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479B1 - Case-printed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Case-printed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479B1
KR101486479B1 KR20110076444A KR20110076444A KR101486479B1 KR 101486479 B1 KR101486479 B1 KR 101486479B1 KR 20110076444 A KR20110076444 A KR 20110076444A KR 20110076444 A KR20110076444 A KR 20110076444A KR 101486479 B1 KR101486479 B1 KR 101486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as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764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14784A (en
Inventor
김재경
김근하
이승효
정학재
Original Assignee
플라텔코퍼레이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라텔코퍼레이션(주) filed Critical 플라텔코퍼레이션(주)
Priority to KR20110076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479B1/en
Publication of KR20130014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7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4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안테나 및 그를 채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안테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인쇄방식에 의해 소정 패턴으로 전도성 잉크로 패드 인쇄에 의해 복수회 반복 인쇄함으로써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부;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상기 안테나 패턴부가 형성되는 케이스에 관통 삽입되며, 그 일측 단부가 상기 안테나 패턴부에 접속되는 도체 인서트 단자;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종 기능을 위한 제어회로부 및 회로소자들이 실장되는 메인 보드에 그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도체 인서트 단자의 타측 단부에 접속되며, 상기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메인 보드 간의 신호 송수신의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안테나 콘택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안테나 인쇄 패턴이 금형의 사출물 파팅 라인을 지나지 않도록 형성되므로 안테나 패턴의 단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어 양산 수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사출시 도체 단자를 삽입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공정을 단순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잉크로서 비닐계 수지를 포함한 전도성 잉크를 사용함으로써 안테나 패턴과 고강성 수지 및 금속 인서트 단자와의 부착력을 공고히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슬림화 및 신뢰성이 우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mploying the case antenna. An antenna pattern portion formed by repeatedly printing a plurality of times; A conductor insert terminal inserted through a case in which the antenna pattern part is formed by an insert injection method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antenna pattern part;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main board on which control circuit units and circuit elements for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mounte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ductor insert terminal, And an antenna contact performing a relay function of the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ntenna print pattern is formed so as not to pass through the parting line of the injection mold of the metal mold, the possibility of disconnection of the antenna pattern can be basically excluded and the mass production yield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by adopting a method of inserting the conductor terminal when the case is injected, the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In addition, by using a conductive ink containing a vinyl resin as the conductive ink, it is possible to enhance adhesion between the antenna pattern and the high-rigidity resin and the metal insert terminal, thereby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excellent slimness and reliability.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안테나 및 그를 채용한 이동통신 단말기{Case-printed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same}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mploying the case antenna.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인쇄방식과 도체 삽입 방식을 혼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우수한 안테나 특성을 구현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안테나와, 그러한 케이스 안테나를 채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se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realizes excellent antenna characteristics at a low cost by using a printing method and a conductor insertion method in combination, Terminal.

오늘날, 멀티미디어 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은 다양하고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였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성인 이동성을 고려하여 단말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위해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와 같은 연구/개발의 일환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안테나에 대한 개발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Today, the rapid development of multimedia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enabled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ing various and complex functions, and in consideration of the mobility as a characteristic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carried out in order to miniaturize and lighten the terminal have. As a part of such research / development, an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eing developed steadily.

종래의 로드형 안테나 또는 헬리컬 안테나의 경우, 안테나가 기기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함에 있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단말기를 떨어뜨리거나 외부 물체와의 충돌로 인해 안테나가 파손되거나 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In the conventional rod type antenna or helical antenna, since the antenna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f the apparatus, it is not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carr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 problem that breakage or trouble frequently occurs.

이러한, 노출형(돌출형) 안테나에 대한 대책으로 케이스 안테나가 제시되었다. 케이스 안테나는 위에서와 같은 노출형(돌출형) 안테나와는 달리 안테나가 단말기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구조로서 노출형(돌출형) 안테나가 갖는 구조적인 취약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있다.A case antenna is proposed as a countermeasure against such an exposed (protruding) antenna. Unlike an exposed (protruding) antenna as described above, the case antenna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of the terminal, and fundamentally solves the structural weakness of the exposed (protruding) antenna.

