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988B1 - 렌즈자동처방시스템 및 자동처방방법 - Google Patents

렌즈자동처방시스템 및 자동처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988B1
KR101506988B1 KR20130113624A KR20130113624A KR101506988B1 KR 101506988 B1 KR101506988 B1 KR 101506988B1 KR 20130113624 A KR20130113624 A KR 20130113624A KR 20130113624 A KR20130113624 A KR 20130113624A KR 101506988 B1 KR101506988 B1 KR 101506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esign
lens
spherica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3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우
Original Assignee
(주) 해피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해피비전 filed Critical (주) 해피비전
Priority to KR20130113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9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7Contact lens fitting; Contact lenses for orthokeratology; Contact lenses for specially shaped cornea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Algebra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자동처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눈에 대해 된 데이터만 입력하더라도 해당 환자의 눈에 알맞은 렌즈 디자인의 다양한 데이터들이 자동으로 손쉽게 연산되어 표시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렌즈들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를 한눈에 볼 수 있어 환자에 알맞은 렌즈 처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렌즈 자동처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데이터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데이터처리부를 통하여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하고 데이터표시부로 표시데이터를 전송하는 자동처방운영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처방운영시스템은,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딩하여 구면디자인렌즈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구면디자인데이터처리부;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딩하여 비구면디자인렌즈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비구면디자인데이터처리부;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딩하여 다초점디자인렌즈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다초점디자인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렌즈자동처방시스템 및 자동처방방법{SYSTEM AND METHOD OF AUTO PRESCRIPTION FOR CONTACT LENS}
본 발명은 렌즈자동처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검안된 데이터만 입력하더라도 해당 환자의 눈에 알맞은 렌즈 디자인의 다양한 데이터들이 자동으로 손쉽게 연산되어 표시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렌즈들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를 한눈에 볼 수 있어 환자에 알맞은 렌즈 처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렌즈 자동처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렌즈는 눈의 전면에 부착하여 안경을 사용하는 것처럼 사물을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초창기 렌즈는 단순히 플라스틱을 이용하였으나 근래들어 유리렌즈, 하드렌즈, 소프트콘텍트렌즈, 그리고 하드콘텍트렌즈 등이 있으며, 특히 산소 투과성이 있는 하드 콘택트렌즈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렌즈의 형태로 보면 구면렌즈(Spheric lens)와 비구면렌즈(Aspheric lens), 그리고 다초점렌즈(Multifocal lens) 등이 이용되며, 이는 환자 눈의 상태 등에 따라 선택되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렌즈는 환자의 눈에 부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자칫 잘못 사용하면 눈에 염증을 일으키거나 심한 경우 시력이 저하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렌즈에 대한 올바른 처방 및 사용이 중요한 것이다.
또한 렌즈의 사용만큼 렌즈를 환자의 눈 상태에 알맞게 제작하는 것도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다. 하지만 대부분 눈을 검사하는 장비의 경우 눈 상태는 정확하게 검사하는 반면, 실제 눈에 알맞은 렌즈를 제작하기 위한 처방수치를 사용자가 임의로 정하는 경우가 많아 눈에 알맞은 렌즈로 제작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올바른 렌즈의 제작을 위한 규격화된 처방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허출원 제10-1991-0700328호 특허출원 제10-1991-0001076호 특허출원 제10-2009-702390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환자의 눈에 대해 검안된 데이터만 입력하더라도 해당 환자의 눈에 알맞은 렌즈 디자인의 다양한 데이터들이 자동으로 손쉽게 연산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순히 하나의 렌즈에 대한 데이터만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구면디자인렌즈, 비구면디자인렌즈, 이중비구면디자인렌즈, 다초점디자인렌즈 등 다양한 종류로 디자인될 수 있는 렌즈들의 다양한 데이터가 자동으로 연산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순히 연산된 데이터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기초 검안 데이터로부터 연산된 곡률반경 및 굴절력 등의 데이터에 대해, 시술자의 처방에 따른 처방의 데이터도 입력하여 적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하여 연산된 렌즈의 다양한 데이터들이 하나의 데이터표시부 화면 전체에 걸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각 종류의 렌즈들 및 연산된 각 데이터들을 한 눈에 보면서 환자의 눈에 알맞은 렌즈 디자인의 처방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데이터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데이터처리부를 통하여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하고 데이터표시부로 표시데이터를 전송하는 자동처방운영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처방운영시스템은,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딩하여 구면디자인렌즈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구면디자인데이터처리부;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딩하여 비구면디자인렌즈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비구면디자인데이터처리부; 및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딩하여 다초점디자인렌즈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다초점디자인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면디자인데이터처리부는,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약주경선(Flat-K) 및 강주경선(Steep-K) 데이터를 리딩하여 구면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 데이터를 연산하는 구면디자인곡률연산부; 및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구면도수(SPH) 데이터, 곡률반경 데이터, 약주경선 데이터를 리딩하여 구면디자인렌즈의 굴절력 데이터를 연산하는 구면디자인굴절력연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구면디자인데이터처리부는,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구면도수(SPH) 데이터, 최종 곡률반경 데이터, 약주경선 데이터를 리딩하여 비구면디자인렌즈의 굴절력 데이터를 연산하는 비구면디자인굴절력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초점디자인데이터처리부는,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약주경선(Flat-K) 및 강주경선(Steep-K) 데이터를 리딩하여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 데이터를 연산하는 다초점디자인곡률연산부; 및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구면도수(SPH) 데이터, 곡률반경 데이터, 약주경선 데이터를 리딩하여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굴절력 데이터를 연산하는 다초점디자인굴절력연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최종 곡률반경 데이터는 비구면처방가이드(aspheric flatting card)의 약주경선(Flat-K) 및 각막난시(CYL)의 범위에 해당하는 곡률반경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자동처방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면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base curve) 데이터는,
Figure 112015018686829-pat00026
으로 되고,
상기 구면디자인렌즈의 굴절력(distance power) 데이터는,
Figure 112015018686829-pat00027

으로 되며,
상기 비구면디자인렌즈의 굴절력(distance power) 데이터는,
Figure 112015018686829-pat00028

으로 되고,
상기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base curve) 데이터는,
Figure 112015018686829-pat00029

으로 되며,
상기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굴절력(distance power) 데이터는,
Figure 112015018686829-pat00030

으로 되고,
상기 구면디자인렌즈에 대한 굴절력에서 근사치 곡률반경(Base curve)은 상기 구면점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base curve)의 연산값에 대해 소수점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이며, 상기 다초점디자인렌즈에 대한 굴절력에서 근사치 곡률반경(Base curve)은 상기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base curve)의 연산값에 대해 소수점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자동처방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처방화면의 데이터가 표시되는 데이터표시부; 및 데이터표시부의 화면에 렌즈의 자동처방화면이 표시되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자동처방운영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표시부의 자동처방화면에는, 환자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입력영역; 환자의 데이터를 전송받은 자동처방운영시스템에서 연산한 렌즈의 데이터가 표시되는 처방데이터표시부; 및 비구면디자인 데이터와 관련된 비구면피팅데이터가 표시된 비구면피팅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방데이터표시부는, 구면디자인렌즈의 데이터가 표시되는 구면데이터표시부(41); 비구면디자인렌즈의 데이터가 표시되는 비구면데이터표시부(42); 및 다초점디자인렌즈의 데이터가 표시되는 다초점데이터표시부(43)를 포함하며, 상기 구면데이터표시부(41)는, 구면디자인렌즈의 약주경선(Flat-K) 및 강주경선(Steep-K) 데이터로부터 연산된 곡률반경 데이터를 표시하는 구면곡률반경연산값표시부(411); 연산된 상기 곡률반경 데이터의 소수점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근사치 곡률반경 데이터가 표시되는 구면곡률반경처방값표시부(412); 및 구면디자인렌즈의 구면도수(SPH) 데이터, 곡률반경 데이터, 약주경선 데이터로부터 연산된 굴절력 데이터를 표시하는 구면굴절력연산값표시부(413)를 포함하고, 상기 비구면데이터표시부(42)는, 비구면디자인렌즈의 최종 곡률반경(Base Curve) 값이 표시되는 비구면곡률반경표시부(421); 및 비구면디자인렌즈의 최종 곡률반경(Base Curve), 구면도수, 약주경선 데이터로부터 연산된 비구면굴절력 데이터가 표시되는 비구면굴절력연산값표시부(422)를 포함하며, 상기 비구면디자인렌즈의 최종 곡률반경(Base Curve) 값은, 비구면처방가이드(aspheric flatting card)의 약주경선(Flat-K) 및 각막난시(CYL)의 범위에 해당하는 곡률반경의 값이고, 상기 다초점데이터표시부(43)는, 다초점디자인렌즈의 약주경선, 강주경선 데이터로부터 연산된 곡률반경 데이터가 표시되는 다초점곡률반경연산값표시부(431); 연산된 상기 곡률반경 데이터의 소수점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근사치 곡률반경 데이터가 표시되는 다초점곡률반경처방값표시부(432); 및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구면도수, 약주견성, 근사치 곡률반경 데이터로부터 연산된 굴절력 데이터가 표시되는 다초점굴절력연산값표시부(4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자동처방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면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base curve) 데이터는,
Figure 112015018686829-pat00031
으로 되고,
상기 구면디자인렌즈의 굴절력(distance power) 데이터는,
Figure 112015018686829-pat00032

