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104B1 - 면광원 장치 - Google Patents

면광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104B1
KR101487104B1 KR1020130139635A KR20130139635A KR101487104B1 KR 101487104 B1 KR101487104 B1 KR 101487104B1 KR 1020130139635 A KR1020130139635 A KR 1020130139635A KR 20130139635 A KR20130139635 A KR 20130139635A KR 101487104 B1 KR101487104 B1 KR 101487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ght source
light
light guide
sou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창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39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1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30Cold cathodes, e.g. field-emissive cath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광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계에 의해 전자가 방출되어 발광하는 다수의 램프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각 램프 모듈은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투명기판, 상기 제1투명기판 상에 마련되는 캐소드, 상기 캐소드 상에 마련되는 에미터, 상기 전계방출부재와 이격되게 마련되는 게이트, 상기 제2투명기판 하부에 마련되는 형광층 및 상기 형광층의 하부에 마련되는 애노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면광원 장치{Areal light source device}
본 발명은 면광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방출 특성이 향상된 전계방출 방식으로 발광하여 발광효율과 색구현성이 개선되고, 유지비용 및 제조비용이 적게 드는 면광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용 광원으로는 막대 형상을 갖는 냉음극선관 방식 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또는 도트(Dot) 형상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사용할 수 있고, 평판 형태의 면광원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특히, 종래의 면광원 장치는 액정표시장치에 부착되어 바닥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설치되는데, 이 경우 방전채널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부로 집중되는 경향 때문에 면광원 장치의 하부 채널들은 상대적으로 발광 특성이 저하되고, 휘도 불균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공보 제10-2003-00722 36호에는 LED를 이용한 면광원 장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표면 발광하는 LED를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면 구조를 이루는 면광원 상판과 하판; LED 광이 출사하는 광출사부; 상기 면광원 상판에서 광출사부를 따라 안으로 퍼져 들어간 구조로 LED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LED는 스펙트럼이 좁은 단색광을 발광하므로 연색성이 떨어져 자연광이나 기존의 조명에 비해 색특성의 구현에 한계가 있고, 온도 상승시 허용 전류와 광 출력이 감소하고 많은 열이 발생하는 등 주위 온도 및 동작온도 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특성이 변화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열처리 장치와 전류를 제어하는 구동장치가 필요하므로 가격이 비싸다. 또한, LED는 발열 문제로 방열판을 별도로 제작하여 열을 발산해줘야 하므로 이에 따른 제작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으며, 방열판을 구비하더라도 방열판에서 발생하는 발열로 인하여 시간이 경과할수록 광효율이 저하되어 수명이 오래 지속되지 못한다.
한편, 전계방출소자(field emission device)는 캐소드 전극 상에 형성된 에미터(emitter) 주위에 강한 전기장을 형성함으로써 에미터로부터 전자들을 방출시키는 소자이다. 이러한 전계방출소자에서 전자들을 방출시키는 에미터로서 종래에는 몰리브덴(Mo)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팁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전자방출특성이 우수한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s)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탄소로 이루어진 탄소 동소체(carbon allotrope)로서, 하나의 탄소 원자가 다른 탄소 원자와 육각형 벌집무늬로 결합되어 튜브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우수한 전기적·구조적 특징들로 인하여 다양한 전기 전자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특히, 탄소나노튜브 에미터를 이용한 전계방출소자는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구동전압이 낮고, 우수한 화학적, 기계적 안정성을 가진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계방출소자를 이용하여 종래의 면광원 장치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면광원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발광효율 및 색구현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방열에 대한 문제 해결, 제조 및 설치와 유지관리 비용이 적게 드는 면광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면광원 장치는 전계에 의해 전자가 방출되어 발광하는 다수의 램프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각 램프 모듈은 (1)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투명기판, (2) 상기 제1투명기판 상에 마련되는 캐소드, (3) 상기 캐소드 상에 마련되는 에미터, (4) 상기 에미터와 이격되게 마련되는 게이트, (5) 상기 제2투명기판 하부에 마련되는 형광층, (6) 상기 형광층의 하부에 마련되는 애노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는 (1) 상기 램프 모듈을 복수개 구비한 제1광원부, (2) 상기 제1광원부 상에 마련되는 