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779B1 - Range hood apparatus - Google Patents

Range hood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779B1
KR101505779B1 KR1020140070237A KR20140070237A KR101505779B1 KR 101505779 B1 KR101505779 B1 KR 101505779B1 KR 1020140070237 A KR1020140070237 A KR 1020140070237A KR 20140070237 A KR20140070237 A KR 20140070237A KR 101505779 B1 KR101505779 B1 KR 101505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signal
reference line
gas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2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동선
Original Assignee
신동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선 filed Critical 신동선
Priority to KR1020140070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77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7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nge hood apparatus which includes: a hood body (10) including a ventilation fan (11) for discharging inside air to an air exhaust duct (10a) connected to the outside, a control unit (12)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fan (11), and a filter (13) detachably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a dust sensor (20) sensing dust included in surrounding air to generate a corresponding dust signal; a signal computation unit (40) computing the dust signal to generate dust density data related to current dust density and a changed value of the dust density; and a display (50)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od body (10) to be checked by a resident, and displaying the current dust density and a changed value of the dust density per hour, per day, or per week from past until now.

Description

환기상태를 표시하는 레인지 후드장치{Range hood apparatu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nge hood apparatus,

본 발명은 가스레인지 또는 오븐레인지의 상부에 설치되는 레인지 후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거주 공간에서 먼지 및 가스농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함과 동시에 환기시 먼지 및 가스농도의 변화값과 같은 환기상태를 표시하는 레인지 후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nge hood apparatus installed on a gas range or an oven rang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nge hood apparatus for checking dust and gas concentration in a living space in real time, To a range hood apparatus.

일반적으로 주방의 싱크대에는 가스레인지 또는 오븐 레인지등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는 레인지 후드장치가 설치되어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나 열기등을 실외로 배기하게 된다. Generally, the kitchen sink is provided with a gas range or an oven range, and a range hood device is installed at the upper part to exhaust the odor or heat generated in the cooking process.

도 1은 종래의 레인지 후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레인지 후드장치는, 조리를 위한 레인지(R)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본체(1)와, 본체(1)의 내부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되는 환기팬(2)과, 본체(1)의 하측면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필터(3)와, 필터(3)의 상방에 위치되는 일단부는 입구(4a)를 형성하고 타단부는 실외측을 향하여 관통되는 배기덕트(4)로 구성된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range hood apparatu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ventional range hood apparatus comprises a main body 1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a cooking range R, a ventilating fan 2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1 and rotated by receiving power, A filter 3 provided above the filter 3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and an exhaust port 4a formed at one end thereof located above the filter 3 and having an inlet 4a, And a duct (4).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나 열기등은 환기팬(2)에 위하여 배기덕트(4)로 안내된 후 외부로 배기하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레인지후드장치는 이 외에도 등록번호 10-0589607호나, 특허공개번호 10-2002-0039741호에 개시되어 있다. By this structure, the odor or heat generated in the cooking process is guided to the ventilation fan 2 by the ventilation duct 4 and then exhausted to the outside. A range hood apparatus of this type is disclosed in addition to the registration number 10-0589607 or the patent publication number 10-2002-0039741.

그런데 상기한 냄새나 열기를 배기하기 위하여 거주자는 후드장치를 수동으로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However, in order to exhaust the smell and the heat, residents have to manually operate the hood device.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본체에 공기중의 냄새(가스)를 센싱하는 가스센서를 채용하여 환기팬을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레인지 후드장치에 관련된 기술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In order to solve such inconvenience, there has been proposed a technology relating to a range hood apparatus which automatically operates the ventilation fan by employing a gas sensor which senses the odor (gas) in the air in the main body.

