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2225B1 - 4-o-메틸호노키올의 합성방법 - Google Patents

4-o-메틸호노키올의 합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225B1
KR101492225B1 KR1020100102491A KR20100102491A KR101492225B1 KR 101492225 B1 KR101492225 B1 KR 101492225B1 KR 1020100102491 A KR1020100102491 A KR 1020100102491A KR 20100102491 A KR20100102491 A KR 20100102491A KR 101492225 B1 KR101492225 B1 KR 101492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yl
bromophenol
synthesizing
methylhornokiol
potass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0959A (ko
Inventor
정재경
곽영신
이희순
곽재환
조영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to KR1020100102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2225B1/ko
Priority to PCT/KR2011/007819 priority patent/WO2012053832A2/ko
Publication of KR20120040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7/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37/11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actions increasing the number of carbon atoms
    • C07C37/18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actions increasing the number of carbon atoms by condensation involving halogen atoms of halogenat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7/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37/62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introduction of halogen; by substitution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1/00Preparation of ethers; 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1/01Preparation of ethers
    • C07C41/16Preparation of ethers by reaction of esters of mineral or organic acids with hydroxy or O-meta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1/00Preparation of ethers; 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1/01Preparation of ethers
    • C07C41/18Preparation of ethers by reactions not forming ether-oxygen bonds
    • C07C41/30Preparation of ethers by reactions not forming ether-oxygen bonds by increasing the number of carbon atoms, e.g. by oligomeris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용한 활성화합물인 4-O-메틸호노키올을 화학적인 방법으로 합성하는 제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천연물로부터 추출하여 4-O-메틸호노키올을 얻는 방법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율로 고순도의 4-O-메틸호노키올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4-O-메틸호노키올의 합성방법{Method for Synthesizing 4-O-Methylhonokiol}
본 발명은 4-O-메틸호노키올을 화학적으로 합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4-O-메틸호노키올은 3′,5-디알릴-4′-메톡시비페닐-2-올의 일반명칭으로, 최근 목련종(Magnolia species)로부터 분리되었고, 고리형 산소화 효소를 억제하여 항염증효과를 나타내며, 이 뿐만 아니라 기억력 장애 개선 작용이 보고된 매우 유용한 물질이다(1, 2).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932962호, 한국공개특허 제2009-94916호, 한국공개특허 2008-104760호에는 후박 (Magnolia officinalis Rehd. et Wils)의 줄기 및 잎으로부터 추출한 4-O-메틸호노키올이 아밀로이드 관련성 질환의 치료, 탈모 방지 및 모발의 생장의 촉진, 피부 미백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이 개시되어 있다.
현재까지 목련 종의 뿌리 및 줄기의 수피가 다양한 질환의 치료용도의 전통 의약으로 사용되어 왔고, 목련 속에 속하는 주요 생물학적 활성 화합물은 호노키올(honokiol), 매그노롤(magnolol) 및 오보바톨(obovatol)과 같은 비페닐-네오리그난 계열의 화합물들이다(2). 흥미롭게도 4-O-메틸호노키올은 호노키올이나 다른 다양한 호노키올 유사체보다도 항-염증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COX-2에 대한 IC50 값이 0.06 μM이었다(3). 또한, 4-O-메틸호노키올은 최근에 신경친화성 및 기억력 향상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4). 4-O-메틸호노키올의 화학 구조상의 특징은 A환의 C2 위치의 히드록실기와 B환의 C4 위치에서의 메톡시기를 갖는 비대칭성의 5, 3′-디알릴-비페닐이다(도 1 참조).