한편, 케이스 안테나의 제조에는 도금방식, 인쇄방식, 도체 인서트 방식, 필름 부착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금방식은 사출물의 일부를 도금하여 패턴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도금 비용, 파팅 라인 단선, 사출재질 제한 등의 문제가 있다. 인쇄방식은 전도성 잉크로 패턴을 인쇄하는 방식으로 도금 방식에 비해 공정은 단순하나 단자면의 경도가 약하고 사출재질 제한 등의 문제가 있다. 도체 인서트 방식은 사출물에 금속판 또는 패턴이 형성된 필름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패턴 강도 및 신뢰성이 좋기는 하나 개발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필름 부착 방식은 양면 테이프로 연성 패턴을 부착하는 방식으로 곡면부의 패턴 부착성이 취약하고 패턴에 크랙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On the other hand, a plating method, a printing method, a conductor insert method, and a film attaching method are mainly used for manufacturing the case antenna. In the plating method, a part of an injection material is plated and used as a pattern, and there are problems such as plating cost, disconnection of parting line, limitation of injection material, and the like. The printing method is a method of printing a pattern with a conductive ink. The method is simple compared to the plating method, but the hardness of the terminal surface is weak and there is a problem such as limitation of the injection material. The conductor insert method is a method of inserting a metal plate or a patterned film into an injection mold, which is difficult to develop and costly, though it is good in pattern strength and reliability. In the film attaching method, a flexible pattern is attached to a double-sided tape, so that the pattern adhesion of the curved portion is weak, and there is a risk of causing cracks in the pattern.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항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양산 수율이 높고 비용이 저렴하며, 인쇄 방식과 도체 삽입 방식을 사용하여 우수한 안테나 특성을 구현한 패턴 부착성이 우수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se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excellent in pattern adhesion, which realizes excellent antenna characteristics by using a printing method and a conductor insertion method,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안테나를 채용함으로써 슬림화 및 신뢰성이 우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excellent in slimness and reliability by adopting a case antenna of su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안테나는,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상기 안테나 패턴부가 형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케이스에 관통 삽입되는 도체 인서트 단자; 상기 도체 인서트 단자를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케이스와 일체가 되도록 형성한 이후에 그 일측면을 포함하는 상기 케이스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인쇄방식에 의해 소정 패턴으로 전도성 잉크로 패드 인쇄에 의해 복수회 반복 인쇄함으로써, 먼저 인서트된 단자의 일측면과 그 일측면을 포함하는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 동시에 인쇄되어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인쇄 패턴이 금형의 사출물 파팅 라인을 지나지 않도록 형성하여 안테나의 단선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se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conductive insert terminal inserted through a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the antenna pattern is formed by an insert injection method; The conductor insert terminal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se by an insert injection method, and then the conductive insert terminal is repeatedly printed (print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with conductive ink by pad printing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ase including the one side thereof, An antenna pattern portion formed by printing simultaneously on one side of the inserted terminal and on the surface of the case including one side thereof; And an antenna print patter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ormed so as not to pass through the parting line of the injection mold of the mold to exclude the possibility of disconnection of the antenn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전도성 잉크는 일반적인 전도성을 갖는 잉크는 모두 사용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케이스용 고강성 수지 및 금속 도체와의 부착력 확보를 위해 비닐계 수지를 함유한 전도성 잉크가 사용된다.The conductive ink may be any ink having a general conductivity. Preferably, a conductive ink containing a vinyl-based resin is used for securing adhesion to a highly rigid resin for a case and a metal conductor.