으로 되며,
상기 비구면디자인렌즈의 비구면굴절력(distance power) 데이터는,
Figure 112015018686829-pat00033

으로 되고,
상기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base curve) 데이터는,
Figure 112015018686829-pat00034

으로 되며,
상기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굴절력(distance power) 데이터는,
Figure 112015018686829-pat00035

으로 되고,
상기 구면디자인렌즈의 굴절력(distance power)에서의 근사치 곡률반경(Base curve)은 상기 구면점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base curve) 데이터의 연산값에 대해 소수점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이며, 상기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굴절력(distance power)에서의 근사치 곡률반경(Base curve)은 상기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base curve) 데이터의 연산값에 대해 소수점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자동처방시스템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데이터처리부를 통하여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하는 데이터입력단계;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딩하여 렌즈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렌즈데이터연산단계; 및 연산된 데이터를 데이터표시부에 전송하는 데이터표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데이터연산단계는,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딩하여 구면디자인렌즈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구면디자인데이터연산단계;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딩하여 비구면디자인렌즈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비구면디자인데이터연산단계; 및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딩하여 다초점디자인렌즈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다초점디자인데이터연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면디자인데이터연산단계는,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약주경선(Flat-K) 및 강주경선(Steep-K) 데이터를 리딩하여 구면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 데이터인 구면디자인곡률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구면디자인곡률연산단계; 및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구면도수(SPH) 데이터, 곡률반경 데이터, 약주경선 데이터를 리딩하여 구면디자인렌즈의 굴절력 데이터인 구면디자인굴절력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구면디자인굴절력연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구면디자인데이터연산단계는,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구면도수(SPH) 데이터, 최종 곡률반경 데이터, 약주경선 데이터를 리딩하여 비구면디자인렌즈의 굴절력 데이터인 비구면디자인굴절력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비구면디자인굴절력연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초점디자인데이터연산단계는,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약주경선(Flat-K) 및 강주경선(Steep-K) 데이터를 리딩하여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 데이터인 다초점디자인곡률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다초점디자인곡률연산단계; 및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구면도수(SPH) 데이터, 곡률반경 데이터, 약주경선 데이터를 리딩하여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굴절력 데이터인 다초점디자인굴절력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다초점디자인굴절력연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자동처방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면디자인곡률연산단계의 구면디자인곡률(base curve)은,
Figure 112015018686829-pat00036
으로 되고,
상기 구면디자인굴절력연산단계의 구면디자인굴절력(distance power)은,
Figure 112015018686829-pat00037

으로 되며,
상기 비구면디자인굴절력연산단계의 비구면디자인굴절력(distance power)은,
Figure 112015018686829-pat00038

으로 되고,
상기 다초점디자인곡률연산단계의 다초점디자인곡률(base curve)은,
Figure 112015018686829-pat00039

으로 되며,
상기 다초점디자인굴절력연산단계의 다초점디자인굴절력(distance power)은,
Figure 112015018686829-pat00040

