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786B1 - 단말기 및 이것의 간섭 개선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및 이것의 간섭 개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786B1
KR101507786B1 KR20080029923A KR20080029923A KR101507786B1 KR 101507786 B1 KR101507786 B1 KR 101507786B1 KR 20080029923 A KR20080029923 A KR 20080029923A KR 20080029923 A KR20080029923 A KR 20080029923A KR 101507786 B1 KR101507786 B1 KR 101507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module
interferenc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29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4482A (ko
Inventor
이승순
이범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29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786B1/ko
Priority to EP20080171511 priority patent/EP2107839A3/en
Priority to US12/359,020 priority patent/US8942630B2/en
Priority to CN2009100070465A priority patent/CN101553054B/zh
Publication of KR20090104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단말기 또는 서로 다른 단말기에 의해 구현되는 복수의 무선통신기술들 간에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간섭 발생에 대한 개선 동작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이것의 간섭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말기 및 이것의 간섭 개선 방법{TERMINAL AND METHOD OF IMPROVING INTERFERENCE THEREIN}
본 발명은 무선통신기술을 지원하는 단말기 및 이것의 간섭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음성/영상 통화 기능, 정보 입/출력 기능 및 데이터 저장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기기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단말기는, 이동성 여부에 따라 이동형 및 고정형으로 나뉠 수 있고, 이동형 단말기는, 사용자의 휴대 여부에 따라 휴대형 및 거치형으로 나뉠 수 있다.
최근, 단말기는, 상술한 기능들에 더하여,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영상 촬영, 음악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게임, 방송 수신/출력, 길 안내 서비스 등의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측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게 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 단말기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기술을 지원할 수 있게 되었다.
하나의 무선통신기술을 지원하는 경우, 이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 또는 인접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통신기술을 지원하는 주변 무선통신기기에 의해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무선통신기술을 지원하는 경우, 동일한 주파수 대역 또는 인접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각각의 무선통신기술 간에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무선통신시스템에 의한 무선신호의 에러율이 높아지고 신호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하나의 단말기에서 복수의 무선통신기술을 구현하는 경우 발생하는 간섭(interference)을 개선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이것의 간섭 개선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단말기에서 각각 무선통신기술을 구현하는 경우 발생하는 간섭을 개선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이것의 간섭 개선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제 1 무선통신기술에 의해 구현되는 제 1 통신모듈; 및 제 1 무선통신기술 및 제 2 무선통신기술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간섭 발생이 판단되면, 상기 간섭 발생에 대한 개선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간섭 개선 방법은, 제 1 무선통신기술에 의해 구현되는 제 1 통신모듈을 구동시키는 단계; 제 1 무선통신기술 및 제 2 무선통신기술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간섭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간섭 발생에 대한 개선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무선통신기술은, 제 1 통신모듈이 구비된 단말기와 동일 또는 상이한 단말기에 구비된 제 2 통신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및 이것의 간섭 개선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하나의 단말기에서 복수의 무선통신기술을 구현하는 경우 발생하는 간섭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둘째, 복수의 단말기에서 각각 무선통신기술을 구현하는 경우 발생하는 간섭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 및 이것의 간섭 개선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술에 대하여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기는,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Navigation),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MP3P(MPEG layer 3 Player) 등이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기술을 지원할 수 있는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 서 살펴보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가 있는 단말기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단말기(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의 무선 통신 또는 단말기(100)와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 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들 수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히 측정된 시간 및 거리를 이용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 라(1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동작을 받아들여,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단말기(100)의 방위, 단말기(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 를 들어,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도 담당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는,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어 TV 또는 컴퓨터 모니터 등과 연결되는 경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 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 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 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단말기(100)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간섭 개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각 구성요소들 간의 유기적 결합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는, 제 1 바디(200)와, 제 1 바디(20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 2 바디(205)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가, 폴더 타입인 경우에, 제 1 바디와, 제 1 바디에 적어도 일측이 폴딩(folding) 또는 언폴딩(unfolding)되게 구성된 제 2 바디를 포함한다.
제 1 바디(200)가 제 2 바디(205)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바디(200)가 제 2 바디(20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 1 바디(2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바디(200), 구체적으로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카메라(121) 또는 제 1 사용자 입력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 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 1 바디(200)와 마찬가지로, 제 2 바디(205)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와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바디(205), 구체적으로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 2 사용자 입력부(215)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또는 제 2 리어 케이스(235)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 3 사용자 입력부(245),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사용자 입력부(210, 215, 245)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 1 사용자 입력부(21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 2 사용자 입력부(215)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 3 사용자 입력부(245)는, 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제 2 리어 케이스(235) 측에는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 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말기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2 바디(205)의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후면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 2 바디(205)에 장착된 카메라(121)는, 제 1 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 