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421B1 - 스포이드 - Google Patents

스포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421B1
KR101506421B1 KR1020140039506A KR20140039506A KR101506421B1 KR 101506421 B1 KR101506421 B1 KR 101506421B1 KR 1020140039506 A KR1020140039506 A KR 1020140039506A KR 20140039506 A KR20140039506 A KR 20140039506A KR 101506421 B1 KR101506421 B1 KR 101506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groove
pumping
coupling
assemb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서
Original Assignee
최종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서 filed Critical 최종서
Priority to KR1020140039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4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1Pipettes, i.e. with only one conduit for withdrawing and redistribut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단에 조립공이 형성된 캡부와, 하단에 플랜지가 형성되며, 플랜지 상부에는 조립공에 삽입되도록 조립홈이 형성되고, 조립홈 상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가압에 의한 수축 후 탄성적으로 형상복원되면서 펌핑하도록 펌핑공이 내부에 형성되고, 펌핑공이 하향 개구된 연질성 펌핑부와, 상기 펌핑부의 플랜지 상부에 위치하는 내경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상단 외경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된 관형상의 스포이드관을 포함하는 스포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조립공의 내경면에 접하는 조립홈의 외경면에 다수개의 제1돌기와 제1요홈이 형성되게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캡부의 조립공과 펌핑부의 조립홈이 조립되면, 조립홈의 제1돌기만이 조립공의 내경면에 접촉하게 되므로, 스포이드관의 결합돌기가 하향개구된 펌핑부의 하단으로 삽입될 때, 제1돌기와 제1돌기 사이 또는 제1요홈이 확경 또는 팽창되면서 스포이드관의 결합돌기가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여 스포이드관의 조립성이 향상되게 하는 스포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포이드{SPUIT}
본 발명은 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단에 조립공이 형성된 캡부와, 하단에 플랜지가 형성되며, 플랜지 상부에는 조립공에 삽입되도록 조립홈이 형성되고, 조립홈 상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가압에 의한 수축 후 탄성적으로 형상복원되면서 펌핑하도록 펌핑공이 내부에 형성되고, 펌핑공이 하향 개구된 연질성 펌핑부와, 상기 펌핑부의 플랜지 상부에 위치하는 내경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상단 외경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된 관형상의 스포이드관을 포함하는 스포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조립공의 내경면에 접하는 조립홈의 외경면에 다수 개의 제1돌기와 제1요홈이 형성되게 하여 펌핑부와 스포이드관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스포이드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스포이드(10)는 펌핑 시 발생하는 흡입 또는 배기작용을 이용하여 액상의 물질을 흡입하였다가 원하는 부위에 토출시키기 위한 분급수단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의 물질을 수용하는 용기(도시하지 않음)에 결합되는 캡부(1)에 펌핑부(2)를 조립한 후, 스포이드관(3)을 펌핑부(2) 하단으로 삽입하여 스포이드관(3)을 펌핑부(2)에 결합시킴으로써, 스포이드(10)의 조립이 완성되는 구조이다.
상기한 스포이드(10)는 스포이드관(3)을 용기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물질에 투입한 후에 펌핑부(2)를 가압하여 눌렀다가 놓으면,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펌핑부(2)의 형상이 복원되면서 액상의 물질을 스포이드관(3)으로 흡입시키며, 사용자가 액상의 물질을 분급하고자 하는 위치에 스포이드관(3)의 끝단을 위치시킨 후, 다시 펌핑부(2)를 가압하여 압축시키면, 펌핑부(2) 내측의 펌핑공(4)에 채워진 공기가 스포이드관(3) 하단으로 배기되면서 스포이드관(3) 내부에 흡입되었던 액상의 물질을 스포이드관(3)의 끝단으로 토출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스포이드(10)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1)에 형성된 조립공(5)에 펌핑부(2)의 하부에 형성된 조립홈(6)이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1)에 펌핑부(2) 및 스포이드관(3)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캡부(1)의 조립공(5) 하단에서 상향을 향하여 펌핑부(2)를 도 1과 같이 상향으로 관통시킨다.
