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325B1 - Media reproduction device - Google Patents

Media reproduc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325B1
KR101498325B1 KR1020107028744A KR20107028744A KR101498325B1 KR 101498325 B1 KR101498325 B1 KR 101498325B1 KR 1020107028744 A KR1020107028744 A KR 1020107028744A KR 20107028744 A KR20107028744 A KR 20107028744A KR 101498325 B1 KR101498325 B1 KR 101498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music
music data
attribute information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87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50591A (en
Inventor
다케히로 안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퀘어.에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퀘어.에닉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퀘어.에닉스
Publication of KR20110050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5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3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3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by the player, e.g. authoring using a level edi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63F13/53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for prompting the player, e.g. by displaying a game menu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2Video game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be hand-held while play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2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 A63F2300/204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the platform being a handheld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3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 A63F2300/308Details of the user inte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009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importing or creating game content, e.g. authoring tools during game development, adapting content to different platforms, use of a scripting language to create content
    • A63F2300/6018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importing or creating game content, e.g. authoring tools during game development, adapting content to different platforms, use of a scripting language to create content where the game content is authored by the player, e.g. level editor or by game device at runtime, e.g. level is created from music data on C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063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sound proces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9Involving elements of the real world in the game world, e.g. measurement in live races, real video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47Music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디어 재생 장치의 커스터마이즈(customize) 상태에 따라 게임 요소를 생성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사용자의 독자성을 발휘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보존된 미디어 데이터로부터, 관련되는 속성 정보를 취득하고, 이 속성 정보에 대응한 오브젝트를 리스트로부터 선출하여 게임 중에 생성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reate a game element in accordance with a customized state of a media playback apparatus, thereby exerting a user's uniqueness.
Acquires relevant attribute information from the stored media data, and selects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 information from the list to generate during the game.

Description

미디어 재생 장치{MEDIA REPRODUCTION DEVICE}[0001] MEDIA REPRODUCTION DEVICE [0002]

본 발명은 악곡 재생이나 게임을 할 수 있는 미디어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a playback apparatus capable of playing music or playing a music piece.

종래, 예컨대 특허 문헌 1의 「미디어 플레이어」와 같이, 악곡 재생이나 게임을 할 수 있는 미디어 재생 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한, 게임에 대해서는, 특허 문헌 2에 있는 바와 같이, 게임 중에서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아이템이나 캐릭터 등의 게임 요소를 생성하는 것이 있고, 이러한 사양은 인기가 있다. 그리고, 미디어 재생 장치에 있어서도 오브젝트 생성을 할 수 있는 게임을 행하고 싶다는 요망이 있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Conventionally, a media player capable of playing music and playing games is known, such as " media player " As for the game, there is a technique in which game elements such as items and characters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in the game,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and such specifications are popular. Further, there is a demand for a game in which an object can be created even in a media playback apparatus.

일본 특허 공표 제2006-524877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6-524877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42268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8-142268

그런데, 통상, 미디어 재생 장치는, 사용자의 개성에 따라 좋아하는 악곡을 선택해서 보존하여, 자기 독자의 악곡 리스트를 만드는 등의 커스터마이즈(customize)로 즐기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다. 그래서, 전술한 바와 같이, 미디어 재생 장치에 있어서 게임 요소의 생성을 수반하는 게임을 행하는 경우도, 미디어 재생 장치의 커스터마이즈 상태에 따라 게임 요소의 생성이 이루어지는 사양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이러한 사양을 실현하는 구체적 방법이 존재하고 있지 않다.[0004] However, in general, a method of enjoying a media playback apparatus by customizing such as creating a list of music titles of its own by selecting and storing favorite music tones according to the user's personality is taken. Thus, as described above, even in the case of playing a game accompanied by generation of a game element in the media playback apparatus, it is preferable that the game element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customized state of the media playback apparatus. 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there is no specific method for realizing such a specification.

또한, 미디어 재생 장치의 컴퓨터 기능을 살려, 본래의 미디어 재생 장치의 목적인 악곡의 재생 뿐만 아니라, 게임도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그때에 캐릭터나 아이템 등의 게임 요소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게임 요소의 생성에 필요한 미디어 재생 장치의 조작이 가능한 한 간단하고, 또한, 통상의 악곡의 재생 조작과 근사한 조작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통상의 악곡을 선곡하는 감각으로, 게임 요소를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미디어 재생 장치로 게임을 하며 노는 것에 대한 사용자의 저항이 적어,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기회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make the computer function of the media playback apparatus take advantage of the original media playback apparatus as well as to play the music, and to be able to create a game element such as a character or an item at that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on of the media reproducing apparatus necessary for generating the element is as simple as possible and that the operation is similar to the reproducing operation of normal music. That is, it is possible to create a game element with a sense of selecting a normal music piece because the resistance of the user to playing a game with the media player is small, and the opportunity to enjoy the game can be increased to be.

또한, 사용자의 미디어 재생 장치의 커스터마이즈 상태에 따라 게임 요소의 생성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악곡의 미디어 재생 장치에서의 저장 상태, 즉, 어떠한 악곡이 상기 사용자의 미디어 재생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정하고, 해당 악곡에 적합한 게임 요소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준비할 필요가 있어, 프로그램이 복잡·대규모화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게임 요소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대규모화되는 것은, 본래 악곡이 저장되어야 할 메모리 영역을 좁혀 버리게 될 뿐만 아니라, 미디어 재생 장치와 같은 처리 능력이 작은 컴퓨터에서는 그 처리에 시간이 걸려, 미디어 재생 장치 본래의 재생 기능을 저해하는 요인도 된다.In order to create a game element according to a customized state of a user's media playback apparatus, the storage state of the user's music tune in the media playback apparatus, that is, what music is stored in the user's media playback apparatu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rogram for generating a game element suitable for the musical composition, and the program becomes complicated and large-scale. In this way, the large-scale program for creating the game element not only narrows down the memory area where the music tune should be originally stored, but also takes a long time to process the medium in a computer having a small processing capacity, This is also a factor that hinders the original playback function of the playback apparatus.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통상의 선곡과 동일한 감각으로 미디어 재생 장치의 커스터마이즈 상태에 따라 게임 요소의 생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사용자의 독자성을 발휘할 수 있는 미디어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dia playback apparatus capable of simplifying generation of a game element according to a customized state of the media playback apparatus in the same sense as normal play selec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디어 재생 장치와 같은 작은 컴퓨터라도 사용자의 커스터마이즈 상태에 따라 게임 요소의 생성을, 컴퓨터에 부담을 가하지 않고 가능하게 하며, 미디어 재생 장치 본래의 재생 기능을 가능한 한 저해하는 일이 없는 미디어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pable of creating a game element according to a customized state of a user even without a burden on a computer even if the computer is a small computer such as a media player,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dia playback apparatus which is free from the above-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상 표시 가능한 화상 출력부(15) 내지 액정 패널(3) 등의 모니터와, 악곡 데이터, 동화상 데이터, 정지 화상 데이터 등의 미디어 데이터를 보존 가능한 기억부와, 상기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 출력 가능한 음성 출력부(16) 내지 헤드폰(5) 등의 재생 출력부와, 조작반(4) 내지 입력부(14) 등의 입력 조작부를 갖는 미디어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조작부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커맨드에 기초하여, 상기 모니터에 화상을 표시시키면서, 게임을 진행시키는 게임 실행부(17) 등의 게임 진행 제어 수단과, 게임 중에서 사용 가능한 캐릭터나 아이템 등의 오브젝트를 보존하는 캐릭터 보존부(19) 등의 오브젝트 보존 수단과, 게임 진행 중에 오브젝트 생성을 제어하는 캐릭터 생성부(18) 등의 오브젝트 생성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오브젝트 생성 제어 수단은, 상기 기억부에 보존된 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상기 미디어 데이터에 관련되는 헤더 정보 등의 속성 정보를 취득하는 미디어 관리부(12) 등의 속성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속성 정보에 대응한 오브젝트를, 상기 오브젝트 보존 수단으로부터 선출하는 캐릭터 생성부(18) 등의 오브젝트 선출 수단과, 선출한 오브젝트를 상기 모니터에 표시 출력하여 게임 중에 생성하는 화상 출력부(15) 내지 액정 패널(3) 등의 표시 출력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object is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monitor such as an image output section (15) and a liquid crystal panel (3)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and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media data such as music data, moving image data, A reproduction output unit such as a sound output unit 16 to a headphone 5 capable of reproducing and outputting the media data and an input operation unit such as an operation unit 4 to an input unit 14 Game progress control means such as a game execution unit 17 for causing the game to proceed while displaying an image on the monitor based on an input command inputted through the input operation unit and an object such as a character or item usable in the game And a character storing unit 19 for storing the object in the game, and a character generating unit 18 for controlling object creation during the game Wherein the object generation control means acquires attribute information such as the media management unit (12) for acquiring attribute information such as head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media data from the media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Object selecting means such as a character generating unit 18 for select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 information from the object saving means and an image outputting unit for displaying the selected object on the monitor and generating the object during the game 15) to the liquid crystal panel 3 and the like.

