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158B1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in human body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in human bodycommun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158B1
KR101501158B1 KR1020080106436A KR20080106436A KR101501158B1 KR 101501158 B1 KR101501158 B1 KR 101501158B1 KR 1020080106436 A KR1020080106436 A KR 1020080106436A KR 20080106436 A KR20080106436 A KR 20080106436A KR 101501158 B1 KR101501158 B1 KR 101501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human body
input signal
voltag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64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47508A (en
Inventor
김기욱
김철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6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158B1/en
Publication of KR20100047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75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1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3/00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3/00 - H04B11/00
    • H04B13/005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medium consis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체 통신을 이용한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서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를 감지한 위치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체 통신 기능 수행시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를 감지할 경우, 송신 전극과 수신 전극 사이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의 발생 위치를 판단하는 전압 확인부와, 상기 전압 확인부에 의해 판단된 입력 신호의 발생 위치에 해당하는 동작을 확인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소형화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별도의 입력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신체 접촉만으로 입력 도구로 사용함을써, 휴대용 단말기를 소형화하여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human body communication in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an input signal of a transmitter is detected in a portable terminal, A voltage verification unit for determining a generation position of the sensed input signal by using a voltage between the transmission electrode and the reception electrode when the input signal of the transmission device is sensed; The mobile terminal can be miniaturized by using the portable terminal as an input tool with only a physical contact without a separate input device in the miniaturized portable terminal .

인체 통신, 송신 장치 위치, 방향 판단, 입력 장치 Human body communication, transmitting device position, direction determination, input device

Description

인체 통신 시스템의 입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IN HUMAN BODYCOMMUNICATION}[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IN HUMAN BODYCOMMUNICATION [0002]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체 통신을 이용한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서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를 감지한 위치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human body communication in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an input signal of a transmitter is detected in a portable terminal.

최근 현대 사회가 언제, 어디서나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시대에 진입함에 따라 개인이 주위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각종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처리하는 개인영역통신망(PAN ; Personal Area Network)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 의하여 개인이 직접 휴대하거나 주위에서 접하게 되는 개인 영역 단말(personal area terminal)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수 또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 간의 정보 교환도 활발해지고 있다.Recently, as the modern society enters the ubiquitous era where information can be exchanged anytime, anywhere, personal area network (PAN) in which an individual collects and processes various data from surrounding portable terminals is emerging. Due to such a background, the number of personal area terminals, that is, the number of the portable terminals, which are directly carried by individuals or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rroundings, is also increasing. As a result, information exchange among the portable terminals has become active.

상기 휴대용 단말기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통신 방법이 필요하다. 전통적인 연결 방법으로 유선을 이 용하여 통신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 방법은 선들이 얽히고 사용자가 케이블을 휴대하는 데 있어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개인 영역 기기 즉 휴대용 단말기들 간의 접속을 위해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들(Bluetooth, IrDA, ZigBee, UWB 등)이 상용화되었거나 또는 개발 중에 있다.In order to exchange data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s, a communication method capable of connecting the portable terminals to each other is needed. Although there is a method of communicating using a wire using a conventional connection method, 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that the wires are entangled and the user is inconvenienced in carrying the cable. Accordingly,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s (Bluetooth, IrDA, ZigBee, UWB, etc.) have been commercialized or under development for connection between personal area devices, i.e., portable terminals.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인체를 전기적인 신호 전달의 매체로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법이 제안되고 있다. 인체를 매체로 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는 의료 진단장비를 비롯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인체를 전기적인 신호 전달의 매체로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인체를 매체로 하여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장치는 인체와 직접 접촉하거나 피복 등을 사이에 두고 인체와 접촉하는 전극과 이 전극을 통해서 인체를 매체로 전기적인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체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인체를 매체로 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는 인체를 특정 장치-시스템에 접촉하는 것 만으로도 전기적인 신호의 전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유선 혹은 무선 통신장비를 갖추지 않고도 사용자와 시스템 간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인체통신장치를 다양한 분야에 응용함으로써 별도의 유무선 통신장비나 통신선로를 구축하지 않고도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있다.Recently, a technique of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by using a human body as a medium of electric signal transmission has been proposed. Devices that transmit and receive electrical signals using the human body as a medium are applie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medical diagnostic equipment. BACKGROUND ART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by using a human body as a medium for 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or receiving and processing data transmitted by using the human body as a medium includes an electrode which is in direct contact with a human body, And a human body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n electric signal to / from the human body through the antenna. Since a devic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electrical signals using the human body can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only by contacting a human body with a specific device-system,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y applying such a human body communication device to various fields, user convenience in data transmission is improved without constructing separat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or communication line.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는 입력 장치로 다수의 키나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A general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eys or a touch screen as an input device so that a user can perform a desired function.

