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858B1 - Display device for induce mental stability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for induce mental stab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858B1
KR101499858B1 KR20130160141A KR20130160141A KR101499858B1 KR 101499858 B1 KR101499858 B1 KR 101499858B1 KR 20130160141 A KR20130160141 A KR 20130160141A KR 20130160141 A KR20130160141 A KR 20130160141A KR 101499858 B1 KR101499858 B1 KR 101499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ression medium
unit
signal
sensed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601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수영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160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858B1/en
Priority to PCT/KR2014/002588 priority patent/WO201509368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8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5Signs associated with a sen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61M2021/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images, e.g. vide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88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modulated by a simulated respiratory frequ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5Acoustical, e.g. ultrasonic, measu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40Respiratory characteristics
    • A61M2230/42Ra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027/001Comprising a presence or proximity detec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027/002Advertising message recorded in a memory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inducing mental st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an expression medium.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t least one of a voice signal and a respiration signal.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expression medium which corresponds to at least one of the voice signal and the respiration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to be displayed in the display unit. The expression medium is stored in a storage unit, the number of the expression mediums, which are of the same type or of different types, is at least one, and the expression medium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to be displayed in the display unit after conversion or to be displayed in the display unit while forming a pattern.

Description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DISPLAY DEVICE FOR INDUCE MENTAL STABILITY}DISPLAY DEVICE FOR INDUCE MENTAL STABILITY [0002]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한 음성 및 호흡을 인식하고, 다양한 표현매체를 음성 및 호흡에 따라 변형시켜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변형되는 표현매체를 통해 긍정적인 언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사용자가 심리적 안정을 가질 수 있는 호흡을 실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which recognizes voice and breath by a user, transforms various expression media according to voice and breath to provide to a us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that induces a user to perform breathing capable of having psychological stability.

정서적인 안정감, 집중력 향상 등을 유도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는 특정 소리를 재생하는 소리재생장치를 이용해 사용자가 특정소리를 청취하며 정서적인 안정감을 갖고,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 정서적인 안정감은 물론 자존감과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방법으로 감사일기 쓰기 활동을 통한 긍정언어의 사용을 높이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감사일기 쓰기는 일기를 쓰는 자신의 삶을 반추하여 성찰하는 거울과 같은 기능을 한다. 한편, 감사일기 쓰기는 주로 자아성찰 능력을 지닌 성인들의 인지적인 기능을 활용한 방법이다. One of the common methods for inducing emotional stability and concentration is to use a sound reproducing device to reproduce a specific sound so that a user can listen to a specific sound, have an emotional stability, and improve concentration. Recently, a method of increasing the use of positive language through audit diary writing activities has been used as a way to promote self-esteem and happiness as well as emotional stability. Appreciation Diary writing functions like a mirror reflecting the life of a diary. On the other hand, audit diary writing is a method that utilizes the cognitive function of adults with self - reflection ability.

특정 소리의 청취를 통한 집중력 향상 방법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미리 저장된 특정 소리를 일방적으로 사용자에게 재생시켜 주고, 사용자가 재생된 특정 소리를 청취하여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특정 소리의 청취를 통한 방법에서 사용되는 소리재생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상태 및 심리상태에 따라 특정소리의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고 일방적으로 사용자에게 특정 소리를 제공한다. A method of improving concentration by listening to a specific sound is to unilaterally reproduce a specific sound stored in advanc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to improve the concentration by listening to a specific sound reproduced by the user. A sound reproducing apparatus used in a method of listening to a specific sound unilaterally provides a specific sound to a user without converting a specific sound according to a user's physical condition and psychological state.

심리적인 안정 및 집중력 향상을 위한 기존의 기술들은 사용자가 실제 심리적인 안정을 취했는지 집중력의 향상이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확신이나 확인이 어렵다. 또한, 기존의 기술들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 Hyperactivity Disorder, ADHD) 등을 가진 사용자가 자신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어 심리적인 안정 및 집중력 향상 상태를 스스로 확인할 수 없다, 또한, 이러한 사용자들에게 동기부여를 주기 어려워 치료 등의 목적으로 꾸준한 사용을 유도하기 어렵다. Existing techniques for improving psychological stability and concentration are difficult to confirm or confirm whether the user has actual psychological stability or improvement in concentration. In addition, the existing technologies can not confirm th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the concentration improvement state because a user having the Attention Deficit / Hyperactivity Disorder (ADHD) can not confirm his / her state, It is difficult to motivate the patient to use it for therapeutic purposes.

또한, 정서적인 안정감, 자존감과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감사일기나 소리재생장치를 이용한 방법은 지루함 및 밋밋함을 느끼게 되어, 정서적인 안정감, 자존감과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필요한 소정의 시간을 버티기 어렵다. In addition, the method using the audiovisual diary or the sound reproducing device for enhancing the emotional stability, self-esteem and euphoria makes the user feel bored and bored, and it is difficult to endure the predetermined time necessary for improving emotional stability, self-esteem and happiness.

종래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05-0093489호의 “집중력 증강장치”가 있다.The prior ar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5-0093489 entitled " Concentration Strengthening Apparatus ".

본 발명에 따른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는 사용자의 언어 및/또는 호흡 사용을 시각에 따른 감각적인 활동으로 바뀌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정서적 안정감을 찾고 행복감 및 자존감을 가질 수 있도록 사용자의 긍정적인 언어 구사 및/또는 호흡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display device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change the user's language and / or breathing use to sensibl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visual sense. It is also intended to enable the user to positively speak and / or breathe so that the user can find emotional stability and have happiness and self-esteem.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는 표현매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음성신호 또는 호흡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 음성신호 또는 감지 호흡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표현매체가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display device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expression medium. And a sensing unit for sensing at least one of a voice signal and a breathing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expression medium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sensed voice signal or the sensed breath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unit.

또한, 표현매체는 저장부에 저장되고,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이종(異種) 또는 동종(同種)이고, 표현매체가 변환되어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Further, the expression medium is stored in a storage unit,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expression medium is composed of one or more and different from each other, or the like, and the expression medium is conver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또한, 제어부는 감지 음성신호와 저장부에 저장된 특정 언어 음성신호를 비교하고, 감지 음성신호와 특정 언어 음성신호의 대응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는 감지 호흡신호의 호흡신호 감지 시간을 판단하며, 판단이 이루어지는 시점별로 저장부에서 선택된 표현매체를 변환한다.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detected speech signal with a specific language speech sig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determines whether the detected speech signal corresponds to a specific language speech signal.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breathing signal sensing time of the sensed breathing signal, and converts the selected expression medium in the storage unit at the time when the determination is made.

또한, 제어부는 감지 음성신호와 감지 호흡신호가 감지되는 순서를 판단하고, 순서에 대응되는 표현매체를 저장부에서 선택하며, 선택된 표현매체가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judges the order in which the sensed voice signal and the sensed breathing signal are sensed, selects the expression medium corresponding to the order in the storage unit, and controls the selected expression medium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본 발명에 따른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는 사용자가 구사하는 긍정적인 언어사용에 따른 음성과 사용자의 호흡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동영상 및 텍스트 등의 표현매체를 사용자에 의한 언어와 호흡에 따라 변형시켜 제공하므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등을 가진 사용자가 자신의 심리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voice and respiration of a user according to a positive language used by the user. In addition, since the expression medium such as image, moving image, and text is modified according to the language and breathing by the user, a user having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can confirm his / her psychological state.

