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815B1 -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using seperated communication ports and a method of communicating thereof - Google Patents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using seperated communication ports and a method of communicat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815B1
KR101493815B1 KR1020130099210A KR20130099210A KR101493815B1 KR 101493815 B1 KR101493815 B1 KR 101493815B1 KR 1020130099210 A KR1020130099210 A KR 1020130099210A KR 20130099210 A KR20130099210 A KR 20130099210A KR 101493815 B1 KR101493815 B1 KR 101493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r
port
electric vehicle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92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21322A (en
Inventor
오세철
유재형
이충열
유동건
Original Assignee
한국환경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환경공단 filed Critical 한국환경공단
Priority to KR1020130099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815B1/en
Publication of KR20140121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3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8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포트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자동차 충전 인프라 운영관리를 위한 통신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충전기의 접속요청 없이 운영관리 시스템이 직접 충전기에 대한 제어정보를 전송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인프라시스템의 부하가 가중되지 않도록 한 효과가 있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method for operating and manag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and a system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a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 The management system can directly transmit and control the control information for the charger, and the load of the infrastructure system is not increased.

Description

통신포트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통신 방법{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using seperated communication ports and a method of communicating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a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통신포트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자동차 충전 인프라 운영관리를 위한 통신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a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 in particular, a communication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and a system using the same.

최근 화석에너지 고갈 및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전기 자동차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Recently, as interest in fossil energy depletion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 has increased, research on electric vehicle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전기 자동차는 전기를 동력으로 움직이는 자동차를 말하며,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를 소비하여 모터를 회전시킴으로써 구동되는 자동차를 의미한다.An electric vehicle refers to a vehicle that is powered by electricity and means a vehicle that is driven by rotating the motor by consuming electricity accumulated in the battery.

최근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배터리의 용량이 커지기는 하였으나, 배터리의 용량의 한계는 존재할 수밖에 없어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이 필수적이다.Although the capacity of the battery has been increased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there is a limitation of the capacity of the battery, so charging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is essential.

이러한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자체 송전망, 배전망, 변전소 등의 시설이 요구되며, 안정적이며 효율적인 전력 수급 및 공급이 필요하다.Such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requires its own facilities such as a power grid, a power grid, and a substation,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able and efficient power supply and supply.

따라서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그 운용의 방식에서 효율성과 경제성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Therefore,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is required to be efficient and economical in its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통신포트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통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a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 which use an efficient and economical communication port separatel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신장치를 통해 네트워크 망에 접속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 및 상기 네트워크 망을 통해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기와 연결된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기는 상기 통신장치의 제1포트를 통해 상기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과 연결되어 충전기 운영을 위한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장치의 제2포트를 통해 상기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과 연결되어 데이터 다운로드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이 제공된다.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onnected to a network through a communication device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nd a charging infrastructur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through the network, wherein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infrastructur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through a first por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es with the charging infrastructur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via a second por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data download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기는 상기 데이터 다운로드가 필요한 경우 상기 통신장치에 포트 오픈을 요청하고 상기 통신장치가 포트스위칭하여 상기 제1포트에서 상기 제2포트로 통신연결을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dvantageously,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requests opening of the por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when the data download is required,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switches the port from the first port to the second port by switching the port.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기는 상기 제2포트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충전기 운영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1포트로 바뀌면 저장한 상기 정보를 미전송 전문으로 상기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harger when performing communication through the second port,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stored when the first port is changed to the charging infrastructur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To the mobile station.

또한,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통신장치를 통해 네트워크 망에 접속하여 연결된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과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상기 통신장치의 제1포트를 통해 상기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과 연계되어 충전기 운영을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상기 통신장치의 제2포트를 통해 상기 충전기 운영관리 시스템과 연결되어 데이터 다운로드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위한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A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 charging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connected to an electric vehicle charger by connecting to a network via a communication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nnecting the charging device to the charging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through a first por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Performing communication for charger operation;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s connected to the charger operation management system through a second por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to perform communication for downloading data. do.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상기 데이터 다운로드가 필요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통신장치에 포트 오픈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장치가 요청된 상기 포트 오픈에 따라 포트스위칭하여 상기 제1포트에서 상기 제2포트로 통신연결을 바꾸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if the electric car charger determines that the data download is necessary, the method further includes: requesting the communication device to open a port; And chang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from the first port to the second port by switching the port according to the requested port open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상기 제2포트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충전기 운영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상기 제2포트에서 상기 제1포트로 통신연결이 바뀌면, 저장한 상기 정보를 미전송 전문으로 상기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when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performs communication via the second port, storing information for operating the charger; And transmitting the stored information to the charge infrastructur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s a non-transfer specialist when the electric car charger change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from the second port to the first port.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은 충전기가 M2M통신을 이용하여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충전기와 운영관리 시스템 간 실시간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충전기에 대한 원격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real-tim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a charger and an operation management system by allowing a charger to be connected to a charging infrastructur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M2M communication, thereby enabling remote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charger.

또한, 본 발명은 충전기가 버전정보를 수신하여 충전기 내에서 필요한 항목을 판단한 후 운영관리 시스템에 다운로드 요청하도록 하여 운영관리 시스템의 부하를 방지한 효과가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er receives version information, determines necessary items in the charger, and then requests a download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thereby preventing the load on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그리고, 본 발명은 충전기의 결재정보는 M2M 통신단말기의 IP스위칭스위칭을 통해 VAN사에 전송하도록 하여 운영관리 시스템의 부하를 방지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load on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by allowing the charging information of the charger to be transmitted to the VAN company through IP switching switching of the M2M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설치시의 통신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가동시의 통신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충전시의 통신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중지시의 통신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통신단절시의 통신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다운로드시의 통신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2M단말기 다운로드시의 통신 순서도.
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of a communication procedure when a charger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of a communication procedure when the charger is op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of a communication procedure when the charger is char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of a communication when the charger is stopp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flowchart of a communication in a charger communication dis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flowchart of a communication procedure for downloading a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flowchart of a communication procedure when the M2M terminal is downloa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M2M통신단말기(111)를 통해 네트워크 망(120)에 접속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 네트워크 망(120)을 통해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를 제어하는 운영 및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1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ic vehicle charger 110 that connects to a network 120 through an M2M communication terminal 111; And a charging infrastructur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130 that receives information on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10 through the network 120 and transmits oper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10.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가 M2M통신단말기(111)를 통해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130)에 연결되어,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에 대한 직접 제어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효과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that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1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infrastructur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130 through the M2M communication terminal 111 and can transmit direct control information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10. [

