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754B1 - 접촉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접촉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754B1
KR101489754B1 KR20130119942A KR20130119942A KR101489754B1 KR 101489754 B1 KR101489754 B1 KR 101489754B1 KR 20130119942 A KR20130119942 A KR 20130119942A KR 20130119942 A KR20130119942 A KR 20130119942A KR 101489754 B1 KR101489754 B1 KR 101489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electrode
sensing
pattern
pattern portion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9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찬혁
김기업
Original Assignee
(주)멜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멜파스 filed Critical (주)멜파스
Priority to KR20130119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접촉 감지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접촉 감지 장치는,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된 구동전극부, 상기 구동전극부와 전기적으로 분리된 센싱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전극부는, 제1센싱전극, 상기 제1센싱전극과 인접 배치된 제2센싱전극, 상기 제2센싱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제1센싱전극의 일측에 형성되고, 각각이 상기 제1센싱전극과 연결된 제1패턴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1 보조센싱전극부, 상기 제1센싱전극의 일측과 대향하는 상기 제2센싱전극의 타측에 형성되고, 각각이 상기 제2센싱전극과 연결된 제2패턴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2 보조센싱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패턴부와 상기 제2패턴부는 상호 이격되어 서로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접촉 감지 장치{APPARATUS FOR SENSING TOUCH}
본 발명은 접촉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휴대폰이 널리 보급되고,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 폰이 대중화되면서 접촉 감지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접촉 감지 장치인 터치스크린은 그 동작 방식에 따라 저항막, 정전용량, 초음파, 적외선 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가운데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은 내구성 및 수명이 뛰어나고 멀티터치 기능을 지원한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그 적용 분야를 넓혀가고 있다.
정전용량 방식 터치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윈도우 전면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캐패시턴스 변화에 기초하여 접촉 위치를 검출하며, 높은 내구성과 슬라이딩 형태의 입력에의 적합성 등으로 인해 그 적용 범위가 차츰 늘어나고 있다.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은 스크린 전면부가 압력에 의해 변형될 필요가 없으므로 반영구적인 형태로 만들 수 있고 터치를 할 수 있는 물질, 예를 들어 손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이 직접 터치를 하지 않아도 근거리에서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캐패시턴스 변화에 기초하기 때문에,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하는 경우 캐패시턴스 변화가 없는 것으로 인식하여 터치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은 캐패시턴스 변화를 감지하는 전극 구조가 중요하며, 캐패시턴스 변화가 적은 부위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전극 구조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접촉에 의하여 발생하는 낮은 캐패시턴스에도 접촉 인식율을 높일 수 있는 접촉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배치된 전극 채널 수에 비해 실질적인 감지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접촉 감지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접촉 입력의 선형성(Linearity)을 증가시킨 접촉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된 구동전극부; 상기 구동전극부와 전기적으로 분리된 센싱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전극부는, 제1센싱전극; 상기 제1센싱전극과 인접 배치된 제2센싱전극; 상기 제2센싱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제1센싱전극의 일측에 형성되고, 각각이 상기 제1센싱전극과 연결된 제1패턴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1 보조센싱전극부; 상기 제1센싱전극의 일측과 대향하는 상기 제2센싱전극의 타측에 형성되고, 각각이 상기 제2센싱전극과 연결된 제2패턴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2 보조센싱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패턴부와 상기 제2패턴부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패턴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패턴부에 형성된 제2절개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패턴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패턴부에 형성된 제1절개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 상에 제1축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구동전극;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제1축과 상이한 제2축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센싱전극; 상기 복수의 센싱전극 각각의 일측에 상기 제1축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센싱전극 각각에 연결된 제1패턴부 및 상기 제1패턴부에 형성된 제1절개부를 구비한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 상기 복수의 센싱전극 각각의 타측에 상기 제1축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센싱전극 각각에 연결된 제2패턴부 및 상기 제2패턴부에 형성된 제2절개부를 구비한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축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패턴부와 상기 제2패턴부는 상호 이격되어 서로 맞물려 배치되고, 상기 제1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축을 따라 인접한 제2절개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축을 따라 인접한 제1절개부에 배치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접촉 인식률을 향상시킨 접촉 감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치된 전극 개수에 비해 실질적인 접촉 감지 영역을 증가시킨 접촉 감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접촉 인식의 선형성을 향상시킨 접촉 감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블록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적층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접촉 감지 장치의 구동전극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접촉 감지 장치의 센싱전극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센싱전극부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센싱전극부의 일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센싱전극부의 변형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접촉 감지 장치에서 센싱전극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센싱전극부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은 도 13에 도시된 접촉 감지 장치의 구동전극부에 대한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구동전극부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종래 접촉 감지 장치의 구동전극에 접촉 발생 시 접촉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구동전극에 접촉 발생 시 접촉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접촉 감지 장치의 구동전극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구동전극부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 또는 동작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 또는 하나의 동작을 다른 구성요소 또는 다른 동작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블록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10)는 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구동전극(201)을 포함하는 구동전극부(200), 복수의 구동전극(20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센싱전극(301)을 포함하는 센싱전극부(300)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11)을 포함하며, 구동전극(201) 및 센싱전극(301)의 교차점에는 복수의 감지셀들이 형성된다.
또한, 구동전극(201)에 순차적으로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16a), 구동전극(201) 및 센싱전극(301)이 교차하는 부분(또는 감지셀) 로부터 감지된 상호 정전용량 변화를 검출하여 이에 대응한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16b), 감지부(16b)로부터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접촉 위치를 판별하는 위치 판별부(16c)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동부(16a), 감지부(16b) 및 위치 판별부(16c)는 각각이 별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하나의 제어부(16) 내에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구동부(16a), 감지부(16b) 및 위치 판별부(16c)가 하나의 제어부(16) 내에 구현된 것으로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구동전극(201)과 센싱전극(301)의 배열에 의해 서로 교차되는 지점에서는 구동전극(201)과 센싱전극(301) 간의 상호 정전용량(Mutual Capacitance)이 형성되며, 상호 정전용량이 형성된 각 교차점은 터치 인식을 구현하는 각각의 감지셀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구동 신호가 인가된 구동전극(201)과 교차되는 복수의 센싱전극(301)에 의한 복수의 교차점 즉, 감지셀에는 각각의 상호 정전용량이 형성되며, 이와 같은 각 감지셀에 손가락 등 인체가 접촉되는 경우 감지셀에서 이에 대응되는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되어 인체의 접촉 또는 근접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적층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부 절연기판(100) 상에는 구동전극부(20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절연기판(400)상에는 센싱전극부(300)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절연기판(100)과 상부 절연기판(400)은 센싱전극부(300)와 구동전극부(200)는 서로 마주보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접합될 수 있다.