하지만 상기와 같은 워치폰 구조의 휴대용 단말기 즉 별도의 입력 장치를 구비할 수 없는 소형화된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라는 기구적 특성때문에 상기와 같 은 입력 장치를 구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However, the miniaturized portable terminal, which can not have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watch phone structure, that is, a separate input device, can not be equipped with the above-described input device due to its mechanical characteristics.

이에 따라 소형화되는 휴대용 단말기에 별도의 입력 장치없이 송신 장치의 입력을 감지하기 우한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input of a transmitting apparatus without a separate input device in a portable terminal that is downsiz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a portable terminal that provides a human body communication fun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체 통신을 이용한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human body communication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를 감지한 위치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an input signal of a transmitter is sensed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수의 접지 전극과 연결된 수신 전극 간의 전압 크기를 이용하여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n input signal of a transmitting apparatus using a voltage magnitude between a plurality of ground electrodes and a receiving electrode connected to a portable terminal.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인체 통신 시스템의 입력 장치는 인체 통신 기능 수행시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를 감지할 경우, 송신 전극과 수신 전극 사이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의 발생 위치를 판단하는 전압 확인부와, 상기 전압 확인부에 의해 판단된 입력 신호의 발생 위치에 해당하는 동작을 확인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put device of a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detects an input signal of a transmitting device when performing a human body communication function, and uses a voltage between a transmitting electrode and a receiving electrode, A voltage verifying unit for determining a generation position of the sensed input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confi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generation position of the input signal determined by the voltage verifying unit and performing a corresponding operation .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인체 통신 시스템의 입력 방법은 인체 통신 기능 수행시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를 감지할 경우, 송신 전극과 수신 전극 사이의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의 발생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한 입력 신호의 발생 위치에 해당하는 동작을 확인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put method of a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the steps of: when detecting an input signal of a transmitter in performing a human body communication function, Determining a generation position of the sensed input signal; and confi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input signal and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oper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를 감지한 위치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체 통신 시스템의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형화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별도의 입력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신체 접촉만으로 입력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를 소형화하여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and a method of a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for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sensed by an input signal of a transmitter in a portable terminal, You can use it as an input tool with only physical contact. Accordingly,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miniaturized and implement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를 감지한 위치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체 통신 시스템의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설명할 것이다.Hereinafter, an input device and a method of a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for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an input signal of a transmitter is sensed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이하 설명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수신 장치를 의미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ortable terminal refers to a receiving apparatus that senses an input signal of a transmit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체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인체 통신 시스템은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11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수신 장치(110)의 동작에 관한 것으로 상기 송신 장치(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1,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may include a transmitting apparatus 100 and a receiving apparatus 11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i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receiving apparatus 11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수신 장치(110)는 인체 통신부(112), 전압 확인부(114), 제어부(116) 및 메모리부(118)를 포함하여 구성한다.The receiving apparatus 110 includes a human body communication unit 112, a voltage checking unit 114, a control unit 116, and a memory unit 118.

먼저, 상기 수신 장치(110)의 인체 통신부(112)는 인체 통신을 위한 신호를 송수신함에 따라 상기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압 확인부(114)로 제공한다.First,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unit 112 of the receiving apparatus 110 receives and transmits a signal for human body communication, and provides the input signal to the voltage checking unit 114.