또한, 사용자에게 긍정적인 언어사용의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미주신경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호흡을 유도하며, 사용자의 언어 사용을 시각에 따른 감각적인 활동으로 바뀌도록 하여 사용자가 정서적 안정감을 찾고 행복감 및 자존감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에 의한 언어 및 호흡을 감각적인 활동으로 유도하므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등을 가진 사용자에게 재미를 주고 집중력을 향상시켜서 치료의 목적으로 꾸준히 사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can be motivated to use a positive language. In addition, it induces the user's breathing so that the vagus nerve can be activated, and the user's language use is changed into the sensory activity according to the visual sense, so that the user can find emotional stability and have euphoria and self-esteem. Furthermore, since the language and breathing by the user are induced into sensory activities,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user who has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o have fun and to improve the concentration ability and to use it steadily for the purpose of treatment.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에서 표현매체가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play device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nd FIG. 4 are views for explaining display media in a display device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는 벽에 거치하여 사용자가 거울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는 벽에 거치된 상태에서 심리안정, 행복감 증진, 자존감 증진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는 별도의 거치대(미도시)를 구비하여 다양한 공간에 세워놓을 수 있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splay device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mirror by being mounted on a wall.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is us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psychological stability, happiness, and self-esteem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a wall. The display device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 separate space with a separate stand (not shown).

또한,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는 벽, 액자, 광고 간판, 전시 구조물 등 다양한 구조물에 인입시켜 설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는 전시관, 병원, 학교, 회사 등 다양한 곳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는 휴대용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는 내부에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고, 구동을 위해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can be installed in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wall, a frame, an advertisement sign, and a display structure.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such as exhibition halls, hospitals, schools, companies, and the like. Furthermore, a display device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may be implemented as a portable device.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external power to the inside of the display device and supplying the charged power for driving.

본 발명에 따른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는 크기, 형상, 거치공간 등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어 다양한 곳에 거치할 수 있을 것이다. The display device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ize, shape, and mounting space,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may be mounted in various plac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는 표현매체를 표시하는 표시부(110)를 포함한다. 또한, 음성신호 또는 호흡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120)를 포함한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play device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the display device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110 for displaying an expression medium. And a sensing unit 120 for sensing at least one of a voice signal and a breathing signal.

또한,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감지 음성신호 또는 감지 호흡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표현매체가 표시부(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표현매체는 저장부(131)에 저장되고,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이종(異種) 또는 동종(同種)이고, 변환되어 표시부(110)에 표시되거나, 표현매체가 패턴을 이루며 표시부(110)에 표시되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display unit 110 to display an expression medium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sensed voice signal or the sensed breath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unit 120. The expression medium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1 and is composed of one or more and different from each other or the same kind and is conver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or the expression medium forms a pattern an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표현매체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아이콘 등의 이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표현매체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또는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이며 동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현매체가 이종으로 이루어질 경우, 감지 음성신호 및 감지 호흡신호에 의해 이미지, 동영상,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표시부(110)에 패턴을 이루며 표시될 수 있으며 이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가능하다. The expression medium can be composed of different kinds of images, moving images, texts, icon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expression medium may be in the form of an image, a moving image, a text, or an icon and may be of the same type. For example, when the expression medium is heterogeneous, an image, a moving image, and an image may be sequentially displayed in a pattern on the display unit 110 by a sensed voice signal and a sensed breath signal, It is possible.

여기서, 표현매체가 패턴을 이루며 표시되는 것은 표현매체가 기 설정된 표시 순서, 이종의 표현매체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서로 혼합 배치되어 표시되는 것 등을 의미한다. 표현매체의 패턴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비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현매체의 패턴은 예를 들어, 표시부(110)에 최초 단계에서 동영상을 표시하고, 다음 단계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며, 최후 단계에서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표현매체의 패턴은 최초 단계에서 동영상과 이미지를 함께 표시하고, 다음 단계에서 이미지와 텍스트를 함께 표시하며, 최후 단계에서 동영상과 텍스트를 표시할 수도 있다.Here, the expression medium is displayed as a pattern, which means that the expression medium is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display order, and the different kinds of expression medium are mix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predetermined criteria. Patterns of expression media can be sequential or non-sequential. The pattern of the expression medium is, for example, to display the moving picture at the initial stage in the display section 110, display the image at the next stage, and display the text at the last stage. On the other hand, the pattern of the expression medium may display the video and the image together at the first stage, display the image and the text together at the next stage, and display the moving picture and the text at the last stage.

다른 예로, 표현매체는 동종으로 이루어져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감지 음성신호 및 감지 호흡신호에 따라, 하나의 이미지가 점차 변화되어 갈 수 있다. 또한, 여러 개의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expression medium is made of the same kind, and one image can be gradu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sensed voice signal and the sensed breath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0. [ Also, multiple images can be displayed sequentially.

본 발명에서 표시부(110)는 사용자의 모습을 비출 수 있는 거울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10)는 저장부(131)에 저장된 표현매체가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110)는 사용자의 음성신호 및 호흡신호가 감지될 경우, 구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표시부(110)는 사용자의 음성신호 및 호흡신호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의 모습이 보이지 않거나 어두운 상태를 유지하기도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110 may be implemented as a mirror capable of reflecting the user's appearance. The display unit 110 may be implemented by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or the like in which the expression medium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1 can be displayed to the user. The display unit 110 is driven when a voice signal and a respiration signal of the user are sens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s voice signal and respiration signal are not detected, the display unit 110 may be invisible or dark.

아울러, 표시부(110)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표현매체에 음향이 포함된 경우, 표현매체의 제공에 따른 음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음향 재생 및 동영상 재생이 가능한 미디어 플레이어 등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10 may include a speaker. Therefore, when sound is included in the expression medium,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sound to the user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 of the expression medium.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30 includes a media player capable of playing sound and moving pictures.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가 구동되지 않을 때 표시부(110)의 상태는 광고 이미지, 광고 동영상, 안내문, 광고 텍스트 등 다양한 표현매체를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when the display device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riven, the state of the display unit 110 may display various expression media such as an advertisement image, an advertisement video, will be.

감지부(120)는 사용자의 언어 구사에 따른 음성과 호흡을 감지하고, 감지된 감지 음성신호와 감지 호흡신호를 제어부(130)에 전달한다. 감지부(120)는 마이크로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센서들로도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감지부(120)는 단수 또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비되는 위치는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는다. The sensing unit 120 senses voice and respi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spoken language, and transmits the sensed voice signal and sensed respir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30. The sensing unit 120 may be implemented as a microphone, or may be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sensors. The sensing unit 120 may be a single sensor or a plurality of sensors, and the position of the sensing unit 120 is not limited to any one.

감지부(120)가 다양한 센서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시부(110)에 스피커가 구비될 수 있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에 위치하게 되면 감지부(120)가 사용자를 감지한다. 사용자가 감지되는 제어부(130)는 사용자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이 이루어지기 전 본 발명에 대한 사용법, 안내음성 등을 자동으로 재생하여 출력시킬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20 may include various sensors and a speaker may be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110. When the user is positioned in a display device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t; / RTI > The control unit 130, in which the user is sensed, can automatically reproduce and output the usage method, guidance voice, etc.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driv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 sensing signal.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감지신호에 따라 “안녕하세요. 하트모양의 마이크(본 발명에서 감지부임)를 꺼내고, 마이크에 숨을 불어넣으세요. 코로 깊게 숨을 들이마신 후, 숨을 내쉬면 숨이 보다 길어집니다. 그리고 '고맙습니다'라고 고백해 보세요.”라는 안내음성을 재생하여 스피커로 출력시키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senses by the sensing unit 120, the control unit 130 outputs a message " Hi. Take out the heart-shaped microphone (the sensing part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breathe into the microphone. After deep breathing with your nose, your breath will be longer if you exhale. Then, it reproduces the guidance voice "Please say thank you" and outputs it to the speak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의 사용을 사용자가 모두 끝내면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음성 및 호흡에 따른 표현매체를 완전히 변환시켜 표시부(110)에 표시되게 한다. 이후, 표시부(110)를 거울과 같은 기능을 하도록 제어부(130)가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다음 단계로 제어부(130)는 표현매체의 표시가 종료된 시점에서 스피커를 통해 예를 들어 “수고하셨어요. 이제 행복한 당신을 바라보세요. 감사합니다!”라는 음성신호를 재생시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Meanwhile, when the user ends the use of the display device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30 completely converts the expression medium according to the user's voice and respiration to display the display medium on the display unit 110. Then,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display unit 110 so that the display unit 110 functions as a mirror. At the next step, the control unit 130, for example, " Thank you. Now look at you happy. Thank you! &Quot;

이때, 표시부(110)의 거울 기능은 사용자를 화상으로 인식해 표시부(110)에 인식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화상부(140)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표시부(110)의 자체 기능에 의해 가능할 것이다. The mirror function of the display unit 110 may be realized by the image unit 140 that allows the user to recognize the image and display the recognized image on the display unit 110, It will be possible.

