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362B1 -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362B1
KR101487362B1 KR1020137005795A KR20137005795A KR101487362B1 KR 101487362 B1 KR101487362 B1 KR 101487362B1 KR 1020137005795 A KR1020137005795 A KR 1020137005795A KR 20137005795 A KR20137005795 A KR 20137005795A KR 101487362 B1 KR101487362 B1 KR 101487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arm
shaft portion
hin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8247A (ko
Inventor
히로노부 사야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8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8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sliding pins or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14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only one position, e.g. clo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고정 플레이트에 대해 이동 플레이트를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개폐기구를 갖는 개폐장치는, 상기 개폐기구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된 제 1 축부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되는 제 3 축부와, 상기 제 1 축부와 상기 제 3 축부의 사이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힌지 아암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된 제 2 축부와, 상기 슬라이드 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 5 축부를 갖는 링크 아암과, 일단부에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된 제 4 축부를 가짐과 함께 타단부가 상기 제 5 축부에 접속된 슬라이드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가 상기 닫힌 위치와 상기 열린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할 때에 상기 힌지 아암 및 상기 링크 아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5 축부를 상기 슬라이드 홈내에서 슬라이드하고, 또한, 상기 이동 플레이트가 열린 위치로 이동한 때에 상기 제 1 케이싱의 표면과 상기 제 2 케이싱의 표면이 대략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폐장치{OPENING/CLOSING DEVICE}
본발명은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 플레이트에 대해 이동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기로 대표되는 휴대단말장치는 숫자 패드, 액정표시장치 등이 설치된 제 1 케이싱과, 액정표시장치 등이 설치되고 제 1 케이싱에 대해 개폐가능한 제 2 케이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케이싱에 대해 제 2 케이싱을 개폐시키는 구조로서는,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힌지 기구에 의해 접속하고 제 1 케이싱에 대해 제 2 케이싱을 회전운동시킴으로써 개폐하는 타입(폴더 타입)과, 제 1 케이싱에 대해 제 2 케이싱을 슬라이드시킴으로써 개폐하는 타입(슬라이드 타입)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휴대단말장치의 다기능화가 진행되고 있고, 지상 디지털 방송을 수신가능한 장치도 제공되고 있으며, 액정표시장치의 대형화도 진행되고 있다. 또한, 다기능화에 따라 휴대단말장치에 대해 입력처리를 실시하는 키보드의 키수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이에 따라 키보드도 대형화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휴대단말장치는 휴대성의 향상이 항상 요망되고 있어, 액정표시장치 및 키보드의 대형화에도 한계가 있다.
상기한 폴더 타입의 휴대단말장치에서는 접은 상태에서는 액정표시장치는 숨겨진 상태가 되어 버려, 접은 상태에서는 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단말장치에서는 상기의 폴더 타입의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지만, 열린 상태에서 필연적으로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으로 포개어지는 부분이 발생하여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개방한 상태에서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이 동일 평면상(플랫(flat))이 되는 개폐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3 참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닫은 상태에서도 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한편,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개방한 상태에서는 두 케이싱과 포개어지는 부분이 없고, 스페이스의 유효한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9-218674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9-059102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9-071588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개폐장치는 1개의 아암에 의해 제 1 케이싱에 대해 제 2 케이싱을 이동시키는 구성이므로, 이동도중에 제 2 케이싱이 임의로 회전해 버려 이동동작이 불안정해진다.
또한, 특허문헌 2, 3에 개시된 개폐장치에서는 개폐조작을 할 때에, 제 1 케이싱에 대해 제 2 케이싱을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조작과, 제 1 케이싱에 대해 제 2 케이싱을 상하이동시키는 승강조작의 2개의 조작을 필요로 하므로, 개폐조작이 번거롭다.
본발명의 실시형태는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고정 플레이트에 대한 이동 플레이트의 이동동작을 안정되고 매끄럽게 1개의 조작으로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발명의 실시형태의 일측면에 의하면,
고정 플레이트에 대해 이동 플레이트를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개폐기구를 갖는 개폐장치로서,
상기 개폐기구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된 제 1 축부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되는 제 3 축부와, 상기 제 1 축부와 상기 제 3 축부의 사이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힌지 아암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된 제 2 축부와, 상기 슬라이드 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 5 축부를 갖는 링크 아암과,
일단부에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된 제 4 축부를 갖고, 타단부가 상기 제 5 축부에 접속된 슬라이드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가 상기 닫힌 위치와 상기 열린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할 때에 상기 힌지 아암 및 상기 링크 아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5 축부를 상기 슬라이드 홈내에서 슬라이드하고, 또한, 상기 이동 플레이트가 열린 위치로 이동한 때에 상기 제 1 케이싱의 표면과 상기 제 2 케이싱의 표면이 대략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본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5 축부가 힌지 아암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드 홈내에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드 아암 및 링크 아암의 일단부가 힌지 아암의 회전에 동기하여 이동하므로,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플레이트를 하나의 동작으로 매끄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욱 명료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개폐장치의 사시도로서, 도 1(A)는 이동 플레이트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고, 도 1(B)는 이동 플레이트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개폐장치를 전자기기에 장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A)는 본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개폐장치를 장착한 전자기기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B)는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는 힌지 아암, 슬라이드 아암 및 링크 아암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B)는 힌지 아암, 슬라이드 아암 및 링크 아암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A)는 외측 플레이트에 래치 캠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B)는 외측 플레이트에 대한 래치 캠의 장착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개폐장치에 설치되는 이동 플레이트(1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개폐장치의 동작(그 1)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도 8(A)는 전자기기의 측면도, 도 8(B)는 덜걱거림 방지기구가 장착된 개폐장치의 측면도, 도 8(C)는 덜걱거림 방지기구를 떼어낸 개폐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개폐장치의 동작(그 2)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도 9(A)는 전자기기의 측면도, 도 9(B)는 덜걱거림 방지기구가 장착된 개폐장치의 측면도, 도 9(C)는 덜걱거림 방지기구를 떼어낸 개폐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개폐장치의 동작(그 3)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도 10(A)는 전자기기의 측면도, 도 10(B)는 덜걱거림 방지기구가 장착 개폐장치의 측면도, 도 10(C)는 덜걱거림 방지기구를 떼어낸 개폐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개폐장치의 동작(그 4)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도 11(A)는 전자기기의 측면도, 도 11(B)는 덜걱거림 방지기구가 장착 개폐장치의 측면도, 도 11(C)는 덜걱거림 방지기구를 떼어낸 개폐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개폐장치의 동작(그 5)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도 12(A)는 전자기기의 측면도, 도 12(B)는 덜걱거림 방지기구가 장착된 개폐장치의 측면도, 도 12(C)는 덜걱거림 방지기구를 떼어낸 개폐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덜걱거림 방지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3(A)는 래치가 래치 캠의 원둘레부에 압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B)는 래치의 돌출부가 래치 캠의 캠부에 걸어맞춰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덜걱거림 방지기구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4(A)는 덜걱거림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B)는 덜걱거림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발명의 변형예인 개폐장치를 전자기기에 장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우측에 위치하는 힌지 아암의 근방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좌측에 위치하는 힌지 아암의 근방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우측에 위치하는 힌지 아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도 18(A)는 닫힌 상태를 나타내고, 도 18(B)는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5의 좌측에 위치하는 힌지 아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도 19(A)는 닫힌 상태를 나타내고, 도 19(B)는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개폐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개폐장치(10)가 형성된 전자기기(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기기(1)는, 예를 들어, 휴대단말장치이고, 제 1 케이싱(2), 제 2 케이싱(3) 및 개폐장치(1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케이싱(2)의 상면(2a)에는 키보드(5) 등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1 케이싱(2)의 상면(2a)에는 액정표시장치 등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실시형태에서는 키보드를 설치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2 케이싱(3)의 상면(3a)에는 액정표시장치(4) 등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휴대단말장치는 휴대시에는 그 형상을 작게 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본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자기기(1)는 개폐장치(10)를 형성함으로써, 제 2 케이싱(3)을 제 1 케이싱(2)에 대해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4(A)는 제 2 케이싱(3)이 닫힌 위치에 있는 상태(이하, 「닫힌 상태」라고 한다)를 나타내고, 도 4(B)는 제 2 케이싱(3)이 열린 위치에 있는 상태(이하, 「열린 상태」라고 한다)를 나타낸다. 닫힌 상태에서는, 제 2 케이싱(3)이 제 1 케이싱(2)의 상부와 포개어진 상태이고, 따라서 액정표시장치(4)만이 표면(3a)으로 노출한 상태이다. 따라서, 닫힌 상태에서도 액정표시장치(4)를 외부에서 볼 수 있다.