삭제delete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종 기능을 위한 제어회로부 및 회로 소자들이 실장되는 메인 보드와, 상기 메인 보드를 내장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인쇄 방식에 의해 소정 패턴으로 전도성 잉크로 패드 인쇄에 의해 복수회 반복 인쇄함으로써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부; 및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상기 안테나 패턴부가 형성되는 케이스에 관통 삽입되며, 그 일측 단부가 상기 안테나 패턴부에 접속되는 도체 인서트 단자 및 상기 메인 보드에 그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도체 인서트 단자의 타측 단부에 접속되며, 상기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메인 보드 간의 신호 송수신의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안테나 콘택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인쇄 패턴이 금형의 사출물 파팅 라인을 지나지 않도록 형성하여 안테나의 단선 가능성을 배제하고, 상기 전도성 잉크는 케이스용 고강성 수지 또는 금속 도체와의 부착력 확보를 위해 비닐계 수지를 함유한 전도성 잉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se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ard on which a control circuit unit and circuit elements for various functio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mounted, An antenna pattern unit formed by repeatedly printing a predetermined pattern of the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onductive ink by pad printing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ductive insert terminal which is inserted through a case in which the antenna pattern portion is formed by an insert injection method and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antenna pattern portion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main boar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onductor insert terminal And an antenna contact connected to the other end and serving as a relay of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the antenna pattern part and the main board, wherein the antenna print patter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ormed so as not to pass through the parting line of the mold, The conductive ink is characterized by being a conductive ink containing a vinyl resin for securing adhesion with a highly rigid resin for a case or a metal conduc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전도성 잉크로는 일반적인 전도성을 갖는 잉크는 모두 사용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케이스용 고강성 수지 및 금속 도체와의 부착력 확보를 위해 비닐계 수지를 함유한 전도성 잉크가 사용된다.As the conductive ink, any ink having a general conductivity can be used. Preferably, a conductive ink containing a vinyl resin is used for securing adhesion with a highly rigid resin for a case and a metal conductor.

또한, 상기 도체 인서트 단자는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케이스에 관통 삽입된다.
Further, the conductor insert terminal is inserted through the case by an insert injection metho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안테나 인쇄 패턴이 금형의 사출물 파팅 라인을 지나지 않도록 형성되므로 안테나 패턴의 단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어 양산 수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사출시 도체 단자를 삽입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공정을 단순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잉크로서 비닐계 수지를 포함한 전도성 잉크를 사용함으로써 안테나 패턴과 고강성 수지 및 금속 인서트 단자와의 부착력을 공고히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슬림화 및 신뢰성이 우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ntenna print pattern is formed so as not to pass through the parting line of the injection mold of the metal mold, the possibility of disconnection of the antenna pattern can be basically excluded and the mass production yield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by adopting a method of inserting the conductor terminal when the case is injected, the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In addition, by using a conductive ink containing a vinyl resin as the conductive ink, it is possible to enhance adhesion between the antenna pattern and the high-rigidity resin and the metal insert terminal, thereby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excellent slimness and reliabil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안테나에 있어서, 안테나 패턴부가 형성된 케이스의 전체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절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 선에 따른 절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안테나에 있어서, 안테나 패턴부, 도체 인서트 단자 및 안테나 콘택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안테나에 있어서, 케이스에 도체 인서트 단자를 삽입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안테나에 있어서, 도체 인서트 단자 삽입 후 안테나 패턴을 인쇄하는 공정을 각각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안테나에 있어서, 금속(도체) 인서트 단자에 대한 전도성 잉크의 부착력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안테나에 있어서, 케이스용 고강성 수지 3종에 대한 전도성 잉크의 부착력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se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including an antenna pattern part.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 between an antenna pattern unit, a conductor insert terminal, and an antenna contact in a case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erting a conductor insert terminal into a case of a case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case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ntenna pattern is printed after insertion of a conductor insert terminal. FIG.
FIG. 7 is a photograph showing a test result of the adhesion of conductive ink to a metal (conductor) insert terminal in a case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hotograph showing a result of an experiment of adhesion of conductive ink to three types of highly rigid resin for a case in a case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안테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안테나 패턴부가 형성된 케이스의 전체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절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 선에 따른 절단면도이고, 도 4는 안테나 패턴부, 도체 인서트 단자 및 안테나 콘택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S. 1 to 4 show a case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n overall view of a case having an antenna pattern part,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1,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 antenna pattern portion, a conductor insert terminal, and an antenna contact.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안테나는 안테나 패턴부(110), 도체 인서트 단자(120) 및 안테나 콘택(130)을 포함한다.1 to 4, a case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enna pattern unit 110, a conductor insert terminal 120, and an antenna contact 130.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는 도체 인서트 단자(120)를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케이스와 일체가 되도록 형성한 이후에 그 일측면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100)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인쇄방식에 의해 소정 패턴으로 전도성 잉크로 패드 인쇄에 의해 복수회 반복 인쇄함으로써, 먼저 인서트된 단자의 일측면과 그 일측면을 포함하는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 동시에 인쇄되어 형성된다. The antenna pattern unit 110 is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the conductive insert terminal 120 with the case by an insert injection method and thereafter mounting the conductive insert terminal 120 on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ase 100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printing a plurality of times by pad printing with conductive ink in a predetermined pattern by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case including the one side and the one side of the inserted terminal.

