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490B1 -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490B1
KR101497490B1 KR20130116788A KR20130116788A KR101497490B1 KR 101497490 B1 KR101497490 B1 KR 101497490B1 KR 20130116788 A KR20130116788 A KR 20130116788A KR 20130116788 A KR20130116788 A KR 20130116788A KR 101497490 B1 KR101497490 B1 KR 101497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amount
failure
power system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6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훈
한상욱
송지영
신정훈
김태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130116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4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6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 H02H7/261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involving signal transmission between at least two stations
    • H02H7/263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involving signal transmission between at least two stations involving transmissions of measured valu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선로 조류 및 전압과 부하이동에 따른 선로의 조류변화 곡선 및 부하이동에 따른 모선의 전압변화 곡선을 이용하여 계통의 다중고장 발생시 부하의 차단량 또는 절체량을 산출하도록 한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 및 방법이 제시된다. 제시된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는, 수집한 계통 데이터 및 조류 데이터와, 부하이동에 따른 선로의 조류변화 곡선과 부하이동에 따른 모선의 전압변화 곡선을 근거로 부하차단량 및 부하절체량을 산출하고, 수집한 계통데이터 및 조류데이터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부하차단으로 판단하면 산출한 부하차단량을 근거로 부하차단 신호를 출력하고, 부하절체로 판단하면 산출한 부하절체량을 근거로 부하절체 신호를 출력한다.

Description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ING POWER SYSTEM}
본 발명은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계통의 안정화를 위해 전력계통의 고장 발생시 부하차단량 및 부하절체량을 산출하는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력계통의 안정도 및 신뢰도 유지를 위해서 국내 가공송전선로 연속허용전류는 101~120%까지 20분, 121~150%까지는 5분의 과부하율 운전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국내 운영기준 중 전력계통 신뢰도 및 전기품질유지 기준에 따르면 계통동요 증가 및 전압불안정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장파급방지장치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고장파급방지장치는 고장발생시 P-V 곡선, F-V 곡선을 이용하여 부하차단량을 산정한다. 하지만, 계통의 안정도 검토를 위해서 사용되는 -V 곡선, P-V 곡선은 송전단의 발전력을 증가시켜 안정도를 판별하는 방법으로 발전단에서 먼 부하지역일 경우 발전단에서 부하단까지 오는 송전선로의 임피던스에 의한 영향까지 고려함으로 부하차단량 과산정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고장파급방지장치는 단일고장, 이중고장으로 한정된 계통사고에 대해서만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중 고장 발생시에는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장파급방지장치 동작시 차단부하가 실시간으로 반영되지 않아 과차단 되거나 부족차단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휴전 등의 계통 변경이 있을 경우 상정사고시 과부하 해소를 위해서 수동 부하절체 방안을 수립한다.
하지만, 현재 시스템에서는 실시간으로 계통상황을 감시하고 고장시 계통상황에 따라 정확한 부하절체 필요량을 알 수 없다.
수동 부하절체는 부하절체량을 산정함에 있어 운용자가 수동으로 산출하기 때문에 과절체, 부족절체, 부하절체 중 휴먼 에러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고장파급방지 장치에 의해 계통사고시 부하차단하는 곳은 6개소로 휴먼 에러, 계전기의 오동작 등에 의해 대규모 정전 및 계통불안정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1: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9239호(명칭: 전력계통의 부하 제어 장치 및 방법) 선행문헌2: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35659호(명칭: 부하차단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선로 조류 및 전압과 부하이동에 따른 선로의 조류변화 곡선 및 부하이동에 따른 모선의 전압변화 곡선을 이용하여 계통의 다중고장 발생시 부하의 차단량 또는 절체량을 산출하도록 한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는, 전력계통의 계통 데이터 및 송전선로의 조류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수집한 계통 데이터 및 조류 데이터와, 부하이동에 따른 선로의 조류변화 곡선과 부하이동에 따른 모선의 전압변화 곡선을 근거로 부하차단량 및 부하절체량을 산출하는 산출부; 수집부에서 수집한 계통데이터 및 조류데이터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부하차단 여부 및 부하절체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판단부에서 부하차단으로 판단하면 산출한 부하차단량을 근거로 부하차단 신호를 출력하고, 판단부에서 부하절체로 판단하면 산출한 부하절체량을 근거로 부하절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산출부는, 모선의 전압 문제로 인한 과부하 발생시 부하이동에 따른 모선의 전압변화 곡선을 근거로 고장 전 모선전압에 대응되는 고장 전 부하량 및 고장 후 모선전압에 대응되는 고장 후 부하량을 산출한다.
