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899B1 - 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remote help using virtual device simulation and tutorial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remote help using virtual device simulation and tutorial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899B1
KR101496899B1 KR1020100081320A KR20100081320A KR101496899B1 KR 101496899 B1 KR101496899 B1 KR 101496899B1 KR 1020100081320 A KR1020100081320 A KR 1020100081320A KR 20100081320 A KR20100081320 A KR 20100081320A KR 101496899 B1 KR101496899 B1 KR 101496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ser terminal
user
information
tuto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3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18475A (en
Inventor
김진식
조상영
이형주
안효정
김현국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1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899B1/en
Publication of KR20120018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4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8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디바이스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원격 도움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과, 튜토리얼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스마트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스마트 TV, 스마트 북 등) 사용자들이 사용 방법을 모르거나 문제가 발생시에 동일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기능과 환경 내에서 가상으로 시뮬레이션하여 알려주는 원격 도움 서비스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 지침을 알려주는 튜토리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해결 방법이나 궁금증에 대한 답변을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알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assistance system and a service method thereof using a virtual device simulation, a tutorial service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mote assistance system using a smart device (e.g., smart phone, smart tablet, smart TV, By providing a tutorial service that notifies you of how to use it, or provides guidance on how to use the remote assistant service or smart device to simulate and simulate the functions of the same smart device and the environment in the event of a problem, The answers can be found intuitively and easily.

Description

가상 디바이스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원격 도움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과, 튜토리얼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REMOTE HELP USING VIRTUAL DEVICE SIMULATION AND TUTORIAL SERVICE APPARATUS AND METHOD}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assistance system and a service method thereof using a virtual device simulation, a tutorial service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상 디바이스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원격 도움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과, 튜토리얼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스마트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스마트 TV, 스마트 북 등) 사용자들이 사용 방법을 모르거나 문제가 발생시에 동일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기능과 환경 내에서 가상으로 시뮬레이션하여 알려주는 원격 도움 서비스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 지침을 알려주는 튜토리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해결 방법이나 궁금증에 대한 답변을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가상 디바이스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원격 도움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과, 튜토리얼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assistance system and a service method thereof using a virtual device simulation, a tutorial service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mote assistance system using a smart device (e.g., smart phone, smart tablet, smart TV, By providing a tutorial service that notifies you of how to use it, or provides guidance on how to use the remote assistant service or smart device to simulate and simulate the functions of the same smart device and the environment in the event of a problem, A remote help system using virtual device simulation and its service method, and a tutorial service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which can be understood intuitively and easily.

최근, 스마트폰 사용자가 급증하고 이에 따른 무선 데이터 트래픽이 증가하고 있다. 여기서, 스마트폰(Smartphone)이란,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고급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전화를 통칭한다. 스마트폰은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를 위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와 플랫폼을 제공하는 완전한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단말로 볼 수도 있다. 스마트폰은 전자 우편, 인터넷, 전자책 읽기 기능, 내장형 키보드나 외장 키보드 기능이 있는 핸드폰을 의미하기도 한다.In recent years, smartphone users have surged and wireless data traffic has increased accordingly. Here, a smartphone collectively refers to a mobile phone that provides advanced application services executed in a computer. Smartphones can also be viewed as terminals running complete operating system software that provides a standardized interface and platform for application developers. Smartphones also mean mobile phones with e-mail, Internet, e-book reading, and built-in or external keyboard functions.

다시 말해, 스마트폰은 전화 기능이 있는 소형 컴퓨터라 볼 수 있다. 스마트폰은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외부 통신망과 접속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에서는 동일한 운영체제를 가진 스마트폰 간에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는 점 등도 일반적인 핸드폰이 갖지 못한 장점이 있다.In other words, a smartphone can be seen as a small computer with a phone function.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access the Internet directly using the wireless Internet, the smart phone can access the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in various ways using various browsing programs. The smartphone can create the application that the user desires, and can implement the interface suitable for him through various applications. And smart phones have the advantage that common mobile phones do not have the ability to share applications between smartphones with the same operating system.

이러한 스마트폰과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들은 점차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을 가진 방향으로 변모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을 가진 스마트폰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스마트 TV, 스마트 북 등)을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사용 방법을 모르거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또한, 이러한 사용자들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사용할 때 해당 사용법이나 고장 해결 방법을 모르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점차 새로운 스마트 디바이스가 생겨나고 사용자들이 늘어남에 따라 이러한 문제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Like these smartphones, smart devices are becoming increasingly diverse and complex. Therefore, there are many cases where users who are new to smartphone devices (smart phones, smart tablets, smart TVs, smartbooks, etc.) having various complex functions do not know how to use or solve the problems. In addition, these users often do not know how to use or troubleshoot a smart device, or install and use an application. As the number of new smart devices grows and the number of users grows, these problems are expected to increase.

스마트 디바이스에 문제가 발생할 때, 사용자는 주위에 스마트 디바이스를 잘 알고 있는 사용자들에게 물어보거나, 주위에 없는 경우 수리점으로 가져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다른 사용자나 수리 직원들도 다양한 모델, 사용자마다 자기 고유의 설정, 사용 이력 등에 따라 정확한 고장 진단이나 해결 방법을 제시하지 못할 수 있다.When a problem occurs with a smart device, the user has the inconvenience of asking the user who is familiar with the smart device around or taking it to the repair shop if not around. Other users or repair personnel may not be able to provide accurate fault diagnosis or resolution depending on various models, each user's own settings, and usage histories.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도중에 문제나 고장이 발생하여 도움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원격에 있는 고객센터 상담원, 다른 사용자 또는 원격에서 도와주기 위한 전문가에게 문의할 수 있다. 원격에 있는 전문가는 기기나 디바이스에 대한 단순한 기능적인 시뮬레이션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도움이 필요한 사용자의 개인적이고 차별적인 단말 환경에 대해서는 시뮬레이션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전문가들은 고장 해결이나 도움을 원격으로 요청한 사용자들의 현재 디바이스의 상태나 환경들을 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If problems or malfunctions occur while using Smart Device and you need help, you can contact a remote customer care agent, another user, or a specialist who can help you remotely. A remote expert can only provide a simple functional simulation of a device or device. As a result, it may not be possible to provide simulations for the user's personal and discriminatory terminal environment where assistance is needed. Experts also have the problem that they can not see the status or circumstances of the current device of the users who remotely requested troubleshooting or assistance.

도움을 요청한 사용자가 일반 전화 등으로 현재의 디바이스 상태나 환경 등을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대방인 전문가로부터 음성 안내 등을 받았거나 현재 디바이스의 상태나 환경을 설명하는 것으로는 복잡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정확한 문제 해결을 제시하거나, 해결 방법 안내를 받기에는 정보나 세밀함이 부족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The user who requested the help can explain the current device status or environment through a general telephone. In such a case, when the user receives voice guidance from the other party, or the current status or environment of the device is described, it may be difficult to present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a complicated smart device, .

또한, 원격의 전문가가 스마트 디바이스의 해결 방법을 실시간으로 또는 시각적으로 실감나게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수단이 없어 도움을 주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전문가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특징을 단순히 시뮬레이션해줄 수 있으나, 개개의 사용자가 설정하는 다양한 디바이스 환경 및 상황을 전혀 반영해주지 못하고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remote expert takes a long time to help the user because there is no means for displaying the solution of the smart device in real time or visually to the user. Experts can simply simulate the hardware or software features of smart devices, but they do not reflect the various device environments and situations that individual users set.