이때, 상기 펌핑부(2) 하부에 형성된 조립홈(6)이 캡부(2)의 조립공(5)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조립홈(6)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7)이 캡부(1)를 억지로 관통되도록 펌핑부(2)를 상향으로 잡아당기거나 하부에서 상향으로 밀어올리는 힘을 가한다.
여기서, 상기 펌핑부(2)는 연질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며, 펌핑부(2)의 내부는 중공된 펌핑공(4)이 형성된 상태이므로, 플렉시블(flexible)하여 걸림턱(7)의 외경이 조립공(5)의 내경보다 크다고 할지라도 걸림턱(7)이 펌핑공(4)과 중공된 부분을 압축하면서 축경되어 조립공(5)을 관통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관통된 걸림턱(7)은 조립공(5)의 상부, 즉, 캡부(1)의 상부면에서 그 형상이 탄성복원되면서 안착되고, 조립홈(6)은 조립공(5)에 끼워지며, 조립홈(6) 하부의 플랜지(8)는 캡부(1)의 조립공(5) 하부면에 도 2와 같이 밀착되는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펌핑부(2)가 캡부(1)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펌핑부(2)가 캡부(1)에 조립구성되면, 스포이드관(3)의 상단을 도 2와 같이 펌핑부(2)의 하단 개구부(9)에서 중공된 펌핑공(4)을 향하여 상향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포이드관(3)의 결합돌기(3a)가 연질성으로 이루어진 펌핑부(2)의 하단 개구부(9)를 억지로 확경시키면서 중공된 펌핑공(4)을 향하여 상향이동하게 되는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8) 상부에 위치하는 펌핑부(2)의 내경면에는 결합홈(2a)이 성형되어 있는 구조이며, 상기 스포이드관(3) 상단의 결합돌기(3a)는 이 결합홈(2a)까지 이동하여 결합홈(2a)에 끼워짐으로써, 스포이드관(3)이 견고한 결합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결합홈(2a)은 플랜지(8)의 상부 즉, 조립홈(6) 보다도 상부에 위치한 곳에 형성되어야 조립 후 스포이드관(3)이 견고한 결합구조를 갖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결합홈(2a)이 조립홈(6) 보다 아래의 위치에 형성될 경우. 스포이드관(3) 상단의 결합돌기(3a)가 결합홈(2a)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는 있지만, 삽입이 용이한 만큼 자칫 펌핑부(2)의 펌핑동작 중 또는 사용자가 스포이드관(3)을 파지한 후 어떠한 동작을 하게 될 경우 자칫 결합홈(2a)으로부터 결합돌기(3a)가 쉽게 탈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갖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한 결합홈(2a)의 위치를 조립홈(6) 보다 상부에 위치시켜 결합돌기(3a)가 조립홈(6)에 삽입결합되도록 하고, 이때, 상기 조립홈(6) 외경의 크기를 캡부(1)의 조립공(5) 내경의 크기와 거의 동일하게 설계함으로써, 조립홈(6)이 쉽게 확경되지 않게 함으로써, 결합돌기(3a)가 결합홈(2a)에서 탈리되려할 경우 이를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구조로 설계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돌기(3a)가 결합홈(2a)으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기 위한 설계로 인하여 결합돌기(3a)가 결합홈(2a)에 삽입결합되는 과정에서 과다한 힘이 작용하여야 함은 물론 삽입결합되는 과정에서의 섬세한 힘조절이 요구되므로, 상기한 캡부(1)에 결합된 펌핑부(2)에 스포이드관(3)을 삽입결합시키는 공정은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진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작업자에 의한 조립공정으로 인하여 자동화 시스템이 설계되기 힘들었으며, 이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고, 인건비 및 제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캡부에 펌핑부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스포이드관을 펌핑부에 결합시킬 때, 과도한 힘이 스포이드관과 펌핑부에 작용하지 않게 하면서도 섬세한 힘조절이 필요없도록 펌핑부 또는 캡부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캡부에 결합된 펌핑부에 스포이드관을 결합시키는 공정을 자동화시켜 대량생산을 통한 생산성의 향상과 인건비 및 제비용의 감축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단에 조립공(112)이 형성된 캡부(110)와, 하단에 플랜지(122)가 형성되며, 플랜지(122) 상부에는 조립공(112)에 삽입되도록 조립홈(124)이 형성되고, 조립홈(124) 상단에는 걸림턱(126)이 형성되며, 가압에 의한 수축 후 탄성적으로 형상복원되면서 펌핑하도록 펌핑공(128)이 내부에 형성되고, 펌핑공(128)이 하향개구된 연질성 펌핑부(120)와, 상기 펌핑부(120)의 플랜지(122) 상부에 위치하는 내경면에 