산출부는, 선로의 과부하로 인한 과부하 발생시 부하이동에 따른 선로의 조류변화 곡선을 근거로 고장 전 모선전압에 대응되는 고장 전 부하량 및 고장 후 모선전압에 대응되는 고장 후 부하량을 산출한다.
산출부는, 고장 전 부하량에서 고장 후 부하량을 감산하여 부하절체량 및 부하차단량을 산출한다.
판단부는, 감시 송전선로의 차단기 개폐 여부를 근거로 계통의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하되, 감시 송전선로의 차단기가 개방(Open) 상태이면 계통의 고장 발생으로 판단한다.
판단부는, 송전선로의 과부하량이 설정값 이상이면 부하 차단으로 판단하고, 송전선로의 과부하량이 설정값 미만이면 부하 절체로 판단한다.
출력부는, 판단부에서 부하차단으로 판단하면 산출한 부하차단량을 포함하는 부하차단 신호를 변전소 관리장치에게로 전송하고, 판단부에서 부하절체으로 판단하면 산출한 부하절체량을 포함하는 부하절체 신호를 배전선로 관리장치에게로 전송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 안정화 방법은,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전력계통의 계통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송전선로의 조류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수집한 계통 데이터 및 조류 데이터와, 부하이동에 따른 선로의 조류변화 곡선과 부하이동에 따른 모선의 전압변화 곡선을 근거로 부하차단량 및 부하절체량을 산출하는 단계;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수집한 계통데이터 및 조류데이터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부하차단 여부 및 부하절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판단하는 단계에서 부하차단으로 판단하면 산출한 부하차단량을 근거로 부하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판단하는 단계에서 부하절체로 판단하면 산출한 부하절체량을 근거로 부하절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부하차단량 및 부하절체량을 산출하는 단계에서는,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모선의 전압 문제로 인한 과부하 발생시 부하이동에 따른 모선의 전압변화 곡선을 근거로 고장 전 모선전압에 대응되는 고장 전 부하량을 산출하는 단계;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부하이동에 따른 모선의 전압변화 곡선을 근거로 고장 전 모선전압에 대응되는 고장 후 모선전압에 대응되는 고장 후 부하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고장 전 부하량에서 고장 후 부하량을 감산하여 부하절체량 및 부하차단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부하차단량 및 부하절체량을 산출하는 단계에서는,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선로의 과부하로 인한 과부하 발생시 부하이동에 따른 선로의 조류변화 곡선을 근거로 고장 전 모선전압에 대응되는 고장 전 부하량을 산출하는 단계;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선로의 과부하로 인한 과부하 발생시 부하이동에 따른 선로의 조류변화 곡선을 근거로 고장 후 모선전압에 대응되는 고장 후 부하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고장 전 부하량에서 고장 후 부하량을 감산하여 부하절체량 및 부하차단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부하차단 여부 및 부하절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송전선로의 과부하량이 설정값 이상이면 부하 차단으로 판단하고, 송전선로의 과부하량이 설정값 미만이면 부하 절체로 판단한다.
부하차단 여부 및 부하절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감시 송전선로의 차단기가 개방(Open) 상태이면 계통의 고장 발생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부하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산출한 부하차단량을 포함하는 부하차단 신호를 변전소 관리장치에게로 전송한다.
