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2779B1 -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779B1
KR101492779B1 KR20140146389A KR20140146389A KR101492779B1 KR 101492779 B1 KR101492779 B1 KR 101492779B1 KR 20140146389 A KR20140146389 A KR 20140146389A KR 20140146389 A KR20140146389 A KR 20140146389A KR 101492779 B1 KR101492779 B1 KR 101492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member
cover
information device
tool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46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환
Original Assignee
김석환
스피어다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환, 스피어다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석환
Priority to KR20140146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27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779B1/ko
Priority to PCT/KR2015/011360 priority patent/WO2016068566A1/ko
Priority to US15/522,604 priority patent/US10238188B2/en
Priority to US16/271,192 priority patent/US1087418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44C5/0015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providing information, e.g. bracelets with calenda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44C5/003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with a storage compartmen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53Flexible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53Flexible straps
    • A44C5/0061Flexible straps essentially made from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84Bracelets in the form of a ring, band or tube of rigi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 A44C5/10Link constructions not extensible
    • A44C5/105Link constructions not extensible with links made of one piece and linked together by one connecting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4Pressing or stamping ornamental designs on surfac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ipulator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사람, 동물, 기계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관절에 착용 가능하게 마련되는 고정 밴드, 공구, 기계부품 및 장치, 정보 장치가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 밴드에 형성되고, 커버에 의하여 상부가 차폐되는 공간부, 상기 고정 밴드의 일측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관절 운동에 따라 그 형태가 변형되는 플렉서블 밴드 및 상기 플렉서블 밴드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정보 장치 또는 커버에 타단이 연결되며, 사용자의 관절 운동에 따른 상기 플렉서블 밴드의 변형에 의해 상기 정보 장치 또는 커버를 상기 공간부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시키는 입출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특별히 상기 공간부에는 아나로그 시계 및 디지털 정보장치 뿐만 아니라, 공구류, 기계부품 및 장치 등을 상자형태로 보관, 인입, 인출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사용자의 관절 움직임에서 발휘되는 힘 이외에 전력과 같은 추가적인 외부 동력의 이용없이 공간부에 수용된 장치 또는 커버의 인출입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입출 어셈블리를 상기 공간부에 수용된 장치 또는 커버에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인출입 작동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커버, 고정 밴드, 플렉서블 밴드의 표면에 문양을 첨가하여 심미성을 증진시켜 장신구로 사용가능하며, 아나로그 시계를 본 발명의 공간부 커버로서 사용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술된 미닫이 형태의 입출 실시예에 더해서 입출 어셈블리의 장착 방향을 상기 공간부 바닥면에서 커버를 향하게 직립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커버 또는 공간부에 수용된 장치들을 여닫이 방식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하는 특징을 가진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WEARABLE SMART BAND}
본 발명은 사람, 동물, 기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관절에 착용되어 작동하는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사람 손목의 관절 운동에 의하여 각종 공구, 시계와 같은 기계장치, 스마트 기기 등의 정보 장치 또는 커버가 자동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는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폰과 같은 소형화 스마트 정보 장치의 급속한 보급과 다기능 소형화 추세로의 발전을 거듭하면서 휴대폰은 현대인의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단말기 제조사들은 이러한 휴대폰의 크기를 갈수록 소형화시켜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기에 용이하도록 발전시키고 있다.
이들 중 스마트 워치와 같은 정보 장치를 예를들어 설명하자면 현재까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정보 장치들은 손에 파지하고 다닐 수 있는 크기의 단말기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사람이 많이 모이거나 소음이 심한 장소에서 정보 장치를 가방 혹은 의복 주머니에 넣어 소지하는 경우, 정보 장치의 사용자는 정보 장치의 진동 및 벨소리를 감지하지 못하는 때가 빈번히 발생하며, 정보 장치를 손으로 파지하거나 의복 주머니에 넣어 소지하는 경우 정보 장치를 무의식중에 분실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한, 정보 장치의 소지자는 착신 신호의 감지, 분실 위험성의 제거 및 사용상의 편의를 위하여 정보 장치를 신체에 고정하여 소지하게 되는데, 가령 정보 장치에 고리형 줄을 부착하여 손목에 걸거나 목걸이형 줄을 부착하여 목에 걸어서 소지한다. 최근에는, 정보 장치를 가방과 같이 안전한 곳에 넣어서 소지하고 정보 장치에 이어 마이크를 연결하여 전화를 걸고 받을 수 있는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 장치 물품들은 줄의 형태로 신체에 연결되어 고정되므로 신체에 움직임이 많은 경우에는 상기 줄 및 정보 장치가 함께 움직여 상당히 불편하고, 전선, 스위치, 이어폰, 마이크 등을 구비하므로 정보 장치의 사용자가 착용시에 번잡하고 거추장스러운 불편함이 존재하여 왔다.