제1도광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는 (1) 제1도광판, (2) 상기 램프 모듈을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제1도광판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제2광원부, (3) 상기 램프 모듈을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제1도광판의 타측면에 마련되는 제3광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광원부 및 제3광원부는 상기 제1도광판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상기 램프 모듈을 각각 1개씩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는 (1) 제1도광판, (2) 상기 제1도광판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램프 모듈을 복수개 구비한 제4광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에서 상기 각 램프 모듈은 상기 제2투명기판이 상기 제1도광판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투명기판이 차광기판이나 반사기판으로 대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는 (1) 제1도광판, (2) 상기 제1도광판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도광판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2도광판, (3) 상기 제1도광판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도광판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3도광판, (4) 상기 제2도광판의 길이 방향을 향하여 발광하는 상기 램프 모듈을 구비한 제5광원부, (5) 상기 제3도광판의 길이 방향을 향하여 발광하는 상기 램프 모듈을 구비한 제6광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5광원부의 램프 모듈은 상기 제2투명기판이 상기 제2도광판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투명기판이 차광기판이나 반사기판으로 대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6광원부의 램프 모듈은, 상기 제2투명기판이 상기 제3도광판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투명기판이 차광기판이나 반사기판으로 대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는 상기 제1도광판의 하부에 마련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는 상기 제1도광판 상에 마련되는 확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각 램프 모듈은 (1) 상기 에미터의 하부에 마련되는 전계방출기판, (2) 상기 전계방출기판 하부에 마련되는 금속성의 제1캐리어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캐리어층 하부에 상기 캐소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캐리어층은 상기 전계방출기판에 열합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캐리어층은 금, 은, 구리, 주석, 알루미늄, 니켈, 아연, 백금, 몰리브텐, 티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 또는 이들 금속의 합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각 램프 모듈은 하부에 요철이 형성된 제1요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캐리어층의 하부에 마련되는 금속성의 제2캐리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캐소드는 상부에 상기 제2캐리어층의 제1요철부에 대응하는 반대 요철이 형성된 제2요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요철부가 상기 제2캐리어층의 제1요철부에 요철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각 램프 모듈은 (1) 상기 에미터 하부에 마련되는 전계방출기판, (2) 하부에 요철이 형성된 제3요철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계방출기판의 하부에 마련되는 금속성의 제3캐리어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캐소드는 상부에 상기 제3캐리어층의 제3요철부에 대응하는 반대 요철이 형성된 제4요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4요철부가 상기 제3캐리어층의 제3요철부에 요철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의 면광원 장치에서 상기 게이트는 다수의 개구홈을 구비한 메쉬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게이트의 개구홈은 상기 에미터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면광원 장치는 전자방출 특성이 향상된 전계방출부재의 램프 모듈을 이용하여 면광원을 구성함으로써 발열과 전력소모를 줄여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발열로 인한 광원의 광효율 감소와 수명 단축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색구현성을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방열판 없이 제작이 가능하여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고, 환경유해 물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면광원 장치는 캐소드와 전계방출기판 간의 접착을 균일하게 유지시키고, 전계방출부재 전체의 저항을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이들을 구비한 램프 모듈의 전자방출 특성이 향상되어 발광 효율이 개선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면광원 장치는 램프 모듈을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램프 모듈이 수명을 다할 경우 램프 모듈만 교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은 비용으로 조명장치의 유지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전자방출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램프 모듈의 에미터에 부가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a),(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일측면을 확대한 도면.
도 7(a),(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제1도광판, 제2광원부 및 제3광원부의 평면을 확대한 도면.