부하절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산출한 부하절체량을 포함하는 부하절체 신호를 배전선로 관리장치에게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 및 방법은 선로 조류 및 전압과 부하이동에 따른 선로의 조류변화 곡선 및 부하이동에 따른 모선의 전압변화 곡선을 이용하여 계통의 다중고장 발생시 부하의 차단량 또는 절체량을 산출함으로써, 기존 고장파급방지장치의 단점인 계통고장시 사전 선정된 부하의 일괄 차단 및 운영자가 판단하여 고장파급방지장치의 ON/OFF 수동운전 등에 대한 해법으로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 및 방법은 선로 조류 및 전압과 부하이동에 따른 선로의 조류변화 곡선 및 부하이동에 따른 모선의 전압변화 곡선을 이용하여 계통의 다중고장 발생시 부하의 차단량 또는 절체량을 산출함으로써, 스카다 등과 연계하여 실시간으로 다중 고장 사고시에도 계통상황에 적합한 부하량을 산정하여 차단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 및 방법은 선로 조류 및 전압과 부하이동에 따른 선로의 조류변화 곡선 및 부하이동에 따른 모선의 전압변화 곡선을 이용하여 계통의 다중고장 발생시 부하의 차단량 또는 절체량을 산출함으로써, 휴전 등 계통 사고 대비하여 부하절체량 및 차단량을 산정을 수동으로 하였으나, 자동으로 부하절체량 산정 및 절체가 가능하여 계통안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 및 방법은 선로 조류 및 전압과 부하이동에 따른 선로의 조류변화 곡선 및 부하이동에 따른 모선의 전압변화 곡선을 이용하여 계통의 다중고장 발생시 부하의 차단량 또는 절체량을 산출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적합한 차단부하를 선정하여 차단하고, 부하절체가 필요시 자동으로 부하를 타 변전소로 이전함으로써 계통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산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 안정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 및 도 8은 도 6의 부하차단량 및 부하절체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산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스카다 서버(200) 및 현장 감지장치(300)로부터 전력계통 데이터 및 송전선로(10)의 조류데이터를 수집한다.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고장발생시 부하이동에 따른 선로의 조류변화 곡선(이하, L-F 곡선 )과 부하이동에 따른 모선의 전압변화 곡선(이하, L-V 곡선)을 이용하여 부하차단량/부하절체량을 산출한다.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산출한 부하차단량/부하절체량을 변전소(30)에 설치된 변전소 관리장치(400) 또는 배전선로 관리장치(500)로 전송한다. 이때,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부하차단시 변전소 관리장치(400)로 부하차단량을 전송하고, 부하절체시 배전선로 관리장치(500)에게로 부하절체량을 전송한다. 그에 따라, 변전소 관리장치(400)는 배전선로(20)의 감시량을 근거로 차단 대상을 선정하여 부하차단을 수행하여 전력계통을 안정화한다. 배전선로 관리장치(500)는 배전계통 조작시스템(미도시, 즉, 배전지능화시스템)에 따라 배전선로(20)의 개폐기를 조작하여 부하절체를 수행하여 전력계통을 안정화한다. 이때,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급전원이 알 수 있도록 부하절체량과 절체 대상, 및 부하차단량 및 차단 대상을 화면출력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기준값 설정부(110), 수집부(120), 산출부(130), 판단부(140), 출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준값 설정부(110)는 계통고장 발생의 기준이 되는 기준값을 설정한다. 이때, 기준값 설정부(110)는 모선의 허용전압범위 및 송전선로(10)의 허용용량을 포함하는 기준값을 설정한다. 여기서, 기준값 설정부(110)는 스카다 서버(200)로부터 모선의 허용전압범위 및 송전선로(10)의 허용용량을 수신하여 기준값을 설정한다.
수집부(120)는 현장 감시장치로부터 전력계통의 계통 데이터 및 송전선로(10)의 조류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때, 수집부(120)는 감시모선의 전압, 송전선로(10)의 조류 데이터(P), 감시선로의 차단기 개폐 정보를 포함하는 계측 정보를 수집한다.