더 나아가, 다양한 사용자의 많은 도움요청이 있을 때, 이를 일일이 도와주는 상담원들이 원격으로 그 사용자를 도와주기에도 너무 많은 인원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more, when there are many requests for help from various use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gents who help each other need too many personnel to help the user remotely.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스마트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스마트 TV, 스마트 북 등) 사용자들이 사용 방법을 모르거나 문제가 발생시에 동일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기능과 환경 내에서 가상으로 시뮬레이션하여 알려주는 원격 도움 서비스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 지침을 알려주는 튜토리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해결 방법이나 궁금증에 대한 답변을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가상 디바이스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원격 도움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과, 튜토리얼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device and a smart device which enable users of a smart device (e.g., smart phone, smart tablet, smart TV, smart book, Remote assistant service that simulates and simulates a virtual device, or a tutorial service that provides instructions on how to use the smart device. By providing a remote device that allows users to find answers and answers to intuitive and easy questions, A help system, and a service method thereof, and a tutorial service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시스템은, 시뮬레이션 대상이 되는 제1 사용자 단말의 단말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의 제1 사용자 단말을 동일한 단말 환경 내에서 시뮬레이션하는 제2 사용자 단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원격 도움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원격 도움 서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기 저장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동일한 단말 환경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user terminal for simulating a virtual first user terminal in the same terminal environment using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a first user terminal to be a simulation target; A remote help server for sending a remote assistance request message to the second user terminal at the request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a user database server providing the sam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as the previously stored first user terminal to the second user terminal at the request of the second user termi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가상의 제1 사용자 단말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원격 도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dvantageously, the second user terminal further transmits a simulation result of the virtual first user terminal to the first user terminal to provide a remote assistance ser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단말 정보, 애플리케이션 사용 이력 정보 및 사용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 환경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user database server transmits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the application usage history information, and the usage configuration information.

한편,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장치는, 시뮬레이션 대상이 되는 제1 사용자 단말과 동일한 단말 환경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요청하여 전송받는 단말 정보 요청부; 및 제1 사용자 단말의 단말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의 제1 사용자 단말을 동일한 단말 환경 내에서 시뮬레이션하는 가상 디바이스 시뮬레이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comprising: a terminal information request unit receiving a request for a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from a user database server as a first user terminal to be simulated; And a virtual device simulation unit for simulating a virtual first user terminal in the same terminal environment using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의 제1 사용자 단말을 시뮬레이션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2차원 렌더링 데이터, 2차원 영상 데이터, 3차원 렌더링 데이터 및 3차원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one of the two-dimensional rendering data, two-dimensional image data, three-dimensional rendering data, and three-dimensional image data for displaying an image for simulating the virtual first user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And a transmitting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스마트 TV, 스마트 북 중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user terminal includes at least one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smart tablet, a smart TV, and a smart book.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 정보 요청부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단말 환경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클라이언트로 설정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없는 단말 환경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f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is not present in the user database server, the terminal information request unit sets the first user terminal as a client and receives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not present in the user database server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 디바이스 시뮬레이션부는, 단말 정보, 애플리케이션 사용 이력 정보 및 사용 설정 정보 중에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서 미리 저장된 단말 환경 정보가 있는 경우에 상기 미리 저장된 단말 환경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virtual device simulation unit uses the pre-stored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when there is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second user terminal among terminal information, application usage history information, and usage setting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 디바이스 시뮬레이션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조작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2차원 렌더링 데이터, 2차원 영상 데이터, 3차원 렌더링 데이터 및 3차원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virtual device simulation unit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virtual device simulation using at least one of two-dimensional rendering data, two-dimensional image data, three-dimensional rendering data, and three-dimensional image data for displaying an image for operating the first user terminal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One of which is transmitted.

한편,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장치는, 시뮬레이션하고자 하는 단말 환경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시뮬레이터 상에서 설정하는 환경 설정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기능에 대한 튜토리얼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튜토리얼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시뮬레이터 상에서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한 튜토리얼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튜토리얼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comprising: an environment sett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to be simulated from a user database server and set the environment information on a simulator; A dat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utorial data on a selected function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a tutorial service unit for displaying a tutorial service for the selected function to the user on the simulator using the received tutorial data.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경 설정부는, 상기 시뮬레이션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번호에 대응하는 단말 환경 정보를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environment setting unit receives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user terminal or the user terminal to be simulated, from the user database server.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경 설정부는, 단말 정보, 애플리케이션 사용 이력 정보 및 사용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 환경 정보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environment setting unit receives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the application usage history information, and the usage setting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튜토리얼 서비스부는, 상기 수신된 튜토리얼 데이터 중에서 시뮬레이션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2차원 렌더링 데이터, 2차원 영상 데이터, 3차원 렌더링 데이터 및 3차원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튜토리얼 데이터를 이용하여 튜토리얼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tutorial service unit uses one of tutorial data of two-dimensional rendering data, two-dimensional image data, three-dimensional rendering data, and three-dimensional image data for displaying an image to be simulated among the received tutorial data And displaying the tutorial service to the user.

한편,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른 방법은, 원격 도움 서버가 제1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원격 도움 요청 메시지를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도움 요청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동일한 단말 환경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말환경정보 제공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공된 동일한 단말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의 제1 사용자 단말을 동일한 단말 환경 내에서 시뮬레이션하는 가상 단말 시뮬레이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 method 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lp request step in which a remote help server transmits a remote assistance request message to a second user terminal at the request of the first user terminal; Providing the sam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as the first user terminal stored in the user database server to the second user terminal at the request of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a virtual terminal simulating step in which the second user terminal simulates a virtual first user terminal in the same terminal environment using the provided sam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의 제1 사용자 단말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원격 도움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격 도움 서비스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remote assistance service further comprises a remote assistance service step of transmitting a simulation result of the virtual first user terminal to the first user terminal to provide a remote assistance ser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환경정보 제공 단계는, 단말 정보, 애플리케이션 사용 이력 정보 및 사용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 환경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providing step transmits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the application usage history information, and the usage setting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단말 환경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클라이언트로 설정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없는 단말 환경 정보를 제공받는 단말환경정보 추가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when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is not present in the user database server,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addition providing step of setting the first user terminal as a client and receiving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not present in the user database server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nd further compris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 단말 시뮬레이션 단계는, 단말 정보, 애플리케이션 사용 이력 정보 및 사용 설정 정보 중에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서 미리 저장된 단말 환경 정보가 있는 경우에 상기 미리 저장된 단말 환경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virtual terminal simulating step is characterized by using the pre-stored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when there is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second user terminal among terminal information, application usage history information, and usage setting information .

바람직하게는,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조작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2차원 렌더링 데이터, 2차원 영상 데이터, 3차원 렌더링 데이터 및 3차원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전송받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조작 영상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user receives any one of two-dimensional rendering data, two-dimensional rendering data, three-dimensional rendering data, and three-dimensional rendering data for displaying an image operated by the first user terminal, And an operation image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operation image to the termi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격 도움 서비스 단계는, 제2 사용자가 상기 가상의 제1 사용자 단말을 시뮬레이션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2차원 렌더링 데이터, 2차원 영상 데이터, 3차원 렌더링 데이터 및 3차원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remote assistance service step is a step in which the second user inputs the two-dimensional rendering data, the two-dimensional image data, the three-dimensional rendering data and the three-dimensional image data for displaying an image simulating the virtual first user terminal And transmits either one to the first user terminal.