그러나 상기한 레인지 후드장치의 경우, 환기 여부를 거주자의 후각으로 알 수 밖에 없어 감기등에 걸리거나 컨디션에 의하여 후각 기능이 떨어질 경우 환기연부를 정확하게 알 수 없었다. 그리고 거주 공간에서 발생하는 먼지의 경우, 후각으로 감지할 수 없어 환기 여부를 더더욱 알기가 어려웠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range hood apparatus, the ventilation margin can not be accurately known when the occupant is caught in a cold or the like due to the inability to recognize the ventilation by the occupant's smell. Further, in case of dust generated in a residence space, it is difficult to detect whether the ventilation is possible because it can not be detected by the olfactory ang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거주 공간에서 먼지 및 가스농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함과 동시에 환기시 먼지 및 가스농도의 변화값과 같은 환기상태를 표시하는 레인지 후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nge hood apparatus for confirming the concentration of dust and gas in a living space in real time and displaying a ventilation state such as a change value of dust and gas concentration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먼지나 가스농도가 높아질 때 자동으로 배시킬 수 있는 환기상태를 표시하는 레인지 후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nge hood apparatus that displays a ventilation state that can be automatically dispensed when dust or gas concentration becomes high.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기상태를 표시하는 레인지 후드장치는, 실내 공기를 실외와 연통된 배기덕트(10a)로 배기시키기 위한 환기팬(11)과, 상기 환기팬(1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와, 하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필터(13)를 포함하는 후드몸체(10); 주위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센싱하여 대응되는 먼지신호를 발생하는 먼지센서(20); 상기 먼지신호를 연산하여 현재의 먼지농도 및 그 먼지농도의 변화값에 관련된 먼지농도데이터를 발생하는 신호연산부(40); 및 거주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후드몸체(10)에 전면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먼지농도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현재 먼지농도와, 현재로부터 과거 시점까지 시간단위 또는 하루단위 또는 주일 단위로 상기 먼지농도의 변화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50);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50)는, 가로축이 시간(H)을 의미하고 세로축이 먼지농도값(D)을 의미하는 제1그래프좌표(C1) 상에서, 상기 먼지농도의 변화값을 상기 거주자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연속적으로 보이는 제1그래프(G1)로 표시하고; 상기 제1그래프좌표(C1)의 세로축에는 상기 거주자가 생활하는데 지장이 없는 허용가능한 먼지농도값를 의미하는 제1기준라인(L1) 및 그 제1기준라인(L1)의 상부측에 위치된 것으로서 환기작동을 시작하기 위한 먼지농도값을 표시하는 제2기준라인(L2)이 표시되며; 상기 제1그래프(G1) 우측단에는 제1포인트(P1)가 표시되되 상기 제1포인트(P1)는 현재의 먼지농도값을 의미하고, 상기 제1포인트(P1)와 연결되는 좌측의 그래프는 현재 시점으로부터 과거시점에까지 먼지농도의 변화값을 의미하며; 상기 디스플레이(50)에 현재로부터 과거 시점까지의 시간 단위를 변경하기 위한 다수의 시간단위 변경버튼(51)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ange hood apparatus for indicating a ventilation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ventilation fan (11) for exhausting indoor air to an exhaust duct (10a)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 hood body 10 including a control part 12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ood 11, and a filter 13 detachab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A dust sensor 20 for sensing the dust contained in the ambient air and generating a corresponding dust signal; A signal computing unit (40) for computing the dust signal and generating dust concentration data related to a current dust concentration and a change value of the dust concentration; And a change amount of the dust concentration in the unit of time from the present to the past time point or in units of a day or a week on the basis of the dust concentration data, which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od body (10) And a display (50) for displaying an image;
The display 50 can confirm the change value of the dust concentration on the first graph coordinate C1 whos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ime H and whos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dust concentration value D Gt; G1 < / RTI > The vertical axis of the first graph coordinate (C1)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eference line (L1), which indicates an allowable dust concentration valu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ccupant's living, and the first reference line (L1) A second reference line L2 indicating the dust concentration value for starting operation is displayed; A first point P1 is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graph G1 and the first point P1 indicates a current dust concentration value and a left graph connected to the first point P1 Means a change value of the dust concentration from the current time point to the past time point; And a plurality of time unit change buttons 51 for changing time units from the current time to the past time point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50.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위 공기에 포함된 가스를 센싱하여 대응되는 가스신호를 발생하는 가스센서(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연산부(40)는 상기 가스신호를 연산하여 현재의 가스농도 및 그 가스농도의 변화값에 관련된 가스농도데이터를 발생하며; 상기 디스플레이(50)는 상기 가스농도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현재 가스농도와, 현재로부터 과거 시점까지 시간단위 또는 하루단위 또는 주일 단위로 상기 가스농도의 변화값을 표시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as sensor further comprises a gas sensor (30) for sensing gas contained in the ambient air to generate a corresponding gas signal; The signal operation unit 40 calculates the gas signal to generate gas concentration data related to a current gas concentration and a change value of the gas concentration; The display 50 displays the current gas concentration and the change value of the gas concentration on a time unit basis from the current time to the past time point or on a daily or weekly basis by the gas concentration data.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50)는. 상기 가스농도의 변화값을 제2그래프좌표(C2) 상에서 제2그래프(G2)로 표시하되, 상기 제2그래프좌표(C2)의 가로축은 시간(H)을 의미하고 세로축은 가스농도값(D)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50) comprises: Wherein the horizontal axis of the second graph coordinate (C2) represents the time (H),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gas concentration value (D) on the second graph coordinate (C2)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그래프좌표(C2)에 있어서, 세로축에는 거주자가 생활하는데 지장이 없는 허용가능한 가스농도값를 의미하는 제1기준라인(L1)과, 그 제1기준라인(L1)의 상부측에 위치된 것으로서 환기작동을 시작하기 위한 가스농도값을 의미하는 제2기준라인(L2)이 표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연산부(40)는, 상기 제1포인트(P1)가 상기 제2기준라인(L2)의 상부측에 위치되면 상기 환기팬(11)을 작동시키라는 작동신호를 발생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graph coordinate (C2), the vertical axis indicates a first reference line (L1) indicating an allowable gas concentration valu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ccupant's living, and a second reference line A second reference line L2 which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which means a gas concentration value for starting the ventilation operation is display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computing unit 40 generates an activation signal to activate the ventilation fan 11 when the first point P1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reference line L2 .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먼지농도값이 설정값 이상이 될 때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경고신호발생부(60)를 더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warning signal generating unit 60 for generating a warning signal when the dust concentration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본 발명에 따르면, 후드본체의 전면에 거주 공간에서 먼지 및 가스농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함과 동시에 환기시 먼지 및 가스농도의 변화값을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됨으로써, 거주자는 환기상태를 정확히 알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od main body to confirm the dust and gas concentration in the living space in real time and to confirm the change value of the dust and gas concentration at the time of ventilation, have.