형성된 결합홈(129)에 삽입되도록 상단 외경면에 결합돌기(132)가 형성된 관형상의 스포이드관(130)을 포함하는 스포이드(100)에 있어서, 상기 조립공(112)의 내경면에 접하는 조립홈(124)의 외경면에 다수 개의 제1돌기(210)와 제1요홈(2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100)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단에 조립공(112)이 형성된 캡부(110)와, 하단에 플랜지(122)가 형성되며, 플랜지(122) 상부에는 조립공(112)에 삽입되도록 조립홈(124)이 형성되고, 조립홈(124) 상단에는 걸림턱(126)이 형성되며, 가압에 의한 수축 후 탄성적으로 형상복원되면서 펌핑하도록 펌핑공(128)이 내부에 형성되고, 펌핑공(128)이 하향개구된 연질성 펌핑부(120)와, 상기 펌핑부(120)의 플랜지(122) 상부에 위치하는 내경면에 형성된 결합홈(129)에 삽입되도록 상단 외경면에 결합돌기(132)가 형성된 관형상의 스포이드관(130)을 포함하는 스포이드(100)에 있어서, 상기 조립공(112)의 내경면에 다수 개의 제2돌기(230)와 제2요홈(2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100)에 의해 달성된다.
아울러, 상기한 목적은, 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단에 조립공(112)이 형성된 캡부(110)와, 하단에 플랜지(122)가 형성되며, 플랜지(122) 상부에는 조립공(112)에 삽입되도록 조립홈(124)이 형성되고, 조립홈(124) 상단에는 걸림턱(126)이 형성되며, 가압에 의한 수축 후 탄성적으로 형상복원되면서 펌핑하도록 펌핑공(128)이 내부에 형성되고, 펌핑공(128)이 하향개구된 연질성 펌핑부(120)와, 상기 펌핑부(120)의 플랜지(122) 상부에 위치하는 내경면에 형성된 결합홈(129)에 삽입되도록 상단 외경면에 결합돌기(132)가 형성된 관형상의 스포이드관(130)을 포함하는 스포이드(100)에 있어서, 상기 조립공(112)의 내경면에 다수 개의 제2돌기(230)와 제2요홈(240)을 형성하고, 제2돌기(230)와 제2요홈(240)에 치합되도록 조립홈(124)의 외경면에 다수 개의 제1요홈(220)과 제1돌기(2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100)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돌기(230)의 내경면에 제1요홈(220)의 외경면이 이격되도록 치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펌핑부의 결합홈에 스포이드관의 결합돌기가 수월하게 삽입되게 하면서도 견고한 결합구조가 유지되게 하여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섬세한 힘조절을 필요로 하지 않게 하여 단순한 조립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펌핑부와 스포이드관의 조립공정이 자동화될 수 있게 하여 제품의 대량생산을 이루고, 이에 따른, 인건비의 감소 및 생산비용 단가의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스포이드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스포이드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a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
도 4b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a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B - 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a는 도 6에 도시된 캡부의 평면도.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캡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캡부의 평면도.
도 8a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8b는 도 8a의 C - C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a는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10b는 도 10a의 D -D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각 실시예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 실시예의 구성을 기술하기 전에 각 실시예의 공통적인 구성요소들을 도 3과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한 후, 각 실시예별로 서로 다른 점 또는 구조적인 서로의 차이점을 설명함으로써, 각 실시예의 특징적인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의 물질을 수용하도록 된 용기(도시하지 않음)에 결합되는 컵부와, 컵부에 결합되는 펌핑부(120) 및 펌핑부(120)에 결합되는 스포이드관(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컵부는 '┏┓'의 형상으로 도시되어 용기에 체결되는 구조가 일반적이나, 본 발명은 '┏┓'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구조 및 모양으로 설계되어 채택변경할 수 있다.