으로 되고,
상기 구면디자인굴절력(distance power)에서의 근사치 곡률반경(Base curve)은 상기 구면점디자인곡률(base curve)의 연산값에 대해 소수점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이며, 상기 다초점디자인굴절력(distance power)에서의 근사치 곡률반경(Base curve)은 상기 다초점디자인곡률(base curve)의 연산값에 대해 소수점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이고, 상기 최종 곡률반경 데이터(Base Curve)는 비구면처방가이드(aspheric flatting card)의 약주경선(Flat-K) 및 각막난시(CYL)의 범위에 해당하는 곡률반경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자동처방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환자의 눈에 대해 검안된 데이터만 입력하더라도 해당 환자의 눈에 알맞은 렌즈 디자인의 다양한 데이터들이 자동으로 손쉽게 연산되어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별도로 일일이 연산을 하지 않아도 렌즈 제작이 가능하게 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단순히 하나의 렌즈에 대한 데이터만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구면디자인렌즈, 비구면디자인렌즈, 이중비구면디자인렌즈, 다초점디자인렌즈 등 다양한 종류로 디자인될 수 있는 렌즈들의 다양한 데이터가 자동으로 연산되어 표시됨으로써, 다양한 렌즈들 중에서 알맞은 렌즈사양을 손쉽게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단순히 연산된 데이터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기초 검안 데이터로부터 연산된 곡률반경 및 굴절력 등의 데이터에 대해, 시술자의 처방에 따른 처방의 데이터도 입력하여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시술자의 다양한 경험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하면서 혹여 있을 수 있는 실수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본 발명에 의하여 연산된 렌즈의 다양한 데이터들이 하나의 데이터표시부 화면 전체에 걸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각 종류의 렌즈들 및 연산된 각 데이터들을 한 눈에 보면서 환자의 눈에 알맞은 렌즈 디자인의 처방을 할 수 있어 맞춤형 렌즈의 제작이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자동처방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자동처방시스템의 자동처방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자동처방시스템에 의해 데이터표시부에 표시되는 데이터의 시스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자동처방시스템에 의해 연산처리된 데이터가 데이터표시부에 표시되는 실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자동처방시스템에 의해 연산처리된 데이터가 데이터표시부에 표시되는 데이터입력영역에 대한 실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자동처방시스템에 의해 연산처리된 데이터가 데이터표시부에 표시되는 처방데이터표시부의 구면데이터표시부에 대한 실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자동처방시스템에 의해 연산처리된 데이터가 데이터표시부에 표시되는 처방데이터표시부의 비구면데이터표시부에 대한 실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자동처방시스템에 의해 연산처리된 데이터가 데이터표시부에 표시되는 처방데이터표시부의 이중비구면데이터표시부에 대한 실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자동처방시스템에 의해 연산처리된 데이터가 데이터표시부에 표시되는 처방데이터표시부의 다초점데이터표시부에 대한 실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자동처방시스템에 의해 연산처리된 데이터가 데이터표시부에 표시되는 비구면피팅표시부에 대한 실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자동처방시스템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 등에서와 같이, 렌즈의 자동 처방을 위한 기초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입력부(12), 기초데이터를 바탕으로 연산된 렌즈와 관련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데이터표시부(14), 그리고 기초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내용으로 하는 렌즈와 관련된 데이터를 연산하는 자동처방운영시스템(20) 등을 포함한 것이다.
그리하여 렌즈의 자동 처방을 통하여 렌즈와 관련된 데이터를 구하고자 하는 자는 손쉽게 렌즈데이터를 구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고 또한 규격된 렌즈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혹여 사용자 주관에 의한 잘못된 규격을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RGP(Rigid Gas Permeable) 하드콘텍트렌즈에 대한 것을 주요 대상으로 하는 렌즈자동처방시스템 및 렌즈자동처방방법에 대한 것을 주요 실시예로 하고 있으며, 기타 소프트렌즈, 하드 렌즈, 하이드로겔렌즈,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하드콘텍트렌즈 등 다양한 분류의 렌즈들에 대해서도 응용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렌즈자동처방시스템(10)은 데이터입력부(12)와 데이터표시부(14) 그리고 데이터입력부(1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데이터처리부(22)를 통하여 데이터저장부(21)에 저장하고 데이터표시부(14)로 표시데이터를 전송하는 자동처방운영시스템(20)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자동처방운영시스템(20)이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운영서버로 실시될 경우에는 데이터입력부(12), 데이터표시부(14) 등은 본 발명을 이용하는 유저(User)의 단말기로 하여 실시될 것이다. 또는 자동처방운영시스템(20)이 개인 퍼스널컴퓨터로 실시될 경우에는 퍼스널컴퓨터의 입력장치와 출력장지로 실시될 것이다. 아울러 자동처방운영시스템(20)이 스마트단말기(스마트폰, 휴대용단말기, 네비게이션, 블랙박스 등)와 연관된 기술로 스마트단말기에 대응한 운영서버로 운영되거나 또는 스마트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실시될 경우에는 데이터입력부(12), 데이터표시부(14) 등은 스마트단말기의 입력화면 및 입력어플리케이션, 표시화면 등으로 실시될 것이다.
이처럼 자동처방운영시스템(20)은 운영서버로 마련되어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클라이언트와 연결되는 네트워크시스템의 연결구성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또한 퍼스널컴퓨터나 스마트단말기 등의 내부에 설치되는 자체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으며, 이들의 실시 양태에 알맞게 하여 데이터입력부(12), 데이터표시부(14) 등이 실시될 것이다.
아울러 이들로부터 실시되는 렌즈자동처방방법으로, 데이터입력부(1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데이터처리부(22)를 통하여 데이터저장부(21)에 저장하는 데이터입력단계(S01), 데이터저장부(21)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딩하여 렌즈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렌즈데이터연산단계(S02) 및 연산된 데이터를 데이터표시부(14)에 전송하는 데이터표시단계(S03)를 포함하여 실시되는 것이다.
이러한 렌즈자동처방시스템(10)에 있어서의 구성들과 함께 렌즈자동처방방법 등에 대해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자동처방운영시스템(20)은, 데이터저장부(21)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딩하여 구면디자인렌즈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구면디자인데이터처리부(23)가 마련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구면디자인데이터처리부(23)에 의하여 렌즈자동처방방법에 있어서 상기 렌즈데이터연산단계(S02)의 상세 단계로는 데이터저장부(21)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딩하여 구면디자인렌즈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구면디자인데이터연산단계(S21)가 수행된다.
이에 구면디자인의 경우 구면 렌즈(spheric lens)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구면 렌즈는 렌즈의 바깥쪽과 안쪽 모두 구면을 이루는 렌즈이며, 그리하여 본 발명에서는 환자의 조건을 입력하여 자동으로 구면 렌즈에 대한 데이터를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구면렌즈와 관련된 구면디자인의 주요 요소로는 곡률반경(Base Curve)과 굴절력(Distance Power)를 포함한다.
따라서 환자의 조건을 입력하면 구면렌즈의 주요 요소인 곡률반경과 굴절력을 자동으로 연산하게 된다. 그리하여 구면디자인데이터처리부(23) 및 이에 의한 구면디자인데이터연산단계(S21)에서는 환자의 조건 데이터가 입력된 데이터저장부(21)로부터 각 데이터들을 리딩하여 곡률반경, 굴절력 등의 구면디자인 데이터를 산출하게 된다.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구면디자인데이터처리부(23)는 상세구성으로, 데이터저장부(21)에 저장된 약주경선(Flat-K) 및 강주경선(Steep-K) 데이터를 리딩하여 구면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 데이터를 연산하는 구면디자인곡률연산부(23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구면디자인데이터연산단계(S21)는 구면디자인곡률연산부(231)에 의하여, 데이터저장부(21)에 저장된 약주경선(Flat-K) 및 강주경선(Steep-K) 데이터를 리딩하여 구면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 데이터인 구면디자인곡률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구면디자인곡률연산단계(S211)를 수행한다.
즉 구면디자인곡률연산부(231) 및 구면디자인곡률연산단계(S211)에 의하여, 데이터저장부(21)에 저장된 약주경선(Flat-K) 및 강주경선(Steep-K) 데이터를 리딩하여 구면 디자인 렌즈의 곡률반경을 연산하게 된다.
이에 약주경선(Flat-K) 및 강주경선(Steep-K) 데이터를 사용자가 입력하자마자 구면디자인곡률연산부(231)에 의해 연산되어 데이터표시부(14)의 곡률반경표시란에 연산된 곡률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실시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상기 구면디자인곡률연산부(231) 및 구면디자인곡률연산단계(S211)에서의 구면디자인곡률(base curve)은,
Figure 112013086649304-pat00006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구면디자인곡률은, 약주경선(Flat-K) 데이터와 강주경선(Steep-K) 데이터의 합에 비례하고, 약주경선(Flat-K) 데이터와 강주경선(Steep-K) 데이터의 합을 반으로 나눈 값에 구면렌즈곡률상수값(예 : 0.10)을 더한 값이 되도록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구면디자인 곡률의 연산에 대해서 도 4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입력하는 약주경선(Flat-K), 강주경선(Steep-K)를 리딩하여 연산하게 된다.
이에 약주경선, 강주경선 등은 ARK(Auto Reflacto Keratometer) 검안을 통해 검사한 약주경선(Flat-K) 데이터, 강주경선(Steep-K) 데이터이다. 따라서 환자에 대해 ARK 검안을 통해 검사된 약주경선(Flat-K) 데이터, 강주경선(Steep-K) 데이터를 좌안과 우안으로 구분하여 각각 입력하는 것이다.
그러면 구면디자인곡률연산부(231), 구면디자인곡률연산단계(S211) 등에 의하여 구면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Base Curve)이 연산된다.
이에 도 4에서처럼 우안에 대해 약주경선(Flat-K) 데이터가 8.04(mm), 강주경선(Steep-K) 데이터가 8.00(mm)으로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를 예로 하면 곡률반경(Base Curve)은 다음과 같이 연산된다.
Base Curve = {{(약주경선(Flat-K) 데이터(mm)) + (강주경선(Steep-K) 데이터(mm))} / 2 } + 0.10(mm)
= {{ 8.04(mm) + 8.00(mm) } / 2 } + 0.10(mm)
= 8.12(mm)
마찬가지로 좌안에 대한 곡률반경의 연산값은 8.09(mm)가 된다.
이처럼 검안의 약주경선(Flat-K) 데이터 및 검안의 강주경선(Steep-K)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구면렌즈의 곡률반경 값이 연산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구면디자인데이터처리부(23)에는 데이터저장부(21)에 저장된 구면도수(SPH) 데이터, 곡률반경 데이터, 약주경선 데이터를 리딩하여 구면디자인렌즈의 굴절력 데이터를 연산하는 구면디자인굴절력연산부(232)가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면디자인데이터연산단계(S21)는 구면디자인굴절력연산부(232)에 의하여, 데이터저장부(21)에 저장된 구면도수(SPH) 데이터, 곡률반경 데이터, 약주경선 데이터를 리딩하여 구면디자인렌즈의 굴절력 데이터인 구면디자인굴절력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구면디자인굴절력연산단계(S212)를 수행한다.
즉 구면디자인굴절력연산부(232) 및 구면디자인굴절력연산단계(S212)에 의하여, 데이터저장부(21)에 저장된 구면도수(SPH), 곡률반경, 약주경선 등의 데이터를 리딩하여 구면 디자인 렌즈의 굴절력을 연산하게 된다.
