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389B1 - Adjustable resonance frequency based energy harvester - Google Patents

Adjustable resonance frequency based energy harves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389B1
KR101501389B1 KR20130138403A KR20130138403A KR101501389B1 KR 101501389 B1 KR101501389 B1 KR 101501389B1 KR 20130138403 A KR20130138403 A KR 20130138403A KR 20130138403 A KR20130138403 A KR 20130138403A KR 101501389 B1 KR101501389 B1 KR 101501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nce frequency
spring
adjusting
presen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84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귀상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138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389B1/en
Priority to PCT/KR2014/009427 priority patent/WO201507266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3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5/00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35/02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with moving magnets and stationary coil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9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elements which are subject to variation, e.g. adjustable bearings, reconfigurable windings, variable pitch venti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ergy harvester for controlling a resonance frequenc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duction coil unit which is wound around a lower housing; a magnet unit which vibrates up and down within the induction coil unit by external vibration; an upper housing which is combined with the lower housing; a stopper which is fix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housing; a spring unit for resonance frequency control which is combined and fixed on the magnet unit to rotate on the stopper to be rotatable and controls the length of an area to be transformed in response to the external vibr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and a zig unit for rotation control which adheres to the spring unit for resonance frequency control and controls the rotation degree of the spring unit for resonance frequency control by rotating step by step by manual operation of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the energy harvester in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sonance frequency to be matched efficiently with the vibration frequency of various external vibration sources, minimizes a device, simplifies manufacturing processes, and reduces manufacturing costs.

Description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하베스터{ADJUSTABLE RESONANCE FREQUENCY BASED ENERGY HARVESTER}{ADJUSTABLE RESONANCE FREQUENCY BASED ENERGY HARVESTER}

본 발명은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하베스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ergy harvester capable of adjusting a resonance frequency.

대다수의 휴대형 전자기기나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으로 배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Batteries are generally used as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a large number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or nodes constituting a sensor network.

그러나 배터리는 제한된 사용 연한, 교체의 어려움 및 폐기시에 발생하는 심각한 수준의 환경오염이라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However, batteries have a problem of limited service life, difficulty in replacing, and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that occurs at the time of disposal.

배터리가 갖고 있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변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은 반영구적인 사용 연한과 청정에너지라는 측면에서 큰 장점을 갖는다.Energy harvesting technology, which converts ambien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s a means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batteries, is drawing attention. These energy harvesting technologies have great advantages in terms of semi-permanent lifetime and clean energy.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에서, 전기 에너지는 태양, 바람, 열, 파동, 바이오화학, 고주파, 진동, 자기장 등 여러 가지 원천으로부터 변환될 수 있다.In energy harvesting technology, electrical energy can be transformed from many sources such as sun, wind, heat, waves, biochemistry, high frequency, vibration, and magnetic fields.

이들 중에서, 진동 에너지는 동작시간의 무제한성, 소형화 및 휴대성으로 인하여 매력적인 에너지 하베스팅의 전력원으로 부각되고 있다.Among them, vibration energy is becoming a power source of attractive energy harvesting due to unlimited operating time, miniaturization and portability.

일반적으로 진동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은 정전(electrostatic, ES), 압전(piezoelectric, PE) 및 전자기(electromagnetic, EM) 변환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 방식들이 적용된 장치의 공진주파수가 외부 진동주파수와 매칭되는 경우에 최대 출력을 얻을 수 있으며, 이들 주파수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에는 출력 전력 효율이 급격하게 떨어진다.In general, vibration energy harvesting technology uses electrostatic (ES), piezoelectric (PE), and electromagnetic (EM) conversion methods. When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device to which these methods are applied matches the external vibration frequency And when the frequencies do not match, the output power efficiency drops sharply.

일반적으로 외부 진동주파수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반면,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공진주파수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는 좁은 동작 영역을 갖는다. 장치의 공진주파수를 외부 진동주파수에 매칭시키기 위해서는, 장치의 동작주파수 영역을 넓히거나 공진주파수를 조절하여야 한다. 에너지 하베스팅 과정에서 전력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일반적인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Generally, the external resonant frequency varies with time, while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energy harvesting device is fixed, so that the energy harvesting device has a narrow operating range. In order to match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device to the external vibration frequency, the operating frequency range of the device should be widened or the resonance frequency should be adjusted. A general method used to improve power efficiency in the energy harvesting process is as follows.

첫째,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동작주파수 대역폭을 늘리는 광대역 방식이 있다. 이 방식의 단점은 첨예도(Q-factor)가 낮기 때문에, 최대 출력 전력이 감소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단점을 보상하기 위하여 큰 사이즈의 장치가 이용되기도 하지만, 그리 효율적인 방식이라고는 할 수 없다. 동작주파수 대역폭을 늘리기 위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소형 장치들이 이용되기도 하는데, 이 소형 장치들이 조합된 장치는 첨예도(Q-factor)의 감소없이 넓은 동작주파수 영역을 확보할 수 있으나, 전체적인 사이즈가 커지기 때문에 모바일 기기에는 적용하기 어렵다.First, there is a broadband scheme that increases the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 of the energy harvesting device. The disadvantage of this approach is that the maximum output power is reduced because the Q-factor is low. Large-sized devices are used to compensate for these disadvantages, but they are not so efficient. In order to increase the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 small devices operating at different frequencies may be used, and these combined devices can achieve a wide operating frequency range without reducing the Q-factor, but the overall size It is difficult to apply to a mobile device.