또한,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기억부는, 상기 속성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오브젝트의 조합을 나타낸 대조 테이블을 저장하고,Wherein the storage unit stores a verification table indicating a combination of the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 information,

상기 오브젝트 선출 수단은, 상기 속성 정보 취득 수단이 취득한 어떤 미디어 데이터에 관한 속성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대조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And the object selection means is configured to select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 information about certain media data acquired by the attribut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by referring to the verification table.

또한,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Furth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대조 테이블의 상기 속성 정보와 상기 오브젝트의 조합을, 시간의 경과와 함께 변경하여, 새로운 조합의 대조 테이블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대조 테이블 생성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And a verification table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 new combination of verification tables by changing the combination of the attribute information and the object of the verification table with the passage of time.

또한,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는,Wherein the media playback apparatus comprises:

상기 기억부에 보존된 복수의 상기 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게 제시하는 미디어 데이터 제시 수단을 더 포함하며,Further comprising media data presenting means for presenting a plurality of the media data stored in the storage section to the user in a selectable manner,

상기 속성 정보 취득 수단은, 상기 미디어 데이터 제시 수단에 의해 제시된 상기 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어떠한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는 커맨드가 상기 입력 조작부로부터 입력된 경우에, 상기 기억부에 보존된 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상기 커맨드에 의해 선택된 상기 미디어 데이터에 관련되는 속성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Wherein the attribute information acquiring means acquires from the media data presented by the media data presenting means a command for selecting any media data from the media data stored in the storage portion And acquires attribu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media data selected by the user.

또한,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Furth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화상 표시 가능한 모니터와, 미디어 데이터를 보존 가능한 기억부와, 상기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 출력 가능한 재생 출력부와, 입력 조작부를 갖고,A recording medium having a monitor capable of image display, a storage section capable of storing media data, a reproduction output section capable of reproducing and outputting the media data,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시에, 미디어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 가능한, 상기 기억부에 보존된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를, 모니터에 일람(一覽)으로서,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는 미디어 데이터 제시 수단 및,A media data presenting means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ably display a plurality of pieces of media data, which are reproducible by the media reproducing apparatus, stored in the storing portion at the time of reproduction of the media data,

상기 미디어 데이터 제시 수단에 의해 제시된 상기 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어떠한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는 커맨드가 상기 입력 조작부로부터 입력된 경우에, 상기 커맨드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고, 상기 재생 출력부를 통해 재생 출력할 수 있는 미디어 관리부를 갖는 미디어 데이터 재생 장치에 있어서,Wherein when a command for selecting any media data from the media data presented by the media data presentation means is input from the input operation section, the media data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is read from the storage section, A media data playback apparatus having a media management unit capable of outputting,

상기 입력 조작부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커맨드에 기초하여, 상기 모니터에 화상을 표시시키면서, 게임을 진행시키는 게임 진행 제어 수단과,Game progress control means for advancing a game while displaying an image on the monitor based on an input command inputted through the input operation portion;

게임 중에서 사용 가능한 오브젝트를 보존하는 오브젝트 보존 수단을 갖고,And object holding means for holding objects usable in the game,

상기 미디어 데이터 제시 수단에 의해 제시된 상기 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어떠한 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는 커맨드가 상기 입력 조작부로부터 입력된 경우에, 상기 기억부에 보존된 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상기 커맨드에 의해 선택된 상기 미디어 데이터에 관련되는 속성 정보를 취득하는 속성 정보 취득 수단을 설치하며,When a command for selecting any media data from the media data presented by the media data presentation means is input from the input operation unit, the media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associated with the media data selected by the command And attribute information acquiring means for acquir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상기 속성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기 미디어 데이터에 관련되는 속성 정보에 대응한 오브젝트를, 상기 오브젝트 보존 수단으로부터 선출하는 오브젝트 선출 수단과, Object selecting means for select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attribu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media data acquired by the attribute information acquiring means from the object storing means;

선출한 오브젝트를 상기 모니터에 표시 출력하여 게임 중에 생성하는 표시 출력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And display output means for displaying the selected object on the monitor and generating the object during the game.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디어 데이터의 속성 정보에 따른 오브젝트가 게임 중에 생성되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미디어 재생 장치를 커스터마이즈하는 상태가 반영되어, 사용자의 독자성을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n object according to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media data is generated during the game, the state where the user customizes the media playback apparatus is reflected, .

또한,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대조 테이블에 의해, 속성 정보에 대응한 오브젝트를 신속하게 참조 선출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 information can be quickly referenced and selected by the match table.

또한,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대조 테이블의 속성 정보와 오브젝트의 조합을, 시간의 경과와 함께 변경하기 때문에, 동일한 미디어 데이터라도, 시간이 지나면 상이한 오브젝트가 선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어, 복잡한 선출 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미디어 재생 장치의 컴퓨터에 부담을 가하지 않고서, 간단한 구성으로 다양한 오브젝트 선출 결과를 만들어 내는 것이 가능해진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mbination of the attribute information and the object of the match table is changed with the elapse of tim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election of different objects over time, It is possible to produce various object selection results with a simple configuration without imposing a burden on the computer of the media reproduction apparatus since a complicated selection program is not used.

또한,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미디어 데이터를, 제시된 복수개의 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elect the media data from the plurality of presented media data.

또한,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디어 데이터 제시 수단을, 미디어 재생 장치의 재생 동작에 사용하는 것과 공용할 수 있어, 기기 구성을 간략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미디어 재생 장치의 컴퓨터의 부하를 그만큼 저감시킬 수 있어, 미디어 재생 장치 본래의 재생 기능을 저해하는 것이 가능한 한 방지된다.Furthe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dia data presentation means can be used in common for use in the reproduction operation of the media reproduction apparatus, and the device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Further, the load of the computer of the media playback apparatus can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layback function inherent in the media playback apparatus from being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인 미디어 재생 장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미디어 재생 장치를 기능적 측면에서 설명한 블록도의 일례이다.
도 3은 화면 표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캐릭터 생성에 관한 흐름의 일례이다.
도 5는 대조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edia playback apparatus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ample of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media playback apparatus in terms of functions.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creen display.
4 is an example of a flow of character creation.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verification table.

1. 미디어 재생 장치의 구성1. Configuration of Media Player

본 발명에서 말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는, 악곡, 동화상, 정지 화상 등의 미디어 데이터를 보존·재생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하며, 그 기술적 실체는 상기 미디어 데이터를 보존·재생할 수 있는 컴퓨터이다. 미디어 재생 장치의 구체예로서는, 음악 플레이어, 게임기, 휴대 전화기, PDA, 퍼스널 컴퓨터 등이 있다.The media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capable of storing and reproducing media data such as music, moving pictures, and still images, and its technical substance is a computer capable of storing and reproducing the media data. Specific examples of the media player include a music player, a game machine, a mobile phone, a PDA, and a personal computer.

본 실시형태의 미디어 재생 장치(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바닥 사이즈의 상자형의 케이싱(2)을 갖고, 그 표면측에 노출되어 액정 패널(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2)의 표면측에는 모니터로서의 액정 패널(3)과 나란히 조작반(4)이 배치되어 있다. 케이싱(2) 내에는 간이한 컴퓨터를 구성하는 형태로 전자 부품이 장전되고, 상기 컴퓨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나 여러 가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이 장비되어 있다. 케이싱(2)의 측부(도 1에서 상측)에는, 커넥터 등을 통해 음성 출력용의 헤드폰(5)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media playback apparatus 1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palm-sized box-shaped casing 2, and is provided with a liquid crystal panel 3 exposed on the surface side thereof. An operation panel 4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sing 2 in parallel with the liquid crystal panel 3 as a monitor. In the casing 2, electronic parts are loaded in the form of a simple computer, and an operating system for operating the computer and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are provided. A headphone 5 for audio output is detachably connected to a side portion (upper side in Fig. 1) of the casing 2 through a connector or the like.