예를 들어, 전력사용의 제한이 필요한 경우,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130)은 M2M통신을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를 제어함으로써 전기자동차 충전기가 가동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 of the electric power is to be restricted, the charging infrastructur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130 can control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10 to be shut down by controll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10 using the M2M communication.

바람직하게는,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130)이 네트워크 망(120)을 통해 수신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인증 정보, 충전기 상태 정보, 알람자료 정보, 충전상태 정보, 충전기설치 정보, 사용전력량 정보, 충전기 모드 정보, 미 전송전문 정보, 일마감 자료 정보 및 버전 정보일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인증 요청, 단가 정보 요청, 암호화 키 요청, 충전기 운영파라미터 요청, 정보 다운로드 요청 또는 버전정보 요청과 같이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가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130)으로부터 수신하고자 하는 정보에 대한 요청 정보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information about the electric car charger 110 that the charging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130 receives via the network 120 includes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charger status information, alarm data information, charging status information, Deadline information, and version information, and may also include a user authentication request, a unit price request, an encryption key request, a charger operation parameter request, an information download request, or a version information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10 may be request information for information to be received from the charging infrastructur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130 as requested.

바람직하게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가 네트워크 망(120)을 통해 수신하는 운영 및 제어정보는 충전기 모드 변경, 버전 정보, 단가정보, 운영시간 설정, 암호화 키 및 충전기 운영파라미터일 수 있으며, 또한 충전기 상태 요청, 충전기 모드 요청, 자료 재수신 요청, 충전기 판매단가 요청, 충전기 리셋 요청, 충전기 사용전력량 요청, 충전기 로그 요청, 충전 진행 상태 요청, 충전기 설치 정보 요청과 같이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130)이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로부터 수신하고자 하는 정보에 대한 요청 정보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operational and control information that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10 receives via the network 120 may be a charger mode change, version information, unit price information, operating time setting, encryption key and charger operating parameters, The charging infrastructur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130 such as the charger status request, the charger mode request, the data re-reception request, the charger sales unit request, the charger reset request, the charger use power amount request, the charger log request, May be request information on information to be received from the electric car charger 110. [

또한, 바람직하게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는 M2M통신단말기(111)에 대해 리셋 요청, 연결상태 요청, 단말기 정보 요청, 폴링 요청, IP 설정 요청, 포트 설정 요청 및 정보다운로드 요청을 할 수 있으며, M2M통신단말기(111)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에 대해 알람정보 전송, 카드 데이터 전송, IP 설정 요청 및 포트 설정 요청을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10 can request a reset request, a connection status request, a terminal information request, a polling request, an IP setting request, a port setting request, and an information download request to the M2M communication terminal 111 , The M2M communication terminal 111 can transmit alarm information, card data transmission, IP setting request, and port setting request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10. [

바람직하게는, 자료 재수신 요청은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130)이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중 누락된 데이터를 판단하여, 이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신호이다. 이를 통해,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130)은 저장한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Preferably, the data re-receipt request is a signal for requesting re-transmission of the missing data amo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10 by the charging infrastructur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130. [ Accordingly, the charging infrastructur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130 has an effect of providing reliability to the stored data.

바람직하게는, 운영시간 설정은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130)이 필요한 경우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의 운영시간을 설정하여(예를 들어, 전력 피크의 위험이 판단되는 날짜, 기간 또는 시간을 고려하여 제한한 운영시간) 전송하는 제어정보이다.
Preferably, the operating time setting may include setting an operating tim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10 (e.g., considering the date, period, or time at which the risk of a power peak is determined) And limited operating time).

바람직하게는, 일마감 자료 정보는 충전기 운영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된 시간을 기준으로 계산된 충전기 사용 전력량 및 결재한 금액 정보이다. 바람직하게는, 일마감 자료 정보는 충전기 운영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된 시간까지 수집된 충전기 사용 전력량 및 결재한 금액 정보이다.(충전기 운영 중 결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운영 중 발생한 사용 전력량 및 금액은 다음 날짜로 계산된다.)
Preferably, the one-time-of-use data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charger and the amount of money paid based on the tim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harger operating parameter. Preferably, the deadline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charger used and the amount of money collected until the tim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parameters of the charger. (When the determined time is reached during operation of the charger, do.)

바람직하게는, 충전기 로그 요청은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130)이 각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의 로그 정보를 수신받아 A/S 서비스 등의 서비스 업체에 제공하기 위해 요청하는 신호이다. 이를 통해,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의 오작동을 해결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가 각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에 직접 접근하여 문제를 확인하지 않고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130)에 접속하는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Preferably, the charger log request is a request to the charging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130 to receive the log information of each electric car charger 110 and provide it to a service company such as an A / S service. Accordingly, a company providing a service for solving the malfunc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10 directly accesses the electric car charger 110 and confirms the connection to the charging infrastructur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130 without checking the problem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인증 요청은 예약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 인증 요청한 사용자가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user authentication request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a reserved user, and the user requesting the user authentication may restrict the us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10. [

충전기 모드 정보는 아래의 표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Charger mode information can be defined as shown in the table below.