둘째,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공진주파수를 조절하는 방식이 있다. 이 방식에 따르면, 장치의 공진주파수를 외부 진동주파수에 매칭시킬 수 있기 때문에, 첨예도(Q-factor)의 감소없이 다양한 주파수에서 최대 출력 전력을 획득할 있으며, 장치의 소형화도 가능해진다. 공진주파수 조절 방식이 갖는 이러한 장점들로 인하여, 이 방식을 적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Second, there i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energy harvesting device. According to this method, since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device can be matched to the external vibration frequency, the maximum output power can be obtained at various frequencies without reducing the Q-factor, and miniaturization of the device becomes possible. Due to these advantages of the resonant frequency control scheme, efforts have been made to provide a more efficient energy harvesting device by applying this method.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특허문헌 1(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7992호)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는 압전소자를 스프링 형상으로 구현함으로써,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공진주파수를 외부 진동원의 진동주파수에 매칭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As a part of this effort, the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 of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037992) realizes a piezoelectric element in a spring shape so that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 is matched to the oscillation frequency of the external vibration source And the like.

특허문헌 2(US 8,188,622 B1)는 외부 진동원과의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유도 방식의 에너지 하베스터를 개시하고 있다.Patent Document 2 (US 8,188,622 B1) discloses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energy harvester capable of adjusting a resonance frequency with an external vibration source.

특허문헌 2의 도면 1a를 참조하면, 자석(14)을 기판(12)에 고정시키고, 코일(16)을 스프링 형상을 갖는 탄성부재(22)를 이용하여 기판(12)에 탄성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스프링의 신장을 통해 공진주파수를 조절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1A of Patent Document 2, the magnet 14 is fixed to the substrate 12, and the coil 16 is resiliently coupled to the substrate 12 using the resilient member 22 having a spring shape , And the resonance frequency is adjusted through the extension of the spring.

그러나 이들 방식에 따르면, 압전 방식에만 적용 가능하거나 장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se method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applicable only to the piezoelectric type or the structure of the device is complicated.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799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37992 미국등록특허공보 US 8,188,622 B1United States Patent Publication No. 8,188,622 B1

본 발명은 다양한 외부 진동원의 진동주파수에 효율적으로 매칭되는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 유도 방식의 에너지 하베스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energy harvester capable of efficiently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to match the vibration frequency of various external vibration sources.

또한, 본 발명은 장치의 크기를 늘리지 않고도 장치의 공진주파수가 다양한 외부 진동주파수에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 유도 방식의 에너지 하베스터 장치를 소형화하는 한편, 장치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저감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device to be interlocked with various external vibration frequencies without increasing the size of the device, thereby miniaturizing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energy harvester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The technical problem is to reduce the cost.

본 발명에 따른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하베스터는 하우징에 권선된 유도 코일부, 외부 진동에 의해 상기 유도 코일부 내에서 상하 진동하는 자석부,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자석부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의 정도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 및 상기 공진 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의 회전 정도를 조절하는 회전 조절용 지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 energy harvester capable of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duction coil part wound on a housing, a magnet part vibrating up and down in the induction coil part by external vibration, a stopper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housing, A spr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the spring portion being fixed to the magnet portion in a state of being rotatably disposed on the stopper, the length of which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spring portion, And a rotation-controlling jig for adjusting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rotor.

본 발명에 따른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하베스터에 있어서, 상기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는 회전 가능한 나선형의 판상 스프링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nergy harvester capable of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onance frequency adjusting spring unit has a spiral spring shape that is rotatable.

본 발명에 따른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하베스터에 있어서, 상기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의 외부 영역은 상기 회전 조절용 지그부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스토퍼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의 내부 영역은 상기 회전 조절용 지그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토퍼에 걸쳐지는 길이가 변하면서 상기 외부 진동에 따라 진동하는 나선형의 판상 스프링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nergy harvester capable of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region of the spring for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is rotatably disposed on the stopper in a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jig for rotation adjustment, And the inner region has a helical plate-like spring shape in which the length of the stopper is vari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controlling jig, and vibrates according to the external vibration.

본 발명에 따른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하베스터에 있어서, 상기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의 내부 영역과 외부 영역은 2개의 브랜치(branch)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nergy harvester capable of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region and the outer region of the resonance frequency controlling spring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wo branches.

본 발명에 따른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하베스터에 있어서, 상기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는 중앙 영역에 구비된 결합 홀을 통해 상기 자석부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nergy harvester capable of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onance frequency adjusting spring portion is fixedly coupled to the magnet portion through a coupling hole provided in the central region.

본 발명에 따른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하베스터에 있어서, 상기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는 FR-4 재질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nergy harvester capable of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onance frequency adjusting spring unit is made of an elastic body of FR-4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하베스터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는 멀티폴(multipole)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nergy harvester capable of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 portion has a multipole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하베스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 조절용 지그부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단계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nergy harvester capable of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jig for rotation adjustment is rotated stepwise by manual operation of the user.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외부 진동원의 진동주파수에 효율적으로 매칭되는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 유도 방식의 에너지 하베스터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energy harvester capable of efficiently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to match the vibration frequency of various external vibration sources.

또한,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를 회전 가능한 나선형의 판상 스프링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낮은 외부 진동 주파수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 유도 방식의 에너지 하베스터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Also, since the spr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is formed in a spiral spring shape that is rotatable,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energy harvester capable of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effectively applicable to a low external vibration frequency is provided.