단지, 상기 컵부의 상단에 펌핑부(120)를 결합시키기 위한 조립공(112)이 형성된다는 점이 주요지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펌핑부(120)는 도 3과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 배기를 시키기 위하여 중공된 구조로 펌핑공(128)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를 향하여 개구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펌핑부(120)는 돔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돔형상, 사각형이나 다각형 및 별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들 중 선택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펌핑부(120)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상기 펌핑공(128)의 외경면 하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홈(124)이 형성되는 바, 상기 펌핑부(120)의 재질이 펌핑공(128)을 압축하면서 수축하였다가 형상 복원하여야 하는 연질성 재질이므로, 조립홈(124)의 상단에 형성되는 걸림턱(126)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110)의 조립공(112) 내경의 크기보다 좀 더 크게 형성된다 하더라도 조립공(112)을 관통할 수 있으며, 걸림턱(126)의 상부면이 비스듬한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립공(112)의 하부에서 상향으로의 관통이 용이한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펌핑부(120)의 하단(조립홈(124)의 하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22)가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플랜지(122)는 캡부(110)의 조립공(112)의 내경보다 큰 크기의 외경으로 형성되어 걸림턱(126)이 조립공(112)을 관통하여 캡부(110)의 상부면에 걸쳐지면, 조립공(112) 하부의 캡부(110) 저면에 밀착되어 조립홈(124)이 조립공(112)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조립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펌핑부(120)이 하향 개구된 구조로서, 이 개구부(128a)에는 상단에 결합돌기(132)가 도 3과 같이 돌출성형된 스포이드관(130)이 결합되는 바, 상기 펌핑부(120)의 내경면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129)이 형성되며, 이 결합홈(129)은 도 4a와 같이 조립홈(124)이 형성된 위치보다 비교적 높은 위치의 펌핑부(120) 내경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종래 스포이드(100)의 결합구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립홈(124)의 하부에 결합홈(129)이 형성될 경우, 결합돌기(132)가 결합홈(129)에 삽입되면, 펌핑부(120)가 연질성으로서 쉽게 수축되거나 형상이 변형되는 재질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결합홈(129)에 삽입된 결합돌기(132)를 결합홈(129)이 견고하게 잡아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조립홈(124)의 상부에 결합홈(129)을 형성하여 결합돌기(132)가 조립홈(124) 및 조립공(112)의 위치를 통과하여 억지로 결합홈(129)에 삽입결합되면, 조립공(112)이 조립홈(124)에 견고하게 끼워진 상태이므로 결합돌기(132)가 결합홈(129)을 빠져나가려 한다하더라도 조립공(112)과 조립홈(124)이 결합홈(129)의 하부를 견고하게 받쳐주는 구조가 되므로, 결합돌기(132) 및 스포이드관(130)의 분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스포이드(100)는 캡부(110), 펌핑부(120), 스포이드관(130)으로 구성되며, 공통적인 구조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별의 서로 다른 점 또는 서로 차별화된 특징인 펌핑부(120)의 조립홈(124)과 캡부(110)의 조립공(112)의 구조에 대한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1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이며, 도 4b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a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1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B - B선 단면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는, 캡부(110)의 조립공(112)에 삽입되어 조립공(112)의 내경면에 접하게 되는 펌핑부(120)의 조립홈(124) 외경면에 다수개의 제1돌기(210)와 제1요홈(220)을 형성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홈(124)의 외경면에 다수 개의 제1돌기(210)가 돌기 형태로 돌출되도록 성형하면서 제1요홈(220)이 홈 형태로 성형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돌기(210)와 제1요홈(220)은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사다리꼴, 둥근 반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게 될 제1돌기(210)와 제2돌기(230)의 작용설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조립공(112)의 내경면과 조립홈(124)의 외경면사이에 빈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라면, 어떤 형상이라도 관계없이 얼마든지 채택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5a의 B - B선 단면도를 도시한 도 5b와 같이 조립공(112)에 조립홈(124)이 삽입된 구조를 살펴보면, 조립공(112)의 내경면과 조립홈(124)의 제1돌기(210)의 외경면이 서로 접하게 되고, 제1돌기(210)와 인접한 제1돌기(210) 사이의 제1요홈(220)은 조립공(112)의 내경면에 접하지 않게 되어 빈공간을 형성하게 된다는 것이다.