이상과 같은 정보 장치의 소지 상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스마트 워치와 같이 손목에 착용하는 정보 장치를 결합한 제품이 선보이기도 했으나, 고가이면서도 오히려 기존의 정보 장치 제품보다도 실용성이 떨어지는 점이 증명됨으로써 정보 장치 시장에서 자취를 감추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착신신호의 감지가 용이하고, 분실의 위험이 없도록 신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신체에 고정되더라도 활동에 불편을 주지 않고 쉽게 착탈되도록 정보 장치를 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장치 또는 물품의 발명 및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12617호 (2005. 12. 01.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람, 동물, 기계 관절에 광범위하게 사용 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가 사람일 때 사용자 손목의 관절 운동만으로 추가적인 다른 동력 공급 없이 각종 공구, 기계장치, 정보장치 또는 커버 등을 자동으로 인출 또는 인입시키고, 나아가 커버의 문양으로 인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키는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는 사람, 동물, 기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관절에 착용 가능하게 마련되는 고정 밴드; 공구, 기계장치, 또는 정보 장치가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 밴드에 형성되고, 커버에 의하여 상부가 차폐되는 공간부; 상기 고정 밴드의 일측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관절 운동에 따라 그 형태가 변형되는 플렉서블 밴드; 및 상기 플렉서블 밴드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 또는 커버에 타단이 연결되며, 사용자의 관절 운동에 따른 상기 플렉서블 밴드의 변형에 의해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 또는 커버를 상기 공간부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시키는 입출 어셈블리;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 밴드는 상기 공간부를 고정 장착하는 밴드 형태의 구조물로서, 그 일 부분 또는 전체가 사용자에 의해 발휘되는 외력을 받을 때 형태가 변하지 않도록 구비 될 수 있거나, 또는 일 부분 또는 전체가 사용자에 의해 발휘되는 외력을 받을 때 그 형태가 다소 변화 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 될 수 있다. 특별히 상기 고정 밴드는 상기 외력을 받던 받지 않던 언제나 전체적인 밴드 형태의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발휘되는 외력을 받을 때 상기 고정밴드의 변형 될 수 있는 부분은 상기 플랙서블 밴드보다 현저히 작은 변형량을 갖는다.
또한, 상기 공간부는, 상기 공간부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는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 또는 커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 또는 커버는, 상기 제1가이드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에 수용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밴드는 천, 가죽, 고무,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의 메쉬(mesh) 와 같이 유연한 재질 또는 유연한 구조물로 상기 고정밴드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밴드는, 상기 입출 어셈블리의 일단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밴드는, 그 일단부와 타단부의 원주 길이가 서로 다를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출 어셈블리는, 상기 플렉서블 밴드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 또는 커버의 일측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장치 또는 커버를 당기는 작용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와이어를 포함하며 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입출 어셈블리는, 상기 플렉서블 밴드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장치 또는 커버를 당기는 작용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1링크 부재와, 상기 제1링크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 또는 커버의 타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링크 부재와, 상기 제1링크 부재와 상기 제2링크 부재 사이에 자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1링크 부재의 회동력을 상기 제2링크 부재에 전달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고, 착용된 사용자의 관절 운동에 따른 상기 플렉서블 밴드의 변형에 의해 상기 제2와이어가 인장 또는 압축되는 경우, 상기 제1링크 부재 및 상기 제2링크 부재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 또는 커버가 상기 공간부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입출 어셈블리는, 상기 제2링크 부재의 일단에 마련되는 롤러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 부재는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 또는 커버의 타측에 형성되는 롤러 가이드에 수용되어 상기 제2링크 부재의 일단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출 어셈블리는, 상기 제2링크 부재의 일단에 마련되는 슬라이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 또는 커버의 타측에 형성되는 롤러 가이드에 수용되어 상기 제2링크 부재의 일단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출 어셈블리는,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 또는 커버의 타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공간부의 내측면에 타단이 연결되어 인출된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장치 또는 커버를 원위치로 인입 복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와이어 또는 제2와이어는 유연하며 탄성을 갖지 않아도 작동 될 수 있지만,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장치 또는 커버의 외면 또는 내면에는 숫자, 기호, 도형을 포함하는 소정의 문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출 어셈블리는, 상기 제2링크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 또는 커버의 타측에 접촉되는 제3링크 부재와, 상기 제2링크 부재와 상기 제3링크 부재 사이에 자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2링크 부재의 회동력을 상기 제3링크 부재에 전달하는 연장 회전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입출 어셈블리 구성을 본 설명에서는 제3 실시예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입출 어셈블리는, 상기 플렉서블 밴드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의 타단에 그 일단이 직접 연결되고,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 또는 커버의 타측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2링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제4 실시예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4 실시예의 입출 어셈블리에 공간부 바닥면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제2와이어를 지지하여 제2 와이어가 당겨지는 방향을 손목의 구부러지는 방향으로 가이드하여 주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제5 실시예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입출 어셈블리는 공간부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솟구치게 배치되어 상기 공구, 기계, 정보 장치 또는 커버가 여닫이 형태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제6 실시예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목에 착용되는 고정 밴드로부터 시계 등과 같은 기계장치, 정보장치, 공구 또는 커버 등을 자동으로 인출 또는 인입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목의 관절 운동만 하면 되므로 편의성이 있으며, 스마트 기기 및 시계 등의 고가 제품의 분실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인출입 대상이 되는 기계장치, 정보장치, 공구 또는 커버를 인출입하는 동력원이 사용자의 관절 구부림 힘으로써 배터리 등의 외부 공급 동력원이 필요 없으며, 더욱이 내장되는 기계장치 또는 정보장치를 인출입 가능한 외부 커버에 의해 보호하므로 안전 보관 및 파손 방지기능이 극적으로 강화된다.