또한,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 유도 방식의 에너지 하베스터의 소형화가 가능해지고, 장치의 제조공정이 단순화되고, 제조비용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aturize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energy harvester capable of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evice,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하베스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적용된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의 구체적인 형상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의 회전 정도에 따라 스토퍼에 걸쳐지는 스프링 영역의 길이가 변화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의 재질과 공진주파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유한요소 해석법을 이용하여 스프링 중량체에 가해지는 3가지 진동모드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제시된 진동모드에서 외부 진동 주파수와 스프링 중량체의 변위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유한요소 해석법을 이용하여 스프링 중량체의 운동으로 인한 자속과 자속밀도 분포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의 출력을 시험하기 위한 장비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가 출력하는 출력 전압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외부 진동 주파수에 따른 출력 전압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가속도에 따른 출력 전압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부하저항에 따른 출력 전압과 출력 전력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자동차 엔진에 적용한 경우, 스프링 위치에 따른 출력 전압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여러 종류의 에너지 하베스터들의 공진주파수 대비 출력 전력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n energy harvester capable of adjusting a resonance freque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pecific shape of a spring portion for adjusting resonance frequency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how the length of the spring region spreading over the stopper chang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spr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ial of the spr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resonance frequenc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to 7 are views for explaining simulation results of three vibration modes applied to a spring weight using a finite element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rnal vibration frequency and the displacement of the spring weight in the vibration mode shown in FIG.
FIGS. 9 and 10 are views for explaining simulation results of magnetic flux density and magnetic flux density distribution due to movement of a spring weight using a finite element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configuration for testing an output of an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waveform diagram of an output voltage output from the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and 14 are graphs showing output voltag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 external vibration frequenc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graph showing output voltag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ccelera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graph showing an output voltage and an output power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 load resistanc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graph showing an output voltag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 spring position whe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automobile engine.
FIG. 18 is a graph showing output power characteristics versus resonant frequency of various kinds of energy harvesters.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하베스터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n energy harvester capable of adjusting a resonance freque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하베스터(Energy Harvester)는 하부 하우징(10), 유도 코일부(20), 자석부(30), 상부 하우징(40), 스토퍼(50),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60) 및 회전 조절용 지그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n energy harvester capable of adjusting a resonance freque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housing 10, an induction coil part 20, a magnet part 30, an upper housing 40, A stopper 50, a spring portion 60 for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and a jig portion 70 for rotation adjustment.

하부 하우징(10)은 상부 하우징(40)과의 결합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하베스터의 구성 부품들을 수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구성 부품들의 조립의 편의성을 위하여 하우징을 하부 하우징(10)과 상부 하우징(40)으로 구분하였다.The lower housing 10 functions to accommodate the components of the energy harvester capable of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engagement with the upper housing 40. 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is divided into a lower housing 10 and an upper housing 40 for convenience of assembling components.

이러한 하부 하우징(10)과 상부 하우징(40)의 재질로는 테플론(Teflon)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장치 조립의 편의를 위하여 예를 들어 하우징을 하부 하우징(10)과 상부 하우징(40)으로 구분하였으나, 하우징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eflon may be used as the material of the lower housing 10 and the upper housing 40.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the housing is divided into a lower housing 10 and an upper housing 40 for the convenience of assembling the apparatus, but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is not limited thereto.

유도 코일부(20)는 하부 하우징(10)의 외주면을 따라 권선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자석부(30)의 상하 운동으로 인하여 유도 전류가 생성되는 부분이다. 도면에 표현하지는 않았으나, 유도 코일부(20)에 생성된 유도 전류는 전극과 전선 등의 전기적 연결 수단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The induction coil part 20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0 and is a part where induction current is generated due to up-and-down movement of the magnet part 30 described late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induced current generated in the induction coil part 20 is drawn out to the outside through an electrical connecting means such as an electrode and an electric wire.

이러한 유도 코일부(20)의 재질로는 구리(Cu)를 적용할 수 있다.As the material of the induction coil part 20, copper (Cu) can be applied.

자석부(30)는 외부 진동에 의해 유도 코일부(20) 내에서 상하 진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자석부(30)의 상하 진동 운동으로 인하여, 자석부(30)를 둘러싸고 있는 유도 코일부(20)에는 전자기 유도 현상에 따른 유도 전류가 생성된다.The magnet portion 30 performs a function of vibrating up and down in the induction coil portion 20 by external vibration. Due to the vertical vibration of the magnet portion 30, an induction current is generated in the induction coil portion 20 surrounding the magnet portion 30 due to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이러한 자석부(30)는 멀티폴(multipole)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겠지만, 이와 같이 자석부(30)를 멀티폴 구조를 갖도록 하면, 다이폴(dipole) 구조에 비하여 자속의 수가 증가하여 자속밀도가 커지기 때문에, 출력 전압 특성이 향상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자석부(30)의 재질로는 NdFeB를 적용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agnet portion 30 has a multipole structure.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magnet portion 30 has a multipole structure, the number of magnetic fluxes increases and the magnetic flux density becomes larger than that of the dipole structure, thereby improving the output voltage characteristics. For example, NdFeB may be used as the material of the magnet portion 30. [

스토퍼(50)는 상부 하우징(40)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스토퍼(50) 위에는 후술하는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6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스토퍼(50)의 재질로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을 적용할 수 있다.The stopper 50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housing 40. On this stopper 50, a spring unit 60 for controlling resonance frequency,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rotatably disposed. For example, as a material of the stopper 50, stainless steel may be used.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60)는 스토퍼(50)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상태로 자석부(30)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회전의 정도에 따라 외부 진동에 반응하여 변형되는 영역의 길이가 조절된다.The spring portion 60 for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is fixedly coupled to the magnet portion 30 while being rotatably disposed on the stopper 50. The length of the region deformed in response to the external vibration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do.