또한 먼지나 가스농도가 높아질 때 자동으로 배시시킴으로서, 거주자가 환기팬을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ust or gas concentration becomes high, the user can automatically reduce the inconvenience of manually operating the ventilation fan.

도 1은 종래의 레인지 후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상태를 표시하는 레인지 후드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레인지 후드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디스플레이에 먼지농도 및 가스농도가 그래프로 표시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range hood apparatus,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ange hood apparatus for indicating a ventilation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ange hood apparatus of FIG. 2,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dust concentration and the gas concentration in a graph in the display of Fig. 3;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환기상태를 표시하는 레인지 후드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range hood apparatus for indicating a ventilation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상태를 표시하는 레인지 후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레인지 후드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ange hood apparatus for indicating a ventilation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range hood apparatus of FIG. 2. Referring to FIG.

본 발명에 따른 환기상태를 표시하는 레인지 후드장치는 거주공간 내에서, 조리를 위한 레인지(미도시)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레인지 후드장치는, 실내 공기를 실외와 연통된 배기덕트(10a)로 배기시키기 위한 환기팬(11), 환기팬(1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 하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필터(13)를 포함하는 후드몸체(10)와; 주위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센싱하여 대응되는 먼지신호를 발생하는 먼지센서(20)와; 주위 공기에 포함된 가스를 센싱하여 대응되는 가스신호를 발생하는 가스센서(30)와; 먼지신호를 연산하여 현재의 먼지농도 및 그 먼지농도의 변화값에 관련된 먼지농도데이터를 발생하고, 가스신호를 연산하여 현재의 가스농도 및 그 가스농도의 변화값에 관련된 가스농도데이터를 발생하는 신호연산부(40)와; 거주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후드몸체(10)에 전면에 설치된 것으로서 먼지농도데이터 및 가스농도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50)와; 상기 먼지농도 및 가스농도가 설정값 이상이 될 때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경고신호발생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ange hood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ventilation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upper part of a cooking range (not shown) in a living space. The range hood apparatus includes a ventilation fan 11 for exhausting indoor air to an exhaust duct 10a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 control unit 12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fan 11, A hood body (10) comprising a filter (13); A dust sensor 20 for sensing the dust contained in the ambient air and generating a corresponding dust signal; A gas sensor (30) for sensing a gas contained in the ambient air to generate a corresponding gas signal; Calculates a dust signal to calculate dust concentration data related to a current dust concentration and a change value of the dust concentration, calculates a gas signal to generate a gas concentration data relating to a current gas concentration and a change value of the gas concentration An operation unit 40; A display (50) installed on the hood body (10) to display dust concentration data and gas concentration data in real time, so that the resident can check it; And a warning signal generating unit (60) for generating a warning signal when the dust concentration and the gas concentration become equal to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먼지센서(20)는, 거주공간 내의 먼지, 예를 들면 10 마이크로미터 이내의 미세먼지를 센싱하여 대응되는 먼지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먼지센서(2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먼지가 경유하는 통과경로를 형성하고, 통과경로 상에 광을 발광하는 발광소자 및 상기 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를 설치하여, 통과경로로 먼지가 존재할 때 수광량의 변화값에 의하여 먼지의 농도를 측정한다. The dust sensor 20 senses dust in a living space, for example, fine dust within 10 micrometers, and generates a corresponding dust signal. The dust sensor 20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Typically, the dust sensor 20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dust passes, a light emitting element that emits light on the passage,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that receives the light, When the dust exists in the path, the concentration of the dust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received light amount.

가스센서(30)는 레인지 주위 공기에 함유된 가스, 예를 들면 조리중에 발생하는 냄새 가스나, 실내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호흡에 의하여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나, 연소되지 않은 가연성 가스나,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와 같은 유해물질 가스등을 센싱하여 대응되는 가스신호를 발생한다.The gas sensor 30 detects the gas contained in the air around the range, for example, odor gas generated during cooking, carbon dioxide generated by breathing of people living in the room, uncombustible combustible ga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to generate corresponding gas signals.

신호연산부(40)는 먼지센서(20)에서 센싱된 먼지신호를 연산하여 현재 먼지의 농도 및 그 먼지농도의 변화값에 관련된 먼지농도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발생한다. 또한 가스센서(30)에서 센싱된 가스신호를 연산하여 현재 가스의 농도 및 그 가스농도의 변화값에 관련된 가스농도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발생한다. The signal computing unit 40 computes the dust signal sensed by the dust sensor 20 to continuously generate the dust concentration data related to the concentration of the current dust and the change value of the dust concentration. And also calculates the gas signal sensed by the gas sensor 30 to continuously generate the gas concentration data relat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present gas and the change value of the gas concentration.