그리고, 기계장치 또는 정보장치를 감싸는 커버의 문양으로 인하여 심미성을 향상시켜 그 내외부에 아나로그 시계를 포함할 수 있는 팔찌와 같은 장신구로서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가 사용자가 사람일 경우 손목에 장착되어 공구, 기계장치, 정보장치 또는 커버가 손목관절을 구부리면 인출되고, 손목관절을 펴면 인입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의 공간부에 마련되는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 또는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의 공간부에 마련되는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 또는 커버 일측에 구비된 가이드 돌기 및 가이드 홈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의 플렉서블 밴드의 유연한 메쉬와 고정부재가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제1 와이어와 탄성부재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의 미닫이 형 입출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제2 와이어, 제1 및 제2 링크부재들 및 탄성부재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의 미닫이 형 입출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문양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의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제2 실시예에서 제2 링크부재에 제3 링크부재를 추가 장착하여 기계장치, 정보장치 또는 커버의 입출 길이를 확장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의 미닫이 형 입출 어셈블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의 입출 어셈블리를 상세히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a는 상기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의 입출 어셈블리에서 제1 링크를 생략하고, 지지부재를 추가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입출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b는 상기 제4 실시예의 입출 어셈블리에서 지지부재 마저 생략하여 제2 와이어가 제2 링크에 직접 체결되어 당길 수 있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입출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 도 15a 및 도 15b는 상기 제1 내지 제5 실시예의 입출입 어셈블리의 작동방향이 공간부 바닥에서 상부를 향해 솟아 오르는 방향으로 장착 작동되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입출 어셈블리로 구비되어,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장치 또는 커버가 고정 밴드에서 여닫이 형으로 입출되는 스마트밴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입출입 어셈블리의 작동 메커니즘을 기준으로 제1 내지 제5 실시예들을 공구, 기계장치, 정보장치 또는 커버의 미닫이형 인출입 형식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하고, 추가하여 입출입 어셈블리 메커니즘 제1 내지 제5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공구, 기계장치, 정보장치 또는 커버의 여닫이 형태 인출입을 실시예 6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의 작동 개념도로서 사람, 동물, 기계 관절에 모두 착용 작동 될 수 있으나, 설명의 명료성을 위한 예로서 사용자의 손목에 장착되어 미닫이 형으로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의 전체적인 구성 및 작동 상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는 사람, 동물 또는 기계등 관절을 포함하는 구부러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사용자가 간단한 관절 운동과 같은 구부러지는 운동을 하는 것만으로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 또는 커버 등을 자동으로 인출 또는 인입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 밴드(100), 공간부(200), 플렉서블 밴드(300), 그리고 전력 등과 같은 추가적인 외부 동력의 공급 없이 관절의 구부러지는 운동만에 의해 작동 할 수 있는 입출 어셈블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 밴드(100)는 사용자가 사람일 경우 사용자의 관절인 손목, 발목 또는 무릎 등에 착용 가능하게 밴드 형태로 마련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밴드(100)는 손목의 관절 운동이 수행되더라도 가급적 그 운동 방향 측으로 구부러지거나 변형되는 것이 최소화되어야 하므로, 손목에서 인접한 팔 부위에 착용된다.
상기 고정 밴드(100)는 상기 공간부(200)를 고정 장착하는 밴드 형태의 구조물로서, 사용자에 의해 발휘되는 외력을 받을 때 그 일 부분 또는 전체의 형태가 변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거나, 또는 일 부분 또는 전체의 형태가 다소 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별히 상기 고정 밴드는 상기 외력을 받던 받지 않던 언제나 전체적인 밴드 형태의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해 발휘되는 외력을 받을 때 상기 고정밴드(100)의 변형될 수 있는 부분은 상기 플랙서블 밴드(300)보다 작은 변형량을 갖는 특징을 가진다.
상기 공간부(200)는 상기 고정 밴드(100)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시계 또는 스마트 기기 등과 같은 기계장치, 정보 장치(230) 또는 공구 등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상기 기계장치 또는 정보 장치(230)를 바라보기 편하도록 상기 공간부(200)는 손목의 윗부분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200)의 상부에는 커버(240)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공구, 기계장치 또는 정보 장치(230)가 배치되는 공간을 충격 및 온습도 변화와 같은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안전하게 차폐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플렉서블 밴드(300)는 상기 고정 밴드(100)의 일측에 마련되며, 손목의 관절 운동에 따라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유연한 재질 또는 유연성 구조물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렉서블 밴드(300)는 천, 가죽, 플라스틱, 고무 또는 금속의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사용자의 관절 운동에 따른 힘이 작용되면 그 형태가 변형 될 수 있도록 되도록 유연한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플렉서블 밴드(300)는 손목의 관절 부위에 배치되어 손목의 관절 운동에 대응하도록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으며, 손목 관절이 구부러질 때 후술된 제1 또는 제2 와이어를 당기는 작용을 수행한다.
상기 입출 어셈블리는 손목의 관절 운동에 따른 상기 플렉서블 밴드(300)의 변형에 의해 상기 정보 장치(230) 또는 커버(240)를 상기 공간부(200)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입출 어셈블리는 상기 플렉서블 밴드(300)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230) 또는 커버(240)에 타단이 연결되도록 마련되며, 그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로 마련되는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이 관절 운동을 하지 않은 경우, 즉 손목이 곧게 펴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공구, 기계장치 또는 정보 장치(230)가 상기 공간부(200)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이 일측으로 관절 운동을 하는 경우, 즉 손목을 일측으로 구부린 경우에는 상기 공구, 기계장치 또는 정보 장치(230)가 상기 공간부(200)로부터 미닫이 방식 즉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출되도록 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공간부(200)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는 대상이 상기 정보 장치(230)인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와는 반대로 동일한 입출어셈블리의 타단을 커버(240)에 연결하고 상기 공간부(200)에 상기 공구, 기계장치 또는 정보 장치(230)가 고정 배치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240)가 상기 공간부(200)에서 미닫이 방식 즉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를 이루는 각 구성의 구체적인 기능 및 작동 과정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때 동일한 원리로 작동하는 5개의 입출 어셈블리 실시예를 먼저 슬라이딩 이동하는 미닫이 형태의 입출 방법에 적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상기 제1 내지 제5 입출 어셈블리 실시예를 상기 공간부(200) 바닥면에서부터 솟구치게 배치하여 공구, 기계장치, 정보장치 또는 커버(240) 가 공간부(200) 바닥으로부터 일어나고, 눕는 동작을 하는 여닫이 형태의 입출 방식을 제6 실시예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의 공간부에 마련될 수 있는 정보장치(230) 또는 커버(240)를 나타낸 사시도 및 그 일측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공간부의 내부 구성 및 배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공간부(200)는 그 내부 공간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는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230) 또는 커버(24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 부재(21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가이드 부재(21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230) 또는 커버(240)의 일 측에 한 개가 구비되거나 또는 양 측에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는데, 양측에 구비 될 경우 상기 공간부(200) 내에서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 부재(210)의 내측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212)이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 홈(212)은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230) 또는 커버(240)의 일측 또는 양측에 마련되는 가이드 돌기(252)를 수용하여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230) 또는 커버(240)의 일측 또는 양측을 지지하고, 그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이탈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구, 기계장치 또는 정보장치(230)가 상기 공간부(200)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는 경우 상기 제1가이드 부재(210)가 상기 공구, 기계 장치 또는 정보 장치(230)의 이동을 안내한다. 한편, 상기 커버(240)가 상기 공간부(200)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는 경우 상기 커버(240) 아래에 위치하게 될 상기 정보 장치(230)는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1가이드 부재(210)가 상기 커버(240)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안내한다(이 경우 도 3에는 커버(240)만 도시되어 있으나, 커버(240) 아래에 정보장치가 위치하게 될 것임).