산출부(130)는 수집부(120)에서 수집한 계통 데이터 및 조류 데이터와, L-V 곡선 및 L-F 곡선을 이용하여 부하차단량 및 부하절체량을 산출한다. 즉, 산출부(130)는 판단부(140)에서 모선의 전압 문제로 인한 과부하 발생으로 판단하면 L-V 곡선을 근거로 고장 전 모선전압에 대응되는 부하량(즉, 고장 전 부하량) 및 고장 후 모선전압에 대응되는 부하량(즉, 고장 후 부하량)을 검출한다. 산출부(130)는 판단부(140)에서 선로의 과부하로 인한 과부하 발생으로 판단하면 L-F 곡선을 근거로 고장 전 모선전압에 대응되는 부하량(즉, 고장 전 부하량) 및 고장 후 모선전압에 대응되는 부하량(즉, 고장 후 부하량)을 검출한다
산출부(130)는 기검출한 고장 전 부하량에서 고장 후 부하량을 감산하여 부하절체량 및 부하차단량을 산출한다. 즉, 산출부(130)는 모선 전압 문제시 L-V 곡선을 근거로 검출한 고장 전 부하량과 고장 후 부하량을 이용하여 부하절체량 및 부하차단량을 산출한다. 산출부(130)는 선로의 과부하 문제시 L-F 곡선을 근거로 검출한 고장 전 부하량과 고장 후 부하량을 이용하여 부하절체량 및 부하차단량을 산출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부하절체량 및 부하차단량의 산출을 위해 이용되는 L-V 곡선 및 L-F 곡선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P-V 곡선, F-V 곡선을 이용하여 부하차단량을 산정하는 종래의 기술에서는 관심지역의 전압과 조류의 한계량 검토시 발전기의 발전량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발전단으로부터 관심지역까지의 장거리 송전선로 임피던스로 인하여 계통의 한계량이 적어져 오차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L-V 곡선 및 L-F 곡선을 이용하여 인접지역의 부하이전을 통해서 송전선로 임피던스로 인한 오차를 최소화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개의 모선을 각진 시스템에서 버스 A에서의 전력 조류량은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13088853347-pat00001
Figure 112013088853347-pat00002
Figure 112013088853347-pat00003
여기서, T는 모선에 유입되는 전력, G는 모선에 유입되는 발전기, L은 모선에 연계된 부하를 의미한다. 이때, δ는 관심모선에서의 전압의 각도이고, V는 모선전압의 크기를 의미한다.
부하 절체(차단)에 따른 조류의 흐름을 나타내기 위한 시나리오를 가정하기 위해 부하의 변화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μ를 모선 i의 부하에 적용하여 부하 절체(차단)에 따른 조류의 변화 시나리오를 고안된 수식에 적용하면, A지역에서 부하는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감소하게 표현된다.
Figure 112013088853347-pat00004
B지역에서 부하는 하기의 수학식 3과 같이 증가하게 표현된다.
Figure 112013088853347-pat00005
Figure 112013088853347-pat00006
여기서, PLio는 bus i에서의 부하의 유효전력값이고, kLAi는 A지역에서 bus i의 PLAo , total 프렉션 팩터(fraction factor)이고, kLBi는 B지역에서 bus i의 PLAo , total 프렉션 팩터(fraction factor)이고, PLA0 , Total는 A지역의 부하 감소 전력량이고, ΔPLB,Total은 B지역의 부하 증가 전력량이다.
수학식 2 및 수학식 3을 상술한 수학식 1에 적용하여 정리하면, A지역의 전력량은 하기의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13088853347-pat00007
Figure 112013088853347-pat00008
B지역의 전력량은 하기의 수학식 5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13088853347-pat00009
Figure 112013088853347-pat00010
수학식 4와 수학식 5를 통해서 전압 및 조류의 파라미터는 δ(위상), V(전압), μ(부하의 변화), ΔP(조류의 변화) 에 대한 값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조류 방정식은 부하변화에 따른 전압변화(L-V), 부하변화에 따른 조류의 변화(L-F)를 나타내는 기본식이 된다.
고안된 수식에 따라 L-V 곡선 및 L-F 곡선을 그리는 방법은 뉴튼-랍슨법의 자코비안을 기반으로 나타내면, 도 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L-V 곡선에 발생된 V의 값을 수학식 4와 수학식 5에 대입하면 P값에 대해서 구할 수 있고 이때의 P값의 변화량으로 L-F 곡선 구할 수 있다.
고안된 조류 방정식의 수식을 적용하여 예측변수(Predictor)를 구하는 수식은 하기의 수학식 6과 같으며 이 수식은 자코비안 행렬을 통해서 하기의 수학식 7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Figure 112013088853347-pat00011
Figure 112013088853347-pat00012
Figure 112013088853347-pat00013
수학식 7에서 부하증가량에 따른 전압에 대해서만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하기의 수학식 8과 같이 수식을 정의할 수 있이며, 이를 통해 예측변수(Predictor)의 전압의 변화량을 계산하게 된다.
Figure 112013088853347-pat00014
여기서, 계산된 전압의 변화량(dV)은 하기의 수학식 9의 Corrector 수식의 변수값으로 대입되어 부하변화량에 따른 전압변화량의 값을 표시(곡선의 좌표 표시, 예를 들면, 그림 2의 ①점)하게 된다.
Figure 112013088853347-pat00015
이러한 방법을 지정된 오차율 최소화가 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계산을 통해 L-V 곡선을 그리게 된다. L-V의 곡선의 전압은 고안된 방법인 전압과 조류의 방정식인 수학식 4와 수학식 5에 따라 각 지점의 P, Q 값을 통해 L-F곡선을 그리게 된다.