또한, 본실시형태에서는 제 1 케이싱(2) 및 제 2 케이싱(3)를 평면에서 본 형상이 동일 형상이므로, 닫힌 상태에서 전자기기(1)를 평면에서 본 때의 면적은 열린 상태의 면적의 반이 된다. 따라서, 닫힌 상태에서는 전자기기(1)가 소형 형상이 되어 휴대성이 확보된다.
한편, 열린 상태에서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개폐장치(10)를 구성하는 힌지 아암(18), 슬라이드 아암(20) 및 링크 아암(22) 등 (도 2 참조)이 회전함으로써 제 2 케이싱(3)이 닫힌 위치로부터 열린 위치로 이동하고, 제 1 케이싱(2)의 상면(2a)과 제 2 케이싱(3)의 상면(3a)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이 열린 상태에서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케이싱(2)과 제 2 케이싱(3)이 포개어지지 않고 동일 평면상에 나란히 설치된 상태가 된다.
이 열린 상태에서는 각 케이싱(2, 3)의 상면(2a, 3a)의 모든 면이 상방을 향해 노출한 상태이다. 따라서, 제 1 케이싱(2)의 상면(2a)의 모든 면을 전자기기(1)의 구성부품의 설치위치로서 사용할 수 있고, 이와 마찬가지로 제 2 케이싱(3)의 상면(3a)의 모든 면을 전자기기(1)의 구성부품의 설치위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실시형태에 관련된 개폐장치(10)를 형성한 전자기기(1)에서는 제 1 케이싱(2)의 상면의 모든 면 및 제 2 케이싱(3)의 상면의 모든 면을 구성부품의 설치위치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각 케이싱(2, 3)의 스페이스의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4)의 대형화를 도모한 경우에는 액정표시장치(4)의 시인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키보드(5)의 대형화 및 키수를 늘린 경우에는 키보드(5)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케이싱(2) 및 제 2 케이싱(3)의 상기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개폐장치(1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개폐장치(10)는, 도 1, 도 2, 도 8~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하면 1쌍의 개폐기구(11A, 11B)와 베이스 샤프트(26) 등을 가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1쌍의 개폐기구(11A, 11B)는 Y1, Y2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개폐기구(11A, 11B)는 고정 플레이트(12), 이동 플레이트(14), 고정 플레이트(16), 힌지 아암(18), 슬라이드 아암(20), 덜걱거림 방지기구(21), 링크 아암(22) 및 힌지 유닛(30) 등을 가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1쌍의 개폐기구(11A)와 개폐기구(11B)는 고정 플레이트(12, 16)의 구성이 상이한 점, 개폐기구(11A)의 힌지 아암(18)에 베어링부(18d)가 설치되어 있는 점, 개폐기구(11B)에 힌지 유닛(30)이 설치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개폐기구(11A)의 각 구성요소와 개폐기구(11B)의 각 구성요소는 도 1 및 도 2의 좌우방향(Y1, Y2방향)으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개폐기구(11A)와 개폐기구(11B)에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교부하고, 각각의 설명을 일괄하기로 한다.
고정 플레이트(12, 16)는 전자기기(1)의 제 1 케이싱(2)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12, 16)는 제 1 케이싱(2)의 제 1 하부반체(2B)에 형성된 장착 오목부(2a)에 고정된다. 제 1 케이싱(2)은 제 1 상부반체(2A)와 제 1 하부반체(2B)를 결합한 구성이고, 따라서 제 1 케이싱(2)은 고정 플레이트(12, 16)와 일체적인 구성이다.
이 고정 플레이트(12, 16)는 금속 판상재를 프레스 성형한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12)는 제 1 하부반체(2B)(도 3 참조)에 고정되는 베이스부(12a)와, 그 양측에 형성된 기립부(12b)를 갖고 있다. 외측(Y1방향측)의 기립부(12b)에는 축핀(19)이 장착되는 축구멍(12c)이 형성되고, 또한 내측(Y2방향측)의 기립부(12b)에는 후술할 힌지 아암(18)의 베어링부(18d)를 축지지하는 축구멍(12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 플레이트(16)는 베이스부(16a)와 기립부(16b)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베이스부(16a)는 제 1 하부반체(2B)(도 3 참조)에 고정되는 부위이다. 또한, 기립부(16b)에는 후술할 축핀(19)이 장착되는 축구멍(16c)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 플레이트(14)는 고정 플레이트(12, 16)에 대해 이동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이동 플레이트(14)는 전자기기(1)의 제 2 케이싱(3)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플레이트(14)는 제 2 케이싱(3)의 제 2 하부반체(3B)에 형성된 장착된 오목부(3a)에 고정된다. 제 2 케이싱(3)은 제 2 상부반체(3A)와 제 2 하부반체(3B)를 결합한 구성이고, 따라 제 2 케이싱(3)과 이동 플레이트(14)는 일체적인 구성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플레이트(14)는 금속 판상재를 프레스 성형한 내측 플레이트(23)와 외측 플레이트(24)를 갖고 있다. 도 1, 2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플레이트(23)는 베이스부(23a), 기립부(23b), 천판부(23c) 및 덮개체부(23d)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구성이다. 베이스부(23a)는 위에서 설명한 제 2 하부반체(3B)(도 3 참조)에 고정된다. 또한, 기립부(23b)에는 후술할 힌지 아암(18)의 축부(18a)가 축지지하는 축구멍(1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천판부(23c)는 내측 플레이트(23)가 외측 플레이트(24)와 결합되어 이동 플레이트(14)를 구성할 때에, 외측 플레이트(24)의 천판부(24c)와 포개어진다.