한편,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230) 또는 커버(240)의 타측에는 롤러 가이드(254)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과 공간부(200) 내측 일면을 연결하는 탄성부재(430)가 구비되는데 이들은 상기 입출 어셈블리와 연동하는 구성으로서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의 플렉서블 밴드(300)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여 상기 플렉서블 밴드(3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재질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플렉서블 밴드(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밴드(100)의 일측에 마련된다. 상기 플렉서블 밴드(300)는 가죽, 고무,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의 메쉬(mesh, 310) 와 같이 유연한 재질 또는 유연한 구조물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상기 고정밴드(100)의 일단과 연결되어, 손목의 관절 운동에 대응하여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렉서블 밴드(300)는 위와 같은 유연한 재질 또는 유연한 구조물 이외에 유연하지 않은 단단한 물체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유연한 부분과 유연하지 않은 고정부재(320)가 결합되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플렉서블 밴드(300)는 손목의 관절 운동에 따라 그 형태가 변형하므로 손목에서의 그 위치의 이탈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제1 와이어(412) 또는 제2 와이어(420)에 의해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장치(230) 또는 커버(240)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 밴드(100)와 결합부위가 유연함을 보존하며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플렉서블 밴드(300)는 상기 메쉬(310)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32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부재(320)는 상기 플렉서블 밴드(300)의 변형에 따라 제1 와이어(412) 또는 제2 와이어(420)에 의해 상기 정보 장치(230) 또는 커버(240)를 인출 또는 인입시키기 위한 상기 입출 어셈블리의 일단이 연결되어 당기는 작용을 하여야 하므로 상기 메쉬(310) 보다는 상대적으로 더 단단한 재질로 형성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 부재(320)가 소정 길이를 갖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렉서블 밴드(300)의 양단부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밴드(300)는 유연성이 있기 때문에 플렉서블 밴드(300)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원주 길이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어도 착용되는 사용자의 손목 부위의 크기나 형상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손목 부위를 부드럽게 감싸면서 착용되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플렉서블 밴드(300)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원주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손목 부위에서 손바닥 부위로 갈수록 사용자 부위가 커지므로 상기 플렉서블 밴드(300)의 형상도 이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손목에 대한 밀착성을 모든 접촉 부위에서 균등하게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즉, 상기 플렉서블 밴드(300)의 일단부의 직경(D)을 타단부의 직경(d)보다 크게 형성하고, 상기 플렉서블 밴드(300)의 일단부는 손바닥 측에 인접하도록 배치하며, 타단부는 손목 측에 인접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손목의 관절 운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더라도 상기 플렉서블 밴드(300)의 배치 위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 5d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 부재(320)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메쉬(310)의 양단부 및 원주면에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 부재(320)의 배치는 다양한 패턴으로 변화 시킬 수 있어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e를 참조하면, 고정부재(320) 중 한개가 손목의 상부를 감쌀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손목의 하부에 그보다 ?게 형성된 다수의 고정부재(320)와 유연한 메쉬(310)들이 결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부재(320) 에는 그 표면에 다양한 문양을 구비할 수 있어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이 자명하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의 입출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출 어셈블리의 구성 및 작동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 어셈블리는 제1와이어(412) 및 탄성 부재(4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와이어(412)는 상기 플렉서블 밴드(300)의 고정 부재(320)에 그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230) 또는 커버(240)의 일측에 그 타단이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와이어(412)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탄성을 가지지 않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430)는 상기 정보 장치(230) 또는 커버(240)의 타측에 그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공간부(200)의 내측면에 그 타단이 연결된다.
이러한 입출 어셈블리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이 관절 운동을 하지 않은 경우, 즉 손목이 곧게 펴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와이어(412)와 상기 탄성 부재(430)가 모두 압축된 상태이므로 상기 정보 장치(230) 또는 커버(240)가 상기 공간부(200)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이 일측으로 관절 운동을 하는 경우, 즉 손목을 일측으로 구부린 경우에는 상기 플렉서블 밴드(300)의 변형에 따라 상기 제1와이어(412)의 일단과 상기 고정 부재(320)의 연결 지점이 상기 제1와이어(412)의 타단과 상기 정보 장치(230) 또는 커버(240)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멀어지므로, 상기 제1와이어(412)에는 당겨지는 인장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제1와이어(412)의 인장력에 의하여 이에 연결된 상기 정보 장치(230) 또는 커버(240)는 상기 공간부(200)로부터 잡아 당겨져 인출되며, 사용자는 상기 공구, 기계장치 또는 정보 장치(230)에 표시되는 각종 표식 및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430) 역시 길이가 확장되어 복원력을 발휘하고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정보 장치(230) 또는 커버(240)가 상기 공간부(200)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다시 손목을 타측으로 관절 운동하여 곧게 펴면, 상기 제1와이어(412)를 당기는 인장력이 감소하며, 동시에 상기 탄성 부재(43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230) 또는 커버(240)는 상기 공간부(200)에 자동으로 인입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의 입출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출 어셈블리의 구성 및 작동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출 어셈블리는, 제2와이어(420), 제1링크 부재(421), 제2링크 부재(422), 회전 부재(423), 롤러 또는 슬라이딩 부재(424) 및 탄성 부재(4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와이어(420)는, 상기 플렉서블 밴드(300)의 고정 부재(320)에 그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링크 부재(421)의 타단에 그 타단이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와이어(42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탄성을 가지지 않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링크 부재(421)는,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230) 또는 커버(240)의 측면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그 타단은 상기 제2와이어(420)의 타단에 연결된다.