그러나, 4-O-메틸호노키올의 흥미로운 생물학적 활성에도 불구하고, 동질체, 호노키올 및 오보바톨의 합성은 보고되어 있는 반면, 4-O-메틸호노키올 화합물 및 이 화합물의 유도체의 합성은 당업계에서 아직 보고되어 있지 않다(3, 5). 따라서, 유용한 활성 화합물인 4-O-메틸호노키올을 고수율의 화학적인 방법으로 합성하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질환의 치료 및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4-O-메틸호노키올 화합물을 천연물에서 추출하여 얻는 방법을 대체하여 고수율로 대량 합성할 수 있는 화학적 합성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4-알릴페놀로부터 4-알릴-2-브로모페놀을 합성하고, 2-알릴-4-브로모-1-아니솔로부터 칼륨 3-알릴-4-메톡시페닐트리플루오르붕산염을 합성한 후, 상기 합성된 4-알릴-2-브로모페놀과 칼륨3-알릴-4-메톡시페닐트리플루오르붕산염을 스즈키-미야우라 결합반응(Suzuki-Miyaura coupling reaction)을 행하면 고수율로 4-O-메틸호노키올을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4-O-메틸호노키올을 화학적으로 합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의 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4-O-메틸호노키올의 합성 방법을 제공한다: (a) 4-알릴페놀의 오르토(ortho) 위치에 브롬(Br)을 치환시켜 4-알릴-2-브로모페놀을 합성하는 단계; (b) 2-알릴-4-브로모-1-아니솔로부터 칼륨 3-알릴-4-메톡시페닐트리플루오르붕산염을 합성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a)에서 합성된 4-알릴-2-브로모페놀과, 상기 단계 (b)에서 합성된 칼륨 3-알릴-4-메톡시페닐트리플루오르붕산염을 스즈키-미야우라 결합반응(Suzuki-Miyaura Coupling Reaction)을 행하여 4-O-메틸호노키올을 합성하는 단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단계 (b)의 2-알릴-4-브로모-1-아니솔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한다: (a) 4-브로모페놀과 알릴브로마이드를 반응시켜 2-알릴-4-브로모페놀을 합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2-알릴-4-브로모페놀과 요오드화메틸(MeI)을 반응시켜 2-알릴-4-브로모-1-아니솔을 합성하는 단계.
이하에서 본 발명의 합성 방법을 각 단계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a): 4-알릴페놀로부터 4-알릴-2-브로모페놀을 합성하는 단계
Figure 112010067807991-pat00001
4-알릴페놀을 1,3-디브로모-5,5-디메틸히단토일 및 염기와 함께 적합한 유기용매하에서 4 - 24 시간 동안 반응시켜, 페놀성 히드록시기의 오르토 위치에 하나의 브롬기가 치환된 4-알릴-2-브로모페놀을 합성한다. 상기 4-알릴페놀, 1,3-디브로모-5,5-디메틸히단토인 및 염기의 비율은 0.9-1.1 : 0.5 : 1의 당량 비율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로는 에테르, 이소프로필에테르, 헥산, 헵탄의 용매를 단독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염기로는 이소프로필마그네슘클로라이드(isopropyl magnesium chloride, i-PrMgCl)을 사용할 수 있다.
단계 (b): 2-알릴-4-브로모-1-아니솔로부터 칼륨 3-알릴-4-메톡시페닐트리플루오르붕산염을 합성하는 단계
Figure 112010067807991-pat00002
2-알릴-4-브로모-1-아니솔, 부틸리튬, 트리이소프로필보레이트 및 칼륨 비플루오라이드를 적합한 유기용매하에서 최대 2 시간 반응시켜 칼륨 3-알릴-4-메톡시페닐트리플루오르붕산염을 합성한다. 상기 2-알릴-4-브로모-1-아니솔, 부틸리튬, 트리이소프로필보레이트 및 칼륨 비플루오라이드의 비율은 0.9 - 1.2 : 1.2 : 1.2 : 2의 당량비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에서 유기용매는 테트라히드로퓨란, 에테르, 이소프로필에테르, 헥산, 헵탄, 펜탄의 용매를 단독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 (b) 반응의 상기 출발물질 2-알릴-4-브로모-1-아니솔은 다음의 반응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ⅰ) 4-브로모페놀과 알릴브로마이드를 반응시켜 2-알릴-4-브로모페놀을 합성하는 단계; 및 (ⅱ) 상기 단계 (ⅰ)에서 합성된 2-알릴-4-브로모페놀과 요오드화메틸(MeI)을 반응시켜 2-알릴-4-브로모-1-아니솔을 합성하는 단계.
(ⅰ) 4-브로모페놀과 알릴브로마이드를 반응시켜 2-알릴-4-브로모페놀을 합성하는 단계
Figure 112010067807991-pat00003
4-브로모페놀과 알릴브로마이드를 적합한 유기용매에 가하여, 최대 5시간 동안 가열환류하에서 반응시켜 2-알릴-4-브로모페놀을 제조한다. 상기 유기용매는 통상의 유기용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아세톤을 사용할 수 있다.