도 10(a),(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제1도광판 및 제4광원부의 평면을 확대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제1도광판, 제2도광판 및 제5광원부의 평면을 확대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제1도광판, 제3도광판 및 제6광원부의 평면을 확대한 도면.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수단 및 그에 따른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경우에 따라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는 냉음극 전자 방출(cold cathode emission)이라고 하는 전계방출에 의해 발광하는, 즉 전계에 의해 방출된 전자가 형광물질에 충돌하여 발광하는 다수의 램프 모듈(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모듈(100)의 구성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램프 모듈(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제1투명기판(10) 및 제2투명기판(20), 상기 제1투명기판(10) 상에 마련되는 캐소드(30), 상기 캐소드(30) 상에 마련되는 에미터(40), 상기 에미터(40)와 이격되게 마련되는 게이트(50), 상기 제1투명기판(10)과 제2투명기판(20) 사이에 마련되는 스페이서(60), 상기 제2투명기판(20) 하부에 마련되는 형광층(70) 및 상기 형광층(70)의 하부에 마련되는 애노드(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형광층(70)과 상기 애노드(80)는 서로의 위치가 바뀌게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투명기판(20) 하부에 애노드(80)가 마련되고, 애노드(80) 하부에 형광층(70)이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램프 모듈(100)의 구체적인 발광 원리는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캐소드(30), 게이트(50) 및 애노드(80)에 전압이 공급되면 상기 에미터(40)로부터 전자가 방출되며, 방출된 전자는 상기 애노드(80)에 전달되면서 상기 애노드(80) 상에 마련된 형광층(70)과 충돌하여 발광하게 된다.
상기 제1투명기판(10) 및 제2투명기판(20)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투명한 재질의 기판으로서, 상기 형광층(70)에 전자가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광을 외부로 투과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투명기판(10) 및 제2투명기판(20)은 폴리머 기판, 유리(glass) 기판, 석영(quartz) 기판 및 사파이어(sapphire)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1투명기판(10) 및 제2투명기판이 폴리머 기판일 경우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C), TAC(Triacetylcellulose) 필름,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필름,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필름, 폴리스틸렌(Polystyrene; PS), 이축연신폴리스틸렌(K레진 함유 biaxially oriented PS; BOPS), 폴리프로필렌(PP),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램프 모듈(100)이 일측 방향으로 광을 방사할 경우, 상기 제1투명기판(10)과 제2투명기판(20) 중 어느 하나는 광을 차단하는 차광기판이나 광을 반사하는 반사기판으로 대체될 수도 있으며, 특히 상기 제1투명기판(10)이 차광기판이나 반사기판으로 대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소드(30) 및 애노드(8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음극 및 양극으로서, Al, Au, Ni, Ti, Cr 등의 금속,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AZO(aluminum zinc oxide), IZTO(indium zinc tin oxide) 등의 투명전도성산화물(TCO), 도전성 폴리머, 그래핀 등의 전도성 있는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미터(40)는 상기 캐소드(30)로부터 공급받은 전자를 상기 애노드(80)를 향해 방출시키는 구성으로서, 다수 개의 에미터(40)가 상기 캐소드(30) 상에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각각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미터(40)는 탄소나노튜브(CNT)와 이외에도 탄소나노파이버, 반도체 나노와이어, 도전성 나노막대, 그래파이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침상의 형상 외에도 뿔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탄소나노튜브로 제조된 에미터(40)가 사용됨으로써 탄소나노튜브 특유의 고효율 전계 방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 에미터(40)는 레이저 기상증착법(laser vaporization), 아크방전법(arc discharge), 열-CVD(thermal-CVD), 플라즈마-CVD, HF-CVD(hot filament chemical vapor desposition)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외에 전자방출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출원인의 특허등록 제10-0920296호, 제10-0916458호, 제10-0926219호 등에 개시된 탄소나노튜브 에미터 제조 공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게이트(50)는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상기 에미터(40)에서 방출되는 전자의 흐름을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개구홈(51)을 구비한 메쉬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각 에미터(40)는 상기 개구홈(51)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게이트(50)는 상기 에미터(40)에서 방출된 전자를 확산시켜 상기 형광층(70)에 전자가 골고루 부딪혀 광이 고루 방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게이트(50)는 도전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게이트(50)는 Au, Ni, Ti, Cr, Sus, Fe, Mo 등의 금속,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AZO(aluminum zinc oxide), IZTO(indium zinc tin oxide) 등의 투명전도성산화물(TCO), 도전성 폴리머, 그래핀 등의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60)는 제1투명기판(10)과 제2투명기판(20), 캐소드(30)와 애노드(80)의 간격을 각각 유지시키며, 제1투명기판(10)과 제2투명기판(20)의 둘레를 밀봉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램프 모듈의 측면부로서 역할을 한다. 즉, 스페이서(60)는 제1투명기판(10)의 상부와 제2투명기판(20)의 하부에서 캐소드(30)와 에미터(40) 및 게이트(250)의 둘레에 설치되며,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60)는 발광하는 광을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페이서(60)는 폴리머, 유리(glass) 기판, 석영(quartz) 및 사파이어(sapphir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60)는 광을 차단하는 차광 재질이나 광을 반사하는 반사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형광층(70)은 형광 물질로 형성된 층으로서, 에미터(40)로부터 방출된 전자와의 충돌에 의해 광을 발생시킨다.