상기 도체 인서트 단자(120)는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가 형성되는 케이스(100)에 관통 삽입되며, 그 일측 단부가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에 접속된다.The conductor insert terminal 120 is inserted through a case 100 in which the antenna pattern unit 110 is formed by an insert injection method and one end of the conductor insert terminal 120 is connected to the antenna pattern unit 110.

상기 안테나 콘택(130)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종 기능을 위한 제어회로부(미도시) 및 회로소자들(미도시)이 실장되는 메인 보드(140)에 그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도체 인서트 단자(120)의 타측 단부에 접속되며,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와 상기 메인 보드(140) 간의 신호 송수신의 중계 역할을 수행한다.One end of the antenna contact 130 is connected to a main board 140 on which a control circuit unit (not shown) and circuit elements (not shown) for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mounte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onductor insert terminal And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between the antenna pattern unit 110 and the main board 140.

즉, 안테나 콘택(130)은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도체 인서트 단자(120)를 통해 전달받아 상기 메인 보드(140)의 제어회로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회로부로부터의 전송신호를 상기 도체 인서트 단자(120)를 경유하여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로 전달한다.That is, the antenna contact 130 receives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pattern unit 110 through the conductor insert terminal 120 and transfers the received signal to the control circuit unit of the main board 140, And transmits the transmission signal to the antenna pattern unit 110 via the conductor insert terminal 120.

여기서,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는 전도성 잉크로 패드 인쇄에 의해 복수회(예를 들면, 6회) 반복 인쇄함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서, 이와 같이 복수회 반복 인쇄하는 것은 반복 인쇄에 의해 안테나 패턴부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단면적의 크기를 증대시켜 줌으로써 안테나 패턴부의 단위 길이당의 저항값을 낮추어 주기 위한 것이다. Here, the antenna pattern unit 110 is formed by repetitive printing a plurality of times (for example, six times) by pad printing with conductive ink. Repeatedly printing a plurality of times as described above is intended to reduce the resistance value per unit length of the antenna pattern portion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antenna pattern portion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cross-sectional area by repetitive printing.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가 인쇄될, 케이스(100)의 미리 정해진 부분의 표면은 미세하게 엠보싱(embossing) 가공 처리된다. 이는 전도성 잉크에 의한 패드 인쇄 시 전도성 잉크의 케이스 표면으로의 전사성(轉寫性)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엠보싱 가공 처리를 위해 에칭(etching) 방식이나 플라즈마(plasma)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urface of th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ase 100, on which the antenna pattern portion 110 is to be printed, is finely embossed. This is intended to improve the transferability of the conductive ink to the surface of the case when the pad is printed with the conductive ink. At this time, an etching method, a plasma method, or the like may be used for the embossing processing.