(ⅱ) 2-알릴-4-브로모페놀과 요오드화메틸(MeI)을 반응시켜 2-알릴-4-브로모-1-아니솔을 합성하는 단계
Figure 112010067807991-pat00004
탄산칼륨과 2-알릴-4-브로모페놀을 적합한 유기용매에 가하여 교반한 후 요오드화메틸(MeI)을 가하여 반응시켜 2-알릴-4-브로모-1-아니솔(2-알릴-4-브로모-1-메톡시벤젠)을 합성한다. 상기 유기용매는 통상의 용기용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아세톤을 사용할 수 있다.
단계 (c): 4-알릴-2-브로모페놀과 칼륨 3-알릴-4-메톡시페닐트리플루오르붕산염을 반응시켜 4-O-메틸호노키올을 합성하는 단계
Figure 112010067807991-pat00005
단계 (c)에서는 상기 단계 (a)에서 합성된 4-알릴-2-브로모페놀과, 상기 단계 (b)에서 합성된 칼륨 3-알릴-4-메톡시페닐트리플루오르붕산염을 반응시켜 4-O-메틸호노키올을 합성한다. 4-알릴-2-브로모페놀과 칼륨 3-알릴-4-메톡시페닐트리플루오르붕산염을 팔라듐(Pd) 촉매와 리간드 및 염기(base)를 혼합하여 적합한 유기용매에서 최대 4 시간 동안 스즈키-미야우라 결합(Suzuki-Miyaura Coupling) 반응시켜 4-O-메틸호노키올을 합성한다. 상기 반응에서 팔라듐(Pd) 촉매와 리간드는 Pd(PPh3)4, Pd2(dba)3, Pd(OAc)2, PdCl2(dppf)ㆍCH2Cl2, PdCl2(TPP), Pd(OAc)2/RuPhos, 또는 Pd(OAc)2/XPhos을 사용할 수 있고, 염기(base)로는 탄산칼륨(K2CO3) 또는 탄산세슘(Cs2CO3)을 사용할 수 있으며, 유기용매로는 디메틸에테르(DME), 메탄올(MeOH), 톨루엔(toluene), 또는 물(H2O)의 유기용매를 단독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팔라듐(Pd) 촉매와 리간드는 PdCl2(dppf)ㆍCH2Cl2, Pd(OAc)2/RuPhos, 또는 Pd(OAc)2/XPhos을 사용할 수 있으며, 유기용매로는 메탄올, 톨루엔과 물의 혼합물,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물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응에서 팔라듐(Pd) 촉매와 리간드, 염기 및 유기용매의 조합은 (ⅰ) PdCl2(dppf)ㆍCH2Cl2, 탄산세슘, 메탄올, (ⅱ) Pd(OAc)2/RuPhos, 탄산칼륨, 톨루엔과 물 혼합물, (ⅲ) Pd(OAc)2/RuPhos, 탄산칼륨, 디메틸에테르와 물의 혼합물 (ⅳ) Pd(OAc)2/XPhos, 탄산칼륨, 톨루엔과 물의 혼합물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온도는 상온 또는 고온에서 반응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 160℃의 고온에서 반응시키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150℃에서,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70 - 140℃에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또는 130℃에서 반응시킨다.