이에 상기 곡률반경 데이터는 앞서 구면디자인곡률연산부(231) 및 구면디자인곡률연산단계(S211)에 의해 연산된 구면 디자인 렌즈의 곡률반경의 데이터에 대해, 도 4의 예시에서처럼 연산된 곡률반경 데이터의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근사치 곡률반경 데이터로 하여 입력하여 연산되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근사치 곡률반경은 저장된 약주경선 및 강주경선 데이터로부터 연산된 곡률반경 데이터의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데이터인 것이다.
이러한 상기 구면디자인굴절력연산부(232) 및 구면디자인굴절력연산단계(S212)의 구면디자인굴절력(distance power)은,
Figure 112013086649304-pat00007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구면디자인굴절력은, 구면도수(SPH), 약주경선, 그리고 연산값에 대해 근사치의 곡률반경 등의 데이터에 의해 산출된다.
이러한 구면디자인 렌즈의 굴절력의 연산에 대해서 도 4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입력하는 구면도수(SPH), 약주경선, 그리고 곡률반경 등의 데이터를 리딩하여 연산하게 된다.
이에 구면도수(SPH), 약주경선,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한 처방의 곡률반경의 데이터를 리딩하며, 처방의 곡률반경에 대해서는 앞서 연산한 구면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Base Curve)의 데이터에 대해 소수점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근사치 곡률반경의 데이터를 처방의 곡률반경 데이터로 입력하며 입력된 데이터를 리딩하여 굴절력을 연산한다.
이에 도 4에서처럼 우안에 대해 구면도수(SPH) 데이터가 -3.75(D), 약주경선(Flat-K) 데이터가 8.04(mm)가 되고, 앞서 연산된 곡률반경(Base Curve)이 8.12(mm)로 연산됨에 대해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8.10(mm)로 하여 근사치 곡률반경데이터를 예로 하면 구면디자인렌즈의 굴절력(Distance Power)은 다음과 같이 연산된다.
Distance Power = { 구면도수(SPH) / {1 - (0.012 X 구면도수(SPH))} }
- { (337.5 / 근사치 곡률반경(Base Curve)) - (337.5 / 약주경선(Flat-K))} + 0.25
= { -3.75 / { 1 - (0.012 X -3.75)}}
- { (337.5 / 8.10) - (337.5 / 8.04) } + 0.25
= -3.03(D)
마찬가지로 좌안에 대한 굴절력(Distance Power)의 연산값은 -1.87(D)가 된다.
이처럼 검안의 구면도수(SPH), 검안의 약주경선(Flat-K) 데이터 및 처방의 곡률반경(Base Curve)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구면렌즈의 굴절력 값이 연산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자동처방운영시스템(20)은, 데이터저장부(21)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딩하여 비구면디자인렌즈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비구면디자인데이터처리부(24)가 마련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비구면디자인데이터처리부(24)에 의하여 렌즈자동처방방법에 있어서 상기 렌즈데이터연산단계(S02)는, 데이터저장부(21)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딩하여 비구면디자인렌즈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비구면디자인데이터연산단계(S22)가 수행된다.
이에 비구면디자인의 경우 비구면 렌즈(aspheric lens)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비구면 렌즈는 중심부에서 주변부로 점진적으로 편평해지는 구조를 갖는 렌즈이다. 따라서 각막면에 정확히 맞출 수 있어 압력이 어느 한 부분에 치우치지 않는 것이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서는 환자의 조건을 입력하여 자동으로 비구면 렌즈에 대한 데이터를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비구면렌즈와 관련된 비구면디자인의 주요 요소로는 비구면렌즈의 굴절력(distance Power)를 포함한다.
따라서 환자의 조건을 입력하면 비구면렌즈의 주요 요소인 곡률반경과 굴절력을 자동으로 연산하게 된다. 그리하여 비구면디자인데이터처리부(24) 및 이에 의한 비구면디자인데이터연산단계(S22)에서는 환자의 조건 데이터가 입력된 데이터저장부(21)로부터 각 데이터들을 리딩하여 비구면렌즈의 굴절력의 비구면디자인 데이터를 산출하게 된다.
이러한 비구면디자인데이터처리부(24)에 대한 상세구성을 보면, 데이터저장부(21)에 저장된 구면도수(SPH) 데이터, 최종 곡률반경 데이터, 약주경선 데이터를 리딩하여 비구면디자인렌즈의 굴절력 데이터를 연산하는 비구면디자인굴절력연산부(241)를 포함한다.
그리고 비구면디자인데이터처리부(24)에 의하여 상기 비구면디자인데이터연산단계(S22)는, 데이터저장부(21)에 저장된 구면도수(SPH) 데이터, 최종 곡률반경 데이터, 약주경선 데이터를 리딩하여 비구면디자인렌즈의 굴절력 데이터인 비구면디자인굴절력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비구면디자인굴절력연산단계(S221)를 포함한다.
특히 비구면디자인데이터처리부(24) 및 비구면디자인굴절력연산단계(S221)에서의 비구면디자인굴절력(distance power)은,
Figure 112013086649304-pat00008
으로 된다.
이처럼 비구면디자인데이터처리부(24) 및 비구면디자인굴절력연산단계(S221)에 의하여 데이터저장부(21)에 저장된 구면도수(SPH), 최종 곡률반경, 약주경선 등의 데이터를 리딩하여 비구면디자인렌즈의 굴절력을 연산하게 된다.
이에 입력되는 최종 곡률반경(Base Curve)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것으로, 일 실시로는 도 3, 도 4등에서 제시되는 환자의 비구면처방가이드(aspheric flatting card) 테이블값의 약주경선(Flat-K) 및 각막난시(CYL)의 범위에 해당하는 곡률반경의 값으로 한다.
이러한 비구면디자인 렌즈의 굴절력의 연산에 대해서 도 4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입력하는 구면도수(SPH), 최종 곡률반경, 약주경선 등의 데이터를 리딩하여 연산하게 된다.
이에 도 4에서처럼 우안에 대해 구면도수(SPH) 데이터가 -3.75(D), 약주경선(Flat-K) 데이터가 8.04(mm)가 되고, 비구면처방가이드의 피팅카드(Fitting card)를 통해 입력된 최종 곡률반경은 8.00(mm)로 하여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를 예로 하면 비구면디자인렌즈의 굴절력(Distance Power)은 다음과 같이 연산된다.
Distance Power = { 구면도수(SPH) / {1 - (0.012 X 구면도수(SPH))} }
- { (337.5 / 최종 곡률반경(Base Curve)) - (337.5 / 약주경선(Flat-K))} + 0.25
= { -3.75 / { 1 - (0.012 X -3.75)}}
- { (337.5 / 8.00) - (337.5 / 8.04) } + 0.25
= -3.55(D)
마찬가지로 좌안에 대한 굴절력(Distance Power)의 연산값은 -2.18(D)가 된다.
이처럼 검안의 구면도수(SPH), 검안의 약주경선(Flat-K) 데이터 및 최종 곡률반경(Base Curve)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비구면렌즈의 굴절력 값이 연산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자동처방운영시스템(20)은, 데이터저장부(21)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딩하여 다초점디자인렌즈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다초점디자인데이터처리부(2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렌즈데이터연산단계(S02)는, 데이터저장부(21)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딩하여 다초점디자인렌즈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다초점디자인데이터연산단계(S23)를 포함한다.
이러한 다초점디자인렌즈(다초점렌즈, 다중초점렌즈, multifocal lens)는 2종의 렌즈를 1매에 짜넣은 2중 초점렌즈, 또는 중간거리용을 가한 3중 초점렌즈 등을 말한다. 근래들어 누진 다초점렌즈도 이용되고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서는 환자의 조건을 입력하여 자동으로 다초점렌즈에 대한 데이터를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다초점렌즈와 관련된 다초점 디자인의 주요 요소로는 다초점디자인곡률(Base Curve), 다초점디자인굴절력(Distance Power)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환자의 조건을 입력하면 다초점렌즈의 주요 요소인 다초점디자인곡률, 다초점디자인굴절력을 자동으로 연산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다초점디자인데이터처리부(25)에 대해 상세한 구성을 보면, 데이터저장부(21)에 저장된 약주경선(Flat-K) 및 강주경선(Steep-K) 데이터를 리딩하여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 데이터를 연산하는 다초점디자인곡률연산부(25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다초점디자인데이터연산단계(S23)는 다초점디자인곡률연산부(251)에 의하여, 데이터저장부(21)에 저장된 약주경선(Flat-K) 및 강주경선(Steep-K) 데이터를 리딩하여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 데이터인 다초점디자인곡률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다초점디자인곡률연산단계(S231)를 수행한다.
아울러 다초점디자인곡률연산부(251) 및 다초점디자인곡률연산단계(S231) 등에서의 다초점디자인곡률(base curve)은,
Figure 112013086649304-pat00009
으로 실시된다.
즉 다초점디자인곡률은, 약주경선(Flat-K) 데이터와 강주경선(Steep-K) 데이터의 합에 비례하고, 약주경선(Flat-K) 데이터와 강주경선(Steep-K) 데이터의 합을 반으로 나눈 값에 다초점렌즈곡률상수값(예 : 0.02)을 더한 값이 되도록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다초점디자인 곡률의 연산에 대해서 도 4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입력하는 약주경선(Flat-K), 강주경선(Steep-K)를 리딩하여 연산하게 된다.
이에 약주경선, 강주경선 등은 ARK(Auto Reflacto Keratometer) 검안을 통해 검사한 약주경선(Flat-K) 데이터, 강주경선(Steep-K) 데이터이다. 따라서 환자에 대해 ARK 검안을 통해 검사된 약주경선(Flat-K) 데이터, 강주경선(Steep-K) 데이터를 좌안과 우안으로 구분하여 각각 입력하는 것이다.
그러면 다초점디자인곡률연산부(251), 다초점디자인곡률연산단계(S231) 등에 의하여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Base Curve)이 연산된다.
이에 도 4에서처럼 우안에 대해 약주경선(Flat-K) 데이터가 8.04(mm), 강주경선(Steep-K) 데이터가 8.00(mm)으로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를 예로 하면 곡률반경(Base Curve)은 다음과 같이 연산된다.
Base Curve = {{(약주경선(Flat-K) 데이터(mm)) + (강주경선(Steep-K) 데이터(mm))} / 2 } + 0.02(mm)
= {{ 8.04(mm) + 8.00(mm) } / 2 } + 0.02(mm)
= 8.04(mm)
마찬가지로 좌안에 대한 곡률반경의 연산값은 8.01(mm)가 된다.
이처럼 검안의 약주경선(Flat-K) 데이터 및 검안의 강주경선(Steep-K)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다초점렌즈의 곡률반경 값이 연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다초점디자인데이터처리부(25)에는 데이터저장부(21)에 저장된 구면도수(SPH) 데이터, 곡률반경 데이터, 약주경선 데이터를 리딩하여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굴절력 데이터를 연산하는 다초점디자인굴절력연산부(25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초점디자인데이터연산단계(S23)는 다초점디자인굴절력연산부(252)에 의하여, 데이터저장부(21)에 저장된 구면도수(SPH) 데이터, 곡률반경 데이터, 약주경선 데이터를 리딩하여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굴절력 데이터인 다초점디자인굴절력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다초점디자인굴절력연산단계(S232)를 포함하는 것이다.
아울러 다초점디자인굴절력연산부(252) 및 다초점디자인굴절력(distance power)은,
Figure 112013086649304-pat00010
으로 되는 것이다.
즉 다초점디자인굴절력은, 구면도수(SPH), 약주경선, 그리고 곡률반경 등의 데이터에 의해 산출된다.
이러한 다초점디자인 렌즈의 굴절력의 연산에 대해서 도 4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입력하는 구면도수(SPH), 약주경선, 그리고 곡률반경 등의 데이터를 리딩하여 연산하게 된다.
이에 구면도수(SPH), 약주경선,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한 처방의 곡률반경의 데이터를 리딩하며, 처방의 곡률반경에 대해서는 앞서 연산한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Base Curve)의 데이터에 대해 소수점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근사치 곡률반경의 데이터를 처방의 곡률반경 데이터로 입력하며 입력된 데이터를 리딩하여 굴절력을 연산한다.