또한, 상기 전도성 잉크로는 일반적인 전도성을 갖는 잉크는 모두 사용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케이스용 고강성 수지(예를 들면, 미쯔비시사의 Reny 'NXG595S', EMS사의 'GVX-5H', EMS사의 'XT4516' 등) 및 금속 도체와의 부착력 확보를 위해 비닐계 수지를 함유한 전도성 잉크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전도성 잉크로서 비닐계 수지를 포함한 전도성 잉크를 사용함으로써 안테나 패턴과 고강성 수지 및 금속(도체) 인서트 단자와의 부착력을 공고히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슬림화 및 신뢰성이 우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ink for general conductive use can be used as the conductive ink. Preferably, a high rigidity resin for a case (for example, Reny 'NXG595S' from Mitsubishi, 'GVX-5H' from EMS, 'XT4516' Etc.) and a conductive ink containing a vinyl-based resin is used for securing the adhesion to the metal conductor.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conductive ink including the vinyl resin as the conductive ink, the adhesion force between the antenna pattern and the high-rigidity resin and the metal (conductor) insert terminal can be enhanced, thereby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cellent in slimness and reliability .

또한, 상기 도체 인서트 단자(120)는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케이스(100)에 관통 삽입된다. 즉, 케이스가 먼저 제작된 상태에서 금속 단자를 후압하는 것이 아니라 케이스 제작을 위한 사출 시 도체 인서트 단자(120)를 동시에 인서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케이스의 사출시 도체 단자를 삽입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공정을 단순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Further, the conductor insert terminal 120 is inserted through the case 100 by an insert injection method. That is, the metal terminal is not pre-pressed in a state where the case is manufactured first, but the conductor insert terminal 120 at the time of injection for making a case is inserted at the same time. As described above, by adopting the method of inserting the conductor terminal when the case is injected, the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도 5 및 도 6은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안테나에 있어서, 케이스에 도체 인서트 단자를 삽입하는 공정과, 도체 인서트 단자 삽입 후 안테나 패턴을 인쇄하는 공정을 각각 보여주는 도면이다.FIGS. 5 and 6 are views showing a process of inserting a conductor insert terminal into a case and a process of printing an antenna pattern after inserting a conductor insert terminal in the case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케이스(100)를 사출할 시 도체 인서트 단자 (120)를 동시에 삽입하여 하나의 인서트 사출물을 제조하게 된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case 100 is first injected, a conductor insert terminal 120 is inserted at the same time to produce an insert insert.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 인서트 단자(120)가 관통 삽입된 상태의 케이스(100)의 외측 표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소정 패턴의 안테나 패턴부 (110)를 전도성 잉크로 패드 인쇄에 의해 복수회(예를 들면, 6회) 반복 인쇄함으로써 형성하게 된다. 6, the antenna pattern portion 110 of a predetermined pattern is pri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100 in a state where the conductor insert terminal 120 is inserted and inserted into the pad printing with the conductive ink (For example, six times) repeatedly.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케이스 안테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그와 같은 케이스 안테나를 채용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에도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종 기능을 위한 제어회로부(미도시) 및 회로소자들(미도시)이 실장되는 메인 보드(140)와, 상기 메인 보드(140)를 내장하는 케이스(100)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인쇄방식에 의해 소정 패턴으로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부(110);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가 형성되는 케이스(100)에 관통 삽입되며, 그 일측 단부가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에 접속되는 도체 인서트 단자(120); 및 상기 메인 보드(140)에 그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도체 인서트 단자 (120)의 타측 단부에 접속되며,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와 상기 메인 보드(140) 간의 신호 송수신의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안테나 콘택(130)을 포함하는 케이스 안테나를 포함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mploying such a case antenna as well as the case antenna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ard 140 on which a control circuit unit (not shown) and circuit elements (not shown) for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mount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built-in case (100), comprising: an antenna pattern unit (110)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by a printing metho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ase (100); A conductor insert terminal 120 inserted through the case 100 in which the antenna pattern unit 110 is formed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antenna pattern unit 110; And one end of the conductor insert terminal 12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ductor insert terminal 120. The other end of the conductor insert terminal 120 is connected to the antenna pattern unit 110 and the main board 140, And an antenna contact (130) for performing an antenna connection.