감지부(120)는 표시부(110)의 주위에 구비될 수 있는 거치부재(미도시)에 거치될 수 있으며, 표시부(110)의 주위에 인입되는 형태로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감지부(120)를 파지한 상태에서 탈거시켜 입과 가까운 위치에 위치시키고, 언어 구사 및 호흡을 실시할 수 있다. 사용이 끝난 경우 사용자는 감지부(120)를 원래의 위치에 인입시킨다. The sensing unit 120 may be mounted on a mounting member (not shown) provided around the display unit 110 and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in the form of being drawn around the display unit 110, . Accordingly, the user can remove the sensing unit 120 while holding the sensing unit 120, and can place the sensing unit 120 at a position close to the mouth, and can speak or breathe. When use is completed, the user brings the sensing unit 120 to its original position.

감지부(120)는 음성신호 또는 호흡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감지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부(150)를 더 포함한다. 감지부(120)의 형상 및 크기는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감지부(120)는 마이크로폰으로 이루어져 A/D 컨버터(Analog-Digital Converter)(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20)는 사용자의 음성신호 및 호흡신호를 감지하고, 감지에 의한 아날로그 형식의 감지 음성신호 및 감지 호흡신호는 A/D 컨버터가 디지털 형식의 감지 음성신호 및 감지 호흡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30)에 전달된다.The sensing unit 120 further includes a selection switch unit 150 for selecting and sensing at least one of a voice signal and a breathing signal. The shape and size of the sensing unit 120 are not limited to any one.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120 may include a microphone and may include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not shown). The sensing unit 120 senses a user's voice signal and a breathing signal, converts the sensed voice signal and the sensed breathing signal of the sensed analog voice into a sensed voice signal and a sensed breathing signal in digital form, (130).

감지부(120)에 구비된 선택 스위치부(150)는 사용자의 음성신호 또는 호흡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 스위치부(150)는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으며, 기존의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선택 스위치부(150)는 음성신호 또는 호흡신호를 모두 감지하기 위해 스위치를 어느 한 방향으로 위치시키거나, 음성신호 및 호흡신호 모두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위치에 스위치를 위치(중립위치)시킬 수 있다. The selection switch unit 150 provided in the sensing unit 120 can sense any one of a user's voice signal and a respiration signal. The selection switch unit 150 is not limited to any one, and may be implemented using an existing switch or the like. The selection switch unit 150 can position the switch in either one direction to detect both the voice signal or the breathing signal or position the switch at the selected position in which both the voice signal and the breathing signal can be selected .

제어부(130)는 주문형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마이크로컴퓨터(microcomputer)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저장부(131)에 저장된 표현매체를 제어하여, 표현매체가 표시부(110)에 표시될 수 있도록 작동한다.The control unit 130 may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 microcomputer, or the like.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expression medium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1 so that the expression medium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제어부(130)는 감지 음성신호와 저장부(131)에 저장된 특정 언어 음성신호를 비교하고, 감지 음성신호와 특정 언어 음성신호의 대응여부를 판단한다. 아울러, 제어부(130)는 감지 호흡신호의 호흡신호 감지 시간을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감지 음성신호 또는 감지 호흡신호를 사용자의 선택 또는 설정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감지 음성신호 및 감지 호흡신호를 모두 판단하고, 이에 대응되는 표현매체를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130 compares the sensed speech signal with the specific language speech sig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1 and determines whether the sensed speech signal corresponds to the specific language speech sig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e breathing signal sensing time of the sensed breathing signal. The control unit 130 may determine the sensed voice signal or the sensed breathing signal by the user's selection or setting. Also,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all of the sensed voice signal and the sensed breathing signal, and displays the corresponding expression medium on the display unit.

본 발명에서 특정 언어 음성신호는 긍정언어에 대한 음성신호뿐만 아니라, 부정적언어에 대한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음성신호를 의미이다. 특정 언어 음성신호는 제어부(130)에 이미 설정해둔 소정의 언어들에 대한 음성신호로서, 긍정적인 의미를 가진 다양한 언어에 대한 음성신호가 될 수 있다. 한편, 특정 언어 음성신호는 제어부(130)에 이미 설정해둔 소정의 언어들에 대한 음성신호로서,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 다양한 언어에 대한 음성신호가 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음성신호는 명사, 형용사, 동사 등 다양한 품사가 가능하고 한국어뿐만 아니라 외국어도 가능할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language speech signal means a speech signal including not only a speech signal for a positive language but also a speech signal for a negative language. The specific language speech signal may be a speech signal for predetermined languages already set in the control unit 130, and may be a speech signal for various languages having a positive meaning. On the other hand, the specific language speech signal may be a speech signal for predetermined languages already set in the control unit 130, and may be a speech signal for various languages having a negative meaning. Here, voice signals can be various parts of speech such as nouns, adjectives, and verbs, and it is possible to use not only Korean but also foreign languages.

제어부(130)의 감지 음성신호의 판단은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감지 음성신호와 저장부(131)에 저장된 특정 언어 음성신호를 비교하여 대응여부(동일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The control unit 130 compares the sensed speech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unit 120 with the specific language speech sig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1 to determine whether the sensed speech signal corresponds to the sensed speech signal.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긍정언어(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사랑합니다 등)를 사용하면 감지부(120)는 음성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제어부(130)는 감지에 의한 감지 음성신호와 저장부(131)에 기 저장된 특정 언어 음성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비교하게 된다. 감지 음성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특정 언어 음성신호의 주파수 대역의 비교 값이 기 설정된 유사도 범위 내에 포함될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긍정언어를 사용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uses a positive language (thank you, thank you, love, etc.), the sensing unit 120 senses a voice signal. The control unit 130 compares the frequency band of the sensed speech signal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131 with the predetermined language speech sig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1. [ When the comparison value of the frequency band of the detected speech signal and the frequency band of the specific language speech signal are included within the preset similarity degree range,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at the user is using the affirmative language.

특정 언어 음성신호는 긍정언어의 구사 시 음성신호의 주파수 대역 특징을 기 저장한 데이터와 같다. 특정 언어 음성신호는 변경이 가능하며 삭제 또는 추가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감지 음성신호와 특정 언어 음성신호의 비교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peech signal of the specific language is the same as the data of the frequency band characteristic of the speech signal in the affirmative language. The specific language speech signal can be changed and deleted or ad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arison of the sensed speech signal and the specific language speech signal can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제어부(130)는 감지 음성신호가 특정 언어 음성신호와 대응될 경우, 저장부(131)에서 감지 음성신호와 대응되는 표현매체를 선택하고, 선택된 표현매체가 표시부(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특정 언어 음성신호와 대응되는 감지 음성신호의 감지 횟수에 따라, 표현매체를 변환한다.When the detected speech signal corresponds to a specific language speech signal, the control unit 130 selects a speech medium corresponding to the speech speech signal in the storage unit 131 and controls the selected speech medium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The control unit 130 converts the expression medium according to the number of sensed speech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language speech signal.

제어부(130)는 음성신호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호흡에 의한 감지 호흡신호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표현매체를 선택하여 표시부(110)가 표시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호흡신호 감지 시간을 판단하며, 판단이 이루어지는 지점별로 저장부(131)에서 선택된 표현매체를 변환하여, 표시부(110)가 표시하도록 한다. 아울러, 제어부(130)는 감지 호흡신호의 감지 횟수를 판단하며, 감지 호흡신호의 감지 횟수에 따라 저장부(131)에서 선택된 표현매체를 변환하여, 표시부(110)가 표시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not only the voice signal but also the sensed respiration signal by the user's breathing, thereby selecting the expression medium and displaying it on the display unit 110.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e breathing signal detection time, and converts the selected expression medium in the storage unit 131 according to the point where the judgment is made so that the display unit 110 displays the expression medium.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e number of sensed breathing signals, and converts the selected expression medium in the storage unit 131 according to the sensed breathing signal frequency so that the display unit 110 displays the sensed breathing signal.