Field NameField Name TypeType SizeSize DescriptionDescription 구분division DescriptionDescription 충전기 ModeCharger Mode HEXHEX 0202 Bit [00]Bit [00] 운영 [yes:1, no:0]Operation [yes: 1, no: 0] Bit [01]Bit [01] 운영 중지 [yes:1, no:0]Inactive [yes: 1, no: 0] Bit [02]Bit [02] 충전 대기 [yes:1, no:0]Waiting for charging [yes: 1, no: 0] Bit [03]Bit [03] 충전 중 [yes:1, no:0]Charging [yes: 1, no: 0] Bit [04]Bit [04] 점검 중 [yes:1, no:0]Checking [yes: 1, no: 0] Bit [05]Bit [05] Test 중 [yes:1, no:0]During the test [yes: 1, no: 0] Bit [06~15]Bit [06 ~ 15] 예비Spare

충전기 상태 정보는 아래의 표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Charger status information can be defined as shown in the table below.

Field NameField Name TypeType SizeSize DescriptionDescription 구분division DescriptionDescription 충전기 상태Charger status HEXHEX 0808 Bit [00]Bit [00] Door [Close:1, Open:0]Door [Close: 1, Open: 0] Bit [01]Bit [01] Connector door [Close:1, Open:0]Connector door [Close: 1, Open: 0] Bit [02]Bit [02] M2M통신단말기 [Bad:0, OK:1]M2M communication terminal [Bad: 0, OK: 1] Bit [03]Bit [03] UPS [Off:0, On:1]UPS [Off: 0, On: 1] Bit [04]Bit [04] RF카드단말기 [Bad:0, OK:1]RF card terminal [Bad: 0, OK: 1] Bit [05]Bit [05] RTC [Bad:0, OK:1]RTC [Bad: 0, OK: 1] Bit [06]Bit [06] 화면 디스플레이 [Bad:0, OK:1]Screen display [Bad: 0, OK: 1] Bit [07]Bit [07] Bit [08]Bit [08] 입력 과전압 [Bad:0, OK:1]Input overvoltage [Bad: 0, OK: 1] Bit [09]Bit [09] 입력 과전류 [Bad:0, OK:1]Input overcurrent [Bad: 0, OK: 1] Bit [10]Bit [10] 출력 과전압 [Bad:0, OK:1]Output overvoltage [Bad: 0, OK: 1] Bit [11]Bit [11] 출력 과전류 [Bad:0, OK:1]Output overcurrent [Bad: 0, OK: 1] Bit [12]Bit [12] 출력단락 [Bad:0, OK:1]Output paragraph [Bad: 0, OK: 1] Bit [13]Bit [13] 출력지락 [Bad:0, OK:1]Output ground [Bad: 0, OK: 1] Bit [14]Bit [14] 비상스위치 [Bad:0, OK:1]Emergency switch [Bad: 0, OK: 1] Bit [15]Bit [15] 침수스위치 [Bad:0, OK:1]Immersion switch [Bad: 0, OK: 1] Bit [16]Bit [16] 기울기 스위치Tilt switch Bit [17]Bit [17] Bit [18]Bit [18] BMS Fault [Bad:0, OK:1]BMS Fault [Bad: 0, OK: 1] Bit [19]Bit [19] 충전기내부통신에러 [Bad:0, OK:1]Charger internal communication error [Bad: 0, OK: 1] Bit [20]Bit [20] 전기자동차 충전기 통신에러 [Bad:0, OK:1]Electric car charger communication error [Bad: 0, OK: 1] Bit [21]Bit [21] Inter Lock 에러 [Bad:0, OK:1]Inter Lock error [Bad: 0, OK: 1] Bit [22]Bit [22] 내부온도이상 에러 [Bad:0, OK:1]Internal temperature error [Bad: 0, OK: 1] Bit [23]Bit [23] 전기자동차 Battery Low 에러 [Bad:0, OK:1]Electric vehicle battery low error [Bad: 0, OK: 1] Bit [24]Bit [24] 전기자동차 Battery 극성 에러 [Bad:0, OK:1]Electric car battery Polarity error [Bad: 0, OK: 1] Bit [25]Bit [25] Converter Fault [Bad:0, OK:1]Converter Fault [Bad: 0, OK: 1] .
.
.
.
.
.
Bit [44~64]Bit [44 ~ 64] Dummy : 0Dummy: 0

이러한 정보가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에서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130)으로 전송되는 경우, Variable Data 앞에 추가된다.
When this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electric car charger 110 to the charging infrastructur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130, it is added before Variable Data.

바람직하게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 또는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130)은 정보 요청 후 30초간의 수신대기를 하며, 미수신의 경우 정보 요청을 재전송한 후 15초간의 수신대기를 한다. 이 때, 재전송 후 미수신의 경우 통신단절로 판단한다.
Preferably,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10 or the charging infrastructur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130 waits for 30 seconds after the information request, and if not received, retransmits the information request and then waits for 15 seconds. At this time, if the data is not received after retransmiss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mmunication is disconnected.

바람직하게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는 M2M통신단말기(111)에 대해 30초 주기로 폴링(Polling)한다. 네트워크 연결 상태는 M2M통신단말기(111)이 판단하며,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로 연결여부를 전송한다.
Preferably,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10 polls the M2M communication terminal 111 at a cycle of 30 seconds. The network connection status is determined by the M2M communication terminal 111 and transmitted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10.

바람직하게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는 폴링 이후 이에 대한 응답이 10초간 없는 경우 또는 M2M통신단말기(111)으로부터 통신장애 알람을 수신한 경우에 통신단절로 판단한다.
Preferably,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10 determines that the communication is disconnected when there is no response for 10 seconds after the polling or when a communication failure alarm is received from the M2M communication terminal 111.