도 1, 2 그리고 도 6,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플레이트(24)는 베이스부(24a), 기립부(24b), 천판부(24c) 및 래치 수납부(24d)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구성이다. 베이스부(24a)는 제 2 하부반체(3B)(도 3 참조)에 고정된다. 기립부(24b)에는 축구멍(14a, 14b)이 형성되어 있다. 축구멍(14a)에는 후술할 힌지 아암(18)의 축부(18a)가 축지지된다. 또한, 축구멍(14b)에는 슬라이드 아암(20)에 접속되는 슬라이드 아암 샤프트(44)가 축지지된다.
또한, 천판부(24c)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측 플레이트(23)가 외측 플레이트(24)와 결합되어 이동 플레이트(14)를 구성할 때에, 내측 플레이트(23)의 천판부(23c)와 포개어진다. 그리고, 이 포개어진 상태로 두 천판부(23c, 24c)를 용접함으로써, 내측 플레이트(23)와 외측 플레이트(24)는 일체화된 구성이 된다.
또한, 래치 수납부(24d)는 후술할 덜걱거림 방지기구(21)를 구성하는 래치(41)가 X1, X2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납된다. 나아가, 내측 플레이트(23)와 외측 플레이트(24)가 일체화된 상태로, 각 플레이트(23, 24)의 내측에는 힌지 아암(18)이 회전에 따라 내부에 수납되는 아암 수납부(공간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실시형태에서는 이동 플레이트(14)를 Y1, Y2방향으로 분리하여 배치한 구성이다. 그러나, 1쌍의 개폐기구(11A, 11B)에 있어서, 각 이동 플레이트(14)를 구성하는 천판부(23c) 혹은 천판부(24c)를 Y1, Y2방향으로 길게 연장시킴으로써 좌우의 이동 플레이트(14)를 일체화하여 하나의 구성부재로 할 수도 있다.
힌지 아암(18)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부에 형성된 축부(18a)와, 하단부에 형성된 축구멍(18c)과, 이 축부(18a)와 축구멍(18c)의 사이의 위치에 형성된 슬라이드구멍(18b)(긴 구멍)을 갖고 있다.
힌지 아암(18)의 상단부에 형성된 축부(18a)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플레이트(14)에 형성된 축구멍(14a)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힌지 아암(18)의 축부(18a)가 이동 플레이트(14)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되는 부위를 제 3 축부(A3)로 하기로 한다.
또한, 힌지 아암(18)의 하단부에 형성된 축구멍(18c)에는 베이스 샤프트(26)(청구항에 기재된 연결 아암에 상당한다)이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의 화살표 Y1방향측에 위치하는 힌지 아암(18)에는 베어링부(18d)가 형성되어 있고, 축구멍(18c)은 이 베어링부(18d)에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샤프트(26)의 Y1방향측의 단부는 베어링부(18d)의 축구멍(18c)에 삽입되고, 핀(29)에 의해 베어링부(18d)에 고정된다. 이로써, Y1방향측의 힌지 아암(18)은 베이스 샤프트(26)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구성이 된다.
한편, 개폐기구(11B)에 형성되는(도면중 화살표 Y2방향에 위치하는) 힌지 아암(18)은 하단부에 형성된 축구멍(18c)의 내부에 힌지 유닛(30)의 일부 구성을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힌지 유닛(30)을 구성하는 헤드 캠(31) 및 힌지 플레이트(35)가 축구멍(18c)의 내부에 수납하도록 구성으로 되어 있다.
헤드 캠(31) 및 힌지 플레이트(35)의 외주에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힌지 아암(18)의 축구멍(18c)내에는 이 돌기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헤드 캠(31) 및 힌지 플레이트(35)가 축구멍(18c)내에 수납된 상태로, 헤드 캠(31) 및 힌지 플레이트(35)는 힌지 아암(18)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베이스 샤프트(26)의 Y2방향측의 단부에는 힌지 유닛(30)을 구성하는 힌지 샤프트(28)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힌지 샤프트(28)에 형성된 홀더부(28b)에 베이스 샤프트(26)가 삽입되고, 핀(29)으로 걸어고정함으로써, 베이스 샤프트(26)와 힌지 샤프트(28)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구성이 된다(이하의 설명에서는, 특별히 언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베이스 샤프트(26)라고 하면 힌지 샤프트(28)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힌지 샤프트(28)의 Y2방향 선단부에는 타원형상부(28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부(18a)내에 설치된 힌지 플레이트(35)에는 타원형상부(28a)에 대응하는 형상의 타원형상 구멍(35a)이 형성되어 있다. 타원형상부(28a)는 이 힌지 플레이트(35)의 타원형상 구멍(35a)에 끼워넣어진다. 이로써, 힌지 아암(18)은 힌지 플레이트(35), 힌지 샤프트(28)를 통하여 베이스 샤프트(26)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또한, 후술할 힌지 유닛(30)은 제 1 하부반체(2B)(도 3 참조)에 고정되는 힌지 케이스(34)를 갖고 있다. 베이스 샤프트(26)는 이 힌지 케이스(34)에 축지지된다. 따라서, 베이스 샤프트(26)는 제 1 하부반체(2B)(제 1 케이싱(2))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12) 및 힌지 케이스(34)에 의해 제 1 케이싱(2)상에서 축지지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힌지 아암(18)이 고정 플레이트(12, 16)에 대해 회전하는 회전축을 제 1 축부(A1)로 하기로 한다.
또한, 힌지 아암(18)의 축부(18a)와 축구멍(18c)의 사이에 형성된 슬라이드구멍(18b)에는, 도 5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아암(20) 및 링크 아암(22)의 일단부가 접속된다. 슬라이드구멍(18b)은 힌지 아암(18)의 내측 측면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아암(20) 및 링크 아암(22)을 슬라이드구멍(18b)에 접속하려면, 슬라이드 아암(20)의 하단부에 형성된 축 구멍(20a)과 링크 아암(22)의 상단부에 형성된 축 구멍(22a)의 위치를 맞추고, 축핀(17)을 각 축구멍(20a, 22a) 및 슬라이드 홈(18b)에 삽입통과시킨다. 그리고, 축핀(17)의 슬라이드 홈(18b)보다 내측으로 돌출한 단부에 슬라이더(36) 및 스페이서(37)를 삽입통과시킨다. 그 후, 축핀(17)의 단부에 E 와셔(38)를 고정한다. 이로써, 슬라이드 아암(20) 및 링크 아암(22)은 슬라이드구멍(18b)에 접속된다.
링크 아암(22)에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스부(22c)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보스부(22c)는 슬라이드구멍(18b)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맞춰진다. 따라서, 슬라이드 아암(20) 및 링크 아암(22)가 슬라이드구멍(18b)와 접속하는 위치는 슬라이드구멍(18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이 슬라이드 아암(20) 및 링크 아암(22)이 힌지 아암(18)의 슬라이드구멍(18b)에 접속되는 부위(즉, 축핀(17)의 위치)를 제 5 축부(A5)로 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힌지 아암(18)은 고정 플레이트(12)에 접속된 제 1 축부(A1)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이동 플레이트(14)를 고정 플레이트(12, 16)에 대해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이동 플레이트(14)가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할 때에, 제 5 축부(A5)는 슬라이드구멍(18b)내를 슬라이드한다.