제어부(130)는 감지 음성신호와 감지 호흡신호가 감지되는 순서를 판단하고, 상기 순서에 대응되는 표현매체를 저장부(131)에서 선택하며, 선택된 표현매체가 표시부(11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e order in which the sensed voice signal and the sensed breathing signal are sensed and selects the corresponding expression medium in the storage unit 131 and displays the selected expression medium on the display unit 110 110).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를 바라본 상태에서 감지부(120)에 긍정언어를 구사하고 호흡을 실시한다.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감지 음성신호 또는 감지 호흡신호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감지 호흡신호는 사용자에 의한 날숨이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된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감지부(120)의 스위치를 구동시켜 음성신호 또는 호흡신호를 선택하여 제어부(130)가 판단할 대상을 선택한다. For example, the user looks at a display device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peaks a positive language to the sensing unit 120 and performs breathing.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e sensed voice signal or the sensed breathing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unit 120. [ Here, the sensed breathing signal is sensed by the sensing unit 120 by the user. Then, the user drives a switch of the sensing unit 120 to select a voice signal or a breathing signal, and the control unit 130 selects an object to be determined.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감지부(120)가 음성신호를 감지하게 될 경우, 사용자는 긍정언어 중 “감사합니다”를 구사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구사한 “감사합니다”에 대한 감지 음성신호를 특정 언어 음성신호와 주파수 대역을 비교하게 된다. 비교 결과 감지 음성신호와 특정 언어 음성신호가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유사 또는 대응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130)는 표시부(110)에 안내를 위한 텍스트, 이미지 등을 저장부(131)에서 선택하고 표시부(110)가 안내를 위한 텍스트, 이미지 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하게 된다. When the user senses the voice signal by the user's selection and the user speaks "thank you" in the affirmative language,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the voice signal of "thank you" To compare the speech signal of the specific language with the frequency band. If the detected voice signal and the specific language voice signal are not similar or correspon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control unit 130 selects the text, image, or the like for guidance in the display unit 110 from the storage unit 131,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display unit 110 to display text, images, and the like for guidance.

한편, “감사합니다”에 대한 감지 음성신호와 특정 언어 음성신호의 비교 결과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유사 또는 대응될 경우, 제어부(130)는 감지 음성신호에 대응되는 이미지, 동영상 등의 표현매체를 표시부(110)가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detected voice signal for "thank you" and the specific language voice signal is similar or correspon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the expression medium such as an image, (110).

제어부(130)는 표현매체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표시부(110)에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사용자가 긍정언어가 아닌 다른 언어를 사용하여 감지 음성신호가 발생된 경우, 감지 음성신호를 특정 언어 음성신호의 비교결과는 서로 상이하게 나올 것이다. 이때, 제어부(130)는 ‘화난 표정의 얼굴’에 관한 표현매체를 표시부(110)가 표시하도록 데이터를 전송한다. The control unit 130 may transmit data to the display unit 110 by variously changing the expression medium. If the user generates a sensed speech signal using a language other than the affirmative language,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sensed speech signal and the specific language speech signal will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30 transmits data to the display unit 110 to display the expression medium related to the 'face with an angry face'.

반면, 사용자를 통한 “감사합니다”에 대한 감지 음성신호가 반복적으로 감지부(120)를 통해 수신될 경우, 제어부(130)는 감지 음신신호가 감지되는 횟수에 따라 표현매체를 변환하며 표시부(110)에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만약, 긍정언어에 대한 감지 음성신호가 수신된 제1번째에는 ‘화난 표정의 얼굴’이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를 통한 긍정언어에 대한 감지 음성신호가 제2번째 수신되면, 표현매체는 ‘화난 표정의 얼굴’에서 ‘찌푸린 표정의 얼굴’로 변환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ection voice signal for the "audition" through the user is repeatedly received through the sensing unit 120, the control unit 130 converts the presentation medium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sensing / And displays it to the user. If the detected voice signal for the positive language is received, the 'face of an angry face' is displayed on the first side. Also, when a second voice signal is received for the positive language through the user, the expression medium is converted from 'an angry facial expression' to a 'cheeky facial expression' and provided to the user.

또한, 사용자를 통한 긍정언어에 대한 감지 음성신호가 제3번째 수신되면, 표현매체는 ‘찌푸린 표정의 얼굴’에서 ‘무표정의 얼굴’로 변환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후, 사용자를 통한 긍정언어에 대한 감지 음성신호가 제4번째 수신되면, 표현매체는 ‘무표정의 얼굴’에서 ‘미소짓는 얼굴’로 변환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Also, when the third voice recognition signal is received for the positive language through the user, the expression medium is converted from the 'face with frowning expression' to the 'face without expression' and is provided to the user. Thereafter, when the fourth speech speech signal for the positive language is received from the user, the expression medium is converted from the expressionless face to the smile face and provided to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는 전술한 과정인 단계별 음성감지 판단 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구사하는 긍정언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언어사용을 감각적인 활동으로 변화시켜 용이하게 행복감 증진과 자존감 증진을 유도할 수 있다. 변화하는 표현매체는 사용자에게 재미와 호기심을 주어, 사용자로 하여금 긍정언어의 사용을 반복적으로 유도하게 된다. The display device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sually provides a positive language used by a user through the above-described step-by-step voice sense judgment method, and changes the use of the user's language into a sensory activity, And self-esteem. The changing expressive medium gives the user fun and curiosity, which causes the user to repeatedly use the positive language.

한편,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감지부(120)가 호흡신호를 감지하게 될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날숨에 의한 감지 호흡신호의 호흡신호 감지 시간을 판단한다. 제어부(130)가 판단한 결과 감지 호흡신호가 발생만 된 상태이며 유지되지 않은 상태면, 제어부(130)는 저장부(131)에서 ‘연민을 느끼는 이미지(앙상하게 마른 아프리카 아동 이미지)’를 선택하고, 이를 표시부(110)가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Meanwhile, when the sensing unit 120 senses the breathing signal by the user's selection,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e breathing signal sensing time of the sensing breathing signal caused by the user's exhalation. If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sensed respiration signal has been generated and is not maintained, the controller 130 selects 'an image of pampered african children' in the storage unit 131 ,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110 to display it.

호흡신호의 감지는 다양한 센서로 인해 감지가 가능하며, 마이크 형태의 감지부(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감지하여 판단가능하다. 호흡신호의 감지를 위한 호흡 감지 방법은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The detection of the respiration signal can be detected by various sensors and can be determined by sensing the flow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sensing unit 120 of the microphone type. The method of breathing detection for the detection of the respiration signal will not be limited to any one.

한편, 사용자의 날숨에 의한 감지 호흡신호의 호흡신호 감지 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시간인 2초 동안 유지된다면, 제어부(130)는 표현매체를 ‘연민을 느끼는 이미지(앙상하게 마른 아프리카 아동 이미지)’에서 ‘희망찬 이미지(건강하게 회복되고 환하게 웃는 아동 이미지)’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환된다. 만약, 감지 호흡신호의 호흡신호 감지 시간이 6초라면, 표현매체는 2초부터 6초의 시간동안 매초 별로 변환된 표현매체가 표시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respiration signal sensing time of the sensing breathing signal due to the expiration of the user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of 2 seconds,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the expression medium in the image of 'feeling pampered It is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with 'a hopeful image (a child image that is restored to health and shines brightly)'. If the breathing signal detection time of the sensing breathing signal is 6 seconds, the expression medium is displayed every second for a time of 2 seconds to 6 seconds.