결과적으로 발전력이 고정인 상태에서 전체 부하의 유효전력 값의 변화가 없으며, 고안된 수식과 뉴튼랍슨 법에 의한 반복 조류 계산법에 의해서 반복적으로 계산하고 기설정된 에러 이상을 넘어가게 되면 계산은 멈춘다. 즉, 하기의 수학식 10의 조건을 만족하면 계산을 멈춘다.
Figure 112013088853347-pat00016
이처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와 전압, 부하와 조류와의 관계를 통한 원리는 처음 고안된 것으로 기존의 P-V, F-V에 의한 전압안정도 방법과 차이가 있다.
판단부(140)는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계통의 고장 발생여부를 판단한다. 즉, 판단부(140)는 감시 송전선로(10)의 차단기 개폐 여부를 근거로 계통의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판단부(140)는 감시 송전선로(10)의 차단기가 개방(Open) 상태이면 계통의 고장 발생으로 판단한다.
판단부(140)는 고장 발생의 원인이 모선의 전압 문제인지 선로의 과부하인지 판단한다. 판단부(140)는 전압 불안정 발생 여부 및 송전선로(10)의 과부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부(140)는 전압 불안정 및 송전선로(10)의 과부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부하차단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부(140)는 발생한 송전선로(10)의 과부하량이 설정값 이상이 경우 부하 차단으로 판단하고, 송전선로(10)의 과부하량이 설정값 미만인 경우 부하 절체로 판단한다. 여기서, 설정값은 운영자에 의해 설정되는 값이며, 일반적으로 대략 150% 정도로 설정된다.
출력부(150)는 판단부(140)의 판단 결과를 근거로 부하차단량을 변전소 관리장치(400)에게로 출력한다. 즉, 출력부(150)는 판단부(140)에서 부하차단으로 판단하면 산출부(130)에서 산출한 부하차단량을 변전소 관리장치(400)에게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변전소 관리장치(400)는 배전선로(20)의 감시량을 근거로 차단 대상을 선정하여 부하차단을 수행하여 전력계통을 안정화한다. 이때, 출력부(150)는 급전원이 알 수 있도록 부하차단량 및 차단 대상을 화면출력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판단부(140)의 판단 결과를 근거로 부하절체량을 배전선로 관리장치(500)에게로 출력한다. 즉, 출력부(150)는 판단부(140)에서 부하 절체로 판단한 경우 산출부(130)에서 산출한 부하절체량으로 배전선로 관리장치(500)에게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배전선로 관리장치(500)는 배전계통 조작시스템(미도시, 즉, 배전지능화시스템)에 따라 배전선로(20)의 개폐기를 조작하여 부하절체를 수행하여 전력계통을 안정화한다. 이때, 출력부(150)는 급전원이 알 수 있도록 부하절체량과 절체 대상을 화면출력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 안정화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통 안정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부하차단량 및 부하절체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전력계통의 계통데이터를 수집한다(S100).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현장 감지장치(300)로부터 감시모선의 전압 및 감시선로의 차단기 개폐 정보를 포함하는 계통데이터를 수집한다.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송전선로(10)의 조류데이터를 수집한다(S200).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현장 감지장치(300)로부터 송전선로(10)의 조류데이터를 수집한다.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L-V 곡선 또는 L-F 곡선과, 기수집한 계통데이터 및 조류데이터를 근거로 부하차단량 및 부하절체량을 산출한다(S300). 이를 첨부된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기준값을 설정한다(S410). 이때,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모선의 허용전압범위(기준전압) 및 송전선로(10)의 허용용량(선로용량)을 포함하는 기준값을 설정한다. 여기서,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스카다 서버(200)로부터 모선의 허용전압범위 및 송전선로(10)의 허용용량을 수신하여 기준값을 설정한다.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계통의 고장 발생여부를 판단한다. 즉,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감시 송전선로(10)의 차단기 개폐 여부를 근거로 계통의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감시 송전선로(10)의 차단기가 개방(Open) 상태로 감지되어 계통의 고장 발생으로 판단하면(S420; 예),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고장 발생의 원인이 모선의 전압 문제인지 선로의 과부하인지 판단한다. 모선 전압 문제로 판단하면(S430; 예),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L-V 곡선을 근거로 고장 전 모선전압에 대응되는 부하량을 검출한다(S440). 예를 들면,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모선전압의 기준값(즉, 도 9의 A, 허용용량, 허용전압범위)에 대응되는 부하량을 고장 전 부하량으로 검출한다.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L-V 곡선을 근거로 고장 후 모선전압에 대응되는 부하량을 검출한다(S440). 예를 들면,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고장 후 모선전압(즉, 도 9의 B)에 대응되는 부하량을 고장 전 부하량으로 검출한다.