슬라이드 아암(2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단부가 제 5 축부(A5)에 접속된다. 또한, 슬라이드 아암(20)의 상단부에 형성된 축 구멍(20b)에는 슬라이드 아암 샤프트(44)가 삽입통과된다. 이 슬라이드 아암 샤프트(44)는 이동 플레이트(14)에 형성된 축구멍(14b)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다(도 6(B) 참조).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슬라이드 아암(20)이 이동 플레이트(14)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되는 부위를 제 4 축부(A4)로 하기로 한다.
링크 아암(22)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크 아암 본체(22A)와 링크 아암 커버(22B)를 결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링크 아암 본체(22A)는 금속제이며, 링크 아암 커버(22B)는 수지제이다. 링크 아암 본체(22A)는 링크 아암 커버(22B)내에 인서트 성형된 구성이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링크 아암(22)의 강도를 링크 아암 본체(22A)에 의해 실현하고, 또한 링크 아암(22)의 표면에서의 평활성을 링크 아암 커버(22B)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링크 아암(22)의 상단부에 형성된 축 구멍(22a)은 축핀(17)에 의해 슬라이드구멍(18b)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링크 아암(22)의 하단부에 형성된 축 구멍(22b)은 고정 플레이트(12)에 형성된 축구멍(12c) 혹은 고정 플레이트(16)에 형성된 축구멍(16c)에 축핀(19)으로 접속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링크 아암(22)의 하단부가 고정 플레이트(12) 또는 고정 플레이트(16)에 접속되는 부위를 제 2 축부(A2)로 하기로 한다. 따라서, 링크 아암(22)의 상단부는 제 5 축부(A5)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되고, 하단부는 제 2 축부(A2)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된 구성이다. 따라서, 링크 아암(22)의 상단부도 제 5 축부(A5)에 접속되므로, 슬라이드구멍(18b)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구성이 된다.
다음으로, 힌지 유닛(30)에 대하여 설명한다. 힌지 유닛(30)은 힌지 샤프트(28), 헤드 캠(31), 슬라이드 캠(32), 힌지 스프링(33a, 33b), 힌지 케이스(34) 및 힌지 플레이트(35) 등을 가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힌지 샤프트(28)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 샤프트(26)에 접속되어 있다. 이 힌지 샤프트(28)는 힌지 케이스(34)에 대해 Y2방향으로 삽입된다. 헤드 캠(31) 및 슬라이드 캠(32) 등은 힌지 샤프트(28)의 힌지 케이스(34)의 내측에 돌출한 부분에 설치된다.
헤드 캠(31) 및 힌지 플레이트(35)는 힌지 아암(18)의 축구멍(18c)내에 설치된다(도 2 참조). 이 때, 힌지 아암(18), 베이스 샤프트(26), 힌지 샤프트(28), 헤드 캠(31) 및 힌지 플레이트(35)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슬라이드 캠(32)의 외주에도 돌기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힌지 케이스(34)의 내측에도 이 돌기부와 걸어맞춤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캠(32)이 힌지 케이스(34)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캠(32)은 힌지 케이스(34)에 대해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그러나, 슬라이드 캠(32)에 형성된 축 구멍은 힌지 샤프트(28)를 회전가능하게 하는 축직경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 샤프트(26)는 슬라이드 캠(32)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또한 베이스 샤프트(26)의 축방향(화살표 Y1, Y2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구성이다.
힌지 스프링은 본실시형태에서는 외부 힌지 스프링(33a)과 내부 힌지 스프링(33b)를 결합한 구성이다. 힌지 스프링(33a, 33b)은 일단이 힌지 케이스(34)의 내벽에 맞닿음과 함께, 타단이 슬라이드 캠(32)과 맞닿는다. 따라서, 힌지 스프링(33a, 33b)의 탄성력은 슬라이드 캠(32)를 헤드 캠(31)을 향해 압압하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힌지 유닛(30)에 있어서, 헤드 캠(31)과 슬라이드 캠(32)과의 맞닿음면에는, 서로 끼워맞춰지는 볼록면과 오목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캠(31, 32)의 각 볼록면의 정점부끼리가 맞닿는 위치(「중립위치」라고 한다)에서는 회전 토크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볼록부가 중립위치로부터 어긋나면, 각 캠(31, 32)의 사이에는 힌지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 토크가 발생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힌지 아암(18)은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지만, 본실시형태에서는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의 중간 위치가 각 캠(31, 32)의 중립위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힌지 아암(18)이 닫힌 위치와 중간 위치의 사이에 있는 상태에서는 힌지 유닛(30)에 의해 힌지 아암(18)은 닫힌 위치를 향해 회전력이 가해지고, 힌지 아암(18)이 중간 위치와 열린 위치의 사이에 있는 상태에서는 힌지 아암(18)은 열린 위치를 향해 회전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힌지 유닛(30)은 이른바 캠식의 「세미오토 힌지」를 구성한다.
따라서, 고정 플레이트(12)(제 1 케이싱(2))에 대해 이동 플레이트(14)(제 2 케이싱(3))를 여는 경우에는, 닫힌 위치에서 중립위치까지 열림 조작을 실시하면, 그 후 자동적으로 이동 플레이트(14)는 열린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반대로, 고정 플레이트(12)에 대해 이동 플레이트(14)를 닫는 경우에는 열린 위치에서 중립위치까지 담힘 조작을 실시하면, 그 후는 자동적으로 이동 플레이트(14)는 닫힌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이와 같이, 세미오토 힌지 타입의 힌지 유닛(30)을 형성함으로써, 개폐장치(10)(전자기기(1))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덜걱거림 방지기구(2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그리고 도 6,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덜걱거림 방지기구(21)는 슬라이드 아암(20), 래치 캠(40) 및 래치(41)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덜걱거림 방지기구(21)는,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플레이트(14)가 열린 위치까지 이동한 때에 이동 플레이트(14)가 도 14(B)에 화살표 S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덜걱거림)의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즉, 도 14(A)에 나타낸 상태에서 이동 플레이트(14)에 화살표 D로 나타낸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 경우, 이동 플레이트(14)에는 제 3 축부(A3)를 중심으로 한 회전력이 발생하고, 부품간의 클리어런스 등에 기인하여 이동 플레이트(14)에 덜걱거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도 14(B) 참조). 이 때, 슬라이드 아암(20)과 이동 플레이트(14)의 접속위치인 제 4 축부(A4)는 도면중 S방향으로 변위한다. 덜걱거림 방지기구(21)는 이와 같이 이동 플레이트(14)에 발생하는 덜걱거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래치 캠(40)(도 6 참조)은 대략 원기둥 형상을 갖고 있다. 이 래치 캠(40)은 원둘레부(40a)의 일부에 캠부(40b)를 형성한 구성이다. 또한, 래치 캠(40)에는 축 구멍(40c) 및 장착 구멍(40d)이 형성되어 있다. 이 래치 캠(40)은 슬라이드 아암 샤프트(44)에 고정된다.
슬라이드 아암 샤프트(44)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플레이트(14)(외측 플레이트(24))에 형성된 축구멍(14b)에 축지지되는 샤프트이다. 이 슬라이드 아암 샤프트(44)의 양단부에는 타원형상부(44a, 44b)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아암 샤프트(44)의 타원형상부(44a)는 슬라이드 아암(20)에 접속된다. 슬라이드 아암(20)의 상단부에 형성된 축 구멍(20b)은 타원형상부(44a)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타원형상부(44a)가 축 구멍(20b)에 고착됨으로써, 슬라이드 아암 샤프트(44)가 슬라이드 아암(20)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구성이 된다.