상기 형광층(70)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형광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형광물질은 전자의 다양한 여기 에너지를 변환하여 가시광으로 방출시키는 물질로서, 원하는 발광 파장을 얻기 위해, 적절한 활성제 이온과 모체 재료를 합성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형광물질의 모체를 통해 전달된 여기 에너지는 활성제 이온에서 가시광선으로 변환되어 광을 방출하게 된다. 이때 주어진 모체와 모체에 도핑된 활성제의 조합에 의해서, 발광 파장이 정해지며, 각각의 형광물질들은 고유의 발광 파장을 갖는다. 예를 들면, 상기 형광층(70)은 적색, 녹색 및 청색 형광물질을 각각 다양한 형상으로 도포하여 적색 형광층, 녹색 형광층 및 청색 형광층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을 조합함으로써 백색 광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램프 모듈(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형성된 제1전극(90), 제2전극(91) 및 제3전극(92)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전극(90)은 상기 캐소드(30)와 연결되고, 상기 제2전극(91)은 상기 게이트(50)와 연결되며, 상기 제3전극(92)은 상기 애노드(80)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전극(90), 제2전극(91) 및 제3전극(92)을 통해 상기 캐소드(30), 게이트(50) 및 애노드(80)로 각각 전원이 입력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에미터(40)를 통해 전자가 최종 방출되어 상기 램프 모듈(100)이 발광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전극(9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투명기판(10)의 하부 중앙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투명기판(10)을 관통하여 상기 캐소드(3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전극(9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투명기판(10)의 하부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투명기판(10)을 관통하여 상기 게이트(5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전극(9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투명기판(20)의 상부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투명기판(20)을 관통하여 상기 애노드(8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전극(92)은 상기 제1투명기판(10)의 하부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투명기판(10)을 관통하여 상기 애노드(8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전극(90), 제2전극(91) 및 제3전극(92)은 도전성을 가지는 물질로 막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전극(90), 제2전극(91) 및 제3전극(92)은 Au, Ni, Ti, Cr, Covar, Invar, Mo 등의 금속,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AZO(aluminum zinc oxide), IZTO(indium zinc tin oxide) 등의 투명전도성산화물(TCO), 도전성 폴리머, 그래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에미터(40)의 전자방출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에미터(40)에 부가되는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에미터(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계방출기판(41)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계방출기판(41)은 전계방출소자에서 에미터를 구비하도록 마련되는 통상적인 웨이퍼이다. 즉, 상기 전계방출기판(41)은 상기 캐소드(30) 상에 설치되어 에미터(40)를 실장한다.
전계방출기판(41) 위에 형성된 에미터(40)의 전자방출 특성은 캐소드(30)와 전계방출기판(41) 간의 접촉 저항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만일, 상기 캐소드(30)와 전계방출기판(41) 간의 접촉이 균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접촉 저항의 증가로 인해 전자방출 특성이 크게 저하된다. 특히, 캐소드(30)와 전계방출기판(41)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게 되면 가스배출(outgasing)과 진공 접합 공정 중의 열에 의한 접착특성 저하, 접착제 확산에 의해 단선(Short) 또는 이물질에 의한 아킹(arcing)이 발생할 수도 있다.
즉, 캐소드(30)와 전계방출기판(41)을 균일하게 안정적으로 접착시키면서 동시에 접착 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자방출의 특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전자방출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에미터(40)에 부가되는 구성을 나타낸다.