이에 도 4에서처럼 우안에 대해 구면도수(SPH) 데이터가 -3.75(D), 약주경선(Flat-K) 데이터가 8.04(mm)가 되고, 앞서 연산된 곡률반경(Base Curve)이 8.04(mm)로 연산됨에 대해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8.00(mm)로 하여 근사치 곡률반경데이터를 예로 하면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굴절력(Distance Power)은 다음과 같이 연산된다.
Distance Power = { 구면도수(SPH) / {1 - (0.012 X 구면도수(SPH))} }
- { (337.5 / 근사치 곡률반경(Base Curve)) - (337.5 / 약주경선(Flat-K))} + 0.13
= { -3.75 / { 1 - (0.012 X -3.75)}}
- { (337.5 / 8.00) - (337.5 / 8.04) } + 0.13
= -3.67(D)
마찬가지로 좌안에 대한 굴절력(Distance Power)의 연산값은 -2.51(D)가 된다.
이처럼 검안의 구면도수(SPH), 검안의 약주경선(Flat-K) 데이터 및 처방의 곡률반경(Base Curve)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다초점렌즈의 굴절력 값이 연산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렌즈자동처방시스템(10) 및 이를 이용한 렌즈자동처방방법에 의하여, 환자의 구면도수, 약주경선, 강주경선 등의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자동으로 구면디자인렌즈, 비구면디자인렌즈, 및 다초점디자인렌즈 등에 대해서 곡률반경 및 굴절력 등의 렌즈 데이터를 손쉽게 산출하게 된다. 따라서 시술자나 관련자 등은 자동 처방된 데이터를 용이하게 적용하여 각각의 렌즈를 시술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자동처방시스템 및 처방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10 등에서는 실제 데이터를 입력하여 연산된 데이터에 대한 일 실시예를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즉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렌즈자동처방시스템(10)에서는 사용자의 데이터표시부(14)의 화면에 도 3 및 도 4의 자동처방화면을 표시하도록 실시되는 것이다.
이러한 자동처방화면에 따르면, 데이터입력영역(30), 처방데이터표시부(40), 그리고 비구면 피팅 카드 데이터가 표시되는 비구면피팅표시부(50) 등이 포함된 것이다.
따라서 데이터입력영역(30)의 해당 란에 환자의 검안(ARK, Auto Reflacto Keratometer)(REF, Rafration, 눈 굴절검사) 데이터를 입력하며, 입력된 데이터는 렌즈자동처방시스템(10)에서 연산하여 처방데이터표시부(40)에 표시된다. 그리고 비구면디자인 데이터를 입력할 때 참조하기 위한 비구면피팅데이터가 비구면피팅표시부(50)에 제시되는 것이다.
이에 우선 도 4 및 도 5에서처럼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입력영역(30)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데이터입력영역(30)은 환자의 우안과 좌안의 구면도수(SPH, Spherical)를 입력하는 구면도수입력부(31), 그리고 우안과 좌안의 약주경선(Flat-K) 및 강주경선(Steep-K)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곡률반경입력부(32)를 포함한다.
그리고 곡률반경입력부(32)에는 약주경선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약주경선입력부(321), 강주경선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강주경선입력부(322)가 포함된다.
약주경선입력부(321)에 입력되는 약주경선(Flat-K)은 각막곡률반경의 두 경선 중에서 flat한 값을 나타내며, ARK를 통해 검사한 flat-K의 Diopter와 mm 값 중 mm값을 입력하며, 이에 연산으로 Diopter 값으로 환산된 값이 표시된다.
그리고 강주경선입력부(322)에 입력되는 강주경선(Steep-K)은 각막곡률반경의 두 경선 중 Steep한 값을 나타내며, ARK를 통해 검사한 steep-K의 Diopter와 mm 값 중 mm값을 입력하며, 이에 연산으로 Diopter값으로 환산된 값이 표시된다.
아울러 각막난시(CYL, Cylinder) 데이터도 표시되는 것으로, 각막난시는 약주경선과 강주경선의 차이 값을 말하며, 약주경선입력부(321) 및 강주경선입력부(322)를 통하여 약주경선, 강주경선 등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연산되어 표시된다.
CYL = (Flat-K) - (Steep-K)
그리고 각막난시의 축(AX, Axis)의 데이터도 연산되어 표시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처방데이터표시부(40)는 각 렌즈의 모델별로 연산된 곡률반경 및 굴절력 등이 표시되는 것이다.
도 4, 그리고 도 6 내지 도 9 등에서와 같이, 일측으로 각 렌즈별 재질과 품명이 표시되고, 다음으로 연산된 곡률반경(Base Curve)의 데이터와 굴절력(Distance Power)의 데이터가 표시되는 것이다.
이에 제시된 실시예의 재질의 예를 보면, Boston XO, Boston EO, Boston EM 등이 예시되어 있고, 품명 및 디자인은 HV-Elite(Sphero-Aspheric), HV-Art(True-Aspheric), HV-Classic(Bi-Aspheric), GP-Multifocal(Multifocal) 등이 예시되어 있으며, 이들 렌즈들의 지름이 표시된다.
Boston XO, HV-Elite, 구면 디자인, 직경9.3mm, Violet / Green
Boston EO, HV-Art, 비구면 디자인, 직경9.3mm, Green / Blue
Boston EO, HV-Classic, 이중비구면 디자인, 직경9.6mm, Gray / Brown
Boston EM, GP-Multifocal, 다초점 디자인, 직경9.8mm, Blue / IceBlue
그리고 처방데이터표시부(40)에는 각 렌즈들에 대한 곡률반경(Base Curve)이 표시되는 곡률반경표시부와, 굴절력(Distance Power)가 표시되는 굴절력표시부 등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렌즈자동처방시스템(10), 렌즈자동처방방법, 그리고 렌즈자동처방시스템(10)에 의해 데이터가 표시되는 데이터표시부(14)에서의 처방데이터표시부(40) 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10 등을 참조하여 실제 데이터를 입력하면서 실시되는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 4 및 도 5 등에서처럼 데이터입력영역(30)의 각 란에 환자의 데이터를 입력한다. 주로 구면도수 데이터와 곡률반경의 약주경선과 강주경선의 데이터를 데이터입력부(12)를 통하여 입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각막난시 데이터, 축값, 그리고 곡률반경의 mm에 대한 Diopter의 환산값 등이 연산되어 자동으로 표시된다.
이렇게 입력된 데이터는 렌즈자동처방시스템(10)의 자동처방운영시스템(20)에서 자동으로 연산되어 데이터표시부(14) 화면에 표시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입력부(12), 자동처방운영시스템(20) 및 데이터표시부(14)가 하나의 컴퓨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자동처방운영시스템(20)이 연산처리 및 화면데이터를 제공하는 운영서버로 실시되면서 이러한 운영서버와 연결되게 데이터입력부(12)와 데이터표시부(14) 등이 마련되도록 실시될 수도 있는 등, 실시되는 양태에 따라 알맞게 정하여져 실시될 것이다.
이처럼 입력된 데이터는 구면디자인렌즈(구면렌즈), 비구면디자인렌즈(비구면렌즈), 이중비구면디자인렌즈(이중비구면렌즈), 다초점디자인렌즈(다초점렌즈) 등에 따라 각각 연산되어 데이터표시부(14)의 화면의 처방데이터표시부(40)에 표시된다.
우선 구면디자인렌즈의 경우, 입력한 KER(Keratometry, 각막곡률반경) 값이 곡률반경연산부를 통하여 자동으로 곡률반경(Base Curve)을 연산하며, 이에 연산된 곡률반경과 근사치의 곡률반경값을 처방곡률반경으로 입력한다.
자동으로 연산되는 구면디자인렌즈(HV-Elite)의 곡률반경(Base Curve) 및 각각의 입력값이 산입된 연산값 등은 다음과 같다.
Base Curve = {{(약주경선(Flat-K) 데이터(mm)) + (강주경선(Steep-K) 데이터(mm))} / 2 } + 0.10(mm)
= {{ 8.04(mm) + 8.00(mm) } / 2 } + 0.10(mm)
= 8.12(mm)
따라서 도 4, 도 6에서처럼 구면디자인렌즈의 데이터가 표시되는 구면데이터표시부(41) 중에서 구면디자인렌즈의 구면곡률반경연산값표시부(411)에는 8.12(우안), 8.09(좌안)으로 하여 곡률반경연산값이 표시된다. 이에 도 6에서처럼 구면곡률반경처방값표시부(412)에서 연산된 곡률반경값의 소수점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근사치 곡률반경으로 우안과 좌안에 8.10(mm)이 표시된다.
그리고 구면디자인렌즈(HV-Elite)에 대해 곡률반경이 결정되면 굴절력(Distance Power)이 연산되어 표시되는 것이다.
즉 구면디자인렌즈의 굴절력(Distance Power) 및 입력값이 산입된 연산값 등은 다음과 같다.
Distance Power = { 구면도수(SPH) / {1 - (0.012 X 구면도수(SPH))} }
- { (337.5 / 근사치 곡률반경(Base Curve)) - (337.5 / 약주경선(Flat-K))} + 0.25
= { -3.75 / { 1 - (0.012 X -3.75)}}
- { (337.5 / 8.10) - (337.5 / 8.04) } + 0.25
= -3.03(D)
마찬가지로 좌안에 대한 굴절력(Distance Power)의 연산값은 -1.87(D)가 된다.
따라서 도 4, 도 6에서처럼 구면디자인렌즈의 데이터가 표시되는 구면데이터표시부(41) 중에서 구면디자인렌즈의 구면굴절력연산값표시부(413)에는 -3.03(우안), -1.87(좌안)으로 하여 굴절력연산값이 표시된다. 이에 도 6에서처럼 구면굴절력처방값표시부(414)에서 연산된 굴절력값의 근사치로 우안 -3.00, 좌안 -1.75 등으로 선택하여 표시되게 한다.
다음으로 비구면디자인렌즈(HV-Art, HV-Classic)에 대한 곡률반경(Base Curve)은 비구면피팅표시부(50)에 표시된 약주경선(Flat-K)과 각막난시(CYL) 값이 겹치는 부분을 찾아 입력하게 된다.
즉 제시된 예를 보면 비구면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Base Curve)은 약주경선(Flat-K)이 우안 및 좌안 모두 8.04이고, 각막난시(CYL)는 우안은 -0.21, 좌안은 -0.53이므로, 이를 참조하여 비구면피팅표시부(50)에서의 곡률반경을 보면 우안 및 좌안 모두 8.00이 된다. 따라서 비구면데이터표시부(42)에서 비구면디자인렌즈의 비구면곡률반경표시부(421)에 최종 곡률반경(Base Curve) 값으로 8.00을 선택하여 입력한다.
다음으로 비구면디자인렌즈(HV-Art, HV-Classic)에 대해 곡률반경이 결정되면 굴절력(Distance Power)이 연산되어 비구면굴절력연산값표시부(422)에 표시되는 것이다.
즉 비구면디자인렌즈(HV-Art)의 우안에 대한 굴절력(Distance Power) 및 입력값이 산입된 연산값 등은 다음과 같다.
Distance Power = { 구면도수(SPH) / {1 - (0.012 X 구면도수(SPH))} }
- { (337.5 / 최종 곡률반경(Base Curve)) - (337.5 / 약주경선(Flat-K))} + 0.25
= { -3.75 / { 1 - (0.012 X -3.75)}}
- { (337.5 / 8.00) - (337.5 / 8.04) } + 0.25
= -3.55(D)
마찬가지로 좌안에 대한 굴절력(Distance Power)의 연산값은 -2.39(D)가 된다.
따라서 도 4, 도 7에서처럼 비구면디자인렌즈의 데이터가 표시되는 비구면데이터표시부(42) 중에서 비구면디자인렌즈의 비구면굴절력연산값표시부(422)에는 -3.55(우안), -2.39(좌안)으로 하여 굴절력연산값이 표시된다. 이에 도 7에서처럼 비구면굴절력처방값표시부(423)에서 연산된 굴절력값의 근사치로 우안 -3.50, 좌안 -2.25 등으로 선택하여 표시되게 한다.
아울러 이중비구면디자인렌즈(HV-Classic)의 우안과 좌안에 대한 곡률반경 및 굴절력 등도 표시된다.
다음으로 입력된 데이터들로부터 자동으로 연산되는 다초점디자인렌즈(GP-Multifocal)의 곡률반경(Base Curve) 및 각각의 입력값이 산입된 연산값 등은 다음과 같다.
Base Curve = {{(약주경선(Flat-K) 데이터(mm)) + (강주경선(Steep-K) 데이터(mm))} / 2 } + 0.02(mm)
= {{ 8.04(mm) + 8.00(mm) } / 2 } + 0.02(mm)
= 8.04(mm)
마찬가지로 좌안에 대한 곡률반경의 연산값은 8.01(mm)가 된다.
따라서 도 4, 도 9에서처럼 다초점디자인렌즈의 데이터가 표시되는 다초점데이터표시부(43) 중에서 다초점디자인렌즈의 다초점곡률반경연산값표시부(431)에는 8.04(우안), 8.01(좌안)으로 하여 곡률반경연산값이 표시된다. 이에 도 9에서처럼 다초점곡률반경처방값표시부(432)에서 연산된 곡률반경값의 소수점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근사치 곡률반경으로 우안과 좌안에 8.00(mm)이 표시된다.
그리고 다초점디자인렌즈(GP-Multifocal)에 대해 곡률반경이 결정되면 굴절력(Distance Power)이 연산되어 표시되는 것이다.
즉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굴절력(Distance Power) 및 입력값이 산입된 연산값 등은 다음과 같다.
Distance Power = { 구면도수(SPH) / {1 - (0.012 X 구면도수(SPH))} }
- { (337.5 / 근사치 곡률반경(Base Curve)) - (337.5 / 약주경선(Flat-K))} + 0.13
= { -3.75 / { 1 - (0.012 X -3.75)}}
- { (337.5 / 8.00) - (337.5 / 8.04) } + 0.13
= -3.67(D)
마찬가지로 좌안에 대한 굴절력(Distance Power)의 연산값은 -2.51(D)가 된다.
따라서 도 4, 도 9에서처럼 다초점디자인렌즈의 데이터가 표시되는 다초점데이터표시부(43) 중에서 다초점디자인렌즈의 다초점굴절력연산값표시부(433)에는 -3.67(우안), -2.51(좌안)으로 하여 굴절력연산값이 표시된다. 이에 도 9에서처럼 다초점굴절력처방값표시부(434)에서 연산된 굴절력값의 근사치로 우안 -3.50, 좌안 -2.50 등으로 선택하여 표시되게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환자의 약주경선, 강주경선 등의 각막곡률반경값과, 구면도수의 값만 입력함으로써 자동으로 렌즈별로 곡률반경, 굴절력 등의 데이터를 손쉽게 산출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 : 렌즈자동처방시스템 12 : 데이터입력부
14 : 데이터표시부 20 : 자동처방운영시스템
21 : 데이터저장부 22 : 입력데이터처리부
23 : 구면디자인데이터처리부 24 : 비구면디자인데이터처리부
25 : 다초점디자인데이터처리부
30 : 데이터입력영역 31 : 구면도수입력부
32 : 곡률반경입력부
40 : 처방데이터표시부 41 : 구면데이터표시부
42 : 비구면데이터표시부 43 : 다초점데이터표시부