또한, 슬라이드 아암 샤프트(44)의 타단부는 래치 캠(40)의 축 구멍(40c)에 삽입통과된다. 래치 캠(40)의 외측 측면에는 래치 플레이트(43)가 장착된다. 래치 플레이트(43)는 타원형상부(43a)와 래치 캠(40)에 형성된 장착 구멍(40d)에 장착되는 1쌍의 장착 아암(43b)이 형성되어 있다.
타원형상부(43a)는 슬라이드 아암 샤프트(44)의 타원형상부(44b)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아암 샤프트(44)를 장착 구멍(40d)에 삽입통과시키고, 래치 캠(40)에 장착된 래치 플레이트(43)의 타원형상부(43a)에 고착함으로써, 래치 캠(40)이 슬라이드 아암 샤프트(44)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슬라이드 아암(20)과 래치 캠(40)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한편, 도 7에 나타낸 래치(41)는 각기둥 형상을 갖고 있고, 래치 캠(40)과 대치하는 단부에 돌출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41A)는 래치 캠(40)에 형성된 캠부(40b)와 걸어맞춤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래치(41)는 외측 플레이트(24)에 형성된 래치 수납부(24d)내에 래치 스프링(42)과 함께 장착된다. 래치(41)의 X1방향측의 단부에는 스프링 받이부(41B)가 형성되어 있고, 래치 스프링(42)은 이 스프링 받이부(41B)에 장착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래치 수납부(24d)가 형성된 외측 플레이트(24)는 내측 플레이트(23)와 용접됨으로써 이동 플레이트(14)를 구성한다. 이 때, 내측 플레이트(23)와 외측 플레이트(24)를 결합한 상태에서, 내측 플레이트(23)에 형성되어 있는 덮개체부(23d)는 래치 수납부(24d)의 상부 개구부분을 덮는다. 이와 같이, 래치 수납부(24d)의 상부 개구부분이 덮개체부(23d)로 덮여짐으로써, 래치(41)의 외측 플레이트(24)(이동 플레이트(14))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래치 캠(40)은 슬라이드 아암(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또한, 래치(41)는 래치 스프링(42)의 스프링력에 의해 항상 돌출부(41A)를 래치 캠(40)을 향하는 방향(X1방향)으로 압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41)의 돌출부(41A)가 래치 캠(40)의 원둘레부(40a)에 압접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래치 캠(40)은 회전이 가능하고, 따라서 슬라이드 아암(20)도 회전가능한 상태이다.
이에 반하여,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41A)가 캠부(40b)와 걸어맞춰진 상태에서는, 래치(41)에 의해 래치 캠(40)(슬라이드 아암(20))의 회전이 규제된다. 도 14(B)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플레이트(14)에 덜걱거림이 발생하는 경우, 슬라이드 아암(20)이 접속된 제 4 축부(A4)는 S방향으로 변위한다. 본실시형태에 관련된 덜걱거림 방지기구(21)는 슬라이드 아암(20)의 변위를 덜걱거림 방지기구(21)로 규제함으로써, 열린 위치에서 이동 플레이트(14)에 덜걱거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2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자기기(1) 및 개폐장치(1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2는 제 2 케이싱(3) 및 이동 플레이트(14)가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이동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또한, 각 도면에서 (A)는 전자기기(1)의 동작을 나타내고, (B)는 덜걱거림 방지기구(21)이 형성된 개폐장치(10)의 동작을 나타내고, (C)는 덜걱거림 방지기구(21)을 떼어낸 상태의 개폐장치(10)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8은 닫힌 상태의 전자기기(1) 및 개폐장치(10)를 나타낸다. 이 닫힌 상태에서는,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기기(1)의 제 2 케이싱(3)은 제 1 케이싱(2)의 상부와 포개어진 상태이다. 또한, 도 8(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닫힌 상태에서는 개폐장치(10)의 힌지 아암(18)은 직립한 위치에서 볼 때 제 1 축부(A1)를 중심으로 하여 도면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이다.
또한, 닫힌 상태에서는 제 5 축부(A5)가 슬라이드구멍(18b)내의 제 3 축부(A3)측의 단부(이동 플레이트(14)에 가까운 쪽 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힌지 아암(18), 슬라이드 아암(20) 및 링크 아암(22)은 대략 일직선상으로 배열된 구성이고, 따라서 컴팩트한 상태이다.
또한, 닫힌 상태에서 힌지 유닛(30)(도 1 참조)은 힌지 아암(18)을 제 1 축부(A1)를 중심으로 하여 도면중 반시계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나아가, 덜걱거림 방지기구(21)는,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41)가 래치 캠(40)의 캠부(40b)에 압접한 상태이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 아암(20)은 회전가능한 상태이다.
이 닫힌 상태로부터, 힌지 유닛(3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제 2 케이싱(3)을 열린 위치를 향하여 이동조작하면, 제 2 케이싱(3)이 제 1 케이싱(2)로부터 이간하여,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린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이에 따라, 힌지 아암(18)은 제 1 축부(A1)를 중심으로 하여 도 9(B)에 화살표 P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고, 이로써 슬라이드 아암(20) 및 링크 아암(22)도 각 축부(A2, A3, A4, A5)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을 개시하고, 이로써 이동 플레이트(14)가 닫힌 위치로부터 이동을 개시한다.
이 때, 슬라이드 아암(20)의 하단부 및 링크 아암(22)의 상단부는 힌지 아암(18)에 이동가능하게 걸어맞춰진 제 5 축부(A5)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힌지 아암(18)이 P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슬라이드 아암(20) 및 링크 아암(22)는 제 5 축부(A5)를 슬라이드구멍(18b)을 따라 제 1 축부(A1)을 향하는 방향(도면중 화살표 Z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제 5 축부(A5)가 슬라이드구멍(18b)을 따라 이동하므로, 각 아암(18, 20, 22)은 원활한 회전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이렇게 이동할 때에, 이동 플레이트(14)는 슬라이드 아암(20)에 의해 힌지 아암(18)에 대해 지지되고, 힌지 아암(18)은 링크 아암(22)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12) 및 힌지 케이스(34)에 대해 지지된다. 이 때문에, 이동 플레이트(14)의 이동자세는 안정되고, 힌지 아암(18)에 대해 이동 플레이트(14)가 불필요하게 변위하지 않는다.
도 10은 제 2 케이싱(3)(이동 플레이트(14))이 중립위치까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본실시형태에서는 힌지 아암(18)이 닫힌 상태로부터 직립한 위치가 중립위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립위치에서는 힌지 유닛(30)의 헤드 캠(31)과 슬라이드 캠(32)의 각 볼록면의 정점부끼리가 맞닿은 상태이다. 이러한 중립위치에서는 순간적으로 힌지 유닛(30)에 의한 힌지 아암(18)의 회전가압력이 없어진다. 그리고, 이 중립위치에서 더욱 제 2 케이싱(3)(이동 플레이트(14))을 열린 위치를 향해 조작함으로써, 헤드 캠(31)과 슬라이드 캠(32)의 맞닿음면에 발생하는 회전 토크가 반전하고, 이동 플레이트(14)가 열린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방향으로 베이스 샤프트(26)에 회전력을 가한다.