또한, 바람직하게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로부터 폴링 신호를 받는 M2M통신단말기(111)는 내부 오작동이 있는 경우 에러 알람을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에 전송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가 통신단절로 판단하도록 한다. 이후, M2M통신단말기(111)는 내부 오작동이 종료된 경우 재접속 알람을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에 전송하여 통신재개로 판단하도록 한다.
Preferably, the M2M communication terminal 111 receiving the polling signal from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10 transmits an error alarm to the electric car charger 110 when there is an internal malfunction, so that the electric car charger 110 is disconnected from the communication . Thereafter, when the internal malfunction is terminated, the M2M communication terminal 111 transmits a reconnection alarm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10 to determine that the communication is resumed.

통신단절 이후 통신재개된 경우에는 도 6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When the communication resumes after the communication disconnection,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Fig.

바람직하게는,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130)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에게 ACK 또는 NACK 메시지를 아래의 표와 같은 패킷으로 전송한다.
Preferably, the charging infrastructur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130 transmits an ACK or NACK message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10 in a packet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STX(1)STX (1) Date(7)Date (7) SEQ(2)SEQ (2) TypeType ID1(8)ID1 (8) ID2(2)ID2 (2) INS(2)INS (2) ML(2)ML (2) VDVD CRC(2)CRC (2) ETX(1)ETX (1) 0x020x02 Send DateSend Date Seq. No.Seq. No. TypeType 충전소 IDCharging Station ID 충전기 IDCharger ID INSINS 2(0x0002)2 (0x0002) DataData CRCCRC 0x030x03

표 3에서 괄호 안의 숫자는 각 필드의 바이트 수를 의미하며, VD(Variable Data)는 아래의 표와 같이 정의된다.In Table 3, the numbers in parentheses indicate the number of bytes in each field, and VD (Variable Data) is defined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Field NameField Name TypeType SizeSize DescriptionDescription 응답코드Response code HEXHEX 1One ACK: 0x06, NAK: 0x15ACK: 0x06, NAK: 0x15 사유코드Reason Code HEXHEX 1One 초기값: 0x00Default: 0x00

바람직하게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는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130)에게 ACK 또는 NACK 메시지를 아래의 표와 같은 패킷으로 전송한다.Preferably,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10 transmits an ACK or NACK message to the charging infrastructur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130 in a packet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STX(1)STX (1) Date(7)Date (7) SEQ(2)SEQ (2) TypeType ID1(8)ID1 (8) ID2(2)ID2 (2) INS(2)INS (2) ML(2)ML (2) VDVD CRC(2)CRC (2) ETX(1)ETX (1) 0x020x02 Send DateSend Date Seq. No.Seq. No. TypeType 충전소 IDCharging Station ID 충전기 IDCharger ID INSINS 16(0x0010)16 (0x0010) DataData CRCCRC 0x030x03

표 5에서 괄호 안의 숫자는 각 필드의 바이트 수를 의미하며, VD(Variable Data)는 아래의 표와 같이 정의된다.In Table 5, the numbers in parentheses indicate the number of bytes in each field, and VD (Variable Data) is defined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Field NameField Name TypeType SizeSize DescriptionDescription 충전기 모드Charger mode HEXHEX 22 충전기 운영 모드Charger operating mode 충전기 상태Charger status HEXHEX 88 충전기 상태Charger status 충전기 사용전력량Charger power consumption HEXHEX 44 충전기 사용 전력량(일 마감 이후 전력량계 기준)Amount of electricity used by charger (based on watt-hour meter after one day's work) 응답코드Response code HEXHEX 1One ACK: 0x06, NAK: 0x15ACK: 0x06, NAK: 0x15 사유코드Reason Code HEXHEX 1One 표 7 참조See Table 7

사유코드는 아래의 표와 같이 정의된다.Reason codes are defined as shown in the table below.

코드code DescriptionDescription 0x010x01 CRC ErrorCRC Error 0x020x02 충전기 인증 실패Charger authentication failed 0x030x03 충전기 Type 에러Charger Type Error 0x040x04 충전기 ID 에러Charger ID error 0x050x05 충전소 ID 에러Charging station ID error 0x060x06 Index 에러Index error 0x070x07 Length 에러Length error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130)은 네트워크 망(120)을 통해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로부터 충전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통신서버(131); 통신서버(131)로부터 수신한 충전기에 대한 정보 및 전송한 제어정보를 저장받는 DB서버(132); 및 DB서버(132)에 저장된 정보를 통해 사용자 단말(140)에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의 운영 및 제어정보를 제공하는 웹서버(133)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infrastructur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130 receives information on the charger from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10 through the network 120, (131); A DB server 132 for storing information on charger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server 131 and transmitted control information; And a web server 133 that provides oper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10 to the user terminal 140 through information stored in the DB server 132. [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140)에 제공되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의 운영 및 제어정보는 충전기 상태 정보, 충전상태 정보, 언플러그 상태 정보, 설치 정보, 일마감 자료 정보, 단가정보 및 운영시간 정보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operating and control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10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40 includes charger status information, charging status information, unplug status information, installation information, daily deadline information, unit price inform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M2M통신단말기(111)는 IP 스위칭을 통해 결재정보를 VAN사(150)에 제공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2M communication terminal 111 is configured to provide the approval information to the VAN company 150 through IP switching.

이를 통해,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130)은 일반적인 VAN사가 구축한 수준의 신뢰성 및 고도성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결재 관련 요청 및 승인은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130)을 통해 관리되지 않도록 하며, 결재 정보는 VAN사와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130)에서 같이 관리한다.
Accordingly, the charge infrastructur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130 does not need to have the reliability and the high level of the general VAN company. The payment related request and approval are not managed through the charging infrastructur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130, and the settlement information is managed together with the VAN company and the charging infrastructur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130.

바람직하게는, M2M통신단말기(111)는 IP스위칭 및 포트스위칭을 통해 결재정보를 VAN사(150)에 제공하는데, 운영관리 시스템(130)과 구별되는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는 IP와 포트를 가져 결재관련 정보인 경우 네트워크 연결을 바꿔 VAN사(150)와 통신연결 후 정보를 전송한다.Preferably, the M2M communication terminal 111 provides settlement information to the VAN company 150 through IP switching and port switching. The M2M communication terminal 111 has an IP and a port for supporting a network connection different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130 In the case of the related information, the network connection is changed and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after establishing communication with the VAN company 150.