한편, 본 발명의 제5 측면에 따른 방법은, 시뮬레이션하고자 하는 단말 환경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시뮬레이터 상에서 설정하는 환경 설정 단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기능에 대한 튜토리얼 데이터를 수신하는 튜토리얼 데이터 수신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튜토리얼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시뮬레이터 상에서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한 튜토리얼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튜토리얼 서비스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comprising: sett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a terminal to be simulated, from a user database server and setting it on a simulator; A tutorial data receiving step of receiving tutorial data on a selected function in response to a user's request; And a tutorial service step of displaying a tutorial service for the selected function to the user on the simulator using the received tutorial data.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경 설정 단계는, 시뮬레이션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의 번호에 대응하는 단말 환경 정보를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environment setting step receives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number of a user terminal or a user terminal to be simulated, from the user database server.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경 설정 단계는, 단말 정보, 애플리케이션 사용 이력 정보 및 사용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 환경 정보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environment setting step receives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the application usage history information, and the usage setting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튜토리얼 서비스 단계는, 상기 수신된 튜토리얼 데이터 중에서 시뮬레이션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2차원 렌더링 데이터, 2차원 영상 데이터, 3차원 렌더링 데이터 및 3차원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튜토리얼 데이터를 이용하여 튜토리얼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tutoring service step uses one of tutorial data of two-dimensional rendering data, two-dimensional image data, three-dimensional rendering data, and three-dimensional image data for displaying an image to be simulated among the received tutorial data And displaying the tutorial service to the user.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스마트 TV, 스마트 북 등)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사용 방법을 모르거나, 문제가 발생시에 그 상황을 도와줄 고객센터 상담원 또는 전문가가 현재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단말 기능이나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완전히 동일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단말 환경 내에서 시뮬레이션하여 제공해줌으로써, 전문가가 도움이 필요한 사용자에게 전화 통화나 메세징 수단을 통해 통신하면서 동일한 스마트 디바이스 환경 내에서 똑같은 상황을 체험하면서 해결 방법과 궁금증에 대한 답변을 손쉽게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스마트 디바이스의 동일한 단말 환경 정보는 사용자 단말 정보(예컨대, 동일한 단말기종, 운영 체제, 펌웨어),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이력 정보 및 사용자 단말의 사용 설정 정보(예컨대, 동일한 설정 및 테마 정보 등)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단말 환경 정보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case where a user using a smart device (e.g., a smart phone, a smart tablet, a smart TV, a smart book, etc.) does not know how to use the device, In the same smart device environment, by communicating to a user who needs help through a telephone call or a messaging means by providing the simulator in the same terminal environment of the same smart device by using the terminal function or the environment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give answers to solutions and questions. Here, the sam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smart device includes information on usage of the user terminal (e.g., the same terminal type, operating system, firmware), application usage history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usage setting information (e.g., And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for simulation using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은 도와주는 상대방이 조작하는 시뮬레이터 상의 화면을 3차원 영상으로 실시간으로 도움이 필요한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에게 더욱 쉽게 사용법을 안내하거나 튜토리얼(Tutorial)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a screen on a simulator operated by the other party to be sent to a user who needs assistance in real time as a three-dimensional image, thereby providing a user with a more convenient way to guide the user or provide a tutorial have.

또한, 본 발명은 도움이 필요한 사용자가 조작하는 화면을 도와주는 상대방의 단말의 시뮬레이터로 전송되어 3차원 영상으로 표시되게 함으로써, 도와주는 상대방이 도움이 필요한 상대방 단말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mitted to a simulator of a terminal of the other party that assists a user operating a screen requiring help, and is displayed as a three-dimensional image, thereby enabling the other party to three-dimensionally grasp the situation of the other terminal, There is an effect.

또한, 본 발명은 도와줄 수 있는 상대방인 없는 경우에 원격 도움 서버에 저장된 자동 튜토리얼 과정에 의해서 자동으로 문제점에 대한 해결 안내 및 궁금증에 대한 답변에 대한 시뮬레이션 기반의 자동 튜토리얼(학습)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마트 디바이스나 컴퓨터의 시뮬레이터 클라이언트를 통해 원격 도움 서버로 접속하여 튜토리얼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provides a guidance for solving a problem and an automatic tutorial (learning) based on a simulation based on an answer to a question in an automatic tutoring process stored in a remote help serv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Her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user to access a remote help server through a smart device or a simulator client of a computer to receive a tutorial service.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시뮬레이터와 튜토리얼 기능을 통해서, 스마트 디바이스를 구입하기 전에, 구매자가 사전에 가상으로 제품을 체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 자신에게 맞는 제품을 신속히 찾아서 구입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purchaser to experience a product in advance in advance of purchasing a smart device through such a simulator and a tutorial function, thereby enabling a user to quickly find and purchase a product suitable for the user himself .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도움 시스템의 제1 및 제2 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격 도움 시스템에서의 원격 도움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사용자 단말에서의 원격 도움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튜토리얼 서비스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튜토리얼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a remote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of a remote assistance service method in a remote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mote assistance service method in a second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tutorial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utorial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 and effect thereof will be clear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case where it is judg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lurred to a known configuration, do.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도움 시스템의 제1 및 제2 실시예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a remote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도움 시스템(20)은 원격 도움 서버(21),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2) 및 고객센터 상담원 단말이나 원격에서 도와주기 위한 전문가 단말을 포함하는 제2 사용자 단말(23)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도움 시스템(20)은 제1 실시예로 원격 도움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2 실시예로 튜토리얼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2 사용자 단말(23)은 원격에 있는 고객센터 상담원, 다른 사용자 또는 원격에서 도와주기 위한 전문가의 사용자 단말을 통칭한다. 제2 사용자 단말(23)은 단말 정보 요청부(231), 가상 디바이스 시뮬레이션부(232) 및 전송부(233)를 포함한다.1, the remote assistance system 20 includes a remote assistance server 21, a user database server 22 and a second user terminal 23 including a customer center agent terminal or an expert terminal for remote assistance ). The remote help system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mote assistance service as a first embodiment and a tutorial service as a second embodiment. Here, the second user terminal 23 collectively refers to a customer center agent at a remote location, another user, or a user terminal of a specialist to help remotely. The second user terminal 23 includes a terminal information request unit 231, a virtual device simulation unit 232, and a transmission unit 233.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도움 시스템(20)의 구성요소 각각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of the components of the remote assistance system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원격 도움 서비스인 경우, 제1 사용자 단말(201)로부터 도움 요청을 받은 경우, 원격 도움 서버(21)는 제1 사용자 단말(201)과 원격에서 도와주기 위한 제2 사용자 단말(23)을 연결시켜 원격 도움 요청 메시지나 가상 조작 화면 등을 중계하여 전송한다.In the case of the remote assistance service, which i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ceiving a help request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201, the remote help server 21 transmits a request for assistance to the first user terminal 201, And connects the terminal 23 to relay the remote assistance request message or the virtual operation scree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튜토리얼 서비스인 경우, 원격 도움 서버(21)는 제1 사용자 단말(201)의 요청에 따라 튜토리얼 데이터를 제1 사용자 단말(201)로 전송한다.In the case of the tutorial ser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help server 21 transmits the tutorial data to the first user terminal 201 at the request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2)는 다수의 제1 사용자 단말(201)에 대한 단말 환경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고장 진단, 도움 요청 및 단말 환경 설정 등을 위해 제1 사용자 단말(20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23)의 질의에 따라 단말 환경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인 원격 도움 서비스인 경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2)는 고장 진단, 도움 요청 및 단말 환경 설정 등을 위해 제2 사용자 단말(23)의 질의에 따라 단말 환경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튜토리얼 서비스인 경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2)는 제1 사용자 단말(201)의 질의에 따라 단말 환경 정보를 제공한다.The user database server 22 stores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first user terminals 201 and then transmits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to the first user terminal 201 or the second user terminal 201 for troubleshooting diagnosis, And provides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quiry of the terminal 23. Here, in the case of the remote assistance ser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atabase server 22 stores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 query of the second user terminal 23 for troubleshooting diagnosis, help request, to provide. In the case of the tutorial ser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atabase server 22 provides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query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원격에서 스마트 디바이스 전문가 또는 고객센서 상담원 등은 제2 사용자 단말(23)에서 구동되는 시뮬레이터를 통해 도움을 요청한 제1 사용자 단말(201)을 시뮬레이션한다.In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device expert or customer sensor agent remotely simulates a first user terminal 201 requesting assistance via a simulator driven at a second user terminal 23.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디바이스 시뮬레이션 장치의 제1 실시예로서 제2 사용자 단말(23)의 구성요소 각각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of the components of the second user terminal 23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virtual device sim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단말 정보 요청부(231)는 시뮬레이션 대상이 되는 제1 사용자 단말(201)과 동일한 단말 환경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2)로 요청하여 전송받는다. 단말 정보 요청부(231)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2)에 단말 환경 정보가 없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201)을 클라이언트로 설정하여 제1 사용자 단말(201)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2)에 없는 단말 환경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terminal information request unit 231 requests the sam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as that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to be simulated to the user database server 22 and receives the request. The terminal information request unit 231 sets the first user terminal 201 as a client and notifies the user database server 22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201 is not located in the user database server 22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can be provided.