호흡신호의 감지 시간을 판단하기 위한 기 설정된 기준시간은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입력 또는 수정할 수 있다. 기 설정된 기준시간은 예를 들어, 1.5초가 될 수 있으며 3초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호흡신호 및 음성신호의 기 설정된 반복횟수 기준은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을 것이며, 반복횟수에 대한 기준이 3번이 될 수 있으며 4번 등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for determining the detection time of the respiration signal is not limited to any one, and can be variously inputted or modified. The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may be, for example, 1.5 seconds and may be 3 seconds. In addition, the criterion of the predetermined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breathing signal and the voice signal will not be limited to any one, and the criterion for the repetition frequency may be three times or four times.

표현매체의 변환은 제어부(130)가 기 설정된 기준 시간마다 저장부(130)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하여 변환을 이루는 방법이 있다. 또한, 표현매체의 변환은 하나의 표현매체를 제어부(130)가 색상, 크기, 해상도 등을 변환시키는 방법이 있다. The conversion of the expression medium is performed by causing the control unit 130 to display the selected image in the storage unit 130 for each preset reference time. In addition, the conversion of the expression medium includes a method of converting the color, size, resolution, and the like by the control unit 130 into one expression medium.

아울러, 사용자를 통한 날숨에 대한 감지 호흡신호가 반복적으로 감지되면, 반복되는 횟수만큼 변환되는 표현매체 또는 다양한 표현매체를 표시부(110)에 표시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는 기 설정된 기준 시간에 따른 단계별 호흡감지 판단 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실시하는 호흡을 감지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표현매체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변환되거나 다양하게 표시되는 표현매체를 통해 호흡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받게 된다. In addition, if the sensed respiration signal for expiration through the user is repeatedly sensed, the display unit 110 displays the expression medium or various expression media that are converted by the number of repetitions. Therefore, the display device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respiration performed by a user through a step-by-step breath sensing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and provides various expression media to the user. The user is motivated to repeatedly breathe through the transformed or varied display medium.

호흡을 반복적으로 실시하므로, 사용자는 미주신경이 활성화되어 심장박동수가 내려가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심리안정을 취하게 되고 변환되는 표현매체를 보면서 신경계속에 내장되어 있는 연민의 느낌을 생리학적으로 활성화시켜 이타적인 마음을 유도하여, 스스로를 정화하고 치유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심리안정뿐만 아니라 신체도 안정을 취하게 된다. As the breathing is repeated, the user will have vagus nerves activated and the heart rate will decrease. Accordingly, the user can take th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look at the converted expression medium, and by physiologically activating the feeling of compassion built in the nervous system, it can induce an altruistic mind, and can purify and heal itself. As a result, not only the psychological stability but also the body becomes stable.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에서 표현매체가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는 음성 또는 호흡을 감지하여, 이에 대응되는 표현매체를 표시할 수 있고, 음성 및 호흡을 모두 감지하여 이에 대응되는 표현매체를 표시할 수 있다. FIG. 3 and FIG. 4 are views for explaining display media in a display device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speech or respiration, display a corresponding expression medium, and can detect both voice and breath and display a corresponding expression medium.

이는 감지부(120)의 스위치를 사용자가 조절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에 미리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130)는 감지 음성신호와 감지 호흡신호가 감지되는 순서를 판단하고, 순서에 대응되는 표현매체를 저장부(131)에서 선택하며, 선택된 표현매체가 표시부(11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This allows the user to select and control the switch of the sensing unit 120. Or the control unit 130 in advance.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e order in which the sensed voice signal and the sensed breathing signal are sensed and selects the expression medium corresponding to the order in the storage unit 131. The display unit 110 displays the selected expression medium on the display unit 110, ).

제어부(130)는 순서에 따른 감지 음성신호와 감지 호흡신호의 반복 횟수에 따라, 표현매체를 변환한다. 본 발명에서 표시부(110)의 제어는 표현매체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하여 표시부(110)가 이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전원을 스위칭하거나, 표시부(110)의 데이터 수신 관리 등을 의미한다. The control unit 130 converts the presentation medium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sensed speech signal and the sensing breathing signal in sequ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of the display unit 110 is performed by switching the power source so that the display unit 110 can display the data by transmitting data for the presentation medium, or managing the data reception by the display unit 110 or the like.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호흡을 2초 동안 실시하고 “감사합니다” 또는 “고맙습니다”와 같은 긍정언어를 구사하면, 제어부(130)는 호흡신호 감지 시간을 기 설정된 기준시간과 비교하여 판단한다. 또한, 긍정언어에 대한 감지 음성신호를 특정 언어 음성신호와 비교한다. 판단 및 비교 결과 기 설정된 유사 또는 일치 범위 내에 사용자의 감지 호흡신호 및 감지 음성신호가 부합하면, 제어부(130)는 표현매체를 선택하고, 선택된 표현매체를 표시부(110)에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E.g, If the user performs breathing for 2 seconds and speaks a positive language such as "Thank you" or "Thank you", the control unit 130 compares the breathing signal detection time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Also, the detected speech signal for the positive language is compared with the specific language speech signal. If the user's sensed breathing signal and the sensed voice signal are within the predetermined similarity or matching range, the control unit 130 selects the expression medium and controls the selected expression medium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

한편, 판단 및 비교 결과 기 설정된 유사 또는 일치 범위 내에 사용자의 감지 호흡신호 및 감지 음성신호가 부합하면, 제어부(130)는 표현매체를 선택하고, 선택된 표현매체를 변환하여 표시부(110)에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s sensed breathing signal and the sensed voice signal match the predetermined similar or matched rang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nd the comparison, the control unit 130 selects the expression medium, converts the selected expression medium, and displays the selected expression medium on the display unit 110 .

감지 호흡신호 및 감지 음성신호에 따른 표현매체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표시부(110)를 통해 표시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에서 표현매체가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30)에서 선택된 표현매체를 복수의 단위 표현매체로 분할하여 비규칙적으로 배치한 후, 배치된 단위 표현매체가 서로 조합되어 분할되기 전의 표현매체로 복귀되도록 변환한다. The display medium according to the sensed breathing signal and the sensed voice signal is display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110 as shown in FIGS. FIG. 3 and FIG. 4 are views for explaining display media in a display device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30 divides the selected expression medium in the storage unit 130 into a plurality of unit expression mediums and arranges them irregularly. Then, the control unit 130 converts the selected expression mediums so that the arranged unit expression mediums are combined and returned to the expression medium before division.

이와 같은 표현매체의 변환은 도 3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호흡(날숨)을 2초간 실시하고, 긍정언어를 구사하면, 감지 음성신호와 감지 호흡신호가 감지되는 순서를 제어부(130)가 판단하고, 감지되는 순서가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면 저장부(131)에서 선택된 이미지가 최초에 모자이크 이미지와 같이 표시부(110)를 통해 표시된다. 이때, 모자이크 이미지는 각 단위별로 혼합된 상태이므로 형체를 확인할 수 없는 상태이다. Such conversion of the expression medium i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3, when the user performs breathing (exhale) for two seconds and speaks an affirmative language,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e order in which the sensed speech signal and the sensory breathing signal are sensed, If the predetermined criterion is met, the image selected in the storage unit 131 is firs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as a mosaic image. At this time, since the mosaic image is mixed with each unit, the shape can not be confirmed.

호흡 및 긍정언어를 순서에 맞춰 사용자가 반복하면, 제어부(131)는 반복 횟수에 따라 각 단계별로 표현매체인 모자이크 이미지가 점차 맞추어져 대략적으로 형체를 확인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호흡 및 긍정언어를 순서에 맞춰 사용자가 반복하여, 반복 횟수가 기 설정된 반복횟수 기준에 부합되면, 표현매체인 모자이크 이미지는 완전한 이미지로 변환되어 사용자가 표현매체를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기 설정된 반복횟수 기준은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을 것이며, 변경이 가능하다. If the user repeats the breathing and the affirmative language in order, the control unit 131 gradually adjusts the mosaic image which is the expression medium for each step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petitions, so that the shape can be roughly confirmed. If the user repeats the breathing and the affirmative language in order and the number of repetitions meets the predetermined repetition frequency criterion, the mosaic image, which is the expression medium, is converted into a complete image so that the user can reliably confirm the expression medium. The predetermined repetition frequency reference will not be limited to any one, and can be changed.