도 4는 도 3의 디스플레이에 먼지농도 및 가스농도가 그래프로 표시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4 is a graph for illustrating the graphs of the dust concentration and the gas concentration on the display of FIG. 3.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50)는 신호연산부(40)로부터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먼지농도데이터에 의하여 현재 먼지농도와, 현재로부터 과거 시점까지 시간단위 또는 하루단위 또는 주일 단위로 상기한 먼지농도의 변화값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한 먼지농도의 변화값은 수치로도 표시할 수 있으나, 거주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연속적인 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display 50 displays the current dust concentration by the dust concentration data continuously transmitted from the signal calculation unit 40, and the change of the dust concentration by the unit of time from the present to the past, Value. At this time, the change value of the dust concentration can be displayed as a numerical value, but it is preferable to display it in a continuous graph so that it can be easily recognized by residents.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디스플레이(50)에는 먼지농도의 변화값을 제1그래프(G1)로 표시하기 위한 제1그래프좌표(C1)가 표시되며, 제1그래프좌표(C1)에 있어 가로축은 시간(H)을 의미하고 세로축은 먼지농도값(D)을 의미한다. 이때 세로축에는 거주자가 생활하는데 지장이 없는 허용가능한 먼지농도값를 의미하는 제1기준라인(L1)과, 그 제1기준라인(L1)의 상부측에 위치된 것으로서 환기작동을 시작하기 먼지농도값을 의미하는 제2기준라인(L2)이 표시되어 있다. In more detail, the display 50 displays the first graph coordinate C1 for displaying the change value of the dust concentration as the first graph G1. In the first graph coordinate C1,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time (H)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dust concentration value (D). At this time,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a first reference line L1 indicating an allowable dust concentration value which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ccupant's life, and a dust concentration value which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eference line L1 and which starts the ventilation operation A second reference line L2 is displayed.

또한 제1그래프좌표(C1)에는 연속적인 제1그래프(G1)가 표시되는데, 제1그래프(G1) 우측단의 제1포인트(P1)는 현재의 먼지농도값을 의미하고, 제1포인트(P1)와 연결되는 좌측의 그래프는 현재 시점으로부터 과거시점에까지 먼지농도의 변화값을 의미한다. A first graph G1 is displayed in the first graph coordinate C1. The first point P1 in the right end of the first graph G1 indicates the current dust concentration value. P1) represents the change value of the dust concentration from the current point of view to the past point of time.

여기서 제1포인트(P1)가 제1기준라인(L1)의 하부측에 위치되면 현재 거주공간의 먼지농도는 허용값 이하이기 때문에 쾌적한 상태임을 의미한다. 또 제1포인트(P1)가 제1기준라인(L1)과 제2기준라인(L2) 사이에 위치되면 현재 거주공간의 먼지농도는 환기대기 상태임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1포인트(P1)가 제2기준라인(L2)의 상부측에 위치되면 현재 거주공간의 먼지농도가 높기 때문에 환기가 필요하다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 상태가 되면, 신호연산부(40)는 제어부(12)로 환기팬(11)을 작동시키라는 제1작동신호를 전송한다. Here, if the first point P1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reference line L1, it means that the dust concentration in the present residence space is below the allowable value, which is a pleasant state. Also, if the first point P1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reference line L1 and the second reference line L2, the dust concentration in the present residence space means that the ventilation standby state is established. If the first point P1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reference line L2, it means that ventilation is necessary because the dust concentration in the present residence is high. In this state, the signal operation unit 40 transmits a first operation signal for operating the ventilation fan 11 to the control unit 12.

이때 신호연산부(40)는 제1포인트(P1)가 제1기준라인(L1) 하부측에서 제1,2기준라인(L1)(L2) 사이로 진입할 경우에는 제1작동신호를 발생하지 않다가, 제2기준라인(L2)의 상부측으로 진입할 때 제1작동신호를 발생하여 환기팬(11)이 작동되도록 한다. 그러나 신호연산부(40)는 제1포인트(P1)가 제2기준라인(L2)에서 제1,2기준라인(L1)(L2) 사이로 진입할 때 제1작동신호를 발생하지 않고, 제1기준라인(L1) 하부측으로 진입할 때 제1작동신호를 발생하여 환기팬(11)이 작동되게 한다. At this time, the signal operation unit 40 does not generate the first operation signal when the first point P1 enters between the first reference line L1 and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lines L1 and L2 , And generates a first operation signal when entering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reference line (L2) so that the ventilation fan (11) is operated. However, the signal operation unit 40 does not generate the first operation signal when the first point P1 enters between the second reference line L2 and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lines L1 and L2, When entering the lower side of the line L1, a first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so that the ventilation fan 11 is operated.

즉 제1포인트(P1)가 제1기준라인(P1) 하부측에서 제1,2기준라인(L1)(L2) 사이로 진입할 때 아직 환기가 되지 않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다가, 제2기준라인(L2) 상부측으로 진입할 때 환기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포인트(P1)가 제2기준라인(L2) 상부측에 있어 환기가 되는 상태에서 제1,2기준라인(L1)(L2) 사이로 진입하더라도 환기가 계속 진행되고, 이후 제1기준라인(L1) 하부측으로 진입할 때 환기가 멈추게 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first point P1 enters the space between the first reference line P1 and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lines L1 and L2, L2), it is ventilated. Even if the first point P1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reference line L2 to ente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lines L1 and L2 in a state of ventilation, ventilation continues, (L1), the ventilation is stopped.