회전 조절용 지그부(70)는 상부 하우징(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 하우징(40)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회전 조절용 지그부(70)는 공진 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60)에 부착되어 있으며,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60)의 회전 정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회전 조절용 지그부(70)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단계별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rotation-controlling jig 7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40 to seal the opening of the upper housing 40. The rotation-controlling jig 70 is attached to the spring unit 60 for controlling the resonance frequency, and controls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spring unit 60 for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For example, the rotation-controlling jig 70 can be configured to rotate stepwise by manual operation of the user.

이하에서는 도 2와 도 3을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스토퍼(50),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60) 및 회전 조절용 지그부(70)를 이용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를 구성하는 자석부의 진동 주파수를 다양한 외부 진동 주파수에 공진시키는 원리를 설명한다.2 and 3, the oscillation frequency of the magnet portion constituting the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etermined by using the stopper 50, the spring portion 60 for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jig portion 70 for rotation adjustment, The principle of resonating at various external vibration frequencies is explain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적용된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60)의 구체적인 형상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pecific shape of the resonance frequency adjusting spring portion 60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60)는 회전 가능한 나선형의 판상 스프링 형상을 갖고 있으며, 외부 영역(610)과 내부 영역(620)으로 구분된다. 외부 영역(610)은 회전 조절용 지그부(70)에 부착된 상태로 스토퍼(50)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내부 영역(620)은 외부 진동에 의해 변형되는 영역으로서, 회전 조절용 지그부(70)의 회전에 의해 스토퍼(50)에 걸쳐지는 길이가 변하면서 외부 진동에 따라 진동하는 영역이다.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60)의 내부 영역(620)은 나선형의 판상 스프링 형상을 갖고 있으며,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60)의 내부 영역(620)과 외부 영역(610)은 2개의 브랜치(branch, 641, 642)를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2, the resonance frequency adjusting spring unit 60 has a rotatable spiral plate-like spring shape and is divided into an outer region 610 and an inner region 620. The outer region 610 is rotatably disposed on the stopper 50 in a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rotation controlling jig 70. The inner region 620 is a region deformed by external vibration, Is a region in which the length of the stopper 50 is changed by the rotation of the stopper 70 and vibrated according to the external vibration. The inner region 620 of the resonance frequency adjusting spring portion 60 has a helical plate spring shape and the inner region 620 and the outer region 610 of the resonance frequency controlling spring portion 60 have two branches , 641, and 642, respectively.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60)는 중앙 영역에는 결합 홀(6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자석부(30)는 이 결합 홀(650)을 통해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60)에 고정 결합되어 스프링 중량체를 구성한다.A coupling hole 650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spring portion 60 for controlling th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magnet portion 30 is fixedly coupled to the spring portion 60 for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through the coupling hole 650, Constitute a sieve.

도 3은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의 회전 정도에 따라 스토퍼에 걸쳐지는 스프링 영역의 길이가 변화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how the length of the spring region spreading over the stopper chang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spr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도 3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사용자가 회전 조절용 지그부(70)를 특정한 회전 위치로 회전시키면, 회전 조절용 지그부(70)에 부착되어 고정되어 있는 공진 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60)도 회전 조절용 지그부(70)의 회전량만큼 회전한다. 이와 같이, 공진 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60)가 회전하면, 상부 하우징(40)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는 스토퍼(50)에 걸쳐지는 스프링 영역의 길이 즉, 하중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는 스프링의 길이가 변화한다. 이러한 스프링의 길이 변화는 스프링 상수 값의 변화를 일으킨다. 정리하면, 본 실시 예는 스프링의 회전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는 스프링의 길이 변화 및 그에 따른 스프링 상수 값의 변화를 이용하여 에너지 하베스터의 주파수를 외부 진동 주파수에 공진시키도록 구성된다.3, when the user rotates the rotation-controlling jig 70 to a specific rotation position, the spring 60 for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fixed to the rotation-controlling jig 70 is also rotated by the rotation- (70). When the spring 60 for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is rotated, the length of the spring region of the stopper 50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housing 40, that is, the length of the spring, Change. This change in length of the spring causes a change in the spring constant value. In summary,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resonate the frequency of the energy harvester to the external vibration frequency by using a change in the length of the spring in which deflection occurs due to the rotation of the spring and a change in the spring constant value.

예를 들어, 도 3의 (a)는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60)의 위치가 1번이고 처짐이 발생하는 스프링 길이가 L1인 경우이고, 도 3의 (b)는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60)의 위치가 2번이고 처짐이 발생하는 스프링 길이가 L2인 경우이고, 도 3의 (f)는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60)의 위치가 6번이고 처짐이 발생하는 스프링 길이가 L6인 경우이다.For example, FIG. 3 (a) shows a case where the position of the spring portion 60 for controlling the resonance frequency is 1 and the spring length where deflection occurs is L1, and FIG. 3 (b) 3 shows a case where the position of the spring portion 60 for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is 6 and the spring length at which deflection occurs is L6 .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60)의 위치가 6번인 경우 1번인 경우에 비해 처짐이 발생하는 스프링의 길이가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의 길이 변화는 스프링 상수 값의 변화를 일으킨다. 일반적으로 스프링의 길이가 줄어들수록 공진주파수가 낮아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회전 조절용 지그부(70)를 조절하여 처짐이 발생하는 스프링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외부 진동의 주파수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length of the spring in which the deflection occurs is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position of the spring portion 60 for controlling the resonance frequency is six. This change in length of the spring causes a change in the spring constant value. Generally, as the length of the spring is reduced, the resonance frequency is lowered. Therefore, the user can adjust the rotation control jig 70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pring in which the sagging occurs.