상기 제2링크 부재(422)는, 회전부재(423)를 상호간 인터페이스로 하여 상기 제1링크 부재(421)의 일단에 그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정보 장치(230) 또는 커버(240)의 타측에 롤러 또는 슬라이딩 부재(424) 를 통해 그 타단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링크 부재(422)는, 그 회전부재(423)에 결합되는 일단이 상기 정보 장치(230) 또는 커버(240)의 측면에 위치하고, 그 타단이 상기 정보 장치(230) 또는 커버(240)의 타측에 롤러 또는 슬라이딩 부재(424)와 함께 결합되어 위치할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422a)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부(422a)는 대략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다. 특별히 공간부(200)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입출 어셈블리의 그 고도와 방위각 또는 제2 링크 부재(422)의 절곡 각도를 조절하여 구성하면, 상기 입출 어셈블리의 출입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423)는 상기 제1링크 부재(421)와 상기 제2링크 부재(422) 사이에 결합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2와이어(420)의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1링크 부재(421)가 일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이에 연동하여 회동함으로써 상기 제1링크 부재(421)의 회동력을 상기 제2링크 부재(422)에 전달한다.
상기 롤러 또는 슬라이딩 부재(424)는 상기 제2링크 부재(422)의 일단에 마련되고, 상기 정보 장치(230) 또는 커버(240)의 타측에 형성되는 롤러 가이드(254, 도 3 참조)에 수용되어 상기 제2링크 부재(422)의 일단의 이동을 안내한다.
즉, 상기 롤러 또는 슬라이딩 부재(424)는 상기 제1링크 부재(421)에 연동하는 상기 제2링크 부재(422)의 회동력을 상기 정보 장치(230) 또는 커버(240)에 더욱 잘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링크 부재(422)의 일단에는 상기 롤러 부재(424) 대신 슬라이딩 부재 등이 마련되어 상기 롤러 가이드(254)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롤러 가이드(254)를 따라 안내되는 부재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상기 탄성 부재(430)는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230) 또는 커버(240)의 타측에 그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공간부(200)의 내측면에 그 타단이 연결되도록 적어도 하나가 마련된다.
이러한 입출 어셈블리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이 관절 운동을 하지 않은 경우, 즉 손목이 곧게 펴져 있는 경우에는 가해지는 힘이 없이 상기 제1링크 부재(421), 제2링크 부재(422) 및 회전 부재(423)는 회동하지 않으며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230) 또는 커버(240)가 상기 공간부(200)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이 일측으로 관절 운동을 하는 경우, 즉 손목을 일측으로 구부린 경우에는 상기 플렉서블 밴드(300)의 변형에 따라 상기 제2와이어(420)의 일단과 상기 고정 부재(320)의 연결 지점이 상기 제2와이어(420)의 타단과 상기 제1링크 부재(421)의 타단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멀어지므로, 상기 제2와이어(420)에는 잡아 당기는 인장력이 작용한다.
이때, 상기 제1링크 부재(421)의 타단은 상기 회전 부재(423)를 중심으로 일방향(도 9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며, 이에 연동하여 상기 회전 부재(423) 역시 동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부재(423)가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이에 연결된 상기 제2링크 부재(422) 역시 동일 방향으로 회동하며, 상기 제2링크 부재(422)의 일단은 상기 정보 장치(230) 또는 커버(240)의 타측을 밀어내는 힘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링크 부재(422)의 일단이 상기 정보 장치(230) 또는 커버(240)의 타측을 가압하는 힘이 상기 정보 장치(230) 또는 커버(240)를 상기 공간부(200)로부터 밀어 내어 인출시킨다. 이때 상기 탄성 부재(430)은 길이가 확장되어 복원력을 발휘하게 되며, 사용자는 상기 공구, 기계장치 또는 정보 장치(230)에 표시되는 각종 표식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 장치(230) 또는 커버(240)가 상기 공간부(200)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다시 손목을 타측으로 관절 운동하여 곧게 펴면, 상기 제1와이어(412)에 작용되던 인장력이 해소되고, 따라서 늘어났던 상기 탄성 부재(430)의 복원력 의하여 상기 제1링크 부재(421), 제2링크 부재(422) 및 회전 부재(423)는 타방향(도 9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며, 상기 제2링크 부재(422)의 가압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230) 또는 커버(240)는 상기 공간부(200)에 자동으로 인입된다.