하부 절연기판(100)은 PI(polyimide), Pc(Polycarbonate),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ES(Polyethersulfone), PEN(Polythylenenaphthalate), Metal Foil, FRP(Fiber Reinforced Plastic)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리 기판, 또는 석영 기판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센싱전극부(300)가 형성되는 상부 절연기판(400)은 투명 윈도우일 수 있으며, 센싱전극부(300)는 투명 윈도우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투명 윈도우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입력부의 외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적어도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신체 또는 스타일러스 등의 도전성 물체의 의한 접촉입력을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접촉에 따른 투명 윈도우의 손상 또는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보호층(미도시)을 선택적으로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투명 윈도우는 박막유리, 플라스틱 기판, 유리 기판, 또는 석영 기판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박막유리, PI(polyimide), Pc(Polycarbonate),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ES(Polyethersulfone), PEN(Polythylenenaphthalate), Metal Foil, FRP(Fiber Reinforced Plastic) 등의 플렉서블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싱전극부(300)는 상기 투명 윈도우의 일면 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투명 윈도우 상에 직접 센싱전극부(300)을 패터닝하고 배선부와 연결하여 터치 패널(도 1의 11)을 제조함으로써, 센싱전극부(300)을 별개의 기판에 형성하고 이를 OCA 등의 접착 물질을 매개로 투명 윈도우에 부착하는 부착 공정, 예컨대 라미네이션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착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 요인을 제거하고, 공정의 수율을 크게 향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일체형으로 또는 일체로서라는 표현은, OCA 등과 같은 별도의 접착 물질을 매개로 하지 않고 센싱전극부(300)를 투명 윈도우의 일면 상에 바로 형성된다는 의미를 갖는다.
즉, 그 형성 과정에 있어서 투명 윈도우에의 부착 공정을 포함하지 않는 일체의 방법을 의미한다. 또한, 센싱전극부(300)를 투명 윈도우에 '직접' 형성한다는 것은 투명 윈도우의 노출된 일면에 센싱전극부(300)를 직접 패터닝하는 것뿐만 아니라, 비산 방지 필름, 투명 수지 등과 같은 별도의 층이 코팅된 투명 윈도우의 면 위에 센싱 전극(300)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까지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일 실시예로, ITO가 적어도 일면에 코팅된 ITO 코팅 유리(ITO coated glass)를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도 1의 11)에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유리 기판에 코팅된 ITO를 패터닝하여 센싱전극부(300)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유리 기판을 투명 윈도우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터치 패널(도 1의 11)의 제조 공정의 수율을 높임과 동시에 터치 패널(도 1의 11)의 두께를 감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접촉 감지 장치의 구동전극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접촉 감지 장치의 센싱전극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10-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기판(또는 하부 절연기판)(100)의 일면에 복수의 감지영역(111)이 이차원으로 배열된 접촉 검출 영역(110) 및 접촉 검출 영역(110)의 외곽에 마련된 배선 영역(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 검출 영역(110)에는 구동전극부(200a) 및 감지전극부(300a)가 위치할 수 있다.
구동전극부(200a)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축 방향(또는 Y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구동전극(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센싱전극부(300a)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축과 교차하는 제2축 방향(또는 X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센싱전극(311, 312, 313, 314, 315, 316, 317)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구동전극(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과 복수의 센싱전극(311, 312, 313, 314, 315, 316, 317)은 상호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적으로 분리된다는 표현은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됨으로써 상호 직접적으로 전기적 연결이 되지 않는다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구동전극(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및 복수의 센싱전극(311, 312, 313, 314, 315, 316, 317) 사이에는 절연층(도면 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전극(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및 복수의 센싱전극(311, 312, 313, 314, 315, 316, 317)은 투명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명 전도성 물질로서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O(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 도전성 재료, 또는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그래핀(Graphine), 실버 나노 와이어(Silver Nano Wire), 메탈 메쉬(Metal Mesh)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구동전극(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및 복수의 센싱전극(311, 312, 313, 314, 315, 316, 317)은 서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로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의 구동전극(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축 방향(또는 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구동전극(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의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그 일부에 굴곡이 형성된 구조, 삼각형과 같은 다각형 구조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복수의 구동전극(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의 형상은 제2축 방향(또는 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구조라면 그 제한이 없다고 할 것이다.,
복수의 센싱전극(311, 312, 313, 314, 315, 316, 317)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축 방향(또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된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복수의 구동전극(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의 경우와 유사하게, 제1축 방향(또는 Y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구조라면 그 제한이 없다고 할 것이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검출 영역(1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센싱전극(311, 317)을 제외한 복수의 센싱전극(312, 313, 314, 315, 316) 각각의 일측에는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는 제1축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1보조센싱전극부(350)가 형성된 복수의 센싱전극(312, 313, 314, 315, 316) 각각의 타측에는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36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360)는 제1축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아울러, 접촉 검출 영역(110)의 좌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센싱전극(311)의 경우, 일측에만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타측에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360)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하나의 센싱전극 및 하나의 센싱전극과 연결된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및 제2보조센싱전극부(360)는 상호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일체로 형성된 구조는 하나의 센싱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
복수의 센싱전극(311, 312, 313, 314, 315, 316, 317),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및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360)은 모두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제1, 제2보조센싱전극부(350, 360) 또한 구동전극부(200)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각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또는 각 제2보조센싱전극부(360)는 둘 이상의 구동전극과 오버랩될 수 있다. 도 3에는 각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또는 각 제2보조센싱전극부(360)가 두개의 구동전극과 오버랩 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각 보조센싱전극부(350, 360)의 형상 변화를 통해 3개 이상의 구동전극과 오버랩 될 수도 있다.