이러한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60)는 FR-4 재질의 탄성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60)의 재질과 공진주파수의 관계를 나타낸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resonance frequency adjusting spring portion 60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of FR-4 materi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ial of the spring portion 60 for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resonance frequency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를 참조하면, 3가지 공진모드에서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60)의 재질로 실리콘(Silicon), 알루미늄(Aluminum), 티타늄(Titanium),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구리(Copper) 및 FR-4를 적용한 경우의 공진주파수가 개시되어 있다.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60)의 재질을 선택하는 경우 장치의 공진주파수가 고려되어야 하는데, 도 4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60)의 재질로 FR-4가 적용된 경우 각각의 공진모드에서 가장 낮은 공진주파수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가지 공진모드는 시뮬레이션 툴인 ANSYS를 이용하여 공진 모드를 해석한 것이다. 도 4에서, 1차 공진모드(1st)는 x축 방향 동작, 2차 공진모드(2nd)는 y축 방향 동작, 3차 공진모드(3rd)는 z축 방향 동작에 따른 공진주파수를 해석하기 위한 것이며, 자석이 상하 동작하는 z축 동작인 3차 공진모드가 본 연구에서 중요하게 생각할 부분이다. 따라서 도 4를 통해 개시된 시뮬레이션은 3차 공진모드에서의 공진주파수가 시스템의 공진 주파수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해석이다.4, silicon, aluminum, titanium, stainless steel, copper, and FR are used as materials of the resonance frequency controlling spring portion 60 in three resonance modes. -4 is applied to the resonance frequency. 4, when the FR-4 is applied as the material of the spring portion 60 for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resonance frequency adjusting spring portion 60 Mode has the lowest resonance frequency. Three resonance modes are analyzed by resonance mode using ANSYS simulation tool. In Fig. 4, the first resonance mode (1st) corresponds to the operation in the x-axis direction, the second resonance mode (2nd) operates i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third resonance mode (3rd) And the third-order resonance mode, which is a z-axis operation in which the magnet moves up and down, is an important part of this study. Therefore, the simulation disclosed in FIG. 4 is an analysis for checking whether the resonance frequency in the third resonance mode coincides with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system.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유한요소 해석법을 이용하여 스프링 중량체에 가해지는 3가지 진동모드를 ANSYS FEM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스프링 중량체는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60)와 자석부(30)가 결합된 구조체이다.FIGS. 5 to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results of simulating three vibration modes applied to the spring weight using the ANSYS FEM by using the finite element analysis metho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The spring weight body is a structure in which the spring portion 60 for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magnet portion 30 are combined.

도 5의 진동모드에서는 6.68Hz에서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60)의 수평 방향으로의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고, 도 6의 진동모드에서는 7.11Hz에서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60)의 수평 방향으로의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e vibration mode of FIG. 5, the resonance frequency adjusting spring portion 60 is distor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6.68 Hz. In the vibration mode of FIG. 6, the resonance frequency adjusting spring portion 60 It can be seen that a distortion phenomenon occurs.

도 7에는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60)의 수직 방향으로의 변형이 개시되어 있다.7, the deformation of the spring portion 60 for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disclosed.

도 7의 진동모드에서는, 23.95Hz에서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60)의 수직 방향으로의 변형이 일어나며, 도 7에 제시된 진동모드에서 외부 진동 주파수와 스프링 중량체의 변위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 8을 참조하면, 이 경우 스프링 중량체의 최대 변형에 따른 변위가 4.9mm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스프링 중량체의 변위는 주로 외부 진동 주파수에 의해 결정되며, 공진주파수 부근에서 크게 변동된다.In the vibration mode of FIG. 7, the resonance frequency adjusting spring portion 60 is de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a frequency of 23.95 Hz,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rnal vibration frequency and the displacement of the spring weight in the vibration mode shown in FIG. , It can be seen that the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maximum deformation of the spring weight is 4.9 mm in this case. That is, the displacement of the spring weight is mainly determined by the external vibration frequency, and fluctuates greatly in the vicinity of the resonance frequency.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선대칭 유한요소 해석법을 이용하여 스프링 중량체의 운동으로 인한 자속과 자속밀도 분포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9는 자석부(30)가 다이폴(dipole) 구조를 갖는 경우이고, 도 10은 자석부(30)가 멀티폴(multipole) 구조를 갖는 경우이다. 도 9와 도 10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멀티폴 자성체 구조가 다이폴 자성체 구조와 비교하여 더 많은 자속을 집중시키며, 이에 따라 중심영역의 자속밀도가 더 높아진다.9 and 10 are diagrams for explaining simulation results of magnetic flux density and magnetic flux density distribution due to movement of a spring weight using a line-symmetric finite element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shows a case where the magnet portion 30 has a multipole structure. FIG. As can be seen from Figs. 9 and 10, the multipole magnetic body structure concentrates more magnetic flux as compared to the dipole magnetic body structure, and thus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central region becomes higher.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의 출력을 시험하기 위한 장비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configuration for testing an output of an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진동기(Vibrator)는 진동 제어기(Vibrator controller)의 제어에 따라 에너지 하베스터에 기계적인 진동을 공급하며, 에너지 하베스터는 진동기 상부에 접착되어 있으며,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속계(Accelerometer)가 진동기에 부착되어 있다.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는 에너지 하베스터의 유도 코일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유도된 출력 전압을 주파수, 가속도, 부하저항과 대비하여 측정한다.The vibrator supplies mechanical vibrations to the energy harvester under the control of a vibrator controller. The energy harvester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vibrator, and an accelerometer for measuring the acceleration is attached to the vibrator . The oscilloscop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induction coil of the energy harvester and measures the induced output voltage against frequency, acceleration and load resistance.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가 출력하는 출력 전압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2에 개시된 출력 전압 파형은 공진주파수가 23Hz인 경우 다이폴 구조와 멀티폴 구조에서의 측정 결과이다.12 shows waveforms of output voltages output by the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voltage waveforms shown in FIG. 12 are measurement results in a dipole structure and a multipole structure when the resonance frequency is 23 Hz .