여기서,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는 전도성 잉크로 패드 인쇄에 의해 복수회 반복 인쇄함으로써 형성된다. Here, the antenna pattern unit 110 is formed by repeatedly printing a plurality of times by pad printing with conductive ink.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가 인쇄될, 케이스(100)의 미리 정해진 부분의 표면은 미세하게 엠보싱(embossing) 가공 처리된다. 이는 전도성 잉크에 의한 패드 인쇄 시 전도성 잉크의 케이스 표면으로의 전사성(轉寫性)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엠보싱 가공 처리를 위해 에칭(etching) 방식이나 플라즈마(plasma)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urface of th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ase 100, on which the antenna pattern portion 110 is to be printed, is finely embossed. This is intended to improve the transferability of the conductive ink to the surface of the case when the pad is printed with the conductive ink. At this time, an etching method, a plasma method, or the like may be used for the embossing processing.

또한, 상기 전도성 잉크로는 일반적인 전도성을 갖는 잉크는 모두 사용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케이스용 고강성 수지 및 금속 도체와의 부착력 확보를 위해 비닐계 수지를 함유한 전도성 잉크가 사용된다. 또한, 이와 같은 전도성 잉크에는 전도성 확보를 위해 은(Ag)이 함유된다. 은의 함유량은 60∼70% 정도로 유지된다. 물론, 이와 같은 함유량은 전도성 잉크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물들의 함량 변화나 기타 본 발명의 케이스 안테나의 적용 조건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As the conductive ink, any ink having a general conductivity can be used. Preferably, a conductive ink containing a vinyl resin is used for securing adhesion with a highly rigid resin for a case and a metal conductor. In addition, silver (Ag) is contained in such conductive ink for ensuring conductivity. The content of silver is maintained at about 60 to 70%. Of course, such conten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other constituents constituting the conductive ink or other application conditions of the case antenna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도체 인서트 단자(120)는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케이스(100)에 관통 삽입된다.Further, the conductor insert terminal 120 is inserted through the case 100 by an insert injection method.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안테나에 있어서, 전도성 잉크에 대한 부착력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FIGS. 7 and 8 are photographs showing a result of an adhesion test on the conductive ink in the case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금속(도체) 인서트 단자에 대한 전도성 잉크 부착력에 대한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제의 제품(케이스 안테나의 안테나 패턴부)과 같은 조건인 니켈(Ni) 도금판에 대하여 부착력 실험을 실시하였다.FIG. 7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experiments on the conductive ink adhesion to metal (conductor) insert terminals.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n adhesion test for a nickel plated plate, which is the same condition as the actual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즉, 사진에서 볼 수 바와 같이, 안테나 패턴에 바둑판 형태로 크로스 커팅 (cross-cutting) 후, 테이프로 2회 이상 부착 실험을 실시하였으나 박리가 없었다.That is, as shown in the photograph, the antenna pattern was cross-cut in a checkerboard pattern, and the adhesion test was performed twice or more with tape but no peeling was observed.

또한, 열충격 시험 후, 동일하게 테이프로 2회 이상 부착 실험을 실시하였으나 박리가 없었다.Further, after the thermal shock test, the same adhesion test was conducted twice or more with tape, but no peeling was observed.

도 8은 케이스용 고강성 수지 3종에 대한 전도성 잉크의 부착력에 대한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전도성 잉크로는 비닐계 수지를 함유한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였고, 수지 3종으로는 미쯔비시사의 Reny 'NXG5945S', EMS사의 'GVX-5H', EMS사의 'XT4516'가 사용되었다. 이외에 PC(poly carbonate)계 수지도 실험 대상으로 사용되었다. 도 8의 사진은 시료로서 EMS사의 'GVX-5H'가 사용된 경우이다.8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experiments on the adhesion of conductive ink to three types of highly rigid resin for a case. Conductive ink containing a vinyl resin was used as a conductive ink, and Reny 'NXG5945S' manufactured by Mitsubishi Co., , 'GVX-5H' by EMS, and 'XT4516' by EMS. In addition, polycarbonate (PC) resin was also used as a test target. 8 is a case where 'GVX-5H' from EMS is used as a sample.