바람직하게는, IP스위칭은 전기 자동차 충전기(110)가 결재를 위한 RF카드단말기(미도시)를 포함하고 있어, RF카드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결재관련 정보에 대해서는 VAN사(150)에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IP헤더를 구성한 IP패킷을 생성하여 M2M통신단말기(111)가 이를 수신하고 확인하여 IP스위칭 및 포트스위칭을 통해 VAN(150)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Preferably, the IP switching includes an RF card terminal (not shown) for charging the electric car charger 110, and the IP car terminal 110 may be connected to the VAN company 150 in order to provide the paymen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F card terminal to the VAN company 150 IP header, and the M2M communication terminal 111 receives and confirms the IP packet and provides the IP packet to the VAN 150 through IP switching and port switching.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에서 충전기 운용에 따른 통신 방법을 설명한다. 하기의 통신 방법은 모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Hereinafter,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charger operation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following communication methods are all applicable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설치시의 통신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2M통신단말기를 통해 운영관리 시스템과 연결되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충전기 설치시 통신하는 방법은 충전기 관련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S221); M2M통신단말기로 IP 및 포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222); M2M통신단말기를 통해 운영관리 시스템에 충전기 설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223); 충전기가 등록된 운영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충전기가 인증되어 응답 메시지는 받는 단계(S213); 및 리셋하는 단계(S22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FIG. 2 is a flowchart of communication in installing a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Referring to FIG. 2, a method for communicating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onnected to an operation management system through a M2M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gistering charger-related information (S221); Transmitting IP and port information to the M2M communication terminal (S222); Transmitting the charger installation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M2M communication terminal (S223); (S213) the charger is authenticated and receives a response message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in which the charger is registered; And resetting (S224).

바람직하게는, 운영관리 시스템은 설치되는 충전기에 대한 충전소 ID, 충전기 종류, 포트번호, IP번호, 충전기제조사 및 충전기 ID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된다.(S211)
Preferably,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receives and stores information on a charging station ID, a charger type, a port number, an IP number, a charger manufacturer, and a charger ID for the installed charger (S211)

바람직하게는, S221 단계에서 전기 자동차 충전기는 충전소 ID, 충전기 ID, IP번호, 포트번호 및 GPS좌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Preferably, in step S221,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receives and stores information on the charging station ID, the charger ID, the IP number, the port number, and the GPS coordinates.

S222 단계에서 전기 자동차 충전기는 M2M통신단말기로 입력받아 저장된 IP 및 포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통신 연결한다.
In step S222, the electric car charger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IP and the port that are input to and received from the M2M communication terminal and establishes communication connection.

S223 단계에서 전기 자동차 충전기는 M2M통신단말기를 통해 충전기 설치 정보(바람직하게는, 충전소 ID, 충전기 ID, GPS 좌표 정보, IP 및 포트(운영관리 시스템에 연결되는 것과 VAN사에 연결되는 것) 정보)를 전송한다.
In step S223,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transmits charger installation information (preferably, charging station ID, charger ID, GPS coordinate information, IP and port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nd connected to the VAN company) via the M2M communication terminal, .

S212 단계에서 운영관리 시스템은 수신한 충전기 설치 정보를 이용하여 설치된 충전기와 기존 충전기의 충돌 여부를 확인하여 인증한다.
In operation S212,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checks whether the existing charger is collided with the installed charger using the received charger installation information, and authenticates the authenticated charger.

S213 단계 및 S224 단계에서 전기 자동차 충전기는 운영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인증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리셋한다.
In step S213 and step S224, the electric car charger receives and resets a response message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바람직하게는, M2M통신단말기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로부터 수신한 IP 및 포트에 대한 정보를 통해 운영관리 시스템과 VAN사로 보내는 데이터의 IP 및 포트를 셋팅하여야 한다. 또한, 전기 자동차 충전기는 운영관리 시스템과 VAN사의 IP 및 포트를 저장하여야 한다.
Preferably, the M2M communication terminal should set the IP and port of the data to be sent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nd the VAN company through the IP and por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lectric car charger. In addition,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should store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nd VAN's IP and por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가동시의 통신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2M통신단말기를 통해 운영관리 시스템과 연결되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가동시 통신하는 방법은 자체 테스트 및 모듈 초기화하는 단계(S321); M2M통신단말기로 IP 및 포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322); M2M통신단말기를 통해 운영관리 시스템에 가동 알람을 전송하는 단계(S323); 운영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모든 알람이 삭제되어 응답 메시지는 받는 단계(S312); 자체 테스트하는 단계(S324); 운영관리 시스템에 버전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S325, S313); 버전 업데이트 하는 단계(S326); 운영관리 시스템에 운영대기 알람을 전송하고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327, S314) 및 운영 대기하는 단계(S328)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3 is a flowchart of a communication procedure when the charger is op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a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onnected to an operation management system through an M2M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lf test and module initialization (S321); Transmitting IP and port information to the M2M communication terminal (S322); Transmitting an operation alarm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M2M communication terminal (S323); Receiving all the alarms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nd receiving a response message (S312); Self-testing (S324); Requesting and receiving version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S325, S313); Updating the version (S326); (S327, S314) for sending an operation standby alarm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nd receiving a response message (S328).

S323 단계를 통해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M2M통신단말기를 통해 운영관리 시스템에 가동 알람을 전송하면, 운영관리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어 있는 해당 충전기에 대한 모든 알람을 삭제한다.
If the electric car charger transmits an operation alarm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M2M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step S323,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deletes all alarms for the corresponding charger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S321 단계 또는 S324 단계에서의 자체 테스트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충전기 내부 및 내부장치(M2M통신단말기, RF장치 등)의 동작 상태 및 통신상태를 체크하는 것이다.
In the self test in step S321 or S324, the electric car charger checks the operation state and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charger and the internal device (M2M communication terminal, RF device, etc.).