상기 전압 확인부(114)는 상기 인체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송신 장치(100)의 입력 신호를 다수의 접지 전극과 연결한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가 발생한 위치 또는 방향을 판단하도록 한다.The voltage verifying unit 114 measures a voltage obtained by connecting an input signal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received through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unit to a plurality of ground electrodes to determine the position or direction of the input signal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

상기 전압 확인부(114)는 다수의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전압 확인부(114)의 상세한 설명은 하기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voltage verifying unit 114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The voltage verifying unit 11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메모리부(118)는 상기 제어부(116) 및 전압 확인부(114)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하며, 본 발명에 따 라 입력 신호의 방향에 상응하는 수신 장치의 동작을 정의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memory unit 118 stores the microcode of the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116 and the voltage checking unit 114 and various reference data.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the operation of the device and stores it.

상기 제어부(116)는 상기 인체 통신부(112), 상기 전압 확인부(114)를 제어하여 상기 수신 장치의 인체 통신 기능을 제어하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전압 확인부(114)에 의해 확인된 입력 신호의 방향을 상기 메모리(118)에 기 저장하고 있는 입력 신호 방향별 동작 모드를 확인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처리한다. The controller 116 controls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receiver by controlling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unit 112 and the voltage verification unit 114 and outputs the input signal In the memory 118, an operation mode for each input signal direction and performs the corresponding operation.

상기 전압 확인부(114)의 역할은 휴대용 단말기 즉, 상기 수신 장치(110)의 제어부(116)에 의해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구성이지 결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자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들 모두를 상기 제어부(116)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role of the voltage check unit 114 may be performed by the portable terminal, that is, the control unit 116 of the receiving apparatus 110.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6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all of them.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의 방향을 감지하는 전압 확인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설명에서 도 3은 수신 장치의 전압 확인부에서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 방향을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oltage check unit for sensing a direction of an input signal of a transm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firming the direction of an input signal of a transmitting apparatus in a voltage checking unit of a receiving apparatus.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전압 확인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2 (a)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oltage verifying unit of a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전압 확인부(114)는 수신 전극(210)과 상기 수신 전극을 연결하는 접지 전극들(201), (203), ···, (205)을 포함하는 전극(200)을 포함한다.2A, the voltage verifying unit 114 includes ground electrodes 201, 203, ..., and 205 connecting the receiving electrode 210 and the receiving electrode. And the electrode 200 is formed.

상기 전압 확인부(114)는 인체 통신부(112)를 통해 수신하는 송신 장치(100)의 입력 신호 방향을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송신 장치(100)의 입력 신호 방향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전압 확인부(110)는 상기 인체 통신부(112)를 통해 송신 장치(100)의 입력 신호를 감지할 경우, 다수의 접지 전극(201), (203), ···, (205)을 한번씩 수신 전극(210)과 연결하여 전압을 측정한다.The voltage check unit 114 determines an input signal direction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through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unit 112. In order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input signal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when the voltage verifying unit 110 detects the input signal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through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unit 112, 201, 203, ..., and 205 are connected to the receiving electrode 210 once to measure the voltage.

즉, 상기 전압 확인부(114)에 4개의 접지 전극이 구비되어 있을 경우, 4개의 접지 전극(201), (203), ···, (205)과 수신 전극(210) 간의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한 전압이 가장 높은 접지 전극으로 상기 송신 장치(100)의 입력 신호 방향을 판단한다.That is, when the voltage check unit 114 includes four ground electrodes, the voltage between the four ground electrodes 201, 203, ..., and 205 and the receiving electrode 210 is measured The input signal direction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is determined by the ground electrode having the highest measured voltage.

예를 들어 도 3(a)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에서 송신 장치(310)의 입력 신호를 감지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압 확인부(114)는 4개의 접지 전극을 순서대로 수신 전극에 연결하고, 상기 수신 전극과의 접지 전극을 연결하였을 때의 전압을 측정한다.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detects the input signal of the transmitter 310 as shown in FIG. 3 (a), the voltage check unit 114 of the portable terminal sequentially connects the four ground electrodes to the receiving electrode, The voltage at the time when the ground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electrode is measured.