결국, 상기 캡부(110)와 펌핑부(120)가 조립된 상태에서 스포이드관(130)의 결합돌기(132)가 펌핑부(120)의 개구부(128a)를 통하여 상향으로 삽입될 때, 조립공(112)이 조립홈(124)에 밀착된 상태의 견고한 결합구조를 유지하고 있지만, 조립공(112)의 내경면과 접하지 않는 제1요홈(220)에 의한 빈공간에서는 조립홈(124)이 재질적 특성과 결합돌기(132)가 밀고 올라오는 힘에 의하여 확경되면서 스포이드관(130)의 결합돌기(132)가 결합홈(129)을 향하여 손쉽게 이동될 수 있게 하는 통로를 개방하여 준다는 것이다.
즉, 종래의 조립공(112)과 조립홈(124)은 조립홈(124)의 외경면이 조립공(112)의 내경면과 긴밀하게 밀착된 구조를 갖음으로써, 결합돌기(132)가 조립공(112)과 조립홈(124)이 결합된 부분을 통과하려 할 때, 조립홈(124)이 아무리 재질적인 특성에 의하여 확경이 용이하다 하더라도 캡부(110)는 딱딱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공(112)이 조립홈(124)이 확경되려고 하는 것을 억제시킴으로써, 스포이드관(130)의 결합돌기(132)가 강력하게 조립홈(124)을 가압하지 않는다면 쉽게 확경되지 않게 되어 조립이 용이하지 않았었다는 문제점이 조립공(112)과 조립홈(124)사이에 빈공간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해결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1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a는 도 6에 도시된 캡부(110)의 평면도이며,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캡부(1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캡부(110)의 평면도이고, 도 8a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1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C - C선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조립홈(124)의 구조는 종래의 구조를 채택하되, 조립공(112)의 내경면에 다수 개의 제2돌기(230)와 제2요홈(240)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돌기(230)와 제2요홈(240)은 도 7a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사다리꼴, 둥근 반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립공(112)의 내경면과 조립홈(124)의 외경면사이에 빈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라면, 어떤 형상이라도 관계없이 얼마든지 채택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캡부(110)의 조립공(112)에 펌핑부(120)의 조립홈(124)이 도 8a와 같이 삽입되면, 도 8a의 C - C선 단면을 도시한 도 8b와 같이 조립홈(124)의 외경면과 조립공(112)의 내경면은 제2돌기(230)에 의해 접하게 되고, 제2요홈(240)에 의해 빈공간이 형성된다.
결국, 제1실시예와 같이 스포이드관(130)의 결합돌기(132)가 펌핑부(120)의 하단 개구부(128a)를 통하여 상향으로 밀고 올라오면서 조립홈(124)의 위치를 통과하려 할 때에는 펌핑부(120)의 재질적 특성에 의하여 제2요홈(240)에 의해 형성된 빈공간으로 조립홈(124)의 외경 일부가 밀려 들어가면서 개구부(128a)를 일시적으로 확경시킴으로써, 결합돌기(132)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일시적으로 개방되며, 결합돌기(132)가 조립홈(124)의 위치를 통과한 후에는 다시 형상복원되어 견고한 결합구조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1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a는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1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며, 도 10b는 도 10a의 D -D선 단면도이다.
제3실시예는 도 9와 도 10a,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립공(112)의 내경면에 다수 개의 제2돌기(230)와 제2요홈(240)을 형성하고, 이 제2돌기(230)와 제2요홈(240)에 치합되도록 조립홈(124)의 외경면에 다수 개의 제1요홈(220)과 제1돌기(210)를 형성한다.