다음으로, 미디어 재생 장치(1)의 구성을,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능면에서 설명한다. 미디어 재생 장치(1)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더불어 형성되는 구성 요소로서, 주제어부(10), 데이터 관리부(11), 미디어 관리부(12), 기억부(13), 입력부(14), 화상 출력부(15), 음성 출력부(16), 게임 실행부(17), 캐릭터 생성부(18), 캐릭터 보존부(19) 등을 갖고 있다. 미디어 재생 장치(1)는, 다른 컴퓨터 등인 외부 장치와 케이블 접속이나 네트워크 접속함으로써, 또는 CD나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록 매체에 직접 액세스함으로써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media playback apparatus 1 will be described in terms of functions as shown in Fig. The media playback apparatus 1 includes a main control unit 10, a data management unit 11, a media management unit 12, a storage unit 13, an input unit 14, A voice output section 16, a game execution section 17, a character generation section 18, a character storage section 19, and the like. The media playback apparatus 1 can exchange programs and data by making cable connection or network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nother computer or by directly accessing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 or a semiconductor memory.

2. 게임 프로그램의 구성2. Composition of the game program

게임 프로그램은, 미디어 재생 장치 등의 컴퓨터에 게임을 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이며, 그 게임의 진행 중에 게임 요소의 생성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기도 하다. 게임의 구체예로서는, 롤플레잉 게임, 어드벤처 게임, 액션 게임, 시뮬레이션 게임, 퍼즐 게임, 그 외, 여러 종류의 게임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요소의 구체예로서는, 게임 중에서 사용하는 아이템이나, 캐릭터, 그 외, 여러 종류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게임 프로그램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게임 중에서 사용할 수 있는 캐릭터의 생성이 가능한 것이다. 게임 프로그램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상, 동작 설명의 개소에서 설명하기로 한다.The game program is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such as a media player to play a game, and is also a program for controlling generation of a game element during the course of the game. Specific examples of the game include a role playing game, an adventure game, an action game, a simulation game, a puzzle game, and various other types of games.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game element, an item to be used in a game, a character, and various other kinds of objects are possible. The game program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apable of generating a character usable in a game by a user's opera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game program will b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3. 동작 설명3. Description of operation

3-1. 미디어 데이터의 보존과 재생3-1. Preserving and Playing Media Data

미디어 재생 장치(1)의 데이터 관리부(11)는,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 접속에서의 외부 장치와의 접속, 또는 메모리 카드 등의 기억 매체를 통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나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생성된 기억부(13)에 보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미디어 관리부(12)는 기억부(13)에 보존된 데이터 중, 악곡 데이터, 동화상 데이터, 정지 화상 데이터 등의 미디어 데이터를 관리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조작반(4)을 조작함으로써, 조작반(4)으로부터 입력부(14)에 미리 정해진 선곡 커맨드가 출력되고, 입력부(14)가 상기 선곡 커맨드를 수취하며, 미디어 관리부(12)는 이 커맨드에 기초하여, 미디어 데이터의 선택이나 재생 등의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를 행할 때에는, 조작의 지시나 확인을 위한 적절한 화면 표시를 화상 출력부(15)를 통해 액정 패널(3)에 출력 표시한다. 또한,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시에는, 악곡이나 화상을, 음성 출력부(16)나 화상 출력부(15)를 통해 헤드폰(5)이나 액정 패널(3)에 출력시킨다.The data management unit 11 of the media playback apparatus 1 accepts data from the outside through a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in a cable connection (not shown) or a storage medium such as a memory card, And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 that is created by the user. The media management unit 12 manages media data such as music data, moving image data, and still image data among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 For example, 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panel 4, a predetermined music selection command is output from the operation panel 4 to the input section 14, and the input section 14 receives the music selection command. The media management section 12, And performs processing such as selection or reproduction of the media data. When performing this processing, appropriate screen display for instruction or confirmation of operation is outputted and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panel 3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15. [ When the media data is reproduced, the music and image are outputted to the headphone 5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3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16 and the image output unit 15. [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미디어 재생 장치(1)를 이용해서,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1)에 저장된 악곡을 재생하여 헤드폰(5) 등에 의해 감상하는 경우에는, 먼저 조작반(4)을 조작하여,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도 3의 (a)는, 후술하는 캐릭터 생성 화면이지만 미디어 데이터의 선택 화면도 도면 중 「캐릭터 생성」이라는 표시가 없을 뿐 그 외에는 동일하기 때문에, 편의상 동일한 도면으로 설명함], 선곡 가이던스 화면을 표시한다. 이 선곡 가이던스 화면은, 선곡을 사용자가 조작반(4)을 조작하여 매뉴얼로 행할지, 미디어 재생 장치측에서 자동으로 행할지를 선택하는 것이며, 도면 중 「악곡 지정」이라고 있는 커맨드를 조작반(4)을 조작함으로써 선택하면, 선곡을 사용자가 조작반(4)을 조작하여 매뉴얼로 행하는 것이 입력부(14)를 통해 미디어 관리부(12)에 지령되고, 「추천」을 선택하면, 미디어 관리부(12)가, 미리 정해진 선곡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악곡을 선택하는 것이, 미디어 관리부(12)에 지령된다.More specifically, when a user reproduces a piece of music stored in the media player 1 using the media player 1 and enjoys it with the headphones 5 or the like, the user first operates the operation panel 4, 3 (a) is a character creation screen to be described later, but the selection screen of the media data also has no other indication such as " character creation " in the figure, The same figure will be described), and a selection guidance screen is displayed. This selection guidance screen is for selecting a song to be manually performed by the user by operating the operation panel 4 or automatically by the media reproduction apparatus, and transmits a command " designation of music " in the figure to the operation panel 4 The media management unit 12 instructs the media management unit 12 to allow the user to manually perform the selection of the song by operating the operation panel 4 and selects " Based on the predetermined music selection program, the media management unit 12 is instructed to automatically select the music piece.

사용자가 「악곡 지정」이라고 있는 커맨드를 선택하여, 매뉴얼에 의한 선곡을 미디어 관리부(12)에 지령하면, 미디어 관리부(12)는,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억부(13)에 기록된 후술하는 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사용자가 선곡 가능한 악곡, 따라서 미디어 재생 장치(1)에 의해 재생 가능한 악곡을, 고유 ID 등의 악곡 식별 번호와 대응하는 곡명으로 이루어지는 재생 악곡 데이터로서 판독하고, 액정 패널(3) 등의 표시부(3)에 화상 출력부(15)를 통해, 사용자가 조작반(4)을 통해 이들 각 악곡을 선택할 수 있는 일람의 형태로 표시한다.When the user selects a command "designate music" and instructs the media management section 12 to select a song according to the manual, the media management section 12 stores the data in the storage section 13 From the later-described media data, the music piece that can be selected by the user, and thus the music piece that can be reproduced by the media reproduction apparatus 1, as reproduction music data composed of the music piece name corresponding to the music identification number such as the unique ID, The display section 3 such as the liquid crystal panel 3 displays the respective musical tones in the form of a list which can be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operation section 4 via the image output section 15. [

이 상태에서, 도 3의 (b)의 도면 중 화살표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반(4)을 통해, 표시부(3)에 표시된 재생 가능한 악곡의 일람으로부터, 어떤 1곡을 선택하면, 대응하는 선곡 커맨드가 미디어 관리부(12)에 대하여 출력되고, 미디어 관리부(12)는, 상기 선곡 커맨드에 나타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악곡의 고유 ID를 판정한다. 상기 판정된 고유 ID로부터, 상기 고유 ID에 대응하는 악곡 데이터를 기억부(13)로부터 판독하고, 음성 출력부(16)를 통해 헤드폰(5)으로부터 악곡 데이터에 대응하는 악곡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렇게 해서, 악곡 데이터의 재생 동작은 행해진다.In this state, as shown by an arrow in the figure of FIG. 3 (b), when a user selects one music piece from the list of reproducible music piec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 via the operation panel 4, A music selection command is output to the media management unit 12, and the media management unit 12 determines the unique ID of the music piece selected by the user indicated in the music selection command. From the memory unit 13, the music data corresponding to the unique ID from the determined unique ID, outputs the music piece corresponding to the music data from the headphone 5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16, to provide. In this way, the reproduction operation of the music data is performed.