한편,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선로의 과부하로 판단하면 L-F 곡선을 근거로 고장 전 모선전압에 대응되는 부하량을 검출하고(S460), L-F 곡선을 근거로 고장 후 모선전압에 대응되는 부하량을 검출한다(S470).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고장 전 부하량에서 고장 후 부하량을 감산하여 부하절체량 및 부하차단량을 산출한다(S480). 즉,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모선 전압 문제시 L-V 곡선을 근거로 검출한 고장 전 부하량과 고장 후 부하량을 이용하여 부하절체량 및 부하차단량(즉, 도 9의 C)을 산출한다.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선로의 과부하 문제시 L-F 곡선을 근거로 검출한 고장 전 부하량과 고장 후 부하량을 이용하여 부하절체량 및 부하차단량(즉, 도 9의 C)을 산출한다.
전압 불안정이 발생하면(S400; 예), 송전선로(10)의 과부하 발생시(S500; 예),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부하차단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발생한 송전선로(10)의 과부하량이 설정값 이상이 경우 부하 차단으로 판단하고, 송전선로(10)의 과부하량이 설정값 미만인 경우 부하 절체로 판단한다. 여기서, 설정값은 운영자에 의해 설정되는 값이며, 일반적으로 대략 150% 정도로 설정된다. 부하차단으로 판단하면(S600; 예),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기산출한 부하차단량으로 부하를 차단한다(S700). 즉,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부하 차단시 변전소 관리장치(400)로 부하차단량을 전송한다. 그에 따라, 변전소 관리장치(400)는 배전선로(20)의 감시량을 근거로 차단 대상을 선정하여 부하차단을 수행하여 전력계통을 안정화한다. 이때,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급전원이 알 수 있도록 부하차단량 및 차단 대상을 화면출력할 수도 있다.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부하 절체로 판단한 경우 기산출한 부하절체량으로 부하를 절체한다(S800). 즉,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부하절체시 배전선로 관리장치(500)에게로 부하절체량을 전송한다. 배전선로 관리장치(500)는 배전계통 조작시스템(미도시, 즉, 배전지능화시스템)에 따라 배전선로(20)의 개폐기를 조작하여 부하절체를 수행하여 전력계통을 안정화한다. 이때,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100)는 급전원이 알 수 있도록 부하절체량과 절체 대상을 화면출력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 및 방법은 선로 조류 및 전압과 부하이동에 따른 선로의 조류변화 곡선 및 부하이동에 따른 모선의 전압변화 곡선을 이용하여 계통의 다중고장 발생시 부하의 차단량 또는 절체량을 산출함으로써, 기존 고장파급방지장치의 단점인 계통고장시 사전 선정된 부하의 일괄 차단 및 운영자가 판단하여 고장파급방지장치의 ON/OFF 수동운전 등에 대한 해법으로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 및 방법은 선로 조류 및 전압과 부하이동에 따른 선로의 조류변화 곡선 및 부하이동에 따른 모선의 전압변화 곡선을 이용하여 계통의 다중고장 발생시 부하의 차단량 또는 절체량을 산출함으로써, 스카다 등과 연계하여 실시간으로 다중 고장 사고시에도 계통상황에 적합한 부하량을 산정하여 차단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 및 방법은 선로 조류 및 전압과 부하이동에 따른 선로의 조류변화 곡선 및 부하이동에 따른 모선의 전압변화 곡선을 이용하여 계통의 다중고장 발생시 부하의 차단량 또는 절체량을 산출함으로써, 휴전 등 계통 사고 대비하여 부하절체량 및 차단량을 산정을 수동으로 하였으나, 자동으로 부하절체량 산정 및 절체가 가능하여 계통안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 및 방법은 선로 조류 및 전압과 부하이동에 따른 선로의 조류변화 곡선 및 부하이동에 따른 모선의 전압변화 곡선을 이용하여 계통의 다중고장 발생시 부하의 차단량 또는 절체량을 산출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적합한 차단부하를 선정하여 차단하고, 부하절체가 필요시 자동으로 부하를 타 변전소(30)로 이전함으로써 계통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송전선로 20: 배전선로
30: 변전소 100: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
110: 기준값 설정부 120: 수집부
130: 산출부 140: 판단부
150: 출력부 200: 스카다 서버
300: 현장 감지장치 400: 변전소 관리장치
500: 배전선로 관리장치

Claims (14)

  1. 전력계통의 계통 데이터 및 송전선로의 조류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수집한 계통 데이터 및 조류 데이터와, 부하이동에 따른 선로의 조류변화 곡선과 부하이동에 따른 모선의 전압변화 곡선을 근거로 부하차단량 및 부하절체량을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수집부에서 수집한 계통데이터 및 조류데이터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부하차단 여부 및 부하절체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에서 부하차단으로 판단하면 상기 산출한 부하차단량을 근거로 부하차단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판단부에서 부하절체로 판단하면 상기 산출한 부하절체량을 근거로 부하절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산출부는,