본 발명은 유용한 활성화합물인 4-O-메틸호노키올을 화학적인 방법으로 합성하는 제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천연물로부터 추출하여 4-O-메틸호노키올을 얻는 방법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율로 고순도의 4-O-메틸호노키올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목련종(Magnolia species)으로부터 분리한 대표적인 네오리그난들(neolignans)을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2-알릴-4-브로모페놀의 제조
Figure 112010067807991-pat00006
무수 탄산칼륨 150g (1.1mol), 4-브로모페놀 30g (0.17mol) 및 알릴브로마이드 40g (0.33mol)을 아세톤 300mL에 가한 후, 5시간 동안 가열 환류장치에서 교반시켰다. 농축하고 물 500mL을 넣고 헥산 200mL로 2회 추출하였다. 헥산 층을 10% 수산화나트륨 용액 200mL로 2회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유기층의 수분을 제거한 뒤, 용매를 농축 제거하고 둥근 플라스크에 넣어 6시간 동안 190℃로 가열하고, 10% 수산화나트륨 용액 300mL에 녹인 후 헥산 200mL로 2회 세척하였다. 수층을 염산으로 중화시키고 염화메틸렌 200mL로 2회 추출한 뒤, 유기층을 모아 황산나트륨으로 수분을 제거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아세테이트=8:1)를 통하여 표제화합물 25g (수율: 67%)를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7.23 (s, 1H), 7.73 (d, J = 14 Hz, 1H), 6.70 (d, J = 14 Hz, 1H), 5.98 (m, 1H), 5.17 (m, 2H), 3.37 (d, J = 6.4 Hz, 2H)
실시예 2: 2-알릴-4-브로모-1-아니솔의 제조
Figure 112010067807991-pat00007
무수 탄산칼륨 4.2g (0.03 mol), 2-알릴-4-브로모페놀 3.2g (0.015 mmol)을 아세톤 30mL에 넣고 30분 동안 교반 후 요오드화메틸(MeI)을 실온에서 넣었다. 4시간 후, 용매는 감압 농축하여 제거한 뒤, 물 15mL를 넣고 에테르 20mL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10mL 물로 씻어준 뒤, 황산나트륨으로 수분을 제거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를 통하여 표제화합물 2.4g (수율: 70%)를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7.29 (dd, J = 8.6, 2.5 Hz, 1H), 7.24 (ds, J = 2.5 Hz, 1H), 6.2 (d, J = 8.6 Hz, 1H), 5.94 (m, 1H), 5.06 (m, 1H), 3.80 (s, 3H), 3.34 (d, J = 6.6 Hz, 2H)
실시예 3: 4-알릴-2- 브로모페놀의 제조
Figure 112010067807991-pat00008
에테르에 녹아 있는 4-알릴페놀 134mg (1mmol)에 이소프로필마그네슘클로라이드(i-PrMgCl)(1 mmol)을 넣고 -78℃에서 질소기류하에 30분 동안 격렬하게 교반시켰다. 실온으로 온도를 올린 뒤 10분후에 1,3-디브로모-5,5-디메틸히단토인 143mg (0.5mmol)을 넣고 2.5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 10mL을 넣고 10 분간 교반한 뒤, 에틸아세테이트 20 mL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수분을 제거한 뒤 감압 농축하였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 (헥산 : 에테르 = 10 : 1)를 통하여 표제화합물 115mg (수율: 54%)를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28 (ds, J = 2.0 Hz, 1H), 7.04 (dd, J = 8.3, 2.0 Hz, 1H), 6.95 (d, J = 8.3 Hz, 1H), 5.91 (m, 1H), 5.10 (m, 2H), 3.30 (d, J = 6.7 Hz, 2H)
실시예 4: 칼륨 3-알릴-4-메톡시페닐트리플루오로붕산염의 제조
Figure 112010067807991-pat00009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2-알릴-4-브로모-1-아니솔 720mg (3.2mmol)과, 트리이소프로필 보레이트 620mg (3.2mmol)을 테트라히드로퓨란 30mL에 녹인 후 -78℃에서 n-부틸리튬 2.0mL (1.6M 핵산용액, 3.2mmol)을 20분 동안 질소기류하에서 천천히 넣었다. 1 시간 동안 격렬히 교반시킨 후 실온으로 온도를 올리고, 40 분간 교반을 해주었다. 반응이 종결된 후, 1N 칼륨비플로리드 9.0 mL (9.0mmol)을 첨가한 뒤 30 분간 교반시켰다. 3 시간 동안 감압 농축하여 말린 후, 흰 고체를 무수 아세톤 15mL에 녹이고 셀라이트로 여과하였다. 남은 여액을 농축하여 말린 뒤, 아세톤과 에테르를 사용하여 재결정하여 흰색의 표제화합물 460mg (수율: 57%)을 얻었다.
