구(820), 제2유동롤러(830) 및 고정롤러(8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탄성조절기구(810)는 압축코일스프링에 의해 후술할 상기 제2유동롤러(830)를 상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장치로써, 일단이 상기 행거(130)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유동롤러(830)와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2탄성조절기구(810)는 상기 제3탄성조절기구(820)와 연결된다.
상기 제3탄성조절기구(820)는 상기 제2탄성조절기구(810)의 전방에 이격 배치되며,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행거(130)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유동롤러(830)가 장착된 상기 제2탄성조절기구(81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3탄성조절기구(820)는 상기 제2유동롤러(830)에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제2유동롤러(83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와 접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를 상방향으로 절곡되게 하며, 상기 제2탄성조절기구(810)와 상기 제3탄성조절기구(82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유동된다.
상기 고정롤러(840)는 상기 상부프레임(120)에 장착되며, 상기 제2유동롤러(83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2유동롤러(830)를 지나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를 하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장력조절장치(800)는 상기 제2탄성조절기구(810)와 상기 제3탄성조절기구(820)에 의해 상기 제2유동롤러(830)를 탄성 지지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 벨트(340)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T)이 형성된 블랭크(B)를 상기 하부이송장치(200)와 상기 상부이송장치(300) 사이에 배치하여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단순히 이송수단으로써 사용할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400)를 상기 하부프레임(110)에 장착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와 컨베이어 벨트(340)의 무접촉 구간(S)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다.
반대로 블랭크(B)의 탭(T)을 접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400)를 상기 하부프레임(110)에서 분리하고, 상기 가압수단(500)을 하강시켜 상기 컨베이어 벨트(220)와 컨베이어 벨트(340)의 무접촉 구간(S)을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절곡시켜 경사구간을 형성한다.
이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크(B)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블랭크(B)가 상기 무접촉 구간(S)의 경사구간을 지나면서 탭(T) 부분이 분리되어 뜨게 된다.
이어서 블랭크(B)가 계속 좌측으로 전진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탭(T) 부분이 상기 걸림기구(600)에 접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접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는 컨베이어 벨트를 가압하는 상기 가압수단(500)에 의해 필요에 따라 상기 무접촉 구간(S)에 수평 또는 경사구간을 형성함으로써, 블랭크(B)를 이송하는 기능과 블랭크(B)의 탭(T)을 폴딩할 수 있는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 활용성을 높이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500)의 하강시 상기 무접촉 구간(S)을 하방향으로 절곡시켜 상기 무접촉 구간(S)을 통과하는 블랭크(B)의 탭(T) 부분이 자동으로 벌어져 상기 걸림기구(600)에 정확히 걸려 폴딩되며, 이로 인해 오장동 및 불량률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10 : 하부프레임, 120 : 상부프레임,
130 : 행거
200 : 하부이송장치, 300 : 상부이송장치,
220,340 : 컨베이어 벨트, 210,330 : 이송롤러,
320 : 롤러행거,
400 : 지지수단, 500 : 가압수단,
510 : 이동부재, 520 : 메인롤러,
530 : 보조롤러, 540 : 변위조절수단
600 : 걸림기구, 700 : 제1장력조절장치,
710 : 연결부재 720 : 제1유동롤러,
730 : 제1탄성조절기구, 800 : 제2장력조절장치,
810 : 제2탄성조절기구, 820 : 제3탄성조절기구,
830 : 제2유동롤러 840 : 고정롤러,

Claims (9)