본 발명에 따른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는 단계별 호흡 및 음성감지 판단 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날숨 및 긍정언어를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사용자가 실시하는 날숨 및 긍정언어에 따라 표현매체를 변환시켜 표시하여 감각적인 활동과 날숨, 긍정언어의 반복을 유도시키므로, 사용자의 미주신경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긍정적인 생각, 행복감 및 자존감 등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한다. The display device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duces the user to repeatedly execute the exhalation and the positive language through the step-by-step breathing and voice sense judgment method, So that the user's vagus nerves can be activ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positive thoughts, happiness, and self-esteem can be improved.

아울러, 사용자에 의한 감지 음성신호 및 감지 호흡신호에 따른 단계별 호흡 및 음성감지 판단 방식을 통해 표현매체의 변환은 사용자의 얼굴 모습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단계별 음성감지 판단 방식, 단계별 호흡감지 판단 방식 또는 단계별 호흡 및 음성감지 판단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표현매체가 변환될 경우, 표시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에 어둡거나 흐릿하여 사용자가 표현매체를 확인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In addition, the conversion of the expression medium can be realized by the user's face shape through the step-by-step breathing and voice sense judgment method based on the sensed voice signal and the sensed breath signal by the user. When the expression medium is converted through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step-by-step speech detection method, the step-by-step breath detection method, or the step-by-step breathing and speech detection method, the display unit 110 displays, Or blurred, so that the user can not confirm the expression medium.

사용자가 호흡 또는 긍정언어, 호흡 및 긍정언어를 기 설정된 기준 시간 또는 기 설정된 반복횟수에 부합되도록 실시하면, 표시부(110)가 점차 선명해져 사용자는 대략적으로 표현매체의 형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호흡 또는 긍정언어, 호흡 및 긍정언어를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표시부(110)가 완전히 선명해져 사용자는 표현매체가 긍정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자신의 얼굴 이미지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표시부(110)는 거울과 같은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user performs breathing or the affirmative language, respiration, and the positive language in accordance with the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or the preset repetition times, the display unit 110 gradually becomes clear so that the user can roughly confirm the shape of the expression medium. The user repeatedly performs breathing or positive language, respiration, and positive language so that the display unit 110 becomes completely clear and the user can confirm that the expression medium is his or her face image using the positive language.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110 functions like a mirror.

표현매체를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로 설정하고, 이때 표현매체의 변환을 위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에 사용자를 화상으로 감지하는 화상부(140)더 포함한다. 화상부(140)는 사용자의 신체부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부위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신체크기, 얼굴 전체 또는 얼굴의 특정 부위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화상으로 감지한다.The display unit for setting the expression medium to the face image of the user and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rting the expression medium at this time includes an image unit 140 for sensing the user as an image. The imaging unit 140 detects at least one part of the user's body parts.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body size, an entire face, or a specific site change of a face is detected as an image.

제어부(130)는 화상부(140)에서 감지된 신체크기, 얼굴 전체 또는 얼굴의 특정 부위 변화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표현매체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화상부(140)에서 울고있는 사용자의 화상신호를 감지한 경우, 표현매체는 최초에 “울고 있는 어린 아이의 이미지”로 선택된다.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expression medium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body size, the entire face, and the specific region change of the face sensed by the image unit 140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when detecting the image signal of the user crying in the imaging unit 140, the expression medium is initially selected as " an image of a crying child ".

이후, 사용자의 긍정언어 및 호흡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며, 제어부(130)는 반복에 따른 단계별로 “웃고 있는 어린 아이의 이미지”로 표현매체를 표시부(110)에 변환제시하거나, 종류가 상이한 복수의 “웃고 있는 어린 아이의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패턴화시켜 표시부(110)에 제시할 수 있다. Then, the user's positive language and breathing are repeatedly performed, and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the expression medium on the display unit 110 with the " image of smiling little child " An image of a smiling child " can be sequentially patterned and presented on the display unit 110. [

제어부(130)는 화상부(140)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화상신호를 표현매체로 설정하고, 표시부(110)에 상기 표현매체를 흑백으로 변환 제시한 후, 일 구간에서 전체구간으로 색채점유면적을 증가시켜 흑백의 표현매체가 색채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화상신호로 설정되고 색채를 가진 표현매체를 변환하여 사용자 또는 얼굴의 특정 부위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환시킨다.The control unit 130 sets the image signal of the user sensed by the image unit 140 as an expression medium and presents the expression medium in black and white on the display unit 110 and then displays the color space occupied by the entire section in one section So that the expression medium of black and white has a color.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converts at least one of the user or the specific region of the face by converting the expression medium having the color set therein.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에 서게 되면, 화상부(140)는 사용자를 감지한다. 사용자가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화상신호를 표현매체로 설정한다. 이때, 표현매체는 사용자의 이미지이다. 표현매체가 설정되며, 사용자가 긍정언어 또는 호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최초로 실시한 최초 단계에서 표현매체는 흑백의 이미지로 표시부(110)에 표시된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comes to a display device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portion 140 senses the user. When the user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130 sets the image signal of the user as the presentation medium. At this time, the expression medium is the image of the user. The expression medium is set and the expression medium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as a monochrome image in the first stage in which the user first performs at least one of the positive language and the breath.

사용자가 긍정언어 또는 호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반복적으로 실시하고,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되면 흑백의 표현매체는 다음 단계에서 점차 색채를 가지게 되어 컬러 이미지로 변환된다. 긍정언어 또는 호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반복이 끝나고 기 설정된 종료 기준에 부합하면 표현매체는 최종 단계에서 환하게 웃는 사용자의 이미지로 변환되어 표시부(110)에 표시도록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된다.If the user repeatedly performs at least one of the positive language and the breathing, and if the predetermined criterion is met, the black and white expression medium gradually becomes color in the next step and is converted into a color image. When the repetition of at least one of the positive language and the respiration is completed and the predetermined end criterion is satisfied, the expression medium is converted into an image of a smiling user in a final stage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30 to display on the display unit 110.

제어부(130)는 저장부(130)에서 선택된 표현매체의 표시부(110)를 통한 표시 여부, 크기, 색상 또는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환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display state, the size, the color, and the resolu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110 of the selected expression medium in the storage unit 130 to be converted.

또한, 본 발명에서 변환되는 표현매체는 동영상,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이루어진 각각의 표현매체 중 하나 이상이 순차적으로 표시부(110)에 각각 표시되는 패턴을 이루도록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표현매체의 패턴변환은 표현매체 중 이미지와 동영상이 순차적으로 변환제시되는 것이다. 나아가, 표현매체의 패턴변환은 흑백과 색채가 순차적 또는 비순차적으로 변환제시되는 패턴을 가지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expression medium conver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30 such that at least one of the representative media composed of moving images, images, or text is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In addition, the pattern conversion of the expression medium is that the image and the moving image of the expression medium are sequentially converted and presented. Further, the pattern conversion of the expression medium has a pattern in which black and white and colors are sequentially or non-sequentially converted and presented.

이때, 표현매체가 색채를 가지는 경우, 단계별로 색채점유면적이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변환된다. 한편, 표현매체가 흑백인 경우, 일 구간에서부터 색채점유면적이 단계별로 증가되어, 전체구간이 색채를 가지도록 변환된다.At this time, when the expression medium has a color, the color occupation area is converted to increase or decrease in steps. On the other hand, when the expression medium is black and white, the color occupation area is gradually increased from one section to the entire section so as to have a color.