한편, 이러한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230) 또는 커버(240)의 일 측면에 마련된 상기 롤러 가이드(254)는 상기 정보장치(230)의 인출 또는 인입 과정에서 상기 롤러부재(424) 또는 이 롤러부재(424)를 대체할 수 있는 슬리이딩 부재가 상기 롤러 가이드(254)의 일측 또는 타측을 따라 이동하게 함으로써 상기 제2링크 부재(422) 일단의 이동을 안내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의 고정밴드(100)와 커버(24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200)를 차폐 또는 개방하는 커버(240) 및 고정밴드(100)의 외면 또는 내면에는 소정의 문양(24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문양(242)은 일정한 패턴을 갖는 장식적 형상일 수 있고, 특정 회사의 상표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문양(242)은 특정 형태, 숫자, 도형 또는 색상 등으로 형성되는 형상이 동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240) 또는 고정밴드(100)의 문양(242)으로 인하여 심미성 및 식별성이 향상되므로 본 발명의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를 장신구로서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양(242)의 심미성 및 식별성 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커버(240) 또는 고정밴드(100)에 관통공 등을 형성하여 관통공에 상기 커버(240)의 일면에 보석류 등을 부착하거나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커버(240) 또는 고정밴드(100)에 형성되는 관통공 등을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하여 보석류 등이 관통공 등에 대응되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부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사실상 상기 문양, 관통공, 보석 부착 등은 플랙서블 밴드(300)의 고정부재(320) 및 유연한 메쉬(310) 에도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240)는 그 자체가 아날로그 시계 등으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커버(240)를 응시할 경우 일정 형태의 시침, 분침, 초침으로 구성되는 아날로그 방식의 시간 정보를 알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커버(100) 역할을 하는 아날로그 시계의 하부 공간부에 공구, 기계장치 또는 정보장치(230)가 장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제3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의 입출 어셈블리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의 입출 어셈블리를 더욱 상세히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입출 어셈블리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입출 어셈블리의 확장형으로서, 상기 제2링크 부재(422)의 일단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정보 장치 또는 커버(230, 240)의 타측에 접촉되는 제3링크 부재(443)및 상기 제2링크 부재(422)와 상기 제3링크 부재(443)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2링크 부재(422)의 회동력을 상기 제3링크 부재(443)에 전달하는 연장 회전 부재(45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2링크 부재(422)가 상기 회전 부재(423)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회전 부재(423)과 반대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회전하는 연장 회전 부재(450)가 상기 제2링크 부재(422)와 상기 제3링크 부재(443)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연장 회전 부재(450)에는 상기 제3링크 부재(443)가 결합되고, 상기 제3링크(443)의 단부에는 제2롤러 부재(445)가 구비된다. 이 때 제2 롤러 부재(445)는 제2 슬라이드 부재로 대체될 수 있음을 쉽게 이해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2에서 상기 회전 부재(42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회전력이 상기 연장 회전 부재(450)로 전달되어 상기 연장회전 부재(45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다. 이 작용에 의해 상기 제3링크 부재(443)가 상기 제2링크 부재(422)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며, 이때 상기 제2링크 부재(422) 와 제3 링크 부재(443)의 진행방향의 합은 결과적으로 제2 롤러부재(445)가 제2 링크 부재(422) 끝 단에 장착된 연장 회전 부재(450)의 공간적인 이동 진행 방향과 같은 방향, 즉 공구, 기계장치, 정보장치(230) 또는 커버(240)의 출입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230) 또는 커버(240)는 상기 제3링크 부재(443)의 길이만큼 더 나아가며 이동 인출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제4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의 입출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 (a)를 참조하면, 상기 입출 어셈블리는 상기 플렉서블 밴드(300)의 고정부재(320)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와이어(520), 상기 제2와이어(520)의 타단에 그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정보 장치(230) 또는 커버(240)의 타측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2링크 부재(522), 및 상기 제2와이어(52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제4 실시예의 입출 어셈블리는 이미 전술된 제2 실시예의 입출 어셈블리와 동일한 작동원리를 갖는다. 단지 그 구성 요소들에서 상기 제2 실시예의 입출 어셈블리에서 제1 링크부재(421)을 생략하고, 상기 제1 링크부재(421)의 역할을 제2 링크부재(522) 의 중간 부분으로 병합시킨 것으로서 제2 실시예와 제4 실시예의 입출 어셈블리들의 작동 원리와 동일하다. 여기서, 제2와이어(52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탄성을 가지지 않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는, 한걸음 더 나아가 도 1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 실시예의 입출 어셈블리에서 상기 지지 부재(530)를 생략하여, 제2 와이어(520)가 지지부재(530)의 지지점 없이도 직접 제2 링크부재(522)를 당기도록 입출입 어셈블리의 제5 실시예가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도 역시, 제2와이어(52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탄성을 가지지 않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도 제2 실시예와 동일한 작동 원리를 갖게 된다. 요약하면 제2 내지 제5 실시예에서 설명된 입출 어셈블리의 작동원리는 아래와 같은 면에서 동일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손목 관절을 구부리면 플랙서블 밴드(300)의 고정부재(320)에 일단이 연결된 제2 와이어(420, 520)가 당겨지며 인장력을 발휘해서 결국은 제2 링크부재(422, 522)들을 당기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며, 제2 링크부재(422, 522) 타단에 연결된 롤러부재(423)가 회전 방향으로 공구, 기계장치, 정보장치(230) 또는 커버(240)의 측면을 가압하여 이동시켜 공간부(200)로부터 방출시킨다. 일단 방출된 공구, 기계장치, 정보장치(230) 또는 커버(240)는 손목관절이 곧게 펴질 때 제2 와이어(420, 520)의 인장력이 해소되고 확장되었던 탄성부재(430)의 복원력에 의해 공간부(200) 내부로 인입되어 들어오게 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13까지 모든 경우에 공구, 기계장치, 정보장치(230) 또는 커버(240)가 공간부(200)를 기준으로 미닫이 형태로 작동하는 예시들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입출 어셈블리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들은 미닫이 형태 작동 뿐 아니라, 여닫이 형태의 작동 방법도 가능하다.
도 14, 도 15a, 도 15b를 참조하여 상기 여닫이 형태의 작동 방법에 대한 설명한다. 개념적으로는 도 14에서 제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제 6 실시예로써 이미 전술된 제1 내지 제5 입출 어셈블리 실시예들을 공간부 바닥면에서 위로 솟구치게 작동하도록 배치 각도를 변경할 경우,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장치(230) 또는 커버(240)를 여닫이 형태로 작동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특성이 있다.