또한, 사용자가, 도 3의 (a)에서, 「추천」을 선택한 경우에는, 미디어 관리부(12)가, 미리 정해진 선곡 프로그램에 따라 재생해야 할 악곡을 자동적으로 선택하고, 기억부(13)로부터 대응하는 악곡 데이터를 판독하여, 음성 출력부(16)를 통해, 헤드폰(5)으로부터 마찬가지로 재생함으로써, 재생 동작은 행해진다.3 (a), the media management unit 12 automatically selects a piece of music to be reproduced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selected music program, and when the user selects "recommend" from the storage unit 13 The corresponding music data is read and similarly reproduced from the headphone 5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16, whereby the reproducing operation is performed.

또한, 여기서, 미디어 데이터란, 사용자가 외부의 메모리 소자나 컴퓨터 등으로부터 받아들인 악곡 데이터이며, 기억부(13)에는, 이러한 악곡 데이터가, 입력부(14)를 통한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선택적으로 재생 가능한 형태로 다수 저장되어 있다. 이 미디어 데이터에는, 각각 헤더 정보로서, 「고유 ID」, 「명칭」, 「작성일」, 「갱신일」, 「재생 횟수」, 「사이즈」, 「코덱」 그 외 여러 가지 정보가 포함된다. 미디어 관리부(12)는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행할 때에, 필요에 따라 상기 헤더 정보를 재기록한다. 구체예로서, 예컨대 어떤 악곡 데이터의 헤더 정보는, [001, ABCD, 20080801, 20080808, 012, 1MB, MP3, …]으로 되어 있고, 그 의미는, 고유 ID(또는 트랙 번호, 악곡 식별 번호 등)가 001, 명칭(또는 곡명이나 파일명 등)이 ABCD, 작성일이 2008년 8월 1일, 갱신일이 2008년 8월 8일, 재생 횟수가 12회, 사이즈가 1메가바이트, 코덱의 종류가 MP3라고 하는 것이다. 그리고 예컨대, 이 악곡 데이터의 재생을 1회 더 행하여 누계 13회의 재생 횟수가 되면, 미디어 관리부(12)는, 상기 헤더 정보 중 「재생 횟수」의 수치 012에 1을 더하여 013으로서 재기록한다.In this case, the media data is music data received by the user from an external memory element or a computer, and the music data is selective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 by the user's instruction through the input unit 14 Many are stored in a reproducible form. The media data include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unique ID", "name", "date of creation", "update date", "number of plays", "size", "codec" and other information as header information. The media management unit 12 rewrites the header information as necessary when processing media data. As a specific example, for example, header information of some music data is [001, ABCD, 20080801, 20080808, 012, 1 MB, MP3, ... ], And the meaning thereof is as follows: 001, a name (or a name of a song or a file name) is ABCD, a creation date is August 1, 2008, and a renewal date is August 2008 8 days, the number of playback is 12, the size is 1 megabyte, and the codec type is MP3. For example, when the music data is reproduced one time and the cumulative number of times of reproduction reaches 13 times, the media management unit 12 adds 1 to the numerical value 012 of " number of times of reproduction "

3-2. 게임 프로그램의 실행3-2. Execution of game program

미디어 재생 장치(1)의 데이터 관리부(11)는, 외부로부터 게임 프로그램을 받아들여 기억부(13)에 보존하고 있다. 게임 실행부(17)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반(4) 및 입력부(14)를 통해 입력된 커맨드에 기초하여,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즉, 기억부(13)로부터 게임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상기 게임 프로그램의 기재에 기초하여 게임을 실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게임의 내용 및 실행 방법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행하는 것으로 한다.The data management unit 11 of the media playback apparatus 1 receives the game program from the outside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13. [ The game executing section 17 executes a game program based on a command inputted through the operation section 4 and the input section 14 by the user. That is, the game program is read from the storage unit 13 and the game is executed ba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game program. The content of the game and the method of execution in this embodiment will be performed by a known method for parts no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본 실시형태의 게임 프로그램에 따르면 게임 중에서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고, 이하에 그 순서의 일례를, 도 3의 화상 표시 및 도 4의 캐릭터 생성에 관한 흐름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캐릭터 생성부(18)는, 화상 출력부(15) 및 액정 패널(3)을 통해, 도 3의 (a)에 도시하는 조작 안내의 표시를 행한다(ST01). 여기서 사용자가 조작반(4) 및 입력부(14)를 통해 「악곡 지정」을 선택 입력하면, 그에 따라 캐릭터 생성부(18)는, 미디어 관리부(12)를 통해, 기억부(13)에 보존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의 헤더 정보로부터, 예컨대 도 3의 (b)와 같이 곡명을 리스트 형식으로 하여 표시 출력한다(ST02). 사용자는 이 리스트에 기초하여, 조작반(4)을 조작해서 악곡을 선택한다(ST03). 입력된 선택 커맨드에 기초하여, 캐릭터 생성부(18)는, 미디어 관리부(12)를 통해 상기 악곡의 악곡 데이터를 재생하고(ST04), 음성 출력부(16) 및 헤드폰(5)을 통해 출력한다. 그때에 선택되어 재생 중인 악곡을 나타내는 화면 표시가 도 3의 (c)와 같이 이루어진다. 또한, 악곡의 선택 방법으로서는, 아티스트나 앨범 등의 계층 카테고리를 순서대로 선택하여 원하는 악곡을 검색 표시하는 등, 그 외의 방법을 취해도 된다. 또한, 도 3의 (a)로부터 도 3의 (c)에서 도시한, 악곡을 지정하여 재생하는 단계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통상의 미디어 재생 장치(1)에서의 악곡 재생 순서와 완전히 동일하며, 사용자는, 게임 요소의 생성 시에도, 통상의 악곡을 재생하여 듣는 경우와 동일한 조작을 행하기 때문에, 아무런 위화감 없이, 캐릭터 등의 게임 요소의 생성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이 도 3의 (a)로부터 도 3의 (c), 즉 도 4의 ST01로부터 ST04까지는, 미디어 재생 장치(1)에 내장된 펌웨어, 즉 미디어 재생 장치 고유의 조작 프로그램을 거의 그대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게임 요소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game program of the present embodiment, a character can be created in the game, and an example of the order will be described below based on the image display of Fig. 3 and the flowchart of character creation of Fig. First, the character generating unit 18 displays the operation guidance shown in Fig. 3 (a)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15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3 (ST01). Here, when the user selects " designate musical composition " through the operation panel 4 and the input section 14, the character generation section 18 causes the media management section 12 to acqui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b), from the header information of the music data (ST02). Based on this list,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panel 4 to select a piece of music (ST03). Based on the input selection command, the character generation section 18 reproduces the music data of the musical tune through the media management section 12 (ST04), and outputs it through the audio output section 16 and the headphone 5 . A screen display indicating the music piece being selected at that time and being reproduced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3 (c). As a method of selecting a piece of music, other methods may be employed, such as selecting and displaying a desired piece of music by sequentially selecting a hierarchical category such as an artist or an album. The steps of designating and reproducing the musical tones shown in Figs. 3A to 3C are completely the same as those of the music reproducing procedure in the normal media reproduction apparatus 1 , The user can perform the same operation as in the case of playing and listening to a normal music piece even when creating the game element, so that the generation operation of a game element such as a character can be started without any sense of discomfort. 3 (a) to 3 (c), that is, from ST01 to ST04 in FIG. 4, the firmware built in the media playback apparatus 1, that is, the operation program unique to the media playback apparatus,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program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the game element.