이때,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돌기(230)의 내경면에 제1요홈(220)의 외경면이 이격된 상태로 치합되게 하여 제1실시예와 같이 결합돌기(132)가 펌핑부(120)의 하단 개구부(128a)로 밀고 올라올 때, 조립홈(124)이 재질적 특성에 따라 이 빈공간에 의해 확경되어 일시적으로 결합돌기(132)가 쉽게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개방되게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에는 캡부(110)에 펌핑부(120)가 결합되면 펌핑부(120)를 파지하여 펌핑부(120)가 움직이지 못하게 한 후, 스포이드관(130)을 하부에서 상부로 강하게 밀어 올리면서도 섬세하게 각도를 기울이거나 회전시킴으로써, 조립홈(124)이 조립공(112)에 의해 긴밀하게 밀착되어 조여진 상태의 구조에서 스포이드관(130)의 결합돌기(132)가 억지로 조립홈(124)의 위치를 통과하여 결합홈(129)에 삽입되도록 하지 않고도 스포이드관(130)의 결합돌기(132)가 조립홈(124)의 위치를 손쉽게 통과하여 결합홈(129)에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일일이 조립을 할 경우에도 생산성이 향상되며, 특히, 캡부(110)를 고정시키는 유니트와 펌핑부(120)의 하단 개구부(128a)로 스포이드관(130)을 삽입시키는 유니트를 설비하여 자동화시스템을 구비할 경우 스포이드(100) 조립의 완전 자동화가 이루어짐으로써, 대량생산화에 따른 인건비 감소 및 제비용의 감소효과를 얻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110 : 캡부 112 : 조립공
120 : 펌핑부 122 : 플랜지
124 : 조립홈 126 : 걸림턱
128 : 펌핑공 129 : 결합홈
130 : 스포이드관 132 : 결합돌기
210 : 제1돌기 220 : 제1요홈
230 : 제2돌기 240 : 제2요홈

Claims (4)

  1. 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단에 조립공(112)이 형성된 캡부(110)와, 하단에 플랜지(122)가 형성되며, 플랜지(122) 상부에는 조립공(112)에 삽입되도록 조립홈(124)이 형성되고, 조립홈(124) 상단에는 걸림턱(126)이 형성되며, 가압에 의한 수축 후 탄성적으로 형상복원되면서 펌핑하도록 펌핑공(128)이 내부에 형성되고, 펌핑공(128)이 하향개구된 연질성 펌핑부(120)와, 상기 펌핑부(120)의 플랜지(122) 상부에 위치하는 내경면에 형성된 결합홈(129)에 삽입되도록 상단 외경면에 결합돌기(132)가 형성된 관형상의 스포이드관(130)을 포함하는 스포이드(100)에 있어서,
    상기 조립공(112)의 내경면에 접하는 조립홈(124)의 외경면에 다수 개의 제1돌기(210)와 제1요홈(2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
  2. 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단에 조립공(112)이 형성된 캡부(110)와, 하단에 플랜지(122)가 형성되며, 플랜지(122) 상부에는 조립공(112)에 삽입되도록 조립홈(124)이 형성되고, 조립홈(124) 상단에는 걸림턱(126)이 형성되며, 가압에 의한 수축 후 탄성적으로 형상복원되면서 펌핑하도록 펌핑공(128)이 내부에 형성되고, 펌핑공(128)이 하향개구된 연질성 펌핑부(120)와, 상기 펌핑부(120)의 플랜지(122) 상부에 위치하는 내경면에 형성된 결합홈(129)에 삽입되도록 상단 외경면에 결합돌기(132)가 형성된 관형상의 스포이드관(130)을 포함하는 스포이드(100)에 있어서,
    상기 조립공(112)의 내경면에 다수 개의 제2돌기(230)와 제2요홈(2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
  3. 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단에 조립공(112)이 형성된 캡부(110)와, 하단에 플랜지(122)가 형성되며, 플랜지(122) 상부에는 조립공(112)에 삽입되도록 조립홈(124)이 형성되고, 조립홈(124) 상단에는 걸림턱(126)이 형성되며, 가압에 의한 수축 후 탄성적으로 형상복원되면서 펌핑하도록 펌핑공(128)이 내부에 형성되고, 펌핑공(128)이 하향개구된 연질성 펌핑부(120)와, 상기 펌핑부(120)의 플랜지(122) 상부에 위치하는 내경면에 형성된 결합홈(129)에 삽입되도록 상단 외경면에 결합돌기(132)가 형성된 관형상의 스포이드관(130)을 포함하는 스포이드(100)에 있어서,
    상기 조립공(112)의 내경면에 다수 개의 제2돌기(230)와 제2요홈(240)을 형성하고, 제2돌기(230)와 제2요홈(240)에 치합되도록 조립홈(124)의 외경면에 다수개의 제1요홈(220)과 제1돌기(2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기(230)의 내경면에 제1요홈(220)의 외경면이 이격되도록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