만약 1개의 기준라인만을 설정할 경우, 환기가 진행됨에 따라 제1포인트가 기준라인 근처에서 움직이고, 이에 따라 짧은 시간동안 환기팬의 작동이 시작과 멈춤을 반복하게 되어 결국 하루종일 환기팬이 작동하게 된다. If only one reference line is set, as the ventilation progresses, the first point moves near the reference line,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fan repeatedly starts and stops for a short period of time, so that the ventilation fan operates all day .

디스플레이(50)는 신호연산부(40)로부터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가스농도데이터에 의하여 현재 가스농도와, 현재로부터 과거 시점까지 시간단위 또는 하루단위 또는 주일 단위로 상기한 가스농도의 변화값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한 가스농도의 변화값은 수치로도 표시할 수 있으나, 거주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연속적인 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isplay 50 displays the current gas concentration and the change value of the gas concentration in units of time from the present to the past, or every day or week, by the gas concentration data continuously transmitted from the signal calculation unit 40. At this time, the change value of the gas concentration can be expressed by a numerical value, but it is preferable to display it in a continuous graph so that the resident can easily confirm it.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디스플레이(50)에는 가스농도의 변화값을 제2그래프(G2)로 표시하기 위한 제2그래프좌표(C2)가 표시된다. 이러한 제2그래프좌표(C2)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H)을 의미하고 세로축은 가스농도값(D)을 의미한다. 이때 세로축에는 거주자가 생활하는데 지장이 없는 허용가능한 가스농도값을 의미하는 제1기준라인(L1)과, 그 제1기준라인(L1)의 상부측에 위치된 것으로서 환기작동을 시작하기 위한 먼지농도값을 의미하는 제2기준라인(L2)이 표시되어 있다. 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display 50 displays a second graph coordinate C2 for displaying the change value of the gas concentration as the second graph G2. In this second graph coordinate (C2),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ime (H)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gas concentration value (D). At this time,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a first reference line L1 indicating an allowable gas concentration valu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ccupant's living, and a second reference line L1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eference line L1, And a second reference line L2 indicating a value is displayed.

이러한 제2그래프좌표(C2)에는 제2그래프(G2)가 표시되는데, 제2그래프(G2) 우측의 제2포인트(P2)는 현재의 가스농도값을 의미하고, 제2포인트(P2)와 연결되는 좌측의 그래프는 현재 시점으로부터 과거시점에까지 가스농도의 변화값을 의미한다. A second graph G2 is displayed on the second graph coordinate C2 and a second point P2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graph G2 indicates a current gas concentration value. The graph on the left connected means the change in gas concentration from the present time to the past time.

제2포인트(P2)가 제1기준라인(L1)의 하부측에 위치되면 현재 거주공간의 가스농도는 허용값 이하이기 때문에 쾌적한 상태임을 의미한다. 또 제2포인트(P2)가 제1기준라인(L1)과 제2기준라인(L2) 사이에 위치되면 현재 거주공간의 가스농도는 환기대기 상태임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2포인트(P2)가 제2기준라인(L2)의 상부측에 위치되면 현재 거주공간의 가스농도가 높기 때문에 환기가 필요하다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 상태가 되면, 신호연산부(40)는 제어부(12)로 환기팬(11)을 작동시키라는 제2작동신호를 전송한다. When the second point P2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reference line L1, it means that the gas concentration in the current residence space is below the allowable value, and thus the state is comfortable. If the second point P2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reference line L1 and the second reference line L2, the gas concentration in the current residence space is in a waiting state for ventilation. If the second point P2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reference line L2, it means that the ventilation is necessary because the gas concentration in the present residence space is high. In this state, the signal operation unit 40 transmits a second operation signal for operating the ventilation fan 11 to the control unit 12.

이때 신호연산부(40)는 제2포인트(P2)가 제1기준라인(L1) 하부측에서 제1,2기준라인(L1)(L2) 사이로 진입할 경우에는 제2작동신호를 발생하지 않다가, 제2기준라인(L2)의 상부측으로 진입할 때 제2작동신호를 발생하여 환기팬(11)이 작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신호연산부(40)는 제2포인트(P2)가 제2기준라인(L2)에서 제1,2기준라인(L1)(L2) 사이로 진입할 때 제2작동신호를 발생하지 않고, 제1기준라인(L1) 하부측으로 진입할 때 제2작동신호를 발생하여 환기팬(11)이 작동되게 한다. At this time, the signal operation unit 40 does not generate the second operation signal when the second point P2 enters between the first reference line L1 and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lines L1 and L2 , And generates a second operation signal when entering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reference line (L2) so that the ventilation fan (11) is operated. The signal operation unit 40 does not generate the second operation signal when the second point P2 enters between the second reference line L2 and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lines L1 and L2, And generates a second operation signal when entering the lower side of the line L1 so that the ventilation fan 11 is operated.