예를 들어, 사용자의 긍정언어 및 호흡의 반복을 통한 감지 음성신호 및 감지 호흡신호에 따라, 최초 단계에서 흑백으로 이루어진 ‘황폐한 숲 이미지’ 표현매체가 표시부(110)에 되도록 변환된다. 긍정언어 및 호흡의 반복을 통한 감지 음성신호 및 감지 호흡신호가 반복되면 표현매체는 다음 단계에서 ‘황폐한 숲 이미지’가 색채를 가지게 되며 ‘푸른 숲 이미지’로 변환되어 표시부(110)에 표시되도록 변환된다. 이후 긍정언어 및 호흡의 반복을 통한 감지 음성신호 및 감지 호흡신호가 기 설정된 최종 기준에 도달하면 최후 단계에서 표현매체는 ‘푸른 숲 이미지’에서 ‘동물들이 뛰어노는 푸른 숲 동영상’으로 변환되어 패턴을 이루며 표시된다.For example,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ed voice signal and the sensed respiration signal through repetition of the user's positive language and breath, the 'defeated forest image' expression medium in black and white in the initial stage is converted into the display unit 110. If the detection speech signal and the sensing breathing signal through repetition of the positive language and the breath are repeated, the expression medium is changed so that the 'degraded forest image' is transformed into the 'green forest image' in the next step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 Then, when the detected speech signal and the sensed breathing signal through the repetition of positive language and breath reaches the predetermined final criterion, the expression medium is converted into 'green forest image' Respectively.

아울러, 표현매체는 제어부(130)에 의해 각 단계별로 색채점유면적이 달라지도록 변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 단계에서 표현매체가 흑백의 ‘바다 이미지’였다면 다음 단계에서 ‘바다 이미지’의 일 구간이 바다색(파란색)으로 협소하게 색채를 가지게 된다. 최후 단계에서 ‘바다 이미지’의 바다색은 표현매체 전체로 퍼져, 표현매체는 온전한 ‘바다 이미지’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표현매체는 이와 같은 과정을 규칙적으로 패턴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xpression medium can be transformed by the controller 130 so that the color occupation area is changed in each step. For example, if the expression medium in the first stage is a 'sea image' of monochrome, then one section of the 'sea image' will have a narrow color in the sea color (blue) in the next step. At the last stage, the sea color of 'sea image' spreads throughout the medium of expression, and the medium of expression can be transformed into a complete 'sea image'. In addition, the expression medium can pattern such a process regularly.

나아가, 사용자의 화상이 표현매체로 설정되어 변환에 따른 패턴이 이루어질 경우, 사용자의 감지 음성신호 및 감지 호흡신호가 최초로 이루어질 때 표시부(110)는 모래나 안개가 낀 뿌연 거울 상태로 설정된다. 이후, 사용자가 호흡 또는 긍정언어 중 하나를 사용하거나, 호흡과 긍정언어를 모두 반복적으로 실시할 때 거울 기능을 하는 표시부(110)는 단계적으로 안개가 걷히듯 점차 사용자 자신의 모습이 보일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he user's image is set as the expression medium and the pattern according to the conversion is made, the display unit 110 is set to sandy or foggy hazy mirror state when the user's sensed voice signal and the sensory breathing signal are made for the first time. Thereafter, when the user uses one of the respiration or the positive languages, or both the respiration and the positive language repeatedly, the display unit 110 performing the mirror function gradually displays the user's own image .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화상부(140)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화상신호를 표현매체로 설정하고, 표시부(110)의 선명도를 단계별로 증가시켜 화상신호에 대한 표현매체의 식별력을 높여준다.For this, the control unit 130 sets the image signal of the user detected by the image unit 140 as an expression medium, and increases the sharpness of the display unit 110 in stages to enhance the discrimination power of the expression medium with respect to the image signal.

이 과정에서 사용자 모습 이외에 명화 이미지가 흑백의 상태에서 시작하여 중앙부분부터 점차 컬러를 가지는 상태로 변해가는 표현매체가 표시부(11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는 표현매체가 흑백인 경우, 일 구간에서 부터 전체구간으로 단계별로 색채점유면적이 증가되도록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다.In this process, in addition to the appearance of the user, the expression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starting from the monochrome state, and gradually changing from the center portion to the state having the color. This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30 so that the color occupation area is increased stepwise from one section to the entire section when the expression medium is black and white.

더불어, 본 발명은 제어부(130)에 부정적언어에 대한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특정 언어 음성신호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부정적언어(예로, 괴롭다, 미치겠다, 죽고싶다 등)를 사용할 경우, 제어부(130)는 저장부(130)에서 부정적 언어에 대한 기 설정된 표현매체를 선택하여 표시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부정적언어를 반복하여 사용할 경우, 최초에 표시된 표현매체를 단계별로 변화시켜 표시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부정적언어를 구사할 경우의 표현매체 표시 및 표현매체의 변환은 전술한 기술적 특징에 따라 구현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ecific language speech signal including a speech signal for a negative language in the controller 130. Accordingly, when the user uses a negative language (for example, suffering, being crazy, wanting to die, etc.), the control unit 130 selects a preset expression medium for the negative language in the storage unit 130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110 can do. In addition, when the user repeatedly uses a negative language, the display medium initially displayed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in a stepwise manner. Expression medium display and conversion of expression medium in case of using negative language ar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는 사용자가 구사하는 긍정적인 언어사용에 따른 음성과 사용자의 호흡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동영상 및 텍스트 등의 표현매체를 사용자에 의한 언어와 호흡에 따라 변형시켜 제공하므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등을 가진 사용자가 자신의 심리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voice and respiration of a user according to a positive language used by the user. In addition, since the expression medium such as image, moving image, and text is modified according to the language and breathing by the user, a user having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can confirm his / her psychological state.

또한, 사용자에게 긍정적인 언어사용의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미주신경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호흡을 유도하며, 사용자의 언어 사용을 시각에 따른 감각적인 활동으로 바뀌도록 하여 사용자가 정서적 안정감을 찾고 행복감 및 자존감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에 의한 언어 및 호흡을 감각적인 활동으로 유도하므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등을 가진 사용자에게 재미를 주고 집중력을 향상시켜서 치료의 목적으로 꾸준히 사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can be motivated to use a positive language. In addition, it induces the user's breathing so that the vagus nerve can be activated, and the user's language use is changed into the sensory activity according to the visual sense, so that the user can find emotional stability and have euphoria and self-esteem. Furthermore, since the language and breathing by the user are induced into sensory activities,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user who has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o have fun and to improve the concentration ability and to use it steadily for the purpose of treatment.

본 실시 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which may occu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표시부
120: 감지부
130: 제어부
131: 저장부
140: 화상부
150: 선택 스위치부
110:
120:
130:
131:
140:
150:

Claims (19)