1 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바디(200)의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 2 바디(205)의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바디(205)의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50)와 거울(255)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250)는, 제 2 바디(205)의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255)은, 사용자가 제 2 바디(205)의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235)에는 음향 출력 모듈(152)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 2 바디(205)의 음향 출력 모듈(152)은, 제 1 바디(200)의 음향 출력 모 듈(152)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260)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260)는 제 2 바디(205)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 1 바디(200)의 제 1 리어 케이스(225) 측에는 제 1 바디(200)와 제 2 바디(20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265)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265)의 다른 부분은 제 2 바디(205)의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카메라(121) 등이 제 2 바디(20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2 바디(205)의 카메라(121) 등과 같이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 1 바디(200), 주로는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 2 바디(205)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 2 바디(205)의 카메라(121)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 1 바디(200)의 카메라(12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 2 바디(205)의 카메라(121)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있음은 당연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 수신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4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4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 정보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은, 다양한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중에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언급되는 단말기는 도 1에서 도시된 구성요 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간섭 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 주파수 대역별 무선통신기술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먼저, 서로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통신기술에 있어서, 2.3GHz 대역의 와이브로(WiBro), 2.4GHz 대역의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알에프아이디(RFID), 지그비(Zigbee) 등, 2.5GHz 대역의 와이맥스(WiMAX) 간에는 서로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2.4GHz 대역의 양 가장자리 대역이 블루투스 채널로 할당된 경우, 2.3GHz 대역의 와이브로 또는 2.5GHz 대역의 와이맥스와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2.4GHz 대역{또는, 산업, 과학 및 의학 대역(Industrial, Sientific and Medical band; 'ISM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통신기술에 있어서, 와이파이, 블루투스, 알에프아이디, 지그비 간에 서로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의 동시 구현시, 블루투스는 와이파이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데, 와이파이 채널의 인접 대역에서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IEEE 802.15.2에서는, 무선지역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이하 'WLAN') 및 무선개인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이하 'WPAN')의 무선통신기술, 예를 들어, 와이파이(WLAN의 일례) 및 블루투스(WPAN의 일례)가 하나의 단말에서 동시 구현되는 상황을 기술적으로 정의한다. 이에 대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ISM 대역에서 구현되는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각각의 채널 할당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와이파이의 채널별 주파수 대역 및 중심 주파수를 나타내고, 도 6a 및 도 6b는, 블루투스의 채널별 주파수 대역 및 채널 선택 방법을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파이는, 총 14개의 채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가마다 사용하는 채널이 조금씩 상이하다. 현재, 채널 14는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으며, 각 채널간 중심 주파수 간격은 5MHz를 갖도록 채널 할당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는, 총 79개의 채널로 구성되며, 각 채널은 1MHz의 캐리어 간격(carrier spacing)을 갖는다. 또한, 1초당 1600번의 주파수 호핑을 수행하며, 시분할다중접속(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1슬롯(slot)당 625μsec를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가 하나의 단말기에서 동시 구현되거나 서로 다른 단말기에서 각각 구현되는 경우, 블루투스는, 와이파이에 할당된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대역에서 주파수 호핑(이하 '선택적 주파수 호핑')을 수행할 수 있다. IEEE 802.15.2에서는 선택적 주파수 호핑 이외에도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가 동시 구현되는 상황에서 채널 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언급될 제 1 무선통신기술 및 제 2 무선통신기술은, 각각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중 어느 하나라고 가정할 수 있다. 물론, 제 1 및 제 2 무선통신기술은, 서로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무선통신기술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동일 주파수 대역 및 상이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와이파 이, 블루투스, 와이브로, 와이맥스 각각에 의해 구현되는 통신모듈은, 각각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와이브로 모듈, 와이맥스 모듈이라고 칭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와이파이 모듈, 와이브로 모듈, 와이맥스 모듈은, 무선 인터넷 모듈(113)의 일례이고, 블루투스 모듈은, 근거리 통신 모듈(114)의 일례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간섭 개선 방법을 각 단계별로 살펴보겠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의 간섭 개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제 1 무선통신기술에 의해 구현되는 제 1 통신모듈을 구동시킨다(S710). 예를 들어, 제 1 무선통신기술이 와이파이인 경우 제 1 통신모듈은 무선 인터넷 모듈(113)이고, 제 1 무선통신기술이 블루투스인 경우 제 1 통신모듈은 근거리 통신 모듈(114)일 수 있다.
제 1 무선통신기술이 와이파이인 경우, 제 1 통신모듈의 구동 결과, 단말기(100)는,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음성 패킷망(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이하 'VoIP')을 이용하여 호를 연결하거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거나, 비디오 스트리밍(video streaming)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 1 무선통신기술이 블루투스인 경우, 제 1 통신모듈의 구동 결과, 단말기(100)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거나, 블루투스용 외부 음향 출력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헤드셋, 스피커)로 오디오 신호를 송신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제 1 무선통신기술 및 제 2 무선통신기술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간섭 발생을 판단한다(S720). 특히, 판단 단계(S720)는, 제어부(18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무선통신기술은, 단말기(100)에 구비된 제 2 통신모듈 또는 외부 단말기(또는, 통신기기)에 구비된 제 2 통신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통신모듈은, 제 2 무선통신기술이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인지에 따라, 무선 인터넷 모듈(113)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114)일 수 있다.
제 1 및 제 2 통신모듈이 단말기(100)에 함께 구비된 경우, 단말기(100)는, 제 1 및 제 2 통신모듈의 활성화를 감지하는 경우, 간섭이 발생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를 '내부 간섭'이라고 약칭한다. 예를 들어, 활성화는, 일정 시점에서 제 1 및 제 2 통신모듈이 구동되거나 온(ON)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 1 및 제 2 통신모듈이 각각 단말기(100) 및 외부 단말기에 구비된 경우, 단말기(100)는, 제 1 통신모듈에 의한 신호 성능이 일정 기준 이하로 감지되는 경우, 제 2 통신모듈에 대한 검색 동작을 수행하고, 제 2 통신모듈이 검색되면 간섭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를 '외부 간섭'이라고 약칭한다.
이하에서는, 도 8a 내지 도 8g를 참조하여, 단말기(100)에서 내부 간섭이 발생하는 상황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a 내지 도 8g는, 단말기(100)에서 복수의 무선통신기술의 구현으로 인해 간섭이 발생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및 제 2 무선통신기술을 각각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라고 가정한다.