악곡의 재생 출력에 기초하여, 사용자는 이 악곡에서 캐릭터의 생성을 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ST05), 그 취지의 입력(도 3의 「되돌아감」을 선택)을 행하여, 다시 ST03의 단계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 악곡에서 생성을 행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조작반(4) 및 입력부(14)를 통해 결정 커맨드(도 3의 「결정」을 선택)를 입력한다(ST05). 이에 따라 캐릭터 생성부(18)는, 결정된 악곡의 악곡 데이터의 헤더 정보로부터 고유 ID를 취득한다. 캐릭터 보존부(19)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미디어 데이터인 고유 ID와 오브젝트인 캐릭터의 조합을 나타내는 대조 테이블을 미리 갖고 있고, 캐릭터 생성부(18)는, 상기 참조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고유 ID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캐릭터를 검출한다. 도 5의 예에서는 하나의 고유 ID에 복수의 캐릭터가 대응하고 있다(예컨대, 고유 ID 「001」에 대하여 캐릭터 「A1」, 「A2」, 「A3」의 3개가 대응). 예컨대 난수 등에 의한 추첨 처리를 행함으로써 이들 캐릭터 중에서 하나의 캐릭터를 선출한다. 대조 테이블 중의 데이터의 배열은, 게임 프로그램의 기동 시 또는 게임 프로그램의 인스톨 시 등에 미디어 재생 장치(1)의 개체 ID나 사용자 정보 등에 기초하여 셔플(shuffle)하도록 해도 되고, 이렇게 함으로써 동일한 악곡이라도 장치가 상이하면 전혀 다른 캐릭터가 생성되기 때문에 재미있다.On the basis of the reproduction output of the musical composition, the user judges whether or not the character is to be created in the musical composition. If the user does not perform the composition (ST05), the user performs the input (selection of "return" in FIG. 3) , And the process returns to the step ST03.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usical composition is to be generated, a decision command (select "decision" in Fig. 3) is inputted through the operation panel 4 and the input section 14 (ST05). Thus, the character generating unit 18 acquires the unique ID from the header information of the music data of the determined music. The character storage unit 19 previously has a check table indicating a combination of a unique ID which is media data as shown in Fig. 5 and a character as an object. The character generation unit 18 refers to the reference table, And detects a corresponding character based on the unique ID. In the example of Fig. 5, a plurality of characters correspond to one unique ID (for example, three characters "A1", "A2", and "A3" correspond to the unique ID "001"). For example, a lottery process using a random number or the like is performed to select one of the characters. The arrangement of the data in the verification table may be shuffled based on the object ID and user information of the media reproduction apparatus 1 at the time of starting the game program or installing the game program, If it is different, it is interesting because an entirely different character is created.

도 5에 도시하는, 고유 ID와 캐릭터의 대조 테이블, 즉, 미디어 데이터의 속성 정보인 고유 ID와 오브젝트인 캐릭터의 대조 테이블에는, 각 악곡마다 복수의 캐릭터 등의 게임 요소가 대응하는 형태로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가 입력부(14)를 통해 선택한(ST03) 악곡에 따라, 대응하는 캐릭터가 캐릭터 생성부(18)에 의해 복수개 선택되며, 이들 선택된 복수개의 캐릭터, 예컨대, 캐릭터 A1, A2, A3으로부터, 하나의 캐릭터가 랜덤하게, 또는 미리 정해진 선택 기준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이 고유 ID(속성 정보)와 캐릭터(오브젝트)의 조합은, 고정적인 것은 아니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예컨대, 게임의 미리 정해진 플레이 시간, 악곡의 미리 정해진 재생 시간, 재생 악곡마다, 미디어 재생 장치(1)의 전원 투입 시마다, 게임을 개시할 때마다 등] 캐릭터 생성부(18)에 의해 셔플되거나, 또는, 게임 프로그램에 미리 저장된 다수의 오브젝트로부터, 랜덤하게 판독하여 각 고유 ID(속성 정보)에 할당하는 형태로, 항상 새로운 조합의 테이블이 생성되도록 제어된다. 이에 따라, 게임 요소의 생성 시에, 여느 때와 같은 습관으로, 사용자가 습관적으로 마음에 드는 악곡을 재생하도록 입력부(14)를 조작해도, 동일한 게임 요소가 생성될 확률은 적으며, 간단한 프로그램 구성으로, 사용자의 악곡의 커스터마이즈 상태에 적합한 형태로 새로운 게임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5, game elements such as a plurality of characters are stored in correspondence tables for each piece of music in a matching table of a unique ID and a character, that is, a matching table of character, which is a unique ID which is attribute information of media data,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characters are selected by the character generating unit 18 in accordance with a piece of music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4 (ST03), and from the selected plurality of characters, for example, the characters A1, A2, One character is selected randomly or on the basis of a predetermined selection criterion. The combination of the unique ID (attribute information) and the character (object) is not fixed, bu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lapse of time (e.g., a predetermined play time of the game, a predetermined play time of the music, (Every time the power source of the game machine 1 is turned on, every time the game is started, etc.) The random number is randomly read from a plurality of objects shuffled by the character generator 18 or stored in advance in the game program, The table is always controlled so that a new combination table is generated. Accordingly, even when the input unit 14 is operated so as to reproduce a habitually favorite music piece with the habit of customization at the time of creation of the game element, the probability that the same game element is generated is small, , A new game element can be created in a form suitable for the customized state of the music piece of the user.

또한, 사용자가 기억부(13)에 저장한 악곡의 수에 대응하는 형태로, 캐릭터 생성부(18)는, 각 악곡에 대하여 복수의 게임 요소를 할당하는 형태로 도 5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생성하지만, 할당해야 할 캐릭터 등의 게임 요소는, 미리 기억부(13)에 저장된 게임 프로그램에 저장되어 있고, 캐릭터 생성부(18)는, 사용자가 기억부(13)에 저장한 악곡의 수에 대응하는 수의 게임 요소를 판독하여, 각 악곡에,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 개씩 할당하는 형태로, 악곡과 게임 요소의 대조 테이블을 생성한다.In addition,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pieces of music stored by the user in the storage unit 13, the character generating unit 18 generates a table shown in Fig. 5 in such a manner that a plurality of game elements are assigned to each piece of music However, a game element such as a character to be assigned is stored in advance in the game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section 13, and the character generation section 18 stores the game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pieces of music stored by the user in the storage section 13 And a plurality of pieces of music elements are assigned to the pieces of music as shown in Fig.

따라서, 사용자가 미디어 재생 장치(1)에 저장하는 악곡의 수가 많아질수록, 할당되는 게임 요소의 수가 증대하게 되고, 사용자는 그만큼 많은 종류의 캐릭터 등을 생성할 기회가 주어지게 되어, 사용자의 미디어 재생 장치(1)의 커스터마이즈 상태를 반영한 형태의 게임 요소의 생성이 가능해진다.Therefore, as the number of pieces of music stored by the user in the media player 1 increases, the number of game elements to be allocated increases, and the user is given the opportunity to create as many kinds of characters and the like, It is possible to create a game element in a form reflecting the customized state of the playback apparatus 1. [

캐릭터 생성부(18)는, 도 3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정에 의해 선출한 캐릭터의 화상 등을 표시 출력한다(ST06). 화상 등의 정보는 캐릭터 보존부(19)에 보존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상기 캐릭터 보존부(19)에 보존되어 있는 미리 정해진 캐릭터 데이터 테이블(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캐릭터마다 대응 설정되어 있다. 캐릭터 생성부(18)가 선출한 캐릭터에 대응하는 화상 등의 정보는 이 캐릭터 데이터 테이블에 기초해서 판독하여 화상 출력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게임 중에서의 캐릭터의 속성이나 능력값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도면에서는 「HP76」만 나타내고 있으나 복수 종류의 파라미터가 있어도 됨)도 표시하도록 한다. 파라미터는 캐릭터마다 고정값으로서 캐릭터 데이터 테이블에서 미리 설정하고 있어도 되고, 캐릭터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취득한 값을 기초로 적절한 랜덤 계수를 가미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값의 차이를 갖는 랜덤값으로 생성하도록 해도 된다.As shown in Fig. 3 (d), the character generating unit 18 displays and outputs an image of the character selected by the determination (ST06). The information such as an image is stored in the character storing unit 19 and is similarly set for each character by a predetermined character data table (not shown) stored in the character storing unit 19. [ Information such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selected by the character generating section 18 is read out and output as image data based on the character data table. Here, a parameter (only the " HP 76 " is shown in the figure, but a plurality of types of parameters may be present) indicating the attribute or the ability value of the character in the game is also displayed. The parameter may be set in advance in the character data table as a fixed value for each character or may be generated as a random value having a predetermined value difference by adding an appropriate random coefficient based on the value obtained from the character data table.

이상과 같이 캐릭터 생성부(18)에 의해 생성된 캐릭터는 캐릭터 보존부(19)에 있어서 게임 중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되고, 이후, 게임 실행부(17)에 의해 게임 중에서 이용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미디어 재생 장치(1)를 커스터마이즈하는 상태, 구체적으로는 어떠한 악곡을 보존하고 있는지 등의 상태에 따라 게임 요소인 캐릭터의 생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독자성을 발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haracter generated by the character generating unit 18 is set to be available for use in the game in the character storing unit 19, and is available for use in the game by the game executing unit 17 thereafter. As a result, a character as a game element can be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a state in which the user customizes the media player 1, specifically, what kind of music is stored, and the like, so that the user's uniqueness can be demonstrated.