1H NMR (400 MHz, Aceton-d6) δ 7.29 (d, J = 7.95 Hz, 1H), 7.27 (s, 1H), 6.70 (d, J = 7.95 Hz, 1H), 5.98 (m, 1H), 5.00 (m, 1H), 4.91 (m, 1H), 3.75 (s, 3H), 3.31 (d, J = 6.64 Hz, 2H)
13C NMR (100 MHz, Aceton-d6) δ 155.39, 138.44, 133.41, 130.56, 125.25, 113.43, 108.75, 54.55, 34.62
실시예 5: 4-O-메틸호노키올의 제조
(1) 스즈키- 미야우라 반응의 촉매 리간드 및 용매 조건 검색
상기 실시예 3에서 얻은 4-알릴-2-브로모페놀과 상기 실시예 4에서 얻은 칼륨 3-알릴-4-메톡시페닐트리플루오로붕산염을 스즈키-미야우라 결합 반응(Suzuki-Miyaura Cross Coupling Reaction)에 의해 4-O-메틸호노키올을 제조하기 위한 최적의 촉매 및 용매 조건을 확립하기 위한 실험을 행하였다. 실험의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67807991-pat00010
상기 표 1에서 Entry 1-8의 반응조건에서는 반응이 일어나지 않거나 만족할만한 수준의 생성물이 생성되지 않았다. 이는 4-알릴-2-브로모페놀의 비보호된 페놀에 의해 결합반응이 저해를 받는 것 때문으로 추측되었다. 한편, PdCl2(dppf)ㆍCH2Cl2, Cs2CO3, 및 메탄올 용매하에서의 반응(entry 5)은 약 12%의 수율을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Pd(OAc)2, K2CO3 및 Buchwald's phosphine (RuPhos 및 XPhos)을 사용한 반응조건을 수행하였고, 놀랍게도 디메틸에테르와 물의 혼합액을 용매로 사용하여 130℃ 조건에서 반응시킨 경우 72%의 만족스런 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entry 11).
(2) 4-O-메틸호노키올의 제조
Figure 112010067807991-pat00011
상기 실시예 3에서 얻은 4-알릴-2-브로모페놀 214 mg (1.0mmol), 상기 실시예 4에서 얻은 칼륨 3-알릴-4-메톡시페닐트리플루오로붕산염 254 mg (1.0mmol), 팔라듐(Ⅱ)아세테이트 22.5 mg (10 mol%), RuPhos 94 mg (2-디씨클로헥실포스피노-2′, 6′-디이소프로폭시비페닐, 20 mol%)와 탄산칼륨 421 mg (3 mmol)을 넣은 유리용기를 밀봉하고 디메틸에테르와 물 5:1 혼합액 20mL를 주사기로 넣었다. 130℃로 마이크로웨이브 기기에 넣고 반응시켰다. TLC로 반응이 종결됨을 확인한 후, 실온으로 식혔다. 에틸아세테이트 100mL로 녹이고 불용성 물질을 실리카겔 패드로 여과하여 제거한 뒤 유기층을 물 20mL와 브라인 20mL로 씻었다. 유기층을 모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노란색 오일상의 표제화합물 204mg (수율: 72%)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30 (d, J = 8.4 Hz, 1H), 7.25 (m, 1H), 7.05 (m, 2H), 6.97 (d, J = 8.4 Hz, 1H), 6.92 (d, J = 8.4 Hz, 1H), 6.08-5.93 (m, 2H), 5.13-5.05 (m, 4H), 3.89 (s, 3H), 3.44 (d, J = 6.8 Hz, 1H), 3.36 (d, J = 6.6 Hz, 2H)
13C NMR (100 MHz, CDCl3) δ 157.2, 151.0, 138.0, 136.7, 132.4, 130.7, 130.4, 130.0, 129.2, 129.0, 128.1, 128.0, 116.1, 115.8, 115.7, 111.1, 55.7, 39.6, 64.5
LRMS (FAB) m/z 280 (M+)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Rao, K. V.; Davis T. L. Plant Med. 1982, 45, 57-59.