접촉 검출 영역(1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센싱전극(311, 317)을 제외한 복수의 센싱전극(312, 313, 314, 315, 316) 중 어느 하나(312)를 제1센싱전극으로 지칭하고, 제1센싱전극(312), 제1센싱전극(312)의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및 제1센싱전극(312)의 타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360)를 제1그룹이라고 지칭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전극부(300a)는 제2축(또는 X축)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제1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전극부(300a)는, 일측에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360)가 형성된 제1센싱전극(312)이 제2축(또는 X축)을 따라 반복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일측에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360)가 형성된 제1센싱전극(312)은 하나의 센싱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
배선 영역(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동전극(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및 복수의 센싱전극(311, 312, 313, 314, 315, 316, 317)과 연결된 복수의 배선 패턴(131)이 배치되며, 각각의 배선 패턴(131)은 제어부(또는 컨트롤러)(160)과 연결되어 접촉 검출 영역(120)으로부터 인가되는 감지 신호를 제어부(16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복수의 구동전극(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복수의 구동전극(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과 복수의 센싱전극(311, 312, 313, 314, 315, 316, 317) 사이에서 생성되는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를 획득하여 접촉 입력을 감지하고, 해당 접촉 입력이 발생한 지점을 검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동전극(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및 복수의 센싱전극(311, 312, 313, 314, 315, 316, 317)은 상호 오버랩되는 부분에서 감지영역(11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및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360)와 하나의 구동전극은 상호 오버랩되는 부분에서 제1중첩감지영역(113)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및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360)와 두개의 구동전극은 상호 오버랩되는 부분에서 제2중첩감지영역(115)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영역이란 사용자의 접촉 입력을 판단할 수 있는 일정한 단위 영역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영역(111), 제1중첩감지영역(113) 및 제2중첩감지영역(115)를 형성할 수 있게 되며, 각 감지영역(111, 113, 115) 들은 상호 중첩영역을 공유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감지영역(111) 의 경계에서 발생 하는 사용자의 접촉 입력을 미인식 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또한 하나의 접촉 입력에 대한 감지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센싱전극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되어, 스타일러스와 같이 접촉 면적이 작은 입력의 경우에도 정확하게 접촉 지점을 인식할 수 있는 이점, 접촉 입력의 선형성(linearity)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센싱전극부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의 P1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접촉 검출 영역(1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센싱전극(311, 317)을 제외한 복수의 센싱전극(312, 313, 314, 315, 316) 중 어느 하나의 센싱전극(312, 또는 '제1센싱전극')의 일측에는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가 형성되고, 제1센싱전극(312)의 타측에는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36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센싱전극(312)과 인접 배치된 센싱전극(313, 또는 '제2센싱전극')의 일측에도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가 형성되고, 제2센싱전극(313)의 타측에는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360)가 형성될 수 있다.
각 제1보조센싱전극부(350)는 제1센싱전극(312) 및 제2센싱전극(313) 각각에 연결되고 제1절개부(353)가 형성된 제1패턴부(35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패턴부(351)과 각 센싱전극(312, 313) 사이에는 제1공간부(357)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패턴부(351)는 제1센싱전극(312) 및 제2센싱전극(313) 각각의 일측으로부터 제2축 방향(또는 X축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하학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패턴부(35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반원형, 사각형, 오각형 이상의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패턴부(351)에는 제1절개부(35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절개부(353)에 의해 제1패턴부(351)와 제1센싱전극(312) 및 제2센싱전극(313) 각각은 개루프(open loop)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절개부(353)로부터 상호 인접하는 두개의 센싱전극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센싱전극(312)과 제2센싱전극(313)에 위치하는 제1절개부(351)로부터 제1센싱전극(312)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절개부(351)로부터 제2센싱전극(313)까지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절개부(353)는 각 센싱전극들(312, 313) 사이의 공간을 이등분하는 직선(L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각 제2보조센싱전극부(360)는 제1센싱전극(312) 및 제2센싱전극(313) 각각에 연결되고 제2절개부(363)가 형성된제2패턴부(36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패턴부(361)과 각 센싱전극(312, 313) 사이에는 제2공간부(357)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패턴부(361)는 제1센싱전극(312) 및 제2센싱전극(313) 각각의 타측으로부터 제2축 방향(또는 X축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하학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2패턴부(36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반원형, 사각형, 오각형 이상의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패턴부(361)에는 제2절개부(36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패턴부(361)와 제1센싱전극(312) 및 제2센싱전극(313) 각각은 제2절개부(363)에 의해 개루프(open loop)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패턴부(351)의 형상과 제2패턴부(361)의 형상을 비교하면, 제2패턴부(361)의 형상은 제1패턴부(351)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180° 회전한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돌출부(361)의 형상은 제1패턴부(351)를 제1축(또는 Y축)을 기준으로 대칭이동한 후, 이를 제2축(또는 X축)을 기준으로 한번 더 대칭이동한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패턴부(351)의 형상과 제2패턴부(361)의 형상의 관계를 제1축 또는 제2축에 대하여 상호 역대칭인 관계라고 정의한다.
제2절개부(361)로부터 상호 인접하는 두개의 센싱전극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센싱전극(312)과 제2센싱전극(313)에 위치하는 제2절개부(361)로부터 제1센싱전극(312)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2절개부(361)로부터 제2센싱전극(313)까지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절개부(361)는 제1센싱전극(312)과 제2센싱전극(313) 사이의 공간을 이등분하는 직선(L)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절개부(351)와 제2절개부(361)는 서로 동일한 직선(L)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직선(L)은 제1센싱전극(312)과 제2센싱전극(313) 사이의 공간을 이등분할 수 있다.