도 12를 참조하면, 자석부(30)가 다이폴 구조를 갖는 경우, 최대 출력 전압은 440mVrms이다. 또한 멀티폴 구조를 갖는 경우, 최대 출력 전압은 1.12Vrms이다. 멀티폴 구조는 다이폴 구조와 비교하여 주파수의 크기가 절반이지만 자속의 집중에 의해 더 높은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에너지 하베스터를 구성하는 자석부(30)를 멀티폴 구조로 구현하면 출력 전력 효율이 향상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when the magnet portion 30 has a dipole structure, the maximum output voltage is 440 mVrms. In the case of a multi-pole structure, the maximum output voltage is 1.12 Vrms. It can be seen that the multipole structure provides a higher output voltage due to the concentration of magnetic flux, although the magnitude of the frequency is half that of the dipole structure.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output power efficiency is improved by implementing the magnet unit 30 constituting the energy harvester in a multipole structure.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외부 진동 주파수에 따른 출력 전압 특성을 실험한 도면이다.13 and 14 are graphs illustrating output voltag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 external vibration frequenc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는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60)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와 출력 전압을 갖는다. 조절용 스프링부의 위치가 1이고, 공진주파수가 23Hz이고, 가속도가 0.5g인 경우, 최대 출력 전압은 1.12Vrms이고, 첨예도(Q-factor)는 11.2이다.13, the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ifferent resonance frequencies and output voltages depending on the positions of the spring portions 60 for controlling the resonance frequency. When the position of the regulating spring portion is 1, the resonance frequency is 23Hz, and the acceleration is 0.5g, the maximum output voltage is 1.12Vrms and the Q-factor is 11.2.

실험 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는 23-32Hz의 범위에서 공진주파수가 성공적으로 조절되었으며, 도 1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유도된 출력 전압은 외부 진동 주파수에 크게 의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최대 출력 전압은 공진주파수에서 생성되며, 공진주파수를 중심으로 한 일정 대역을 벗어나는 경우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Experimental Results The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cessfully controlled the resonance frequency in the range of 23-32 Hz, and as shown in FIG. 14, it can be seen that the induced output voltage greatly depends on the external vibration frequency . It can be seen that the maximum output voltage is generated at the resonance frequency and falls rapidly when the resonance frequency deviates from a certain frequency band.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가속도에 따른 출력 전압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5 is a graph showing output voltag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ccelera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유도된 출력 전압은 인가된 가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가속도가 커질수록 같은 공진주파수에서의 변위가 커진다. 결과적으로, 진동에 의한 가속도가 커질수록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는 가속도에 선형 비례 특성을 보이면서 더 높은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15, the induced output voltage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applied acceleration. The larger the acceleration, the larger the displacement at the same resonance frequency. As a result, as the acceleration due to the vibration increases, the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higher voltage while exhibiting a linear proportional characteristic to the accelera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부하저항에 따른 출력 전압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6 is a graph showing an output voltag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 load resistanc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출력 전압은 부하 저항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출력 전력은 부하 저항에 비례하여 증가함으로써 최대치에 도달하였다가 서서히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는 부하 저항이 약 1.3kΩ인 경우, 출력 전압 320mVDC에서 최대 전력 60.3㎼를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16, it can be seen that the output voltage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load resistance, and the output power reaches the maximum value by increasing in proportion to the load resistance, and then gradually decreases. The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maximum power of 60.3 kV at an output voltage of 320 mV DC when the load resistance is about 1.3 k ?.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자동차 엔진에 적용한 경우, 스프링 위치에 따른 출력 전압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7 is a graph showing an output voltag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 spring position whe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automobile engine.

도 17의 실험 결과값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를 엔진을 작동시킨 상태에서 정차중인 차량의 엔진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획득한 값이며,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위치부가 6번에 위치하는 경우 출력 전압은 1.78V로 측정되었다.17 is a value obtained when the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n engine of a vehicle while the engine is in operation and the resonance frequency control switch unit is located at No. 6 The output voltage was measured at 1.78V.