2. (a) Lee, Y. K.; Yuk, D. Y.; Kim, T. I.; Kim, Y. H.;Kim, K. T.; Kim, K. H.; Lee, B. J.; Nam,S.-Y.; Hong, J. T. J. Nat. Med. 2009, 63, 274-282. (b) Schㆌhly, W.; Khan, S. I.; Fischer, N. H. Inflammopharmacology 2009, 17, 106-110. (c) Oh, J. H.; Kang, L. L.; Ban, J. O.; Kim, Y. H.; Kim, K. H.; Han, S. B.; Hong, J. T. Chem. Biol. Interact. 2009, 180, 506-514. (d) Lee, Y. K.; Choi, I. S.; Kim, Y. H.; Kim, K. H.; Nam, S. Y.; Yun, Y. W.; Lee, M. S.; Oh, K. W.; Hong, J. T. Neurochem. Res. 2009, 34, 2251-2260. (e) Lee, J. W.; Lee, Y. K.; Lee, B. J.; Nam, S. Y.; Lee, S. I.; Kim, Y. H.; Kim, K. H.; Oh, K. W.; Hong, J. T. Pharmacol. Biochem. Behav. 2010, 95, 31-40. (f) Lee, Y. K.; Choi, I. S.; Ban, J. O.; Lee, H. J.; Lee, U. S.; Han, S. B.; Jung, J.-K.; Kim, Y. H.; Kim, K. H.; Oh, K. W.; Hong, J. T. J. Nutr. Biochem. 2010, 21, in press.
3. (a) Maruyama, Y.; Kuribara, H. CNS Drug Rev. 2000, 6, 35-44. (b) Fukuyama, Y.; Otoshi, Y.; Miyoshi, K.; Nakamura, K.; Kodama, M.; Nagasawa, M.; Hasegawa, T.; Okazaki, H.; Sugawara, H. Tetrahedron 1992, 48, 377-392. (c) Chen, C.M.; Liu, Y.C. Tetrahedron Lett. 2009, 50, 1151-1152 and references cited therein.
4. Schㆌhly, W.; Hㆌfner, A.; Pferschy-Wenzig, E.M.; Prettner, E.; Adams, M.; Bodensieck, A.; Kunert, O.; Oluwemimo, A.; Haslinger, E.; Bauer, R. Bioorg. Med. Chem. 2009, 17, 4459.
5. (a) Tekeya, T.; Okubo, T.; Tobinaga, S. Chem. Pharm. Bull. 1986, 34, 2066-2070. (b) Kwak, J.-H.; In, J.-K.; Lee, M.-S.; Choi, E.-H.; Lee, H.; Hong, J. T.; Yun, Y. P.; Lee, S. J.; Seo, S.-Y.; Suh, Y.-G.; Jung, J.-K. Arch. Pharm. Res. 2008, 31, 1559-1563.

Claims (7)

  1.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4-O-메틸호노키올의 합성 방법:
    (a) 4-알릴페놀의 오르토(ortho) 위치에 브롬(Br)을 치환시켜 4-알릴-2-브로모페놀을 합성하는 단계;
    (b) 2-알릴-4-브로모-1-아니솔로부터 칼륨 3-알릴-4-메톡시페닐트리플루오르붕산염을 합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a)에서 합성된 4-알릴-2-브로모페놀과, 상기 단계 (b)에서 합성된 칼륨 3-알릴-4-메톡시페닐트리플루오르붕산염을 스즈키-미야우라 결합반응(Suzuki-Miyaura Coupling Reaction)시켜 4-O-메틸호노키올을 합성하는 단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2-알릴-4-브로모-1-아니솔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방법:
    (a) 4-브로모페놀과 알릴브로마이드를 반응시켜 2-알릴-4-브로모페놀을 합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에서 합성된 2-알릴-4-브로모페놀과 요오드화메틸(MeI)을 반응시켜 2-알릴-4-브로모-1-아니솔을 합성하는 단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에테르, 이소프로필에테르, 헥산, 헵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테트라히드로퓨란, 에테르, 이소프로필에테르, 헥산, 헵탄, 펜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디메틸에테르, 메탄올, 톨루엔,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Pd(PPh3)4, Pd2(dba)3, Pd(OAc)2, PdCl2(dppf)ㆍCH2Cl2, PdCl2(TPP), Pd(OAc)2/RuPhos 및 Pd(OAc)2/XPhos으로부터 선택되는 팔라듐(Pd) 촉매 및 리간드를 사용하여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탄산칼륨(K2CO3) 또는 탄산세슘(Cs2CO3)의 염기(base)를 사용하여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00102491A 2010-10-20 2010-10-20 4-o-메틸호노키올의 합성방법 KR101492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491A KR101492225B1 (ko) 2010-10-20 2010-10-20 4-o-메틸호노키올의 합성방법
PCT/KR2011/007819 WO2012053832A2 (ko) 2010-10-20 2011-10-20 4-o-메틸호노키올의 합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491A KR101492225B1 (ko) 2010-10-20 2010-10-20 4-o-메틸호노키올의 합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959A KR20120040959A (ko) 2012-04-30