먼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VoIP 호 연결을 수행하면서(와이파이 모듈의 구동 결과) 블루투스용 외부 헤드셋을 이용하여 VoIP 호 연결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블루투스 모듈의 구동 결과)하는 경우, 내부 간섭의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면서(와이파이 모듈의 구동 결과) 블루투스용 외부 헤드셋을 이용하여 음성 호 연결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블루투스 모듈의 구동 결과)하는 경우, 내부 간섭의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면서(와이파이 모듈의 구동 결과) 블루투스용 외부 헤드셋을 이용하여 MP3 파일 재생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블루투스 모듈의 구동 결과)하는 경우, 내부 간섭의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비디오 스트리밍을 수행하면서 (와이파이 모듈의 구동 결과) 블루투스용 외부 헤드셋을 이용하여 비디오 스트리밍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블루투스 모듈의 구동 결과)하는 경우, 내부 간섭의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VoIP 호 연결을 수행하면서(와이파이 모듈의 구동 결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블루투스 모듈의 구동 결과)하는 경우, 내부 간섭의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모 듈 각각의 구동 결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내부 간섭의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도 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젼(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에 의한 방송 신호 수신 및 출력을 수행하면서(와이파이 모듈의 구동 결과) 블루투스용 외부 헤드셋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 출력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블루투스 모듈의 구동 결과)하는 경우, 내부 간섭의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말기(100)에서 제 1 통신모듈(예를 들어, 와이파이 모듈)의 구동 결과 무선 인터넷 접속, VoIP 호 연결, 데이터 통신 또는 비디오 스트리밍 등을 수행하는 동안 외부 단말기의 제 2 통신모듈(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에 의해 데이터 통신 또는 오디오 신호 출력 동작이 수행되면, 단말기(100)는, 외부 간섭이 발생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
도 7로 복귀하여, 단말기(100)는, 판단 단계(S720)의 판단 결과 간섭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간섭 발생에 대한 개선 동작을 수행한다(S730).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개선 동작을 직접 수행하거나,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개선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내부 간섭 및 외부 간섭 발생에 대한 개선 동작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단말기(100)에서 내부 간섭 발생시 간섭 개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단말기(100)에 구비된 제 1 및 제 2 통신모듈의 동시 구동 여부를 판단한다(S910).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일정시점에서의 동시 구동 여부 또는 일정 기간 동안의 동시 구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단계(S910)에서 동시 구동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제 1 및 제 2 무선통신기술에 의해 간섭이 발생한다고 판단한다(S920). 그리고, 단말기(100)는, 다양한 방법으로 내부 간섭 발생에 대한 개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내부 간섭에 대한 개선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개선 동작으로써, 단말기(100)는, 출력부(150)를 통하여, 간섭 발생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한다(S930).
출력 단계(S930)에 관련하여,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간섭 발생을 알리기 위한 문구(예를 들어, 간섭 발생이 감지됩니다, 간섭 발생으로 인하여 신호 성능이 불량합니다, 간섭을 제거해 주십시오, 간섭을 확인해 주십시오 등)가 표시된 창(1110)을 디스플레이하거나(a), 간섭 발생을 알리기 위한 아이콘(11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물론,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말기(100)는, 간섭 발생을 알리기 위하여, 알람부(153)를 이용하여 진동, 램프, 알림음 등을 발생시키거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이용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a)에서 "확인 영역"이 선택되거나, (b)에서 간섭 알림 아이콘(1120)이 선택되면, 후술할 간섭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간섭을 발생시키는 무선통신기술에 의한 각 통신모듈의 동작이 무엇인지 알리기 위한 간섭 리스트(12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간섭을 발생시키는 무선통신기술에 의한 통신모듈의 동작 별 중요도가 표시된 간섭 리스트(13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중요도를 알림으로써, 중요도가 높은 동작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에 대하여 동작 유지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에서, 중요도는, 사용자 또는 단말기(100)에 의해 단말기 동작의 특성을 고려하여 동작 성능이 보장될 필요성에 따라 설정된 기준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중요도를 나타내는 숫자가 클수록 중요도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12 및 도 13에서, 단말기(100)는, 간섭 리스트(1210, 1310) 를 통하여, 통신모듈 별 동작 유지(ON)/동작 중단(OFF) 및 동시 동작(또는, 동시 사용)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제 2 개선 동작으로써, 단말기(100)는, 제 1 및 제 2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종료시키면서 나머지 하나를 구동시킬 수 있다(S941).
단말기(100)는, 제 1 및 제 2 통신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의 중요도 또는 제 1 및 제 2 통신모듈 각각에 대한 일정 시간 동안의 데이터 송수신 여부에 따라, 종료할 통신모듈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선택적 종료할 통신모듈로써,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거나 일정 기준 이하의 중요도가 설정된 동작 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또는 일정 시간 동안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지 않은 통신모듈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 종료/구동될 통신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30)에 구비된 키 패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등을 통하여 선택 동작을 입력할 수 있다.
선택적 종료/구동 단계(S941)에 관련하여,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및 제 2 통신모듈은, 각각 와이파이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이라고 가정한다.
먼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간섭 리스트(1410)를 통하여, VoIP 호 연결을 수행하는 와이파이 모듈의 구동(ON) 및 데이터 통신의 동작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의 종료(OFF)를 선택받을 수 있다(a). 따라서, 단말기(100)는, 블루투스 모듈에 의한 데이터 통신 동작을 중단하고, 블루투스 모듈에 의한 데이터 통신 동작이 중단되었음을 알리는 문구(1420)를 출력할 수 있다(b).
다음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간섭 리스트(1510) 상에 동작 별 중요도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동작의 중요도에 따라 종료/구동할 통신모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a). 물론,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관계없이, 기 설정된 동작 별 중요도에 따라 종료/구동할 통신모듈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제 1 및 제 2 통신모듈 각각에 대한 일정 시간 동안의 데이터 송수신 여부를 판단하여, 일정 시간 동안 데이터 송수신 동작이 수행되지 않은 제 2 통신모듈에 대한 종료 여부를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게 할 수 있다(a). 따라서,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동작 종료 ('Yes')(1611)가 선택되는 경우, 제 2 통신모듈의 구동을 중단하고, 제 2 통신모듈의 구동이 중단되었음을 알리는 문구(1620)를 출력할 수 있다(b).