즉 제2포인트(P2)가 제1기준라인(P1) 하부측에서 제1,2기준라인(L1)(L2) 사이로 진입할 때 아직 환기가 되지 않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다가, 제1포인트(P1)가 제2기준라인(L2) 상부측으로 진입할 때 환기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포인트(P1)가 제2기준라인(L2) 상부측에 있어 환기가 되는 상태에서 제1,2기준라인(L1)(L2) 사이로 진입하더라도 환기가 계속 진행되고, 이후 제1포인트(P1)가 제1기준라인(L1) 하부측으로 진입할 때 환기가 멈추게 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second point P2 enters between the first reference line P1 and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lines L1 and L2, Is ventilated when it enters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reference line L2. Even if the second point P1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reference line L2 and enter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lines L1 and L2 in a ventilating state, P1 will enter the lower side of the first reference line L1, the ventilation will stop.

만약 1개의 기준라인만을 설정할 경우, 환기가 진행됨에 따라 제2포인트가 기준라인 근처에서 움직이고, 이에 따라 짧은 시간동안 환기팬의 작동이 시작과 멈춤을 반복하게 되어 결국 하루종일 환기팬이 작동하게 된다. If only one reference line is set, as the ventilation progresses, the second point moves near the reference line,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fan repeatedly starts and stops for a short period of time, eventually causing the ventilation fan to operate all day .

한편 신호연산부(40)는, 제1포인트(P1)와 제2포인트중(P2) 적어도 하나가 제2기준라인(L2)의 상부측에 위치되면 신호연산부(40)는 환기팬(11)을 작동시키라는 작동신호를 발생한다. 이에 따라 먼지나 가스중 어느 하나라도 과도하게 많을 경우 환기가 진행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f at least one of the first point P1 and the second point P2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reference line L2, the signal operation unit 40 outputs the signal to the ventilation fan 11 To generate an operating signal to operate. Accordingly, when either dust or gas is excessively large, ventilation proceeds.

디스플레이(50)에는 가로축 시간의 단위를 변경하기 위한 다수의 시간단위 변경버튼(51)이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로축 시간단위를 1시간(H), 3시간(H), 6시간(H), 12시간(H), 1일(day), 1주일(week) 단위로 변경하기 위한 시간단위 변경버튼(51)이 마련된다. 예를 들면 1시간 변경버튼을 누를 경우 그래프좌표의 가로축 전체 시간은 총 1시간을 의미하고, 3시간 변경버튼을 누를 경우 가로축 전체 시간은 3시간을 의미하며, 1일 변경버튼을 누를 경우 가로축 전체 시간은 24시간을 의미한다. 이러한 시간단위 변경버튼(51)에 의하여 거주자는 시간단위, 날짜단위 및 주일 단위로 환기가 되었을 때 먼지 및 가스농도의 변화값을 직접 확인함으로써 환기 여부에 대한 확신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2그래프좌표(C1)(C2)의 가로측 시간 단위를 변경함으로써 제1,2기준라인(L1)(L2)에 대한 제1포인트(P1)(P2)의 궤적을 좀더 확실히 파악할 수 있고, 이러한 궤적에 의하여 환기가 제대로 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확신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On the display 50, a plurality of time unit change buttons 51 for changing the units of the horizontal axis time are display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nit of time for changing the horizontal axis unit in units of 1 hour (H), 3 hours (H), 6 hours (H), 12 hours (H), 1 day, A change button 51 is provided. For example, when the 1 hour change button is pressed, the horizontal axis total time of the graph coordinate means 1 hour in total, and when the 3 hour change button is pressed, the total time on the horizontal axis is 3 hours, Time means 24 hours. By this time unit change button 51, the resident can confirm the change of the dust and gas concentration directly by ventilation by the time unit, the date unit and the weekly unit, thereby making sure the ventilation is possible. That is, the trajectory of the first point P1 (P2) relative to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lines L1 and L2 can be grasped more clearly by changing the transverse time unit of the first and second graph coordinates C1 and C2 This trajectory allows us to be confident about whether ventilation is working properly.

경고신호발생부(60)는 먼지농도 및 가스농도가 설정값 이상이 될 때 경고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설정값은 제1,2그래프좌표(C1)(C2)에 있어서, 환기작동을 시작하기 위한 먼지농도값을 표시하는 제2기준라인(L2)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거주자가 임의로 설정값을 조작할 수 있다. The warning signal generating unit 60 generates a warning signal when the dust concentration and the gas concentration becom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valu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t value is a second reference line (L2) indicating the dust concentration value for starting the ventilation operation in the first and second graph coordinates (C1) and (C2) Can be operat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거주공간의 먼지신호를 연산하여 현재의 먼지농도 및 그 먼지농도의 변화값에 관련된 먼지농도데이터를 발생하고, 가스신호를 연산하여 현재의 가스농도 및 그 가스농도의 변화값에 관련된 가스농도데이터를 발생하는 신호연산부(40)와, 거주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후드몸체(10)에 전면에 설치된 것으로서 먼지농도데이터 및 가스농도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50)를 채용함으로써, 현재의 먼지 및 가스농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함과 동시에 환기시 먼지 및 가스농도의 변화값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주자는 환기상태를 확인함으로서 환기가 제대로 되고 있는지 여부를 정확히 알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signal in the residence space is calculated to generate dust concentration data relating to the current dust concentration and the change value of the dust concentration, and the gas concentration is calculated to calculate the current gas concentration and the gas concentration A signal calculation unit 40 for generating gas concentration data related to the change value and a display 50 for displaying dust concentration data and gas concentration data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od body 10 so as to be verified by a resident in real time , It is possible to check the current dust and gas concentration in real time and to check the change value of dust and gas concentration at the time of ventilation. Accordingly, the residents can confirm whether or not the ventilation is properly performed by confirming the ventilation state.