위의 도 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안테나 패턴에 바둑판 형태로 크로스-커팅 (cross-cutting) 후, 테이프로 2회 이상 부착 실험을 실시하였으나 위의 실험 대상으로 사용된 모든 수지에 대하여 박리가 없었다.As in the case of FIG. 7, the antenna pattern was cross-cut in the form of a checkerboard, and the adhesion test was performed twice or more with the tape, but there was no peeling of all the resins used in the above test.

또한, 열충격 시험 후, 동일하게 테이프로 2회 이상 부착 실험을 실시하였으나 박리가 없었다.Further, after the thermal shock test, the same adhesion test was conducted twice or more with tape, but no peeling was observed.

이상의 실험 결과를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스 안테나는 안테나 패턴의 부착력이 우수하여 안테나에 대한 신뢰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이러한 안테나를 채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제품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experimental results, the case antenn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adhesion of the antenna pattern,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antenna and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mploying such an antenna have.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안테나는, 안테나 인쇄 패턴이 금형의 사출물 파팅 라인을 지나지 않도록 형성되므로 안테나 패턴의 단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어 양산 수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사출시 도체 단자를 삽입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공정을 단순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잉크로서 비닐계 수지를 포함한 전도성 잉크를 사용함으로써 안테나 패턴과 고강성 수지 및 금속 인서트 단자와의 부착력을 공고히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슬림화 및 신뢰성이 우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ntenna print pattern is formed so as not to pass through the parting line of the injection mold of the mold, the possibility of disconnection of the antenna pattern can be originally excluded and the mass production yield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by adopting a method of inserting the conductor terminal when the case is injected, the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In addition, by using a conductive ink containing a vinyl resin as the conductive ink, it is possible to enhance adhesion between the antenna pattern and the high-rigidity resin and the metal insert terminal, thereby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excellent slimness and reliability.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케이스 110: 안테나 패턴부
120: 도체 인서트 단자 130: 안테나 콘택
140: 메인 보드
100: Case 110: Antenna pattern part
120: conductor insert terminal 130: antenna contact
140: Motherboard

Claims (10)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안테나 패턴부가 형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케이스에 관통 삽입되는 도체 인서트 단자;
상기 도체 인서트 단자를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케이스와 일체가 되도록 형성한 이후에 그 일측면을 포함하는 상기 케이스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인쇄방식에 의해 소정 패턴으로 전도성 잉크로 패드 인쇄에 의해 복수회 반복 인쇄함으로써, 먼저 인서트된 단자의 일측면과 그 일측면을 포함하는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 동시에 인쇄되어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인쇄 패턴이 금형의 사출물 파팅 라인을 지나지 않도록 형성하여 안테나의 단선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안테나.
A conductor insert terminal inserted through a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n antenna pattern part is formed by an insert injection method;
The conductor insert terminal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se by an insert injection method, and then the conductive insert terminal is repeatedly printed (print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with conductive ink by pad printing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ase including the one side thereof, An antenna pattern portion formed by printing simultaneously on one side of the inserted terminal and on the surface of the case including one side thereof; And
Wherein the antenna print patter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ormed so as not to pass through the parting line of the injection mold of the mold, thereby eliminating the possibility of disconnection of the antenn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종 기능을 위한 제어회로부 및 회로 소자들이 실장되는 메인 보드와, 상기 메인 보드를 내장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인쇄 방식에 의해 소정 패턴으로 전도성 잉크로 패드 인쇄에 의해 복수회 반복 인쇄함으로써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부; 및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상기 안테나 패턴부가 형성되는 케이스에 관통 삽입되며, 그 일측 단부가 상기 안테나 패턴부에 접속되는 도체 인서트 단자 및 상기 메인 보드에 그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도체 인서트 단자의 타측 단부에 접속되며, 상기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메인 보드 간의 신호 송수신의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안테나 콘택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인쇄 패턴이 금형의 사출물 파팅 라인을 지나지 않도록 형성하여 안테나의 단선 가능성을 배제하고,
상기 전도성 잉크는 케이스용 고강성 수지 또는 금속 도체와의 부착력 확보를 위해 비닐계 수지를 함유한 전도성 잉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안테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main board on which a control circuit unit and circuit elements for various functio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mounted, and a case including the main board,
An antenna pattern unit formed by repeatedly printing a predetermined pattern of the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onductive ink by pad printing by a printing metho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 conductor insert terminal inserted into a case in which the antenna pattern part is formed by an insert injection method and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antenna pattern part, one end of the conductor inser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ductor insert terminal, And an antenna contact connected to the end portion and serving as a relay of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the antenna pattern portion and the main board,
The antenna print patter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ormed so as not to pass through the parting line of the injection mold of the mold,
Wherein the conductive ink is a conductive ink containing a vinyl resin for securing adhesion with a high rigidity resin for a case or a metal conduc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110076444A 2011-08-01 2011-08-01 Case-printed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same KR1014864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76444A KR101486479B1 (en) 2011-08-01 2011-08-01 Case-printed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76444A KR101486479B1 (en) 2011-08-01 2011-08-01 Case-printed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784A KR20130014784A (en) 2013-02-12
KR101486479B1 true KR101486479B1 (en) 2015-02-06