도 9로 복귀하여, 단말기(100)는, 선택적 종료/구동 단계(S941)에서 선택적 구동된 통신모듈의 구동 종료 여부를 판단한다(S942). 예를 들어, 판단 단계(S942)는, 제어부(18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판단 단계(S942)는, 선택적 종료된 통신모듈에 대한 실행 예약 또는 알림 예약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경우에 수행되거나, 선택적 구동된 통신모듈의 종료시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판단 단계(S942)에서 선택적 구동된 통신모듈의 구동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선택적 종료된 통신모듈이 구동 가능함을 알리거나(S943), 선택적 종료된 통신모듈을 구동시킬 수 있다(S944).
선택적 종료된 통신모듈에 대한 실행 예약/알림 예약 동작에 관련하여,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적 종료된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모듈이고, 선택적 구동된 통신모듈은 와이파이 모듈이라고 가정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선택적 종료될 모듈로써 블루투스 모듈이 결정된 후, 블루투스 모듈에 대한 실행 예약 또는 알림 예약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7에서 실행 예약이 설정된 경우, 단말기(100)는, 와이파이 모듈의 구동 종료가 감지되면, 블루투스 모듈에 의한 동작을 실행할 것임을 알리는 문구(1810)를 출력할 수 있다(a). 이때, 블루투스 모듈에 의한 동작 실행을 알리기 위하여, 진동, 음성 신호, 램프, 아이콘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블루투스 모듈에 의한 동작을 실행한다(b). 물론, 단말기(100)는, 동작 실행 알림 문구(1810)의 출력 없이, 곧바로 블루투스 모듈에 의한 동작을 실행할 수도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7에서 알림 예약이 설정된 경우, 단말기(100)는, 와이파이 모듈의 구동 종료가 감지되면, 블루투스 모듈의 구동 가능함을 알리면서, 블루투스 모듈에 의한 동작의 실행 여부를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게 할 수 있다(a). (a)에서 동작 실행('Yes')(1911)이 선택되면, 단말기(100)는, 블루투스 모듈에 의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b).
제 3 개선 동작으로써, 단말기(100)는, 제 1 및 제 2 통신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의 중요도를 설정하고(S951), 설정된 중요도에 따라 각 통신모듈의 동작 성능을 보장한다(S952). 그리고, 단말기(100)는, 보장된 동작 성능에 따라 제 1 및 제 2 통신모듈을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S953).
제 1 통신모듈이 와이파이 모듈이고 제 2 통신모듈이 블루투스 모듈인 경우를 예로 들면, 설정 단계(S951)에서,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와이파이 모듈에 의한 호 연결, 와이파이 모듈에 의한 인터넷 접속, 블루투스 모듈에 의한 데이터 통신, 블루투스 모듈에 의한 데이터 통신 순으로 중 요도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보장 단계(S952)에서, 단말기(100)는, 와이파이 모듈에 의한 호 연결 및 블루투스 모듈에 의한 데이터 통신이 동시 수행되는 경우, 호 연결의 동작 성능을 높게 보장하고 데이터 통신의 동작 성능을 상대적으로 낮게 보장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단계(S953)에서, 단말기(100)는, 블루투스 모듈에 의한 데이터 통신 속도를 느리게 하거나, 블루투스 모듈을 설정 주기보다 긴 주기로 동작시키거나, 와이파이 채널 대역 및 주변 일정 대역을 제외한 대역에서만 채널 호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동작 성능에 따른 제 1 및 제 2 통신모듈의 동시 구동에 관련하여, 도 20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및 제 2 통신모듈을 각각 와이파이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이라고 가정한다.
사용자에 의해 간섭 리스트(2010) 중 동시 사용(2011)이 선택되면(a), 단말기(100)는, 각 통신모듈에 의한 동작 및 동작 별 중요도(2020)를 디스플레이한다(b). 사용자는, 동작 별 중요도를 이용하여, 각 통신모듈의 동작 별 동작 성능을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각 통신 모듈에 대한 동작 성능에 따라 각 통신모듈을 동작시키면서, 이를 알리는 문구(2030)를 출력할 수 있다(c).
제 4 개선 동작으로써, 단말기(100)는, 제 1 및 제 2 무선통신기술이 동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 제 1 및 제 2 무선통신기술 중 어느 하나를 상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 3 무선통신기술로 교체하고(S961), 비 교체된 무선통신기 술에 의한 통신모듈 및 제 3 통신모듈을 동시 구동할 수 있다(S962). 이는, 상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통신기술 간에는 동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간섭 발생의 가능성이 약하기 때문이다.
교체 단계(S961)에서, 단말기(100)는, 제 1 및 제 2 무선통신기술이 각각 2.4GHz 대역을 사용하는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인 경우, 와이파이와 교체될 제 3 무선통신기술로써 2.3GHz 대역을 사용하는 와이브로 또는 2.5GHz 대역을 사용하는 와이맥스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와이브로 및 와이맥스는, WLAN의 일례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동시 구동 단계(S962)에서, 단말기(100)는, 제 2 및 제 3 무선통신기술에 의해 각각 구현되는 제 2 및 제 3 통신모듈을 동시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제 2 통신모듈은, 블루투스에 의해 구현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4)이고, 제 3 통신모듈은 와이브로 또는 와이맥스에 의해 구현되는 무선 인터넷 모듈(113)일 수 있다.