S321 단계 또는 S324 단계에서의 자체 테스트를 통해 이상 발생시, 전기 자동차 충전기는 알람을 운영관리 시스템에 전송한다.
When an abnormality occurs through the self test in step S321 or S324, the electric car charger transmits an alarm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바람직하게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는 운영관리 시스템에 암호화 키를 요청하여 수신한 후 메모리에 저장한다.
Preferably,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requests and receives an encryption key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nd stores the encrypted key in the memory.

S327 단계에서 전기 자동차 충전기는 운영대기 알람을 전송하기 전, 내부 축적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운영관리 시스템에 상기 내부 축적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In step S327, the electric car charger transmits the internally accumulated data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when internally stored data exists before transmitting the operation standby alarm.

S326 단계에서 전기 자동차 충전기는 운영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버전 정보와 내부 버전 정보를 비교하여 불일치 항목을 판단한 후, 불일치 항목에 대해 운영관리 시스템에 다운로드 요청하여 업데이트한다.
In step S326, the electric car charger compares the vers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with the internal version information, determines an inconsistency item, and updates the inconsistency item by requesting download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충전시의 통신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2M통신단말기를 통해 운영관리 시스템과 연결되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충전시 통신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회원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411); 운영관리 시스템에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S421, S431); 커넥트 도어를 제어하는 단계(S422); 사용자로부터 충전을 요청받는 단계(S412); 운영관리 시스템에 충전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423); 충전이 완료된 후 사용자로부터 회원정보를 재입력받는 단계(S413) 및 커넥트 도어를 제어하는 단계(S42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FIG. 4 is a flowchart of a communication procedure when the charger is char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a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onnected to an operation management system through an M2M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upon charging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includes inputting member information from a user (S411 ); Requesting and receiving user authentication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S421, S431); Controlling the connect door (S422); Receiving a charging request from a user (S412); Transmitting charge status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S423); A step S413 of re-inputting the member information from the user after the charging is completed, and a step S424 of controlling the connect door.

S411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회원정보의 입력은 카드 태그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In step S411, the member information may be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card tag.

S421 단계 및 S431 단계를 통한 사용자 인증은 정상적인 통신의 경우 도시된 바와 같으나, 통신단절의 경우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운영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받은 회원정보에 기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ser authentication through steps S421 and S431 is as shown in the case of normal communication, but in the case of communication disconnection, the electric car charger may be based on the member information downloaded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S422 단계에서 전기 자동차 충전기는 사용자 인증되면 커넥트 도어를 열고, 이에 대한 알람을 운영관리 시스템에 알린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전기 자동차와 충전기가 연결되면 커넥트 도어를 닫고, 이에 대한 알람을 운영관리 시스템에 알린다. 또한, 전기 자동차 충전기는 실제 커넥트 도어의 닫힘 여부를 확인하고, 닫히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 닫을 것을 요청한다.
In step S422, the electric car charger opens the connect door when the user is authenticated, and notifies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alarm. Thereafter, when the electric car and the charger are connected by the user, the connect door is closed and an alarm is notified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lso checks whether the actual connecting door is closed, and requests the user to close the door if it is not closed.

S423 단계에서 전기 자동차 충전기는 충전 시작 전 충전시작을 정보시스템에 전송하고 충전을 시작한다. 충전하면서 전기 자동차 충전기는 운영관리 시스템에 충전진행 상태임을 지속적으로 알린다. 이후, 충전이 완료되면 전기 자동차 충전기는 운영관리 시스템에 충전완료를 전송하고 사용자에게 충전완료 정보를 전달하고 회원정보 입력을 요청한다.
In step S423, the electric car charger transmits the start of charging to the information system before starting charging and starts charging. While charging, the electric car charger continuously informs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that charging is in progress. Thereafter, when the charging is completed, the electric car charger transmits the completion of charging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transmits the charging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user, and requests the member information input.

바람직하게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운영관리 시스템에 충전상태를 전송하는 주기는 운영파라미터로 설정된 값에 따른다.
Preferably, the period for which the electric car charger transmits the charge status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depends on the value set in the operation parameter.

S413 단계에서 전기 자동차 충전기는 사용자로부터 회원정보를 재입력받아 S411 단계에서 입력받은 회원정보와 일치여부를 판단한다. 불일치시 재차 회원정보 입력을 요청한다.
In step S413, the electric car charger re-enters the member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determines whether the member information matches the member information input in step S411. In case of discrepancy, request member information again.