이때, 상기 전압 확인부는 측정한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입력 신호의 방향을 판단하는 방법은 도 3(b)와 같이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와 거리가 가까운 접지 전극(320)의 전압이 높고 도 3(c)와 같이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와 거리가 먼 접지 전극(330)의 전압이 낮기 때문이다. 즉, 전압 확인부(114)는 동일한 송신 신호에 대해 접지 전극의 위 치를 변경하여 전압을 측정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voltage verifying unit can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input signal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by using the measured voltage.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he input signal is as follows. As shown in FIG. 3B, when the voltage of the ground electrode 320, which is close to the input signal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is high and the input signal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And the voltage of the ground electrode 330 far from the ground is low. That is, the voltage check unit 114 measures the voltage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ground electrode with respect to the same transmission signal.

이에 따라 상기 전압 확인부(114)는 상기 측정한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 위치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 즉, 수신 장치의 제어부로 제공할 겻이고, 상기 정보를 수신한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위치에 해당하는 동작(예 ; 볼륨 업 등)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voltage verifying unit 114 provides the input signal position of the measured transmission apparatus to the control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that is, the receiving apparatus, and the portable terminal receiving the information transmits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For example, volume up, etc.).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 확인부(114)를 구비한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b)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apparatus having a voltage checking unit 114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수신 장치는 워치폰의 형태로 가정하며 상기 휴대 장치는 가운데 수신 전극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접지 전극(#1, #2, #3, #4)을 장착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2B, the receiving apparatus is assumed to be a watch phone, and the portable apparatus is equipped with ground electrodes (# 1, # 2, # 3, # 4) .

상기 접지 전극 주변에 송신 장치가 접촉되면 수신 장치는 각각의 접지 건극을 상기 수신 전극과 연결하여 전압을 측정하며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측정한 전압을 확인하여 상기 송신 장치의 방향 즉,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 발생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transmitting device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electrode, the receiving device measures the voltage by connecting each grounding niche to the receiving electrode, and the receiving device confirms the measured voltage and outputs the direction of the transmitting device, that 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signal generation position.

이상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를 감지한 위치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체 통신 시스템의 입력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였고,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를 감지한 위치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체 통신 시스템의 입력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input device of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input signal of the transmitter is detected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 input method of a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for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at which an input signal of a transmitting apparatus is detected using an apparatus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의 위치를 감지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of detecting a position of an input signal of a transmitter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입력 신호의 위치는 인체 매질의 특징으로 송신 장치에서 멀어질 수록 수신 장치의 진폭(Amplitude)이 작아진다는 것을 이용하여 판단한다. 또한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 사이에 접지 전극이 있으면 신호가 접지되어 수신 장치에서는 신호의 진폭이 매우 작아진다.Referring to FIG. 4, the position of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fact that the amplitude of a receiving apparatus becomes smaller as the distance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becomes smaller. Also, if there is a grounding electrode between the transmitting device and the receiving device, the signal is grounded and the amplitude of the signal is very small in the receiving device.

상기와 같은 사실을 이용하여 수신 장치에서는 인체(human body)를 통해 입력 신호가 전달됨을 확인할 경우,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의 수신 전극과의 거리에 따라 신호의 크기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여 입력 신호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신 장치는 휴대 단말기를 기준으로 어느쪽 방향에 송신 장치가 접촉되었는지를 알 수 있고 송신 장치가 접촉되어 있는 시간 및 상기 송신 장치의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Using the above facts, when it is confirmed that an input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 human body in a receiving apparatus, it is confirmed that the size of the signal differs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to the receiving electrode of the receiving apparatus, Can be determined. Accordingly, the receiving apparatus can determine in which direction the transmitting apparatus is contacted based on the portable terminal, and can determine the time during which the transmitting apparatus is in contact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즉,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송신 장치와 접촉한 거리가 멀 수록 측정한 전압이 낮아지는 것((a), (b), (c), (d), (e) 순서로)을 확인하여 상기 송신 장치의 위치 및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That is, the receiving apparatus confirms that the measured voltage becomes lower as the distance in contact with the transmitting apparatus becomes shorter (in the order of (a), (b), (c), (d), and (e) The position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can be determined.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인체 통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수신 장치를 의미한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uman body communication process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ortable terminal refers to a receiving apparatus that senses an input signal of a transmitting apparatus.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먼저 501단계에서 인체 통신 기능을 수행한 후, 503단계로 진행하여 송신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지 검사한다.Referring to FIG. 5, the portable terminal performs a human body communication function in step 501, and then proceeds to step 503 to check whether an input signal generated by the transmitter is sensed.