도 14, 도 15a, 도 15b를 참조하여 제1 내지 제5 입출입 어셈블리 실시예 중 제2 와이어(420, 520), 제1 링크 부재(421), 회전부재(423), 제2링크 부재(422), 롤러 부재(424) 및 탄성부재(430)를 포함하는 입출 어셈블리의 제2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여닫이 형태의 입출 작동 원리를 설명한다.
도 14에서 회전부재(423)가 공간부(200) 바닥면에 눕혀져 장착된 채 제1 링크부재(421) 와 제2 링크부재(422)에 동시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때 사용자의 손목관절이 구부러지면, 제2 와이어(420)가 당겨지며, 회전부재(423)에 연결된 제1 링크부재(421) 및 제2 링크부재(422)가 회전 운동을 통해 공간부(200) 바닥면에서 솟구치는 방향으로 직립된다.
이때 제2 링크 부재(422) 타단에 연결된 롤러부재(424)는 정보장치(230) 또는 커버(240)의 일 면을 가압하거나 또는 당겨서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장치(230) 또는 커버(240)를 여닫이 형태로 공간부에서 열어 멀어지게 한다. 이때 공간부(200) 바닥 또는 일측면과 상기 정보장치(230) 또는 커버(240)를 연결하는 탄성부재(430)는 확장되어 복원력을 발휘한다.
사용자의 손목관절이 곧게 펴지면, 제2 와이어(420)의 인장력이 해소되고, 확장된 탄성부재(430)의 복원력이 작동하여 제2 링크부재(422)가 공간부(200) 바닥면을 향해 회전하여 누우며, 상기 정보장치(230) 또는 커버(240) 역시 공간부 바닥면을 향해 회전 운동하여 인입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고정 밴드 200: 공간부
201: 내측면 202: 출입구
210: 제1가이드 부재 212: 가이드 홈
220: 제2가이드 부재 230: 공구,기계장치, 정보 장치
240: 커버 242: 문양
252: 가이드 돌기 254: 롤러 가이드
300: 플렉서블 밴드 310: 메쉬
320: 고정 부재 412: 제1와이어
420: 제2와이어 421: 제1링크 부재
422: 제2링크 부재 423: 회전 부재
424: 롤러/슬라이딩 부재 430: 탄성 부재
443: 제3링크 부재 445: 제2 롤러 부재
450: 연장 회전 부재 520: 제2와이어
522: 제2링크 부재 530: 지지 부재

Claims (18)

  1. 사람, 동물, 기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관절에 착용 가능하게 마련되는 고정 밴드;
    공구, 기계장치, 또는 정보 장치가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 밴드에 형성되고, 커버에 의하여 상부가 차폐되는 공간부;
    상기 고정 밴드의 일측에 마련되며, 사용자 관절 운동에 따라 그 형태가 변형되는 플렉서블 밴드; 및
    상기 플렉서블 밴드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 또는 커버에 타단이 연결되며, 사용자 관절 운동에 따른 상기 플렉서블 밴드의 변형에 의해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 또는 커버를 상기 공간부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시키는 입출 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밴드는 상기 공간부를 고정 장착하며, 사용자가 발휘하는 외력에 순응하여 그 일부분 또는 전부의 형상이 다소 변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고, 그 일 측이 상기 플렉서블 밴드에 연결되는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공간부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는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 또는 커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 또는 커버는, 상기 제1가이드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에 수용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밴드는 천, 가죽, 고무,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유연성 메쉬(mes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밴드는, 상기 입출 어셈블리의 일단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밴드는, 그 일단부와 타단부의 원주 길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 어셈블리는,
    상기 플렉서블 밴드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 또는 커버의 일측에 타단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와이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 어셈블리는,
    상기 플렉서블 밴드에 일단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1링크 부재와,
    상기 제1링크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 또는 커버의 타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링크 부재와,
    상기 제1링크 부재와 상기 제2링크 부재 사이에 자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1링크 부재의 회동력을 상기 제2링크 부재에 전달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관절 운동에 따른 상기 플렉서블 밴드의 변형에 의해 상기 제2와이어가 인장 또는 압축되는 경우, 상기 제1링크 부재 및 상기 제2링크 부재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 또는 커버가 상기 공간부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 어셈블리는,
    상기 제2링크 부재의 일단에 마련되는 롤러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 부재는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 또는 커버의 타측에 형성되는 롤러 가이드에 수용되어 상기 제2링크 부재의 일단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 어셈블리는,
    상기 제2링크 부재의 일단에 마련되는 슬라이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 또는 커버의 타측에 형성되는 롤러 가이드에 수용되어 상기 제2링크 부재의 일단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 어셈블리는,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 또는 커버의 타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공간부의 내측면에 타단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12.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 어셈블리는,
    상기 제2 링크 부재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공간부의 내측면에 타단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13.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 또는 제2와이어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14.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또는 고정밴드 또는 플렉서블 밴드의 외면 또는 내면에는 소정의 문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 어셈블리는,
    상기 제2링크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 또는 커버의 타측에 접촉되는 제3링크 부재와,
    상기 제2링크 부재와 상기 제3링크 부재 사이에 자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2링크 부재의 회동력을 상기 제3링크 부재에 전달하는 연장 회전 부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 어셈블리는,
    상기 플렉서블 밴드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 또는 커버의 타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링크 부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 어셈블리는,
    상기 플렉서블 밴드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 장치 또는 커버의 타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링크 부재와, 제2 와이어의 당기는 방향을 변환 시키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18. 제1항 내지 제10항, 및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 어셈블리가 공간부 바닥면에서 상기 커버가 있는 방향으로 직립 운동 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공구, 기계장치, 정보장치 또는 커버가 여닫이 형태로 작동하는 특징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KR20140146389A 2014-10-27 2014-10-27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KR101492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6389A KR101492779B1 (ko) 2014-10-27 2014-10-27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PCT/KR2015/011360 WO2016068566A1 (ko) 2014-10-27 2015-10-27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US15/522,604 US10238188B2 (en) 2014-10-27 2015-10-27 Wearable smart band