제1패턴부(351) 및 제2패턴부(361)은 투명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명 전도성 물질로서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O(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 도전성 재료, 또는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그래핀(Graphine), 실버 나노 와이어(Silver Nano Wire), 메탈 메쉬(Metal Mesh)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센싱전극(312), 제2센싱전극(313), 제1패턴부(351) 및 제2패턴부(361)은 서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센싱전극(312)의 일측에 형성된 제1패턴부(351)는, 제2센싱전극(313)의 타측에 형성된 제2패턴부(361)과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센싱전극(312)의 일측에 형성된 제1패턴부(351)의 일부는 제2센싱전극(313)의 타측에 형성된 제2절개부(363) 및 제2공간부(365)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제2센싱전극(313)의 타측에 형성된 제2패턴부(361)의 일부는 제1센싱전극(312)의 일측에 형성된 제1절개부(353) 및 제1공간부(355)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축 방향(또는 X축 방향)을 따라 상호 인접한 제1패턴부(351) 및 제2패턴부(361)는, 상호 교차 배치될 수 있으며, 제1패턴부(351) 및 제2패턴부(361)가 교차된 부분에 형성된 제1절개부(353) 및 제2절개부(363)에 의해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패턴부(351)와 제2패턴부(361)은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센싱전극부의 일부분에 대한 단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는 도 6에 도시된 센싱전극부를 A1-A2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7의 (b)는 도 6에 도시된 센싱전극부를 B1-B2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패턴부(351)의 일부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절개부(365)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패턴부(351)와 제2패턴부(361)는 제2절개부(363)에 의해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제1패턴부(351)와 제2패턴부(361)을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제2절개부(363)의 폭(W1)은 제1패턴부(351)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패턴부(361)의 일부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개부(353)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패턴부(351)와 제2패턴부(361)는 제1절개부(361)에 의해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제1패턴부(351)와 제2패턴부(361)을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제1절개부(353)의 폭(W3)은 제2패턴부(361)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패턴부(351) 및 제2패턴부(361)는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동일한 층, 예컨대 절연층(400)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복수의 센싱전극도 제1패턴부(351) 및 제2패턴부(361)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도 8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센싱전극부의 변형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센싱전극부(300b)는 하나의 센싱전극에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및 제2센싱전극부(360) 중 어느 하나만이 형성되는 점에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센싱전극부(300a)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동일하다.
예컨대 복수의 센싱전극(311, 312, 313, 314, 315, 316, 317) 중 어느 하나를 제3센싱전극(311) 이라 지칭하고, 제3센싱전극(311)과 인접 배치된 센싱전극을 제4센싱전극(312)라고 지칭하면, 제3센싱전극(311)의 일측에는 제1보조센싱전극부(350)가 형성되고, 제4센싱전극(312)의 타측에는 제2보조센싱전극부(36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센싱전극(311)의 타측 및 제4센싱전극(312)의 일측에는 추가적인 보조센싱전극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3센싱전극(311), 제3센싱전극(311)의 일측에 형성된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제3센싱전극(311)과 인접 배치되고, 제3센싱전극(311)의 일측을 바라보는 제4센싱전극(312) 및 제3센싱전극(311)의 일측과 대향하는 제4센싱전극(312)의 타측에 형성된 제2보조센싱전극부(360)를 제2그룹이라 지칭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센싱전극부(300b)는 상기 제2그룹이 반복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그룹 사이에는 별도의 보조센싱전극부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접촉 감지 장치에서 센싱전극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10-2)는,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사이에 위치하는 제3보조센싱전극부(370), 제2보조센싱전극부(360) 사이에 위치하는 제4보조센싱전극부(380)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도 3에 도시된 접촉 감지 장치(10-1)와는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동일하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전극부(300c)는,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사이에 제3보조센싱전극부(370)가 제2축 방향(또는 X축 방향)을 따라 반복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각각의 제2보조센싱전극부(360) 사이에 제4보조센싱전극부(380)가 제2축 방향(또는 X축 방향)을 따라 반복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3보조센싱전극부(370) 및 복수의 제4보조센싱전극부(380)는, 복수의 센싱전극(311, 312, 313, 314, 315, 316, 317),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및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360)는 모두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제3, 제4보조센싱전극부(370, 380) 또한 구동전극부(200)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감지영역(111), 제1중첩감지영역(113) 및 제2중첩감지영역(115) 내에 위치하는 센싱 가능 구성의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되어 스타일러스와 같이 접촉 면적이 작은 입력에 대하여 인식 정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센싱전극부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의 P2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접촉 검출 영역(1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센싱전극(311, 317)을 제외한 복수의 센싱전극(312, 313, 314, 315, 316) 중 어느 하나의 센싱전극(312, 이하 '제1센싱전극')의 일측에는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가 형성되고, 제1센싱전극(312)의 타측에는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36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센싱전극(312)과 인접 배치된 센싱전극(313, 이하 '제2센싱전극')의 일측에도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가 형성되고, 제2센싱전극(313)의 타측에는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36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및 제2보조센싱전극부(360)에 대한 설명은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바 생략한다.
각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사이에는 제3보조센싱전극부(37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제2보조센싱전극부(360) 사이에는 제4보조센싱전극부(380)가 형성될 수 있다.
각 제3보조센싱전극부(370)는 제1축 방향(또는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특히 제1패턴부(도 6의 351)에 연결되고 제3절개부(373)가 형성된 제3패턴부(37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보조센싱전극부(350)과 제3패턴부(371) 사이에는 제3공간부(375)가 형성될 수 있다.
제3패턴부(371)는 제1보조센싱전극부(350)로부터 제2축 방향(또는 X축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보조센싱전극부(350)과 제3패턴부(371)는 기하학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보조센싱전극부(350)와 제3패턴부(37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름모 형상을 형성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제3패턴부(371)에는 제3절개부(37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3절개부(373)에 의해 제3패턴부(371)와 서로 이웃하는 두개의 제1보조센싱전극부(350)는 개루프(open loop)를 형성할 수 있다. 제3절개부(373)로부터 상호 인접하는 두개의 센싱전극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센싱전극(312)과 제2센싱전극(313)에 위치하는 제3절개부(373)로부터 제1센싱전극(312)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3절개부(373)로부터 제2센싱전극(313)까지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3절개부(373)는 각 센싱전극들(312, 313) 사이 공간을 이등분하는 직선(L)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각 제4보조센싱전극부(360)는 제1축 방향(또는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제2보조센싱전극부(360), 특히 제2패턴부(도 5의 361)에 연결되고 제4절개부(383)가 형성된 제4패턴부(38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보조센싱전극부(360)과 제4패턴부(381) 사이에는 제4공간부(385)가 형성될 수 있다.