다음으로, 도 3의 (a)에 도시하는 조작 안내의 표시에 의해, 사용자가 조작반(4) 및 입력부(14)를 통해 「추천」을 선택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도 4의 단계 ST01로부터 단계 ST11로 진행된다. 단계 ST11에서는, 「추천」의 선택에 따라 캐릭터 생성부(18)가, 기억부(13)에 보존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 선택 시에, 캐릭터 생성부(18)는, 미디어 관리부(12)를 통해 상기 악곡의 악곡 데이터를 재생하여(ST12), 음성 출력부(16) 및 헤드폰(5)을 통해 출력한다. 그때에 선택되어 재생 중인 악곡을 나타내는 화면 표시가 도 3의 (c)와 같이 이루어진다. 또한, 악곡의 선택 방법은 랜덤해도 되고, 게임에서의 상태 정보, 현재 시각, 미디어 재생 장치의 개체 ID 등의, 그 외의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하도록 해도 된다. 단계 ST12 이후에는, 도 3의 (c)의 화면 표시를 통해 「결정」 또는 「되돌아감」의 선택 입력을 판정하고(ST13), 「되돌아감」이면 단계 ST11로 되돌아가고, 「결정」이면 캐릭터 생성부(18)는, 결정된 악곡의 고유 ID를 취득하고, 대조 테이블로부터 대응하는 캐릭터를 검출하여, 그 캐릭터의 화상 등을 표시 출력한다(ST14). 「추천」에 의하면 사용자의 기호에 치우치지 않는 악곡의 선택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캐릭터 생성에서의 의외성을 즐길 수 있다.Next, a case where the user selects " recommend " through the operation panel 4 and the input section 14 by the display of the operation guidance shown in Fig. 3A will be described. In this case, the process proceeds from step ST01 in Fig. 4 to step ST11. In step ST11, the character generating section 18 selects the music data stored in the storing section 13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of " recommendation ". The character generating section 18 reproduces the music data of the musical tune through the media managing section 12 (ST12), and outputs it through the audio output section 16 and the headphone 5. A screen display indicating the music piece being selected at that time and being reproduced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3 (c). The method of selecting a piece of music may be random, and may be selected based on other information such as state information in the game, current time, entity ID of the media playback apparatus, and the like. After step ST12, the selection input of "decision" or "return" is judged (ST13) through the screen display of FIG. 3 (c). If "return",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T11. The generation unit 18 acquires the unique ID of the determined music tune, detects a corresponding character from the match table, and outputs an image or the like of the character (ST14). According to the " recommendation ", since the selection of the musical piec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taste of the user is performed, the unexpectedness in character creation can be enjoyed.

또한 다른 응용예로서, 캐릭터 생성에 관한 안내 표시 시에(예컨대, 도 4의 단계 ST01과 ST02의 도중에 위치하는 단계 등에 있어서), 선택해야 할 악곡에 대한 힌트를 화면 표시해 두도록 해도 된다. 사용자는 이 힌트에 관련된 악곡을 선택하게 된다. 캐릭터 생성부(18)는, 단계 ST05에서 결정한 악곡 데이터의 헤더 정보로부터 예컨대 곡명을 문자열 검색하여 힌트와 관련되는 문자열을 발견한 경우에, 특정 조건의 성립이라고 간주하고, 캐릭터 보존부(19)에 보존된 레어(rare)한 캐릭터를 생성하도록 해도 된다. 레어한 캐릭터란, 상기 대조 테이블(이것을 통상 대조 테이블이라고 함)과는 별개의 대조 테이블(특정 대조 테이블이라고 함)에 기재되어 있는 캐릭터를 말하며, 특정 대조 테이블에 기재되어 있는 캐릭터는 통상 대조 테이블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캐릭터 생성부(18)가, 힌트로서 「LOVE한 곡을 지정해라!」라고 하는 힌트를 액정 패널(3) 등의 표시 수단 상에 표시한 경우, 사용자는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수단 상에 선택 가능하게 표시되는 미디어 데이터의 일람으로부터, 타이틀에 「LOVE」라고 하는 문자열을 포함한 악곡을 선택하고, 조작반(4)을 통해 상기 악곡을 선택하는 지령을, 입력부(14)를 통해 미디어 관리부(12) 및 캐릭터 생성부(18)에 대하여 출력한다. 미디어 관리부(12)는, 상기 악곡을 음성 출력부(16)를 통해 재생하고, 캐릭터 생성부(18)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악곡의 타이틀을 검색하여, 「LOVE」라고 하는 문자열이 사용자가 선택한 악곡의 타이틀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입력부(14)를 통해 지정한 악곡의 곡명이 「I LOVE YOU」였다고 하면, 「LOVE」라고 하는 문자열이 발견되기 때문에, 전술한 특정 조건이 성립하여, 레어한 캐릭터를 생성하게 된다.As another application example, a hint about a piece of music to be selected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at the time of displaying a guide about character creation (for example, at a step located in the middle of steps ST01 and ST02 in Fig. 4). The user selects a piece of music related to the hint. When the character string related to the hint is found from the header information of the music data determined in step ST05 and the character string is searched for, for example, a character string, the character generating unit 18 regards that the specific condition is satisfied, A rare character stored may be generated. The rare character refers to a character described in a check table (referred to as a specific check table) which is separate from the check table (which is referred to as a normal check table), and the character described in the specific check table is referred to as a normal check table . More specifically, when the character generating section 18 displays a hint "Specify a LOVE song!" As a hint on the display means such as the liquid crystal panel 3, Quot; LOVE " is selected from the list of media data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so as to be selectable on the display means, and a command to select the music piece through the operation panel 4, And outputs it to the media management unit 12 and the character generation unit 18 through the input unit 14. [ The media management unit 12 reproduces the music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16 and the character generation unit 18 searches for the title of the music piece selected by the user so that the character string " LOVE "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included in the title of the musical composition. For example, when the music title designated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4 is "I LOVE YOU", a character string "LOVE" is found, so that the above-described specific condition is established and a rare character is generated.

또한 다른 응용예로서, 게임 실행부(17)는, 게임 프로그램을 기동할 때마다, 캐릭터 생성부(18)에 의해 생성되어 게임 중에서 사용 가능하게 되어 있는 캐릭터의 정보를 갱신하도록 해도 된다. 예컨대, 캐릭터의 정보로서, 상기 캐릭터의 생성 시에 지정된 악곡의 정보(고유 ID 등)와 이전회 게임 프로그램 종료 시점의 상기 악곡의 재생 횟수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게임 프로그램의 기동 시에 게임 실행부(17)는, 이 악곡의 현시점에서의 재생 횟수를 취득하고, 캐릭터 정보에 있는 재생 횟수와의 차분을 계산하여 그 값을 상기 캐릭터의 파라미터에 반영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생성 시에 악곡의 재생 횟수가 12회이고, 그 후의 게임 프로그램의 기동 시의 상기 악곡의 재생 횟수가 15회였던 경우, 15-12=3이라고 계산하고, 그 차분값인 3을 파라미터(예컨대, 능력값이나 경험값 등으로 불리는 값)에 추가한다. 예컨대 도 3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게임 프로그램의 기동 전에 「HP76」이었던 경우에는, 이것에 3을 더하여 「HP79」로 한다. 물론, 계산한 차분의 값을 그대로 더하는 것이 아니라, 차분의 값을 기초로 한 다른 연산 방법으로 파라미터에 반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캐릭터를 생성했을 때에 지정한 악곡을 많이 재생할수록 캐릭터가 강해진다고 하는 사양이 되어, 음악 감상과 제휴할 수 있기 때문에 재미있다. 물론, 재생 횟수를 참조하는 대상이 되는 것은 악곡 데이터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동화상 데이터나 정지 화상 데이터 등 다른 데이터여도 가능하다.As another application, the game executing section 17 may update the information of the character that is generated by the character generating section 18 and is usable in the game each time the game program is started.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information of the character includes the information (unique ID, etc.) of the piece of music designated at the time of creation of the character and the number of times of reproduction of the piece of music at the end of the previous game program. When the game program is started, the game executing section 17 acquires the number of times of reproduction at the current point of the music, calculates the difference from the number of times of reproduction in the character information, and reflects the difference in the parameter of the character . Specifically, when the number of times of reproduction of the musical tune at the time of generation is 12 and the number of times of reproduction of the musical tune at the time of starting the subsequent game program is 15, 15-12 = 3 is calculated, and the difference value 3 Parameter (for example, a value called an ability value or an experiential valu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d), when the game program is "HP76" before the start of the game program, 3 is added to this to make "HP79".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reflect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in another calculation method based on the difference value, instead of adding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as it is. By doing this, when the character is created, it becomes interesting that it becomes a specification that the character becomes stronger as a lot of the designated music piece is reproduced, and it can associate with the music appreciation. Of course, the object to which the number of times of reproduction is referred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of music data but may be other data such as moving image data or still image data.