가상 디바이스 시뮬레이션부(232)는 제1 사용자 단말(201)의 단말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의 제1 사용자 단말(201)을 동일한 단말 환경 내에서 시뮬레이션한다. 가상 디바이스 시뮬레이션부(232)는 단말 정보, 애플리케이션 사용 이력 정보 및 사용 설정 정보 중에서 제2 사용자 단말(23)에서 미리 저장된 단말 환경 정보가 있는 경우에 미리 저장된 단말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한다. 가상 디바이스 시뮬레이션부(232)는 제1 사용자 단말(201)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201)을 조작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2차원 렌더링 데이터, 2차원 영상 데이터, 3차원 렌더링 데이터 및 3차원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전송받는다.The virtual device simulation unit 232 simulates the virtual first user terminal 201 in the same terminal environment using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 The virtual device simulation unit 232 simulates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terminal information, application usage history information, and usage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second user terminal 23 using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The virtual device simulation unit 232 is configured to display two-dimensional rendering data, two-dimensional image data, three-dimensional rendering data, and three-dimensional image data for displaying an image for operating the first user terminal 201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201 Or the like.

전송부(233)는 가상의 제1 사용자 단말(201)을 시뮬레이션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2차원 렌더링 데이터, 2차원 영상 데이터, 3차원 렌더링 데이터 및 3차원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제1 사용자 단말(201)로 전송한다.The transmission unit 233 transmits either one of two-dimensional rendering data, two-dimensional image data, three-dimensional rendering data, and three-dimensional image data for displaying an image simulating a virtual first user terminal 201 to a first user terminal (201).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원격 도움 시스템(20)에서의 사용자 단말(201)의 원격 시뮬레이션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시예인 튜토리얼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remote simulation process of the user terminal 201 in the remote assistance system 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 tutorial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and FIG.

원격 도움 시스템(20)의 원격 도움 서버(21)는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 중에서 도움이 필요한 제1 사용자 단말(201)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도움 요청을 수신받는다(S202). 여기서, 사용자들이 제1 사용자 단말(201)의 사용중에 사용 방법을 모르거나 사용중 문제가 발생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201)은 원격 도움 서버(21)로 유무선 데이터 통신 또는 음성 및 영상 통화 등을 통해 원격 도움을 요청한다.The remote help server 21 of the remote help system 20 receives the help request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201 that needs assistance during the use of the smart device (S202). Here, when the users do not know how to use the first user terminal 201 in use or a problem occurs during use, the first user terminal 201 transmits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voice and video call, etc. to the remote help server 21 Request remote help through.

이어서, 원격 도움 서버(21)는 원격 도움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원격지에 있는 제2 사용자 단말(23)로 전송한다(S204). 원격 도움 요청 메시지에는 도움을 요청한 제1 사용자 단말(201)의 번호, IP 주소 등이 포함된다.Then, the remote help server 21 generates a remote assistance request message and transmits it to the second user terminal 23 at a predetermined remote location (S204). The remote assistance request message includes the number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requesting assistance, an IP address, and the like.

그리고 제2 사용자 단말(23)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2)로 원격 도움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제1 사용자 단말(201)의 번호, IP 주소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201)의 단말 환경 정보를 질의하여 확인한다(S206). 원격 도움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은 제2 사용자 단말(23)은 원격에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 전문가 또는 고객센서 상담원 등의 단말로서, 스마트 디바이스와 같은 제1 사용자 단말(201)을 가상으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사용자 단말(201)의 단말 환경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예컨대, 단말기종,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펌웨어(F/W: FirmWare) 등),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사용 정보 및 사용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한다.The second user terminal 23 transmits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to the user database server 22 using the number and IP address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included in the remote assistance request message (S206). The second user terminal 23 having received the remote help request message is a terminal such as a smart device expert or a customer sensor agent at a remote location. The second user terminal 23 is a simulator capable of simulating a first user terminal 201 such as a smart device Respectively.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may includ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e.g., terminal type, OS (Operating System), firmware (FW) And usage setting information.

이후, 제2 사용자는 제2 사용자 단말(23)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201)의 단말 환경 정보에 따라 동일한 단말 환경을 구축하고, 그 구축된 단말 환경 내에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가상의 제1 사용자 단말(201)을 조작한다(S208).Thereafter, the second user establishes the same termin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through the second user terminal 23, performs simulations in the established terminal environment, The user terminal 201 is operated (S208).

그리고 제2 사용자 단말(23)은 가상의 제1 사용자 단말(201)을 조작하는 가상 조작 화면의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원격 도움 서버(21)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201)로 전송한다(S210).The second user terminal 23 transmits the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image data of the virtual operation screen for operating the virtual first user terminal 201 to the first user terminal 201 through the remote help server 21 (S210).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격 도움 시스템에서의 원격 도움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of a remote assistance service method in a remote assistance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원격 도움 서버(21)는 제1 사용자 단말(201)로부터 원격 도움을 요청받는다(S302). 원격 도움 서버(21)는 통신망을 통해 유무선 데이터 통신 또는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201)로부터 원격 도움을 요청받는다.The remote help server 21 receives a remote assistance request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201 (S302). The remote assistance server 21 receives a remote assistance request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201 using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or voice and video communication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그리고 원격 도움 서버(21)는 원격에 있는 제2 사용자 단말(23)로 원격 도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304). 여기서, 제2 사용자 단말(23)은 제1 사용자 단말(201)을 도와줄 도움 전문가의 컴퓨터일 수 있다.Then, the remote help server 21 transmits a remote help request message to the remote second user terminal 23 (S304). Here, the second user terminal 23 may be a computer of a helping professional to assist the first user terminal 201.

이어서, 원격 도움 서버(21)는 제2 사용자 단말(23)의 응답에 따라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201, 23)을 상호 연결한다(S306).Then, the remote help server 21 inter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user terminals 201 and 23 according to the response of the second user terminal 23 (S306).

이후, 원격 도움 서버(21)는 제1 사용자 단말의 단말 환경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2) 또는 제1 사용자의 시뮬레이터 클라이언트를 통해 제2 사용자 단말(23)로 제공한다(S308).Thereafter, the remote help server 21 provides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to the second user terminal 23 through the user database server 22 or the simulator client of the first user (S308).

원격 도움 서버(21)는 제1 사용자 단말(201)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23)의 가상 조작 영상에 대한 전송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10).The remote help server 21 confirms whether there is a transmission request for the virtual operation image of the second user terminal 23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201 (S310).

상기 확인 결과(S310), 제2 사용자 단말(23)의 가상 조작 영상에 대한 전송 요청이 있으면, 원격 도움 서버(21)는 제2 사용자 단말(23)로부터 전송된 가상의 제1 사용자 단말(201)의 조작 영상을 제1 사용자 단말(201)로 전송한다(S312).If there is a transmission request for the virtual operation image of the second user terminal 23, the remote help server 21 transmits the virtual operation image to the virtual first user terminal 201 To the first user terminal 201 (S312).

반면, 상기 확인 결과(S310), 제2 사용자 단말(23)의 가상 조작 영상에 대한 전송 요청이 없으면, 원격 도움 서버(21)는 제1 사용자 단말(201)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201)의 조작 영상에 대한 전송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14).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transmission request for the virtual operation image of the second user terminal 23, the remote help server 21 transmits the virtual operation image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201 to the first user terminal 201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 transmission request for the operation image (S314).

상기 확인 결과(S314), 제1 사용자 단말(201)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201)의 조작 영상에 대한 전송 요청이 있으면, 원격 도움 서버(21)는 제1 사용자 단말(201)로부터 전송된 제1 사용자 단말(201)의 조작 영상을 제2 사용자 단말(23)로 전송한다(S316). 반면, 제1 사용자 단말(201)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201)의 조작 영상에 대한 전송 요청이 없으면, 원격 도움 서버(21)는 원격 도움 서비스를 종료한다.If there is a request to transmit the operation video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201 to the remote assistance server 21, 1 operation image of the user terminal 201 to the second user terminal 23 (S316).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request for transmission of the operation image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201, the remote assistance server 21 ends the remote assistance service.