전자방출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1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램프 모듈(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계방출기판(41)의 하부에 마련되는 금속성의 제1캐리어층(4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캐리어층(42)은 금속층으로서,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접착되고 접착 저항이 감소될 수 있도록 열합착 공정을 통해 상기 전계방출기판(41)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캐리어층(42)은 금, 은, 구리, 주석, 알루미늄, 니켈, 아연, 백금, 몰리브텐, 티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 또는 이들 금속의 합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방출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2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램프 모듈(100)은 상기 제1캐리어층(42) 외에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요철이 형성된 제1요철부(43a)를 구비하고, 상기 제1캐리어층(42)의 하부에 마련되는 금속성의 제2캐리어층(4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실시예에 따라, 상기 캐소드(30)는, 상부에 상기 제2캐리어층(43)의 제1요철부(43a)에 대응하는 반대 요철이 형성된 제2요철부(31)를 구비하고, 상기 제2요철부(31)가 상기 제2캐리어층(43)의 제1요철부(43a)에 요철 결합된다.
상기 제2캐리어층(43)은 금속층으로서, 열합착 공정을 통해 상기 제1캐리어층(42)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중간재(44)를 이용하여 상기 제1캐리어층(42)에 접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캐리어층(43)은 금, 은, 구리, 주석, 알루미늄, 니켈, 아연, 백금, 몰리브텐, 티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 또는 이들 금속의 합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알루미늄, 서스(Sus), 코바(Covar)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재(44)는 상기 제1캐리어층(42)과 제2캐리어층(43)을 라미네이팅하는 전도성 재질의 금속 접착제로서, 공지의 접착제, 탄성중합체 및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중간재(44)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cyanoacrylate) 접착제, 에폭시 접착제, 아크릴 접착제, 폴리우레탄 접착제, 나일론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인 페놀 수지일 수 있으며, 이것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상기 요철 결합은 상기 제2캐리어층(43)과 캐소드(30) 간에 분리 및 재결합이 가능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캐리어층(43)에 형성된 요철은 나사산이나 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램프 모듈(100)은 에미터(40)의 수명이 다할 경우에 교체할 수 있어 비용 경제적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캐리어층(43)을 캐소드(30)에 결합할 때, 열합착 방식, 볼트·너트 결합방식, 또는 핀고정 방식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방출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3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램프 모듈(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요철이 형성된 제3요철부(45a)를 구비하며, 상기 전계방출기판(41)의 하부에 마련되는 금속성의 제3캐리어층(4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실시예에 따라, 상기 캐소드(30)는, 상부에 상기 제3캐리어층(45)의 제3요철부(45a)에 대응하는 반대 요철이 형성된 제4요철부(32)를 구비하고, 상기 제4요철부(32)가 상기 제3캐리어층(45)의 제3요철부(45a)에 요철 결합된다.
상기 제3캐리어층(45)은 금속층으로서,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접착되고 접착 저항이 감소될 수 있도록 열합착 공정을 통해 상기 전계방출기판(41)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캐리어층(45)은 금, 은, 구리, 주석, 알루미늄, 니켈, 아연, 백금, 몰리브텐, 티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 또는 이들 금속의 합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알루미늄, 서스(Sus), 코바(Covar)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요철 결합은 상기 제3캐리어층(45)과 캐소드(30) 간에 분리 및 재결합이 가능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3캐리어층(45)에 형성된 요철은 나사산이나 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램프 모듈(100)은 에미터(40)의 수명이 다할 경우에 교체할 수 있어 비용 경제적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3캐리어층(45)을 캐소드(30)에 결합할 때, 열합착 방식, 볼트·너트 결합방식, 또는 핀고정 방식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상기 제1캐리어층(42), 제2캐리어층(43) 및 제3캐리어층(45)은 상기 캐소드(30)와 전계방출기판(41) 간의 접착을 균일하게 유지시키고, 캐소드(30) 및 에미터(40)의 저항을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이들을 구비한 램프 모듈(100)은 전자방출 특성이 향상되고, 발광 효율과 색구현성이 개선되며, 전류 소모가 많지 않아 낮은 전력으로 구동됨에 따라 비용 경제적이다.