무선통신기술 교체에 따른 제 2 및 제 3 통신모듈의 동시 구동에 관련하여,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제 2 및 제 3 무선통신기술은, 각각 와이파이, 블루투스, 와이브로라고 가정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와이파이에 의한 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면서(와이파이 모듈 구동 결과), 블루투스용 외부 스피커를 통하여 MP3 재생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블루투스 모듈 구동 결과)한다(a). 이러한 경우, 와이 파이 및 블루투스의 동시 구현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므로,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간섭 리스트(21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그리고,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 리스트(2110) 중 동시 사용이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상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와이브로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재접속할 것인지를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게 할 수 있다(a).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재접속('Yes')(2211)이 선택되면, 단말기(100)는, 와이파이에 의한 인터넷 접속을 중단하고 와이브로에 의한 인터넷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b.c). 한편, 경우에 따라서,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한 재접속 선택 여부에 관계없이, (b) 및 (c)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20(a) 및 도 21(b)에서 동시 사용이 선택된 경우, 단말기(100)는, IEEE 802.15.2에 근거하여 제 1 및 제 2 통신모듈을 동시 구동할 수 있다. IEEE 802.15.2에서는, WLAN(예를 들어, 와이파이)에 의한 장치(또는, 모듈)(이하 '와이파이 모듈')가 구동되는 상황에서 WPAN(예를 들어, 블루투스)에 의한 장치(또는, 모듈)(이하 '블루투스 모듈')의 구동으로 인한 간섭을 완화하는 동시 구동 메커니즘을 기술한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은, 각각 상술한 제 1 통신모듈 및 제 2 통신모듈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동시 구동 메커니즘은, 와이파이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이 서로 정보를 교환하여 상호 간섭을 억제하는 기술인 "협력 동시 구동 메커니즘(collaborative coexistence mechanism)" 및 와이파이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이 서로 정보를 교환하지 않고 블루투스 모듈 스스로 간섭 채널을 검색하여 검색된 간 섭 채널의 간섭을 억제하는 기술인 "비협력 동시 구동 메커니즘(non-collaborative coexistence mechanism)"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협력 동시 구동 메커니즘"은, 와이파이의 비콘 시간(beacon time)을 블루투스와 와이파이의 전송 시간으로 나누어 각각의 전송시간에만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Alternating Wireless Medium Access; 'AWMA'), 패킷 트래픽의 현재와 미래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여 간섭 채널을 피하는 방식(Packet Traffic Arbitration; 'PTA'), 또는 블루투스 신호의 주파수에서 와이파이 모듈에 널(null) 값을 대입하는 방식(Deterministic Interference Suppression ; 'DI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협력 동시 구동 메커니즘"은, 와이파이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이 간섭되어 들어온 신호를 디지털 필터를 통해 분리해 냄으로써 간섭 신호를 제거하는 방식인 적응성 간섭 억제(Adaptive Interference Suppresion ; 'AIS), 블루투스 모듈 스스로 간섭 채널을 인식하여 인식된 간섭 채널 대역에 대하여 최고의 성능을 획득할 수 있도록 패킷 타입과 전송 스케줄을 정하는 방식인 패킷 스케줄링 및 선택(Packet Scheduling and Selection; 'PSS'), 블루투스 모듈 스스로 인식한 간섭 채널들을 호핑 시퀀스에서 제외하는 방식인 (Adaptive Frequency-Hopping; 'AF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단말기(100)에서 외부 간섭 발생시 간섭 개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단말기(100)에 구비된 제 1 통신모듈을 구동하면서, 외부 단말기에서 구동중인 제 2 통신모듈의 검색 여부를 판단 한다(S1010). 예를 들어, 제 1 통신모듈이 와이파이 모듈이고 제 2 통신모듈이 블 투스 모듈인 경우, 단말기(100)는, 와이파이 모듈 구동 중 신호 성능 저하가 감지되면, 단말기(100)에 구비된 블루투스 모듈을 온(ON)시켜 외부에서 구동되는 블루투스 모듈의 존재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와이파이 모듈은, 무선 인터넷 모듈(113)의 일례이고, 블루투스 모듈은, 근거리 통신 모듈(114)의 일례이다.
판단 단계(S1010)에서 제 2 통신모듈이 검색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제 2 무선통신기술에 의해 간섭이 발생한다고 판단한다(S1020). 그리고, 단말기(1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외부 간섭 발생에 대한 개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외부 간섭 발생에 대한 개선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개선 동작으로써, 단말기(100)는, 출력부(150)를 통하여, 간섭 발생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한다(S1030).
출력 단계(S1030)에 관련하여, 도 23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및 제 2 통신모듈을 각각 와이파이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이라고 가정한다.
먼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외부 간섭 발생을 알리기 위한 문구(예를 들어, 주변 간섭이 감지됩니다, 주변 간섭으로 인하여 신호 성능이 불량합니다, 주변 간섭을 확인하십시오 등)가 표시된 창(2310)을 디스플레이하거나(a), 간섭 발생을 알리기 위한 아이콘(2320)을 디스플레이하거나(b), 외부 간섭의 제거를 유도하는 문구(예를 들어, 주변 간섭을 제거하세요 등)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c). 물론,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말 기(100)는, 외부 간섭 발생을 알리기 위하여, 알람부(153)를 이용하여 진동, 램프, 알림음 등을 발생시키거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이용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a) 또는 (c)에서 "확인 영역"이 선택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81)를 통하여 후술할 간섭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사용자에게 외부 간섭을 발생시키는 외부 블루투스 모듈을 인식시키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외부 블루투스 모듈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정보는, 블루투스 모듈 고유의 아이디(Identification; 'ID')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외부 간섭을 발생시키는 블루투스 모듈이 탑재된 외부 통신기기(예를 들어, 핸드폰)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설정명칭)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외부 블루투스 모듈에 대한 식별 정보를 대신하여 외부 통신기기에 대하여 저장된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외부 통신기기로 호를 연결하거나,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 중단을 요청하는 내용이 포함된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사용자로 하여금 와이파이 모듈의 중단 여부(ON/OFF) 또는 와이파이 및 외부 블루투스 모듈의 동시 사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창을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외부 간섭을 제거하기 위하여 위치 이동을 유도하는 문구(예를 들어, 주변 간섭이 감지됩니다. 위치를 이동하세요.)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 및 외부 단말기에서 각각 와이파이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을 구동하는 경우, 외부 단말기로부터 반경 10M 밖에 위치하면 외부 간섭이 제거될 수 있다.