이로써, 중립위치 이후에는 힌지 아암(18)에 제 1 축부(A1)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개방향)으로 회전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중립위치에서 제 2 케이싱(3)(이동 플레이트(14))을 열린 위치를 향해 약간 조작한 후에는, 도 11~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케이싱(3)(이동 플레이트(14))은 자동적으로 열린 위치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또한, 중립위치에서도,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덜걱거림 방지기구(21)의 래치(41)가 래치 캠(40)의 원둘레부(40a)에 압접하고 있고, 슬라이드 아암(20)의 회전이 유지된다.
도 11은 힌지 아암(18)이 중립위치로부터 더욱 회전하여 열린 위치 근방까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다. 힌지 아암(18)은 중립위치를 지나면, 제 3 축부(A3)를 하방을 향해 눌러 내리도록 작용한다. 이 때문에,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 아암(18)의 P방향에 대한 회전에 수반하여, 제 2 케이싱(3)(이동 플레이트(14))의 수평 방향에 대한 각도(틸트각θ)는 점차 작아진다. 즉, 제 2 케이싱(3)(이동 플레이트(14))의 자세는 상기 수평으로 누운 상태에 가까워진다.
그리고,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케이싱(3)(이동 플레이트(14))이 열린 위치까지 이동한 시점에서, 제 1 케이싱(2)의 상면과 제 2 케이싱(3)의 상면은 동일 평면이 된다. 이 열린 상태에서, 각 아암(18, 20, 22)은 일직선상이 되고, 또한 각 아암(18, 20, 22)은 베이스 샤프트(26)의 축방향(Y1, Y2방향)으로 겹쳐진 상태이다. 이 때문에, 개폐장치(10)는 열린 상태에서도 컴팩트한 상태이다.
또한, 덜걱거림 방지기구(21)는 이동 플레이트(14)가 닫힌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래치(41)의 돌출부(41A)가 래치 캠(40)의 캠부(40b)와 걸어맞춰진다. 따라서, 이동 플레이트(14)가 닫힌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덜걱거림 방지기구(21)에 의해 슬라이드 아암(20)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로써, 도 14를 참조해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플레이트(14)의 제 4 축부(A4)가 화살표 S로 나타낸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에 기인한 덜걱거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열린 상태에서 제 2 케이싱(3)이 덜걱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자기기(1)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열린 상태로부터, 제 2 케이싱(3)(이동 플레이트(14))을 닫힌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는 조작 및 동작은 도 8 내지 도 13을 이용해 설명한 상기한 조작 및 동작의 반대가 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본실시형태에 관련된 개폐장치(10)는 간단한 기구로 열린 위치에 있어서 이동 플레이트(14)와 고정 플레이트(12)를 대략 동일 평면이 되는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아암(20)은 일단이 제 4 축부(A4)에서 이동 플레이트(14)와 접속됨과 동시에, 타단이 제 5 축부(A5)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링크 아암(22)은 일단이 제 2 축부(A2)에서 고정 플레이트(12), 고정 플레이트(16)에 접속됨과 동시에, 타단이 제 5 축부(A5)에 접속되어 있다. 나아가, 제 5 축부(A5)는 힌지 아암(18)에 형성된 슬라이드구멍(18b)에 슬라이드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아암(18, 20, 22)의 동작은 동기한 동작이 되므로,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의 사이에 제 2 케이싱(3)(이동 플레이트(14))을 하나의 동작으로 매끄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실시형태에 관련된 개폐장치(10)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아암(20)의 하단부 및 링크 아암(22)의 상단부를 제 5 축부(A5)에 접속하고, 이 제 5 축부(A5)를 슬라이드구멍(18b)내에서 슬라이드가능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슬라이드 아암(20) 및 링크 아암(22)을 힌지 아암(18)에 근접시킨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 때문에, 도 8~도 12에 나타낸 닫힌 위치로부터 열린 위치까지의 이동 플레이트(14)의 동작시에, 각 아암(18, 20, 22)이 Y1, Y2방향에 대해 겹치지거나, 슬라이드 아암(20) 및 링크 아암(22)가 힌지 아암(18)에 근접한 상태로 개폐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이로써, 전자기기(1)내에서 개폐장치(10)가 차지하는 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제 1 케이싱(2) 및 제 2 케이싱(3)의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개폐장치(10)의 개폐동작 도중에 있어서, 각 아암(18, 20, 22)의 사이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개폐장치(1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위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개폐장치(10)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 내지 도 19는 개폐장치(10)의 변형예인 개폐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변형예인 개폐장치(100)가 설치되는 전자기기(1)를 나타낸다. 도 16은 Y1방향측에 설치되는 개폐기구(111A)를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7은 Y2방향측에 설치되는 개폐기구(111B)를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18은 개폐기구(111A)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닫힌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나아가, 도 19는 개폐기구(111B)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닫힌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본변형예에 관련된 개폐장치(100)는 개폐장치(10)에 설치되어 있던 베이스 샤프트(26)가 제거된 구성이라는 점 및 1쌍의 개폐기구(111A, 111B)의 각각에 힌지 유닛(30)을 형성한 구성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4를 이용해 설명한 개폐장치(10)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 때문에, 개폐장치(10)의 변형예인 개폐장치(100)에는 도 1 내지 도 14에 나타낸 개폐장치(10)의 구성과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교부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나아가, 본변형예에 관련된 개폐장치(100)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개폐장치(10)와 다른 구성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변형예에 관련된 개폐장치(100)가 설치되는 전자기기(1)는 제 2 상부반체(3A)에 액정표시장치(4A)를 형성함과 함께, 제 1 상부반체(2A)에도 액정표시장치(4B)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본변형예에서도 1쌍의 개폐기구(111A, 111B)가 Y1, Y2방향으로 이간하여 설치된다.
여기서, 도 3에 나타난 개폐장치(10)와 도 15에 나타난 개폐장치(100)를 비교한다. 도 3에 나타난 개폐장치(10)에서는 개폐기구(11A)와 개폐기구(11B)의 사이에 베이스 샤프트(26)가 형성되고, 각 개폐기구(11A, 11B)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반해, 본변형예에 관련된 개폐장치(100)에서는 개폐기구(111A)와 개폐기구(111B)는 각각 독립하고 있어, 각 개폐기구(111A, 111B)간에 베이스 샤프트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본변형예와 같이, 베이스 샤프트를 이용하지 않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 1 케이싱(2)에 탑재되는 탑재부품의 설치 스페이스에 여유를 두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본변형예와 같이 제 1 케이싱(2)에 액정표시장치(4B)를 탑재하는 경우 액정표시장치(4B)는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가지므로, 도 3에 나타낸 베이스 샤프트(26)를 가진 개폐장치(1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베이스 샤프트(26)의 설치위치에 액정표시장치를 설치할 수 없다.