도 18은 여러 종류의 에너지 하베스터들의 공진주파수 대비 출력 전압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하베스터에는 일반적으로 압전 방식과 전자기 유도 방식이 사용되는데, 도 18의 4, 5, 6, 7 영역은 압전 방식의 특성을 나타내고, 3, 12 영역은 전자기 유도 방식의 특성을 나타낸다. 특히 12 영역은 본 실시 예의 특성을 나타내는 영역이며, 이를 통해 본 실시 예는 단순한 주파수튜닝을 통해 낮은 주파수 영역에서 효율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알 수 있다.18 is a graph showing the output voltage characteristics versus the resonance frequency of various kinds of energy harvesters. In general, piezoelectric and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s are used for the energy harvest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resonance frequency. The areas 4, 5, 6 and 7 in FIG. 18 show the piezoelectric characteristics, and the areas 3 and 12 show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characteristic . Particularly, the 12th region is an area show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 embodiment operates efficiently in a low frequency region through simple frequency tuning.

아래 표 1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의 공진주파수는 23-32Hz 범위에서 조절되며, 최대 조절률(tuning ratio)은 39.1%이고, 출력 전력은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위치부의 위치에 따라 변동된다. 위치 1에서 출력 전력은 60.3㎼이고, 위치 6에서 출력 전력은 41.4㎼이며, 전력 감소율은 31.4%이다.Referring to Table 1 below,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energy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djusted in the range of 23-32 Hz, the maximum tuning ratio is 39.1%, and the output power vari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resonance frequency control switch portion . At position 1, the output power is 60.3 ㎼, the output power at position 6 is 41.4,, and the power reduction rate is 31.4%.

PositionsPositions Resonant frequency (tuning ratio)Resonant frequency (tuning ratio) Output power (reduction ratio)Output power (reduction ratio) 1One 23 Hz23 Hz 60.3 W 60.3 W 22 24 Hz (4.3 %)24 Hz (4.3%) 56.5 W (6.4 %)56.5 W (6.4%) 33 25 Hz (8.6 %)25 Hz (8.6%) 51.6 W (14.5 %)51.6 W (14.5%) 44 27 Hz (17.3 %)27 Hz (17.3%) 48.9 W (19.0 %)48.9 W (19.0%) 55 29 Hz (26.0 %)29 Hz (26.0%) 46.8 W (22.4 %)46.8 W (22.4%) 66 32 Hz (39.1 %)32 Hz (39.1%) 41.4 W (31.4 %)41.4 W (31.4%)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한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장치의 공진주파수를 다양한 외부 진동원의 진동주파수에 효율적으로 매칭시킴으로써, 외부 환경에 적응적으로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 유도 방식의 에너지 하베스터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efficiently matching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device to the vibration frequency of various external vibration sources through a simple operation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capable of adaptively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The energy harve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를 회전 가능한 나선형의 판상 스프링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낮은 외부 진동 주파수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 유도 방식의 에너지 하베스터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energy harvester in which a spring portion for resonance frequency adjustment is formed in a spiral spring shape having a rotatable spiral shape so that a resonance frequency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a low external oscillation frequency.

또한,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 유도 방식의 에너지 하베스터의 소형화가 가능해지고, 장치의 제조공정이 단순화되고, 제조비용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aturize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energy harvester capable of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evice,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n addition,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nyone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하부 하우징
20: 유도 코일부
30: 자석부
40: 상부 하우징
50: 스토퍼
60: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
70: 지그부
610: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의 외부 영역
620: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의 내부 영역
641, 642: 브랜치
650: 결합 홀
10: Lower housing
20: Induction coil part
30:
40: upper housing
50: Stopper
60: spring portion for adjusting resonance frequency
70:
610: outer region of the spr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620: inner region of the spr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641, 642: branch
650: coupling hole

Claims (8)

하우징에 권선된 유도 코일부;
외부 진동에 의해 상기 유도 코일부 내에서 상하 진동하는 자석부;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자석부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의 정도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 및
상기 공진 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의 회전 정도를 조절하는 회전 조절용 지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의 외부 영역은 상기 회전 조절용 지그부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스토퍼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의 내부 영역은 상기 회전 조절용 지그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토퍼에 걸쳐지는 길이가 변하면서 상기 외부 진동에 따라 진동하는 나선형의 판상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하베스터.
An induction coil part wound on the housing;
A magnet portion that vibrates up and down in the induction coil portion by external vibration;
A stopper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housing;
A resonance frequency adjusting spring part fixed to the magnet part while being rotatably disposed on the stopper and having a length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And
And a rotation controlling jig attached to the spring for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and controlling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spring for adjusting the resonance frequency,
Wherein an outer region of the spring portion for resonance frequency adjustment is rotatably disposed on the stopper in a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jig portion for rotation adjustment and an inner region of the spring portion for resonance frequency adjustment is provided on the stopper And the resonance frequency can be adjusted by forming a spiral plate-like spring shape that vibrates according to the external vibration while varying the length of the spa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는 회전 가능한 나선형의 판상 스프링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sonance frequency adjusting spring portion has a rotatable spiral plate spring shap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의 내부 영역과 외부 영역은 2개의 브랜치(branch)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ner region and an outer region of the spring portion for resonance frequency adjustmen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wo branch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는 중앙 영역에 구비된 결합 홀을 통해 상기 자석부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sonance frequency adjusting spring portion is fixedly coupled to the magnet portion through a coupling hole provided in a central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주파수 조절용 스프링부는 FR-4 재질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sonance frequency adjusting spring portion is made of an elastic body of FR-4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는 멀티폴(multipole)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 portion has a multipole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조절용 지그부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단계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하베스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jig for rotation adjustment rotates stepwise by manual operation of the user.
KR20130138403A 2013-11-14 2013-11-14 Adjustable resonance frequency based energy harvester KR1015013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8403A KR101501389B1 (en) 2013-11-14 2013-11-14 Adjustable resonance frequency based energy harvester
PCT/KR2014/009427 WO2015072664A1 (en) 2013-11-14 2014-10-07 Energy harvester having adjustable resonant frequ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8403A KR101501389B1 (en) 2013-11-14 2013-11-14 Adjustable resonance frequency based energy harves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389B1 true KR101501389B1 (en) 2015-03-12