제4패턴부(371)는 제2보조센싱전극부(360)로부터 제2축 방향(또는 X축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보조센싱전극부(360)과 제4패턴부(371)는 기하학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2보조센싱전극부(360)와 제4패턴부(38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름모 형상을 형성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제4패턴부(381)에는 제4절개부(38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패턴부(361)와 제1센싱전극(312) 및 제2센싱전극(313) 각각은 제2절개부(363)에 의해 개루프(open loop)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4패턴부(381)의 형상과 제3패턴부(371)의 형상을 비교하면, 제4패턴부(381)의 형상은 제3패턴부(371)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180° 회전한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4패턴부(381)의 형상과 제3패턴부(371)의 형상은 상호 역대칭 관계일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제4패턴부(381)의 형상 및 제3패턴부(371)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제4절개부(383)로부터 상호 인접하는 두개의 센싱전극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센싱전극(312)과 제2센싱전극(313)에 위치하는 제4절개부(383)로부터 제1센싱전극(312)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4절개부(383)로부터 제2센싱전극(313)까지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4절개부(383)는 각 센싱전극들(312, 313) 사이 공간을 이등분하는 직선(L)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3절개부(375)와 제4절개부(385)는 서로 동일한 직선(L)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직선(L)은 제1센싱전극(312)과 제2센싱전극(313) 사이의 공간을 이등분할 수 있다.
또한, 제1절개부(도 6의 353) 및 제2절개부(도 6의 363)도 제1센싱전극(312)과 제2센싱전극(313) 사이의 공간을 이등분하는 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는 바, 최종적으로 제1절개부(도 6의 353), 제2절개부(도 6의 363), 제3절개부(373), 제4절개부(383)은 모두 제1축 방향(또는 Y축 방향)과 평행한 직선(L)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3패턴부(371)는 제2축(또는 X축) 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4패턴부(381)와 상호 이격되어 서로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센싱전극(312)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3패턴부(371)의 일부는 제2축(또는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제4절개부(383) 및 제4공간부(385)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제2센싱전극(313)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4패턴부(381)의 일부는 제2축(또는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제3절개부(373) 및 제3공간부(375)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축 방향(또는 X축 방향)을 따라 상호 인접한 제3패턴부(371) 및 제4패턴부(381)는, 상호 교차 배치될 수 있으며, 제3패턴부(371) 및 제4패턴부(381)가 교차된 부분에 형성된 제3절개부(373) 및 제4절개부(383)에 의해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패턴부(371)와 제4패턴부(381)은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제3보조센싱전극부(370) 및 제4보조센싱전극부(380)는 도 8에 도시된 센싱전극부(300b)에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센싱전극부(300c)는 도 8에 도시된 센싱전극부(300b)에 제3보조센싱전극부(370) 및 제4보조센싱전극부(380)를 추가 형성한 형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접촉 감지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10-3)는, 도 3에 도시된 접촉 감지 장치(10-1)와는 센싱전극부의 구조가 상이하며, 이외 구성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10-3)는 센싱전극부(300d)에 포함된 복수의 센싱전극(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이 두개 이상의 선으로 분리 및 재결합이 반복되는 병렬구조를 갖는 점에서 도 3에 도시된 접촉 감지 장치(10-1)의 센싱전극부(300a)와는 일부 상이하다.
복수의 센싱전극(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들의 일측 및 타측에는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및 제2보조센싱전극부(36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촉 검지 영역(1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센싱전극(311, 317)의 경우에는 제1보조센싱전극부(350) 및 제2보조센싱전극부(360) 중 어느 하나만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센싱전극(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6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바,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복수의 센싱전극(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을 두 개 이상의 선으로 분리 및 재결합이 반복되는 병렬구조로 형성하게 되면, 센싱전극을 이루는 도전성 물질의 저항성분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접촉 감지 장치의 동작속도를 향상시키고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추가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감지영역(111), 제1중첩감지영역(113) 및 제2중첩감지영역(115) 내에 위치하는 센싱 가능 구성의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되어 스타일러스와 같이 접촉 면적이 작은 입력에 대하여 인식 정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접촉 감지 장치의 구동전극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10-4)는 도 3에 도시된 접촉 감지 장치(도 2의 10-1)와는 구동전극부의 구조가 상이하며, 이외 구성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10-4)의 구동전극부(200b)는, 복수의 구동전극(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각각의 일측에 형성된 복수의 제1돌출부(231), 복수의 구동전극(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각각의 타측에 형성된 복수의 제2돌출부(25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구동전극(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각각은 제2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1돌출부(231)는 복수의 구동전극(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각각의 일측에제2축 방향(또는 X축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1돌출부(231)는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제2돌출부(251)은 복수의 구동전극(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각각의 타측에 제2축 방향(또는 X축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2돌출부(251)은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돌출부(231) 및 제2돌출부(251)은 복수의 구동전극(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과 서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이한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1돌출부(231) 및 제2돌출부(251)은 복수의 구동전극(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과 서로 동일한 층, 예컨대 기판(100)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센싱전극부(300a)와는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접촉 검출 영역(1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구동전극(221, 228)을 제외한 복수의 구동전극(222, 223, 224, 225, 226, 227) 중 어느 하나의 구동전극(222)을 제1구동전극으로 지칭하고, 제1구동전극(222), 제1구동전극(222)의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돌출부(231) 및 제1구동전극(222)의 타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돌출부(251)를 제3그룹이라고 지칭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전극부(200b)는 제1축(또는 Y축)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제3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그룹 각각, 즉 제1구동전극(222)의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돌출부(231) 및 제1구동전극(222)의 타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돌출부(251)는 상호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3그룹은 각각이 하나의 구동채널을 이룰 수 있다.