또한 신호연산부(40)는 먼지나 가스농도가 높아질 때 환기팬(11)을 자동으로 작동시켜 그 먼지나 가스를 배시시킴으로서, 거주자가 환기팬(11)을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gnal calculating unit 40 automatically operates the ventilation fan 11 to discharge the dust or gas when the dust or gas concentration becomes high, thereby reducing inconvenience for the occupant to manually operate the ventilation fan 11 hav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 후드몸체 10a ... 배기덕트
11 ... 환기팬 12 ... 제어부
13 ... 필터 20 ... 먼지센서
30 ... 가스센서 40 ... 신호연산부
50 ... 디스플레이 60 ... 경고신호발생부
C1, C2 ... 제1,2그래프좌표
G1 ... 먼지농도를 표시하는 제1그래프
G2 ... 가스농도를 표시하는 제2그래프
L1 ... 허용가능한 먼지농도값 또는 가스농도값을 표시하는 제1기준라인
D2 ... 환기작동을 시작하기 위한 먼지농도값 또는 가스농도값을 표시하는 제2기준라인
10 ... hood body 10a ... exhaust duct
11 ... ventilation fan 12 ... control unit
13 ... filter 20 ... dust sensor
30 ... gas sensor 40 ... signal operating section
50 ... display 60 ... warning signal generating section
C1, C2 ... 1st and 2nd graph coordinates
G1 ... first graph showing dust concentration
G2 ... second graph indicating gas concentration
L1 ... a first reference line indicating an acceptable dust concentration value or gas concentration value
D2 ... a second reference line for indicating a dust concentration value or gas concentration value for starting the ventilation operation

Claims (9)

실내 공기를 실외와 연통된 배기덕트(10a)로 배기시키기 위한 환기팬(11)과, 상기 환기팬(1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와, 하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필터(13)를 포함하는 후드몸체(10);
주위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센싱하여 대응되는 먼지신호를 발생하는 먼지센서(20);
상기 먼지신호를 연산하여 현재의 먼지농도 및 그 먼지농도의 변화값에 관련된 먼지농도데이터를 발생하는 신호연산부(40); 및
거주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후드몸체(10)에 전면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먼지농도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현재 먼지농도와, 현재로부터 과거 시점까지 시간단위 또는 하루단위 또는 주일 단위로 상기 먼지농도의 변화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50);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50)는,
가로축이 시간(H)을 의미하고 세로축이 먼지농도값(D)을 의미하는 제1그래프좌표(C1) 상에서, 상기 먼지농도의 변화값을 상기 거주자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연속적으로 보이는 제1그래프(G1)로 표시하고;
상기 제1그래프좌표(C1)의 세로축에는 상기 거주자가 생활하는데 지장이 없는 허용가능한 먼지농도값를 의미하는 제1기준라인(L1) 및 그 제1기준라인(L1)의 상부측에 위치된 것으로서 환기작동을 시작하기 위한 먼지농도값을 표시하는 제2기준라인(L2)이 표시되며;
상기 제1그래프(G1) 우측단에는 제1포인트(P1)가 표시되되 상기 제1포인트(P1)는 현재의 먼지농도값을 의미하고, 상기 제1포인트(P1)와 연결되는 좌측의 그래프는 현재 시점으로부터 과거시점에까지 먼지농도의 변화값을 의미하며;
상기 디스플레이(50)에 현재로부터 과거 시점까지의 시간 단위를 변경하기 위한 다수의 시간단위 변경버튼(51)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상태를 표시하는 레인지 후드장치.
(12)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fan (11), and a filter (13) detachab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ventilation fan (11) for exhausting indoor air to the outside through an exhaust duct (10);
A dust sensor 20 for sensing the dust contained in the ambient air and generating a corresponding dust signal;
A signal computing unit (40) for computing the dust signal and generating dust concentration data related to a current dust concentration and a change value of the dust concentration; And
The dust concentration data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od body 10 so that the occupant can see the change in the dust concentration from the current dust concentration to the past time point, A display (50) for displaying an image;
The display (50)
The first graph (C1) on the abscissa represents time (H) and the ordinate represents the dust concentration value (D). The first graph (G1);
The vertical axis of the first graph coordinate (C1)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eference line (L1), which indicates an allowable dust concentration valu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ccupant's living, and the first reference line (L1) A second reference line L2 indicating the dust concentration value for starting operation is displayed;
A first point P1 is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graph G1 and the first point P1 indicates a current dust concentration value and a left graph connected to the first point P1 Means a change value of the dust concentration from the current time point to the past time point;
And a plurality of time unit change buttons (51) for changing a time unit from a current time to a past time point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50).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위 공기에 포함된 가스를 센싱하여 대응되는 가스신호를 발생하는 가스센서(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연산부(40)는 상기 가스신호를 연산하여 현재의 가스농도 및 그 가스농도의 변화값에 관련된 가스농도데이터를 발생하며;
상기 디스플레이(50)는 상기 가스농도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현재 가스농도와, 현재로부터 과거 시점까지 시간단위 또는 하루단위 또는 주일 단위로 상기 가스농도의 변화값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상태를 표시하는 레인지 후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gas sensor (30) sensing a gas contained in the ambient air to generate a corresponding gas signal;
The signal operation unit 40 calculates the gas signal to generate gas concentration data related to a current gas concentration and a change value of the gas concentration;
Wherein the display (50) displays the current gas concentration and the change value of the gas concentration on a time unit basis from the present to the past time point, or on a daily or weekly basis by the gas concentration data Range hood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50)는.
상기 가스농도의 변화값을 제2그래프좌표(C2) 상에서 제2그래프(G2)로 표시하되, 상기 제2그래프좌표(C2)의 가로축은 시간(H)을 의미하고 세로축은 가스농도값(D)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상태를 표시하는 레인지 후드장치.
5. The display (50) of claim 4, wherein the display (50) comprises:
Wherein the horizontal axis of the second graph coordinate (C2) represents the time (H),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gas concentration value (D) on the second graph coordinate (C2) The ventilation hood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그래프좌표(C2)에 있어서, 세로축에는 거주자가 생활하는데 지장이 없는 허용가능한 가스농도값를 의미하는 제1기준라인(L1)과, 그 제1기준라인(L1)의 상부측에 위치된 것으로서 환기작동을 시작하기 위한 가스농도값을 의미하는 제2기준라인(L2)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상태를 표시하는 레인지 후드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second graph coordinate (C2), the vertical axis indicates a first reference line (L1) indicating an allowable gas concentration valu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ccupant's living, and a second reference line (L1)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eference line And a second reference line (L2) indicating a gas concentration value for starting the ventilation operation is display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연산부(40)는,
상기 제1포인트(P1)가 상기 제2기준라인(L2)의 상부측에 위치되면 상기 환기팬(11)을 작동시키라는 작동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상태를 표시하는 레인지 후드장치.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generates an activation signal to activate the ventilation fan (11) when the first point (P1)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reference line (L2).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농도값이 설정값 이상이 될 때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경고신호발생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표시장치를 구비한 레인지 후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arning signal generator (60) for generating a warning signal when the dust concentration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value.
KR1020140070237A 2014-06-10 2014-06-10 Range hood apparatus KR1015057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237A KR101505779B1 (en) 2014-06-10 2014-06-10 Range hoo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237A KR101505779B1 (en) 2014-06-10 2014-06-10 Range hood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5779B1 true KR101505779B1 (en) 2015-03-26