만일, 상기 송신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입력 신호를 감지하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5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계에서 감지한 입력 신호의 발생 방향을 판단한다. 여기에서, 상기 입력 신호의 발생 방향을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방향에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확인하기 위한 과정으로 하기 도 6에서 상세히 설명한다.If the portable terminal does not detect the input signal generated by the transmitting apparatus, the portable terminal proceeds to step 505 and determines the generation direction of the input signal sensed in the step. Herein,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 generation direction of the input signal is a process for confirm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507단게로 진행하여 입력 신호의 방향에 상응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확인한 후, 5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계에서 확인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수행한다.Thereafter, the portable terminal proceeds to step 507 to check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input signal, and then proceeds to step 509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dentified in step 509.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기 설정한 후,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may process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input signal is sensed, and then perform the corresponding operation.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1시 방향의 입력 신호 감시지 볼륨 업 기능 수행, 5시 방향의 입력 신호 감지시 볼륨 다운 기능 수행, 7시 방향의 입력 신호 감지시 메인 메뉴 진입, 11시 방향의 입력 신호 감지시 백라이트 온 기능 수행, 1시 방향에서 5시방향으로 이동하는 입력 신호 감지시 전원 오프 기능 수행, 1시 방향에서 긴 입력 감지시 전원 온 기능 수행을 수행하도록 설정하였다고 가정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1시 방향에서 5시 방향의 입력 감지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하도록 처리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5시 방향의 입력 신호를 감지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현재 설정된 볼륨을 차차 줄이도록 처리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performs a volume up function for watching an input signal at 1 o'clock, performs a volume down function for detecting an input signal at 5 o'clock, enters a main menu when detecting an input signal at 7 o'clock, It is assumed that the backlight on function is performed when the input signal is detected, the power off function is performed when the input signal is detected from the 1 o'clock direction to the 5 o'clock direction, and the power on function is detected when the long input is detected from the 1 o'clock direction, The terminal processes power to turn off the power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input is detected from 1 o'clock to 5 o'clock. When the portable terminal detects the input signal at 5 o'clock in the above manner, the portable terminal can process the currently set volume so as to be gradually decreased.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Thereafter, the portable terminal terminates the present algorithm.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를 감지한 상태임을 가정하여 설명한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 position of an input signal of a transmitter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it is assumed that the portable terminal senses an input signal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먼저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를 감지할 경우, 60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다수의 전극 가운데 하나의 전극을 접지에 연결시킨다.Referring to FIG. 6, when the portable terminal senses an input signal of a transmitter, th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601 and connects one electrod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ground.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6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에 대한 전압을 측정하는 과정을 수행한 후, 605단계로 진행하여 모든 전극에 대한 전압을 측정하였는지 확인한다.In step 603, the portable terminal measures the voltage of the input signal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In step 605,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voltage of all the electrodes is measured.

만일, 상기 605단계에서 모든 전극에 대하여 전압을 측정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611단계로 진행하여 다른 전극을 접지에 연결신 후, 해당 전극에 대한 전압을 계산한다.If it is confirmed in step 605 that the voltage is not measured for all the electrodes, the portable terminal proceeds to step 611 and connects the other electrode to the ground, and calculates the voltage for the corresponding electrode.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다수의 전극을 한번씩 접지에 연결하여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에 대한 전압을 측정한다.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measures a voltage with respect to an input signal of a transmitting apparatus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to ground one at a time.

한편, 상기 605단계에서 모든 전극에 대하여 전압을 측정하였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6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게에서 측정한 전압 가운데 높은 전압을 확인한 후, 6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의 방향을 판단한다.If it is confirmed in step 605 that the voltage has been measured for all the electrodes, the portable terminal proceeds to step 607 to check a higher voltage among the voltages measured in the step 609. Thereafter, in step 609, And determines the direction of the signal.