KR101492225B1 true KR101492225B1 (ko) 2015-03-09

Family

ID=45975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491A KR101492225B1 (ko) 2010-10-20 2010-10-20 4-o-메틸호노키올의 합성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92225B1 (ko)
WO (1) WO201205383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64431B (zh) * 2013-12-06 2016-11-16 德州学院 一种芳基-芳基联苯类化合物的制备方法
CN103664747A (zh) * 2013-12-06 2014-03-26 刘雷芳 一种杂环联苯类化合物的制备方法
CN114907228B (zh) * 2022-06-27 2023-11-28 深圳市锦泰医药科技合伙企业(有限合伙) 一种秋水仙碱和厚朴酚复合物及其合成方法以及在抗新冠病毒方面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3548A (en) * 1989-02-08 1991-10-01 Otsuka Pharmaceutical Company, Ltd. Biphenyl derivative composition for nerve cell degeneration repairing or protective agent and process for preparing a phenyl derivative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3548A (en) * 1989-02-08 1991-10-01 Otsuka Pharmaceutical Company, Ltd. Biphenyl derivative composition for nerve cell degeneration repairing or protective agent and process for preparing a phenyl derivative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17 (2009) 4459-4465 *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14 (2004) 2621-2625 *
ournal of Chromatography A, 1217 (2010) 3461-346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53832A2 (ko) 2012-04-26
KR20120040959A (ko) 2012-04-30
WO2012053832A3 (ko) 201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861554T3 (en) Improve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reprostinil and its derivatives
CN114269717A (zh) 催化***素方法和前体
US6552213B1 (en) Stereoselective route to produce tris-O-substituted-(E)-1-(3,5-dihydroxyphenyl)-2-(4-hydroxyphenyl)ethene, an intermediate in the synthesis of trans-resveratrol
KR101492225B1 (ko) 4-o-메틸호노키올의 합성방법
Pietruszka et al. Diastereo‐and Enantiomerically Pure Allylboronates: Their Synthesis and Scope
Wang et al. First total synthesis of antihypertensive natural products S-(+)-XJP and R-(−)-XJP
WO2022222913A1 (zh) 一种左旋烟碱的制备方法
CN109535120A (zh) 7-取代-3,4,4,7-四氢环丁烷并香豆素-5-酮的制备方法
JP4020141B2 (ja) 1−アセトキシ−3−(置換フェニル)プロペン化合物の製造方法
Chen et al. Practical and green synthesis of combretastatin A-4 and its prodrug CA4P using renewable biomass-based starting materials
WO2011111762A1 (ja) ジアリール誘導体の製造方法、新規ビナフチル誘導体、アレーン誘導体の製造方法、及び新規アレーン誘導体
CN101555205B (zh) 一种3-氧代-1-环丁烷羧酸的制备方法
Yamazaki et al. Regio-as well as stereoselective epoxide ring opening reactions using 3, 3, 3-trifluoroprop-1‑yne
CN111039849B (zh) 一种含有咔唑环类化合物的制备方法
KR102022543B1 (ko) 로바릭산 및 그 유사체의 합성방법
KR100687895B1 (ko) 다우리크로멘산의 합성 방법
CN107118189A (zh) 一种***素合成中间体的制备方法
JP2011526297A (ja) シュワインフルチンアナログ
JP2011526297A5 (ko)
KR101519011B1 (ko) 비스무트 촉매를 이용한 피라노쿠마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477058B1 (ko) 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KR20180018830A (ko) 치환된 전자 풍부 다이페닐아세틸렌의 제조 방법
KR101591248B1 (ko) 리코찰콘 c 합성방법
KR101558738B1 (ko) 천연물 모라신 s의 신규 전합성 방법
KR100619117B1 (ko) 시스-시클로프로판-감마-부티로락톤 화합물 및 그의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