한편, 도면을 기준으로 접촉 검출 영역(110)의 상부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구동전극(221)의 경우, 도 13 및 14에는 타측에 복수의 제2돌출부(251)가 형성되고, 일측에 복수의 제1돌출부(231)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즉, 구동전극(221)의 경우 타측에는 복수의 제2돌출부(251)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유사하게 도면을 기준으로 접촉 검출 영역(110)의 하부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구동전극(228)의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일측에는 제1돌출부(231)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구동전극부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제1축 방향을 따라 상호 마주보는 복수의 제1돌출부(231) 및 복수의 제2돌출부(251)은 서로 이격 배치되되, 서로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돌출부(231) 및 제2돌출부(251)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되, 제1돌출부(231)는 제2돌출부(251)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2돌출부(251)는 제1돌출부(231) 각각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구동전극(222, 223, 224, 225, 226, 227) 중 어느 하나의 구동전극(222, 또는 제1구동전극)의 일측에는 복수의 제1돌출부(231)이 형성되고, 제1구동전극(222)의 타측에는 복수의 제2돌출부(25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구동전극(222)와 제1축 방향을 따라 인접 배치된 구동전극(223, 또는 제2구동전극)의 일측에도 복수의 제1돌출부(2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구동전극(223)의 타측에는 복수의 제2돌출부(25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구동전극(222)의 일측에 형성된 복수의 제1돌출부(231)는, 제2구동전극(223)의 타측에 형성된 복수의 제2돌출부(251)과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축 방향(또는 Y축 방향)을 따라 상호 마주보는 제1돌출부(231) 및 제2돌출부(251)은,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제1돌출부(231) 및 제2돌출부(251)의 형상은, 상호 맞물려 배치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그 형상의 제한이 없다. 예컨대 도 13 및 도 14에는 제1돌출부(231) 및 제2돌출부(251)가 삼각형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이외에 반원형, 사각형, 오각형 이상의 다각형 또는 이들의 조합 형상 등 다양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아울러, 도 14 및 도 15에는 제1돌출부(231) 및 제2돌출부(251)의 형상이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그 배치만이 상이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제1돌출부(231) 및 제2돌출부(251)의 형상은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제1돌출부(231)의 형상과 제2돌출부(251)의 형상은 상호 역대칭인 관계일 수도 있다. 즉 제2돌출부(251)의 형상은 제1돌출부(231)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180° 회전한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구동전극(222) 및 제2구동전극(223) 사이에서 접촉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접촉 입력에 의해 제1돌출부(231) 및 제2돌출부(251)는 동시에 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접촉 입력에 대하여 적어도 두개의 감지신호를 획득할 수 있게 되며, 결과적으로 접촉 입력의 좌표계산이 정확해지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제1구동전극(222)과 제2구동전극(223)의 경계부분의 면적은, 상호 이격된 제1돌출패턴(231) 및 제2돌출패턴(251)에 의해 증가되며, 이에 따라 상호 정전용량 변화 측정의 기초가 되는 전기장이 보다 조밀하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미세한 상호 정전용량 변화를 발생시키는 접촉 입력(예컨대 스타일러스)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접촉 입력 인식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상술한 도 13에는 접촉 감지 장치의 센싱전극부로서, 도 5에 도시된 센싱전극부(300a)가 적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즉, 구동전극부(200b)와 함께 접촉 감지 장치를 구성하는 센싱전극부로서, 도 8,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센싱전극부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6은 종래 접촉 감지 장치의 구동전극에 접촉 발생 시 접촉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3에 도시된 접촉 감지 장치의 구동전극에 접촉 발생 시 접촉 부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구동전극에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종래의 접촉 감지 장치의 경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촉(T1)이 발생한 경우, 하나의 구동채널(CH2)를 기초로 하여 접촉 위치를 검출하게 된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경우, 이웃하는 구동전극이 상호 중첩되는 구간이 존재하는 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촉(T1)이 발생한 경우 두개의 구동채널(CH1, CH2)를 기초로 접촉 위치를 검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보다 정확한 접촉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아울러, 도 16에 도시된 각 구동전극의 Y축 방향 폭과 도 17에 도시된 각 구동전극의 Y축 방향 평균 폭이 동일하다고 가정하는 경우, 도 16에 도시된 종래의 접촉 감지 장치는 하나의 구동채널(CH2)이 제1접촉(T1)의 검출에만 기여할 수 있으며, 제2접촉(T2)의 검출에는 기여를 할 수 없다. 반면, 도 1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는 하나의 구동채널(CH2)이 제1접촉(T1) 뿐만 아니라 제2접촉(T2)의 검출에도 기여를 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채널 간격(pitch)에서 하나의 구동전극이 기여하는 접촉 감지 범위가 더 넓어지는 이점이 존재하며, 이에 따라 더욱 정확한 접촉 감지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채널 간격(pitch)을 종래 구조에 비해 넓히더라도 더 정확한 감지 성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기존보다 적은 채널 수의 구동전극으로 기존과 비슷한 수준의 감지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톱니 모양 구동 전극으로 구현된 6mm 채널 간격의 구동 전극은 기존의 직사각형 형태의 4.5mm 채널 간격의 구동 전극과 유사한 접촉 감지 성능을 보인다.
한편, 상기 돌출부의 Y축 방향으로의 최대 길이는 길이는 구동 전극의 Y축 방향 폭의 20~50% 에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3,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전극의 양측에 돌출부가 모두 형성된 경우, 각 돌출부의 Y축 방향으로의 최대 길이는 구동 전극의 Y축 방향으로의 폭의 20~40% 길이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구동전극의 일측에만 돌출부가 형성된 경우, 각 돌출부의 Y축 방향으로의 최대 길이는 구동 전극의 Y축 방향으로의 폭의 30~50% 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구동전극의 Y축 방향으로의 폭의 1/3 이 되도록 돌출부의 Y축 방향으로의 최대 길이를 설정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기존의 직사각형 형태로 구현된 구동전극에 비해 채널 수를 1/3로 줄일 수 있다.