여기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와 가까운 전극의 전압이 가장 높다고 판단하고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와 거리가 멀어질 수록 전압이 낮아지는 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Here,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voltage of the electrode nearest to the input signal of the transmission apparatus is the highest and uses the phenomenon that the voltage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input signal of the transmission apparatus increases, Can be confirmed.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와 같은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의 방향과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의 감지 시간을 확인하여 입력 신호가 짧은 시간 입력(짧은 터치)인지 긴 시간 입력(긴 터치)인지를 판단하고 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lso, the portable terminal checks whether the input signal is a short time input (short touch) or a long time input (long touch) by checking the direction of the input signal of the transmission device and the sensing time of the input signal of the transmission device,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accordingly.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도 5의 507단계의 과정을 수행한다.Then, the portable terminal performs the process of step 507 of FIG.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체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전압 확인부를 도시한 블록도,FIG. 2 (a)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oltage verifying unit of a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 확인부를 구비한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FIG. 2 (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apparatus having a voltage checking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수신 장치의 전압 확인부에서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 방향을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firming a direction of an input signal of a transmitting apparatus in a voltage checking unit of a receiving apparatus,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의 위치를 감지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of detecting a position of an input signal of a transmitter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인체 통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및,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uman body communication process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 position of an input signal of a transmitter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인체 통신 시스템의 입력 장치에 있어서,1. An input device for a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인체 통신 기능 수행시 송신 장치로부터 입력을 감지하는 인체 통신부와,A human body communication unit for detecting an input from a transmitting device when performing a human body communication function, 상기 송신 장치의 입력을 명령어로 사용하여, 상기 송신 장치 입력이 감지된 인체의 지점으로부터 입력 장치까지의 거리 및 방향에 대응하는 미리 정의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And using the input of the transmitting device as a command to process the transmitting device input to perform a predefined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and direction from the detected point of the human body to the input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어부는, 기 저장된 다수의 명령어 가운데 상기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의 감지 방향에 상응하는 명령어를 확인하도록 처리하는 장치.Wherein the control unit confirms a command corresponding to a sensing direction of an input signal of the transmission apparatus among a plurality of previously stored command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어부는, 다수의 방향에 배치된 전극의 전압을 측정하고, 미리 정의된 임계값 이상의 전압이 측정되는 방향에 대하여 송신 장치의 입력이 감지되었다고 판단하도록 처리하는 장치.Wherein the control unit measures the voltage of the electrodes arranged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and judges that an input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is detected with respect to a direction in which a voltage exceeding a predefined threshold value is measured.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 장치의 입력이 감지되면, 다수의 방향에 배치된 전극의 전압을 순차적으로 측정하도록 처리하되, 상기 전극은 인체와 접속하는 장치.Wherein the controller sequentially processes the voltages of the electrodes arranged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when the input of the transmission device is sensed, wherein the electrodes are connected to the human bod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인체 통신 시스템의 입력 장치는, 착용이 가능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장치.Wherein the input device of the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wearable device. 인체 통신 시스템의 입력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inputting a human body communication system, 인체 통신 기능 수행시 송신 장치로부터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과,An operation of detecting an input from a transmitting apparatus when performing a human body communication function, 상기 송신 장치의 입력을 명령어로 사용하여 상기 송신 장치 입력 신호를 수신한 인체의 지점으로부터 단말까지의 거리 및 방향에 대응하는 미리 정의된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And performing a predefined function corresponding to a distance and a direction from a point of the human body to the terminal using the input of the transmission apparatus as a command and receiving the transmission apparatus input signal.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미리 정의된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은,The operation of performing the predefined function comprises: 상기 송신 장치의 입력의 감지 방향을 판단하는 동작 및,Determining a sensing direction of an input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기 저장된 다수의 명령어 가운데 상기 송신 장치의 입력의 감지 방향에 상응하는 명령어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And confirming a command corresponding to a sensing direction of an input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among a plurality of pre-stored commands. 제 7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송신 장치의 입력의 감지 방향을 판단하는 동작은,Wherein the determining of the sensing direction of the input of the transmitting device comprises: 다수의 방향에 배치된 전극의 전압을 측정하고, 미리 정의된 임계값 이상의 전압이 측정되는 방향에 대하여 송신 장치의 입력 신호가 감지되었다고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Measuring the voltage of the electrodes disposed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and determining that an input signal of the transmitting device has been sensed for a direction in which a voltag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fined threshold value is measured. 제 8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송신 장치의 입력의 감지 방향을 판단하는 동작은,Wherein the determining of the sensing direction of the input of the transmitting device comprises: 상기 송신 장치의 입력이 감지되면, 다수의 방향에 배치된 전극의 전압을 순차적으로 측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And sequentially measuring voltages of electrodes disposed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when an input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is sensed.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미리 정의된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은,The operation of performing the predefined function comprises: 상기 송신 장치의 입력의 감지 방향에 대응하여 볼륨 조절, 메뉴 화면 출력, 전원 고급 제어, 백라이트 제어 가운데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And performing at least one of a volume control, a menu screen output, an advanced power control, and a backlight control in response to a sensing direction of the input of the transmitting device.
KR1020080106436A 2008-10-29 2008-10-29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in human bodycommunication KR1015011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436A KR101501158B1 (en) 2008-10-29 2008-10-29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in human body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436A KR101501158B1 (en) 2008-10-29 2008-10-29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in human body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508A KR20100047508A (en) 2010-05-10
KR101501158B1 true KR101501158B1 (en) 2015-03-10