또한, 서로 요철 결합되는 상기 제1요철부(43a)와 제2요철부(31), 상기 제3요철부(45a)와 제4요철부(32)는 각각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요철 겹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램프 모듈(100)를 구비한 면광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도(도 5(a) 참조) 및 일측면도(도 5(b) 참조)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일측면(물결 표시는 도면의 나머지 부분을 생략한 것을 나타냄. 이하, 동일)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는, 도 5(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램프 모듈(100)을 복수개 구비한 제1광원부(200), 상기 제1광원부(200) 상에 마련되는 제1도광판(300), 상기 제1도광판(300) 상에 마련되는 확산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광원부(200)는 상기 제1도광판(300)으로 광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복수의 상기 램프 모듈(100)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광원부(200)는 상기 제1도광판(300)에 균일한 광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램프 모듈(100)이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각각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1광원부(200)에서 출사된 대부분의 광이 상기 제1도광판(30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광원부(200)에 마련되는 각 램프 모듈(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투명기판(20)이 상기 제1도광판(300)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제1투명기판(10)이 광을 차단하는 차광기판이나 광을 반사하는 반사기판으로 대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램프 모듈(100)의 스페이서(60)는 차광 재질이나 광을 반사하는 반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도광판(300)은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안내하여 면광원으로 형성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도광판(300)은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메타크릴 수지 등 투명하고 굴절률이 큰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1.4 내지 1.6의 굴절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확산부재(400)는 상기 제1도광판(300)으로부터 출사되는 면광원을 확산시켜 보다 균일한 면광원이 출사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확산부재(400)는 투명물질 내에 황옥(topaz)과 같은 산란 입자(scattering particle)가 임베드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a),(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도(도 7(a) 참조) 및 일측면도(도 7(b) 참조)이다. 또한,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제1도광판(300), 제2광원부(210) 및 제3광원부(220)의 평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는, 도 7(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반사판(500), 상기 제1반사판(500) 상에 마련되는 제1도광판(300), 상기 제1도광판(300)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2광원부(210), 상기 제1도광판(300)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3광원부(220) 및 상기 제1도광판(300) 상에 마련되는 확산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광원부(210) 및 제3광원부(220)는 상기 제1도광판(300)으로 광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1도광판(300)의 측면을 따라 길게 형성된 상기 램프 모듈(100)을 각각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2광원부(210) 및 제3광원부(2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상기 램프 모듈(100)을 각각 구비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제2광원부(210) 및 제3광원부(220)에서 출사된 대부분의 광이 상기 제1도광판(30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광원부(210) 및 제3광원부(220)에 마련되는 각 램프 모듈(10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투명기판(20)이 상기 제1도광판(300)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제1투명기판(10)이 광을 차단하는 차광기판이나 광을 반사하는 반사기판으로 대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램프 모듈(100)의 스페이서(60)는 차광 재질이나 광을 반사하는 반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반사판(500)은 광을 반사하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1도광판(300)에서 형성된 면광원이 상부로 출사되도록 한다.
상기 제1도광판(300) 및 확산부재(4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0(a),(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도(도 10(a) 참조) 및 일측면도(도 10(b) 참조)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제1도광판(300) 및 제4광원부(230)의 평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는, 도 10(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반사판(500), 상기 제1반사판(500) 상에 마련되는 제1도광판(300), 상기 제1도광판(30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램프 모듈(100)을 복수개 구비한 제4광원부(230) 및 상기 제1도광판(300) 상에 마련되는 확산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광원부(230)는 상기 제1도광판(300)으로 광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복수의 상기 램프 모듈(100)이 서로 평행하게 상기 제1도광판(30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4광원부(230)는 상기 제1도광판(300)에 보다 균일한 광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램프 모듈(100)이 각각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4광원부(230)에서 출사된 대부분의 광이 상기 제1도광판(30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제4광원부(230)에 마련되는 각 램프 모듈(1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투명기판(20)이 상기 제1도광판(300)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제1투명기판(10)이 광을 차단하는 차광기판이나 광을 반사하는 반사기판으로 대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램프 모듈(100)의 스페이서(60)는 차광 재질이나 광을 