Claims (6)

  1. 데이터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데이터처리부를 통하여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하고 데이터표시부로 표시데이터를 전송하는 자동처방운영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처방운영시스템은,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딩하여 구면디자인렌즈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구면디자인데이터처리부;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딩하여 비구면디자인렌즈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비구면디자인데이터처리부; 및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딩하여 다초점디자인렌즈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다초점디자인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면디자인데이터처리부는,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약주경선(Flat-K) 및 강주경선(Steep-K) 데이터를 리딩하여 구면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 데이터를 연산하는 구면디자인곡률연산부; 및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구면도수(SPH) 데이터, 곡률반경 데이터, 약주경선 데이터를 리딩하여 구면디자인렌즈의 굴절력 데이터를 연산하는 구면디자인굴절력연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구면디자인데이터처리부는,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구면도수(SPH) 데이터, 최종 곡률반경 데이터, 약주경선 데이터를 리딩하여 비구면디자인렌즈의 굴절력 데이터를 연산하는 비구면디자인굴절력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초점디자인데이터처리부는,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약주경선(Flat-K) 및 강주경선(Steep-K) 데이터를 리딩하여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 데이터를 연산하는 다초점디자인곡률연산부; 및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구면도수(SPH) 데이터, 곡률반경 데이터, 약주경선 데이터를 리딩하여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굴절력 데이터를 연산하는 다초점디자인굴절력연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최종 곡률반경 데이터는 비구면처방가이드(aspheric flatting card)의 약주경선(Flat-K) 및 각막난시(CYL)의 범위에 해당하는 곡률반경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자동처방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base curve) 데이터는,
    Figure 112015018686829-pat00041