도 3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사용자 단말에서의 원격 도움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of a remote assistance service method in a second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사용자 단말(23)은 원격 도움 서버(21)로부터 제1 사용자의 원격 도움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는다(S402).The second user terminal 23 receives the remote assistance request message of the first user from the remote help server 21 (S402).

이어서, 제2 사용자 단말(23)은 제1 사용자 단말(201)의 고장 진단, 원격 가상 조작 등을 위한 원격 시뮬레이터를 실행한다(S404).Then, the second user terminal 23 executes a remote simulator for troubleshooting, remote virtual operation, etc.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S404).

그리고 제2 사용자 단말(23)은 제1 사용자 단말(201)의 단말 환경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2) 또는 제1 사용자 단말(201)의 시뮬레이터 클라이언트로 질의하여 확인한다(S406).The second user terminal 23 confirms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by querying the user database server 22 or the simulator client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S406).

여기서, 단말 환경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201)의 단말 정보(예컨대, 단말기종,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펌웨어(F/W: FirmWare) 등),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사용 정보 및 사용 설정 정보 등의 세 가지 단말 환경 정보로 나누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e.g., terminal type, operating system (OS), firmware (FW) And information on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첫째, 단말 환경 정보 중에서 제1 사용자 단말(201)의 단말 정보의 다운로드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process of downloading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from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제2 사용자 단말(23)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2)로 제1 사용자 단말(201)의 단말 정보를 질의하여 확인하고,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2)로부터 단말 정보를 전송받는다. 제2 사용자 단말(23)에서 제1 사용자 단말과 동일한 단말기종, 운영 체제 및 펌웨어 등의 단말 정보를 기초로 하여 시뮬레이터에서 소프트웨어적(Software)으로 시뮬레이션하여 체험할 수 있게 한다. 단말기종 데이터는 단말 단말기종의 외관 및 각종 하드웨어(H/W: Hardware) 특징 정보 등을 포함한다.The second user terminal 23 queries the user database server 22 for terminal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and receives the terminal information from the user database server 22. The second user terminal 23 can simulate and experience the software in the simulator on the basis of the terminal information such as the terminal type, the operating system, and the firmware, which are the same as the first user terminal. The terminal type data includes the appearance of the terminal terminal type and various hardware (H / W) feature information.

이때, 제1 사용자 단말(201)의 단말 정보 중에서 사전에 시뮬레이터에 다운받은 단말기종 데이터, 운영체제 및 펌웨어인 경우, 제2 사용자 단말(23)은 별도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2)로부터 다운받지 않고, 사전에 다운받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terminal type data, the operating system and the firmware downloaded to the simulator in advance from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the second user terminal 23 is not downloaded separately from the user database server 22, Can be used.

또한, 제1 사용자 단말(201)의 단말 정보 중에서 단말기종 데이터, 운영체제 또는 펌웨어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2)에 없는 경우, 제2 사용자 단말(23)은 구비된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201) 내의 시뮬레이터 클라이언트(Client)로 현재 사용하는 단말기종 데이터, 운영체제 또는 펌웨어 정보를 요청하여 전송받을 수 있다.If the terminal type data, the operating system or the firmware are not stored in the user database server 22 among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the second user terminal 23 can access the first user terminal 201, the terminal type data, the operating system, or the firmware information currently used can be requested and transmitted to the simulator client.

둘째, 단말 환경 정보 중에서 제1 사용자 단말(201)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이력 정보의 다운로드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Second, the process of downloading the application usage history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from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제2 사용자 단말(23)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2)로 제1 사용자 단말(201)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이력 정보를 질의하여 확인하고,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2)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사용 이력 정보를 전송받는다. 제1 사용자 단말(201)은 사전에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경우, 설치하는 경우, 또는 삭제하는 경우에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2)로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설치 및 삭제 정보가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사용 이력 정보를 전송한다. 제2 사용자 단말(23)에서 제1 사용자 단말과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설치 및 삭제 정보 등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이력 정보를 기초로 하여 시뮬레이터에서 소프트웨어적(Software)으로 시뮬레이션하여 체험할 수 있게 한다. 또는, 시뮬레이터로 직접 전송받아서 시뮬레이션이 불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제2 사용자 단말(23)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2)를 통해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네트워크상에서 실행하여 시뮬레이션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다.The second user terminal 23 queries the user database server 22 for application usage history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and receives the application usage history information from the user database server 22. The first user terminal 201 may transmit application usage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application downloading, installation and deletion information to the user database server 22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case of downloading, installing, or deleting an application in advance . The second user terminal 23 can simulate and experience the software in the simulator based on the application usage history information such as the application downloading, installation and deletion information same as the first user terminal.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an application which can not be simulated by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simulator, the second user terminal 23 can receive the simulation environment by executing the application on the network through the user database server 22.

이때, 제1 사용자 단말(201)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이력 정보 중에서 사전에 시뮬레이터에 다운받은 다운로드, 설치 및 삭제 정보인 경우, 제2 사용자 단말(23)은 별도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2)로부터 다운받지 않고, 사전에 다운받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downloading, installation and deletion information downloaded to the simulator from the application usage history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the second user terminal 23 is not downloaded separately from the user database server 22, You can use what you downloaded in advance.

또한, 제1 사용자 단말(201)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이력 정보 중에서 다운로드, 설치 및 삭제 정보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2)에 없는 경우, 제2 사용자 단말(23)은 구비된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201) 내의 시뮬레이터 클라이언트(Client)로 현재 사용하는 다운로드, 설치 및 삭제 정보를 요청하여 전송받을 수 있다.If there is no download, installation, or deletion information in the application database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the second user terminal 23 may access the first user terminal 201 using the provided simulator, Installation and deletion information currently used in the simulator client (Client) in the server 201, and receive the request.

셋째, 단말 환경 정보 중에서 제1 사용자 단말(201)의 사용 설정 정보의 다운로드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ird, the process of downloading the usage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from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제2 사용자 단말(23)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2)로 제1 사용자 단말(201)의 사용 설정 정보를 질의하여 확인하고,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2)로부터 사용 설정 정보를 전송받는다. 제2 사용자 단말(23)에서 제1 사용자 단말과 동일한 설정, 테마 정보 등의 사용 설정 정보를 기초로 하여 시뮬레이터에서 소프트웨어적(Software)으로 시뮬레이션하여 체험할 수 있게 한다.The second user terminal 23 inquires of the user database server 22 about the usage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and receives the usag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user database server 22. The second user terminal 23 can simulate and experience the software in the simulator on the basis of the same setting as the first user terminal, usage setting information such as theme information, and the like.

이때, 제1 사용자 단말(201)의 사용 설정 정보 중에서 사전에 시뮬레이터에 다운받은 설정, 테마 정보인 경우, 제2 사용자 단말(23)은 별도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2)로부터 다운받지 않고, 사전에 다운받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setting information and the theme information downloaded in advance to the simulator among the usage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the second user terminal 23 is not downloaded separately from the user database server 22, You can use what you receive.

또한, 제1 사용자 단말(201)의 사용 설정 정보 중에서 설정, 테마 정보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2)에 없는 경우, 제2 사용자 단말(23)은 구비된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201) 내의 시뮬레이터 클라이언트(Client)로 현재 설정된 설정, 테마 정보를 요청하여 전송받을 수 있다.The second user terminal 23 is connect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201 using the provided simulator if the setting and theme information among the usage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is not present in the user database server 22. [ The setting information and the theme information currently set in the simulator client (client) in the server 200 can be received.

전술된 바와 같이, 제2 사용자 단말(23)은 구비된 시뮬레이터에 단말 환경 정보(예컨대, 제1 사용자 단말(201)의 단말 정보, 애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및 사용 설정 정보 등)을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2) 또는 제1 사용자 단말(201)로부터 전송받아 제1 사용자 단말(201)과 동일한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cond user terminal 23 sends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e.g., terminal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application usage information and usage setting information, etc.) to the simulator provided in the user database server 22, Or the first user terminal 201 to construct the same simulation environment as that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to perform the simulation.