도 18은 도 13에 도시된 구동전극부의 변형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구동전극부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전극부(200c)는 두개의 그룹이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점에서 하나의 그룹(예컨대 상술한 제3그룹)이 반복 배치되는 도 13 내지 도 15에서 설명한 구동전극부(200b)와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복수의 구동전극(222, 223, 224, 225, 226, 227) 중 어느 하나의 구동전극(222, 또는 제1구동전극)의 일측에는 복수의 제1돌출부(231)이 형성되고, 제1구동전극(222)의 타측에는 복수의 제3돌출부(24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구동전극(222)와 제1축 방향을 따라 인접 배치된 구동전극(223, 또는 제2구동전극)의 타측에는 복수의 제2돌출부(25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구동전극(223)의 일측에는 제4돌출부(26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구동전극(222), 제1돌출부(231) 및 제3돌출부(241)를 제4그룹이라 지칭하고, 제2구동전극(223), 제2돌출부(251) 및 제4돌출부(261)를 제5그룹이라 지칭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전극부(200c)는 상기 제4그룹 및 상기 제5그룹이 반복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그룹 각각 및 상기 제5그룹 각각은 구동채널을 이룰 수 있다.
제1축 방향을 따라 마주보는 제1돌출부(231) 및 제2돌출부(251)는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돌출부(231) 및 제2돌출부(251)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되, 제1돌출부(231)는 제2돌출부(251)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2돌출부(251)는 제1돌출부(231) 각각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전극(222)의 일측에 형성된 복수의 제1돌출부(231)는, 제1축 방향을 따라 마주보는 돌출부인, 제2구동전극(223)의 타측에 형성된 복수의 제2돌출부(251)와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제1축 방향을 따라 마주보는 제3돌출부(241) 및 제4돌출부(261)도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돌출부(241) 및 제4돌출부(261)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되, 제3돌출부(241)는 제4돌출부(261)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4돌출부(261)는 제3돌출부(241) 각각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제1돌출부(231), 제2돌출부(251), 제3돌출부(241) 및 제4돌출부(261)의 형상이 삼각형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이외에 반원형, 사각형, 오각형 이상의 다각형 또는 이들의 조합 형상 등 다양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각 돌출부(231, 241, 251, 261)은 상호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이한 형상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3돌출부(241)의 형상과 제1돌출부(231)의 형상은, 제2축(또는 X축)에 대하여 상호 대칭일 수 있으며, 제4돌출부(261)의 형상과 제2돌출부(251)의 형상은 제2축(또는 X축)에 대하여 상호 대칭일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10-1, 10-2, 10-3, 10-4 : 접촉 감지 장치
100: 절연기판
131: 배선패턴
160: 제어부
200, 200a, 200b, 200c: 구동전극부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구동전극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구동전극
231: 제1돌출부
251: 제2돌출부
241: 제3돌출부
261; 제4돌출부
300, 300a, 300b, 300c, 300d: 센싱전극부
311, 312, 313, 314, 315, 316, 317: 센싱전극
350: 제1보조센싱전극부
360: 제2보조센싱전극부
370: 제3보조센싱전극부
380: 제4보조센싱전극부
400: 절연층

Claims (37)

  1. 절연기판;
    상기 절연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된 구동전극부;
    상기 구동전극부와 전기적으로 분리된 센싱전극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전극부는,
    제1센싱전극;
    상기 제1센싱전극과 인접 배치된 제2센싱전극;
    상기 제2센싱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제1센싱전극의 일측에 형성되고, 각각이 상기 제1센싱전극과 연결된 제1패턴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1 보조센싱전극부;
    상기 제1센싱전극의 일측과 대향하는 상기 제2센싱전극의 타측에 형성되고, 각각이 상기 제2센싱전극과 연결된 제2패턴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2 보조센싱전극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패턴부와 상기 제2패턴부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패턴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패턴부에 형성된 제2절개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패턴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패턴부에 형성된 제1절개부에 배치되는 접촉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개부 및 상기 제2절개부는,
    상기 제1센싱전극과 상기 제2센싱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직선 상에 위치하는 접촉 감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으로부터 상기 제1센싱전극까지의 거리는,
    상기 직선으로부터 상기 제2센싱전극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접촉 감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부와 상기 제1센싱전극 사이에는 제1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패턴부와 상기 제2센싱전극 사이에는 제2공간부가 형성된 접촉 감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공간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공간부에 위치하는 접촉 감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싱전극, 상기 제2센싱전극, 상기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 및 상기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는,
    서로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접촉 감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보조센싱전극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패턴부와 연결된 제3패턴부 및 상기 제3패턴부에 형성된 제3절개부를 구비한 복수의 제3보조센싱전극부;
    상기 각 제2보조센싱전극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패턴부와 연결된 제4패턴부 및 상기 제4패턴부에 형성된 제4절개부를 구비한 복수의 제4보조센싱전극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패턴부와 상기 제4패턴부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3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인접한 제4절개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4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인접한 제3절개부에 배치되는 접촉 감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부와 상기 제3패턴부 사이에는 제3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패턴부와 상기 제4패턴부 사이에는 제4공간부가 형성된 접촉 감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4공간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4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3공간부에 위치하는 접촉 감지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싱전극, 상기 제2센싱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 상기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 상기 복수의 제3보조센싱전극부 및 상기 복수의 제4보조센싱전극부는,
    서로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접촉 감지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싱전극 및 상기 제2센싱전극은,
    스트라이프 형태로 이루어진 접촉 감지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싱전극 및 상기 제2센싱전극은,
    2개 이상의 선으로 분리와 재결합이 반복되는 병렬구조형태로 이루어진 접촉 감지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극부는,
    제1구동전극;
    상기 제1구동전극과 인접 배치된 제2구동전극;
    상기 제2구동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제1구동전극의 일측에 형성된 복수의 제1돌출부;
    상기 제1구동전극의 일측과 대향하는 상기 제2구동전극의 타측에 형성된 복수의 제2돌출부;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는 상호 이격되어 서로 맞물려 배치되는 접촉 감지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는,
    반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촉 감지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돌출부 각각의 최대 길이는 상기 제1구동전극의 폭의 20% 내지 50%이고,
    상기 복수의 제2돌출부 각각의 최대 길이는 상기 제1구동전극의 폭의 20% 내지 50%인 접촉 감지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의 형상은,
    상기 제2돌출부를 180°회전한 형상과 동일한 접촉 감지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전극, 상기 제2구동전극, 상기 복수의 제1돌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돌출부는,
    서로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접촉 감지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극부와 상기 센싱전극부는,
    서로 상이한 층에 위치하는 접촉 감지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접촉 물체에 의해 상기 구동전극부와 상기 센싱전극부 사이에서 생성되는 상호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상호정전용량 변화에 기초하여 접촉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을 더 포함하는 접촉 감지 장치.