Family

ID=53027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8403A KR101501389B1 (en) 2013-11-14 2013-11-14 Adjustable resonance frequency based energy harvest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01389B1 (en)
WO (1) WO2015072664A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99269A (en) * 2015-09-02 2015-11-25 北京印刷学院 Symmetric bilateral resonant electromagnetic transformation mass energy conversion device for remote monitoring of railway
IT201700108296A1 (en) * 2017-09-27 2019-03-27 Active Fuel Srl ELECTRONIC DEVICE FOR ACTIVE CONTROL OF THE FUEL THEFT.
KR20210125794A (en) 2020-04-09 2021-10-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Self-resonance tuning energy harvester using Adaptive clamp
US11245345B2 (en) 2018-08-29 2022-02-08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elf-resonance tuning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 with broadband operation frequenc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44142C2 (en) * 2019-10-23 2022-01-11 Revibe Energy Ab Magnet enabled power generator
CN215772886U (en) * 2020-07-10 2022-02-08 日本电产株式会社 Vibration motor and haptic device
CN216356413U (en) * 2020-07-10 2022-04-19 日本电产株式会社 Vibration motor and haptic device
CN112865601B (en) * 2021-01-07 2023-01-03 天津大学 Electromagnetic type rotary vibration energy collector
CN113890300B (en) * 2021-09-13 2023-06-16 国网湖北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Wide range vibration energy harvester based on asymmetric-biplane spring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4473A (en) * 2007-03-07 2010-02-10 트레몬트 일렉트릭 엘엘씨 Electrical energy generator
JP2012165538A (en) * 2011-02-04 2012-08-30 Seiko Instruments Inc Electromagnetic genera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57348A1 (en) * 2007-11-02 2009-05-07 Sumida Corporation Vibration electromagnetic generator
JP5760316B2 (en) * 2010-01-14 2015-08-05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Vibration type electromagnetic generator
US9356499B2 (en) * 2010-11-30 2016-05-31 Seiko Instruments Inc. Electromagnetic gener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4473A (en) * 2007-03-07 2010-02-10 트레몬트 일렉트릭 엘엘씨 Electrical energy generator
JP2012165538A (en) * 2011-02-04 2012-08-30 Seiko Instruments Inc Electromagnetic generator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카달로그:논문 *
카달로그:논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99269A (en) * 2015-09-02 2015-11-25 北京印刷学院 Symmetric bilateral resonant electromagnetic transformation mass energy conversion device for remote monitoring of railway
IT201700108296A1 (en) * 2017-09-27 2019-03-27 Active Fuel Srl ELECTRONIC DEVICE FOR ACTIVE CONTROL OF THE FUEL THEFT.
US11245345B2 (en) 2018-08-29 2022-02-08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elf-resonance tuning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 with broadband operation frequency
KR20210125794A (en) 2020-04-09 2021-10-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Self-resonance tuning energy harvester using Adaptive c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72664A1 (en)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389B1 (en) Adjustable resonance frequency based energy harvester
Tan et al. Review of MEMS electromagnetic vibration energy harvester
US9786832B2 (en) Energy harvester
Tao et al. A novel two-degree-of-freedom MEMS electromagnetic vibration energy harvester
CN109997305B (en) Vibration power generation element
Peters et al. A closed-loop wide-range tunable mechanical resonator for energy harvesting systems
JP5248598B2 (en) A permanent magnet generator for converting mechanical vibration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US8030807B2 (en) Electromechanical energy harvesting system
US20080278008A1 (en) Generator For Converting Mechanical Vibration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US20110140577A1 (en) Increased frequency power generation using low-frequency ambient vibrations
KR101876344B1 (en) Method of energy harvesting using built-in potential difference of metal-to-metal juntions and device thereof
Song et al. Stable output performance generated from a magneto-mechano-electric generator having self-resonance tunability with a movable proof mass
CN110912455B (en) Broadband vibration energy harvester
JP2014226003A (en) Vibration power generator
US8723397B2 (en) Dynamically adjusting piezoelectric current sensors
KR101915048B1 (en) Hybrid generator using triboelectric type and electromagnetic type based on ferromagnetic nanopart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2290955B (en) Miniature vibrating motor
Olszewski et al. A low frequency MEMS energy harvester scavenging energy from magnetic field surrounding an AC current-carrying wire
KR101354158B1 (en) Vibration-driven eletromagnetic energy harvester
CN111641316A (en) Vibration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Wang et al. An electromagnetic vibration energy harvester with compact flexure guide for low frequency applications
KR20120024018A (en) Energy harvestor
Shahosseini et al. Electromagnetic generator optimization for non-resonant energy harvester
Shen et al. Micro electromagnetic vibration energy harvester with mechanical spring and iron frame for low frequency operation
Lee et al. A novel frequency tuning design for vibration-driven electromagnetic energy harve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