이후, 제2 사용자 단말(23)은 제1 사용자 단말(201)로부터 원격 도움 서버(21)를 통해 제2 사용자 단말(23)의 가상 조작 영상에 대한 전송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408).Thereafter, the second user terminal 23 confirms whether there is a transmission request for the virtual operation image of the second user terminal 23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201 via the remote help server 21 (S408) .

상기 확인 결과(S408), 제2 사용자 단말(23)의 가상 조작 영상에 대한 전송 요청이 있으면, 제2 사용자 단말(23)은 시뮬레이터 상의 가상의 제1 사용자 단말(201)의 조작 영상을 원격 도움 서버(21)로 전송한다(S410). 여기서, 제2 사용자 단말(23)은 시뮬레이터 상에서 조작하는 화면을 2차원 화면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2차원 렌더링 데이터, 2차원 영상 데이터(예컨대, 정지 영상, 동영상 등), 3차원 렌더링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3차원 렌더링 데이터 및 3차원 영상 데이터(예컨대, 정지 영상, 동영상 등)로 제1 사용자 단말(201)로 실시간 전송하여 보여줌으로써, 사용 방법의 이해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특히, 제2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201)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아닌 디바이스의 후면부, 측면부 및 기기 전체적인 조작을 안내해 주기 위해서, 제2 사용자가 조작하는 스마트폰 시뮬레이터환경에서 3차원 영상으로 렌더링된 가상 제1 사용자 단말(201)을 3차원 상에서 직접 조작하는 3차원 렌더링 데이터(예컨대, 3차원 렌더링을 위한 데이터)나 3차원 영상 데이터(예컨대, 정지영상, 동영상 등)를 제1 사용자 단말(201)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201)의 시뮬레이터 클라이언트는 전송된 3차원 렌더링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3차원 렌더링 영상 또는 3차원 영상을 통해 실시간 조작 화면으로 표시하여 제1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이해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If there is a transmission request for the virtual operation image of the second user terminal 23, the second user terminal 23 transmits the operation image of the virtual first user terminal 201 on the simulator to the remote assistant To the server 21 (S410). Here, the second user terminal 23 generates a 2D rendering image for generating a 2D screen image, 2D image data (e.g., still image, moving image, etc.), and a 3D rendering image Dimensional rendering data and three-dimensional image data (for example, still image, moving image, etc.) for real-time transmission to the first user terminal 201 to help understand the usage method. In particular, in order for the second user to guide the back, side, and overall operation of the device, rather than the display screen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For example, data for three-dimensional rendering) or three-dimensional image data (for example, a still image, a moving image, or the like) that directly manipulates the first user terminal 201 in three- Lt; / RTI > The simulator client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may display the transmitted 3D rendering data or image data in a real-time operation screen through a 3D rendering image or a 3D image to help the first user visually understand it.

한편, 상기 확인 결과(S408), 제2 사용자 단말(23)의 가상 조작 영상에 대한 전송 요청이 없으면, 제2 사용자 단말(23)은 제1 사용자 단말(201)이 제1 사용자 단말(201)의 조작 영상을 전송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412).If there is no request for transmission of the virtual operation image of the second user terminal 23, the second user terminal 23 determines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201 is connect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201, (Step S412).

상기 확인 결과(S412), 제1 사용자 단말(201)이 제1 사용자 단말(201)의 조작 영상을 전송하고자 한다면, 제2 사용자 단말(23)은 원격 도움 서버(21)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201)의 조작 영상을 전송받는다(S414). 제1 사용자가 원할 경우, 제2 사용자 단말(23)은 원격 도움 서버(21)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201)에서 조작되는 화면 정보를 전송받아 시뮬레이터에 전송되고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으로 제2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제2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201)의 디바이스 조작 상황을 실시간 및 시각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도와준다. 여기서, 제1 사용자 단말(201)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는 2차원 화면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2차원 렌더링 데이터, 2차원 영상 데이터(예컨대, 정지 영상, 동영상 등), 3차원 렌더링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3차원 렌더링 데이터 및 3차원 영상 데이터(예컨대, 정지 영상, 동영상 등)를 포함한다.I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wants to transmit the operation image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the second user terminal 23 may transmit the operation image to the first user terminal 201 through the remote help server 21, (Operation S414). When the first user wishes, the second user terminal 23 receives the screen information manipulated by the first user terminal 201 through the remote help server 21, and transmits the screen information to the simulator to be converted into a two- 2 can be displayed to the user. This helps the second user to understand the device operation status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in real time and visually. Here, the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201 may include two-dimensional rendering data for generating a two-dimensional screen image, two-dimensional image data (e.g., still image, moving image, etc.) 3D rendering data, and 3D image data (e.g., still images, moving images, etc.).

반면, 상기 확인 결과(S412), 제1 사용자 단말(201)이 제1 사용자 단말(201)의 조작 영상을 전송하지 않으면, 제2 사용자 단말(23)은 원격 도움 서비스를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does not transmit the operation image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the second user terminal 23 terminates the remote assistance service (S412).

도 4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튜토리얼 서비스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tutorial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튜토리얼 서비스 장치(510)는 제1 사용자 단말(201)에 포함되어 있으며,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여 튜토리얼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서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tutorial service apparatus 5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in the first user terminal 201, and a tutorial service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do.

제1 사용자 단말(201)의 튜토리얼 서비스 장치(510)는 환경 설정부(511), 데이터 수신부(512) 및 튜토리얼 서비스부(513)를 포함한다. 여기서, 튜토리얼 서비스부(513)는 가상의 디바이스를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The tutorial service apparatus 510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1 includes an environment setting unit 511, a data receiving unit 512, and a tutorial service unit 513. Here, the tutorial service unit 513 may include a simulator for simulating a virtual device.

환경 설정부(511)는 시뮬레이션하고자 하는 단말 환경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2)로부터 전송받아 시뮬레이터 상에서 설정한다. 환경 설정부(511)는 시뮬레이션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의 번호에 대응하는 단말 환경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2)로부터 전송받는다. 환경 설정부(511)는 단말 정보, 애플리케이션 사용 이력 정보 및 사용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 환경 정보를 전송받는다.The environment setting unit 511 receives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to be simulated from the user database server 22 and sets it on the simulator. The environment setting unit 511 receives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user terminal or user terminal to be simulated from the user database server 22. The environment setting unit 511 receives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the application usage history information, and the usage setting information.

데이터 수신부(512)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기능에 대한 튜토리얼 데이터를 원격 도움 서버(21)로부터 수신한다. 여기서, 도 1의 원격 도움 서버(21)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튜토리얼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data receiving unit 512 receives the tutorial data for the selected function from the remote help server 21 at the request of the user. Here, the remote help server 21 of FIG. 1 provides a tutorial ser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튜토리얼 서비스부(513)는 수신된 튜토리얼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뮬레이터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에 대한 튜토리얼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튜토리얼 서비스부(513)는 수신된 튜토리얼 데이터를 내부에 구비된 시뮬레이터를 통해 시뮬레이션하여 튜토리얼 서비스를 실행한다. 튜토리얼 서비스부(513)는 튜토리얼 데이터 중에서 시뮬레이션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2차원 렌더링 데이터, 2차원 영상 데이터, 3차원 렌더링 데이터 및 3차원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튜토리얼 데이터를 이용하여 튜토리얼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The tutorial service unit 513 displays the tutorial service for the function selected by the user on the simulator to the user using the received tutorial data. The tutorial service unit 513 simulates the received tutorial data through a simulator provided therein to execute the tutorial service. The tutorial service unit 513 transmits a tutorial service to a user using one of tutorial data of two-dimensional rendering data, two-dimensional image data, three-dimensional rendering data and three-dimensional image data for displaying a simulated image among tutorial data Can be displayed.