  20. 절연기판;
    상기 절연기판의 일면 상에 제1축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구동전극;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제1축과 상이한 제2축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센싱전극;
    상기 복수의 센싱전극 각각의 일측에 상기 제1축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센싱전극 각각에 연결된 제1패턴부 및 상기 제1패턴부에 형성된 제1절개부를 구비한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
    상기 복수의 센싱전극 각각의 타측에 상기 제1축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센싱전극 각각에 연결된 제2패턴부 및 상기 제2패턴부에 형성된 제2절개부를 구비한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축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패턴부와 상기 제2패턴부는 상호 이격되어 서로 맞물려 배치되고,
    상기 제1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축을 따라 인접한 제2절개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축을 따라 인접한 제1절개부에 배치되는 접촉 감지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축 방향을 따라 상호 인접한 상기 제1절개부 및 상기 제2절개부는,
    상기 제1축과 평행한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는 접촉 감지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부와 각각의 상기 센싱전극 사이에는 제1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패턴부와 각각의 상기 센싱전극 사이에는 제2공간부가 형성된 접촉 감지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축을 따라 인접한 상기 제2공간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축을 따라 인접한 상기 제1공간부에 위치하는 접촉 감지 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싱전극, 상기 복수의 제1보조센싱전극부 및 상기 복수의 제2보조센싱전극부는,
    서로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접촉 감지 장치.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보조센싱전극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패턴부와 연결된 제3패턴부 및 상기 제3패턴부에 형성된 제3절개부를 구비한 복수의 제3보조센싱전극부;
    상기 각 제2보조센싱전극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패턴부와 연결된 제4패턴부 및 상기 제4패턴부에 형성된 제4절개부를 구비한 복수의 제4보조센싱전극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3패턴부와 상기 제4패턴부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3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축 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4절개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4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축 방향을 따라 인접한 제3절개부에 배치되는 접촉 감지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부와 상기 제3패턴부 사이에는 제3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패턴부와 상기 제4패턴부 사이에는 제4공간부가 형성된 접촉 감지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3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축을 따라 인접한 제4공간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4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축을 따라 인접한 제3공간부에 위치하는 접촉 감지 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싱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1, 제2, 제3, 제4보조센싱전극부는,
    서로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접촉 감지 장치.
  29.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싱전극 중 하나 이상은 스트라이프 형태로 이루어진 접촉 감지 장치.
  30.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싱전극 중 하나 이상은,
    2개 이상의 선으로 분리와 재결합이 반복되는 병렬구조형태로 이루어진 접촉 감지 장치.
  3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 일측에 형성된 복수의 제1돌출부;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 타측에 형성된 복수의 제2돌출부;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축을 따라 이웃하는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는 상호 이격되어 서로 맞물려 배치되는 접촉 감지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는,
    반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촉 감지 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돌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돌출부 각각의 상기 제1축 방향으로의 최대 길이는,
    상기 구동전극의 상기 제1축 방향으로의 폭의 20% 내지 40%인 접촉 감지 장치.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의 형상은,
    상기 제2돌출부를 180°회전한 형상과 동일한 접촉 감지 장치.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는,
    서로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접촉 감지 장치.
  3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과 상기 복수의 센싱전극은,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는 접촉 감지 장치.
  37. 제20항에 있어서,
    접촉 물체에 의해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과 상기 복수의 센싱전극 사이에서 생성되는 상호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상호정전용량 변화에 기초하여 접촉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접촉 감지 장치.
KR20130119942A 2013-10-08 2013-10-08 접촉 감지 장치 KR101489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9942A KR101489754B1 (ko) 2013-10-08 2013-10-08 접촉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9942A KR101489754B1 (ko) 2013-10-08 2013-10-08 접촉 감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9754B1 true KR101489754B1 (ko) 2015-02-04

Family

ID=52590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9942A KR101489754B1 (ko) 2013-10-08 2013-10-08 접촉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7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18838A1 (en) 2009-07-22 2011-01-27 Ritdisplay Corporation Capacitive Type Touch Panel
KR20130074380A (ko) * 2011-12-26 2013-07-04 (주) 태양기전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30074489A (ko) * 2011-12-26 2013-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의 센싱 전극패턴
KR20130102024A (ko) * 2013-07-30 2013-09-16 주식회사 지니틱스 구동전극 패턴, 터치패널, 터치패널 모듈, 및 전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18838A1 (en) 2009-07-22 2011-01-27 Ritdisplay Corporation Capacitive Type Touch Panel
KR20130074380A (ko) * 2011-12-26 2013-07-04 (주) 태양기전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30074489A (ko) * 2011-12-26 2013-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의 센싱 전극패턴
KR20130102024A (ko) * 2013-07-30 2013-09-16 주식회사 지니틱스 구동전극 패턴, 터치패널, 터치패널 모듈, 및 전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1877B2 (en) Electrode pattern of touch panel
KR200481136Y1 (ko) 터치 전극 장치
US9851855B2 (en) Touch screen panel including touch sensor
KR102119791B1 (ko) 터치 패널
KR101363361B1 (ko) 접촉 감지 패널
US20120206401A1 (en) Hybrid touch panel device
US9753595B2 (en) Touch screen panel
KR101679622B1 (ko) 터치 입력 장치
US20160139727A1 (en) Touch screen panel
US20170205957A1 (en) Curved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US20140347579A1 (en) Electrode pattern of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7001072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touch-sensing function and conductive layer structure thereof
KR101618653B1 (ko) 터치 입력 장치 및 터치 검출 방법
US20140152915A1 (en) Touch panel
KR102175045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489754B1 (ko) 접촉 감지 장치
US10712859B2 (en) Touch-sensitive control device
KR20160080069A (ko)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6612123B2 (ja) 静電容量式入力装置
KR101293165B1 (ko) 접촉 감지 패널
KR101363877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30044248A (ko) 접촉 감지 패널
TWI459448B (zh) 觸控面板
KR102558365B1 (ko)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581791B1 (ko) 터치 검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