위에서 설명한 캐릭터의 생성은, 게임 요소로서의 오브젝트의 생성의 일례이며, 생성하는 것은 캐릭터에 한정되지 않고, 게임 중에서 이용되는 요소이면, 캐릭터가 이용하는 장비품이나 무기, 아이템, 부품 등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악곡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을 행하였으나, 악곡 데이터가 아니어도 동화상 데이터, 정지 화상 데이터, 캘린더 정보, 텍스트 정보 등, 미디어 재생 장치에 있어서 보존할 수 있는 정보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The creation of a character described above is an example of creation of an object as a game element. The creation of the character is not limited to a character, but may be any equipment, weapon, item, or part used by a character. Further, although the generation is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music data, it may be any information that can be stored in the media reproduction apparatus, such as moving picture data, still picture data, calendar information, and text information.

1: 미디어 재생 장치 17: 게임 실행부
18: 캐릭터 생성부
1: media player 17: game player
18: Character creating unit

Claims (7)

화상 표시 가능한 모니터와, 악곡 데이터를 보존 가능한 기억부와, 상기 악곡 데이터에 대응한 악곡을 재생 출력 가능한 재생 출력부와, 입력 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입력 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상기 재생 출력부에 의해 재생 출력해야 할 악곡을 선택할 수 있는 미디어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조작부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커맨드에 기초하여, 상기 악곡 데이터를 재생하고, 게임 프로그램에 따라 게임을 진행시켜서, 상기 모니터에 화상을 표시하는 게임 진행 제어 수단과,
복수의 악곡 데이터 각각에 대한 속성 정보의 리스트를 갖는 대조 테이블을 저장하는 오브젝트 보조 수단으로서, 각 속성 정보는 각각의 악곡 데이터를 나타내고, 각 속성 정보는 복수의 게임 요소에 대응하며, 상기 복수의 게임 요소는 상기 게임 중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의 오브젝트 또는 캐릭터인 것인 오브젝트 보존 수단과,
상기 게임 진행 중에 출력해야 할 악곡이 상기 기억부에 저장된 복수의 악곡 데이터로부터 선택되면 게임 요소를 생성하는 오브젝트 생성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오브젝트 생성 제어 수단은,
선택된 악곡 데이터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를 취득하는 속성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대조 테이블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게임 요소로부터 취득한 속성 정보에 대응하는 게임 요소를 선택하는 오브젝트 선출 수단과,
선택한 게임 요소를 상기 게임 중에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표시 출력 수단을 갖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A recording medium having a monitor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a storage section capable of storing music data, a reproduction output section capable of reproducing and outputting music corresponding to the music data, and an input operation section, A media playback apparatus capable of selecting a music title to be output,
Game progress control means for playing back the music data and advancing the game according to the game program based on the input command inputted through the input operation portion to display an image on the monitor;
An object auxiliary means for storing a match table having a list of attribute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pieces of music data, wherein each attribute information represents each piece of music data, each attribute information corresponds to a plurality of game elements, Wherein the element is a virtual object or character usable in the game,
And object generation control means for generating a game element when a piece of music to be output during the game progress is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pieces of music data stored in the storage portion,
Wherein the object generation control means comprises:
Attribute information acquiring means for acquiring attrib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usic data;
Object selecting means for selecting a game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plurality of game elements stored in the match table,
And display output means for setting the selected game element to be usable during the g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조 테이블의 상기 속성 정보의 리스트와 상기 복수의 게임 요소의 조합을, 시간의 경과와 함께 변경하는 대조 테이블 생성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The media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atch table generation means for changing the combination of the list of attribute information and the plurality of game elements of the match table with the passage of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 가능한 상기 기억부에 저장된 복수의 상기 악곡 데이터를,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게 상기 모니터 상에 표시하는 악곡 데이터 제시 수단; 및
상기 악곡 데이터 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된 상기 악곡 데이터로부터 어떠한 악곡 데이터를 선택하는 커맨드가 상기 입력 조작부로부터 입력된 경우에, 상기 커맨드에 대응한 상기 악곡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읽어내고, 상기 재생 출력부를 통해 상기 악곡 데이터를 재생 출력할 수 있는 악곡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속성 정보 취득 수단은, 상기 악곡 데이터 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된 상기 악곡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상기 악곡 데이터에 관련되는 속성 정보를 취득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
The music re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music data presentation means for displaying on the monitor a plurality of pieces of music data stored in the storage portion reproducible by the media reproduction apparatus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music data; And
Wherein when a command for selecting any piece of music data from the music data displayed by the music data presentation means is input from the input operation portion, the music data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is read from the storage portion, And a music management section for reproducing and outputting the music data,
Wherein the attribut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acquires attribu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music data selected from the music data displayed by the music data presentation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게임 요소는 상기 게임 중에서 사용되는 가상 캐릭터인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The media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game elements are virtual characters used in the g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생성 제어 수단은, 상기 게임 중에, 통상의 악곡 선택 동작이 상기 입력 조작부를 통해 행해졌을 때에, 하나의 게임 요소를 생성하는 것인 미디어 재생 장치.The media re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bject generation control means generates one game element when a normal music selection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input operation section during the game. 화상 표시 가능한 모니터와, 악곡 데이터를 보존 가능한 기억부와, 상기 악곡 데이터에 대응한 악곡을 재생 출력 가능한 재생 출력부와, 입력 조작부를 갖고, 상기 입력 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상기 재생 출력부에 의해 재생 출력해야 할 악곡을 선택할 수 있는 컴퓨터를,
상기 입력 조작부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커맨드에 기초하여, 상기 악곡 데이터를 재생하고, 게임 프로그램에 따라 게임을 진행시켜서, 상기 모니터에 화상을 표시하는 게임 진행 제어 수단과,
복수의 악곡 데이터 각각에 대한 속성 정보의 리스트를 갖는 대조 테이블을 저장하는 오브젝트 보존 수단으로서, 각 속성 정보는 각각의 악곡 데이터를 나타내고, 각 속성 정보는 복수의 게임 요소에 대응하며, 상기 복수의 게임 요소는 상기 게임 중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의 오브젝트 또는 캐릭터인 것인 오브젝트 보존 수단과,
상기 게임 진행 중에 출력해야 할 악곡이 상기 기억부에 저장된 복수의 악곡 데이터로부터 선택되면, 게임 요소를 생성하는 오브젝트 생성 제어 수단
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오브젝트 생성 제어 수단은,
선택된 악곡 데이터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를 취득하는 속성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대조 테이블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게임 요소로부터 취득한 속성 정보에 대응하는 게임 요소를 선택하는 오브젝트 선출 수단과,
선택한 게임 요소를 상기 게임 중에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표시 출력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
1. A music reproduction apparatus comprising: a monitor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a storage section capable of storing music data; a reproduction output section capable of reproducing and outputting music corresponding to the music data; and an input operation section, A computer capable of selecting music to be output,
Game progress control means for playing back the music data and advancing the game according to the game program based on the input command inputted through the input operation portion to display an image on the monitor;
An object storage means for storing a verification table having a list of attribute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pieces of music data, wherein each attribute information represents each piece of music data, each attribute information corresponds to a plurality of game elements, Wherein the element is a virtual object or character usable in the game,
When a piece of music to be output during the game progress is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pieces of music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a program for causing the computer to function as:
Wherein the object generation control means comprises:
Attribute information acquiring means for acquiring attrib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usic data;
Object selecting means for selecting a game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plurality of game elements stored in the match table,
And a display output means for setting the selected game element to be usable during the game.
삭제delete
KR1020107028744A 2008-08-08 2009-01-23 Media reproduction device KR10149832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04947 2008-08-08
JP2008204947 2008-08-08
PCT/JP2009/051056 WO2010016283A1 (en) 2008-08-08 2009-01-23 Media reproduc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591A KR20110050591A (en) 2011-05-16
KR101498325B1 true KR101498325B1 (en) 2015-03-03