  1. 플레이트 형상의 블랭크를 이송 및 가공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를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이송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는 상기 이송롤러와 접촉하지 않는 무접촉 구간이 구비되며, 상기 블랭크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이송장치와 상기 블랭크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이송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송수단;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무접촉 구간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경사구간을 형성함으로써, 가공하고자하는 상기 블랭크의 탭을 돌출시키기 위한 가압수단; 및
    일단이 상기 하부이송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에 장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며, 상기 하부이송장치의 컨베이어 벨트와 연결되는 제1유동롤러와, 압축코일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1유동롤러를 하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조절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기준으로 상기 가압수단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무접촉 구간을 지지하는 지지수단;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가압수단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무접촉 구간을 가압할 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수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무접촉 구간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장착되는 메인롤러;
    상기 메인롤러의 블랭크의 후진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부재에 장착되는 보조롤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롤러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무접촉 구간에 배치되며, 직경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하 간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이동부재의 상하 이동량을 조절하는 변위조절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상기 상부이송장치의 상부에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2탄성조절기구 및 제3탄성조절기구;
    상기 제2탄성조절기구 및 상기 제3탄성조절기구 사이에 장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되고, 상기 상부이송장치의 컨베이어 벨트와 연결되는 제2유동롤러;
    상기 제2유동롤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2유동롤러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고정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이송장치는,
    상기 블랭크의 전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일단이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에 상기 이송롤러가 장착되는 롤러행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
KR20140020352A 2014-02-21 2014-02-21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 KR101507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0352A KR101507904B1 (ko) 2014-02-21 2014-02-21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0352A KR101507904B1 (ko) 2014-02-21 2014-02-21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7904B1 true KR101507904B1 (ko) 2015-04-07

Family

ID=53032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20352A KR101507904B1 (ko) 2014-02-21 2014-02-21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9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385A1 (ko) * 2015-03-05 2016-09-09 에이스기계(주)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
KR101738813B1 (ko) 2016-04-26 2017-05-23 정기원 웨더 스트립 이송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27774A (ko) * 1974-03-29 1975-10-08
KR20040077844A (ko) * 2004-08-20 2004-09-07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상자 형성기기의 상자 원지 정렬장치
KR101045213B1 (ko) * 2010-11-25 2011-06-30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박스 절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27774A (ko) * 1974-03-29 1975-10-08
KR20040077844A (ko) * 2004-08-20 2004-09-07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상자 형성기기의 상자 원지 정렬장치
KR101045213B1 (ko) * 2010-11-25 2011-06-30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박스 절곡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385A1 (ko) * 2015-03-05 2016-09-09 에이스기계(주)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
GB2538651A (en) * 2015-03-05 2016-11-23 Ace Machinery Co Lt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nd processing blank
US10105924B2 (en) 2015-03-05 2018-10-23 Ace Machinery Co., Ltd. Blank feeding/processing apparatus
GB2538651B (en) * 2015-03-05 2021-03-24 Ace Machinery Co Ltd Blank feeding / processing apparatus
KR101738813B1 (ko) 2016-04-26 2017-05-23 정기원 웨더 스트립 이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1125806A (ru) Упаковочный аппарат
TWI399285B (zh) 用於摺疊膠合機器的摺疊裝置及方法
KR101507905B1 (ko)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
CN105936430A (zh) 用于折叠-上胶机器的辅助单元和相关的折叠-上胶机器
KR101507904B1 (ko) 블랭크 이송 가공 장치
CN108928043B (zh) 纸箱压痕装置
US11542046B2 (en) Banding and packaging device
KR101428379B1 (ko) 상부 개구형 박스의 제조장치
CN102730465B (zh) 一种送纸装置及其工作方法
KR102294935B1 (ko) 다열 제함기
CN205170028U (zh) 自动送线器的送线控制装置
US10105924B2 (en) Blank feeding/processing apparatus
US1104013A (en) Folding and gluing machine.
US747395A (en) Feeder.
CN209794727U (zh) 一种瓦楞纸加工用碰线机前缘送纸机构
CN103612930A (zh) 叠图机
US2902280A (en) Spring feeder for warped board
JP6156839B2 (ja) 帯掛け包装装置
KR10197805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자동 보수장치
CN204296106U (zh) 一种包装盒的涂胶定位机构
US1684903A (en) Blank-bending machine
KR101094398B1 (ko) 스티칭 머신의 급지장치
JP2007030176A (ja) 段ボールシートの折り曲げ装置
CN203545217U (zh) 叠图机
KR20150105799A (ko) 컨베이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