도 5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튜토리얼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utorial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사용자 단말(201)은 내부에 구비된 튜토리얼 서비스를 위한 시뮬레이터를 실행한다(S602).The first user terminal 201 executes a simulator for a tutorial service provided therein (S602).

그리고 제1 사용자 단말(201)은 시뮬레이션하고자 하는 단말 환경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2)로부터 전송받아서 설정한다(S604).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201)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2)로부터 자신이 시뮬레이션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단말 환경 정보(예컨대, 단말기종, 운영체제, 펌웨어 정보가 포함된 단말 정보, 애플리케이션 사용 이력 정보 및 사용 설정 정보 등)을 전송받아 설정하거나 모방하고자 하는 다른 사용자 단말의 번호를 입력하여, 해당 스마트폰과 동일한 환경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22)로부터 다운받아서 설정할 수 있다.Then, the first user terminal 201 receives and sets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to be simulated from the user database server 22 (S604). For example, the first user terminal 201 may acquir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e.g., terminal information including terminal type, operating system, firmware information, application usage history information, and the like) of a device to be simulated by the user database server 22 Setting information or the like), and inputting the number of another user terminal to be set or imitated, so that the same environment information as the corresponding smart phone can be downloaded from the user database server 22 and set.

이어서, 제1 사용자 단말(201)은 제1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시뮬레이터 상에서 튜토리얼 메뉴를 제1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다(S606).Then, the first user terminal 201 selects a tutorial menu from the first user on the simulator executed by the first user (S606).

이후, 제1 사용자 단말(201)은 튜토리얼 메뉴에서 제1 사용자에 의해 특정 기능, 메뉴 및 애플리케이션을 선택받는다(S608).Thereafter, the first user terminal 201 selects a specific function, menu, and application by the first user in the tutorial menu (S608).

그리고 제1 사용자 단말(201)은 원격 도움 서버(21)에 접속하여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 메뉴 및 애플리케이션 사용법을 조작하거나 안내하는 원격 튜토리얼 데이터를 원격으로 자동 전송받는다(S610). 여기서, 원격 도움 서버(21)는 튜토리얼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first user terminal 201 accesses the remote help server 21 and receives remotely automatic transmission of the remote tutorial data that manipulates or guides the function, menu, and application usage selected by the first user (S610). Here, the remote help server 21 provides a tutorial service.

이어서, 제1 사용자 단말(201)은 제1 사용자에게 메뉴 또는 애플리케이션 사용법을 순차적 및 시각적으로 제공하여 제1 사용자가 이러한 기능, 메뉴 및 애플리케이션 사용법을 배울 수 있도록 한다(S612). 여기서, 제1 사용자 단말(201)은 수신된 튜토리얼 데이터 중에서 시뮬레이션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2차원 렌더링 데이터, 2차원 영상 데이터, 3차원 렌더링 데이터 및 3차원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튜토리얼 데이터를 이용하여 튜토리얼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The first user terminal 201 then provides the first user with a menu or application usage sequentially and visually to allow the first user to learn how to use these functions, menus, and applications (S612). Here, the first user terminal 201 may use any one of tutorial data of two-dimensional rendering data, two-dimensional image data, three-dimensional rendering data, and three-dimensional image data for displaying a simulated image among the received tutorial data The tutorial service can be displayed to the user.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he techniqu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스마트 TV, 스마트 북 등) 사용자들이 사용 방법을 모르거나 문제가 발생시에 동일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기능과 환경 내에서 가상으로 시뮬레이션하여 알려주는 원격 도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해결 방법이나 궁금증에 대한 답변을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알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assistant service for users who do not know how to use a smart device (e.g., a smart phone, a smart tablet, a smart TV, or a smart book) or simulate a function and environment of the same smart device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and easily find answers to the solutions or questions.

201: 제1 사용자 단말 21: 원격 도움 서버
22: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 23: 제2 사용자 단말
231: 단말 정보 요청부 232: 가상 디바이스 시뮬레이션부
233: 전송부 510: 튜토리얼 서비스 장치
511: 환경 설정부 512: 데이터 수신부
513: 튜토리얼 서비스부
201: first user terminal 21: remote help server
22: user database server 23: second user terminal
231: terminal information request unit 232: virtual device simulation unit
233: Transmitting section 510: Tutorial service device
511: Environment setting section 512: Data receiving section
513: Tutorial Service Department

Claims (24)