KR1020140039506A 2014-04-01 2014-04-01 스포이드 KR101506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506A KR101506421B1 (ko) 2014-04-01 2014-04-01 스포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506A KR101506421B1 (ko) 2014-04-01 2014-04-01 스포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421B1 true KR101506421B1 (ko) 2015-03-26

Family

ID=53028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506A KR101506421B1 (ko) 2014-04-01 2014-04-01 스포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4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228A (ko) 2019-05-27 2020-12-07 이형석 검체에 정량의 이멀젼 오일을 신속하게 주입할 수 있는 광학 현미경용 이멀젼 오일 주입기
KR20220166066A (ko) 2021-06-09 2022-12-16 김길수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의 캡 조립장치
KR200496727Y1 (ko) 2021-03-25 2023-04-11 김기호 앰플형 화장품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7028A (ja) 2003-12-26 2005-07-14 Nippon Shizen Shokuhin Kk スポイト瓶
JP2013166573A (ja) 2012-02-15 2013-08-29 Sumitomo Rubber Ind Ltd 液漏れ防止スポイドゴ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7028A (ja) 2003-12-26 2005-07-14 Nippon Shizen Shokuhin Kk スポイト瓶
JP2013166573A (ja) 2012-02-15 2013-08-29 Sumitomo Rubber Ind Ltd 液漏れ防止スポイドゴ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228A (ko) 2019-05-27 2020-12-07 이형석 검체에 정량의 이멀젼 오일을 신속하게 주입할 수 있는 광학 현미경용 이멀젼 오일 주입기
KR200496727Y1 (ko) 2021-03-25 2023-04-11 김기호 앰플형 화장품 용기
KR20220166066A (ko) 2021-06-09 2022-12-16 김길수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의 캡 조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1866B2 (en) Infusion extracting apparatus and method
US8307755B2 (en) Container with an improved structure
KR101506421B1 (ko) 스포이드
RU2643424C2 (ru) Присасывающая пластина и присасывающее пластинчатое устройство, имеющее присасывающую пластину
US20170360240A1 (en) Infusion extract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80179274A1 (en) Seal and saver container
KR101572007B1 (ko)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KR20120064058A (ko)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EP3130366A1 (en) Medical valve
CN101932263A (zh) 手动滴瓶
US10920816B2 (en) Furniture snap connector
KR200491148Y1 (ko) 의료용 폐기물 전용용기의 분리판 설치 구조
JP6837445B2 (ja) 中蓋の脱着構造 並びにこれを具えた容器
US10046891B2 (en) Lid and foreign body-trapping method
JP5587729B2 (ja) キャップ付き容器
US9945109B1 (en) Device for use with toilet plunger
US9580217B2 (en) Plug
JP6812081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5897818B2 (ja) 吐出器
JP3209887U (ja) 蛇口用管継手
US20230146200A1 (en) Container with a reusable cap
JP2006002884A (ja) 連結具
KR101772842B1 (ko) 개선된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
JP3859852B2 (ja) 封緘容器
CN201245291Y (zh) 一种保鲜容器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