Family

ID=47894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76444A KR101486479B1 (en) 2011-08-01 2011-08-01 Case-printed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47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1096B2 (en) 2015-02-06 2018-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ttery pack mount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EP3537694B1 (en) 2015-02-06 2023-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with bent area
US10056204B2 (en) 2015-02-06 2018-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Key butto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EP3054656B1 (en) 2015-02-06 2021-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using,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housing
KR102231232B1 (en) 2015-02-27 2021-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it
KR102400529B1 (en) * 2015-10-26 2022-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having metal case and metal case used therei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5854A (en) * 2006-09-19 2008-03-24 부전전자 주식회사 Connecting terminal structure for for insert injection molding
KR101008004B1 (en) * 2010-03-30 2011-01-14 주식회사 연안테크놀로지 Manufacturing method of antenna pattern printed plastic part for mobile phone using ink
KR20110008961A (en) * 2009-07-21 2011-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5854A (en) * 2006-09-19 2008-03-24 부전전자 주식회사 Connecting terminal structure for for insert injection molding
KR20110008961A (en) * 2009-07-21 2011-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KR101008004B1 (en) * 2010-03-30 2011-01-14 주식회사 연안테크놀로지 Manufacturing method of antenna pattern printed plastic part for mobile phone using i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784A (en) 201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6479B1 (en) Case-printed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same
US8244321B2 (en) Casing for a portable terminal
TWI766962B (en) Electronic device and substrate with lds antenna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ubstrate thereof
EP2086050A1 (en) Hous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hous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00271281A1 (en) Housing with built-in antenna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EP2086047A1 (en) Hous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hous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17262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lated plug and receptacle
EP2386400A1 (en) Case of electronic device having antenna pattern frame embedded therein, mold theref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CN102290631A (en) Electronic device shell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7518568B2 (en) Antenna for an electronic device
US6700464B2 (en) Low cost high speed board-to-board coaxial connector design with co-planar waveguide for PCB launch
CN201898676U (en) Terminal equipment
US20120068888A1 (en) Flexible Antenna
EP2096706A1 (en) Hous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hous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40077199A1 (en) Electrical connectivity through a hinge
KR101486463B1 (en) Antenna terminal structur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method thereof
EP2039641B1 (en) Spool winded with a gold alloy wire used for a bonding process
CN111490407B (en) Multi-pole connector
KR100984039B1 (en) Method of mounting of a insert mold antenna to inside of a case
CN102509957B (en) Universal serial bus (USB) male plug
CN101728634A (en) Antenna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CN209843955U (en) Electronic equipment
JP2002111368A (en) Built-in antenna for cellular phones
KR20060011804A (en) Intenna for portable pho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intenna
US740851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6