반사하는 반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도광판(300), 확산부재(400) 및 제1반사판(500)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제1도광판(300), 제2도광판(310) 및 제5광원부(240)의 평면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제1도광판(300), 제3도광판(320) 및 제6광원부(250)의 평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반사판(500), 상기 제1반사판(500) 상에 마련되는 제1도광판(300), 상기 제1도광판(300)의 측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도광판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2도광판(310), 상기 제1도광판(300)의 측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도광판(300)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3도광판(320), 상기 제2도광판(310)의 길이 방향을 향하여 발광하는 상기 램프 모듈(100)을 구비한 제5광원부(240) 및 상기 제3도광판(320)의 길이 방향을 향하여 발광하는 상기 램프 모듈(100)을 구비한 제6광원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5광원부(240)는 상기 제2도광판(310)으로 광원을 공급하고, 제6광원부(250)는 상기 제3도광판(320)으로 광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2도광판(310) 및 제3도광판(320)은 상기 제5광원부(240) 및 제6광원부(250)에서 공급된 광원을 안내하여 소폭의 면광원을 상기 제1도광판(300)으로 출사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도광판(300)은 상기 제2도광판(310) 및 제3도광판(320)에서 출사된 소폭의 면광원을 안내하여 보다 넓은 폭의 면광원을 형성하여 출사시킨다. 상기 제2도광판(310) 및 제3도광판(320)은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메타크릴 수지 등 투명하고 굴절률이 큰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1.4 내지 1.6의 굴절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도광판(310)에서 출사된 대부분의 광이 상기 제1도광판(30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도광판(310)의 일측면, 즉 상기 제1도광판(300)과 접하지 않는 상기 제2도광판(310)의 측면에 광을 반사하는 재질로 형성된 제2반사판(51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도광판(310)에서 출사된 대부분의 광이 상기 제1도광판(30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제3도광판(320)의 일측면, 즉 상기 제1도광판(300)과 접하지 않는 상기 제3도광판(320)의 측면에 광을 반사하는 재질로 형성된 제3반사판(52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5광원부(24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램프 모듈(100)이 상기 제2도광판(310)의 길이 방향으로 발광하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6광원부(25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램프 모듈(100)이 상기 제3도광판(320)의 길이 방향으로 발광하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2도광판(310) 및 제3도광판(320)에 보다 균일한 광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제5광원부(240) 및 제6광원부(250)에 구비된 복수의 램프 모듈(100)은 각각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5광원부(240)에서 출사된 대부분의 광이 상기 제2도광판(310) 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제5광원부(240)에 마련된 각 램프 모듈(10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투명기판(20)이 상기 제2도광판(310)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제1투명기판(10)이 광을 차단하는 차광기판이나 광을 반사하는 반사기판으로 대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램프 모듈(100)의 스페이서(60)는 차광 재질이나 광을 반사하는 반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6광원부(250)에서 출사된 대부분의 광이 상기 제3도광판(32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제6광원부(250)에 마련된 각 램프 모듈(100)은, 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투명기판(20)이 상기 제3도광판(320)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제1투명기판(10)이 광을 차단하는 차광기판이나 광을 반사하는 반사기판으로 대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램프 모듈(100)의 스페이서(60)는 차광 재질이나 광을 반사하는 반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도광판(300), 확산부재(400) 및 제1반사판(500)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제1투명기판 20 : 제2투명기판
30 : 캐소드 31 : 제2요철부
32 : 제4요철부 40 : 에미터
41 : 전계방출기판 42 : 제1캐리어층
43 : 제2캐리어층 43a : 제1요철부
44 : 중간재 45 : 제3캐리어층
45a : 제3요철부 50 : 게이트
51 : 개구홈 60 : 스페이서
70 : 형광층 80 : 애노드
90 : 제1전극 91 : 제2전극
92 : 제3전극 100 : 램프 모듈
200 : 제1광원부 210 : 제2광원부
220 : 제3광원부 230 : 제4광원부
240 : 제5광원부 250 : 제6광원부
300 : 제1도광판 310 : 제2도광판
320 : 제3도광판 400 : 확산부재
500 : 제1반사판 510 : 제2반사판
520 : 제3반사판

Claims (17)

  1. 전계에 의해 전자가 방출되어 발광하는 램프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램프 모듈은,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투명기판;
    상기 제1투명기판 상에 마련되는 캐소드;
    에미터를 상부에 구비한 전계방출기판;
    상기 전계방출기판 하부에 마련되는 금속성의 제1캐리어층;
    하부에 요철이 형성된 제1요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캐리어층의 하부에 마련되는 금속성의 제2캐리어층;
    상기 에미터와 이격되게 마련되는 게이트;
    상기 제2투명기판 하부에 마련되는 형광층; 및
    상기 형광층의 하부에 마련되는 애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캐소드는,
    상부에 상기 제2캐리어층의 제1요철부에 대응하는 반대 요철이 형성된 제2요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요철부가 상기 제2캐리어층의 제1요철부에 요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모듈을 복수개 구비한 제1광원부;
    상기 제1광원부 상에 마련되는 제1도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1도광판;
    상기 램프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1도광판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제2광원부;
    상기 램프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1도광판의 타측면에 마련되는 제3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원부 및 제3광원부는 상기 제1도광판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상기 램프 모듈을 각각 1개씩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1도광판;