제 2 개선 동작으로써, 단말기(100)는, 제 1 통신모듈의 구동을 보류하고(S1041), 제 2 통신모듈의 구동 종료를 판단한다(S1042). 판단 단계(S1042)는, 제 1 통신모듈에 대한 실행 예약 또는 알림 예약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경우에 수행되거나, 제 1 통신모듈의 종료시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제 2 통신모듈의 구동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제 1 통신모듈이 구동 가능함을 알리거나(S1043), 제 1 통신모듈을 구동시킬 수 있다(S1044).
구동 보류된 제 1 통신모듈에 대한 실행 예약/알림 예약 동작에 관련하여,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및 제 2 통신모듈을 각각 와이파이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이라고 가정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와이파이 모듈에 대한 구동 중단(또는, 보류)(OFF)을 선택한 경우(a), 와이파이 모듈에 대한 실행 예약 또는 알림 예약을 설정할 수 있다(b).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8에서 실행 예약이 설정된 경우, 단말기(100)는, 외부 블루투스 모듈의 구동 종료가 감지되면, 와이파이 모듈에 의한 동작을 실행할 것임을 알리는 문구(2910)를 출력할 수 있다(a). 이때, 와이파이 모듈 에 의한 동작 실행을 알리기 위하여, 진동, 음성 신호, 램프, 아이콘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와이파이 모듈에 의한 동작(예를 들어, 데이터 다운로드)을 실행한다(b). 예를 들어, 와이파이 모듈은, 구동 보류된 시점에 중단된 동작을 연속하여 수행하거나, 새로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물론, 단말기(100)는, 동작 실행 알림 문구(2810)의 출력 없이, 곧바로 와이파이 모듈에 의한 동작을 실행할 수도 있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8에서 알림 예약이 설정된 경우, 단말기(100)는, 외부 블루투스 모듈의 구동 종료가 감지되면, 와이파이 모듈의 구동 가능함을 알리면서, 와이파이 모듈에 의한 동작의 실행 여부를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게 할 수 있다(a). (a)에서 동작 실행('Yes')(3011)이 선택되면, 단말기(100)는, 와이파이 모듈에 의한 동작을 실행한다(b).
제 3 개선 동작으로써, 단말기(100)는, 단말기(100)는, 제 1 및 제 2 무선통신기술이 동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 제 1 무선통신기술을 상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 3 무선통신기술로 교체하고(S1051), 비 교체된 무선통신기술에 의한 통신모듈 및 제 3 통신모듈을 동시 구동할 수 있다(S1052). 특히, 교체 단계(S1051)에서, 단말기(100)는, 제 1 무선통신기술이 와이파이이고 제 3 무선통신기술이 와이브로 또는 와이맥스인 경우, 제 1 무선통신기술을 제 3 무선통신기술로 교체할 수 있다.
교체 단계(S1051) 및 동시 구동 단계(S1052)에 대하여서는, 도 9에 도시된 교체 단계(S961) 및 동시 구동 단계(S962)에 대한 설명을 인용하도록 한다. 단, 도 10에서는, 단말기(100)가 외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없으므로, 단말기(100)는, 제 1 무선통신기술을 제 3 무선통신기술로 교체하고, 제 2 통신모듈 및 제 3 통신모듈를 동시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제 3 통신모듈은, 단말기(100)의 무선 인터넷 모듈(113)의 일례일 수 있다.
무선통신기술 교체에 따른 제 2 및 제 3 통신모듈의 동시 구동에 관련한 화면 구성은,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간섭 개선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 5a 및 도 5b는 와이파이(WiFi)의 채널별 주파수 대역 및 중심 주파수를 나타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블루투스의 채널별 주파수 대역 및 채널 선택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의 간섭 개선 방법의 흐름도.
도 8a 내지 도 8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 내부 간섭이 발생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 복수의 무선통신기술 구현 시 간섭 개선 방법의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 및 외부 통신기기에서 각각의 무선통신기술 구현시 간섭 개선 방법의 흐름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 내부 간섭 발생 시 간섭 발생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구성도.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 내부 간섭 발 생 시 해당 통신모듈을 선택적 종료/구동하는 화면 구성도.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 내부 간섭 발생 시 해당 통신모듈을 동시에 구동하는 화면 구성도.
도 23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 외부 간섭 발생 시 간섭 발생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구성도.
도 28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 외부 간섭 발생 시 단말기의 통신모듈을 선택적 종료하는 화면 구성도.
도 31 및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에서 외부 간섭 발생 시 해당 통신모듈을 동시에 구동하는 화면 구성도.