표현매체를 표시하는 표시부; 음성신호 또는 호흡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 음성신호 또는 감지 호흡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표현매체가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현매체는 저장부에 저장되고,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이종(異種) 또는 동종(同種)이고, 상기 표현매체가 변환되어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제어부는 감지 음성신호와 저장부에 저장된 특정 언어 음성신호를 비교하고, 감지 음성신호와 특정 언어 음성신호의 대응여부를 판단하며, 감지 음성신호가 특정 언어 음성신호와 대응될 경우, 저장부에서 감지 음성신호와 대응되는 표현매체를 선택하고, 선택된 표현매체가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특정 언어 음성신호와 대응되는 감지 음성신호의 감지 횟수에 따라, 표현매체를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expression medium; A sensing unit for sensing at least one of a voice signal or a breathing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n expression medium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sensed voice signal or the sensed breath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unit, wherein the expression medium is stored in a storage unit, (Heterogeneous) or the same kind (same kind)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expression medium is conver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detected speech signal with a specific language speech sig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determines whether the detected speech signal corresponds to a specific language speech signal, and if the detected speech signal corresponds to a specific language speech signal,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medium to display the selected expression medium on the display unit and converts the expression medium according to the number of sensed speech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language speech signal. Indicating display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표현매체를 표시하는 표시부; 음성신호 또는 호흡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 음성신호 또는 감지 호흡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표현매체가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현매체는 저장부에 저장되고,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이종(異種) 또는 동종(同種)이고, 상기 표현매체가 변환되어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제어부는 감지 호흡신호의 감지시간 또는 감지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며, 감지시간이 판단된 때에는 판단이 이루어지는 시점별로 저장부에서 선택된 표현매체를 변환하며, 감지회수가 판단된 때에는 감지 호흡신호의 감지 횟수에 따라 저장부에서 선택된 표현매체를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expression medium; A sensing unit for sensing at least one of a voice signal or a breathing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n expression medium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sensed voice signal or the sensed breath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unit, wherein the expression medium is stored in a storage unit, (Heterogeneous) or the same kind (same kind)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expression medium is conver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at least one of the sensing time and the sensing time of the sensing respiration signal. When the sensing time is determined, the control unit converts the selected expression medium in 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time point at which the determination is made. And converting the selected expression medium in 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삭제delete 표현매체를 표시하는 표시부; 음성신호 또는 호흡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 음성신호 또는 감지 호흡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표현매체가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현매체는 저장부에 저장되고,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이종(異種) 또는 동종(同種)이고, 상기 표현매체가 변환되어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제어부는 감지 음성신호와 감지 호흡신호가 감지되는 순서를 판단하고, 상기 순서에 대응되는 표현매체를 저장부에서 선택하며, 선택된 표현매체가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expression medium; A sensing unit for sensing at least one of a voice signal or a breathing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n expression medium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sensed voice signal or the sensed breath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unit, wherein the expression medium is stored in a storage unit, (Heterogeneous) or the same kind (same kind)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expression medium is conver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control unit judges the order in which the sensed voice signal and the sensed breathing signal are sensed, selects the expression medium corresponding to the order in the storage unit, and controls the selected expression medium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Display device.
청구항 7에 있어서,
제어부는 순서에 따른 감지 음성신호와 감지 호흡신호의 반복 횟수에 따라, 표현매체를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converts the expression medium according to the repetition number of the sense speech signal and the sense respi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order.
청구항 1,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7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부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부위를 화상으로 감지하는 화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5 or 7,
Further comprising an imaging unit for sensing at least one part of the user's body parts as an image.
청구항 9에 있어서,
제어부는 화상부에서 감지된 사용자, 신체크기, 얼굴 전체 또는 얼굴의 특정 부위 변화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표현매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expression medium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user, the body size, the entire face, or the specific region change of the face sensed by the image unit.
청구항 1,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7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되는 표현매체는
동영상,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이루어진 각각의 표현매체 중 하나 이상이 순차적으로 표시부에 각각 표시되는 패턴을 이루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5 or 7,
The transformed representation medium
Wherein at least one of the respective presentation media composed of a moving picture, an image, or a text is sequentially controlled to have a patter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respectively.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표현매체의 패턴변환은 표현매체 중 이미지와 동영상이 순차적으로 변환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attern conversion of the expression medium is performed such that an image and a moving image of the expression medium are sequentially transformed and presented.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표현매체의 패턴변환은 흑백과 색채가 순차적 또는 비순차적으로 변환제시되는 패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attern conversion of the expression medium has a pattern in which black and white and colors are sequentially or non-sequentially converted and presented.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표현매체가 색채를 가지는 경우,
순차적으로 색채점유면적이 증가 또는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expression medium has a color,
Wherein a color occupation area is sequentially increased or decreased.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표현매체가 흑백인 경우,
일 구간에서부터 색채점유면적이 증가되어, 전체구간이 색채를 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If the expression medium is black and white,
Wherein a color occupation area is increased from one section, and the entire section has a color.
청구항 11에 있어서,
제어부는
저장부에서 선택된 표현매체를 복수의 단위 표현매체로 분할하여 비규칙적으로 배치한 후, 배치된 단위 표현매체가 서로 조합되어 분할되기 전의 표현매체로 복귀되도록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unitary expression media selected by the storage uni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unit expression media and arranged irregularly and then converted so that the arranged unit expression media are combined and returned to the expression medium before being divided, Display device.
청구항 9에 있어서,
제어부는
화상부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화상신호를 표현매체로 설정하고,
표시부의 선명도를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상기 표현매체의 식별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unit
An image signal of a user sensed by the image portion is set as an expression medium,
And increasing the sharpness of the display unit in order to increase the discrimination power of the expression medium.
청구항 9에 있어서,
제어부는
화상부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화상신호를 표현매체로 설정하고,
표시부에 상기 표현매체를 흑백으로 변환 제시한 후, 일 구간에서 전체구간으로 색채점유면적을 증가시켜 흑백의 표현매체가 색채를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unit
An image signal of a user sensed by the image portion is set as an expression medium,
Wherein the display medium is converted to black and white, and then the color occupation area is increased from one section to the entire section so that the black and white expression medium has a color.
청구항 18에 있어서,
제어부는
화상신호로 설정되고 색채를 가진 표현매체를 변환하여
사용자의 신체부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부위를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안정을 유도하는 표시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control unit
And converts the expression medium having the color set as the image signal
Wherein at least one part of the user's body parts is converted.
KR20130160141A 2013-12-20 2013-12-20 Display device for induce mental stability KR1014998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0141A KR101499858B1 (en) 2013-12-20 2013-12-20 Display device for induce mental stability
PCT/KR2014/002588 WO2015093688A1 (en) 2013-12-20 2014-03-27 Display device inducing psychological st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0141A KR101499858B1 (en) 2013-12-20 2013-12-20 Display device for induce mental stabi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9858B1 true KR101499858B1 (en) 2015-03-09

Family

ID=53026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60141A KR101499858B1 (en) 2013-12-20 2013-12-20 Display device for induce mental stabilit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99858B1 (en)
WO (1) WO201509368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04316A1 (en) * 2016-03-09 2017-09-14 "Wortkampfkunst" - Kommunikationsschule für Dienstleistungen, Industrie und Handwerk e.K. Mental self-education facilit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335B1 (en) * 2004-06-28 2006-02-08 주식회사 유신테크 The mirror union expression medium where the speech recognition is possible
KR20060075683A (en) * 2004-12-28 2006-07-04 김용호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balance to selfe psychological states with contour colour imag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1889B2 (en) * 2003-08-19 2007-06-20 ソニー株式会社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KR20060019024A (en) * 2004-08-26 2006-03-03 이성용 A device maintaining stable mentality of baby
KR20060069807A (en) * 2006-05-22 2006-06-22 송민섭 Auto music to heart bea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335B1 (en) * 2004-06-28 2006-02-08 주식회사 유신테크 The mirror union expression medium where the speech recognition is possible
KR20060075683A (en) * 2004-12-28 2006-07-04 김용호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balance to selfe psychological states with contour colour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93688A1 (en) 2015-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129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versation coach
Rosenblum Speech perception as a multimodal phenomenon
US1070570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media presentation
Zhao et al. Mediated atmospheres: A multimodal mediated work environment
Robitaille The illustrated guide to assistive technology and devices: Tools and gadgets for living independently
CN103238311A (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ntrol program
US20110137110A1 (en) Calming device
Yu et al. Magic mirror table for social-emotion alleviation in the smart home
JP7066115B2 (en) Public speaking support device and program
Bicevskis et al. Visual-tactile integration in speech perception: Evidence for modality neutral speech primitives
Falk et al. Augmentative communication based on realtime vocal cord vibration detection
Johansen et al. Characterising soundscape research in human-computer interaction
Hornecker et al. A design vocabulary for data physicalization
Killander et al. A new look on ekphrasis: An eye-tracking experiment on a cinematic example
Cowie et al. Piecing together the emotion jigsaw
KR101499858B1 (en) Display device for induce mental stability
Wu “The World is Designed for Fluent People”: Benefits and Challenges of Videoconferencing Technologies for People Who Stutter
Kuppers Toward the unknown body: Stillness, silence, and space in mental health settings
KR101638243B1 (en) Method for provining psychological stability using wearable device, computer program thereof and system for provining psychological tability using wearable device
WO201816824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963668B1 (en) Solution provision system
RU2013103969A (en) METHOD FOR INTEGRATED DETERMINATION OF THE EMOTIONAL CONDITION OF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ITS EMOTIONALLY SENSITIVE VIRTUAL REPRESENTATIVE, MIMIC SYSTEM FOR OPERATION OF OPPORTUNITIES
KR101462003B1 (en) video display method using background illumination based on bio-signal and system adopting the method
McGowan Real-time 3D Graphic Augmentation of Therapeutic Music Sessions for People on the Autism Spectrum
Syed et al. Sign recognition system for differently abled peo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