    모선의 전압 문제로 인한 과부하 발생시 부하이동에 따른 모선의 전압변화 곡선을 근거로 고장 전 모선전압에 대응되는 고장 전 부하량 및 고장 후 모선전압에 대응되는 고장 후 부하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선로의 과부하로 인한 과부하 발생시 부하이동에 따른 선로의 조류변화 곡선을 근거로 고장 전 모선전압에 대응되는 고장 전 부하량 및 고장 후 모선전압에 대응되는 고장 후 부하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고장 전 부하량에서 상기 고장 후 부하량을 감산하여 부하절체량 및 부하차단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감시 송전선로의 차단기 개폐 여부를 근거로 계통의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감시 송전선로의 차단기가 개방(Open) 상태이면 계통의 고장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송전선로의 과부하량이 설정값 이상이면 부하 차단으로 판단하고, 송전선로의 과부하량이 설정값 미만이면 부하 절체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부하차단으로 판단하면 상기 산출한 부하차단량을 포함하는 부하차단 신호를 변전소 관리장치에게로 전송하고, 상기 판단부에서 부하절체으로 판단하면 상기 산출한 부하절체량을 포함하는 부하절체 신호를 배전선로 관리장치에게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
  8.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전력계통의 계통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송전선로의 조류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수집한 계통 데이터 및 조류 데이터와, 부하이동에 따른 선로의 조류변화 곡선과 부하이동에 따른 모선의 전압변화 곡선을 근거로 부하차단량 및 부하절체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상기 수집한 계통데이터 및 조류데이터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부하차단 여부 및 부하절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부하차단으로 판단하면 상기 산출한 부하차단량을 근거로 부하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부하절체로 판단하면 상기 산출한 부하절체량을 근거로 부하절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하차단량 및 부하절체량을 산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모선의 전압 문제로 인한 과부하 발생시 부하이동에 따른 모선의 전압변화 곡선을 근거로 고장 전 모선전압에 대응되는 고장 전 부하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부하이동에 따른 모선의 전압변화 곡선을 근거로 고장 전 모선전압에 대응되는 고장 후 모선전압에 대응되는 고장 후 부하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상기 고장 전 부하량에서 상기 고장 후 부하량을 감산하여 부하절체량 및 부하차단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계통 안정화 방법.
  9. 삭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부하차단량 및 부하절체량을 산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선로의 과부하로 인한 과부하 발생시 부하이동에 따른 선로의 조류변화 곡선을 근거로 고장 전 모선전압에 대응되는 고장 전 부하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선로의 과부하로 인한 과부하 발생시 부하이동에 따른 선로의 조류변화 곡선을 근거로 고장 후 모선전압에 대응되는 고장 후 부하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상기 고장 전 부하량에서 상기 고장 후 부하량을 감산하여 부하절체량 및 부하차단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계통 안정화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부하차단 여부 및 부하절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송전선로의 과부하량이 설정값 이상이면 부하 차단으로 판단하고, 송전선로의 과부하량이 설정값 미만이면 부하 절체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계통 안정화 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부하차단 여부 및 부하절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감시 송전선로의 차단기가 개방(Open) 상태이면 계통의 고장 발생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계통 안정화 방법.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부하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상기 산출한 부하차단량을 포함하는 부하차단 신호를 변전소 관리장치에게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계통 안정화 방법.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부하절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에 의해, 상기 산출한 부하절체량을 포함하는 부하절체 신호를 배전선로 관리장치에게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계통 안정화 방법.