    으로 되고,
    상기 구면디자인렌즈의 굴절력(distance power) 데이터는,
    Figure 112015018686829-pat00042

    으로 되며,
    상기 비구면디자인렌즈의 굴절력(distance power) 데이터는,
    Figure 112015018686829-pat00043

    으로 되고,
    상기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base curve) 데이터는,
    Figure 112015018686829-pat00044

    으로 되며,
    상기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굴절력(distance power) 데이터는,
    Figure 112015018686829-pat00045

    으로 되고,
    상기 구면디자인렌즈에 대한 굴절력에서 근사치 곡률반경(Base curve)은 상기 구면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base curve)의 연산값에 대해 소수점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이며,
    상기 다초점디자인렌즈에 대한 굴절력에서 근사치 곡률반경(Base curve)은 상기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base curve)의 연산값에 대해 소수점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자동처방시스템.
  3. 자동처방화면의 데이터가 표시되는 데이터표시부; 및
    데이터표시부의 화면에 렌즈의 자동처방화면이 표시되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자동처방운영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표시부의 자동처방화면에는,
    환자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입력영역;
    환자의 데이터를 전송받은 자동처방운영시스템에서 연산한 렌즈의 데이터가 표시되는 처방데이터표시부; 및
    비구면디자인 데이터와 관련된 비구면피팅데이터가 표시된 비구면피팅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방데이터표시부는,
    구면디자인렌즈의 데이터가 표시되는 구면데이터표시부(41);
    비구면디자인렌즈의 데이터가 표시되는 비구면데이터표시부(42); 및
    다초점디자인렌즈의 데이터가 표시되는 다초점데이터표시부(43)를 포함하며,
    상기 구면데이터표시부(41)는,
    구면디자인렌즈의 약주경선(Flat-K) 및 강주경선(Steep-K) 데이터로부터 연산된 곡률반경 데이터를 표시하는 구면곡률반경연산값표시부(411);
    연산된 상기 곡률반경 데이터의 소수점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근사치 곡률반경 데이터가 표시되는 구면곡률반경처방값표시부(412); 및
    구면디자인렌즈의 구면도수(SPH) 데이터, 곡률반경 데이터, 약주경선 데이터로부터 연산된 굴절력 데이터를 표시하는 구면굴절력연산값표시부(413)를 포함하고,
    상기 비구면데이터표시부(42)는,
    비구면디자인렌즈의 최종 곡률반경(Base Curve) 값이 표시되는 비구면곡률반경표시부(421); 및
    비구면디자인렌즈의 최종 곡률반경(Base Curve), 구면도수, 약주경선 데이터로부터 연산된 비구면굴절력 데이터가 표시되는 비구면굴절력연산값표시부(422)를 포함하며,
    상기 비구면디자인렌즈의 최종 곡률반경(Base Curve) 값은, 비구면처방가이드(aspheric flatting card)의 약주경선(Flat-K) 및 각막난시(CYL)의 범위에 해당하는 곡률반경의 값이고,
    상기 다초점데이터표시부(43)는,
    다초점디자인렌즈의 약주경선, 강주경선 데이터로부터 연산된 곡률반경 데이터가 표시되는 다초점곡률반경연산값표시부(431);
    연산된 상기 곡률반경 데이터의 소수점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근사치 곡률반경 데이터가 표시되는 다초점곡률반경처방값표시부(432); 및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구면도수, 약주견성, 근사치 곡률반경 데이터로부터 연산된 굴절력 데이터가 표시되는 다초점굴절력연산값표시부(4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자동처방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base curve) 데이터는,
    Figure 112015018686829-pat00046