US16/271,192 US10874180B2 (en) 2014-10-27 2019-02-08 Wearable smart b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6389A KR101492779B1 (ko) 2014-10-27 2014-10-27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2779B1 true KR101492779B1 (ko) 2015-02-12

Family

ID=52593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46389A KR101492779B1 (ko) 2014-10-27 2014-10-27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238188B2 (ko)
KR (1) KR101492779B1 (ko)
WO (1) WO2016068566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1599A1 (en) * 2015-05-28 2016-12-01 Nike Innovate C.V. Touch interface on a wearable device
KR20180046790A (ko) * 2016-10-28 2018-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001756B2 (en) 2015-12-11 2018-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mart watch including a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hole at the center
US10095190B2 (en) 2015-09-02 2018-10-09 Samsung Display Co., Ltd. Smart watch and method of replacing components of the same
KR20200094915A (ko) 2019-01-31 2020-08-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운동 자세 교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45162S1 (en) * 2015-08-27 2019-04-09 Earl T. Shannon Striped watch band
US10827807B2 (en) * 2016-09-22 2020-11-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Watchband connecting piece, watchband, and watch
CN110269334B (zh) * 2019-04-16 2020-11-24 江苏铭雕智能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降温运动臂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194Y1 (ko) 2000-05-20 2000-11-15 이원상 셀폰 프리캐쳐
KR20060032439A (ko) * 2004-10-12 2006-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야채박스
KR20110083512A (ko) * 2010-01-13 2011-07-20 서정은 휴대용 밴드조립체
US20130320104A1 (en) 2012-05-29 2013-12-05 Stephen Bradley Cooper Wearable Personal Protection Device with Safety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53880A (en) * 1922-04-13 1923-05-01 Otto F Ludwig Pistol holster
US1906870A (en) * 1932-05-03 1933-05-02 Frederick G Palla Self-defensive firearm
US3060625A (en) * 1959-07-24 1962-10-30 Glass Toy
US3793759A (en) * 1972-03-29 1974-02-26 Raymond Lee Organization Inc Concealed pistol mounting
US4677971A (en) * 1985-12-26 1987-07-07 Rolyan Manufacturing Co. Inc Adjustable wrist splint
US5653680A (en) * 1995-08-10 1997-08-05 Cruz; Mark K. Active wrist brace
KR19980046537A (ko) * 1996-12-12 1998-09-15 박병재 리어 도어 내장형 컵 홀더
US6696986B1 (en) * 1998-03-16 2004-02-24 Shelton E. Harrison, Jr. Key palette improvements
TWI283125B (en) * 2005-09-07 2007-06-21 Benq Corp Hand held device for mobile device
US20090088230A1 (en) * 2007-10-01 2009-04-02 John Jeong Park Watch phone
US8567832B2 (en) * 2011-01-24 2013-10-29 Robert E. Kannaka Hand grip for electronic devices
KR101496132B1 (ko) * 2013-12-11 2015-02-26 김석환 웨어러블 장치
CN105411810A (zh) * 2014-09-12 2016-03-23 精工爱普生株式会社 驱动装置及其驱动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194Y1 (ko) 2000-05-20 2000-11-15 이원상 셀폰 프리캐쳐
KR20060032439A (ko) * 2004-10-12 2006-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야채박스
KR20110083512A (ko) * 2010-01-13 2011-07-20 서정은 휴대용 밴드조립체
US20130320104A1 (en) 2012-05-29 2013-12-05 Stephen Bradley Cooper Wearable Personal Protection Device with Safety Mechanis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1599A1 (en) * 2015-05-28 2016-12-01 Nike Innovate C.V. Touch interface on a wearable device
US10095190B2 (en) 2015-09-02 2018-10-09 Samsung Display Co., Ltd. Smart watch and method of replacing components of the same
US10001756B2 (en) 2015-12-11 2018-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mart watch including a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hole at the center
KR20180046790A (ko) * 2016-10-28 2018-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68328B1 (ko) * 2016-10-28 2023-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94915A (ko) 2019-01-31 2020-08-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운동 자세 교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03729A1 (en) 2018-04-19
US10874180B2 (en) 2020-12-29
WO2016068566A1 (ko) 2016-05-06
US10238188B2 (en) 2019-03-26
US20190166960A1 (en) 2019-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2779B1 (ko)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US9408316B2 (en)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for strain mitigation in wearable electronic devices
CN110061754B (zh) 手表形智能终端机
KR101587714B1 (ko)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US20180345481A1 (en) Wearable hand robot
CN102791191A (zh) 手可佩戴控制设备
US11330874B2 (en) Connecting apparatus for watch strap and watch strap with the same
KR20200066609A (ko) 콘택트 렌즈 및 액세서리
JP7322706B2 (ja) バンド装置、腕時計およびエンドピース
US10448160B2 (en) Portable sound equipment
CN107111279A (zh) 连接手环
KR20110083512A (ko) 휴대용 밴드조립체
KR101534302B1 (ko) 스마트 와치
CN104157214B (zh) 配戴式挠曲显示装置
JP7106986B2 (ja) センサモジュール、血圧測定装置
CN108721888B (zh) 一种具有智能操控手柄的可穿戴装置
KR20150062511A (ko) 블루투스 목걸이
US20160353193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ornamental and deployment modes
KR101499348B1 (ko) 손목 밴드형 기기 제어장치
JP2001128835A (ja) ワイヤー状塑性体とこれを使用した製品
CN201122274Y (zh) 一种可佩带式无线鼠标
KR200301570Y1 (ko) 핸드폰 장착용 팔찌
JP2003153053A (ja) 小型電器具携帯リストバンド
CN213756942U (zh) 表带及穿戴设备
JP3165532U (ja) 二つ割バングルに適用する連結部の係止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