반면, 본변형예에 관련된 개폐장치(100)에서는 베이스 샤프트를 설치하지 않으므로, 개폐기구(111A)와 개폐기구(111B)의 사이에 액정표시장치 등의 부품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변형예에 관련된 개폐장치(100)에서는, 액정표시장치(4B)를 제 1 케이싱(2)에 탑재한 경우에는 액정표시장치(4B)를 개폐기구(111A)와 개폐기구(111B)의 사이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제 1 하부반체(2B)의 X1방향측의 긴변방향측 가장자리에 근접하도록 액정표시장치(4A)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케이싱(2)에 대해 제 2 케이싱(3)을 개방한 때에,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상부반체(2A)(제 1 케이싱(2))에 설치된 액정표시장치(4B)를 제 2 상부반체(3A)에 설치된 액정표시장치(4A)에 매우 근접시킬 수 있다. 이로써, 2개의 액정표시장치(4A, 4B)가 마치 하나의 액정표시화면과 같이 되어 액정표시장치(4A, 4B)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 이외의 부품을 개폐기구(111A)와 개폐기구(111B)의 사이에 설치한 경우에는, 그 설치한 만큼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전자기기(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변형예에 관련된 개폐장치(100)에서는 각 개폐기구(111A, 111B)를 독립시킨 구성으로 함에 따라, 각 개폐기구(111A, 111B)에 각각 힌지 유닛(30)을 설치하고 있다. 이 힌지 유닛(30)은 위에서 설명한 개폐장치(10)의 Y2방향측에 설치되는 개폐기구(11B)에 장착되는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개폐기구(111A)와 개폐기구(111B)를 독립한 구성으로 한 경우, 도 18(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기구(111A)는 개폐기구(111B)에 구애받지 않고 고정 플레이트(16)에 대해 힌지 아암(18)을 도면중 화살표 P1, P2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19(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기구(111B)는 개폐기구(111A)에 구애받지 않고 고정 플레이트(12)에 대해 힌지 아암(18)을 도면중 화살표 P1, P2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개폐기구(111A, 111B)가 독립한 구성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개폐기구에만 힌지 유닛(30)을 설치하면, 제 1 케이싱(2)에 대해 제 2 케이싱(3)을 개폐조작한 때에 베이스 샤프트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어느 하나의 개폐기구에만 힌지 유닛(30)의 회전 토크가 인가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힌지 유닛(30)의 회전 토크가 치우쳐 제 1 케이싱(2) 및/또는 제 2 케이싱(3)에 인가되게 되어, 안정적인 개폐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변형예에 관련된 개폐장치(100)에서는, 각 개폐기구(111A, 111B)의 양쪽에 힌지 유닛(30)을 설치한 구성이므로, 각 개폐기구(111A, 111B)를 독립시켜도 안정적인 개폐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변형예에서는 개폐기구(111A, 111B)의 외측에 힌지 유닛(30)을 설치하고 있다. 즉, 개폐기구(111A)에서는 힌지 유닛(30)을 힌지 아암(18)의 Y1방향측에 설치하고, 개폐기구(111B)에서는 힌지 유닛(30)을 힌지 아암(18)의 Y2방향측에 설치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1쌍의 개폐기구(111A, 111B)간에 힌지 유닛(30)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위에서 설명한 액정표시장치나 부품의 배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변형예에 관련된 개폐장치(100)와 개폐장치(10)의 차이점으로서는, 개폐장치(10)에서는 이동 플레이트(14)를 내측 플레이트(23)와 외측 플레이트(24)를 결합한 구성임에 반해, 본변형예에서는 이동 플레이트(114A, 114B)를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일체로 성형한 구성으로 한 점이다. 또한, 본변형예에서는 래치 수납부(24d)를 덮는 천정판(123)을 독립한 구성으로 하고, 이를 이동 플레이트(114A, 114B)에 도시되지 않은 나사에 의해 고정한 구성이다. 본변형예의 구성에 의하면, 이동 플레이트(114A, 114B)가 일체화되므로,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개폐장치(10)의 구성과 개폐장치(100)의 구성에서는 그 밖에도 차이점이 존재하지만, 이러한 차이점은 설계적인 차이점이 주를 이루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지금까지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서술하였지만, 본발명은 상기한 특정의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발명의 요지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본원은 2010년 9월 10일에 출원한 일본특허출원 제2010-203383호 및 2011년 4월 21일에 출원한 일본특허출원 제2011-094892호에 근거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일본출원들의 모든 내용을 참조로써 본원에 원용한다.
1 전자기기
2 제 1 케이싱
3 제 2 케이싱
10, 100 개폐장치
11A, 11B, 111A, 111B 개폐기구
12, 16, 112, 116 고정 플레이트
14, 114A, 114B 이동 플레이트
16 지지 플레이트
18 힌지 아암
20 슬라이드 아암
22 링크 아암
23 내측 플레이트
24 외측 플레이트
26 베이스 샤프트
30 힌지 유닛
31 헤드 캠
32 슬라이드 캠
33a, 33b 힌지 스프링
34 힌지 케이스
35 힌지 플레이트
40 래치 캠
40b 캠 홈
41 래치
41a 돌출부
42 래치 스프링
43 래치 플레이트
44 슬라이드 아암 샤프트

Claims (6)

  1. 고정 플레이트에 대해 이동 플레이트를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개폐기구를 갖는 개폐장치로서,
    상기 개폐기구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된 제 1 축부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되는 제 3 축부와, 상기 제 1 축부와 상기 제 3 축부의 사이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힌지 아암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된 제 2 축부와, 상기 슬라이드 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 5 축부를 갖는 링크 아암과,
    일단부에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된 제 4 축부를 갖고, 타단부가 상기 제 5 축부에 접속된 슬라이드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가 상기 닫힌 위치와 상기 열린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할 때에 상기 힌지 아암 및 상기 링크 아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5 축부를 상기 슬라이드 홈내에서 슬라이드하고,
    또한, 상기 이동 플레이트가 열린 위치로 이동한 때에 상기 제 1 케이싱의 표면과 상기 제 2 케이싱의 표면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가 열린 위치로 이동한 때에 상기 제 4 축부에 있어서의 상기 슬라이드 아암의 회전을 규제하는 덜걱거림 방지기구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덜걱거림 방지기구는 상기 제 4 축부에 동축으로 설치됨과 함께 상기 슬라이드 아암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래치 캠과, 이 래치 캠에 압접되는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가 열린 위치로 이동한 때에 상기 래치 캠에 형성된 캠 홈에 상기 래치가 걸어맞춰지고 상기 슬라이드 아암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4. 청구항 1 내지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를 이간시켜 1쌍을 설치함과 함께, 이 1쌍의 개폐기구에 각각 설치된 상기 링크 아암의 상기 제 1 축부간을 연결 아암으로 연결하고, 상기 1쌍의 개폐기구에 각각 설치된 상기 링크 아암이 동기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1쌍의 개폐기구중 어느 하나의 개폐기구의 제 1 축부에 토크를 발생시키는 힌지 유닛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6. 청구항 1 내지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를 이간시켜 1쌍을 설치함과 함께 각 개폐기구를 독립한 구성으로 하고,
    또한, 상기 1쌍의 개폐기구에 각각 설치된 상기 링크 아암의 상기 제 1 축부에 토크를 발생시키는 힌지 유닛을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KR1020137005795A 2010-09-10 2011-05-26 개폐장치 KR1014873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03383 2010-09-10
JP2010203383 2010-09-10
JP2011094892A JP5161336B2 (ja) 2010-09-10 2011-04-21 開閉装置
JPJP-P-2011-094892 2011-04-21
PCT/JP2011/062129 WO2012032815A1 (ja) 2010-09-10 2011-05-26 開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247A KR20130048247A (ko) 2013-05-09
KR101487362B1 true KR101487362B1 (ko) 2015-01-29

Family