    으로 되고,
    상기 구면디자인렌즈의 굴절력(distance power) 데이터는,
    Figure 112015018686829-pat00047

    으로 되며,
    상기 비구면디자인렌즈의 비구면굴절력(distance power) 데이터는,
    Figure 112015018686829-pat00048

    으로 되고,
    상기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base curve) 데이터는,
    Figure 112015018686829-pat00049

    으로 되며,
    상기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굴절력(distance power) 데이터는,
    Figure 112015018686829-pat00050

    으로 되고,
    상기 구면디자인렌즈의 굴절력(distance power)에서의 근사치 곡률반경(Base curve)은 상기 구면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base curve) 데이터의 연산값에 대해 소수점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이며,
    상기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굴절력(distance power)에서의 근사치 곡률반경(Base curve)은 상기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base curve) 데이터의 연산값에 대해 소수점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자동처방시스템.
  5. 데이터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데이터처리부를 통하여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하는 데이터입력단계;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딩하여 렌즈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렌즈데이터연산단계; 및
    연산된 데이터를 데이터표시부에 전송하는 데이터표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데이터연산단계는,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딩하여 구면디자인렌즈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구면디자인데이터연산단계;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딩하여 비구면디자인렌즈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비구면디자인데이터연산단계; 및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딩하여 다초점디자인렌즈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다초점디자인데이터연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면디자인데이터연산단계는,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약주경선(Flat-K) 및 강주경선(Steep-K) 데이터를 리딩하여 구면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 데이터인 구면디자인곡률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구면디자인곡률연산단계; 및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구면도수(SPH) 데이터, 곡률반경 데이터, 약주경선 데이터를 리딩하여 구면디자인렌즈의 굴절력 데이터인 구면디자인굴절력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구면디자인굴절력연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구면디자인데이터연산단계는,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구면도수(SPH) 데이터, 최종 곡률반경 데이터, 약주경선 데이터를 리딩하여 비구면디자인렌즈의 굴절력 데이터인 비구면디자인굴절력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비구면디자인굴절력연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초점디자인데이터연산단계는,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약주경선(Flat-K) 및 강주경선(Steep-K) 데이터를 리딩하여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곡률반경 데이터인 다초점디자인곡률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다초점디자인곡률연산단계; 및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구면도수(SPH) 데이터, 곡률반경 데이터, 약주경선 데이터를 리딩하여 다초점디자인렌즈의 굴절력 데이터인 다초점디자인굴절력의 데이터를 연산하는 다초점디자인굴절력연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최종 곡률반경 데이터(Base Curve)는 비구면처방가이드(aspheric flatting card)의 약주경선(Flat-K) 및 각막난시(CYL)의 범위에 해당하는 곡률반경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자동처방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디자인곡률연산단계의 구면디자인곡률(base curve)은,
    Figure 112015018686829-pat00011

    으로 되고,
    상기 구면디자인굴절력연산단계의 구면디자인굴절력(distance power)은,
    Figure 112015018686829-pat00012

    으로 되며,
    상기 비구면디자인굴절력연산단계의 비구면디자인굴절력(distance power)은,
    Figure 112015018686829-pat00013

    으로 되고,
    상기 다초점디자인곡률연산단계의 다초점디자인곡률(base curve)은,
    Figure 112015018686829-pat00014

    으로 되며,
    상기 다초점디자인굴절력연산단계의 다초점디자인굴절력(distance power)은,
    Figure 112015018686829-pat00015

    으로 되고,
    상기 구면디자인굴절력(distance power)에서의 근사치 곡률반경(Base curve)은 상기 구면디자인곡률(base curve)의 연산값에 대해 소수점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이며,
    상기 다초점디자인굴절력(distance power)에서의 근사치 곡률반경(Base curve)은 상기 다초점디자인곡률(base curve)의 연산값에 대해 소수점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자동처방방법.
KR20130113624A 2013-09-25 2013-09-25 렌즈자동처방시스템 및 자동처방방법 KR101506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3624A KR101506988B1 (ko) 2013-09-25 2013-09-25 렌즈자동처방시스템 및 자동처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3624A KR101506988B1 (ko) 2013-09-25 2013-09-25 렌즈자동처방시스템 및 자동처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988B1 true KR101506988B1 (ko) 2015-04-07

Family

ID=53032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3624A KR101506988B1 (ko) 2013-09-25 2013-09-25 렌즈자동처방시스템 및 자동처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9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5867A (ko) * 2004-09-07 2007-10-01 오프소닉스 인코포레이티드 광학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KR20080097385A (ko) * 2005-12-16 2008-11-05 에씰로르 엥떼르나씨오날(꽁파니 제네랄 돕띠끄) 안과용 렌즈를 결정하는 방법
JP2009034451A (ja) * 2007-08-03 2009-02-19 Nidek Co Ltd 眼内レンズ選択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3158866A (ja) 2012-02-03 2013-08-19 Nidek Co Ltd 眼鏡レンズ加工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5867A (ko) * 2004-09-07 2007-10-01 오프소닉스 인코포레이티드 광학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KR20080097385A (ko) * 2005-12-16 2008-11-05 에씰로르 엥떼르나씨오날(꽁파니 제네랄 돕띠끄) 안과용 렌즈를 결정하는 방법
JP2009034451A (ja) * 2007-08-03 2009-02-19 Nidek Co Ltd 眼内レンズ選択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3158866A (ja) 2012-02-03 2013-08-19 Nidek Co Ltd 眼鏡レンズ加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8276B2 (ja) 眼科用レンズの設計の光学特性を評価するための方法
KR101832911B1 (ko) 디자인을 계산 또는 선택함으로써 안경렌즈를 제공하는 방법
US10042182B2 (en) Method for providing to a wearer a customized progressive spectacle ophthalmic lens
JP5116773B2 (ja) 眼鏡レンズ評価方法、これを用いた眼鏡レンズ設計方法、眼鏡レンズ製造方法、眼鏡レンズ製造システム及び眼鏡レンズ
US9500880B2 (en) Presbyopia lens with pupil size correction based on level of refractive error
CA2827310C (en) A method for determining target optical functions
US10247962B2 (en) Method of calculating an optical system of a progressive addition ophthalmic lens being arranged to output a supplementary image
KR20080023339A (ko) 안과용 렌즈
CN107407826B (zh) 眼科镜片以及确定所述眼科镜片的方法
Tilia et al. Short-term comparison between extended depth-of-focus prototype contact lenses and a commercially-available center-near multifocal
CN113993441A (zh) 用于交互式测量眼屈光不正、阅读镜加光度和度数的计算机实现方法和***
EP3201683B1 (en) A multifocal lens supply system for providing to a wearer a customized progressive spectacle ophthalmic lens
KR101506988B1 (ko) 렌즈자동처방시스템 및 자동처방방법
KR20170128228A (ko) 착용자에 맞게 조정된 안과용 렌즈의 광학 기능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JP2017524992A (ja) 累進型眼科用レンズ
Alhamdani et al. Optical modeling and analysis of polyurethane lens for correcting presbyopia by using Zemax program
CN105319736B (zh) 用于接触镜片适配的患者交互式适配工具和方法
ÖGE AN OVERVIEW OF PROGRESSIVE ADDITION LENSES (PALS)
TW202339661A (zh) 折射度數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