KR20130116788A 2013-09-30 2013-09-30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 및 방법 KR101497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6788A KR101497490B1 (ko) 2013-09-30 2013-09-30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6788A KR101497490B1 (ko) 2013-09-30 2013-09-30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7490B1 true KR101497490B1 (ko) 2015-03-03

Family

ID=53025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6788A KR101497490B1 (ko) 2013-09-30 2013-09-30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4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01832A (zh) * 2018-06-08 2019-02-01 广东工业大学 一种基于n-1静态安全约束下的断面潮流优化控制方法
KR20200041486A (ko) * 2018-10-12 2020-04-22 한국전력공사 직류 배전 계통의 전압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9840A (ja) * 2006-01-13 2007-07-26 Toshiba Corp 電力系統安定化装置
JP2008048554A (ja) * 2006-08-18 2008-02-28 Toshiba Corp 電力系統の周波数異常に対する保護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20130049239A (ko) * 2011-09-29 2013-05-14 한국전력공사 전력계통의 부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85065B1 (ko) * 2011-08-26 2013-07-10 한국전력공사 배전계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9840A (ja) * 2006-01-13 2007-07-26 Toshiba Corp 電力系統安定化装置
JP2008048554A (ja) * 2006-08-18 2008-02-28 Toshiba Corp 電力系統の周波数異常に対する保護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1285065B1 (ko) * 2011-08-26 2013-07-10 한국전력공사 배전계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49239A (ko) * 2011-09-29 2013-05-14 한국전력공사 전력계통의 부하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01832A (zh) * 2018-06-08 2019-02-01 广东工业大学 一种基于n-1静态安全约束下的断面潮流优化控制方法
CN109301832B (zh) * 2018-06-08 2022-02-11 广东工业大学 一种基于n-1静态安全约束下的断面潮流优化控制方法
KR20200041486A (ko) * 2018-10-12 2020-04-22 한국전력공사 직류 배전 계통의 전압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147898B1 (ko) * 2018-10-12 2020-08-25 한국전력공사 직류 배전 계통의 전압 제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6396B2 (en) Power transmission fault analysis system and related method
KR102035351B1 (ko) 전기 설비 유지보수 방법 및 디바이스
AU2017371146A1 (en) Microgri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alfunction
CN107561408B (zh) 一种提高小电流接地故障选线准确率的方法
JP5147739B2 (ja) 配電系統の地絡保護システム、配電系統の地絡保護方法、プログラム
KR20130049239A (ko) 전력계통의 부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132015B1 (ko) 배전선로의 고장복구를 지원하는 배전 자동화 서버 및 그 방법
WO2013125189A1 (ja) ネットワーク監視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監視方法
JP2011061911A (ja) 電力系統安定化システム
KR100920946B1 (ko) 부하 기기의 영향을 고려한 배전 선로의 고장 검출 및위치를 판단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97490B1 (ko) 전력계통 안정화 장치 및 방법
CA2779513C (en) Method of monitoring the grading margin between time-current characteristics of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s
KR100868892B1 (ko) 배전계통의 원격감시제어 및 자료취득 시스템
CN116865205B (zh) 一种无线断路器故障预警方法及***
KR102141527B1 (ko) 분산형 전원 연계용 보호 장치 및 방법
JP6847808B2 (ja) 需給調整システム、需給調整方法及び需給調整プログラム
CN108666985B (zh) 一种输电线路工频过电压精确诊断与防护方法
Allen Effects of wide-area control on the protection and operation of distribution networks
Salehi et al. Developing virtual protection system for control and self-healing of power system
CN111181126A (zh) 一种基于输电***拓扑动态调整短路电流的方法及***
EP4080725B1 (en) Method for estimating the operating conditions of a switching apparatus
CN111525520A (zh) 一种事故总或保护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473811B1 (ko) 분산 전원이 도입된 배전계통에 한류기를 적용하기 위한 보호계전기 오부동작 개선방안이 적용된 보호계전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538439B1 (ko) 계통 연계 분산 전원의 단독운전 판단 방법
CN110912269B (zh) 一种海上电网电能调度与管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