    상기 제1도광판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램프 모듈을 복수개 구비한 제4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제1도광판;
    상기 제1도광판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도광판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2도광판;
    상기 제1도광판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도광판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3도광판;
    상기 제2도광판의 길이 방향을 향하여 발광하는 상기 램프 모듈을 구비한 제5광원부;
    상기 제3도광판의 길이 방향을 향하여 발광하는 상기 램프 모듈을 구비한 제6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5광원부의 램프 모듈은,
    상기 제2투명기판이 상기 제2도광판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투명기판이 차광기판이나 반사기판으로 대체되며,
    상기 제6광원부의 램프 모듈은,
    상기 제2투명기판이 상기 제3도광판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투명기판이 차광기판이나 반사기판으로 대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8.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램프 모듈은,
    상기 제2투명기판이 상기 제1도광판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투명기판이 차광기판이나 반사기판으로 대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9.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광판의 하부에 마련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10.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광판 상에 마련되는 확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캐리어층은 상기 전계방출기판에 열합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캐리어층은 금, 은, 구리, 주석, 알루미늄, 니켈, 아연, 백금, 몰리브텐, 티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 또는 이들 금속의 합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다수의 개구홈을 구비한 메쉬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의 개구홈은 상기 에미터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KR1020130139635A 2013-11-18 2013-11-18 면광원 장치 KR101487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635A KR101487104B1 (ko) 2013-11-18 2013-11-18 면광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635A KR101487104B1 (ko) 2013-11-18 2013-11-18 면광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104B1 true KR101487104B1 (ko) 2015-01-27

Family

ID=52592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635A KR101487104B1 (ko) 2013-11-18 2013-11-18 면광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1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9488A (ja) * 2002-08-22 2004-03-11 Fujitsu Ten Ltd Led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070003467A (ko) * 2005-07-02 2007-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면광원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70076838A (ko) * 2006-01-20 2007-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80079836A (ko) * 2007-02-28 2008-09-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9488A (ja) * 2002-08-22 2004-03-11 Fujitsu Ten Ltd Led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070003467A (ko) * 2005-07-02 2007-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면광원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70076838A (ko) * 2006-01-20 2007-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80079836A (ko) * 2007-02-28 2008-09-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0203B2 (en) Display device with light guide plate and optical path conversion unit
US9207380B2 (en) Display device
US20080088770A1 (en) Lens and backlight unit,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US9304247B2 (en) Display device
JP2005222944A (ja) 電界放出素子及びそれを備えたバックライト装置
JP2007311342A (ja) 発光装置及び表示装置
KR20120021290A (ko)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발광 장치
JP2004119147A (ja) 発光モジュール、発光モジュール用基板及び発光モジュール用部材
KR101002278B1 (ko) 전계 방출형 백라이트 소자
JP2008060082A (ja) 平面型電界放出照明モジュール
KR101487104B1 (ko) 면광원 장치
CN102226982A (zh) 光源装置
JP5625113B2 (ja) 電界放出面光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18685B1 (ko) 램프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KR100975117B1 (ko) 광발생장치
US20060138935A1 (en) Field emission lamp and backlight module using same
KR101531096B1 (ko) 광원 교환형 조명장치
KR20100051446A (ko) 유기 발광장치 및 이를 갖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JP2008171820A (ja) 電界放出型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のアノードパネル及びこれを備えた電界放出型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US7290916B2 (en) Field emission light source and a related backlight device
US7489069B2 (en) Field emission light source and a related backlight device
KR20110114811A (ko) 탄소나노튜브 램프 칩 어레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KR101064367B1 (ko) 전자방출 표시장치용 애노드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8216421A (ja) 表示装置
US20100156265A1 (en) Apparatus of light sou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