Family

ID=41663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8744A KR101498325B1 (en) 2008-08-08 2009-01-23 Media reproduction device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90672B2 (en)
EP (1) EP2308571A4 (en)
JP (1) JP5808071B2 (en)
KR (1) KR101498325B1 (en)
CN (1) CN102065960B (en)
WO (1) WO201001628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51404A (en) * 2015-09-09 2017-03-16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Gaming machine
CN108369353B (en) * 2015-12-10 2020-01-31 矽光学有限公司 Display screen for free view mode and limited view mode
JP6396536B2 (en) * 2017-06-02 2018-09-26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Server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3008A1 (en) * 2001-01-29 2002-08-01 Rahn Michael D. Cordless communication between PDA and host computer using cradle
JP2003230766A (en) * 2002-02-07 2003-08-19 Tecmo Ltd Game program
KR20070043801A (en) * 2004-07-22 2007-04-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Reproduction device, reproduction method,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0873A (en) * 1982-07-06 1987-12-01 Marvin Glass & Associates Video game incorporating digitized images of being into game graphics
US5393072A (en) * 1990-11-14 1995-02-28 Best; Robert M. Talking video games with vocal conflict
US7137892B2 (en) * 1992-05-22 2006-11-21 Sitrick David H System and methodology for mapping and linking based user image integration
US5830065A (en) * 1992-05-22 1998-11-03 Sitrick; David H. User image integration into audiovisual presentation system and methodology
US5553864A (en) * 1992-05-22 1996-09-10 Sitrick; David H. User image integration into audiovisual presentation system and methodology
US5680533A (en) * 1994-10-31 1997-10-21 Nintendo Co., Ltd. Videographics program/video game fabricating system and method
US6213871B1 (en) * 1997-02-19 2001-04-10 Kabushiki Kaisha Bandai Nurturing simulation apparatus for virtual creatures
JP3260653B2 (en) * 1997-03-25 2002-02-25 ヤマハ株式会社 Karaoke equipment
US6106399A (en) * 1997-06-16 2000-08-22 Vr-1, Inc. Internet audio multi-user roleplaying game
JPH11114226A (en) * 1997-10-17 1999-04-27 Tecmo Ltd Medium having game program recorded therein
JP2860097B1 (en) * 1998-01-08 1999-02-24 テクモ株式会社 Medium recording game program and game device
JP3697530B2 (en) * 1998-01-14 2005-09-21 オムロンエンタテインメント株式会社 Person image output apparatus, person image output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person image output program
JPH11219443A (en) * 1998-01-30 1999-08-10 Konami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 of character image, and recording medium
JP3911856B2 (en) * 1998-07-02 2007-05-09 株式会社セガ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and game apparatus to which the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is applied
JP3886260B2 (en) * 1998-07-22 2007-02-28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GAME DEVICE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6947044B1 (en) * 1999-05-21 2005-09-20 Kulas Charles J Creation and playback of computer-generated productions using script-controlled rendering engines
JP2001118084A (en) * 1999-10-18 2001-04-27 Toshiba Corp Object display control system and recording medium
JP2001190844A (en) * 2000-01-06 2001-07-17 Konami Co Ltd Game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game program
JP3425548B2 (en) * 2000-02-14 2003-07-14 コナミ株式会社 Video game apparatus, announcement sound output method in video g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nnouncement sound output program is recorded
US7118482B2 (en) * 2000-05-29 2006-10-10 Nintendo Co., Ltd. Game system using game cards and game machine
US20020077182A1 (en) * 2000-12-18 2002-06-20 Arthur Swanberg Interactive computer games
US20020128067A1 (en) * 2001-03-09 2002-09-12 Victor Keith Blanco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playing soundtracks in a gaming system
JP2003000951A (en) * 2001-06-22 2003-01-07 Konami Computer Entertainment Osaka:Kk Game advancing program, game advancing method and video game apparatus
JP2003019359A (en) * 2001-07-10 2003-01-21 Sega Corp Video game device, method for obtaining data,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JP2003325972A (en) * 2002-05-17 2003-11-18 Nintendo Co Ltd Game device changing sound and image in association with tilt operation, and game program therefor
JP2004029862A (en) * 2002-05-23 2004-01-29 Open Interface Inc Moving image producing apparatus, moving image producing method and program therefor
US7338373B2 (en) * 2002-12-04 2008-03-04 Nintendo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ounds in a video game
JP3788791B2 (en) * 2003-04-23 2006-06-21 株式会社ハル研究所 GAME DEVICE AND GAME PROGRAM
US7627343B2 (en) 2003-04-25 2009-12-01 Apple Inc. Media player system
JP3686906B2 (en) * 2003-07-30 2005-08-24 コナミ株式会社 Music game program and music game apparatus
US7789748B2 (en) * 2003-09-04 2010-09-07 Igt Gaming device having player-selectable music
US7239076B2 (en) * 2003-09-25 2007-07-03 General Electric Company Self-aligned gated rod field emission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of fabrication
US20070155494A1 (en) * 2004-08-25 2007-07-05 Wells Robert V Video game system and method
US20060058101A1 (en) * 2004-09-16 2006-03-16 Harmonix Music Systems, Inc. Creating and selling a music-based video game
WO2006033941A1 (en) * 2004-09-20 2006-03-30 Wms Gaming Inc. Virtual radio in a wagering game machine
JP3827693B2 (en) * 2004-09-22 2006-09-27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GAME DEVICE, GAME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06109966A (en) * 2004-10-13 2006-04-27 Ishisaki:Kk Sound game machine and cellular phone
JP4012921B2 (en) * 2005-12-09 2007-11-28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Game machine, game system, and program
US7946918B2 (en) * 2006-09-11 2011-05-24 Apple Inc. Allowing media and gaming environments to effectively interact and/or affect each other
JP4160091B2 (en) 2006-12-08 2008-10-01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GAME DEVICE, GAME ELEMENT GENERATION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3008A1 (en) * 2001-01-29 2002-08-01 Rahn Michael D. Cordless communication between PDA and host computer using cradle
JP2003230766A (en) * 2002-02-07 2003-08-19 Tecmo Ltd Game program
KR20070043801A (en) * 2004-07-22 2007-04-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Reproduction device, reproduction method,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08571A1 (en) 2011-04-13
CN102065960B (en) 2015-12-09
US20110124412A1 (en) 2011-05-26
KR20110050591A (en) 2011-05-16
JP5808071B2 (en) 2015-11-10
WO2010016283A1 (en) 2010-02-11
EP2308571A4 (en) 2012-07-18
CN102065960A (en) 2011-05-18
US8690672B2 (en) 2014-04-08
JP2010057888A (en)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53090B1 (en) Music game system, game control method suitable for the game syste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8907191B2 (en) Music appl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9529493B2 (en) Terminal, image display method and program for displaying music-related images
JP4860513B2 (en) Music video playback device that specifies the music for viewing the continuation of the video work
KR101498325B1 (en) Media reproduction device
WO2010110124A1 (en) Gaming device, tempo announcement metho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JP2005285285A (en) Content read system and musical piece reproduction apparatus
JP2010175819A (en) Karaoke network system
US10981063B2 (en) Video game processing apparatus and video game processing program product
JP2016051142A (en) Karaoke system
JP2008269431A (en) Content output device, content output method and program
JP4368817B2 (en) Portable music player with lyrics display
WO2007007522A1 (en) Game program, game machine, and game method
JP2019037792A (en) Video game processor, and video game processing program
JP2000200089A (en) Communication karaoke sing-along system
JP7456232B2 (en) Photo movie generation system, photo movie generation device, user terminal, photo movie generation method, and program
KR102260408B1 (en) Method for playing contents
JP6575889B1 (en) Karaoke distribution system
JP2016051141A (en) Karaoke system
JP2016051140A (en) Karaoke system
JP6544891B2 (en) Karaoke system
JP5034602B2 (en) Electronic music apparatus and program
JP2009017025A (en) Mass-media reproducing device
JP2004294888A (en) Music reproducing apparatus and program
WO2014162569A1 (en) Playback device, playback system, playback method, playback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