ID=45810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795A KR101487362B1 (ko) 2010-09-10 2011-05-26 개폐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91105B2 (ko)
EP (1) EP2615331B1 (ko)
JP (1) JP5161336B2 (ko)
KR (1) KR101487362B1 (ko)
CN (1) CN103097770B (ko)
WO (1) WO20120328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5491B2 (ja) * 2011-07-29 2014-02-12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扉開閉装置ユニット及び扉開閉装置ユニットの取付け方法
JP5415490B2 (ja) * 2011-07-29 2014-02-12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支持部材付き扉開閉装置及び扉開閉装置用の支持部材
US20130104342A1 (en) * 2011-10-27 2013-05-02 Sony Mobile Communications Japan, Inc. Mobile terminal
KR101285799B1 (ko) * 2012-02-03 2013-07-23 권성태 이동 단말기용 힌지장치
WO2014147680A1 (ja) * 2013-03-22 2014-09-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組み立て方法
US9353561B2 (en) * 2013-06-10 2016-05-31 Ronnie GAENZLE 180 degree foldable locking hinge
CN103399620A (zh) * 2013-08-12 2013-11-20 昆山万禾精密电子有限公司 多段式连动的铰链结构
US9547341B2 (en) * 2013-10-31 2017-01-17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P3069208B1 (en) * 2013-11-15 2018-10-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cking arms for computing devices
TWI598022B (zh) * 2015-11-16 2017-09-01 Compal Electronics Inc 電子裝置及其樞軸機構
CN105559345B (zh) * 2016-03-11 2018-10-02 成都紫瑞青云航空宇航技术有限公司 一种工作桌
JP6688173B2 (ja) * 2016-06-27 2020-04-28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チルト駆動装置
WO2018075094A1 (en) 2016-10-17 2018-04-26 Whirlpool Corporation Hinge assembly
WO2019172883A1 (en) * 2018-03-06 2019-09-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inge assemblies with composite neck shafts
USD891426S1 (en) * 2018-05-11 2020-07-28 Fuvi Cognitive Network Corp. Mobile device for visual and cognitive communication assistance
CN109339606B (zh) * 2018-10-11 2020-09-11 赵崇良 自适应三轴铰链
WO2021145886A1 (en) * 2020-01-17 2021-07-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puting device hinges
KR20210103873A (ko) * 2020-02-14 2021-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5087255B (zh) * 2022-07-30 2023-09-05 浙江尚昕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防护功能的智能集中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1027A (ja) 2007-04-18 2008-11-06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356A (en) * 1934-04-04 1935-05-14 Fred G Bates Hinge
US2206708A (en) * 1938-08-13 1940-07-02 Walter W Stumpf Hinge
DE2022515B1 (de) * 1970-05-08 1971-11-11 Kortenbach & Rauh Kg Taschenschirm
US4475267A (en) * 1982-04-02 1984-10-09 Ampex Corporation Shock absorbing bracket for a fallfront cabinet
JPH066539Y2 (ja) * 1987-09-10 1994-02-16 株式会社ニフコ 扉の開閉機構
US5644469A (en) * 1991-03-06 1997-07-01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upport system with support arms which are capable of closing toward a keyboard unit or away from a keyboard unit
US6430038B1 (en) * 2000-04-18 2002-08-06 Hewlett-Packard Company Computer with articulated mechanism
DE10223026C5 (de) * 2002-05-22 2007-11-08 Huwil-Werke Gmbh Möbelschloss- Und Beschlagfabriken Deckelsteller
JP4357900B2 (ja) * 2003-08-18 2009-11-04 加藤電機株式会社 小型情報端末用スライドヒンジ
JP2005303926A (ja) * 2004-04-15 2005-10-27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
ATE394007T1 (de) 2005-03-18 2008-05-15 Sony Ericsson Mobile Comm Ab Klappbares und tragbares funkkommunikationsgerät mit einem doppelwirkenden gelenk
US7630193B2 (en) * 2005-09-09 2009-12-08 Microsoft Corporation Multiple position computer display arm
KR100800677B1 (ko) * 2006-09-07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다축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결 부재
US7748767B2 (en) * 2006-11-01 2010-07-06 Industrial Machining Services, Inc. Hinge assembly
DE202007005957U1 (de) * 2007-02-19 2008-06-26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JP4772014B2 (ja) 2007-08-30 2011-09-14 ソニー エリクソン モバイル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携帯情報端末
JP4729545B2 (ja) 2007-09-13 2011-07-2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機
JP2009218674A (ja) 2008-03-07 2009-09-24 Nec Corp 携帯端末装置
TWI362209B (en) * 2008-10-08 2012-04-11 Htc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10203383A (ja) 2009-03-05 2010-09-16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1094892A (ja) 2009-10-30 2011-05-12 Panasonic Corp レンジフード
CN102118938A (zh) * 2009-12-31 2011-07-0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
US8468655B2 (en) * 2010-04-22 2013-06-25 Deere & Company Hinge assembly for frame having two pivot axes
JP5944095B2 (ja) * 2010-07-26 2016-07-05 三菱製鋼株式会社 開閉装置
JP5611743B2 (ja) * 2010-09-22 2014-10-22 三菱製鋼株式会社 開閉装置用カバー機構
CN102619866A (zh) * 2011-01-28 2012-08-0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1027A (ja) 2007-04-18 2008-11-06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247A (ko) 2013-05-09
US20130160244A1 (en) 2013-06-27
EP2615331B1 (en) 2017-10-04
EP2615331A4 (en) 2016-04-27
CN103097770A (zh) 2013-05-08
EP2615331A1 (en) 2013-07-17
WO2012032815A1 (ja) 2012-03-15
US9091105B2 (en) 2015-07-28
CN103097770B (zh) 2016-01-27
JP5161336B2 (ja) 2013-03-13
JP2012077907A (ja)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7362B1 (ko) 개폐장치
KR101461548B1 (ko) 개폐장치
EP2621149B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00716072B1 (ko) 폴더식 휴대전화
WO2012014742A1 (ja) 開閉装置
KR20140121380A (ko) 단말 장치
JP2014039077A (ja) 情報機器及び情報機器のリンク機構
JP4754450B2 (ja) 電子機器
JP2008128390A (ja) ヒンジ機構および携帯端末
JP2013072442A (ja) ヒンジ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2011112150A (ja) ヒンジ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型情報機器
JP4899193B2 (ja) 電子機器
JP4899190B2 (ja) 携帯電子機器
JP3157566U (ja) チルト機構
JP4899191B2 (ja) 携帯電子機器
KR20160133596A (ko) 슬림 틸팅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JP2012015888A (ja) 携帯端末機
JP2009115320A (ja) ヒンジ装置
JP2015180113A (ja) 開閉装置
JP2011199336A (ja) スライド機構
JP2013098960A (ja) 筐体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