시뮬레이션 대상이 되는 제1 사용자 단말의 단말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의 제1 사용자 단말과 동일한 단말 환경 내에서 시뮬레이션하는 제2 사용자 단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원격 도움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원격 도움 서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기 저장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동일한 단말 환경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단말 정보, 애플리케이션 사용 이력 정보 및 사용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 환경 정보를 전송하는 원격 도움 시스템.
A second user terminal for simulating within the same terminal environment as a virtual first user terminal using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a first user terminal to be a simulation target;
A remote help server for sending a remote assistance request message to the second user terminal at the request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A user database server that provides the sam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as the previously stored first user terminal to the second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 RTI >
The user database server comprises:
And transmits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erminal information, application usage history information, and usage setting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가상의 제1 사용자 단말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원격 도움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격 도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user terminal comprises:
And transmitting a simulation result of the virtual first user terminal to the first user terminal to provide a remote assistance service.
삭제delete 시뮬레이션 대상이 되는 제1 사용자 단말과 동일한 단말 환경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요청하여 전송받는 단말 정보 요청부; 및
제1 사용자 단말의 단말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의 제1 사용자 단말을 동일한 단말 환경 내에서 시뮬레이션하는 가상 디바이스 시뮬레이션부
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정보 요청부는,
단말 정보, 애플리케이션 사용 이력 정보 및 사용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단말 환경 정보를 전송받는 가상 디바이스 시뮬레이션 장치.
A terminal information requesting unit for requesting the sam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as a first user terminal to be simulated and transmitted to the user database server; And
A virtual device simulation unit for simulating a virtual first user terminal in the same terminal environment using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 RTI >
The terminal information request unit,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information, the application usage history information, and the usage se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제1 사용자 단말을 시뮬레이션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2차원 렌더링 데이터, 2차원 영상 데이터, 3차원 렌더링 데이터 및 3차원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가상 디바이스 시뮬레이션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ny one of two-dimensional rendering data, two-dimensional image data, three-dimensional rendering data, and three-dimensional image data for displaying an image simulating the virtual first user terminal to the first user terminal,
Wherein the virtual device simula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스마트 TV, 스마트 북 중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가상 디바이스 시뮬레이션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user terminal comprises:
A smart device simulation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smart device of a smart phone, smart tablet, smart TV, or smartbook.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 요청부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단말 환경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클라이언트로 설정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없는 단말 환경 정보를 제공받는 가상 디바이스 시뮬레이션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terminal information request unit,
And if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does not exist in the user database server, sets the first user terminal as a client and provides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not present in the user database server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디바이스 시뮬레이션부는,
단말 정보, 애플리케이션 사용 이력 정보 및 사용 설정 정보 중에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서 미리 저장된 단말 환경 정보가 있는 경우에 상기 미리 저장된 단말 환경 정보를 이용하는 가상 디바이스 시뮬레이션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virtual device simulation unit comprises: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second user terminal among the terminal information, the application usage history information, and the usage setting informa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디바이스 시뮬레이션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조작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2차원 렌더링 데이터, 2차원 영상 데이터, 3차원 렌더링 데이터 및 3차원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전송받는 가상 디바이스 시뮬레이션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virtual device simulation unit comprises:
Dimensional rendering data, two-dimensional image data, three-dimensional rendering data, and three-dimensional image data for displaying an image for operating the first user terminal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시뮬레이션하고자 하는 단말 환경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시뮬레이터 상에서 설정하는 환경 설정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기능에 대한 튜토리얼 데이터를 원격 도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튜토리얼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시뮬레이터 상에서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한 튜토리얼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튜토리얼 서비스부
를 포함하는 가상 디바이스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튜토리얼 서비스 장치.
An environment setting unit for receiving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to be simulated from the user database server and setting the environment information on the simulator;
A dat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utorial data on a selected function from a remote help server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A tutorial service unit for displaying a tutorial service for the selected function to the user on the simulator using the received tutorial data,
A tutorial service device using simulated virtual device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설정부는,
상기 시뮬레이션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번호에 대응하는 단말 환경 정보를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전송받는 튜토리얼 서비스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environment setting unit,
And receiving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to be simulated or the number of the user terminal from the user database serv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설정부는,
단말 정보, 애플리케이션 사용 이력 정보 및 사용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 환경 정보를 전송받는 튜토리얼 서비스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environment setting unit,
Wherein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erminal information, application usage history information, and usage setting informa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튜토리얼 서비스부는,
상기 수신된 튜토리얼 데이터 중에서 시뮬레이션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2차원 렌더링 데이터, 2차원 영상 데이터, 3차원 렌더링 데이터 및 3차원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튜토리얼 데이터를 이용하여 튜토리얼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튜토리얼 서비스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tutorial service unit,
A tutorial service for displaying a tutorial service to the user using one of tutorial data of two-dimensional rendering data, two-dimensional image data, three-dimensional rendering data, and three-dimensional image data for displaying a simulated image among the received tutorial data; Service device.
원격 도움 서버가 제1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원격 도움 요청 메시지를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도움 요청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단말 환경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말환경정보 제공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공된 단말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의 제1 사용자 단말을 동일한 단말 환경 내에서 시뮬레이션하는 가상 단말 시뮬레이션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환경정보 제공 단계는,
단말 정보, 애플리케이션 사용 이력 정보 및 사용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 환경 정보를 전송하는 원격 도움 서비스 방법.
A help request step in which the remote help server sends a remote assistance request message to the second user terminal at the request of the first user terminal;
Providing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stored in a user database server to the second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A virtual terminal simulation step of simulating a virtual first user terminal in the same terminal environment by using the provided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 RTI >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providing step may include:
And transmits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erminal information, application usage history information, and usage setting information.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제1 사용자 단말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원격 도움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격 도움 서비스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원격 도움 서비스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A remote assistance service step of transmitting a simulation result of the virtual first user terminal to the first user terminal and providing a remote assistance service
Wherein the remote help service method further comprises:
삭제delet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단말 환경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클라이언트로 설정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없는 단말 환경 정보를 제공받는 단말환경정보 추가 제공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원격 도움 서비스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Providing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addition providing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not present in the user database server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by setting the first user terminal as a client when there is no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in the user database server
Wherein the remote help service method further comprises: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단말 시뮬레이션 단계는,
단말 정보, 애플리케이션 사용 이력 정보 및 사용 설정 정보 중에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서 미리 저장된 단말 환경 정보가 있는 경우에 상기 미리 저장된 단말 환경 정보를 이용하는 원격 도움 서비스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virtual terminal simulation step includes: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second user terminal among the terminal information, the application usage history information, and the usage setting information.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조작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2차원 렌더링 데이터, 2차원 영상 데이터, 3차원 렌더링 데이터 및 3차원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전송받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조작 영상 전송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원격 도움 서비스 방법.
1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r 15,
Dimensional rendering data, three-dimensional rendering data, and three-dimensional video data for displaying a video image of a first user operating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ransmits the two-dimensional rendering data to the second user terminal Operation video transmission step
Wherein the remote help service method further comprises: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도움 서비스 단계는,
제2 사용자가 상기 가상의 제1 사용자 단말을 시뮬레이션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2차원 렌더링 데이터, 2차원 영상 데이터, 3차원 렌더링 데이터 및 3차원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원격 도움 서비스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remote assistance service step comprises:
Dimensional rendering data, two-dimensional rendering data, three-dimensional rendering data, and three-dimensional rendering data for displaying a video simulating the virtual first user terminal to the first user terminal Remote Assistance Service Method.
시뮬레이션하고자 하는 단말 환경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시뮬레이터 상에서 설정하는 환경 설정 단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기능에 대한 튜토리얼 데이터를 원격 도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튜토리얼 데이터 수신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튜토리얼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시뮬레이터 상에서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한 튜토리얼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튜토리얼 서비스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디바이스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튜토리얼 서비스 방법.
An environment setting step of receiving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to be simulated from a user database server and setting on the simulator;
Receiving tutorial data for a selected function from a remote help server in response to a user request; And
A tutorial service step for displaying a tutorial service for the selected function to the user on the simulator using the received tutorial data;
Method of tutorial service using simulated virtual device.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설정 단계는,
시뮬레이션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의 번호에 대응하는 단말 환경 정보를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전송받는 튜토리얼 서비스 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environment setting step comprises:
Wherein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number of a user terminal or a user terminal to be simulated is received from the user database server.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설정 단계는,
단말 정보, 애플리케이션 사용 이력 정보 및 사용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 환경 정보를 전송받는 튜토리얼 서비스 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environment setting step comprises:
The termi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erminal information, application usage history information, and usage setting information.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튜토리얼 서비스 단계는,
상기 수신된 튜토리얼 데이터 중에서 시뮬레이션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2차원 렌더링 데이터, 2차원 영상 데이터, 3차원 렌더링 데이터 및 3차원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튜토리얼 데이터를 이용하여 튜토리얼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튜토리얼 서비스 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tutorial service step includes:
A tutorial service for displaying a tutorial service to the user using one of tutorial data of two-dimensional rendering data, two-dimensional image data, three-dimensional rendering data, and three-dimensional image data for displaying a simulated image among the received tutorial data; Service method.
KR1020100081320A 2010-08-23 2010-08-23 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remote help using virtual device simulation and tutorial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KR1014968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320A KR101496899B1 (en) 2010-08-23 2010-08-23 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remote help using virtual device simulation and tutorial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320A KR101496899B1 (en) 2010-08-23 2010-08-23 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remote help using virtual device simulation and tutorial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475A KR20120018475A (en) 2012-03-05
KR101496899B1 true KR101496899B1 (en) 2015-03-06

Family

ID=46127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320A KR101496899B1 (en) 2010-08-23 2010-08-23 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remote help using virtual device simulation and tutorial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89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947B1 (en) * 2015-11-26 2019-03-04 에스케이 주식회사 Online Customer Service Support Method and System using the Remote Control System for Mobile Terminal
KR101990100B1 (en) * 2018-10-23 2019-06-19 넷마블 주식회사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tutorial contents
CN115994577B (en) * 2023-03-22 2024-02-06 北京企元界科技有限公司 Knowledge graph-based data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893A (en) * 2001-02-14 2002-08-21 주식회사데이콤 An Escorted Browsing service method using ANI and DNI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893A (en) * 2001-02-14 2002-08-21 주식회사데이콤 An Escorted Browsing service method using ANI and DN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475A (en) 2012-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58960A1 (en) Unified virtual reality platform
CN102959597A (en) Remote control of a telephone
CN1040658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tate information
JPWO2008066093A1 (en) Position-dependent information expression system, position-dependent information expression control device, and position-dependent information expression method
EP2713272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esent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KR20130089921A (en) Operating method and content providing system
KR100883352B1 (en) Method for expressing emotion and intention in remote interaction and Real emoticon system therefor
JP2014149829A (en) Method for detecting and displaying help information, medical care apparatus, mobile application and system
US9794415B2 (en) Calling methods and devices
CN107071035A (en) mobile terminal remote control method, device and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KR101496899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remote help using virtual device simulation and tutorial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CN110794952B (en) Virtual reality cooperative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KR20130015472A (en)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erver thereof
KR20160093135A (en) Based on web, e-training control station system and e-training control method
CN109979262B (en) Personal safety VR education system
CN116077921A (en) VR control method and system and application thereof in cloud game
JPH0863416A (en) Cyberspace system
CN111135557B (en)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for multiple screens
GB2607800A (en) Dialogue user emo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KR101083712B1 (en) Real-time Network Integration System for Instructional Robot Service
CN111930276B (en) Page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0221891A (en) A kind of draw data acquisition methods, device, storage medium and terminal
JPWO2018225806A1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JPWO2018225805A1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CN112860367B (en) Equipment interface visualization method, intelligent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