S424 단계에서 전기 자동차 충전기는 커넥트 도어를 열고, 이에 대한 알람을 운영관리 시스템에 알린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전기 자동차와 충전기의 연결이 해제되고, 이에 대한 언플러그 정보를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운영관리 시스템에 전송한다. 이후, 전기 자동차 충전기는 커넥트 도어를 닫고, 이에 대한 알람을 운영관리 시스템에 알린다. 또한, 전기 자동차 충전기는 실제 커넥트 도어의 닫힘 여부를 확인하고, 닫히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 닫을 것을 요청한다. 이후, 전기 자동차 충전기는 운영 대기 상태로 전환한다.
In step S424, the electric car charger opens the connect door and informs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alarm. Thereaft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ic car and the charger is released by the user,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transmits the unplug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The electric car charger then closes the connect door and informs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alarm.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lso checks whether the actual connecting door is closed, and requests the user to close the door if it is not closed. Thereafter, the electric car charger is switched to the standby state for opera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중지시의 통신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2M통신단말기를 통해 운영관리 시스템과 연결되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충전 중 충전중지시 통신하는 방법은 도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충전을 시작하는 단계(S521); 도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충전상태를 운영관리 시스템에 전송하고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522, S531); 사용자로부터 충전중지를 요청받는 단계(S11); 충전중지를 운영관리 시스템에 알리고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523, S532) 및 충전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5 is a flowchart of a communication procedure when the charger is stopp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a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n operation management system through an M2M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harging is stopped during charging, at the request of a user, Starting charging (S521); (S 522, S 531) transmitting the charging status as described in FIG. 4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nd receiving a response message; Receiving a charge stop request from a user (S11); (S523, S532) of notifying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charge stop and receiving a response message, and completing the chargin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통신단절시의 통신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2M통신단말기를 통해 운영관리 시스템과 연결되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통신단절시 통신하는 방법은 통신 단절된 후 재개되는 단계(S610);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통신단절 동안 발생한 데이터를 운영관리 시스템에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620, 630) 및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충전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S6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FIG. 6 is a flowchart of communication in a charger communication dis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Referring to FIG. 6, a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onnected to an operation management system via a M2M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610 of resuming communication after disconnection; The steps S620 and S630 of the electric car charger transmitting data generated during the communication disconnection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nd receiving a response message thereto, and the step S640 of switching the electric car charger to the charging standby state.

바람직하게는, S620 단계 및 S630 단계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에 축적된 미전송 데이터가 복수인 경우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dvantageously, steps S620 and S630 may be repeated if there is a plurality of untransmitted data stored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다운로드시의 통신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다운로드시의 통신방법은 제1포트를 통해 M2M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을 하는 운영관리 시스템과 전기 자동차 충전기에 있어서,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운영관리 시스템으로부터 프로그램 등의 데이터 다운로드가 필요한 경우, 운영관리 시스템이 SMCT(Space Mobility Communication Technology)를 통해 M2M단말기에 포트 오픈을 요청하는 단계(S710); M2M단말기가 전기 자동차 충전기에 포트설정 정보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ACK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721, S722); M2M단말기가 제1포트에서 제2포트로 포트스위칭하는 단계(S730); M2M단말기가 운영관리 시스템에 서버접속하는 단계(S740); 운영관리 시스템이 제2포트를 통해 전기 자동차 충전기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750);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M2M단말기에 포트설정을 요청하고 M2M단말기가 제2포트에서 제1포트로 포트스위칭하고 ACK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761, S770, S762); 및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제1포트를 통해 운영관리 시스템에 데이터 전송 완료(다운로드 완료)알람을 전송하는 단계(S780)를 포함한다.
7 is a flowchart of a communication procedure for downloading a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communication method at the time of downloading th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nd an electric vehicle charger that communicate using an M2M terminal through a first port, When downloading data such as a program from the system is required,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requests the M2M terminal to open a port through SMCT (S710); A step (S721, S722) of the M2M terminal transmitting the port setting information to the electric car charger and receiving an ACK message thereto; Switching the port of the M2M terminal from the first port to the second port (S730); Connecting the server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by the M2M terminal (S740);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transmitting data to the electric car charger through the second port (S750); (S761, S770, S762) when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requests the port setting to the M2M terminal and the M2M terminal performs port switching from the second port to the first port and transmits an ACK message when the data transmission is completed ; And an electric car charger transmitting a data transmission completion (download completed) alarm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first port (S780).

바람직하게는, 운영관리 시스템과 전기 자동차 충전기는 충전기 관련 정보와 제어 정보에 대한 송수신을 제1포트를 통해 하되, 용량이 큰 데이터를 운영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수신할 때는 제1포트와 구별되는 제2포트를 통해 통신한다.
Preferably,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nd the electric car charger transmit and receive charger-related inform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port, and when the electric car charger receives the large-capacity data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Lt; RTI ID = 0.0 > port < / RTI >

바람직하게는, 도 3을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버전 정보가 불일치하는 항목에 따라 다운로드가 필요한 경우에 도 7과 같은 통신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mmunication method as shown in FIG. 7 may be used when downloading is required according to an item in which the version information is inconsistent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S750 단계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던 중 통신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전기 자동차 충전기는 M2M단말기에 포트설정을 요청하고 제2포트에서 제1포트로 포트스위칭한 M2M단말기로부터 ACK메시지를 수신한 후, 제1포트를 통해 운영관리 시스템에 데이터 전송 실패(다운로드 실패)알람을 전송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mmunication failure occurs while data is being transmitted in step S750,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requests the M2M terminal to set a port and switches from the second port to the first port After receiving the ACK message, it transmits a data transmission failure (download failure) alarm to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first port.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충전 중 운영관리 시스템으로부터 프로그램 등의 데이터 다운로드가 필요한 경우, S721 단계와 S722 단계 사이에 충전진행 상태 정보 등의 데이터 전송을 중지하고 발생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S780 단계 이후, 저장한 데이터를 미완료 전문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needs to download data such as a program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during charging, it stops data transmission such as charge progress state information between steps S721 and S722, The method further includes transmitting the stored data to the imperfect professional after step S78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2M단말기 다운로드시의 통신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2M단말기 다운로드시의 통신방법은 M2M단말기에서 데이터 다운로드가 필요한 경우, 전기 자동차 충전기는 M2M단말기에 정보 다운로드를 요청하고 ACK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811, S812); M2M단말기가 전기 자동차 충전기에 다운로드 수신시작 알람을 전송하는 단계(S820); M2M단말기가 운영관리 시스템에 정보 다운로드를 요청하고 이에 따른 응답전문을 수신하는 단계(S831, S832); 및 M2M단말기가 응답전문 수신을 완료하면 전기 자동차 충전기에 수신 완료 알람을 전송하는 단계(S840)를 포함한다.
FIG. 8 is a flowchart of communication when a M2M terminal is downloa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in a method of downloading an M2M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download of data is required in an M2M terminal,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requests an information download to the M2M terminal and receives an ACK message S811, S812); The step (S820) of the M2M terminal transmitting a download start alarm to the electric car charger; A step (S831, S832) of the M2M terminal requesting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to download the information and receiving the response message corresponding thereto; And transmitting a reception completion alarm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when the M2M terminal completes reception of the response message (S840).