Claims (26)

  1. 제 1 무선통신기술에 의해 구현되는 제 1 통신모듈;
    제 1 통신모듈이 구비된 단말기에 구비되고, 제 2 무선통신기술에 의해 구현되는 제 2 통신모듈;
    제 3 무선통신기술에 의해 구현되는 제 3 통신모듈; 및
    제 1 무선통신기술 또는 제 2 무선통신기술에 의해 간섭이 발생되면, 상기 발생된 간섭의 개선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 1 및 제 2 무선통신기술이 동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면, 제 1 및 제 2 무선통신기술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발생된 간섭을 개선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무선통신기술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 3 무선통신기술로 교체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통신기술 중 교체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무선통신기술에 의한 통신모듈 및 상기 제 3 무선통신기술에 의한 제 3 통신모듈을 동시에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통신기술은,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블루투스(Bluetooth), 알에프아이디(RFID), 지그비(Zigbe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모듈이 동시에 구동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통신기술에 의한 간섭이 발생한다고 판단하는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개선 동작으로써 상기 간섭 발생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발생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간섭 발생의 알림 정보,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모듈의 동작에 관련된 정보,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모듈의 구동에 대한 선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선 동작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종료시키면서 나머지 하나를 구동시키는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선 동작으로써, 상기 나머지 하나의 구동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선택적 종료된 통신 모듈이 구동 가능함을 알리거나 상기 선택적 종료된 통신 모듈을 구동시키는 단말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의 중요도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모듈 중 종료할 통신모듈을 선택하는 단말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모듈 각각에 대한 일정 기간 동안의 데이터 송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모듈 중 종료할 통신모듈을 선택하는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의 중요도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모듈 각각의 동작 성능을 보장하고, 상기 보장된 동작 성능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모듈을 구동시키는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모듈이 각각 상이한 단말기에 구비된 경우, 상기 제 2 통신모듈이 검색되면 상기 제 2 무선통신기술에 의한 간섭이 발생한다고 판단하는 단말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 1 무선통신기술에 의해 구현되는 제 1 통신모듈을 구동시키는 단계;
    제 1 통신모듈이 구비된 단말기에 구비되고, 제 2 무선통신기술에 의해 구현되는 제 2 통신모듈을 구동시키는 단계;
    제 1 무선통신기술 또는 제 2 무선통신기술에 의해 간섭이 발생되면, 상기 발생된 간섭의 개선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제 1 및 제 2 무선통신기술이 동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면, 제 1 및 제 2 무선통신기술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발생된 간섭을 개선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무선통신기술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제 3 무선통신기술로 교체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통신기술 중 교체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무선통신기술에 의한 통신모듈 및 상기 제 3 무선통신기술에 의한 제 3 통신모듈을 동시에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간섭 개선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20080029923A 2008-03-31 2008-03-31 단말기 및 이것의 간섭 개선 방법 KR101507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9923A KR101507786B1 (ko) 2008-03-31 2008-03-31 단말기 및 이것의 간섭 개선 방법
EP20080171511 EP2107839A3 (en) 2008-03-31 2008-12-12 Terminal and method of improving interference in a terminal
US12/359,020 US8942630B2 (en) 2008-03-31 2009-01-23 Terminal and method of improving interference in a terminal
CN2009100070465A CN101553054B (zh) 2008-03-31 2009-02-09 在终端中改善干扰的终端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9923A KR101507786B1 (ko) 2008-03-31 2008-03-31 단말기 및 이것의 간섭 개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482A KR20090104482A (ko) 2009-10-06
KR101507786B1 true KR101507786B1 (ko) 2015-04-03

Family

ID=40852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29923A KR101507786B1 (ko) 2008-03-31 2008-03-31 단말기 및 이것의 간섭 개선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42630B2 (ko)
EP (1) EP2107839A3 (ko)
KR (1) KR101507786B1 (ko)
CN (1) CN1015530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7039B2 (en) 2009-05-28 2016-11-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gile data center network architecture
CN102111724A (zh) * 2009-12-29 2011-06-29 深圳市赛格导航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服务***和车载终端
KR101631875B1 (ko) * 2009-12-29 2016-06-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통신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391716B2 (en) 2010-04-05 2016-07-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ata center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US8838046B2 (en) * 2010-06-18 2014-09-16 Mediatek Inc. System and method of hybrid FDM/TDM coexistence interference avoidance
WO2011157235A1 (en) 2010-06-18 2011-12-22 Mediatek Inc.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multiple radio transceivers within the same device platform
US8737924B2 (en) 2010-08-12 2014-05-27 Mediatek Inc. Method to trigger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mitigation in mobile cellular systems
CA2807884C (en) * 2010-08-13 2016-02-02 Zt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implementation for user equipment
CN102421148B (zh) * 2010-09-28 2016-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多种通信***实现通信的方法和用户设备
US8780880B2 (en) 2010-10-01 2014-07-15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of TDM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avoidance
EP2630829B1 (en) * 2010-10-19 2018-01-3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assisted channel selection in devices having multiple radio transceivers
CN105430748B (zh) * 2010-10-19 2020-05-15 索尼爱立信移动通讯有限公司 操作无线通信设备和eNodeB基站的方法
US20120099575A1 (en) * 2010-10-26 2012-04-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lex communication
CN102548004A (zh) * 2010-12-17 2012-07-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采用不同无线电技术的终端的通信方法、终端及基站
KR101779821B1 (ko) 2011-01-26 2017-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통신과 고효율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는 간섭 제어 시스템
KR101807286B1 (ko) * 2011-02-11 2017-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 및 장치
US8817641B2 (en) * 2011-02-16 2014-08-26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s thereof for detecting and avoiding in-device interference
JP2014513479A (ja) * 2011-04-26 2014-05-29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通信端末及び通信端末用の干渉回避メッセージのトリガ方法