Family

ID=53028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237A KR101505779B1 (en) 2014-06-10 2014-06-10 Range hood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77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554A (en) * 2018-03-09 2019-09-18 피앤씨테크 주식회사 Detection Device for Kitchen Fire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251B1 (en) 2006-01-20 2007-07-27 강릉대학교산학협력단 Gas detecting apparatus and air purification system
JP2008249321A (en) 2007-03-05 2008-10-16 Hochiki Corp Range hood system
KR101332988B1 (en) 2013-08-08 2013-11-25 신동선 Range hood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251B1 (en) 2006-01-20 2007-07-27 강릉대학교산학협력단 Gas detecting apparatus and air purification system
JP2008249321A (en) 2007-03-05 2008-10-16 Hochiki Corp Range hood system
KR101332988B1 (en) 2013-08-08 2013-11-25 신동선 Range hood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554A (en) * 2018-03-09 2019-09-18 피앤씨테크 주식회사 Detection Device for Kitchen Fire and Method thereof
KR102523594B1 (en) * 2018-03-09 2023-04-20 피앤씨테크 주식회사 Detection Device for Kitchen Fire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21715B1 (en) Ventilation system
JP5132195B2 (en) Electrical equipment control system
US20170097163A1 (en) Ai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JP5256074B2 (en) Air conditioner
US20120180655A1 (en) Ai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EP2749818B1 (en) Range hood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9274050A (en) Air cleaner and its operation method
CN109751725A (en) Control method, fresh air system for fresh air system
KR100684294B1 (en) A measuring device of co2 gas for remote communication control in order to room air quality management and contron method thereof
CN205307649U (en) Breathing mask performance detector
JP5070150B2 (en) Air conditioner using gas sensor
JP2017020775A (en) Intake device and intake method
KR20180123382A (en)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JP6361667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505779B1 (en) Range hood apparatus
WO2007097547A2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90044032A (en)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JP7243314B2 (en) ventilator
JP2010243068A (en) Air cleaner with humidification function
KR20180123747A (en)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JP2009262020A (en) Air cleaner
KR20120089140A (en) Indoor air detecting apparatus
KR101647666B1 (en) Induction range with voice-recognizing member and pollution-detecting member, interworking smartphone
JP2008202807A (en) Environment harmonizing system
JP2014170348A (en) Ala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