바람직하게는, 도 3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이 버전 불일치 항목이 M2M단말기에 대한 것임을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판단한 경우 도 8과 같은 통신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mmunication method as shown in FIG. 8 may be used when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determines that the version mismatch item is for the M2M terminal as described in FIG.

바람직하게는, 도 8에서 설명된 통신방법은 RF카드리더기에 대한 데이터 다운로드가 필요한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mmunication method described in Fig. 8 can be used when data download to the RF card reader is requir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전기 자동차 충전기 111: M2M통신단말기
120: 네트워크 망 130: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
110: Electric car charger 111: M2M communication terminal
120: network 130: charging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Claims (6)

통신장치를 통해 네트워크 망에 접속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 및
상기 네트워크 망을 통해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기와 연결된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기는 상기 통신장치의 제1포트를 통해 상기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과 연결되어 충전기 운영을 위한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장치의 제2포트를 통해 상기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과 연결되어 데이터 다운로드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기는 상기 데이터 다운로드가 필요한 경우 상기 통신장치에 포트 오픈을 요청하고 상기 통신장치가 포트스위칭하여 상기 제1포트에서 상기 제2포트로 통신연결을 바꾸고,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기는 상기 제2포트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충전기 운영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1포트로 바뀌면 저장한 상기 정보를 미전송 전문으로 상기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onnected to a network via a communication device; And
And a charge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through the network,
Wherein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through a first por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to perform communication for charger operation,
And a second por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to perform communication for downloading data,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requests the communication device to open a port when the data download is required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switches the port to change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from the first port to the second port,
Wherein the electric car charger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charger operation when performing communication through the second port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port to the charging infrastructur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Features electric car charging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통신장치를 통해 네트워크 망에 접속하여 연결된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과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상기 통신장치의 제1포트를 통해 상기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과 연계되어 충전기 운영을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상기 통신장치의 제2포트를 통해 상기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과 연결되어 데이터 다운로드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상기 데이터 다운로드가 필요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통신장치에 포트 오픈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장치가 요청된 상기 포트 오픈에 따라 포트스위칭하여 상기 제1포트에서 상기 제2포트로 통신연결을 바꾸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상기 제2포트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충전기 운영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기가 상기 제2포트에서 상기 제1포트로 통신연결이 바뀌면, 저장한 상기 정보를 미전송 전문으로 상기 충전인프라 운영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위한 통신 방법.
A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 charging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connected to an electric vehicle charger by connecting to a network via a communication device,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communicating with the charging infrastructur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through a first por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to perform communication for charger operation; And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infrastructur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via a second por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to perform communication for downloading data,
Requesting the communication device to open a por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needs to download the data; And
Switch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from the first port to the second port by switching the port according to the requested port opening,
Storing information for charger operation when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performs communication via the second port; And
And transferring the stored information to the charge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as a non-transfer specialist i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change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from the second port to the first port. A communication method for a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99210A 2013-08-21 2013-08-21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using seperated communication ports and a method of communicating thereof KR1014938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210A KR101493815B1 (en) 2013-08-21 2013-08-21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using seperated communication ports and a method of communicat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210A KR101493815B1 (en) 2013-08-21 2013-08-21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using seperated communication ports and a method of communicating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7541A Division KR20140121537A (en) 2013-04-05 2013-04-05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a method of communicat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322A KR20140121322A (en) 2014-10-15
KR101493815B1 true KR101493815B1 (en) 2015-03-02

Family

ID=51992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9210A KR101493815B1 (en) 2013-08-21 2013-08-21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using seperated communication ports and a method of communicat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81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868B1 (en) * 2004-06-18 2006-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ulti port data connecto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80050820A (en) * 2006-12-04 2008-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multiple port communication using serial line
JP2011523545A (en) * 2008-05-09 2011-08-11 アクセンチュア グローバル サービスィズ ゲーエムベーハー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power grid
KR20120133481A (en) * 2011-05-31 2012-12-1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A system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nd a method of communicating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868B1 (en) * 2004-06-18 2006-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ulti port data connecto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80050820A (en) * 2006-12-04 2008-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multiple port communication using serial line
JP2011523545A (en) * 2008-05-09 2011-08-11 アクセンチュア グローバル サービスィズ ゲーエムベーハー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power grid
KR20120133481A (en) * 2011-05-31 2012-12-1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A system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nd a method of communicat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322A (en) 201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71465A1 (en) Transmitting Notification Messages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Network
KR101338003B1 (en) Device of power line communication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system for it
CN102511129B (en) Nfc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2768695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CN103516034B (en) The additional communication devices be attached with built-in cable type battery charge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9114721B2 (en) Electric power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electric powe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electric power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20140375247A1 (e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actuating same
US201300243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KR101953990B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battery charging system of electric vehicle enhancing the reliability with multiplying communication channel
CN102379075A (en) Power device and power control system
US20150022161A1 (e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CN104518529A (en) Authentication method for vehicle-mounted charging device, and corresponding device
CN104601331A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charging pile
KR20140121537A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a method of communicating thereof
CN104701929A (en) Electric car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method
KR20210079170A (en) Method for supplying power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US20140350758A1 (e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actuating same
CN213876914U (en) Prepayment water gauge based on bluetooth BLE communication technology
KR101493815B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using seperated communication ports and a method of communicating thereof
CN114092271A (en) New energy charging pile use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based on block chain
KR20140121321A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that can determine the loss of communication and a method of communicating thereof
KR20150072240A (en) Electric product and method for updating firmware of the same
KR20190047997A (en)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N115915078A (en) Bluetooth communication electric energy meter safety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method based on 3DES
CN111487901A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ocean data buoy power supp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