Family

ID=42274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436A KR101501158B1 (en) 2008-10-29 2008-10-29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in human bodycommun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15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473B1 (en) 2014-07-15 2021-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ouch inputs by using human bod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0902A (en) * 1992-10-26 1994-05-20 Mitsubishi Electric Home Appliance Co Ltd Input device for equipment
JP2006318067A (en) * 2005-05-10 2006-11-24 Oki Electric Ind Co Ltd Data input device and portable data communication device
KR20070061251A (en) * 2005-12-08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for communications sensing human touch and method thereof
KR20080040858A (en) * 2006-11-06 2008-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Data processing system based on human body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0902A (en) * 1992-10-26 1994-05-20 Mitsubishi Electric Home Appliance Co Ltd Input device for equipment
JP2006318067A (en) * 2005-05-10 2006-11-24 Oki Electric Ind Co Ltd Data input device and portable data communication device
KR20070061251A (en) * 2005-12-08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for communications sensing human touch and method thereof
KR20080040858A (en) * 2006-11-06 2008-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Data processing system based on human body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508A (en) 2010-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08034B (en) Stylus tilt detection based on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stylus and sensor controller
KR10138325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uman body communi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028997B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it
US8633809B2 (en) Electrode diversity for body-coupled communication systems
CN105929985B (en) True handwriting touch control pen with radio frequency transceiving transmission function and touch control device
KR100956332B1 (en) Apparatus for collecting environment data and Method for realtime monitering environment data using the same
CN108390117B (en) Charg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20100234756A1 (en) Human body communication apparatus
CN106462289A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transfer with a touch enabled device
KR20150069615A (en) Device for provide the haptic feedback based on user behavior recognition and method thereof
CN111131952A (en) Control method of earphone assembly, earphone assembly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220065090A (en) Skin care device and skin measurement method thereof
CN107528970A (en) A kind of method of user's identification,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10150115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in human bodycommunication
KR20160004851A (en) A Control Station Utilizing User's State Information Provided by a Mobile Device and a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10002173A (en) Communication terminal for electric field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CN108934180A (en) A kind of capacitance pen system, capacitance pen and capacitance pen control circuit
CN109124647B (en) Laser module, detection method of laser module and terminal
CN109040457B (en) Screen brightness adjust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11147973A (en) Control method of earphone assembly, earphone assembly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4009808B (en) Terminal device and its data transmission method
CN115543105B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KR20230090104A (en) Biometric authentication device and method
KR20220149355A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ensor device and method for thereof
KR20230006259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using uwb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