KR102247818B1 (ko) 2011-08-10 2021-05-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90134B1 (ko) 2011-08-10 2019-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모드 단말의 성능 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US10321419B2 (en) 2011-08-10 2019-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using a multi-carri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3429307B1 (en) 2011-08-10 2022-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using a multi-carri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967721B1 (ko) 2011-08-10 2019-04-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 접속 차단 적용 방법 및 장치
IN2014KN00763A (ko) 2011-10-05 2015-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O2013051853A1 (en) 2011-10-05 2013-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neighbor cell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3349396B1 (en) 2011-10-10 2021-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in a secondary cell
EP2768254B1 (en) * 2011-10-10 2022-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uggesting recording information and acquiring positional information to allow mdt technology to be effectively utilize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3112021A1 (ko) 2012-01-27 2013-08-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04851B1 (ko) * 2012-05-15 2019-07-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CN102710274B (zh) * 2012-05-16 2014-02-05 大连理工大学 一种支持多通信方式的堆叠式智能通信模块
KR101971200B1 (ko) * 2012-06-19 2019-04-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단말기 시스템 및 플렉시블 단말기
KR102057581B1 (ko) 2013-04-16 2019-12-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자동 포커싱 장치 및 방법
US9232566B2 (en) 2013-06-14 2016-01-05 Netgear, Inc. Wireless sensor base station with coexistence of multiple homogeneous radios
KR102249689B1 (ko) 2014-06-24 2021-05-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무선신호 수신 방법 및 그것을 구비한 시스템
KR20160061821A (ko) * 2014-11-24 2016-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954751B2 (en) 2015-05-29 2018-04-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asuring performance of a network using mirrored probe packets
US10334473B2 (en) * 2015-12-15 2019-06-25 Motorola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radiofrequency interference i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CN106131892A (zh) * 2016-08-31 2016-11-1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网络接入的控制方法与设备
US10772052B2 (en) * 2017-06-16 2020-09-08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coexistent radio systems in a wireless device
US10863518B2 (en) * 2017-11-22 2020-12-08 Mediatek Inc. Method for handling interference in Bluetooth device having other wireless technology
KR102291808B1 (ko) * 2019-12-18 2021-08-1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인터넷 전화기의 통화 품질 향상 방법 및 장치
CN111466910B (zh) * 2020-04-30 2023-11-21 电子科技大学 一种睡眠监测方法、***、存储介质、计算机程序、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3559A (ja) 2003-05-16 2004-12-02 Ip Flex Kk 再構成可能な集積回路ユニットを有するデータ処理装置
US7039358B1 (en) * 2000-01-10 2006-05-02 Symbol Technologies, Inc. Coexistence techniques in wireless networks
US20070224935A1 (en) 2006-03-22 2007-09-27 Shai Waxma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coexistence mode switching among transceiver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79417B (en) * 2000-10-27 2002-03-11 Acer Inc Switching device of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EP1467518A4 (en) * 2001-11-27 2006-01-18 Sharp Kk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8364080B2 (en) 2002-08-01 2013-01-29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chieving enhanced quality and higher throughput for collocated IEEE 802.11 B/G and bluetooth devices in coexistent operation
US20040192222A1 (en) 2003-03-26 2004-09-30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mi-simultaneously coupling an antenna to transceivers
US20060239223A1 (en) * 2005-04-21 2006-10-26 Itay Sherman Method and system for bluetooth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existence
US20060274704A1 (en) 2005-06-01 2006-12-07 Prasanna Desai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aborative coexistence between Bluetooth and IEEE 802.11 G with both technologies integrated onto a system-on-a-chip (SOC) device
US8094631B2 (en) 2005-12-09 2012-01-10 Marvell World Trade Ltd. Coexistence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devices
US8693950B2 (en) * 2006-03-23 2014-04-08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 power control techniques to reduce mutual interference between coexistent wireless networks device
US8340580B1 (en) * 2007-09-20 2012-12-25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existence interference
US8045922B2 (en) * 2007-11-23 2011-10-2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bluetooth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existence using a single antenna in a collocated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9358B1 (en) * 2000-01-10 2006-05-02 Symbol Technologies, Inc. Coexistence techniques in wireless networks
JP2004343559A (ja) 2003-05-16 2004-12-02 Ip Flex Kk 再構成可能な集積回路ユニットを有するデータ処理装置
US20070224935A1 (en) 2006-03-22 2007-09-27 Shai Waxma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coexistence mode switching among transceiv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07839A3 (en) 2013-06-12
CN101553054A (zh) 2009-10-07
KR20090104482A (ko) 2009-10-06
US8942630B2 (en) 2015-01-27
CN101553054B (zh) 2013-08-21
US20090247218A1 (en) 2009-10-01
EP2107839A2 (en) 200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786B1 (ko) 단말기 및 이것의 간섭 개선 방법
KR101562582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화면확장방법
KR101585467B1 (ko) 싱글 베이스 칩셋을 이용한 듀얼 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운용방법
CN104731712B (zh) 自动清理缓存数据的方法和移动终端
CN105188098B (zh) 一种移动终端的网络切换装置和网络切换方法
CN105487802B (zh) 屏幕投影管理方法、装置和***
KR101604766B1 (ko) 듀얼 sim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운용방법
CN105163355A (zh) 一种移动终端切换网络的方法及装置
CN106937320B (zh) 一种运营商参数自动配置方法及终端
CN106413128B (zh) 一种投影方法及移动终端
CN104811865B (zh) 音频输出方法、装置和***
KR101604770B1 (ko) 듀얼 sim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운용방법
CN106210286B (zh) 双屏移动终端参数调节方法及装置
CN105760057A (zh) 截屏装置和方法
CN107135546B (zh) 一种无线网络运行信道的选择方法及装置
KR101397035B1 (ko)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기술 지원 방법
CN106897018B (zh) 手势操作方法、装置和移动终端
CN104968027A (zh) Wi-Fi控制方法及装置
KR10144864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KR10149803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사업자 선택 방법
KR101435835B1 (ko)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버퍼링 방법
CN106412878B (zh) 一种用户识别卡的激活装置和方法
CN109542317B (zh) 一种双面屏移动终端的显示控制方法、设备和存储介质
KR2009011742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표시 방법
CN106876980B (zh) 一种终端天线***以及终端天线的设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